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9535A - 다수의 충전기 유형을 위한 액세서리 케이스 - Google Patents

다수의 충전기 유형을 위한 액세서리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9535A
KR20230039535A KR1020220109986A KR20220109986A KR20230039535A KR 20230039535 A KR20230039535 A KR 20230039535A KR 1020220109986 A KR1020220109986 A KR 1020220109986A KR 20220109986 A KR20220109986 A KR 20220109986A KR 20230039535 A KR20230039535 A KR 20230039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ory
charging
charger
typ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9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릭 엑스. 조우
무하마드 에이치. 키아니
로한 다얄
예 리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230039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5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1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audio devices, e.g. headphones or MP3-p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4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dapted for charging from various sources, e.g. AC, DC or multi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하나 이상의 유형의 무선 충전기를 사용하여 충전될 수 있는 액세서리 케이스가 제공된다. 일 예는 제1 유형의 무선 충전기에 정렬시키기 위한 제1 정렬 특징부를 갖는 액세서리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정렬 특징부는 액세서리 케이스 내의 하나 이상의 자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자기 요소는 액세서리 케이스의 베이스 및 뚜껑 둘 모두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예는 제2 유형의 무선 충전기에 정렬시키기 위한 제2 정렬 특징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2 정렬 특징부는 액세서리 케이스 내의 하나 이상의 자기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수의 충전기 유형을 위한 액세서리 케이스{ACCESSORY CASE FOR MULTIPLE CHARGER TYPES}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1년 9월 13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3/243,584호 및 2022년 5월 25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7/824,480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개시내용들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통합된다.
구매가능한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들의 유형들의 수는 지난 몇 년간 엄청나게 증가하였고, 새로운 디바이스들이 소개되는 속도는 감소의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들, 태블릿들, 랩톱들, 스마트폰들,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들, 충전 디바이스들, 저장 디바이스들, 오디오 디바이스들,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들, 내비게이션 시스템들, 모니터들 등과 같은 휴대용 디바이스들이 보편화되었다.
이러한 휴대용 디바이스들 각각은 사용자들이 휴대용 디바이스들을 자유롭게 휴대하게 하고 그들이 가는 곳마다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내부 배터리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디바이스들 각각은 충전되는 그들 자신의 고유한 방식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는 제1 유형의 무선 충전기를 사용하여 충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유형의 무선 충전기는 제1 유형의 퍽(puck)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유형의 퍽은 벽 콘센트 내에 접속된 전력 어댑터로부터 수신된 전력을 무선 충전 전력으로 전환한다. 이어서, 이러한 무선 충전 전력은 제1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될 수 있고, 제1 전자 디바이스 내부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는 제2 유형의 무선 충전기를 사용하여 충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유형의 무선 충전기는 제2 유형의 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유형의 퍽은 벽 콘센트 내에 접속된 전력 어댑터로부터 수신된 전력을 무선 충전 전력으로 전환한다. 이어서, 이러한 무선 충전 전력은 제2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될 수 있고, 제2 전자 디바이스 내부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및 제2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둘 모두를 충전할 수 있기를 원하는 사용자는 제1 유형의 무선 충전기 및 제2 유형의 무선 충전기 둘 모두를 소지하고 휴대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는 제1 무선 충전기 또는 제2 무선 충전기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충전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제2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가 제1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되는 액세서리 디바이스일 때 특히 그러할 수 있다.
따라서, 둘 이상의 유형들의 무선 충전기들을 사용하여 충전될 수 있는 액세서리 케이스들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둘 이상의 유형들의 무선 충전기들을 사용하여 충전될 수 있는 액세서리 케이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1 유형의 무선 충전기뿐만 아니라 추가 유형의 무선 충전기를 사용하여 충전될 수 있는 액세서리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유형의 무선 충전기는 자기 충전기일 수 있다. 추가 유형의 무선 충전기는 비자기 충전기일 수 있다. 액세서리 케이스는 정렬 특징부로서 작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자기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렬 특징부는 액세서리 케이스를 제1 유형의 무선 충전기에 정렬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실시예들은 제1 유형의 무선 충전기, 제2 유형의 무선 충전기, 및 추가 유형의 무선 충전기를 사용하여 충전될 수 있는 액세서리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유형의 무선 충전기는 자기 충전기일 수 있다. 제2 유형의 무선 충전기는 다른 자기 충전기일 수 있다. 이전과 같이, 추가 유형의 무선 충전기는 비자기 충전기일 수 있다. 액세서리 케이스는 제1 정렬 특징부로서 작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자기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정렬 특징부는 액세서리 케이스를 제1 유형의 무선 충전기에 정렬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액세서리 케이스는 제2 정렬 특징부로서 작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자기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정렬 특징부는 액세서리 케이스를 제2 유형의 무선 충전기에 정렬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실시예들은 베이스를 갖는 액세서리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베이스는, 각각 액세서리를 보관하기 위한 1개, 2개, 3개, 또는 3개 초과의 액세서리 리셉터클들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액세서리는, 액세서리가 액세서리 리셉터클 내에 보관될 때 충전 케이스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액세서리들이 액세서리 케이스 내에 보관될 때 액세서리들을 제자리에 유지하기 위해 뚜껑이 액세서리 리셉터클들을 덮을 수 있다. 액세서리가 액세서리 케이스 내에 보관될 때 액세서리 리셉터클들로부터 액세서리들의 제거를 허용하기 위해 뚜껑이 베이스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힌지가 뚜껑을 베이스에 연결(join)할 수 있다.
