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7738A - System for guiding the use of natural recreation forest - Google Patents

System for guiding the use of natural recreation fore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7738A
KR20230037738A KR1020210120367A KR20210120367A KR20230037738A KR 20230037738 A KR20230037738 A KR 20230037738A KR 1020210120367 A KR1020210120367 A KR 1020210120367A KR 20210120367 A KR20210120367 A KR 20210120367A KR 20230037738 A KR20230037738 A KR 20230037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natural recreation
forest
natur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03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훈
권시환
Original Assignee
더나은파트너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나은파트너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더나은파트너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0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7738A/en
Publication of KR20230037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773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6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social or collaborative filt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7Spatial or temporal dependent retrieval, e.g. spatiotemporal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53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 H04M1/275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by optical 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that can recommend a natural recreation forest for satisfying the needs of users and being proper for a user, provide various additional services and events for the use of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and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users, especially children, in using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rver comprises: a communication module configured to exchange data with a user terminal of a us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configured to provide a service environment guiding the use of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to the user terminal, and to recommend one or more natural recreation forests to the user based on inputted user information; and a database storing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natural recreation forests and the user information.

Description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guiding the use of natural recreation forest}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the use of natural recreation forest {System for guiding the use of natural recreation forest}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적합한 자연 휴양림을 추천하고, 자연 휴양림의 이용을 안내하며, 자연 휴양림 이용 관련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여 자연 휴양림 이용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increasing the satisfaction of using a natural recreation forest by recommending a suitable natural recreation forest to a user, guiding the use of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and providing various additional services related to the use of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국가지원 연구개발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State-Supported R&D]

본 출원은 산림청 산림과학기술 실용화 지원사업 (고객경험 기반의 휴양림 추천 및 이용을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 과제 고유번호: 1405004678, 총괄과제번호: 2021288A00-2121-AD01)의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이다.This application was made with the support of the Korea Forest Service's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upport project (development of mobile applications for recommending and using recreational forests based on customer experience, task number: 1405004678, general task number: 2021288A00-2121-AD01).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part merely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esent embodiment and do not constitute prior art.

최근 자연 휴양림에 사람들의 많은 관심이 증가하면서 자연 휴양림을 이용하려는 사용자들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전국에는 다수의 자연 휴양림이 있으며, 각각의 자연 휴양림은 저마다의 특색 있는 산림, 멋진 풍광을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이용 코스가 사용자들에게 제공되고 있다.Recently, as people's interest in natural recreation forests increases, the number of users who want to use natural recreation forests is increasing. There are a number of natural recreation forests throughout the country, and each natural recreation forest includes its own unique forest and wonderful scenery, and various courses are provided to users.

다만, 다수의 자연 휴양림에 대한 정보는 세부적이고 다양하게 제공되지 않고 단편적인 풍경 사진, 영상 등으로만 정보가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주변 지인들의 추천에 의존하거나, 종래 이용하였던 자연 휴양림을 다시 이용하는 등 다소 제한적으로 자연 휴양림을 이용하게 된다. 특히, 자연 휴양림은 계절마다 풍광, 경치가 달라지며, 코스 마다 이용 거리, 이용 시간, 이용 난이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사용자들이 니즈(needs)를 충족하고, 사용자에게 적합한 자연 휴양림을 추천할 수 있는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since information on many natural recreation forests is not provided in detail and variety, but information is provided only through fragmentary landscape photos and videos, users rely on recommendations from friends around them, or re-use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s they have used in the past. Somewhat limited use of natural recreation forests. In particular, since the scenery and scenery of natural recreation forests change every season, and the distance, use time, and difficulty of use may vary for each course, a service that can meet users' needs and recommend a natural recreation forest suitable for users is currently being demanded.

또한, 성인들은 자연 휴양림을 트래킹하고 이용하는 것을 즐기나, 아이들의 경우 자연 휴양림을 트래킹하는 것보단 스마트폰으로 영상 또는 게임을 하는 것을 더 선호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가족끼리 자연 휴양림을 이용 시 가족간에 트러블이 종종 발생하게 된다. 자연 휴양림 이용 시 다양한 부가 서비스, 이벤트를 제공하여 사용자, 특히, 아이들의 자연 휴양림 이용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서비스 또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adults enjoy trekking and using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but children generally prefer to play videos or games on their smartphones rather than tracking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often happens There is also a demand for services that can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users, especially children, by providing various additional services and events when using natural recreation forests.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들이 니즈(needs)를 충족하고, 사용자에게 적합한 자연 휴양림을 추천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a natural recreational forest that meets the needs of users and is suitable for the user.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연 휴양림 이용 시 다양한 부가 서비스, 이벤트를 제공하여 사용자, 특히, 아이들의 자연 휴양림 이용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that can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users, particularly children, by providing various additional services and events when using a natural recreation forest.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above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indicated in the claim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모듈;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자연 휴양림의 이용을 가이드하는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고,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자연 휴양림을 사용자에게 추천하도록 구성되는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 및 복수의 자연 휴양림 정보와 상기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configured to exchange data with a user terminal of a us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configured to provide a service environment for guiding use of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to the user terminal and to recommend at least one natural recreation forest to the user based on input user information; and a database in which a plurality of natural recreation forest information and the user information are stor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방법은 서버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자연 휴양림의 이용을 가이드하는 서비스 환경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환경은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자연 휴양림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것과 사용자의 탐험 시작 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선택된 코스를 안내하고 코스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A guide method for using a natural recreational fores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by a server, user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of a user; and providing, by the server, a service environment for guiding the use of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to the user terminal to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service environment recommends at least one natural recreation forest to the user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and guiding the course selected by the user and providing services related to the course in response to the user's exploration start sig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방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다.A computer pro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o execute the guide method for using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자연 휴양림을 추천할 수 있어, 사용자의 다양한 자연 휴양림 이용을 지원할 수 있다.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은 클러스터링된 집단에 속하는 사용자들을 기초로 추천 모델을 구현함에 따라 사용자의 취향, 상태가 더 반영된 추천이 가능해지며, 더욱 개인화된 자연 휴양림 추천을 제공할 수 있다.The guide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natural recreation fo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mmend a natural recreation forest suitable for a user based on user information, thereby supporting the user's use of various natural recreation forests. A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natural recreation forest implements a recommendation model based on users belonging to a clustered group, so that a user's taste and condition can be further reflected, and a more personalized natural recreation forest recommendation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은 검색 또는 추천된 자연 휴양림에 대한 상세 정보와 코스 정보와 같은 사용자의 자연 휴양림 선택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자연 휴양림 선택을 지원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natural recreation fo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 the user's selection of a natural recreation forest by provid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user's selection of a natural recreation forest, such as detailed information and course information on a searched or recommended natural recreation forest. ca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은 탐험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선택된 자연 휴양림 코스에 대한 안내하고, 가족 모두가 재미있게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코스에 포함된 QR 스팟을 식별하여 QR 스팟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나무 찾기 서비스 및 나무 찾기 빙고 게임을 통해 사용자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코스 탐험을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natural recreation fo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uides a selected natural recreation forest course through an exploration interface screen and provides various services that can be enjoyed by the whole family. In particular, by identifying the QR spots included in the course, information on the QR spots is provided, and through the tree finding service and the tree finding bingo game, users can be encouraged to actively and actively explore the cours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시스템 및 방법은 탐험이 완료된 이후 탐험 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탐험 일지를 생성하여, 자연 휴양림 탐험에 대해 사용자들이 추억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탐험 일지 생성 후 사용자에게 뱃지를 제공하며, 추가적인 자연 휴양림 탐험에 대한 동기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natural recreation fo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users to remember about a natural recreation forest exploration by generating an exploration log in which an exploration history can be checked after the exploration is completed. In addition, after creating an exploration journal, a badg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and motivation for additional natural recreation forest exploration may be provided.

상술한 내용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 description,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explain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자연 휴양림 추천 알고리즘의 전체적인 도식도이다.
도 5는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환경의 초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키워드를 통해 자연 휴양림을 검색하는 검색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키워드 검색을 통해 출력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8는 자연 휴양림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자연 휴양림의 코스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코스 정보를 선택함에 따라 제공되는 지도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출발지에 위치한 QR 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QR 코드 인식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2는 탐험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3은 도 12의 코스를 사용자가 탐험을 진행한 상황에서 표시되는 탐험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4은 QR 스팟을 인식하기 위한 QR 코드 인식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5는 QR 스팟에 대한 가이드가 제공되는 예시적인 화면을 도시한다.
도 16은 나무 찾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카메라가 활성화된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7는 도 16에서 촬영된 이미지와 이미지에서 인식된 나무의 정보를 제공하는 예시적인 화면이다.
도 18는 나무 찾기가 완료된 상태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9은 나무 찾기 빙고판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20은 사진 촬영을 위해 카메라가 활성화된 예시적인 화면을 도시한다.
도 21은 음성 녹음을 위해 녹음기가 활성화된 예시적인 화면을 도시한다.
도 22는 비상 연락망이 활성화된 예시적인 화면을 도시한다.
도 23은 탐험이 종료되고 탐험 일지를 저장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24은 탐험 일지 작성에 대응하여 뱃지가 제공되는 예시적인 화면을 도시한다.
도 25는 탐험 일지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26은 작성된 탐험 일지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overall schematic diagram of a natural recreation forest recommendation algorithm.
5 exemplarily illustrates an initial user interface screen of a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environment.
6 illustrates a search interface screen for searching for a natural recreation forest through keywords as an example.
7 illustrates a screen output through keyword search by way of example.
8 illustrates a user interface screen providing detailed information on a natural recreation forest as an example.
9 illustrates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screen providing course information of a natural recreation forest.
10 exemplarily illustrates a map interface screen provided according to course information selection.
11 exemplarily illustrates a QR code recognition screen for recognizing a QR code located at a starting point.
12 illustrates an exploration interface screen by way of example.
FIG. 13 illustratively illustrates an exploration interface screen displayed in a situation where a user explores the course of FIG. 12 .
14 shows an example of a QR code recognition screen for recognizing a QR spot.
15 shows an exemplary screen on which a guide for a QR spot is provided.
16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creen in which a camera is activated to perform a tree finding function.
FIG. 17 is an exemplary screen for providing the image captured in FIG. 16 and information on trees recognized in the image.
18 illustratively illustrates a state screen in which tree search is completed.
Fig. 19 shows an exemplary tree finding bingo board.
20 illustrates an exemplary screen in which a camera is activated for taking a picture.
21 shows an exemplary screen in which the recorder is activated for voice recording.
22 shows an exemplary screen in which an emergency contact network is activated.
23 illustratively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n exploration is ended and an exploration diary is stored.
24 illustrates an exemplary screen in which a badge is provided in response to writing an exploration log.
25 illustrates an exploration log interface screen by way of example.
26 illustratively illustrates a written exploration diary.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omponents may be subdivid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ut thes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in one device or module, or one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in a plurality of devices or modules. It may be divided into and implem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시스템(10)은 서버(100), 사용자 단말(11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a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system 10 includes a server 100 and a user terminal 110 .

