KR20230040308A - 로봇 내시경 점막하 절제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로봇 내시경 점막하 절제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0308A
KR20230040308A KR1020227044677A KR20227044677A KR20230040308A KR 20230040308 A KR20230040308 A KR 20230040308A KR 1020227044677 A KR1020227044677 A KR 1020227044677A KR 20227044677 A KR20227044677 A KR 20227044677A KR 20230040308 A KR20230040308 A KR 20230040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ulated
instrument
robotic device
articulating
drive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4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엔리케 로모
Original Assignee
노아 메디컬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아 메디컬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노아 메디컬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30040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3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04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 A61B1/0000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of control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04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 A61B1/0000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of image signals during a use of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3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input arrangements for the user
    • A61B1/0004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input arrangements for the user for mechanical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43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 A61B1/00045Display arrangement
    • A61B1/0005Display arrangement combining images e.g. side-by-side, superimposed or ti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61B1/00135Oversleeves mounted on the endoscope prior to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61B1/0016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using motor drive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7Constructional details of force transmission elements, e.g. control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8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the image sensor, e.g. camera, being in the distal end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61Endoscope light sources
    • A61B1/0676Endoscope light sources at distal tip of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61Endoscope light sources
    • A61B1/0684Endoscope light sources using light emitting diodes [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 A61B1/12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in-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30Surgical rob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70Manipulato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38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 A61B2017/00269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adapted to be inserted through a working channel of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353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one mechanical instrument performing multiple functions, e.g. cutting and gras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30Surgical robots
    • A61B2034/301Surgical robots for introducing or steering flexible instruments inserted into the body, e.g. catheters or endosc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로봇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로봇 디바이스는 근위 단부와, 제1 구동 기구를 통해 조종 가능한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관절식 세장형 부재; 관절식 세장형 부재의 제1 루멘을 통해 관절식 세장형 부재에 제거 가능하게 커플링되고, 원위부에 위치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관절식 이미징 기기; 및 제2 루멘을 통해 관절식 세장형 부재에 제거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관절식 기기를 포함하고, 관절식 이미징 기기의 카메라에 의해 관절식 기기의 작동이 캡쳐된다.

Description

로봇 내시경 점막하 절제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참조문헌
본 출원은 2020년 3월 3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3/033,428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 미국 출원은 참조에 의해 여기에 포함된다.
위암과 대장암은 일반적인 암 유형이다. 위장(GI)관 암은 점막층에서 성장한다. 림프절로 전이되기 전에 전암 및 초기 암을 조기에 제거하면 이러한 암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의 생존률이 향상될 수 있다.
가요성 내시경은 환자의 몸에 개구부를 형성할 필요 없이 위장관 질환을 검사하고 추적하는 데 사용되었다. 내시경은 입이나 항문을 통해 상부 또는 하부 위장관 각각으로 도입된다. 원위 단부의 소형 카메라가 GI관의 영상을 캡쳐하고, 이는 임상의가 GI 질병을 진단하는 것을 돕는다. 간단한 수술 절차(용종절제술 및 생검 등)는 가요성 툴을 작동 채널을 도입하여 원위 단부에서 관심 부위에 도달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는 절차의 유형은 툴의 조작성의 결여에 의해 제한된다. 동맥 출혈에 대한 지혈, 천공을 봉합하기 위한 봉합, 위 식도 역류를 위한 위저부주름술과 같은 기술적으로 보다 까다로운 수술 절차는 종래의 가요성 내시경으로는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없었다. 이들 절차는 통상 개복 또는 복강경 수술로 수행되고 있다.
내시경 점막하 절제술(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은 위장관 내의 병변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었다. ESD는 내시경 관찰 하에 위, 장 등의 병변 부위를 전체적으로 절제하는 수술이다. 일반적으로, ESD 수술 중, 병변의 가장자리가 전기소작기에 의해 마킹되고, 점막하 주사를 사용하여 병변을 들어올리며; 점막하로의 둘레방향 절개가 특수 내시경 전기소작 나이프를 사용하여 병변 주위에서 수행되고; 병변은 전기소작 나이프를 사용하여 GI관의 깊은 하부층으로부터 절제된다. ESD는 초기 위암과 대장암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만, 합병증 위험이 더 높은 기술적으로 까다로운 절차이다. 예컨대, 현재의 가요성 내시경은 하나의 기기 채널을 가질 수 있다. 내시경 의사는 한번에 하나의 부속품만을 조작할 수 있고; 가요성 내시경의 팁을 속이 빈 내장 내부의 안정한 위치에 유지하는 것은 어려우며; 이미징 디바이스가 기기에 커플링되며, 카메라 시야가 기기의 작동 공간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추가로, 현재의 ESD 디바이스는 불량한 엔드 이펙터(end-effector) 반응성, 부적절한 기기 능력을 갖고, 통상 내과 의사가 디바이스를 조작하기 위해 상당한 학습 곡선을 요구한다.
여기에서는, 개선된 환자 결과 및 절차 효율성으로 수술 절차 또는 진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개선된 내시경 점막하 절제술이 필요하다는 것이 인식된다. 본 개시는 내시경 점막하 절제술(ESD)을 위한 모듈형 로봇 시스템 및 로봇 플랫폼을 제공한다. 특히, 본 개시의 모듈형 로봇 플랫폼은 내과 의사가 GI관에서 내시경 점막하 절제술(ESD)을 수행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로봇 플랫폼은 관절식 가요성 수술 기기를 수납하는 다수의 루멘을 지닌 주요 관절식 가요성 디바이스(예컨대, 주요 외장)를 포함하는 모듈형 로봇 시스템을 수용하고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듈형 로봇 시스템은 다양한 구성요소의 위치 및 형상을 추적하기 위해 위치 측정 센서와 함께 직접 시각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로봇 플랫폼은 ESD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해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소형 조이스틱 인터페이스 또는 마스터 입력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또한 실시간 2D 또는 스테레오 뷰어와 같은 다양한 시각화 방식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듈형 로봇 내시경 플랫폼은 내과 의사가 GI관에 있는 병변에 도달하여, 로봇 시스템에 의해 가요성 기기에 제공되는 향상된 안정성 및 제어와 함께 다수의 자유도(DOF)의 가요성 기기를 활용하는 것에 의해 병변을 절제하게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주요 관절식 가요성 디바이스(예컨대, 가스트로 외장)는 복수 개의 독립된 가요성 디바이스 또는 기기를 위한 복수 개의 루멘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상기한 독립된 기기는 개별적으로 전개 가능하며 관절식일 수 있다. 예컨대, 가요성 기기들은 각각, 기기 조작을 위한 추가의 자유도를 가능하게 하는 관절 섹션(예컨대, 손목 관절식 또는 굽힘 섹션)을 가질 수 있다. 관절 섹션은 가요성 기기가 주요 가요성 디바이스의 카테터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요성 기기의 엔드 이펙터의 베이스에 위치할 수 있다. “관절 섹션”이라는 용어는 굽힙 섹션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이들 2개의 용어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호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가요성 기기는, 사용자에게 수술 능력을 제공하는 엔드 이펙터를 가질 수 있으며, 엔드 이펙터는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전기 수술 후크, 가위, 겸자, 바늘 및 집게를 포함한다. 제공되는 관절식 디바이스 및/또는 모듈형 로봇 시스템은 유리하게는 내과 의사가 관절식 가요성 로봇 디바이스를 통해 관내 접근법으로 수술 능력을 펼치게 할 수 있다.
