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469A - 질병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질병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469A
KR20230036469A KR1020210119362A KR20210119362A KR20230036469A KR 20230036469 A KR20230036469 A KR 20230036469A KR 1020210119362 A KR1020210119362 A KR 1020210119362A KR 20210119362 A KR20210119362 A KR 20210119362A KR 20230036469 A KR20230036469 A KR 20230036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task
log data
processor
protoc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임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임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임메드
Priority to KR1020210119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6469A/ko
Publication of KR20230036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4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질병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통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에 사용자의 질병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고, 상기 UI를 통해 상기 질병의 질문에 대한 답변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답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치료 프로토콜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치료 프로토콜에 포함되는 치료 단계 별 치료 일차에 대한 치료 태스크를 표시하고, 상기 UI를 통해 상기 치료 태스크에 대한 수행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수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치료 태스크가 완료된 경우, 상기 UI를 통해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치료 단계 마다 상기 치료 태스크가 완료되는 경우, 상기 입력받은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의 개수를 판단하여 상기 치료 단계의 종료를 결정하고, 상기 치료 단계 별 상기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인 경우, 상기 치료 프로토콜을 종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질병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Treatment Protocol for a Disease}
본 발명은 질병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질병 중 정신질환의 증가에 따라 진료 인원과 진료비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지난 2015년부터 2019년 정신-행동장애로 진료를 받은 환자의 경우, 연평균 6.2%(남성 5.9%, 여성 6.5%) 증가하였으며, 청년, 여성, 고령층이 주를 이뤘다.
이러한, 다빈도 정신질환을 성별, 연령대별로 보면 남성은 불안장애, 우울증, 수면장애, 치매, 여성은 우울증, 불안장애, 치매 등의 순이었다.
특히, 코로나 유행 장기화로 정신건강 악화에 대한 우려감도 커지고 있다. 사회적 고립감과 건강 상태 우려 증가, 경제 상황 악화 등 개인의 정신건강 악화 현상이 심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 기간 중 타 진료과목의 의료 이용량 감소 현상과는 대조적으로 정신질환 진료 인원은 증가 추세를 보였다.
이처럼, 정신질환 환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정신질환 치료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의 경우, 약물 치료, 시술, 수술 등으로 치료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질병 중 정신질환의 경우, 치료를 위한 약물 치료와 상담 치료 등이 병행될 수 있다.
그러나, 정신질환 환자의 경우, 병원을 자주 내원하는 것에 거부감과 어려움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따라 정신질환이 더욱 악화되는 경우도 많이 발생된다.
따라서, 환자가 병원을 내원하지 않고도 환자에게 CBT를 기반으로 하는 치료법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25062호 (2020.03.10)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환자의 질병에 대해 판단하고, 해당 질병에 따른 치료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질병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통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에 사용자의 질병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고, 상기 UI를 통해 상기 질병의 질문에 대한 답변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답변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기 치료 프로토콜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치료 프로토콜에 포함되는 치료 단계 별 치료 일차에 대한 치료 태스크가 상기 UI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공하고, 상기 UI를 통해 상기 치료 태스크에 대한 수행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수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치료 태스크가 완료된 경우, 상기 UI를 통해 상기 치료 일차 별 상기 사용자의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치료 단계 마다 상기 치료 태스크가 완료되는 경우, 상기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의 개수를 판단하여 상기 치료 단계의 종료를 결정하고, 상기 치료 단계 별 상기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인 경우, 상기 치료 프로토콜을 종료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치료 프로토콜은, 기 설정된 기간범위로 설정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료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료 단계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료 일차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료 일차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료 태스크와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I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료 태스크를 표시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를 입력받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행정보를 수신할 때, 특정 치료 일차에 포함되는 기 설정된 개수의 치료 태스크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행되지 않는 경우, 알림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UI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UI 상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료 태스크가 표시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행정보를 수신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료 태스크 중 특정 치료 태스크의 경우, 상기 제1 영역 상에 잠금아이콘을 표시하며, 기 설정된 치료 태스크가 완료된 후에 상기 잠금아이콘이 오픈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행정보를 수신할 때, 특정 치료 일차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치료 태스크가 완료되는 경우, 상기 특정 치료 일차의 다음 치료 일차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치료 태스크를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I 상의 상기 제2 영역은 비활성화된 상태로 초기설정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를 수신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료 태스크 중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치료 태스크에 대한 상기 수행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에 