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9626A -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9626A
KR20230039626A KR1020230033123A KR20230033123A KR20230039626A KR 20230039626 A KR20230039626 A KR 20230039626A KR 1020230033123 A KR1020230033123 A KR 1020230033123A KR 20230033123 A KR20230033123 A KR 20230033123A KR 20230039626 A KR20230039626 A KR 20230039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purifier
cover
water extraction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31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민호
정순기
전제욱
장훈
지진규
윤종원
김영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17671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82873B1/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33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9626A/en
Publication of KR20230039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62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1/0085Dispensing valves electro-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02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 B67D1/1234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 B67D1/1236Flow control, e.g. for controlling total amount or mixture ratio of liquids to be dispensed to determine the total amount comprising means for detecting the size of vessels to be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purifier capable of freely changing the position and height of a water discharge nozzle while a water discharge module having the water discharge nozzle is connected to a water purifier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purifier includes: the water purifier body including a filter and supplying purified water by purifying raw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he water discharge module including the water discharge nozzle supplying the purified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purifier body to a user at a lower end,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water discharge module is connected to protrude forward the water purifier body and rotates or ascends and descends around the water purifier body; a driving unit providing power necessary for rotation or ascent and descent of the water discharge module; a sensing unit installed in the water purifier body or the water discharge module and recognizing the size and the position of a container placed in the periphery of the water purifier body; and a control unit receiving the input about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size information on the container from the sensing unit and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to move the water discharge nozzle to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Description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Water purifier and its control method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상수원에서 공급되는 상수를 물리적, 화학적인 방법으로 여과시켜 불순물을 제거한 후 공급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a water purifier is a device that filters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ource by physical and chemical methods to remove impurities before supplying water.

상기와 같은 정수기는 정수원리나 방식에 따라 자연여과식, 직결여과식, 이온교환수지식, 증류식, 역삼투압식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The water purifier as described above may be classified into a natural filtration type, a direct filtration type, an ion exchange resin type, a distillation type, a reverse osmosis type, and the like according to a water purification principle or method.

또한, 정수기는 형태에 따라 필터를 통과하여 정화된 정수를 저수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물을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구로서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water purifiers pass through filters according to their shapes to store purified water. In general, water purifiers are widely used for household purposes as a mechanism for filtering water to remove impurities.

가정용 정수기의 경우 수도와 연결되어 수돗물에 함유된 부유물이나 유해성분등을 필터를 이용하여 제거하게 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원하는 만큼의 물을 정수하여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e case of a household water purifier, it is connected to a water supply and removes suspended matter or harmful components contained in tap water using a filter, and is configured to purify and extract as much water as desired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이와 같은 가정용 정수기는 정수는 물론 온수와 냉수의 취출이 가능한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그리고, 근래에는 크기가 작고 다양한 설치환경에 설치될 수 있는 정수기가 개발되고 있다.Various household water purifiers capable of dispensing not only purified water but also hot water and cold water have been released. In recent years, water purifiers that are small in size and can be installed in various installation environments have been developed.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381803호에는 본체 유닛의 상단부에 물이 취출되는 출수부가 구비되고, 상기 출수부는 상기 본체 유닛으로부터 분리된 후 설정각도만큼 회전시킨 후 다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정수기는 본체의 위치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출수부를 분리 및 재결합하여 출수부의 위치를 설정된 위치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띠라서, 정수기의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381803 discloses a water purifier having a water outlet for dispensing water at an upper end of a main body unit, and allowing the water outlet to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unit, rotated by a set angle, and then reconnected. In the water purifier having such a structure, the user can change the position of the water outlet to the set position by separating and recombining the water outlet while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water purifier can be installed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installation space.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정수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water purifiers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상기 출수부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상기 출수부를 상기 본체 유닛으로부터 분리하여 위치를 변경시킨 후 재결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상기 출수부의 반복적인 분리 결합 과정 중에 결합부위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First, in order to change the location of the water outlet, it is inconvenient to separate the water outlet from the main body unit, change the location, and then reassemble the water outlet.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upling part may be damaged during the repetitive separation and coupling process of the water outlet.

둘째, 상기 출수부에는 출수관이 연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출수부의 분리 결합과정에서 출수관의 손상이 발생할 경우 누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출수부의 반복적인 회전 조작시 상기 출수관 또는 출수관이 접속되는 피팅부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Second, since the water outlet is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leakage may occur when the water outlet is damaged during the separation and coupling process of the water outlet. In addition, when the water outlet is repeatedly rotated, damage to the water outlet or a fitting to which the water outlet is connected may occur, resulting in water leakage.

셋째, 상기 출수부의 위치는 상기 본체 유닛에 형성되는 결합홀의 요홈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출수부는 요홈이 형성된 설정된 위치로만 위치될 수 있으며, 임의의 지점에 위치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Third, the location of the water outlet is determined by the concave groove of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body unit.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ater outlet can be located only at a set position where the groove is formed and cannot be located at an arbitrary point.

넷째, 출수부가 세팅된 위치의 수직 하방에 컵 등의 용기를 위치하고, 그 상태에서 출수가 진행되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Fourth,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container such as a cup is placed vertically below the position in which the water outlet is set, and water must proceed in that state.

다섯째, 정수기 주변에 컵 등의 용기가 배치되면, 출수부가 자동으로 회전하거나 하강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용기의 위치에 맞춰 직접 출수부의 위치를 변경해줘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Fifth, when a container such as a cup is disposed around the water purifier, the water outlet does not automatically rotate or descend, so the user has to directly change the location of the water outlet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container.

한국등록특허공보 10-1381803호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381803

본 발명의 목적은, 출수노즐이 형성된 출수모듈을 정수기 본체에 결합한 채로 출수노즐의 위치 및 높이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capable of freely changing the position and height of a water extraction nozzle while a water extraction module having a water extraction nozzle is coupled to a main body of the water purifier.

또한, 출수노즐의 위치 변경을 위한, 출수모듈의 회전 또는 승강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in which a rotation or elevation operation of a water extraction module is automatically performed to change the location of a water extraction nozzle.

또한, 사용자에 의해 컵 등의 용기가 정수기 주변에 놓여지면, 정수기가 이를 감지하고 용기와 인접한 상단으로 출수노즐이 자동으로 회전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when a container such as a cup is placed near the water purifier by a user, the water purifier senses this and provides a water purifier in which a water extraction nozzle automatically rotates toward an upper end adjacent to the container.

또한, 용기의 크기에 따라 출수노즐이 하강하여, 그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된 상태에서, 물의 취출이 진행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purifier in which a water extraction nozzle descends according to the size of a container and discharges water while the height thereof is automatically adjusted.

또한, 출수노즐의 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출수가 진행되고, 출수가 완료되면, 출수노즐이 자동으로 초기위치로 복귀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in which water extraction proceeds in a state where the position of the water extraction nozzle is adjusted, and when water extraction is completed, the water extraction nozzle automatically returns to an initial position.

또한, 출수노즐에서 출수된 물이 낙차로 인해 컵 밖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capable of preventing water discharged from a water discharge nozzle from splashing out of a cup due to a drop.

또한, 다양한 설치환경에 맞추어 출수노즐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capable of changing the position of a water extraction nozzle according to various installation environments.

또한, 출수노즐이 장착된 승강커버가 고정커버에 완벽히 수납된 상태에서 승강커버의 자중에 의해 임의로 하강하지 않고, 고정커버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capable of maintaining a state of being accommodated in a fixed cover without arbitrarily descending due to the weight of the lift cover in a state where the lift cover equipped with a water extraction nozzle is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fixed cover.

또한, 출수노즐이 장착된 승강커버의 승강 동작이 직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in which an elevation movement of an elevation cover equipped with a water extraction nozzle can be performed in a straight line.

또한, 고정커버 및 승강커버의 휨 등의 변형이 방지되고, 상호 간의 체결력이 확보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in which deformation such as bending of a fixed cover and an elevating cover is prevented and mutual fastening force is secured.

또한, 승강커버와 고정커버의 체결이 용이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in which an elevating cover and a fixed cover can be easily fastened.

또한, 출수노즐이 장착된 승강커버의 승강 동작이 매끄럽게 진행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in which an elevation operation of an elevation cover equipped with a water extraction nozzle can smoothly proceed.

또한, 승강커버와 고정커버 상호 간의 마찰로 인한 마모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capable of reducing wear and noise caused by friction between a lifting cover and a fixed cover.

또한, 각종 부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상 미려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various parts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to provide a water purifier with a beautiful appearance.

또한, 위생적이며, 출수 노즐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that is hygienic and can prevent damage and deformation of a water extraction nozzl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정수기는, 내부에 필터를 구비하여, 외부에서 공급된 원수를 정화시켜, 정수의 상태로 공급하는 정수기 본체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결합되어, 상기 정수기 본체를 기준으로 적어도 일부가 회전동작 또는 승강동작하고, 하단에 상기 정수기 본체에서 공급된 정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출수노즐이 구비된 출수모듈과, 상기 출수모듈의 회전동작 또는 승강동작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정수기 본체 또는 상기 출수모듈에 설치되어, 상기 정수기 본체의 주변에 놓여진 용기의 위치 및 크기를 인식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용기의 위치정보 및 크기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용기의 상부로 상기 출수노즐이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water purifier main body having a filter therein to purify raw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supplying raw water in a purified state, and at least a part of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A water extraction module coupled to protrude forward, at least a part of which rotates or lifts with respect to the water purifier body, and has a water extraction nozzle at a lower end for supplying the purified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purifier body to the user; A driving unit that provides power required for rotation or elevation, a sensing unit installed on the water purifier body or the water extraction module and recognizing the position and size of a container placed around the water purifier body, and the position of the container from the sensing unit and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information and size information and controls the drive unit to move the water extraction nozzle to the top of the container.

상기 감지부는, 근접센서 또는 카메라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may be provided as a proximity sensor or a camera.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면을 커버하는 프론트 커버 또는 상기 정수기 본체의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에 종방향으로 복수 배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detection units may be vertically disposed on a front cover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 purifier body or on a side panel forming a side surface of the water purifier body.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면을 커버하는 프론트 커버 또는 상기 정수기 본체의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에 횡방향으로 복수 배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detection units may be disposed in a transverse direction on a front cover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 purifier body or on a side panel forming a side surface of the water purifier body.

상기 프론트 커버는,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프론트 커버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될 수 있다. The front cover may be formed in a forward convex shape, and a plurality of detection units may be dispos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ront cover.

상기 감지부는, 상기 출수모듈의 하단 또는 상기 출수노즐에 설치될 수 있다. The sensor may be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or at the water extraction nozzle.

상기 출수모듈은, 상기 정수기 본체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정수기 본체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로테이터 및 상기 로테이터의 외측에 고정되어, 상기 로테이터와 같이 회전하면서 상기 출수노즐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The water extraction module is rotatably mounted inside the water purifier body and rotates with respect to the water purifier body, and i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rotator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or to change the height of the water extraction nozzle. units may be included.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로테이터의 외측에 고정되고,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공간을 구비하며, 하측이 개방된 고정커버와, 상기 출수노즐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커버의 승강공간에 수용되어 승강하면서 상기 출수노즐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승강커버 및 상기 승강커버가 직선으로 승강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ifting unit i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rotator, has a lifting space on the inside in a vertical direction, a fixed cover with an open lower side, and the water outlet nozzle are fixed, and is accommodated in the lifting space of the fixed cover to move up and down while moving up and down An elevating cover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water extraction nozzle and a guide unit for guiding the elevating cover to ascend and descend in a straight line may be included.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고정커버에 승강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내측에 기어치가 형성된 가이드홈과, 상기 승강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제1피니언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uide unit may include a guide groove formed on the fixed cover along an elevation direction and having gear teeth formed therein, and a first pinion gear rotatably coupled to the elevation cover and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피니언기어의 제1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first driving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of the first pinion gear to provide rotational pow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구동부재의 회전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승강커버를 승강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move the elevation cover up and down by changing a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driving member.

상기 정수기 본체는, 전방으로 볼록한 형태를 갖고, 상부에 둘레방향을 따라 개방된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와, 상기 정수기 본체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와, 상기 정수기 본체의 상면을 형성하는 탑 플레이트 및 상기 프론트 커버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단이 상기 개구와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하며, 상기 필터가 장착되는 필터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로테이터는, 상기 필터 브라켓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개구를 차폐할 수 있다. The main body of the water purifier has a forward convex shape, has an opening formed thereon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forms a front appearance of the main body of the water purifier; a base forming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water purifier; a top plate forming an upper surface of the water purifier body and a filter bracket disposed behind the front cover, the upper end position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and to which the filter is mounted; wherein the rotator includes the filter bracket It is rotatably mounted on top of and may shield the opening.