일양태에서, 본 개시는 로봇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로봇 디바이스는 근위 단부와, 제1 구동 기구를 통해 조종 가능한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관절식 세장형 부재; 관절식 세장형 부재의 제1 루멘을 통해 관절식 세장형 부재에 제거 가능하게 커플링되고, 원위부에 위치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관절식 이미징 기기; 및 제2 루멘을 통해 관절식 세장형 부재에 제거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제1 관절식 기기를 포함하고, 관절식 이미징 기기의 카메라에 의해 제1 관절식 기기의 작동이 캡쳐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로봇 디바이스는 제3 루멘을 통해 관절식 세장형 부재에 제거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제2 관절식 기기를 더 포함하고, 제1 관절식 기기, 제2 관절식 기기 및 카메라는 삼각 측량 구성으로 위치 설정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관절식 세장형 부재는 굽힘 섹션을 포함한다. 예컨대, 굽힘 섹션은 하나 이상의 견인 와이어(pull wire)에 의해 관절 운동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관절식 이미징 기기는 굽힘 섹션을 포함한다. 예컨대, 굽힘 섹션은 하나 이상의 견인 와이어에 의해 관절 운동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관절식 이미징 기기는 관절식 이미징 기기의 원위부에 위치하는 조명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관절식 이미징 기기는 카메라 뷰를 세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노즐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메라는 관절식 세장형 부재의 종축 또는 관절식 이미징 기기의 종축을 중심으로 롤링하도록 제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메라는 관절식 세장형 부재에 대해 관절 운동하도록 제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관절식 이미징 기기와 제1 관절식 기기는, 로봇 디바이스가 제1 모드일 때에 제1 루멘 및 제2 루멘 내로 당겨진다. 몇몇 경우, 관절식 이미징 기기와 제1 관절식 기기는, 로봇 디바이스가 제2 모드일 때에 관절식 세장형 부재의 원위 단부 밖으로 연장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관절식 이미징 기기는 제1 구동 기구를 통해 조종 가능하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구동 기구는 제1 로봇 지지 시스템에 장착된다. 몇몇 경우, 제1 관절식 기기는 제2 구동 기구를 통해 관절 운동한다. 몇몇 경우, 제2 구동 기구는 제2 로봇 지지 시스템에 장착된다. 예컨대, 제1 로봇 지지 시스템과 제2 로봇 지지 시스템은 로봇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관절식 세장형 부재의 근위 단부는 제1 구동 기구에 제거 가능하게 커플링된다.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는 모듈형 로봇 디바이스의 작동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제1 루멘 및 제2 루멘을 포함하는, 주요 외장과 같은 관절식 세장형 부재를 마련하는 단계; 제1 루멘을 통해 관절식 세장형 부재에 관절식 이미징 기기를 커플링하는 단계; 제2 루멘을 통해 관절식 세장형 부재에 제1 관절식 기기를 커플링하는 단계; 및 관절식 이미징 기기의 카메라로 제1 관절식 기기의 작동을 캡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경우, 주요 외장은 제2 관절식 기기를 수용하는 제3 루멘을 포함한다. 카메라는 관절식 이미징 기기의 원위부에 위치하고, 적어도 주요 외장에 대해 관절 운동하도록 개별 제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제3 루멘을 통해 관절식 세장형 부재에 제2 관절식 기기를 커플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카메라는 관절식 세장형 부재에 대해 관절 운동하도록 제어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관절식 세장형 부재는 제1 구동 기구를 통해 조종된다. 몇몇 경우, 제1 관절식 기기는 제2 구동 기구를 통해 관절 운동한다. 몇몇 경우, 제1 구동 기구와 제2 구동 기구는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관절식 이미징 기기는 제1 구동 기구를 통해 관절 운동하고 조작된다.
제공된 모듈식 로봇 시스템 및 로봇 플랫폼의 다양한 구성요소는 다양한 최소 침습 수술 절차, 심장, 방광 및 폐 조직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조직을 포함하는 치료 또는 진단 절차, 및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식도, 간, 위, 결장, 요로를 포함하는 소화계 또는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기관지, 폐 및 기타 여러가지를 포함하는 호흡계와 같은 환자 신체의 다른 해부학적 영역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추가의 양태 및 장점은, 단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는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수월하게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이해하다시피, 본 개시는 기타의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고, 그 다수의 상세는 본 개시로부터 전혀 벗어나는 일 없이 다양한 명백한 관점에서 수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과 설명은 기본적으로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참조에 의한 포함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공보, 특허 및 특허 출원 모두는 이들에 대한 참조에 의해, 각각의 개별 공보, 특허 또는 특허 출원이 구체적으로 그리고 개별적으로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내는 것처럼 여기에 포함된다. 참조로 포함된 공보, 특허 및 특허출원이 본 명세서에 포함된 개시 내용과 모순되는 경우, 본 명세서는 이러한 모순되는 자료에 대해 대체 및/또는 우선하도록 의도된다.
본 출원의 신규한 피쳐(feature)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상세히 기술된다. 본 발명의 피쳐 및 장점에 관한 보다 양호한 이해는 예시적인 실시예 - 본 발명의 원리를 활용함 - 를 설명하는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과 첨부도면(여기에서는 “도면” 및 “도”라고도 함)을 참고로 하여 얻어질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로봇 시스템의 일례를 보여준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개 모드의 모듈형 로봇 시스템의 일례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관절식 가요성 기기의 일례를 보여준다.
도 4는 로봇 플랫폼의 일례를 보여준다.
도 5는 제어 모듈이 조립된 로봇 플랫폼의 일례를 보여준다.
도 6은 로봇 지지 시스템에 의해 지지되는 주요 관절식 가요성 디바이스의 일례를 보여준다.
도 7은 핸들부에 기계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기 구동 기구의 일례를 보여준다.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상기한 실시예는 단지 예로써 제공된 것이라는 점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당업자에게 여러 변형, 변경 및 대체가 떠오를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대안이 채용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만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주로 내시경 점막하 절제술(ESD)을 위한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지만, 당업자라면, 이것은 제한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이 아니고, 여기에서 설명하는 디바이스는 기타 치료 또는 진단 절차를 위해 그리고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식도, 간, 위, 결장, 요로를 포함하는 소화계 또는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기관지, 폐 및 기타 여러 가지를 포함하는 호흡계와 같은 환자 신체의 다른 해부학적 영역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여기에서 개시하는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되어 환자에게 개선된 진단 및 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는, 예컨대 기지의 폐 진단, 수술 및 기타 조직 및 장기의 수술과의 조합과 같은 기존의 방법 및 장치와 조합되어 개선된 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하나 이상의 구조 및 단계는 여기에서 설명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의 구조와 방법 단계와 조합될 수 있고, 여기에서 설명하는 장치, 도면 및 뒷받침하는 텍스트는 실시예에 따른 설명을 제공한다는 점을 이해해야만 한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로봇 시스템, 진단 또는 수술 절차의 정의는 위장(GI)관을 위한 진단 또는 수술의 맥락에서 제시되지만, 여기에서 설명하는 방법 및 장치는 뇌, 심장, 폐, 창자, 눈, 피부, 신장, 간, 췌장, 위, 자궁, 난소, 고환, 귀, 코, 입과 같은 임의의 신체의 조직 및 신체의 임의의 장기 및 혈관과, 골수, 지방 조직, 근육, 선상 및 점막 조직, 척추 및 신경 조직, 연골과 같은 연조직과, 치아, 뼈 등과 같은 단단한 생물학적 조직뿐만 아니라, 부비동, 요관, 결장, 식도, 폐 통로, 혈관 및 인후와 같은 신체 루멘 및 통로를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적어도”, “... 보다 큰” 또는 “... 이상”라는 용어가 2개 이상의 일련의 수치값에서 마지막 값 뒤(단, “적어도”는 첫번째 값 앞)에 붙으면, “적어도”, “...보다 큰” 또는 “... 이상”이라는 용어는 해당하는 일련의 수치값의 각각의 수치값에 적용된다. 예컨대, 1, 2 또는 3 이상은 1 이상, 2 이상 또는 3 이상과 동일한 의미이다.