제1 정렬 특징부는 단일 자기 요소일 수 있으며, 여기서 자기 요소는 영구 자석 또는 다른 유형의 자석, 전자석, 강자성 요소, 극편(pole piece) 및 자석, 또는 다른 자기 요소일 수 있다. 제1 정렬 특징부는 복수의 자기 요소들일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자기 요소는 영구 자석 또는 다른 유형의 자석, 전자석, 강자성 요소, 극편 및 자석, 또는 다른 자기 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정렬 특징부는 베이스 내의 제1 자기 요소 및 뚜껑 내의 제2 자기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제1 정렬 특징부는 베이스 내의 제3 자기 요소 및 뚜껑 내의 제4 자기 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2 정렬 특징부는 단일 자기 요소일 수 있으며, 여기서 자기 요소는 영구 자석 또는 다른 유형의 자석, 전자석, 강자성 요소, 극편 및 자석, 또는 다른 자기 요소일 수 있다. 제2 정렬 특징부는 복수의 자기 요소들일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자기 요소는 영구 자석 또는 다른 유형의 자석, 전자석, 강자성 요소, 극편 및 자석, 또는 다른 자기 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정렬 특징부는 베이스 내의 제1 자기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실시예들은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충전 코일을 갖는 액세서리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정렬 특징부에 대한 자기 요소들은 중심 주위에 위치될 수 있으며, 여기서 중심은 각각의 자기 요소로부터 적어도 유사한 거리에 있다. 자기 요소들은 액세서리 케이스의 베이스 및 뚜껑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 코일은 중심을 가질 수 있다. 충전 코일은 힌지로부터 간극을 갖도록 베이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충전 코일의 중심은 제1 정렬 특징부에 대한 자기 요소들의 중심과 정렬되지 않을 수 있다. 액세서리 케이스가 제1 유형의 무선 충전기와 정합될 때, 제1 유형의 무선 충전기 내의 자석들은 액세서리 케이스의 제1 정렬 특징부와 정렬될 수 있다. 제1 유형의 무선 충전기 내의 충전 코일이 제1 유형의 무선 충전기 내의 자석들과 정렬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제1 유형의 무선 충전기 내의 충전 코일은 액세서리 케이스 내의 충전 코일과 정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액세서리 케이스 내의 충전 코일은 제1 유형의 무선 충전기 내의 충전 코일에 대한 유도성 커플링을 개선하도록 형상화 및 위치될 수 있다. 액세서리 케이스 내의 오프셋된 충전 코일과 제1 유형의 무선 충전기 내의 대응하는 충전 코일 사이의 커플링 계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차폐부가 포함될 수 있다.
제2 정렬 특징부는 액세서리 케이스의 충전 코일의 중심에 위치될 수 있다. 액세서리 케이스가 제2 유형의 무선 충전기와 정합될 때, 제2 유형의 무선 충전기 내의 자석은 액세서리 케이스의 제2 정렬 특징부와 정렬될 수 있다. 제2 유형의 무선 충전기 내의 충전 코일이 제2 유형의 무선 충전기 내의 자석과 정렬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제2 유형의 무선 충전기 내의 충전 코일은 액세서리 케이스 내의 충전 코일과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액세서리 케이스에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지만,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실시예들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들, 태블릿들, 랩톱들, 스마트폰들,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들, 충전 디바이스들, 저장 디바이스들, 오디오 디바이스들, 시계들, 보석류, 반지들,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들, 내비게이션 시스템들, 모니터들 등과 같은 다른 유형들의 전자 디바이스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이들 및 다른 특징부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질 및 이점들의 더 나은 이해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을 참조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유형의 무선 충전기에 의해 충전되는 액세서리 케이스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케이스를 위한 충전 및 제어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케이스와 제1 유형의 충전기 사이의 정렬 자석들의 자력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케이스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케이스의 일부분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유형의 무선 충전기를 액세서리 케이스에 정렬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버튼의 세부사항들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유형의 무선 충전기를 액세서리 케이스에 정렬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버튼 및 관련 구조들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다수의 주파수들에서 동작하는 무선 충전기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충전 회로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이 도면은, 다른 포함된 도면들에서와 마찬가지로, 예시 목적을 위해 도시되며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예들 또는 청구범위 어느 것도 제한하지 않는다.
이 예에서, 3개의 액세서리들(101)은 액세서리 케이스(100)의 베이스(102) 내의 액세서리 리셉터클들(104) 내에서 충전하기 위해 보관될 수 있다. 액세서리 케이스(100)는 힌지(109)를 사용하여 베이스(102)에 부착될 수 있는 뚜껑(108)을 포함할 수 있다. 뚜껑(108)은 액세서리들(101)이 액세서리 리셉터클들(104) 내에 있을 때 액세서리들(101)을 제자리에 유지하도록 닫힐 수 있다. 뚜껑(108)은 사용자가 액세서리 리셉터클들(104)로부터 액세서리들(101)을 제거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베이스(102)에 대해 힌지(109)의 축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액세서리들(101)은 액세서리 케이스(100)의 베이스(102) 내의 액세서리 리셉터클들(104) 내에 보관될 때 액세서리 케이스(100)와 통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실시예들에서, 액세서리들(101)은 액세서리들(101)이 액세서리 케이스(100) 내에 보관되어 있지 않을 때 액세서리 케이스(10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실시예들에서, 액세서리들(101)은 액세서리 케이스(100)의 베이스(102) 내의 액세서리 리셉터클들(104) 내에 보관될 때 액세서리 케이스(100)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실시예들에서, 액세서리들(101)은 그들이 액세서리 케이스(100) 내에 보관되어 있지 않을 때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이들 통신들은 유선 또는 무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들은 블루투스 또는 다른 무선 통신들일 수 있다. 액세서리 케이스(100)는 또한,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들이 액세서리 케이스(100)의 베이스(102) 내의 액세서리 리셉터클들(104) 내에 보관될 때 액세서리들(101) 중 하나 이상에 충전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액세서리들(101)과 액세서리 케이스(100) 사이의 충전 및 통신은 액세서리들(101) 상의 동일한 접점들(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실시예들에서, 액세서리 케이스(100)는 액세서리 케이스(100)와 액세서리(101) 사이의 인터페이스의 제1 접점 상에서 충전 전압을, 그리고 제2 접점 상에서 기준 접지를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는 제1 핀 상의 충전 전압을 변조함으로써 전달될 수 있다. 액세서리 케이스(100)는 충전 전압을 변조하여 액세서리(101)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액세서리(101)는 충전 전압 자체를 변조하여 액세서리 케이스(10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예에서, 3개의 액세서리들(101)이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액세서리 케이스(100)가 1개, 2개, 또는 3개 초과의 액세서리들(101)을 지원할 수 있다. 액세서리 케이스(100)는 직사각형의 직육면체(rectangular cuboid)일 수 있고, 그것은 둥근 에지를 갖는 직사각형의 직육면체 유형 형상일 수 있거나, 그것은 다른 적절한 폼 팩터를 가질 수 있다. 액세서리들(101)은 재충전가능 배터리들, 스피커들, 블루투스 헤드폰들, 헤드셋들, 반지들, 팔찌들, 이어버드들, 보석류 또는 시계와 같은 웨어러블 컴퓨팅 또는 미디어 디바이스들, 또는 다른 유형들의 액세서리들일 수 있다.