상기 프론트 커버는,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개구의 하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필터 브라켓을 차폐하는 로어 커버와, 상기 로어 커버와 이격되어 상기 개구의 상단에서 상기 탑 플레이트까지 연장되며, 상기 로테이터의 상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퍼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ont cover includes a lower cover extending from the base to a lower end of the opening to shield the filter bracket, and a lower cover spaced apart from the lower cover and extending from an upper end of the opening to the top plate, and is rotatable with an upper end of the rotator It may include an upper cover that is tightly coupled.

상기 필터 브라켓은, 상기 로테이터의 외측면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며, 상기 로테이터의 하단을 지지하는 로테이터 장착부와,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의 하방에 이격되며,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는 저면부와,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와 저면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필터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필터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lter bracket has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or, a rotator mounting portion supporting a lower end of the rotator, a bottom portion spaced below the rotator mounting portion and mounted on the base, and the rotator mounting portion; It may include a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connecting between the bottom portions and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filter is accommodated.

상기 로테이터의 내측 하단에는 제2 피니언 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내접 기어가 형성되며, 상기 로테이터의 회전시, 상기 제2 피니언 기어는 상기 내접 기어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A second pinion gear is rotatably mounted at the inner lower end of the rotator, an internal gear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rotator mounting portion, and when the rotator rotates, the second pinion gear is moved along the internal gear can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피니언 기어의 제2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second driving member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onal shaft of the second pinion gear to provide rotational pow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구동부재의 회전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로테이터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rotate the rotator in both directions by changi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driving member.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정수기 본체의 주변에 용기가 위치되는 단계와,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용기의 위치 및 용기의 높이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용기의 상단에 상기 출수노즐이 위치되게,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출수모듈이 초기 위치에서 회전 또는 하강하여, 상기 출수노즐이 상기 용기의 상부에 인접해서 위치되는 단계 및 상기 출수노즐에서 출수가 진행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for controlling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lacing a container around a main body of the water purifier by a user, detecting a position of the container and a height of the container by the sens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I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so that the water extraction nozzle is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container, and the water extraction module rotates or descends from the initial position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so that the water extraction nozzle is located on the top of the container. It includes positioning adjacently and proceeding with water extraction from the water extraction nozzle.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용기의 위치를 1차로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출수모듈을 상기 용기 측으로 회전시키고 나면,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용기의 높이를 2차로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출수모듈을 상기 용기 측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After the sensing unit firs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container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unit to rotate the water extraction module toward the container, the sensing unit secondarily detects the height of the container,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to lower the water extraction module toward the container.

상기 출수노즐에서 출수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출수모듈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When water extraction from the water extraction nozzle is completed,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to return the water extraction module to an initial positio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노즐이 형성된 출수모듈을 정수기 본체에 결합한 채로 출수노즐의 위치 및 높이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osition and height of the water extraction nozzle can be freely changed while the water extraction module formed with the water extraction nozzle is coupled to the main body of the water purifier.

또한, 출수노즐의 위치 변경을 위한, 출수모듈의 회전 또는 승강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in which a rotation or elevation operation o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is automatically performed to change the location of the water extraction nozzle.

또한, 사용자에 의해 컵 등의 용기가 정수기 주변에 놓여지면, 정수기가 이를 감지하고 용기와 인접한 상단으로 출수노즐이 자동으로 회전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en a container such as a cup is placed near the water purifier by a user, the water purifier detects this and automatically rotates the water extraction nozzle to an upper end adjacent to the container.

또한, 용기의 크기에 따라 출수노즐이 하강하여, 그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된 상태에서, 물의 취출이 진행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dispensing water in a state in which the water extraction nozzle is lower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ntainer and the height thereof is automatically adjusted.

또한, 출수노즐의 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출수가 진행되고, 출수가 완료되면, 출수노즐이 자동으로 초기위치로 복귀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automatically returning the water extraction nozzle to the initial position when water extraction proceeds in a state where the position of the water extraction nozzle is adjusted and water extraction is completed.

또한, 출수노즐에서 출수된 물이 낙차로 인해 컵 밖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discharge nozzle from splashing out of the cup due to a drop.

또한, 다양한 설치환경에 맞추어 출수노즐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location of the water extraction nozzl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various installation environments.

또한, 출수노즐이 장착된 승강커버가 고정커버에 완벽히 수납된 상태에서 승강커버의 자중에 의해 임의로 하강하지 않고, 고정커버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maintaining the state of being accommodated in the stationary cover without arbitrarily descending due to the weight of the elevation cover in a state where the elevation cover equipped with the water extraction nozzle is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stationary cover.

또한, 출수노즐이 장착된 승강커버의 승강 동작이 직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ing cover to which the water extraction nozzle is mounted can be performed in a straight line.

또한, 고정커버 및 승강커버의 휨 등의 변형이 방지되고, 상호 간의 체결력이 확보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deformation such as bending of the fixed cover and the elevating cover is prevented, and there is an effect of securing mutual fastening force.

또한, 승강커버와 고정커버의 체결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astening of the elevating cover and the fixed cover is easy.

또한, 출수노즐이 장착된 승강커버의 승강 동작이 매끄럽게 진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ing cover to which the water extraction nozzle is mounted can proceed smoothly.

또한, 승강커버와 고정커버 상호 간의 마찰로 인한 마모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abrasion and noise due to friction between the elevation cover and the fixed cover.

또한, 각종 부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상 미려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various parts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so there is a beautiful effect in appearance.

또한, 위생적이며, 출수 노즐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is hygienic and has an effect of preventing damage and deformation of the water ejection nozz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노즐의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감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7은 승강커버의 일부분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승강커버가 상승된 상태의 출수모듈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9는 승강커버가 하강된 상태의 출수모듈을 보인 정면도이다.
도 10은 로테이터와 필터 브라켓의 결합구조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로테이터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12는 로테이터와 필터 브라켓의 결합구조를 보인 배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a water outlet nozzle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Figure 3 extracted.
5 and 6 are front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nsing unit is provided in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elevating cover.
8 is a front view showing the water extraction module in a state in which the elevation cover is raised.
9 is a front view showing the water extraction module in a state in which the elevation cover is lowered.
10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rotator and a filter bracket.
1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rotator.
1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rotator and a filter bracket.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below,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ind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by adding, changing, deleting, and adding elements. Although it can be easily implemented, it will be said that this is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실시예에 첨부되는 도면은, 같은 발명 사상의 실시예이지만, 발명 사상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미세한 부분의 표현에 있어서는 도면별로 서로 다르게 표현될 수 있고, 도면에 따라서 특정 부분이 표시되지 않거나, 도면에 따라서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The drawings accompanying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examples of the same inventive idea, but may be differently expressed for each drawing in terms of fine parts in order to be easily understood within the scope of not damaging the inventive idea. And, depending on the drawing, a specific part may not be displayed or may be exaggeratedly expressed according to the drawin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노즐의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water outlet nozzle of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10)는 전후 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좌우 방향의 폭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수기(10)는 전체적으로 외관이 슬림한 형상을 갖게된다.As shown, the water purifi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o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narrow in the left-right direction. Accordingly, the water purifier 10 has a slim shape as a who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10)는 정수기 본체(100)와,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정수기 본체(100)를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수평하게 회전동작하거나, 상하방향으로 승강동작하면서 출수노즐(43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출수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purifi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water purifier body 100 and the front of the water purifier body 100, and rotates horizontally in both directions or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water purifier body 100. It may include a water extraction module 400 that changes the position of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while performing the lifting operation.

먼저, 정수기 본체(100)는 하우징(110)과 필터(120)를 구비한다. First,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includes a housing 110 and a filter 120 .

상기 정수기(10)의 외형은 하우징(1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111)와 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리어 커버(112), 하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13), 상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114) 그리고 좌우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115)로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커버(111)와 리어 커버(112), 베이스(113)와 탑 커버(114) 그리고 한 쌍의 사이드 패널(115)은 서로 조립되어 상기 정수기(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The exterior of the water purifier 10 may be formed by the housing 110 . The housing 110 includes a front cover 111 forming the front exterior, a rear cover 112 forming the rear exterior, a base 113 forming the lower surface, a top cover 114 forming the upper surface, and left and right It is composed of side panels 115 forming both sides. The front cover 111, the rear cover 112, the base 113, the top cover 114, and the pair of side panels 115 may be assembled to form the exterior of the water purifier 10.

이때, 상기 베이스(113)와 탑커버(114)의 전단과 후단은 라운드 지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프론트커버(111)와 리어커버(112)는 상기 라운드지게 형성된 베이스(113) 및 탑커버(114)의 전단 및 후단과 대응하는 곡률을 갖도록 전방과 후방으로 각각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base 113 and the top cover 114 may be formed to be rounded, and the front cover 111 and the rear cover 112 may be formed of the base 113 and the top cover ( 114) may be convexly formed forward and backward to have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front and rear ends.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위부에서 유입된 원수를 정화시켜 배출하는 필터(120)가 구비된다.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is provided with a filter 120 for purifying and discharging raw water introduced from the top.

한편,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출수모듈(400)이 배치된다. 상기 출수모듈(400)은 상기 프론트 커버(111)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하방으로 돌출되는 출수 노즐(430)을 통해 정수된 물이 취출된다.Meanwhile,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protrudes forward from the front cover 111, and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protruding downward.

또한, 상기 프론트 커버(111)는 어퍼 커버(111a)와 로어 커버(111b)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커버(111a)와 로어 커버(111b)는 수직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그 사이에 개구(101)를 형성하며, 상기 개구(101)는 정수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테이터(20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ront cover 111 may be composed of an upper cover 111a and a lower cover 111b. In addition, the upper cover 111a and the lower cover 111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orm an opening 101 therebetween, and the opening 101 is rotatably mounted on the water purifier body 100 It can be shielded by the rotator 200.

이때, 상기 로어커버(111b)에는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평면부(111c)가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flat portion 111c may b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lower cover 111b.

상기와 같이 로어커버(111b)에 평면부(111c)가 형성된 경우, 로어커버(111b)전체가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경우 대비, 사용자가 물을 취출할 때, 컵 등의 용기를 보다 깊이 넣을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컵 등의 용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lat portion 111c is formed on the lower cover 111b,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entire lower cover 111b is formed convex forward, the user can insert a container such as a cup more deeply when taking out water There is an advantage, and there is also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stably support containers such as cups.

또한, 출수모듈(400)을 회전할 때, 평면부(111c)를 기준으로 중심을 맞출 수 있는 이점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is rotat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enter o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can be aligned with respect to the plane portion 111c.

참고로, 상기 출수모듈(40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한 상태에서는, 평면의 사이드패널(115)에 의해 컵 등의 용기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For reference, in a state in which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is rotated left or right, a container such as a cup can be stably supported by the flat side panel 115 .

상기 출수모듈(400)은 상기 로테이터(20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정수기(10)의 설치 상태 또는 설치 환경에 따라 원하는 각도로 상기 출수모듈(400)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is configur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or 200 . Therefore, the user can rotate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at a desired angl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tate or installation environment of the water purifier 10 .

일 예로, 상기 탑 커버(114)의 전방에는 출수버튼(310)을 포함한 조작부(300)가 구비되며, 상기 조작부(300)는 상기 출수모듈(40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For example, a control unit 300 including a water extraction button 310 is provided in front of the top cover 114, and the control unit 300 has a structure that can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다른 예로, 상기 조작부(300)는 정수기 본체(100)에 구비되지 않고, 상기 출수모듈(400)에 구비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300 may not be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of the water purifier, but may be provided in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이 경우, 조작부(300)의 출수버튼(310)은 출수모듈(400)의 상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만일, 출수버튼(310)이 출수모듈(400)의 전면에 구비된 경우, 사용자가 출수버튼(310)을 누를 때, 출수모듈(400)에 수평방향의 힘이 가해지면서, 출수모듈(400)이 임의로 회전할 우려가 있다. 반면, 출수버튼(310)이 출수모듈(400)의 상면에 구비된 경우, 사용자가 출수버튼(310)을 누를 때, 출수모듈(400)에 수직방향의 힘이 가해지므로, 출수모듈(400)이 임의로 회전할 우려가 없다. 따라서, 출수모듈(400)에 출수버튼(310)이 구비된 경우, 출수버튼(310)은 출수모듈(400)의 상면에 구비되어야 한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extraction button 310 of the control unit 30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 If the water extraction button 310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when the user presses the water extraction button 310, a horizontal force is applied to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and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is may rotate arbitrarily. On the other hand, when the water extraction button 31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when the user presses the water extraction button 310, a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applied to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so that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There is no fear that this will rotate arbitrarily. Therefore, when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has the water extraction button 310, the water extraction button 310 must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또 다른 예로, 상기 조작부(300)는 정수기 본체(100)의 탑커버(114)와, 출수모듈(400)의 상면 양측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control unit 30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op cover 114 of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

또한, 상기 출수모듈(400)은 상기 로테이터(200)의 외측에 고정되고 상기 출수노즐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승강유닛의 구성으로, 상기 출수노즐(430)의 높이는 가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includes a lifting unit fixed to the outside of the rotator 200 and varying the height of the water extraction nozzle.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lifting unit as described above, the height of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can be varied.

