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9000A - Non-Contact Type Floor Input Apparatus for Elevator - Google Patents

Non-Contact Type Floor Input Apparatus for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9000A
KR20230039000A KR1020210121802A KR20210121802A KR20230039000A KR 20230039000 A KR20230039000 A KR 20230039000A KR 1020210121802 A KR1020210121802 A KR 1020210121802A KR 20210121802 A KR20210121802 A KR 20210121802A KR 20230039000 A KR20230039000 A KR 20230039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light
elevator
floor number
optical sens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8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동호
김형섭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1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9000A/en
Publication of KR20230039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00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52Floor selec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4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using an optical detector
    • H03K17/943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using an optical detector using a plurality of optical emitters or detectors, e.g. key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50/00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in elevators,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e.g. energy saving or recuperation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contact floor input apparatus for an elevator. An input signal can be generated in a noncontact manner through a simple approach without pressing and coming in contact with an input button. Specifically, an approach sensing module is not integrally formed with a floor input module and is separately installed on a side panel different from the floor input module to simplify the configuration of the floor input module. The recognition of a user for a sensor can be minimized to minimize the inconvenience caused by an additional sensor structure during a user operation for inputting a floor. Input signal generation caused by an approach is prevented through a separate control method in preparation for the case in which an input button is difficult to select in a noncontact manner such as a visually impaired person to be stably used without malfunction even in the case of a visually impaired person. Even if the floor input module is cleaned by using a rag or the like, the generation of an input signal can be similarly prevented. Accordingly, the noncontact floor input apparatus for an elevator can maintain a stable and efficient elevator running state since unnecessary input signals are not generated.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Non-Contact Type Floor Input Apparatus for Elevator}Non-Contact Type Floor Input Apparatus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 버튼을 접촉 가압하지 않더라도 단순 접근을 통해 비접촉 방식으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특히, 접근 감지 센싱 모듈을 층수 입력 모듈과 일체형으로 형성하지 않고, 층수 입력 모듈과는 다른 측면 패널에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층수 입력 모듈에 대한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센서에 대한 인식을 최소화할 수 있어 층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조작시 부가적인 센서 구조에 의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시각 장애인과 같이 비접촉 방식으로 입력 버튼 선택이 어려운 경우를 대비하여 별도의 제어 방식을 통해 접근에 따른 입력 신호 생성을 방지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의 경우에도 오작동하지 않고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걸레 등을 이용하여 층수 입력 모듈을 청소하는 경우 등에도 마찬가지로 입력 신호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불필요한 입력 신호가 생성되지 않아 더욱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엘리베이터 운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contact floor number input device for an elevator.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 input signal in a non-contact manner through a simple approach even without pressing the input button. By installing it separately on the panel, the configuration of the floor number input module can be simplified and the user's perception of the sensor can be minimized, thereby minimizing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additional sensor structure when operating the user to input the floor number. In preparation for cases where it is difficult to select an input button in a non-contact manner, such as the visually impaired, a separate control method prevents generation of input signals according to approach, enabling stable use without malfunctioning even in the case of the visually impaired, and using a rag, etc.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input signals in the same way even when cleaning the floor input module, and accordingly, unnecessary input signals are not generated, thereby maintaining a more stable and efficient elevator operating state. It relates to a non-contact floor number input device for an elevator. .

일반적으로, 주거용도 및 업무용도 등으로 건축되는 다양한 종류의 고층 건물에는 해당 건물을 찾는 승객의 수직방향으로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된다.BACKGROUND ART In general, elevator devices are installed in various types of high-rise buildings constructed for residential and business purposes for smooth vertical movement of passengers visiting the building.

엘리베이터 장치는 대략 그 내부에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건물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탑승객을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카와, 소정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와 권상기 등이 구비되어 엘리베이터 카를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른 해당 층으로 이동시키는 기계부 및,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라 기계부를 제어하면서 엘리베이터 카가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운행될 수 있도록 제어를 행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n elevator device includes an elevator car that moves passengers upward or downward along a hoistway formed vertically inside a building while passengers are on board therein, a motor unit that generates predetermined power, a hoisting machine, and the lik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echanical unit that moves the elevator car to the corresponding floor according to the passenger's button operation, and an elevator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elevator car so that the elevator car can operate smoothly and stably while controlling the mechanical unit according to the passenger's button operation.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위해, 해당 건물의 각 층 승강장에는 승객이 목적층으로의 이동을 위해 엘리베이터 카를 호출하기 위한 호출 입력수단이 구비됨과 아울러, 엘리베이터 카 내에는 탑승객이 도어의 개폐 및 목적층으로의 이동을 위해 소정 버튼조작을 행하도록 도어 개폐버튼 및 행선층 입력버튼을 구비하는 호출 입력수단이 구비되어 구성된다.For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a call input means for calling the elevator car for passengers to move to the destination floor is provided at the platform of each floor of the building, and in the elevator car, passengers can open and close the door and move to the destination floor. To perform a predetermined button operation, a call input means having a door open/close button and a destination floor input button is provided and configured.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호출 입력수단의 경우, 도어 개폐버튼 및 행선층 입력 버튼은 일반적으로 누름 버튼 방식이 적용되며, 사용자의 가압 조작에 의해 해당 버튼에 대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최근에는 가압 조작이 아닌 터치 방식의 입력 버튼 또한 사용되고 있다.In the case of a call input means disposed inside the elevator car, a push button method is generally applied to the door open/close button and the destination floor input button, and an input signal to the corresponding button is generated by a user's pressing operation. Recently, a touch type input button is also used instead of a press operation.

