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9758A - 전송 방법, 단말기 및 기지국 - Google Patents

전송 방법, 단말기 및 기지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9758A
KR20230039758A KR1020237007935A KR20237007935A KR20230039758A KR 20230039758 A KR20230039758 A KR 20230039758A KR 1020237007935 A KR1020237007935 A KR 1020237007935A KR 20237007935 A KR20237007935 A KR 20237007935A KR 20230039758 A KR20230039758 A KR 20230039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ci
transmission
aperiodic csi
bit
down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7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9898B1 (ko
Inventor
치안치안 시
수에주안 가오
Original Assignee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39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9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9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2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physical layer, e.g. DCI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7Scheduling of signalling, e.g. occurrenc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8Formatting
    • H04L1/003Adaptive formatting arrangements particular to signalling, e.g. variable amount of b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8Formatting
    • H04L1/0031Multiple signaling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64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payload signals; piggyb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71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6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7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down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공개는 전송 방법, 단말기 및 기지국을 제공함으로써, 5G 시스템에 하나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제어 정보와 데이터의 전송을 동시에 트리거하였는지 아니면 제어 정보의 전송만 트리거하였는지를 구분하는 구체적인 방법이 아직 없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공개에 따른 전송 방법은 하향링크 제어 정보 DCI를 수신하되, 상기 DCI에는 N비트의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N비트의 지시 정보는 상기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단계; 상기 DCI 중의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송 방법, 단말기 및 기지국{TRANSMISSION METHOD, TERMINAL AND BASE STATION}
[관련출원의 교차 참고]
본 출원은 2017년 12월 13일 중국에 제출한 특허출원 No. 201711330017.3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기술분야]
본 공개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는 전송 방법, 단말기 및 기지국에 관한 것이다.
LTE(Long Term Evolu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주기적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 CSI)는 물리적 상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UplinkShared Channel, PUSCH)을 통해 전송되고, eNodeB는 상향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통해, 비주기적 CSI를 보고하도록 UE를 트리거한다. 상향링크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 DCI에는 비주기적 CSI의 보고를 트리거하기 위한 하나의 정보 필드가 존재한다. 당해 정보 필드가 UE가 비주기적 CSI를 보고해야 함을 지시한 경우, UE는 기정의된 위치에서 PUSCH를 통해 비주기적 CSI의 보고를 수행한다.
LTE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혼합 자동 재전송 요청 확인 HARQ-ACK와 CSI를 포함한다)와 상향링크 공유채널 UL-SCH 데이터를 PUSCH에서 다중화 전송하거나 또는 제어 정보만 PUSCH에서 전송하도록 지원한다. eNodeB는 DCI 중의 일부 정보 필드를 특수 상태로 설정함으로써, 제어 정보만 PUSCH에서 전송함을 지시한다. 3GPP 프로토콜 TS36.213e40 제8.6.2절에, UL-SCH 전송 블록 TB 전송이 없는 것으로 인정하면, PUSCH에서 제어 정보만 전송하는 경우의 다양한 조건이 규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그중 하나의 가능한 상황은, DCI format 0을 사용하고 변조 및 코딩 전략 MCS의 레벨이 29이거나, 또는 DCI format 4를 사용하고 하나의 TB만 활성화되며 활성화된 TB에 대응하는 MCS의 레벨이 29이고 지시되는 전송 계층수가 1이며, DCI에서 CSI를 트리거하는 정보 필드가 1비트이고 비주기적 CSI 보고를 트리거하도록 설정되며, PRB 수가 4와 같거나 그보다 작은 경우, 당해 DCI가 스케줄링된 PUSCH에 제어 정보의 전송만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이동 통신 서비스 수요의 발전 변화에 따라, 국제전기통신연합(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과 3GPP 등 기구는 모두 새로운 무선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5G NR, 5 Generation New RAT)을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NR의 경우, 새로 정의된 MCS 테이블에 RV 버전을 지시하기 위한 index 또는 사전에 남겨 둔 index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PUSCH 상에서 제어 정보만 전송함을 확정하는 LTE의 방식이 NR에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한편, NR에서 비주기적 CSI가 short PUCCH를 통해 전송되도록 하향링크 DCI를 통해 트리거함을 지원하나, 5G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제어 정보와 데이터의 전송을 동시에 트리거하였는지, 아니면 제어 정보의 전송만 트리거하였는지를 구분하는 구체적인 방법이 아직 없다. 즉, 하나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어떻게 구분하는지의 문제에 대해 아직 관련 솔루션이 제안되지 않았다.
본 공개의 목적은 전송 방법, 단말기 및 기지국을 제공하여, 5G 시스템에 하나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구분하는 구체적인 방법이 아직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공개는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하향링크 제어 정보 DCI를 수신하되, 상기 DCI에는 N비트의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N비트의 지시 정보는 상기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단계;
상기 DCI 중의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DCI에는 X비트의 비주기적 채널 상태 정보 CSI 지시 필드가 더 포함되고, 상기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는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X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그중, 상기 X비트의 비주기적 채널 상태 정보 CSI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상황과 상기 N비트의 지시 정보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상황은 비동시적으로 존재한다.
그중, 상기 N은 1이다.
그중, 1비트의 지시 정보가 0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하고, 1비트의 지시 정보가 1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였음을 지시하거나; 또는,
1비트의 지시 정보가 0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였음을 지시하고, 1비트의 지시 정보가 1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한다.
