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9136A - 전자 장치,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9136A
KR20230039136A KR1020210122068A KR20210122068A KR20230039136A KR 20230039136 A KR20230039136 A KR 20230039136A KR 1020210122068 A KR1020210122068 A KR 1020210122068A KR 20210122068 A KR20210122068 A KR 20210122068A KR 20230039136 A KR20230039136 A KR 20230039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device
strength
wireless signal
electronic devic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재
김관영
김민섭
송기현
윤석훈
이종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2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9136A/ko
Priority to PCT/KR2022/012748 priority patent/WO2023038336A1/ko
Priority to US18/079,339 priority patent/US20230110222A1/en
Publication of KR20230039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1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1Energy harvesting or scaven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2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microwaves or radio frequency wav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실시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전자 장치는, 통신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통신 연결된 제어 장치를 식별함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의 전력 충전을 위한 제1강도의 무선 신호를 송출하고, 미리 지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신호를 상기 제1강도의 무선 신호에서, 상기 제1강도 보다 큰 제2 강도의 무선 신호로 변경하여 상기 제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2강도의 무선 신호 전송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통신 재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통신 재연결 요청에 응답함으로써 상기 제어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An electronic apparatus, a control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electronic apparatus and the control device}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자 장치와 제어 장치의 통신 연결에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자 장치,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 블루투스(Classic Bluetooth)는 가까운 거리에서 데이터나 음성을 교환할 때 사용하는 무선 기술 표준이다. 이 기술은 스마트폰, 노트북, PC 주변장치, 이어폰 등 장치 간에 데이터, 오디오 및 비디오를 전송하는 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블루투스 기술은 고전류를 소모하기 때문에 배터리 교체나 충전 없이 장시간 동작을 바라는 배터리 기반 애플리케이션들에는 적당하지 않다.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 (Bluetooth Low Energy: BLE)기술은 기존 블루투스 기술과 동일한 스펙트럼에서 작동되지만 사용되는 채널은 다르다. 블루투스 기술의 1 MHz 폭 채널 79개 대신에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 기술은 2 MHz 폭 채널 40개를 사용하며,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 기법을 이용해 협대역 간섭 문제를 해결한다. BLE로 이전까지 전력 소모 때문에 어려웠던 애플리케이션에서도 초저전력 커넥티비티와 기본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BLE는 극히 낮은 수준의 전력 소모가 가능하여 순수한 의미의 저전력 소모를 구현한다. BLE 기술에 따른 디바이스는 일반 코인 셀(coin cell) 배터리 하나로 수 개월에서 수 년까지 작동이 가능할 정도로 전력 소모가 낮으므로 디바이스가 대기 모드이든 노말 모드이든 항상 동작하게 하도록 하는 데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리모트 콘트롤러에 BLE를 적용하는 경우 TV와 리모트 콘트롤러간에 BLE 연결 유지를 위해 항상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데이터 송수신에 소요되는 전력 소모를 무시할 수 없고, 따라서 전력 소모를 보다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통신 연결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통신 연결된 제어 장치를 식별함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의 전력 충전을 위한 제1강도의 무선 신호를 송출하고, 미리 지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신호를 상기 제1강도의 무선 신호에서, 상기 제1강도 보다 큰 제2 강도의 무선 신호로 변경하여 상기 제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2강도의 무선 신호 전송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통신 재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통신 재연결 요청에 응답함으로써 상기 제어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강도의 무선 신호와 상기 제2강도의 무선 신호는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강도의 무선 신호는 제1강도의 블루투스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강도의 무선 신호는 제2강도의 와이파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강도의 무선 신호와 상기 제2강도의 무선 신호는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로서 그 강도가 서로 다른 무선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무선 신호의 상기 제1강도와 상기 제2강도는 상기 무선 신호의 세기 또는 상기 무선 신호의 전송 시간 간격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무선 신호는 와이파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미리 지정된 이벤트는 상기 제어 장치와 통신 재연결 동작을 요구하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 장치는,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충전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통신 연결된 전자 장치로부터 전력 충전을 위한 제1강도의 무선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1강도의 무선 신호를 수집하여 전력을 충전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부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 충전부에서 충전되는 전력의 강도가 임계치를 넘는 것을 검출하고, 상기 임계치를 넘는 강도의 전력 검출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로 통신 재연결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통신 재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강도의 무선 신호 와는 다른 제2강도의 무선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서 상기 무선 충전부에서 충전되는 전력의 강도가 임계치를 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전자 장치와 페어링을 포함하는 통신 연결 후 유효한 데이터 송수신이 없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통신 연결된 제어 장치를 식별함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의 전력 충전을 위한 제1강도의 무선 신호를 송출하는 동작, 미리 지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신호를 상기 제1강도의 무선 신호에서, 상기 제1강도 보다 큰 제2 강도의 무선 신호로 변경하여 상기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제2강도의 무선 신호 전송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통신 재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통신 재연결 요청에 응답함으로써 상기 제어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은, 통신 연결된 전자 장치로부터 전력 충전을 위한 제1강도의 무선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1강도의 무선 신호를 수집하여 전력을 충전하는 동작, 상기 무선 충전부에서 충전되는 전력의 강도가 임계치를 넘는 것을 검출하는 동작, 상기 임계치를 넘는 강도의 전력 검출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로 통신 재연결 요청을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통신 재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의 구현을 위해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통신 연결된 제어 장치를 식별함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의 전력 충전을 위한 제1강도의 무선 신호를 송출하는 동작, 미리 지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신호를 상기 제1강도의 무선 신호에서, 상기 제1강도 보다 큰 제2 강도의 무선 신호로 변경하여 상기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제2강도의 무선 신호 전송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통신 재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통신 재연결 요청에 응답함으로써 상기 제어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본 개시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두개의 장치들 즉, 전자 장치와 제어 장치 간에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통신 연결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무선 하베스팅 기술을 채택하여 전자 장치가 송출하는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충전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제어 장치의 전력 공급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와 제어 장치의 페어링 연결 이후 전자 장치와 제어 장치의 연결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제어 장치에서 연결 유지에 소모되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본 개시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와 제어 장치의 통신 연결을 유도하기 위해서 전자 장치에서 강한 무선 신호를 송출하게 하고 제어 장치에서 강한 무선 신호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에 재연결 시도하게 함으로써 제어 장치의 통신 재연결을 효과적으로 트리거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의 세부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세부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 사이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의 일 예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 사이에서 블루투스 연결을 하기까지의 구체적인 동작을 나타낸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 사이에서 블루투스 페어링 후 연결 해제를 하기까지의 구체적인 동작을 나타낸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 해제 후 재연결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 해제 후 재연결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제2강도의 무선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제어장치를 웨이크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 장치가 임계치를 넘는 전력 검출에 따라 전자 장치 연결 후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컴퓨팅 장치 또는 전자 장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제어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시청자, 관리자 또는 설치 기사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 40는 와이파이를 이용하는 통신망으로서, 와이파이(Wi-Fi)는 wireless fidelity (무선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줄임말로서, 전용선이나 전화선 없이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을 이용하여 장치들을 무선 광대역 인터넷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와이파이 통신은 기본적으로 무선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와 사용자가 서비스를 받는 단말간의 통신이다. 와이파이 통신은 2.4GHz/5GHz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스템 10은 전자 장치 100과 제어 장치 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 100과 제어 장치 200 라는 용어는 시스템 10에 포함된 엔티티를 서로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로서, 기본적으로는 모두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고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다른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를 의미한다.