이러한 호출 입력 수단은 행선층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가 입력 버튼을 가압하거나 또는 터치해야 하는 등 입력 버튼에 손가락이 접촉되어야 한다. 따라서, 입력 버튼의 표면에는 많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어 다양한 이물질이나 세균, 바이러스 등이 묻어있을 수 있다.In such a call input unit, a user must press or touch an input button to input a destination floor, and the finger must contact the input button. Therefore, the surface of the input button may be stained with various foreign substances, bacteria, viruses, etc. due to the contact of many users' fingers.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들은 입력 버튼을 손가락으로 누르기를 꺼려하여 우산 등 다른 물건을 이용하여 입력 버튼을 누르는 등 입력 버튼의 청결 상태에 대해 신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For this reason, users are reluctant to press the input button with their fingers, so they do not trust the cleanliness of the input button, such as pressing the input button with an umbrella or other object.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입력 버튼에 접촉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비접촉 방식의 층수 입력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대부분의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들은 입력 버튼이 장착된 부위에 별도의 접근 감지 센서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경우, 접근 감지 센서의 배치에 따라 입력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좋지 않아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In view of this situation, non-contact floor number input devices that generate an input signal by detecting the approach of a user's finger even without contacting the input button have been recently developed. Most of the non-contact floor number input devices are equipped with an input button. A separate proximity detection sensor is mounted on the part, and in this case, the configuration of the input device is complicat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proximity detection sensor and the user's usability is not good, so it is not widely used.

국내등록특허 제10-2229791호Domestic Patent No. 10-2229791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설치된 입력 버튼에 기준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접근 감지 센싱 모듈을 장착함으로써, 입력 버튼을 접촉 가압하지 않더라도 단순 접근을 통해 비접촉 방식으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특히, 접근 감지 센싱 모듈을 층수 입력 모듈과 일체형으로 형성하지 않고, 층수 입력 모듈과는 다른 측면 패널에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층수 입력 모듈에 대한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센서에 대한 인식을 최소화할 수 있어 층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조작시 부가적인 센서 구조에 의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unt an approach detection sensing module that detects whether or not an input button installed inside an elevator car is approached within a standard distance, thereby pressing the input button. Even if not,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 input signal in a non-contact way through a simple approach. In particular, by installing the approach detection sensing module integrally with the floor number input module and separately installed on a side panel different from the floor number input module, the floor number input module To provide a non-contact floor number input device for an elevator that can simplify the configuration for and minimize the user's perception of the sensor, thereby minimizing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additional sensor structure during user manipulation for floor number input.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각 장애인과 같이 비접촉 방식으로 입력 버튼 선택이 어려운 경우를 대비하여 별도의 제어 방식을 통해 접근에 따른 입력 신호 생성을 방지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의 경우에도 오작동하지 않고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걸레 등을 이용하여 층수 입력 모듈을 청소하는 경우 등에도 마찬가지 제어 방식을 통해 접근에 따른 입력 신호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불필요한 입력 신호가 생성되지 않아 더욱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엘리베이터 운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generation of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pproach through a separate control method in case it is difficult to select an input button in a non-contact manner, such as a blind person, so that even a visually impaired person can use it stably without malfunctioning. In addition, even when cleaning the floor input module using a rag, etc., the same control method can prevent the generation of input signals according to approach, and as a result, unnecessary input signals are not generated, resulting in a more stable and efficient elevator operating state. It is to provide a non-contact floor number input device for an elevator that can maintain.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일면에 전방 노출되게 설치되며, 층수 입력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입력 버튼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가압 조작에 의해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층수 입력 모듈; 상기 층수 입력 모듈과 이격되게 배치되어 복수개의 상기 입력 버튼에 대해 기준 거리 이하로 물체가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접근 감지 센싱 모듈; 및 상기 접근 감지 센싱 모듈의 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물체의 접근 위치를 연산하고, 연산 결과를 기초로 물체의 접근 위치에 대응되는 입력 버튼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be forward exposed on one surface inside the elevator car,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put buttons to enable floor number input to generate an input signal by a user's pressing operation; an approach detection sensing module that is disposed apart from the floor number input module and detects whether an object approaches a reference distance or less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the input buttons; And a car control unit that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approach detection sensing module, calculates the approach position of the object, and generates an input signal for an input button corresponding to the approach position of the object based on the calculation result. Provided is a non-contact floor number input device for an elevator.

