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7131A - 전자 퓨즈를 이용하여 프로그램가능한 광원 출력 제어 장치, 조명 장치, 및 상기 조명 장치를 프로그램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퓨즈를 이용하여 프로그램가능한 광원 출력 제어 장치, 조명 장치, 및 상기 조명 장치를 프로그램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7131A
KR20230037131A KR1020210120060A KR20210120060A KR20230037131A KR 20230037131 A KR20230037131 A KR 20230037131A KR 1020210120060 A KR1020210120060 A KR 1020210120060A KR 20210120060 A KR20210120060 A KR 20210120060A KR 20230037131 A KR20230037131 A KR 20230037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ght source
frequency
output
detec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0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완
이평한
박광범
천성훈
류창호
Original Assignee
쓰리에이로직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에이로직스(주) filed Critical 쓰리에이로직스(주)
Priority to KR1020210120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7131A/ko
Priority to US17/748,129 priority patent/US11765804B2/en
Publication of KR20230037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71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following a pre-assigned programmed sequence; Logic control [L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5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undesirable behaviour of LEDs; responsive to LED life; Protective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 H05B45/46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having LEDs disposed in parallel line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프로그램가능한 광원 출력 제어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광원 출력 제어 장치는 전자 퓨즈들과, 외부 파워를 수신하고 상기 외부 파워와 상기 전자 퓨즈들 각각의 상태에 따라 작동 파워를 생성하고, 상기 작동 파워를 광원으로 공급하는 파워 스테이지와, 상기 전자 퓨즈들 각각의 상태를 설정하는 설정 회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퓨즈를 이용하여 프로그램가능한 광원 출력 제어 장치, 조명 장치, 및 상기 조명 장치를 프로그램하는 방법{PROGRAMMABLE LIGHTING SOURCE OUTPUT CONTROL DEVICE, LIGHTING DEVICE, AND METHOD FOR PROGRAMMING THE SAME}
본 발명은 프로그램가능한 광원 출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도성 결합 장치와 전자 퓨즈를 이용하여 프로그램가능한 광원 출력 제어 장치, 조명 장치, 및 상기 조명 장치를 프로그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LED(light emitting diode) 조명 장치의 핵심 구성 요소인 LED 드라이버의 품질은 상기 LED 조명 장치의 안전성과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
LED 드라이버의 원하는 출력 전류는 LED들의 갯수에 따라 설정되어야 한다. LED들을 구동하는 LED 드라이버의 출력 전류를 설정하는 방법들의 예들은 LED 드라이버의 단자들에 저항을 넣어 출력 전류를 설정하는 방법, LED 드라이버에 설치된 딥(dip) 스위치들을 이용하여 출력 전류를 설정하는 방법, LED 드라이버에 연결된 PC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출력 전류를 설정하는 방법, 및 NFC 이용하여 출력 전류를 설정하는 방법이 있다.
미국등록특허공보: 9,854,651 (2017.12.26. 등록)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896686 (2018.09.10. 공고)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유도성 결합 장치의 출력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파워의 레벨과 주파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해당하는 검출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 퓨즈들을 프로그램하고, 프로그램된 전자 퓨즈들의 출력 신호들에 따라 광원으로 공급될 작동 파워를 생성하는 프로그램가능한 광원 출력 제어 장치, 조명 장치, 및 상기 조명 장치를 프로그램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가능한 광원 출력 제어 장치는 전자 퓨즈들과, 외부 파워를 수신하고 상기 외부 파워와 상기 전자 퓨즈들 각각의 상태에 따라 작동 파워를 생성하고, 상기 작동 파워를 광원으로 공급하는 파워 스테이지와, 상기 전자 퓨즈들 각각의 상태를 설정하는 설정 회로를 포함한다.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광원 출력 제어 장치는 유도성 결합을 이용하여 파워를 전달하는 유도성 결합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 회로는 상기 유도성 결합 장치의 출력 파워의 레벨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파워 레벨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파워 레벨 검출기와, 상기 파워 레벨 검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퓨즈들 각각의 상태를 설정하는 퓨즈 설정 회로를 포함한다.
실시 예들에 따라, 상기 광원 출력 제어 장치는 유도성 결합을 이용하는 주파수를 전달하는 유도성 결합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 회로는 상기 유도성 결합 장치의 출력 파워의 주파수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주파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 검출기와, 상기 주파수 검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퓨즈들 각각의 상태를 설정하는 퓨즈 설정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조명 장치는 광원과, 전자 퓨즈들과, 외부 파워를 수신하고 상기 외부 파워와 상기 전자 퓨즈들 각각의 상태에 따라 작동 파워를 생성하고, 상기 작동 파워를 상기 광원으로 공급하는 파워 스테이지와, 상기 전자 퓨즈들 각각의 상태를 설정하는 설정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광원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를 프로그램하는 방법은, 유도성 결합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유도성 결합 장치의 출력 파워의 레벨과 주파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와, 설정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레벨과 상기 주파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검출의 결과를 이용하여 전자 퓨즈들을 프로그램하는 단계와, 파워 스테이지를 이용하여 프로그램된 상기 전자 퓨즈들의 상태에 따라 상기 광원으로 공급될 파워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조명 장치를 프로그램하는 방법은 상기 파워 스테이지를 이용하여, 설정된 파워를 상기 광원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프로그램가능한 광원 출력 제어 장치, 조명 장치, 및 상기 조명 장치를 프로그램하는 방법은 유도성 결합 장치의 출력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파워의 레벨과 주파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해당하는 검출 신호를 이용하여 전자 퓨즈들을 프로그램하고, 프로그램된 전자 퓨즈들의 출력 신호들에 따라 광원으로 공급될 작동 파워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퓨즈를 이용하여 프로그램가능한 광원 출력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프로그램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도성 결합 장치의 출력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파워 레벨 검출기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주파수 검출기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파워 스테이지의 일 실시 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파워 스테이지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 프로그램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광원 출력 제어 장치와 광원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퓨즈를 이용하여 프로그램가능한 광원 출력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프로그램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명 장치 프로그램 시스템(100)은 광원 출력 제어 장치 (200), 조절 장치(300), 및 광원(401, 403, 또는 405)을 포함한다.