서버(100)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자연 휴양림을 추천하고, 추천된 자연 휴양림 또는 사용자가 선택된 자연 휴양림에 대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100 may recommend at least one natural recreation forest suitable for the user and provide guidance on the recommended natural recreation forest or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selected by the user.

사용자 단말(110)은 서버(100)에 가입된 사용자 또는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상술한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의 단말에 해당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10)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웹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또는 서버(100)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을 동작시킬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 또는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10 corresponds to a terminal of a user subscribed to the server 100 or a user who wants to use the above-described services provided by the server 100 . Here, the user terminal 110 refers to a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operating an app that uses a web service or provides a service of the server 100 in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a user's personal computer or portable terminal.

도 1에는 사용자 단말(110)이 하나의 블록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이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시스템(10)에 포함될 수 있다.Although the user terminal 110 is shown as one block in FIG. 1,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10 may be included in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system 10.

통신망은 서버(100) 및 사용자 단말(110)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망은 사용자 단말(110)이 서버(100)에 접속한 후,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한다. 통신망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3G, 4G, 5G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 communication network may connect the server 100 and the user terminal 110 .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network provides an access path so that the user terminal 110 can transmit and receive packet data after accessing the server 100 .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for example, wired networks such as LANs (Local Area Networks), WANs (Wide Area Networks), MANs (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wireless LANs, CDMA, Bluetooth, satellite communication, 3G, 4G , 5G, etc.,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10)의 사용자에게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자연 휴양림을 추천하고, 추천된 자연 휴양림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자연 휴양림에 대한 안내를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The server 100 may recommend at least one natural recreation forest suitable for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110 and provide guidance on the recommended natural recreation forest or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110 .

서버(100)가 제공하는 상술한 서비스는 사용자 단말(110)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은 응용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 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버(100)는 웹 문서를 통한 데이터 전송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110)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때 웹 문서란, 그 종류나 형식을 한정하지 않고 소정의 네트워크 주소를 갖는 웹 사이트(web site)를 통하여 전송됨으로써 열람 및/또는 수정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임의의 데이터를 지칭한다. 이 경우, 서버(100)는 소정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갖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웹 서버(web server)일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10)에서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를 이용하여 해당 웹 페이지에 접속함으로써 서버(10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웹 문서의 형식은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또는 다른 상이한 언어에 기반한 형식일 수 있으며 특정 형식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 above service provided by the server 100 may be provided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user terminal 110 . Here, the application refers to an application program,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n app executed in a mobile terminal (smart phon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rver 100 may exchange data with the user terminal 110 in a data transmission method through a web document. At this time, the web document refers to any data provided to be viewed and/or modified by being transmitted through a web site having a predetermined network address without limiting the type or format. In this case, the server 100 may be a web server that provides a web page having a predetermined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and the user terminal 110 uses a web browser to access the corresponding web page. By accessing the page, the service provided by the server 100 can be used. The format of the web document may be a format based on Hyper Text Markup Language (HT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JavaScript Object Notation (JSON), or other different languages,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format.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App) 또는 웹 환경에 접속하여 서버(10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The user can use the service provided by the server 100 by accessing the application or web environment through the user terminal 110 .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은 서버(10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111),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부(112), 처리부(112)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표시하여 서버(100)의 서비스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표시부(113), 주변 환경을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114), 주변 환경의 소리를 녹음하기 위한 녹음부(115),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116) 및 사용자 단말(11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GPS(117)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user terminal 11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1 for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100, a processing unit 112 for processing data provided from the server, and displaying data processed by the processing unit 112 to the server. A display unit 113 for providing the service environment of (100) to the user, a camera 114 for generating an image by photograph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 recording unit 115 for recording the sound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a user input It may include the input unit 116 and the GPS 117 that determine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에서 제공되는 자연 휴양림 추천 및 안내 제공 서비스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natural recreation forest recommendation and guidance providing service provided by the ser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서버(10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 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PACH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erver 10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a conventional web server in terms of hardware, and in terms of software, it is a program implemented through various types of languages such as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etc.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contains the module In addition, it can be implemented using web server programs that are provid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operating systems such as DOS, Windows, Linux, Unix, and Macintosh on general server hardware. As representative examples, a website, IIS (Internet Information Server) used in a Windows environment, and CERN, NCSA, APPACH, etc. used in a Unix environment can be used.

도 3을 참조하면, 서버(100)는 통신 모듈(101),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 및 데이터베이스(10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server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101, a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and a database 103.

통신 모듈(101),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 및 데이터베이스(103)는 서로 구분되는 별개의 블록으로 도시되나, 이는 서버(100)를 실행되는 동작에 의해 단지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라서는 통신 모듈(101),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 및 데이터베이스(103)는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한 하나의 장치 내에 집적화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이 다른 부와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분산 컴퓨팅 환경 하에서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컴포넌트들일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101,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and the database 103 are shown as separate blocks, but they are only functionally divided by the operation of the server 100 to be executed. Therefor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some or all of the communication module 101,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and the database 103 may be integrated in the same device, and one or more may be physically separated from other units. It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device, or may be component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under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통신 모듈(101)은 사용자 단말(110)과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101 may be configured to exchange data with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에 제공되는 자연 휴양림의 추천 서비스 환경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인구통계학적 정보에 해당하며, 사용자의 위치, 나이, 성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환경을 가입하면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위치는 사용자의 거주지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서비스 환경은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를 수집하는 것을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허가 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를 사용자의 위치로서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집된 사용자 정보는 데이터베이스(103)에 저장될 수 있다.The user may provide user information through a recommendation service environment of a natural recreation forest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10 . User information corresponds to demographic information and may include the user's location, age, and gender. Such user information may be provided when the user subscribes to the service environment, and the user's location may mean the user's residenc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some embodiments, the service environment may receive permission from the user terminal 110 to collect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and collect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as the user's location. can do. User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103 .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자연 휴양림을 추천할 수 있다.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자연 휴양림을 추천할 수 있다.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에서 추천되는 자연 휴양림은 국내에 조성된 복수의 자연 휴양림을 해당하며, 국립 자연 휴양림, 지자체 자연 휴양림, 개인 자연 휴양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산림청 산하 국립자연휴양관리소에서 관리되는 복수의 자연 휴양림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추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에 의해 추천되는 복수의 자연 휴양림 정보는 미리 수집되어 데이터베이스(103)에 저장된 상태일 수 있다.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may recommend at least one natural recreation forest based on input user information.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may recommend at least one natural recreation forest suitable for input user information.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s recommended by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natural recreation forests established in Korea, and may include national natural recreation forests, local governmental natural recreation forests, and individual natural recreation forests. For example,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age guide module 102 may select and recommend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natural recreation forests managed by the National Natural Recreation Center under the Forest Ser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 plurality of pieces of natural recreation forest information recommended by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may be collected in advance and stored in the database 103 .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자연 휴양림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 recommendation service for recommending at least one natural recreation forest to a user based on input user information.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에서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휴양림을 추천해주는 알고리즘의 전반적인 과정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4, the overall process of the algorithm for recommending a recreational forest optimized for the user in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4는 자연 휴양림 추천 알고리즘의 전체적인 도식도로,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에서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휴양림을 추천해주는 알고리즘의 전반적인 과정을 도시한다.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자연 휴양림 방문 이력, 인구 통계학적 정보에 기초하여 기존 사용자와 신규 사용자에 대한 최적화된 휴양림을 각각 추천할 수 있다.FIG.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natural recreation forest recommendation algorithm as a whole, showing the overall process of the algorithm recommending a recreation forest optimized for a user in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may recommend optimized recreation forests for existing users and new users, respectively, based on history of visits to natural recreation forests and demographic information.

