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0193A -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its system - Google Patents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its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0193A
KR20230040193A KR1020210123491A KR20210123491A KR20230040193A KR 20230040193 A KR20230040193 A KR 20230040193A KR 1020210123491 A KR1020210123491 A KR 1020210123491A KR 20210123491 A KR20210123491 A KR 20210123491A KR 20230040193 A KR20230040193 A KR 20230040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soil
unit
drone
discharge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4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봉현
강승표
박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물공작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물공작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물공작소
Priority to KR1020210123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0193A/en
Publication of KR20230040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19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16Dropping or releasing powdered, liquid, or gaseous matter, e.g. for fire-fighting
    • B64D1/18Dropping or releasing powdered, liquid, or gaseous matter, e.g. for fire-fighting by spraying, e.g. insectic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4Fertiliser distributors using bl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A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ccommodating part for embedding at least one material constituting vegetation soil; a discharge part that includes a plurality of nozzles providing a plurality of passages for distributing and accommodating the vegetation soil in the accommodating part,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disposed at 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nozzles to discharge the vegetation soil to the outside, and a propeller part for blowing the vegetation soil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and a processor that rotates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nozzles and the propeller part by controlling a motor providing a predetermined rotational forc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system thereof for generating vegetation soil containing a plurality of materials using a drone and dispersing and discharging the generated vegetation soil.

Description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ITS SYSTEM}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on and discharge device and its system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ITS SYSTEM}

본 발명은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드론을 이용하여 복수의 재료를 포함하는 식생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식생토를 분산하여 토출하는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system thereof.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system for generating vegetation soil containing a plurality of materials using a drone and dispersing and discharging the generated vegetation soil.

드론(drone)이란, 사람이 타지 않고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하는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비행체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게 점차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A drone is an airplane or helicopter-shaped flying vehicle that flies by induction of radio waves without a human being on board, and is gradually being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in accordance with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드론은 본 기술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 투입되고 있다. 예를 들어, 드론은 환경감시, 산불감시, 방송중계, 스포츠중계, 농약살포, 도로감시, 보안, 군사, 레저, 스포츠 등 광범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Drones are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that require this technology. For example, drones are used for a wide range of purposes, such as environmental monitoring, forest fire monitoring, broadcasting relay, sports relay, pesticide spraying, road monitoring, security, military, leisure, and sports.

이러한 드론은, 액상형, 분말형, 정제형, 고상형 등 다양한 형태의 물질을 최대 10kg 정도 탑재할 수 있으며 시간당 최대 약 4만 평방제곱미터 면적에 상기 탑재물질을 살포할 수 있다고 알려진다. 이는 수십명의 노동력을 대체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높은 효율성으로 인해서 농업 분야에서 드론을 이용한 기술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It is known that these drones can load up to 10 kg of various types of materials, such as liquid, powder, tablet, and solid, and can spray the loaded material on an area of up to about 40,000 square meters per hour. This can replace dozens of labor, and due to this high efficiency, the demand for technology using drones in the agricultural sector is increasing.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9-0151315호에는 드론 살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151315 discloses a drone spraying devic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드론 살포장치는, 장치 내부에서 섞인 식생토가 외부로 토출되기 위하여 형성된 배출구가 단수로 구성되어 있어, 식생토가 하나의 배출구가 허용하는 제한된 배출 범위 이내에서만 토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drone spray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outlet formed to discharge the vegetation soil mixed inside the device is composed of a single unit, so that the vegetation soil can be discharged only within the limited discharge range allowed by one outlet. There is a problem.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드론 살포장치는, 장치 내부의 모터를 이용하여 장치 내 혼합물을 외부로 토출할 뿐, 장치 외부로 토출된 식생토를 분산하기 위한 추진력을 제공하는 등 상기 식생토를 지표면 상에 골고루 분산시키는 기능 동작을 수행할만한 구성은 구비하지 않아, 식생토를 지면상에 광범위하게 분산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농약, 비료 및/또는 씨앗 등의 다양한 물질을 드론에 탑재시켜 살포하려는 경우, 살포에 필요한 각 물질의 양을 사람이 일일이 계량하여 투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drone spray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only discharges the mixture inside the device to the outside using a motor inside the device, and provides a driving force for dispersing the vegetation soil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to spread the vegetation soil to the ground surface. It does not have a configuration capable of performing a functional operation of evenly distributing it on the ground, so there is a limit to widely distributing the vegetation soil on the ground. In addition, when various materials such as pesticides, fertilizers, and/or seeds are mounted on a drone and sprayed, it is inconvenient for a person to measure and input the amount of each material required for spraying.

한편, 황폐화된 산림의 녹화 사업과 같은 분야에서는, 상기 황폐산림의 식생을 재생시키기 위하여 식생토를 살포하는 작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field such as the greening of devastated forests, an operation of spraying vegetation soil to regenerate the vegetation of the devastated forest is being actively performed.

그러나 종래의 식생토 살포 작업 방식은, 사람이 상기 식생토를 내장한 살포 장치를 직접 들고 다니며 수작업으로 상기 식생토를 살포해야 하여, 광범위한 면적에 대한 식생토 살포에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spraying vegetation soil, a person has to carry a spraying device incorporating the vegetation soil and manually spray the vegetation soil, which is a problem in that considerable cost and time are required for spraying vegetation soil over a wide area there is

또한, 상기 식생토를 살포하고자 하는 지형이 상당한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는 등의 경우, 사람이 해당 영역을 직접 돌아다니며 작업을 수행하기에 위험이 동반된다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terrain on which the vegetation soil is to be spread forms a significant slop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person directly travels around the area to perform the work, which is accompanied by a risk.

또한, 드론의 주변 지형(예컨대,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산림지형 등)이나 기후(예컨대, 온도 및/또는 습도 등) 상황 등에 따라서 상기 드론에 탑재된 여러 물질들이 살포하고자 하는 영역 상에 정확하게 살포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어,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시 되고 있다. In addition, various substances mounted on the drone may not be accurately sprayed on the area to be spray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terrain of the drone (eg, forest terrain having a predetermined slope) or weather conditions (eg, temperature and / or humidit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is not possible, 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chnology to solve these problems.

10-2019-015131510-2019-01513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드론을 이용하여 복수의 재료를 포함하는 식생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식생토를 분산하여 토출하는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세히, 본 발명은, 식생토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탑재하고, 상기 탑재된 재료를 드론에 기초하여 배합해 상기 식생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식생토를 광범위한 영역에 분산하여 토출하는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on and dispensing device for generating vegetation soil containing a plurality of materials using a drone and dispersing and discharging the generated vegetation soil. and to provide the system.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one that loads at least one material constituting vegetation soil, mixes the loaded material based on a drone to generate the vegetation soil, and disperses and discharges the generated vegetation soil over a wide area. It is intended to provide a plant 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on and discharge device and its system.

또한, 본 발명은, 장치 내 식생토를 외부로 분산하여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배출구를 가지는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on and discharge device and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outlets for dispersing and discharging vegetation soil in the device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은, 장치 외부로 토출된 식생토를 분산시키는 추진력을 제공하는 구성을 구비한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on and discharge device and system having a configuration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disperse the vegetation soil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또한, 본 발명은, 테더 드론의 주변 환경을 센싱하고, 상기 센싱된 주변 환경에 따른 최적의 비율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배합하여 상기 식생토를 생성하는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tether drone, and mixes the at least one material in an optimal ratio according to the sensed surrounding environment to generate the vegetation soil, and a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We want to provide that system.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전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장치 간 유동적인 전력 인가를 지원하는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system that includes a plurality of power devices and supports flexible power application between the power devices.

다만,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는, 식생토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내장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 내 식생토를 분산 수용하는 복수의 통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노즐과, 상기 복수의 노즐 각각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식생토를 외부로 토출하는 복수의 토출구와, 상기 복수의 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식생토에 송풍하는 프로펠러부를 포함하는 토출부; 및 소정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노즐 및 상기 프로펠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An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discharging vegetation s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ceiving unit embedding at least one material constituting vegetation soil; A plurality of nozzles providing a plurality of passages for distributing and accommodating the vegetation soil in the accommodating unit,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disposed at 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nozzles and discharging the vegetation soil to the outside, and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A discharge unit including a propeller unit for blowing air to the vegetation soil; and a processor that rotates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nozzles and the propeller unit by controlling a motor providing a predetermined rotational force.

이때, 상기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는, 상기 수용부의 내외부 환경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토출부로부터 상기 식생토가 배출되는 방향각을 나타내는 토출 방향각을 결정한다.At this time, the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sensor unit that obtains sensing data for an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of the accommodating unit, and the processor determines a direction in which the vegetation soil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ing unit based on the sensing data. Determine the discharge direction angle representing the angle.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토출 방향각을 기초로 상기 토출부의 방향각을 조정하는 각도 조정부를 제어한다.Also, the processor controls an angle adjustment unit that adjusts a direction angle of the discharge unit based on the determined discharge direction angle.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식생토를 내장하는 캡슐형 카트리지를 탈착 가능한 형태이다.In addition, the accommodating part has a detachable form of a capsule-type cartridge embedding the vegetation soil.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부를 제어하여, 지면의 경사각을 측정한 지표면 경사각 데이터, 상기 식생토가 포함하는 적외선 반사물질을 기초로 적외선 반사량을 측정한 적외선 반사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센싱 데이터로 획득한다.In addition, the processor controls the sensor unit to provide at least one of ground surface inclination data obtained by measur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ground and infrared reflective amount data obtained by measuring the infrared reflective amount based on the infrared reflective material included in the vegetation soil as the sensing data. Acquire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표면 경사각 데이터 및 상기 적외선 반사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토출 방향각을 결정한다.Also, the processor determines the discharge direction angl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ground surface inclination angle data and the infrared reflectance data.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부를 제어하여, 상기 지면이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영역 각각에 대한 상기 적외선 반사량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적외선 반사량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지면 상의 식생토에 대한 밀집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밀집도를 기초로 상기 토출 방향각을 결정한다.In addition, the processor controls the sensor unit to obtain the infrared reflectance data for each of a plurality of sub-regions included in the ground, and determines the density of vegetation soil on the ground based on the obtained infrared reflectance data. and the discharge direction angle is determined based on the determined density.

또한, 상기 수용부는, 복수의 시드를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시드를 선택적으로 상기 식생토에 포함시키는 분류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accommodating unit further includes a classification unit for classifying a plurality of seeds and selectively including the classified seeds in the vegetation soil.

또한, 상기 분류부는, 상기 복수의 시드를 분류하는 제1 홀(hole)을 포함하는 정렬 플레이트와, 상기 정렬 플레이트의 제1 홀의 통과한 시드를 상기 식생토에 선택적으로 포함시키는 제2 홀을 포함하는 개폐 플레이트와, 상기 정렬 플레이트에 소정의 진동을 가하는 진동부와,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 중 적어도 하나의 홀의 직경을 조정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진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정렬 플레이트에 소정의 진동을 공급하고,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 중 적어도 하나의 홀의 직경을 조정한다.In addition, the classification unit includes an alignment plate including a first hole for classifying the plurality of seeds, and a second hole for selectively including seeds passing through the first hole of the alignment plate into the vegetation soil. an opening/closing plate that performs a predetermined vibration on the alignment plate; and an opening/closing unit that adjusts a diameter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hole and the second hole, wherein the processor controls the vibration unit to A predetermined vibration is supplied to the alignment plate, and a diameter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hole and the second hole is adjusted by controlling the opening/closing par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시스템은, 식생토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내장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내 식생토를 분산 수용하는 복수의 통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노즐과, 상기 복수의 노즐 각각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식생토를 외부로 토출하는 복수의 토출구와, 상기 복수의 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식생토에 송풍하는 프로펠러부를 포함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시드 스프레이; 및 소정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노즐 및 상기 프로펠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드론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assages for accommodating at least one material constituting the vegetation soil, and a plurality of passages for distributing and accommodating the vegetation soil in the accommodation unit. Seed spray including a nozzle, a discharge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disposed at 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nozzles and discharging the vegetation soil to the outside, and a propeller unit for blowing the vegetation soil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and a processor that rotates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nozzles and the propeller unit by controlling a motor providing a predetermined rotational for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은, 식생토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탑재하고, 상기 탑재된 재료를 드론에 기초하여 배합해 상기 식생토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식생토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재료 별 배합량을 일일이 계량하여 투입해야 하는 어려움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e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system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getation soil is generated by loading at least one material constituting the vegetation soil and mixing the loaded material based on the drone. By doing so,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the difficulty of individually weighing and inputting the mixing amount of each material required to manufacture the vegetation soi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은, 장치 내 식생토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배출구를 가짐으로써, 상기 식생토의 배출 범위를 복수의 배출구가 허용하는 더 넓은 범위로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plurality of outlets for discharging the vegetation soil in the device to the outside, so that the discharge range of the vegetation soil is covered by a plurality of outlet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xpanded to a wider range that is allow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은, 장치 외부로 토출된 식생토를 분산하기 위해 추진력을 제공할만한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식생토를 지면 상에 보다 광범위하게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configuration capable of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disperse the vegetation soil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thereby distributing the vegetation soil on the ground. It has the effect of being more widely distribu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은, 드론의 주변 환경을 센싱하고 상기 센싱된 주변 환경에 따른 최적의 비율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배합하여 상기 식생토를 생성함으로써, 식생토 살포 환경 상에서 상기 식생토 내 시드(seed)의 식생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system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drone and mixes the at least one material in an optimal ratio according to the sensed surrounding environment. By generating the vegetation soil, there is an effect of cre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the vegetation of the seed in the vegetation soil can be more smoothly performed on the vegetation soil spraying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은, 복수의 전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장치 간 유동적인 전력 인가를 지원함으로써, 일 전원 장치의 전력이 과도하게 부족해지는 등과 같은 비상상황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plurality of power devices and support flexible power application between the power devices, so that the power of one power device is excessiv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asily cope with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shortag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은, 테더 드론을 이용하여 식생토를 구성하는 재료 별 배합량을 자체적/자동적으로 설정하여, 상기 재료 별 수동 계량을 일일이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등 식생토 배합 시 작업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pensing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f/automatically set the mixing amount for each material constituting the vegetation soil using a tether drone to manually measure each material.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workers when mixing vegetation soil, such as not having to do it individual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은, 서로 다른 직경의 시드를 하나의 수용부에 투입하더라도 원하는 크기 및/또는 종류의 시드만을 포함하는 식생토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조성하고자 하는 식생 환경에 적합한 시드만을 편리하게 선별하여 상기 식생토에 배합해 살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vegetation soil containing only seeds of a desired size and/or type even when seeds of different diameters are put into one receiving part. Since it can be manufactured, there is an effect of conveniently selecting only seeds suitable for the vegetation environment to be created and mixing them with the vegetation soil and spraying them.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은, 식생토를 토출하고자 하는 영역이 급경사를 가지는 등의 위험한 지형이더라도 테더 드론을 이용하여 안전한 식생토 살포 작업을 수행하게 하여, 식생토 토출 작업 시 작업자의 위험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on and discharge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afely spray vegetation soil using a tether drone even if the area to discharge vegetation soil has a dangerous terrain such as a steep slope. By doing this,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risk burden of workers during the discharge of vegetation soi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은, 테더 드론의 주변 지형 및/또는 기후 상태 등과 같은 주변 환경 조건에 따라서 상기 식생토를 구성하는 재료 별 배합량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식생토 내 시드가 해당 환경 상에서 보다 원활하게 자라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xing amount of each material constituting the vegetation soil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the surrounding terrain and/or climate conditions of the tether drone. By adjusting, there is an effect of allowing the seeds in the vegetation soil to grow more smoothly in the corresponding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은, 지표면 상에 살포된 식생토의 밀집도를 파악하여 밀집 편차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식생토가 상기 지표면 상에 고르게 분사되어 식생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density of vegetation soil spread on the ground surface and reduces the density deviation, so that the vegetation soil is evenly sprayed on the ground surface. It has the effect of creating veget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은, 테더 드론의 주변의 지표면의 경사각에 따라서 상기 식생토를 배출하는 토출 방향각을 조정함으로써, 어떠한 경사각을 가진 지표면일지라도 해당 지표면에 시드를 안정적이고 균일하게 분사하여 황폐화된 산림 및 비탈지 등의 미관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discharge direction angle for discharging the vegetation soil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ground surface around the tether drone, so that any inclination angle Even if it is the ground surface,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aesthetics of devastated forests and slopes by spraying seeds stably and uniformly on the surfa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은, 지상의 전원공급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지속적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테더 드론(Tethered drone)을 이용 가능함으로써, 광범위한 영역 상에 식생토를 토출하고자 할 시, 내부 배터리 용량의 한계에 따른 제약없이 오랜 시간동안 식생토를 살포 가능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its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 the use of a tethered drone that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device on the ground and continuously supplied with power, so that it can be used in a wide range of areas. When trying to discharge vegetation soil on the bed, it is possible to spray vegetation soil for a long time without restrictions due to the limit of internal battery capacity,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However,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에서 지상 스테이션 및 테더 드론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드 스프레이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드 스프레이 단면도의 일례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류부 단면도의 일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렬 플레이트 단면도의 일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류부에서 시드를 분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리케인 분사부를 나타내는 모습의 일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이 지표면 경사각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이 적외선 반사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반사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적외선 반사물질이 분사된 지표면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모습의 일례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이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토출부의 토출 방향각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ground station and a tether drone in a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seed sp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examples of seed spray cross-sectional view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ample of a cross-sectional view of a classific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ample of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lignment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ample of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lassifying a seed in a classific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ample of a state showing a hurricane spr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on and discharg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ample of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a drone to measure an inclination angle of a ground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ample of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measuring an infrared reflection amount by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n example of an enlarged view of a land surface area where an infrared reflective material is sprayed to explain a method of measuring an amount of infrared refl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ample of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charge direction angle of a discharge unit based on sensing data by a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later in detail together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without limiting meaning. Also, 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 that features or ele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and do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elements may be added.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size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or example,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illustrated ba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의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이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시스템)은, 무선 드론(Drone) 및/또는 테더 드론(Tethered Drone)을 이용하여 식생토를 생성하고 토출하는식생토 생성 및 토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wireless drones and/or tethered drones. ) can be used to provide vegetation soil generation and discharge services that generate and discharge vegetation soil.

자세히,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에서 드론(200)은, 드론 내부의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무선으로 동작하는 도 1의 (a)와 같은 무선 드론 및/또는 이동가능한 박스(box) 형태로 구현되어 지면 상에 배치되는 전원공급장치인 지상 스테이션(100)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 도 1의 (b)와 같은 테더 드론(Tethered-drone)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선 드론에 기준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detail, in the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on and discharge device and system thereof, the drone 200 is a wireless drone and/or mobile drone as shown in (a) of FIG. I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box as much as possible and implemented as a tethered-drone as shown in (b) of FIG. ca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is based on wireless dron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시스템은, 지상 스테이션(100: Terrestrial station), 드론(200: Drone) 및/또는 시드 스프레이(300: Seed spray)를 포함할 수 있다.The vegetation soil generation and discharge system may include a terrestrial station (100), a drone (200), and/or a seed spray (300).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드 스프레이(300)란, 복수의 재료를 포함하는 상기 식생토를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시드 스프레이(300) 내부에 수용된 식생토를 혼합하여 상기 시드 스프레이(300) 외부로 토출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조물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eed spray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ommodate the vegetation soil containing a plurality of materials, and the seed spray 300 is mixed with the vegetation soil accommodated in the seed spray 300. ) may be a structure made of a shape capable of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시드 스프레이(300)는, 상기 드론(200)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로서 구현되어 상기 드론(200)에 탈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드론(200)에 포함되어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시드 스프레이(300)에 기준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seed spray 300 may be included in the drone 200 or implemented as a separate device to be detachable from the drone 20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is based on the seed spray 300 included in the drone 200 and implemented integrally, but is not limited thereto.

여기서,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지상 스테이션(100), 드론(200) 및 시드 스프레이(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Here, the ground station 100, the drone 200, and the seed spray 300 for providing vegetation soil generation and discharge services may b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이때,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지상 스테이션(100), 드론(200) 및/또는 시드 스프레이(300) 등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At this time, the network means a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nodes such as the ground station 100, drone 200, and/or seed spray 300, and an example of such a network is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network, LTE (Long Term Evolution) network,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network,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Bluetooth (Bluetooth) network,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alog broadcasting network,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 etc. are includ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토란, 소정의 영역(실시예에서, 경사지 등)에 대한 식생 구현을 목적으로 생성된 혼합물로서, 실시예에서 식생용 시드(seed), 토양, 미생물 및/또는 물 등이 혼합된 물질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vegetation tar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ixture produced for the purpose of implementing vegetation on a predetermined area (in an embodiment, a slope, etc.), in an embodiment, a seed for vegetation, soil, microorganisms and / Alternatively, it may be a mixture of water and the lik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시스템을 구현하는 지상 스테이션, 드론 및 시드 스프레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ground station, a drone, and a seed spray implementing a system for generating and discharging veget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 지상 스테이션(100: Terrestrial station) - Terrestrial station (100: Terrestrial station)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드론(200)이 테더 드론으로 구현되는 경우에 한하여,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시스템은 지상 스테이션(100)을 포함할 수 있다.First, only when the drone 200 is implemented as a tethered dr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getation soil generation and discharge system may include the ground station 100.

상기 지상 스테이션(100)은, 드론(200)을 조종하는 조종사의 입력 또는 기설정된 드론 제어 프로세스(process)에 따라서 드론(200)을 제어할 수 있다. The ground station 100 may control the drone 200 according to a pilot's input or a preset drone control process.

