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7283A -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7283A
KR20230037283A KR1020210120430A KR20210120430A KR20230037283A KR 20230037283 A KR20230037283 A KR 20230037283A KR 1020210120430 A KR1020210120430 A KR 1020210120430A KR 20210120430 A KR20210120430 A KR 20210120430A KR 20230037283 A KR20230037283 A KR 20230037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injector
rubber washer
lower extension
leakage
prev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0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5656B1 (ko
Inventor
박정환
이현직
서경식
장지환
손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210120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656B1/ko
Publication of KR20230037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7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1/00Fuel-injec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 F02M61/16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61/02 - F02M61/14
    • F02M61/168Assembling; Disassembling; Manufacturing; Adju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5/00Testing fuel-injection apparatus, e.g. testing injection timing ; Cleaning of fuel-injection apparatus
    • F02M65/006Measuring or detecting fuel leakage of fuel injec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85Mounting of fuel injection apparatus
    • F02M2200/858Mounting of fuel injection apparatus sealing arrangements between injector and eng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인젝터와 실린더헤드 사이의 기밀도를 높여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는, 실린더헤드(120)에 형성된 장착공(122)에 하우징(72)과 캐리어(62)가 끼워져 장착되고, 연소실내로 연료를 분사하는 연료인젝터에 있어서, 상기 연료인젝터의 외측에 끼워지는 러버와셔(100)는, 링형태의 메탈(112); 러버를 재질로 하여 상기 메탈(112)을 감싸고 상부면이 상기 하우징(72)의 일측에 접촉되는 지지부(102); 및 상기 지지부(102)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부(102)의 내측둘레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료인젝터의 외측면을 기밀시키는 하부연장부(1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 및 그 조립방법{FUEL INJECTOR FOR PREVENTION LEAKAGE AND ASSEMBLING METHOD OF THE FUEL INJECTOR}
본 발명은 엔진에 장착되어 실린더로 연료를 분사하는 연료인젝터에 관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인젝터와 실린더헤드 사이의 기밀도를 높여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엔진의 실린더로 연료를 분사하는 연료인젝터는 실린더헤드에 장착된다.
상기 연료인젝터를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실린더헤드에 상기 연료인젝터를 장착하기 위해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에 상기 연료인젝터가 장착된다.
상기 연료인젝터의 외측에는 상기 연료인젝터와 상기 실린더헤드 사이를 기밀시키는 실링이 장착되는데, 상기 실링은 니들바의 하단에 인접한 부위에 장착되고 있어서, 열변형에 취약하다. 즉, 상기 엔진의 연소로 발생한 열이 상기 연료인젝터의 하단 또는 상기 실린더헤드로부터 전달되기 쉬우므로, 연소에 의한 열로 쉽게 열변형이 발생한다. 이러한 열변형은 상기 연료인젝터와 상기 실린더헤드 사이의 기밀 불량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US 6213413 B1 (2001.04.10, 명칭 : Fuel injection valv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uel injection valv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실린더헤드와 연료인젝터 사이의 기밀을 향상시킨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는, 실린더헤드에 형성된 장착공에 하우징과 캐리어가 끼워져 장착되고, 연소실내로 연료를 분사하는 연료인젝터에 있어서, 상기 연료인젝터의 외측에 끼워지는 러버와셔는, 링형태의 메탈; 상기 메탈을 감싸고 상부면이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접촉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부의 내측둘레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료인젝터의 외측면을 기밀시키는 하부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연장부는, 상기 러버와셔가 상기 연료인젝터의 외측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연료인젝터의 내측면으로 가압되는 포밍과정으로 상기 연료인젝터의 외측면을 실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연장부는, 상기 하부연장부의 외주에 형성되는 하부외주면은 상기 장착공의 내측에 밀착되고, 상기 하부연장부의 내주에 형성되는 하부내주면은 내주 상기 연료인젝터의 외측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돌출되게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러버와셔는 그 내측면에, 상기 러버와셔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러버와셔가 상기 연료인젝터에 삽입된 후 포밍되기 전까지 상기 러버와셔를 상기 돌기부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연장부는 상기 러버와셔가 상기 연료인젝터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돌기부가 형성된 부위를 가압하여 포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부연장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연료인젝터의 축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는 보강부와 상기 하부연장부의 경계부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러버와셔의 내측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연장부의 외경은 상기 장착공의 내경보다 크게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연장부의 외경은 상기 하부연장부의 외주에 형성되는 하부외주면을 가압하여 포딩된 후, 상기 장착공의 