광원의 출력을 제어하는 광원 출력 제어 장치(200)는 광원(401, 403, 또는 405)으로 공급될 작동 파워(APW)를 제어한다. 본 명세서에서 파워(power)는 전압 또는 전류일 수 있다.
광원 출력 제어 장치(200)는 유도성 결합 장치(210), 설정 회로(220), 퓨즈 회로(230), 및 파워 스테이지(이를 '파워 공급 회로'라고도 한다. 240)를 포함한다.
유도성 결합 장치(이를 '유도성 커플러(inductive coupler)'라고도 한다. 210)는 유도성 결합(inductive coupling)을 이용하여 입력 회로(212)로부터 출력 회로(214)로 파워 또는 주파수를 전달한다. 실시 예에 따라 유도성 결합 장치 (210)는 변압기(transfomer)일 수 있다.
유도성 결합 장치(210)는 입력 회로(212)와 출력 회로(214)를 포함한다. 입력 회로(212)는 1차 회로(primary circuit), 1차 코일(primary coil), 또는 1차 권선(primary winding)이라고도 불리고, 출력 회로(214)는 2차 회로(secondary circuit), 2차코일(secondary coil), 또는 2차 권선(secondary winding)이라고도 불린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도성 결합 장치의 출력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입력 회로(212)의 전류의 변화는 전자기 유도(electromagnetic induction)를 통해 출력 회로(214)의 출력 파워(VRX 또는 VAC)를 유도한다.
실시 예들에 따라, 출력 회로(214)는 출력 파워(VRX)를 정류하여 DC 전압 (VDC)을 생성하는 정류기(216)를 포함할 수 있다. DC 전압(VDC)은 설정 회로(220) 및/또는 퓨즈 회로(230)의 작동 전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출력 회로(214)의 출력 파워(VRX) 또는 정류기(216)의 중간 파워(VAC)를 파워 레벨 검출기(222) 및 주파수 검출기(224)로 공급할 수 있다. 중간 파워(VAC)는 DC 전압(VDC)으로 정류되기 이전에 출력 회로(214)에서 유도된 AC 성분을 갖는 파워를 의미한다.
설정 회로(220)는 유도성 결합 장치(210)의 출력 회로(214)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파워(VRX 또는 VAC)의 레벨과 주파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고, 검출의 결과를 이용하여 퓨즈 회로(230)에 포함된 퓨즈들(231, 233, 235, 및 237) 각각의 상태를 적응적으로 설정(또는 프로그램)한다. 퓨즈들(231, 233, 235, 및 237) 각각의 예는 전자 퓨즈(electronic fuse(eFuse))일 수 있다. 비록, 도 1에서는 4개의 퓨즈들(231, 233, 235, 및 237)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퓨즈들의 개수는 실시 예들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설정 회로(220)는 파워 레벨 검출기(222)와 주파수 검출기(224)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퓨즈 설정 회로(226)를 포함한다.
파워 레벨 검출기(222)는 유도성 결합 장치(210)의 출력 회로(214)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파워(VRX 또는 VAC)의 레벨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파워 레벨 검출 신호(PDTi, i는 자연수)를 생성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파워 레벨 검출기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레벨(LV1)을 갖는 출력 파워(VRX 또는 VAC)를 전자기 유도로 유도하기 위해 조절 장치(300)는 제1입력 파워(SPWi, i=1)를 입력 회로(212)로 공급한다.
이때, 파워 레벨 검출기(222)는 출력 파워(VRX 또는 VAC)의 제1레벨(LV1)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제1파워 레벨 검출 신호(PDTi, i=1)를 생성한다. 제1파워 레벨 검출 신호(PDT1)는 제1아날로그 신호 또는 제1디지털 신호(CODE1)일 수 있다.
제2레벨(LV2)을 갖는 출력 파워(VRX 또는 VAC)를 전자기 유도로 유도하기 위해 조절 장치(300)는 제2입력 파워(SPWi, i=2)를 입력 회로 (212)로 공급한다. 이때, 파워 레벨 검출기(222)는 출력 파워(VRX 또는 VAC)의 제2레벨(LV2)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제2파워 레벨 검출 신호(PDTi, i=2)를 생성한다. 제2파워 레벨 검출 신호(PDT2)는 제2아날로그 신호 또는 제2디지털 신호(CODE2)일 수 있다.
