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537A - 스테이터, 전기 기계 및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스테이터, 전기 기계 및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537A
KR20230036537A KR1020220111799A KR20220111799A KR20230036537A KR 20230036537 A KR20230036537 A KR 20230036537A KR 1020220111799 A KR1020220111799 A KR 1020220111799A KR 20220111799 A KR20220111799 A KR 20220111799A KR 20230036537 A KR20230036537 A KR 20230036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mounting box
winding
winding segments
phase syste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1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리 바르티아이넨
요리 케이타모
클라스 산드홀름
Original Assignee
에이비비 슈바이쯔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비비 슈바이쯔 아게 filed Critical 에이비비 슈바이쯔 아게
Publication of KR20230036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5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8Layout of windings or of connections between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6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a generally annular yoke with salient poles
    • H02K1/148Sectional co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 H02K1/187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to inner st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56Manufacturing wind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0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05Fastening of winding heads, equalising connectors, or connections thereto for large machine windings, e.g. bar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H02K7/1823Rotary generato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urbines or similar engines
    • H02K7/183Rotary generato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urbines or similar engines wherein the turbine is a wind turbi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9Machines characterised by wiring elements other than wires, e.g. bus ring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03Machines characterised by numerical values, ranges, mathematical expressions or simila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06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fail safe, back up, redundant or other similar emergenc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3/00Specific 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nd not covered by codes H02K2201/00 - H02K2211/00
    • H02K2213/1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ity of some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6Power conversion electric or electronic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Windings For Motors And Generator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회전 전기 기계의 스테이터, 회전 전기 기계 및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 스테이터는 다수의 위상 시스템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권선 세그먼트, 권선 세그먼트로부터 케이블링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착 박스를 포함하고, 다수의 위상 시스템은 스테이터의 원주에서 고르게 분할된 권선 세그먼트로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장착 박스는 다수의 위상 시스템용 버스바를 포함하고, 다수의 위상 시스템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장착 박스에서 대응하는 주파수 변환기에 연결 가능하다.

Description

스테이터, 전기 기계 및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STATOR, ELECTRICAL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TATOR}
본 발명은 회전 전기 기계의 스테이터, 특히 권선 세그먼트로 구성된 스테이터에 관한 것이다.
대형 발전기는 일반적으로 스테이터 권선이 권선 세그먼트로 생성되는 스테이터 구조를 사용하여 구축된다. 세그먼트는 완전한 권선 구조를 생성하기 위해 스테이터 표면에 설치할 수 있는 미리 제조된 권선이다. 권선 세그먼트는 원하는 수의 극을 갖는 원하는 스테이터 권선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연결된다. 스테이터 권선은 통상적으로 주파수 변환기에 의해 공급되고, 그에 따라 권선으로 생성된 에너지가 원하는 전기적 형태, 즉, 원하는 주파수로 추가로 공급될 수 있다.
직경이 수 미터에서 최대 10미터에 이르는 스테이터를 갖는 더 큰 기계와 관련하여, 권선 세그먼트가 있는 스테이터의 공급은, 권선 세그먼트로부터의 케이블이 스테이터 근방에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 점에서 문제가 된다. 또한, 대형 기계를 사용하는 경우, 권선을 공급하기 위해 2개의 주파수 변환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실시이다. 스테이터 세그먼트로부터 케이블링을 배선하기 위해, 스테이터는 동일한 수의 권선 세그먼트를 갖는 2개의 부분으로 분할될 수 있다. 하나의 주파수 변환기는 스테이터 원주의 좌측 부분에 위치된 권선 세그먼트를 공급하고 다른 주파수 변환기는 권선 세그먼트의 우측 절반부를 공급한다.