“...이하”, “... 미만” 또는 “... 미만 또는 동일한”이라는 용어가 2개 이상의 일련의 수치값에서 마지막 값 뒤에 붙으면, ““...이하”, “... 미만” 또는 “... 미만 또는 동일한”이라는 용어는 해당하는 일련의 수치값의 각각의 수치값에 적용된다. 예컨대, 3, 2 또는 1 이하는 3 이하, 2 이하 또는 1 이하와 동일한 의미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예컨대 단일 프로세서 또는, 예컨대 분산형 처리 시스템의 복수 개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제어기 또는 프로세서는 일반적으로 프로세스의 단계를 구현하기 위한 명령을 저장하는 유형 매체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예컨대 중앙 처리 유닛, 프로그램 가능 어레이 로직, 게이트 어레이 로직 또는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예컨대, 중앙 처리 유닛(CPU) 또는 마이크로제어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및/또는 하나 이상의 어드밴스드 RISC 머신(ARM) 프로세스일 수 있다. 몇몇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하나 이상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유닛에 의해 실행 가능한 로직, 코드 및/또는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유닛[예컨대, 제거 가능한 매체 또는 SC 카드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과 같은 외부 저장 매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방법 또는 작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또는 하드웨어와, 예컨대 ASIC, 전용 컴퓨터 또는 범용 컴퓨터와 같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원위” 및 “근위”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장치를 기준으로 하는 위치를 일컬을 수 있고, 해부학적 기준과는 반대일 수 있다. 예컨대, 주요 외장 또는 카테터의 원위 위치는 환자에 있는 세장형 부재의 근위 위치에 해당할 수 있고, 주요 외장 또는 카테터의 근위 위치는 환자에 있는 세장형 부재의 원위 위치에 해당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양태에서는, 모듈형 로봇 시스템이 제공된다. 모듈형 로봇 시스템은, 복잡하고 정밀한 외과적 수술을 수행하기 위해 제거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실시간 내시경 비전 및 다수의 기기를 지닌 주요 관절식 가요성 디바이스(예컨대, 가스트로 외장)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형 로봇 시스템은 실시간 내시경 뷰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내시경 의사에게 내부 장기에 접근하기 위해 자연적인 구멍을 이용하여 복잡하고 정밀한 외과적 수술을 수행하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GI관은 환자의 흉터를 없앨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주요 관절식 가요성 디바이스(예컨대, 가스트로 외장)는 복수 개의 독립된 가요성 디바이스 또는 기기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 개의 루멘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상기한 독립된 기기는 개별적으로 전개 가능하며 관절식일 수 있다. 예컨대, 가요성 기기들은 각각, 기기 조작을 위한 추가의 자유도(DOF)를 가능하게 하는 관절 섹션(예컨대, 손목 관절식 또는 굽힘 섹션)을 가질 수 있다. 관절 섹션은 가요성 기기가 주요 가요성 디바이스의 카테터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요성 기기의 엔드 이펙터의 베이스에 위치할 수 있다. 가요성 기기는, 사용자에게 수술 능력을 제공하는 엔드 이펙터를 가질 수 있으며, 엔드 이펙터는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전기 수술 후크, 가위, 겸자, 바늘 및 집게를 포함한다. 제공되는 관절식 디바이스 및/또는 모듈형 로봇 시스템은 유리하게는 내과 의사가 관절식 가요성 로봇 디바이스를 통해 관내 접근법으로 수술 능력을 펼치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모듈형 로봇 시스템 또는 주요 관절식 가요성 디바이스는 카테터와 같은 세장형 부분 또는 세장형 부재를 포함한다. “세장형 부재”, “카테터”, “외장”이라는 용어는 문맥상 달리 시사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상호 호환 가능하게 이용된다. 세장형 부재는 신체 루멘 또는 신체 공동 내로 집적 배치될 수 있다. 모듈형 로봇 시스템의 핸들부 또는 근위부는 신체 공동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외장 또는 카테터는 디바이스를 조정하고 관절 운동하게 하는 관절식 섹션과 제어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형 로봇 시스템은 모듈형 로봇 시스템의 동작 및/또는 작동을 구동, 지지, 위치 설정 또는 제어하기 위한 로봇 조작기(예컨대, 로봇 아암)와 같은 지지 장치에 커플링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모듈형 로봇 시스템은, 로봇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소형 디바이스 또는 기타 제어 디바이스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로봇 시스템은 주변기기 및 세장형 부재를 대상 신체 내의 목표 부위로 조종하는 것을 지원 및/또는 용이하게 하는 이미징 시스템과 같은 서브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로봇 시스템(100)의 일례를 보여준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듈형 로봇 시스템(100)은 주요 외장 또는 주요 관절식 가요성 디바이스(101), 복수 개의 조종식 가요성 기기(123, 125) 및 내시경 기기(121)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경우, 내시경 기기(121)는 주요 관절식 가요성 디바이스에 통합될 수 있다. 예컨대, 내시경 기기(121)는 주요 관절식 가요성 디바이스와 일체형일 수 있다. 대안의 경우, 내시경 기기(121)는 주요 관절식 가요성 디바이스에 제거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조종식 가요성 기기(123, 125)와 내시경 디바이스(121)는 주요 외장에 대해 이동 가능한 기기 또는 내시경 기기의 일부와의 조립체로서 모듈형 로봇 시스템에 커플링될 수 있다. 몇몇 경우, 복수 개의 조종식 가요성 기기(123, 125)는 주요 외장에 제거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요 외장(101)은 검사할 조직 및/또는 영역에 근접한 탐침부일 수 있다. 주요 외장(101)은 조종 가능하고 로봇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후, 주요 외장을 제어하기 위한 로봇 제어 모듈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한다.
주요 외장은 원하는 가요성 또는 굴곡 강성을 위해 적합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몇몇 경우, 외장의 재료는, 내부 구조(예컨대, 작업 채널)에 대한 구조적 지지를 유지하고 실질적으로 가요성이 있도록(예컨대, 다양한 방향 및 방위로 굴곡 가능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카테터는 프로비스타 코폴리머(Provista Copolymer),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와 같은) 비닐, (베스트아미드, 그릴아미드와 같은) 나일론, 펠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실리콘 탄성중합체, 아세테이트 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경우, 재료는 폴리머 재료, 생체적합성 폴리머 재료일 수 있고, 카테터는 환자에게 고통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곡률이 작은 경로를 통해 전진하기에 충분히 유연할 수 있다.
주요 외장은 샤프트, 관절 섹션(103) 및 조종식 원위부(105)를 포함하며, 관절 섹션(굽힘 섹션)(103)은 조종식 원위부를 샤프트에 연결한다. 예컨대, 굽힘 섹션은 제1 단부에서 원위 팁 부분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단부에서 샤프트 부분에 연결될 수 있으며, 굽힘 섹션은 하나 이상의 견인 와이어에 의해 관절 운동한다. 몇몇 경우, 굽힘 섹션은 모듈형 구성요소로서 별개로 제조되고 샤프트에 조립될 수 있다. 몇몇 경우, 굽힘 섹션은 미니멀리스트 피쳐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비용을 줄이고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컨대, 굽힘 섹션은, 샤프트에 대해 원하는 팁 변위를 달성하기 위해 유리하게는 보다 큰 튜브 편향 정도를 가능하게 하는 절결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경우, 굽힘 섹션은 스테인리스강 리본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굽힘 섹션은, 낮은 관절 운동힘으로 원하는 축방향 및 비틀림 강성을 유지하면서 미리 정해진 굴곡 강성을 달성하기 위해 기타 적합한 구조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굽힘 섹션은 비틀림 안정성을 위한 편조형 구조(braid structure)를 포함할 수 있다.
주요 외장의 원위부는 하나 이상의 견인 와이어, 기어, 풀리 또는 기타 구동 기구와 같은 제어 요소에 의해 조종될 수 있다. 주요 외장의 원위부(105)는 코폴리머, 폴리머, 금속 또는 합금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견인 와이어에 의해 조종될 수 있다. 몇몇 경우, 원위 팁(105)은 전자기(EM) 센서와 같은 위치 설정 센서를 내장할 수 있는 강성 구성요소일 수 있다.
몇몇 경우, 원위부(105)는, 관절식 내시경 기기와 함께 원하는 카메라 뷰를 제공하고 내시경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2개 이상의 자유도로 관절 운동/굴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견인 와이어의 근위 단부 또는 근위부는 로봇 조립체의 핸들/근위부에 있는 다양한 기구(예컨대, 기어, 풀리 등)에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몇몇 경우, 견인 와이어는 주요 외장의 원위 팁에 앵커링되어, 굽힘 섹션을 통해 연장되고, 핸들에 진입할 수 있고, 핸들에서 구동 구성요소(예컨대, 풀리)에 커플링된다.