제3레벨(LV3)을 갖는 출력 파워(VRX 또는 VAC)를 전자기 유도로 유도하기 위해 조절 장치(300)는 제3입력 파워(SPWi, i=3)를 입력 회로 (212)로 공급한다. 이때, 파워 레벨 검출기(222)는 출력 파워(VRX 또는 VAC)의 제3레벨(LV3)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제3파워 레벨 검출 신호(PDTi, i=3)를 생성한다. 제3파워 레벨 검출 신호(PDT3)는 제3아날로그 신호 또는 제3디지털 신호(CODE3)일 수 있다.
제4레벨(LV3)을 갖는 출력 파워(VRX 또는 VAC)를 전자기 유도로 유도하기 위해 조절 장치(300)는 제4입력 파워(SPWi, i=4)를 입력 회로(212)로 공급한다. 이때, 파워 레벨 검출기(222)는 출력 파워(VRX 또는 VAC)의 제4레벨(LV4)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제4파워 레벨 검출 신호(PDTi, i=4)를 생성한다. 제4파워 레벨 검출 신호(PDT4)는 제4아날로그 신호 또는 제4디지털 신호(CODE4)일 수 있다.
이때, 각 입력 파워(SPW1~SPW4)와 출력 파워(VRX 또는 VAC)는 AC 신호이고, 각 입력 파워(SPW1~SPW4)의 레벨은 서로 다르고, 제1레벨(LV1)은 제2레벨(LV2)보다 높고, 제2레벨(LV2)은 제3레벨(LV3)보다 높고, 제3레벨(LV3)은 제4레벨(LV4)보다 높다. 각 레벨(LV1, LV2, LV3, 및 LV4)은 피크 전압 또는 피크 전류일 수 있다.
주파수 검출기(224)는 유도성 결합 장치(210)의 출력 회로(214)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파워(VRX 또는 VAC)의 주파수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주파수 검출 신호(FDTi, i는 자연수)를 생성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주파수 검출기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출력 주파수(FRQ1)을 갖는 출력 파워 (VRX 또는 VAC)를 전자기 유도로 유도하기 위해 조절 장치(300)는 제1입력 주파수 (SFQi, i=1)를 갖는 제1입력 파워를 입력 회로(212)로 공급한다.
이때, 주파수 검출기(224)는 출력 파워(VRX 또는 VAC)의 제1출력 주파수 (FRQ1)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제1주파수 검출 신호(FDTi, i=1)를 생성한다. 제1주파수 검출 신호(FDT1)는 제5아날로그 신호 또는 제5디지털 신호(CODE5)일 수 있다.
제2출력 주파수(FRQ2)을 갖는 출력 파워(VRX 또는 VAC)를 전자기 유도로 유도하기 위해 조절 장치(300)는 제2입력 주파수(SFQi, i=2)를 갖는 제2입력 파워를 입력 회로(212)로 공급한다.
이때, 주파수 검출기(224)는 출력 파워(VRX 또는 VAC)의 제2출력 주파수 (FRQ2)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제2주파수 검출 신호(FDTi, i=2)를 생성한다. 제2주파수 검출 신호(FDT2)는 제6아날로그 신호 또는 제6디지털 신호(CODE6)일 수 있다.
제3출력 주파수(FRQ3)을 갖는 출력 파워(VRX 또는 VAC)를 전자기 유도로 유도하기 위해 조절 장치(300)는 제3입력 주파수(SFQi, i=3)를 갖는 제3입력 파워를 입력 회로(212)로 공급한다.
이때, 주파수 검출기(224)는 출력 파워(VRX 또는 VAC)의 제3출력 주파수 (FRQ3)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제3주파수 검출 신호(FDTi, i=3)를 생성한다. 제3주파수 검출 신호(FDT3)는 제7아날로그 신호 또는 제7디지털 신호(CODE7)일 수 있다.
제4출력 주파수(FRQ4)을 갖는 출력 파워(VRX 또는 VAC)를 전자기 유도로 유도하기 위해 조절 장치(300)는 제4입력 주파수(SFQi, i=4)를 갖는 제4입력 파워를 입력 회로(212)로 공급한다.
이때, 주파수 검출기(224)는 출력 파워(VRX 또는 VAC)의 제4출력 주파수 (FRQ4)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제4주파수 검출 신호(FDTi, i=4)를 생성한다. 제4주파수 검출 신호(FDT4)는 제8아날로그 신호 또는 제8디지털 신호(CODE8)일 수 있다. 제1입력 파워 내지 제4입력 파워 각각의 레벨을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이때, 제1출력 주파수(FRQ1, 예를 들면 15MHz)는 제2출력 주파수(FRQ2, 예를 들면 12MHz)보다 높고, 제2출력 주파수(FRQ2)는 제3출력 주파수(FRQ3, 예를 들면 10MHz)보다 높고, 제3출력 주파수(FRQ3)는 제4출력 주파수(FRQ4, 예를 들면 8MHz)보다 높다.
퓨즈 설정 회로(226)는, 파워 레벨 검출 신호(PDTi)와 주파수 검출 신호 (FDTi)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전자 퓨즈들(231, 233, 235, 및 237) 각각의 상태를 설정(이를 '프로그램'이라고도 한다.)한다.
실시 예에 따라, 전자 퓨즈들(231, 233, 235, 및 237) 각각의 최초 상태는 단락(short)이고, 퓨즈 설정 회로(226)가 파워 레벨 검출 신호(PDTi)만을 수신한다고 가정한다.