자세히, 지상 스테이션(100)은, 조종사의 입력 또는 기설정된 드론 제어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지상 스테이션(100)과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는 드론(200)의 비행 및/또는 촬영 등을 컨트롤할 수 있다. In detail, the ground station 100 may control flight and/or shooting of the drone 200 connected to the ground station 100 by a cable based on a pilot's input or a preset drone control process.

또한, 지상 스테이션(100)은, 드론(200)에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무제한 비행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지상 스테이션(100)은, 드론(200)에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유선 통신하여, 조종관련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드론(200)에서 센싱된 정보 및 촬영된 영상 등을 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round station 100 may support unlimited flight by supplying power through a cable connected to the drone 200 . In addition, the ground station 100 may perform wired communication through a cable connected to the drone 200 to transmit and receive control-related signals or to receive information sensed by the drone 200 and a captured image.

이러한 지상 스테이션(100)은, 이동이 용이한 박스 형상으로 외관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내외부에 지상 스테이션(100)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구성요소를 구비할 수 있다. The ground station 100 may be formed in a box shape that is easy to move, and may include various components necessary for driving the ground station 100 inside and outside.

또한, 지상 스테이션(100)은, 이러한 박스를 개폐할 수 있는 캡(cap)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round station 100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cap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box.

이때, 지상 스테이션(100)이 포함하는 각 구성요소는, 박스 내에 수납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되어 지상 스테이션(100) 내부에 보관될 수 있고, 지상 스테이션(100)의 사용시 지상 스테이션(100) 기반의 드론(200) 서비스를 제공하기 적합한 형태로 재배치되어 동작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ground station 100 can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can be accommodated in a box and stored inside the ground station 100, and when the ground station 100 is used, the ground station 100 base It can be rearranged and operated in a form suitable for providing the drone 200 service of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에서 지상 스테이션 및 드론의 내부 블록도이다.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ground station and a drone in a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지상 스테이션(100)은, 전원 공급부(110), 장력 제어부(120), 모니터링부(130), 지상 통신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ground station 100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110 , a tension control unit 120 , a monitoring unit 130 , a ground communication unit 140 and a control unit 150 .

먼저, 전원 공급부(110)는, 제어부(150)의 컨트롤에 의하여 외부의 전원 및/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에게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First, the power supply unit 110 may receive external power and/or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50 to supply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to each component.

자세히, 실시예에서 전원 공급부(110)는, 전원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In detail, in the embodiment, the power supply unit 110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 power supply unit.

상기 전원 공급부(110)의 전원부는, AC-DC 컨버터 및 전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power supply unit 110 may include an AC-DC converter and a power module.

여기서, AC-DC 컨버터는, 외부 및/또는 내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교류(AC) 전력인 경우, 교류(AC) 전력을 직류(DC) 전력으로 변환하여 케이블을 통해 드론(200) 및/또는 시드 스프레이(300)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교류(AC) 전력보다 고전압인 직류(DC) 전력으로 전원을 송신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Here, the AC-DC converter, when the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or the inside is alternating current (AC) power, converts the alternating current (AC) power into direct current (DC) power so that the drone 200 and/or the drone 200 and/or It may be configured to be supplied as a seed spray 300. This is because it is more efficient to transmit power with direct current (DC) power, which is a higher voltage than alternating current (AC) power.

이때, 변환된 직류(DC) 전력을 획득한 드론(200)의 전원유닛 및/또는 시드 스프레이(300)의 배터리는, 수급된 직류(DC)를 동체에 탑재체들이 사용할 수 있는 전압 수준으로 변환하도록 DC/DC 컨버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ower unit of the drone 200 and/or the battery of the seed spray 300 that has obtained the converted direct current (DC) power converts the supplied direct current (DC) into a voltage level that can be used by payloads in the fuselage. A DC/DC converter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전력모듈은, 전압계나 전류계 등의 전력계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력모듈을 포함하는 지상 스테이션(100)의 제어부(150)는, 일정 시간마다 상기 전력계에서 측정되는 전압, 전류 또는 전력을 수신 받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wer module may include a power meter such as a voltmeter or an ammeter, and the controller 150 of the ground station 100 including such a power module receives voltage, current, or power measured by the power meter at regular intervals. can receive

여기서, 지상 스테이션(100)의 제어부(150) 상에는 전원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기준 데이터가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해당 기준 데이터가 기설정된 제어부(150)는, 상기 DC/DC 컨버터를 거친 이후에 측정되는 전압을 기반으로 케이블을 통한 전원 공급부(110)로부터의 전원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Here, reference data for adjusting the supply amount of power may be preset on the controller 150 of the ground station 100, and the controller 150 preset with the reference data may, after passing through the DC/DC converter,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0 through the cable may be adjusted based on the voltage measured on the .

실시예에서, 제어부(150)는, 상기 기설정된 기준 데이터에 기반한 범위의 전압보다 높거나 낮은 경우 및/또는 케이블로부터 공급되는 전류 및 전력이 기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내부 기기의 파손, 케이블의 단선이나 누전, 드론(200) 및/또는 시드 스프레이(300) 시스템의 오작동 등이라 판별하고 연결된 케이블을 통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전원 공급량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50, when the voltage is higher or lower than the range based o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data and / or when the current and power supplied from the cable is out of the electrical range, damage to the internal device, disconnection of the cable A power supply control signal may be generated to block the power supply through the connected cable after determining that it is a malfunction of the drone 200 and/or the seed spray 300 system.

한편, 실시예에서 제어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200)이 무선 드론으로 구현되는 경우, 전원 공급부(110)를 이용하여 외부의 전원 및/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무선 드론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무선으로 공급하는 무선 충전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when the dron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 wireless drone, the controller 150 receives external power and/or internal power using the power supply 110 A wireless charging process for wirelessly supplying pow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drone may be provided.

다음으로, 장력 제어부(120)는, 상기 드론(200) 및/또는 시드 스프레이(300)와 지상 스테이션(100)을 연결하는 케이블에 인가되는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드론(200)의 안정적 비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Next, the tension control unit 120 may adjust the length of the cable so that the tension applied to the cable connecting the drone 200 and/or the seed spray 300 and the ground station 100 is maintained constant, Through this, stable flight of the drone 200 may be enabled.

또한, 장력 제어부(120)는, 드론(200)의 수평 또는/및 수직 이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케이블을 권취하거나 권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nsion controller 120 may wind or unwind the cable to support horizontal or/and vertical movement of the drone 200.

이때, 케이블은, 일단이 드론(200)의 전원유닛 및/또는 시드 스프레이(300)의 배터리에 연결되고 타단이 지상 스테이션(100)의 지상 통신부(140)에 연결되어, 드론(200) 및/또는 시드 스프레이(300)에 지상 스테이션(100)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able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power unit of the drone 200 and/or the battery of the seed spray 30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ground communication unit 140 of the ground station 100, so that the drone 200 and/or Alternatively, power output from the ground station 100 may be supplied to the seed spray 300 .

자세히, 실시예에서 케이블은, 드론(200)의 전원유닛 및/또는 시드 스프레이(300)의 배터리에 각각 연결될 수 있으므로 일단이 Y형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혹은, 복수의 케이블로 드론(200)의 전원유닛 및/또는 시드 스프레이(300)의 배터리에 별개로 연결되는 등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케이블의 일단이 Y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드론(200)의 전원유닛 및 상기 시드 스프레이(300)의 배터리에 연결되는 실시예에 기준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detail, in the embodiment, since the cable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unit of the drone 200 and/or the battery of the seed spray 300, one end may be implemented in a Y-shaped shape. Alternatively, i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embodiments, such as being separately connected to the power unit of the drone 200 and/or the battery of the seed spray 300 with a plurality of cable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cable is formed in a Y shape and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 in which the power unit of the drone 200 and the battery of the seed spray 300 are connec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실시예에서 케이블은, 상기 드론(200) 및/또는 시드 스프레이(300) 중 어느 한 쪽의 전력이 부족한 경우, 전력이 충분한 쪽에서 전력이 부족한 쪽으로 전력을 인가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the cable may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power is applied from the side with sufficient power to the side with insufficient power when the power of either one of the drone 200 and/or the seed spray 300 is insufficien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실시예예서 케이블은, 장력 제어부(120)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길이가 단축 또는 연장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cable may be shortened or extended while being wound or unwound around the tension controller 120.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케이블이 소정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케이블을 권취하거나 권출하도록 장력 제어부(120)를 컨트롤할 수 있고, 이때, 케이블의 장력은 장력 제어부(120)의 장력 센서에서 측정된 값을 이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50 may control the tension control unit 120 to wind or unwind the cable so that the cable maintains a predetermined tension, and at this time, the tension of the cable is measured by the tension sensor of the tension control unit 120. value can be used.

상기 장력 센서는, 지상 스테이션(100)과 드론(200)을 연결하는 케이블의 장력을 센싱할 수 있다. The tension sensor may sense the tension of a cable connecting the ground station 100 and the drone 200.

즉, 장력 센서는, 지상 스테이션(100)의 외부로 권출되는 케이블의 장력을 감지하여, 제어부(150)가 외부 환경에 의한 케이블 장력 변화에 기반한 케이블 제어를 수행하게 보조할 수 있다. That is, the tension sensor may sense the tension of the cable unwound to the outside of the ground station 100 and assist the control unit 150 to control the cable based on the change in cable tension caus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따라서, 제어부(150)는, 장력 센서를 통해 획득된 장력에 기초하여 드론(200)이 특정 장애물에 접촉하여 엉킴이 발생하였는지, 케이블의 길이가 드론(200)의 비행을 지원하기에 적절한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Therefore,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whether the drone 200 is entangled due to contact with a specific obstacle, whether the length of the cable is appropriate to support the flight of the drone 200, etc., based on the tension obtained through the tension sensor. can judge

또한, 제어부(150)는, 장력 제어부(120)를 통하여 지상 스테이션(100)에서 권출된 케이블을 소정의 길이 이상으로 유지하는 최소 권취량 제한을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50 may set a minimum winding amount limit for maintaining the cable unwound from the ground station 100 to a predetermined length or more through the tension control unit 120 .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지상 스테이션(100)에서 권출된 케이블의 길이가 10미터 이상이 되도록 최대 권취량 제한을 설정함으로써, 드론(200)과 케이블의 충돌을 예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모니터링부(130)는, 디스플레이부 및 컨트롤러(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50 may prevent collision between the drone 200 and the cable by setting a limit on the maximum amount of winding so that the length of the cable unwound from the ground station 100 is 10 meters or more. Next, the monitoring unit 130 may include a display unit and a controller.

여기서, 디스플레이부는, 드론(200) 및 시드 스프레이(300)를 지원하는 지상 스테이션(100)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200)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그래픽 이미지로 출력할 수 있다. Here, the display unit can output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ground station 100 supporting the drone 200 and the seed spray 300 and the drone 200-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on and discharge service including the ground station 100 as a graphic image. there is.

실시예로, 디스플레이부는, 드론(200)이 촬영한 영상 화면 및/또는 드론(200)이 감지한 적외선 반사량과 관련된 영상 화면 등을 출력해 제공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the display unit may output and provide a video screen captured by the drone 200 and/or a video screen related to the amount of infrared reflection detected by the drone 200 .

이러한 디스플레이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uch a display unit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a flexible display. , a 3D display, and an e-ink display.

또한, 컨트롤러는, 드론(200)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서비스를 지원하는 지상 스테이션(100)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200)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서비스와 관련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detect the ground station 100 supporting the drone 200-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on and discharge service and a user's input related to the drone 200-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on and discharge service including the same. there is.

실시예로, 컨트롤러는, 드론(200)의 비행 방향 및/또는 속도를 조종하는 입력, 드론(200)의 촬영을 제어하는 입력 및 드론(200)이 시드 스프레이(300)의 전력 상황을 제어하는 입력 등을 감지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includes an input for controlling the flight direction and/or speed of the drone 200, an input for controlling shooting of the drone 200, and an input for controlling the power status of the seed spray 300 by the drone 200. input can be detected.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컨트롤러는,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Also, the display unit and the controller may be combined and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더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컨트롤러는, 실시예에 따라서 지상 스테이션(100)에 포함되거나 또는 별도의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and the controller may be included in the ground station 100 or implemented as separate devices according to embodiments.

다음으로, 지상 통신부(140)는, 드론(200)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서비스를 지원하는 지상 스테이션(100)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200)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 및/또는 정보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Next, the ground communication unit 140 is configured to provide the ground station 100 supporting the drone 200-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on and discharge service and the drone 200-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on and discharge service including the same. Various types of data and/or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자세히, 지상 통신부(140)는, 유선 통신부(141) 및 무선 통신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the land communication unit 140 may include a wired communication unit 141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 .

이때, 유선 통신부(14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200)이 테더 드론인 경우, 드론(200) 및 시드 스프레이(300)와 지상 스테이션(100)을 연결하는 케이블을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케이블에 기반한 데이터, 정보 및/또는 전원 등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dron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thered drone,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141 is implemented based on a cable connecting the drone 200, the seed spray 300, and the ground station 100. and transmit/receive data, information, and/or power based on the cable.

실시예로, 유선 통신부(141)는, 드론(200) 인터페이스부의 유선 통신유닛 및 시드 스프레이(300) 유선 데이터 송수신부(361)와 통신하여 지상 스테이션(100)의 전원 공급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드론(200)의 전원유닛 및 시드 스프레이(300)의 배터리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4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200)이 무선 드론인 경우,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드론(200), 시드 스프레이(300), 기지국, 외부의 단말, 임의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141 communicates with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of the interface unit of the drone 200 and the wired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361 of the seed spray 300 to output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0 of the ground station 100. Power may be transmitted to the power unit of the drone 200 and the battery of the seed spray 300.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 when the dron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drone, technical standards or communication methods for mobile communication (eg,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Mobile built according to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etc.) Wireless signals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at least one of the drone 200, the seed spray 300,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n arbitrary server on a communication network.

실시예로, 무선 통신부(142)는, 드론(200) 인터페이스부의 무선 통신유닛 및 시드 스프레이(300)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와 통신하여 드론(200)의 비행을 컨트롤하는 비행제어 신호, 드론(200)의 촬영을 컨트롤하는 촬영제어 신호 및 시드 스프레이(300)의 전력을 컨트롤하는 전력제어 신호 등을 송신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 communicates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interface unit of the drone 200 and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of the seed spray 300 to control the flight of the drone 200, a flight control signal, and the drone 200. )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shooting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shooting and a power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seed spray 300.

마지막으로, 제어부(150)는, 드론(200)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서비스를 지원하는 지상 스테이션(100)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200)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술한 각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Lastly, the control unit 150, in order to provide the ground station 100 supporting the drone 200-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on and discharge service and the drone 200-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on and discharge service including the ground station 100, You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component.

실시예에서, 제어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200)이 테더 드론인 경우, 현재 케이블 장력 및/또는 드론(200)의 비행고도에 따라서 케이블을 제어하여 지상 스테이션(100) 및 시드 스프레이(300)와 드론(200)을 연결하는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드론(200)의 높이에 따른 케이블의 최소 권취량을 제어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when the dron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thered drone,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cable according to the current cable tension and/or the flight altitude of the drone 200 to control the ground station 100. ) and the tension of the cable connecting the seed spray 300 and the drone 200 can be adjusted. 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minimum winding amount of the cable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drone 200 .

또한, 제어부(150)는, 지상 스테이션(100)으로부터 드론(200) 및 시드 스프레이(300)로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드론(200)을 통해 감지된 지상 구조물과 비행고도를 기반으로, 드론(200)의 이동반경을 컨트롤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may adjust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from the ground station 100 to the drone 200 and the seed spray 300. 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movement radius of the drone 200 based on the ground structure and flight altitude detected by the drone 200 .

또한, 이러한 제어부(15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50 include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and controllers. ),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이상에서 기술된 지상 스테이션이 수행하는 기능 동작의 적어도 일부는 후술되는 드론 및/또는 시드 스프레이에서 수행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수 있다. Various embodiments may be possible, such as that at least some of the functional operations performed by the ground station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by a drone and/or a seed spray described later.

- 드론(200: Drone) - Drone (200: Dron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드론(200)은, 드론 내부의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무선으로 동작하는 무선 드론 및/또는 상기 지상 스테이션(100)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는 테더 드론으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one 200 is a wireless drone operating wirelessly by receiving power from a power supply inside the drone and/or a tether connected to the ground station 100 by wire and receiving power. Can be implemented with drones.

자세히, 이러한 드론(200)은, 무선 드론을 컨트롤할 수 있는 소정의 외부 기기 및/또는 테더 드론을 컨트롤할 수 있는 지상 스테이션(100)을 이용한 드론 조종사의 입력 또는 기설정된 드론 제어 프로세스에 의해 컨트롤되어 비행 및/또는 촬영 등을 수행할 수 있다.In detail, the drone 200 is controlled by a drone pilot's input using a predetermined external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a wireless drone and/or the ground station 100 capable of controlling a tethered drone or by a predetermined drone control process. and can perform flight and/or filming.

자세히, 도 2를 더 참조하면, 이러한 드론(200)은, 인터페이스부(210), 전원유닛(220), 구동부(230), 센서부(240), 카메라(250), 프로세서(260) 및 시드 스프레이 탈착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further referring to FIG. 2 , the drone 200 includes an interface unit 210, a power unit 220, a driving unit 230, a sensor unit 240, a camera 250, a processor 260, and a seed A spray detachable unit 270 may be included.

먼저, 인터페이스부(210)는, 드론(200)의 프로세서(260)와 드론(200)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서비스를 지원하는 지상 스테이션(100)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200)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주변기기들을 연결할 수 있다. First, the interface unit 210 includes the processor 260 of the drone 200 and the ground station 100 supporting vegetation soil generation and discharge services based on the drone 200 and vegetation based on the drone 200 including the same. Peripheral devices for realizing the discharge generation and discharge service may be connected.

자세히,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부(210)는, 유선 통신유닛(211)과 무선 통신유닛(212)을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in the embodiment, the interface unit 210 may include a wired communication unit 211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2.

여기서, 유선 통신유닛(2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200)이 테더 드론인 경우, 드론(200)과 지상 스테이션(100)을 연결하는 케이블을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케이블에 기반한 데이터, 정보 및/또는 전원 등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Here, when the dron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thered drone,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211 may be implemented based on a cable connecting the drone 200 and the ground station 100, and the cable It is possible to perform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information, and/or power based on .

실시예에서, 유선 통신유닛(211)는, 지상 스테이션(100) 지상 통신부(140)의 유선 통신부(141) 및/또는 시드 스프레이(300)의 유선 데이터 송수신부(361)와 통신하여 지상 스테이션(100)의 전원공급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전원유닛(220) 및/또는 시드 스프레이의 배터리(350)로 수신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211 communicates with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141 of the ground communication unit 140 of the ground station 100 and/or the wired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361 of the seed spray 300 to communicate with the ground station ( Power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0 of 100 may be received by the power unit 220 and/or the battery 350 of the seed spray.

또한, 무선 통신유닛(21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200)이 무선 드론인 경우,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지상 스테이션(100), 시드 스프레이(300), 기지국, 외부의 단말, 임의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유닛(212)은, 블루투스(Bluetooth)나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2, when the dron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drone, technical standards or communication methods for mobile communication (eg,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 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LTE-A (Long Term Evolution-Advanced), etc.) A radio signal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at least one of the ground station 100, the seed spray 300,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n arbitrary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2 may include a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Bluetooth or Wi-Fi.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유닛(212)은, 지상 스테이션(100) 지상 통신부(140)의 무선 통신부(142), 시드 스프레이(200)의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362) 및/또는 무선 드론을 컨트롤할 수 있는 소정의 외부 기기 등과 통신하여 드론(200)의 비행을 컨트롤하는 비행제어 신호, 드론(200)의 촬영을 컨트롤하는 촬영제어 신호 및 시드 스프레이(300)의 전력을 컨트롤하는 전력제어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2 may contr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42 of the ground communication unit 140 of the ground station 100, the wireless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362 of the seed spray 200, and/or the wireless drone. A flight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flight of the drone 200 by communicating with a predetermined external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shooting of the drone 200, a shooting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shooting of the drone 200, and a power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seed spray 300, etc. can receive

또한, 이러한 인터페이스부(210)는,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rface unit 210 includes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connecting a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 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n input/output (/O) port, a video input/output (I/O) port, and an earphone port.

다음으로, 전원유닛(220)은, 프로세서(260)의 컨트롤에 의하여 외부의 전원 및/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에게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Next, the power unit 220 receives external power and/or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260 to supply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to each component.

실시예로, 전원유닛(220)은, 시드 스프레이(300)의 전력이 부족한 경우 공급받은 전원을 시드 스프레이(300)의 배터리로 인가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power unit 220 may apply the supplied power to the battery of the seed spray 300 when the power of the seed spray 300 is insufficient.

예를 들어, 전원유닛(220)은, 전원저장부, 연결포트, 전원공급 제어부(150) 및 충전 모니터링부(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ower unit 220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a power storage unit, a connection port, a power supply control unit 150, and a charge monitoring unit 130.

또한, 전원유닛(220)은, 지상 스테이션(100)으로부터 수급된 전원을 동체에 탑재체들이 사용할 수 있는 전압 수준으로 변환할 수 있는 DC/DC 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wer unit 220 may further include a DC/DC converter capable of converting power supplied from the ground station 100 into a voltage level usable by payloads on the body.