견인 와이어는 금속 와이어, 케이블 또는 스레드(thread)일 수도 있고, 폴리머 와이어, 케이블 또는 스레드일 수도 있다. 견인 와이어는 또한 천연 또는 유기 재료나 섬유로 형성될 수도 있다. 견인 와이어는, 변형, 상당한 변형이나 파손 없이 다양한 유형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임의의 타입의 적절한 와이어, 케이블 또는 스레드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견인 와이어의 원위 단부 또는 원위부는 주요 외장의 원위부(105)에 앵커링되거나 통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어 유닛에 의한 견인 와이어의 작동은 원위부에 힘 또는 장력을 인가하여, 주요 외장의 적어도 원위부(예컨대, 가요성 섹션)(105)를 조종 또는 관절 운동(예컨대, 상, 하, 피치, 요 또는 이들 사이의 임의의 방향)하게 할 수 있다.
모듈형 로봇 시스템(100)은 적어도,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은 내시경 모드(예컨대, 결장경 모드)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개 모드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시경 모드에서, 주요 외장이 환자 내의 목표 부위로 전진(결장 삽관 단계)되거나 목표 부위로부터 후퇴(예컨대, 결장경 후퇴 단계)될 때 등에 복수 개의 가요성 기기(123, 125)와 관절식 내시경 기기(121)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주요 외장(101) 내로 끌어당겨질 수 있다. 몇몇 경우, 모듈형 로봇 시스템이 목표 부위로 안내되고 있는 것과 같이 모듈형 로봇 시스템이 내시경 모드인 경우, 내시경에 있는 원위 단부의 위치 및 배향이 EM 센서 및 카메라에 의해 추적될 수 있다. 카메라는 주요 외장 내부로 끌어당겨지는 관절식 내시경 기기(121)에 위치할 수 있다. EM 센서는 원위 팁(105)에 내장될 수 있고/있거나, 관절식 내시경 기기(121)에 위치할 수 있다.
일단 주요 외장(100)이 목표 부위 근처의 위치로 전진하면, 가요성 기기(123, 125) 및 관절식 내시경 기기(121)의 조종식 가요성 아암이 주요 외장 상의 포트 밖으로 전진/연장될 수 있고, 다양한 진단 또는 치료 작동을 수행하기 위한 위치로 더욱 조종되거나 조작될 수 있다. 각각의 조종식 아암은 가요성 샤프트, 가요성 기기(123, 125) 또는 관절식 내시경 기기(121)에 있는 팁의 관절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굽힘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굽힘 섹션과 견인 와이어에 관한 상기 설명은 가요성 기기(123, 125) 또는 관절식 내시경 기기(121)에도 적용 가능하다.
주요 외장(101)은 복수 개의 루멘(107, 108, 109)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적절한 수술 기기는 다양한 진단 또는 치료 작동을 실행하기 위해 기기 조립체의 각각의 루멘을 통해 전진할 수 있다. 몇몇 경우, 제1 루멘(105)은 독립된 관절식 내시경 기기(121)를 수용할 수 있다. 관절식 내시경 기기(121)는 관측 시야가 주요 외장(101)이나 원위 팁(105)에 대해 조작되거나 제어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유리하게는, 기기, 주요 외장 및 해부학적 구조의 위치 또는 안정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사용자에게 향상된 가요성과, 조망 가능한 작업 공간 또는 관측 시야를 최적화하는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루멘들 중 2개(107)는 겸자, 집게, 수술용 클립 적용기, 주사 바늘 또는 가위 등과 같은 가요성 전기 수술 기구(123, 125)를 수용할 수 있다. 가요성 기기는 주요 외장에 대해 삽입, 후퇴 및 회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기기의 상기한 추가의 자유도는 유리하게는, 기기와 GI 병변과의 상호 작용 중에 주요 외장의 해부학적 고정을 손상시킬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주요 외장은, 루멘이 복수 개의 가요성 기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임의의 적절한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원위 팁의 외경은 약 20 밀리미터(mm)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루멘의 직경은 약 6 mm일 수 있다. 그러나, 상이한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외경은 20 mm 미만 또는 20 mm를 초과하는 임의의 범위일 수 있고, 루멘 또는 작업 채널의 직경은 툴 치수 또는 고유한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임의의 범위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주요 외장은 추가의 제어식 기기 조립체를 수용하기 위해 추가의 작업 채널/툴 포트(108)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작업 채널(108)은 표준 툴과 호환되도록 약 2 mm 또는 6 mm의 직경과 같은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주요 외장은 보다 많거나 적은 루멘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주요 외장은 가요성 기기(123, 125)를 위한 2개의 루멘을 포함할 수 있는 반면, 이미징 디바이스(예컨대, 카메라)는 주요 외장의 원위부(105) 내에 내장될 수 있다. 몇몇 경우, 이미징 디바이스는 주요 외장의 원위부 내에 내장될 수 있다. 몇몇 경우, 이미징 디바이스는 주요 외장의 원위부(105)에 커플링될 수 있는 반면, 조망각은 원위부에 대해 틸팅 또는 회전될 수 있다. 몇몇 경우, 하나 이상의 전자 구성요소가 주요 외장의 원위 팁에 통합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 및/또는 위치 센서(예컨대, 전자기 센서)는 원위 팁(105)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관절식 가요성 기기의 예를 보여준다. 몇몇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관절식 가요성 기기는 적어도 관절식 내시경 기기(310)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수술 기기 각각은 로봇 아암(323, 333)과 엔드 이펙터 또는 기기 툴(321, 331)을 가지며, 이들은 주요 가요성 기기 본체의 포트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관절식 내시경 기기(310)는 하나 이상의 전자부품이 위치할 수 있는, 조정 가능한 관절식 아암(313)과 원위 팁(3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징 디바이스 또는 카메라는 주요 외장에 대해 관절 운동하도록 제어된다. 관절식 아암은 로봇으로 제어될 수 있는 로봇 아암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전자부품은 적어도 이미징 디바이스(315)와 조명 디바이스(317)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경우, 관절식 이미징 기기는 카메라 뷰를 세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노즐을 포함한다. 예컨대, 원위 팁은 전방 세척 노즐(319)과 깨끗한 카메라 뷰를 제공하기 위한 윈도우 클리닝 노즐과 같은 하나 이상의 세척 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세척 및 흡인 시스템은 커넥터 또는 루어를 통해 관절식 내시경 기기를 위한 작업 채널에 연결될 수 있다. 세척 시스템은 식염수와 같은 유체를 주입할 수 있고, 흡인 시스템은 기도로부터 점액이나 식염수 또는 기타 물질을 흡인할 수 있다.
이미징 디바이스(315)는 직접 비전을 위한 카메라일 수 있다. 이미징 디바이스는 관절식 내시경 기기(310)의 원위 팁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미징 디바이스는 비디오 카메라일 수 있다. 이미징 디바이스는 광학 요소와, 이미지 데이터를 캡쳐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광의 파장에 응답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또는 CCD(Charge-Coupled Device)와 같은 다양한 이미지 센서가 이미지 데이터를 캡쳐하기 위해 채용될 수 있다. 이미징 디바이스는 저가 카메라일 수 있다. 몇몇 경우, 이미지 센서는 회로 기판 상에 마련될 수 있다. 회로 기판은 이미징 인쇄 회로 기판(PCB)일 수 있다. PCB는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전자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CCD 센서를 위한 회로는 CCD 센서에 의헤 제공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 및 변환하기 위해 A/D 컨버터와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미지 센서는 회로 기판이 필요하지 않도록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컨버터 및 증폭기와 일체화될 수 있다. 몇몇 경우, 이미지 센서 또는 회로 기판의 출력은 이미지 데이터(디지털 신호)일 수 있고, 카메라 회로 또는 카메라의 프로세서에 의해 더욱 처리될 수 있다. 몇몇 경우, 이미지 센서는 광 센서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부분에서 설명하다시피, 이미징 디바이스는 독립된 내시경 기기(310)의 원위 팁에 위치할 수 있거나, 주요 외장의 원위 팁 내에 내장된다.
