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7261A - 샘플용 착유 우유 자동공급기 - Google Patents

샘플용 착유 우유 자동공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7261A
KR20230037261A KR1020210120385A KR20210120385A KR20230037261A KR 20230037261 A KR20230037261 A KR 20230037261A KR 1020210120385 A KR1020210120385 A KR 1020210120385A KR 20210120385 A KR20210120385 A KR 20210120385A KR 20230037261 A KR20230037261 A KR 20230037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k
guide rail
nozzle unit
sample bott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0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3876B1 (ko
Inventor
최영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운
Priority to KR1020210120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876B1/ko
Publication of KR20230037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7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01N35/1002Reagent dispens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2Food
    • G01N33/04Dairy produ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01N35/1004Cleaning sample transfer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10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 G01N35/1081Devices for transferring samples or any liquids to, in, or from, the analysis apparatus, e.g. suction devices, injection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relatively moving the transfer device and the containers in an horizontal pla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G01N2035/00168Manufacturing or preparing test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샘플용 착유 우유 자동공급기에 관한 것으로, 노즐부가 제1가이드레일, 제2가이드레일, 이동블럭 및 승강장치에 의해 수납부의 수납홀에 안착된 복수개의 샘플병 직상방에 위치되도록 하되, 이 노즐부와 연결된 송유호스로 공급되는 착유 우유를 노즐부로 배출하여, 수납부에 안착된 복수개의 샘플병 각각에 착유 우유를 자동 공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장치에 설치된 노즐부가 제1가이드레일, 제2가이드레일 및 이동블럭에 의해 수납부의 수납홀에 안착된 복수개의 샘플병 직상방에 자동위치되고, 노즐부의 자동 위치 이동으로 샘플병 내에 착유 우유를 공급하는 시간이 단축되며, 샘플병 직상방에 자동 위치된 노즐부를 통해 샘플병 내로 착유 우유를 공급하여, 착유 우유의 손실이 방지되고, 노즐부가 샘플병으로 동일한 량의 착유 우유를 배출하여, 샘플병 내의 우유 공급량이 일정하며, 송유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착유 우유가 노즐부를 통해 샘플병 각각으로 자동 공급되어, 작업자가 별도의 착유 우유 소분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고, 이에따라, 작업자의 피로도가 급격히 저하되어, 일의 능률과 동시에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샘플용 착유 우유 자동공급기{Automated milk feeder for samples}
본 발명은 우유 자동공급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납부의 수납홀에 안착된 복수의 샘플병 상부로 노즐부를 이동 위치시켜, 송유호스로 공급되는 착유 우유를 노즐부를 통해 샘플병으로 자동 공급하는 샘플용 착유 우유 자동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젖소로부터 우유를 짜내는 착유(搾乳) 작업은 대부분의 현장에서 착유기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착유기는 송아지가 입으로 젖을 빠는 동작과 같은 원리를 사용하며, 예컨대 젖소 유방의 유두에 티트컵(teat cup)을 끼우고 티트컵 내에 진공을 교호적으로 발생시켜 진공과 대기압의 작용하에 젖소의 유방으로부터 우유를 흡출해낸다.
착유기로는 진공펌프와 통을 들고 다니면서 착유를 수행하는 버킷식 착유기와, 우사에 우유라인과 진공라인의 파이프라인을 설치하고 착유된 우유가 자동으로 우유라인으로 운반되도록 구성된 파이프라인식 착유기와, 별도의 착유실을 설치하고 각 착유실에 파이프라인을 배관하며 각 착유실내에서 착유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착유실 착유기가 있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가축용 착유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전면케이스와 이 전면케이스 외부를 덮어 커버하는 측면케이스로 구성된 케이스부재와, 케이스부재의 전면케이스 내에 설치된 진공펌프와, 진공펌프와 연결된 솔레노이드밸브와, 케이스부 일측에 구비되되, 솔레노이드밸브와 연결되어 가축의 젖꼭지에 흡착되고, 가축의 젖꼭지로 부터 착유를 진행하는 착유컵부재로 구성된다.
여기서, 착유컵부재는 가축의 젖꼭지 주변에 흡착되는 티트컵과, 이 티트컵 하단에 연장 형성되어, 솔레노이드밸브와 연결되는 연결구와, 연결구 하단에 연장 형성되어 그 내부에 티트컵으로 부터 착유하는 우유를 저장하는 착유탱크로 구성된다.
