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8045A - 비대칭 면적을 가지는 이중 프로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상태 변수 특정 방법, 비대칭 면적을 가지는 이중 프로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상태 변수 특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비대칭 면적을 가지는 이중 프로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상태 변수 특정 방법, 비대칭 면적을 가지는 이중 프로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상태 변수 특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발생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38045A KR20230038045A KR1020210121297A KR20210121297A KR20230038045A KR 20230038045 A KR20230038045 A KR 20230038045A KR 1020210121297 A KR1020210121297 A KR 1020210121297A KR 20210121297 A KR20210121297 A KR 20210121297A KR 20230038045 A KR20230038045 A KR 202300380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be
- plasma
- area
- current
- state variab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0092—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measuring current onl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917—Plasma diagnostic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917—Plasma diagnostics
- H01J37/32935—Monitoring and controlling tubes by information coming from the object and/or discharg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917—Plasma diagnostics
- H01J37/32935—Monitoring and controlling tubes by information coming from the object and/or discharge
- H01J37/32954—Electron temperature measurement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0006—Investigating plasma, e.g. measuring the degree of ionisation or the electron temperature
- H05H1/0081—Investigating plasma, e.g. measuring the degree of ionisation or the electron temperature by electric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7/00—Discharge tubes exposing object to beam, e.g. for analysis treatment, etching, imaging
- H01J2237/245—Detection characterised by the variable being measured
- H01J2237/24564—Measurements of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e.g. voltage, current, frequenc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7/00—Discharge tubes exposing object to beam, e.g. for analysis treatment, etching, imaging
- H01J2237/32—Processing objects by plasma generation
- H01J2237/33—Processing objects by plasma gener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cessing
- H01J2237/332—Coating
- H01J2237/3321—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7/00—Discharge tubes exposing object to beam, e.g. for analysis treatment, etching, imaging
- H01J2237/32—Processing objects by plasma generation
- H01J2237/33—Processing objects by plasma gener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cessing
- H01J2237/334—Etch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lasma Technology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발생 장치의 일부 구성 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발생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프로브 및 제2프로브가 가질 수 있는 다양한 형상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프로브와 제2프로브의 면적이 동일한 경우, 제1프로브의 면적이 제2프로브의 면적보다 2배인경우와 3배인 경우에, 각각 전원의 크기 변화에 따라 측정된 전자 온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해당하는 비대칭 면적을 가지는 이중 프로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상태 변수 측정 장치의 일부 구성 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비대칭 면적을 가지는 이중 프로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상태 변수 측정 장치가 유선 형태로 플라즈마 발생 장치와 결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대칭 면적을 가지는 이중 프로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상태 변수 측정 장치가 무선 형태로 플라즈마 발생 장치와 결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20: 제2프로브
30: 전원 모듈
40: 전압 인가부
50: 전류 측정부
60: 플라즈마 분석부
70: 임피던스 매칭부
80: 챔버
90: 제어부
100: 플라즈마 발생 장치
200: 플라즈마 상태 변수 측정 장치
Claims (15)
- 제1프로브 및 제2프로브;
상기 제1프로브 및 상기 제2프로브에 미리 설정된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인가부;
상기 제1프로브 및 상기 제2프로브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
상기 전류 측정부가 측정한 결과에 기초하여 챔버 내부의 플라즈마의 전자 온도 및 밀도를 계산하는 플라즈마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프로브의 면적과 상기 제2프로브의 면적은 서로 다른 크기의 면적을 가지는,
비대칭 면적을 가지는 이중 프로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상태 변수 측정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브와 상기 제2프로브의 형상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제1프로브의 면적은 상기 제2프로브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비대칭 면적을 가지는 이중 프로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상태 변수 측정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브와 상기 제2프로브의 형상은,
직육면체 형태의 프로브 또는 원통 형태의 프로브 형상을 가지는,
비대칭 면적을 가지는 이중 프로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상태 변수 측정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브와 상기 제2프로브의 가로 길이는 동일하나, 상기 제1프로의 세로 길이는 상기 제2프로브의 세로 길이보다 더 큰 길이를 가지는,
