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7891A - Online education kit for the visually impaired - Google Patents

Online education kit for the visually impair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7891A
KR20230037891A KR1020210121003A KR20210121003A KR20230037891A KR 20230037891 A KR20230037891 A KR 20230037891A KR 1020210121003 A KR1020210121003 A KR 1020210121003A KR 20210121003 A KR20210121003 A KR 20210121003A KR 20230037891 A KR20230037891 A KR 20230037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ually impaired
braille
controller
kit
out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0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40838B9 (en
KR102540838B1 (en
Inventor
장하영
주선영
장나영
정광태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21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838B1/en
Publication of KR20230037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78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838B1/en
Publication of KR102540838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838B9/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7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both tactile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An online education kit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troller which is connected to a computer, and allows a user to access individual content of an online lecture through operation; and a braille information output device which is connected to the computer, to open the data provided by the content and output the data in Braille and voice.

Description

시각장애인의 온라인 교육을 위한 키트{ONLINE EDUCATION KIT FOR THE VISUALLY IMPAIRED}Online education kit for the visually impaired {ONLINE EDUCATION KIT FOR THE VISUALLY IMPAIRED}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의 온라인 교육을 위한 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t for online educ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2017년 기준 시각장애인 정보통신기기 사용 현황을 살펴보면 시각장애인의 56%는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으며, 39%는 인터넷을 큰 무리없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애플리케이션 시장에서 그들을 위한 서비스는 극소수이다.As of 2017, 56% of the visually impaired use smartphones, and 39% use the Internet without much difficulty. However, there are very few services for them in the application market.

2017년 국가인권위원회 유형별 차별 영역 접수 현황을 살펴보면 시각장애인의 정보접근, 의사소통이 전체의 10%로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높아짐에 따라 이를 통해 얻고자 하는 욕구가 높아지는 반면, 시각장애인을 위한 서비스가 지원되지 않아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과의 정보 격차가 커지고 있다.Looking at the 2017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s status of discrimination by type, information access and communication by the visually impaired accounted for the highest rate at 10% of the total. As the penetration rate of the Internet and smartphones increases, the desire to obtain them through them increases, but the information gap between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non-disabled is widening as services for the visually impaired are not supported.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여러 학교 대면 수업의 대체제로 온라인 강의 및 실시간 강의를 진행하게 되면서 시각장애인의 교육권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양질의 커리큘럼과 강의 내용을 제공하더라도 강의 접근 자체가 불가능하고, 강의 자료에 관한 저작권 문제로 인해 시각장애인에게 교육권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In particular, as online lectures and real-time lectures are conducted as an alternative to face-to-face classes in many schools due to COVID-19, the issue of the educational rights of the visually impaired is emerging. Even if high-quality curriculum and lecture contents are provided, it is impossible to access the lecture itself, and due to copyright issues regarding lecture materials, problems arise in the right to educ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구체적으로, 온라인 강의를 위한 홈페이지까지 접근할 수 있지만 대부분 개별 컨텐츠 접근에 어려움을 겪는다. 또한, 온라인 교육 사이트에 업로드된 강의 자료를 읽기 위해서는 PDF와 PPT 파일을 텍스트로 변환해주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access the homepage for online lectures, but most of them have difficulty accessing individual contents. In addition, in order to read lecture materials uploaded to online education sites, there is a hassle of converting PDF and PPT files into text.

따라서, 기존 보조공학기기와 시각장애인의 특성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반영하여 온라인 교육을 듣는 시각장애인에게 적합한 제품 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developing products suitable for the visually impaired who receive online education by analyzing and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nd the visually impair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각장애인 중에서 저시력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교육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고 강의 자료를 점자와 음성으로 변환하여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온라인 교육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의 온라인 교육을 위한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easy to access online educ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visually impaired to achieve efficient online education by converting lecture materials into Braille and voice. It is to provide kits for online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Howev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even if not explicitly mentioned, it will be said that the object or effect that can be grasped from the solution or embodiment of the problem described below is also included therein.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의 온라인 교육을 위한 키트는, 컴퓨터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조작을 통해서 온라인 강의의 개별 컨텐츠에 접근하도록 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컴퓨터에 연결되어 상기 컨텐츠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열어서 점자와 음성으로 출력하는 점자정보출력기;를 포함할 수 있다.A kit for online educ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ler that is connected to a computer and allows a user to access individual contents of an online lecture through manipulation; and a braille information output device that is connected to the computer to open the data provided by the content and output the information in Braille and audio.

