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8937A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8937A
KR20230038937A KR1020210121639A KR20210121639A KR20230038937A KR 20230038937 A KR20230038937 A KR 20230038937A KR 1020210121639 A KR1020210121639 A KR 1020210121639A KR 20210121639 A KR20210121639 A KR 20210121639A KR 20230038937 A KR20230038937 A KR 20230038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driving uni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재
박우석
이명훈
김정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1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8937A/ko
Priority to PCT/KR2021/014925 priority patent/WO2023038191A1/ko
Publication of KR20230038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89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플렉서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후방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그리고, 길게 연장되어 일측이 상기 회전력에 의해 피봇 가능하게 상기 구동유닛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암(arm)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을 변경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OLED 패널은 투명전극이 형성된 기판에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있는 유기물층을 증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OLED 패널은 두께가 얇을 뿐만 아니라,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OLED 패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적 특성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의 곡률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플렉서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후방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그리고, 길게 연장되어 일측이 상기 회전력에 의해 피봇 가능하게 상기 구동유닛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암(arm)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의 곡률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13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유기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개시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OLED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이하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 1 장변(LS1)에 대향하는 제 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 1 장변(LS1) 및 제 2 장변(LS2)의 일단에 인접하는 제 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 1 단변(SS1)에 대향하는 제 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단변 영역(SS1)을 제 1 측면영역(First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단변 영역(SS2)을 제 1 측면영역에 대향하는 제 2 측면영역(Second side area)이라 하고, 제 1 장변 영역(LS1)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측면영역(Third side area)이라 하고, 제 2 장변 영역(LS2)을 제 1 측면영역 및 제 2 측면영역에 인접하고 제 1 측면영역과 제 2 측면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 3 측면영역에 대향하는 제 4 측면영역(Fourth side area)이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에 따라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 1, 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 1, 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이고,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일 수 있다.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은 제 1 방향(DR1) 및/또는 제 2 방향(DR2)에 수직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화상을 표시하는 쪽을 전방 또는 전면이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화상을 표기할 때, 화상을 관측할 수 없는 쪽을 후방 또는 후면이라 할 수 있다. 전방 또는 전면에서 디스플레이를 바라 볼 때, 제1 장변(LS1) 쪽을 상측 또는 상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2 장변(LS2) 쪽을 하측 또는 하면이라 할 수 있다. 동일하게, 제1 단변(SS1) 쪽을 좌측 또는 좌면이라 할 수 있고, 제2 단변(SS2)쪽을 우측 또는 우면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엣지(edge)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장변(LS1), 제2 장변(LS2), 제1 단변(SS1), 그리고 제2 단변(SS2)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코너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변(LS1)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1 코너(C1), 제1 장변(LS1)과 제2 단변(SS2)이 만나는 지점은 제2 코너(C2), 제2 단변(SS2)과 제2 장변(LS2)이 만나는 지점은 제3 코너(C3), 그리고 제2 장변(LS2)과 제1 단변(SS1)이 만나는 지점은 제4 코너(C4)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변(SS1)에서 제2 단변(S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단변(SS2)에서 제1 단변(SS1)을 향하는 방향은 좌우방향(LR)이라 할 수 있다. 제1 장변(LS1)에서 제2 장변(LS2)을 향하는 방향 또는 제2 장변(LS2)에서 제1 장변(LS1)을 향하는 방향은 상하방향(UD)이라 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플레이트(120)는 플렉서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120)는 금속판일 수 있다. 플레이트(120)는 플렉서블 플레이트(120) 또는 프레임(120) 또는 모듈커버(120)라 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플레이트(120)의 전방 또는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플렉서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OLED 패널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면에 제공되며 화상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화상을 복수개의 픽셀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제어신호에 따라 레드(Red), 그린(Green), 또는 블루(Blue)의 색에 해당하는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가변 곡률을 지닐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좌우측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방에서 화상을 보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오목하게 커브드 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12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동일한 곡률로 휘어질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플레이트(120)의 곡률에 대응되어 휘어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플레이트(12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플레이트(12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을 지지할 수 있다. 플레이트(12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13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또는 플레이트(1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13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또는 플레이트(120)의 후방을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130)은, 엣지부(131) 및 리브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엣지부(131)는 프레임(13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또는 플레이트(12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며 지지할 수 있다. 엣지부(131)는 프레임(130)의 둘레를 형성할 수 있다. 리브부(132)는 엣지부(132)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엣지부(132)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할 수 있다. 리브부(132)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피봇되는 방향과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리브부(132)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리브부(132)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또는 플레이트(120)의 후방을 지지할 수 있다.