대한 입력이 가능하게 상기 제2 영역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치료 단계의 종료를 결정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료 단계 별로 종료되는 시점에 상기 치료 단계에 해당하는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에 대한 입력을 요청하는 입력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UI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질병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에 사용자의 질병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UI를 통해 상기 질병의 질문에 대한 답변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답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치료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치료 프로토콜에 포함되는 치료 단계 별 치료 일차에 대한 치료 태스크가 상기 UI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공하는 단계, 상기 UI를 통해 상기 치료 태스크에 대한 수행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수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치료 태스크가 완료된 경우, 상기 UI를 통해 상기 치료 일차 별 상기 사용자의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치료 단계 마다 상기 치료 태스크가 완료되는 경우, 상기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의 개수를 판단하여 상기 치료 단계의 종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치료 단계 별 상기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인 경우, 상기 치료 프로토콜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질병에 대해 판단하고, 해당 질병에 따른 치료 프로토콜을 제공함으로써 일정 기간 동안 병원에서 진행되는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질병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료 프로토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질병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을 제공하기 위한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불면증 질문에 대한 답변정보가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불면증 치료를 위한 치료 태스크와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인 수면일기가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불면증 치료를 위한 치료 태스크가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불면증 치료를 위한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인 수면일기를 입력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UI의 설정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질병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질병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위한 시스템(1)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료 프로토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질병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을 제공하기 위한 UI(4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질병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1)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시스템(1)은 환자의 질병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장치(10), 상기 치료 프로토콜 UI(User Interface, 400)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20) 및 통신망(30)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1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에 사용자의 질병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 UI(400)를 제공하고, 상기 UI(400)를 통해 상기 질병의 질문에 대한 답변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답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치료 프로토콜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질병은 정신질환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정신질환은 불면증, 감정장애, 고소공포증, 우울증, 강박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10)는 상기 설정된 치료 프로토콜에 포함되는 치료 단계 별 치료 일차에 대한 치료 태스크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치료 일차는, 해당 치료 단계에서 진행되는 순차적인 치료 과정의 순번을 나타내는 용어로써, 일 예로 상기 해당 치료 단계의 1회차 치료, 2회차 치료?? N회차 치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장치(10)는 상기 UI(400)를 통해 상기 치료 태스크에 대한 수행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수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치료 태스크가 완료된 경우, 상기 UI(400)를 통해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수행정보는, 상기 치료 태스크에 대한 수행시 생성되는 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수행정보는, 상기 치료 태스크가 질문인 경우,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일 수 있다.
여기서,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질병과 관련된 필수 수집 데이터일 수 있다. 일 예로,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는 질병이 불면증인 경우, 수면일기일 수 있다.
이후, 장치(10)는 상기 치료 단계 마다 상기 치료 태스크가 완료되는 경우, 상기 입력받은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의 개수를 판단하여 상기 치료 단계의 종료를 결정하고, 상기 치료 단계 별 상기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인 경우, 상기 치료 프로토콜을 종료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10)는 환자의 질병에 대해 판단하고, 해당 질병에 따른 치료 프로토콜을 제공함으로써 일정 기간 동안 병원에서 진행되는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장치(10)는 컴퓨터, 서버, 이동 단말기, 스마트폰 등등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장치(10)는 컴퓨터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컴퓨터는 연산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데스크 탑 PC, 노트북(Note Book)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의 이동 단말기,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도 해당될 수 있다. 또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장치가 컴퓨팅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 HMD장치가 컴퓨터가 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수신하여 정보처리를 수행하는 서버가 해당될 수 있다.
장치(10)는 통신부(110), 메모리(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장치(10)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더 적은 구성요소나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장치(10)와 사용자 단말(20), 장치(10)와 외부 서버(미도시) 사이 또는 장치(10)와 통신망(3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디스플레이 수단, 입력 수단, 통신기능 등이 포함되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개인용 컴퓨터(예를 들어,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 중 하나일 수도 있다.