상기와 같은 출수모듈(400)의 회전 및 승강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Rotation and elevation o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정수를 위한 필터(120)와 다수의 밸브(미도시)가 장착되는 필터 브라켓(130)이 구비된다. A filter 120 for water purification and a filter bracket 130 in which a plurality of valves (not shown) are mounted ar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10 .

상기 필터 브라켓(130)은 상기 베이스(113)와 결합되는 저면부(131)와, 상기 필터(120)가 수용되는 필터 수용부(132)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200)가 장착되는 로테이터 장착부(133)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lter bracket 130 includes a bottom part 131 coupled to the base 113, a filter receiving part 132 in which the filter 120 is accommodated, and a rotator mounting part 133 in which the rotator 200 is mounted. ) can be configured.

상세히, 상기 저면부(131)는 상기 베이스(113)의 전단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113)에 결합된다. 상기 저면부(131)의 결합에 의해 상기 필터 브라켓(130)의 장착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바닥면 형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In detail, the bottom portion 131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front end of the base 113 and is coupled to the base 113 .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filter bracket 130 can be fixed by the combination of the bottom part 131 and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er accommodating part 132 can be formed.

상기 필터 브라켓(130)은 상기 베이스(113)에 후크 방식으로 걸림 구속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113)의 하면에서 체결되는 스크류에 의해서도 고정될 수 있다. The filter bracket 130 may be hooked to the base 113 in a hook manner, and may also be fixed by a screw fastened to a lower surface of the base 113 .

상기 필터 수용부(13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필터(1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전방(도면상의 좌측)에서 후방(도면상의 우측)으로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필터 수용부(130)에는 복수의 필터(12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120)는 공급되는 원수(수돗물)의 정화를 위한 것으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필터가 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132 extends vertically and forms a recessed space from the front (left side of the drawing) to the rear side (right side of the drawing) so that the filter 120 can be accommodated. A plurality of filters 120 may be mounted in the filter accommodating part 130 . The filter 120 is for purifying supplied raw water (tap water) and may be configured to combine filters having various functions.

그리고, 상기 필터 수용부(130)에는 상기 필터(120)가 장착되는 필터 소켓(134)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소켓(134)에는 정수된 물이 유동되기 위한 배관이 제공되며, 상기 배관은 다수의 밸브(미도시)들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원수는 상기 필터(120)를 차례로 통과한 후 급수를 위한 밸브(미도시)로 향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filter socket 134 to which the filter 120 is mounted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filter accommodating part 130, and a pipe for flowing purified water is provided in the filter socket 134. The pipe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valves (not shown). Therefore, af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120 sequentially, the raw water is directed to a valve (not shown) for supplying water.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배면(도면상의 우측)에는 다수의 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미도시)들은 상기 필터(120)는 물론, 상기 쿨링 탱크(150)와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 그리고, 상기 출수모듈(400)로 정수와 냉수 및 온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한다.A plurality of valves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right side of the drawing) of the filter accommodating part 132, and the valves (not shown) are connected to the cooling tank 150 as well as the filter 120. Purified water, cold water, and hot water are selectively supplied to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170 and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상단에는 상기 로테이터(20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테이터 장착부(133)가 형성된다. A rotator mounting portion 133 to which the rotator 200 is rotatably mounted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132 .

이때,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133)는 로테이터 장착부(133)의 전방을 커버하는 프론트커버(111)의 곡률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브라켓(130)의 상부는 탑커버(114)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133)는 상단이 후방으로 연장되어, 그 상부에 로테이터(200)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otator mounting portion 133 may be formed to have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front cover 111 covering the front of the rotator mounting portion 133 . An upper portion of the filter bracket 130 may be shielded by a top cover 114 . The upper end of the rotator mounting part 133 extends rearward to provide a space where the rotator 200 is mounted thereon.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200)의 상방에 상기 조작부(3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300)는 상기 로테이터(200)와 연결되어 상기 로테이터(200)의 회전 조작시 함께 회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0 may be provided above the rotator 200, and the control unit 300 may be connected to the rotator 200 and rotated together when the rotator 200 is rotated.

상기 베이스(113) 상면에는 압축기(141)와 응축기(14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141)와 응축기(142)의 사이에는 쿨링 팬(143)이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141)와 응축기(142)의 냉각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압축기(141)는 주파수를 가변하여 냉각 능력의 조절이 가능한 인버터 타입의 압축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된 물의 냉각이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비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A compressor 141 and a condenser 142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113 . In addition, a cooling fan 143 is provided between the compressor 141 and the condenser 142 so that the compressor 141 and the condenser 142 can be cooled. The compressor 141 may be an inverter-type compressor capable of adjusting the cooling capacity by varying the frequency. Therefore, cooling of purified water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and through this,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그리고, 상기 응축기(142)는 상기 베이스(113)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리어 커버(112)에 형성되는 토출구(112a)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142)는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과 동시에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플랫 튜브 타입의 냉매관이 다수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응축기 브라켓(144)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Also, the condenser 142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base 113 and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utlet 112a formed on the rear cover 112 . The condenser 142 can be formed by bending a flat tube type refrigerant pipe multiple times to efficiently use space and improve heat exchange efficiency, and is configured to be accommodated in the condenser bracket 144 .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에는 상기 응축기(142)가 고정되는 응축기 장착부(145)와, 냉수를 만들기 위한 쿨링 탱크(150)가 장착될 수 있는 탱크 장착부(146)가 형성된다.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는 상기 응축기(142)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기(142)의 전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의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는 상기 쿨링 팬(143)과 토출구(112a)와 마주보는 부분이 각각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응축기(142)의 효과적인 냉각이 가능하다.The condenser bracket 144 is formed with a condenser mounting portion 145 to which the condenser 142 is fixed and a tank mounting portion 146 to which a cooling tank 150 for making cold water can be mounted. The condenser mounting part 145 forms a spac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verall shape of the condenser 142 so as to accommodate the condenser 142 therein. In addition, since the condenser mounting part 145 is formed such that portions facing the cooling fan 143 and the discharge port 112a are opened, the condenser 142 can be effectively cooled.

그리고, 상기 탱크 장착부(146)는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의 상부 즉,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의 상방에 형성된다. 상기 탱크 장착부(146)에는 상기 쿨링 탱크(15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탱크 장착부(146)는 쿨링 탱크(150)를 고정한다.The tank mounting part 146 is formed above the condenser bracket 144, that is, above the condenser mounting part 145. The lower end of the cooling tank 150 is inserted into the tank mounting portion 146 and the tank mounting portion 146 fixes the cooling tank 150 .

상기 쿨링 탱크(150)는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만들기 위한 것으로, 유입되는 정수와 열교환을 위한 냉각수가 채워진다. 그리고, 상기 쿨링 탱크(150) 내부에는 상기 냉각수의 냉각을 위한 증발기(151)가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정수가 상기 쿨링 탱크 내부를 경유할 수 있도록 하여 정수를 냉각시킬 수 있다.The cooling tank 150 is for cooling purified water to make cold water, and is filled with cooling water for heat exchange with purified water. An evaporator 151 for cooling the cooling water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cooling tank 150 . In addition, purified water may be cooled by allowing purified water to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cooling tank.

상기 필터 브라켓(130)의 일측에는 상기 쿨링 탱크(150)측으로 연장되는 서포트 플레이트(135)가 더 구비된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35)는 상기 압축기(141)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 브라켓(130)에서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까지 연장되어 히팅 및 컨트롤 모듈(160)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A support plate 135 extending toward the cooling tank 150 is furth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lter bracket 130 . The support plate 135 is provided above the compressor 141 and extends from the filter bracket 130 to the condenser bracket 144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heating and control module 160 is mounted.

상기 히팅 및 컨트롤 모듈(160)는 온수를 만들기 위한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와 상기 정수기(10)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어셈블리(18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와 컨트롤 어셈블리(180)는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모듈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35)에 장착될 수 있다.The heating and control module 160 may include an induction heating assembly 170 for making hot water and a control assembly 180 for controlling overall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10 .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170 and the control assembly 18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single module, and may be mounted on the support plate 135 in a coupled state.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는 정수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유도 가열(IH:induction heating) 방식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는 온수 취출 조작시 즉각적이고 빠른 속도로 물을 가열할 수 있으며, 자기장의 출력을 제어하여 원하는 온도로 정수를 가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취출할 수 있게 된다.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170 is for heating purified water and is configured to be heated in an induction heating (IH) method.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170 can immediately and rapidly heat water when dispensing hot water, and can heat purified water to a desired temperature by controlling the output of a magnetic field and provide it to the us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take out hot water at a desired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180)는 상기 정수기(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압축기(141)와, 쿨링 팬(143) 그리고 각종 밸브와 센서,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180)는 기능별로 다수의 부분으로 나누어진 피시비들의 조합에 의해 모듈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10)가 냉수와 정수만을 취출하는 구조에서는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를 제어하기 위한 피시비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시비가 생략될 수 있다. The control assembly 180 i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rifier 10 and can control the compressor 141, the cooling fan 143, various valves and sensors, and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170. is configured so that The control assembly 180 may be modularized and configured by a combination of PCB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for each function. Also, in a structure in which the water purifier 10 dispenses only cold water and purified water, a PC ratio for controlling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170 may be omitted, and at least one PC ratio may be omitted in this manner.

이하에서는, 상기 정수기의 메인 구성요소들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main components of the water purifi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drawings.

상기 출수모듈(400)은, 상기 정수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정수기 본체(100)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회전하는 로테이터(200)와, 상기 로테이터(200)의 외측에 고정되고 상기 출수노즐(430)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한다.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and is fixed to a rotator 200 that rotates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and an outer side of the rotator 200, An elevation unit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is included.

여기서, 상기 승강유닛과 로테이터(2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Here, the lift unit and the rotator 200 may be integrally formed, or may be detachably coupled.

도 4는 도 3의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Figure 3 extracted.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감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5 and 6 are front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nsing unit is provided in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 브라켓(130)은 상기 베이스(113)와 결합되는 저면부(131)와, 상기 필터(134)가 수용되는 필터 수용부(132)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200)가 장착되는 로테이터 장착부(133)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filter bracket 130 includes a bottom portion 131 coupled to the base 113, a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132 accommodating the filter 134, and the rotator 200. It may be composed of a rotator mounting portion 133 to be mounted.

상세히, 상기 저면부(131)는 상기 베이스(113)의 전단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113)에 결합된다. 상기 저면부(131)의 결합에 의해 상기 필터 브라켓(130)의 장착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바닥면 형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In detail, the bottom portion 131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front end of the base 113 and is coupled to the base 113 .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filter bracket 130 can be fixed by the combination of the bottom part 131 and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er accommodating part 132 can be formed.

상기 필터 브라켓(130)은 상기 베이스(113)에 후크 방식으로 걸림 구속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113)의 하면에서 체결되는 스크류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저면부(131)는 트레이(900)의 회전을 위해 베이스(11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링(910)과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트레이(900)의 회전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filter bracket 130 may be hooked to the base 113 in a hook manner, and may be fixed by a screw fastened to a lower surface of the base 113 . The bottom part 131 is configured not to interfere with the rotating ring 910 rotatably fixed to the base 113 for rotation of the tray 900 so that the tray 900 rotates smoothly.

그리고, 상기 필터 수용부(132)에는 상기 필터(120)가 장착된다.And, the filter 120 is mounted in the filter accommodating part 132 .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상단에는 로테이터 장착부(133)가 형성된다.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133)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전방으로 돌출되는 반원 형상을 가지며, 상단에 상기 로테이터(200)가 안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133)는 상기 로테이터(200)의 외측면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테이터(200)는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133)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 rotator mounting portion 133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lter accommodating portion 132 . The rotator mounting portion 133 has a semicircular shape protruding forward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and has a structure on which the rotator 200 can be seated. At this time, the rotator mounting portion 133 may be formed to have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or 200 . Accordingly, the rotator 200 is configured to rotate while seated on the rotator mounting portion 133 .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133)의 상단에 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136)에는 상부로 둘레와 나란하게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내면에는 내접 기어(133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접 기어(133b)는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133)와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게 되며, 후술되는 로테이터(20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피니언 기어(271)와 기어 결합되어, 피니언 기어(271)가 내접기어(133b)를 따라 회전하면 상기 로테이터(200)가 회전된다. In addition, a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circumference of the extension portion 136 extending rear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rotator mounting portion 133, and an internal gear 133b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rusion. there is. The internal gear 133b has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rotator mounting portion 133, and is gear-coupled with a pinion gear 271 rotatably mounted at the lower end of the rotator 20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pinion gear 271 When is rotated along the internal gear 133b, the rotator 200 is rotated.