박스(133)는 프레임(130)에 결합될 수 있다. 박스(133)의 내부에는 기판 등의 전기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암체결부(135)는 프레임(130)의 좌단과 우단에 결합될 수 있다. 암체결부(135)는 암(arm)(300)의 끝단과 결합될 수 있다. 암(300)은 암체결부(135)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또는 플레이트(120)의 후방을 지지할 수 있다.
구동유닛(200)은 프레임(130) 및/또는 플레이트(120)에 결합될 수 있다. 구동유닛(200)은 암(30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유닛(200)은 박스(133) 내부의 전기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다.
암(300)은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암(300)은, 일측이 구동유닛(200)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또는 플레이트(120)의 후방을 지지할 수 있다. 암(300)은 구동유닛(200)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단부까지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암(300)은 구동유닛(200)을 축으로 하여, 구동유닛(200)에 의해 전후로 피봇될 수 있다. 암(300)의 단부는 암체결부(135)와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할 수 있다.
암(300)은 좌우로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암(300)은 제1 암(300a)과 제2 암(30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암(300a)의 일측은 구동유닛(200)과 연결되고, 타측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좌단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암(300b)의 일측은 구동유닛(200)과 연결되고, 타측은 디스플레이패널(120)의 우단을 지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구동유닛(200)은 모터(21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210)는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모터(210)는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모터기어(211)는 모터(210)의 회전축에 연결될 수 있다. 모터기어(211)는 모터(21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될 수 있다.
구동유닛(200)은 케이스(22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20)는 모터(210)의 상측에 배치되어, 내측에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기어(231) 및 모더기어(211)는 케이스(2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220)는, 하부케이스(221), 상부케이스(222) 및 측부케이스(2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케이스(222)는 하부케이스(221)의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측부케이스(223)는 케이스(220)의 좌측에 배치된 제1 측부케이스(223a)와, 케이스(220)의 우측에 배치된 제2 측부케이스(22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부케이스(223a)의 하단은 하부케이스(221)의 좌측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측부케이스(223a)의 상단은 상부케이스(222)의 좌측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측부케이스(223b)의 하단은 하부케이스(221)의 우측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측부케이스(223b)의 상단은 상부케이스(222)의 우측단에 결합될 수 있다.
구동유닛(200)은 기어(231)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231)는 모터(2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기어(231)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기어(231) 중 어느 하나는 모터기어(211)와 맞물려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어(231)는 제1 기어(231a)와 제2 기어(23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어(231a)와 제2 기어(231b)는 서로 맞물려 회전될 수 있다. 제2 기어(231b)는 모터기어(211)와 맞물려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210)가 회전하면, 제1 기어(231a)와 제2 기어(231b)는 회전할 수 있다. 제1 기어(231a)와 제2 기어(231b)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기어(231a, 231b)의 회전축(232a, 232b)은 상부케이스(222) 및 하부케이스(221)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암(300)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암(300a)은 제1 기어(231a)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암(300b)은 제2 기어(231b)와 결합될 수 있다. 모터(210)가 일측으로 회전하면, 제1 암(300a)과 제2 암(300b)이 전방으로 피봇될 수 있다. 모터(210)가 타측으로 회전하면, 제1 암(300a)과 제2 암(300b)이 후방으로 피봇될 수 있다.