2개의 주파수 변환기로 작동할 때, 2개의 변환기 중 하나가 고장난 경우에도 작동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전기 사용에서, 변환기 중 하나가 고장나더라도 작동을 유지하기 위한 중복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스테이터 권선이 원주방향으로 2개로 분할되는 대형 기계에서는, 하나의 주파수 변환기로만 작동할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생성된 토크의 불균형으로 인한 힘은 전체 스테이터 구조에 영향을 미치고, 높은 진폭의 진동과 구조의 굽힘을 부여하여 전기 기계와 그 지지 구조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스테이터, 전기 기계 및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 청구항에 기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터, 전기 기계 및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스테이터 권선 세그먼트로부터의 케이블링이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박스를 채용한다는 사상에 기초한다. 다수의 위상 시스템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스테이터 권선 세그먼트는 스테이터의 원주에 고르게 분포되며, 적어도 하나의 장착 박스를 사용함으로써, 권선 세그먼트의 케이블링이 크게 단순화된다.
본 발명의 이점은 권선 세그먼트로부터의 케이블링이 가장 최적의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고, 동시에 권선 세그먼트가 전기 기계의 사용에 있어서 중복성이 획득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는 점이다.
다음에서,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고,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2는 장착 박스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도 3은 스테이터와 장착 박스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테이터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스테이터(11)는 공지된 방식으로 권선 세그먼트(12-25)로 형성된다. 권선 세그먼트는 원하는 권선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미리 권선된 구조이다. 도 1의 예에서, 14개의 권선 세그먼트가 스테이터의 원주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제시된 권선 세그먼트는 각각 3개의 위상을 갖는 위상 시스템을 생성하는 구조이다. 예에서 제시된 14개의 권선 세그먼트는 위상 시스템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연결되는 세그먼트로 형성될 수 있다. 위상 시스템의 경우, 발전기에서 사용될 때 이 때문에 다상 전압을 생성하는 완전한 전압 시스템이라 지칭된다. 3상 시스템의 경우, 각각의 권선 세그먼트(12 내지 25)는 3상 전압을 생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테이터는 다수의 위상 시스템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권선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권선 세그먼트로부터 케이블링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착 박스를 포함한다. 도 1은 2개의 장착 박스가 구조에 배열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박스(MBT a 및 MBT b)는 스테이터의 상이한 측면에 위치된다. 도면에서 스테이터가 수직선으로 2개로 분할되면, 장착 박스는 수직선의 상이한 측면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위상 시스템은 스테이터의 원주에서 고르게 분할된 세그먼트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상 시스템은 시스템의 모든 위상에 대한 권선 및 전압 시스템을 추가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지점을 갖는 독립적인 위상 시스템을 지칭한다. 도 1의 예에서, 위상 시스템은 3상 시스템이다. 발전기에 사용되는 경우, 독립적인 3상 시스템은 3상 전압을 생성한다.
본 발명에서, 위상 시스템은 스테이터의 원주에서 고르게 분할된다. 도 1의 예는 3상 전압을 생성하는 14개의 세그먼트를 갖는다. 이들 세그먼트는 2상 시스템을 생성하도록 배열된 예에 있다. 위상 시스템이 고르게 분할됨에 따라, 다른 모든 세그먼트는 위상 시스템(PS1)에 속하고 나머지 세그먼트는 위상 시스템(PS2)에 속한다. 따라서, 이웃한 세그먼트는 상이한 위상 시스템에 있다. 세그먼트가 동일한 위상 시스템에 속하는 경우, 대응 위상은 병렬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적어도 하나의 장착 박스는 다수의 위상 시스템을 위한 버스바를 포함한다. 도 1의 예에서, 2개의 장착 박스 각각은 다수의 위상 시스템용 버스바를 포함한다. 예에서, 위상 시스템의 수가 2개인 경우, 장착 박스는 2상 시스템용 버스바를 포함한다. 또한, 다상 시스템이 3상 시스템인 경우, 각각의 장착 박스는 2상 시스템용 3상 버스바, 즉, 6개의 버스바를 갖는다.
도 2는 장착 박스(MBT a)의 예를 도시한다. 도 2의 장착 박스는 스테이터 세그먼트로부터 3상 전압을 수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스테이터 세그먼트의 넘버링은 도 1에 도시된 것에 대응한다.