또한, 외부 서버(미도시)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질병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의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장치(10)에서 제공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망(30)은 장치(10), 사용자 단말(20) 및 외부 서버(미도시) 간의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30)은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방식 또는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통신망(30)은 상기에 제시된 통신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통신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장치(1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자별 개인정보(예컨대, 이름, 생년월일, 거주지, 가족관계, 가족정보 등), 치료내역정보(질병정보, 병원기록, 치료기록 등)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메모리(120)는 상기 획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자별 개인정보, 치료내역정보 등을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로 제공한 웹 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상기 UI(400) 상에 입력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웹 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은 질병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 UI(400)를 표시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장치(1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장치(1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장치(1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장치(1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20)에 저장되고, 장치(10) 상에 설치되어, 프로세서(130)에 의하여 상기 장치(1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0)는 본 발명에 질병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프로세스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프로세스는 프로세서(130)에 대한 동작을 설명할 때 후술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3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2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3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장치(1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 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질병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을 제공하기 위해 웹 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UI(400)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20)은 인터넷을 통해 상기 장치(10)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를 이용하거나 상기 장치(10)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외부 서버(미도시) 예컨대, 다운로드 서버로부터 다운받아 이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20)에 사용자의 질병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 UI(400)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프로세스 중 제1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20)에 웹 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질병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 UI(400)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를 보면, 일 예로, 상기 치료 프로토콜은, 기 설정된 기간범위인 6주로 설정되며, 제1 치료 단계 내지 제6 치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료 프로토콜은, 정신 건강을 향상시키는 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증거 기반 학습인 CBT(Cognitive Behavioral Therapy)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료 단계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료 일차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치료 단계는 제1 치료 일차 내지 제7 치료 일차를 포함하고, 제2 치료 단계는 제8 치료 일차 내지 제14 치료 일차를 포함하고, 제6 치료 단계는 제36 치료 일차 내지 제42 치료 일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료 일차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료 태스크와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치료 태스크는, 영상 보기, 질문에 답변하기 등의 해당 치료 일차에 필수적으로 수행해야하는 치료 과정 중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는, 상기 치료 태스크 수행 후에 작성하는 사용자에 대한 상기 치료 일차별 필수적으로 사용자가 입력해야하는 정보로, 일 예로, 불면증 환자의 경우, 수면의 질에 대한 답변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치료 일차는 제1 치료 태스크 내지 제N 치료 태스크와 제1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 내지 제N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를 포함하고, 제N 치료 일차는 제1 치료 태스크 내지 제N 치료 태스크와 제1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 내지 제N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양의 정수일 수 있다.
도 3을 보면, 상기 UI(400)는 제1 영역(410)과 제2 영역(4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영역(410)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료 태스크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42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영역(410)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료 태스크가 없는 경우에 빈 공간 또는 다른 정보(일 예로, 상기 치료 프로토콜과 관련되는 광고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30)는 상기 제1 영역(410)에 제1 치료 단계 중 제2 치료 일차에 해당하는 제1 치료 태스크 내지 제N 치료 태스크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상기 제2 영역(420)을 제1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 내지 제N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상기 질병의 질문에 대한 답변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답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치료 프로토콜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프로세스 중 제2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상기 UI(400)를 통해 상기 질병의 질문에 대한 답변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답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치료 프로토콜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질병의 질문은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질병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치료 방향의 설정을 위해 전문가가 입력한 기 저장된 