암홀(224)은 측부케이스(223)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암홀(224)은 제1 측부케이스(223a)와 제2 측부케이스(223b)가 각각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암(300)의 일단은 케이스(22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암(300)의 연장부(312)는 암(300)의 일단과 타단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연장부(312)는 암홀(224)에 배치될 수 있다. 암(300)은 암홀(224)을 관통하여 케이스(22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고, 암(300)의 타단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할 수 있다.
암(300)이 피봇되면, 연장부(312)는 암홀(224)에서 이동될 수 있다. 암(300)이 전방으로 피봇되면, 연장부(312)는 암홀(224)에서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암(300)이 후방으로 피봇되면, 연장부(312)는 암홀(224)에서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스토퍼(225)는 암홀(224)의 주변 또는 암홀(224)의 후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암(300a)이 후방으로 피봇될 때, 연장부(312)는 스토퍼(225)에 걸려서, 더 이상 후방으로 피봇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제2 암(300b)이 후방으로 피봇될 때, 연장부(312)는 스토퍼(225)에 걸려서, 더 이상의 후방으로 피봇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암(300)의 끝단(3241)은, 암체결부(135)에 결합될 수 있다. 암체결부(135)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슬라이드공간(136)은 암체결부(135)가 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암체결부는 가이드슬롯(137)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슬롯(137)은 슬라이드공간(136)과 연통될 수 있다. 가이드슬롯(137)은 슬라이드공간(136)의 상측 및 하측에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암(300)의 끝단(3241)은 슬라이드공간(136)에 배치될 수 있다. 암(300)이 피봇되면, 암(300)의 끝단(3241)은 슬라이드공간(136)에서 이동할 수 있다. 암체결부(135)는 암(300)의 끝단(3241)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핀홀(325)은 암(300)의 끝단(3241)에 형성될 수 있다. 핀(327)은 상하로 길게 연장된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핀(327)은 핀홀(325)을 상하로 관통하여, 암(300)의 끝단(3241)으로부터 상하로 돌출될 수 있다. 암(300)의 끝단(3241)으로부터 상하로 돌출된 핀(327)은, 가이드슬롯(137)에 삽입되어, 암(300)과 암체결부(135)를 결합시킬 수 있다. 핀(327)은 가이드슬롯(137)을 따라 이동하여, 암(300)의 끝단(3241)을 이동시㎍ 수 있다. 가이드슬롯(137)은 암(30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암(300)의 끝단(3241)은 상하로 돌출되는 돌출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암(300)의 끝단(3241)으로부터 상하로 돌출된 돌출부(미도시)는, 가이드슬롯(137)에 삽입되어, 암(300)과 암체결부(135)를 결합시킬 수 있다. 돌출부(미도시)는, 가이드슬롯(137)을 따라 이동하여, 암(300)의 끝단(3241)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암(300)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이동하는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암(300)의 높이는, 암(300)의 상하방향(UD) 길이로 정의될 수 있다. 암(300)의 폭은, 상하방향(UD)에 수직한 방향에서 정의될 수 있다. 암(300)의 폭은, 암(300)이 피봇되는 방향(PD)에서 정의될 수 있다. 암(300)의 폭이 형성되는 방향은 폭방향이라 명명할 수 있다. 암(300)의 피봇축은, 상하방향(UD)에 나란할 수 있다.
암(300)은 T바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암(300)의 단면에서, 윙부(323, 324)는 상하방향(UD)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암(300)의 단면에서, 보강부(313, 314)는, 윙부(323, 324)로부터 상하방향(UD)에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될 수 있다.
암(300)은 헤드부(311)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결합홀(311a)은 헤드부(311)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홀(311a)은 헤드부(311)의 중심 또는 중심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기어축(232a, 232b, 도 4 참조)은 제1 결합홀(311a)을 통과하여 헤드부(311)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홀(311a)의 중심은 암(300)의 피봇 중심이 될 수 있다.