상기 로테이터(200)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출수모듈(400)은 상기 로테이터(20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출수모듈(400)은 상기 로테이터(20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로테이터(200)의 회전시 함께 회전될 수 있다.The rotator 20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front of the rotator 200 .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rotator 200 and may rotate together when the rotator 200 rotates.

상기 로테이터(200)의 상방에는 어퍼 커버(111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커버(111a)는 상기 필터 브라켓(130)을 전방에서 차폐하는 로어 커버(111b)와 함께 정수기(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어퍼 커버(111a)는 상기 로테이터(200)와 탑 커버(114)의 사이에서 상기 정수기의 전면 외관 일부를 형성하며 라운드지게 형성된다.An upper cover 111a may be provided above the rotator 200 . The upper cover 111a forms the front appearance of the water purifier 10 together with the lower cover 111b that shields the filter bracket 130 from the front. Accordingly, the upper cover 111a forms a part of the front exterior of the water purifier between the rotator 200 and the top cover 114 and is formed in a round shape.

상기 어퍼 커버(111a)의 상단에는 탑 커버(1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탑 커버(114)는 상기 정수기(10)의 상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탑 커버(114)에는 상기 조작부(300)가 장착된다. 상기 조작부(300)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로테이터(200)와 결합되어 상기 로테이터(200)의 회전시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300)에는 출수 버튼(310)이 구비된다.A top cover 114 may be provided on top of the upper cover 111a. The top cover 114 forms an upper surface of the water purifier 10 . And, the control unit 300 is mounted on the top cover 114 . The control unit 30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is coupled to the rotator 200 so as to rotate together when the rotator 200 rotates. Also, a water extraction button 310 is provided on the control unit 300 .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부(300)는 일부가 출수모듈(400)의 상면을 커버하고, 나머지 일부가 탑 커버(114)에 결합되며,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300)의 상면은 상기 출수모듈(400)과 가까운 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a part of the control unit 300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and the remaining part is coupled to the top cover 114, and may be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rol unit 300 is formed to have an inclined surface that becomes lower toward the closer to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

따라서, 조작부(300)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과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manipulability of the manipulation unit 300 can be improved, while the user's manipulation convenience and readability can be improved.

한편,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는, 상기 출수모듈(400)의 회전동작 또는 승강동작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610,620)와, 상기 정수기 본체(100) 또는 상기 출수모듈(400)에 설치되어,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주변에 놓여진 용기의 위치 및 크기를 인식하는 감지부(710,720) 및 상기 감지부(710,720)로부터 용기의 위치정보 및 크기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용기의 상부로 상기 출수노즐(430)이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610,62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5 and 6 ,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riving units 610 and 620 that provide power required for rotation or elevation o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or the water purifier body 100. Sensors 710 and 720 installed in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to recognize the position and size of containers placed around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and receive position information and size information of containers from the detectors 710 and 720 ,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s 610 and 620 to move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to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may be included.

일 예로, 상기 감지부(710,720)는, 근접센서(710) 또는 카메라(720)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근접센서(710)와 카메라(720)는 감지부(710,720)를 의미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nsing units 710 and 720 may be provided as a proximity sensor 710 or a camera 720 .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roximity sensor 710 and the camera 720 may mean the sensing units 710 and 720 .

또한, 상기 감지부(710,720)는,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면을 커버하는 프론트 커버(111) 또는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115)에 종방향(승강커버의 승강방향)으로 복수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nsing units 710 and 720 are applied to the front cover 111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 purifier body 100 or the side panel 115 forming the side surface of the water purifier body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levating cover). lifting direction) may be arranged in plurality.

또한, 상기 감지부(710,720)는,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면을 커버하는 프론트 커버(111) 또는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115)에 횡방향(로테이터의 회전방향)으로 복수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nsing units 710 and 720 are applied to the front cover 111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 purifier body 100 or to the side panel 115 forming the side surface of the water purifier body 100 in a transverse direction (rotator rotation). direction) may be arranged in multiple directions.

일 예로, 상기 프론트 커버(111)는, 전방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감지부(710,720)는 상기 프론트 커버(111)의 원주 방향(둘레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하여 복수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ront cover 111 may be formed in a forward convex shape, and a plurality of sensing units 710 and 720 may be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ront cover 111.

다른 예로, 상기 감지부(710,720)는, 상기 출수모듈(400)의 하단 또는 상기 출수노즐(430)에 설치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detection units 710 and 720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or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

상기 감지부(710,720)는 프론트 커버(111)의 근방에 놓인 컵 등의 용기의 위치 및 높이를 감지한다. The sensing units 710 and 720 sense the position and height of a container such as a cup placed near the front cover 111 .

일 예로, 감지부(710,720)는 컵 등의 용기가 프론트 커버(111)의 중심에 놓였는지, 중심보다 좌측 또는 중심보다 우측에 놓였는지를 감지한다. For example, the sensing units 710 and 720 detect whether a container such as a cup i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front cover 111, or whether it is placed to the left or to the right of the center.

이를 위해서, 감지부(710,720)는 프론트 커버(111)의 하부 또는 중심부에 프론트 커버(111)의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되어, 프론트 커버(111)의 주변에 놓인 용기의 횡방향 위치를 감지한다.To this end, the sensing units 710 and 7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ront cover 111 at the lower part or the center of the front cover 111, and detect the transverse position of the container placed around the front cover 111.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감지부(710,720)는 프론트 커버(111)의 중심에 놓여진 용기를 감지하도록 프론트 커버(111)의 중심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710,720)는 프론트 커버(111)의 중심보다 좌측에 놓여진 용기를 감지하도록 프론트 커버(111)의 중심 보다 좌측에도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710,720)는 프론트 커버(111)의 중심보다 우측에 놓여진 용기를 감지하도록 프론트 커버(111)의 중심보다 우측에도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6 , the sensing units 710 and 720 may be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cover 111 to detect a container plac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cover 111 . In addition, the detection units 710 and 720 may be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center of the front cover 111 to detect a container placed on the left side of the center of the front cover 111 . In addition, the sensing units 710 and 720 may be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center of the front cover 111 to detect a container placed on the right side of the center of the front cover 111 .

뿐만 아니라, 감지부(710,720)는 프론트 커버(111) 주변에 놓인 용기의 높이를 감지한다. In addition, the sensing units 710 and 720 detect the height of the container placed around the front cover 111 .

일 예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감지부(710)는 근접센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프론트 커버(111) 주변에 놓인 용기의 높이를 감지하도록 복수 구비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5 , the sensing unit 710 may be provided as a proximity sensor, and may be provided in plural to detect the height of containers placed around the front cover 111, and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 is.

본 발명의 경우, 센서는 제1센서와, 상기 제1센서의 하방에 배치된 제2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센서에서 상기 정수기 본체 주변에 놓인 용기를 감지하고, 상기 제1센서에서 상기 정수기 본체 주변에 놓인 용기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수노즐이 상기 제1센서와 제2센서 사이 위치로 하강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includes a first sensor and a second sensor disposed below the first sensor, the second sensor detects a container placed around the body of the water purifier, and the first sensor detects the water purifier. When the container placed around the main body of the water purifier is not detected,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so that the water discharge nozzle descends to a position between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여기서, 상기 센서는 근접센서(710d,710e,710f)를 의미할 수 있다. Here, the sensors may mean proximity sensors 710d, 710e, and 710f.

그리고, 상기 제1센서는 최상단의 근접센서(710d)를 의미할 수 있고, 제2센서는 상기 최상단의 근접센서(710d) 보다 아래에 위치한 근접센서(710e, 710f)를 의미할 수 있다. Also, the first sensor may mean the topmost proximity sensor 710d, and the second sensor may mean the proximity sensors 710e and 710f located below the topmost proximity sensor 710d.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제1구동부재(610)를 의미할 수 있다. Also, the driving part may mean the first driving member 610 .

다른 예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감지부(720)는 카메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프론트 커버(111)의 중심부 또는 출수모듈(400)의 하단에 설치되어, 획득한 초점정보 또는 이미지 정보를 기초로, 프론트 커버(111) 주변에 놓인 용기의 높이를 감지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referring to FIG. 6 , the sensing unit 720 may be provided as a camera, and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cover 111 or at the lower end o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to transmit acquired focus information or image information. As a basis, the height of the container placed around the front cover 111 may be sensed.

도 7은 승강커버의 일부분을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승강커버가 상승된 상태의 출수모듈을 보인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승강커버가 하강된 상태의 출수모듈을 보인 정면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elevating cover. 8 is a front view showing the water extraction module in a state in which the elevation cover is raised. 9 is a front view showing the water extraction module in a state in which the elevation cover is lowered.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출수모듈(400)은, 프론트 커버(111)에 마련된 개구부(101)를 통해 정수기 본체(100)의 내부에 배치된 로테이터(200)와 고정되고,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단이 상기 조작부(300)의 하단과 연결되는 고정커버(410)와, 상기 고정커버(410)의 내측에 수용되고, 상기 고정커버(410)에 접촉 지지되면서 승강하는 승강커버(420) 및 상기 승강커버(420)의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커버(420)와 함께 승강하는 출수노즐(430)을 포함할 수 있다. 7 to 9,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is fixed to the rotator 200 disposed inside the water purifier body 100 through the opening 101 provided in the front cover 111, and the water purifier body The fixing cover 410 protrudes forward of the 100 and has an upper end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trol unit 300, and is accommodated inside the fixing cover 410 and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fixing cover 410. It may include an elevating cover 420 that moves up and down, and a water extraction nozzle 430 mounted on a lower end of the elevating cover 420 and moving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elevating cover 420 .

상기 출수노즐(430)은 승강커버(420)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승강커버(420)가 고정커버(410)를 따라 승강하면, 결과적으로 출수노즐(430)의 수직방향의 위치(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elevation cover 420, and when the elevation cover 420 moves up and down along the fixed cover 410, the vertical position (height) of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results. can be varied.

후술하겠지만, 상기 고정커버(410)는 로테이터(200)에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커버(41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 승강커버(420) 및 출수노즐(430)은 수평방향으로도 그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since the fixing cover 410 is fixed to the rotator 200, the elevating cover 420 and the water outlet nozzle 430 coupled to the fixing cover 410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re variable in their positions eve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can be.

참고로, 상기 고정커버(410)의 상단은 상기 조작부(300)의 하단과 연결된다.For reference, the upper end of the fixed cover 41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trol unit 300 .

이에 따르면, 로테이터(200)와 조작부(300)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커버(420)의 최대 상승 시, 상기 승강커버(420)의 상단은 상기 로테이터(200)와 상기 조작부(300) 사이 간격에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 gap is formed between the rotator 200 and the control unit 300, and when the lift cover 420 is maximally raised, the upper end of the lift cover 420 moves between the rotator 200 and the control unit 300. It can be located in the gap between them.

상기의 경우, 승강커버(420)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어, 결과적으로 승강커버(420) 및 승강커버(420)에 결합된 출수노즐(430)의 최대상승 높이는 더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승강커버(420) 및 승강커버(420)에 결합된 출수노즐(430)의 최대하강 높이는 더 낮아질 수 있다. In the above case, the length of the elevating cover 420 may be increased, and as a result, the maximum elevation of the elevating cover 420 and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coupled to the elevating cover 420 may be higher. In addition, the maximum descending height of the lifting cover 420 and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coupled to the lifting cover 420 may be lowered.

즉, 승강커버(420) 및 승강커버(420)에 결합된 출수노즐(430)의 높이조절범위가 길어질 수 있다.That is, the height adjustment range of the elevation cover 420 and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coupled to the elevation cover 420 may be increased.

또한, 상기와 같이 고정커버(410)의 상단이 상기 조작부(300)의 하단과 연결되면, 결과적으로 출수모듈(400)은 조작부(300)에 의해 그 상단이 정수기 본체(100)에 1차적으로 지지되고, 로테이터(200)에 의해 그 하단 또는 중심부가 정수기 본체(100)에 2차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pper end of the fixing cover 41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trol unit 300 as described above, as a result,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is primari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of the water purifier by the control unit 300. is supported, and a lower end or a central portion thereof may be secondarily supported by the rotator 200 to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따라서, 출수모듈(400)이 보다 견고하게 정수기 본체(1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출수모듈(400)의 회전 또는 승강 동작 시, 출수모듈(400)이 흔들거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can be more firmly connected to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and a phenomenon in which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is shaken when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rotates or moves up and down can be prevent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테이터(200)와 출수모듈(400)은 개구부(101)를 통과하는 브릿지(5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rotator 200 and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may be connected by a bridge 500 passing through the opening 101 .

상기 브릿지(500)는 로테이터(200)와 고정커버(410)를 일체로 연결한다.The bridge 500 connects the rotator 200 and the fixed cover 410 integrally.

상기 브릿지(500)는 개구부(101)를 통과하며, 양단이 각각 로테이터(200)와 고정커버(410)에 고정된다. The bridge 500 passes through the opening 101, and both ends are fixed to the rotator 200 and the fixed cover 410, respectively.