이때, 진공펌프로 솔레노이드밸브에 흡입압을 형성하여, 솔레노이드밸브와 연결된 연결구를 통해 티트컵에 흡입압이 형성되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착유컵부재의 티트컵을 가축의 젖꼭지 주변에 흡착하여, 착유를 진행한다.
그러면, 티트컵을 통해 가축의 젖꼭지로 부터 착유가 진행되어, 연결구로 우유가 공급되고, 이때, 이 우유는 연결구를 통해 착유탱크 내로 저장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착유탱크 내로 착유된 우유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해 샘플병 각각에 우유를 소분 공급해야 하고, 우유를 각각의 샘플병에 직접 소분하여, 복수의 샘플병에 동일한 량의 우유를 소분 공급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작업자가 샘플병에 우유를 직접 소분 공급하여, 샘플용 우유를 획득하데 오랜 시간이 걸리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착유한 우유를 소분 공급하는 과정에서 우유가 샘플병 내로 공급되지 못하고, 일부 우유가 샘플병 외부로 버려져 착유 우유의 손실이 발생되며, 이에따라, 작업자의 피로도 향상과 동시에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133295 B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측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되, 상면 양측에 제1가이드레일을 형성한 하우징을 구비하고, 수납공간으로 수납홀을 형성한 수납부를 삽입 결합하며, 제1가이드레일에 제2가이드레일를 슬라이딩 결합하고, 제2가이드레일에 이동블럭을 슬라이딩 결합하며, 이동블럭 전면에 승강장치를 설치하고, 승강장치 하단에 노즐부를 설치하며, 하우징 내에 세척부를 설치하여, 노즐부가 제1가이드레일, 제2가이드레일, 이동블럭 및 승강장치에 의해 수납부의 수납홀에 안착된 복수개의 샘플병 직상방에 위치되도록 하되, 이 노즐부와 연결된 송유호스로 공급되는 착유 우유를 노즐부로 배출하여, 수납부에 안착된 복수개의 샘플병 각각에 착유 우유를 자동 공급하는 샘플용 착유 우유 자동공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샘플용 착유 우유 자동공급기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내측에 전면으로 관통 형성된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상면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한 쌍으로 형성된 제1가이드레일을 형성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수납공간 내로 삽입 결합되고, 그 상면에 렬 및 행방향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되어 샘플병을 안착시키는 수납홀을 형성한 수납부; 상기 하우징의 상단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하우징 상부를 개방하는 한 쌍의 회전도어; 양단이 상기 제1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제1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2가이드레일; 상기 제2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제2가이드레일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블럭; 상기 이동블럭 전면에 설치되어 승강 이동되는 승강장치; 상기 승강장치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그 상단이 송유호스와 연결되며, 상기 송유호스로 부터 우유를 공급받아 상기 샘플병에 우유를 공급하는 노즐부; 상기 하우징의 내측 후단에 설치되어 그 내부에 세척수를 수용하고, 상기 노즐부가 침수되도록 허용하여, 상기 노즐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샘플용 착유 우유 자동공급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노출된 일 측면에 손잡이를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의 수납공간에 삽입 결합되는 슬라이딩본체와; 양단이 상기 슬라이딩본체 상면 양측에 고정되고, 그 상면에 상기 샘플병이 안착되는 복수개의 상기 수납홀을 형성된 정렬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샘플용 착유 우유 자동공급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럭은, 상기 승강장치 직상방 형성되어, 상기 노즐부에 연결된 상기 송유호스 외면을 고정하는 고정홀더를 더 형성하고,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이동블럭 전면에 고정 설치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하단에 상기 노즐부를 고정하여, 상기 실린더를 따라 상, 하로 승강 이동되는 승강로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샘플용 착유 우유 자동공급기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그 내부에 세척수를 수용하고, 바닥면에 내부에 수용된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형성한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세척조 내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기; 중공형상으로 그 일단이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수가 배출되는 것을 안내하는 배출호스; 및 상기 배출호스 외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배출호스 내부 공간을 개폐하여 상기 세척조 내의 세척수 배출 여부를 결정하는 개폐밸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장치에 설치된 노즐부가 제1가이드레일, 제2가이드레일 및 이동블럭에 의해 수납부의 수납홀에 안착된 복수개의 샘플병 직상방에 자동위치되고, 노즐부의 자동 위치 이동으로 샘플병 내에 착유 우유를 공급하는 시간이 단축되며, 샘플병 직상방에 자동 위치된 노즐부를 통해 샘플병 내로 착유 우유를 공급하여, 착유 우유의 손실이 방지되고, 노즐부가 샘플병으로 동일한 량의 착유 우유를 배출하여, 샘플병 내의 우유 공급량이 일정하며, 송유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착유 