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9454A - 접지복대 - Google Patents

접지복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9454A
KR20230039454A KR1020210122804A KR20210122804A KR20230039454A KR 20230039454 A KR20230039454 A KR 20230039454A KR 1020210122804 A KR1020210122804 A KR 1020210122804A KR 20210122804 A KR20210122804 A KR 20210122804A KR 20230039454 A KR20230039454 A KR 20230039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abdominal
conductive plate
abdomen
grou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광길
Original Assignee
오광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광길 filed Critical 오광길
Priority to KR1020210122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9454A/ko
Priority to PCT/KR2021/013785 priority patent/WO2023042951A1/ko
Publication of KR20230039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4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61F13/148Abdomen bandages or bandaging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003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Anti-eating devices
    • A61F5/0009External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4Garment electrode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4Leading-off electric charges, e.g. by eart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bes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복부를 덮어 체온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착용하는 복부커버, 상기 복부에 생긴 전자들을 끌어당겨 땅속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복부와 땅을 도선으로 연결하는 배꼽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접지복대{earthing belly warmer}
본 발명은 건강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복부에 부착하고 밤에 자면, 내장지방들이 분해되기 쉬운 상태로 전환되어 낮에 활동할 때 에너지로 소비되어, 소식하고도 잘 활동할 수 있어, 내장지방들의 수가 차츰 감소하여, 복부비만이 감소하는 효과를 보는 접지복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과식과 운동부족으로 인해, 중장년층으로 갈수록, 내장지방들이 과도하게 축적되어 혈액순환과 신진대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체내에 노폐물들이 누적되어 만성질환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만성질환들을 치유하기 위해서는 내장지방들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식사량을 줄이고 운동을 많이 하면 내장지방이 감소하며 피하지방도 감소하여 복부비만이 감소하지만, 계속 실행하기가 힘들어 성과를 얻고 중지하면, 식욕이 증가하여 과식하게 되어, 내장지방들이 다시 축적되며 피하지방도 증가하여 처음 상태로 돌아가는 것이 문제이다.
복부비만을 감소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있지만, 계속 실행해야 효과가 유지되어,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비되는 것이 문제이다. 뿐만 아니라, 동일한 행위를 장기간 반복함으로 인하여, 피로 누적으로, 건강에 새로운 문제들이 생길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접지복대는 접지와 복대를 결합하여, 자연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복부비만을 감소시키는 새로운 방법을 시도하게 되었다.
복대를 복부에 덮고 밤에 자면, 복부 체온이 상승하여, 내장지방들의 원자들이 활발히 상호작용하여 전자들이 많이 방출된다. 이 전자들은, 전기가 땅 속으로 흡수되듯이, 복부에 부착한 구리판과 여기에 연결하여 땅에 묻은 구리선을 따라 이동하여 땅 속으로 흡수된다. 구리판과 구리선은 접지되어 있어 내부의 전자들이 땅 속으로 흡수되어, 전자들이 감소하여, +성이 증가한 상태이어서 복부의 전자들을 끌어당긴다. 그래서 내장지방들은 전자들을 많이 잃게 되고, 전자들을 많이 잃은 내장지방들은 +성이 증가하여 내부의 원자들이 서로 밀게 되어, 변형되어, 에너지로 전환되기 쉬운 상태로 된다. 이 상태의 내장지방들은 낮에 활동하는 과정에 에너지로 전환되므로, 복대와 접지를 하고 잔 사람은 소식하며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다. 그래서 복부에 축적된 내장지방들은 에너지로 전환되어 감소하고, 소식하므로, 새로운 내장지방들은 덜 생성되어, 내장지방들의 총량이 감소하므로, 복부비만이 차츰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복대하고 접지하면 복부비만이 저절로 감소하는 것은 아니다. 전자들을 많이 방출한 내장지방들은 가벼운 운동에도 에너지로 잘 전환되어, 에너지가 많이 생겨, 덜 먹고 더 운동해도 덜 피로하므로, 자신감을 갖고 소식하며 운동할 필요가 있다. 복부비만도 적절한 노력이 있어야 감소할 것이다.