먼저,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사용자를 기존 사용자와 신규 사용자로 구분될 수 있다. 기존 사용자는 사용자 정보에 자연 휴양림 방문 이력이 존재하며,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자연 휴양림 방문 이력을 기초로 기존 사용자와 신규 사용자를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매우 오래된 과거의 방문 이력은 최신 경향을 반영하여 추천 수행하는 것에 대해 노이즈로 작용될 수 있다. 따라서,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최신 경향에 따른 자연 휴양림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자연 휴양림 방문 이력을 최근 몇 년 이내로 제한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최근 3년 이내에 자연 휴양림 방문 이력이 있는 사용자를 기존 사용자, 최근 3년 이내에 자연 휴양림 방문 이력이 없는 사용자를 신규 사용자로 판단할 수 있다.First, the natural recreational forest use guide module 102 may divide users into existing users and new users. Existing users have a history of visiting natural recreation forests in user information, and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can distinguish between existing users and new users based on the history of visiting natural recreation forests. Here, a very old history of visits may act as noise for performing a recommendation by reflecting the latest trend. Accordingly,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may limit and determine the user's visit history to a natural recreation forest within recent years in order to provide a natural recreation forest recommend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latest trend. For example,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may determine a user who has visited a natural recreation forest within the last 3 years as an existing user, and a user who has not visited a natural recreation forest within the past 3 years as a new user.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기존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클러스터링을 먼저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클러스터링은 사용자의 인구통계학적 정보(사용자의 위치, 나이, 성별)와 자연 휴양림 방문 기록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인구통계학적 정보와 자연 휴양림 방문 기록이 유사한 사용자들은 같은 클러스터로 분류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클러스터링은 딥러닝 클러스터링 방식 중 State-of-the-art(SOTA) 중 하나인, Deep Embedded Clustering 방식에 local structure를 보존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사용자 클러스터링을 통해 기존 사용자들은 복수의 클러스터로 구분될 수 있다.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딥 러닝 기반의 추천 모델을 통해 자연 휴양림 추천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추천 모델은 각 클러스터 마다 구현될 수 있다. 1차적으로 클러스터링된 집단에 속하는 사용자들을 기초로 추천 모델을 구현함에 따라 사용자의 취향, 상태가 더 반영된 추천이 가능해진다. 즉, 클러스터 마다 구현된 추천 모델을 통해 더욱 개인화된 자연 휴양림 추천이 수행될 수 있다.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age guide module 102 may first perform user clustering on existing users. User clustering may be performed based on user demographic information (user location, age, and gender) and records of visits to natural recreation forests. Users with similar demographic information and records of visits to natural recreation forests are classified into the same cluster. In one embodiment, user clustering may be performed in a way of preserving local structure in Deep Embedded Clustering, which is one of State-of-the-art (SOTA) among deep learning clustering methods. Through user clustering, existing users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lusters.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may recommend a natural recreation forest through a deep learning-based recommendation model, and this recommendation model may be implemented for each cluster. As the recommendation model is implemented based on the users belonging to the primarily clustered group, it is possible to make a recommendation that further reflects the user's taste and status. That is, a more personalized natural recreation forest recommendation can be performed through a recommendation model implemented for each cluster.

딥 러닝 기반의 추천 모델은 입력된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가 각각의 자연 휴양림에 방문할 확률 값을 계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딥 러닝 기반의 추천 모델은 Bayesian Factorization Machine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입력된 사용자의 정보는 사용자의 자연 휴양림 방문 기록, 사용자의 인구통계학적 정보 및 자연 휴양림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 정보를 포함한다. 자연 휴양림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 정보는 사용자의 위치와 자연 휴양림의 위치를 고려하여 계산될 수 있다.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사용자가 속한 클러스터의 추천 모델을 통해 사용자의 자연 휴양림 방문 기록, 사용자의 인구통계학적 정보 및 자연 휴양림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 정보에 대응한 사용자의 자연 휴양림에 방문할 확률 값을 계산하고, 방문할 확률 값이 다른 자연 휴양림보다 높은 자연 휴양림을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The deep learning-based recommendation model may be configured to calculate a probability value for a corresponding user to visit each natural recreation forest based on input user information. In one embodiment, the deep learning-based recommendation model may be a Bayesian Factorization Machi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Here, the input user information includes the user's visit record to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the user's demographic information, and the user's accessibility information to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information. Accessibility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may be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 of the user and the location of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allows the user to visit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corresponding to the user's natural recreation forest visit record, the user's demographic information, and the user's accessibility information to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through the recommendation model of the cluster to which the user belongs. A probability value may be calculated, and a natural recreation forest having a higher probability value to visit than other natural recreation forests may be recommended to the user.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사용자가 신규 사용자인 경우, 사용자의 인구통계학적 정보와 자연 휴양림의 기간별 선호도를 고려하여 자연 휴양림 추천을 수행할 수 있다.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상기 사용자와 유사한 위치, 유사한 나이, 동일 성별을 가진 사용자들로 추천 대상 집단을 결정하고, 추천 대상 집단의 기간별 선호도에 기초하여 자연 휴양림을 추천할 수 있다. 여기서, 유사한 위치는 시 단위 거주지가 동일한 것을 의미하며, 유사한 나이는 나이대가 동일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추천 대상 집단의 기간별 선호도는 추천 대상 집단이 기간 별로 특정 대상을 선호한 정도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추천 대상 집단이 기간 별로 자연 휴양림을 이용한 횟수 또는 추천 대상 집단이 기간 별로 자연 휴양림을 검색한 횟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기간은 최근 3년, 2년, 1년, 6개월, 3개월 및 1개월일 수 있으며, 각 기간 별로 추천 대상 집단의 자연 휴양림에 대한 선호도가 각각 카운트될 수 있다. 여기서, 긴 기간은 전반적인 선호도를 반영할 수 있으나 최근 트렌드를 반영할 수 없으며, 너무 짧은 기간은 최근 트렌드를 반영할 수 있으나, 전반적인 선호도를 반영할 수 없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추천 대상 집단이 이용한 각각의 자연 휴양림에 대한 선호도에 기간 별로 상이한 가산점을 부여할 수 있으며, 추천 대상 집단이 기간 별로 자연 휴양림의 선호도를 점수 별로 순위화하여 점수가 다른 자연 휴양림보다 높게 계산된 자연 휴양림을 추천 대상 자연 휴양림으로 결정할 수 있다. If the user is a new user,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may recommend a natural recreation forest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demographic information and preference for each period of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may determine a recommendation target group of users having a similar location, age, and gender to the user, and recommend a natural recreation forest based on the preference of the recommendation target group for each period. Here, a similar location may mean the same city unit residence, and a similar age may mean the same age range. In addition, the preference for each period of the recommendation target group means the degree to which the recommendation target group preferred a specific target for each period. In one embodiment, it may mean the number of times the recommendation target group uses a natural recreation forest for each period or the number of times the recommendation target group searches for a natural recreation forest for each period. In addition, the period may be the last 3 years, 2 years, 1 year, 6 months, 3 months, and 1 month, and the preference for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of the recommendation target group may be counted for each period. Here, a long period may reflect overall preference but cannot reflect recent trends, and a too short period may reflect recent trends but may not reflect overall preferences.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assign different additional points for each period to the preference for each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d by the recommendation target group, and the recommendation target group determines the preference for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for each period by score. After ranking, a natural recreation forest whose score is calculated higher than other natural recreation forests may be determined as a recommended natural recreation forest.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적합한 자연 휴양림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사용자 정보 중 위치 정보만을 활용하여 사용자 위치와 가장 가까이 있는 자연 휴양림을 더 추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may recommend a natural recreation forest suitable for the user based on user information. In addition,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recommend a natural recreation forest closest to the user's location by using only location information among user information.

이하, 도 5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자연 휴양림의 안내 서비스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5 to 26, a guide service for a natural recreation forest provided by a guide system for using a natural recreation fo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5는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환경의 초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키워드를 통해 자연 휴양림을 검색하는 검색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며, 도 7은 키워드 검색을 통해 출력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8는 자연 휴양림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며, 도 9는 자연 휴양림의 코스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코스 정보를 선택함에 따라 제공되는 지도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출발지에 위치한 QR 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QR 코드 인식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2는 탐험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3은 도 12의 코스를 사용자가 탐험을 진행한 상황에서 표시되는 탐험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4은 QR 스팟을 인식하기 위한 QR 코드 인식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5는 QR 스팟에 대한 가이드가 제공되는 예시적인 화면을 도시한다. 도 16은 나무 찾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카메라가 활성화된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7는 도 16에서 촬영된 이미지와 이미지에서 인식된 나무의 정보를 제공하는 예시적인 화면이다. 도 18는 나무 찾기가 완료된 상태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9은 나무 찾기 빙고판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20은 사진 촬영을 위해 카메라가 활성화된 예시적인 화면을 도시한다. 도 21은 음성 녹음을 위해 녹음기가 활성화된 예시적인 화면을 도시한다. 도 22는 비상 연락망이 활성화된 예시적인 화면을 도시한다. 도 23은 탐험이 종료되고 탐험 일지를 저장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24은 탐험 일지 작성에 대응하여 뱃지가 제공되는 예시적인 화면을 도시한다. 도 25는 탐험 일지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26은 작성된 탐험 일지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5 exemplarily illustrates an initial user interface screen of a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environment. 6 shows an example of a search interface screen for searching for a natural recreation forest through a keyword, and FIG. 7 shows an example of a screen output through a keyword search. FIG. 8 exemplarily illustrates a user interface screen providing detailed information on a natural recreation forest, and FIG. 9 exemplarily illustrates a user interface screen providing course information on a natural recreation forest. 10 exemplarily illustrates a map interface screen provided according to course information selection. 11 exemplarily illustrates a QR code recognition screen for recognizing a QR code located at a starting point. 12 illustrates an exploration interface screen by way of example. FIG. 13 illustratively illustrates an exploration interface screen displayed in a situation where a user explores the course of FIG. 12 . 14 shows an example of a QR code recognition screen for recognizing a QR spot. 15 shows an exemplary screen on which a guide for a QR spot is provided. 16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creen in which a camera is activated to perform a tree finding function. FIG. 17 is an exemplary screen for providing the image captured in FIG. 16 and information on trees recognized in the image. 18 illustratively illustrates a state screen in which tree search is completed. Fig. 19 shows an exemplary tree finding bingo board. 20 illustrates an exemplary screen in which a camera is activated for taking a picture. 21 shows an exemplary screen in which the recorder is activated for voice recording. 22 shows an exemplary screen in which an emergency contact network is activated. 23 illustratively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n exploration is ended and an exploration diary is stored. 24 illustrates an exemplary screen in which a badge is provided in response to writing an exploration log. 25 illustrates an exploration log interface screen by way of example. 26 illustratively illustrates a written exploration diary.