우유가 노즐부를 통해 샘플병 각각으로 자동 공급되어, 작업자가 별도의 착유 우유 소분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고, 이에따라, 작업자의 피로도가 급격히 저하되어, 일의 능률과 동시에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샘플용 착유 우유 자동공급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샘플용 착유 우유 자동공급기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샘플용 착유 우유 자동공급기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내측에 전면으로 관통 형성된 수납공간(101)을 형성하고, 상면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한 쌍으로 형성된 제1가이드레일(102)을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수납공간(101) 내에 샘플병(SB)이 안착된 수납부(200)를 수용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기 수납공간(101) 내에 수용된 상기 수납부(200)의 샘플병(SB)이 상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회전도어(300)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회전도어(300)가 상방으로 회전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수납공간(101)은 상기 수납부(200)가 상기 하우징(100)의 개구된 전면을 통해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허용한다.
상기 제1가이드레일(102)은 상기 제2가이드레일(400)이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제1가이드레일(102)은 상기 제2가이드레일(400) 양단이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허용한다.
수납부(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01) 내로 삽입 결합되고, 그 상면에 렬 및 행방향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되어 샘플병(SB)을 안착시키는 수납홀(201)을 형성한다.
상기 수납부(200)는 복수개의 상기 수납홀(201) 각각에 상기 샘플병(SB)을 안착 결합한다.
상기 수납부(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01)으로 슬라이딩 결합된다.
상기 수납부(200)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하우징(100)의 전방으로 노출된 일 측면에 손잡이(202a)를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01)에 삽입 결합되는 슬라이딩본체(202)와, 양단이 상기 슬라이딩본체(202) 상면 양측에 고정되고, 그 상면에 상기 샘플병(SB)이 안착되는 복수개의 상기 수납홀(201)을 형성된 정렬판(203)으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본체(202)는 상기 정렬판(203)을 상기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01) 내에 위치시킨다.
상기 슬라이딩본체(202)는 상기 수납공간(101) 내에 탈, 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정렬판(203)은 그 양단이 상기 슬라이딩본체(202) 상면에 안착되어, 공중에 부양된다.
상기 정렬판(203)은 상기 수납홀(201) 각각에 상기 샘플병(SB)이 안착되도록 허용하여, 상기 샘플병(SB)을 공중에 부양시킨다.
회전도어(300)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하우징(100) 상부를 개방한다.
상기 회전도어(300)는 상기 하우징(100) 상단 양측에 힌지 결합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하우징(100) 상부를 밀폐하거나 혹은 서로 마주보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하우징(100) 상부를 개방한다.
상기 회전도어(300)는 상기 하우징(100) 상기 정렬판(203) 상에 안착된 복수개의 상기 샘플병(SB) 상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하우징(100) 상부를 밀폐하여, 상기 샘플병(SB) 내로 이물 또는 먼지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회전도어(300)는 상기 하우징(100) 상부를 밀폐한 상태에서, 상기 제1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제2가이드레일(400) 및 상기 제2가이드레일(40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블럭(500)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회전도어(300)는 작업자에 의해 파지되어 개폐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가이드레일(400)은 양단이 상기 제1가이드레일(102)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제1가이드레일(10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다
상기 제2가이드레일(400)은 상기 제1가이드레일(102)을 따라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노즐부(700)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상기 제2가이드레일(400)은 상기 노즐부(700)가 상기 정렬판(203)의 세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여, 상기 노즐부(700)를 상기 샘플병(SB) 직상방에 위치시킨다.
이동블럭(500)은 상기 제2가이드레일(400)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제2가이드레일(40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상기 이동블럭(500)은 상기 제2가이드레일(40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노즐부(700)가 상기 정렬판(203)의 가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여, 상기 노즐부(700)를 상기 샘플병(SB) 직상방에 위치시킨다.