전자 장치 100는 텔레비전 (TV)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0는 휴대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데스크탑,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 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일 수 있으며,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제어 장치 200는 전자 장치 100의 원격 제어 장치로서 기능하여 전자 장치 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제어 장치 200는 리모컨 또는 휴대폰과 같이 전자 장치 100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 장치 200는 적외선(infrared) 또는 블루투스 (bluetooth)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 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 200는 구비된 키, 터치 패드(touchpad), 사용자의 음성의 수신이 가능한 마이크, 및 전자 장치의 모션 인식이 가능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 1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어 장치 200에 구비된 버튼 등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 100에 예/아니오 등의 선택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또는 제어 장치 2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키보드 등을 이용하여 문자열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 장치 200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 또는 개인 휴대 장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 200는 리모트 콘트롤러,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PC, 랩탑 PC, 웨어러블 컴퓨팅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는 상호간의 통신을 위해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 (BLE) 통신 기술을 이용하면 저전력으로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하기 위해 상시 연결 유지 상태로 대기해야 하는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 사이의 통신에 효과적일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 사이에 상기 연결 유지 상태로 대기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해야 하므로, 보다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 사이에서 연결 유지를 해제하고 통신이 필요한 경우에 재연결 시도를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는 블루투스 통신을 위해 페어링 및 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20) 페어링은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가 서로 자신의 정보를 주고 받음으로써 인증을 수행하고 통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동작을 나타낼 수 있다. 페어링 후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는 서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주고 받으면서 블루투스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 간에 실질적인 통신이 필요한 경우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간에는 유효한 데이터 송수신을 주고 받음으로써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실질적인 통신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 간에는 형식적인 데이터를 서로 주기적으로 주고 받으면서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상태 유지에도 형식적인 데이터의 송수신에 전력 소모가 필요하므로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는 연결을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의 페어링 시에, 전자 장치 100는 제어 장치 200와 서로 식별 정보를 주고 받음으로써 제어 장치 200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는 제어 장치 200의 식별 결과 제어 장치 200가 미리 정해진 특정한 상대방으로 인식되는 경우 제어 장치 200의 무선 하베스팅 충전을 위해 미리 정해진 무선 신호를 송출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는 유효한 데이터 송수신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 블루투스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30)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는 제어 장치 200와의 페어링 결과 제어 장치 200가 미리 정해진 특정한 상대방으로 인식된 경우 주기적으로 일정한 강도의 무선 신호를 송출할 수 있고, 제어 장치 200는 송출된 무선 신호를 수집함으로써 제어 장치 200의 전력으로 저장함으로써 무선 하베스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40) 전자 장치 100가 제어 장치 200의 무선 하베스팅 기능에 이용할 수 있도록 송출하는 무선 신호는 다양한 무선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신호는 와이파이 신호 나 블루투스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 연결 해제에 따라 제어 장치 200는 대기 모드 상태 또는 슬립 상태에 진입하는데, 만약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한 경우 제어 장치 200는 웨이크업되어 전자 장치 100로 블루투스 통신 재연결 시도를 함으로써 전자 장치 100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 연결 해제에 따라 제어 장치 200는 대기 모드 상태 또는 슬립 상태에 진입해 있기 때문에 만약 전자 장치 100가 제어 장치 200로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전자 장치 100는 제어 장치 200를 웨이크업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는 제어 장치 200의 무선 하베스팅 충전을 위한 일정한 세기의 무선 신호가 아니라 임계치를 넘는 강한 무선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제어 장치 200를 웨이크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는 블루투스 통신 재연결을 위해, 무선 하베스팅 충전을 위한 일정한 강도의 무선 신호 보다 강한 무선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50) 일 실시예에 따라 일정한 강도의 무선 신호보다 강한 무선 신호는 와이파이 신호 또는 블루투스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일정한 강도의 무선 신호 보다 강한 무선 신호는 무선 신호의 세기 또는 무선 신호의 전송 간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즉, 일정한 강도의 무선 신호는 제1신호, 일정한 강도의 무선 신호보다 강한 무선 신호는 제2신호로 언급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제2신호는 제1신호보다 무선 신호의 세기 자체가 강한 신호가 될 수 있다. 또는 일 예에 따라 제2신호에 포함된 무선 신호의 세기는 제1신호에 포함된 무선 신호의 세기와 동일하지만 제2신호에 포함된 무선 신호들의 전송 간격을 더 좁게 함으로써 제1신호 보다 더 강한 신호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이와 같이 일정한 강도의 무선 신호보다 강한 무선 신호를 수신한 제어 장치 200는 이러한 강한 무선 신호에 기반한 전력이 임계치를 넘는 전력임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장치 200는 수집된 무선 신호에 기반하여 생성된 전력이 임계치를 넘는 경우 전자 장치 100로부터 블루투스 재연결 요청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전자 장치 100로 블루투스 재연결 동작을 시도할 수 있다. (60) 제어 장치 200는 전자 장치 100로 블루투스 재연결 동작을 시도하고 나서 전자 장치 100와 유효한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경우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제어 장치 200는 전자 장치 100로 블루투스 재연결 동작을 시도하고 나서 전자 장치 100와 유효한 데이터를 주고 받지 않는 경우 블루투스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이는 제어 장치 200가 순간적으로 강한 무선 신호를 수신한 경우 이러한 무선 신호는 전자 장치 100가 블루투스 재연결을 위해 의도적으로 송출한 신호일 수도 있지만, 기타 다른 원인 등에 의해 전자 장치 100에 의해 의도치 않는 강한 무선 신호를 수집하게 되는 상황도 가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 장치 200가 전자 장치 100로 블루투스 재연결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이미 이전에 제어 장치 200와 전자 장치 100는 페어링 동작에서 서로 암호화된 연결을 수행할 수 있는 정보를 주고받아서 저장해 놓은 상태이기 때문에, 블루투스 재연결 동작 시에는 이와 같은 정보를 다시 주고받을 필요가 없으므로 신속하게 연결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 100에서 송출하는 일정한 세기의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 장치 100가 무선 하베스팅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제어 장치 100의 전력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 간에 블루투스 통신 연결 후 유효한 데이터 송수신이 없는 경우에는 연결 해제함으로써 제어 장치 200의 전력 소모를 더욱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 100가 제어 장치 200로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의도할 경우, 일정한 세기의 무선 신호가 아니라 임계치를 넘는 무선 신호를 송출하고, 제어 장치 200는 임계치를 넘는 무선 신호에 대응하는 전력을 수집한 경우 이를 블루투스 통신 재연결 이벤트로 간주하여 전자 장치 100로 블루투스 재연결 시도를 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임계치를 넘는 무선 신호 송출 및 검출에 의해 제어 장치 200를 블루투스 통신 재연결 하도록 웨이크업 함으로써 슬립 상태에 있는 제어 장치 200를 용이하게 웨이크업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시스템은, 전자 장치 100, 제어 장치 200, 및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를 연결하는 통신 네트워크 7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 70는 근거리에 있는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망으로서, 예를 들어, 블루투스, BLE, 소프트 AP, NFC, 와이파이 다이렉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는 통신 네트워크 70를 통하여 상호 통신 연결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는 통신부 110, 프로세서 120, 메모리 1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 100는,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의 통신부 110은 통신 네트워크 70를 통하여 제어 장치 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 110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와이파이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130는, 프로세서 12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전자 장치 100으로 입력되거나 전자 장치 1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 1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120는 전자 장치 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120는, 메모리 1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서에 기재된 전자 장치 1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 120는 메모리 1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여, 전술한 동작들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메모리 130는 프로세서 120에 의해서 실행가능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 120는 내부적으로 구비되는 메모리에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고, 내부적으로 구비되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여 전술한 동작들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 120는 프로세서 120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메모리 또는 메모리 13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소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하나의 프로세서 120를 도시하였으나, 복수개의 프로세서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작들 각각은 복수개의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120는, 메모리 1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제어 장치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120는 메모리 1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제어 장치와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 동작에 따라 통신 연결된 제어 장치를 식별할 수 있고, 식별 결과 통신 연결된 제어 장치가 미리 지정된 특정한 제어 장치로 식별됨에 따라 제어 장치의 전력 충전을 위한 제1강도의 무선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120는 메모리 1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미리 지정된 이벤트에 따라,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신호를 제1강도의 무선 신호에서, 제1강도 보다 큰 제2 강도의 무선 신호로 변경하여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미리 지정된 이벤트는 예를 들어 제어 장치와 블루투스 재연결 요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120는 메모리 1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제2강도의 무선 신호 전송에 따라 제어 장치로부터 통신 재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통신 재연결 요청에 응답함으로써 제어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강도의 무선 신호와 제2강도의 무선 신호는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강도의 무선 신호는 제1강도의 블루투스 신호를 포함하고, 제2강도의 무선 신호는 제2강도의 와이파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강도의 무선 신호와 제2강도의 무선 신호는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로서 그 강도가 서로 다른 무선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신호의 제1강도와 제2강도는 무선 신호의 세기 또는 무선 신호의 전송 시간 간격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신호는 와이파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여 기능을 수행하는 어떠한 형태의 장치도 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는 고정형 또는 휴대형 장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0는, 데스크탑, 랩탑, 태블릿과 같은 컴퓨터, 텔레비전, 셋탑박스, 스마트폰, 셀룰러폰, 게임 플레이어, 음악 플레이어, 비디오 플레이어, 의료 장비, 가전 제품 등 다양한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는 멀티미디어 장치, 컴퓨팅 장치, 미디어 장치로도 언급될 수 있다.