이것은 새로운 이론이므로 검증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접지복대는 이것을 입증하기 위한 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연적인 방법으로 내장지방들을 에너지로 전환시켜, 그 수를 감소시켜, 복부비만을 감소시키는 안전하고 간편하고 저렴한 건강보조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복부를 덮어 따뜻하게 보온하여 복부 체온을 상승시켜 내장지방들의 원자들이 활발하게 상호작용하여 전자들을 많이 방출하게 할 수 있는 복대가 필요하다. 내장지방들이 방출한 전자들을 복부 피부 밖으로 끌어당길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 전자들을 체외로 이동시켜 땅 속으로 흡수시킬 수 있는 접지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접지복대는, 사용자의 복부를 덮어 체온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착용하는 복부커버, 상기 복부에 생긴 전자들을 끌어당겨 땅속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복부와 땅을 도선으로 연결하는 배꼽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부커버에 부착된 상기 배꼽커버가 배꼽을 중심으로 복부에 안착되기 위하여, 사용자의 양어깨에 하나씩 거는 어깨벨트, 허리를 감싸서 묶는 허리벨트, 및 상기 허리벨트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복수개의 벨트고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복부커버는 보온성이 좋고, 알레르기가 발생하지 않으며, 가볍고 부드러운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부커버는 사용자의 복부 체온을 높이기 위하여 덧대어 부착하는 추가복부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부커버는 상기 추가복부커버를 부착하기 위한 제1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접지선이 통과하는 복부커버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목에 거는 목벨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꼽커버는, 전도성이 있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전도판, 상기 전도판에 모인 전자들을 땅 속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접지선, 및 상기 전도판을 삽입하여 복부커버에 부착하기 위한 케이스와 케이스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지선에 추가접지선을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해 커넥터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와 케이스커버는 직물, 합성수지 및 피혁 중 어느 하나로 또는 병합하여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꼽커버의 전도판은 금속 체인 또는 금속 메쉬 그물의 형상으로 자직된 그물전도판, 및 상기 그물전도판을 사용자의 복부와 허리를 감싸서 고정하는 그물전도판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꼽커버의 전도판은 금속 평판으로 이루어진 평면전도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꼽커버의 전도판은 가운데 부분이 살며시 들어간 금속 접시 형상의 접시전도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평면전도판 또는 상기 접시전도판을 상기 복부커버에 상기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커버 없이 바느질로 부착하기 위하여 각각의 상기 전도판 변두리에 바늘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접지복대는 자연법칙에 기초한 안전하고 간단하고 유효한 방법이어서 복부비만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편하고 저렴한 건강보조기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복대의 전체를 사실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꼽커버의 전도판을 평면전도판으로 구성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a)는 두 개의 구멍이 중심 부위에 형성된 평면전도판, (b)는 추가접지선이 두 구멍에 U형으로 삽입된 평면전도판, (c)는 □형이고 가운데가 비어 있는 케이스, (d)는 케이스를 덮는 케이스커버이다. (e)는 평면전도판을 케이스에 부착하여 케이스커버를 덮고, 접지선을 전도판구멍과 케이스커버구멍에 삽입하고, 케이스구멍들을 이용하여 전체를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복대의 전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부커버에 배꼽커버를 부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복대를 착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복부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꼽커버의 전도판을 그물전도판으로 구성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a)는 체인 형태의 그물전도판이고, (b)는 메쉬 형태의 그물전도판이다. (c)는 낮에 착용하고 활동을 잘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크기와 무게를 축소시킨 복부커버와 세로 길이를 줄이고 가로 길이를 키운 그물전도판을 상호 부착시키고, 여기에 추가접지선과 커넥터, 그물전도판벨트를 고정시킨 접지복대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지복대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복대(100)는 복부커버(110)와 배꼽커버(120)로 구성된다.