상기 이동블럭(500)은 상기 승강장치(600) 직상방 형성되어, 상기 노즐부(700)에 연결된 상기 송유호스(H) 외면을 고정하는 고정홀더(501)를 더 형성한다.
상기 고정홀더(501)는 그 일단이 상기 노즐부(700)에 연결된 송유호스(H)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고정홀더(501)는 그 중앙부에 형성된 통과홀(501a) 내로 상기 송유호스(H)를 통과시켜, 상기 송유호스(H)가 유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승강장치(600)는 상기 이동블럭(500) 전면에 설치되어 승강 이동된다.
상기 승강장치(600)는 그 하단에 상기 노즐부(700)가 설치되도록 허용하여, 상기 노즐부(700)의 승강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승강장치(600)는 상기 노즐부(700)가 상기 샘플병(SB) 직상방에 위치되거나 또는 상기 세척부(800)의 세척조(801) 내로 삽입되도록 상기 노즐부(700)를 승강 이동시킨다.
상기 승강장치(600)는 상기 이동블럭(500) 전면에 고정 설치된 실린더(601)와, 상기 실린더(601)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하단에 상기 노즐부(700)를 고정하여, 상기 실린더(601)를 따라 상, 하로 승강 이동되는 승강로드(602)로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601)는 상기 노즐부(700)가 상기 샘플병(SB) 상부에 위치되거나 또는 상기 세척조(801) 상부에 위치되면, 상기 승강로드(602)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노즐부(700)가 상기 샘플병(SB) 직상방에 위치되거나 또는 상기 세척조(801) 내로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실린더(601)는 상기 노즐부(700)를 통해 상기 샘플병(SB) 내에 착유 우유 공급이 완료 되거나 또는 상기 세척부(800) 내에서 세척이 완료되면 상기 승강로드(602)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노즐부(700)는 상기 승강장치(600)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그 상단이 송유호스(H)와 연결되며, 상기 송유호스(H)로 부터 우유를 공급받아 상기 샘플병(SB)에 우유를 공급한다.
상기 노즐부(700)는 상단 외주면에 상기 송유호스(H)가 결합되는 방향에 대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송유호스(H)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요철(701)을 더 형성한다.
상기 이탈방지요철(701)은 다단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송유호스(H)의 내주면이 걸림되도록 안내하여, 상기 송유호스(H)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노즐부(700)는 상기 송유호스(H)에 형성되는 흡입압력에 의해 상기 세척부(800)의 세척수를 흡입하여, 상기 송유호스(H) 내에 잔여된 착유 우유, 찌꺼기 또는 이물을 세척한다.
세척부(8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후단에 설치되어 그 내부에 세척수를 수용하고, 상기 노즐부(700)가 침수되도록 허용하여, 상기 노즐부(700)로 세척수를 공급한다.
상기 세척부(800)는 상기 노즐부(700)가 침수되도록 허용하여, 상기 노즐부(700)로 세척수를 공급한다.
상기 세척부(800)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그 내부에 세척수를 수용하고, 바닥면에 내부에 수용된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출구(801a)를 형성한 세척조(801)와, 상기 세척조(801)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세척조(801) 내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기(802), 중공형상으로 그 일단이 상기 배출구(801a)와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801a)를 통해 배출수가 배출되는 것을 안내하는 배출호스(803), 상기 배출호스(803) 외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배출호스(803) 내부 공간을 개폐하여 상기 세척조(801) 내의 세척수 배출 여부를 결정하는 개폐밸브(804)로 구성된다.
상기 세척조(801)는 상기 세척수공급기(802)로 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그 내부에 수용된 세척수로 상기 노즐부(700)가 침수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세척조(801)는 상기 배출구(801a)로 세척수가 흘러 내려가도록 상광하협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척수공급기(802)는 상기 세척조(801) 상부에 상기 노즐부(700)가 위치되면, 그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세척조(801) 내로 정해진 량의 세척수를 공급한다.
상기 배출호스(803)는 상기 배출구(801a)를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 배출 위치를 결정한다.