비대칭 면적을 가지는 이중 프로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상태 변수 측정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브의 면적은 상기 제2프로브의 면적보다 2배 내지 5배의 면적을 가지는,
비대칭 면적을 가지는 이중 프로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상태 변수 측정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브와 상기 제2프로브는 상기 전압 인가부의 양 단에 각각 연결되는,
비대칭 면적을 가지는 이중 프로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상태 변수 측정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인가부는,
상기 제1프로브 및 상기 제2프로브에 정현파 전압을 인가하는,
비대칭 면적을 가지는 이중 프로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상태 변수 측정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분석부는,
측정된 상기 전류의 값과 상기 제1프로브를 기준으로 한 상기 제2프로브에 대한 면적비 정보, 상기 제1프로브의 면적 정보, 상기 전류의 밀도 정보 및 상기 전압의 크기 정보들과의 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플라즈마의 전자 온도 및 밀도를 계산하는,
비대칭 면적을 가지는 이중 프로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상태 변수 측정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분석부는,
측정된 상기 전류를 기본 주파수 전류 및 상기 기본 주파수 전류의 주파수의 정수 배 주파수를 가지는 고조파 주파수 전류들의 합으로 분류한 후, 상기 기본 주파수 전류와 상기 고조파 주파수 전류의 상대적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플라즈마의 전자 온도 및 밀도를 계산하는,
비대칭 면적을 가지는 이중 프로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상태 변수 측정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분석부는,
상기 기본 주파수 전류와 제2고조파 주파수 전류의 비를 이용하여 상기 플라즈마의 전자 온도 및 밀도를 계산하는,
비대칭 면적을 가지는 이중 프로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상태 변수 측정 장치. - 플라즈마가 발생되는 챔버;
상기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프로브;
상기 복수 개의 프로브에 미리 설정된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인가부;
상기 복수 개의 프로브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
상기 전류 측정부가 측정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챔버 내부의 플라즈마의 전자 온도 및 밀도를 계산하는 플라즈마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프로브는 각각 서로 다른 크기의 면적을 가지는,
비대칭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발생 장치. - 챔버 내부에 배치되며, 각각 서로 다른 면적으로 가지고 있는 제1프로브 및 제2프로브에 미리 설정된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인가 단계;
상기 제1프로브 및 상기 제2프로브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 단계; 및
상기 전류 측정 단계에서 측정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챔버 내부의 플라즈마의 전자 온도 및 밀도를 계산하는 플라즈마 분석 단계;를 포함하는
비대칭 면적을 가지는 이중 프로브를 이용한 플라즈마 상태 변수 측정 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브와 상기 제2프로브는,
동일한 형상은 가지면서, 상기 제1프로브의 면적은 상기 제2프로브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비대칭 면적을 가지는 이중 프로브를 이용한 플라즈마 상태 변수 측정 방법.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분석 단계는,
측정된 상기 전류의 값과 상기 제1프로브를 기준으로 한 상기 제2프로브에 대한 면적비 정보, 상기 제1프로브의 면적 정보, 상기 전류의 밀도 정보 및 상기 전압의 크기 정보들과의 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플라즈마의 전자 온도 및 밀도를 계산하는,
비대칭 면적을 가지는 이중 프로브를 이용한 플라즈마 상태 변수 측정 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분석 단계는,
측정된 상기 전류를 기본 주파수 전류 및 상기 기본 주파수 전류의 주파수의 정수 배 주파수를 가지는 고조파 주파수 전류들의 합으로 분류한 후, 상기 기본 주파수 전류와 상기 고조파 주파수 전류의 상대적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플라즈마의 전자 온도 및 밀도를 계산하는,
비대칭 면적을 가지는 이중 프로브를 이용한 플라즈마 상태 변수 측정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1297A KR102610883B1 (ko) | 2021-09-10 | 2021-09-10 | 비대칭 면적을 가지는 이중 프로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상태 변수 특정 방법, 비대칭 면적을 가지는 이중 프로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상태 변수 특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발생 장치 |
PCT/KR2022/013550 WO2023038468A1 (ko) | 2021-09-10 | 2022-09-08 | 비대칭 면적을 가지는 이중 프로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상태 변수 특정 방법, 비대칭 면적을 가지는 이중 프로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상태 변수 특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발생 장치 |
US18/690,811 US20240395516A1 (en) | 2021-09-10 | 2022-09-08 | Plasma state variable specifying method including a double probe having an asymmetric area, a plasma state variable specifying apparatus including a double probe having an asymmetric area, and a plasma gener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1297A KR102610883B1 (ko) | 2021-09-10 | 2021-09-10 | 비대칭 면적을 가지는 이중 프로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상태 변수 특정 방법, 비대칭 면적을 가지는 이중 프로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상태 변수 특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발생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8045A true KR20230038045A (ko) | 2023-03-17 |
KR102610883B1 KR102610883B1 (ko) | 2023-12-06 |
Family
ID=85506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21297A Active KR102610883B1 (ko) | 2021-09-10 | 2021-09-10 | 비대칭 면적을 가지는 이중 프로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상태 변수 특정 방법, 비대칭 면적을 가지는 이중 프로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상태 변수 특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발생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395516A1 (ko) |