도 5를 참조하면, 자연 휴양림의 이용 가이드 서비스 환경의 초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020)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환경에 처음 접속하였을 때, 제공되는 화면일 수 있으며, 도 5의 사용자는 현재 로그인된 상태일 수 있다. 초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도시하는 상태 인터페이스(1021), 자연 휴양림 검색을 위한 검색 인터페이스(1022), 자연 휴양림을 추천하는 추천 인터페이스(1023) 중 적어도 하나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현재 자연 휴양림에 대한 탐험을 시작하지 않은 상태로 상태 인터페이스(1021)는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이다. 추천 인터페이스(1023)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적절한 자연 휴양림 또는 사용자의 위치에 가장 가까운 자연 휴양림을 추천할 수 있으며, 추천되는 자연 휴양림의 이름, 예시 이미지, 위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5에서, 유명산 자연 휴양림이 예시적으로 추천 인터페이스(1023)에 추천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검색 인터페이스(1022)를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 휴양림 검색을 위한 검색 인터페이스 화면(1030)이 도 6과 같이 새로운 화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initial user interface screen 1020 of the guide service environment for using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may be a screen provided when the user first accesses the guide environment for using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through the user terminal 110. User 5 may be currently logged in. At least one of a state interface 1021 showing the user's current state, a search interface 1022 for searching for natural recreation forests, and a recommendation interface 1023 for recommending natural recreation forests may be provided as the initial user interface screen. The state interface 1021 is not activated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has not started exploring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The recommendation interface 1023 may recommend a natural recreation forest suitable for the user's taste or a natural recreation forest closest to the user's location based on user information, and may provide the name, example image, and location of the recommended natural recreation forest. . In FIG. 5 , it can be seen that Yumyeongsan Mountain Natural Recreation Forest is illustratively recommended in the recommendation interface 1023 . 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search interface 1022, a search interface screen 1030 for searching recreational forests may be provided as a new screen as shown in FIG. 6.

도 6을 참조하면, 검색 인터페이스 화면(1030)은 검색 키워드가 입력되는 입력 인터페이스(1031), 인기 있는 휴양림 순위를 제공하는 휴양림 순위 인터페이스(1032)를 포함하며, 입력 인터페이스(1031)에 키워드 입력 수단(예를 들어, 가상 키보드)가 더 제공될 수 있다. 검색 인터페이스 화면(1030)을 통해 사용자는 이용을 원하는 자연 휴양림을 검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search interface screen 1030 includes an input interface 1031 for inputting search keywords and a recreation forest ranking interface 1032 for providing rankings of popular recreational forests, and a keyword input means in the input interface 1031. (eg, a virtual keyboard) may be further provided. Through the search interface screen 1030, the user can search for a natural recreation forest he or she wants to use.

도 7는 “자연휴양림”을 키워드로 입력하였을 때 출력되는 검색 결과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7를 참조하면, 검색 키워드를 포함하는 자연 휴양림들의 이름, 위치, 예시 이미지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7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earch result screen output when “natural recreation forest” is input as a keyword. Referring to FIG. 7 , it can be seen that names, locations, and example images of natural recreational forests including search keywords are provided to the user.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의 입력부(116)를 통해 추천된 자연 휴양림 또는 검색된 자연 휴양림을 선택하여 선택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선택 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자연 휴양림에 대한 상세 정보와 코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는 추천 또는 검색된 자연 휴양림의 이름 또는 예시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이러한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여 자연 휴양림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user may generate a selection signal by selecting a recommended natural recreation forest or a searched natural recreation forest through the input unit 116 of the user terminal 110 .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may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and course information on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selected by the user in response to a selection signal. For example, a user may select a name or example image of a recommended or searched natural recreation forest, and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may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on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in response to the user's selection.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자연 휴양림의 예시 이미지, 상세 정보, 코스 정보를 추가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도 8를 참조하면, 추가 정보 화면(1040)은 자연 휴양림의 예시 이미지(1041), 자연 휴양림에 대한 상세 정보(1042)를 제공할 수 있다. 상세 정보(1042)는 자연 휴양림의 시설 현황, 운영 시간, 연락처, 객실 이용 안내, 자연 휴양림의 산책로, 편의시설, 프로그램, 주변 관광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may provide example images, detailed information, and course information of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as additional information. Referring to FIG. 8 , an additional information screen 1040 may provide an example image 1041 of a natural recreation forest and detailed information 1042 on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The detailed information 1042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facility status of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operating hours, contact information, room usage information, trails in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convenience facilities, programs, and nearby tourist attractions.

도 9을 참조하면, 코스 정보(1043)는 자연 휴양림에 구성된 각각의 코스의 설명, 난이도, 이용 예상 시간 등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유명산 자연 휴양림은 A 코스, B 코스, C 코스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A 코스를 선택함에 따라 A 코스의 전체적인 이동 경로를 도시하는 지도 인터페이스 화면(1050)가 도 10과 같이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course information 1043 includes a description of each course configured in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difficulty level, expected use time, and the like. Exemplarily, Yumyeongsan Natural Recreation Forest includes Course A, Course B, and Course C, and as the user selects Course A, a map interface screen 1050 showing the entire moving route of Course A is provided as shown in FIG. 10 . can

도 10을 참조하면, 지도 인터페이스 화면(1050)은 선택된 코스의 출발지, 도착지,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의 이동 경로를 도시하는 지도(1051), 선택된 코스에 대한 코스 정보(1052)와 선택된 코스의 탐험을 시작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탐험 시작(1053)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지도(1051)와 코스 정보(1052)를 토대로 해당 코스의 탐험, 이용을 원하는 경우 탐험 시작(1053)을 선택하여 탐험 시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a map interface screen 1050 displays a map 1051 showing the starting point and destination of the selected course and a moving route from the starting point to the ending point, course information 1052 on the selected course, and exploration of the selected course. Exploration start 1053 which generates a signal to start. When the user wants to explore or use the corresponding course based on the map 1051 and the course information 1052, he or she can generate an exploration start signal by selecting an exploration start 1053.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의 출발지에 사용자가 도착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 출발지 도착 여부가 확인되는 경우 탐험 인터페이스 화면(1060)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코스의 출발지에 위치한 QR 코드의 인식을 통해 사용자의 출발지 도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사용자의 탐험 시작 신호에 대응하여 코스의 출발지에 위치한 QR 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코드 인식 화면(1070)을 도 11과 같이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코드 인식 화면(1070)을 통해 출발지에 위치한 QR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QR 코드가 정상적으로 인식되면 사용자가 출발지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하고, 탐험 인터페이스 화면(1060)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출발지 도착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출발지 도착 여부가 확인되는 경우, 탐험 인터페이스 화면(1060)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The natural recreational forest usage guide module 102 may check whether the user has arrived at the starting point of the course selected by the user, and may provide an exploration interface screen 1060 to the user when it is confirmed whether or not the user has arrived at the starting point.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can check whether the user has arrived at the starting point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QR code located at the starting point of the course.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may provide a code recognition screen 1070 capable of recognizing a QR code located at the starting point of a course as shown in FIG. 11 in response to the user's signal to start exploring. The user may recognize the QR code located at the starting point through the code recognition screen 1070. If the QR code is normally recognized,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age guide module 102 may determine that the user has arrived at the starting point and provide an exploration interface screen 1060 to the user.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recognize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to check whether the user has arrived at the starting point, and when the user's arrival at the starting point is confirmed, the exploration interface screen 1060 can be provided to the user.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상기 코스의 경로를 지도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이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상기 지도 상에 표시하는 코스의 경로 안내; 상기 코스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QR 스팟의 QR 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QR 코드 인식 화면을 활성화하기 위한 QR 스캔; 및 상기 코스에 위치한 나무 촬영을 위한 촬영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기 위한 나무 찾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상기 사용자의 탐험 시작부터 현재 시점까지 소요된 시간을 표시하는 탐험 시간 정보; 상기 코스의 경로와 관련된 이동 거리 정보를 나타낸 거리 정보; 상기 사용자의 이동 거리 및 이동 시간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소모한 칼로리를 표시하는 칼로리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활성화하는 카메라 제어 기능; 상기 사용자 단말의 녹음부를 활성화하는 녹음 제어 기능; 및 상기 코스의 휴양림 관리소로 전화 연결을 지원하는 비상 연락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사용자가 선택된 코스를 안내하고 코스와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탐험 인터페이스 화면(1060)을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탐험 인터페이스 화면(1060)은 도 12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The natural recreational forest use guide module 102 includes a course route guide for guiding a user through a map and displaying the user's current location on the map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QR scan for activating a QR code recognition screen for recognizing a QR code of at least one QR spot installed in the course; and a tree finding service for activating a photographing interface for photographing a tree located in the course. In addition,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includes exploration time information displaying the time required from the start of the user's exploration to the current point in time; distance information indicating movement distan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oute of the course; Calorie information displaying calories consumed by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moving distance and moving time; a camera control function for activating a camera of the user terminal; a recording control function for activating a recording unit of the user terminal; And an emergency contact function supporting a phone connection to the recreational forest management office of the course may be further provided. These functions may be provided through an exploration interface screen 1060 that guides a user-selected course and provides various services related to the course, and the exploration interface screen 1060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12 .