제2 결합홀(311b)은 헤드부(311)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홀(311b)은 제1 결합홀(311a)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홀(311b)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결합부재(미도시)는 제2 결합홀(311b)을 통과하여, 기어(231a, 231b) 및 헤드부(311)를 결합 또는 체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부재(미도시)는, 스크류일 수 있다.
암(300)은 연장부(312)를 구비할 수 있다. 연장부(312)는 헤드부(311)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312)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연장부(312)는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장부(312)의 폭(w0)은, 연장부(312)의 높이(h12)보다 클 수 있다.
암(300)은, 제1 벤딩부(303)를 구비할 수 있다. 암(300)은 제2 벤딩부(30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벤딩부(303)는 헤드부(311) 또는 연장부(312)로부터 후방으로 벤딩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2 벤딩부(304)는 제1 벤딩부(303)로부터 전방으로 벤딩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1 벤딩부(303)는 제1 보강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벤딩부(303)는 제1 윙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강부(313)는 제1 윙부(323)와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강부(313)는 제1 윙부(323)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보강부(313)는 제1 윙부(323)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보강부(313)는 제1 윙부(323)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제1 보강부(313)는 제1 암프레임(313)이라 명명될 수 있다. 제1 윙부(323)는 제1 암윙(323)이라 명명될 수 있다.
제2 벤딩부(304)는 제2 보강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벤딩부(304)는 제2 윙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강부(314)는 제2 윙부(324)와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보강부(314)는 제2 윙부(324)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보강부(314)는 제2 윙부(324)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보강부(314)는 제2 윙부(324)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제2 보강부(314)는 제2 암프레임(314)이라 명명될 수 있다. 제2 윙부(324)는 제2 암윙(324)이라 명명될 수 있다.
제1 보강부(313)는 연장부(312) 또는 헤드부(311)로부터 후방으로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강부(313)는 연장부(312)에 대하여 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제1 보강부(313)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보강부(313)의 길이방향은, 연장부(312)의 길이방향에 교차될 수 있다. 제1 보강부(313)는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보강부(313)는 연장부(312)와 제2 보강부(314)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보강부(313)는 연장부(312)와 제2 보강부(314)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보강부(313)의 일단은 연장부(312)와 연결되고, 벤딩부(313)의 타단은 제2 보강부(314)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보강부(313)의 폭(w1)은, 제1 보강부(313)의 높이(h13)보다 클 수 있다. 제1 보강부(313)의 폭(w1)은 연장부(312)의 폭(w0)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제1 보강부(313)의 높이(h13)와 연장부(312)의 높이(h12)는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제1 보강부(313)가 연장된 길이(l1)는 연장부(312)가 연장된 길이(l0)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제2 보강부(314)는 제1 보강부(313)로부터 전방으로 벤딩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2 보강부(314)는 연장부(312)에 대하여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제2 보강부(314)가 연장되는 방향은, 연장부(312)의 길이방향에 교차될 수 있다. 제2 보강부(314)는 제1 보강부(313)에 대하여 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제2 보강부(314)가 연장되는 방향은, 제1 보강부(313)의 길이방향에 교차될 수 있다. 제2 보강부(314)가 연장된 길이(l2)는, 제1 보강부(313)가 연장된 길이(l1)보다 길 수 있다.
제2 보강부(314)의 폭(w2)과 높이(h14)는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제1 보강부(313)의 폭(w1)은, 제2 보강부(314)의 폭(w2)보다 클 수 있다. 연장부(312)의 폭(w0)은, 제2 보강부(314)의 폭(w2)보다 클 수 있다. 제2 보강부(314)가 연장된 길이(l2)는, 제1 보강부(313)가 연장된 길이(l1)보다 길 수 있다. 제2 보강부(314)가 연장된 길이(l2)는 연장부(312)가 연장된 길이(l0)보다 길 수 있다.