따라서, 상기 출수모듈(400) 및 로테이터(200)가 회전하면, 상기 브릿지(500)는 개구부(101)를 따라 이동한다. Therefore, when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and the rotator 200 rotate, the bridge 500 moves along the opening 101 .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브릿지(500)의 내부, 그리고 브릿지(500)가 연결된 로테이터(200)의 선단, 고정커버(410) 및 승강커버(420)의 배면(도 4를 기준으로 우측)에는 각종 배관이 통과되게 상호 연통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통로가 형성되면, 정수기 본체(100)의 내부공간과 승강커버(420)의 내부공간이 연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inside of the bridge 500, the front end of the rotator 200 to which the bridge 500 is connected, the rear surface of the fixed cover 410 and the lift cover 420 (right side with reference to FIG. 4) There may be formed passages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so that various pipes pass therethrough. When the passage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inner space of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and the inner space of the elevation cover 42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따라서, 통로를 통해 승강커버(420)에 구비된 출수노즐(430)로 정수기 본체(100)에서 생성된 정수, 냉수, 온수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하는 배관이 연결될 수 있다. Accordingly, a pipe supplying at least one of purified water, cold water, and hot water generated in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nozzle 430 provided in the elevation cover 420 through the passage.

일 예로, 상기 배관은 정수 및 냉수를 공급하는 정수관, 그리고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ipe may include a purified water pipe for supplying purified water and cold water, and a hot water pipe for supplying hot water.

이때, 상기 정수관 및 온수관은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유연성(flexible) 재질로 이루어져, 구부러지거나 펴지면서 승강커버(420)의 승강 동작에 대응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water purification pipe and the hot water pipe ar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rubber or silicon, and can respond to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ing cover 420 while being bent or stretched.

상기의 경우, 승강커버(420) 및 출수노즐(430)이 승강 동작할 때, 배관이 승강커버(420)의 내부공간에서 구부러지거나 펴지면서, 승강커버(420)의 승강 동작에 대응할 수 있고, 나아가 승강커버(420) 및 출수노즐(430)의 높이에 관계없이 냉수,정수 및 온수가 출수노즐(430)로 공급될 수 있다. In the above case, when the lifting cover 420 and the water outlet nozzle 430 move up and down, the pipe bends or unfolds in the inner space of the lift cover 420 to respond to the lift cover 420, Furthermore, cold water, purified water, and hot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water outlet nozzle 430 regardless of the heights of the elevating cover 420 and the water outlet nozzle 430 .

한편, 상기 고정커버(410)는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승강커버(420)는, 상기 고정커버(410)의 내측에 마련된 승강공간에 수용되어 승강하면서, 상기 출수노즐(430)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xed cover 410 has an elevation space in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elevation cover 420 is accommodated in the elevation space provided inside the fixed cover 410 and moves up and down while the water outlet nozzle ( 430) can be varied.

즉, 상기 승강커버(420)는 고정커버(410)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고정커버(410)의 개방된 하측으로 출몰하면서 승강한다.That is, the elevating cover 420 moves up and down while being retracted to the open lower side of the fixed cover 410 while being accommodated inside the fixed cover 410 .

일 예로, 승강커버(420)의 최대 상승 시, 승강커버(420)는 고정커버(410)의 내측으로 완벽하게 수납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lift cover 420 is maximally raised, the lift cover 420 can be completely accommodated inside the fixed cover 410 .

상기와 같이 승강커버(420)가 상승한 상태에서, 승강커버(420)가 하강하면, 고정커버(41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When the elevation cover 420 is lowered while the elevation cover 420 is elevated as described above,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xed cover 410 .

반대로, 승강커버(420)가 하강된 상태에서 승강커버(420)를 상승시키면, 승강커버(420)는 고정커버(410)의 내측으로 수납된다. Conversely, when the elevation cover 420 is raised in a state in which the elevation cover 420 is lowered, the elevation cover 420 is accommodated inside the fixed cover 410 .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승강커버(420)가 승강하며, 승강커버(420)에 고정된 출수노즐(430)의 높이가 가변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elevation cover 420 moves up and down, and the height of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fixed to the elevation cover 420 can be varied.

참고로, 상기 승강커버(420)의 외형은 상기 고정커버(410)의 승강공간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outer shape of the lift cover 42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lift space of the fixing cover 410 .

일례로, 고정커버(410) 및 승강커버(420)는 적어도 일부가 호(arc) 형상형의 단면을 구비할 수 있으며, 원형의 단면을 구비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xed cover 410 and the elevating cover 420 may have an arc-shaped cross section or may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다른 예로, 고정커버(410) 및 승강커버(420)는 적어도 일부가 직선형의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고정커버(410) 및 승강커버(420)는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xed cover 410 and the elevating cover 420 may have a straight cross section. In addition, the fixed cover 410 and the elevating cover 420 may have cross sections of various shapes.

또한, 출수모듈(400)은, 고정커버(410)와 승강커버(420)의 고정력은 확보하면서, 상기 승강커버(420)가 직선으로 승강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440,450)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may include guide parts 440 and 450 for guiding the elevation cover 420 to ascend in a straight line while securing fixing force between the fixed cover 410 and the elevation cover 420 .

상기 승강커버(420)는 고정커버(4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승강을 하기 때문에, 고정커버(410)에 의해 승강커버(420)의 승강 동작이 직선으로 안내될 수 있다. 하지만, 승강커버(420)가 고정커버(410)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승강커버(420)가 양측으로 조금이라도 흔들릴 경우, 승강커버(420)의 승강 동작이 불안정하게 진행되고, 이와 같은 현상이 반복되면 고정커버(410) 또는 승강커버(420)의 변형 및 손상을 초래한다. Since the lift cover 420 moves up and down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fixed cover 410,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 cover 420 can be guided in a straight line by the fixed cover 410. However, while the elevation cover 42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xed cover 410 and the elevation cover 420 is shaken even slightly to both sides, the elevation operation of the elevation cover 420 proceeds unstable, and this phenomenon When repeated, deformation and damage of the fixed cover 410 or the elevating cover 420 result.

일 예로, 상기 고정커버(410) 및 승강커버(420)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승강커버(420)의 승강 방향을 따라 돌출부 또는 홈부를 각각 형성하여, 상호 간의 체결력을 높이면서, 승강커버(420)의 직선이동을 가이드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fixed cover 410 and the elevation cover 420 each form protrusions or grooves along the elevation direction of the elevation cover 420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reby increasing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m, while increasing the elevation of the elevation cover 420. ) may guide the linear movement of

이때, 고정커버(410)에 홈부가 형성되면, 승강커버(420)에는 상기 홈부에 끼워지는 돌기부를 형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a groove is formed in the fixing cover 410, a protrusion fitted into the groove may be formed in the elevating cover 420.

반대로, 상기 고정커버(410)에 돌기부가 형성되면, 승강커버(420)에는 상기 돌기부가 끼워지는 홈부를 형성할 수 있다.Conversely, when a protrusion is formed on the fixing cover 410, a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fitted may be formed on the elevating cover 420.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부(440,450)는 상기 고정커버(410)에 승강방향을 따라 상측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내측면의 적어도 일측에 기어치(431)가 형성된 가이드홈(440)과, 상기 가이드홈(440)과 대면하는 승강커버(420)의 전면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홈(440)에 끼워져 상기 기어치(441)와 치합되면서 회전 및 승강하는 제1피니언 기어(450)를 포함할 수 있다. 7 to 9, the guide parts 440 and 450 are concavely form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long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fixing cover 410, and the gear teeth 431 ar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I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groove 440 and the front upper end of the elevating cover 420 facing the guide groove 440, and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440 to rotate and move up and down while engaging with the gear teeth 441. It may include a first pinion gear 450 to.

이와 반대로, 상기 가이드부(440,450)는 상기 승강커버(420)에 승강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내측에 기어치가 형성된 가이드홈과, 상기 고정커버(4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져 상기 기어치와 치합되는 제1피니언 기어를 포함할 수도 있다. Contrary to this, the guide parts 440 and 450 are rotatably coupled to a guide groove formed on the lifting cover 420 along the lifting direction and having gear teeth formed therein, and to the fixing cover 410, and to the guide groove. It may include a first pinion gear that is fitted and meshed with the gear teeth.

상기 제1피니언 기어(450)는 상기 직선으로 형성된 가이드홈(440)에 끼워져, 가이드홈(440)을 따라서 직선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커버(420)의 승강동작이 직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pinion gear 450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440 formed in the straight line, and can move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guide groove 440 . Accordingly,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ing cover 420 can be performed in a straight line.

또한, 상기 제1피니언 기어(450)는 상기 승강커버(4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Also, the first pinion gear 450 may be rotatably mounted on the elevation cover 420 .

상기 제1피니언 기어(450)는 가이드홈(440)의 기어치(441)에 랙과 피니언(rack and pinion)과 같은 방식으로 맞물리고, 제1피니언 기어(450)는 회전하면서, 가이드홈(440)을 따라 직선으로 승강할 수 있다. The first pinion gear 450 is engaged with the gear teeth 441 of the guide groove 440 in the same way as a rack and pinion, and while the first pinion gear 450 rotates, the guide groove ( 440) can be raised and lowered in a straight line.

상기와 같이 제1피니언 기어(450)와 기어치(441)가 형성된 가이드홈(440)의 구성으로, 제1피니언 기어(450)가 회전하면서 가이드홈(440)을 따라 보다 정확하게 직선으로 승강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승강커버(420)의 승강이 보다 정확하게 직선으로 진행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guide groove 440 in which the first pinion gear 450 and the gear teeth 441 are formed, the first pinion gear 450 can move up and down in a straight line more accurately along the guide groove 440 while rotating. As a result, the elevation of the elevation cover 420 can proceed more accurately in a straight line.

또한, 상기 가이드홈(440)의 기어치(441) 및 제1피니언 기어(450)의 기어치(451)에는 상기 승강커버(220)의 승강 방향과 수직하거나 경사지게 형성된 직선구간 또는 곡선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가이드홈(440)의 기어치(441) 및 제1피니언 기어(450)의 기어치(451) 일부 또는 전체가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ear teeth 441 of the guide groove 440 and the gear teeth 451 of the first pinion gear 450 include a straight section or a curved section formed perpendicularly or inclined to the lifting direction of the lifting cover 220. can do. In particular, some or all of the gear teeth 441 of the guide groove 440 and the gear teeth 451 of the first pinion gear 450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상기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440)의 기어치(441) 및 제1피니언 기어(450)의 기어치(451)가 곡선으로 형성되면, 가이드홈(440)의 기어치(441) 및 제1피니언 기어(450)의 기어치(451)가 부드럽게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승강커버(220)가 승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홈(440)의 기어치(441) 및 제1피니언 기어(450)의 기어치(451)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가이드홈(440)의 기어치(441) 및 제1피니언 기어(450)의 기어치(45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gear teeth 441 of the guide groove 440 and the gear teeth 451 of the first pinion gear 450 are formed in a curved shape, the gear teeth 441 of the guide groove 440 and the first pinion The gear teeth 451 of the gear 450 can engage smoothly.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lifting the elevating cover 220, the guide groove 440 is moved by the force applied to the gear teeth 441 of the guide groove 440 and the gear teeth 451 of the first pinion gear 45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ear teeth 441 of ) and the gear teeth 451 of the first pinion gear 450 from being damaged.

만일, 상기 가이드홈(440)의 기어치(441) 및 제1피니언 기어(450)의 기어치(451)가 직선으로 형성되며, 뾰족한 모서리가 형성된 경우, 뾰족한 부분에 힘이 집중되어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If the gear teeth 441 of the guide groove 440 and the gear teeth 451 of the first pinion gear 450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and have sharp edges, damage may occur due to concentration of force on the sharp edges. There are concerns.

일례로, 상기 가이드홈(440)의 기어치(441) 및 제1피니언 기어(450)의 기어치(451)의 요철(凹凸)부분이 반원형으로 돌출되거나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cavo-convex parts of the gear teeth 441 of the guide groove 440 and the gear teeth 451 of the first pinion gear 450 may protrude or be concave in a semicircular shape.

다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피니언기어(450)의 제1 회전축(452)은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재(610)와 연결된다. 여기서 제1구동부재(610)는 전술한 구동부를 의미한다.Again, referring to FIGS. 7 to 9 , the first rotational shaft 452 of the first pinion gear 450 is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member 610 providing rotational power. Here, the first driving member 610 means the aforementioned driving unit.

이에 따르면, 상기 제1구동부재(610)가 회전하면, 상기 제1 피니언기어(450)도 회전한다. According to this, when the first driving member 610 rotates, the first pinion gear 450 also rotates.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구동부재(610)의 회전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승강커버(420)를 승강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may chang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irst driving member 610 to move the elevation cover 420 up and down.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구동부재(610)의 회전속도를 변경하여, 상기 승강커버(420)의 승강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chang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irst driving member 610 to adjust the lifting speed of the lifting cover 420 .