KR (1) | KR102610883B1 (ko) |
WO (1) | WO202303846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42738B1 (ko) * | 2023-02-24 | 2024-12-16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플라즈마 상태 변수 측정 방법과 장치 |
CN117062290A (zh) * | 2023-08-15 | 2023-11-14 | 北京理工大学 | 一种用于电推力器羽流等离子体电位诊断的探针系统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7377B1 (ko) * | 2010-11-09 | 2012-08-27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보조 이중 프로브가 구비된 플라즈마 진단장치 |
KR101459518B1 (ko) * | 2013-08-08 | 2014-11-10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플라즈마 처리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변수 측정 방법 |
CN111432542A (zh) * | 2020-03-02 | 2020-07-17 | 辽宁工业大学 | 一种焊接电弧内部放电状态的双探针检测装置及检测方法 |
US20200365371A1 (en) * | 2019-05-13 | 2020-11-19 | Tokyo Electron Limited | Electric field sensor, surface wave plasma source, and surface wave plasma processing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9606B1 (ko) * | 2020-02-17 | 2020-03-16 | 이도형 | 반도체 제조를 위한 플라즈마 공정용 플라즈마 표면처리장치 |
-
2021
- 2021-09-10 KR KR1020210121297A patent/KR102610883B1/ko active Active
-
2022
- 2022-09-08 US US18/690,811 patent/US20240395516A1/en active Pending
- 2022-09-08 WO PCT/KR2022/013550 patent/WO2023038468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7377B1 (ko) * | 2010-11-09 | 2012-08-27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보조 이중 프로브가 구비된 플라즈마 진단장치 |
KR101459518B1 (ko) * | 2013-08-08 | 2014-11-10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플라즈마 처리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플라즈마 변수 측정 방법 |
US20200365371A1 (en) * | 2019-05-13 | 2020-11-19 | Tokyo Electron Limited | Electric field sensor, surface wave plasma source, and surface wave plasma processing apparatus |
CN111432542A (zh) * | 2020-03-02 | 2020-07-17 | 辽宁工业大学 | 一种焊接电弧内部放电状态的双探针检测装置及检测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10883B1 (ko) | 2023-12-06 |
WO2023038468A1 (ko) | 2023-03-16 |
US20240395516A1 (en) | 2024-11-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15985B2 (en) | Probe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an excitation current of a plasma, and associated plasma reactor | |
CN104517794B (zh) | 射频返回路径的阻抗的控制 | |
Schüngel et al. | The electrical asymmetry effect in geometrically asymmetric capacitive radio frequency plasmas | |
EP2122657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ion energy in radio frequency plasmas | |
US20070181254A1 (en) | Plasma processing apparatus with resonance countermeasure function | |
US9812293B2 (en) | Dielectric window, plasma processing system including the window, and 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ystem | |
US20240395516A1 (en) | Plasma state variable specifying method including a double probe having an asymmetric area, a plasma state variable specifying apparatus including a double probe having an asymmetric area, and a plasma gener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Brown | High-frequency gas-discharge breakdown | |
CN104125697A (zh) | 等离子体产生装置、其控制方法及包括它的基板处理装置 | |
Kwon et al. | A self-consistent global model of solenoidal-type inductively coupled plasma discharges including the effects of radio-frequency bias power | |
US20160091534A1 (en) | Current sensor | |
Liu et al. | Electromagnetic effects in high-frequency large-area capacitive discharges: A review | |
US8190366B2 (en) | LC resonance probe for determining local plasma density | |
KR20040096046A (ko) | 대면적처리용 내장형 선형안테나를 구비하는 유도결합플라즈마 처리장치 | |
Sobolewski | Experimental test of models of high-plasma-density, radio-frequency sheaths | |
KR102742738B1 (ko) | 플라즈마 상태 변수 측정 방법과 장치 | |
Piskin et al. | E–H transitions in Ar/O2 and Ar/Cl2 inductively coupled plasmas: Antenna geometry and operating conditions | |
Lim et al. | Harmonic suppression and uniformity improvement of plasma density in capacitively coupled plasma | |
Binwal et al. | Transverse magnetic field effects on spatial electron temperature distribution in a 13.56 MHz parallel plate capacitive discharge | |
Oh et al. | Double probe diagnostics based on harmonic current detection for electron temperature and electropositive ion flux measurement in RF plasmas | |
Qayyum et al. | Triple probe measurements in transient plasma of pulsed capacitive discharge | |
CN119584406A (zh) | 磁化电容耦合等离子体放电系统及其计算模型和计算方法 | |
Hopkins et al. | Assessment of plasma impedance probe for measuring electron density and collision frequency in a plasma with spatial and temporal gradients | |
Eremin | Modeling of resonant surface wave excitation in a large CCP reactor | |
Zhao et al. | Fast simulation of the E–H mode transition in Ar/O2 inductively coupled plasma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