퓨즈 설정 회로(226)에 의해 제1파워 레벨 검출 신호(PDT1)가 검출되면, 퓨즈 설정 회로(226)는 제1전자 퓨즈(231)의 상태를 오픈(open)으로 설정한다.
퓨즈 설정 회로(226)에 의해 제2파워 레벨 검출 신호(PDT2)가 검출되면, 퓨즈 설정 회로(226)는 제2전자 퓨즈(233)의 상태를 오픈으로 설정한다.
퓨즈 설정 회로(226)에 의해 제3파워 레벨 검출 신호(PDT3)가 검출되면, 퓨즈 설정 회로(226)는 제3전자 퓨즈(235)의 상태를 오픈으로 설정한다.
퓨즈 설정 회로(226)에 의해 제4파워 레벨 검출 신호(PDT4)가 검출되면, 퓨즈 설정 회로(226)는 제4전자 퓨즈(237)의 상태를 오픈으로 설정 또는 프로그램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자 퓨즈들(231, 233, 235, 및 237) 각각의 최초 상태는 단락이고, 퓨즈 설정 회로(226)가 주파수 검출 신호(FDTi)만을 수신한다고 가정한다.
퓨즈 설정 회로(226)에 의해 제1주파수 검출 신호(FDT1)가 검출되면, 퓨즈 설정 회로(226)는 제1전자 퓨즈(231)의 상태를 오픈으로 설정한다.
퓨즈 설정 회로(226)에 의해 제2주파수 검출 신호(FDT2)가 검출되면, 퓨즈 설정 회로(226)는 제2전자 퓨즈(233)의 상태를 오픈으로 설정한다.
퓨즈 설정 회로(226)에 의해 제3주파수 검출 신호(FDT3)가 검출되면, 퓨즈 설정 회로(226)는 제3전자 퓨즈(235)의 상태를 오픈으로 설정한다.
퓨즈 설정 회로(226)에 의해 제4주파수 검출 신호(FDT4)가 검출되면, 퓨즈 설정 회로(226)는 제4전자 퓨즈(237)의 상태를 오픈으로 설정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파워 스테이지의 일 실시 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파워 스테이지(240)는, 외부 파워(EPW)와 전자 퓨즈들(231, 233, 235, 및 237)의 상태들에 따라 생성되는 출력 신호들을 이용하여, 광원(401, 403, 또는 405)으로 공급될 작동 파워(APW)를 생성한다.
파워 스테이지(240)는 드라이버들(241, 243, 245, 및 247)을 포함한다.
광원 출력 제어 장치(200)에 의해 구동되는 광원(401, 403, 또는 405)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들(light emitting diodes; 411)을 포함한다.
실시 예들에 따라, 각 드라이버(241, 243, 245, 및 247)는 광원(401, 403, 또는 405)의 LED들(411)을 구동하기 위한 작동 파워(APW, 즉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제어가능한 전류원(contrllable current source)의 기능을 수행한다.
실시 예들에 따라, 각 드라이버(241, 243, 245, 및 247)는 외부 파워(EPW, 예를 들면 AC 전압)을 정류하여 광원(401, 403, 또는 405)의 LED들(411)을 구동하기 위한 작동 파워(APW, 즉 구동 전류)를 생성하는 정류기(rectifier)를 포함한다.
제1전자 퓨즈(231)의 상태만이 오픈으로 설정되면, 제1전자 퓨즈(231)의 출력 신호(또는 오픈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출력 신호)에 따라 인에이블된 제1드라이버(241)는 제1작동 파워(APW1)에 해당하는 제1전류를 광원(401, 403, 또는 405)의 LED들(411)로 공급한다. 이때, 해당 드라이버(243, 245, 및 247)는 해당 전자 퓨즈 (233, 235, 및 237)의 출력 신호(또는 단락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출력 신호)에 따라 디스에이블된다.
제2전자 퓨즈(233)의 상태만이 오픈으로 설정되면, 제2전자 퓨즈(233)의 출력 신호에 따라 인에이블된 제2드라이버(243)는 제2작동 파워(APW2)에 해당하는 제2전류를 광원(401, 403, 또는 405)의 LED들(411)로 공급한다. 이때, 해당 드라이버 (241, 245, 및 247)는 해당 전자 퓨즈(231, 235, 및 237)의 출력 신호에 따라 디스에이블된다.
제3전자 퓨즈(235)의 상태만이 오픈으로 설정되면, 제3전자 퓨즈(235)의 출력 신호에 따라 인에이블된 제3드라이버(245)는 제3작동 파워(APW3)에 해당하는 제3전류를 광원(401, 403, 또는 405)의 LED들(411)로 공급한다. 이때, 해당 드라이버 (241, 243, 및 247)는 해당 전자 퓨즈(231, 233, 및 237)의 출력 신호에 따라 디스에이블된다.
제4전자 퓨즈(237)의 상태만이 오픈으로 설정되면, 제4전자 퓨즈(237)의 출력 신호에 따라 인에이블된 제4드라이버(247)는 제4작동 파워(APW4)에 해당하는 제4전류를 광원(401, 403, 또는 405)의 LED들(411)로 공급한다. 이때, 해당 드라이버 (241, 243, 및 245)는 해당 전자 퓨즈(231, 233, 및 235)의 출력 신호에 따라 디스에이블된다.