일 예로, 상기 제1 구동부재(610)는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모터로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driving member 610 may include a motor capable of rotating in both directions.

따라서, 제어부에서 제1 구동부재(610)로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1 구동부재(610)는 회전하고,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피니언기어(450)가 가이드홈(440)을 따라 승강하면서, 제1 피니언기어(450)가 고정된 승강커버(420) 및 출수노즐(430)이 승강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a signal is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to the first driving member 610, the first driving member 610 rotates, and the first pinion gear 450 moves up and down along the guide groove 440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While doing so, the lift cover 420 to which the first pinion gear 450 is fixed and the water outlet nozzle 430 may move up and down.

이때, 상기 제어부는 감지부(710,720)와 연결되어, 감지부(710,720)에서 감지된 용기의 높이에 따라, 상기 제1 구동부재(610)의 회전량 및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s 710 and 720 and adjust the rotation amount and rotational speed of the first driving member 610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ontainer sensed by the sensing units 710 and 720 .

상기와 같은 감지부 및 제어부에 의한 제1 구동부재의 구체적인 제어방법은 추후 설명하기로 한다. A detailed control method of the first driving member by the sens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later.

도 10은 로테이터와 필터 브라켓의 결합구조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로테이터의 저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로테이터와 필터 브라켓의 결합구조를 보인 배면 사시도이다.10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rotator and a filter bracket. And, Figure 1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rotator. And, Figure 1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rotator and the filter bracke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로테이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rotator',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상기 출수모듈(400)은 로테이터(200)와 연결되어, 로테이터(200)와 함께 회전하면서, 출수노즐(430)의 수평방향 위치를 가변시킨다.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is connected to the rotator 200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or 200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도 3 및 도 11을 참조하면, 로테이터(200)는 중공(211)을 갖는 원형의 로테이터 본체(210)와, 상기 로테이터 본체(210)의 상부에 고정되는 상부 디스크(220) 및 상기 로테이터 본체(210)의 하부에 고정되는 하부 디스크(230)를 포함할 수 있다.3 and 11, the rotator 200 includes a circular rotator body 210 having a hollow 211, an upper disk 220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rotator body 210, and the rotator body ( 210 may include a lower disk 230 fixed to the lower portion.

상기 로테이터 본체(210)와 상부 디스크(220), 하부 디스크(230)는 조립 등의 방식으로 하나의 모듈로 결합될 수 있다.The rotator body 210, the upper disk 220, and the lower disk 230 may be combined into one module by assembling or the like.

일 예로, 상기 로테이터 본체(210)는 내측 상부에 상기 상부디스크(220)의 하단이 안착되는 제1안착돌기를 복수 형성하고, 내측 하부에 상기 하부디스크(230)의 상단이 안착되는 제2안착돌기를 복수 형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rotator body 210 has a plurality of first seating protrusions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which the lower end of the upper disk 220 is seated, and a second seating protrusion on which the upper end of the lower disk 230 is seated on the inner lower portion. 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formed.

또한, 상기 제1안착돌기와 상부디스크, 제2안착돌기와 하부디스크는 나사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seating protrusion and the upper disk, and the second seating protrusion and the lower disk may be integrally coupled through a fastening means such as a screw.

한편, 상기 상부디스크(220)와 하부디스크(230)에는 각각 중심부에 상기 로테이터 본체(210)의 중공(211)과 연통하는 통공(221,231)을 형성할 수 있다. Meanwhile, through holes 221 and 231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211 of the rotator body 210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disk 220 and the lower disk 230, respectively.

상기 통공(221,231)은 로테이터(200)의 회전중심과 동축상에 배치될 수 있다.The through holes 221 and 231 may be disposed coaxially with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rotator 200 .

상기 통공(221,231)은 취출되는 물이 유동되는 정수관 및 온수관의 설치 위치를 작업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형성된다.The through holes 221 and 231 are formed to notify the operator of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purified water pipe and the hot water pipe through which the discharged water flows.

일 예로, 상기 통공(221,231)을 통해, 온수관, 정수관, 냉수관이 로테이터(200)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For example, hot water pipes, purified water pipes, and cold water pipes may enter the inside of the rotator 200 through the through holes 221 and 231 .

한편, 상기 로테이터(200)는 정수기 본체(1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Meanwhile, the rotator 200 is rotatably mounted inside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

이때, 상기 로테이터(200)의 내측 하단에는 제2 피니언 기어(271)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133)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133a)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33a)의 내측면에는 내접 기어(133b)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33a)는 상부에서 바라봤을 때, 반원 형상 또는 아치형으로 을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second pinion gear 271 is rotatably mounted at the inner lower end of the rotator 200, and a protrusion 133a protruding upwar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rotator mounting portion 133, and the protrusion An internal gear 133b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133a. When viewed from above, the protrusion 133a may be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or an arcuate shape.

이에 따르면, 상기 로테이터(200)의 회전시, 상기 제2 피니언 기어(271)는 상기 내접 기어(133b)를 따라 이동한다. According to this, when the rotator 200 rotates, the second pinion gear 271 moves along the internal gear 133b.

또한, 상기 제2 피니언 기어(271)의 제2 회전축(271a)은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재(620)의 축과 연결된다. 상기 제2 구동부재(620)는 구동부를 의미한다.In addition, the second rotational shaft 271a of the second pinion gear 271 is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second driving member 620 providing rotational power. The second driving member 620 means a driving uni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구동부재(620)의 회전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로테이터(200)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Also, the control unit may chang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econd driving member 620 to rotate the rotator 200 in both directions.

일 예로, 상기 제2 구동부재(620)는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모터로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driving member 620 may be provided as a motor capable of rotating in both directions.

따라서, 제어부에서 제2 구동부재(620)로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2 구동부재(620)는 회전하고,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제2 피니언 기어(271)가 내접 기어(133b)가 회전한다. 그리고, 제2 피니언기어(271)는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하면서, 제2 피니언 기어(271)가 고정된 로테이터(200)를 따라 양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러한 과정에 의해 로테이터(200) 및 로테이터(200)와 연결된 출수모듈(400)도 회전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a signal is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to the second driving member 620, the second driving member 620 rotates, and the internal gear 133b of the second pinion gear 271 rotate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 And, while the second pinion gear 271 rotates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the second pinion gear 271 moves in both directions along the fixed rotator 200, and by this process, the rotator 200 and the rotator 200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connected to ) may also rotate.

이때, 상기 제어부는 감지부(710,720)와 연결되어, 감지부(710,720)에서 감지된 용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2 구동부재(620)의 회전량 및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s 710 and 720 and adjust the rotation amount and rotation speed of the second driving member 620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ntainer sensed by the sensing units 710 and 720.

상기와 같은 감지부 및 제어부에 의한 제2 구동부재(620)의 구체적인 제어방법은 후술하기로 한다. A specific control method of the second driving member 620 by the sens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later.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구동부의 제어를 통한 출수노즐의 위치 및 높이 조절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adjusting the position and height of the water extraction nozzle through the control of the driving unit will be described.

일 예로, 도 5 및 도 13을 참조하여, 감지부(710)가 근접센서로 구비된 경우, 정수기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5 and 13 , a method of controlling a water purifier when the sensor 710 is provided as a proximity sensor will be described.

먼저, 정수기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주변에 용기가 위치된다(S101).First, in a state in which power is supplied to the water purifier, a container is placed around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by the user (S101).

여기서, 상기 '용기'는 컵, 물병, 냄비 등과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물이 저장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발생할 수 있다. Here, the 'container'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such as a cup, a water bottle, a pot, etc., in the range of having an open upper part and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water is stored.

상기 S101 단계에서, 용기는 정수기 본체(100)의 전방에 위치된다. 일 예로, 상기 용기는 프론트 커버(111)의 주변에 위치된다. In step S101, the container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For example, the container is located around the front cover 111.

상기와 같이 프론트 커버(111)의 주변에 용기가 위치되면, 상기 감지부(710)에서 용기의 위치 및 높이를 감지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tainer is located around the front cover 111, the position and height of the container are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710.

먼저, 감지부(710)는 용기의 위치를 감지한다.First, the sensing unit 710 detects the position of the container.

이때, 감지부(710)는 프론트 커버(111)의 둘레를 따라 복수 배치된 상태이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detectors 710 ar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ront cover 111 .

도 5를 참조하면, 최하단에 위치된 감지부(710)에서, 용기의 위치를 감지한다. 이 경우, 용기의 높이에 관계 없이 용기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position of the container is sensed by the sensing unit 710 located at the bottom.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container can be sensed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container.

상세히, 도면상의 좌측 하단에 위치된 근접센서(710a)에서, 용기를 먼저 감지할 수 있다.(S111)In detail, in the proximity sensor 710a located at the lower left of the drawing, the container can be sensed first. (S111)

만약 상기 S111단계에서, 상기 좌측의 근접센서(710a)가 용기를 감지하면, 제어부는 제2 구동부재(620)에 신호를 보내, 제2 구동부재(620) 및 제2 구동부재(620)에 연결된 제2 피니언 기어(271)를 회전시킨다.(S121)In step S111, if the proximity sensor 710a on the left side detects a container, the control unit sends a signal to the second driving member 620,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620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620 The connected second pinion gear 271 is rotated. (S121)

이에 따라, 제2 피니언 기어(271)와 연결된 로테이터(200) 및 출수모듈(400)은 좌측으로 회전하게 되고, 용기의 상부에 출수노즐(430)이 위치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rotator 200 and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connected to the second pinion gear 271 rotate to the left, and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may be positioned above the container.

반면, 상기 S111단계에서, 상기 좌측의 근접센서(710a)에 용기가 감지되지 않으면, 중심에 위치된 근접센서(710b)에서, 용기를 감지한다.(S112)On the other hand, in step S111, if the container is not detected by the left proximity sensor 710a, the proximity sensor 710b located in the center detects the container. (S112)

만약 상기 S112 단계에서, 상기 중심부의 근접센서(710b)가 용기를 감지하면, 제어부는 제2 구동부재(620)에 신호를 보내, 제2 구동부재(620) 및 제2 구동부재(620)에 연결된 제2 피니언 기어(271)를 회전시킨다.(S122)In step S112, if the proximity sensor 710b of the center detects a container, the control unit sends a signal to the second driving member 620,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620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620 The connected second pinion gear 271 is rotated (S122).

이에 따라 출수모듈(400)은 중심부로 회전되면서, 용기의 상부에 출수노즐(430)이 위치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may be rotated toward the center, and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may be positioned on the top of the container.

만약, 대기모드에서 출수모듈(400)이 중심부에 위치된 경우, 제어부는 제2 구동부재(620)에 별도의 신호를 보내지 않고, 출수모듈(400)은 중심부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I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is located in the center in the standby mode, the control unit does not send a separate signal to the second driving member 620, and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may remain located in the center.

반면, 상기 S112 단계에서도, 상기 중심부의 근접센서(710b)에 용기가 감지되지 않으면, 도면상의 우측에 위치된 근접센서(710c)에서, 용기를 감지한다.(S113)On the other hand, even in the step S112, if the container is not detected by the proximity sensor 710b in the center, the proximity sensor 710c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detects the container. (S113)

상기 S113단계에서, 상기 우측의 근접센서(710c)에 용기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제2 구동부재(620)에 신호를 보내, 제2 구동부재(620) 및 제2 구동부재(620)에 연결된 제2 피니언 기어(271)를 회전시킨다.(S123)In step S113, when the container is detected by the proximity sensor 710c on the right side, the controller sends a signal to the second driving member 620,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member 620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620. The second pinion gear 271 is rotated (S123).

이에 따라 출수모듈(400)은 우측으로 회전되면서, 용기의 상부에 출수노즐(430)이 위치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may be rotated to the right, and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may be positioned on the top of the container.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용기의 위치에 따라 로테이터(200) 및 출수모듈(400)은 회전하고, 출수노즐(430)은 용기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method, the rotator 200 and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rotat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vessel, and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may be located above the vessel.

한편, 상기와 같이, 출수노즐(430)이 용기의 상부에 위치되면, 용기의 높이에 따라 출수노즐(430)의 높이를 조절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is located above the vessel, the height of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vessel.

이하, 용기가 프론트 커버(111)의 우측에 위치된 상태라는 가정하에 설명한다.Hereinafter, description will be made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container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front cover 111.

먼저, 프론트 커버(111)의 상부에 종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근접센서(710d,710e,710f)에서 용기를 감지한다.(S131)First, the container is detected by the proximity sensors 710d, 710e, and 710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top of the front cover 111 (S131).