액세서리 케이스(100)는 내부 배터리(도시되지 않음), 외부 전원(도시되지 않음), 또는 다른 적절한 공급원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전력공급될 수 있다. 액세서리 케이스(100)는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들(101)에 전력을 제공하고 그와 통신할 수 있다. 이들 통신은 인증 및 식별 정보,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들, 사용자 제공 선호도들, 또는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서리 케이스(100)가 충전될 때, 액세서리 케이스(100) 내의 배터리 제어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액세서리 케이스(100) 내의 내부 배터리(도시되지 않음)에 전력이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상황에서, 전력은 액세서리 케이스(100)의 베이스(102) 내의 액세서리 리셉터클들(104) 내에 보관되는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들(101)에 직접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상황에서, 전력이 배터리에 제공될 수 있으며, 배터리는 이어서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들(101)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전력은 배터리 제어기에 의해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들(101)에, 그들이 허용가능하게 충전될 때까지 제공될 수 있고, 이어서 전력이 내부 배터리에 제공될 수 있거나, 다른 알고리즘들이 사용될 수 있다.
액세서리 케이스(100)의 내부 배터리 및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들(101)(간략함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액세서리 케이스(100)로 총칭됨)은 제1 유형의 무선 충전기를 사용하여 충전될 수 있으며, 여기서 무선 충전기는 자성을 띤다. 일 예가 하기 도면에 도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유형의 무선 충전기에 의해 충전되는 액세서리 케이스를 도시한다. 액세서리 케이스(100)는 뚜껑(108) 및 베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108)은 힌지(109)에서 베이스(102)에 부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들(101)(도 1에 도시됨)은 베이스(102) 내의 대응하는 액세서리 리셉터클들(104)(도 1에 도시됨) 내에 보관될 수 있다. 뚜껑(108)은 액세서리들(101)을 베이스(102) 내의 액세서리 리셉터클들(104) 내의 제자리에 유지하는 것을 돕도록 닫힐 수 있다. 뚜껑(108)은 베이스(102)에 대해 힌지(109)의 축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열릴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베이스(102) 내의 액세서리 리셉터클들(104)로부터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들(101)을 제거하게 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액세서리 케이스(100)는 충전 퍽(200) 또는 제1 유형의 충전기의 다른 구조를 사용하여 충전될 수 있다. 충전 퍽(200)은 케이블(202)에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충전 퍽(200) 내의 제어 회로부(도시되지 않음)는 이러한 수신된 전력을 사용하여 충전 코일(도시되지 않음)에서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전류는 충전 코일(130)에서 전류를 유도할 수 있는 시변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도 전류는 내부 배터리(도시되지 않음), 액세서리 리셉터클들(104) 내의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들(101), 또는 둘 모두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배터리 제어기(도시되지 않음) 및 액세서리 케이스(100) 내의 다른 제어 회로부(320)(도 3에 도시됨)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충전 퍽(200)은 자성을 띨 수 있다. 즉, 충전 퍽(200)은 액세서리 케이스(100)를 충전 퍽(200)에 정렬시키기 위해 액세서리 케이스(10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자기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정렬 자석들(220)의 링이 충전 퍽(20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자기 요소(120)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자기 요소들은 정렬 자석들(220)의 링 내의 자석들로 자기적으로 끌어당겨질 수 있다. 이 예에서, 자기 요소(120) 및 자기 요소(122)는 액세서리 케이스(100)의 뚜껑(108)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자기 요소(124) 및 자기 요소(126)는 액세서리 케이스(100)의 베이스(10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자기 요소(120), 자기 요소(122), 자기 요소(124), 및 자기 요소(126)는 액세서리 케이스(100)를 충전 퍽(200)에 정렬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이것이 어떻게 수행되는지의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및 다른 예들에서, 자기 요소(120), 및 액세서리 케이스(100) 내의 다른 자기 요소들은 영구 자석들, 희토류 자석들, 극편들, 강자성 요소들, 또는 다른 자기 요소들일 수 있다.
이 예에서, 충전 코일(130)은 중심 개구(132)를 가질 수 있다. 액세서리 케이스(100)에 대한 재설정 및 페어링 버튼(700)(도 7에 도시됨)이 중심 개구(13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액세서리 리셉터클들(104) 내의 액세서리들(101) 및 제어 회로부(320)(도 3에 도시됨)는 차폐부(140)에 의해 충전 코일로부터 차폐될 수 있다. 액세서리들(101) 및 제어 회로부(320)는 대응하는 차폐부들(121)(도 4에 도시됨)에 의해 자기 요소(120), 자기 요소(122), 자기 요소(124), 및 자기 요소(126)로부터 차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실시예들에서, 액세서리 케이스(100)는 유선 연결을 사용하여 충전될 수 있다. 액세서리 케이스(100)는, Lightning™ 또는 범용 직렬 버스(USB) 타입-C 커넥터 리셉터클과 같은 커넥터 리셉터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커넥터 리셉터클은 대응하는 커넥터 인서트를 수용할 수 있고, 이러한 연결을 통해 액세서리 케이스(100) 내부의 배터리, 액세서리 케이스(100) 내의 액세서리 리셉터클들(104) 내에 보관된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들(101), 또는 둘 모두에 전력이 제공될 수 있다.