제2 보강부(314)는 커브드(curved)될 수 있다. 제2 보강부(314)는, 암(300)의 전방에 곡률 중심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보강부(314)는, 연장부(31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제1 보강부(313)의 끝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커브드되며 연장될 수 있다. 제2 보강부(314)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윙부(323)는, 제1 보강부(313)와 결합되거나, 제1 보강부(31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윙부(323)는 제1 보강부(313)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보강부(313)는 제1 윙부(323)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보강부(313)는 제1 윙부(323)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강부(313)는 제1 윙부(323)와 교차될 수 있다. 제1 보강부(313)는, 제1 윙부(323)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제1 윙부(323)는 제1 보강부(313)가 연장된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윙부(323)는 연장부(312)가 연장된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윙부(323)는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보강부(313)의 폭(w1)은 제1 윙부(323)의 두께 또는 폭보다 클 수 있다. 제1 윙부(323)는 상하방향(UD)으로 연장되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윙부(323)의 높이(h21)는 제1 보강부(313)의 높이(h13)보다 클 수 있다.
제2 윙부(324)는 제1 윙부(323)로부터 제2 보강부(314)를 따라 전방으로 벤딩되어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윙부(323)는, 제2 보강부(314)와 결합되거나, 제2 보강부(31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암(300)의 끝단(3241)은, 제2 윙부(324)의 끝단일 수 있다.
제2 윙부(324)는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보강부(314)의 폭(w2)은 제2 윙부(324)의 두께 또는 폭보다 클 수 있다. 제2 윙부(324)의 두께는, 제1 윙부(323)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제2 윙부(324)는 상하방향(UD)으로 연장되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윙부(324)의 높이(h22)는 제1 윙부(323)의 높이(h21)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제2 윙부(324)의 높이(h22)는 제2 보강부(314)의 높이(h14)보다 클 수 있다.
제2 윙부(324)는 제2 보강부(314)와 동일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제2 윙부(324)는 암(300)의 전방에 곡률 중심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윙부(324)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윙부(324)는 제1 윙부(323)의 끝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커브드되며 연장될 수 있다.
암(300)의 일단에 인접한 암(300)의 피봇 중심으로부터, 암(300)의 타단까지 길게 연장된 가상의 선(VL)이 정의될 수 있다. 연장부(312)는 가상의 선(VL)에 나란하지 않을 수 있다. 연장부(312)는 가상의 선(VL)의 후방으로 기울어져 연장될 수 있다. 제1 벤딩부(303)는 가상의 선(VL)의 후방으로 기울어져 연장될 수 있다. 제1 벤딩부(303)는 가상의 선(VL)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벤딩부(303)와 제2 벤딩부(304)의 사이의 연결부위는, 가상의 선(VL)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보강부(314)는, 가상의 선(VL)의 후방으로부터 암(300)의 타단까지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암(300)이 피봇됨에 따라 암(300)에 작용되는 응력에 대하여, 암(300)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또한, 암(300)이 피봇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전방으로 벤딩시킬 때, 응력이 집중되는 부위에서, 암(300)의 변형이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암(300)이 후방으로 벤딩되는 부분과, 전방으로 커브드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바, 암(300)이 피봇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전방으로 벤딩시킬 때, 암(300)이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플레이트(120)에 접촉되거나 걸리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암(300)에 의해 벤딩될 수 있는 범위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구동장치(200, 도 4 참조)의 크기가 보다 컴팩트 해질 수 있다.
핀홀(325)은 제2 윙부(324)의 끝단 부근에 형성될 수 있다. 핀홀(325)은 제2 윙부(324)의 끝단 부근이 상하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재(미도시)는 핀홀(325)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재(미도시)는, 상하로 길게 연장된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합부재(미도시)는, 핀홀(325)을 관통하여, 핀홀(325)으로부터 상하로 돌출될 수 있다. 핀홀(325)으로부터 돌출된 결합부재(미도시)의 일단과 타단은 각각 상하로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슬롯(137 , 도 6 참조) 각각에 삽입될 수 있다. 결합부재(미도시)는 암(300)과 가이드슬롯(137)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암(300)은 T바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암(300)이 벤딩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밀거나 당길 때, 암(300)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구동유닛(200)이 작동되면, 암(300)은 전후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다. 구동유닛(200)이 구동되기 전,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벤딩되지 않고, 펴진 상태일 수 있다. 구동유닛(200)이 구동되면, 암(300)이 피봇되어 디스플레이패널(110)을 벤딩시㎍ 수 있다.