본 발명의 경우, 센서는 제1센서와, 상기 제1센서의 하방에 배치된 제2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센서에서 상기 정수기 본체 주변에 놓인 용기를 감지하고, 상기 제1센서에서 상기 정수기 본체 주변에 놓인 용기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수노즐이 상기 제1센서와 제2센서 사이 위치로 하강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includes a first sensor and a second sensor disposed below the first sensor, the second sensor detects a container placed around the body of the water purifier, and the first sensor detects the water purifier. When the container placed around the main body of the water purifier is not detected,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so that the water discharge nozzle descends to a position between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여기서, 상기 센서는 근접센서(710d,710e,710f)를 의미할 수 있다. Here, the sensors may mean proximity sensors 710d, 710e, and 710f.

그리고, 상기 제1센서는 최상단의 근접센서(710d)를 의미할 수 있고, 제2센서는 상기 최상단의 근접센서(710d) 보다 아래에 위치한 근접센서(710e, 710f)를 의미할 수 있다. Also, the first sensor may mean the topmost proximity sensor 710d, and the second sensor may mean the proximity sensors 710e and 710f located below the topmost proximity sensor 710d.

만약, 상기 S131 단계에서, 모든 근접센서(710d,710e, 710f)에 용기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제1 구동부재(610)에 신호를 보내, 제1 구동부재(610) 및 제1 구동부재(610)에 연결된 제1 피니언 기어(450)를 회전시킨다.If, in the step S131, when the vessel is detected by all the proximity sensors 710d, 710e, and 710f, the control unit sends a signal to the first driving member 610, and the first driving member 610 and the first driving member ( The first pinion gear 450 connected to 610 is rotated.

이에 따라, 승강커버(420) 및 출수노즐(430)은 최대로 상승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elevation cover 420 and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may be positioned at the maximum height.

이때, 대기모드에서 승강커버(420) 및 출수노즐(430)이 최대 상승높이에 위치된 상태일 경우, 제어부는 제1 구동부재(610)에 별도의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승강커버(420) 및 출수노즐(430)은 초기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S141)At this time, when the elevation cover 420 and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are located at the maximum height in the standby mode, the control unit does not output a separate signal to the first driving member 610, and the elevation cover 420 And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can maintain its initial position. (S141)

반면, S131 단계에서, 모든 근접센서(710d, 710e, 710f)에서 용기가 감지되지 않으면, 최상단의 근접센서(710d)를 제외한, 나머지 근접센서(710e, 710f)에서 용기를 감지한다.(S132)On the other hand, in step S131, if the container is not detected by all the proximity sensors 710d, 710e, and 710f, the remaining proximity sensors 710e and 710f except for the proximity sensor 710d at the top detect the container. (S132)

만약, 상기 S132 단계에서, 최상단의 근접센서(710d)를 제외한, 나머지 근접센서(710e, 710f)에 용기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제1 구동부재(610)에 신호를 보내, 제1 구동부재(610) 및 제1 구동부재(610)에 연결된 제1 피니언 기어(450)를 제 1회전량 만큼 회전시킨다.(S142)If, in the step S132, the container is detected by the remaining proximity sensors 710e and 710f, except for the proximity sensor 710d at the top, the control unit sends a signal to the first driving member 610, and the first driving member ( 610) and rotates the first pinion gear 450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member 610 by a first rotational amount (S142).

이에 따라, 승강커버(420) 및 출수노즐(430)은 설정된 높이만큼 하강하면서, 근접센서(710e) 근처에 위치된 용기의 상단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elevation cover 420 and the water outlet nozzle 430 may be positioned near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positioned near the proximity sensor 710e while descending by a set height.

반면, S132 단계에서, 상단의 근접센서(710d)를 제외한, 나머지 근접센서(710e, 710f)에서 용기가 감지되지 않으면, 하단의 근접센서(710f)에서 용기를 감지한다.(S133)On the other hand, in step S132, if the container is not detected by the remaining proximity sensors 710e and 710f, except for the proximity sensor 710d at the top, the proximity sensor 710f at the bottom detects the container. (S133)

만약, 상기 S133 단계에서, 하단의 근접센서(710f)에 용기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제1 구동부재(610)에 신호를 보내, 제1 구동부재(610) 및 제1 구동부재(610)에 연결된 제1 피니언 기어(450)를 제1 회전량 보다 큰 제2 회전량 만큼 회전시킨다.(S143)If, in the step S133, when the container is detected by the proximity sensor 710f at the bottom, the control unit sends a signal to the first driving member 610, and the first driving member 610 and the first driving member 610 The connected first pinion gear 450 is rotated by a second rotation amount greater than the first rotation amount (S143).

이에 따라, 승강커버(420) 및 출수노즐(430)은 설정된 높이만큼 하강하면서, 근접센서(710f) 근처에 위치된 용기의 상단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elevation cover 420 and the water outlet nozzle 430 may be positioned near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positioned near the proximity sensor 710f while descending by a set height.

반면, S133 단계에서, 상부의 모든 근접센서(710d, 710e, 710f)에서 용기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는 용기의 높이가 근접센서(710f) 보다 낮다고 판단한다.(S134)On the other hand, in step S133, if the vessel is not detected by all of the upper proximity sensors 710d, 710e, and 710f,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height of the vessel is lower than that of the proximity sensor 710f (S134).

따라서, 제어부는 제1 구동부재(610)에 신호를 보내, 제1 구동부재(610) 및 제1 구동부재(610)에 연결된 제1 피니언 기어(450)를 제2 회전량 보다 큰 제3회전량 만큼 회전시킨다.(S144)Therefore, the control unit sends a signal to the first drive member 610 to turn the first drive member 610 and the first pinion gear 450 connected to the first drive member 610 at the third rotation greater than the second rotation amount. Rotate as much as the entire amount. (S144)

이에 따라, 승강커버(420) 및 출수노즐(430)은 설정된 높이만큼 최대로 하강하면서, 근접센서(710f) 보다 하부에 위치된 용기의 상단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elevation cover 420 and the water outlet nozzle 430 may descend to the maximum by a set height and be located near the upper end of the vessel lower than the proximity sensor 710f.

상기와 같이, 프론트 커버(111)의 주변에 용기가 위치되고, 용기의 위치 및 높이에 맞춰 출수모듈(400)이 회전하고, 승강커버(420) 및 출수노즐(430)이 하강하면서, 출수노즐(430)이 용기의 상부에 위치되면, 사용자는 출수버튼을 누른다.(S151)As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is located around the front cover 111,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rotates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height of the container, and the lifting cover 420 and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descend, and the water extraction nozzle When 430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container, the user presses the water extraction button (S151).

이후, 제어부는 정수 또는 온수 또는 냉수의 출수완료 여부를 판단한다.(S152)Thereafter,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purified water or hot water or cold water has been discharged (S152).

그리고, 출수가 완료되면, 제어부는 제1 구동부재(610) 및 제2구동부재(620)를 제어하여, 상기 출수모듈(400)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킨다. (S153) When water extraction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driving member 610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620 to return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to the initial position. (S153)

다른 예로, 도 6 및 도 14를 참조하여, 감지부(720)가 카메라로 구비된 경우, 구동부의 제어를 통한 출수노즐의 위및 및 높이 조절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As another example, referring to FIGS. 6 and 14 , a method of adjusting the height and height of the water extraction nozzle through control of the drive unit when the sensor 720 is provided as a camera will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주변에 용기가 위치된다(S201).First, a container is positioned around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by the user (S201).

여기서, 상기 '용기'는 컵, 물병, 냄비 등과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물이 저장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발생할 수 있다. Here, the 'container'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such as a cup, a water bottle, a pot, etc., in the range of having an open upper part and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water is stored.

상기 S201 단계에서, 용기는 정수기 본체(100)의 전방에 위치된다. 일 예로, 상기 용기는 프론트 커버(111)의 주변에 위치된다. In step S201, the container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For example, the container is located around the front cover 111.

상기와 같이 프론트 커버(111)의 주변에 용기가 위치되면, 상기 감지부(720)에서 용기의 위치 및 높이를 감지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tainer is located around the front cover 111, the position and height of the container are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720.

먼저, 감지부(720)는 용기의 위치를 감지한다.First, the sensing unit 720 detects the position of the container.

이때, 감지부(720)는 프론트 커버(111)의 둘레를 따라 복수 배치된 상태이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detectors 720 ar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ront cover 111 .

상세히, 도면상의 좌측에 위치된 카메라(720a)에서, 용기를 감지한다.(S211)In detail, the camera 720a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detects the vessel. (S211)

또는, 중심부에 위치된 카메라(720b)에서, 용기를 감지할 수 있다.(S212)Alternatively, the container may be detected by the camera 720b located in the center (S212).

또는, 도면상의 우측에 위치된 카메라(720c)에서 용기를 감지할 수도 있다.(S213)Alternatively, the container may be detected by the camera 720c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S213).

이후, 용기가 감지된 카메라(720a,720b,720c)의 위치로 출수모듈(400)을 회전시킨다.(S221)Thereafter,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is rotated to the location of the cameras 720a, 720b, and 720c where the container is detected (S221).

상세히, S211단계에서, 좌측의 카메라(720a)가 용기를 감지하면, 제어부는 제2 구동부재(620)에 신호를 보내, 제2 구동부재(620) 및 제2 구동부재(620)에 연결된 제2 피니언 기어(271)를 회전시킨다.In detail, in step S211, when the left camera 720a detects a container, the control unit sends a signal to the second driving member 620,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620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620 are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member 620. Rotate the 2-pinion gear 271.

이에 따라, 로테이터(200) 및 출수모듈(400)은 좌측으로 회전되면서, 용기의 상부에 출수노즐(430)이 위치될 수 있다. Accordingly, while the rotator 200 and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are rotated to the left,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may be positioned on the top of the container.

한편, 상기 S212 단계에서, 상기 중심부의 카메라(720b)가 용기를 감지하면, 제어부는 제2 구동부재(620)에 신호를 보내, 제2 구동부재(620) 및 제2 구동부재(620)에 연결된 제2 피니언 기어(271)를 회전시킨다.Meanwhile, in the step S212, when the camera 720b in the center detects a container, the control unit sends a signal to the second driving member 620,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620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620 The connected second pinion gear 271 is rotated.

이에 따라 출수모듈(400)은 중심부로 회전되면서, 용기의 상부에 출수노즐(430)이 위치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may be rotated toward the center, and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may be positioned on the top of the container.

만약, 대기모드에서 출수모듈(400)이 중심부에 위치된 상태일 경우, 제어부는 제2 구동부재(620)에 별도의 신호를 보내지 않고, 출수모듈(400)은 초기에 고저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I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is located in the center in the standby mode, the control unit does not send a separate signal to the second driving member 620, and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may maintain the initially high position. there is.

한편, 상기 S213단계에서, 상기 우측의 카메라(720c)가 용기를 감지하면, 제어부는 제2 구동부재(620)에 신호를 보내, 제2 구동부재(620) 및 제2 구동부재(620)에 연결된 제2 피니언 기어(271)를 회전시킨다.Meanwhile, in the step S213, when the right camera 720c detects a container, the control unit sends a signal to the second driving member 620,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620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620 The connected second pinion gear 271 is rotated.

이에 따라 출수모듈(400)은 우측으로 회전되면서, 용기의 상부에 출수노즐(430)이 위치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may be rotated to the right, and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may be positioned on the top of the container.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용기의 위치에 따라 로테이터(200) 및 출수모듈(400)은 회전하고, 출수노즐(430)은 용기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method, the rotator 200 and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rotat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vessel, and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may be located above the vessel.

한편, 출수노즐(430) 또는 출수노즐(430)과 인접한 승강커버(420)의 하단에는 용기의 중앙에 출수노즐(430)이 위치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카메라(720d)가 설치된다. 제어부는 출수노즐(430)의 위치가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720d)를 통해서, 용기의 중앙에 출수노즐(430)이 위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31)Meanwhile, a camera 720d for determining whether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ontainer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or the elevation cover 420 adjacent to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 With the position of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automatically adjusted by the above process,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ontainer through the camera 720d (S231). )

만일, S231단계에서, 용기의 중앙에 출수노즐(430)이 위치되지 않을 경우, 용기의 중앙에 출수노즐(430)이 위치될때 까지 로테이터(200) 및 출수모듈(400)을 회전시켜, 출수노즐(430)의 위치를 재조절한다.(S232)If, in step S231,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is not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ontainer, the rotator 200 and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are rotated until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ontainer, so that the water extraction nozzle Readjust the position of (430). (S232)

한편, S231단계에서, 용기의 중앙에 출수노즐(430)이 위치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제1 구동부재(610)를 제어하여, 용기의 높이에 따라 출수노즐(430)의 높이를 조절한다.Meanwhile, in step S23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vessel,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irst driving member 61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vessel.

이때,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720a,720b,720c,720d)에서 획득한 용기의 이미지 정보를 기초로, 용기의 높이를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height of the container based on image information of the container obtained from the cameras 720a, 720b, 720c, and 720d.