다음으로, 구동부(230)는, 드론(200)의 추진력을 확보하는 프로펠러(propeller)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구동부(230)는, 복수의 프로펠러를 구동하는 복수의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260)의 컨트롤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Next, the drive unit 230 may be implemented as a drive motor that drives a propeller that secures propulsion of the drone 200 . At this time, the driving unit 2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riving motors that drive a plurality of propellers, and may operate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260 .

여기서, 구동부(230)는, 일반적으로 25V ~ 33V의 직류(DC) 전원을 사용하며, 드론(200)의 전원을 가장 많이 소모하는 에너지 싱크에 해당할 수 있다. Here, the driver 230 generally uses a direct current (DC) power of 25V to 33V, and may correspond to an energy sink that consumes the most power of the drone 200.

다음으로, 센서부(240)는,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 및/또는 정보 등을 센서를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Next, the sensor unit 240 may acquire various data and/or information related to vegetation soil generation and discharge service through a sensor.

실시예에서, 센서부(2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기반으로 드론(200)의 주변환경에 대한 각종 데이터(예컨대, 드론(200)과 지상 구조물 간의 거리 데이터, 드론(200)의 위치 데이터, 드론(200)의 속도 데이터 등)를 센싱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sensor unit 240, based on at least one sensor, various data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drone 200 (eg, distance data between the drone 200 and ground structures, location data of the drone 200) , speed data of the drone 200, etc.) may be sensed.

또한, 실시예에서 센서부(2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기초로 드론(200) 주변의 적외선 반사물질에 기반하여 획득되는 적외선 반사량 데이터, 드론(200) 주변 지면에 대한 지표면 경사각 데이터,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온도 데이터 및/또는 습도 데이터 등을 센싱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the sensor unit 240 includes infrared reflection amount data obtained based on infrared reflective materials around the drone 200 based on at least one sensor, ground surface inclination angle data with respect to the ground around the drone 200, vegetation Various temperature data and/or humidity data related to soil generation and discharge service may be sensed.

자세히, 실시예에서 센서부(240)는, 거리센서, 위치센서, 자이로센서, 가속센서, 적외선 센서, 온도 센서 및 습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in an embodiment, the sensor unit 24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istance sensor, a position sensor, a gyro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 infrared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nd a humidity sensor.

구체적으로, 상기 거리센서는, 근접센서 및/또는 레이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distance sensor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and/or a laser sensor.

이때, 실시예에서 상기 거리센서는, 드론(200) 주변 지면에 대한 지표면 경사각 데이터를 센싱하는 지표면 경사각 측정센서를 구현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the distance sensor may implement a ground surface inclination angle measuring sensor that senses ground surface inclination angle data with respect to the ground around the drone 200 .

자세히, 상기 지표면 경사각 측정센서는, 소정의 각도를 가질 수 있는 지표면의 경사각을 측정하여 상기 지표면 경사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In detail, the ground surface inclination angle measuring sensor may obtain the ground surface inclination angle data by measuring an inclination angle of the ground surface, which may have a predetermined angle.

이때, 실시예에 따른 드론(200)의 프로세서(260)는, 위와 같이 획득되는 지표면 경사각 데이터를 토대로 시드 스프레이(300)의 토출부(340)의 토출 방향각이 조정되거나 및/또는 시드 스프레이(300)에서 배합되는 식생토의 배합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At this time, the processor 260 of the dron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djusts the discharge direction angle of the discharge unit 340 of the seed spray 300 based on the ground surface inclination angle data obtained as above and / or the seed spray ( 300), it is possible to set the mixing ratio of vegetation soil.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적외선 센서는, 드론(200) 주변에 대한 소정의 센싱 영역 상의 소정의 적외선 반사물질을 기반으로 적외선 반사량을 측정할 수 있다. Also, in an embodiment, the infrared sensor may measure an infrared reflection amount based on a predetermined infrared reflective material on a predetermined sensing area around the drone 200 .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적외선 반사물질이란, 상기 적외선 반사물질로 입사된 적외선을 그대로 반사시키는 성질을 가지는 소정의 물질일 수 있다. Here, the infrared reflective materi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a predetermined material having a property of reflecting infrared rays incident to the infrared reflective material as it is.

자세히, 실시예에서 상기 적외선 센서는, 상기 드론(200) 주변의 소정의 센싱 영역으로 소정의 적외선을 발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외선 센서는, 상기 센싱 영역 상에 존재하는 소정의 적외선 반사물질이 상기 발사된 적외선을 반사시킴으로서 획득되는 적외선 반사량을 측정할 수 있다. In detail, in the embodiment, the infrared sensor may emit predetermined infrared rays to a predetermined sensing area around the drone 200 . In this case, the infrared sensor may measure an infrared reflection amount obtained by reflecting the emitted infrared rays by a predetermined infrared reflecting material present on the sensing area.

그리하여 상기 적외선 센서는, 상기 측정된 적외선 반사량에 기초한 적외선 반사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Thus, the infrared sensor may obtain infrared reflectance data based on the measured infrared reflectance.

이때, 실시예에 따른 드론(200)의 프로세서(260)는, 위와 같이 획득된 적외선 반사량 데이터를 기초로 시드 스프레이(300)의 토출부(340)의 토출 방향각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At this time, the processor 260 of the dron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adjust the discharge direction angle of the discharge unit 340 of the seed spray 300 based on the infrared reflection amount data obtained as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온도 센서는, 내부 환경의 온도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1 온도 센서 및 시드 스프레이(300)의 수용부(310) 외부의 온도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2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the temperature sensor may include a first temperature sensor that obtains temperature data of the internal environment and a second temperature sensor that obtains temperature data of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on part 310 of the seed spray 300. .

이때,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온도 센서는, 상기 시드 스프레이가 포함하는 복수의 수용부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각 수용부 내부의 온도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는 소정의 위치 상에 배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may be disposed on a predetermined position capable of measuring temperature data inside each accommodating unit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accommodating units included in the seed spray.

예를 들면,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온도 센서는, 상기 각 수용부의 내측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 각 수용부 내부의 온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may be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each accommodating part to obtain temperature data of the inside of each accommodating part.

또한, 상기 제2 온도 센서는, 드론(200) 주변환경의 온도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라면 상기 테더 드론 상의 어디에도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may be disposed anywhere on the tethered drone as long as the temperature data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drone 200 can be measured.

또한, 실시예에서 드론(200)의 프로세서(260)는, 위와 같이 획득된 온도 데이터를 토대로 시드 스프레이(300)에서 배합되는 식생토의 배합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the processor 260 of the drone 200 may set the mixing ratio of vegetation soil mixed in the seed spray 300 based on the temperature data obtained as above.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습도 센서는, 내부 환경의 습도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1 습도 센서 및 시드 스프레이(300)의 수용부(310) 외부의 습도 데이터를 획득하는 제2 습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the humidity sensor may include a first humidity sensor that acquires humidity data of the internal environment and a second humidity sensor that acquires humidity data of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310 of the seed spray 300. .

이때,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습도 센서는, 상기 시드 스프레이(300)가 포함하는 복수의 수용부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각 수용부 내부의 습도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는 소정의 위치 상에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the first humidity sensor may be disposed on a predetermined position capable of measuring humidity data inside each accommodating unit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accommodating units included in the seed spray 300. there is.

예를 들면,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습도 센서는, 상기 각 수용부의 내측면 상에 설치되어 상기 각 수용부 내부의 습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the first humidity sensor may be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each accommodating unit to obtain humidity data inside each accommodating unit.

또한, 상기 제2 습도 센서는, 드론(200) 주변환경의 습도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라면 상기 테더 드론 상의 어디에도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humidity sensor may be disposed anywhere on the tethered drone as long as the humidity data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drone 200 can be measured.

또한, 실시예에서 드론(200)의 프로세서(260)는, 위와 같이 획득된 습도 데이터를 토대로 시드 스프레이(300)에서 배합되는 식생토의 배합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the processor 260 of the drone 200 may set the mixing ratio of the vegetation soil mixed in the seed spray 300 based on the humidity data obtained as above.

즉, 실시예에서 센서부는, 지표면 경사각 측정센서, 적외선 센서, 온도 센서 및/또는 습도 센서를 기초로 지표면 경사각 데이터, 적외선 반사량 데이터, 온도 데이터 및/또는 습도 데이터 등을 획득하여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테더 드론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드 스프레이를 기초로 배합되는 식생토의 배합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embodiment, the sensor unit obtains and provides ground surface inclination angle data, infrared ray reflectance data, temperature data, and/or humidity data based on a ground surface inclination measuring sensor, an infrared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nd/or a humidity sensor, Through this, the processor of the tether drone may set the mixing ratio of vegetation soil mixed based on the seed spray using at least one or more data provided above.

다음으로, 카메라(250)는, 드론(200)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서비스를 지원하는 지상 스테이션(100)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200)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서비스와 관련된 촬영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Next, the camera 250 captures images related to the ground station 100 supporting the drone 200-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on and discharge service and the drone 200-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on and discharge service including the same. can be obtained

자세히, 카메라(250)는, 드론(200)의 일측에 배치되어 배치된 방향측에 기준한 주변환경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250)는, 촬영한 영상에 적외선 필터를 입힌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In detail, the camera 25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rone 200 and photograp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disposed. In addition, the camera 2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btain an image obtained by applying an infrared filter to a photographed image.

또한, 이와 같은 카메라(250)는, 이미지 센서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such a camera 250 may include an image sensor and an image processing module.

자세히, 카메라(250)는,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MOS 또는 CCD)를 통해 정지영상 및/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촬영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촬영 영상을 영상 처리 모듈을 기반으로 처리할 수 있다. In detail, the camera 250 may acquire a captured image including a still image and/or moving image through an image sensor (eg, CMOS or CCD), and process the acquired image based on an image processing module. can do.

예를 들어, 카메라(250)는, 영상 처리 모듈을 이용하여 이미지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해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프로세서(260)에 전달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amera 250 may process a still image or video obtained through an image sensor using an image processing module to extract necessary information, and transmit the extracted information to the processor 260 .

이때, 드론(200)의 프로세서(260)는, 카메라(250)를 통해 획득된 촬영 영상을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하여 지상 스테이션(100)을 포함한 외부 기기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rocessor 260 of the drone 200 may provide the captured image obtained through the camera 250 to external devices including the ground station 100 through the interface unit 210 .

다음으로, 프로세서(260)는, 전술한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하고 구동할 수 있다. Next, the processor 260 may control and drive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unit described above.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60)는, 상기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구동함으로써 드론(200)과 지상 스테이션(100) 및 시드 스프레이(300) 간의 연동을 가능하게 하며, 이를 통해 원활한 드론(200)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서비스가 제공되게 할 수 있다. In detail, in the embodiment, the processor 260 enables interworking between the drone 200, the ground station 100, and the seed spray 300 by controlling and driving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unit, and through this, the drone ( 200) based vegetation soil creation and discharge service can be provided.

이러한 프로세서(26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These processors 260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controllers,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다음으로, 시드 스프레이 탈착부(270)는, 실시예에 따라서 시드 스프레이(300)가 별도의 장치로 구현된 경우 상기 시드 스프레이(300)가 드론(200)에 결합 또는 분리되게 할 수 있다. Next, when the seed spray 300 is implemented as a separat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eed spray detachable unit 270 may allow the seed spray 300 to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drone 200.

자세히, 시드 스프레이 탈착부(270)는, 시드 스프레이(300)를 드론(200)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 및/또는 상기 드론(200)과 상기 시드 스프레이(300)의 각 구성요소 간 상호작용을 구현할 수 있는 연결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the seed spray detachable unit 270 is a fixing unit capable of fixing the seed spray 300 to the drone 200 and/or an interaction between the drone 200 and each component of the seed spray 300. It may include a connection unit that can implement.

실시예에서, 시드 스프레이 탈착부(270)는, 시드 스프레이(300)를 드론(200)에 고정시켜 결합한 경우, 상기 드론의 프로세서(260)가 상기 시드 스프레이(3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the seed spray detachable unit 270, when the seed spray 300 is fixed to and coupled to the drone 200, the processor 260 of the drone controls each component of the seed spray 300. interfaces can be provided.

또한, 시드 스프레이 탈착부(270)는, 시드 스프레이(300)를 드론(200)에 고정시켜 결합하면 상기 드론의 전원유닛(220)과 시드 스프레이의 배터리(350) 간 전력을 주고받을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호 간 전원 공급/인가 동작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ed spray detachable unit 270 is an interface capable of exchanging power between the power unit 220 of the drone and the battery 350 of the seed spray when the seed spray 300 is fixed and coupled to the drone 200. It is possible to provide, through which mutual power supply / application operation can be made possible.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드론(200)이 테더 드론인 경우에, 상기 드론(200)과 상기 시드 스프레이(300)를 연결하는 소정의 케이블을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drone 200 is a tethered drone, the interface may be implemented based on a predetermined cable connecting the drone 200 and the seed spray 300.

- 시드 스프레이(300: Seed spray) - Seed spray (300: Seed spray)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에서 시드 스프레이(300)의 내부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드 스프레이 단면도의 일례들이다.3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seed spray 300 in a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xample of a seed spray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시드 스프레이(300)는, 수용부(310), 가압부(320), 배합부(330), 토출부(340), 배터리(350), 데이터 송수신부(360) 및 서브프로세서(370)를 포함할 수 있다.3 and 4,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ed spray 300 includes a receiving part 310, a pressing part 320, a mixing part 330, a discharge part 340, and a battery 350 , a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360 and a subprocessor 370 may be included.

먼저, 수용부(310)는, 식생토 생성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료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First, the accommodating unit 310 may contain therein at least one material required for generating vegetation soil.

실시예에서, 이러한 수용부(310)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료를 수용하는 소정의 캡슐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accommodating portion 310 may be implemented in a predetermined capsule shape accommodating the at least one or more materials.

또한, 실시예로 수용부(310)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료를 한 곳에 모두 수용할 수 있는 단수의 수용부일 수 있다. Also, in an embodiment, the accommodating part 310 may be a single accommodating part capable of accommodating all of the at least one or more materials in one place.

이때, 상기 단수의 수용부인 경우, 수용부(310)는 카트리지 형식으로 교체가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singular accommodating unit, the accommodating unit 310 may have a replaceable structure in the form of a cartridge.

예컨대, 상기 단수의 수용부는, 상기 수용부(310) 내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캡슐형 카트리지를 기초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캡슐형 카트리지를 탈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ingle accommodating part may be formed based on a capsule-type cartridge forming an accommodating space in the accommodating part 310, and the capsule-type cartridge may be detachably implemented.

자세히, 상기 수용부(310)가 상기 단수의 수용부로 구현된 경우, 상기 단수의 수용부는 상기 단수의 수용부와 결합된 상태의 캡슐형 카트리지인 제1 캡슐형 카트리지를 포함하여 상기 수용부(310)가 수행하는 기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In detail, when the accommodating part 310 is implemented as the singular accommodating part, the singular accommodating part includes a first capsule-type cartridge that is a capsule-type cartridge in a state of being coupled with the singular accommodating part, and the accommodating part 310 ) can perform the function operation performed.

이때, 상기 단수의 수용부는, 상기 제1 캡슐형 카트리지 내 식생토가 소정의 기준 이상 소진된 경우, 상기 단수의 수용부와 분리된 상태로 존재하는 캡슐형 카트리지인 제2 캡슐형 카트리지와, 상기 제1 캡슐형 카트리지를 교체하여 상기 수용부(310)의 기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ingle accommodating part includes a second capsule-type cartridge, which is a capsule-type cartridge that exists 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singular accommodating part when the vegetation soil in the first capsule-type cartridge is exhausted beyond a predetermined standard; The functional operation of the accommodating part 310 may be performed by replacing the first capsule type cartridge.

이를 위해, 상기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작업자는 상기 제2 캡슐형 카트리지 내부에 상기 식생토 생성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료를 자율적인 비율에 기반하여 혼합한 식생토를 내장해놓을 수 있다. To this end, a worker who wants to use the vegetation soil generation and discharge service may embed vegetation soil in which at least one or more materials necessary for vegetation soil generation are mixed based on an autonomous ratio in the second capsule-type cartridge. there is.

또한, 작업자는, 상기 수용부(310)에 결합되어 있는 제1 캡슐형 카트리지 내 수용된 식생토가 소진된 경우, 상기 제1 캡슐형 카트리지와 상기 제2 캡슐형 카트리지를 간편하게 교체함으로써 작업을 재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vegetation soil accommodated in the first capsule-type cartridge coupled to the accommodating part 310 is exhausted, the operator can resume work by simply replacing the first capsule-type cartridge and the second capsule-type cartridge. can

또한, 다른 실시예로 수용부(310)는, 상기 식생토 생성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료 각각을 수용하도록 상기 재료의 개수에 비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Also, in another embodiment, the accommodating unit 310 may include at least one accommodating unit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the materials to accommodate each of the at least one or more materials required for generating the vegetation soil.

자세히, 실시예로 수용부(310)는, 소정의 시드(seed)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310a), 토양을 수용하는 제2 수용부(310b), 미생물을 수용하는 제3 수용부(310c), 소정의 액체(예컨대, 물 등)을 수용하는 제4 수용부(310d) 및/또는 상술된 적외선 반사물질을 수용하는 제5 수용부(310e)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detail, in an embodiment, the accommodating unit 310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unit 310a accommodating a predetermined seed, a second accommodating unit 310b accommodating soil, and a third accommodating unit accommodating microorganisms ( 310c), a fourth accommodating part 310d accommodating a predetermined liquid (eg, water, etc.) and/or a fifth accommodating part 310e accommodating the aforementioned infrared reflective material.

실시예에서, 드론의 프로세서(260)는, 상기 제5 수용부(310e)의 적외선 반사물질을 상기 시드 스프레이(300)에 기반한 식생토에 배합하여 토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술된 센서부에 기초한 적외선 반사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260 of the drone may mix and discharge the infrared reflective material of the fifth accommodating part 310e to the vegetation soil based on the seed spray 300, and through this, the sensor unit described above may be discharged. Infrared reflectance data based on this can be obtained.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5 수용부가 포함하는 시드, 토양, 미생물, 소정의 액체 및/또는 적외선 반사물질은, 상기 시드 스프레이(300)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식생토의 점도나 영양성분 등과 같은 식생토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드론(200)으로부터 획득된 센싱 데이터에 따라서 배합부(330)에 투입되는 양이 유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Here, the seeds, soil, microorganisms, predetermined liquids, and/or infrared reflective materials included in the first to fifth receiving units are of vegetation soil, such as the viscosity or nutrients of the vegetation soil generated based on the seed spray 300. Since it affects the characteristics, the amount injected into the blending unit 330 may be flexibly changed according to the sensing data obtained from the drone 200.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부(310)에는, 상기 단수의 수용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부(이하, 복수의 수용부) 각각에 매칭되는 제1 온도 센서 및/또는 제1 습도 센서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a first temperature sensor and/or a first humidity sensor matched to the single accommodating unit and/or at least one or more accommodating uni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units) are provided in the accommodating unit 310. may be placed.

이때, 상기 제1 온도 센서는, 상기 시드 스프레이(300)가 포함하는 단수의 수용부 및/또는 복수의 수용부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각 수용부 내부의 온도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may measure temperature data inside each accommodating unit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ingle accommodating unit and/or the plurality of accommodating units included in the seed spray 300 .

또한, 상기 제1 온도 센서는, 상기 단수의 수용부 및/또는 복수의 수용부 내부의 온도를 기설정된 온도로 유지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may maintain the temperature inside the single accommodating unit and/or the plurality of accommodating units at a preset temperature.

실시예로, 상기 제1 온도 센서는, 상기 제3 수용부(310c)에 수용되는 소정의 미생물 종류에 따라서 상기 미생물이 생존 가능한 소정의 온도로 상기 제3 수용부(310c) 내부의 온도가 유지되게 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maintain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310c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t which the microorganisms can surviv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ype of microorganism accommodated in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310c. can make it

또한, 상기 제1 습도 센서는, 상기 시드 스프레이가 포함하는 단수의 수용부 및/또는 복수의 수용부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각 수용부 내부의 습도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humidity sensor may measure humidity data inside each accommodating unit corresponding to a single accommodating unit and/or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units included in the seed spray.

또한, 상기 제1 습도 센서는, 상기 단수의 수용부 및/또는 복수의 수용부 내부의 습도를 기설정된 습도로 유지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humidity sensor may maintain the humidity inside the single accommodating unit and/or the plurality of accommodating units at a preset humidity.

실시예로, 상기 제1 습도 센서는, 상기 제3 수용부(310c)에 수용되는 소정의 미생물 종류에 따라서 상기 미생물이 생존 가능한 소정의 습도로 상기 제3 수용부(310c) 내부의 습도가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와 관련된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내용은, 후술되는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방법 부분에서 자세히 기술하기로 한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humidity sensor maintains the humidity inside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310c at a predetermined humidity at which the microorganisms can surviv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ype of microorganism accommodated in the third accommodating part 310c. can make it Details of various embodiments related to the accommodating un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on and discharge method to be described later.

다음으로, 가압부(320)는, 상하 이동할 수 있는 피스톤과, 이러한 피스톤의 상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가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pressing unit 320 may include a piston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and a pressurizing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iston.

이때, 가압부(320)는, 피스톤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서브프로세서(370)의 제어에 따라서 수용부(310) 상부에 압력을 가하여 해당 수용부에 내장된 재료가 수용부 외부로 배출되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piston moves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pressurizing unit 320 applies pressur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unit 310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subprocessor 370 so that the material contained in the receiving un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unit. can make it

다음으로, 배합부(330)는, 가압부(320)에 의해 압력을 받아 수용부(310)로부터 배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료가 투입될 수 있고, 투입된 재료들을 한데 섞어 합칠 수 있다. Next, in the mixing unit 330, at least one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receiving unit 310 under pressure by the pressing unit 320 may be input, and the input materials may be mixed and combined.