그중, 상기 DCI는 상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상향링크 DCI이며;
상술한 상기 DCI 중의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상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고, 상기 상향링크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의 지시 필드가 포함되며,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은 상태로 설정되면, 상기 상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물리적 상향링크 공유채널 PUSCH에서 상향링크 공유채널 UL-SCH의 데이터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만약 상기 상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고, 상기 상향링크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의 지시 필드가 포함되며,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한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상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PUSCH에서 UL-SCH의 데이터 정보 및 비주기적 CSI를 송신하는 단계;
만약 상기 상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고, 상기 상향링크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의 지시 필드가 포함되며,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한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DCI가 스케줄링한 PUSCH에서 비주기적 CSI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DCI는 하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하향링크 DCI이며;
상술한 상기 DCI 중의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하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다면, 상기 하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채널 PDSCH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DCI 에 포함된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를 토대로, 비주기적 CSI를 보고해야 하는지를 확정하는 단계;
만약 상기 하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고, 상기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가 포함되며,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한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하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 채널 PUCCH에서 비주기적 CSI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중, 상술한 상기 DCI에 포함된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를 토대로, 비주기적 CSI를 보고해야 하는지를 확정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면, 비주기적 CSI 및 상기 하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PDSCH에 대응하는 혼합 자동 재전송 요청 HARQ의 피드백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공개의 실시예는 전송 방법을 더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하향링크 제어 정보 DCI를 송신하되, 상기 DCI에는 N비트의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N비트의 지시 정보는 상기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단계;
상기 DCI 중의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DCI에는 X비트의 비주기적 채널 상태 정보 CSI 지시 필드가 더 포함되고, 상기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는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X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그중, 상기 X비트의 비주기적 채널 상태 정보 CSI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상황과 N비트의 지시 정보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상황은 비동시적으로 존재한다.
그중, 상기 N은 1이다.
그중, 1비트의 지시 정보가 0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하고, 1비트의 지시 정보가 1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였음을 지시하거나; 또는,
1비트의 지시 정보가 0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였음을 지시하고, 1비트의 지시 정보가 1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한다.
그중, 상기 DCI는 상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상향링크 DCI이며;
상술한 상기 DCI 중의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상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고, 상기 상향링크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의 지시 필드가 포함되며,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은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상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물리적 상향링크 공유채널 PUSCH에서 상향링크 공유채널 UL-SCH의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만약 상기 상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고, 상기 상향링크 DCI에는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가 포함되며,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한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상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PUSCH에서 UL-SCH의 데이터 정보 및 비주기적 CSI를 수신하는 단계;
만약 상기 상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고, 상기 상향링크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의 지시 필드가 포함되며,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한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DCI가 스케줄링한 PUSCH에서 비주기적 CSI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중, 상기 DCI는 하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하향링크 DCI이며;
상술한 상기 DCI 중의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하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다면, 상기 하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채널 PDSCH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만약 상기 하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은 경우, 상기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가 포함되고,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한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하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 채널 PUCCH에서 비주기적 CSI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공개의 실시예는 단말기를 더 제공한다. 상기 단말기는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작동 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경우,
송수신기를 통해 하향링크 제어 정보 DCI를 수신하되, 상기 DCI에는 N비트의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N비트의 지시 정보는 상기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단계;
상기 DCI 중의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구현한다.
그중, 상기 DCI에는 X비트의 비주기적 채널 상태 정보 CSI 지시 필드가 더 포함되고, 상기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는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X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그중, 상기 X비트의 비주기적 채널 상태 정보 CSI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상황과 N비트의 지시 정보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상황은 비동시적으로 존재한다.
그중, 상기 N은 1이다.
그중, 1비트의 지시 정보가 0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하고, 1비트의 지시 정보가 1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였음을 지시하거나; 또는,
1비트의 지시 정보가 0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였음을 지시하고, 1비트의 지시 정보가 1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한다.
그중, 상기 DCI는 상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상향링크 DCI이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경우,
만약 상기 상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고, 상기 상향링크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의 지시 필드가 포함되며,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은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상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물리적 상향링크 공유채널 PUSCH에서 상향링크 공유채널 UL-SCH의 데이터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만약 상기 상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고, 상기 상향링크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의 지시 필드가 포함되며,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한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상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PUSCH에서 UL-SCH의 데이터 정보 및 비주기적 CSI를 송신하는 단계;
만약 상기 상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고, 상기 상향링크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의 지시 필드가 포함되며,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한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DCI가 스케줄링한 PUSCH에서 비주기적 CSI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구현할 수 있다.
그중, 상기 DCI는 하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하향링크 DCI이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경우,
만약 상기 하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다면,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하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채널 PDSCH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DCI에 포함된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를 토대로, 비주기적 CSI를 보고해야 하는지를 확정하는 단계;
만약 상기 하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고, 상기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가 포함되며,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한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하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 채널 PUCCH에서 비주기적 CSI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구현할 수 있다.
그중,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경우,
만약 상기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면, 비주기적 CSI 및 상기 하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PDSCH에 대응하는 혼합 자동 재전송 요청 HARQ-ACK의 피드백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를 더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공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당해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전송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공개의 실시예는 기지국을 더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은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작동 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경우,
송수신기를 통해 하향링크 제어 정보 DCI를 송신하되, 상기 DCI에는 N비트의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N비트의 지시 정보는 상기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단계;
상기 DCI 중의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구현한다.
그중, 상기 DCI에는 X비트의 비주기적 채널 상태 정보 CSI 지시 필드가 더 포함되고, 상기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는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X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그중, 상기 X비트의 비주기적 채널 상태 정보 CSI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상황과 N비트의 지시 정보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상황은 비동시적으로 존재한다.
그중, 상기 N은 1이다.
그중, 1비트의 지시 정보가 0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하고, 1비트의 지시 정보가 1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였음을 지시하거나; 또는,
1비트의 지시 정보가 0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였음을 지시하고, 1비트의 지시 정보가 1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한다.