내경으로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리어의 외측면에 돌출되게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러버와셔는 그 내측면에, 상기 러버와셔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러버와셔가 상기 연료인젝터에 삽입된 후 포밍되기 전까지 상기 러버와셔를 상기 돌기부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연장부는 상기 러버와셔가 상기 연료인젝터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돌기부가 형성된 부위를 가압하여 포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의 조립방법은, 러버와셔의 중심으로 연료인젝터를 관통시켜, 상기 연료인젝터의 하우징의 외측에 상기 러버와셔가 위치하도록 러버와셔를 장착하는 러버와셔 장착단계; 및 상기 러버와셔의 내측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하부연장부의 외측을 가압하여 포밍함으로써, 상기 하부연장부의 내측면인 하부내주면이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러버와셔 포밍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러버와셔 장착단계와 상기 러버와셔 포밍단계 사이에, 비전검사를 통하여, 상기 하부내주면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 사이에 일정한 간극을 갖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러버와셔가 정위치에 장착되었는지는 검사하는 장착후 비전검사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러버와셔 포밍단계 이후, 비전검사를 통하여, 상기 하부내주면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지 않는지를 검사하는 포밍후 비전검사단계가 더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 및 그 조립방법에 따르면, 실링의 존재와 무관하게 러버와셔에 의해 연료인젝터와 실린더헤드 사이의 기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니들바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에 설치된 러버와셔로 기밀이 달성됨에 따라 연소실과 이격되어 연소에 의해 발생한 열에 의해 열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료인젝터와 상기 실린더헤드 사이에서 누설을 완전치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에서 러버와셔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에서 러버와셔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에서 러버와셔의 장착과 포밍이 수행되는 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에서 러버와셔의 장착과 포밍이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에 의해 기밀이 달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에서 하우징과 캐리어의 외측에 각각 돌기부가 형성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의 조립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 및 그 조립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는, 실린더헤드(120)에 형성된 장착공(122)에 하우징(72)과 캐리어(62)가 끼워져 장착되고, 연소실내로 연료를 분사하는 연료인젝터에서, 상기 연료인젝터의 외측에 끼워지는 러버와셔(100)는, 링형태의 메탈(112)과, 러버를 재질로 하여 상기 메탈(112)을 감싸고 상부면이 상기 하우징(72)의 일측에 접촉되는 지지부(102)와, 상기 지지부(102)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부(102)의 내측둘레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료인젝터의 외측면을 기밀시키는 하부연장부(105)를 포함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인젝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연료인젝터는 하우징(72)과 캐리어(62)에 의해 니들바(80)이 승강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상기 니들바(80)의 승강을 위해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아마추어(60)와 마그네틱코어(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니들바(80)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스프링(30)과, 상기 아마추어(60)와 상기 니들바(80)를 구속하기 위하여, 상기 아마추어(6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스토퍼(50)와 포지션링(7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아마추어(60)의 내부에 상기 밸브폐쇄시 상기 아마추어(60)와 상기 포지션링(70)의 충돌로 인한 바운싱을 저감하기 위한 댐퍼스프링(40)과 상기 가압스프링(30)의 상단을 구속하는 슬리브(10)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연료인젝터는 실린더헤드(120)에 형성된 장착공(122)의 내부에 장착되어, 엔진의 연소실의 연소에 필요한 연료를 분사한다.
상기 연료인젝터와 상기 장착공(122) 사이에는 실링을 위하여, 상기 연료인젝터의 하부에 씰링(90)에 장착되고, 중간부분에 러버와셔(100)가 장착된다.
상기 러버와셔(100)는, 링형태의 메탈(112)과, 상기 메탈(112)을 감싸는 지지부(102)와, 상기 러버와셔(100)의 중심에서 하향연장되는 하부연장부(105)를 포함한다.
메탈(112)은 금속을 재질로 하여 링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러버와셔(100)에 강성을 부여하여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부(102)는 상기 러버를 재질로 하여 상기 메탈(112)을 감싼다. 상기 지지부(102)는 상기 메탈(112)의 둘레, 즉 단면에서 보면 상기 메탈(112)의 상부면, 내측면 및 외측면을 감싼다. 또한, 상기 지지부(102)는 상기 연료인젝터의 축중심을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부(102)는 상기 메탈(112)과 상기 하우징(72) 사이, 특히 상기 하우징(72)의 단면에서 수직한 면에서 수평하게 변경되는 부위의 하부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102)는 상기 연료인젝터의 작동시 상하방향으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연장부(105)는 상기 지지부(102)의 내측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하부연장부(105)는 상기 연료인젝터와 상기 실린더헤드 사이를 기밀시키도록 한다. 상기 하부연장부(105)는, 그 외주와 내주에 각각 하부외주면(110)과 하부내주면(106)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외주면(110)과 상기 하부내주면(106)은
예컨대, 상기 러버와셔(100)에서 상기 하부연장부(105)는 상기 하우징(72)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료인젝터에 끼워진 후, 상기 하부연장부(105)를 외측을 가압하는 포밍공정을 통하여 상기 하부연장부(105)가 상기 하우징(72)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장착공(122)에서 상기 연료인젝터의 외측면과 상기 실린더헤드(120) 사이를 완전히 기밀되도록 한다.