질문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세서(130)는 상기 메모리(12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자별 개인정보(예컨대, 이름, 생년월일, 거주지, 가족관계, 가족정보 등), 치료내역정보(질병정보, 병원기록, 치료기록 등) 등에 대해 상기 답변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상기 환자에게 가장 정확한 치료 프로토콜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상기 환자별 개인정보 중 상기 답변정보를 입력한 사용자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포함된 사용자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답변정보와 상기 치료내역정보와의 일치율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일치율을 기반으로 치료 프로토콜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일 예로, 프로세서(130)는 상기 판단된 일치율에 따라 치료 효과가 낮은 사용자의 경우, 평균 보다 긴 치료 프로토콜로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상기 설정된 치료 프로토콜에 포함되는 치료 단계 별 치료 일차에 대한 치료 태스크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프로세스 중 제3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치료 태스크를 상기 제1 영역(410)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상기 UI(400)를 통해 상기 치료 태스크에 대한 수행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프로세스 중 제4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상기 UI(400)를 통해 상기 치료 태스크에 대한 수행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세서(130)는 상기 수행정보를 입력받을 때, 특정 치료 일차에 포함되는 기 설정된 개수의 치료 태스크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행되지 않는 경우, 상기 미수행된 치료 태스크에 대한 알림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UI(40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2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림정보는, 상기 UI(400)가 표시되는 웹 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도 상기 사용자 단말(20)의 화면 상에 팝업메시지 형태로 소리 또는 진동 알림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20) 상에 상기 웹 사이트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된 상태여도 상기 알림정보를 통해 본인이 미수행한 치료 태스크를 인지하고 인지된 치료 태스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상기 수행정보를 입력받을 때, 상기 제1 영역(410) 상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료 태스크 중 특정 치료 태스크의 경우, 상기 제1 영역(410) 상에 잠금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기 설정된 치료 태스크가 완료된 후에 상기 잠금아이콘이 오픈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30)는 상기 제1 영역(410) 상에 제1 치료 태스크, 제2 치료 태스크 및 제3 치료 태스크가 표시되는 경우, 상기 제3 치료 태스크의 경우, 잠금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상기 제1 치료 태스크와 상기 제2 치료 태스크가 완료된 후에 상기 잠금아이콘이 오픈되도록 설정함으로 상기 제3 치료 태스크를 상기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복수의 치료 태스크를 순서 없이 수행하도록 하거나, 특정 치료 태스크의 경우, 상기 특정 치료 태스크 외의 적어도 하나의 치료 태스크를 수행한 후에만 확인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프로세서(130)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복수의 치료 태스크 중 어느 하나의 치료 태스크는 다른 적어도 하나의 치료 태스크가 완료된 상태에서만 수행을 시작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상기 수행정보를 입력받을 때, 특정 치료 일차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치료 태스크가 완료되는 경우, 상기 특정 치료 일차의 다음 치료 일차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치료 태스크를 상기 제1 영역(410)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30)는 상기 특정 치료 일차가 7월 23일에 시작된 경우, 상기 특정 치료 일차에 해당하는 치료 태스크가 7월 23일이 아닌 7월 25일에 완료되는 경우, 상기 특정 치료 일차 다음 치료 일차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치료 태스크를 상기 제1 영역(41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해당 치료 일차가 해당 일에 완료되지 않더라도 다음 치료 일차에 해당하는 치료 태스크를 표시하지 않고, 해당 치료 일차에 해당하는 치료 태스크가 완료된 후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해당 치료 일차 별로 순서대로 치료 태스크와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를 생성함으로 미리 설정된 치료 프로토콜을 순서대로 수행함으로써 치료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상기 수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치료 태스크가 완료된 경우, 상기 UI(400)를 통해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프로세스 중 제5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상기 치료 태스크가 완료된 경우, 상기 UI(400)를 통해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세서(130)는 상기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를 입력받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료 태스크 중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치료 태스크에 대한 상기 수행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에 대한 입력이 가능하게 상기 제2 영역(420)을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영역(420)은 상기 UI(400) 상에서 비활성화된 상태로 초기설정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일정 기간 또는 일정 치료 태스크에 대한 수행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영역(420)의 비활성화를 활성화하여 상기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에 대한 입력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상기 사용자에 대해 상기 UI(400)를 사용할 때 상기 치료 태스크의 수행 후에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에 대해 학습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상기 치료 단계 마다 상기 치료 태스크가 완료되는 경우, 상기 입력받은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의 개수를 판단하여 상기 치료 단계의 종료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프로세스 중 제6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상기 입력받은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의 개수를 판단하여 상기 치료 단계의 종료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세서(130)는 상기 치료 단계의 종료를 결정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료 단계 별로 종료되는 시점에 상기 치료 단계에 해당하는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에 대한 입력을 요청하는 입력요청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요청정보는, 상기 UI(400)가 표시되는 웹 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도 상기 사용자 단말(20)의 화면 상에 팝업메시지 형태로 소리 또는 진동 알림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30)는 상기 입력요청정보를 상기 