그중, 상기 DCI는 상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상향링크 DCI이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경우,
만약 상기 상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고, 상기 상향링크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의 지시 필드가 포함되며,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은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상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물리적 상향링크 공유채널 PUSCH에서 상향링크 공유채널 UL-SCH의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만약 상기 상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고, 상기 상향링크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의 지시 필드가 포함되며,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한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상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PUSCH에서 UL-SCH의 데이터 정보 및 비주기적 CSI를 수신하는 단계;
만약 상기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고, 상기 상향링크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의 지시 필드가 포함되며,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한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DCI가 스케줄링한 PUSCH에서 비주기적 CSI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구현할 수 있다.
그중, 상기 DCI는 하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하향링크 DCI이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경우,
만약 상기 하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다면,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하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채널 PDSCH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만약 상기 하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은 경우, 상기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가 포함되고,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한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하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 채널 PUCCH에서 비주기적 CSI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공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당해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전송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공개의 실시예는 단말기를 더 제공한다. 상기 단말기는 수신 모듈 및 제1 전송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 모듈은 하향링크 제어 정보 DCI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DCI에는 N비트의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N비트의 지시 정보는 상기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며;
상기 제1 전송 모듈은 상기 DCI 중의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공개의 실시예는 기지국을 더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은 송신 모듈 및 제2 전송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 모듈은 하향링크 제어 정보 DCI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DCI에는 N비트의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N비트의 지시 정보는 상기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고;
상기 제2 전송 모듈은 상기 DCI 중의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공개의 실시예는 아래와 같은 유익한 효과가 있다.
본 공개의 실시예의 상술한 기술적 수단은, 하향링크 제어 정보 DCI에 포함된 N비트 지시 정보를 통해, 당해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함으로써, 전송단으로 하여금 당해 지시 정보를 토대로 당해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5G 시스템에 하나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구분하는 구체적인 방법이 아직 없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도 1은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 방법의 흐름도 1이다.
도 2는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 방법의 흐름도 2이다.
도 3은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모듈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모듈 개략도이다.
본 공개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기술적 수단과 장점이 더욱 명료해지도록,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 및 도면을 결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공개의 실시예는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전송 방법은 단말기에 적용되며,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01: 하향링크 제어 정보 DCI를 수신하되, 상기 DCI에는 N비트의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N비트의 지시 정보는 상기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바람직하게는, N은 1이며, 본 공개의 실시예는 DCI에 포함된 1비트의 지시 정보를 통해, 당해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1비트의 지시 정보가 0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하고, 1비트의 지시 정보가 1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였음을 지시하거나; 또는,
1비트의 지시 정보가 0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였음을 지시하고, 1비트의 지시 정보가 1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한다.
단계 102: 상기 DCI 중의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전송을 수행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 방법은, 하향링크 제어 정보 DCI에 포함된 N비트 지시 정보를 통해, 당해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함으로써, 전송단으로 하여금 당해 지시 정보를 토대로 당해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5G 시스템에 하나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구분하는 구체적인 방법이 아직 없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선택적으로, 상술한 DCI에는 N비트의 지시 정보가 포함될 뿐만 아니라, X비트의 비주기적 채널 상태 정보 CSI 지시 필드가 더 포함되며, 상기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는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X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그중, 상기 X비트의 비주기적 채널 상태 정보 CSI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상황과 N비트의 지시 정보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상황은 비동시적으로 존재한다. 즉, 상기 DCI 중의 1비트의 지시 정보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는 반드시,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하였음을 지시한다.
나아가, 상술한 DCI는 상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상향링크 DCI와 하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하향링크 DCI를 포함하며, 아래에서 각각 설명한다.
상기 DCI가 상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상향링크 DCI일 경우, 상술한 단계 102에서 상기 DCI 중의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상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고, 상기 상향링크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의 지시 필드가 포함되며,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은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상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물리적 상향링크 공유채널 PUSCH에서 상향링크 공유채널 UL-SCH의 데이터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기는 상기 상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PUSCH에서 UL-SCH의 데이터 정보를 송신하는 동시에, 주기적 CSI 및/또는 혼합 자동 재전송 요청 HARQ의 피드백 정보도 송신할 수 있다. 당해 HARQ의 피드백 정보는 혼합 자동 재전송 요청 확인 HARQ-ACK 정보와 혼합 자동 재전송 요청 비확인 HARQ-NACK 정보를 포함한다.
만약 상기 상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고, 상기 상향링크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의 지시 필드가 포함되며,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한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상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PUSCH에서 UL-SCH의 데이터 정보 및 비주기적 CSI를 송신한다.
여기서, 단말기는 상기 상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PUSCH에서 UL-SCH의 데이터 정보 및 비주기적 CSI를 송신할 경우, 혼합 자동 재전송 요청 HARQ의 피드백 정보도 송신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상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고, 상기 상향링크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의 지시 필드가 포함되며,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한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DCI가 스케줄링한 PUSCH에서 비주기적 CSI를 송신한다.
여기서, 단말기는 상기 DCI가 스케줄링한 PUSCH에서 비주기적 CSI를 송신할 경우, HARQ의 피드백 정보도 송신할 수 있다.
하나의 상향링크 DCI에 1비트의 지시 정보와 1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가 포함되고, 상기 1비트의 지시 정보가 0일 경우,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나타내고, 1일 경우,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음을 나타내며; 상기 1비트의 지시 필드가 0일 경우,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나타내고, 1일 경우,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하였음을 나타낼 경우, 상기 1비트의 지시 정보와 1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가 동시에 0으로 설정될 수 없는 것으로 가정하면, 아래 상황을 포함한다.