이때, 상기 엘리베이터 카는 출입구가 형성되는 전방 패널과, 상기 전방 패널과 대향 배치되는 후방 패널과, 상기 전방 패널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후방 패널을 향해 각각 직각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는 측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층수 입력 모듈은 상기 전방 패널의 일측단부에 실내 공간에 노출되게 결합되고, 상기 접근 감지 센싱 모듈은 상기 층수 입력 모듈과 인접한 측면 패널에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levator car includes a front panel in which an entrance is formed, a rear panel disposed opposite to the front panel, and side panels each extending in a right angle direction from both ends of the front panel toward the rear panel, The floor number input module may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front panel to be exposed to an indoor space, and the approach detection sensing module may be coupled to a side panel adjacent to the floor number input module.

또한, 상기 접근 감지 센싱 모듈은 상기 입력 버튼의 노출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기준 거리 이격된 가상 평면을 따라 상기 입력 버튼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검사광을 조사 및 수광하는 복수개의 광센서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상기 광센서는 각각 검사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검사광이 외부로부터 반사되어 입력되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검사광의 조사 및 수광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입력 버튼에 대한 물체의 접근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ximity detection sensing module includes a plurality of optical sensors for irradiating and receiving inspection light in a direction crossing the input button along a virtual plane spaced forward by a reference distance from the exposed surface of the input button, and Each of the optical sensors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for irradiating inspection light and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reflected light input after the inspection light is reflected from the outside, wherein the object approaches the input button based on information about irradiation and light reception of the inspection light. can detect whether

또한, 상기 입력 버튼은 상하 방향으로 일렬 배치되며 하나의 열이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의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광센서는 하나의 열을 이루는 입력 버튼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씩 대응되도록 상기 입력 버튼의 상하 배치 간격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작은 간격으로 상하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buttons are arranged in a row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rranged so that one row is spaced apart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form a plurality of rows, and the optical sensors are arranged so that at least one corresponds to each of the input buttons constituting one row. The input buttons may be vertically arranged at interval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vertical intervals of the input buttons.

또한, 상기 카 제어부는 복수개의 상기 광센서의 검사광 조사 및 수광 정보를 연속적으로 인가받고, 복수개의 광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광센서의 수광 정보가 변화하면, 해당 광센서의 변화된 수광 정보를 기초로 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입력 버튼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Further, the car controller continuously receives inspection light irradiation and light-receiving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the optical sensors, and when the light-receiving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optical sensors changes, the changed light-receiving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optical sensor is displayed.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 input signal for an input button at a corresponding position.

또한, 상기 카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 수광부의 검사광에 대한 수광 시간 변화를 판단하고, 수광 시간이 변화한 광센서의 상하 위치 및 해당 광센서의 수광 시간 변화량을 기초로 이에 대응되는 입력 버튼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r control unit determines the change in light reception time for the inspection light of the light sensor light receiver, and determines the corresponding input button based on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light sensor whose light reception time has changed and the amount of change in light reception time of the corresponding light sensor. An input signal can be generated.

또한, 상기 카 제어부는 상기 수광 정보가 변화된 광센서가 복수개인 경우, 해당 광센서들이 상하 연속 배치되는 광센서인지 판단하고, 상하 연속 배치되는 광센서라고 판단되면, 해당 광센서들에 대응되는 입력 버튼이 2개 이상인 경우, 해당 입력 버튼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지 않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optical sensors for which the light reception information has been changed, the car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corresponding optical sensors are vertically arranged optical sensors,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ptical sensors are vertically arranged continuously, input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optical sensors. When there are two or more buttons, operation can be controlled so that an input signal for a corresponding input button is not generated.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설치된 입력 버튼에 기준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접근 감지 센싱 모듈을 장착함으로써, 입력 버튼을 접촉 가압하지 않더라도 단순 접근을 통해 비접촉 방식으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특히, 접근 감지 센싱 모듈을 층수 입력 모듈과 일체형으로 형성하지 않고, 층수 입력 모듈과는 다른 측면 패널에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층수 입력 모듈에 대한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센서에 대한 인식을 최소화할 수 있어 층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조작시 부가적인 센서 구조에 의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put signal can be generated in a non-contact manner through a simple approach without touching the input button by installing an approach detection sensing module that detects whether or not an input button installed inside the elevator car is approached within a standard distance. In particular, by installing the approach detection sensing module on a side panel different from the floor input module without integrally forming the floor number input module, the configuration of the floor number input module can be simplified and the user can recognize the sensor. can be minimized, so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inconvenience caused by an additional sensor structure during user manipulation for inputting the number of floors.