상기 개폐밸브(804)는 상기 세척조(801) 내에 침수된 상기 노즐부(700)가 상기 세척조(801) 직 상방으로 이동되면, 그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배출호스(803)를 개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샘플용 착유 우유 자동공급기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샘플용 착유 우유 자동공급기는 상기 제2가이드레일(400), 이동블럭(500), 승강장치(600), 세척수공급기(802) 및 개폐밸브(804)를 제어부(미도시)로 제어하는 것으로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01)에 결합된 상기 수납부(200)를 후퇴 이동시켜, 상기 수납부(200)가 상기 수납공간(101)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수납부(200)의 슬라이딩본체(202)에 형성된 손잡이(202a)를 파지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202a)를 당겨 상기 슬라이딩본체(202)를 후퇴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슬라이딩본체(202)가 상기 수납공간(101)에서 이탈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본체(202)에 설치된 정렬판(203)의 수납홀(201)에 행방향 및 렬방향으로 샘플병(SB)을 삽입 결합하여, 상기 샘플병(SB)이 상기 정렬판(203)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슬라이딩본체(202)의 손잡이(202a)를 파지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본체(202)를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을 통해 상기 수납공간(101) 내로 슬라이딩 결합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01) 내에 상기 수납부(200)가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수납공간(101) 내로 삽입된 상기 수납부(200)의 정렬판(203)은 개방된 상기 하우징(100) 상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도어(300)로 상기 하우징(100) 상부를 밀폐하여, 상기 정렬판(203) 상에 안착된 복수개의 상기 샘플병(SB) 상부를 커버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00)의 개구된 상부를 통해 상기 샘플병(SB) 내로 이물 또는 먼지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어서, 상기 하우징(100) 일측에 설치된 조작레버(미도시)를 눌러 작동시키면, 상기 제2가이드레일(400)이 상기 제1가이드레일(102)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승강장치(600) 하단에 설치된 상기 노즐부(700)를 상기 정렬판(203)의 세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이동블럭(500)이 상기 제2가이드레일(400)을 따라, 상기 제2가이드레일(400)의 이동방향과 직교되는 상기 정렬판(203)의 가로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상기 제2가이드레일(400) 및 상기 이동블럭(500)에 의해 상기 노즐부(700)가 상기 정렬판(203)에 안착된 복수개의 상기 샘플병(SB)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샘플병(SB) 상부에 위치되고, 이때, 상기 승강장치(600)의 승강로드(602)가 상기 실린더(601)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샘플병(SB) 직 상방에 상기 노즐부(700)가 위치된다.
이후, 상기 송유호스(H)와 연결된 착유장치(미도시)를 통해 우유를 착유하되, 이 착유되는 우유를 상기 송유호스(H)로 공급하여, 상기 송유호스(H)를 통해 상기 노즐부(700)로 착유 우유가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송유호스(H)를 따라 상기 노즐부(700)로 이동하는 착유 우유는, 상기 노즐부(700)를 통해 상기 샘플병(SB) 내로 공급되어, 상기 샘플병(SB) 내에 정해진 량의 착유 우유가 저장된다.
이때, 상기 노즐부(700)에 연결된 송유호스(H)는 상기 이탈방지요철(701)에 걸림된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송유호스(H)가 상기 노즐부(70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송유호스(H)의 외면은 상기 이동블럭(500)의 고정홀더(501)에 고정되어, 상기 노즐부(700)가 정해진 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송유호스(H)가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 다음, 상기 샘플병(SB) 내에 정해진 량의 착유 우유가 저장되면, 상기 승강장치(600)의 실린더(601)에 의해 상기 승강로드(602)가 상기 노즐부(70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이어서, 상기 제2가이드레일(400)이 상기 제1가이드레일(10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되, 상기 이동블럭(500)이 상기 제2가이드레일(40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노즐부(700)를 상기 세척부(800) 상부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세척부(800)의 세척수공급기(802)는 상기 제2가이드레일(400) 및 상기 이동블럭(500)에 의해 이동된 상기 노즐부(700)의 위치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세척조(801) 내로 세척수를 공급하여, 상기 세척조(801) 내에 세척수가 저장된다.
이후, 상기 승강장치(600)의 실린더(601)에 의해 상기 승강로드(602)가 상기 노즐부(700)를 상기 세척조(801) 내로 진입시켜, 상기 노즐부(700) 하단이 상기 세척조(100) 내의 세척수에 침수되고, 이때, 상기 송유호스(H)가 흡입압을 형성하여, 상기 노즐부(700)를 통해 상기 세척조(801) 내의 세척수를 흡입한다.