실시예에서, 배합부(330)는, 복수의 재료를 효과적으로 혼합하기 위하여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믹서날을 배치할 수 있고, 믹서날은 서브프로세서(370)의 제어에 의해 회전 동작을 수행하여 배합부(330)로 유입된 복수의 재료를 섞어 하나의 재료로서 합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blending unit 330 may place at least one mixer blade therein to effectively mix a plurality of materials, and the mixer blade rotates under the control of the subprocessor 370 to mix the ingredients. A plurality of materials introduced into the unit 330 may be mixed and combined as one material.

자세히, 믹서날은, 배합부(330)에서 배합된 재료의 점도가 높아 뭉치는 현상을 방지하여, 일정 비율로 배합된 식생토가 토출부(340)에 원활히 투입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토출부(340)로부터 지표면 상으로 상기 식생토가 고르게 분포하도록 배출되게 할 수 있다. In detail, the mixer blade can prevent clumping of the materials mixed in the mixing unit 330 due to high viscosity, so that the vegetation soil mixed in a certain ratio can be smoothly injected into the discharge unit 340, and the discharge unit From 340, the vegetation soil may be discharged to be evenly distributed on the ground surface.

다음으로, 토출부(340)는, 배합부(330)를 통해 하나로 혼합된 재료를 서브프로세서(370)의 제어에 따라 지표면 상으로 토출할 수 있다.Next, the discharge unit 340 may discharge the materials mixed into one through the mixing unit 330 onto the ground surface under the control of the subprocessor 370 .

자세히, 토출부(340)는, 배합부(330)에서 생성된 식생토를 지표면 상에 고르고 넓게 살포시키는 토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detail, the discharge unit 340 may perform a discharge operation of evenly and widely spreading the vegetation soil generated in the mixing unit 330 on the ground surface.

이러한 토출부(340)는, 일단이 배합부(330)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소정의 토출구(342)에 연결될 수 있다. The discharge unit 340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ixing unit 33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discharge port 342 .

또한, 토출부(340)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토가 고르고 넓게 살포되도록 분산을 유도할 수 있는 유도로(341)가 내부의 지면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induction path 341 capable of inducing dispersion so that the vegetation soi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read evenly and widely may be formed on the ground inside the discharge unit 340 .

또한, 상기 유도로(341)는 상기 토출구(342)와 연통되도록 내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duction passage 341 may be formed in a form penetrating the insid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discharge port 342 .

여기서, 토출부(340)는, 배합부(330)에서 생성된 식생토를 지표면 상에 더욱 고르고 넓게 살포하기 위해 유도로(341)의 일단에 허리케인 분사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허리케인 분사부(342)는, 시드 스프레이(300) 내 식생토를 지면 상에 보다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는 소정의 장치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Here, the discharge unit 340 may include a hurricane spray unit 342 at one end of the induction path 341 in order to more evenly and widely spread the vegetation soil generated in the mixing unit 330 on the ground surface. Here, the hurricane injection unit 342 may be a predetermined device capable of more evenly distributing the vegetation soil in the seed spray 300 on the grou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토출부(340)는, 상기 토출부(340)의 식생토 배출 방향 및/또는 각도(실시예에서, 토출 방향각)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부(3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charge unit 340 may further include an angle adjustment unit 346 that adjusts a discharge direction and/or an angle (in the embodiment, a discharge direction angle) of the discharge unit 340 .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부의 각도 조정부(346)는, 프로세서(260) 및/또는 서브프로세서(370)의 제어를 받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 방향각에 따라서 상기 식생토의 토출 방향 및/또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angle adjusting unit 346 of the discharge unit receives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260 and/or the sub-processor 370 and controls the discharge direction and/or the vegetation soil according to the discharge direction ang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gle can be adjusted.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토출 방향각은, 상기 토출부(340)로부터 식생토가 배출되는 방향 및/또는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토출부(340)는, 드론(200)의 센서부(240)에 의해 센싱된 지표면 경사각 및/또는 적외선 반사량을 기초로 각도 조정부(346)에 의해 틸팅(Tilting)됨으로써 토출 방향각이 조절되어 상기 허리케인 분사부(342)의 토출구(345)로 식생토를 분사할 수 있다. Here, the discharge direction ang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refer to a direction and/or an angle at which vegetation soil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340 . In the embodiment, the discharge unit 340 is tilted by the angle adjusting unit 346 based o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ground surface sensed by the sensor unit 240 of the drone 200 and/or the infrared reflection amount, thereby adjusting the discharge direction. Vegetation soil may be sprayed through the outlet 345 of the hurricane spraying unit 342 by adjusting the angle.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토출구(342)는, 식생토에 배합된 재료들이 뭉친 상태로 토출되는 것을 더 방지하기 위해서 소정의 미세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세망은, 그리드 형태의 거름망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식생토가 뭉치지 않고 분산되어 토출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discharge port 342 may include a predetermined fine net to further prevent the materials mixed in the vegetation soil from being discharged in an agglomerated state. The fine net performs a grid-type sieve function so that the vegetation soil is dispersed and discharged without clumping.

다음으로, 배터리(350)는, 서브프로세서(370)의 제어에 의하여 외부 및/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시드 스프레이(300)의 각 구성요소들에게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Next, the battery 350 may receive external and/or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subprocessor 370 to supply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to each component of the seed spray 300.

이러한 배터리(350)는, 수급된 전원을 시드 스프레이(300)의 탑재체들이 사용할 수 있는 전압 수준으로 변환할 수 있는 DC/DC 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attery 350 may further include a DC/DC converter capable of converting the supplied power into a voltage level usable by the payloads of the seed spray 300.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배터리(350)는, 지상 스테이션(100)의 전원 공급부(110) 및/또는 드론(200)의 전원유닛(22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Also,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battery 350 may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0 of the ground station 100 and/or the power unit 220 of the drone 200.

다음으로, 데이터 송수신부(360)는,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서비스를 지원하는 지상 스테이션(100) 및 이를 포함하는 드론(200)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 및/또는 정보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Next, the data transceiver 360 transmits various data and/or data for providing vegetation soil generation and discharge services based on the ground station 100 supporting vegetation soil generation and discharge services and the drone 200 including the same.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자세히, 데이터 송수신부(360)는, 유선 데이터 송수신부(361) 및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362)를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the data transceiver 360 may include a wired data transceiver 361 and a wireless data transceiver 362 .

이때, 유선 데이터 송수신부(36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200)이 테더 드론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드론(200) 및 지상 스테이션(100)과 연결되는 케이블을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케이블에 기반한 데이터, 정보 및/또는 전원 등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dron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 tethered drone, the wired data transceiver 361 may be implemented based on a cable connected to the drone 200 and the ground station 100. and transmission/reception of data, information, and/or power based on a cable.

실시예로, 유선 데이터 송수신부(361)는, 지상 스테이션(100) 지상 통신부의 유선 통신부 및/또는 드론(200) 인터페이스부의 유선 통신유닛과 연동하여 지상 스테이션(100)의 전원 공급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As an embodiment, the wired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361 interworks with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of the ground communication unit of the ground station 100 and/or the wired communication unit of the drone 200 interface unit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10 of the ground station 100. The output power can be supplied.

또한,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36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200)이 무선 드론인 경우,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지상 스테이션(100), 드론(200), 기지국, 외부의 단말, 임의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drone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drone, the wireless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362 complies with technical standards or communication methods for mobile communication (eg,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etc.) A radio signal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at least one of the ground station 100, the drone 200,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n arbitrary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362)는, 블루투스(Bluetooth)나 와이파이(Wi-Fi)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data transceiver 362 may include a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Bluetooth or Wi-Fi.

실시예로, 데이터 송수신부(362)는, 지상 스테이션(100) 지상 통신부의 무선 통신부 및 드론(200) 인터페이스부의 무선 통신유닛과 통신하여 시드 스프레이(300)의 전력을 컨트롤하는 전력제어 신호 등을 송신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362 communicates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ground communication unit of the ground station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interface unit of the drone 200 to transmit a power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seed spray 300. can be sent

마지막으로, 서브프로세서(370)는, 전술한 각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하고 구동할 수 있다. Lastly, the subprocessor 370 may control and drive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of the components described above.

자세히, 실시예에서 서브프로세서(370)는, 상기 각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구동함으로써 시드 스프레이(300)와 지상 스테이션(100) 및 드론(200) 간의 연동을 가능하게 하며, 이를 통해 원활한 드론(200)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서비스가 제공되게 할 수 있다.In detail, in the embodiment, the sub-processor 370 controls and drives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component to enable interworking between the seed spray 300, the ground station 100, and the drone 200, and through this, Vegetation soil creation and discharge service based on the drone 200 can be provided.

또한, 이러한 서브프로세서(37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se subprocessors 370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controllers (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자세히, 도 4를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드 스프레이(300)는, 수용부(310)에 수용된 재료 중 적어도 일부가 배합부(330) 측으로 투하될 수 있고, 상기 배합부(330)에서 상기 투하된 적어도 일부의 재료를 혼합할 수 있고, 상기 생성된 식생토를 토출부(340)의 허리케인 분사부(342)를 통하여 지표면 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계층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detail, further referring to FIG. 4, in the seed spray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some of the material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310 may be dropped toward the mixing part 330, and the mixing part ( 330) to mix at least some of the dropped materials, and to discharge the generated vegetation soil onto the surface of the earth through the hurricane injection unit 342 of the discharge unit 340. It can have a hierarchical structure.

이때,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드 스프레이(300)의 수용부(310)가 단수의 수용부로 구현된 경우를 도시한 일례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드 스프레이(300)의 수용부(310)가 복수의 수용부로 구현된 경우를 도시한 일례이다. At this time, (a) of FIG. 4 is an example showing a case where the receiving part 310 of the seed spray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 single receiving part, and FIG. 4 (b) i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n example showing a case in which the accommodating part 310 of the seed spray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is implemented as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parts.

도 4의 (a)를 참조하면, 단수의 수용부의 형태로 구현된 수용부(310)는, 일측의 소정의 영역이 개방되어 외부와 연통할 수 있다. 상기 일측의 소정의 개방된 영역을 통해 식생토 생성에 필요한 복수의 재료(실시예에서, 시드, 토양, 미생물, 물 및/또는 적외선 반사물질 등)가 투하되어 수용부(3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4 , the receiving unit 310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ingular receiving unit may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by opening a predetermined area on one side. A plurality of materials (in the embodiment, seeds, soil, microorganisms, water, and/or infrared reflective material, etc.) required for generating vegetation soil are dropped through a predetermined open area on one side and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310. can

상기 수용부(310)에 수용된 식생토 생성에 필요한 복수의 재료가 배합부(330)에 투하되기 용이하도록, 실시예에서 수용부(310)는 배합부(330)와 연통하는 구조일 수 있다.In the embodiment, the accommodating unit 310 may have a structure communicating with the mixing unit 330 so that the plurality of materials necessary for generating vegetation soil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unit 310 are easily dropped into the mixing unit 330 .

이때, 상기 수용부(310)에 투하된 재료가 한꺼번에 배합부(330) 내부로 직결되는 경우, 배합부(330) 내부에 손상이 가해지거나 배합부(330)에서의 혼합이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material dropped into the receiving part 31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mixing part 330 at onc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inside of the mixing part 330 is damaged or mixing in the mixing part 330 is abnormal can exist

즉, 상기 수용부(310)에 투하된 재료가 소정의 양만큼씩 배합부(330) 내부로 투하되도록 상기 수용부(310) 및 배합부(330)가 접하는 부분에 소정 크기의 홀이 형성되어있을 수 있다.That is, a hole of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at the portion where the accommodation unit 310 and the mixing unit 330 come into contact so that the material dropped into the accommodation unit 310 is dropped into the mixing unit 330 by a predetermined amount. There may be.

또한, 수용부(310)가 상기 단수의 수용부인 경우, 실시예에서 수용부(310)는 카트리지 형식으로 교체가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ccommodating part 310 is the singular accommodating part, in the embodiment, the accommodating part 310 may be replaced in a cartridge type.

상기 카트리지 형식을 구현하기 위하여, 실시예예서 수용부(310)는 카트리지 교체를 원활히 수행하기 위한 구조(예컨대, 손잡이 및/또는 고정 홈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implement the cartridge type, in the embodiment, the receiving portion 310 may further include a structure (eg, a handle and/or a fixing groove, etc.) for smoothly performing cartridge replacement.

한편, 도 4의 (b)를 참조하면, 수용부(310)는, 상기 복수의 수용부 내부 각각에 수용된 식생토 생성에 필요한 재료를 배합부(330)로 안정적으로 투하하기 위해 소정의 호스 등을 기초로 배합부(330)와 직접 연결되거나 및/또는 배합부(330)에 투하하기 용이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b) of FIG. 4 , the accommodating part 310, such as a predetermined hose, etc., in order to stably drop the material necessary for generating vegetation soil accommodat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accommodating parts to the mixing part 330. It may be formed into a shape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mpounding unit 330 based on and/or easy to drop into the compounding unit 330.

또한, 실시예에서 시드 스프레이(300)는, 식생토에 투입되는 시드를 크기별로 분류할 수 있는 분류부(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the seed spray 300 may further include a classification unit 380 capable of classifying seeds injected into vegetation soil by size.

자세히, 실시예에서 시드 스프레이(300)는, 수용부(310)의 일부에 배치된 분류부(380)를 통해 식생토에 투입되는 시드를 크기별로 분류할 수 있다.In detail, in the embodiment, the seed spray 300 may classify the seeds injected into the vegetation soil by size through the classification unit 380 disposed in a part of the accommodating unit 310 .

도 4의 (a)를 참조하면, 상기 단수의 수용부는, 시드를 제외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료가 혼합된 혼합물을 내부에 수용하고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수의 수용부는, 다양한 종류의 시드를 포함하는 시드혼합물을 상기 단수의 수용부로 수용할 시, 상기 단수의 수용부가 포함하는 분류부(380)를 통해 상기 혼합물 상으로 상기 시드혼합물 내 소정의 직경 이하의 시드만이 유입되게 할 수 있다. Referring to (a) of FIG. 4 , the singular accommodating unit may contain therein a mixture in which the at least one material other than the seed is mixed. At this time, when the singular accommodating unit accommodates a seed mixture including various types of seeds into the singular accommodating unit, the seed mixture is transferred onto the mixture through the classification unit 380 included in the singular accommodating unit. Only seeds less than or equal to the diameter of .

이때, 상기 단수의 수용부에 포함되는 분류부(380)는, 상기 단수의 수용부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단수의 수용부에 투입하고자 하는 시드혼합물 내 원하는 직경의 시드만을 통과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lassification unit 380 included in the single accommodating unit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single accommodating unit and can pass only seeds having a desired diameter in the seed mixture to be put into the single accommodating unit.

한편, 도 4의 (b)를 참조하면, 복수의 수용부로 구현된 수용부(310)의 경우, 상기 복수의 수용부 중 소정의 시드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310a)와 배합부(330)가 연결되는 영역 상에 배치된 분류부(380)를 통해, 소정의 직경 이하의 시드만을 상기 배합부(330)로 투입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b) of FIG. 4 , in the case of the accommodating part 310 implemented as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parts,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310a accommodating a predetermined seed among the plurality of accommodating parts and the mixing part 330 ), only seeds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or less may be introduced into the blending unit 330 through the sorting unit 380 disposed on the area where ) is connected.

이때상기 제1 수용부(310a)가 내장하는 시드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시드가 섞인 상태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eds contain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310a may be in a state in which various types of seed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re mixed.

그리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분류부(380)는, 상기 시드혼합물 및/또는 상기 제1 수용부(310a) 내 시드를 크기에 기준하여 분류할 수 있다. Thu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assification unit 380 may classify the seed mixture and/or the seeds in the first accommodating unit 310a based on their sizes.

또한, 상기 분류부(380)는, 상기 분류된 시드를 선택적으로 상기 배합부(330)에 투하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classification unit 380 may selectively drop the classified seeds to the mixing unit 330 .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류부(380) 단면도의 일례이다.5 is an example of a cross-sectional view of a classification unit 3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류부(380)는, 진동부(381), 개폐부(382), 정렬 플레이트(383a) 및 개폐 플레이트(383b)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the classification unit 380 may include a vibration unit 381 , an opening/closing unit 382 , an alignment plate 383a and an opening/closing plate 383b.

자세히, 상기 진동부(381)는, 시드 투입 시 시드가 일차적으로 닿는 분류부(380)의 바닥면인 정렬 플레이트(383a)에 소정의 진동을 가할 수 있다. In detail, the vibration unit 381 may apply a predetermined vibration to the alignment plate 383a, which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sorting unit 380, to which the seeds primarily come into contact when the seeds are input.

이때, 상기 정렬 플레이트(383a)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는 홀(hole)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진동부(381)에 의한 진동을 통하여 상기 홀의 크기를 기초로 수용부(310) 내 시드를 분류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lignment plate 383a may include holes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seed in the accommodating part 310 is determined based on the size of the hole through vibration by the vibration unit 381. can be classified.

또한, 상기 개폐부(382)는, 상기 정렬 플레이트(383a) 및 개폐 플레이트(383b)를 개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lso, the opening/closing unit 382 may control the alignment plate 383a and the opening/closing plate 383b to be opened and closed.

여기서, 상기 개폐 플레이트(383b)는, 상기 정렬 플레이트(383a)를 통과한 시드가 상기 배합부(330)에 선택적으로 투하되게 할 수 있다. Here, the opening/closing plate 383b may selectively drop the seed passing through the alignment plate 383a to the mixing unit 330 .

자세히, 상기 개폐부(382)는, 상기 정렬 플레이트(383a)가 소정의 직경(예컨대, mm 및/또는 cm 등의 수치)의 홀을 가지도록 상기 정렬 플레이트(383a)를 제어할 수 있다.In detail, the opening/closing unit 382 may control the alignment plate 383a so that the alignment plate 383a has a hol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eg, mm and/or cm).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렬 플레이트(383a) 단면도의 일례이다.6 is an example of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lignment plate 383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로, 정렬 플레이트(383a)는, 도 6에 도시된 (a)와 같이 제1 내지 제3 날개부(S1, S2, S3)로 구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alignment plate 383a may include first to third wing parts S1 , S2 , and S3 as shown in (a) of FIG. 6 .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3 날개부(S1, S2, S3)는, 나선형으로 개폐될 수 있는 구조로서 도 6에 도시된 (b)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3 날개부(S1, S2, S3)가 펼쳐지면서 소정의 홀을 형성하는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to third wing parts S1, S2, and S3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in a spiral manner, and as shown in (b) shown in FIG. 6, the first to third wing parts S1, S2, S3) may be driven in the form of forming a predetermined hole while unfolding.

이때, 상기 홀의 직경(D)은, 소정의 직경 이하의 크기를 갖는 시드만이 통과될 수 있도록 개폐부(382)가 정렬 플레이트(383a)를 제어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ameter D of the hole may be determined by the opening/closing unit 382 controlling the alignment plate 383a so that only seeds having a size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diameter pass through.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류부(380)에서 시드를 분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수용부(310)로 투하된 시드 중 상기 홀의 직경(D)보다 작은 시드만이 분류될 수 있다.7 is an example of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lassifying a seed in the classification unit 3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 among the seeds dropped into the receiving part 310 , only seeds smaller than the diameter D of the hole may be classified.

자세히, 상기 홀의 직경(D)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시드(SD1)는, 상기 정렬 플레이트(383a)를 통과할 수 있다.In detail, the seed SD1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D of the hole may pass through the alignment plate 383a.

반면, 상기 홀의 직경(D)보다 큰 직경을 가진 시드(SD2)는, 상기 정렬 플레이트(383a)를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정렬 플레이트(383a)의 상면에 잔재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ed SD2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D of the hole may not pass through the alignment plate 383a and may remai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lignment plate 383a.

이때, 상기 정렬 플레이트(383a)를 통과한 시드(SD1)는, 개폐 플레이트(383b) 상면에 축적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ed SD1 passing through the alignment plate 383a may be accumul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383b.

보다 상세히, 상기 정렬 플레이트(383a)를 통과한 시드(SD1)는, 정렬 플레이트(383a)와 개폐 플레이트(383b) 사이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seed SD1 passing through the alignment plate 383a may be positioned in a space between the alignment plate 383a and the opening/closing plate 383b.

여기서, 상기 개폐부(382)는, 상기 정렬 플레이트(383a)를 통과한 시드(SD1)가 상기 배합부(330)로 투하되도록 상기 개폐 플레이트(383b)를 제어할 수 있다.Here, the opening/closing unit 382 may control the opening/closing plate 383b so that the seed SD1 passing through the alignment plate 383a is dropped to the mixing unit 330 .

즉, 상기 개폐부(382)에 의해 상기 개폐 플레이트(383b)가 개방됨으로써 상기 분류부(380)가 배합부(330)와 연통되도록 하여 상기 정렬 플레이트(383a)를 통과한 시드(SD1)만이 상기 배합부(330)로 투하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383b is open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382 so that the sorting part 380 communicates with the mixing part 330 so that only the seed SD1 passing through the alignment plate 383a is mixed. It can be dropped to the unit 33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200) 기반의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은, 서로 다른 직경의 시드 중에서 소정의 직경 이하의 시드만을 선별하여 상기 배합부(330)로 유입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원하는 크기 및/또는 종류의 시드만을 포함하는 식생토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is way, the drone 200-based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on and discharge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only seeds of a predetermined diameter or less from seeds of different diameters, and the mixing unit 330 ), and through this, there is an effect of producing vegetation soil containing only seeds of a desired size and / or type.