이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코일(130)은 액세서리 케이스(100)의 자기 요소(120), 자기 요소(122), 자기 요소(124), 및 자기 요소(126) 사이에서 센터링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충전 코일(130)은 이러한 자기 요소들의 중심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이러한 오프셋은, 충전 코일(130)이 힌지(190) 없이 위치될 필요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힌지(190)의 위치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충전 퍽(200) 내의 충전 코일(도시되지 않음)은 정렬 자석들(220)의 링에 대해 센터링될 수 있다. 따라서, 액세서리 케이스(100) 내의 충전 코일(300)은 충전 퍽(200) 내의 충전 코일과 센터링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오프셋을 극복하는 것을 돕기 위해 액세서리 케이스(100) 내의 충전 코일(130)과 충전 퍽(200) 내의 충전 코일 사이의 유도성 커플링을 개선하도록 충전 코일(130)이 위치 및 형상화될 수 있고, 추가의 특징부들이 추가될 수 있다. 충전 코일(130) 및 관련 구조들에 관한 추가 세부사항들이 하기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케이스를 위한 충전 및 제어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이 예에서, 충전 퍽(200)(도 2에 도시됨)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은 충전 코일(130) 내에 전류를 유도할 수 있다. 이 전류는 와이어들(134)에서 제어 회로부(320)로 제공될 수 있다. 제어 회로부(320)는 배터리 제어기(도시되지 않음) 및 다른 회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부(320)는 충전 코일(130)에서 수신된 유도 전류를 사용하여 액세서리 케이스(100)(도 2에 도시됨)의 내부 배터리(도시되지 않음), 액세서리 케이스(100)의 베이스(102) 내의 액세서리 리셉터클들(104) 내에 보관된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들(101)(모두 도 1에 도시됨), 또는 둘 모두를 충전할 수 있다.
제어 회로부(320)는 충전 코일(130)과 제어 회로부(3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차폐부(140)에 의해 충전 코일(130)로부터 차폐될 수 있다. 제어 회로부(320)는 버튼 하우징(310)과 제어 회로부(32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차폐부(142)에 의해 충전 코일(130)로부터 추가로 차폐될 수 있다. 차폐부(140) 및 차폐부(142)는 자기 션트(shunt)들로서 작용할 수 있고, 제어 회로부(320)를 차폐하여 와전류가 충전 코일(130) 내의 전류에 의해 유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차폐부(140) 및 차폐부(142)는 또한 충전 코일(130)과 충전 퍽(200)(도 2에 도시됨) 또는 다른 충전기 내의 대응하는 코일 사이의 커플링 계수를 개선할 수 있다. 커플링 계수의 이러한 증가는 액세서리 케이스(100) 내의 자기 요소(120), 자기 요소(122), 자기 요소(124), 및 자기 요소(126)(모두 도 2에 도시됨)를 포함하는 제1 정렬 특징부들에 대한 충전 코일(130)의 위치에서의 오프셋을 보상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차폐부(140) 및 차폐부(142)는 페라이트 또는 다른 재료와 같은 자기 투과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폐부(140) 및 차폐부(142)는 나노결정질 재료의 적층된 층들로 형성될 수 있다. 나노결정질 재료는 비정질 페라이트 재료 또는 다른 재료일 수 있다.
버튼 하우징(310)은 충전 코일(130)의 중심 개구(13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버튼 하우징(310)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버튼(700)(도 7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700)은 제어 회로부(320)에 대한 재설정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버튼(700)은 또한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들(101)(도 1에 도시됨)과 액세서리 케이스(100) 사이의 페어링을 개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케이스와 제1 유형의 충전기 사이의 정렬 자석들의 자력을 도시한다. 이 예에서, 액세서리 케이스(100)는 충전 퍽(200)과 정렬될 수 있다. 충전 퍽(200)은 정렬 자석들(220)의 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정렬 자석들(220)의 링은 외부 자석(222), 내부 자석(224), 및 백플레이트(226)를 포함할 수 있다. 필드 라인(410)은 외부 자석(222)의 N극으로부터 나올 수 있고 차폐부(121)에 도달할 수 있다. 필드 라인(410)은 차폐부(121)를 통해 자기 요소(120)의 S극으로 계속될 수 있다. 필드 라인(410)은 자기 요소(120)의 N극으로부터 내부 자석(224)의 S극으로 계속될 수 있다. 필드 라인(410)은 백플레이트(226)를 통해 내부 자석(224)의 N극으로부터 외부 자석(222)의 S극으로 계속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필드 라인(410)은 액세서리 케이스(100) 내의 자기 요소(120)와 충전 퍽(200) 내의 정렬 자석들(220)의 링 사이에 자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자력은 주로 자기 요소(120)와 정렬 자석들(220)의 링의 내부 자석(224) 사이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자력은, 자기 요소(122)와 정렬 자석들(220)의 링 사이, 자기 요소(124)와 정렬 자석들(220)의 링 사이, 및 자기 요소(126)와 정렬 자석들(220)의 링 사이의 유사한 자력과 조합될 때, 액세서리 케이스(100)를 충전 퍽(200)과 정렬시킬 수 있다. 이는 충전 퍽(200)이 액세서리 케이스(100)를 충전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실시예들은 또한 제2 유형의 무선 충전기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일 예가 하기 도면에 도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케이스를 도시한다. 액세서리 케이스(100)는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들(101)(도 1에 도시됨)을 보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 리셉터클들(104)(도 1에 도시됨)을 갖는 베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2)는 힌지(109)를 통해 뚜껑(108)에 부착될 수 있다. 