상기와 같이 용기의 높이가 판단되면, 제어부는 제1 구동부재(610)에 신호를 보내, 제1 구동부재(610) 및 제1 구동부재(610)에 연결된 제1 피니언 기어(450)를 회전시킨다.(S241)When the height of the vessel is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sends a signal to the first driving member 610 to rotate the first driving member 610 and the first pinion gear 450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member 610. (S241)

이에 따라, 승강커버(420) 및 출수노즐(430)은 설정된 높이만큼 하강하면서, 용기의 상단 근처에 위치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elevating cover 420 and the water outlet nozzle 430 may be positioned near the top of the container while descending by a set height.

상기와 같이, 프론트 커버(111)의 주변에 용기가 위치되고, 용기의 위치 및 높이에 맞춰 출수모듈(400)이 회전하고, 승강커버(420) 및 출수노즐(430)이 하강하면서, 출수노즐(430)이 용기의 상부에 위치되면, 사용자는 출수버튼을 누른다.(S251)As described above, the container is located around the front cover 111,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rotates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height of the container, and the lifting cover 420 and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descend, and the water extraction nozzle When 430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container, the user presses the water extraction button (S251).

이후, 제어부는 출수완료 여부를 판단한다.(S252)Thereafter,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or not water extraction has been completed (S252).

그리고, 출수가 완료되면, 상기 출수모듈(400)은 초기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S253) And, when water extraction is completed,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may return to an initial position (S253).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부(710,720)에서, 상기 용기의 위치를 1차로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구동부(620)를 제어하여, 상기 출수모듈(400)을 상기 용기 측으로 회전시키고 난 뒤, 상기 감지부(710,720)에서, 용기의 높이를 2차로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구동부(610)를 제어하여, 상기 출수모듈(400)을 상기 용기 측으로 하강시킨다고 설명한 바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ensor unit 710 or 720 firs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container,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e unit 620 to rotate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toward the container. ,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sensor 710 and 720 secondarily sense the height of the container,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e unit 610 to lower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toward the container,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t should be noted that is not limited thereto.

변형 예로, 상기 감지부(710,720)에서, 용기의 높이를 1차로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구동부(610)를 제어하여, 상기 출수모듈(400)을 상기 용기의 상단과 인접하게 하강시키고 난 뒤, 감지부(710,720)에서 용기의 위치를 2차로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구동부(620)를 제어하여, 상기 출수모듈(400)을 상기 용기 측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As a modified example, the sensor 710 or 720 first detects the height of the container,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e unit 610 to lower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adjacent to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 The sensor unit 710 or 720 may secondarily sense the position of the container, and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rive unit 620 to rotate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toward the container.

또한, 출수노즐(430)에서 출수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610,620)를 제어하여, 상기 출수모듈(400)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고 명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In addition, it has been stated that when water extraction from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e units 610 and 620 to return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to an initial position,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let it out

변형 예로, 상기 출수노즐(430)에서 출수가 완료되면, 상기 출수노즐(430)은 복귀하지 않고, 출수가 진행되었던 위치에 회전 및 하강된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As a modified example, when water extraction is completed from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may not return, but may maintain a rotated and lowered state at the position where water extraction proceeded.

또한, 상기 출수노즐(430)에서 출수가 완료된 후, 출수노즐(430)이 초기 위치로 복귀되는 경우, 출수노즐(430)의 복귀위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In addition, when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returns to its initial position after water extraction from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is completed, the return position of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또한, 상기 감지부(710)는 상기 승강커버(420)의 하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어부의 조작에 의해 제1 구동부재(610)가 회전하고 승강커버(420)가 하강하면서, 용기의 상단과 출수노즐(430)의 거리가 기설정된 안전거리에 도달하면, 제어부는 제1 구동부재(61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방식으로 출수노즐(430)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sensing unit 710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cover 420, and the control unit rotates the first driving member 610 and the lifting cover 420 descends, and the top of the container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and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reaches a preset safety distance, the control unit may adjust the height of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b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member 610 .

또한, 전술한 설명에서, 감지부, 제어부 및 구동부를 통해서, 사용자의 손을 거치지 않고 자동으로 출수노즐(430)의 위치를 조절한다고 명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감지부, 제어부 및 구동부가 꺼진 상태(off 상태)에서, 사용자가 직접 출수모듈(400)을 잡고, 양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승강커버(420)를 잡고 상하방향으로 승강시켜 수동으로 출수노즐(430)의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이 경우, 상기 제1 피니언기어 및 제2 피니언기어의 회전축은 회전 저항력을 제공하는 오일댐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it has been specified that the position of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is automatically adjusted without the user's hand through the sensing unit, the control unit, and the driving unit,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some cases, in a state where the sensing unit, the control unit, and the driving unit are turned off (off state), the user directly holds the water extraction module 400 and rotates it in both directions, or grabs the lift cover 420 and lifts it up and down to manually Of course, the position of the water extraction nozzle 430 may be adjusted. However, in this case, the rotating shafts of the first pinion gear and the second pinion gear may include an oil damper or the like providing rotational resistanc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노즐이 형성된 출수모듈을 정수기 본체에 결합한 채로 출수노즐의 위치 및 높이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또한, 출수노즐의 위치 변경을 위한, 출수모듈의 회전 또는 승강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이점도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컵 등의 용기가 정수기 주변에 놓여지면, 정수기가 이를 감지하고 용기와 인접한 상단으로 출수노즐이 자동으로 회전하는 이점도 있다. 또한, 용기의 크기에 따라 출수노즐이 하강하여, 그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된 상태에서, 물의 취출이 진행되는 이점도 있다. 또한, 출수노즐의 위치가 조절된 상태에서, 출수가 진행되고, 출수가 완료되면, 출수노즐이 자동으로 초기위치로 복귀되는 이점도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osition and height of the water extraction nozzle can be freely changed while the water extraction module formed with the water extraction nozzle is coupled to the main body of the water purifier. There is also the advantage that the lifting operation is performed automatically. In addition, when a container such as a cup is placed near the water purifier by the user, the water purifier detects this and automatically rotates the water extraction nozzle to the upper end adjacent to the container.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water extraction nozzle is lower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ntainer and the water is discharged while the height thereof is automatically adjusted.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water extraction proceeds in a state where the position of the water extraction nozzle is adjusted, and when water extraction is completed, the water extraction nozzle automatically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Claims (15)

내부에 필터를 구비하여, 외부에서 공급된 원수를 정화시켜, 정수의 상태로 공급하는 정수기 본체;
상기 정수기 본체에 결합되고,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공간을 구비하며, 하측이 개방된 고정커버와, 상기 고정커버의 승강공간에 수용되어 승강 동작하는 승강커버와, 상기 승강커버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정수기 본체에서 공급된 정수를 외부로 출수하는 출수노즐을 포함하는 출수모듈;
상기 승강커버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커버의 승강동작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출수모듈 또는 정수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정수기 본체의 주변에 놓여진 용기의 높이를 인식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용기의 높이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용기의 상부로 상기 출수노즐이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정수기.
A water purifier main body having a filter inside to purify raw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supplying purified water thereto;
a fixed cover coupled to the main body of the water purifier, provided with an elevating space on the insid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n open lower side; an elevating cover accommodated in the elevating space of the fixed cover for an elevating operation; and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elevating cover. a water extraction module including a water extraction nozzle for discharging purified water supplied from the main body of the water purifier to the outside;
a drive unit installed inside the lift cover and providing power required for the lift operation of the lift cover;
a sensor installed in the water extraction module or the body of the water purifier and recognizing a height of a container placed around the body of the water purifier; and
A water purifier having a control unit receiving height information of a container from the sensor and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to move the water extraction nozzle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센서 또는 카메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unit is a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as a sensor or a camer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면을 커버하는 프론트 커버 또는 상기 정수기 본체의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The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a front cover covering the front of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or a side panel forming a side surface of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복수 구비되고,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정수기.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un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A water purifier arranged in a longitudinal or transverse direction.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프론트 커버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배치되거나, 상기 프론트 커버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배치되는 정수기.
According to claim 4,
The water purifier wherein a plurality of detection units are dispos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ront cover or a plurality of detection units are dispos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cove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제1센서와 상기 제1센서의 하방에 배치된 제2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센서에서 상기 정수기 본체 주변에 놓인 용기를 감지하고, 상기 제1센서에서 상기 정수기 본체 주변에 놓인 용기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수노즐이 상기 제1센서와 제2센서 사이 위치로 하강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정수기.
According to claim 4,
The sensing unit includes a first sensor and a second sensor disposed below the first sensor,
When the second sensor detects a container placed around the water purifier body and the first sensor does not detect a container placed around the water purifier body,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unit so that the water extraction nozzle descends to a position between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출수모듈의 하단 또는 상기 출수노즐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nsor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or the water extraction nozz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모듈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정수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정수기.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a part of the water extraction module protrudes forward from the main body of the water purifi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모듈은,
상기 승강커버가 직선으로 승강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According to claim 1,
The output module,
and a guide unit for guiding the elevation cover to ascend and descend in a straight lin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고정커버에 승강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내측에 기어치가 형성된 가이드홈;
상기 승강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지는 제1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According to claim 9
The guide part:
a guide groove formed on the fixing cover along an elevation direction and having gear teeth formed therein;
and a first pinion gear rotatably coupled to the elevation cover and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피니언기어의 제1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According to claim 10,
The driving part includes a first driving member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of the first pinion gear to provide rotational power.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구동부재의 회전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승강커버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According to claim 11,
The water purifier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control unit moves the elevation cover up and down by changing a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irst driving member.
제 1항 또는 제 12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따른 정수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정수기 본체의 주변에 용기가 위치되는 단계;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용기의 높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출수모듈이 초기 위치에서 하강하여, 상기 출수노즐이 상기 용기의 상부에 인접해서 위치되는 단계; 및
상기 출수노즐에서 출수가 진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제어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a water purifi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or 12,
placing a container around the water purifier body by a user;
Sensing the height of the container by the sensing unit;
Controlling, by the control unit, the driving unit;
lowering the water extraction module from an initial position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so that the water extraction nozzle is positioned adjacent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and
A control method of a water purifier comprising the step of proceeding with water extraction from the water extraction nozzle.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노즐에서 출수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출수노즐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3,
The control method of the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when water extraction from the water extraction nozzle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riving unit to return the water extraction nozzle to an initial position.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출수노즐이 상기 용기의 상부에 인접해서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출수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출수노즐에서 출수가 진행되는 정수기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3,
A control method of a water purifier wherein, by the operation of the drive unit, when a user inputs a water extraction command in a state where the water extraction nozzle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extraction nozzle.
KR1020230033123A 2020-12-16 2023-03-14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03962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3123A KR20230039626A (en) 2020-12-16 2023-03-14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6719A KR102382873B1 (en) 2020-06-25 2020-12-16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220040231A KR102512050B1 (en) 2020-12-16 2022-03-31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230033123A KR20230039626A (en) 2020-12-16 2023-03-14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231A Division KR102512050B1 (en) 2020-12-16 2022-03-31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626A true KR20230039626A (en) 2023-03-21

Family

ID=8121023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231A KR102512050B1 (en) 2020-12-16 2022-03-31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230033123A KR20230039626A (en) 2020-12-16 2023-03-14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231A KR102512050B1 (en) 2020-12-16 2022-03-31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1205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0031A1 (en) * 2022-06-30 2024-01-04 Breville Pt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dispensing a consumable materia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803B1 (en) 2013-11-11 2014-04-07 명성희 Water purifi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529B1 (en) * 2008-11-14 2015-01-16 코웨이 주식회사 Cock for water purifier which is height adjustable
JP5220138B2 (en) * 2011-01-13 2013-06-26 正樹 伊藤 Automatic liquid dispenser
CN202287831U (en) 2011-07-24 2012-07-04 九阳股份有限公司 Induction type water dispenser
KR101828260B1 (en) * 2017-03-20 2018-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er purifi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803B1 (en) 2013-11-11 2014-04-07 명성희 Water pur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2050B1 (en) 2023-03-20
KR20220044712A (en) 2022-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004773B (en)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343888B2 (en) Water purifier
KR102128981B1 (en)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10002121A1 (en) Water ejecting apparatus
US20210002117A1 (en) Water ejecting apparatus
US11273463B2 (en) Water ejecting apparatus
US11230468B2 (en) Water ejecting apparatus
US20210001367A1 (en) Water ejecting apparatus
KR20230039626A (en)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10001366A1 (en) Water ejecting apparatus
KR102194563B1 (en)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10001253A1 (en) Water ejecting apparatus
KR102130507B1 (en)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82873B1 (en)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79464A (en)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068226B1 (en) water purifier
KR101907820B1 (en) water purifier
KR101948704B1 (en) water purifier
US11904339B2 (en) Water ejecting apparatus
KR101971283B1 (en) water purifier
KR20230107509A (en) Water pur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