또한, 시각 장애인과 같이 비접촉 방식으로 입력 버튼 선택이 어려운 경우를 대비하여 별도의 제어 방식을 통해 접근에 따른 입력 신호 생성을 방지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의 경우에도 오작동하지 않고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걸레 등을 이용하여 층수 입력 모듈을 청소하는 경우 등에도 마찬가지 제어 방식을 통해 접근에 따른 입력 신호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불필요한 입력 신호가 생성되지 않아 더욱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엘리베이터 운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case it is difficult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select an input button in a non-contact method, a separate control method prevents generation of input signals according to approach, enabling stable use without malfunctioning even in the case of the visually impaired. Even in the case of cleaning the floor input module using the same control metho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approach,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input signals from being generated, thereby maintaining a more stable and efficient elevator operating state. It work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의 배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의 층수 입력 모듈과 접근 감지 센싱 모듈의 상호 배치 관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의 작동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의 오작동 방지에 대한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function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non-contact floor number input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rrangement of a non-contact floor number input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conceptually showing the mutual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floor number input module and the proximity detection sensing module of the non-contact floor number input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exemplarily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non-contact floor number input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non-contact floor number input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ng principle for preventing malfunction of a non-contact floor number input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의 구성을 기능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의 배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의 층수 입력 모듈과 접근 감지 센싱 모듈의 상호 배치 관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의 작동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의 오작동 방지에 대한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function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non-contact floor number input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schematically illustrates the arrangement of the non-contact floor number input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conceptually showing the mutual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floor number input module and the proximity detection sensing module of the non-contact floor number input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diagram exemplarily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non-contact floor number input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non-contact floor number input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preventing malfunction of the non-contact floor number input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는 엘리베이터 카(100) 내부에 장착되며 비접촉 방식으로 층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층수 입력 모듈(200)과, 접근 감지 센싱 모듈(300)과, 카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non-contact floor number input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is mounted inside the elevator car 100 and can generate a floor number input signal in a non-contact manner, and includes a floor number input module 200 and an approach detection sensing module. 300 and a car control unit 400.

먼저,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 구조를 살펴보면, 엘리베이터 카는 출입구(120)가 형성되는 전방 패널(110)과, 전방 패널과 대향 배치되는 후방 패널과, 전방 패널의 양단으로부터 후방 패널을 향해 각각 직각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는 측면 패널(130)을 통해 측벽을 이루고, 이러한 측벽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천장 패널 및 바닥 패널이 배치된다.First, looking a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levator car, the elevator car has a front panel 110 where the entrance 120 is formed, a rear panel opposite to the front panel, and a right angle direction from both ends of the front panel toward the rear panel, respectively. A side wall is formed through the side panel 130 that extends, and a ceiling panel and a floor panel are respectively disposed 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ide wall.

층수 입력 모듈(200)은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일면에 전방 노출되게 설치되며, 층수 입력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입력 버튼(210)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가압 조작에 의해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층수 입력 모듈(200)은 일반적으로 출입구가 형성되는 전방 패널에 설치되며, 측면 패널 등에도 추가 설치될 수 있다.The floor number input module 200 is installed to be forward exposed on one surface inside the elevator car, an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put buttons 210 to enable floor number input to generate an input signal by a user's pressing operation. The floor number input module 200 is generally installed on a front panel where an entrance is formed, and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on a side panel or the like.

접근 감지 센싱 모듈(300)은 층수 입력 모듈(200)과 이격되게 배치되어 복수개의 입력 버튼(210)에 대해 기준 거리 이하로 물체가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The approach detection sensing module 300 is disposed apart from the floor number input module 200 and is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an object approaches the plurality of input buttons 210 within a reference distance or less.

카 제어부(400)는 접근 감지 센싱 모듈(300)의 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물체의 접근 위치를 연산하고, 연산 결과를 기초로 물체의 접근 위치에 대응되는 입력 버튼(210)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The car control unit 400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proximity detection sensing module 300, calculates the approach position of the object, and generates an input signal for the input button 210 corresponding to the approach position of the object based on the calculation result. do.

카 제어부(400)는 생성한 입력 신호를 중앙 제어부(600)로 전송하고, 중앙 제어부(600)는 구동부(500)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카가 해당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층수까지 이동하도록 한다.The car control unit 400 transmits the generated input signal to the central control unit 600, and the central control unit 600 controls the driving unit 500 to move the elevator car to the floor number corresponding to the input signal.

층수 입력 모듈(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 패널의 일측단부에 노출되게 결합되는데, 이때, 접근 감지 센싱 모듈(300)은 층수 입력 모듈(200)과 인접한 측면 패널에 결합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loor number input module 200 is coupled to be exposed to one end of the front panel. At this time, the proximity detection sensing module 300 is coupled to the side panel adjacent to the floor number input module 200.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수 입력 모듈(200)이 전방 패널의 우측단부에 배치되는 경우, 접근 감지 센싱 모듈(300)은 층수 입력 모듈(200)이 배치된 전방 패널(110)의 우측과 인접한 좌측면 패널(130)에 배치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 when the floor number input module 200 is disposed at the right end of the front panel, the approach detection sensing module 300 is placed on the front panel 110 on which the floor number input module 200 is disposed. It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panel 130 adjacent to the right side of.

접근 감지 센싱 모듈(300)은 입력 버튼(210)의 노출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기준 거리(d) 이격된 가상 평면(P)을 따라 입력 버튼(210)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검사광을 조사 및 수광하는 복수개의 광센서(310)를 포함한다.The approach detection sensing module 300 irradiates and receives inspection light in a direction crossing the input button 210 along a virtual plane P separated by a reference distance d from the exposed surface of the input button 210 forward. It includes a plurality of optical sensors 310 that do.