상기 컨트롤러는 일면에 음소거 및 음소거 해제를 수행하기 위한 제1 로커 스위치, 비디오 ON 및 비디오 OFF를 수행하기 위한 제2 로커 스위치, 음량 조절을 수행하기 위한 슬라이드 스위치, "뒤로 가기(취소)"를 수행하기 위한 제1 푸시 버튼, "확인"을 수행하기 위한 제2 푸시 버튼, 상하 방향으로 컨텐츠 이동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 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The controller has a first rocker switch for muting and unmuting on one side, a second rocker switch for video ON and video OFF, a slide switch for volume control, and "go back (cancel)" It may include a first push button for performing “confirm”, a second push button for performing “confirm”, and a movement switch for moving content in an up and down direction.

상기 점자정보출력기는 일면에 실행 버튼, 상기 일면과 단차를 이루며 보다 낮은 위치에서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는 복수의 점자셀, 상기 점자셀의 양측 끝단에 각각 위치하여 스크롤 구현을 수행하기 위한 스크롤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The braille information output device includes an execution button on one surface, a plurality of braille cells arranged at a lower posi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lower level with the one surface, and a scroll button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braille cells to implement scrolling. can be provided

상기 컨트롤러와 상기 점자정보출력기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관함은 상면에 오목하게 함몰된 수용홈을 구비하여 상기 컨트롤러가 놓여 보관되고, 일측면에 개방된 입구를 구비하여 상기 점자정보출력기가 내부에 보관되는 서랍이 상기 입구에 끼웠다 빼었다 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A storage box for storing the controller and the braille information output device is further included, and the storage box has a concave receiving groove on an upper surface to store the controller and has an open entrance on one side thereof to store the braille information. A drawer in which an output device is stored may be provided so as to be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inlet.

상기 컨트롤러와 상기 점자정보출력기의 바닥 및 상기 수용홈과 상기 서랍 중 적어도 하나에는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A magnet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controller, the bottom of the braille information output device,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drawer.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시각장애인 중에서 저시력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교육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고 강의 자료를 점자와 음성으로 변환하여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온라인 교육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장애인의 온라인 교육을 위한 키트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access online educ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low vision blind among the visually impaired and converts lecture materials into Braille and voice to provide efficient online education. A kit may be provided for training.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Various advantageous advantag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easily understood in the process of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의 온라인 교육을 위한 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시각장애인의 온라인 교육을 위한 키트에서 컨트롤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시각장애인의 온라인 교육을 위한 키트에서 점자정보출력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시각장애인의 온라인 교육을 위한 키트에서 보관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kit for online educ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ler in the kit for online educ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of Figure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raille information output device in the kit for online educ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of FIG. 1;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orage box in the kit for online educ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of Figure 1;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Before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not be construed unconditionally in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sense, and in order for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xplain his/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noted that concepts of various terms may be appropriately defined and used, and furthermore, these terms or words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That is,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specifically limit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terms represent various possibiliti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t is a defined term.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similarly, even if they are expressed in plural numbers, they may include singular meanings. .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including" another component, it does not exclude any other component, but further includes any other component, unless otherwise stated. It can mean you can do it.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라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하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Furthermore,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existing inside or connected to and installed” of another component, this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other component, and a certain It may be installed at a distance, and when it is installed at a certain distance, a third component or means for fixing or connecting the corresponding component to another component may exist, and now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or means of 3 may be omitted.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or is "directly connect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third element or means exists.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Similarly,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direct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have the same meaning. should be interpreted a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one side", "the other side", "one side", "the other side", "first", "second", etc., if used, refer to one component It is used to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other components, an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meaning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ly used by such a term.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erms related to positions such as "top", "bottom", "left", and "right", if used, should be understood as indicating a relative position in the drawing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component, Unless an absolute position is specified for these positions, these positional terms should not be understood as referring to an absolute posi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in specifying the reference numerals for each component of each drawing, for the same component, even if the component is displayed in different drawings, it has the same reference numeral, that is, the same reference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Symbols indicate identical components.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In the drawings accompanying this specification, the size, position, coupling relationship, etc.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ally exaggerated, reduced, or omitted in order to sufficiently clear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may be described, and therefore the proportions or scale may not be exact.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a configuration that is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known technology including the prior art, may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relat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의 온라인 교육을 위한 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시각장애인의 온라인 교육을 위한 키트에서 컨트롤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시각장애인의 온라인 교육을 위한 키트에서 점자정보출력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kit for online educ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troller in the kit for online educ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in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raille information output device in the kit for online educ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in FIG. 1 .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의 온라인 교육을 위한 키트(1)는 컨트롤러(10), 점자정보출력기(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kit 1 for online educ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roller 10 and a braille information output device 20.