즉, 상기 하부연장부(105)는 상기 하부외주면(110)을 가압하면, 고무재질의 상기 하부연장부(105)는 상기 하부연장부(105)의 상기 하부내주면(106)이 상기 하우징(72)의 외측면과 밀착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하부연장부(105)와 상기 하우징(72) 사이는 기밀이 완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연장부(105)와 상기 장착공(122) 사이에서도 기밀이 완성된다.
상기 하부연장부(105)과 상기 지지부(102)가 만나는 부위의 내측으로는 상기 연료인젝터의 축중심을 향하여 돌출되는 보강부(103)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103)는 상기 연료인젝터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하부연장부(105)과 상기 지지부(102)가 만나는 부위를 보강하여, 상기 지지부(102)와 상기 하부연장부(105)가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상기 지지부(102)의 외측으로는 상기 러버와셔(100)에서 최대 외경을 갖는 상부외주면(108)이 된다.
결합부(104)는 상기 하부연장부(105)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연료인젝터의 축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는 보강부(103)와 상기 하부연장부(105)의 경계부위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04)는 상기 러버와셔(100)의 내측면에 돌출됨으로써, 상기 러버와셔(100)가 상기 하우징(72)의 외부에 장착된 후로부터 상기 러버와셔(100)가 포밍되기 전까지, 상기 러버와셔(100)가 상기 하우징(72)의 외측에 둘레를 따라 형성된 돌기부(114)에 결합되어, 상기 러버와셔(100)가 상기 연료인젝터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결합부(104)는 상기 러버와셔(100)의 내측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어, 복수의 지점에서 상기 러버와셔(100)가 상기 연료인젝터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러버와셔(100)는 상기 메탈(112)을 제외한 나머지는 동일한 재질, 즉 러버를 재질로 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러버와셔(100)에서 상기 하부연장부(105)의 외경은 제조시, 상기 장착공(122)보다 크게 제조된다. 즉, 도 4에서 상기 하부연장부(105)의 외경인 A는 상기 장착공(122)의 내경인 B보다 크다(A>B). 하지만, 상기 하부연장부(105)의 외측을 상기 하우징(72) 쪽을 가압하여 상기 러버와셔(100)를 포밍하면, 포밍에 의해 상기 하부연장부(105)의 외경이 축소되어, 상기 하부연장부(105)의 외경은 상기 장착공(122)의 내경과 같아진다(도 7에서, A'=B).
이와 같이, 상기 러버와셔(100)에 하부연장부(105)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연장부(105)를 가압하여, 하우징(72)에 밀착시키는 포밍을 하면, 상기 러버와셔(100)에서 상기 하부내주면(106)은 상기 하우징(72)의 외측면과 기밀되고, 상기 하부외주면(110)은 상기 장착공(122)과 기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소실 내의 고압의 연소가스가 상기 연료인젝터의 외측을 통하여 누설되지 않는다(도 7 참조).
또한, 상기 연료인젝터의 하부에 설치된 씰링(90)은 고열에 노출되어, 시간이 흐를수록 기밀성능이 저하될 수 있지만, 상기 러버와셔(100)는 연소실과 이격되어 있어서, 열화로 인한 기밀성능 저하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러버와셔(100)의 하부연장부(105)가 상기 캐리어(62)외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62)의 외측면에 돌기부(116)를 형성하고, 상기 러버와셔(100)를 장착시킨다. 이후, 상기 하부연장부(105)의 외측을 가압하는 포밍과정을 통하여 상기 하부연장부(105)를 상기 캐리어(62)의 외측에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하부연장부(105)가 상기 장착공(122)과 상기 캐리어(62) 사이를 완전 기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의 조립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러버와셔 장착단계(S110)는, 러버와셔(100)의 중심으로 연료인젝터를 관통시켜, 상기 연료인젝터의 하우징(72)의 외측에 상기 러버와셔(100)가 위치하도록 러버와셔(100)를 장착시킨다.