이제 제어 장치 200를 설명한다.
제어 장치 200는 통신부 210, 프로세서 220, 무선 충전부 2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 장치 200는,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 210은 통신 네트워크 70를 통하여 전자 장치 1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 210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와이파이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부 230는 제어 장치 200의 안테나를 통해서 수신된 무선 신호를 수집하여 전력을 저장함으로써 무선 하베스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 220는 제어 장치 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220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서에 기재된 제어 장치 2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 220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여, 전술한 동작들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 220는 내부적으로 구비되는 메모리에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고, 내부적으로 구비되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여 전술한 동작들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 220는 프로세서 220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메모리 또는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소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하나의 프로세서 220를 도시하였으나, 복수개의 프로세서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작들 각각은 복수개의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220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전자 장치 100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수행하고, 통신 연결된 전자 장치로부터 전력 충전을 위한 제1강도의 무선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제1강도의 무선 신호를 수집하여 전력을 충전하도록 무선 충전부 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220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전자 장치 100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 수행 후 전자 장치 100와 유효한 데이터 송수신이 없는 경우 전자 장치 100의 블루투스 연결을 해제함으로써 제어 장치 200의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220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무선 충전부에서 충전되는 전력의 강도가 임계치를 넘는 것을 검출하고, 임계치를 넘는 강도의 전력 검출에 따라 전자 장치로 통신 재연결 요청을 전송하고, 통신 재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전자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 220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전자 장치로부터 제1강도의 무선 신호 와는 제2강도의 무선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서 무선 충전부에서 충전되는 전력의 강도가 임계치를 넘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강도의 무선 신호와 제2강도의 무선 신호는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강도의 무선 신호는 제1강도의 블루투스 신호를 포함하고, 제2강도의 무선 신호는 제2강도의 와이파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강도의 무선 신호와 제2강도의 무선 신호는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로서 그 강도가 서로 다른 무선 신호일 수 있다. 무선 신호의 제1강도와 제2강도는 무선 신호의 세기 또는 무선 신호의 전송 시간 간격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무선 신호는 와이파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와 외부 장치의 세부적인 블록도이다.
도 3에 있어서, 도 2에서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기호를 이용하여 도시하였다. 따라서, 전자 장치 100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도 2 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 100는, 통신부 110, 프로세서 120 및 메모리 130 이외에, 안테나 115, 입/출력부 140, 비디오 처리부 150, 디스플레이 160, 오디오 처리부 170, 오디오 출력부 180 및 사용자 입력부 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120는 전자 장치 1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프로세서 120 및 메모리 130에 대하여, 도 2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은 도 3에서 생략한다.
안테나 115는 다른 디바이스들이 전송한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다른 디바이스들로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안테나 115는 하나로 도시되어 있지만, 복수개의 안테나를 구비함으로써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시스템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부 110는 전자 장치 1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전자 장치 100과 다른 전자 장치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 110는 방송 수신 모듈 111, 이동통신 모듈 112, 무선 인터넷 모듈 113 및 근거리 통신 모듈 114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 110는 송/수신부로 호칭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 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 112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 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디바이스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 113을 통해서 전자 장치 100는 다른 디바이스와 와이 파이(Wi-Fi) P2P(Peer to Peer)연결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 인터넷 모듈 113은 와이파이 통신 모듈 113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와이파이 통신 모듈 113a은 제어부 120의 제어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 페어링된 제어 장치 200의 무선 하베스팅 충전을 위해 일정한 강도의 무선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와이파이 통신 모듈 113a은 제어부 120의 제어에 따라, 슬립 상태에 있는 블루투스 통신 페어링된 제어 장치 200를 웨이크업하기 위해 일정한 강도의 무선 신호 보다 강한 무선 신호를 일정 시간 송출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 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근거리 통신 모듈 114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 114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 모듈 114a 은 제어부 120의 제어에 따라 제어 장치 200와 블루투스 페어링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 모듈 114a 은 제어부 120의 제어에 따라 블루투스 통신 페어링된 제어 장치 200의 무선 하베스팅 충전을 위해 일정한 강도의 무선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입/출력부 140는 프로세서 12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 100의 외부에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영상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음악 등)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 등) 등을 수신한다. 입/출력부 140는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141,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142), PC 포트(PC port, 143), 및 USB 포트(USB port, 144)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 140는 HDMI 포트 141, 컴포넌트 잭 142, PC 포트 143), 및 USB 포트 144)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 150는, 디스플레이 160에 의해 표시될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며,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렌더링,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및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영상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160는 프로세서 120의 제어에 의해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통신부 110, 입/출력부 140, 메모리 12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 170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 170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 180는 프로세서 120의 제어에 의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통신부 110 또는 입/출력부 14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메모리 120에 저장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 180는 스피커, 헤드폰 출력 단자 또는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출력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 190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 1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 19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130는, 프로세서 12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전자 장치 100로 입력되거나 전자 장치 10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130는 전자 장치 1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13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 130은 본 개시서에 개시된 전자 장치 100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 120는 전자 장치 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전자 장치 100의 내부 구성 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세서 12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메모리 13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120는 내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메모리 130에 저장되는 데이터, 프로그램, 및 인스트럭션 중 적어도 하나가 프로세서 120의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전자 장치 100의 블록도는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전자 장치 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세부적인 블록도이다.