뚜껑(108)은 액세서리들(101)을 그들의 액세서리 리셉터클들(104) 내에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뚜껑(108)은 베이스(102)에 대해 힌지(109)의 축을 통해 회전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들(101)을 베이스(102) 내의 그들의 액세서리 리셉터클들(104)로부터 추출할 수 있도록, 액세서리 케이스(100)가 개방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전과 같이, 자기 요소(120) 및 자기 요소(122)는 액세서리 케이스(100)의 뚜껑(108)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자기 요소(124) 및 자기 요소(126)는 베이스(10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자기 요소(120), 자기 요소(122), 자기 요소(124), 및 자기 요소(126)는 액세서리 케이스(100)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유형의 무선 충전기에 정렬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버튼 하우징(310)은 충전 코일(130)의 중심 개구(13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버튼 하우징(310)은 버튼(70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버튼(700)을 작동시켜 제어 회로부(320)(도 3에 도시됨)를 재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버튼(700)을 작동시켜 액세서리 케이스(100)와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들(101) 사이의 페어링을 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실시예들에서, 버튼(700)은 자성을 띨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700)의 일부분은 자기 요소(510)(도 7에 도시됨)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자기 요소(510)는 영구 자석, 전자석, 극편, 강자성 요소, 또는 다른 자기 요소일 수 있다. 자기 요소(510)의 N극은 액세서리 케이스(100)의 후면(여기에 도시된 면)에 대면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자기 요소의 S극은 액세서리 케이스(100)의 도시된 후면에 대면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자기 요소(510)는 충전 코일(130)에 의해 측방향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충전 코일(130)은 차폐부(14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자기 요소(510)는 제2 유형의 무선 충전기 내의 대응하는 자석과 정렬될 수 있다. 충전 코일(130)은 퍽 또는 제2 유형의 무선 충전기의 다른 구조 내의 대응하는 자석 주위에 측방향으로 위치된 대응하는 코일과 정렬될 수 있다. 충전 코일(130)은 제2 유형의 무선 충전기로부터 변조된 자기 플럭스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변조된 자기 플럭스로부터 충전 코일(130) 내에서 생성된 전류는 액세서리 케이스(100) 내부의 배터리(도시되지 않음), 액세서리 케이스(100) 내의 액세서리 리셉터클들(104) 내에 보관된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들(101), 또는 둘 모두를 충전하기 위해 제어 회로부(320)(도 3에 도시됨)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실시예들에서, 액세서리 케이스(100)는 유선 연결을 사용하여 충전될 수 있다. 액세서리 케이스(100)는, Lightning™ 또는 범용 직렬 버스(USB) 타입-C 커넥터 리셉터클과 같은 커넥터 리셉터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커넥터 리셉터클은 대응하는 커넥터 인서트를 수용할 수 있고, 이러한 연결을 통해 액세서리 케이스(100) 내부의 배터리, 액세서리 케이스(100) 내의 액세서리 리셉터클들(104) 내에 보관된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들(101), 또는 둘 모두에 전력이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케이스의 일부분을 도시한다. 이 예에서, 버튼 하우징(310)은 접착제 층(313)에 의해 차폐부(14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제 층(313)은 감압 접착제 층, 열-활성화 필름 층,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폴리이미드 필름, 또는 다른 접착제 층일 수 있다. 버튼 하우징(310)은 충전 코일(130)의 중심 개구(132)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충전 코일(130)로부터의 와이어들(134)은 차폐부(140) 내의 슬롯(145)을 통해 제어 회로부(320)(도 3에 도시됨)로 라우팅될 수 있다. 슬롯(145)은 와전류가 차폐부(140) 내에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실시예들에서, 가요성 회로 기판은 버튼 하우징(310)을 제어 회로부(320)(도 3에 도시됨)에 연결할 수 있다. 과열 방지 또는 열 셧다운(thermal shutdown)과 같은 추가 회로부가 포함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유형의 무선 충전기를 액세서리 케이스에 정렬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버튼의 세부사항들을 도시한다. 이 예에서, 버튼(700)은 자기 요소(510)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 요소(510)는 제1 접착제 층(712)을 사용하여 버킷(710)의 내측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자기 요소(510)는 제2 접착제 층(714)을 사용하여 차폐부(720)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접착제 층(712) 및 제2 접착제 층(714)은 감압 접착제 층, 열-활성화 필름 층,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폴리이미드 필름, 또는 다른 접착제 층일 수 있다. 발포체(730)는 차폐부(720)와 버튼 하우징(310) 사이에 그리고 버킷(710)과 버튼 하우징(31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차폐부(720)는 자기 션트로서 작용할 수 있고, 자기 요소(510)로부터 제어 회로부(320)를 차폐할 수 있다. 차폐부(720)는 또한 자기 요소(510)와 제2 유형의 무선 충전기 내의 대응하는 자석 사이의 커플링 계수를 개선할 수 있다. 차폐부(720)는, 예를 들어 페라이트 또는 다른 재료와 같은 자기 투과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폐부(720)는 나노결정질 재료의 적층된 층들로 형성될 수 있다. 나노결정질 재료는 비정질 페라이트 재료 또는 다른 재료일 수 있다.