상황 A1: 상기 1비트의 지시 정보는 0이고, 상기 1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는 1이며;
단말기는 당해 DCI의 지시를 토대로, PUSCH를 통해 비주기적 CSI를 보고하며, 만약 보고 위치에서 HARQ-ACK를 피드백해야 하고, 단말기는 PUCCH와 PUSCH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지 않으면, HARQ-ACK를 PUSCH 상에 다중화하여 비주기적 CSI와 함께 전송한다.
상황 B1: 상기 1비트의 지시 정보는 1이고, 상기 1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는 0이며;
단말기는 당해 DCI의 지시를 토대로, PUSCH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며, 만약 보고 위치에서 HARQ-ACK 및/또는 주기적 CSI를 피드백해야 하고, 단말기는 PUCCH와 PUSCH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지 않으면, HARQ-ACK 및/또는 주기적 CSI를 PUSCH상에 다중화하여 비주기적 CSI와 함께 전송한다.
상황 C1: 상기 1비트의 지시 정보는 1이고, 상기 1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는 1이며;
단말기는 당해 DCI의 지시를 토대로, PUSCH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비주기적 CSI를 보고하며, 만약 보고 위치에서 HARQ-ACK를 피드백해야 하고, 단말기는 PUCCH와 PUSCH의 동시 전송을 지원하지 않으면, HARQ-ACK를 PUSCH상에 다중화하여 데이터 및 비주기적 CSI와 함께 전송한다.
상기 DCI가 하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하향링크 DCI일 경우, 상술한 단계 102에서 상기 DCI 중의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하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다면, 상기 하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채널 PDSCH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DCI 에 포함된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를 토대로, 비주기적 CSI를 보고해야 하는지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만약 상기 DCI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를 토대로, 비주기적 CSI를 보고해야 함을 확정하면, 비주기적 CSI를 보고할 때, 상기 DCI가 스케줄링한 PDSCH에 대응하는 HARQ의 피드백 정보도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DCI가 스케줄링한 PDSCH에 대응하는 HARQ-ACK를 보고한다.
만약 상기 하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고, 상기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가 포함되며,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한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하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 채널 PUCCH에서 비주기적 CSI를 송신한다.
그중, 상기 DCI에 포함된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를 토대로, 비주기적 CSI를 보고해야 하는지를 확정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면, 비주기적 CSI 및 상기 하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PDSCH에 대응하는 혼합 자동 재전송 요청 HARQ의 피드백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하향링크 DCI에 1비트의 지시 정보와 1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가 포함되고, 상기 1비트의 지시 정보가 0일 경우,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나타내고, 1일 경우,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음을 나타내며; 상기 1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가 0일 경우,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나타내고, 1일 경우,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하였음을 나타낼 경우, 상기 1비트의 지시 정보와 1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가 동시에 0으로 설정될 수 없는 것으로 가정하면, 아래 상황을 포함한다.
상황 A2: 상기 1비트의 지시 정보는 0이고, 상기 1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는 1이며;
단말기는 당해 DCI의 지시를 토대로, 쇼트 PUCCH(short PUCCH)를 통해 비주기적 CSI를 보고한다.
상황 B2: 상기 1비트의 지시 정보는 1이고, 상기 1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는 0이며;
단말기는 당해 DCI의 지시를 토대로, PDSCH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황 C2: 상기 1비트의 지시 정보는 1이고, 상기 1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는 1이며;
단말기는 당해 DCI의 지시를 토대로, PDSCH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고, short PUCCH를 통해 비주기적 CSI를 보고한다. 그중, 단말기는 상기 short PUCCH에서 상기 DCI가 스케줄링한 PDSCH에 대응하는 HARQ-ACK 피드백 정보와 비주기적 CSI를 동시에 보고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 방법은, 하향링크 제어 정보 DCI에 포함된 N비트 지시 정보를 통해, 당해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함으로써, 전송단으로 하여금 당해 지시 정보를 토대로 당해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5G 시스템에서 하나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구분하는 구체적인 방법이 아직 없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도 2에서와 같이, 본 공개의 실시예는 전송 방법을 더 제공한다. 상기 전송 방법은 기지국에 적용되며, 아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01: 하향링크 제어 정보 DCI를 송신하되, 상기 DCI에는 N비트의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N비트의 지시 정보는 상기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바람직하게는, N은 1이며, 본 공개의 실시예는 DCI에 포함된 1비트의 지시 정보를 통해, 당해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한다.
구체적으로, 1비트의 지시 정보가 0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하고, 1비트의 지시 정보가 1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였음을 지시하거나; 또는,
1비트의 지시 정보가 0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였음을 지시하고, 1비트의 지시 정보가 1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한다.
단계 202: 상기 DCI 중의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전송을 수행한다.