도 4에 있어서, 도 2에서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기호를 이용하여 도시하였다. 따라서, 제어 장치 200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도 2 에서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 200는 통신부 210, 프로세서 220, 무선 충전부 230 이외에, 메모리 240, 사용자 입력부 250, 센서부 260, 출력부 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220는 제어 장치 2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통신부 210는 제어 장치 2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제어 장치 200과 다른 전자 장치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 210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 211, 블루투스 통신 모듈 212, IR 통신 모듈 213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215는 다른 디바이스들이 전송한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다른 디바이스들로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안테나 215는 하나로 도시되어 있지만, 복수개의 안테나를 구비함으로써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시스템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충전부 230은 직류 변환부 231, 직류 결합부 232, 무선 신호 강도 검출부 233, 및 전력 저장부 23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충전부 230은 안테나 215를 통하여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수집하여 전력을 저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어 장치 200의 대기 모드 즉 제어 장치의 다른 구성요소들에는 전원공급이 되지 않는 상태라도 무선 충전부 230에는 전원 공급이 이루어져 무선 하베스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충전부 230에 무선 신호를 전달하는 안테나 215는 해당 안테나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신호를 수집하여, 수집된 주파수 신호를 직류 변환부 231로 전달할 수 있다. 안테나에 할당되는 주파수 대역은 와이파이(Wi-Fi) 채널 별로 할당될 수 있고, 안테나 215는 이렇게 할당된 와이 파이 채널의 무선 신호를 수집하여, 직류 변환 모듈 231로 전달할 수 있다. 와이파이 (Wi-Fi) 무선 신호는 2.4Ghz 주파수 영역에서 13개의 채널과 5Ghz 주파수 영역에서 28개의 채널을 통해 송수신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라 각 채널 별 무선신호를 각각 수집하는 안테나를 복수 개 사용하여, 수집되는 무선신호 에너지의 총량도 높이면서, 에너지 효율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직류 변환부 231은 안테나 215에서 수집된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만약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각 채널 별 무선 신호를 수신한 경우 직류 변환부 231은 각 안테나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직류 변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로부터 주파수 신호를 전달 받은 직류 변환부 231은 전달받은 주파수 신호를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직류 전압을 직류 결합부 232로 전달될 수 있다.
직류 결합부 232은 하나 이상의 직류 변환부 231에서 변환된 직류 전압을 하나의 직류 전압으로 결합하고, 이와 같이 결합된 직류 전압을 기반으로 생성된 전력을 전력 저장 모듈 234에 저장할 수 있다.
전력 강도 검출부 233은 직류 결합 모듈에 의해 결합된 직류 전압을 기반으로 생성된 전력의 강도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력 강도 검출부 233은 직류 결합부 232에 의해 생성된 전력의 세기를 모니터링하다가, 모니터링된 전력의 강도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 전력의 강도가 임계치를 초과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원공급부 28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강도 검출부 233은 수집되는 전력의 강도를 모니터링한 결과 통상적으로 수집되는 전력의 강도가 제1세기 인 반면, 어느 시점에서의 전력의 강도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제2세기 인 것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전력 강도 검출부 233은 전력의 강도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제2세기 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원공급부 28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력 강도 검출부 233이 모니터링하는 전력의 강도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제2 강도 임을 검출한 경우 전력 강도 검출부 233은 이를 전원공급부 280로 전달함으로써, 전원공급부 280로 하여금 대기 모드에 있는 제어 장치 200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공급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 200의 대기 모드에서는 제어 장치 200의 구성요소들의 일부는 전원공급이 중단된 상태이므로 전력 강도 검출부 233는 모니터링하는 전력의 강도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제2 강도 임을 검출한 경우 전력 강도 검출부 233은 이를 전원공급부 280로 전달함으로써 제어 장치 200를 대기 모드에서 웨이크업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력 강도 검출부 233이 전원공급부 280에 전달하는 제어 신호는 임계치를 초과하는 전력이 검출되었으므로 블루투스 통신 재연결을 하라는 커맨드를 포함할 수 있고, 전원공급부 280는 이러한 커맨드를 제어부 22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는 전력 강도 검출부 233에 의해 제어 신호가 전원공급부 280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전원 공급부 280가 제어부 220에 커맨드를 전달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 충전에 사용되는 무선 신호와는 구별되는 무선 신호를 검출하고, 이와 같이 검출된 무선 신호에 의해 제어 장치 200를 대기 모드나 슬립 모드에서 깨어나 통신을 위한 동작을 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무선 충전에 사용되는 무선 신호와는 구별되는 무선 신호를 검출하고, 이와 같이 검출된 무선 신호에 의해 제어 장치 200 전체를 대기 모드나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업하여 노말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아니라, 블루투스 통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 212을 동작시켜서 전자 장치 100와의 블루투스 통신 동작을 시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 2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 200의 노말 모드에서 사용자 입력부 25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제어부 22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 장치 200의 대기 모드 또는 슬립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부 25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커맨드를 전원공급부 280로 전달함으로써 전원공급부 280로 하여금 제어 장치 200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 25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 250를 조작하여 제어 장치 200로 전자 장치 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 250가 하드 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 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제어 장치 200로 전자 장치 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 25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 키를 터치하여 제어 장치 200로 전자 장치 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 250는 4 방향 버튼 또는 4 방향 키를 포함할 수 있다. 4 방향 버튼 또는 4 방향 키는 전자 장치 1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윈도우, 영역, 애플리케이션, 또는 아이템을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4방향 키나 버튼은 상, 하, 좌, 우 이동을 지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 250는 4방향 키나 4 방향 버튼 대신에 2 방향 키나 2방향 버튼을 포함할 수 있음을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 25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 250는 터치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 250는 제어 장치 200의 터치 패드를 통해 드래그(drag), 터치(touch) 또는 플립(flip)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한 사용자 입력의 종류(예를 들면, 드래그 명령이 입력된 방향, 터치 명령이 입력된 시간)에 따라, 전자 장치 100가 제어될 수 있다.