컨트롤러(10)는 온라인 강의를 듣기 위해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에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조작을 통해 온라인 강의 및 온라인 강의의 개별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0 may be connected to a computer connected to the Internet to listen to online lectures, and a user may access online lectures and individual contents of the online lectures through manipulation.

컨트롤러(10)는 사용자가 손에 쥐고 조작하는데 있어서 무리를 주지 않는 크기와 형태를 가지며, 촉각 사용을 극대화하여 사용자인 시각장애인들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0 may have a size and shape that does not put too much strain on a user's hand holding and manipulation, and may be configured to improve usability for visually impaired users by maximizing the use of the tactile sense.

일 실시예에서, 온라인 강의 조작을 위해 컨트롤러(10)는 일면에 "음소거" 및 "음소거 해제"를 수행하기 위한 제1 로커 스위치(11), "비디오 ON" 및 "비디오 OFF"를 수행하기 위한 제2 로커 스위치(12)를 구비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for online lecture operation, the controller 10 has a first rocker switch 11 for performing "mute" and "unmute" on one side, "video ON" and "video OFF" for performing A second rocker switch 12 may be provided.

또한, 컨트롤러(10)는 음량 조절을 수행하기 위한 슬라이드 스위치(13)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0 may include a slide switch 13 for performing volume control.

또한, 컨트롤러(10)는 "뒤로 가기(취소)"를 수행하기 위한 제1 푸시 버튼(14), "확인"을 수행하기 위한 제2 푸시 버튼(15)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0 may include a first push button 14 for performing “back (cancel)” and a second push button 15 for performing “confirm”.

또한, 컨트롤러(10)는 상하 방향으로 컨텐츠 이동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 스위치(16)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0 may include a movement switch 16 for moving content in a vertical direction.

구분을 명확히 하기 위해 스위치(11, 12) 간의 간격과 버튼(14, 15) 간의 간격은 넓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버튼(14, 15)의 경우 볼록과 오목으로 형태를 구분하여 헷갈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clarify the distinction, it is desirable to widen the distance between the switches 11 and 12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buttons 14 and 15, and in the case of the buttons 14 and 15, the shape is divided into convex and concave to avoid confusion it is desirable

점자정보출력기(20)는 컴퓨터에 연결되어 온라인 강의의 컨텐츠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열어서 점자와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The braille information output device 20 may be connected to a computer to open materials provided by contents of an online lecture and output them in braille and audio.