UI(40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2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영역(420) 내의 기 설정된 위치에 화면 전환을 통해 상기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의 누적 히스토리를 확인할 수 있는 히스토리 버튼(421)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히스토리 버튼(421)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의 누적 히스토리를 표시하는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는 상기 치료 일차 별로 작성한 상기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의 누적 히스토리를 한번에 확인 가능하며, 기재되지 않은 치료 일차에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를 쉽게 확인하여 작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상기 치료 단계 별 상기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인 경우, 상기 치료 프로토콜을 종료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프로세스 중 제7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상기 치료 단계 별 상기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인 경우, 상기 치료 프로토콜을 종료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상기 치료 단계 별로 모든 치료 태스크의 완료와 모든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의 입력이 완료된 경우에 상기 치료 프로토콜을 종료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불면증 질문에 대한 답변정보가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불면증 치료를 위한 치료 태스크와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인 수면일기가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불면증 치료를 위한 치료 태스크가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불면증 치료를 위한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인 수면일기를 입력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UI(400)의 설정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질병 중 불면증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과 이에 따른 UI(4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를 보면, 프로세서(130)는 상기 UI(400)를 통해 상기 질병의 질문에 대한 답변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답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치료 프로토콜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질병의 질문은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질병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치료 방향의 설정을 위해 전문가가 설정한 기 저장된 질문일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30)는 상기 UI(400)를 통해 상기 질병 중 불면증 질문인 ‘지난 1주간 잠들기 어려웠나요.’에 대한 답변정보(전혀 그렇지 않습니다/그렇지 않습니다/보통입니다/그렇습니다/매우 그렇습니다 중 하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답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치료 프로토콜을 설정할 수 있다.
도 5를 보면, 프로세서(130)는 상기 설정된 치료 프로토콜에 포함되는 치료 단계 별 치료 일차에 대한 치료 태스크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영역(410)은 상기 치료 태스크인 오늘의 할 일(예컨대, 잠을 알아야 불면증을 이긴다!/잠에 대한 생각은 어떤지 알아볼까요? 등등)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영역(420)은 상기 설정된 치료 프로토콜에 포함되는 치료 단계 별 치료 일차에 대한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예컨대, 수면일기)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상기 UI(400)를 통해 상기 치료 태스크에 대한 수행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을 보면, 프로세서(130)는 상기 수행정보를 입력받을 때, 상기 제1 영역(410) 상에 표시된 제1 치료 태스크 내지 제4 치료 태스크 중 제2 치료 태스크 내지 제4 치료 태스크의 경우, 상기 제1 영역(410) 상에 잠금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제1 치료 태스크가 완료된 후에 상기 제2 치료 태스크 내지 제4 치료 태스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료 태스크에 대한 상기 잠금아이콘이 오픈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상기 제1 치료 태스크 내지 상기 제4 치료 태스크에 대해 순차적으로 완료됨에 따라 상기 잠금아이콘이 오픈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상기 수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치료 태스크가 완료된 경우, 상기 UI(400)를 통해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인 수면일기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UI(400) 상의 제2 영역(420)에 상기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에 해당하는 수면일기를 입력하기 위해 '작성하기'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130)는 도 7에 도시된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30)는 상기 전환된 화면 상에 상기 수면일기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수면일기는 기 설정된 개수의 문항(예컨대, 10 문항)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문항에는 입력 가이드가 있을 수 있다.
추가로, 도 8을 보면, 프로세서(130)는 설정 아이콘 입력시 도 8에 도시된 설정 화면을 상기 UI(40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정 화면은, 수면일기 버튼, 수면처방 버튼, 수면리포트 버튼, 상담교육 버튼, 헬프미나우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질병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프로세서(130)의 동작은 장치(10)에서 수행 가능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20)에 사용자의 질병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 UI(User Interface, 400)를 제공할 수 있다(S901).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세서(13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에 웹 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질병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 UI(400)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료 단계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료 일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료 일차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료 태스크와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I(400)는 제1 영역(410)과 제2 영역(4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영역(410)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료 태스크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42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상기 UI(400)를 통해 상기 질병의 질문에 대한 답변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답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치료 프로토콜을 설정할 수 있다(S902).