센서부 260는 자이로 센서 261 또는 가속도 센서 262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 261는 제어 장치 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 261는 제어 장치 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 262는 제어 장치 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 200는, 4 방향키, 터치 패드 및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를 모두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 200가 포인팅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 장치 200의 자이로 센서 261를 이용하여 기울이는 방향 또는 각도 등에 따라 전자 장치 100의 기능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 200는, 4 방향키와 자이로 센서 261, 가속도 센서 262를 포함하는 포인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출력부 270는 사용자 입력부 25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전자 장치 100에서 수신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 27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 250의 조작 여부 또는 전자 장치 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 270는 사용자 입력부 250가 조작되거나 통신부 210를 통하여 전자 장치 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 27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 272,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 273,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274를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 280는 전력 저장부 234에 저장된 전력을 이용하여 제어 장치 200의 각 구성요소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 280는 제어 장치 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원공급부 280는 제어 장치 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원공급부 280는 전력 강도 검출부 233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전원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강도 검출부 233가 임계치를 넘는 전력이 수집된 것을 검출한 경우 전력 강도 검출부 233는 전원공급부 280로 임계치를 넘는 전력이 수집되었음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 신호를 전력 강도 검출부 233로부터 수신한 경우에 전원공급부 280는 제어 장치 200의 각 구성요소로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메모리 240는 제어 장치 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 220는 제어 장치 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 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 220는 사용자 입력부 25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 260에서 센싱한 제어 장치 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통신부 210를 통하여 전자 장치 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 220는 전자 장치 100와 블루투스 통신 연결 하도록 블루투스 통신 모듈 212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 220는 전자 장치 100와 블루투스 통신의 페어링 및 본딩 과정을 통해 전자 장치 100와 암호화된 연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블루투스 통신 모듈 212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 220는 제어부 220는 전자 장치 100와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 이후 전자 장치 100로부터 수신되는 일정한 강도의 무선 신호를 수집하여 무선 하베스팅 충전을 하도록 무선 충전부 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 220는 전자 장치 100와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 이후 전자 장치 100와 유효한 데이터 송수신이 없는 경우 블루투스 연결 해제하도록 블루투스 통신 모듈 212를 제어하고 제어 장치 200의 대기 모드 또는 슬립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제어 장치 200의 대기 모드 또는 슬립 상태는 제어 장치 200의 일부 구성요소에만 전원이 공급되고 나머지 구성요소에는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최소한의 전력만 소비하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 200의 대기 모드 또는 슬립 상태에서 전원 공급이 유지되는 구성요소는 무선 충전부 230 또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250 또는 센서부 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 220는, 제어 장치 200의 대기 모드에서 전원공급부 280로부터 임계치를 초과하는 전력이 검출되었으므로 블루투스 통신 재연결을 하라는 커맨드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 220는 전자 장치 100와 블루투스 통신 재연결하도록 블루투스 통신 모듈 212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제어 장치 200의 블록도는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외부 장치 2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 사이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의 일 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510에서,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는 블루투스 페어링 및 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블루투스 페어링은 블루투스 통신을 시도하는 두개의 장치 사이에 처음으로 자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서로를 인증하고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위한 약속을 정의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는 블루투스 페어링 후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처음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가 상대방을 발견하고 페어링하는 동작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동작 520에서,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는 블루투스 통신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동작 510에서 블루투스 페어링 및 연결 후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 사이에 유효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블루투스 통신이 수행되는 경우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는 블루투스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유효한 데이터 송수신 동작 없이 단지 연결 상태 유지만을 위한 형식적인 데이터 송수신이 일어나는 경우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는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 200는 전자 장치 100가 보내는 데이터에 응답을 하지 않음으로써 연결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제어 장치 200는 형식적인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소요되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제어 장치 200는 제어 장치 200의 일부 구성요소에만 전원이 공급되고 나머지 구성요소에는 전원공급이 중단되는 대기 모드 또는 슬립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 사이에 연결을 유지하고 있는 동안 소비 전류는 약 14㎂이다. 그러나 연결 해제 (disconnection)를 할 경우 소비 전류는 약 4 ㎂로, 연결을 유지하는 것에 대비해서 70% 이상의 소비 전류를 아낄 수 있다. 물론 재연결 시 대량 데이터 통신으로 소비 전류를 사용하지만 연결 해제를 1시간 이상 유지할 경우 연결 해제 + 재연결의 소비 전류가 연결을 유지하는 소비 전류보다 작아진다. 전자 장치의 파워 오프 시간이 1시간이 넘는 경우에는 연결 해제하는 것이 소비 전류에 잇점이 있다.
동작 530에서, 전자 장치 100는 제어 장치 200와 블루투스 연결을 맺은 후 제1강도의 무선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 100는 제어 장치 200와 블루투스 연결시 제어 장치 200가 미리 정해진 상대방 임을 인식하면 제어 장치 200의 무선 하베스팅 충전을 위해 제1강도의 무선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제1강도의 무선 신호는 일정한 세기의 무선 신호로서 와이파이 무선 신호 또는 블루투스 무선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540에서, 제어 장치 200는 제1강도의 무선 신호를 수집하여 전력을 하베스팅 함으로써 제어 장치 200의 전력을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 200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 신호를 수집하여 충전함과 함께 수집된 무선 신호에 따른 전력의 강도를 모니터링하여 수집된 전력의 강도가 임계치를 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동작 550에서, 전자 장치 100는 제어 장치 200와의 연결을 요청하는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장치 200와의 연결을 요청하는 이벤트는, 예를 들어, 대기 모드에 있는 제어 장치 200 찾기 기능을 요청하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560에서, 전자 장치 100는 연결 요청 이벤트를 수신함에 따라 대기 상태에 있는 제어 장치 200를 웨이크업 하기 위해 통상의 무선 하베스팅 용도로 송출하는 제1강도 무선 신호와는 다른 제2강도의 무선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강도의 무선 신호는 제1강도의 무선 신호와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강도의 무선 신호는 제1강도의 무선 신호와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신호일 수 있다.
동작 570에서, 제어 장치 200는 안테나로부터 수집되는 무선 신호에 따른 전력의 강도를 모니터링 한 결과 제2강도의 무선 신호에 따른 전력의 강도가 임계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제2강도의 무선 신호에 따른 전력의 강도가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제어 장치 200는 별다른 액션 없이 다음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충전하는 동작으로 진행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제2강도의 무선 신호에 따른 전력의 강도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 장치 200는 동작 580으로 진행하여 재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2강도의 무선 신호에 따른 전력의 강도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 장치 200는 통상적인 무선 신호 충전 이외에 외부의 전자 장치 100와 재연결이 필요한 상황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동작 580에서, 제어 장치 200는 전자 장치 100로 블루투스 재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블루투스 재연결 동작에서 제어 장치 200는 동작 510의 블루투스 페어링 및 연결 동작에서 저장한 전자 장치 100와 암호화 연결에 필요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전자 장치 100와 암호화 연결에 필요한 정보를 주고받을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어 장치 200는 블루투스 재연결 동작에서 보다 신속하게 전자 장치 100와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590에서, 제어 장치 200는 블루투스 재연결 동작에 의해 전자 장치 100와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에 도시된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간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 사이에서 블루투스 연결을 하기까지의 구체적인 동작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610에서 전자 장치 100는 목적지 없이 주변에 어드버타이징 패킷 (advertising packet)(611)을 송출하면, 주변에 있는 장치들은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수신해서 주변에 있는 어드버타이징 패킷을 송출하는 장치를 인지할 수 있다. 어드버타이징 패킷은 장치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 데이터 (header data)에 사용자 지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31 바이트의 페이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헤더 데이터는 블루투스 장치를 구분하는 고유한 주소값인 6 byte MAC (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 즉, 블루투스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620에서, 어드버타이징 패킷 611을 수신한 제어 장치 200는 스캔 요청 패킷 (scan request packet) 621을 전자 장치 100로 전송할 수 있다. 스캔 요청 패킷을 수신한 전자 장치 100는 스캔 응답 패킷 622를 응답으로 제어 장치 200로 전송할 수 있다. 어드버타이징 패킷의 31 byte에 담지 못했던 정보가 있다면 스캔 응답 패킷에 31 byte 를 추가해서 보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블루투스 장치의 이름이 스캔 응답 패킷을 통해서 전달될 수 있다.