일 실시예에서, 점자정보출력기(20)는 일면에 실행 버튼(21)을 구비할 수 있다. 점자정보출력기(20)는 일반적인 텍스트 파일을 읽을 수 있으며, PDF나 PPT 등과 같이 이미지로 인식하는 파일의 글자도 인식해서 읽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raille information output device 20 may have an execution button 21 on one surface. The braille information output device 20 can read general text files, and can also recognize and read characters of files recognized as images, such as PDF or PPT.

또한, 점자정보출력기(20)는 일면과 단차를 이루며 보다 낮은 위치에서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는 복수의 점자셀(22)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점자셀(22)은 점자정보출력기(20)가 인식한 글자를 점자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raille information output device 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raille cells 22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lower position forming a step with one surface. The plurality of braille cells 22 may convert and output characters recognized by the braille information output device 20 into braille characters.

또한, 점자정보출력기(20)는 점자셀(22)의 양측 끝단에 각각 위치하여 스크롤 구현을 수행하기 위한 스크롤 버튼(23)을 구비할 수 있다. 스크롤 버튼(23)은 점자셀(22)이 위치한 부분과 단차를 두어 명확히 구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raille information output device 20 may be provided with scroll buttons 23 located at both ends of the braille cells 22 to implement scroll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scroll button 23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portion where the braille cell 22 is located by a step.

한편,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의 온라인 교육을 위한 키트(1)는 보관함(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kit 1 for online educ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box 30 .

도 4는 도 1의 시각장애인의 온라인 교육을 위한 키트에서 보관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orage box in the kit for online educ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of Figure 1;

도면을 참조하면, 보관함(30)은 컨트롤러(10)와 점자정보출력기(20)를 함께 보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별 제품으로 제공되는 컨트롤러(10)와 점자정보출력기(20) 중 어느 하나가 분실되는 위험을 방지하고, 한데 모아둠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storage box 30 may be configured to store the controller 10 and the braille information output device 20 togeth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isk of losing one of the controller 10 and the braille information output device 20, which are provided as individual products, and improve convenience of use by putting them together.

보관함(30)은 상면에 오목하게 함몰된 수용홈(31)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입구(32)가 형성되어 일측면을 따라서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입구(32)에는 끼웠다 빼었다 하는 서랍(33)이 제공되어 입구(32)를 개폐할 수 있다. 입구(32)를 개폐하는 서랍(33)의 측면(33a)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보관함(30)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storage box 3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concavely recessed receiving groove 31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and an inlet 32 is formed on one side so as to be open along one side. The inlet 32 is provided with a drawer 33 that can be inserted and removed so that the inlet 32 can be opened and closed. The side surface 33a of the drawer 33 that opens and closes the entrance 32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rough which the inside of the storage box 30 can be confirmed.

보관함(30)의 오목한 수용홈(31)에는 컨트롤러(10)가 놓여 보관될 수 있다. 수용홈(31)은 대략 컨트롤러(10)의 바닥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어 컨트롤러(10)를 바르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controller 10 may be placed and stored in the concave receiving groove 31 of the storage box 30 . The receiving groove 31 may have a shape substantially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ottom of the controller 10 so that the controller 10 can be properly positioned.

예민한 관리가 필요한 점자셀(22)을 가지는 점자정보출력기(20)는 서랍(33)의 내부에 놓여 보관될 수 있다.The braille information output device 20 having the braille cell 22 requiring sensitive management may be placed inside the drawer 33 and stored.

일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0)와 점자정보출력기(20)의 바닥 및 수용홈(31)과 서랍(33) 중 적어도 하나에는 자석(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0)와 점자정보출력기(20)의 바닥에 자석이 구비될 수 있으며,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관함(30)의 수용홈(31)과 서랍(33)에 가까이 대면 자석으로 붙어 쉽게 보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magnet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controller 10 and the braille information output device 20 and at least one of the accommodating groove 31 and the drawer 33 . For example, magnets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controller 10 and the braille information output device 20, and when placed close to the receiving groove 31 and the drawer 33 of the storage box 30 made of metal, they are attached by magnets. Can be easily stored.