동일한 위상 시스템에 속하는 권선 세그먼트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으며 장착 박스에서 병렬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의 3상 시스템에서, 장착 박스는 제1 위상 시스템(PS1)의 위상(U1, V1, W1)용 버스바 및 제2 위상 시스템(PS2)의 위상(U2, V2, W2)용 버스바를 포함한다. 이는 제1 위상 시스템(PS1)의 버스바가 스테이터 세그먼트(21, 23, 25 및 19)로부터 3상 전압을 수신하는 도 2에 추가로 예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 위상 시스템(PS2)의 버스바는 스테이터 세그먼트(24, 22 및 20)로부터 3상 전압을 수신한다.
본 발명에서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위상 시스템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장착 박스에서 대응하는 주파수 변환기에 연결될 수 있다. 위상 시스템(PS1 및 PS2)은 장착 박스에서 별개의 주파수 변환기(FC1 및 FC2)에 연결 가능하다. 따라서, 장착 박스의 3상 버스바는 별개의 위상 시스템 전용인 주파수 변환기에 연결 가능하다. 도 2는 위상 시스템(PS1)의 버스바가 주파수 변환기(FC1)에 연결 가능하고 위상 시스템(PS2)의 버스바가 주파수 변환기(FC2)에 연결 가능함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권선 세그먼트로부터의 물리적 전기적 연결, 즉, 케이블링은, 스테이터가 절반으로 분할되고, 한 절반부의 권선 세그먼트가 하나의 장착 박스에 연결되며 나머지 절반부의 권선 세그먼트는 다른 장착 박스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장착 박스에서, 위상 시스템은 별개의 버스바에 연결되고, 버스바로부터 대응 주파수 변환기에 연결된다. 위의 구조의 경우, 스테이터에서 복잡한 케이블 라우팅 없이 권선 세그먼트가 고르게 분포되기 때문에 이중 작동이 가능하다.
위의 실시예에서, 2개의 장착 박스(MBT a, MBT b)가 제시된다. 장착 박스는 스테이터 구조의 2개의 절반부 근방에 물리적으로 위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 장착 박스가 스테이터에 배열된다. 장착 박스는 각각의 권선 세그먼트가 스테이터 구조의 자신의 측면에서 장착 박스에 연결될 수 있는 치수를 가질 수 있다. 기본적으로, 장착 박스는, 장착 박스의 일 단부가 스테이터를 2개의 절반부로 분할하는 가상의 중심선의 일 측면에 있고 장착 박스의 다른 단부가 가상의 중심선의 다른 측면에 있도록 연장된다. 버스바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위상 시스템의 장착 박스에 배열된다. 2개의 위상 시스템이 스테이터 구조의 양 측면에 있기 때문에, 버스바는 통상적으로 각각의 권선 세그먼트를 버스바에 연결하기 위해 장착 박스 내부로 연장된다.
도 1에 추가로 예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장착 박스는 주파수 변환기에 연결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주파수 변환기(FC1)는 2개의 장착 박스로부터 제1 위상 시스템의 케이블링을 수신하고 주파수 변환기(FC2)는 2개의 장착 박스로부터 제2 위상 시스템의 케이블링을 수신한다. 도 1의 예에서, 권선 세그먼트의 수는 14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따라서 7개의 세그먼트가 동일한 위상 시스템에 속하며 병렬로 연결된다. 도 1은 또한 각각의 주파수 변환기로부터 장착 박스로부터의 7개의 케이블을 수신하는 것을 예시한다. 장착 박스로부터의 케이블 양은 권선 세그먼트로부터의 전류가 단면적이 충분한 케이블링을 갖는 주파수 변환기에 공급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테이터는 전기 기계의 내부 스테이터이다. 스테이터가 내부 스테이터일 때, 스테이터를 갖는 전기 기계는 외부 로터를 갖는다. 따라서, 로터는 스테이터 둘레에서 회전하도록 배열된다. 내부 스테이터 구조는 정격 출력이 높은 풍력 발전기와 같은 특정 구조에 채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테이터는 5 미터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직경은 스테이터 표면으로부터 측정한 직경을 나타낸다.