광센서(310)는 각각 검사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검사광이 외부로부터 반사되어 입력되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데, 하나의 센서 케이스에 발광부와 수광부가 모두 내장되는 일체형 센서 타입으로 형성된다.The optical sensor 310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for irradiating inspection light and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input reflected light after the inspection light is reflected from the outside. is formed by

이러한 광센서(310)는 검사광의 조사 및 수광 정보를 기초로 입력 버튼(210)에 대한 물체의 접근 여부를 감지한다.The optical sensor 310 detects whether or not an object is approaching the input button 210 based on irradiation and light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inspection light.

층수 입력 모듈(200)의 복수개 입력 버튼(210)은 하나의 평판형 지지판(220)에 열과 행을 따라 배치되고, 복수개의 광센서(310)는 하나의 센서 모듈 하우징(300)에 상하 방향으로 일렬 배치되며, 복수개의 광센서(310)에 의한 검사광은 전술한 가상 평면(P)을 따라 입력 버튼(210)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검사광을 조사 및 수광한다.The plurality of input buttons 210 of the floor number input module 200 are disposed along columns and rows on one flat support plate 220, and the plurality of optical sensors 310 are vertically mounted on one sensor module housing 300. Arranged in a row, the inspection light by the plurality of optical sensors 310 irradiates and receives inspection light in a direction crossing the input button 210 along the aforementioned virtual plane P.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입력 버튼(210)은 상하 방향으로 일렬 배치되며 하나의 열이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의 열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면,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열 및 제2열을 이루며 수평 방향으로 행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Looking more specifically, the input buttons 210 are arranged in a row in a vertical direction, and one row is spaced apart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form a plurality of rows.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3 to 6 , the first and second columns may be arranged to form rows in a horizontal direction.

광센서(310)는 하나의 열을 이루는 입력 버튼(210)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씩 대응되도록 입력 버튼(210)의 상하 배치 간격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작은 간격으로 상하 배치된다.At least one optical sensor 310 is disposed up and down at an interval equal to or smaller than a vertical interval of the input buttons 210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input buttons 210 constituting one column.

카 제어부(400)는 복수개의 광센서(310)의 검사광 조사 및 수광 정보를 연속적으로 인가받고, 복수개의 광센서(3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광센서(310)의 수광 정보가 변화하면, 해당 광센서(310)의 변화된 수광 정보를 기초로 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입력 버튼(210)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카 제어부(400)는 광센서(310) 수광부의 검사광에 대한 수광 시간 변화를 판단하고, 수광 시간이 변화한 광센서(310)의 상하 위치 및 해당 광센서(310)의 수광 시간 변화량을 기초로 이에 대응되는 입력 버튼(210)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The car control unit 400 continuously receives inspection light irradiation and light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optical sensors 310, and when the light receiving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ptical sensor 310 among the plurality of optical sensors 310 changes, An input signal for the input button 210 at a corresponding position is generated based on the changed light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optical sensor 310 . More specifically, the car control unit 400 determines the change in the light receiving time for the inspection light of the light receiving unit of the optical sensor 310, and determines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optical sensor 310 at which the light receiving time has changed and the light receiving of the optical sensor 310. An input signal for the input button 210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time change is generated.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열을 이루는 입력 버튼(210)에 대해 하나의 검사광을 조사하도록 하나의 광센서(310)가 적용된다고 할 때, 하나의 광센서(310)는 발광부와 수광부가 존재하므로, 검사광을 조사하고 외부 반사되어 다시 돌아오는 반사광을 수광한다. 카 제어부(400)는 광센서(310)에 다시 돌아오는 반사광의 수광 시간 변화를 판단하여 이를 기초로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ssuming that one optical sensor 310 is applied to irradiate one inspection light to the input buttons 210 constituting one column as shown in FIG. 5, one optical sensor 310 ) has a light emitting unit and a light receiving unit, so the inspection light is irradiated and the reflected light that is externally reflected and returned is received. The car control unit 400 determines a change in light receiving time of the reflected light returning to the optical sensor 310 and generates an input signal based on the change.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이 제1열 아래에서 3번째 입력 버튼(210)(B13)을 향해 접근하면, 아래에서 3번째 광센서(310)에서 조사한 검사광이 사용자 손가락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3번째 광센서(310)에 입사된다. 이 경우, 3번째 광센서(310)에서 수광하는 반사광의 수광 시간이 평상시와는 다르게 변화(더 짧게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된 수광 시간에 대응하는 입력 버튼(210)에 대한 정보는 미리 실험 결과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놓을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 when the user's finger approaches the third input button 210 (B13)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column, the inspection light emitted from the third optical sensor 310 from the bottom It is reflected by the finger and incident to the third optical sensor 310 again. In this case, the light reception time of the reflected light received by the third optical sensor 310 is changed differently (changed shorter) than usual. Information on the input button 210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light reception time may be previously stored in a separate database as an experiment result.