물론, 수용홈(31)과 서랍(33)에 자석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수용홈(31)과 서랍(33)의 재질은 금속 외에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magnets to the receiving groove 31 and the drawer 33, and in this case, the material of the receiving groove 31 and the drawer 33 may be made of plastic as well as metal.

또한, 수용홈(31)과 서랍(33)이 플라스틱을 재질로 이루어지고, 컨트롤러(10)와 점자정보출력기(20)가 놓이는 부분에 부분적으로 금속판을 매설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accommodation groove 31 and the drawer 33 are made of plastic, and a metal plate is partially buried in a portion where the controller 10 and the braille information output device 20 are placed.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 기재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variou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some examples, but the description of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 Content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section is only exemplary, and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actic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or equivalent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above description is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only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each claim of the claims.

1: 시각장애인의 온라인 교육을 위한 키트
10: 컨트롤러
11: 제1 로커 스위치
12: 제2 로커 스위치
13: 슬라이드 스위치
14: 제1 푸시 버튼
15: 제2 푸시 버튼
20: 점자정보출력기
21: 실행 버튼
22: 점자셀
23: 스크롤 버튼
30: 보관함
31: 수용홈
32: 입구
33: 서랍
33a: 측면
1: Kit for Online Educ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10: Controller
11: first rocker switch
12: second rocker switch
13: slide switch
14: first push button
15: second push button
20: braille information output machine
21: Run button
22: braille cell
23: scroll button
30: storage box
31: receiving groove
32: entrance
33: drawer
33a: side

Claims (5)

컴퓨터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조작을 통해서 온라인 강의의 개별 컨텐츠에 접근하도록 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컴퓨터에 연결되어 상기 컨텐츠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열어서 점자와 음성으로 출력하는 점자정보출력기;
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의 온라인 교육을 위한 키트.
A controller that is connected to the computer and allows the user to access individual contents of the online lecture through manipulation; and
a braille information output device that is connected to the computer and outputs the data provided in the content in Braille and audio;
A kit for online educ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일면에 음소거 및 음소거 해제를 수행하기 위한 제1 로커 스위치, 비디오 ON 및 비디오 OFF를 수행하기 위한 제2 로커 스위치, 음량 조절을 수행하기 위한 슬라이드 스위치, "뒤로 가기(취소)"를 수행하기 위한 제1 푸시 버튼, "확인"을 수행하기 위한 제2 푸시 버튼, 상하 방향으로 컨텐츠 이동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의 온라인 교육을 위한 키트.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has a first rocker switch for muting and unmuting on one side, a second rocker switch for video ON and video OFF, a slide switch for volume control, and "go back (cancel)" A kit for online educ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irst push button for doing, a second push button for performing “confirm”, and a movement switch for performing content movement in an up and down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정보출력기는 일면에 실행 버튼, 상기 일면과 단차를 이루며 보다 낮은 위치에서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는 복수의 점자셀, 상기 점자셀의 양측 끝단에 각각 위치하여 스크롤 구현을 수행하기 위한 스크롤 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의 온라인 교육을 위한 키트.
According to claim 1,
The braille information output device includes an execution button on one side, a plurality of braille cells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 lower position at a step with the one side, and a scroll button located at both ends of the braille cells to implement a scroll, respectively. A kit for online educ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와 상기 점자정보출력기를 보관하기 위한 보관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관함은 상면에 오목하게 함몰된 수용홈을 구비하여 상기 컨트롤러가 놓여 보관되고, 일측면에 개방된 입구를 구비하여 상기 점자정보출력기가 내부에 보관되는 서랍이 상기 입구에 끼웠다 빼었다 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의 온라인 교육을 위한 키트.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box for storing the controller and the braille information output device,
The storage box has a concavely recessed receiving groove on the upper surface to store the controller, and has an open entrance on one side so that a drawer in which the braille information output device is stored is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entrance. A kit for online educ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characterized in tha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와 상기 점자정보출력기의 바닥 및 상기 수용홈과 상기 서랍 중 적어도 하나에는 자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의 온라인 교육을 위한 키트.
According to claim 4,
A kit for online educ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characterized in that a magnet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controller, the bottom of the braille information output device, the accommodating groove, and the drawer.
KR1020210121003A 2021-09-10 2021-09-10 Online education kit for the visually impaired KR1025408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003A KR102540838B1 (en) 2021-09-10 2021-09-10 Online education kit for the visually impair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003A KR102540838B1 (en) 2021-09-10 2021-09-10 Online education kit for the visually impaired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891A true KR20230037891A (en) 2023-03-17
KR102540838B1 KR102540838B1 (en) 2023-06-05
KR102540838B9 KR102540838B9 (en) 2023-08-04