복부커버(110)는 사용자의 복부를 덮어 열의 방출을 막고, 복부를 따듯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사용자의 복부 온도를 높여줄 수 있는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부커버(110)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유사한 기능을 갖고 있는 소재이면 이용 가능하므로, 면직으로 만든 주머니에 솜 또는 오리털 등을 넣은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복부커버(110)는 어깨벨트(112a, 112b), 허리벨트(113), 벨트고리(113a, 113b, 113c, 113d) 및 제1결합부재(111a, 111b, 111c, 111d)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복부커버(110)의 어깨벨트(112a, 112b)는 복부커버(110)를 복부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양쪽 어깨에 각각 거는 것으로 사용자의 체격에 맞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어깨벨트(112a, 112b) 대신, 목에 거는 하나의 목벨트(114)가 설치될 수 있다.
복부커버(110)의 허리벨트(113)는 사용자의 복부에 복부커버(1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허리에 감는 장치이고, 복부커버(110)의 일면에는 허리벨트(113)를 고정하기 위한 벨트고리(113a, 113b, 113c, 113d)가 구성될 수 있다.
복부커버(110)에는 추가복부커버(150)를 부착하기 위하여 벨크로 테이프로 이루어진 제1결합부재(111a, 111b, 111c, 111d)가 설치될 수 있다. 이것 대신, 복부커버(110)와 추가복부커버(150)를 바느질하여 상호 부착할 수 있다.
복부커버(110)의 어깨벨트(112a, 112b)와 허리벨트(113)를 위한 소재는 면직물이 적합하지만, 알레르기를 일으키지 않고, 접지복대(100)를 착용하는데 적합한 소재라면 어떤 것도 무방하고,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자재라면 어떠한 것을 채택해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의 복부커버(110)는 중심에 복부커버구멍(1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구멍은 접지선(122)를 삽입하여 통과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꼽커버(120)는 전도판(121), 접지선(122), 케이스(126), 케이스커버(127), 및 제2결합부재(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꼽커버(120)의 전도판(121)은 금속 평판으로 이루어진 평면전도판(129), 가운데 부분이 살며시 들어간 금속 접시 형상의 접시전도판(160) 및 금속 체인 그물이나 금속 메쉬 그물로 이루어진 그물전도판(125)으로 분류된다.
배꼽커버(120)의 전도판(121)은 복부에 있는 전자들을 모으기 위한 것이므로 전기가 잘 통하는 금속 도체로 만들어진다. 전도판(121)은 구리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피부와 직접 접촉하므로, 구리 알레르기가 있으면, 알레르기를 발생시키지 않는 도체를 찾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도판(121)의 크기와 형태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한 변의 길이가 5cm~30cm이고 두께가 1mm 이내의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평면전도판(129)이 적합하고, 큰 형태를 원할 경우에는 접시전도판(160)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낮에도 착용하고 싶으면, 유연성이 있어 복부에 넓게 부착할 수 있고 낮에도 부착하고 활동하기 편한 그물전도판(125)을 선택할 수 있다.
복부에서 먼 부위에 염증이 생겨 아프거나 국소적으로 열이 많을 경우, 접지선(122)에 보조선(123)을 연결하여 그 부위에 부착하면 염증의 완화를 기대할 수 있다. 보조선(123)의 한 끝에 작은 전도판(121)을 설치하여 염증 부위에 부착할 수 있다.
배꼽커버(120)의 접지선(122)은 전도판(121)에 모인 전자들을 땅으로 흡수시키기 위한 구리선이다. 접지선(122)에는 추가접지선(130)이 연결될 수 있고, 접지선(122)과 추가접지선(130)의 상호 연결과 분리를 위한 커넥터(140)가 부착될 수 있다.
배꼽커버(120)의 케이스(126)와 케이스커버(127), 케이스구멍(128)들은 전도판(121)과 접지선(122)을 안전하게 고정하여 복부커버(110)에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
배꼽커버(120)의 제2결합부재(124)는 배꼽커버(120)를 복부커버(110)에 부착하기 위한 장치로써 벨크로 테이프가 적합하다. 그러나 이것은 복부커버(110)를 세탁할 때 외에는 별로 필요하지 않으므로, 배꼽커버(120)와 복부커버(110)를 바느질하여 상호 부착시킬 수 있다.