이 예에서, 버킷(710)은 액세서리 케이스(100)에 대한 인클로저(810)(도 8에 도시됨)의 나머지 부분과 일치하도록 플라스틱 또는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버킷(710)의 후면은 액세서리 케이스(100)를 위한 인클로저(810)와 동일 평면에 있을 수 있다. 자기 요소(510)는 영구 자석, 및 전자석, 강자성 요소, 극편, 또는 다른 자기 요소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유형의 무선 충전기를 액세서리 케이스에 정렬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버튼 및 관련 구조들의 측면도이다 이 예에서, 버튼(700)은 제1 접착제 층(712)에 의해 버킷(710)에 부착될 수 있는 자기 요소(510)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 요소(510)는 또한 제2 접착제 층(714)에 의해 차폐부(720)에 부착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때, 버튼(700)은 액세서리 케이스(100)의 인클로저(810)에 대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은 버튼 하우징(310)의 푸셔(314)를 가요성 돔(312) 내로 구동할 수 있다. 가요성 돔(312)은 전도성일 수 있거나 또는 전도성 표면을 가질 수 있다. 가요성 돔(312)이 충분히 수직으로 변위될 때, 가요성 돔(312)은 접점(318)과 접점(316)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연결은 제어 회로부(320)(도 3에 도시됨)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가요성 돔(312)은 가요성 커버레이(311)를 사용하여 제자리에 유지되고 밀봉될 수 있다. 가요성 돔(312)은 원하는 힘 프로파일을 제공하기 위해 1개, 2개 또는 2개 초과의 가요성 돔들(312)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기본들에서, 액세서리 케이스(100)는 둘 이상의 유형들의 무선 충전기들을 사용하여 충전될 수 있다. 이들 2개의 충전기들은 상이한 주파수들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 회로부(320)는 이들 상이한 무선 충전기들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기 위해, 각각 상이한 주파수로 튜닝된 2개의 충전 회로들을 채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2개의 주파수들 사이에서 튜닝될 수 있는 단일 충전 회로가 채용될 수 있다. 일 예가 하기 도면에 도시된다.
도 9는 다수의 주파수들에서 동작하는 무선 충전기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충전 회로를 도시한다. 제1 상태에서, 범용 입력 출력(general-purpose input output, GPIO) 회로로부터의 주파수 선택 출력(FS)은 높을 수 있다. 트랜지스터(Q3)의 소스는 낮은 드롭아웃 조절된 전압(V1)에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트랜지스터(Q3)는 오프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Q1)는 트랜지스터(Q1)의 게이트와 소스 사이에 연결된 저항기(R1)에 의해 턴오프될 수 있다. 유사하게, 트랜지스터(Q2)는 트랜지스터(Q2)의 게이트와 소스 사이에 연결된 저항기(R2)에 의해 턴오프될 수 있다. 이어서, 충전 코일(130)은 커패시터(C4) 및 커패시터(C5)와 함께 공진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상주 회로의 주파수 피크는 무선 충전기들 중 하나의 무선 충전기의 주파수에서 동작하도록 튜닝될 수 있다.
제2 상태에서, GPIO 회로로부터의 주파수 선택 출력(FS)은 낮을 수 있다. 이는 트랜지스터(Q3)를 턴온시킬 수 있으며, 이는 이어서 다이오드(D1)를 통해 트랜지스터(Q1)의 게이트에서 그리고 다이오드(D2)를 통해 트랜지스터(Q2)의 게이트에서 풀업(pull-up)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Q1)는 커패시터(C4)를 가로질러 커패시터(C3)를 연결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Q2)는 커패시터(C5)를 가로질러 커패시터(C6)를 연결할 수 있다. 이어서, 충전 코일(130)은 커패시터(C3)와 커패시터(C4)의 병렬 조합 및 커패시터(C5)와 커패시터(C6)의 병렬 조합을 갖는 공진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새로운 저주파 공진 회로는 무선 충전기들 중 하나의 무선 충전기의 주파수에서 동작하도록 튜닝될 수 있다.
충전 코일(130)에서 유도된 전류는 정류기 회로(RECTIFIER 1)의 입력들 VINP 및 VINN에서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정류기 회로(RECTIFIER 1)는 이러한 파형을 정류하고 커패시터(COUT)에서 출력 전압(VOUT)을 제공할 수 있다. 출력 전압은 액세서리 케이스(100) 내부의 배터리(도시되지 않음), 액세서리 케이스(100) 내의 액세서리 리셉터클들(104) 내에 보관된 하나 이상의 액세서리들(101)(도 1에 모두 도시됨), 또는 둘 모두를 충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기본들에서, 액세서리 케이스(100)가 데이터를 무선 충전기에 전송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데이터는 액세서리 케이스(100)가 충전될 필요가 있는 유효한 디바이스임을 무선 충전기에 통지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회로(COM)는 커패시터들(C7 및 C8)을 통해 출력 신호들(DP 및 DN)을 충전 코일(1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출력 신호는 무선 충전기 내의 충전 코일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이 회로에 대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Q2) 및 그의 관련 회로부가 제거될 수 있다. 충전 코일(130)의 하부 단자는 접지될 수 있다. 커패시터(C5) 및 커패시터(C6)의 제거를 보상하기 위해 커패시터(C3) 및 커패시터(C4)의 크기들에 대한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추가 커패시터 및 트랜지스터 쌍들은 커패시터(C3) 및 트랜지스터(Q1) 뿐만 아니라, 커패시터(C6) 및 트랜지스터(Q2)와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들 추가 트랜지스터들은 GPIO 회로로부터의 추가의 로직 출력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들 추가 트랜지스터들 및 커패시터들의 포함은 도시된 회로부에 대해 추가적인 가능한 상태들을 제공할 수 있고, 추가적인 무선 충전기들과의 호환성을 허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액세서리 케이스에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지만,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실시예들은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들, 태블릿들, 랩톱들, 스마트폰들,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들, 충전 디바이스들, 저장 디바이스들, 오디오 디바이스들, 시계들, 보석류, 반지들,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들, 내비게이션 시스템들, 모니터들 등과 같은 다른 유형들의 전자 디바이스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상기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으로 제시되었다. 이는 총망라하거나 본 발명을 기재된 정확한 형태로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 및 변경이 상기의 교시에 비추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원리들 및 그의 실제적인 응용들을 가장 잘 설명하여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그리고 고려되는 특정 용도에 적합한 바와 같은 다양한 변형을 갖고서 가장 잘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실시예들이 선택 및 설명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의 청구범위의 범주 내의 모든 변형 및 등가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됨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26)