여기서, 상기 질병의 질문은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질병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치료 방향의 설정을 위해 전문가가 입력한 기 저장된 질문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세서(130)는 상기 메모리(12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자별 개인정보(예컨대, 이름, 생년월일, 거주지, 가족관계, 가족정보 등), 치료내역정보(질병정보, 병원기록, 치료기록 등) 등에 대해 상기 답변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상기 환자에게 가장 정확한 치료 프로토콜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상기 환자별 개인정보 중 상기 답변정보를 입력한 사용자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포함된 사용자로 판단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답변정보와 상기 치료내역정보와의 일치율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일치율을 기반으로 치료 프로토콜을 설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상기 설정된 치료 프로토콜에 포함되는 치료 단계 별 치료 일차에 대한 치료 태스크를 표시할 수 있다(S903).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상기 설정된 치료 프로토콜에 포함되는 치료 단계 별 치료 일차에 대한 치료 태스크를 상기 제1 영역(410)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상기 UI(400)를 통해 상기 치료 태스크에 대한 수행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S904).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세서(130)는 상기 수행정보를 입력받을 때, 특정 치료 일차에 포함되는 기 설정된 개수의 치료 태스크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행되지 않는 경우, 알림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UI(40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2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림정보는, 상기 UI(400)가 표시되는 웹 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도 상기 사용자 단말(20)의 화면 상에 팝업메시지 형태로 소리 또는 진동 알림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20) 상에 상기 웹 사이트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된 상태여도 상기 알림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상기 치료 태스크 수행을 까먹고 있을 때 상기하여 바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상기 수행정보를 입력받을 때, 상기 제1 영역(410) 상에 표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료 태스크 중 특정 치료 태스크의 경우, 상기 제1 영역(410) 상에 잠금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기 설정된 치료 태스크가 완료된 후에 상기 잠금아이콘이 오픈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복수의 치료 태스크를 순서 없이 수행하도록 하거나, 특정 치료 태스크의 경우, 앞이나 뒤의 치료 태스크를 수행한 후에만 확인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상기 수행정보를 입력받을 때, 특정 치료 일차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치료 태스크가 완료되는 경우, 상기 특정 치료 일차의 다음 치료 일차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치료 태스크를 상기 제1 영역(410)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상기 수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치료 태스크가 완료된 경우, 상기 UI(400)를 통해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S905).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세서(130)는 상기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를 입력받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료 태스크 중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치료 태스크에 대한 상기 수행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에 대한 입력이 가능하게 상기 제2 영역(420)을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영역(420)은 상기 UI(400) 상에서 비활성화된 상태로 초기설정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일정 기간 또는 일정 치료 태스크에 대한 수행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영역(420)의 비활성화를 활성화하여 상기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에 대한 입력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상기 사용자에 대해 상기 UI(400)를 사용할 때 상기 치료 태스크의 수행 후에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에 대해 학습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상기 치료 단계 마다 상기 치료 태스크가 완료되는 경우, 상기 입력받은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의 개수를 판단하여 상기 치료 단계의 종료를 결정할 수 있다(S906).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세서(130)는 상기 치료 단계의 종료를 결정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료 단계 별로 종료되는 시점에 상기 치료 단계에 해당하는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에 대한 입력을 요청하는 입력요청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30)는 상기 입력요청정보를 상기 UI(40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2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영역(420)내의 기 설정된 위치에 상기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의 누적 히스토리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 전환을 위한 히스토리 버튼(421)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13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히스토리 버튼(421)을 입력하는 경우, 상기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의 누적 히스토리를 표시하는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는 상기 치료 일차 별로 작성한 상기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의 누적 히스토리를 한번에 확인 가능하며, 기재되지 않은 치료 일차에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를 쉽게 확인하여 작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상기 치료 단계 별 상기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인 경우, 상기 치료 프로토콜을 종료할 수 있다(S907).
즉, 프로세서(130)는 상기 치료 단계 별로 모든 치료 태스크의 완료와 모든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의 입력이 완료된 경우에 상기 치료 프로토콜을 종료할 수 있다.