제1작동 파워(APW1) 내지 제4작동 파워(APW4) 각각의 양 또는 레벨은 서로 다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파워 스테이지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파워 스테이지(240)는 각 드라이버(241~247)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249)를 포함한다. 제어 회로(249)는 전자 퓨즈들(231, 233, 235, 및 237)의 상태들(예를 들면, 단락 또는 오픈)에 따라 결정된 출력 신호들을 조합하여 각 드라이버(241, 243, 245, 및 247)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전자 퓨즈(231)의 상태가 전자 퓨즈들 (233, 235, 및 237) 각각의 상태와 다를 때, 파워 스테이지(240)는 제1작동 파워 (APW1)에 해당하는 제1전류를 광원(401, 403, 또는 405)의 LED들(411)로 공급한다. 또한, 제4전자 퓨즈(237)의 상태가 전자 퓨즈들(231, 233, 및 235) 각각의 상태와 다를 때, 파워 스테이지(240)는 제4작동 파워(APW4)에 해당하는 제4전류를 광원 (401, 403, 또는 405)의 LED들(411)로 공급한다.
각 드라이버(241, 243, 245, 및 247)는 전압 또는 전류를 변화시킴으로써 광원(401, 403, 또는 405)의 조도를 제어하는 장치이다.
각 드라이버(241, 243, 245, 및 247)는 구동 방식에 따라 정전압 구동방식, 정전류 구동방식, 및 PWM 구동방식으로 분류된다.
정전압 구동방식은 LED들(411)에 인가되는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원하는 순전류를 확보하는 방식이고, 정전류 구동방식은 정전류 회로를 이용하여 LED들(411)의 순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조도를 조절하는 방식이고, PWM 구동방식은 짧은 시간동안 LED들(411)의 전류를 반복적으로 온(on)/오프(off)시키는 방법으로 조명 밝기를 제어하는 방식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 프로그램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광원 출력 제어 장치와 광원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의 블록도이다. 조명 장치(500)의 예들은 가정용 조명 장치, 산업용 조명 장치, 자동차용 조명 장치, 가전제품용 조명 장치 등을 포함한다.
1. 각 입력 파워의 레벨을 조절
실시 예들에 따라, 작업자가 조절 장치(300)를 이용하여 각 입력 파워(SPW1, SPW3, 및 SPW4)의 레벨을 조절하여 각 광원(401, 403, 및 405)으로 공급될 각 작동 파워(APW1, APW3, 및 APW4)에 대한 정보를 순차적으로 프로그램하는 과정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작업자가 조절 장치(300)를 이용하여 제1입력 파워(SPW1)를 유도성 결합 장치(210)의 입력 회로(212)를 공급하면, 유도성 결합 장치(210)의 출력 회로(214)는 제1입력 파워(SPW1)를 이용하여 제1레벨(LV1)을 갖는 출력 파워(VRX 또는 VAC)를 생성한다(S110).
파워 레벨 검출기(222)는 출력 파워(VRX 또는 VAC)의 제1레벨(LV1)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제1파워 레벨 검출 신호(PDT1)를 생성한다(S120).
퓨즈 설정 회로(226)는, 제1파워 레벨 검출 신호(PDT1)를 이용하여, 제1전자 퓨즈(231)의 상태를 오픈(또는 컷(cut))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전자 퓨즈들(233, 235, 및 237) 각각의 상태를 단락(또는 언컷(uncut))으로 유지한다(S130).
파워 스테이지(240)는, 외부 파워(EPW)와 전자 퓨즈들(231, 233, 235, 및 237)의 상태들에 따라 결정된 출력 신호들을 이용하여, 광원(401)으로 공급될 제1작동 파워(APW1)를 생성한다(S140).
광원 출력 제어 장치(200)에 의해 제1작동 파워(APW1)가 광원(401)으로 공급되도록 설정된 후, 파워 스테이지(240)는 제1작동 파워(APW1)를 광원(401)의 LED들 (411)로 공급한다(S150).
계속하여, 작업자가 조절 장치(300)를 이용하여 제3입력 파워(SPW3)를 유도성 결합 장치(210)의 입력 회로(212)를 공급하면, 유도성 결합 장치(210)의 출력 회로(214)는 제3입력 파워(SPW3)를 이용하여 제3레벨(LV3)을 갖는 출력 파워(VRX 또는 VAC)를 생성한다(S110).
파워 레벨 검출기(222)는 출력 파워(VRX 또는 VAC)의 제3레벨(LV3)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제3파워 레벨 검출 신호(PDT3)를 생성한다(S120).
퓨즈 설정 회로(226)는, 제3파워 레벨 검출 신호(PDT3)를 이용하여, 제3전자 퓨즈(235)의 상태를 오픈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전자 퓨즈들(231, 233, 및 237) 각각의 상태를 단락으로 유지한다(S130).
파워 스테이지(240)는, 외부 파워(EPW)와 전자 퓨즈들(231, 233, 235, 및 237)의 상태들에 따라 결정된 출력 신호들을 이용하여, 광원(401)으로 공급될 제3작동 파워(APW3)를 생성한다(S140).
광원 출력 제어 장치(200)에 의해 제3작동 파워(APW3)가 광원(401)으로 공급되도록 설정된 후, 파워 스테이지(240)는 제3작동 파워(APW3)를 광원(403)의 LED들(411)로 공급한다(S150).