도 12를 참조하면, 탐험 인터페이스 화면(1060)은 코스의 경로 안내(1061), 탐험 시간 정보(1062), 거리 정보(1063), 칼로리 정보(1064), 나무 찾기(1065), QR 스캔(1066), 카메라(1067), 녹음(1068), 비상 연락(1069)을 포함하며, 각각의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 the exploration interface screen 1060 includes course route guidance 1061, exploration time information 1062, distance information 1063, calorie information 1064, tree search 1065, and QR scan 1066. ), camera 1067, recording 1068, and emergency contact 1069, and each function can be provided to the user.

코스의 경로 안내(1061)는 전반적인 코스의 경로를 지도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이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오프라인 상의 위치를 추적하여 사용자의 이동을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집되는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가 코스의 경로 안내(1061)에 포함된 지도 상에 표시될 수 있다.The route guide 1061 of the course may guide the user through the entire route of the course through a map, and may track the user's off-line location and display the user's movement on the map. That is,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 the user's current location may be displayed on a map included in the course route guide 1061 .

탐험 시간 정보(1062)는 사용자의 탐험 시작부터 현재 시점까지 소요된 시간을 표시한다. 칼로리 정보(1064)는 사용자의 이동 거리 및 이동 시간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소모한 칼로리를 표시할 수 있다.The exploration time information 1062 indicates the time required from the start of the user's exploration to the current point in time. The calorie information 1064 may display calories consumed by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moving distance and moving time.

본 실시예에 따른 자연 휴양림의 코스는 복수의 QR 스팟을 포함한다. QR 스팟은 자연 휴양림 코스의 주요 지점일 수 있다. 풍경이 좋은 장소, 사찰, 유적지 등이 QR 스팟으로 지정될 수 있다. 도 12의 코스의 경로 안내(1061)를 참조하면, 해당 코스는 3군데의 QR 스팟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탐험 인터페이스 화면(1060)에 표시되는 거리 정보(1063)는 코스의 경로와 관련된 이동 거리 정보를 나타낸다. 거리 정보(1063)는 시작부터 현재까지 사용자가 이동한 거리를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탐험 인터페이스 화면(1060)에 표시되는 거리 정보(1063)는 현재 위치에서 다음 QR 스팟까지의 남은 거리 또는 도착지까지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The course of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QR spots. The QR spot may be a main point of a natural recreation forest course. Places with good scenery, temples, historical sites, etc. may be designated as QR spots. Referring to the route guidance 1061 of the course of FIG. 12 , it can be seen that the corresponding course includes three QR spots. Distance information 1063 displayed on the exploration interface screen 1060 represents movement distance information related to a route of a course. The distance information 1063 may represent a distance traveled by the user from the start to the pres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distance information 1063 displayed on the exploration interface screen 1060 may mean the remaining distance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next QR spot or the distance to the destination.

이러한 QR 스팟은 사용자가 코스 탐험 중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적절한 휴식을 유도할 수 있다. QR 스팟에서도 QR 코드가 배치될 수 있다.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QR 스팟의 QR 코드를 인식하는 것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QR 스팟에 도착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QR 스캔(1066)은 코스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QR 스팟의 QR 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QR 코드 인식 화면(1071)을 활성화할 수 있다. 즉, QR 스팟의 QR 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QR 코드 인식 화면(1071)은 사용자가 QR 스캔(1066)을 선택함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QR 스팟은 사용자의 QR 코드 인식 전/후로 코스의 경로 안내(1061)에 표시되는 아이콘의 색상이 변경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해당 코스의 탐험을 대부분 진행한 상태로, 현재 위치가 도착지와 가까이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두 곳의 QR 스팟의 QR 코드를 인식하고, 한 곳의 QR 스팟의 QR 코드는 인식하지 않은 상태로, QR 코드를 인식한 QR 스팟의 아이콘 색상이 변경된 것을 알 수 있다.This QR spot may be a space where the user can take a break while exploring the course, and may induce the user to take a proper break. A QR code may also be placed in a QR spot. In response to the user recognizing the QR code of the QR spot through the user terminal 110,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may process the user as having arrived at the QR spot. The QR scan 1066 may activate the QR code recognition screen 1071 for recognizing the QR code of at least one QR spot installed on the course. That is, the QR code recognition screen 1071 for recognizing the QR code of the QR spot may be provided as the user selects the QR scan 1066. Here, the QR spot may change the color of an icon displayed on the route guide 1061 of the course before/after recognizing the user's QR code. Referring to FIG. 13 , the user may know that the current location is located close to the destination in a state where most of the exploration of the corresponding course has been performed.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color of the icon of the QR spot recognized by the QR code is changed while the QR codes of two QR spots are recognized and the QR code of one QR spot is not recognized.

도 14과 같은 QR 코드 인식 화면(1071)을 통해 사용자는 QR 스팟의 QR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QR 스팟의 QR 코드가 인식하는 것에 대응하여 해당 QR 스팟의 관련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5와 같이, QR 스팟의 가이드 텍스트, 영상, 이미지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QR 스팟을 통해 사용자의 코스 탐험에 필요한 정보, QR 스팟이 설치된 장소와 관련된 정보가 전달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코스를 즐겁고 유익하게 탐험하는 것이 지원될 수 있다. The user can recognize the QR code of the QR spot through the QR code recognition screen 1071 as shown in FIG. 14 . In addition,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age guide module 102 may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related to the QR spot in response to the QR code of the QR spot being recognized. As shown in FIG. 15, guide text, video, and image of the QR spot may be provided to the user. In this embodiment,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user's course exploration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lace where the QR spot is installed may be delivered through the QR spot, and it may be supported for the user to explore the course in a fun and beneficial way.

나무 찾기(1065)는 사용자의 탐험의 재미를 더욱 증가시키기 위한 부가 서비스에 해당한다. 사용자는 코스를 탐험하던 중 발견한 나무의 정보를 확인하고 싶을 때 나무 찾기(1065)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탐험 인터페이스 화면(1060)의 나무 찾기(1065)를 선택하는 경우 나무 촬영을 위해 사용자 단말(110)의 카메라(114)가 활성화되고, 도 16과 같은 촬영 인터페이스(1073)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탐험 인터페이스 화면(1060)에서, 나무 찾기(1065)는 상기 코스에 위치한 나무 촬영을 위한 촬영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다. 촬영 인터페이스(1073)를 통해 사용자가 나무 이미지를 생성한 경우, 생성된 나무 이미지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로 제공될 수 있다.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수신 받은 나무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여 나무 이미지에 포함된 나무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촬영한 나무가 소나무인 경우,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소나무의 정보를 팝업 창으로 도 17와 같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search tree 1065 corresponds to an additional service for further increasing the fun of the user's exploration. When a user wants to check information on a tree discovered while exploring a course, the user can use the tree finder (1065) service. When the user selects the search tree 1065 of the exploration interface screen 1060, the camera 114 of the user terminal 110 is activated to capture a tree, and a photographing interface 1073 as shown in FIG. 16 is provided to the user. can On the exploration interface screen 1060, the search tree 1065 may be an icon for activating a photographing interface for photographing trees located in the course. When a user creates a tree image through the photographing interface 1073, the created tree image may be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to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age guide module 102. The natural recreational forest use guide module 102 may perform image analysis on the received tree image and provide information on trees included in the tree image to the user. For example, if the tree photographed by the user is a pine tree,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may provide information on the pine tree to the user through a pop-up window as shown in FIG. 17 .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나무 찾기 빙고판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각 코스에 위치하는 복수의 나무들을 찾아 빙고판을 완성하는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사용자가 나무 찾기(1065)를 통해 촬영한 나무 이미지가 나무 찾기 빙고판 게임에 포함된 나무인 경우, 도 18와 같은 팝업 창을 통해 나무 찾기 완료 메시지 및 현재 상태의 나무 찾기 빙고판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나무 찾기 빙고판은 도 19과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6 및 도 17에서 찾은 소나무는 나무 찾기 빙고판에 포함되는 나무인 것을 알 수 있다. 빙고판에서 이미지가 표시되는 판은 나무 찾기가 완료된 상태이고,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판은 나무 찾기가 미완료된 상태이다. 일 실시예에서, 어떠한 나무를 찾아야 되는 지, 나무 찾기 대상 리스트는 출발지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나무 찾기 빙고판 게임은 아이들에게 자연에서 게임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줄 수 있으며 자연 휴양림 탐험에 대한 흥미를 일으킬 수 있다. 즉, 가족과 함께 즐거운 자연 휴양림 탐험이 진행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atural recreational forest usage guide module 10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provide a bingo board game for finding trees. That 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game in which a bingo board is completed by finding a plurality of trees located in each course. If the tree image captured by the user through the tree search 1065 is a tree included in the tree search bingo board game,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displays a tree search completion message and current state through a pop-up window as shown in FIG. 18. At least one of the search tree bingo boards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he tree search bingo board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19, and it can be seen that the pine trees found in FIGS. 16 and 17 are included in the tree search bingo board. In the bingo board, the tree search is completed on the board where the image is displayed, and the tree search is not completed on the board where the image is not displayed. In one embodiment, a list of what trees to find and which trees to find may be provided to the user at the starting point. These tree finder bingo board games can teach children that games can be played in nature and can spark their interest in exploring natural recreation forests.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progress of a pleasant natural recreational forest exploration with the family.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자연 휴양림 코스에 포함된 환경을 자유롭게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탐험 인터페이스 화면(1060)의 카메라(1067)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의 카메라(114)가 활성화되고, 도 20와 같은 촬영 인터페이스(1074)가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될 수 있다. 촬영 인터페이스(1074)를 통해 사용자는 주변 환경을 촬영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카메라(114)를 통해 생성된 이미지,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및 생성 시각은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에 제공될 수 있으며, 자연 휴양림 이용 사이트 모듈(102)은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를 고려하여 코스의 경로에 카메라 촬영이 수행된 지점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첫번째 QR 코드 스팟과 두번째 QR 코드 스팟 사이에서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이 수행한 것을 경로 코스의 경로 안내(1061)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공된 이미지,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및 생성 시각은 매핑되어 데이터베이스(103)에도 저장될 수 있다.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may support generating an image by freely photographing an environment included in a natural recreation forest course. The camera 114 of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activated through the camera 1067 of the exploration interface screen 1060, and a photographing interface 1074 as shown in FIG. 20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photographing interface 1074, a user may create an image of a surrounding environment. The image generated through the camera 114,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creation time may be provided to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and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site module 102 is the user terminal 110 Considering the location, it is possible to mark the point where the camera was taken on the route of the course. Referring to FIG. 13 , it can be confirmed in the route guide 1061 of the route course that a camera was taken between the first QR code spot and the second QR code spot. The image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 and the creation time may be mapp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103 .