여기서, 단말기측에 적용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은 기지국에 적용되는 전송 방법과 서로 대응하는 방법이며, 기지국측에 대한 부분에서 이미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 방법은, 하향링크 제어 정보 DCI에 포함된 N비트 지시 정보를 통해, 당해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함으로써, 전송단으로 하여금 당해 지시 정보를 토대로 당해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5G 시스템에 하나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구분하는 구체적인 방법이 아직 없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에는 X비트의 비주기적 채널 상태 정보 CSI 지시 필드가 더 포함되고, 상기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는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X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X비트의 비주기적 채널 상태 정보 CSI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상황과 N비트의 지시 정보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상황은 비동시적으로 존재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는 상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상향링크 DCI이며;
상술한 상기 DCI 중의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상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고, 상기 상향링크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의 지시 필드가 포함되며,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은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상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물리적 상향링크 공유채널 PUSCH에서 상향링크 공유채널 UL-SCH의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만약 상기 상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고, 상기 상향링크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의 지시 필드가 포함되며,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한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상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PUSCH에서 UL-SCH의 데이터 정보 및 비주기적 CSI를 수신하는 단계;
만약 상기 상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고, 상기 상향링크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의 지시 필드가 포함되며,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한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DCI가 스케줄링한 PUSCH에서 비주기적 CSI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는 하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하향링크 DCI이며;
상술한 상기 DCI 중의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하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다면, 상기 하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채널 PDSCH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만약 상기 하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은 경우, 상기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가 포함되고,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한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하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 채널 PUCCH에서 비주기적 CSI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 방법은, 하향링크 제어 정보 DCI에 포함된 N비트 지시 정보를 통해, 당해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함으로써, 전송단으로 하여금 당해 지시 정보를 토대로 당해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5G 시스템에 하나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구분하는 구체적인 방법이 아직 없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도 3에서와 같이, 본 공개의 실시예는 단말기를 더 제공한다. 상기 단말기는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작동 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경우,
송수신기를 통해, 하향링크 제어 정보 DCI를 수신하되, 상기 DCI에는 N비트의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N비트의 지시 정보는 상기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단계; 상기 DCI 중의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구현한다.
그중, 도 3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서로 연결된 임의의 수량의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00)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320)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장치, 전압안정기 및 파워관리회로 등 각종 기타 회로를 하나로 연결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이들을 더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310)는 다수의 소자일 수 있으며, 다시 말해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송 매체에서 기타 각종 장치와 통신하는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에 대해, 사용자 인터페이스(330)는 또한 내부 연결에 필요한 기기를 외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연결되는 기기는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제어레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300)는 버스 아키텍처와 통상의 처리를 관리하며, 메모리(320)는 프로세서(300)의 동작 수행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에는 X비트의 비주기적 채널 상태 정보 CSI 지시 필드가 더 포함되고, 상기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는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X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X비트의 비주기적 채널 상태 정보 CSI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상황과 N비트의 지시 정보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상황은 비동시적으로 존재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N은 1이다.
선택적으로, 1비트의 지시 정보가 0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하고, 1비트의 지시 정보가 1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였음을 지시하거나; 또는,
1비트의 지시 정보가 0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였음을 지시하고, 1비트의 지시 정보가 1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는 상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상향링크 DCI이며;
프로세서(300)는 또한 메모리(320) 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만약 상기 상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고, 상기 상향링크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의 지시 필드가 포함되며,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은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상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물리적 상향링크 공유채널 PUSCH에서 상향링크 공유채널 UL-SCH의 데이터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만약 상기 상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고, 상기 상향링크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의 지시 필드가 포함되며,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한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상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PUSCH에서 UL-SCH의 데이터 정보 및 비주기적 CSI를 송신하는 단계;
만약 상기 상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고, 상기 상향링크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의 지시 필드가 포함되며,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한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DCI가 스케줄링한 PUSCH에서 비주기적 CSI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는 하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하향링크 DCI이며;
프로세서(300)는 또한 메모리(320) 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만약 상기 하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다면,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하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채널 PDSCH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DCI에 포함된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를 토대로, 비주기적 CSI를 보고해야 하는지를 확정하는 단계;
만약 상기 하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고, 상기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가 포함되며,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한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하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 채널 PUCCH에서 비주기적 CSI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구현한다.
프로세서(300)는 또한 메모리(320) 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만약 상기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를 보고하도록 지시한다면, 비주기적 CSI 및 상기 하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PDSCH에 대응하는 혼합 자동 재전송 요청 HARQ-ACK의 피드백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를 더 구현한다.
본 공개의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당해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하향링크 제어 정보 DCI를 수신하되, 상기 DCI에는 N비트의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N비트의 지시 정보는 상기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단계;
상기 DCI 중의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구현한다.
당해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술한 단말기측에 적용되는 전송 방법 실시예 중의 모든 구현 형태를 구현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4에서와 같이, 본 공개의 실시예는 단말기를 더 제공한다. 상기 단말기는 수신 모듈(401) 및 제1 전송 모듈(402)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 모듈(401)은 하향링크 제어 정보 DCI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DCI에는 N비트의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N비트의 지시 정보는 상기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며;
상기 제1 전송 모듈(402)은 상기 DCI 중의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DCI에는 X비트의 비주기적 채널 상태 정보 CSI 지시 필드가 더 포함되고, 상기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는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X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X비트의 비주기적 채널 상태 정보 CSI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상황과 N비트의 지시 정보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상황은 비동시적으로 존재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N은 1이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1비트의 지시 정보가 0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하고, 1비트의 지시 정보가 1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였음을 지시하거나; 또는,
1비트의 지시 정보가 0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였음을 지시하고, 1비트의 지시 정보가 1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DCI는 상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상향링크 DCI이며;
상기 제1 전송 모듈(402)은 제1 전송 서브 모듈, 제2 전송 서브 모듈 및 제3 전송 서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전송 서브 모듈은 만약 상기 상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고, 상기 상향링크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의 지시 필드가 포함되며,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은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상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물리적 상향링크 공유채널 PUSCH에서 상향링크 공유채널 UL-SCH의 데이터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전송 서브 모듈은 만약 상기 상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고, 상기 상향링크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의 지시 필드가 포함되며,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한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상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PUSCH에서 UL-SCH의 데이터 정보 및 비주기적 CSI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3 전송 서브 모듈은 만약 상기 상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고, 상기 상향링크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의 지시 필드가 포함되며,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한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DCI가 스케줄링한 PUSCH에서 비주기적 CSI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DCI는 하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하향링크 DCI이며;