손가락이 제2열 아래에서 2번째 입력 버튼(210)(B22)을 향해 접근하는 경우, 해당 광센서(310)(아래에서 2번째 광센서(310))에서 반사광의 수광 시간 또한 변화하게 되는데, 입력 버튼(210)의 제1열과 제2열의 위치는 광센서(310)로부터 서로 상이하므로, 광센서(310)의 반사광 수광 시간 또한 제1열과 제2열의 입력 버튼(210)에 대해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제1열의 입력 버튼(210)에 손가락이 접근하면, 광센서(310)의 수광 시간은 상대적으로 짧은 T1이고, 제2열의 입력 버튼(210)에 손가락이 접근하면, 광센서(310)의 수광 시간은 상대적으로 긴 T2이다. 이러한 T1,T2에 대한 정보를 미리 별도의 저장장치에 저장해놓고, 특정 광센서(310)의 수광 시간 변화시 해당 광센서(310)의 변화된 수광 시간과 저장장치의 정보를 매칭시켜 손가락의 접근 위치가 제1열인지 제2열인지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수광 시간이 변화된 광센서(310)가 상하 방향으로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파악하여 해당 입력 버튼(210)의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When a finger approaches the second input button 210 (B22) from the bottom of the second row, the light receiving time of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corresponding optical sensor 310 (the second optical sensor 310 from the bottom) also changes, Since the positions of the first column and the second column of the input buttons 21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from the optical sensor 310, the reflected light receiving time of the optical sensor 310 is also different for the input buttons 210 in the first and second columns. . When a finger approaches the input button 210 in the first row, the light receiving time of the optical sensor 310 is relatively short T1, and when the finger approaches the input button 210 in the second row, the light receiving time of the optical sensor 310 Time is relatively long T2. Information on T1 and T2 is stored in a separate storage device in advance, and when the light receiving time of a specific optical sensor 310 is changed, the changed light receiving time of the corresponding optical sensor 310 and the information of the storage device are matched to the approach position of the finger. It can be distinguished whether it is the first column or the second column.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input button 210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by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optical sensor 310 whose light reception time is ch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카 제어부(400)는 사용자의 손가락 접근시 이와 같은 연산을 통해 손가락 접근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 입력 버튼(210)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When the user's finger approaches, the car controller 400 determines the finger approach position through such an operation, and generates an input signal for the corresponding input button 210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도 3 내지 도 5에서는 광센서(310)가 하나의 열을 이루는 입력 버튼(210)과 동일한 개수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실제로는 센싱 정확도 등을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열을 이루는 입력 버튼(210)의 간격보다 작은 간격으로 상하 배치되며 입력 버튼(210)의 개수보다 더욱 많은 개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3 to 5, it is shown that the same number of optical sensors 310 as the input buttons 210 constituting one column is provided, but this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is actually shown in FIG. 6 for sensing accuracy and the like.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put buttons 210 are disposed up and down at intervals smaller than the intervals of the input buttons 210 constituting one row, and the number of input buttons 210 greater than the number of input buttons 210 is provided.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는 사용자가 입력 버튼(210)을 접촉하거나 가압하지 않고 단순히 목표 입력 버튼(210)을 향해 기준 거리 이내로 접근하게 되면, 접근 감지 센싱 모듈(300)에 의해 손가락의 접근을 감지하고, 카 제어부(400)는 손가락 접근 위치에 대응되는 입력 버튼(210)을 연산 산출하고, 해당 입력 버튼(210)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the non-contact floor number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proximity when the user simply approaches the target input button 210 within a reference distance without touching or pressing the input button 210. Approach of a finger is sensed by the sensing module 300, and the car controller 400 calculates the input button 210 corresponding to the finger approach position and generates an input signal for the corresponding input button 210.

이때, 접근 감지 센싱 모듈(300)은 층수 입력 모듈(200)과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층수 입력 모듈(200)과는 다른 측면 패널에 별도로 설치되므로, 층수 입력 모듈(200)에 대한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센서에 대한 인식을 최소화할 수 있어 층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조작시 부가적인 센서 구조에 의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pproach detection sensing module 300 is not integrally formed with the floor number input module 200, but installed separately on a side panel different from the floor number input module 200, thereby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loor number input module 200. And, since the user's perception of the sensor can be minimized, inconvenience caused by the additional sensor structure can be minimized when the user manipulates for inputting the floor numb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버튼(210)은 비접촉 방식으로도 작동함은 물론 종래 방식인 가압 방식으로도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시각 장애인 등 비접촉 방식으로는 입력 버튼(210)을 정확하게 선택할 수 없는 경우를 보완하기 위함이다.Meanwhile, the input button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operate in a non-contact method as well as a conventional press method. This is to compensate for a case where the input button 210 cannot be accurately selected by a non-contact method such as a visually impaired person.

이와 같이 시각 장애인 등이 점자를 이용하여 접촉 방식으로 입력 버튼(210)을 누르는 경우, 카 제어부(400)는 이와 같이 시각 장애인의 행동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누름 조작이 있는 경우에만 입력 신호가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a blind person or the like presses the input button 210 in a contact method using Braille, the car controller 4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action of the blind person is such that an input signal is generated only when there is a pressing operation. You can control it.