계속하여, 작업자가 조절 장치(300)를 이용하여 제4입력 파워(SPW4)를 유도성 결합 장치(210)의 입력 회로(212)를 공급하면, 유도성 결합 장치(210)의 출력 회로(214)는 제4입력 파워(SPW4)를 이용하여 제4레벨(LV4)을 갖는 출력 파워(VRX 또는 VAC)를 생성한다(S110).
파워 레벨 검출기(222)는 출력 파워(VRX 또는 VAC)의 제4레벨(LV4)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제4파워 레벨 검출 신호(PDT4)를 생성한다(S120).
퓨즈 설정 회로(226)는, 제4파워 레벨 검출 신호(PDT4)를 이용하여, 제4전자 퓨즈(237)의 상태를 오픈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전자 퓨즈들(231, 233, 및 235) 각각의 상태를 단락으로 유지한다(S130).
파워 스테이지(240)는, 외부 파워(EPW)와 전자 퓨즈들(231, 233, 235, 및 237)의 상태들에 해당하는 출력 신호들을 이용하여, 광원(405)으로 공급될 제4작동 파워(APW4)를 생성한다(S140).
광원 출력 제어 장치(200)에 의해 제4작동 파워(APW4)가 광원(401)으로 공급되도록 설정된 후, 파워 스테이지(240)는 제4작동 파워(APW4)를 광원(405)의 LED들 (411)로 공급한다(S150).
2. 각 입력 파워의 주파수를 조절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작업자가 조절 장치(300)를 이용하여 각 입력 파워의 주파수(SPW1, SPW3, 및 SPW4)를 조절하여 각 광원(401, 403, 및 405)으로 공급될 각 작동 파워(APW1, APW3, 및 APW4)를 순차적으로 프로그램하는 과정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주파수를 조절할 때, 각 입력 파워(SPW1, SPW3, 및 SPW4)의 레벨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실시 예에 따라 주파수를 조절할 때 각 입력 파워(SPW1, SPW3, 및 SPW4)의 레벨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작업자가 제1출력 주파수(FRQ1)을 갖는 출력 파워(VRX 또는 VAC)를 전자기 유도로 유도하기 위해 조절 장치(300)로 제1입력 주파수(SFQi, i=1)를 갖는 제1입력 파워를 입력 회로(212)로 공급하면(S110), 주파수 검출기(224)는 출력 파워(VRX 또는 VAC)의 제1출력 주파수(FRQ1)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제1주파수 검출 신호(FDT1)를 생성한다(S120).
퓨즈 설정 회로(226)는, 제1주파수 검출 신호(FDT1)를 이용하여, 제1전자 퓨즈(231)의 상태를 오픈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전자 퓨즈들(233, 235, 및 237) 각각의 상태를 단락으로 유지한다(S130).
파워 스테이지(240)는, 외부 파워(EPW)와 전자 퓨즈들(231, 233, 235, 및 237)의 상태들에 해당하는 출력 신호들을 이용하여, 광원(401)으로 공급될 제1작동 파워(APW1)를 생성한다(S140).
광원 출력 제어 장치(200)에 의해 제1작동 파워(APW1)가 광원(401)으로 공급되도록 설정된 후, 파워 스테이지(240)는 제1작동 파워(APW1)를 광원(401)의 LED들(411)로 공급한다(S150).
계속하여, 작업자가 제3출력 주파수(FRQ3)을 갖는 출력 파워(VRX 또는 VAC)를 전자기 유도로 유도하기 위해 조절 장치(300)로 제3입력 주파수(SFQ3)를 갖는 제1입력 파워를 입력 회로(212)로 공급하면(S110), 주파수 검출기(224)는 출력 파워(VRX 또는 VAC)의 제3출력 주파수(FRQ3)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제3주파수 검출 신호(FDT3)를 생성한다(S120).
퓨즈 설정 회로(226)는, 제3주파수 검출 신호(FDT3)를 이용하여, 제3전자 퓨즈(235)의 상태를 오픈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전자 퓨즈들(231, 233, 및 237) 각각의 상태를 단락으로 유지한다(S130).
파워 스테이지(240)는, 외부 파워(EPW)와 전자 퓨즈들(231, 233, 235, 및 237)의 상태들에 해당하는 출력 신호들을 이용하여, 광원(403)으로 공급될 제3작동 파워(APW3)를 생성한다(S140).
광원 출력 제어 장치(200)에 의해 제3작동 파워(APW3)가 광원(403)으로 공급되도록 설정된 후, 파워 스테이지(240)는 제3작동 파워(APW3)를 광원(403)의 LED들(411)로 공급한다(S150).
계속하여, 작업자가 제4출력 주파수(FRQ4)을 갖는 출력 파워(VRX 또는 VAC)를 전자기 유도로 유도하기 위해 조절 장치(300)로 제4입력 주파수(SFQ4)를 갖는 제4입력 파워를 입력 회로(212)로 공급하면(S110), 주파수 검출기(224)는 출력 파워(VRX 또는 VAC)의 제4출력 주파수(FRQ4)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제4주파수 검출 신호(FDT)를 생성한다(S120).
퓨즈 설정 회로(226)는, 제4주파수 검출 신호(FDT4)를 이용하여, 제4전자 퓨즈(237)의 상태를 오픈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전자 퓨즈들(231, 233, 및 235) 각각의 상태를 단락(short)으로 설정한다(S130).