도 3은 사시도로 스테이터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의 스테이터는 스테이터가 14개의 스테이터 세그먼트와 2개의 장착 박스(31)를 포함하기 때문에 도 1의 스테이터에 대응한다. 도 3은 스테이터 세그먼트로부터의 케이블링이 도 1에 개략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어떻게 장착 박스로 이어지는 지를 도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테이터의 정격 출력은 5 메가와트 초과이다. 고출력 스테이터 및 고출력 스테이터를 채용하는 전기 기계는 통상적으로 풍력 생산에 사용되는 발전기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스테이터는 모터로서 작용하는 전기 기계에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회전 전기 기계의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다수의 위상 시스템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권선 세그먼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권선 세그먼트는 스테이터의 지지 구조에 부착된다.
방법은 권선 세그먼트로부터 케이블링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착 박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스테이터의 원주에서 고르게 분할되는 세그먼트의 다수의 위상 시스템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방법에서, 적어도 하나의 장착 박스는 다수의 위상 시스템용 버스바를 포함하고, 다수의 위상 시스템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장착 박스에서 대응하는 주파수 변환기에 연결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상기 제시된 이점을 갖는 스테이터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방법에서, 권선 세그먼트로부터의 케이블은 적어도 하나의 장착 박스로 라우팅된다. 스테이터 제조에 장착 박스를 사용하면 다수의 주파수 변환기가 사용될 때 스테이터에서 중복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로터를 갖는 전기 기계에 관한 것이다. 전기 기계는 본 개시내용의 스테이터를 포함한다. 전기 기계는 바람직하게는 발전기이다. 바람직하게는, 발전기는 풍력 발전기이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본 발명의 개념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 및 그 실시예는 전술한 예에 제한되지 않고 청구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Claims (14)

  1. 회전 전기 기계의 스테이터이며,
    다수의 위상 시스템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권선 세그먼트,
    권선 세그먼트로부터 케이블링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착 박스를 포함하고,
    다수의 위상 시스템은 스테이터의 원주에서 고르게 분할된 권선 세그먼트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장착 박스는 다수의 위상 시스템용 버스바를 포함하고,
    다수의 위상 시스템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장착 박스에서 대응하는 주파수 변환기에 연결될 수 있는, 회전 전기 기계의 스테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권선 세그먼트는 2상 시스템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회전 전기 기계의 스테이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위상 시스템은 3상 시스템인, 회전 전기 기계의 스테이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권선 세그먼트는 이웃한 권선 세그먼트가 상이한 위상 시스템에 속하도록 배열되는, 회전 전기 기계의 스테이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장착 박스는 2상 시스템용 버스바를 포함하고, 각각의 위상 시스템은 3상을 갖는, 회전 전기 기계의 스테이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테이터는 스테이터가 2개의 절반부로 분할될 때 스테이터의 양 측면에 위치된 2개의 장착 박스를 포함하고, 그에 따라 스테이터의 일 측면에 있는 권선 세그먼트의 한 절반부는 제1 장착 박스에 연결되고 스테이터의 다른 측면에 있는 권선 세그먼트의 다른 절반부는 제2 장착 박스에 연결되는, 회전 전기 기계의 스테이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테이터는 스테이터가 2개의 절반부로 분할될 때 스테이터의 양 측면에서 연장되는 장착 박스를 포함하고, 그에 따라 스테이터의 일 측면에 있는 권선 세그먼트의 한 절반부는 장착 박스의 제1 단부에 연결되고 스테이터의 다른 측면에 있는 권선 세그먼트의 다른 절반부는 장착 박스의 제2 단부에 연결되는, 회전 전기 기계의 스테이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권선 세그먼트는, 각각의 주파수 변환기가 상이한 위상 시스템에 연결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장착 박스를 통해 2개의 주파수 변환기에 연결 가능한, 회전 전기 기계의 스테이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테이터는 5 미터보다 큰 직경을 갖는, 회전 전기 기계의 스테이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테이터의 정격 출력은 5 메가와트 초과인, 회전 전기 기계의 스테이터.