다시 돌아와서, 또한, 실시예에 따른 시드 스프레이(300)의 가압부(320)는, 수용부(3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수용부(310)에 내장된 재료가 수용부(310) 외부(실시예에서, 배합부(330))로 배출되도록 수용부(310)의 상부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Returning again, the pressing part 320 of the seed spray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ceiving part 310 so that the material embedded in the receiving part 310 is outside the receiving part 310 (actually In an example, it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capable of applying pressure to the upper part of the accommodating part 310 so as to be discharged to the mixing part 330).

또한, 배합부(330)는, 수용부(310)로부터 투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료를 배합하여 실시예에 따른 식생토를 제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ixing unit 330 may mix at least one or more materials dropped from the receiving unit 310 to produce vegetation soi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실시예에 따라서 이러한 배합부(330)는, 토출부(340)로의 식생토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토출부(340) 측에 가까워질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mixing unit 330 may be implemented in a shape that gradually narrows as it approaches the discharge unit 340 in order to facilitate discharge of vegetation soil to the discharge unit 340 .

보다 상세히, 배합부(330)는, 상측은 수용부(310)와 연통할 수 있는 구조로, 내부에 수용부(310)로부터 투하된 재료를 고르게 섞기 위한 소정의 믹서날을 포함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mixing unit 330 has a structur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unit 310 on the upper side, and may include a predetermined mixer blade for evenly mixing the material dropped from the receiving unit 310 therein.

이때, 상기 믹서날은, 배합부(330)의 내측면 어디에도 존재할 수 있으며 그 형태 및/또는 개수 등은 도시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the mixer blades may exist anywher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lending unit 330, and the shape and/or number thereof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또한, 토출부(340)는, 배합부(330)로부터 인입된 식생토를 상기 토출부(340)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유도로(341)를 경유하여 지표면 상으로 배출시키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charge unit 34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discharges the vegetation soil introduced from the mixing unit 330 onto the surface of the ground via an induction path 341 forming an internal space of the discharge unit 340. .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토출부(340)는, 배합부(330)로부터 인입된 식생토를 지표면 상으로 더욱 고르고 넓게 살포하기 위해 상기 유도로(341)의 일단에 허리케인 분사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4 , the discharge unit 340 installs the hurricane spray unit 342 at one end of the induction path 341 to more evenly and widely spread the vegetation soil introduced from the mixing unit 330 onto the ground surface. can include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허리케인 분사부(342) 단면도의 일례이다.8 is an example of a cross-sectional view of a hurricane sprayer 34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허리케인 분사부(342)는, 상기 유도로(341)의 일단에 위치하여 노즐부(343), 프로펠러부(344) 및/또는 토출구(34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hurricane injection unit 342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induction path 341 and may include a nozzle unit 343, a propeller unit 344, and/or a discharge port 345.

자세히, 상기 허리케인 분사부(342)는, 상기 유도로(341)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유도로(341)로 진입한 상기 식생토를 복수의 노즐로 각각 나누어 유입하고, 회전력에 의한 송풍을 발생시켜 상기 복수의 노즐 각각의 일단에서 외부와 연통된 토출구로 식생토를 토출할 시, 상기 식생토의 토출 범위를 확장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detail, the hurricane injection unit 342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induction road 341, divides the vegetation soil entering the induction road 341 into a plurality of nozzles, respectively, and injects them, and generates blowing by rotational force. When the vegetation soil is discharged from 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nozzles through a discharge port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it may serve to expand the discharge range of the vegetation soil.

실시예로 상기 노즐부(34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도로(341)로 진입한 식생토를 복수의 통로로 분산하여 상기 복수의 통로 각각에 매칭되는 토출구(345)로 배출되게 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nozzle unit 343, as shown in FIG. 8 , distributes the vegetation soil entering the induction path 341 into a plurality of passages and discharges the vegetation soil through a discharge port 345 match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assages. can make it

자세히, 이러한 노즐부(343)는, 제1 노즐(343a), 제2 노즐(343b) 및/또는 제3 노즐(343c)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노즐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효과적인 설명을 위하여 상기 노즐부(343)가 제1 내지 제3 노즐(343a, 343b, 343c)을 포함하여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8에 도시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In detail, the nozzle unit 343 may be implemented as a plurality of nozzles including a first nozzle 343a, a second nozzle 343b, and/or a third nozzle 343c. Hereinafter, for effective description, the nozzle unit 343 will be described as being implemented including the first to third nozzles 343a, 343b, and 343c,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FIG. 8 . .

이때, 상기 노즐부(343)에 포함된 복수의 노즐(343a, 343b, 343c)은, 상기 유도로(341)로 진입한 식생토가 분산될 수 있도록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nozzles 343a, 343b, and 343c included in the nozzle unit 343 may be radially arranged so that vegetation soil entering the induction path 341 may be dispersed.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노즐부(343)는, 소정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lso, in the embodiment, the nozzle unit 343 may further include a first motor providing a predetermined rotational force.

그리하여 상기 노즐부(343)가 포함하는 복수의 노즐(343a, 343b, 343c)은, 상기 제1 모터에 의하여 발생된 회전력에 의하여 소정의 방식(예컨대, 일방향 회전 등)으로 회전할 수 있다. Thus, the plurality of nozzles 343a, 343b, and 343c included in the nozzle unit 343 may rotate in a predetermined manner (eg, one-way rotation, etc.) by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first motor.

이를 통해, 상기 노즐부(343)는, 상기 복수의 노즐(343a, 343b, 343c)을 경유하여 복수의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식생토가 보다 고르게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nozzle unit 343 can more evenly distribute the vegetation soil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via the plurality of nozzles 343a, 343b, and 343c.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펠러부(34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 동작을 수행할 시, 상기 노즐부(343)를 거쳐 상기 토출구(345)로 토출되는 식생토를 더욱 광범위하게 분산시키기 위한 송풍을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the propeller unit 344 disperses the vegetation soil discharged through the nozzle unit 343 to the discharge port 345 more widely when performing the discharge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implemented in a form capable of providing ventilation to do.

자세히, 상기 송풍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펠러부(344)는, 상기 프로펠러부(344)에 소정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in order to provide the blowing air, the propeller unit 344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motor that provides a predetermined rotational force to the propeller unit 344 .

이때, 상기 제2 모터는 프로세서(340) 및/또는 서브프로세서(370)의 제어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motor may rotate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340 and/or the subprocessor 370 .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펠러부(344)는, 상기 제2 모터에 의한 회전력을 기초로 소정의 방식에 따른 회전(예컨대, 일방향 회전 등)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the propeller unit 344 may perform rotation (eg, one-way rotation, etc.)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ethod based on rotational force by the second motor.

또한, 상기 프로펠러부(344)는, 상기 수행된 회전에 의하여 생성되는 송풍을 상기 토출구(345)를 통해 배출되는 식생토로 전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peller unit 344 may transfer the blowing air generated by the rotation to the vegetation soil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345 .

그리하여 상기 프로펠러부(344)는, 상기 토출구(345)로 토출되는 식생토를 더욱 광범위하게 분산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us, the propeller unit 344 can play a role of distributing the vegetation soil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345 more widely.

이때, 상기 프로펠러부(344)는, 상기 유도로(341)에서 상기 토출구(345)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식생토를 분산시키는 송풍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토출구(345)로 토출되는 식생토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유도로(341)와 상기 허리케인 분사부(342) 간 연결 부분의 초입에 배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ropeller unit 344 provides blowing air for dispersing the vegetation soil in a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guideway 341 to the discharge port 345, and at the same time, the vegetation soil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345 In order to prevent a collision, it may be disposed at the beginning of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guideway 341 and the hurricane ejector 342.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서비스는, 위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허리케인 분사부(342)를 이용하여, 상술된 시드 스프레이(300) 내 식생토가 지면 상에 보다 광범위한 영역으로 토출되어 상기 식생토의 토출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vegetation soil generation and discharge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getation soil in the above-described seed spray 300 is spread over a wider area on the ground by using the hurricane sprayer 342 including the above components. It is discharged into the area to expand the discharge range of the vegetation soil.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구(34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노즐(343a, 343b, 343c) 각각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식생토를 외부로 토출하는 출구일 수 있다. Also, in the embodiment, the outlet 345 may be an outlet located at 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nozzles 343a, 343b, and 343c to discharge the vegetation soil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8 .

자세히,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구(345)는, 상기 노즐부(343)가 포함하는 노즐의 개수에 비례하는 복수의 토출구(실시예에서, 제1 토출구(345a), 제2 토출구(345b) 및/또는 제3 토출구(345c)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효과적인 설명을 위하여 상기 토출구(345)가 제1 내지 제3 토출구(345a, 345b, 345c)를 포함하는 것에 기준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detail, in the embodiment, the discharge port 345 includes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nozzles included in the nozzle part 343 (in the embodiment, the first discharge port 345a, the second discharge port 345b, and/or or a third outlet 345c, etc.). Hereinafter, for effective description, the outlet 345 will be described based on including the first to third outlets 345a, 345b, and 345c,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복수의 토출구(345a, 345b, 345c)는,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부(340)의 토출 방향각을 조정하는 상기 각도 조정부(346)에 의해, 틸팅(Tilting)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345a, 345b, and 345c may be tilted by the angle adjuster 346 for adjusting the discharge direction angle of the discharge portion 340 in the embodiment.

그리하여 상기 복수의 토출구(345a, 345b, 345c) 각각은, 상기 토출 방향각에 따라서 틸팅된 상태로 식생토 토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us, each of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345a, 345b, and 345c may perform a vegetation discharge operation in a tilted state according to the discharge direction angle.

또한, 실시예예 따라서 토출부(340)는, 배합부(330)와 연결되는 일단으로부터 토출구(345)까지의 타단으로 갈수록 상기 토출부(340)의 유도로(341) 직경이 점점 좁아지는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discharge part 34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guideway 341 of the discharge part 340 gradually narrows from one end connected to the mixing part 330 to the other end to the discharge port 345. may be implemented.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 토출부(340)는, 상기 배합부(330)와 연결되는 일단으로부터 상기 토출구(342)를 연결하는 장방형 막대 형상의 파이프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부(340)는, 상기 토출부(340)로 유입된 식생토를 지표면 상으로 배출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토출부(340)의 형상 자체를 제한하거나 한정하지는 않는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discharge unit 34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rod-shaped pipe connecting the discharge port 342 from one end connected to the mixing unit 330 .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part 340 may be implemented in any shape as long as it is capable of discharging the vegetation soil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part 340 onto the ground surface. The shape itself is not limited or limited.

또한, 토출부(340)는, 지상 스테이션(100), 드론(200) 및/또는 시드 스프레이(300)가 획득한 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토출부(340)의 각도 조정부(346)에 의해 식생토 배출 방향 및/또는 각도(실시예에서, 토출 방향각)가 조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charge unit 340, according to the data obtained by the ground station 100, the drone 200 and/or the seed spray 300, the vegetation soil by the angle adjustment unit 346 of the discharge unit 340 The ejection direction and/or angle (in the embodiment, the ejection direction angle) can be adjusted.

또한, 배터리(350)는, 상기 시드 스프레이(3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느 위치 상에도 배치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에 한정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battery 350 may be disposed on any position as long as it can supply power to the seed spray 300, and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FIG. 4 .

-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방법 - Drone-based vegetation soil creation and discharge metho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200)의 프로세서가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method in which the processor of the dron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vegetation soil generation and discharge ser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3 .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200)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generating and discharging vegetation soil based on a dron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자세히, 도 9를 참조하면 드론(200)의 프로세서(260)(이하, 프로세서)는, 비행 모드를 활성화하고 비행을 수행할 수 있다. (S101) In detail, referring to FIG. 9 , the processor 260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ocessor) of the drone 200 may activate a flight mode and perform flight. (S101)

보다 상세히, 프로세서(260)는, 드론(200) 내부의 전원공급장치 및/또는 지상 스테이션(10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비행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processor 260 may activate the flight mode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device inside the drone 200 and/or the ground station 100 .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60)는, 드론의 전원유닛(220) 및/또는 지상 스테이션(100)으로부터 권출된 케이블을 통해 전력을 인가받을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rocessor 260 may receive power through a cable unwound from the power unit 220 of the drone and/or the ground station 100 .

또한, 프로세서(260)는, 위와 같이 인가받은 전력을 이용하여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드론(200) 및 시드 스프레이(300)에 포함된 탑재체들을 구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260 may drive the payloads included in the drone 200 and the seed spray 300 to perform vegetation soil generation and discharge services using the power applied as described above.

실시예로, 프로세서(260)는, 무선 드론을 컨트롤할 수 있는 소정의 외부 기기 및/또는 테더 드론을 컨트롤할 수 있는 지상 스테이션(100)으로부터 획득되는 드론 조종사의 입력 및/또는 기설정된 드론 제어 프로세스에 의해비행을 수행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260 may control a predetermined external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a wireless drone and/or a drone pilot input obtained from the ground station 100 capable of controlling a tethered drone and/or preset drone control. Flight can be performed by process.

이때, 상기 드론(200)이 비행을 수행할 때의 비행고도는, 로라(LoRa)통신이 허용하는 거리 이내가 바람직하며, 통상 1~3Km 이내에서 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light altitude when the drone 200 is flying is preferably within a distance allowed by LoRa communication, and may be freely adjustable within 1 to 3 km in general.

자세히, 로라(LoRa)통신의 허용거리는 도심에서 1~3Km이고, 시야가 확보된 지역에서는 15Km까지 가능할 수 있다. In detail, the allowable distance of LoRa communication is 1 to 3Km in the city center, and may be up to 15Km in an area with a clear view.

따라서, 드론(200)이 테더 드론으로 구현되는 경우, 케이블의 무게를 허용하는 한도까지 드론(200)의 비행고도를 높일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drone 200 is implemented as a tethered drone, the flight altitude of the drone 200 can be increased to a limit where the weight of the cable is allowed.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드론(200)의 비행이 1~3Km 이내의 비행이며 드론(200)이 케이블, 시드 스프레이(300) 및 시드 스프레이(300)에 투하된 재료들의 무게를 감안 가능한 경우에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와이파이(WI-FI) 및/또는 롱텀 에볼루션(Long-Term Evolution, LTE) 통신을 이용하면 지상 스테이션(100)과 드론(200)의 거리 및 고도가 2~3Km일 때까지 통신이 가능하므로, 무게를 허용하는 한도까지 드론(200)의 비행고도를 얼마든지 높일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He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light of the drone 200 is within 1 to 3 km and the drone 200 can consider the weight of the cable, the seed spray 300, and the materials dropped on the seed spray 300 Preferably, but not limited to, when using WI-FI and / or Long-Term Evolution (LTE) communication, the distance and altitude of the ground station 100 and the drone 200 is 2 to 3 km It will be obvious that the flight altitude of the drone 200 can be increased as much as possible, up to the allowable weight limit.

한편, 프로세서(260)는, 드론(200) 동체 내에 배치된 전원유닛(220)의 전원저장부 등을 기반으로 구동부(230)의 프로펠러를 가동하고 기설정된 비상착륙 프로세스에 따라 지상에 착륙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rocessor 260 may operate the propeller of the driving unit 230 based on the power storage unit of the power unit 220 disposed in the body of the drone 200 and land on the ground according to a preset emergency landing process. there is.

여기서, 프로세서(260)는, 상기 전원저장부의 용량을 고려하여 상기 전원저장부에서 드론(200)의 각 구성요소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Here, the processor 260 may control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torage unit to each component of the drone 200 in consideration of the capacity of the power storage unit.

그리고 프로세서(260)는, 해당 드론(200)의 착륙 이후에도 별도의 제어신호가 입력되기 전까지 센서부(240) 및 통신모듈을 통하여 현재 착륙한 지점에 대한 데이터를 무선 드론을 컨트롤할 수 있는 소정의 외부 기기 및/또는 지상 스테이션(100)으로 송출할 수 있다. And, even after the drone 200 lands, the processor 260 transmits data on the current landed point through the sensor unit 24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until a separate control signal is input to a predetermined value capable of controlling the wireless drone. It can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and/or to the ground station 100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60)는, 드론(200) 주변환경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S103) Next, the processor 2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btain data for sens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drone 200 . (S103)

자세히, 프로세서(260)는, 센서부(240)를 제어하여 드론(200)의 비행 이동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주변 환경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In detail, the processor 260 may control the sensor unit 240 to obtain sensing data for a surrounding environment that changes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flight movement of the drone 200 .

여기서, 주변환경 센싱 데이터란, 드론(2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기초로 획득되는 지표면 경사각 데이터, 적외선 반사량 데이터, 온도 데이터 및/또는 습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ensing data may include ground surface inclination angle data, infrared reflectance data, temperature data, and/or humidity data obtained based on at least one sensor of the drone 200 .

이때, 상기 지표면 경사각 데이터는, 센서부(240)의 거리센서를 기초로 드론(200) 주변 지표면의 경사각을 측정한 센싱 데이터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nclination angle data of the ground surface may be sensing data obtained by measur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ground surface around the drone 200 based on the distance sensor of the sensor unit 240 .

또한, 상기 적외선 반사량 데이터는, 센서부(240)의 적외선 센서를 기초로 지표면 상에 토출된 식생토에 포함된 적외선 반사물질을 감지하여 적외선 반사량을 측정한 센싱 데이터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frared reflectance data may be sensing data obtained by measuring an infrared reflectance by detecting an infrared reflector included in vegetation soil discharged onto the ground surface based on the infrared sensor of the sensor unit 240 .

또한, 상기 온도 데이터는, 센서부(240)의 온도 센서를 기초로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서비스와 관련된 온도를 측정한 센싱 데이터일 수 있다. Also, the temperature data may be sensing data obtained by measuring a temperature related to vegetation soil generation and discharge service based on the temperature sensor of the sensor unit 240 .

자세히, 상기 온도 데이터는, 드론(200)의 외부 환경의 온도를 측정한 제1 온도 데이터 및 시드 스프레이(300)의 수용부(31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한 제2 온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detail, the temperature data may include first temperature data obtained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drone 200 and second temperature data obtained by measur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ceiving part 310 of the seed spray 300. .

또한, 상기 습도 데이터는, 센서부(240)의 습도 센서를 기초로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서비스와 관련된 습도를 측정한 센싱 데이터일 수 있다.Also, the humidity data may be sensing data obtained by measuring humidity related to vegetation soil generation and discharge service based on the humidity sensor of the sensor unit 240 .

자세히, 상기 습도 데이터는, 드론(200)의 외부 환경의 습도를 측정한 제1 습도 데이터 및 시드 스프레이(300)의 수용부(310) 내부의 습도를 측정한 제2 습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detail, the humidity data may include first humidity data obtained by measuring the humidity of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drone 200 and second humidity data obtained by measuring the humidity inside the container 310 of the seed spray 300. .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200)이 지표면 경사각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10 is an example of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measur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ground surface by the dron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60)는, 드론(200)의 거리센서를 이용하여 지표면 경사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 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260 may obtain ground surface inclination angle data using a distance sensor of the drone 200 .

자세히, 프로세서(260)는, 드론(200)의 거리센서를 제어하여 지표면과 드론(200) 간의 거리를 측정한 값(이하, 거리 측정값)을 기초로 지표면 경사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In detail, the processor 260 may control the distance sensor of the drone 200 to obtain inclination angle data of the ground surface based on a value obtained by measuring the distance between the ground surface and the drone 2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istance measurement value).

예를 들면, 프로세서(260)는, 기설정된 각도(예컨대, 평면각 등)를 가지는 제1 지표면과, 상기 제1 지표면 및 드론(200) 간의 제1 거리 측정값(h1)을 획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260 may obtain a first ground surface having a preset angle (eg, plane angle, etc.) and a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h1 between the first ground surface and the drone 200 .

또한, 프로세서(260)는, 드론(200)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제1 지표면과 다른 소정의 제2 지표면과, 상기 제2 지표면 및 드론(200) 간의 제2 거리 측정값(h2)을 획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260 may obtain a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h2 between a predetermined second ground surface different from the first ground surface and the second ground surface and the drone 20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drone 200. can

또한, 프로세서(260)는, 상기 제1 거리 측정값(h1)과 상기 제2 거리 측정값(h2)을 상호 비교할 수 있다.Also, the processor 260 may mutually compare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h1 and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h2.

또한, 프로세서(260)는, 상기 비교를 통하여 상기 제1 거리 측정값(h1)과 상기 제2 거리 측정값(h2)이 불일치하면, 상기 지표면 상에 소정의 경사가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Also, if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h1 and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h2 do not match through the comparison, the processor 260 may determine that a predetermined slope exists on the ground surface.

또한, 프로세서(260)는, 상기 지표면 상에 소정의 경사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소정의 경사에 따른 상기 지표면에 대한 지표면 경사각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exists on the ground surface, the processor 260 may calculate inclination angle data of the ground surface with respect to the ground surface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inclination.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60)는, 상기 제1 거리 측정값(h1)과 상기 제2 거리 측정값(h2)에 기초한 소정의 산술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지표면에 대한 경사각 및/또는 경사방향(예컨대, 상향 경사면 또는 하향 경사면 등) 등을 산출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rocessor 260 performs a predetermined arithmetic operation based on the first distance measurement value h1 and the second distance measurement value h2 to determine the inclination angle and/or the inclina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surface (e.g., , an upward slope or a downward slope, etc.) can be calculated.