  1. 충전 케이스로서,
    액세서리를 보관하기 위한 액세서리 리셉터클을 갖는 베이스 - 상기 액세서리가 상기 액세서리 리셉터클 내에 보관될 때 상기 액세서리는 상기 충전 케이스에 의해 충전될 수 있음 -;
    상기 액세서리가 상기 액세서리 리셉터클 내에 보관될 때 상기 액세서리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액세서리 리셉터클을 덮는 뚜껑;
    상기 액세서리가 상기 액세서리 리셉터클 내에 보관될 때 상기 액세서리 리셉터클로부터 상기 액세서리의 제거를 허용하기 위해 상기 뚜껑이 상기 베이스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뚜껑을 상기 베이스에 연결(join)하는 힌지;
    상기 충전 케이스를 제1 유형의 충전기에 정렬시키기 위한 제1 정렬 특징부;
    상기 충전 케이스를 제2 유형의 충전기에 정렬시키기 위한 제2 정렬 특징부; 및
    상기 액세서리가 상기 액세서리 리셉터클 내에 보관될 때 상기 제1 유형의 충전기로부터 또는 상기 제2 유형의 충전기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력을 상기 액세서리에 제공하기 위한 충전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충전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형의 충전기는 제1 유형의 무선 충전기이고, 상기 제2 유형의 충전기는 제2 유형의 무선 충전기인, 충전 케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호환가능한 커넥터 인서트를 수용하고, 상기 액세서리가 상기 액세서리 리셉터클 내에 보관될 때 상기 커넥터 인서트를 통해 전력을 수신하고 전력을 상기 액세서리에 제공하기 위한 커넥터 리셉터클을 추가로 포함하는, 충전 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컴포넌트들은 충전 코일 및 차폐부를 포함하는, 충전 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코일은 상기 제1 정렬 특징부의 중심에 대해 오프셋되고, 상기 충전 코일은 상기 제2 정렬 특징부의 중심에 대해 센터링되는, 충전 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렬 특징부는 상기 베이스 내의 제1 자기 요소 및 제2 자기 요소, 및 상기 뚜껑 내의 제3 자기 요소 및 제4 자기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렬 특징부는 상기 충전 코일의 중심 내의 제5 자석을 포함하는, 충전 케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렬 특징부 및 상기 제2 정렬 특징부는 영구 자석들인, 충전 케이스.
  8. 충전 케이스로서,
    액세서리를 보관하기 위한 베이스 - 상기 액세서리가 상기 베이스 내에 보관될 때 상기 액세서리는 상기 충전 케이스에 의해 충전될 수 있음 -;
    상기 액세서리가 상기 베이스 내에 보관될 때 상기 액세서리를 유지하기 위한 뚜껑;
    힌지 - 상기 힌지는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액세서리의 제거를 허용하기 위해 상기 뚜껑이 상기 힌지 주위에 있을 수 있도록 상기 뚜껑을 상기 베이스에 연결함 -;
    상기 충전 케이스를 제1 유형의 충전기에 자기적으로 정렬시키기 위한 제1 복수의 자기 요소들;
    상기 충전 케이스를 제2 유형의 충전기에 자기적으로 정렬시키기 위한 제2 자기 요소; 및
    상기 액세서리가 상기 베이스 내에 보관될 때 상기 제1 유형의 충전기로부터 또는 상기 제2 유형의 충전기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력을 상기 액세서리에 제공하기 위한 충전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충전 케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형의 충전기는 제1 유형의 무선 충전기이고, 상기 제2 유형의 충전기는 제2 유형의 무선 충전기인, 충전 케이스.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호환가능한 커넥터 인서트를 수용하고, 상기 액세서리가 상기 베이스 내에 보관될 때 상기 커넥터 인서트를 통해 전력을 수신하고 전력을 상기 액세서리에 제공하기 위한 커넥터 리셉터클을 추가로 포함하는, 충전 케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컴포넌트들은 충전 코일 및 차폐부를 포함하는, 충전 케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코일은 상기 제1 복수의 자기 요소들의 중심에 대해 오프셋되고, 상기 충전 코일은 상기 제2 자기 요소의 중심에 대해 센터링되는, 충전 케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의 자기 요소들은 상기 베이스 내의 제1 자석 및 제2 자석, 및 상기 뚜껑 내의 제3 자석 및 제4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자기 요소는 상기 충전 코일의 중심에 위치된 제5 자석을 포함하는, 충전 케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수의 자기 요소들 및 상기 제2 자기 요소는 영구 자석들인, 충전 케이스.
  15. 충전 케이스로서,
    액세서리를 보관하기 위한 액세서리 리셉터클을 갖는 베이스 - 상기 액세서리가 상기 액세서리 리셉터클 내에 보관될 때 상기 액세서리는 상기 충전 케이스에 의해 충전될 수 있음 -;
    상기 액세서리가 상기 액세서리 리셉터클 내에 보관될 때 상기 액세서리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액세서리 리셉터클을 덮는 뚜껑;
    상기 액세서리가 상기 액세서리 리셉터클 내에 보관될 때 상기 액세서리 리셉터클로부터 상기 액세서리의 제거를 허용하기 위해 상기 뚜껑이 상기 베이스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뚜껑을 상기 베이스에 연결하는 힌지;
    상기 충전 케이스를 충전기에 정렬시키기 위한 제1 자기 정렬 특징부 - 상기 제1 자기 정렬 특징부는 상기 베이스 내에 위치됨 -;
    상기 충전 케이스를 상기 충전기에 정렬시키기 위한 제2 자기 정렬 특징부 - 상기 제2 자기 정렬 특징부는 상기 뚜껑 내에 위치됨 -; 및
    상기 액세서리가 상기 액세서리 리셉터클 내에 보관될 때 상기 충전기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력을 상기 액세서리에 제공하기 위한 무선 충전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충전 케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케이스를 충전기에 정렬시키기 위한 제3 자기 정렬 특징부 - 상기 제3 자기 정렬 특징부는 상기 베이스 내에 위치됨 -; 및
    상기 충전 케이스를 상기 충전기에 정렬시키기 위한 제4 자기 정렬 특징부 - 상기 제4 자기 정렬 특징부는 상기 뚜껑 내에 위치됨 - 를 추가로 포함하는, 충전 케이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기 정렬 특징부, 상기 제2 자기 정렬 특징부, 상기 제3 자기 정렬 특징부, 및 상기 제4 자기 정렬 특징부는 상기 무선 충전 컴포넌트들 주위에 위치되고, 상기 무선 충전 컴포넌트들은 상기 제1 자기 정렬 특징부, 상기 제2 자기 정렬 특징부, 상기 제3 자기 정렬 특징부, 및 상기 제4 자기 정렬 특징부의 중심에 대해 오프셋되는, 충전 케이스.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 컴포넌트들은 충전 코일 및 차폐부를 포함하는, 충전 케이스.