접지선(122)에 부착된 커넥터(140)에 추가접지선(130)을 삽입하여 접지시설에 연결하면 접지가 된다. 접지시설이 없을 경우, 추가접지선(130)의 한 끝에 접지봉(131)을 설치하여 땅에 깊이 묻으면 접지가 된다. 땅에 접지봉(131)을 묻기 어려운 경우, 추가접지선(130)을 수도관에 연결하면 접지가 된다. 감전이 우려될 경우, 콘크리트 벽에 쇠못 2개 이상을 박아 추가접지선(130)을 서로 연결하거나, 콘크리트 바닥에 동판을 깔아 추가접지선(130)을 연결하면 접지가 된다. 콘크리트 시설은 속에 있는 철근들이 지하에 묻혀 있는 철근들과 연결되어 접지된 상태이어서 전자들을 끌어당기는 효과가 적지만 있다.
그물전도판(125)을 부착하고 활동하기 위해서는 복부커버(110)의 크기와 무게를 축소시키고, 그물전도판(125)의 세로 길이를 줄이고 가로 길이를 키워서, 그물전도판(125)과 복부커버(110)를 상호 부착하고, 여기에 접지선(122)과 커넥터(140), 및 복부와 허리를 감싸서 묶는 하나 또는 두 개의 그물전도판벨트(125a, 125b)를 부착할 필요가 있다. 어깨벨트(112a, 112b)나 목벨트(114)를 추가할 수 있다. 그물전도판벨트(125a, 125b)는 어깨벨트(112a, 112b)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크기와 형태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낮에 접지복대(100)를 착용하고 활동하면, 몸이 수도관이나 철제난간 같은 접지시설들에 접촉될 때, 복부에 부착된 전도판(121)에 모인 전자들이 체외로 방출되므로, 접지 효과가 적지만 있다.
접지선(122)과 보조선(123), 추가접지선(130)은 직경 1mm 내외의 구리선이 적합하다. 전기가 잘 흐르는 도체이면, 종류나 형태의 선택에 제한이 없지만, 커넥터(140)에 삽입하고 빼기를 반복하기가 편해야 좋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복대(100)를 착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음은 접지복대(100)를 착용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사용자는 복부커버(110)의 어깨벨트(112a, 112b)를 양어깨에 각각 걸고, 배꼽커버(120)의 전도판(121)을 배꼽에 위치시키고, 허리벨트(113)를 허리둘레에 맞게 길이를 조절하여 착용하고, 베꼽커버(120)의 접지선(122)에 연결된 커넥터(140)에 접지시설에 접지한 추가접지선(130)을 삽입하면 접지복대(100)의 착용이 완료된다. 이렇게 착용하고 자다가 잠간 일어나 움직일 때는 커넥터(140)에 연결된 추가접지선(130)을 빼고, 잘 때 다시 삽입한다.
또한, 접지복대(100)를 옷(예를 들어, 속옷이나 잠옷 또는 겉옷)에 고정시킬 경우에는 배꼽커버(120)의 전도판(121)이 배꼽을 중심으로 복부에 안착될 수 있게 위치를 조절하여 착용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복부커버(150)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접지복대(100)는 사용자의 복부 체온을 더 상승시키기 위하여 추가복부커버(150)를 복부커버(110)에 덧대어 부착할 수 있다.
접지복대(100)의 추가복부커버(150)는 앞서 설명한 복부커버(110)와 같은 소재일 수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사용자의 체온을 상승시키고 열의 방출을 제한하여 복부를 따뜻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를 채택하여도 바람직하다.