또한, 프로세서(260)는, 위와 같이 산출된 경사각 및/또는 경사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지표면에 대한 경사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지표면 경사각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은, 전술된 방법에 국한된 것은 아니고, 지표면이 가지는 경사각을 추정하는 공지된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260 may obtain inclination angle data with respect to the ground surface based on the inclination angle and/or inclination direction calculated as above. However, the method of acquiring the inclination angle data of the ground surface is not limited to the above method, and various known methods for estima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ground surface may be applied.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200)이 적외선 반사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11 is an example of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measuring an amount of infrared reflection by a dron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실시예로 프로세서(260)는, 드론(200)의 적외선 센서를 제어하여 지표면에 분사된 식생토가 포함하는 적외선 반사물질을 기반으로 적외선 반사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 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260 may control the infrared sensor of the drone 200 to obtain infrared reflectance data based on an infrared reflector included in vegetation soil sprayed on the ground surface.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60)는, 식생토가 뿌려진 제1 지표면 영역(A1)을 소정의 기준(예컨대, 기설정된 크기 및/또는 개수 등)에 따른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In detail, 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260 may divide the first ground surface area A1 on which vegetation soil is sprinkled into a plurality of area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eg, a predetermined size and/or number).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적외선 반사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적외선 반사물질이 분사된 지표면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모습의 일례이다. FIG. 12 is an example of an enlarged view of a ground surface area where an infrared reflective material is sprayed to explain a method of measuring an amount of infrared refl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260)는, 위와 같이 구분된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지표면 영역(A1)에 적외선을 발사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2 , the processor 260 may emit infrared rays to the first land surface area A1 including a plurality of areas divided as above.

또한, 프로세서(260)는, 상기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지표면 영역(A1)이 포함하는 적외선 반사물질을 기초로 상기 발사된 적외선이 반사되는 양(실시예에서, 적외선 반사량)을 측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260 may measure the reflected amount of the emitted infrared rays (in the embodiment, the reflected amount of infrared rays) based on the infrared reflective material included in the first ground surface area A1 using the infrared sensor. can

이때, 프로세서(260)는, 상기 제1 지표면 영역(A1)이 포함하는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한 적외선 반사량을 측정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rocessor 260 may measure the infrared reflection amount for each of a plurality of areas included in the first ground surface area A1 .

실시예로, 프로세서(260)는, 상기 제1 지표면 영역(A1)을 복수의 서브영역(예컨대, 제1 서브영역, 제2 서브영역, …, 제n 서브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processor 260 may divide the first ground surface area A1 into a plurality of sub areas (eg, a first sub area, a second sub area, ..., an n th sub area).

또한, 프로세서(260)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지표면 영역(A1) 상에 적외선을 발사할 수 있다. Also, the processor 260 may emit infrared rays onto the first ground surface area A1 including the plurality of sub-areas by using an infrared sensor.

또한, 프로세서(260)는, 상기 적외선이 입사된 상기 복수의 서브영역 상의 식생토가 포함하는 적외선 반사물질의 양에 따라서, 서로 다른 적외선 반사량을 상기 복수의 서브영역 각각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260 may obtain different amounts of reflected infrared rays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sub-regions according to the amount of infrared reflective material included in vegetation soil on the plurality of sub-regions where the infrared rays are incident.

그리하여 프로세서(260)는, 상기 제1 지표면 영역(A1)에서 소정의 기준에 따라 구분된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한 적외선 반사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Thus, the processor 260 may obtain infrared reflectance data for each of a plurality of areas classifi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in the first ground surface area A1 .

이를 통해, 프로세서(260)는, 추후 상기 적외선 반사량 데이터를 기초로 소정의 지표면 상에 식생토가 고르게 토출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지표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식생토가 밀집되거나 편차를 가지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드 스프레이의 토출 방향각을 조정하여 식생토를 골고루 분사시킬 수 있다. Through this, the processor 260 may later determine whether vegetation soil is evenly discharged on a predetermined ground surface based on the infrared reflectance data, and if the vegetation soil is dense or has a deviation in at least a part of the ground surface, this Vegetation soil can be evenly sprayed by adjusting the discharge direction angle of the seed sp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60)는, 제1 및 제2 온도 센서를 제어하여 드론(200)의 수용부 내부 및 드론(200)의 주변 환경의 온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Also,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260 may control the first and second temperature sensors to detect temperature changes in the accommodation unit of the drone 200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drone 200.

자세히, 프로세서(260)는, 상기 제1 온도 센서를 기초로 드론(200)이 포함하는 시드 스프레이의 복수의 수용부 내부 온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In detail, the processor 260 may detect a change in internal temperature of the plurality of receptacles of the seed spray included in the drone 200 based on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또한, 프로세서(260)는, 상기 제1 온도 센서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수용부에 대하여 기설정된 수용부 내부 온도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260 may control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to maintain a predetermined internal temperature of the accommodating unit for the plurality of accommodating units.

예를 들어, 프로세서(260)는, 상술된 수용부에 내장된 미생물을 보관하기 위한 최적의 온도가 25도라고 기설정된 경우, 상기 수용부 내부의 온도가 25도를 벗어날 시 상기 내부 온도를 25도로 유지하기 위한 소정의 기능 동작(예컨대, 냉/온풍 공급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기능 동작에 국한된 것은 아니며, 수용부 내부 온도를 기설정된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cessor 260 sets the internal temperature to 25 degrees whe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taining part exceeds 25 degrees, when it is preset that the optimum temperature for storing the microorganisms contained in the above-described containing part is 25 degrees. A predetermined functional operation (eg, cold/warm air supply, etc.) for maintenance may be perform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aforementioned functional operation, and various embodiments for maintain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accommodating unit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may be possible.

또한, 프로세서(260)는, 상기 제2 온도 센서를 기초로 드론(200)의 주변 환경의 온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Also, the processor 260 may detect a change in temperatur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drone 200 based on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또한, 실시예예서 프로세서(260)는, 상기 수용부(310)가 복수의 수용부로 구현된 경우, 상기 감지된 드론 주변 환경에 대한 온도 데이터를 기초로 시드 스프레이(300)에서 생성되는 식생토의 배합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the processor 260 mixes vegetation soil generated from the seed spray 300 based on the detected temperature data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drone when the accommodating part 310 is implemented as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parts. Ratio can be set.

즉, 프로세서(260)는, 상기 드론 주변 환경에 최적화된 식생토 배합비율을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온도 센서에 기초한 주변 온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That is, the processor 260 may obtain ambient temperature data based on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in order to set a vegetation soil mixture ratio optimized f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dron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60)는, 제1 및 제2 습도센서를 제어하여 드론(200)의 수용부 내부 및 드론(200)의 주변 환경의 습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260 may control the first and second humidity sensors to detect changes in humidity in the accommodation unit of the drone 200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drone 200.

자세히, 프로세서(260)는, 상기 제1 습도 센서를 기초로 드론(200)이 포함하는 시드 스프레이의 복수의 수용부 각각에 대한 내부 습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In detail, the processor 260 may detect a change in internal humidity of each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parts of the seed spray included in the drone 200 based on the first humidity sensor.

또한, 프로세서(260)는, 상기 제1 습도 센서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수용부에 대하여 기설정된 수용부 내부 습도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260 may control the first humidity sensor so that the humidity inside the accommodating unit preset for the plurality of accommodating units is maintained.

예를 들어, 프로세서(260)는, 제3 수용부(310c)에 내장된 미생물을 보관하기 위한 최적의 습도가 10퍼센트(%)라고 기설정된 경우, 제3 수용부(310c) 내부의 습도가 10퍼센트를 벗어날 시 상기 내부 습도를 10퍼센트로 유지하기 위한 소정의 기능 동작(예컨대, 가습 및/또는 제습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기능 동작에 국한된 것은 아니며, 수용부 내부 습도를 기설정된 습도로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260, when the optimum humidity for storing the microorganisms in the third accommodating unit 310c is preset to be 10% (%), the humidity inside the third accommodating unit 310c is When it deviates from 10%, a predetermined functional operation (eg, humidification and/or dehumidification, etc.) may be performed to maintain the internal humidity at 10%.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functional operation, and various embodiments for maintaining the humidity inside the accommodating unit at a preset humidity may be possible.

또한, 프로세서(260)는, 상기 제2 습도 센서를 기초로 드론(200)의 주변 환경의 습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Also, the processor 260 may detect a change in humidity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drone 200 based on the second humidity sensor.

또한, 실시예예서 프로세서(260)는, 상기 수용부(310)가 복수의 수용부로 구현된 경우, 상기 감지된 드론 주변 환경에 대한 습도 데이터를 기초로 시드 스프레이(300)에서 생성되는 식생토의 배합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the processor 260 mixes the vegetation soil generated from the seed spray 300 based on the detected humidity data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drone when the accommodating unit 310 is implemented as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units. Ratio can be set.

즉, 프로세서(260)는, 상기 드론 주변 환경에 최적화된 식생토 배합비율을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습도 센서에 기초한 주변 습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That is, the processor 260 may obtain ambient humidity data based on the second humidity sensor in order to set a vegetation soil mixture ratio optimized f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drone.

다음으로, 프로세서(260)는, 획득된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식생토를 생성할 수 있다. (S105) Next, the processor 260 may generate vegetation soil based on the obtained sensing data. (S105)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60)는, 상기 수용부(310)가 복수의 수용부로 구현된 경우, 위와 같이 획득된 센싱 데이터가 포함하는 지표면 경사각 데이터, 온도 데이터 및/또는 습도 데이터 등을 기초로 식생토의 배합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In detail, in the embodiment, the processor 260, when the accommodating unit 310 is implemented as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units, based on the ground surface inclination angle data, temperature data, and/or humidity data included in the sensing data obtained as above, The mixing ratio of vegetation soil can be set.

자세히, 프로세서(260)는, 상기 센싱 데이터가 포함하는 지표면 경사각 데이터, 온도 데이터 및/또는 습도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시드 스프레이(300) 내 복수의 수용부 각각이 포함하는 재료들에 대한 배합량을 결정할 수 있다. In detail, the processor 260 may determine the mixing amount of the materials inclu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portions in the seed spray 300 based on the ground surface inclination data, temperature data, and/or humidity data included in the sensing data. there is.

또한, 프로세서(260)는, 상기 결정된 각 재료 별 배합량을 기초로 상기 식생토의 배합 비율을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설정된 배합 비율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수용부 내 재료들을 배합한 식생토를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260 may set the mixing ratio of the vegetation soil based on the determined mixing amount for each material, and generate vegetation soil obtained by mixing the materials in the plurality of accommodating units according to the set mixing ratio. .

보다 상세히, 프로세서(260)는, 1) 지표면 경사각 데이터를 이용하여 식생토 배합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processor 260 may 1) set a vegetation soil mixing ratio using ground surface inclination angle data.

자세히, 프로세서(260)는, 지표면 경사각 데이터가 포함하는 지표면에 대한 경사각 및/또는 경사방향 등에 따라서, 식생토에 포함할 시드(seed) 배합량을 설정할 수 있다. In detail, the processor 260 may set the amount of seed to be included in the vegetation soil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and/or direction of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ground surface included in the inclination angle data.

보다 상세히, 프로세서(260)는, 식생토에 배합할 시드량의 기준을 제공하는 각도 기준값을 설정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processor 260 may set an angle reference value providing a reference amount of seeds to be blended with vegetation soil.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각도 기준값은, 기설정된 소정의 경사각 및/또는 경사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angle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and/or inclination direction.

예를 들면, 프로세서(260)는, 사용자 입력 및/또는 기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서 상기 각도 기준값(예컨대, 45도(˚) 등)을 기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cessor 260 may preset the angle reference value (eg, 45 degrees, etc.)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or a preset process.

또한, 프로세서(260)는, 상기 획득된 지표면 경사각 데이터와 상기 기설정된 각도 기준값을 토대로 상기 시드 배합량을 결정할 수 있다. Also, the processor 260 may determine the seed blending amount based on the obtained ground surface inclination angle data and the preset angle reference value.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60)는, 상기 지표면 경사각 데이터와 상기 각도 기준값을 상호 비교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260 may mutually compare the ground surface inclination angle data and the angle reference value.

자세히, 프로세서(260)는, 상기 지표면 경사각 데이터의 경사각과 상기 각도 기준값의 경사각을 상호 비교할 수 있고, 비교의 결과에 따라서 상기 시드 배합량을 증감시킬 수 있다. In detail, the processor 260 may compare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ground surface inclination angle data with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angle reference value, and increase or decrease the seed blending amoun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보다 상세히, 프로세서(260)는, 상기 지표면 경사각 데이터의 경사각(이하, 지표면 경사각)이 상기 각도 기준값의 경사각(이하, 기준 경사각)보다 큰 경우, 상기 시드 배합량을 소정의 기준량에 대비하여 감소시킬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processor 260,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ground surface inclination angle data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ground surface) is greater tha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angle reference value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ference inclination angle), the processor 260 may reduce the seed blending amount compared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amount. there is.

반면, 프로세서(260)는, 상기 지표면 경사각이 상기 기준 경사각보다 작은 경우, 상기 시드 배합량을 소정의 기준량에 대비하여 증가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ground surface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inclination angle, the processor 260 may increase the seed blending amount compared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amount.

예를 들어, 프로세서(260)는, 상기 지표면 경사각과 상기 기준 경사각 간의 각도 차이값에 비례하여 상기 시드 배합량을 소정의 기준량 대비 감소시키거나 또는 증가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cessor 260 may decrease or increase the seed blending amount compared to a predetermined reference amount in proportion to an angle difference between the ground surface inclination angle and the reference inclination angle.

이와 같이, 프로세서(260)는, 지표면의 경사각에 따라서 상기 지표면 상에 배출되는 식생토에 시드 함유량을 조정함으로써, 가파른 경사면인 경우 상기 경사면 상에 토출되는 시드가 경사면을 따라서 하측으로 이동하여 밀집되는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식생토 내 상기 시드 함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다시 완만한 경사면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감소되었던 시드 함유량을 다시 증가시키는 등 식생토를 토출하고자 하는 지표면의 경사각에 따라서 상기 식생토 내 시드 함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processor 260 adjusts the seed content in the vegetation soil discharged on the ground surface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ground surface, so that in the case of a steep slope, the seeds discharged on the slope move downward along the slope and are concentrated. In order to prevent the problem, the seed content in the vegetation soil can be reduced, and when moving to a gentle slope again, the reduced seed content is increased again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ground surface to discharge the vegetation soil. The seed content can be adjusted.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60)는, 2) 온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식생토 배합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Also, in the embodiment, the processor 260 may 2) set the vegetation soil mixing ratio using the temperature data.

자세히, 프로세서(260)는, 제2 온도 센서를 기초로 획득된 제2 온도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식생토에 포함되는 소정의 미생물 배합량을 설정할 수 있다. In detail, the processor 260 may set a predetermined amount of microorganisms included in the vegetation soil based on the second temperature data acquired based on the second temperature sensor.

보다 상세히, 프로세서(260)는, 시드 스프레이의 수용부가 포함하는 소정의 미생물 별로 기설정된 생존 온도값(예컨대, 소정의 수치 등)을 기준으로 상기 미생물 배합량을 설정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processor 260 may set the mixing amount of the microorganisms based on a predetermined survival temperature value (eg, a predetermined value) for each predetermined microorganism included in the receiving part of the seed spray.

실시예로, 프로세서(260)는, 식생토 배합에 사용되는 제1 미생물에 대하여 기설정된 제1 생존 온도값을 기초로 상기 제1 미생물에 대한 배합량을 결정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processor 260 may determine a mixing amount for the first microorganism to be used for mixing the vegetation soil based on a predetermined first survival temperature value for the first microorganism.

실시예로, 프로세서(260)는, 상기 획득된 제2 온도 데이터가 제1 미생물이 생존 가능한 제1 생존 온도값 이내라면, 상기 수용부(310)에 포함된 제1 미생물의 기존 배합량을 유지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260, if the obtained second temperature data is within a first survival temperature value at which the first microorganism can survive, the existing blending amount of the first microorganism included in the receiving unit 310 may be maintained. there is.

반면, 본 예시에서 상기 제2 온도 데이터가 제1 미생물이 생존 가능한 제1 생존 온도값 이외라면, 프로세서(260)는 상기 수용부(310)에 포함된 제1 미생물에 대한 배합량을 증감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is example, if the second temperature data is other than the first survival temperature value at which the first microorganism can survive, the processor 260 may increase or decrease the mixing amount for the first microorganism included in the accommodation unit 310. .

이처럼, 프로세서(260)는 획득된 온도 데이터에 따라 미생물 배합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식생토가 토출될 지표면(예컨대, 황폐산림 및/또는 농경지 등)의 기후 상태에 따라 필요한 미생물의 양을 조정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way, the processor 260 adjusts the amount of microorganisms required according to the climatic state of the land surface (eg, degraded forest and / or agricultural land) where the vegetation soil is to be discharg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microorganisms according to the obtained temperature data, etc. There is an effect that action can be taken.

한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60)는, 제1 온도 센서를 기초로 획득되는 제1 온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식생토에 포함되는 소정의 액체(예컨대, 물 등) 배합량을 설정할 수 있다. Meanwhile, 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260 may set a predetermined amount of liquid (eg, water) included in the vegetation soil by using first temperature data obtained based on a first temperature sensor.

자세히, 프로세서(260)는, 시드 스프레이의 수용부 내 소정의 액체에 대하여 기설정된 온도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 In detail, the processor 260 may se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reshold for a predetermined liquid in the receiving part of the seed spray.

또한, 프로세서(260)는, 상기 설정된 온도 임계값과 상기 획득된 제1 온도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액체 배합량을 조절할 수 있다. Also, the processor 260 may adjust the liquid mixing amount based on the set temperature threshold and the obtained first temperature data.

실시예로, 프로세서(260)는, 상기 제1 온도 데이터가 상기 기설정된 온도 임계값 이내이면, 상기 수용부(310)에 포함된 소정의 액체의 기존 배합량을 유지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processor 260 may maintain an existing mixing amount of a predetermined liquid included in the accommodating part 310 when the first temperature data is within the preset temperature threshold.

반면, 상기 제1 온도 데이터가 상기 기설정된 온도 임계값 이외이면, 상기 수용부(310)에 포함된 소정의 액체의 기존 배합량을 증감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first temperature data is other than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threshold, the existing mixing amount of the predetermined liquid included in the accommodating part 310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예를 들어, 프로세서(260)는, 상기 온도 임계값이 25도(℃)로 설정되고, 상기 제1 온도 데이터가 30도(℃)인 경우, 상기 수용부(310)에 포함된 소정의 액체(예컨대, 물 등)의 배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동일 조건 하에서 제1 온도 데이터가 20도(℃)인 경우, 프로세서(260)는 수용부(310)에 포함된 소정의 액체의 배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260, when the temperature threshold is set to 25 degrees (°C) and the first temperature data is 30 degrees (°C), the predetermined liquid included in the container 310 (For example, water, etc.) can be increas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temperature data is 20 degrees (°C)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processor 260 may reduce the amount of the predetermined liquid included in the container 310 .

이와 같이, 프로세서(260)는, 획득한 온도 데이터가 온도 임계값보다 높으면 배합부(330)에 투입되는 소정의 액체의 배합량을 증가시키거나, 획득한 온도 데이터가 온도 임계값보다 낮으면 배합부(330)에 투입되는 소정의 액체의 배합량을 감소시키는 등 상기 액체 배합량을 조정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상기 드론(200) 주변 환경에 최적화된 식생토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way, the processor 260 increases the mixing amount of a predetermined liquid injected into the mixing unit 330 when the obtained temperature data is higher than the temperature threshold value, or when the obtained temperature data is lower than the temperature threshold value, the mixing unit By adjusting the liquid blending amount, such as reducing the blending amount of a predetermined liquid injected into 330, there is an effect of generating vegetation soil optimized for the environment around the drone 200 in real time.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60)는, 상기 3) 습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식생토 배합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Also, in the embodiment, the processor 260 may set the vegetation soil mixing ratio using the 3) humidity data.

자세히, 프로세서(260)는, 제2 습도 센서를 기초로 획득된 제2 습도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식생토에 포함되는 소정의 미생물 배합량을 설정할 수 있다.In detail, the processor 260 may set a predetermined amount of microorganisms included in the vegetation soil based on the second humidity data acquired based on the second humidity sensor.

보다 상세히, 프로세서(260)는, 시드 스프레이의 수용부(310)가 포함하는 소정의 미생물 별로 기설정된 생존 습도값(예컨대, 소정의 수치)을 기준으로 상기 상기 미생물 배합량을 설정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processor 260 may set the mixing amount of the microorganisms based on a predetermined survival humidity value (eg, a predetermined value) for each predetermined microorganism included in the seed spray receiving unit 310 .

실시예로, 프로세서(260)는, 식생토 배합에 사용되는 제1 미생물에 대하여 기설정된 제1 생존 습도값을 기초로 상기 제1 미생물에 대한 배합량을 결정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processor 260 may determine a mixing amount for the first microorganism based on a first survival humidity value preset for the first microorganism used for mixing the vegetation soil.

실시예로, 프로세서(260)는, 상기 획득된 제2 습도 데이터가 제1 미생물이 생존 가능한 제1 생존 습도값 이내라면, 상기 수용부(310)에 포함된 제1 미생물의 기존 배합량을 유지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260, if the obtained second humidity data is within the first survival humidity value in which the first microorganism can survive, the existing blending amount of the first microorganism included in the receiving unit 310 may be maintained. there is.