또한,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자연 휴양림 코스에 포함된 환경에서 나오는 소리를 자유롭게 녹음하여 음원을 생성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탐험 인터페이스 화면(1060)의 녹음(1068)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의 녹음부(115)가 활성화되어 도 21와 같은 녹음 인터페이스(1075)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녹음 인터페이스(1075)를 통해 사용자는 주변 환경에 들려오는 자연의 소리를 자유롭게 녹음하여 음원을 생성할 수 있다. 녹음부(115)를 통해 생성된 음원,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및 생성 시각은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에 제공될 수 있으며, 자연 휴양림 이용 사이트 모듈(102)은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를 고려하여 코스의 경로에 음원 녹음이 수행된 지점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두번째 QR 코드 스팟과 세번째 QR 코드 스팟 사이에서 녹음부를 이용한 녹음이 수행한 것을 경로 코스의 경로 안내(1061)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제공된 음원,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및 생성 시각은 매핑되어 데이터베이스(103)에도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may support generation of a sound source by freely recording sound coming from an environment included in a natural recreation forest course. The recording unit 115 of the user terminal 110 is activated through the recording 1068 of the exploration interface screen 1060, and a recording interface 1075 as shown in FIG. 21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recording interface 1075, the user can create a sound source by freely recording the sound of nature heard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sound source generated by the recording unit 115,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creation time may be provided to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and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site module 102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10 It is possible to mark the point where sound source recording was performed on the route of the course by considering the position of Referring to FIG. 13 , it can be confirmed in the route guide 1061 of the route course that recording was performed using the recording unit between the second QR code spot and the third QR code spot. The sound source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 and the creation time may be mapp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103 .

또한,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비상시 휴양림 관리소로 전화 연결을 지원하는 비상 연락(1069)을 제공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탐험 인터페이스 화면(1060)의 비상 연락(1069)을 통해 사용자 단말(110)의 통신부(111)가 활성화되어 휴양림 관리소로 전화 연결이 가능할 수 있다.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비상 상황에서 간편한 입력 동작으로 비상 연락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안전한 자연 휴양림 이용을 지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provides an emergency contact 1069 that supports a telephone connection to the recreation forest management office in case of emergency. Referring to FIG. 22 , the communication unit 111 of the user terminal 110 is activated through the emergency contact 1069 of the exploration interface screen 1060, and a phone connection to the recreation forest management office may be possible.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can perform emergency contact with a simple input operation in an emergency situation, thereby supporting the user's safe use of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상술한 탐험 인터페이스 화면(106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따른 사용자의 활동 및 활동에 따른 결과물은 데이터베이스(103)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QR 스팟을 QR 스캔한 경우 QR 스캔을 수행한 시각, QR 스캔에 따른 결과물이 매핑되어 데이터베이스(103)에 저장되고, 사용자가 나무 찾기를 수행한 경우 나무 찾기를 수행한 시각, 결과물이 매핑되어 데이터베이스(103)에 저장되며, 사진 촬영, 음원 녹음을 수행한 경우 이를 수행한 시각 및 결과물(사진, 이미지)이 매핑되어 데이터베이스(103)에 저장될 수 있다. The activity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service provided by the above-described exploration interface screen 1060 and the result of the activity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103 . For example, when the user scans a QR spot, the time at which the QR scan is performed, the result of the QR scan is mapp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103, and when the user performs a tree search, the time at which the tree search is performed , the result is mapp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103, and when taking a picture or recording a sound source, the time and result (photo, image) of performing this may be mapp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103.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도착지에 위치한 QR 코드를 인식하거나, 사용자 단말(11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도착지 도착을 인식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탐험을 완료할 수 있다. 사용자의 탐험이 완료된 경우 도착 시점에 해당하는 코스의 경로 안내(1061), 탐험 시간 정보(1062), 거리 정보(1063), 칼로리 정보(1064)가 데이터베이스(103)에 저장될 수 있다.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may recognize a QR code located at the destination or recognize the user's arrival at the destination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110, and may complete the user's exploration. When the user's exploration is completed, route guidance 1061, exploration time information 1062, distance information 1063, and calorie information 1064 of a course corresponding to the arrival point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103.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탐험이 완료된 사용자에게 탐험 일지를 생성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탐험 일지는 데이터베이스(103)에 기록된 사용자의 활동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도 23과 같이 제목, 메모, 탐험 일지에 적용할 이미지 및 음원을 선택하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이 완료되는 경우 탐험 일지가 생성되게 된다. 탐험 일지는 제목, 메모, 생성 날짜, 탐험 정보, 탐험 경로, 타임 라인, 탐험 영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와 데이터베이스(103)에 저장된 자료를 기초로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이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제목, 메모는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일 수 있으며, 탐험 정보는 데이터베이스(103)에 저장된 탐험 시간 정보, 거리 정보, 칼로리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탐험 경로는 데이터베이스(103)에 저장된 코스의 경로 안내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 타임 라인은 코스 이용 시 사용자의 활동 이력을 시간 별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시간, 장소, 타임 라인을 따라 사진과 오디오를 표시할 수 있다. 탐험 영상은 코스의 탐험 과정 중에 사용자가 촬영한 이미지와 녹음한 음원을 기초로 자동 생성된 영상 파일일 수 있다.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음원을 이미지의 개수에 대응하여 반복 재생되도록 구성하여, 탐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탐험 일지는 데이터베이스(103)에 저장될 수 있으며, 탐험 일지 인터페이스를 통해 확인 및 수정이 가능하다. The natural recreational forest use guide module 102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generating an exploration diary to a user who has completed an exploration. An expedition diary may be created based on the user's activities recorded in the database 103 . As shown in FIG. 23 , an interface for selecting an image and a sound source to be applied to the title, memo, and exploration diary may be provided, and the exploration diary is created when the user's input is completed. The exploration log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title, memo, date of creation, exploration information, exploration route, timeline, and exploration video, and based on the user's input data and data stored in the database 103,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this constitutes Here, the title and memo may be data input by the user, and the explor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exploration time information, distance information, and calori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103 . The exploration route may be configured through route guidance of courses stored in the database 103 . The timeline may display the user's activity history by time when using the course. That is, you can display pictures and audio along time, place, and timeline. The exploration video may be an image file automatically generated based on an image captured by the user and a recorded sound source during the course exploration process.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age guide module 102 may generate an exploration video by configuring a sound source to be repeatedly reproduc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number of images. The created exploration diary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103, and may be checked and modified through an exploration diary interface.

또한, 탐험 일지의 생성에 대응하여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은 사용자에게 뱃지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탐험 완료에 대한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102)에서 제공되는 뱃지는 다양한 종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자연 휴양림 이용 내역에 따라 사용자에게 뱃지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 휴양림을 처음 이용한 경우, 도 24과 같은 산린이 뱃지가 제공될 수 있으며, 자연 휴양림을 복수회 이용한 경우, 탐험왕 뱃지가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response to the generation of the exploration diary,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may provide a badge to the user to reward the user for completing the exploration. The badge provided by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102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types, and the badg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history of using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For example, when a natural recreation forest is used for the first time, a sanrin badge as shown in FIG. 24 may be provided, and when a natural recreation forest is used multiple times, an explorer king badge may be provided.