조명 디바이스(317)는 관절식 내시경 기기(310)의 원위 팁에 위치 설정되는 하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ED), 유기 LED(OLED), 퀀텀닷(quantum dot) 또는 임의의 기타 적절한 광원일 수 있다. 몇몇 경우, 광원은 콤팩트한 디자인을 위한 소형 LED 또는 듀얼 톤 플래시(Dual Tone Flash) LED 조명일 수 있다.
가요성 내시경 기기(310)는 주요 외장에 대해 관절 운동, 롤링, 삽입, 후퇴 등을 행하도록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가요성 내시경 기기 조립체는 주요 외장에 대해 롤링 및 삽입되도록 제어될 수 있고, 원위 세그먼트가 주요 외장의 원위부를 빠져나가는 동안, 가요성 내시경 기기의 원위부(311)는 아암(313)의 관절 운동 및/또는 가요성 내시경 기기의 회전 동작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안내되고 배향될 수 있다. 회전 이동은 주요 외장 및/또는 원위 팁(311)의 원위 베이스에 대해 가요성 내시경 기기의 세장형 본체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는 주요 외장의 종축을 중심으로 가요성 내시경 기기 조립체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주요 외장에 대해 롤링 이동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가요성 내시경 기기 조립체는, 카메라가 가요성 내시경 기기 조립체의 종축을 중심으로 롤링하게 하는 회전식 손목 관절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카메라 뷰는 이미징 프로세싱을 통해 (예컨대, 중력 방향과 정렬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관절 운동은 주요 관절식 외장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가요성 내시경 기기(310)를 제어하기 위해 개별 견인 와이어 및 기타 제어 요소가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관절식 아암(313)은 주요 외장과 유사한 방식으로 관절 운동할 수 있는 굽힘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는 작동 장면의 실시간 뷰가 임의의 각도 및 밴티지 포인트(vantage point)에서 제공될 수 있도록 향상된 가요성 및 작업 공간을 갖도록 위치 설정되고 배향될 수 있다. 주요 외장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관절식 아암의 선단에 카메라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다른 기기(320, 330)의 로봇 조작기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작동 장면의 뷰가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유리하게는 집도의가 사용자 선택 각도로 작동 환경을 명료하게 조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기기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카메라의 밴티지 포인트, 위치 및 관측 시야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2개의 가요성 기기(320, 330)는 각각 근위 세그먼트 및 원위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로봇 아암(323, 333)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경우, 로봇 아암은 근위 베이스(도시하지 않음), 원위 베이스(335) 및 원위 팁(331)을 포함한다. 원위 팁(331)은 본 명세서의 다른 부분에서 설명하는 파지기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툴 또는 기타 전기 수술 기기를 지탱할 수 있다. 몇몇 경우, 툴은 내시경 점막하 절제술(ESD)을 수행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근위 베이스, 원위 베이스 및 원위 팁은 대응하는 로봇 아암의 제어 요소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요소는 본 명세서의 다른 부분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견인 와이어와 다른 제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가요성 기기(320, 330)가 내시경 작동을 위한 가요성, 기민성 및 삼각 측량 요건을 충족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2개의 기기 포트는 내시경 기기를 위한 포트의 양측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기기 조립체의 원위부에 의한 외과적 삼각 측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내시경 기기와 2개의 가요성 기기의 관절식 아암에 의해 제공되는 가요성은 유리하게는 기기가 삼각 측량을 수행하게 하고 관심 영역에 모이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를 위쪽을 향하게 하고 기기를 수렴하는 트리아드(triad)를 형성하는 거의 삼각형의 각각의 하부 지점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기기의 시야와 작동 효율이 최대화된다. 예컨대, 추가의 자유도는, 아암이 주요 외장의 원위부로부터 빠져나올 때에 베이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퍼지거나 전환되게 하는 것에 의해 가요성 기기(320, 330)가 삼각 측량식으로 배치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원위부들은 다시 서로를 향하도록 조종될 수 있고, 대상 조직 구조에 대한 캡쳐 및/또는 압축 하중을 인가하도록 활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이미지 캡쳐 디바이스의 관측 시야는 바람직하게는 기기(320, 330)에 대한 임의의 원하는 위치로부터 상기한 활동을 캡쳐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로봇 조작기의 아암은 내시경 뷰를 차단하지 않기 때문에, 집도의가 작동 환경을 명료하게 조망할 수 있고, 카메라가 개별적으로 조정될 수 있기 때문에, 기기의 작동 없이 작동 장면에 대한 임의의 원하는 밴티지 포인트로부터 실시간 이미징을 캡쳐할 수 있다.
일양태에서, 본 개시는 모듈형 로봇 디바이스의 작동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제1 루멘 및 제2 루멘을 포함하는, 주요 외장과 같은 관절식 세장형 부재를 마련하는 단계; 제1 루멘을 통해 관절식 세장형 부재에 관절식 이미징 기기를 커플링하는 단계; 제2 루멘을 통해 관절식 세장형 부재에 제1 관절식 기기를 커플링하는 단계; 및 관절식 이미징 기기의 카메라로 제1 관절식 기기의 작동을 캡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몇몇 경우, 주요 외장은 제2 관절식 기기를 수용하는 제3 루멘을 포함한다. 카메라는 관절식 이미징 기기의 원위부에 위치하고, 주요 외장에 대해 적어도 관절 운동하도록 개별 제어된다.
로봇 플랫폼
몇몇 실시예에서, 로봇 플랫폼이 마련되어, 내과 의사가 GI관에서 내시경 점막하 절제술(ESD)을 수행할 수 있다. 플랫폼은 다양한 관절식 가요성 수술 기기를 수용하는, 전술한 바와 같은 모듈형 로봇 시스템과, 모듈형 로봇 시스템의 동작 및/또는 작동을 구동, 지지, 위치 설정 또는 제어하는, 로봇 조작기(예컨대, 로봇 아암)와 같은 지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로봇 플랫폼은 주변기기 및 세장형 부재를 대상 신체 내의 목표 부위로 조종하는 것을 지원 및/또는 용이하게 하는 이미징 시스템과 같은 서브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경우, 모듈형 로봇 시스템은, 전자기(EM) 센서, 광섬유 센서 및/또는 수술전 기록된 수술 이미지와 함께 의료 기기를 등록하고 표시하는 다른 센서와 같은 위치 감지 시스템도 또한 구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환자 신체 또는 전체적인 기준 프레임에 대해 내시경의 원위부를 로케이팅할 수 있다. 위치 센서는 외부 발생 전자기장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도전성 코일을 포함하는 EM 센서 시스템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이때, 위치 센서 시스템을 구현하는 데 사용되는 EM 센서 시스템의 각각의 코일은 외부 생성 전자기장에 대한 코일의 위치 및 배향에 좌우되는 특징을 갖는 전기 유도 신호를 발생시킨다. 몇몇 경우, 위치 감지 시스템을 구현하는 데 사용되는 EM 센서 시스템은 적어도 3개의 자유도, 예컨대 3개의 위치 좌표 X, Y, Z를 측정하도록 구성되고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EM 센서 시스템은 6개의 자유도, 예컨대 3개의 위치 좌표 X, Y, Z 및 베이스 포인트의 피치, 요 및 롤링을 나타내는 3개의 방위각 또는 5개의 자유도, 예컨대 3개의 위치 좌표 X, Y, Z 및 베이스 포인트의 피치 및 요를 나타내는 2개의 방위각을 측정하도록 구성되고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위치 센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요 관절식 가요성 디바이스, 일체형의 조종식 가요성 기기 및/또는 일체형 내시경 기기의 원위 팁에 내장될 수 있다. 조종식 가요성 기기 및/또는 내시경 기기는 제거 가능한 방식으로 일체화될 수도 있고 주요 관절식 가요성 디바이스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는 로봇 플랫폼(430)의 예를 보여준다. 몇몇 실시예에서, 로봇 플랫폼은 내시경 기능(예컨대, 결장 삽관, 후퇴 등)을 위한 주요 외장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 제어 모듈(410)과, 기기의 작동(예컨대, ESD 작동)을 제어하는 제2 제어 모듈(4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 모듈과 제2 제어 모듈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봇 플랫폼의 제어 시스템(500)을 형성하도록 제거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어 모듈(410, 420)은 로봇 아암(411, 421), 기기 구동 기구(413, 423), 로봇 제어 유닛 및 세척 및 흡인 시스템과 같은 하나 이상의 주변기기를 포함하는 로봇 지지 시스템을 포함하거나 로봇 지지 시스템과 일체화될 수 있다. 