Family

ID=85872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003A KR102540838B1 (en) 2021-09-10 2021-09-10 Online education kit for the visually impair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83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1029A (en) * 1995-09-12 1997-03-28 Seiko Epson Corp Braille module
KR20110067741A (en) * 2009-12-15 2011-06-2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portable real-time braille information transceiving and outputting
KR20160113053A (en) * 2015-03-18 2016-09-28 노영관 Braille information terminal
EP2820639B1 (en) * 2012-02-28 2018-08-22 Freedom Scientific, Inc. Brail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KR101956002B1 (en) * 2018-12-20 2019-03-08 주식회사 피씨티 Learning guide system for braille writ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1029A (en) * 1995-09-12 1997-03-28 Seiko Epson Corp Braille module
KR20110067741A (en) * 2009-12-15 2011-06-2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portable real-time braille information transceiving and outputting
EP2820639B1 (en) * 2012-02-28 2018-08-22 Freedom Scientific, Inc. Brail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KR20160113053A (en) * 2015-03-18 2016-09-28 노영관 Braille information terminal
KR101956002B1 (en) * 2018-12-20 2019-03-08 주식회사 피씨티 Learning guide system for braille wri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0838B9 (en) 2023-08-04
KR102540838B1 (en) 202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 Meulder et al. Describe, don't prescribe. The practice and politics of translanguaging in the context of deaf signers
Mabule What is this? Is it code switching, code mixing or language alternating
Friedman Comedy and distinction: The cultural currency of a ‘Good’sense of humour
Ok Use of iPads as assistive technolog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Zhao et al. Understanding semiotic technology in university classrooms: A social semiotic approach to PowerPoint-assisted cultural studies lectures
Murgiano et al. Situating language in the real-world: the role of multimodal iconicity and indexicality
Blackstone et al. Visual scene displays
Huang The intersection of multimodality and critical perspective: Multimodality as subversion
Kohn Global Englishes and the pedagogical challenge of developing one’s own voice
KR102540838B1 (en) Online education kit for the visually impaired
Gibbons Developing an ethics of youth media production using media literacy, identity, & modality
McKay English as an international language: A time for change
Berger et al. Prototype of a smart google glass solution for deaf (and hearing impaired) people
Stefanov et al. An Overview of some popular devices and technologies designed for blind and visually impaired people
Marshall et al. Language ideological debates and intercultural learning in French immersion education
Murgiano et al. Language is less arbitrary than one thinks: iconicity and indexicality in real-world language learning and processing
KR2014008795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english grammar by using native speaker's pronunciation data and image data.
Leith Moving beyond words in Scotland's corp-oral traditions. British Sign Language storytelling meets the'deaf public voice'.
Sánchez García et al. A tangible interaction platform as concrete support for blind children literacy in Braille
Pérez Mobile learning for all: Supporting accessibility with the iPad
Hayhoe et al. Accessible Resources for Cultural Heritage EcoSystems (ARCHES) Deliverable 6.5: Evaluation of Pilot Exercises
Nair et al. PHOENIX-THE BLIND LEARNING APPLICATION
Lou Discussion: The local practice of “Global Chinese”
Chadha The Billion People Question
Zhao Designing TADA: Touch-and-Audio-based Diagram Access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