상기 러버와셔(100)를 상기 연료인젝터가 관통하도록 하여, 상기 러버와셔(100)가 상기 연료인젝터의 외측,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연료인젝터의 하우징(72)의 하부 외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러버와셔(100)의 내측면, 즉 상기 하부내주면(106)과 상기 하우징(72)의 외측면 사이, 특히, 상기 하부내주면(106)과 상기 돌기부(114) 사이에 일정한 간극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104)가 상기 돌기부(114)의 위에 위치하고 있어서, 상기 러버와셔(100)는 포밍전까지 상기 연료인젝터에 임시로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장착후 비전검사단계(120)를 통하여 상기 러버와셔(100)가 상기 연료인젝터의 외측에 정위치로 장착되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러버와셔(100)가 상기 연료인젝터의 하우징(72)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러버와셔(100)의 내측면, 즉 상기 하부내주면(106)과 상기 하우징(72)의 외측면 사이에 일정한 간극이 형성된다. 비전검사를 통하여, 상기 간극으로 인한 공간이 있는지, 그리고 상기 공간의 간극이 일정하게 형성되었는지를 검사하여, 상기 러버와셔(100)가 제대로 장착되었는지를 검사한다.
러버와셔 포밍단계(S130)는 상기 러버와셔(100)의 내측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하부연장부(105)의 외측을 가압하여 포밍함으로써, 상기 하부연장부(105)의 내측면인 하부내주면(106)이 상기 하우징(72)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하부연장부(105)의 외측, 즉 상기 하부외주면(110)를 가합하면, 고무재질인 상기 하부연장부(105)는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하우징(72)의 외측면에 밀착된다. 고무재질의 상기 하부연장부(105)가 상기 하우징(72)에 밀착되면, 상기 러버와셔(100)와 상기 하우징(72)의 사이에는 공기가 누설되지 않는 상태로 완전히 기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러버와셔 포밍단계(S130)가 수행된 이후에도, 비전검사를 통하여, 상기 하부내주면(106)과 상기 하우징(72)의 외측면 사이에 간극이 있는지를 검사한다. 상기 러버와셔(100)의 포밍이 완료된 상태이므로, 상기 하부내주면(106)과 상기 하우징(72)의 외측면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지 않는다.
10 : 슬리브 20 : 마그네틱코어
30 : 가압스프링 40 : 댐퍼스프링
50 : 스토퍼 60 : 아마추어
62 : 캐리어 70 : 포지션링
72 : 하우징 80 : 니들바
90 : 씰링 100 : 러버와셔
102 : 지지부 103 : 보강부
104 : 결합부 105 : 하부연장부
106 : 내주면 108 : 상부외주면
110 : 하부외주면 112 : 메탈
114 : 돌기부 116 : 돌기부
120 : 실린더헤드 S110 : 러버와셔 장착단계
S120 : 장착후 비전검사단계 S130 : 러버와셔 포밍단계
S140 : 포밍후 비전검사단계

Claims (14)

  1. 실린더헤드에 형성된 장착공에 하우징과 캐리어가 끼워져 장착되고, 연소실내로 연료를 분사하는 연료인젝터에 있어서,
    상기 연료인젝터의 외측에 끼워지는 러버와셔는,
    링형태의 메탈;
    상기 메탈을 감싸고 상부면이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접촉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부의 내측둘레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료인젝터의 외측면을 기밀시키는 하부연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연장부는,
    상기 러버와셔가 상기 연료인젝터의 외측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연료인젝터의 내측면으로 가압되는 포밍과정으로 상기 연료인젝터의 외측면을 실링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연장부는,
    상기 하부연장부의 외주에 형성되는 하부외주면은 상기 장착공의 내측에 밀착되고,
    상기 하부연장부의 내주에 형성되는 하부내주면은 내주 상기 연료인젝터의 외측에 밀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돌출되게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러버와셔는 그 내측면에, 상기 러버와셔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러버와셔가 상기 연료인젝터에 삽입된 후 포밍되기 전까지 상기 러버와셔를 상기 돌기부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연장부는 상기 러버와셔가 상기 연료인젝터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돌기부가 형성된 부위를 가압하여 포밍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하부연장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연료인젝터의 축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는 보강부와 상기 하부연장부의 경계부위에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러버와셔의 내측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연장부의 외경은 상기 장착공의 내경보다 크게 제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연장부의 외경은 상기 하부연장부의 외주에 형성되는 하부외주면을 가압하여 포딩된 후, 상기 장착공의 내경으로 축소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의 외측면에 돌출되게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러버와셔는 그 내측면에, 상기 러버와셔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러버와셔가 상기 연료인젝터에 삽입된 후 포밍되기 전까지 상기 러버와셔를 상기 돌기부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연장부는 상기 러버와셔가 상기 연료인젝터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돌기부가 형성된 부위를 가압하여 포밍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
  12. 러버와셔의 중심으로 연료인젝터를 관통시켜, 상기 연료인젝터의 하우징의 외측에 상기 러버와셔가 위치하도록 러버와셔를 장착하는 러버와셔 장착단계; 및
    상기 러버와셔의 내측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하부연장부의 외측을 가압하여 포밍함으로써, 상기 하부연장부의 내측면인 하부내주면이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러버와셔 포밍단계;
    를 포함하는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의 조립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와셔 장착단계와 상기 러버와셔 포밍단계 사이에,
    비전검사를 통하여, 상기 하부내주면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 사이에 일정한 간극을 갖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러버와셔가 정위치에 장착되었는지는 검사하는 장착후 비전검사단계가 수행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의 조립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와셔 포밍단계 이후,
    비전검사를 통하여, 상기 하부내주면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지 않는지를 검사하는 포밍후 비전검사단계가 더 수행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의 조립방법.