동작 630에서, 제어 장치 200는 연결 요청 패킷 (connection request packet) 631을 전자 장치 100로 전달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전자 장치 100가 연결 응답 패킷 632를 제어 장치 200로 전송하면,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 간에 연결이 맺어질 수 있다. 연결 요청 패킷 631은 채널 호핑을 위한 정보를 담고 있다. 연결 자체는 마스터(즉, 제어 장치)와 슬레이브(즉, 전자 장치) 간에 정해진 시간 간격 (connection interval)에 따라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이다. 따라서 연결을 맺을 때 마스터 즉, 제어 장치 200는 연결 설정과 관계된 연결 파라미터들 (connection parameters)을 전달해서 공유할 수 있다. 연결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연결 간격 (Connection interval), 슬레이브 래턴시 (slave latency), 연결 관리 타임아웃 (connection supervision timeout) 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간격은, 제어 장치 200와 전자 장치 100 두 장치 사이의 데이터 통신(connection event)은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각 통신의 시작 시점 사이의 간격을 의미할 수 있다. 슬레이브 래턴시 (slave latency)는 슬레이브 장치가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는 연결 이벤트 (connection event) 에 응답하지 않아도 연결해제 되지 않는 횟수를 나타낸다. 연결 관리 타임아웃 (Connection supervision timeout)은 지정된 시간동안 유효한 데이터 송수신이 없는 경우 연결이 해제된 것으로 간주되는 것을 나타낸다.
동작 630에서 제어 장치 200와 전자 장치 100 간에 주고받는 연결 요청 패킷과 연결 응답 패킷에 의해 제어 장치 200와 전자 장치 100는 연결 상태 640를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 사이에서 블루투스 페어링 후 연결 해제를 하기까지의 구체적인 동작을 나타낸다.
페어링은 장치들이 암호화된 연결 확립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교환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러한 페어링은 페어링되는 두 장치들의 아이덴티를 인증하는 것, 링크를 암호화하는 것, 재연결시 재시작될 보안을 위해 키를 배포하는 것을 포함한다. 페어링 과정에서 장치들은 임시 키(temporary key)를 교환하고, 이러한 임시 키(temporary key)는 연결을 암호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숏텀 키(short term key)를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동작 710에서, 개시 장치 즉, 제어 장치 200는 상대방 장치인 전자 장치 100로 페어링 요청 711을 보내고 전자 장치 100는 그에 대한 응답으로 페어링 응답 712를 제어 장치 200로 전송한다. 두 장치는 I/O 성능, 인증 요구사항, 최대 암호화 키 사이즈, 본딩 요구사항을 교환한다. 기본적으로 이러한 단계는 두 장치가 그들의 성능을 교환하고 어떻게 보안 연결을 설정할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는 페어링 요청과 페어링 응답 과정에서 서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상대방의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전자 장치 100는 제어 장치 200가 미리 지정된 특정한 장치 임을 인식 하는 경우, 제어 장치 200의 무선 하베스팅 충전을 위해 일정한 강도의 무선 신호를 송출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동작 720에서, 장치들은 하나의 페어링 방법을 이용하여 임시 키를 생성하고 교환한다. 제어 장치 200와 전자 장치 100, 두 장치는 그들이 서로 동일한 임시 키를 이용하는 인증하기 위해 컨펌 및 랜드 값(RAND value)을 교환한다. 일단 이러한 인증이 되면 임시 키 및 랜드(Rand) 값을 이용하여 숏텀 키 (short term key)를 생성한다. 숏텀 키는 연결을 암호화하는데 이용된다. 페어링 방법은 Just work, Out of Band, Passkey 를 포함한다. Just work는 임시 키를 0으로 설정하는 방법으로, 이러한 방법은 연결에 참여하는 장치들을 인증하는 방법을 제공하지 않는다. Out of Band는 예를 들어 NFC와 같은 서로 다른 무선 기술을 이용하여 임시 키를 교환된다. Passkey는 사용자에 의해 장치들 간에 전달되는 6 자리 숫자를 이용하여 임시 키가 교환된다. 이러한 숫자가 전달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들 중 하나가 랜덤한 6 자리 숫자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면 사용자가 그 숫자를 읽어서 그 숫자를 다른 장치에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임시 키 교환에 의해 페어링 721이 이루어지고, 페어링 721이 완료되면 암호화된 연결 722이 확립 될 수 있다.
동작 730에서, 제어 장치 200는 전자 장치 100에게 어떤 키를 보내고 싶은지 어떤 키를 받고 싶은지 표시한다. 이러한 키 배포 단계에서 마스터와 슬레이브는 서로에게 재연결이 암호화될 수 있도록 롱텀 키 (long term key) 731, 732를 주고받는다.
동작 740에서, 각 장치는 페어링 과정을 통해 얻어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본딩 과정으로 언급할 수 있다. 이러한 본딩에 의해, 페어링 과정은 장치들이 서로 재연결될 때 마다 반복되어 수행될 필요가 없이, 재연결시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딩 과정에 의해 제어 장치 200와 전자 장치 100는 서로를 인식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는 제어 장치 200의 식별자를 인식하고, 제어 장치 100가 미리 정해진 상대방으로 인식된 경우에, 이 미리 정해진 상대방인 제어 장치 200에 대해서는 본 개시서에 개시된 전자 장치 100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 100는 인식된 제어 장치의 전력 충전을 위한 제1강도의 무선 신호를 송출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0는 특정한 식별자를 가진 리모트 콘트롤러를 인식하고, 인식된 리모트 콘트롤러와 본딩 과정을 통해 리모트 콘트롤러의 전력 충전을 위한 제1강도의 무선 신호를 송출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연결 상태 640을 유지하기 위해서 제어 장치 200와 전자 장치 100는 연결 간격으로 연결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유효한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신이 아닌 경우에 이와 같이 형식적인 연결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서 제어 장치 200는 전력을 소비해야 하므로 전력의 낭비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 200는 유효한 데이터 송수신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 동작 750에서 일정한 연결 간격으로 전자 장치 100가 전송하는 연결 데이터 751에 대해서 응답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 장치 200가 응답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경우 연결 관리 타임아웃에 의해 연결은 해제 (760)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 해제 후 재연결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810에서 연결 해제 (760) 후 전자 장치 100는 일정한 세기의 제1강도 무선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할 수 있다. 물론 전자 장치 100가 일정한 세기의 제1강도 무선 신호를 송출하는 것은 제어 장치 200와 연결 해제로 인해 수행되는 것은 아니고, 전자 장치 100는 제어 장치 200와 블루투스 페어링 후 제어 장치 200가 미리 지정된 특정한 상대방으로 인식되면 제어 장치 200를 위해 제1강도 무선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동작 820에서, 제어 장치 200는 전자 장치 100로부터 송출되는 제1강도의 무선 신호를 수집하여 하베스팅 함으로써 제어 장치 200의 전력을 충전할 수 있다. 제어 장치 200는 전자 장치 100와의 블루투스 연결 해제 후 슬립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슬립 상태로 진입한 제어 장치 200는 무선 충전부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 100로부터 송출되는 제1강도의 무선 신호를 수집하여 전력을 충전할 수 있다.