암(300)이 전방으로 피봇되면, 암(300)의 끝단(3241)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전방으로 밀 수 있다. 암(300)이 전방으로 피봇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전방으로 벤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전방에 곡률 중심을 형성하도록 벤딩될 수 있다.
암(300)이 후방으로 피봇되면, 암(300)의 끝단(3241)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후방으로 당길 수 있다. 암(300)이 후방으로 피봇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곡률을 형성하지 않고 펴질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암(300)이 전방으로 피봇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벤딩되어, 암체결부(135)와 암(300)의 끝단(3241)은 서로 멀어질 수 있다. 암(300)의 끝단(3241)은 슬라이드공간(136)에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슬롯(137, 도 6 참조)은, 암(300)의 끝단(3241)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벤딩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또는 플레이트(120)는, 가상의 선(VL)과 중첩되는 부분이 발생될 수 있다. 제1 벤딩부(303)는, 가상의 선(VL)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벤딩부(304)는 가상의 선(VL)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벤딩부(303)와 제2 벤딩부(304)의 사이의 연결부위는, 가상의 선(VL)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암(300)이 피봇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벤딩시킬 때, 암(300)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이나, 플레이트(120)에 걸리지 않을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벤딩되는 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1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10);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결합되는 플렉서블 플레이트(120); 상기 플레이트(120)의 후방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200); 그리고, 길게 연장되어 일측이 상기 회전력에 의해 피봇 가능하게 상기 구동유닛(20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하는 암(arm)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암(300)은, 상기 암(300)의 피봇축에 인접하며, 후방으로 연장된 제1 벤딩부(303); 및 상기 제1 벤딩부(303)로부터 전방으로 벤딩되어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하는 제2 벤딩부(3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벤딩부(304)는, 전방으로 곡률 중심을 형성하도록 커브드될 수 있다.
상기 암(300)의 피봇축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하는 상기 암(300)의 끝단을 이은 가상의 선(VL)을 정의하면, 상기 제1 벤딩부(303)와 상기 제2 벤딩부(304)의 사이의 연결부위는, 상기 가상의 선(VL)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벤딩부(303)는, 상기 피봇축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정의되는 폭(w1)이, 상기 피봇축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정의되는 높이(h13)보다 더 큰 제1 암프레임(3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벤딩부(304)는, 제2 암프레임(314)를 포함하고, 상기 피봇축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정의되는 상기 제1 암프레임(313)의 폭(w1)은, 상기 제2 암프레임(313)의 폭(w2)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제2 벤딩부(304)가 연장된 길이(l2)는, 상기 제1 벤딩부(303)가 연장된 길이(l1)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암(300)은, 상기 암(300)의 피봇축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된 연장부(31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벤딩부(303)는, 상기 연장부(312)로부터 후방으로 벤딩되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암(300)은, T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지지하고, 상기 암(300)의 타측과 결합되어 상기 암의 타측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슬롯(13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암(300)이 전방으로 피봇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벤딩되면, 상기 암(300)의 타측은, 상기 가이드슬롯(135)의 일측에서 타측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암(300)은, 일측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구동유닛(200)과 연결되는 제1 암(300a); 및 일측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구동유닛(200)과 연결되는 제2 암(30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200)은, 상기 제1 암(300a)과 연결되는 제1 기어(231a); 상기 제1 기어(231a)와 맞물리고, 상기 제2 암(300b)과 연결되는 제2 기어(231b); 및 상기 제1 기어(231a) 및 상기 제2 기어(231b)를 회전시키는 모터(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200)은,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암(300)의 일단이 배치되는 케이스(220); 상기 암(300)이 피봇되어 이동하는 영역을 따라 상기 케이스(200)의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되며, 상기 암(300)이 관통하는 암홀(224); 및 상기 암홀(224) 주변에 형성되며, 상기 암(300)과 접촉되어 상기 암(300)이 더 이상 피봇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225)를 포함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3)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플렉서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후방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그리고,
    길게 연장되어 일측이 상기 회전력에 의해 피봇 가능하게 상기 구동유닛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암(arm)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상기 암의 피봇축에 인접하며, 후방으로 연장된 제1 벤딩부; 및