반면, 본 예시에서 상기 제2 습도 데이터가 제1 미생물이 생존 가능한 제1 생존 습도값 이외라면, 프로세서(260)는 상기 수용부(310)에 포함된 제1 미생물에 대한 배합량을 증감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is example, if the second humidity data is other than the first survival humidity value in which the first microorganism can survive, the processor 260 may increase or decrease the mixing amount for the first microorganism included in the accommodation unit 310 .

이처럼, 프로세서(260)는, 획득된 습도 데이터에 따라서 식생토에 배합될미생물 양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식생토가 토출될 지표면(예컨대, 황폐산림 및/또는 농경지 등)의 기후 상태에 따라 필요한 미생물의 양을 조정하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식생토 내 시드가 보다 원활하게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processor 260 adjusts the amount of microorganisms to be mixed with the vegetation soil according to the obtained humidity data, so that the microorganisms required according to the climatic conditions of the ground surface (eg, degraded forest and/or agricultural land) where the vegetation soil is to be discharged. It is possible to take measures such as adjusting the amount of,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the seeds in the vegetation soil can grow more smoothly.

한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60)는, 제1 습도 센서를 기초로 획득되는 제1 습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식생토에 포함되는 소정의 액체(예컨대, 물 등)의 배합량을 설정할 수 있다. Meanwhile, 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260 may set a mixing amount of a predetermined liquid (eg, water) included in the vegetation soil by using first humidity data acquired based on a first humidity sensor.

자세히, 프로세서(260)는, 시드 스프레이의 수용부(310) 내 소정의 액체에 대하여 기설정된 습도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In detail, the processor 260 may set a preset humidity threshold for a predetermined liquid in the seed spray accommodating unit 310 .

또한, 프로세서(260)는, 상기 설정된 습도 임계값과 상기 획득된 제1 습도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액체 배합량을 조절할 수 있다.Also, the processor 260 may adjust the liquid mixing amount based on the set humidity threshold and the obtained first humidity data.

실시예로, 프로세서(260)는, 상기 제1 습도 데이터가 상기 기설정된 습도 임계값 이내이면, 상기 수용부(310)에 포함된 소정의 액체의 기존 배합량을 유지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processor 260 may maintain an existing mixing amount of a predetermined liquid included in the accommodating unit 310 when the first humidity data is within the preset humidity threshold.

반면, 상기 제1 습도 데이터가 상기 기설정된 습도 임계값 이외이면, 상기 수용부(310)에 포함된 소정의 액체의 기존 배합량을 증감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first humidity data is other than the predetermined humidity threshold, the existing mixing amount of the predetermined liquid included in the accommodating part 310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예를 들어, 프로세서(260)는, 상기 습도 임계값이 25퍼센트(%)로 설정되고, 상기 제1 습도 데이터가 20퍼센트(%)인 경우, 상기 수용부(310)에 포함된 소정의 액체(예컨대, 물 등)의 배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동일 조건 하에서 제1 습도 데이터가 30퍼센트(%)인 경우, 프로세서(260)는 수용부(310)에 포함된 소정의 액체의 배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humidity threshold is set to 25 percent (%) and the first humidity data is 20 percent (%), the processor 260 determines the liquid contained in the container 310. (For example, water, etc.) can be increased. Meanwhile, when the first humidity data is 30% (%)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processor 260 may reduce the mixing amount of the predetermined liquid included in the accommodation unit 310 .

이와 같이, 프로세서(260)는, 획득한 습도 데이터가 습도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 수용부(310)에 투입되는 소정의 액체의 배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반면, 획득한 습도 데이터가 습도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 수용부(310)에 투입되는 소정의 액체의 배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processor 260 may reduce the mixing amount of the predetermined liquid injected into the accommodating unit 310 when the acquired humidity data is higher than the humidity threshold. On the other hand, when the obtained humidity data is lower than the humidity threshold value, the mixing amount of a predetermined liquid injected into the accommodating unit 310 may be increased.

이처럼, 프로세서(260)는,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주변 습도 데이터에 따라서 식생토에 투입되는 소정의 액체(예컨대, 물 등) 양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드론(200) 주변의 습도 환경에 상에서 식생토에 배합된 시드가 보다 용이하게 식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this way, the processor 260 adjusts the amount of a predetermined liquid (eg, water, etc.) injected into the vegetation soil according to the ambient humidity data that changes in real time, so that the humidity environment around the drone 200 is applied to the vegetation soil. There is an effect of allowing the mixed seeds to be more easily vegetated.

즉, 프로세서(260)는, 복수의 수용부에 투입된 각각의 재료에 매칭되어 기설정된 값(실시예에서, 각도 기준값, 생존 온도값, 온도 임계값 및/또는 습도 임계값 등)과, 상기 획득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식생토에 배합되는 재료 별 배합량을 결정할 수 있다. That is, the processor 260 matches a predetermined value (in an embodiment, an angle reference value, a survival temperature value, a temperature threshold value, and/or a humidity threshold value, etc.) matched to each material put into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units, and the obtained Based on the sensed data,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mixing amount of each material to be mixed with vegetation soil.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60)는, 위와 같이 결정된 재료 별 배합량에 기초하여 상기 식생토의 배합 비율을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설정된 배합 비율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수용부 내 재료들을 배합한 식생토를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the processor 260 may set the mixing ratio of the vegetation soil based on the mixing amount for each material determined as above, and generate vegetation soil mixing the materials in the plurality of housings according to the set mixing ratio. can do.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60)는, 위와 같이 설정된 배합 비율(및/또는 배합량)을 기초로 시드 스프레이의 가압부(320)를 제어하여, 복수의 수용부 내 각각의 재료를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시드 스프레이의 배합부로 배출할 수 있다.In detail, in the embodiment, the processor 260 controls the pressurization part 320 of the seed spray based on the blending ratio (and/or blending amount) set as above, so that each material in the plurality of containing parts is removed from the containing part. It can be discharged to the mixing part of the seed spray.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60)는, 상기 배합부(330)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수용부 각각으로부터 배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료를 배합할 수 있다. Also, in the embodiment, the processor 260 may control the mixing unit 330 to mix at least one or more materials discharg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receiving units.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60)는, 상기 배합부가 포함하는 믹서날을 이용하여 상기 배합부로 유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생토 재료들을 골고루 섞이도록 배합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260 may blend at least one or more vegetation soil materials introduced into the mixing unit to be evenly mixed using a mixer blade included in the mixing unit.

그리하여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60)는, 복수의 센싱 데이터에 따른 내/외부 환경 조건에 따라서 결정된 식생토 재료 별 배합량(배합 비율)에 기초하여 배합된 식생토를 생성할 수 있다. 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the processor 260 may generate mixed vegetation soil based on the mixing amount (mixing ratio) for each vegetation soil material determined according to internal/ex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s according to a plurality of sensing data.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시스템은, 식생토를 구성하는 재료들의 배합량을 획일적으로 지정하여 지표면에 토출할 시 식생토가 지표면에 불안정하게 안착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지형 및/또는 기후 등과 같이 변동성을 가지는 드론(200) 주변 환경에 최적화된 배합 비율을 토대로 생성된 식생토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the vegetation soil generation and dischar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iformly designates the mixing amount of the materials constituting the vegetation soil and prevents the vegetation soil from being unstablely settled on the ground surface when discharged to the ground surface. There is an effect of manufacturing vegetation soil generated based on a mixing ratio optimized for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drone 200 having variability such as and/or climate.

다시 돌아와서, 다음으로 프로세서(260)는, 획득된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토출 방향각을 결정할 수 있다. (S107) Returning again, the processor 260 may then determine a discharge direction angle based on the acquired sensing data. (S107)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200)이 센싱 데이터를 기반으로 토출부(340)의 토출 방향각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13 is an example of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charge direction angle of the discharge unit 340 based on sensing data by the dron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고하면, 프로세서(260)는, 획득된 센싱 데이터의 지표면 경사각 데이터 및/또는 적외선 반사량 데이터를 기초로 토출 방향각을 변화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 the processor 260 may change the discharge direction angle based on the ground surface inclination angle data and/or infrared reflectance data of the obtained sensing data.

여기서, 상기 토출 방향각이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부(340)가 식생토를 배출하기 위하여 형성하는 토출 방향 및/또는 토출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Here, the discharge direction angle may mean a discharge direction and/or a discharge angle formed by the discharge unit 3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ischarge vegetation soil.

자세히, 상기 토출부(340)는, 상기 토출부(340)에 포함된 각도 조정부(346)에 의해 토출 방향각이 변화될 수 있고, 변화된 토출 방향각에 따라 틸팅(Tilting)된 허리케인 분사부(342)의 토출구(345)로 식생토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In detail, in the discharge unit 340, the discharge direction angle can be changed by the angle adjustment unit 346 included in the discharge unit 340, and the hurricane jetting unit tilted according to the changed discharge direction angle ( The vegetation soil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345 of 342).

즉,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260)가 상기 토출부(340)의 토출 방향각을 제어한다는 것은, 상기 토출부(340)에 포함된 각도 조정부(346)를 제어하여 상기 결정된 토출 방향각만큼 토출부(340)를 기울이고, 상기 토출부(340)에 포함된 토출구(345)도 상기 토출 방향각만큼 기울어진 상태에서 식생토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embodiment, the processor 260 controls the discharge direction angle of the discharge unit 340 by controlling the angle adjustment unit 346 included in the discharge unit 340 to discharge as much as the determined discharge direction angle. This may mean that vegetation soil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a state in which the portion 340 is tilted and the discharge port 345 included in the discharge portion 340 is also tilted by the discharge direction angle.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60)는, 지표면 경사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토출 방향각을 조정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260 may adjust the discharge direction angle based on ground surface inclination angle data.

일반적으로, 식생토를 토출하고자 하는 지표면이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는 경우, 해당 기울기와 평행하지 않은 상태로 식생토를 토출할 시 상기 기울기에 의해서 상기 토출된 식생토가 해당하는 경사면의 하측방향으로 이동하여 밀집됨으로써, 토출된 식생토가 불균등하게 분포될 수 있다.In general, when the ground surface to which vegetation soil is to be discharged has a predetermined slope, when the vegetation soil is discharged in a state that is not parallel to the slope, the discharged vegetation soil moves downward of the corresponding slope due to the slope As a result, the discharged vegetation soil may be unevenly distributed.

그리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60)는,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상기 지표면 경사각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토출부(340)가 해당하는 지표면의 경사각과 평행한 토출 방향각을 형성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According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260 may adjust the discharge unit 340 to form a discharge direction angle parallel to the corresponding inclination angle of the ground surface based on the ground surface inclination angle data obtained in real time.

예를 들어, 프로세서(260)는, 실시간으로 수집된 지표면 경사각 데이터가 45도(˚)인 경우, 상기 토출부(340)의 토출 방향각을 상기 지표면 경사각과 동일한 45도(˚)로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inclination angle data of the ground surface collected in real time is 45 degrees, the processor 260 may set the discharge direction angle of the discharge unit 340 to be the same as the ground surface inclination angle of 45 degrees. there is.

또한, 프로세서(260)는, 위와 같이 설정된 토출 방향각을 기초로 상기 토출부의 각도 조정부(346)를 제어할 수 있다. Also, the processor 260 may control the angle adjustment unit 346 of the discharge unit based on the discharge direction angle set as described above.

그리하여 프로세서(260)는, 식생토를 토출하고자 하는 실시간 지표면의 경사각과 평행한 토출 방향각을 가지고 상기 토출부(340)로부터 상기 지표면 상으로 식생토를 배출하게 할 수 있다. Thus, the processor 260 may have the vegetation soil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340 onto the ground surface with a discharge direction angle parallel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ground surface in real time to discharge the vegetation soil.

따라서 프로세서(260)는, 소정의 경사를 가진 지표면에도 식생토가 원만하게 안정적으로 안착하게 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rocessor 260 can smoothly and stably settle the vegetation soil on the groun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slope.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60)는, 적외선 반사량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토출 방향각을 조정할 수 있다. Also, 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260 may adjust the discharge direction angle based on infrared reflection amount data.

자세히, 프로세서(260)는, 지표면 상에 토출된 식생토가 포함하는 적외선 반사물질을 기초로 적외선 반사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획득된 적외선 반사량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토출 방향각을 조정할 수 있다. In detail, the processor 260 may obtain infrared reflectance data based on an infrared reflective material included in vegetation soil discharged on the ground surface, and adjust the discharge direction angle based on the acquired infrared reflectance data. .

보다 상세히, 프로세서(260)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지표면 상의 식생토 상으로 적외선을 발사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processor 260 may emit infrared rays onto vegetation soil on the ground surface using an infrared sensor.

또한, 프로세서(260)는, 상기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식생토가 포함하는 소정의 적외선 반사물질이 상기 발사된 적외선을 반사시킴으로서 획득되는 적외선 반사량을 측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260 may use the infrared sensor to measure an amount of infrared reflection obtained by reflecting the emitted infrared light from a predetermined infrared reflecting material included in the vegetation soil.

이때, 프로세서(260)는, 위와 같이 측정된 적외선 반사량 데이터가 상기 지표면 상의 소정의 영역에 과다 및/또는 부족한 경우, 상기 식생토가 상기 지표면 상에 불균등하게 분포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rocessor 260 may determine that the vegetation soil is unevenly distributed on the ground surface when the infrared reflectance data measured as above is excessive and/or insufficient in a predetermined area on the ground surface.

자세히, 도 12를 더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60)는, 상기 식생토가 뿌려진 제1 지표면 영역(A1)을 소정의 기준(예컨대, 기설정된 크기 및/또는 개수 등)에 따른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In detail, further referring to FIG. 12 , in the embodiment, the processor 260 divides the first ground surface area A1 on which the vegetation soil is sprinkled into a plurality of area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eg, a preset size and/or number). can be divided into areas.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260)는, 위와 같이 구분된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지표면 영역(A1)에 적외선을 발사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2 , the processor 260 may emit infrared rays to the first land surface area A1 including a plurality of areas divided as above.

또한, 프로세서(260)는, 상기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지표면 영역(A1)이 포함하는 적외선 반사물질을 기초로 상기 발사된 적외선이 반사되는 양(실시예에서, 적외선 반사량)을 측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260 may measure the reflected amount of the emitted infrared rays (in the embodiment, the reflected amount of infrared rays) based on the infrared reflective material included in the first ground surface area A1 using the infrared sensor. can

이때, 프로세서(260)는, 상기 제1 지표면 영역(A1)이 포함하는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한 적외선 반사량을 측정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rocessor 260 may measure the infrared reflection amount for each of a plurality of areas included in the first ground surface area A1 .

실시예로, 프로세서(260)는, 상기 제1 지표면 영역(A1)을 복수의 서브영역(예컨대, 제1 서브영역, 제2 서브영역, …, 제n 서브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processor 260 may divide the first ground surface area A1 into a plurality of sub areas (eg, a first sub area, a second sub area, ..., an n th sub area).

또한, 프로세서(260)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지표면 영역(A1) 상에 적외선을 발사할 수 있다. Also, the processor 260 may emit infrared rays onto the first ground surface area A1 including the plurality of sub-areas by using an infrared sensor.

또한, 프로세서(260)는, 상기 적외선이 입사된 상기 복수의 서브영역 상의 식생토가 포함하는 적외선 반사물질의 양에 따라서, 서로 다른 적외선 반사량을 상기 복수의 서브영역 각각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260 may obtain different amounts of reflected infrared rays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sub-regions according to the amount of infrared reflective material included in vegetation soil on the plurality of sub-regions where the infrared rays are incident.

그리하여 프로세서(260)는, 상기 제1 지표면 영역(A1)에서 소정의 기준에 따라 구분된 복수의 영역 각각에 대한 적외선 반사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Thus, the processor 260 may obtain infrared reflectance data for each of a plurality of areas classifi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in the first ground surface area A1 .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60)는, 상기 복수의 서브영역 각각에 대하여 획득된 복수의 적외선 반사량 데이터를 기초로 식생토의 밀집도를 파악할 수 있다. Also, 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260 may determine the density of vegetation soil based on a plurality of infrared reflectance data obtain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ub-regions.

자세히, 프로세서(260)는, 상기 복수의 서브영역 각각에 대한 적외선 반사량 데이터(이하, 서브 반사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지표면 영역(A1)에 대한 전체 적외선 반사량 데이터(이하, 전체 반사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In detail, the processor 260 determines total infrared reflectance data (hereinafter, total reflectance data) for the first ground surface area A1 based on the infrared reflectance data (hereinafter, sub-reflectance data)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ub-regions. can be obtained.

예를 들면, 프로세서(260)는, 상기 서브 반사량 데이터의 총합에 기초하여 상기 전체 반사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cessor 260 may obtain the total amount of reflection data based on the sum of the sub-reflection amount data.

또한, 프로세서(260)는, 상기 각 서브 반사량 데이터 및 상기 전체 반사량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제1 지표면 영역(A1) 내 각 서브영역 별 밀집도를 추정할 수 있다. Also, the processor 260 may estimate the density of each sub-area within the first ground surface area A1 based on the respective sub-reflectance data and the total reflectance data.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60)는, 제1 지표면 영역(A1)에 대한 전체 반사량 데이터 대비 제1 서브영역(SA1)에 대한 제1 서브 반사량 데이터(즉, '제1 서브 반사량 데이터/전체 반사량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서브영역(SA1)에 대한 밀집도를 산출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rocessor 260 compares the total reflectance data for the first ground surface area A1 to the first sub-reflectance data for the first sub-area SA1 (ie, 'first sub-reflectance data/total reflectance data'). ), the density of the first subarea SA1 may be calculated.

동일한 방식으로, 프로세서(260)는, 제1 지표면 영역(A1)에 대한 전체 반사량 데이터 대비 제n 서브영역에 대한 제n 서브 반사량 데이터(즉, '제n 서브 반사량 데이터/전체 반사량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제n 서브영역에 대한 밀집도를 산출할 수 있다.In the same way, the processor 260 calculates the total reflectance data for the first ground surface area A1 versus the n-th sub-reflectance data for the n-th sub-region (ie, 'n-th sub-reflectance data/total reflectance data').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density of the n-th sub-region.

예를 들면, 프로세서(260)는, 상기 전체 반사량 데이터가 '100'이고 상기 제1 서브 반사량 데이터가 '10'인 경우, 상기 제1 서브영역(SA1)에 대한 밀집도를 10%로 산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cessor 260 may calculate the density of the first sub area SA1 as 10% when the total reflection amount data is '100' and the first sub reflection amount data is '10'. there is.

다른 예시로, 프로세서(260)는, 상기 전체 반사량 데이터가 '100'이고 제2 서브 반사량 데이터가 '30'인 경우, 상기 제2 서브영역(SA2)에 대한 밀집도를 30%로 산출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processor 260 may calculate the density of the second sub area SA2 as 30% when the total reflection amount data is '100' and the second sub reflection amount data is '30'. .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60)는, 위와 같이 각 서브영역 별로 산출된 밀집도에 기초하여 상기 토출부(340)의 토출 방향각을 설정할 수 있다. Also, 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260 may set the discharge direction angle of the discharge unit 340 based on the density calculated for each sub-area as described above.

자세히, 프로세서(260)는, 위와 같이 각 서브영역에 대하여 산출된 밀집도가 소정의 기준(예컨대, 소정의 밀집도 이하 등)을 충족하면, 해당 서브영역을 식생토 부족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In detail, the processor 260 may set the corresponding sub-area as an area lacking vegetation when the density calculated for each sub-area satisfies a predetermined criterion (eg,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density).

또한, 프로세서(260)는, 상기 부족 영역 상으로 상기 식생토가 집중 토출되도록 상기 토출 방향각을 조정할 수 있다. Also, the processor 260 may adjust the discharge direction angle so that the vegetation soil is intensively discharged onto the insufficient area.

예를 들면, 프로세서(260)는, 상기 밀집도에 대한 소정의 기준이 '밀집도 20% 이하'이고, 상기 제1 지표면 영역(A1)이 포함하는 제1 서브영역(SA1)의 밀집도가 '10%'인 경우, 상기 제1 서브영역(SA1)을 식생토 부족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1 서브영역(SA1) 측을 향하도록 토출부(340)의 토출 방향각을 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cessor 260 determines that the predetermined criterion for the density is 'density of 20% or less' and the density of the first subarea SA1 included in the first land surface area A1 is '10%'. ', the first sub area SA1 may be set as an area lacking vegetation soil, and the discharge direction angle of the discharge unit 340 may be adjusted to face the first sub area SA1.

한편, 프로세서(260)는, 위와 같이 각 서브영역에 대하여 산출된 밀집도가 소정의 기준(예컨대, 소정의 밀집도 이상 등)을 충족하면, 해당 서브영역을 식생토 과다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Meanwhile, the processor 260 may set the corresponding sub-area as an area with excessive vegetation when the density calculated for each sub-area as described above satisfies a predetermined criterion (eg, a predetermined density or more).

또한, 프로세서(260)는, 상기 과다 영역을 회피하여 상기 식생토가 토출되도록 상기 토출 방향각을 조정할 수 있다. Also, the processor 260 may adjust the discharge direction angle so that the vegetation soil is discharged while avoiding the excessive area.

예를 들면, 프로세서(260)는, 상기 밀집도에 대한 소정의 기준이 '밀집도 20% 이하'이고, 상기 제1 지표면 영역(A1)이 포함하는 제2 서브영역(SA2)의 밀집도가 '30%'인 경우, 상기 제2 서브영역(SA2)을 식생토 과다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 서브영역(SA2) 이외의 서브영역 측을 향하도록 토출부의 토출 방향각을 조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cessor 260 determines that the predetermined criterion for the density is 'density of 20% or less' and the density of the second subarea SA2 included in the first surface area A1 is '30%'. ', the second sub area SA2 may be set as an area with excess vegetation soil, and the discharge direction angle of the discharge unit may be adjusted to face a sub area other than the second sub area SA2.