  11. 회전 전기 기계의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이며,
    다수의 위상 시스템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권선 세그먼트를 제공하는 단계,
    권선 세그먼트로부터 케이블링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장착 박스를 제공하는 단계,
    스테이터의 원주에서 고르게 분할된 권선 세그먼트의 다수의 위상 시스템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장착 박스는 다수의 위상 시스템용 버스바를 포함하며, 다수의 위상 시스템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장착 박스에서 대응하는 주파수 변환기에 연결 가능한, 회전 전기 기계의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
  12. 제1항 또는 제2항의 스테이터를 갖는 회전 전기 기계.
  13. 제12항에 있어서, 전기 기계는 발전기인, 회전 전기 기계.
  14. 제12항에 있어서, 전기 기계는 내부 스테이터를 갖는, 회전 전기 기계.
KR1020220111799A 2021-09-07 2022-09-05 스테이터, 전기 기계 및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 KR202300365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195229.6 2021-09-07
EP21195229.6A EP4145685A1 (en) 2021-09-07 2021-09-07 Stator, electrical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t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537A true KR20230036537A (ko) 2023-03-14

Family

ID=77666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799A KR20230036537A (ko) 2021-09-07 2022-09-05 스테이터, 전기 기계 및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145685A1 (ko)
KR (1) KR20230036537A (ko)
CN (1) CN115776187A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2492501T3 (en) * 2011-02-25 2017-07-03 Siemens Ag Windmill
GB2530255B (en) * 2014-09-15 2017-02-22 Protean Electric Ltd A lead frame for an electric motor or generator
EP3493375A1 (en) * 2017-12-01 2019-06-05 Siemens Gamesa Renewable Energy A/S Stator assembly with flexible cabling arrangements, generator and wind turbine with such a stator assembly
EP3595165A1 (en) * 2018-07-09 2020-01-15 youWINenergy GmbH Electric circuit for a power plant, wind turbine installation with electric circuit and method to operate the electric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45685A1 (en) 2023-03-08
CN115776187A (zh) 2023-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56708B (zh) 带有冗余定子绕组的电机,特别是同步电动机
EP3252926B1 (en) Wind power generator and stator iron core thereof, and stator iron core module
CN110635585B (zh) 定子组件、发电机和用于产生电功率的风力涡轮机
JP2012210094A (ja) 三相交流回転電機
CN111555505A (zh) 一种电机定子及电机
CN111919363B (zh) 交流电机与变流器单元的组合和风力发电设备
RU2684614C2 (ru) Сборная электрическая машина
US8916984B2 (en) Wind turbine
KR20230036537A (ko) 스테이터, 전기 기계 및 스테이터의 제조 방법
US20210408862A1 (en) Stator for an electrical machine, wind turbi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ator
US11293412B2 (en) Busbar arrangement for wind turbine generator
US20220385129A1 (en) Concentrated winding layout for a stator of an electrical ac machine
US20210242740A1 (en) Concentrated winding layout for a stator of an electrical ac machine
CN215772693U (zh) 一种电机定子及电机
CN215344118U (zh) 一种电机定子及电机
CN215733706U (zh) 一种电机定子及电机
CN215870942U (zh) 一种定子及电机
CN214958931U (zh) 一种电机定子及电机
CN112821603A (zh) 一种电机定子及电机
EP3550699A1 (en) Winding design arrangement for an electrical machine and wind turbine generator
CN113141069A (zh) 一种电机定子及电机
CN115362621A (zh) 用于电动机器定子或定子段上的汇流条的固持系统
KR20210136198A (ko) 구동모터용 터미널 어셈블리
CN112260427A (zh) 一种电机定子及电机
JP2021027663A (ja) ステータ及び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