또한, 추가복부커버(150)의 일면에는 허리벨트(113)를 삽입할 수 있는 벨트고리(111a, 111b, 111c, 111d)가 구성될 수 있다. 추가복부커버(150)의 중심에는 접지선(122)을 삽입할 수 있는 복부커버구멍(11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꼽커버(120)의 전도판(121)을 그물전도판(125)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a)는 체인 형태의 그물전도판(125)이고, (b)는 메쉬 형태의 그물전도판(125)이다. (c)는 접지복대(100)를 낮에도 착용하고 활동하기 위하여, 크기와 무게를 축소시킨 복부커버(110)와 세로 길이를 줄이고 가로 길이를 키운 그물전도판(125)을 상호 부착하고, 여기에 접지선(122)과 커넥터(140), 그물전도판벨트(125a, 125b)를 부착한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접지복대(100)를 착용하고 자면, 복부 체온이 상승하여 내장지방들의 원자들이 활발히 상호작용하여 전자들이 많이 방출되고, 이 전자들은 전도판(121)에 모여 접지선(122)을 통해 땅 속으로 흡수된다. 전도판(121)과 접지선(122)의 재료인 구리는 접지되어 있어 전자들이 땅 속으로 흡수되어 +성이 증가하여 복부의 전자들을 끌어당기므로, 내장지방들은 전자들을 많이 잃게 된다. 전자들을 많이 잃은 내장지방들은 +성이 증가하여 원자들이 서로 밀게 되어, 내장지방들은 분해가 잘되는 형태로 전환되므로, 낮에 활동할 때 에너지로 전환되어 소비된다.
그러므로 접지복대(100)를 착용하고 자는 사람은, 에너지로 전환되기 쉬운 형태의 내장지방들이 밤에 많이 생성되고, 이것들은 낮에 활동할 때 가벼운 운동에도 에너지로 잘 소비되므로, 소식하고도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복부에 축적된 내장지방들은 수가 차츰 감소하게 되고, 소식하므로, 새로운 내장지방들은 생성이 감소하여, 내장지방들의 총량이 감소하므로, 복부비만이 감소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접지복대(100)는 복부비만을 감소시키는 건강보조기구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지복대(100)는 단순한 구조이어서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사용이 간편하고, 따로 시간을 할애하지 않아도 되고, 인간의 원초적인 행위를 원용하는 것이어서,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방식이므로 누구나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 외에도,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실시예와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조합이나, 적어도 둘 이상의 실시예들의 조합을 추가적인 실시예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접지복대
110: 복부커버
111a, 111b, 111c, 111d: 제1결합부재
112a, 112b: 어깨벨트
113: 허리벨트
113a, 113b, 113c, 113d: 벨트고리
114: 목벨트
115: 복부커버구멍
120: 배꼽커버
121: 전도판
121a, 121b: 전도판구멍
122: 접지선
123: 보조선
124: 제2결합부재
125: 그물전도판
125a, 125b: 그물전도판벨트
126: 케이스
127: 케이스커버
127a. 127b: 케이스커버구멍
128: 케이스구멍
129: 평면전도판
130: 추가접지선
131: 접지봉
140: 커넥터
150: 추가복부커버
160: 접시전도판

Claims (13)

  1. 사용자의 복부를 덮어 체온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착용하는 복부커버,
    상기 복부에 생긴 전자들을 끌어당겨 땅속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복부와 땅을 도선으로 연결하는 배꼽커버를 포함하는, 접지복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커버에 부착된 상기 배꼽커버가 배꼽을 중심으로 복부에 안착되기 위하여,
    사용자의 양어깨에 하나씩 거는 어깨벨트,
    허리를 감싸서 묶는 허리벨트, 및
    상기 허리벨트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복수개의 벨트고리들을 포함하는, 접지복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커버는 보온성이 좋고, 알레르기가 발생하지 않으며, 가볍고 부드러운 소재로 마련되는, 접지복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커버는 사용자의 복부 체온을 높이기 위하여 덧대어 부착하는 추가복부커버를 포함하는, 접지복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부커버는 상기 추가복부커버를 부착하기 위한 제1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접지선이 통과하는 복부커버구멍이 형성된, 접지복대.