즉,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60)는, 드론(200)의 비행 이동에 따라 변화하는 실시간 지표면 경사각 및/또는 적외선 반사량에 따라서 토출 방향 및/또는 각도를 설정한 정보인 토출 방향각을 상술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고, 이와 같이 결정된 토출 방향각을 기초로 토출부(340)를 제어할 수 있다.That is, in the embodiment, the processor 260 sets the discharge direction angle, which is information for setting the discharge direction and/or angle according to the real-time ground surface inclination angle and/or infrared reflection amount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flight movement of the drone 200,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determined in the same way, and the discharge unit 340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discharge direction angle determined in this way.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200) 기반의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은, 식생토를 토출할 영역의 지형 등을 파악하여 토출부(340)의 토출 방향각을 결정함으로써, 식생토가 해당하는 지표면 상에 안정적으로 정착되게 할 수 있다.Therefore, the drone 200-based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on and discharge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rasps the topography of the area where vegetation soil is to be discharged, and the discharge direction angle of the discharge unit 340. By determining , the vegetation soil can be stably settled on the corresponding ground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200) 기반의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은, 식생토를 토출한 영역에 대한 적외선 반사량의 부족 및/또는 과다 여부를 기초로 상기 식생토가 지표면 상에 균일하게 분포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식생토가 불균일하게 분포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적외선 반사량을 기초로 토출부(340)의 토출 방향각을 조정하여 상기 식생토가 지표면 상에 고르고 넓게 분포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one 200-based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on and discharge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insufficient and / or excessive amount of infrared ray reflection with respect to the area where the vegetation soil is discharge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vegetation soil is uniformly distributed on the ground surfac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egetation soil is non-uniformly distributed, the discharge direction angle of the discharge unit 340 is adjusted based on the amount of reflected infrared rays so that the vegetation soil is distributed on the ground surface. It can be evenly and widely distributed over the phase.

다시 돌아와서, 다음으로 프로세서(260)는, 설정된 토출 방향각을 기초로 식생토를 배출할 수 있다. (S109) Returning again, the processor 260 may discharge vegetation soil based on the set discharge direction angle. (S109)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60)는, 드론(200) 주변에 대한 지표면 경사각 데이터 및/또는 적외선 반사량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설정된 토출 방향각에 따라 상기 드론(200)의 시드 스프레이(300)가 포함하는 토출부(340)를 소정의 기울기로 기울여 식생토를 배출할 수 있다.In detail, in the embodiment, the processor 260 includes the seed spray 300 of the drone 200 according to the set discharge direction angle based on the inclination angle data of the ground surface and/or the infrared reflectance data for the surroundings of the drone 200. Vegetation soil may be discharged by tilting the discharge unit 340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또한, 상기 토출부(340)를 소정의 기울기로 기울여 식생토를 배출할 시, 프로세서(260)는, 상기 식생토를 지표면 상에 더욱 고르고 넓게 살포하기 위해 허리케인 분사부(342)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ischarge unit 340 is tilted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to discharge the vegetation soil, the processor 260 may control the hurricane injection unit 342 to spread the vegetation soil more evenly and widely on the ground surface. there is.

보다 상세히, 상기 프로세서(260)는, 상기 토출부(340)의 유도로(341)를 거쳐 허리케인 분사부(342)의 노즐부(343)에 포함된 복수의 노즐(실시예에서, 제1 노즐(343a), 제2 노즐(343b) 및/또는 제3 노즐(343c))로 유입된 상기 식생토를 배출할 시, 상기 허리케인 분사부(342)의 프로펠러부(344)에 포함된 제2 모터를 가동시킬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processor 260 passes through the induction path 341 of the discharge unit 340 to a plurality of nozzles (in the embodiment, the first nozzle included in the nozzle unit 343 of the hurricane spray unit 342). 343a, the second motor included in the propeller unit 344 of the hurricane spray unit 342 when discharging the vegetation soil introduced into the second nozzle 343b and/or the third nozzle 343c. can activate.

또한, 프로세서(260)는, 상기 가동된 제2 모터에 의하여 발생된 회전력을 기초로 상기 프로펠러부(344)를 회전시킬 수 있다. Also, the processor 260 may rotate the propeller unit 344 based on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second motor.

그리하여 프로세서(260)는, 상기 프로펠러부(344)의 회전에 따른 송풍을 발생시킬 수 있다. Thus, the processor 260 may generate air blowing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propeller unit 344 .

또한, 프로세서(260)는, 상기 발생된 송풍을 상기 복수의 토출구(345a, 345b, 345c) 각각으로부터 배출되는 식생토로 전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260 may transfer the generated blowing air to vegetation soil discharg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outlets 345a, 345b, and 345c.

따라서, 프로세서(260)는, 상기 복수의 토출구(345a, 345b, 345c) 각각으로부터 배출되는 식생토를 더욱 광범위하게 분산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식생토가 토출되는 영역을 방대한 영역으로 확장하여 식생토 토출 작업의 효율성을 제고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processor 260 can more widely disperse the vegetation soil discharg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345a, 345b, and 345c, and through this, the area where the vegetation soil is discharged can be expanded to a vast area to The efficiency of the discharge operation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생토 생성 및 토출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60)는, 시드 스프레이(300)의 전력 상황 모니터링 및 전력 공급을 수행할 수 있다. (S111) In addition, in performing the method of generating and discharging vegetation soil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26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monitor the power status of the seed spray 300 and supply power. . (S111)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60)는, 시드 스프레이(300)의 배터리(350) 잔량을 지속적(예컨대, 실시간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 등)으로 확인함으로써 상기 시드 스프레이(300)의 전력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In detail, in the embodiment, the processor 260 continuously check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350 of the seed spray 300 (eg, in real time or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o monitor the power status of the seed spray 300. can

이때, 프로세서(260)는, 상기 시드 스프레이(300)의 전력 상황을 모니터링하던 중 상기 배터리(350) 잔량이 소정의 기준(예컨대, 소정의 수치) 이하로 떨어진 경우, 전원 유닛(220)을 제어하여 상기 시드 스프레이(300)의 배터리(350)로 소정의 전력 공급을 수행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rocessor 260 controls the power unit 220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350 falls below a predetermined standard (eg, a predetermined value) while monitoring the power status of the seed spray 300. Thus, predetermined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battery 350 of the seed spray 300.

예를 들어, 프로세서(260)는, 수집된 배터리 잔량 데이터가 소정의 기준(예컨대, 10 퍼센트(%) 이하 등)을 충족하는 경우, 시드 스프레이(300)의 배터리(350) 잔여 전력이 부족함을 감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260 determines that the remaining power of the battery 350 of the seed spray 300 is insufficient when the collected battery remaining amount data meets a predetermined criterion (eg, 10 percent (%) or less). can detect

그리고 프로세서(260)는, 상기 전원 유닛(220)을 제어하여 상기 시드 스프레이(300)의 배터리(350)로 소정의 전력 공급을 수행할 수 있다. Further, the processor 260 may control the power unit 220 to supply predetermined power to the battery 350 of the seed spray 300 .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60)는, 상기 시드 스프레이로부터 상기 배터리(350) 잔여 전력의 부족을 알리는 잔량 부족 알람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processor 260 may receive an alarm signal indicating insufficient remaining power of the battery 350 from the seed spray.

자세히, 실시예에서 상기 시드 스프레이의 서브 프로세서(370)는, 배터리(350) 잔량을 지속적(예컨대, 실시간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 등)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In detail, in the embodiment, the sub-processor 370 of the seed spray may continuously monitor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350 (eg, in real time or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또한, 상기 서브 프로세서(370)는, 상기 배터리 잔량이 소정의 기준(예컨대, 10 퍼센트(%) 이하 등)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350) 잔여 전력이 부족함을 감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bprocessor 370 may detect that the remaining power of the battery 350 is insufficient when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meets a predetermined criterion (eg, 10 percent or less).

또한, 상기 서브 프로세서(370)는, 상기 배터리(350) 잔여 전력 부족이 감지되면, 상기 잔여 전력 부족을 알리는 잔량 부족 알람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b-processor 370 may generate a remaining power shortage alarm signal informing of the remaining power shortage when the remaining power shortage of the battery 350 is detected.

또한, 상기 서브 프로세서(370)는, 상기 생성된 잔량 부족 알람신호를 상기 테더 드론의 프로세서(260)로 송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b-processor 370 may transmit the generated alarm signal to the processor 260 of the tethered drone.

또한, 상기 서브 프로세서(370)로부터 상기 잔량 부족 알람신호를 수신한 프로세서(260)는, 상기 전원 유닛(220)을 제어하여 상기 시드 스프레이(300)의 배터리(350)로 소정의 전력 공급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260 receiving the low battery level alarm signal from the sub-processor 370 controls the power unit 220 to supply a predetermined amount of power to the battery 350 of the seed spray 300. can do.

이때,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60)는,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362) 및/또는 유선 데이터 송수신부(361)를 이용하여 상기 전원 유닛(220)으로부터 상기 시드 스프레이(300)의 배터리(350)로 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the processor 260 transmits from the power unit 220 to the battery 350 of the seed spray 300 using the wireless data transceiver 362 and/or the wired data transceiver 361. power can be applied.

이와 같이, 프로세서(260)는, 지상 스테이션으로부터의 전력 공급만으로는 상기 시드 스프레이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이 원활히 인가되기 어려운 경우, 상기 테더 드론의 전원유닛을 더 공급받음으로써, 전력 부족과 같은 비상상황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processor 260, when it is difficult to smoothly apply the power necessary for driving the seed spray only with the power supply from the ground station, receives additional power supply from the tether drone to respond to emergencies such as power shortage. can be dealt with easily.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은, 식생토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탑재하고, 상기 탑재된 재료를 드론에 기초하여 배합해 상기 식생토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식생토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상기 재료 별 배합량을 일일이 계량하여 투입해야 하는 어려움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system thereof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oad at least one material constituting vegetation soil, and mix the loaded material based on the drone to form the vegetation soil. By generating,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the difficulty of individually weighing and inputting the mixing amount for each material required to manufacture the vegetation soi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은, 장치 내부에서 섞인 식생토를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배출구를 가짐으로써, 상기 식생토의 배출 범위를 복수의 배출구에 따른 복수의 배출 범위로 확장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system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plurality of outlets for discharging the vegetation soil mixed inside the device to the outside, so that the discharge range of the vegetation soil can be set to a plurality of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xpanded to a plurality of discharge ranges according to the discharge por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은, 장치 외부로 토출된 식생토를 분산하기 위해 추진력을 제공할만한 부품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식생토를 지면상에 광범위하게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pensing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component capable of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disperse the vegetation soil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thereby distributing the vegetation soil on the ground. It has the effect of being widely dispers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은, 드론의 주변 환경을 센싱하고 상기 센싱된 주변 환경에 따른 최적의 비율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배합하여 상기 식생토를 생성함으로써, 식생토 살포 환경 상에서 상기 식생토 내 시드(seed)의 식생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system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drone and mixes the at least one material in an optimal ratio according to the sensed surrounding environment. By generating the vegetation soil, there is an effect of cre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the vegetation of the seed in the vegetation soil can be more smoothly performed on the vegetation soil spraying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은, 복수의 전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장치 간 유동적인 전력 인가를 지원함으로써, 일 전원 장치의 전력이 과도하게 부족해지는 등과 같은 비상상황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plurality of power devices and support flexible power application between the power devices, so that the power of one power device is excessiv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asily cope with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shortag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은, 테더 드론을 이용하여 식생토를 구성하는 재료 별 배합량을 자체적/자동적으로 설정하여, 상기 재료 별 수동 계량을 일일이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등 식생토 배합 시 작업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pensing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f/automatically set the mixing amount for each material constituting the vegetation soil using a tether drone to manually measure each material.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workers when mixing vegetation soil, such as not having to do it individual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은, 서로 다른 직경의 시드를 하나의 수용부에 투입하더라도 원하는 크기 및/또는 종류의 시드만을 포함하는 식생토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조성하고자 하는 식생 환경에 적합한 시드만을 편리하게 선별하여 상기 식생토에 배합해 살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vegetation soil containing only seeds of a desired size and/or type even when seeds of different diameters are put into one receiving part. Since it can be manufactured, there is an effect of conveniently selecting only seeds suitable for the vegetation environment to be created and mixing them with the vegetation soil and spraying them.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은, 식생토를 토출하고자 하는 영역이 급경사를 가지는 등의 위험한 지형이더라도 테더 드론을 이용하여 안전한 식생토 살포 작업을 수행하게 하여, 식생토 토출 작업 시 작업자의 위험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on and discharge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afely spray vegetation soil using a tether drone even if the area to discharge vegetation soil has a dangerous terrain such as a steep slope. By doing this,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risk burden of workers during the discharge of vegetation soi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은, 테더 드론의 주변 지형 및/또는 기후 상태 등과 같은 주변 환경 조건에 따라서 상기 식생토를 구성하는 재료 별 배합량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식생토 내 시드가 해당 환경 상에서 보다 원활하게 자라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xing amount of each material constituting the vegetation soil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the surrounding terrain and/or climate conditions of the tether drone. By adjusting, there is an effect of allowing the seeds in the vegetation soil to grow more smoothly in the corresponding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은, 지표면 상에 살포된 식생토의 밀집도를 파악하여 밀집 편차를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식생토가 상기 지표면 상에 고르게 분사되어 식생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density of vegetation soil spread on the ground surface and reduces the density deviation, so that the vegetation soil is evenly sprayed on the ground surface. It has the effect of creating veget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론 기반의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및 그 시스템은, 테더 드론의 주변의 지표면의 경사각에 따라서 상기 식생토를 배출하는 토출 방향각을 조정함으로써, 어떠한 경사각을 가진 지표면일지라도 해당 지표면에 시드를 안정적이고 균일하게 분사하여 황폐화된 산림 및 비탈지 등의 미관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In addition, the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discharge direction angle for discharging the vegetation soil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ground surface around the tether drone, so that any inclination angle Even if it is the ground surface,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aesthetics of devastated forests and slopes by spraying seeds stably and uniformly on the surface. In additio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um),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generated by a compiler. A hardware device may be modified with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Specific implementation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For brevity of the specification, description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mponents, control systems, software, and other functional aspects of the systems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of lines or connecting member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are examples of functional connections and / 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which can be replaced in actual devices or additional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connection, or circuit connections. In addition, if there is no specific reference such as “essential” or “important”, it may not be a component necessarily required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will fi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Claims (10)

식생토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내장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 내 식생토를 분산 수용하는 복수의 통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노즐과, 상기 복수의 노즐 각각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식생토를 외부로 토출하는 복수의 토출구와, 상기 복수의 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식생토에 송풍하는 프로펠러부를 포함하는 토출부; 및
소정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노즐 및 상기 프로펠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A receiving unit for embedding at least one material constituting vegetation soil;
A plurality of nozzles providing a plurality of passages for distributing and accommodating the vegetation soil in the accommodating unit,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disposed at 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nozzles and discharging the vegetation soil to the outside, and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A discharge unit including a propeller unit for blowing air to the vegetation soil;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a motor providing a predetermined rotational force to rotat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nozzles and the propeller unit;
Vegetation soil creation and discharge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내외부 환경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토출부로부터 상기 식생토가 배출되는 방향각을 나타내는 토출 방향각을 결정하는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 sensor unit for obtaining sensing data for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of the accommodation unit,
the processor,
Determining a discharge direction angle indicating a direction angle at which the vegetation soil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based on the sensing data
Vegetation soil creation and discharge devic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토출 방향각을 기초로 상기 토출부의 방향각을 조정하는 각도 조정부를 제어하는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processor,
Controlling an angle adjusting unit that adjusts the direction angle of the discharge unit based on the determined discharge direction angle
Vegetation soil creation and discharge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식생토를 내장하는 캡슐형 카트리지를 탈착 가능한 형태인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iving part,
A detachable form of a capsule-type cartridge embedding the vegetation soil
Vegetation soil creation and discharge devic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부를 제어하여, 지면의 경사각을 측정한 지표면 경사각 데이터, 상기 식생토가 포함하는 적외선 반사물질을 기초로 적외선 반사량을 측정한 적외선 반사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센싱 데이터로 획득하는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processor,
Controlling the sensor unit to obtain at least one of ground surface inclination data obtained by measur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ground and infrared reflective amount data obtained by measuring the infrared reflective amount based on the infrared reflective material included in the vegetation soil as the sensing data.
Vegetation soil creation and discharge devic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지표면 경사각 데이터 및 상기 적외선 반사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토출 방향각을 결정하는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processor,
Determining the discharge direction angle based on at least one data of the ground surface inclination angle data and the infrared reflection amount data
Vegetation soil creation and discharge devic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부를 제어하여, 상기 지면이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영역 각각에 대한 상기 적외선 반사량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적외선 반사량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지면 상의 식생토에 대한 밀집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밀집도를 기초로 상기 토출 방향각을 결정하는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processor,
Controlling the sensor unit to obtain the infrared reflectance data for each of a plurality of sub-regions included in the ground;
Determining the density of vegetation soil on the ground based on the obtained infrared reflectance data,
Determining the discharge direction angle based on the determined density
Vegetation soil creation and discharge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복수의 시드를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시드를 선택적으로 상기 식생토에 포함시키는 분류부를 더 포함하는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iving part,
Further comprising a classification unit for classifying a plurality of seeds and selectively including the classified seeds in the vegetation soil
Vegetation soil creation and discharge devic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부는,
상기 복수의 시드를 분류하는 제1 홀(hole)을 포함하는 정렬 플레이트와,
상기 정렬 플레이트의 제1 홀의 통과한 시드를 상기 식생토에 선택적으로 포함시키는 제2 홀을 포함하는 개폐 플레이트와,
상기 정렬 플레이트에 소정의 진동을 가하는 진동부와,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 중 적어도 하나의 홀의 직경을 조정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진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정렬 플레이트에 소정의 진동을 공급하고,
상기 개폐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 중 적어도 하나의 홀의 직경을 조정하는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classification unit,
An alignment plate including a first hole for sorting the plurality of seeds;
An opening and closing plate including a second hole for selectively including seeds passing through the first hole of the alignment plate into the vegetation soil;
a vibration unit for applying a predetermined vibration to the alignment plate;
Including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for adjusting the diameter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hole and the second hole,
the processor,
Controlling the vibration unit to supply predetermined vibration to the alignment plate;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to adjust the diameter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hole and the second hole
Vegetation soil creation and discharge device.
식생토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재료를 내장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내 식생토를 분산 수용하는 복수의 통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노즐과, 상기 복수의 노즐 각각의 일단에 배치되어 상기 식생토를 외부로 토출하는 복수의 토출구와, 상기 복수의 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식생토에 송풍하는 프로펠러부를 포함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시드 스프레이; 및
소정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노즐 및 상기 프로펠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회전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드론을 포함하는
식생토 생성 및 토출 시스템.
An accommodating part containing at least one material constituting vegetation soil;
A plurality of nozzles providing a plurality of passages for distributing and accommodating the vegetation soil in the accommodating unit,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disposed at 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nozzles and discharging the vegetation soil to the outside, and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Seed spray including a discharge unit including a propeller unit for blowing the vegetation soil to be; and
A drone including a processor that rotates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nozzles and the propeller by controlling a motor providing a predetermined rotational force
Vegetation soil creation and discharge system.
KR1020210123491A 2021-09-15 2021-09-15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its system KR2023004019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491A KR20230040193A (en) 2021-09-15 2021-09-15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its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491A KR20230040193A (en) 2021-09-15 2021-09-15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its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193A true KR20230040193A (en) 2023-03-22

Family

ID=86005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491A KR20230040193A (en) 2021-09-15 2021-09-15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its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0193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51315A (en) 2018-02-28 2019-09-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Winker lamp attachment structure of saddle-riding type veh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51315A (en) 2018-02-28 2019-09-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Winker lamp attachment structure of saddle-riding type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43722B (en) Flight control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11338921B2 (en) Disbursement system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US1110443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employment of drones in firefighting activities
US10266265B2 (en) Spraying system having a liquid flow and rotating speed feedback
US201900313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unmanned vehicle and releasing a payload from the same
US11868144B2 (en) Drone system, drone, plan management apparatus, plan management method for drone system, and plan management program for drone system
CN107635872A (en) Brushless pump electric system
JP2020508925A (en) Windshield aerial spraying method and system
JP6651682B1 (en) Material distribution system and material distribution device
CN113165753B (en)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unmanned aerial vehicle, mobile body, control method for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WO2020111096A1 (en) Work planning device, control method for work planning device, and, control program therefor, and drone
US20220024588A1 (en) Drone system, drone, movable body, drone system control method, and drone system control program
KR20230040193A (en) Drone-based vegetation soil gene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and its system
CN113412053B (en)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control method of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DE102020114605B4 (en) Fluid transport and distribution system
JP2022025162A (en) Drone system
US12001225B2 (en) Drone system, drone, movable body, demarcating member, control method for drone system, and drone system control program
US20220137642A1 (en) Drone system, drone, movable body, demarcating member, control method for drone system, and drone system control program
Kallakutagar et al. MULTIPURPOSE INTEGRATED QUADCOPTER (M-IQ)
JP2022068885A (en) Drone system
JP2019123415A (en) Unmanned aircraft for aero spraying, external device, control program and aero spray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