그러면, 상기 노즐부(700)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상기 송유호스(H)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송유호스(H) 내에 잔여된 착유 우유, 찌거기 또는 이물을 세척하여, 상기 송유호스(H) 내부 공간의 세척이 진행된다.
이때, 상기 송유호스(H)로 흡입되는 세척수는 상기 착유장치(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송유호스(H)의 세척이 완료되면, 상기 실린더(601)에 의해 상기 승강로드(602)가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노즐부(700)를 상기 세척조(801)에서 이탈시키고, 이때, 상기 개폐밸브(804)가 상기 세척조(801) 상부로 이탈된 상기 노즐부(700)의 위치 신호를 입력받아 개폐작동된다.
즉, 상기 노즐부(700)가 상기 세척조(801) 상부로 이동되면, 상기 개폐밸브(804)가 상기 배출호스(803)를 개방하여, 상기 세척조(801) 내에 수용된 세척수가 상기 배출구(801a) 및 상기 배출호스(803)를 통해 상기 세척조(801) 내에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부(700)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상기 샘플병(SB) 상방에 위치되어, 복수의 상기 샘플병(SB)에 정해진 량의 착유 우유를 공급 저장하고, 상기 세척부(800)를 통해 상기 송유호스(H) 내의 잔여물을 세척하는 것이다.
그 다음,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개의 상기 샘플병(SB)에 착유 우유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수납부(200)의 슬라이딩본체(202)를 상기 수납공간(102)으로 부터 후퇴 이동하도록 슬라이딩 이탈시켜, 상기 샘플병(SB)을 수거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노즐부(700)를 수납부(200)에 안착된 샘플병(SB) 직상방에 위치시켜, 이 샘플병(SB)에 착유 우유를 공급 저장하는 구조는, 승강장치(600)에 설치된 노즐부(700)가 제1가이드레일(102), 제2가이드레일(400) 및 이동블럭(500)에 의해 수납부(200)의 수납홀(201)에 안착된 복수개의 샘플병(SB) 직상방에 자동 위치되고, 노즐부(700)의 자동 위치 이동으로 샘플병(SB) 내에 착유 우유를 공급하는 시간이 단축되며, 샘플병(SB) 직상방에 자동 위치된 노즐부(700)를 통해 샘플병(SB) 내로 착유 우유를 공급하여, 착유 우유의 손실이 방지되고, 노즐부(700)가 샘플병(SB)으로 동일한 량의 착유 우유를 배출하여, 샘플병(SB) 내의 우유 공급량이 일정하며, 송유호스(H)를 통해 공급되는 착유 우유가 노즐부(700)를 통해 샘플병(SB) 각각으로 자동 공급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샘플용 착유 우유 자동공급기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0 : 하우징 101 : 수납공간
102 : 제1가이드레일 200 : 수납부
201 : 수납홀 202 : 슬라이딩본체
202a : 손잡이 203 : 정렬판
300 : 회전도어 400 : 제2가이드레일
500 : 이동블럭 501 : 고정홀더
501a : 통과홀 600 : 승강장치
601 : 실린더 602 : 승강로드
700 : 노즐부 701 : 이탈방지요철
800 : 세척부 801 : 세척조
801a : 배출구 802 : 세척수공급기
803 : 배출호스 804 : 개폐밸브
H : 송유호스 SB : 샘플병

Claims (4)

  1.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내측에 전면으로 관통 형성된 수납공간(101)을 형성하고, 상면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한 쌍으로 형성된 제1가이드레일(102)을 형성한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01) 내로 삽입 결합되고, 그 상면에 렬 및 행방향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되어 샘플병(SB)을 안착시키는 수납홀(201)을 형성한 수납부(200);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하우징(100) 상부를 개방하는 한 쌍의 회전도어(300);
    양단이 상기 제1가이드레일(102)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제1가이드레일(10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제2가이드레일(400);
    상기 제2가이드레일(400)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제2가이드레일(40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블럭(500);
    상기 이동블럭(500) 전면에 설치되어 승강 이동되는 승강장치(600);
    상기 승강장치(600)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그 상단이 송유호스(H)와 연결되며, 상기 송유호스(H)로 부터 우유를 공급받아 상기 샘플병(SB)에 우유를 공급하는 노즐부(700);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 후단에 설치되어 그 내부에 세척수를 수용하고, 상기 노즐부(700)가 침수되도록 허용하여, 상기 노즐부(700)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부(80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용 착유 우유 자동공급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200)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하우징(100)의 전방으로 노출된 일 측면에 손잡이(202a)를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수납공간(101)에 삽입 결합되는 슬라이딩본체(202)와;
    양단이 상기 슬라이딩본체(202) 상면 양측에 고정되고, 그 상면에 상기 샘플병(SB)이 안착되는 복수개의 상기 수납홀(201)을 형성된 정렬판(203);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용 착유 우유 자동공급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럭(500)은,