제1 제어 모듈(410)의 로봇 아암은 모듈형 로봇 시스템 또는 기타 로봇 기기의 위치 설정을 초기화할 수 있다. 로봇 아암(411)은 모듈형 로봇 조립체(415)를 목표 조직에 접근하도록 초기 위치(예컨대, 접근 지점)로 자동으로 위치 설정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로봇 아암은 오퍼레이터에 의해 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오퍼레이터가 아암을 임의의 위치로 밀 수 있고, 아암이 이에 상응하게 이동한다. 로봇은 또한 인간 로봇 상호 작용을 향상시키기 위해 컴플라이언트(compliant) 모드로 제어될 수도 있다. 예컨대, 로봇 기술의 컴플라이언트 모션 제어는 충돌 방지 전략을 채용할 수 있고, 강제 위치 설정 제어(position-force control)는 가능한 충돌의 영향을 줄이면서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절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암은 여유 자유도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아암의 엘보우가 알고리즘에 의해 또는 수동으로 오퍼레이터에게 편리한 구성으로 변경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기 구동 기구(413)는 로봇 아암(411)에 장착될 수 있다. 모듈형 로봇 시스템(415)은 기기 구동 기구(413)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기기 구동 기구는 로봇 지지 시스템의 아암 또는 임의의 활성화 지지 시스템에 장착될 수 있다. 기기 구동 기구는 모듈형 로봇 시스템(415)에 기계적 및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기계적 인터페이스는 모듈형 로봇 시스템(415)이 기기 구동 기구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모듈형 로봇 시스템(415)의 핸들부는 자석 및 스프링 하중식 레벨와 같은 신속 설치/해제 수단을 통해 기기 구동 기구에 부착될 수 있다. 몇몇 경우, 모듈형 로봇 시스템(415)은 툴을 사용하지 않고 기기 구동 기구에 대해 수동으로 커플링 또는 해제될 수 있다. 기기 구동 기구(413)는 주요 외장을 2개 이상의 자유도(예컨대, 관절 운동) 및 본 명세서의 다른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타 동작으로 구동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모듈형 로봇 시스템(415)은 핸들부(417)를 통해 기기 구동 기구(413)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예컨대, 주요 외장의 견인 와이어는 굽힘 섹션과 외장을 통해 연장되고, 이 견인 와이어가 구동 구성요소(예컨대, 풀리)에 커플링되는 핸들에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핸들 풀리는 기기 구동 요소의 출력 샤프트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몇몇 경우, 핸들부(417)는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파워를 제공하거나, 다른 외부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구축하도록 구성된 구성요소를 수용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경우, 통신은 무선 통신일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은 Wi-Fi, 고주파 통신, 블루투스, IR 통신 또는 기타 유형의 직접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무선 통신 능력은, 플러그 앤 플레이(plug-and-play) 방식의 모듈형 로봇 시스템 기능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편리하게는 1회 사용 후에 폐기될 수 있다. 몇몇 경우, 핸들부는 모듈형 로봇 시스템의 전자부품(예컨대, 카메라 및 LED 광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으로서 전기 회로망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로봇 지지 시스템에 의해 지지되는 주요 관절식 가요성 디바이스(610)의 예를 보여준다. 주요 관절식 가요성 디바이스와 로봇 지지 시스템은 전술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예컨대, 주요 관절식 가요성 디바이스는 세장형 부재(611)와 핸들부(613)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주요 관절식 가요성 디바이스(610)는 세장형 부재의 원위부에 통합되는 이미징 디바이스 및/또는 위치 센서(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주요 관절식 가요성 디바이스(610)는 내시경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내시경 기기에 커플링될 수 있다. 세장형 부재(611)는 가요성 샤프트, 이 샤프트를 조종식 팁에 연결하는 굽힘 섹션 및 복수 개의 제거 가능한 가요성 디바이스 또는 기기를 수용하는 복수 개의 루멘을 포함할 수 있다. 세장형 부재(611)는 전술한 주요 외장과 동일할 수 있다.
핸들부(613)는 세장형 부재(611)에 커플링된 하나 이상의 전자 구성요소와 전기 통신할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징 디바이스, 조명 디바이스 및/또는 EM 센서가 세장형 부재(611)와 일체화될 때, 이미지/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센서 데이터는 핸들부에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전송될 수 있다. 몇몇 경우, 핸들부는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파워를 제공하거나, 다른 외부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구축하도록 구성된 구성요소를 수용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경우, 통신은 무선 통신일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은 Wi-Fi, 고주파 통신, 블루투스, IR 통신 또는 기타 유형의 직접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무선 통신 능력은, 플러그 앤 플레이(plug-and-play) 방식의 모듈형 로봇 시스템 또는 주요 관절식 가요성 디바이스의 기능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편리하게는 1회 사용 후에 폐기될 수 있다. 몇몇 경우, 핸들부는 모듈형 로봇 시스템 또는 주요 외장 내에 배치되는 전자부품(예컨대, 카메라 및 LED 광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으로서 전기 회로망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경우, 핸들부(613)는 주요 외장에 포함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전자 구성요소와 전기 통신할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징 디바이스, EM 센서 및 다른 전자 구성요소가 제거 가능한 내시경 기기에 위치할 때, 내시경 기기의 근위 단부는 핸들부(613)와 전기 통신할 수도 있고, 핸들부(613)에 연결될 수도 있다.
몇몇 경우, 핸들부는 전기 인터페이스(예컨대, 인쇄 회로 기판)를 통해 기기 구동 기구[예컨대, 기기 구동 기구(620)]와 전기 통신할 수 있기 때문에, 이미지/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센서 데이터가 기기 구동 기구의 통신 모듈에 의해 수신될 수 있고, 다른 외부 디바이스/시스템에 전송될 수 있다. 몇몇 경우, 전기 인터페이스는 케이블 또는 와이어 없이 전기 통신을 구축할 수 있다. 예컨대, 인터페이스는 인쇄 회로 기판(PCB)과 같은 전자 기판에 납땜된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리셉터클 커넥터(예컨대, 암형 커넥터)가 정합 인터페이스로서 기기 구동 기구 상에 마련된다. 이것은 유리하게는, 추가의 케이블을 활용하지 않고 내시경이 기기 구동 기구 또는 로봇 지지 시스템에 신속하게 플러깅되게 한다. 상기한 타입의 전기 인터페이스는 또한 기계식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핸들부가 기기 구동 기구에 플러깅될 때에 기계적 커플링 및 전기적 커플링 모두가 달성된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기기 구동 기구는 기계적 인터페이스만을 제공할 수 있다. 핸들부는 센서 데이터 전송 및/또는 제어 신호 수신을 위해 모듈형 무선 통신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예컨대, 휴대용/소형 디바이스 또는 제어기)와 전기 통신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가요성 세장형 부재(611)는 샤프트, 조종식 팁, 관절 운동 섹션 및 전술한 바와 같은 복수 개의 조종식 가요성 기기 및/또는 내시경 기기를 수용하는 다수의 루멘을 포함할 수 있다. 주요 관절식 가요성 디바이스(610)는 도 1 및 도 2로 설명한 바와 같은 주요 외장 또는 주요 관절식 가요성 디바이스와 동일할 수 있다. 몇몇 경우, 주요 관절식 가요성 디바이스(610)는 단일 사용 디바이스일 수 있다. 몇몇 경우, 단지 카테터만이 일회용일 수 있다. 몇몇 경우, 카테터의 적어도 일부가 일회용일 수 있다. 몇몇 경우, 주요 관절식 가요성 디바이스(610) 전체가 기기 구동 기구로부터 해제되어 폐기될 수 있다. 몇몇 경우, 주요 관절식 가요성 디바이스는 기능적 작동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 샤프트를 따라 다양한 레벨의 강성을 포함할 수 있다.