상기 제1 전송 모듈(402)은 제4 전송 서브 모듈 및 제5 전송 서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4 전송 서브 모듈은 만약 상기 하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다면, 상기 하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채널 PDSCH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DCI 에 포함된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를 토대로, 비주기적 CSI를 보고해야 하는지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5 전송 서브 모듈은 만약 상기 하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고, 상기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가 포함되며,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한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하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 채널 PUCCH에서 비주기적 CSI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4 전송 서브 모듈은 만약 상기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면, 비주기적 CSI 및 상기 하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PDSCH에 대응하는 혼합 자동 재전송 요청 HARQ의 피드백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 DCI에 포함된 N비트 지시 정보를 통해, 당해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함으로써, 전송단으로 하여금 당해 지시 정보를 토대로 당해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도록 하며, 이에 따라 5G 시스템에 하나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구분하는 구체적인 방법이 아직 없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도 5에서와 같이, 본 공개의 실시예는 기지국를 더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은 메모리(520), 프로세서(500), 송수신기(510), 버스 인터페이스 및 메모리(520)에 저장되고 프로세서(500)에서 작동 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500)는 메모리(520) 내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송수신기를 통해 하향링크 제어 정보 DCI를 송신하되, 상기 DCI에는 N비트의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N비트의 지시 정보는 상기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프로세스; 상기 DCI 중의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전송을 수행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그중, 도 5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서로 연결된 임의의 수량의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500)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520)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장치, 전압안정기 및 파워관리회로 등 각종 기타 회로를 하나로 연결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이들을 더 설명하지 않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510)는 다수의 소자일 수 있으며, 다시 말해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송 매체에서 기타 각종 장치와 통신하는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500)는 버스 아키텍처와 통상의 처리를 관리하며, 메모리(520)는 프로세서(500)의 동작 수행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에는 X비트의 비주기적 채널 상태 정보 CSI 지시 필드가 더 포함되고, 상기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는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X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X비트의 비주기적 채널 상태 정보 CSI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상황과 N비트의 지시 정보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상황은 비동시적으로 존재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N은 1이다.
선택적으로, 1비트의 지시 정보가 0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하고, 1비트의 지시 정보가 1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였음을 지시하거나; 또는,
1비트의 지시 정보가 0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였음을 지시하고, 1비트의 지시 정보가 1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는 상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상향링크 DCI이며;
상기 프로세서(500)가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경우,
만약 상기 상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고, 상기 상향링크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의 지시 필드가 포함되며,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은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상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물리적 상향링크 공유채널 PUSCH에서 상향링크 공유채널 UL-SCH의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만약 상기 상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고, 상기 상향링크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의 지시 필드가 포함되며,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한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상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PUSCH에서 UL-SCH의 데이터 정보 및 비주기적 CSI를 수신하는 단계;
만약 상기 상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고, 상기 상향링크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의 지시 필드가 포함되며,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한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DCI가 스케줄링한 PUSCH에서 비주기적 CSI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DCI는 하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하향링크 DCI이며;
상기 프로세서(500)가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경우,
만약 상기 하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다면, 상기 하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채널 PDSCH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만약 상기 하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은 경우, 상기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가 포함되고,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한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하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 채널 PUCCH에서 비주기적 CSI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구현할 수 있다.
본 공개의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당해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송수신기를 통해 하향링크 제어 정보 DCI를 송신하되, 상기 DCI에는 N비트의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N비트의 지시 정보는 상기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단계; 상기 DCI 중의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구현한다.
당해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술한 기지국측에 적용되는 방법 실시예 중의 모든 구현 형태를 구현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도 6에서와 같이, 본 공개의 실시예는 기지국을 더 제공한다. 상기 기지국은 송신 모듈(601) 및 제2 전송 모듈(602)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 모듈(601)은 하향링크 제어 정보 DCI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DCI에는 N비트의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N비트의 지시 정보는 상기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며;
상기 제2 전송 모듈(602)은 상기 DCI 중의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DCI에는 X비트의 비주기적 채널 상태 정보 CSI 지시 필드가 더 포함되고, 상기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는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X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X비트의 비주기적 채널 상태 정보 CSI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상황과 N비트의 지시 정보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상황은 비동시적으로 존재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N은 1이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 있어서, 1비트의 지시 정보가 0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하고, 1비트의 지시 정보가 1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였음을 지시하거나; 또는,
1비트의 지시 정보가 0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였음을 지시하고, 1비트의 지시 정보가 1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한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DCI는 상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상향링크 DCI이며;
상기 제2 전송 모듈(602)은 제6 전송 서브 모듈, 제7 전송 서브 모듈 및 제8 전송 서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6 전송 서브 모듈은 만약 상기 상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고, 상기 상향링크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의 지시 필드가 포함되며,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은 상태로 설정되면, 상기 상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물리적 상향링크 공유채널 PUSCH에서 상향링크 공유채널 UL-SCH의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7 전송 서브 모듈은 만약 상기 상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고, 상기 상향링크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의 지시 필드가 포함되며,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한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상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PUSCH에서 UL-SCH의 데이터 정보 및 비주기적 CSI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8 전송 서브 모듈은 만약 상기 상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고, 상기 상향링크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의 지시 필드가 포함되며,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한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DCI가 스케줄링한 PUSCH에서 비주기적 CSI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DCI는 하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하향링크 DCI이며;
상기 제2 전송 모듈(602)은 제9 전송 서브 모듈 및 제10 전송 서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9 전송 서브 모듈은 만약 상기 하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다면, 상기 하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채널 PDSCH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0 전송 서브 모듈은 만약 상기 하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은 경우, 상기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가 포함되고,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한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하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 채널 PUCCH에서 비주기적 CSI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은, 하향링크 제어 정보 DCI에 포함된 N비트 지시 정보를 통해, 당해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함으로써, 전송단으로 하여금 당해 지시 정보를 토대로 당해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5G 시스템에 하나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구분하는 구체적인 방법이 아직 없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공개의 각종 실시예에서, 상기 각 프로세스의 번호의 크기는 실행 순서의 선후를 의미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각 프로세스의 실행 순서는 그 기능과 내재적 로직에 따라 정해지며, 본 공개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 프로세스에 대해 그 어떤 한정도 해서는 안된다.