  19. 제18항에 있어서, 호환가능한 커넥터 인서트를 수용하고, 상기 액세서리가 상기 액세서리 리셉터클 내에 보관될 때 상기 커넥터 인서트를 통해 전력을 수신하고 전력을 상기 액세서리에 제공하기 위한 커넥터 리셉터클을 추가로 포함하는, 충전 케이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기 정렬 특징부, 상기 제2 자기 정렬 특징부, 상기 제3 자기 정렬 특징부, 및 상기 제4 자기 정렬 특징부는 영구 자석들인, 충전 케이스.
  21. 충전 케이스로서,
    제1 유형의 충전기의 충전기가 상기 충전 케이스에 정렬될 때 제1 주파수를 갖는 충전 파형을 제공하는 상기 제1 유형의 충전기로부터의 전력을 수신할 수 있고 그리고 제2 유형의 충전기의 충전기가 상기 충전 케이스에 정렬될 때 제2 주파수를 갖는 충전 파형을 제공하는 상기 제2 유형의 충전기로부터의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충전 회로부를 포함하는, 충전 케이스.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회로부는,
    충전 코일; 및
    상기 충전 코일에 커플링되는 가변 커패시터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커패시터는, 상기 충전 회로부가 상기 제1 유형의 충전기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때 제1 커패시턴스를 갖도록 선택되고, 그리고 상기 가변 커패시터는, 상기 충전 회로부가 상기 제2 유형의 충전기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때 제2 커패시턴스를 갖도록 선택되는, 충전 케이스.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케이스는,
    상기 충전 케이스를 상기 제1 유형의 충전기에 자기적으로 정렬시키기 위한 제1 복수의 자기 요소들; 및
    상기 충전 케이스를 상기 제2 유형의 충전기에 자기적으로 정렬시키기 위한 제2 자기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충전 케이스.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커패시터는,
    상기 충전 코일의 제1 단자에 커플링된 제1 단자를 갖는 제1 커패시터;
    상기 충전 코일의 제1 단자에 커플링된 제1 단자를 갖는 제2 커패시터;
    상기 충전 코일의 제2 단자에 커플링된 제1 단자를 갖는 제3 커패시터;
    상기 충전 코일의 제2 단자에 커플링된 제1 단자를 갖는 제4 커패시터;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제2 단자에 커플링된 제1 단자 및 상기 제2 커패시터의 제2 단자에 커플링된 제2 단자를 갖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3 커패시터의 제2 단자에 커플링된 제1 단자 및 상기 제4 커패시터의 제2 단자에 커플링된 제2 단자를 갖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충전 케이스.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회로부는, 상기 제1 스위치의 제1 단자 및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제2 단자에 커플링된 제1 입력, 및 상기 제2 스위치의 제1 단자 및 상기 제3 커패시터의 제2 단자에 커플링된 제2 입력을 갖는 정류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충전 케이스.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케이스는, 상기 충전 코일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 회로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통신 회로부는, 상기 제1 스위치의 제1 단자 및 상기 제1 커패시터의 제2 단자에 커플링된 제1 출력, 및 상기 제2 스위치의 제1 단자 및 상기 제3 커패시터의 제2 단자에 커플링된 제2 출력을 갖는, 충전 케이스.
KR1020220109986A 2021-09-13 2022-08-31 다수의 충전기 유형을 위한 액세서리 케이스 KR202300395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243584P 2021-09-13 2021-09-13
US63/243,584 2021-09-13
US17/824,480 US20230080598A1 (en) 2021-09-13 2022-05-25 Accessory case for multiple charger types
US17/824,480 2022-05-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535A true KR20230039535A (ko) 2023-03-21

Family

ID=85284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9986A KR20230039535A (ko) 2021-09-13 2022-08-31 다수의 충전기 유형을 위한 액세서리 케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80598A1 (ko)
JP (1) JP2023041633A (ko)
KR (1) KR20230039535A (ko)
CN (1) CN115811141A (ko)
DE (1) DE102022208984A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2208984A1 (de) 2023-03-16
CN115811141A (zh) 2023-03-17
JP2023041633A (ja) 2023-03-24
US20230080598A1 (en)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57778B2 (ja) 電子デバイス用のnfcを有する磁気整列システム
US11710989B2 (en) Magnetic alignment systems with rotational alignment component for electronic devices
US11553772B2 (en) Charging case for wireless earphones
US9838085B2 (en) Stackable, magnetically-retained connector interface
EP3484014A1 (en) Portable device, charging device for same, and charging system for portable device
CN112601149B (zh) 耳机、耳机盒及耳机盒组件
KR20220017855A (ko) 자기적으로 부착 가능한 배터리 팩
US11867352B2 (en) Adapter for charging and stabilizing cameras
CN212115613U (zh) 耳机系统
KR20230039535A (ko) 다수의 충전기 유형을 위한 액세서리 케이스
US20210057937A1 (en) Modular charging devices and methods for using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