주요 관절식 가요성 디바이스(610)는 기기 구동 기구(620)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기기 구동 기구(620)는 본 명세서의 다른 부분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로봇 지지 시스템의 아암 또는 임의의 활성화 지지 시스템에 장착될 수 있다. 기기 구동 기구는 주요 관절식 가요성 디바이스(610)에 기계적 및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기계적 인터페이스는 주요 관절식 가요성 디바이스(610)가 기기 구동 기구에 해제 가능하게 커플링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주요 관절식 가요성 디바이스(610)의 핸들부는 자석 및 스프링 하중식 레벨와 같은 신속 설치/해제 수단을 통해 기기 구동 기구에 부착될 수 있다. 몇몇 경우, 주요 관절식 가요성 디바이스(610)은 툴을 사용하지 않고 기기 구동 기구에 대해 수동으로 커플링 또는 해제될 수 있다. 주요 관절식 가요성 디바이스를 위한 핸들부나 기기 구동 디바이스에 관한 임의의 설명은 복수 개의 관절식 기기를 위한 핸들부 또는 기기 구동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하다는 점에 주목해야만 한다.
도 7은 주요 관절식 가요성 디바이스 또는 모듈형 로봇 시스템의 핸들부(713)에 기계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기 구동 기구(720)의 일례를 보여준다. 이 예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기기 구동 기구(720)는 카테터의 견인 와이어 세트를 회전 구동하도록 활성화되는 모터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부(713)는, 그 풀리 조립체가 모터 세트에 의해 구동되도록 기기 구동 기구 상에 장착될 수 있다. 풀리의 개수는 견인 와이어 구성에 기초하여 변할 수 있다. 몇몇 경우, 카테터를 관절 운동시키기 위해 1개, 2개, 3개, 4개 또는 그보다 많은 견인 와이어가 활용될 수 있다.
핸들부는 주요 관절식 가요성 디바이스를 저렴한 비용으로 폐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전형적인 수동 및 로봇 내시경은 내시경 핸들의 근위 단부에 카메라를 가질 수 있다. 케이블은 통상 조명 섬유, 카메라 비디오 케이블 및 전자기(EM) 센서와 같은 기타 센서 섬유 또는 케이블이나 형상 감지 섬유를 포함한다. 그러한 복잡한 케이블은 고가이기 때문에 내시경 비용에 추가될 수 있다. 제공된 모듈형 로봇 시스템 또는 주요 관절식 가요성 디바이스는, 기계적 및 전기적 기능을 보존하면서 간단한 구조 및 구성요소를 채용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몇몇 경우, 핸들부는 케이블이 없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고, 카테터에 기계적/전기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세척 시스템 및 흡인 시스템이 로봇 아암 베이스 카트 또는 시스템의 임의의 다른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세척 시스템 및 흡인 시스템은 커넥터 또는 루어를 통해 관절식 내시경 기기를 위한 작업 채널에 연결될 수 있다. 세척 시스템은 식염수와 같은 유체를 주입할 수 있고, 흡인 시스템은 기도로부터 점액이나 식염수 또는 기타 물질을 흡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세척 및 흡인 시스템은 카메라 시각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제어 모듈(410) 및 제2 제어 모듈(420)은 전체적으로 모듈형 로봇 시스템(415)을 제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기 구동 기구 및 제1 제어 모듈(410)의 로봇 제어 유닛은 주요 외장 및 일체형 내시경 기기(예컨대, 카메라)를 제어 및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기 구동 기구(423) 및 제2 제어 모듈(420)의 로봇 제어 유닛은 ESD를 수행하기 위한 기기 쌍과 같은 다수의 가요성 기기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가요성 기기의 관절 운동, 삽입, 후퇴 및 다양한 다른 동작은 기기 구동 기구(423)에 의해 구동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제어 모듈의 구동 기구(423)는 제1 제어 모듈의 구동 기구(413)에 커플링되어, 모듈형 로봇 시스템의 다수의 기기를 구동할 수 있다. 예컨대, 가요성 기기의 근위부 또는 핸들(511)은 가요성 기기의 하나 이상의 견인 와이어를 구동하기 위해 기기 구동 기구(423)에 연결될 수 있다. 몇몇 경우, 제2 제어 모듈의 기기 구동 기구(423)와 제1 제어 모듈의 기기 구동 기구(413)는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예컨대, 2개의 기기 구동 기구는 모듈형 로봇 시스템(415)을 전체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동기식으로 작동하도록 로봇으로 제어될 수 있다.
로봇 플랫폼(500)은 환자 및 로봇측에 위치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1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오퍼레이터 또는 사용자가 수술 절차 중에 로봇 시스템과 상호 작용하게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510)는 소형 제어기에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510)는, 몇몇 경우에 사용자 입력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존의 사용자 디바이스에 제거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사설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 및 하나 이상의 애드온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물리적 트랙볼 또는 롤러는 가상 그래픽 요소의 기능을 대체하는 유사한 기능을 부여받음으로써 가상 그래픽 요소(예컨대, 터치패드에 표시되는 길잡이 화살표)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대체 또는 보완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의 예로는,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모바일 디바이스, 스마트폰/셀폰, 태블릿,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 또는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톱 컵퓨터, 미디어 컨텐츠 플레이어(media content player) 등이 있을 수 있다. 몇몇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510)는 실시간 비전 및 비전 안내를 제공하여, 로봇 시스템에 의해 가요성 기기에 제공되는 향상된 안정성 및 제어와 함께, 다수의 자유도(DOF)의 기기 장치를 활용하는 것에 의해 내과 의사가 GI관에 있는 병변에 도달하여, 병변을 절제하게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로봇 시스템은 수술전 이미지(예컨대, 수술전 CT 영상)에 기초한 가상 기도 모델을 구성하도록 구성된 내비게이션 및 위치 측정 서브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및 위치 측정 서브시스템은 3D 렌더링 기도 모델에서 대략적인 세그먼트화 병변 위치를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병변의 위치에 기초하여 내비게이션 및 위치 측정 서브시스템은 수술 절차(예컨대, ESD)를 수행하기 위해, 병변에 대한 추천 접근각으로 GI관의 병변에 대한 최적 경로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처리 유닛은 병변의 치료 위치와 같은 증강 정보를 포함하는 증강층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몇몇 경우, 증강층은 이러한 목표 부위를 나타내는 그래픽 마커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증강층은 하나 이상의 그래픽 요소(예컨대, 박스, 화살표 등)를 포함하는 거의 투명한 이미지층일 수 있다. 증강층은 형광 투시(단층 영상 합성) 이미징 시스템에 의해 캡쳐되고/캡쳐되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표시되는 광학 이미지의 광학 뷰 또는 비디오 스트림에 중첩될 수 있다. 증강층의 투명도로 인해, 사용자는 그래픽 요소가 상부에 중첩된 상태로 광학 이미지를 볼 수 있다. 몇몇 경우, 세그먼트화 병변 이미지와, 세장형 부재가 병변에 도달하기 위한 내비게이션을 위한 최적 경로 모두가 가상 기도 모델 또는 수술전 영상에 중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오퍼레이터 또는 사용자는 병변의 대략적인 위치와 주요 외장 이동의 계획된 경로를 시각화할 수 있다. 몇몇 경우, 시스템의 작동 전에 제공되는 세그먼트화되고 재구성된 이미지(예컨대, CT 영상)는 실시간 영상에 중첩될 수 있다,
모듈형 로봇 시스템을 목표 부위로 이동시키기 전에 등록 단계에서, 시스템은 기도의 렌더링 가상 뷰를 환자의 기도와 정렬시킬 수 있다. 영상 등록은 단일 등록 단계 또는 단일 등록 단계와 실시간 센서 업데이트를 등록 정보와 조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단 등록되고 나면, 모든 기도는 수술전 렌더링 기도와 정렬될 수 있다. 모듈형 로봇 시스템이 목표 부위로 이동되는 동안, 기도 내부의 주요 외장의 위치가 추적되고 표시될 수 있다. 몇몇 경우, 기도에 대한 주요 외장 팁의 위치가 위치 설정 센서를 사용하여 추적될 수 있다. 센서 융합 기술을 사용하여 위치 설정 센서 대신에 또는 위치 설정 센서와 함께 다른 타입의 센서(예컨대, 카메라)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전자기(EM) 센서와 같은 위치 설정 센서가 주요 외장의 원위 팁 또는 가요성 내시경 기기(예컨대, 카메라 옆)에 내장될 수 있고, EM장 발생기가 절차 중에 환자 몸통 옆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EM장 발생기는 3D 공간에서 EM 센서 위치를 측정할 수도 있고, 5D 또는 6D 공간에서 EM 센서의 위치와 배향을 측정할 수도 있다. 이것은 로봇 시스템을 목표 부위로 이동시킬 때에 오퍼레이터에게 시각적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작동 중에, 병변 위치와 하나 이상의 가요성 기기의 다양한 배향이 카메라에 의해 실시간으로 추적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예컨대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형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내과 의사가 용이하게 로봇 내시경(예컨대, 결장경)을 제어할 수 있다.