동작 830에서, 제어 장치 200는 연결 이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연결 이벤트는 예를 들어, 제어 장치 200의 사용자가 제어 장치 200에 마련된 버튼 등을 누름으로써 제어 장치 200로 하여금 전자 장치 100에 연결하게끔 하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840에서, 제어 장치 200는 연결 이벤트 수신에 따라서 전자 장치 100로의 재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장치 200와 전자 장치 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페어링 및 본딩 과정을 통해서 서로 암호화된 연결을 위한 키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 과정을 거치기만 하면, 이러한 저장된 키를 이용하여 바로 암호화된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동작 850에서, 제어 장치 200는 재연결 동작에 의해 전자 장치 100와 통신 연결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의 블루투스 통신 연결 해제 후 재연결 동작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작 910에서 연결 해제 (760) 후 전자 장치 100는 일정한 세기의 제1강도 무선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할 수 있다.
동작 920에서, 제어 장치 200는 전자 장치 100로부터 송출되는 제1강도의 무선 신호를 수집하여 하베스팅 함으로써 제어 장치 200의 전력을 충전할 수 있다.
동작 930에서, 전자 장치 100는 연결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연결 이벤트는 예를 들어, 제어 장치 200 찾기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940에서, 전자 장치 100는 연결 이벤트를 수신하면, 제어 장치 100의 전력 충전을 위해 통상적으로 송출하는 제1강도 무선 신호가 아니라 제2강도 무선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동작 950에서, 제어 장치 20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제2강도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충전을 할 뿐만 아니라 제2강도의 무선 신호에 따른 전력이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음 무선 신호 수신을 위해 대기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제2강도의 무선 신호에 따른 전력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동작 960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동작 960에서, 제어 장치 200는 전자 장치 100로의 재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장치 200와 전자 장치 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페어링 및 본딩 과정을 통해서 서로 암호화된 연결을 위한 키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결 과정을 거치기만 하면, 이러한 저장된 키를 이용하여 바로 암호화된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동작 970에서, 제어 장치 200는 재연결 동작에 의해 전자 장치 100와 통신 연결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제2강도의 무선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제어장치를 웨이크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의 블루투스 통신 페어링 이후 전자 장치 100는 제어 장치 200의 무선 하베스팅 충전을 위해 일정한 제1강도의 무선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 페어링 이후 제어 장치 200는 전자 장치 100와 유효한 데이터 송수신이 일어나지 않으면 통신 연결을 해제하고 슬립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슬립 모드로 진입한 제어 장치 200는 전자 장치 100로부터 수신된 제1강도 무선 신호를 수집하여 무선 하베스팅 충전 기술을 이용하여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는 특정한 이벤트가 없는 상황에서는 제1강도 무선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제어 장치 200로 하여금 무선 하베스팅 충전을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는 제어 장치 200와 통신 재연결을 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즉, 통신 재연결을 위한 이벤트를 검출한 경우 제어 장치 200를 웨이크업하기 위해 통상의 제1강도 무선 신호보다 강한 제2강도 무선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슬립 모드 상태에서 전자 장치 100로부터 수신된 제1강도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 하베스팅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 200는 무선 하베스팅 충전에 의해 수집된 전력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 수집된 전력이 임계치를 넘는 경우 이를 전자 장치 100가 자신을 웨이크업 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 장치 200는 제1시간 구간 동안 수집된 전력에 기초하여 수집된 전력이 임계치를 넘는다고 판단한 경우 전자 장치 100와 블루투스 통신 재연결 동작을 시도할 수 있다. 제1시간 구간은 제어 장치 200가 수집한 전력이 임계치를 넘는다고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시간 구간이 될 수 있다.
제어 장치 200의 블루투스 통신 재연결 동작에 의해 전자 장치 100와 제어 장치 200는 재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는 제어 장치 200를 웨이크업 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제2강도 무선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시간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0는 정해진 일정한 시간 동안 제2강도 무선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0는 제어 장치 200로부터 블루투스 통신 재연결 요청을 수신한 경우, 제2강도 무선 신호의 송출을 중단하고 제1강도 무선 신호의 송출을 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100는 제어 장치 200와 블루투스 통신 재연결을 확립한 경우, 제2강도 무선 신호의 송출을 중단하고 제1강도 무선 신호의 송출을 시작할 수 있다. 이는 제2강도 무선 신호를 송출한 이유가 제어 장치 200와 블루투스 통신 재연결을 위한 것이었는데 제어 장치 200로부터 블루투스 재연결 요청을 수신한 경우 전자 장치 100의 목적이 이루어진 것이므로 더 이상 제2강도 무선 신호를 송출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 장치가 임계치를 넘는 전력 검출에 따라 전자 장치 연결 후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동작 970에서 제어 장치 200는 전자 장치 100와 블루투스 통신 재연결을 하고 나서, 동작 1110에서, 제어 장치 200는 전자 장치 100로부터 유효한 데이터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제어 장치 200가 전자 장치 100로부터 유효한 데이터를 수신한다고 판단된 경우 제어 장치 200는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제어 장치 200가 전자 장치 100로부터 유효한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어 장치 200는 전자 장치 100와의 블루투스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이러한 블루투스 연결 해제 동작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 장치 200가 무선 하베스팅 충전을 위해 안테나를 통해 무선 신호를 수집하는 경우, 안테나를 통해 수집되는 무선 신호는 단지 전자 장치 100로부터만 수신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주변의 외부 장치들이나 소스로부터도 수집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제어 장치 200가 수집된 전력을 모니터링한 결과 임계치를 넘는 전력을 검출한 경우, 이는 반드시 전자 장치 100가 제2강도의 무선 신호를 송출한 신호에 의해 일어난 것이 아닐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 장치 200는 일단 모니터링한 전력이 임계치를 넘는 경우, 이것은 전자 장치 100가 자신을 웨이크업 하려는 의도로 인해 발생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일단 전자 장치 100와의 블루투스 통신 재연결을 시도하는 것이다. 따라서 블루투스 통신 재연결 시도 후 실제 전자 장치 100로부터 유효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면 이는 전자 장치 100가 자신을 웨이크업 하려는 의도에 의해 전자 장치 100가 제2강도 무선 신호를 보낸 것이 아니라 다른 주변 장치로부터의 무선 신호에 기인한 것이라고 판단되므로, 제어 장치 200는 블루투스 재연결 동작에 의해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S/W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S/W 프로그램, S/W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디바이스의 제조사 또는 전자 마켓(예, 구글 플레이 스토어, 앱 스토어)을 통해 전자적으로 배포되는 S/W 프로그램 형태의 상품(예, 다운로더블 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적 배포를 위하여, S/W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는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 매체는 제조사의 서버, 전자 마켓의 서버, 또는 SW 프로그램을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중계 서버의 저장매체가 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서버 및 디바이스로 구성되는 시스템에서, 서버의 저장매체 또는 디바이스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서버 또는 디바이스와 통신 연결되는 제 3 장치(예, 스마트폰)가 존재하는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제 3 장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서버로부터 디바이스 또는 제 3 장치로 전송되거나, 제 3 장치로부터 디바이스로 전송되는 S/W 프로그램 자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 디바이스 및 제 3 장치 중 하나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서버, 디바이스 및 제 3 장치 중 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분산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예로, 클라우드 서버 또는 인공 지능 서버 등)가 서버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서버와 통신 연결된 디바이스가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 3 장치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제 3 장치와 통신 연결된 디바이스가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 3 장치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는 경우, 제 3 장치는 서버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 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제 3 장치는 프리로드 된 상태로 제공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실행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전술한 본 개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통신 연결된 제어 장치를 식별함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의 전력 충전을 위한 제1강도의 무선 신호를 송출하고,