    상기 승강장치(600) 직상방 형성되어, 상기 노즐부(700)에 연결된 상기 송유호스(H) 외면을 고정하는 고정홀더(501)를 더 형성하고,
    상기 승강장치(600)는,
    상기 이동블럭(500) 전면에 고정 설치된 실린더(601)와;
    상기 실린더(601)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하단에 상기 노즐부(700)를 고정하여, 상기 실린더(601)를 따라 상, 하로 승강 이동되는 승강로드(602);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용 착유 우유 자동공급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800)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그 내부에 세척수를 수용하고, 바닥면에 내부에 수용된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출구(801a)를 형성한 세척조(801)와;
    상기 세척조(801)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세척조(801) 내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기(802);
    중공형상으로 그 일단이 상기 배출구(801a)와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801a)를 통해 배출수가 배출되는 것을 안내하는 배출호스(803); 및
    상기 배출호스(803) 외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배출호스(803) 내부 공간을 개폐하여 상기 세척조(801) 내의 세척수 배출 여부를 결정하는 개폐밸브(804);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샘플용 착유 우유 자동공급기.
KR1020210120385A 2021-09-09 2021-09-09 샘플용 착유 우유 자동공급기 KR102583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385A KR102583876B1 (ko) 2021-09-09 2021-09-09 샘플용 착유 우유 자동공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385A KR102583876B1 (ko) 2021-09-09 2021-09-09 샘플용 착유 우유 자동공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261A true KR20230037261A (ko) 2023-03-16
KR102583876B1 KR102583876B1 (ko) 2023-10-05

Family

ID=85985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385A KR102583876B1 (ko) 2021-09-09 2021-09-09 샘플용 착유 우유 자동공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8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3474A (ko) * 2017-08-29 2019-03-08 신진메딕스(주) 시약 공급이 용이한 자동분주기
KR102133295B1 (ko) 2018-11-28 2020-07-13 이나경 가축용 착유기
KR102196643B1 (ko) * 2018-12-27 2020-12-30 쏠코리아 주식회사 Bod 배양기
KR20210094828A (ko) * 2020-01-22 2021-07-30 주식회사 임진과학 시약을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시약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3474A (ko) * 2017-08-29 2019-03-08 신진메딕스(주) 시약 공급이 용이한 자동분주기
KR102133295B1 (ko) 2018-11-28 2020-07-13 이나경 가축용 착유기
KR102196643B1 (ko) * 2018-12-27 2020-12-30 쏠코리아 주식회사 Bod 배양기
KR20210094828A (ko) * 2020-01-22 2021-07-30 주식회사 임진과학 시약을 자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시약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3876B1 (ko)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83697C2 (ru) Аппарат для доения и сбора молока с системой защиты молокопровода
US9763421B2 (en) Dairy harvesting facility with milk line protection system and methods
US6161558A (en) Portable clean-in-place system for batch processing equipment
CA2394162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at cup cleaning
EP1143789B2 (en) Device and method for milking animals
AU2010202499B2 (en) A milk conveyer device
EP0805622B1 (en) An implement for milking animals
RU2062668C1 (ru) Узел очистки поточного молокомера
KR20230037261A (ko) 샘플용 착유 우유 자동공급기
US3011755A (en) Milk pipeline valve
JPS58198233A (ja) 吸引式搾乳設備を自動的に洗浄する装置
KR102163580B1 (ko) 가축용 자동착유장치
EP2312937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obtaining a milk sample and performing cleaning
JP5327527B2 (ja) 搾乳用バケット洗浄装置及び接続構造
US3506034A (en) Apparatus for introducing air into a vacuum milking system during the washing cycle
KR102363145B1 (ko) 가축용 자동착유장치
US3302614A (en) Milking machine
GB2119217A (en) Vacuum operated milk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