몇몇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로봇 제어 모듈 및 로봇 아암이 별도의 모바일 카트에 장착될 수 있다. 모바일 카트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충전 포트를 제공하는 전기 패널과 전기 통신하는 충전식 전원, 컨버터, 변압기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특정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를 포함하는 탑재형 장비를 위한 전원인 복수 개의 AC 및 DC 리셉터클을 위한 서지 프로텍터와 같은 다양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상기한 실시예는 단지 예로써 제공된 것이라는 점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제,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당업자에게 여러 변형, 변경 및 대체가 떠오를 것이다. 여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대안이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 채용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만 한다. 후속하는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범위를 규정하도록 의도되고, 이에 의해 이러한 청구범위와 그 등가의 범주 내의 구조가 커버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5)

  1. 로봇 디바이스로서
    근위 단부와, 제1 구동 기구를 통해 조종 가능한 원위 단부를 포함하는 관절식 세장형 부재;
    관절식 세장형 부재의 제1 루멘을 통해 관절식 세장형 부재에 제거 가능하게 커플링되고, 원위부에 위치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관절식 이미징 기기; 및
    제2 루멘을 통해 관절식 세장형 부재에 제거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제1 관절식 기기
    를 포함하고, 관절식 이미징 기기의 카메라에 의해 제1 관절식 기기의 작동이 캡쳐되는 것인 로봇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제3 루멘을 통해 관절식 세장형 부재에 제거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제2 관절식 기기를 더 포함하고, 제1 관절식 기기, 제2 관절식 기기 및 카메라는 삼각 측량 구성으로 위치 설정되는 것인 로봇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관절식 세장형 부재는 굽힘 섹션을 포함하는 것인 로봇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굽힘 섹션은 하나 이상의 견인 와이어(pull wire)에 의해 관절 운동하는 것인 로봇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관절식 이미징 기기는 굽힘 섹션을 포함하는 것인 로봇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굽힘 섹션은 하나 이상의 견인 와이어에 의해 관절 운동하는 것인 로봇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관절식 이미징 기기는 이 관절식 이미징 기기의 원위부에 위치하는 조명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것인 로봇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관절식 이미징 기기는 카메라 뷰(view)를 세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노즐을 포함하는 것인 로봇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카메라는 관절식 세장형 부재의 종축 또는 관절식 이미징 기기의 종축을 중심으로 롤링하도록 제어되는 것인 로봇 디바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카메라는 관절식 세장형 부재에 대해 관절 운동하도록 제어되는 것인 로봇 디바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관절식 이미징 기기 및 제1 관절식 기기는, 로봇 디바이스가 제1 모드일 때에 제1 루멘 및 제2 루멘 내로 당겨지는 것인 로봇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관절식 이미징 기기 및 제1 관절식 기기는, 로봇 디바이스가 제2 모드일 때에 관절식 세장형 부재의 원위 단부 밖으로 연장되는 것인 로봇 디바이스.
  13. 제1항에 있어서, 관절식 이미징 기기는 제1 구동 기구를 통해 조종 가능한 것인 로봇 디바이스.
  14. 제1항에 있어서, 제1 구동 기구는 제1 로봇 지지 시스템에 장착되는 것인 로봇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제1 관절식 기기는 제2 구동 기구를 통해 관절 운동하는 것인 로봇 디바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제2 구동 기구는 제2 로봇 지지 시스템에 장착되는 것인 로봇 디바이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제1 로봇 지지 시스템과 제2 로봇 지지 시스템은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것인 로봇 디바이스.
  18. 제1항에 있어서, 관절식 세장형 부재의 근위 단부는 제1 구동 기구에 제거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것인 로봇 디바이스.
  19. 로봇 디바이스를 위한 방법으로서,
    제1 루멘 및 제2 루멘을 포함하는 관절식 세장형 부재를 마련하는 단계;
    제1 루멘을 통해 관절식 세장형 부재에 관절식 이미징 기기를 커플링하는 단계로서, 관절식 이미징 기기는 이 관절식 이미징 기기의 원위부에 위치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인 단계;
    제2 루멘을 통해 관절식 세장형 부재에 제1 관절식 기기를 커플링하는 단계; 및
    관절식 이미징 기기의 카메라로 제1 관절식 기기의 작동을 캡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로봇 디바이스를 위한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제3 루멘을 통해 관절식 세장형 부재에 제2 관절식 기기를 커플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로봇 디바이스를 위한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카메라는 관절식 세장형 부재에 대해 관절 운동하도록 제어되는 것인 로봇 디바이스를 위한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관절식 세장형 부재는 제1 구동 기구를 통해 조종되는 것인 로봇 디바이스를 위한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제1 관절식 기기는 제2 구동 기구를 통해 활성화되는 것인 로봇 디바이스를 위한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제1 구동 기구와 제2 구동 기구는 작동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것인 로봇 디바이스를 위한 방법.
  25. 제19항에 있어서, 관절식 이미징 기기는 제1 구동 기구를 통해 관절 운동하고 조작되는 것인 로봇 디바이스를 위한 방법.
KR1020227044677A 2020-06-02 2021-06-01 로봇 내시경 점막하 절제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403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33428P 2020-06-02 2020-06-02
US63/033,428 2020-06-02
PCT/US2021/035220 WO2021247551A1 (en) 2020-06-02 2021-06-01 Systems and methods for robotic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308A true KR20230040308A (ko) 2023-03-22

Family

ID=78829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4677A KR20230040308A (ko) 2020-06-02 2021-06-01 로봇 내시경 점막하 절제술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113687A1 (ko)
EP (1) EP4157119A1 (ko)
JP (1) JP2023529569A (ko)
KR (1) KR20230040308A (ko)
CN (1) CN116322525A (ko)
AU (1) AU2021284265A1 (ko)
WO (1) WO2021247551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65421B2 (en) * 2009-12-14 2013-06-18 C2Cure Inc. Endoscope with an improved working channel
JP2015535702A (ja) * 2012-09-19 2015-12-17 ナンヤン テクノロジカル ユニヴァーシティ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フレキシブルマスター‐スレーブロボット内視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322525A (zh) 2023-06-23
AU2021284265A1 (en) 2023-01-05
JP2023529569A (ja) 2023-07-11
EP4157119A1 (en) 2023-04-05
US20230113687A1 (en) 2023-04-13
WO2021247551A1 (en) 2021-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27654B2 (ja) 付随する医療処置を行う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22527834A (ja) 付随する処置の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ワークフロー
US2022031337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obotic bronchoscopy
US20210369366A1 (en) Robotic endoscope controller with detachable monitor
US2023007643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posable endoscope
AU202040856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dular endoscope
US2023038066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sponsive insertion and retraction of robotic endoscope
US2023007525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triple imaging hybrid probe
US20230101211A1 (en) Imedical instrument drive assembly and docking system
US2023011368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obotic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US20240000530A1 (en) Robotic and manual aspiration catheters
US20230381399A1 (en) Catheter tip
JP2023553816A (ja) 器具の回転のための視覚化調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