    미리 지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신호를 상기 제1강도의 무선 신호에서, 상기 제1강도 보다 큰 제2 강도의 무선 신호로 변경하여 상기 제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2강도의 무선 신호 전송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통신 재연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통신 재연결 요청에 응답함으로써 상기 제어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강도의 무선 신호와 상기 제2강도의 무선 신호는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인,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강도의 무선 신호는 제1강도의 블루투스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강도의 무선 신호는 제2강도의 와이파이 신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강도의 무선 신호와 상기 제2강도의 무선 신호는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로서 그 강도가 서로 다른 무선 신호인,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의 상기 제1강도와 상기 제2강도는 상기 무선 신호의 세기 또는 상기 무선 신호의 전송 시간 간격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는 와이파이 신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지정된 이벤트는 상기 제어 장치와 통신 재연결 동작을 요구하는 이벤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제어 장치에 있어서,
    통신 인터페이스;
    무선 충전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통신 연결된 전자 장치로부터 전력 충전을 위한 제1강도의 무선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1강도의 무선 신호를 수집하여 전력을 충전하도록 상기 무선 충전부를 제어하고,
    상기 무선 충전부에서 충전되는 전력의 강도가 임계치를 넘는 것을 검출하고,
    상기 임계치를 넘는 강도의 전력 검출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로 통신 재연결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통신 재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제1강도의 무선 신호 와는 다른 제2강도의 무선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서 상기 무선 충전부에서 충전되는 전력의 강도가 임계치를 넘는 것을 검출하는, 제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강도의 무선 신호와 상기 제2강도의 무선 신호는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인, 전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강도의 무선 신호는 제1강도의 블루투스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강도의 무선 신호는 제2강도의 와이파이 신호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강도의 무선 신호와 상기 제2강도의 무선 신호는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로서 그 강도가 서로 다른 무선 신호인, 제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의 상기 제1강도와 상기 제2강도는 상기 무선 신호의 세기 또는 상기 무선 신호의 전송 시간 간격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결정되는, 제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는 와이파이 신호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전자 장치와 페어링을 포함하는 통신 연결 후 유효한 데이터 송수신이 없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을 해제하는, 제어 장치.
  16.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통신 연결된 제어 장치를 식별함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의 전력 충전을 위한 제1강도의 무선 신호를 송출하는 동작,
    미리 지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신호를 상기 제1강도의 무선 신호에서, 상기 제1강도 보다 큰 제2 강도의 무선 신호로 변경하여 상기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제2강도의 무선 신호 전송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통신 재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통신 재연결 요청에 응답함으로써 상기 제어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강도의 무선 신호와 상기 제2강도의 무선 신호는 와이파이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로서 그 강도가 서로 다른 무선 신호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18.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통신 연결된 전자 장치로부터 전력 충전을 위한 제1강도의 무선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1강도의 무선 신호를 수집하여 전력을 충전하는 동작,
    상기 무선 충전부에서 충전되는 전력의 강도가 임계치를 넘는 것을 검출하는 동작,
    상기 임계치를 넘는 강도의 전력 검출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로 통신 재연결 요청을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통신 재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강도의 무선 신호와 상기 제2강도의 무선 신호는 와이파이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로서 그 강도가 서로 다른 무선 신호인, 제어 장치의 동작 방법.
  20.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의 구현을 위해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통신 연결된 제어 장치를 식별함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의 전력 충전을 위한 제1강도의 무선 신호를 송출하는 동작,
    미리 지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신호를 상기 제1강도의 무선 신호에서, 상기 제1강도 보다 큰 제2 강도의 무선 신호로 변경하여 상기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제2강도의 무선 신호 전송에 따라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통신 재연결 요청을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통신 재연결 요청에 응답함으로써 상기 제어 장치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210122068A 2021-09-13 2021-09-13 전자 장치,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03913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068A KR20230039136A (ko) 2021-09-13 2021-09-13 전자 장치,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CT/KR2022/012748 WO2023038336A1 (ko) 2021-09-13 2022-08-25 전자 장치,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8/079,339 US20230110222A1 (en) 2021-09-13 2022-12-12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device, and operating methods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068A KR20230039136A (ko) 2021-09-13 2021-09-13 전자 장치,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136A true KR20230039136A (ko) 2023-03-21

Family

ID=85506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068A KR20230039136A (ko) 2021-09-13 2021-09-13 전자 장치,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10222A1 (ko)
KR (1) KR20230039136A (ko)
WO (1) WO2023038336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88221A1 (en) * 2014-04-08 2015-10-08 Yang Pan Energy Efficient Electrical Appliance without Phantom Power Consumption
US20150326059A1 (en) * 2014-05-06 2015-11-12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labama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rf energy
KR101627465B1 (ko) * 2015-06-23 2016-06-0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경쟁 기반 랜덤 액세스 통신 환경에서 rf 에너지 하비스팅을 하는 방법
KR20170141550A (ko) * 2016-06-15 2017-12-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840121B1 (ko) * 2016-08-30 2018-04-2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이종 통신망 환경에서의 통신 방법, 이종 통신망 환경에서 무선 전력 공급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 및 무선 전력 공급 방식에 기반한 듀얼 모드 후방산란 통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10222A1 (en) 2023-04-13
WO2023038336A1 (ko)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68068B1 (en) Method for establishing classic bluetooth connection between dual-mode bluetooth devices, and dual-mode bluetooth device
EP3893109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necting bluetooth devices
US20150103708A1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s an access point,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EP3709685B1 (en) Method for establishing wireless communication link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US20160323826A1 (en) Multimode and power-saving method of multimedia transmission and system thereof
US2016029973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data streaming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US108635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108944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US20220141893A1 (en)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response message in bluetooth network environment and method therefor
KR20200052673A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근접한 장치들 간 통신 방법 및 장치
US9565604B2 (en) St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and mobile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WO2022068601A1 (zh) 一种网络修复方法、电子设备及移动设备
KR102527868B1 (ko) Nan 프로토콜에 기반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EP4287763A2 (en) Electronic device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network on basis of wi-fi direct protocol, and method related thereto
KR20230039136A (ko) 전자 장치,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3923537B1 (en) Method for sharing channel information in bluetooth network,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20210017314A (ko) 모바일 핫스팟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모바일 핫스팟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11698668B (zh) 无线通信链路建立方法及支持该方法的电子装置
CN118215066A (zh) 局域网内传输数据的方法、系统及计算机存储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