상술한 내용은 본 공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다. 참고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공개에 따른 원리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부 개량과 수정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들 개량과 수정도 본 공개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DCI에는 N비트의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N비트의 지시 정보는 상기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단계; 및
    상기 DCI 중의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CI는 하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하향링크 DCI이며;
    상기 DCI 중의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하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다면, 상기 하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물리적 하향링크 공유채널)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DCI 에 포함된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를 토대로, 비주기적 CSI를 보고해야 해야 하는지를 확정하는 단계; 및
    만약 상기 하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고, 상기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가 포함되며,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한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하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 채널)에서 비주기적 CSI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CI에 포함된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를 토대로, 비주기적 CSI를 보고해야 해야 하는지를 확정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면, 비주기적 CSI 및 상기 하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PDSCH에 대응하는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혼합 자동 재전송 요청)의 피드백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CI에는 X비트의 비주기적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채널 상태 정보) 지시 필드가 더 포함되고, 상기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는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X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전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상황과 상기 N비트의 지시 정보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상황은 비동시적으로 존재하는 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은 1이고,
    1비트의 지시 정보가 0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하고, 1비트의 지시 정보가 1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였음을 지시하거나; 또는,
    1비트의 지시 정보가 0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였음을 지시하고, 1비트의 지시 정보가 1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전송 방법.
  5. DCI를 송신하되, 상기 DCI에는 N비트의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N비트의 지시 정보는 상기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단계;
    상기 DCI 중의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CI는 하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하향링크 DCI이며;
    상기 DCI 중의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전송을 수행하는 단계는,
    만약 상기 하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다면, 상기 하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PDSCH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되, 그중, 상기 DCI에 포함된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가 단말기에게 비주기적 CSI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면, 단말기가 보고한 비주기적 CSI 및 상기 하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PDSCH에 대응하는 HARQ의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는 것인, 단계; 및
    만약 상기 하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고, 상기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가 포함되며,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한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하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PUCCH에서 비주기적 CSI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송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CI에는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가 더 포함되고, 상기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는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X는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인 전송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상황과 상기 N비트의 지시 정보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상황은 비동시적으로 존재하는 전송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N은 1이고,
    1비트의 지시 정보가 0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하고, 1비트의 지시 정보가 1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였음을 지시하거나; 또는,
    1비트의 지시 정보가 0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였음을 지시하고, 1비트의 지시 정보가 1일 경우,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음을 지시하는 전송 방법.
  9. 단말기에 있어서,
    수신 모듈 및 제1 전송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수신 모듈은 DCI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DCI에는 N비트의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N비트의 지시 정보는 상기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며;
    상기 제1 전송 모듈은 상기 DCI 중의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DCI는 하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하향링크 DCI이며;
    상기 제1 전송 모듈은 제4 전송 서브 모듈 및 제5 전송 서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4 전송 서브 모듈은 만약 상기 하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다면, 상기 하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PDSCH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DCI에 포함된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를 토대로, 비주기적 CSI를 보고해야 하는지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5 전송 서브 모듈은 만약 상기 하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았고, 상기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가 포함되며,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한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하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PUCCH에서 비주기적 CSI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4 전송 서브 모듈은 또한 만약 상기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면, 비주기적 CSI 및 상기 하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PDSCH에 대응하는 HARQ의 피드백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것인 단말기.
  10. 기지국에 있어서,
    송신 모듈 및 제2 전송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 모듈은 DCI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DCI에는 N비트의 지시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N비트의 지시 정보는 상기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는지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N은 1보다 크거나 같은 정수이며;
    상기 제2 전송 모듈은 상기 DCI 중의 지시 정보를 토대로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DCI는 하향링크 전송을 스케줄링하는 하향링크 DCI이며;
    상기 제2 전송 모듈은 제9 전송 서브 모듈 및 제10 전송 서브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9 전송 서브 모듈은 만약 상기 하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였다면, 상기 하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PDSCH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것이며, 그중, 상기 DCI에 포함된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가 단말기에게 비주기적 CSI를 보고하도록 지시하면, 단말기가 보고한 비주기적 CSI 및 상기 하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PDSCH에 대응하는 HARQ의 피드백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제10 전송 서브 모듈은 만약 상기 하향링크 DCI가 데이터의 전송을 트리거하지 않은 경우, 상기 DCI에 X비트의 비주기적 CSI 지시 필드가 포함되고, 상기 지시 필드가 비주기적 CSI의 전송을 트리거한 상태로 설정되었다면, 상기 하향링크 DCI가 스케줄링한 PUCCH에서 비주기적 CSI를 수신하기 위한 것인 기지국.