파워 스테이지(240)는, 외부 파워(EPW)와 전자 퓨즈들(231, 233, 235, 및 237)의 상태들에 해당하는 출력 신호들을 이용하여, 광원(405)으로 공급될 제4작동 파워(APW4)를 생성한다(S140).
광원 출력 제어 장치(200)에 의해 제4작동 파워(APW4)가 광원(401)으로 공급되도록 설정된 후, 파워 스테이지(240)는 제4작동 파워(APW4)를 광원(405)의 LED들(411)로 공급한다(S150).
광원(401, 403, 또는 405)은 전자 퓨즈들(231, 233, 235, 및 237) 각각이 어떻게 프로그램되는지에 따라 해당 작동 파워(APW1, APW2, APW3, 또는 APW4)를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광원 출력 제어 장치(200)는 퓨즈 회로(230)와 파워 스테이지(이를 '파워 공급 회로'라고도 한다. 240)를 포함할 수 있다. 퓨즈 회로(230)는 레이저의 조사에 의해 컷팅(cutting)되는 구조를 갖는 퓨즈들(231, 233, 235, 및 237)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명 장치 프로그램 시스템(100)은 광원 출력 제어 장치(200), 광원(401, 403, 또는 405), 및 레이저를 생성하는 레이저 생성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파워 스테이지(24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외부 파워(EPW, 예를 들면, AC 전압, 예를 들면, 110V 또는 220V, 등)와 레이저의 조사에 의해 컷팅되는 구조를 갖는 퓨즈들(231, 233, 235, 및 237)의 상태들(예를 들면, 컷(cut) 상태 또는 언컷 (uncut) 상태)에 따라 생성되는 출력 신호들을 이용하여 각 광원(401, 403, 또는 405)으로 공급될 작동 파워(APW, 예를 들면, 구동 전류)를 생성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조명 장치 프로그램 시스템
200: 광원 출력 제어 장치
210: 유도성 결합 장치
220: 설정 횔로
222: 파워 레벨 검출기
224: 주파수 검출기
226: 퓨즈 설정 회로
230: 퓨즈 회로
240: 파워 스테이지

Claims (15)

  1. 전자 퓨즈들;
    외부 파워를 수신하고, 상기 외부 파워와 상기 전자 퓨즈들 각각의 상태에 따라 작동 파워를 생성하고, 상기 작동 파워를 광원으로 공급하는 파워 스테이지; 및
    상기 전자 퓨즈들 각각의 상태를 설정하는 설정 회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가능한 광원 출력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출력 제어 장치는 유도성 결합(inductive coupling)을 이용하여 파워를 전달하는 유도성 결합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 회로는,
    상기 유도성 결합 장치의 출력 파워의 레벨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파워 레벨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파워 레벨 검출기; 및
    상기 파워 레벨 검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퓨즈들 각각의 상태를 설정하는 퓨즈 설정 회로를 포함하는 광원 출력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출력 제어 장치는 유도성 결합을 이용하는 주파수를 전달하는 유도성 결합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 회로는,
    상기 유도성 결합 장치의 출력 파워의 주파수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주파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 검출기; 및
    상기 주파수 검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퓨즈들 각각의 상태를 설정하는 퓨즈 설정 회로를 포함하는 광원 출력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출력 제어 장치는 유도성 결합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 회로는,
    상기 유도성 결합 장치의 출력 파워의 레벨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파워 레벨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파워 레벨 검출기;
    상기 유도성 결합 장치의 출력 파워의 주파수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주파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 검출기; 및
    상기 파워 레벨 검출 신호와 상기 주파수 검출 신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퓨즈들 각각의 상태를 설정하는 퓨즈 설정 회로를 포함하는 광원 출력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들(light emitting diodes)를 포함하는 광원 출력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스테이지는 상기 LED들을 구동하기 위한 전류를 공급하는 제어가능한 전류원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는 상기 작동 파워인 광원 출력 제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파워는 AC 전압이고,
    상기 파워 스테이지는 상기 AC 전압을 정류하여 상기 LED들을 구동하기 위한 전류를 생성하는 정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는 상기 작동 파워인 광원 출력 제어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스테이지는,
    상기 전자 퓨즈들의 출력 신호들를 조합하여 제어 신호들를 생성하는 제어 회로; 및
    각각이 상기 제어 신호들 각각에 응답하여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되는 드라이버들을 포함하고,
    상기 드라이버들 중에서 인에이블된 드라이버는 상기 LED들을 구동하기 위한 전류를 공급하는 광원 출력 제어 장치.