KR1020210120430A 2021-09-09 2021-09-09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 및 그 조립방법 KR102605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430A KR102605656B1 (ko) 2021-09-09 2021-09-09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 및 그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430A KR102605656B1 (ko) 2021-09-09 2021-09-09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 및 그 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283A true KR20230037283A (ko) 2023-03-16
KR102605656B1 KR102605656B1 (ko) 2023-11-23

Family

ID=85985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430A KR102605656B1 (ko) 2021-09-09 2021-09-09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 및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565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3413B1 (en) 1998-09-14 2001-04-1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Fuel injection valv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uel injection valve
KR20110063177A (ko) * 2009-12-04 2011-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젝터를 구비한 직분사 엔진
CN207892752U (zh) * 2017-12-29 2018-09-21 台州吉利罗佑发动机有限公司 喷油器垫片及喷油器安装装置
JP2018204485A (ja) * 2017-06-01 2018-12-27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シリンダヘッド及び内燃機関
JP2019120246A (ja) * 2018-01-11 2019-07-22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パッキンおよび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3413B1 (en) 1998-09-14 2001-04-1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Fuel injection valv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uel injection valve
KR20110063177A (ko) * 2009-12-04 2011-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젝터를 구비한 직분사 엔진
JP2018204485A (ja) * 2017-06-01 2018-12-27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シリンダヘッド及び内燃機関
CN207892752U (zh) * 2017-12-29 2018-09-21 台州吉利罗佑发动机有限公司 喷油器垫片及喷油器安装装置
JP2019120246A (ja) * 2018-01-11 2019-07-22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パッキンおよび取付構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S 6213413 B1 (2001.04.10, 명칭 : Fuel injection valv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uel injection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5656B1 (ko) 2023-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7033B2 (en) Fuel-injection device
CN1076080C (zh) 内燃机用气缸盖装置
US9347411B2 (en) Decoupling element for a fuel injection device
KR101682070B1 (ko) 시일 구조
EP1701033B1 (en) Combustion gas seal for fuel injection valve
KR20190020705A (ko) 유체 계량 밸브, 밸브용 접속부, 및 연료 분사 시스템
US9488143B2 (en) Fuel injector
US8528524B2 (en) Fuel injection valve for arrangement in a combustion chamber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230037283A (ko) 누설이 방지되는 연료인젝터 및 그 조립방법
JP2008523316A (ja) 燃料噴射弁
US20150345445A1 (en) fuel injection system including a fuel-guiding component, a fuel injector, and a connecting element
KR20150104177A (ko) 밀봉구조
US7186143B2 (en) Sealing apparatus assembly for sealing a piezoactuator and method for sealing a piezoactuator
US20050116056A1 (en) Fuel injector and method for installing a fuel injector in a valve seat
EP2236776B1 (en) Valve stem seal
US20150034742A1 (en) Fuel injector and fuel injection device using the same
RU2715467C2 (ru) Топливная форсунка
JP6270598B2 (ja) 燃料噴射装置
JP7180573B2 (ja) インジェクタ取付構造
KR101927173B1 (ko) 연료 인젝터를 위한 가스켓
JP7156772B2 (ja) 燃料噴射弁及び燃料噴射装置
JP3875044B2 (ja) 筒内直接噴射式内燃機関における燃料供給装置
KR100559604B1 (ko) 인젝터 장착용 인슐레이터
JP7120091B2 (ja) 内燃機関のシール構造
US20230349467A1 (en) Sealing structure and assembling method of seal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