KR1020237007935A 2017-12-13 2018-11-20 전송 방법, 단말기 및 기지국 KR1025998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1330017.3 2017-12-13
CN201711330017.3A CN109922531B (zh) 2017-12-13 2017-12-13 一种传输方法、终端及基站
PCT/CN2018/116428 WO2019114504A1 (zh) 2017-12-13 2018-11-20 传输方法、终端及基站
KR1020207020054A KR20200093060A (ko) 2017-12-13 2018-11-20 전송 방법, 단말기 및 기지국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0054A Division KR20200093060A (ko) 2017-12-13 2018-11-20 전송 방법, 단말기 및 기지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758A true KR20230039758A (ko) 2023-03-21
KR102599898B1 KR102599898B1 (ko) 2023-11-07

Family

ID=6681890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0054A KR20200093060A (ko) 2017-12-13 2018-11-20 전송 방법, 단말기 및 기지국
KR1020237007935A KR102599898B1 (ko) 2017-12-13 2018-11-20 전송 방법, 단말기 및 기지국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0054A KR20200093060A (ko) 2017-12-13 2018-11-20 전송 방법, 단말기 및 기지국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743903B2 (ko)
EP (1) EP3726911A4 (ko)
JP (1) JP7150020B2 (ko)
KR (2) KR20200093060A (ko)
CN (1) CN109922531B (ko)
TW (1) TWI695601B (ko)
WO (1) WO20191145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02539B (zh) * 2018-02-23 2022-01-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下行控制信息传输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1294151B (zh) * 2019-07-05 2023-07-25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信道质量上报方法及基站、用户设备、可读存储介质
CN114097293A (zh) * 2019-07-12 2022-02-25 联想(北京)有限公司 单次harq-ack码本确定的装置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40800B (zh) * 2010-07-16 2015-08-19 华为技术有限公司 获取dci指示的信息的方法、ue及基站
CN101917765B (zh) 2010-08-13 2015-09-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测量参考信号的配置方法及系统
CN101917259B (zh) * 2010-08-16 2016-06-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非周期信道状态信息报告的触发方法及基站
US10333650B2 (en) * 2010-08-16 2019-06-25 Qualcomm Incorporated Aperiodic channel quality indicator report in carrier aggregation
CN102006624B (zh) * 2010-11-29 2015-08-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站及其通知非周期信道状态信息报告的触发模式的方法
CN106375067B (zh) * 2011-06-10 2019-11-05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发射非周期信道状态信息的方法和设备
JP5770682B2 (ja) * 2012-05-31 2015-08-26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9060361B2 (en) * 2012-09-27 2015-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CN104104468B (zh) * 2013-04-03 2018-09-1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上下行配置信息传输方法和设备
US9907071B2 (en) 2014-07-18 2018-02-27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management for UEs under coverage enhancement
US10009920B2 (en) * 2015-01-27 2018-06-26 Qualcomm Incorporated Triggering a group acknowledgement/negative acknowledgement or channel state information
EP3253108A4 (en) 2015-01-28 2018-08-15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JP6748649B2 (ja) * 2015-02-06 2020-09-02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チャネル状態報告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CN106161302A (zh) 2015-04-09 2016-11-2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信息传输的方法及装置
WO2017014549A1 (ko) * 2015-07-20 2017-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향링크 제어 정보 수신 방법 및 사용자기기와, 하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기지국
CN106455092B (zh) * 2015-08-13 2019-11-22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信道探测参考信号的发送方法、装置、终端和基站
US10477528B2 (en) * 2016-02-02 2019-11-12 Ofinno, Llc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CN107295655A (zh) * 2016-03-31 2017-10-24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传输资源指示方法、基站、ue和系统
US11265057B2 (en) * 2017-10-27 2022-03-0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for transmitting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SG11202007616YA (en) * 2018-03-02 2020-09-2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05207 *
3GPP R1-1720814 *
3GPP R1-172097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26911A1 (en) 2020-10-21
KR102599898B1 (ko) 2023-11-07
TW201929468A (zh) 2019-07-16
EP3726911A4 (en) 2021-01-06
CN109922531A (zh) 2019-06-21
JP2021507590A (ja) 2021-02-22
CN109922531B (zh) 2021-03-09
US20230403714A1 (en) 2023-12-14
TWI695601B (zh) 2020-06-01
US20200322928A1 (en) 2020-10-08
WO2019114504A1 (zh) 2019-06-20
JP7150020B2 (ja) 2022-10-07
KR20200093060A (ko) 2020-08-04
US11743903B2 (en) 202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5949B1 (ko) Harq의 피드백 정보 전송 방법, ue, 기지국과 시스템
US11558151B2 (en) Feedback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nd storage medium
CN110505697B (zh) 一种混合自动重传请求的传输方法、终端及基站
US20230403714A1 (en) Transmission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JP6917475B2 (ja) 送信方法、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
US11139923B2 (en) Code block groups for retrans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1585727A (zh) 一种harq-ack信息的传输方法、装置、终端及网络设备
CN111417192B (zh) 非周期信道状态信息csi的传输方法、装置、基站及终端
KR20200120731A (ko) 상향링크 제어정보의 전송 방법, 수신 방법, 단말기, 기지국 및 장치
EP3958633B1 (en) Method for feedback instruction, and communication device
KR20200088417A (ko)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기, 기지국 및 저장 매체
KR20210148152A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관련 장치
CN111417191A (zh) 一种信息传输方法、终端及网络设备
US20230156701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harq-ack sub-codebook combination
CN109963342B (zh) 一种物理上行共享信道传输方法、装置、终端及基站
US20200170018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and base station
US20210168847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WO2022028606A1 (zh) 信息确定方法、信息指示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14424646A (zh) 一种反馈信息的复用方法、通信装置及系统
CN114793153A (zh) 非周期参考信号传输方法及相关装置
US20160316482A1 (en) Method and device for scheduling of feedb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11 Divisional application filed after appeal phase [spli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