  9. 광원;
    전자 퓨즈들;
    외부 파워를 수신하고, 상기 외부 파워와 상기 전자 퓨즈들 각각의 상태에 따라 작동 파워를 생성하고, 상기 작동 파워를 상기 광원으로 공급하는 파워 스테이지; 및
    상기 전자 퓨즈들 각각의 상태를 설정하는 설정 회로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유도성 결합을 이용하여 파워를 전달하는 유도성 결합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 회로는,
    상기 유도성 결합 장치의 출력 파워의 레벨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파워 레벨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파워 레벨 검출기; 및
    상기 파워 레벨 검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퓨즈들 각각의 상태를 설정하는 퓨즈 설정 회로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장치는 유도성 결합을 이용하는 주파수를 전달하는 유도성 결합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 회로는,
    상기 유도성 결합 장치의 출력 파워의 주파수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주파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주파수 검출기; 및
    상기 주파수 검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퓨즈들 각각의 상태를 설정하는 퓨즈 설정 회로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들(light emitting diodes)을 포함하고,
    상기 파워 스테이지는 상기 LED들을 구동하기 위한 전류를 공급하는 제어가능한 전류원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는 상기 작동 파워인 조명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들(light emitting diodes)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파워는 AC 전압이고,
    상기 파워 스테이지는 상기 AC 전압을 정류하여 상기 LED들을 구동하기 위한 전류를 생성하는 정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는 상기 작동 파워인 조명 장치.
  14. 광원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를 프로그램하는 방법에 있어서,
    유도성 결합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유도성 결합 장치의 출력 파워의 레벨과 주파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
    설정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레벨과 상기 주파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설정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검출의 결과를 이용하여 전자 퓨즈들을 프로그램하는 단계; 및
    파워 스테이지를 이용하여 프로그램된 상기 전자 퓨즈들의 상태에 따라 상기 광원으로 공급될 파워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를 프로그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스테이지를 이용하여, 설정된 파워를 상기 광원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명 장치를 프로그램하는 방법.
KR1020210120060A 2021-09-09 2021-09-09 전자 퓨즈를 이용하여 프로그램가능한 광원 출력 제어 장치, 조명 장치, 및 상기 조명 장치를 프로그램하는 방법 KR2023003713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060A KR20230037131A (ko) 2021-09-09 2021-09-09 전자 퓨즈를 이용하여 프로그램가능한 광원 출력 제어 장치, 조명 장치, 및 상기 조명 장치를 프로그램하는 방법
US17/748,129 US11765804B2 (en) 2021-09-09 2022-05-19 Programmable light source output control device using electronic fuse, lighting device, and method of programming ligh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060A KR20230037131A (ko) 2021-09-09 2021-09-09 전자 퓨즈를 이용하여 프로그램가능한 광원 출력 제어 장치, 조명 장치, 및 상기 조명 장치를 프로그램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131A true KR20230037131A (ko) 2023-03-16

Family

ID=85386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060A KR20230037131A (ko) 2021-09-09 2021-09-09 전자 퓨즈를 이용하여 프로그램가능한 광원 출력 제어 장치, 조명 장치, 및 상기 조명 장치를 프로그램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765804B2 (ko)
KR (1) KR2023003713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54651B2 (en) 2013-08-19 2017-12-26 Philips Lighting Holding B.V. Programmable lighting device and method and system for programming lighting device
KR101896686B1 (ko) 2017-08-04 2018-09-10 (주)디에스전기 Nfc 기반의 비접촉식 독립형 디밍 또는 디머블 옥외용 led조명 등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72438B2 (en) * 2012-06-14 2014-10-28 Xunwei Zhou LED light dimming with a target brightness
US10149358B1 (en) * 2016-03-14 2018-12-04 Cooledge Lighting Inc. Programmable control elements for illumination system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54651B2 (en) 2013-08-19 2017-12-26 Philips Lighting Holding B.V. Programmable lighting device and method and system for programming lighting device
KR101896686B1 (ko) 2017-08-04 2018-09-10 (주)디에스전기 Nfc 기반의 비접촉식 독립형 디밍 또는 디머블 옥외용 led조명 등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70537A1 (en) 2023-03-09
US11765804B2 (en) 202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15611B1 (en) Lighting device and illumination apparatus
CN1879457B (zh) 用于灯具镇流器的热保护
JP5048506B2 (ja) 調光可能なled電源における起動フリッカ抑制
CN103313467B (zh) 功率开关双极结型晶体管的动态控制
CN104582142B (zh) 照明系统的无级调光控制方法
KR101708656B1 (ko) 전력선을 이용한 통신장치와 이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시스템
JP2019528554A (ja) センサ対応ledドライバ用の絶縁補助電源及びdali電源の制御
US20150201470A1 (en) Solid-State Lighting Dimming
US8085560B2 (en) Power supply apparatus
KR20150001033A (ko) 전원 공급 장치
CN107113932B (zh) 可控驱动器和驱动方法
CN102939795A (zh) 可调光离线led驱动器
KR20230037131A (ko) 전자 퓨즈를 이용하여 프로그램가능한 광원 출력 제어 장치, 조명 장치, 및 상기 조명 장치를 프로그램하는 방법
JP6460216B1 (ja) 高光度航空障害灯の閃光駆動装置
US20020195974A1 (en) Auxiliary lighting system for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WO2016105467A1 (en) Light fixture with multiple dimming capabilities
US9089012B2 (en) Secondary-side sensing of phase-dimming signal
WO2016141558A1 (en) Isolated interface with current transformer
KR20120126909A (ko)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조명용 전원 공급 제어장치
KR20160023141A (ko) Led 전원 제어 장치
AU2016218927A1 (en) Dimmer system
WO2009125630A1 (ja) パルス生成回路、パルス駆動装置、調光装置及び照明装置
KR101188236B1 (ko) 발광소자 조명 제어 장치
US9055633B2 (en) Load compensation for an electronic transformer in a LED illumination system
KR101961850B1 (ko) LED(Light Emitting Diode) 조명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