생성된 탐험 일지는 도 25와 같은 탐험 일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도 26과 같이 생성된 탐험 일지에 대한 열람하거나, 이에 대한 수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created exploration diary can be checked through the exploration diary interface screen as shown in FIG. 25, and the created exploration diary can be viewed or modified as shown in FIG. 26.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시스템(10)은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자연 휴양림을 추천할 수 있어, 사용자의 다양한 자연 휴양림 이용을 지원할 수 있다.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시스템(10)은 클러스터링된 집단에 속하는 사용자들을 기초로 추천 모델을 구현함에 따라 사용자의 취향, 상태가 더 반영된 추천이 가능해지며, 더욱 개인화된 자연 휴양림 추천을 제공할 수 있다.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mmend a natural recreation forest suitable for a user based on user information, and can support the user's use of various natural recreation forests.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system 10 implements a recommendation model based on users belonging to a clustered group, so that a user's taste and condition can be further reflected, and a more personalized natural recreation forest recommendation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시스템(10)은 검색 또는 추천된 자연 휴양림에 대한 상세 정보와 코스 정보와 같은 사용자의 자연 휴양림 선택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자연 휴양림 선택을 지원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age guide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user's selection of a natural recreation forest, such as detailed information and course information on a searched or recommended natural recreation forest, to help the user select a natural recreation forest. can suppor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시스템(10)은 탐험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선택된 자연 휴양림 코스에 대한 안내하고, 가족 모두가 재미있게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코스에 포함된 QR 스팟을 식별하여 QR 스팟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나무 찾기 서비스 및 나무 찾기 빙고 게임을 통해 사용자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코스 탐험을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system 10 for using a natural recreation fore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guide a selected natural recreation forest course through an exploration interface screen and provide various services that can be enjoyed by the whole family. In particular, by identifying the QR spots included in the course, information on the QR spots is provided, and through the tree finding service and the tree finding bingo game, users can be encouraged to actively and actively explore the cours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시스템(10)은 탐험이 완료된 이후 탐험 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탐험 일지를 생성하여, 자연 휴양림 탐험에 대해 사용자들이 추억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탐험 일지 생성 후 사용자에게 뱃지를 제공하며, 추가적인 자연 휴양림 탐험에 대한 동기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users to remember about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exploration by generating an exploration log in which an exploration history can be checked after the exploration is completed. In addition, after creating an exploration journal, a badg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and motivation for additional natural recreation forest exploration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방법은 상술한 서버(100)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 본 실시예의 설명을 위해 도 1 내지 도 26 및 관련 설명이 참조될 수 있다. A guide method for using a natural recreation fores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performed in the above-described server 100, and reference may be made to FIGS. 1 to 26 and related descriptions for a description of this embodimen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방법은 서버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자연 휴양림의 이용을 가이드하는 서비스 환경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환경은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자연 휴양림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것과 사용자의 탐험 시작 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선택된 코스를 안내하고 코스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A guide method for using a natural recreational fores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by a server, user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of a user; and providing, by the server, a service environment for guiding the use of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to the user terminal to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service environment recommends at least one natural recreation forest to the user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and guiding a course selected by the user in response to a user's signal to start exploring and providing a service related to the course.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가 신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위치, 나이, 성별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와 유사한 위치, 유사한 나이, 동일 성별을 가진 추천 대상 집단을 결정하고, 상기 추천 대상 집단의 기간별 선호도에 기초하여 자연 휴양림을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when the user is a new user, the user information includes the location, age, and gender of the user, and a recommendation target group having a similar location, similar age, and gender to the user is determined, and the recommendation target group is determined. A natural recreational forest may be recommended to the user based on the group's preference for each period.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기존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복수의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복수의 클러스터에 대응하여 자연 휴양림을 추천하도록 학습된 복수의 추천 모델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가 기존 사용자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분류된 클러스터에 대응되는 추천 모델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자연 휴양림의 추천이 수행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server configures a plurality of clusters by performing user clustering on existing users, includes a plurality of recommendation models learned to recommend natural recreation forest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lusters, and the user is an existing user. In this case, a natural recreation forest may be recommended to the user through a recommendation model corresponding to the cluster in which the user is classified.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클러스터링은 사용자의 인구통계학적 정보와 사용자의 자연 휴양림 방문 기록에 기초하여 수행되며, 상기 추천 모델은 딥 러닝 기반의 추천 모델이며, 상기 딥 러닝 기반의 추천 모델은 입력된 사용자의 자연 휴양림 방문 기록, 사용자의 인구통계학적 정보 및 자연 휴양림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자연 휴양림에 방문할 확률 값을 계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user cluster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user's demographic information and the user's visit history to a natural recreation forest, the recommendation model is a deep learning-based recommendation model, and the deep learning-based recommendation model is an input user It may be configured to calculate a probability value of visiting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of the user in response to the user's access history to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visit record, the user's demographic information, and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information.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탐험 시작 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선택된 코스를 안내하고 코스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사용자가 선택한 자연 휴양림의 코스의 경로를 지도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이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상기 지도 상에 표시하는 코스의 경로 안내; 상기 코스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QR 스팟의 QR 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QR 코드 인식 화면을 활성화하기 위한 QR 스캔; 및 상기 코스에 위치한 나무 촬영을 위한 촬영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기 위한 나무 찾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guiding a course selected by the user and providing a service related to the course in response to the user's exploration start signal guides the user through a map to the route of the course of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selected by the user and controls the user terminal course guidance for displaying the user's current location on the map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QR scan for activating a QR code recognition screen for recognizing a QR code of at least one QR spot installed in the course; and providing a tree finding service for activating a photographing interface for photographing trees located in the course.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탐험 시작 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선택된 코스를 안내하고 코스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의 탐험 시작부터 현재 시점까지 소요된 시간을 표시하는 탐험 시간 정보; 상기 코스의 경로와 관련된 이동 거리 정보를 나타낸 거리 정보; 상기 사용자의 이동 거리 및 이동 시간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소모한 칼로리를 표시하는 칼로리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활성화하는 카메라 제어 기능; 상기 사용자 단말의 녹음부를 활성화하는 녹음 제어 기능; 및 상기 코스의 휴양림 관리소로 전화 연결을 지원하는 비상 연락 기능을 더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guiding a course selected by the user and providing a service related to the course in response to the user's exploration start signal includes exploration time information indicating a time required from the start of the user's exploration to a current point; distance information indicating movement distan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oute of the course; Calorie information displaying calories consumed by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moving distance and moving time; a camera control function for activating a camera of the user terminal; a recording control function for activating a recording unit of the user terminal; And it may include further providing an emergency contact function supporting a phone connection to the recreational forest management office of the course.

실시예에서, 상기 코스의 경로 안내, 상기 QR 스캔, 상기 나무 찾기 서비스, 상기 탐험 시간 정보; 상기 거리 정보; 상기 칼로리 정보; 상기 카메라 제어 기능; 상기 녹음 제어 기능; 및 상기 비상 연락 기능은 탐험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제공되며, 상기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은 코스의 출발지에 위치한 QR 코드의 인식을 통해 사용자의 출발지 도착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출발지 도착 여부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탐험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route guidance of the course, the QR scan, the tree finding service, and the exploration time information; the distance information; the calorie information; the camera control function; the recording control function; And the emergency contact function is provided through an exploration interface screen, and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checks whether the user has arrived at the starting point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QR code located at the starting point of the course, and if the user's arrival at the starting point is confirmed The exploration interface screen may be provided.

실시예에서, 상기 비상 연락 기능은 상기 코스의 휴양림 관리소로 전화 연결을 지원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emergency contact function may support a phone connection to the recreation forest management office of the course.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탐험 시작 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선택된 코스를 안내하고 코스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상기 촬영 인터페이스를 통해 촬영된 나무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 받고, 전달 받은 나무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여 나무 이미지에 포함된 나무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guiding a course selected by the user and providing a service related to the course in response to the user's exploration start signal is to receive a tree image captured through the photographing interface from the user terminal, and to display the received tree image. It may include performing image analysis on the tree image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tree included in the tree image to the user.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탐험 시작 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선택된 코스를 안내하고 코스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상기 코스에 위치하는 복수의 나무들을 찾아 빙고판을 완성하는 나무 찾기 빙고판 게임을 더 제공하는 것과 사용자가 상기 나무 찾기를 통해 촬영한 나무 이미지가 상기 나무 찾기 빙고판 게임에 포함된 나무인 경우, 나무 찾기 완료 메시지 및 현재 상태의 나무 찾기 빙고판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guiding a course selected by the user and providing a service related to the course in response to the user's exploration start signal is a tree finding bingo board game in which a plurality of trees located in the course are found and a bingo board is completed. Further providing, when the tree image captured by the user through the tree finding is a tree included in the tree finding bingo board game, providing the user with at least one of a tree finding completion message and a tree finding bingo board in the current state. can include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탐험 시작 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선택된 코스를 안내하고 코스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상기 탐험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따른 사용자의 활동 및 활동에 따른 결과물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코스에 대한 탐험이 완료된 사용자에게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사용자의 활동에 기초하여 탐험 일지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guiding a course selected by the user and providing a service related to the course in response to the user's exploration start signal is to store the user's activity according to the service provided on the exploration interface screen and the result of the activity in the database. and generating an exploration diary based on the user's activity recorded in the database for the user who has completed the exploration of the course.

실시예에서, 상기 탐험 일지는 탐험 영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탐험 영상은 코스의 탐험 과정 중에 사용자가 촬영한 이미지와 녹음한 음원을 기초로 자동 생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exploration diary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xploration video, and the exploration video may be automatically generated based on an image captured by a user and a recorded sound source during a course exploration process.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탐험 시작 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선택된 코스를 안내하고 코스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상기 탐험 일지의 생성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뱃지를 제공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guiding a course selected by the user and providing a service related to the course in response to the user's exploration start signal may further include providing a badge to the user in response to generation of the exploration diary. .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방법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방법에 의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술한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 세트로 구성되며, 상기 컴퓨터의 형태에 따라 그 명칭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의 형태가 스마트 폰인 경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앱으로 지칭될 수 있다.The operation by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etho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at least partially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implementing operations by a guide method for using a natural recreation forest according to embodiments is recorded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storing data readable by a computer.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nd a card-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RAM, ROM, etc. In addition,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may be distributed in computer system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and computer-readable codes may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is embodimen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embodiment belongs. The computer program is composed of a command set that can be executed in the above-described computer, and its name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computer. For example, when the computer is a smart phone, the computer program may be referred to as an app.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is embodiment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is embodiment.