    상기 제1 벤딩부로부터 전방으로 벤딩되어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제2 벤딩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2 항에 있어서,
    제2 벤딩부는,
    전방으로 곡률 중심을 형성하도록 커브드(curved)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의 피봇축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상기 암의 끝단을 이은 가상의 선(VL)을 정의하면,
    상기 제1 벤딩부와 상기 제2 벤딩부의 사이의 연결부위는,
    상기 가상의 선(VL)의 후방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벤딩부는,
    상기 피봇축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정의되는 폭(w1)이, 상기 피봇축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정의되는 높이(h13)보다 더 큰 제1 암프레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벤딩부는,
    제2 암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피봇축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정의되는 상기 제1 암프레임의 폭(w1)은, 상기 제2 암프레임의 폭(w2)보다 더 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벤딩부가 연장된 길이(l2)는,
    상기 제1 벤딩부가 연장된 길이(l1)보다 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상기 암의 피봇축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벤딩부는,
    상기 연장부로부터 후방으로 벤딩되어 연장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T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고, 상기 암의 타측과 결합되어 상기 암의 타측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슬롯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암이 전방으로 피봇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벤딩되면, 상기 암의 타측은, 상기 가이드슬롯의 일측에서 타측을 따라 이동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일측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구동유닛과 연결되는 제1 암; 및
    일측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구동유닛과 연결되는 제2 암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제1 암과 연결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제2 암과 연결되는 제2 기어; 및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 상기 암의 일단이 배치되는 케이스;
    상기 암이 피봇되어 이동하는 영역을 따라 상기 케이스의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되며, 상기 암이 관통하는 암홀; 및
    상기 암홀 주변에 형성되며, 상기 암과 접촉되어 상기 암이 더 이상 피봇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10121639A 2021-09-13 2021-09-1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03893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639A KR20230038937A (ko) 2021-09-13 2021-09-1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CT/KR2021/014925 WO2023038191A1 (ko) 2021-09-13 2021-10-22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639A KR20230038937A (ko) 2021-09-13 2021-09-1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937A true KR20230038937A (ko) 2023-03-21

Family

ID=85507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639A KR20230038937A (ko) 2021-09-13 2021-09-1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38937A (ko)
WO (1) WO202303819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206B1 (ko) * 2012-02-13 2015-03-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연한 표시장치
KR102265333B1 (ko) * 2013-11-28 2021-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93921B1 (ko) * 2014-04-23 2020-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KR101720178B1 (ko) * 2016-05-27 201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325805B1 (ko) * 2017-06-30 2021-11-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38191A1 (ko)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0240B2 (en) Display device
US20170200912A1 (en) Display device
KR102650102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54503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9690129B1 (en) Display device
KR102560611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4504945B2 (ja) 携帯用表示装置
US11889646B2 (en) Display device
KR2023003893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230030896A1 (en) Display device
AU2022202792B2 (en) Display Device
US20230240026A1 (en) Display device
KR20230109423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240147813A1 (en) Display device
KR102638186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65071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115141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9245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20803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4152742A1 (en) Display device
US20240184326A1 (en) Display device
US20230422415A1 (en) Display device
KR20230167884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4286983A1 (en) Display device
EP4287172A1 (en) Display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