  6.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목에 거는 목벨트를 더 포함하는, 접지복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꼽커버는,
    전도성이 있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전도판,
    상기 전도판에 모인 전자들을 땅 속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접지선, 및
    상기 전도판을 삽입하여 복부커버에 부착하기 위한 케이스와 케이스커버를 포함하는, 접지복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선에 추가접지선을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해 커넥터가 설치되는, 접지복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케이스커버는 직물, 합성수지 및 피혁 중 어느 하나로 또는 병합하여 마련되는, 접지복대.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꼽커버의 전도판은 금속 체인 또는 금속 메쉬 그물의 형상으로 짜임된 그물전도판, 및
    상기 그물전도판을 사용자의 복부와 허리를 감싸서 고정하는 그물전도판벨트를 포함하는, 접지복대.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꼽커버의 전도판은 금속 평판으로 이루어진 평면전도판을 포함하는, 접지복대.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꼽커버의 전도판은 가운데 부분이 살며시 들어간 금속 접시 형상의 접시전도판을 포함하는, 접지복대.
  13. 제11항 및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전도판 또는 상기 접시전도판을 상기 복부커버에 상기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커버 없이 바느질로 부착하기 위하여 각각의 상기 전도판 변두리에 바늘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들이 형성된, 접지복대.
KR1020210122804A 2021-09-14 2021-09-14 접지복대 KR2023003945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804A KR20230039454A (ko) 2021-09-14 2021-09-14 접지복대
PCT/KR2021/013785 WO2023042951A1 (ko) 2021-09-14 2021-10-07 접지복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804A KR20230039454A (ko) 2021-09-14 2021-09-14 접지복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454A true KR20230039454A (ko) 2023-03-21

Family

ID=85603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804A KR20230039454A (ko) 2021-09-14 2021-09-14 접지복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39454A (ko)
WO (1) WO202304295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78527B2 (en) * 2000-03-14 2004-12-09 Earth Fx, Inc. Personal body grounding system
US7575136B2 (en) * 2006-04-20 2009-08-18 Anne Kernkamp Child carrier belt
KR101113751B1 (ko) * 2009-06-30 2012-02-27 참죤의료기 주식회사 휴대용 복합 비만 및 피부 의료기기
KR101319579B1 (ko) * 2013-07-01 2013-11-11 주식회사 다이린 찜질용 복대
CN203842176U (zh) * 2014-06-03 2014-09-24 福建省祥兴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康复护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42951A1 (ko)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810B1 (ko) 개인용 신체 접지 장치
US20090312822A1 (en) Far Infrared Heat Emitting Therapeutic Device
US8430830B1 (en) Post operative pressure garment
US8469914B2 (en) Compression device
WO2010059377A1 (en) Wearable elements for intra-gastric satiety creation systems
CN105188431A (zh) 保护性足踝和小腿套
US20130040535A1 (en) Hip-up underwear using an elastic band
US11305107B2 (en) EMS garment
US20110016633A1 (en) Pillow for lying on one's stomach
EP1256359A1 (en) Sanitary article to be worn in contact with the skin, adapted to provide metallotherapy effects
JPS63501543A (ja) 肩用サポ−タ
US5048542A (en) Sleep aid pads
CA2396837C (en) Fabric suitable to provide a barrier effect against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s and/or metallotherapy effects
KR20230039454A (ko) 접지복대
CN210539020U (zh) 风湿免疫用关节保护套
US20130312766A1 (en) Breast Compression Band
KR20200000670U (ko) 복대형 온열 봉재형 저주파 마사지기 착용구
RU208578U1 (ru) Комбинезон защитный летний с возможностью установки встроенной системы остановки кровотечения
CN211156537U (zh) 一种可减缓疼痛的锁骨护理套
CN107280330A (zh) 一种防电磁污染的床垫
CN217184955U (zh) 一种用于痔瘘科手术的可调节式手术裤
CN213312768U (zh) 一种picc保护套提醒仪
CN212629524U (zh) 一种抗静电防起球宠物衣服
CN212036030U (zh) 一种汉服穿着防脱落内衣
CN215013858U (zh) 一种适用于留置引流管患者的裤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