10: 자연 휴양림 추천 및 안내 시스템
100: 서버
110: 사용자 단말
10: Natural recreation forest recommendation and guidance system
100: server
110: user terminal

Claims (15)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모듈;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자연 휴양림의 이용을 가이드하는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고,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자연 휴양림을 사용자에게 추천하도록 구성되는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 및
복수의 자연 휴양림 정보와 상기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서버.
A communication module configured to exchange data with a user's use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configured to provide a service environment for guiding use of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to the user terminal and to recommend at least one natural recreation forest to the user based on input user information; and
A server comprising a plurality of natural recreation forest information and a database in which the user information is stor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신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위치, 나이, 성별을 포함하고,
상기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은 상기 사용자와 유사한 위치, 유사한 나이, 동일 성별을 가진 추천 대상 집단을 결정하고, 상기 추천 대상 집단의 기간별 선호도에 기초하여 자연 휴양림을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According to claim 1,
If the user is a new user, the user information includes the user's location, age, and gender;
The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determines a recommendation target group having a similar location, age, and gender to the user, and recommends a natural recreation forest based on the preference for each period of the recommendation target group.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은 기존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복수의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복수의 클러스터에 대응하여 자연 휴양림을 추천하도록 학습된 복수의 추천 모델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가 기존 사용자인 경우, 상기 사용자가 분류된 클러스터에 대응되는 추천 모델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자연 휴양림의 추천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According to claim 1,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includes a plurality of recommendation models learned to configure a plurality of clusters by performing user clustering on existing users and to recommend natural recreation forest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clusters,
If the user is an existing user, the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a natural recreation forest is recommended to the user through a recommendation model corresponding to a cluster into which the user is classified.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클러스터링은 사용자의 인구통계학적 정보와 사용자의 자연 휴양림 방문 기록에 기초하여 수행되며,
상기 추천 모델은 딥 러닝 기반의 추천 모델이며,
상기 딥 러닝 기반의 추천 모델은 입력된 사용자의 자연 휴양림 방문 기록, 사용자의 인구통계학적 정보 및 자연 휴양림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자연 휴양림에 방문할 확률 값을 계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According to claim 3,
The user cluster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user's demographic information and the user's visit record to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The recommendation model is a deep learning-based recommendation model,
The deep learning-based recommendation model is configured to calculate a probability value of visiting the user's natural recreation forest in response to the user's access history to the user's natural recreation forest, the user's demographic information, and the user's accessibility information to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erv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은,
사용자가 선택한 자연 휴양림의 코스의 경로를 지도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이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상기 지도 상에 표시하는 코스의 경로 안내; 상기 코스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QR 스팟의 QR 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QR 코드 인식 화면을 활성화하기 위한 QR 스캔; 및 상기 코스에 위치한 나무 촬영을 위한 촬영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기 위한 나무 찾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According to claim 1,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Course route guidance for guiding a user to a course of a natural recreation forest selected by a user through a map and displaying the user's current location on the map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QR scan for activating a QR code recognition screen for recognizing a QR code of at least one QR spot installed in the course; and a server providing a tree finding service for activating a photographing interface for photographing trees located in the cours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탐험 시작부터 현재 시점까지 소요된 시간을 표시하는 탐험 시간 정보; 상기 코스의 경로와 관련된 이동 거리 정보를 나타낸 거리 정보; 상기 사용자의 이동 거리 및 이동 시간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소모한 칼로리를 표시하는 칼로리 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활성화하는 카메라 제어 기능; 상기 사용자 단말의 녹음부를 활성화하는 녹음 제어 기능; 및 상기 코스의 휴양림 관리소로 전화 연결을 지원하는 비상 연락 기능을 더 제공하는, 서버.
According to claim 5,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exploration time information indicating a time required from the start of the user's exploration to a current point in time; distance information indicating movement distanc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oute of the course; Calorie information displaying calories consumed by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moving distance and moving time; a camera control function for activating a camera of the user terminal; a recording control function for activating a recording unit of the user terminal; and a server further providing an emergency contact function supporting a telephone connection to the recreational forest management office of the cours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코스의 경로 안내, 상기 QR 스캔, 상기 나무 찾기 서비스, 상기 탐험 시간 정보; 상기 거리 정보; 상기 칼로리 정보; 상기 카메라 제어 기능; 상기 녹음 제어 기능; 및 상기 비상 연락 기능은 탐험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제공되며,
상기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은 코스의 출발지에 위치한 QR 코드의 인식을 통해 사용자의 출발지 도착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출발지 도착 여부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탐험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According to claim 6,
route guidance of the course, the QR scan, the tree finding service, and the exploration time information; the distance information; the calorie information; the camera control function; the recording control function; And the emergency contact function is provided through an exploration interface screen,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checks whether the user has arrived at the starting point through recognition of a QR code located at the starting point of the course, and provides the exploration interface screen when the user's arrival at the starting point is confirmed. Server.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연락 기능은 상기 코스의 휴양림 관리소로 전화 연결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According to claim 7,
Characterized in that the emergency contact function supports a telephone connection to the recreational forest management office of the cours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은,
상기 촬영 인터페이스를 통해 촬영된 나무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 받고, 전달 받은 나무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여 나무 이미지에 포함된 나무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According to claim 5,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The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receive a tree image captured through the photographing interface from a user terminal, perform image analysis on the received tree image, and provide information on a tree included in the tree image to a user.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은 상기 코스에 위치하는 복수의 나무들을 찾아 빙고판을 완성하는 나무 찾기 빙고판 게임을 더 제공하며,
사용자가 상기 나무 찾기를 통해 촬영한 나무 이미지가 상기 나무 찾기 빙고판 게임에 포함된 나무인 경우, 나무 찾기 완료 메시지 및 현재 상태의 나무 찾기 빙고판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According to claim 5,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further provides a tree finding bingo board game in which a bingo board is completed by finding a plurality of trees located on the course,
If the tree image captured by the user through the tree finding is a tree included in the tree finding bingo board game, at least one of a tree finding completion message and a current state tree finding bingo board are provided to the user. do, server.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은 탐험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따른 사용자의 활동 및 활동에 따른 결과물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코스에 대한 탐험이 완료된 사용자에게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사용자의 활동에 기초하여 탐험 일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According to claim 7,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stores the user's activities according to the service provided on the exploration interface screen and the results of the activities in a database, and provides the user who has completed the exploration of the course based on the user's activities recorded in the databas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rver generates an exploration log.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탐험 일지는 탐험 영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탐험 영상은 코스의 탐험 과정 중에 사용자가 촬영한 이미지와 녹음한 음원을 기초로 자동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According to claim 11,
The exploration log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xploration video,
The exploration video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utomatically generated based on the image captured by the user and the sound source recorded during the course exploration process.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모듈은 상기 탐험 일지의 생성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뱃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According to claim 11,
Characterized in that, the natural recreation forest use guide module provides a badge to the user in response to the generation of the exploration diary.
서버가,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자연 휴양림의 이용을 가이드하는 서비스 환경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환경은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자연 휴양림을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것과 사용자의 탐험 시작 신호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선택된 코스를 안내하고 코스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방법.
Receiving, by a server, user information from a user terminal of a user; and
Providing, by the server, a service environment for guiding the use of a natural recreation forest to the user terminal to the user terminal,
The service environment includes recommending at least one natural recreation forest to the user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guiding a course selected by the user in response to the user's exploration start signal, and providing a service related to the course. How to guide.
제14 항에 따른 자연 휴양림 이용 가이드 방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o execute the guide method for using a natural recreation forest according to claim 14.
KR1020210120367A 2021-09-09 2021-09-09 System for guiding the use of natural recreation forest KR2023003773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367A KR20230037738A (en) 2021-09-09 2021-09-09 System for guiding the use of natural recreation for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367A KR20230037738A (en) 2021-09-09 2021-09-09 System for guiding the use of natural recreation fores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738A true KR20230037738A (en) 2023-03-17

Family

ID=85872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367A KR20230037738A (en) 2021-09-09 2021-09-09 System for guiding the use of natural recreation fore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773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4288B2 (en) Recommendation of media content items based on geolocation and venue
US943049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a digital celebrity map tour guide
US20230306052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tity extraction and disambiguation
JP4725038B2 (en) Content sharing system and content importance determination method
US20160041981A1 (en) Enhanced cascaded object-related content provision system and method
US20100088631A1 (en) Interactive metro guide map and portal system, methods of operation, and storage medium
US20170097984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knowledge representation
US201402896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d users to comment on webpage content for display on remote websites
US2016033527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rating celebrities for generating a digital celebrity map tour guide
US20120046858A1 (en) Organizing media data us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60133304A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user review
CN105874452A (en) Point of interest tagging from social feeds
KR20140027011A (en) Method and server for recommending friends, and terminal thereof
JP5118431B2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US9417084B2 (en) Method and navigation device for providing at least one route
JP2019185612A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KR20110075207A (en) Virtual spa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US11847180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mmending location-based digital content
KR20230037738A (en) System for guiding the use of natural recreation forest
JP2001194162A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for realizing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navigation device
JP4760882B2 (en) Aggregated content generation apparatus, aggregated content generation program, aggregated content generation method, and system
KR101970294B1 (en) Item recommend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excuting the method
TWI806207B (en) Method and system for initiating a location-based topic
CN112115284B (en) Multimedia recommenda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170007514A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user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