이를 위해, 카 제어부(400)는 수광 정보가 변화된 광센서(310)가 복수개인 경우, 해당 광센서(310)들이 상하 연속 배치되는 광센서(310)인지 판단하고, 상하 연속 배치되는 광센서(310)라고 판단되면, 해당 광센서(310)들에 대응되는 입력 버튼(210)이 2개 이상인 경우, 해당 입력 버튼(210)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지 않도록 동작 제어한다.To this en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optical sensors 310 whose light-receiving information has been changed, the car controller 400 determines whether the corresponding optical sensors 310 are optical sensors 310 continuously disposed vertically, and continuously disposed upwardly and downwardly. 310), if there are two or more input buttons 210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photosensors 310, operation is controlled so as not to generate an input signal for the corresponding input button 21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 장애인은 입력 버튼(210)의 점자 확인을 위해 손가락으로 복수개의 입력 버튼(210)을 만지게 되는데, 이 경우, 손가락이 입력 버튼(210)에 접근하는 과정에서 접근 감지 센싱 모듈(300)에 의해 접근 상태가 감지된다. 일반적인 경우, 손가락 하나만 특정 입력 버튼(210)을 향해 접근하게 되므로, 수광 시간이 변화된 광센서(310)에 대응되는 입력 버튼(210)이 1개이지만, 시각 장애인의 경우, 수광 시간이 변화된 광센서(310)가 상하 연속 배치됨과 동시에 이에 대응되는 입력 버튼(210)이 2개 이상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광센서(310)를 기초로 판단한 입력 버튼(210)에 대해서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지 않고, 사용자의 가압 조작에 의해서만 입력 신호가 생성되도록 동작 제어한다.As shown in FIG. 6,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touches the plurality of input buttons 210 with their fingers to check the braille of the input button 210. In this case, the approach is detected in the process of the finger approaching the input button 210. An approach state is detected by the sensing module 300 . In general, since only one finger approaches a specific input button 210, there is only one input button 210 corresponding to the light sensor 310 whose light reception time is chang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visually impaired, the light sensor whose light reception time is changed 310 is continuously arranged up and down, and at the same time, two or more corresponding input buttons 210 appear. Accordingly, in this case, an input signal is not generated for the input button 210 determined based on the optical sensor 310, and an input signal is generated only by the user's pressing operation.

이러한 제어 구성을 통해 시각 장애인의 경우에도 오작동하지 않고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걸레 등을 이용하여 층수 입력 모듈(200)을 청소하는 경우 등에도 전술한 제어 방식을 통해 입력 신호의 생성이 방지되므로 불필요한 입력 신호가 생성되지 않아 더욱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엘리베이터 운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control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use stably without malfunctioning even in the case of a visually impaired person, and in particular, even when cleaning the floor number input module 200 using a rag, etc., generation of an input signal is preven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ntrol method. Therefore, unnecessary input signals are not generated, and more stable and efficient elevator operation can be maintain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엘리베이터 카
110: 전방 패널
130: 측면 패널
200: 층수 입력 모듈
210: 입력 버튼
300: 접근 감지 센싱 모듈
310: 광센서
400: 카 제어부
100: elevator car
110: front panel
130: side panel
200: floor number input module
210: input button
300: approach detection sensing module
310: optical sensor
400: car control unit

Claims (7)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일면에 전방 노출되게 설치되며, 층수 입력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입력 버튼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가압 조작에 의해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층수 입력 모듈;
상기 층수 입력 모듈과 이격되게 배치되어 복수개의 상기 입력 버튼에 대해 기준 거리 이하로 물체가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접근 감지 센싱 모듈; 및
상기 접근 감지 센싱 모듈의 감지 신호를 인가받아 물체의 접근 위치를 연산하고, 연산 결과를 기초로 물체의 접근 위치에 대응되는 입력 버튼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카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
a floor number input module that is installed to be exposed on one surface inside the elevator car and has a plurality of input buttons to enable floor number input to generate an input signal by a user's pressing operation;
an approach detection sensing module that is disposed apart from the floor number input module and detects whether an object approaches a reference distance or less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the input buttons; and
A car controller that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approach detection sensing module, calculates the approach position of the object, and generates an input signal for an input button corresponding to the approach position of the object based on the calculation result.
Non-contact floor number input device for an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는 출입구가 형성되는 전방 패널과, 상기 전방 패널과 대향 배치되는 후방 패널과, 상기 전방 패널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후방 패널을 향해 각각 직각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는 측면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층수 입력 모듈은 상기 전방 패널의 일측단부에 실내 공간에 노출되게 결합되고, 상기 접근 감지 센싱 모듈은 상기 층수 입력 모듈과 인접한 측면 패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elevator car includes a front panel in which an entrance is formed, a rear panel disposed opposite to the front panel, and side panels each extending in a right angle direction from both ends of the front panel toward the rear panel,
The floor number input module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front panel to be exposed to the indoor space, and the approach detection sensing module is coupled to a side panel adjacent to the floor number input module. Non-contact floor number input device for an elevat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감지 센싱 모듈은
상기 입력 버튼의 노출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기준 거리 이격된 가상 평면을 따라 상기 입력 버튼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검사광을 조사 및 수광하는 복수개의 광센서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상기 광센서는 각각 검사광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검사광이 외부로부터 반사되어 입력되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검사광의 조사 및 수광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입력 버튼에 대한 물체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proximity detection sensing module
A plurality of optical sensors for irradiating and receiving inspection light in a direction crossing the input button along a virtual plane spaced forward by a reference distance from the exposed surface of the input button,
Each of the plurality of optical sensors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for irradiating inspection light and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reflected light input after the inspection light is reflected from the outside, and determines the object for the input button based on the irradiation and light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inspection light. A non-contact floor number input device for an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cting acces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버튼은 상하 방향으로 일렬 배치되며 하나의 열이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의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광센서는 하나의 열을 이루는 입력 버튼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씩 대응되도록 상기 입력 버튼의 상하 배치 간격과 동일하거나 또는 그보다 작은 간격으로 상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input buttons are arranged in a row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ranged so that one row is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form a plurality of rows,
The optical sensors are arranged up and down at interval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vertical arrangement intervals of the input buttons so that at least one corresponds to each of the input buttons constituting one column. Non-contact floor number input device for an elevato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카 제어부는
복수개의 상기 광센서의 검사광 조사 및 수광 정보를 연속적으로 인가받고, 복수개의 광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광센서의 수광 정보가 변화하면, 해당 광센서의 변화된 수광 정보를 기초로 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입력 버튼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car control unit
When inspection light irradiation and light-receiving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the optical sensors is continuously applied, and the light-receiving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optical sensors is changed, the position corresponding thereto is based on the changed light-receiving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optical sensor. Non-contact floor number input device for an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for the input button of.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카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 수광부의 검사광에 대한 수광 시간 변화를 판단하고, 수광 시간이 변화한 광센서의 상하 위치 및 해당 광센서의 수광 시간 변화량을 기초로 이에 대응되는 입력 버튼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car control unit
Determining the light-receiving time change of the inspection light of the optical sensor light-receiving unit, and generating an input signal for an input button corresponding thereto based on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optical sensor whose light-receiving time has changed and the amount of light-receiving time change of the corresponding optical sensor. Characterized by a non-contact floor number input device for an elevato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카 제어부는
상기 수광 정보가 변화된 광센서가 복수개인 경우, 해당 광센서들이 상하 연속 배치되는 광센서인지 판단하고, 상하 연속 배치되는 광센서라고 판단되면, 해당 광센서들에 대응되는 입력 버튼이 2개 이상인 경우, 해당 입력 버튼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접촉 층수 입력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car control unit
If there are a plurality of optical sensors for which the light-receiving information has been chang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rresponding optical sensors are vertically arranged optical sensors,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ptical sensors are vertically arranged, there are two or more input buttons corresponding to the optical sensors. , Non-contact floor number input device for an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does not generate an input signal for the corresponding input button.




KR1020210121802A 2021-09-13 2021-09-13 Non-Contact Type Floor Input Apparatus for Elevator KR2023003900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802A KR20230039000A (en) 2021-09-13 2021-09-13 Non-Contact Type Floor Input Apparatus for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802A KR20230039000A (en) 2021-09-13 2021-09-13 Non-Contact Type Floor Input Apparatus for Elev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000A true KR20230039000A (en) 2023-03-21

Family

ID=85801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802A KR20230039000A (en) 2021-09-13 2021-09-13 Non-Contact Type Floor Input Apparatus for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900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80370A1 (en) * 2020-06-30 2021-12-09 Nouveau National LLC Handsfree elevator control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791B1 (en) 2020-09-22 2021-03-22 주식회사 알엔디플러스 Non-touch type selection device for an elev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791B1 (en) 2020-09-22 2021-03-22 주식회사 알엔디플러스 Non-touch type selection device for an eleva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80370A1 (en) * 2020-06-30 2021-12-09 Nouveau National LLC Handsfree elevator control system
US11738970B2 (en) * 2020-06-30 2023-08-29 Upward Technology Llc Handsfree elevator control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05160B1 (en) Elevator operator interface
KR102136737B1 (en) Touchless button input apparatus
JP6897855B1 (en) elevator
JP3195888U (en) Elevator keypad touchless control device
JP2013124166A (en) Elevator
KR102229791B1 (en) Non-touch type selection device for an elevator
KR20230039000A (en) Non-Contact Type Floor Input Apparatus for Elevator
JP2022156181A (en) Operation button switch, operating device, elevator, and self-driving vehicle
KR200477281Y1 (en) Elevate button with a photo-diode switch
JP7044190B1 (en) elevator
KR20170007573A (en) Contactless Way Button Input Apparatus Using a Laser
JP2005263378A (en) Register button of elevator
JP2020067668A (en) Input system
KR20070090290A (en) Touch pad for portable terminal and metohd using it
JP7480067B2 (en) Controls and elevators
EP4009525B1 (en) Sensor button with gesture control
JP2022120597A (en) Elevator operating device and elevator equipped with the same
JP7173237B1 (en) elevator
KR20080014120A (en) Elevate button with a photo-diode and touch type switch
JP7244125B2 (en) Elevator buttons and their touch-free induction methods
KR20210156143A (en) Input apparatus of elevator using hand gesture
KR102418599B1 (en) A hologram elevator
US20220177267A1 (en) User input devices
CN211920512U (en) Elevator with no-infection key function
KR102545743B1 (en) Contactless button inpu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