도 9는 단계 S901 내지 단계 S907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9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901 내지 단계 S907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9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앞에서 설명한 장치(10)일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장치
110: 통신부
120: 메모리
130: 프로세서

Claims (10)

  1. 질병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통신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에 사용자의 질병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고,
    상기 UI를 통해 상기 질병의 질문에 대한 답변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답변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기 치료 프로토콜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치료 프로토콜에 포함되는 치료 단계 별 치료 일차에 대한 치료 태스크가 상기 UI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공하고,
    상기 UI를 통해 상기 치료 태스크에 대한 수행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수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치료 태스크가 완료된 경우, 상기 UI를 통해 상기 치료 일차 별 상기 사용자의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치료 단계 마다 상기 치료 태스크가 완료되는 경우, 상기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의 개수를 판단하여 상기 치료 단계의 종료를 결정하고,
    상기 치료 단계 별 상기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인 경우, 상기 치료 프로토콜을 종료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 프로토콜은, 기 설정된 기간범위로 설정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료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료 단계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료 일차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료 일차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료 태스크와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I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료 태스크를 표시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를 입력받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행정보를 수신할 때,
    특정 치료 일차에 포함되는 기 설정된 개수의 치료 태스크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행되지 않는 경우, 알림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UI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UI 상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료 태스크가 표시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행정보를 수신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료 태스크 중 특정 치료 태스크에 대해 상기 제1 영역 상에 잠금아이콘을 표시하며,
    기 설정된 치료 태스크가 완료된 후에 상기 잠금아이콘이 오픈되도록 설정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행정보를 수신할 때,
    특정 치료 일차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치료 태스크가 완료되는 경우, 상기 특정 치료 일차의 다음 치료 일차에 해당하는 기 설정된 치료 태스크를 상기 제1 영역에 표시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UI 상의 상기 제2 영역은 비활성화된 상태로 초기설정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를 수신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료 태스크 중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의 치료 태스크에 대한 상기 수행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에 대한 입력이 가능하게 상기 제2 영역을 활성화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치료 단계의 종료를 결정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료 단계 별로 종료되는 시점에 상기 치료 단계에 해당하는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에 대한 입력을 요청하는 입력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UI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방법.
  9.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질병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에 사용자의 질병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 UI(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UI를 통해 상기 질병의 질문에 대한 답변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답변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치료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치료 프로토콜에 포함되는 치료 단계 별 치료 일차에 대한 치료 태스크가 상기 UI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공하는 단계;
    상기 UI를 통해 상기 치료 태스크에 대한 수행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수행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치료 태스크가 완료된 경우, 상기 UI를 통해 상기 치료 일차 별 상기 사용자의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치료 단계 마다 상기 치료 태스크가 완료되는 경우, 상기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의 개수를 판단하여 상기 치료 단계의 종료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치료 단계 별 상기 치료 과정 로그데이터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인 경우, 상기 치료 프로토콜을 종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0. 하드웨어인 장치와 결합되어, 제9항의 질병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0210119362A 2021-09-07 2021-09-07 질병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300364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362A KR20230036469A (ko) 2021-09-07 2021-09-07 질병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362A KR20230036469A (ko) 2021-09-07 2021-09-07 질병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469A true KR20230036469A (ko) 2023-03-14

Family

ID=85502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362A KR20230036469A (ko) 2021-09-07 2021-09-07 질병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646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062A (ko) 2018-08-29 2020-03-10 주식회사 케이티 개인화된 맞춤형 캐릭터를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사용자 단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062A (ko) 2018-08-29 2020-03-10 주식회사 케이티 개인화된 맞춤형 캐릭터를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사용자 단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69576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care determination
US1192915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tomated conversations
Anthony et al. Who isn’t using patient portals and why? Evidence and implications from a national sample of US adults
Cook et al. Trends in racial-ethnic disparities in access to mental health care, 2004–2012
Bauer et al. Acceptability of mHealth augmentation of Collaborative Care: A mixed methods pilot study
Miller et al. Web-based self-management for patients with multiple sclerosis: a practical, randomized trial
Wakefield et al. Effect of home telemonitoring on glycemic and blood pressure control in primary care clinic patients with diabetes
US20130304493A1 (en) Disease management system
Rollman et al.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a randomized trial of its impact on primary care physicians' initial management of major depression
Chong et al. Factors influencing the acceptance of healthcare information technologies: A meta-analysis
JP2008524738A (ja) 関係者による遠隔患者支援及び介護
Narasimha et al. Designing home-based telemedicine systems for the geriatric population: an empirical study
US20220391270A1 (en) Cloud-based healthcare platform
Alpert et al. 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in digital medical encounters
US1062804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inimizing computational resources when copying data for a well-being assessment and scoring
Korot et al. Enablers and barriers to deployment of smartphone-based home vision monitoring in clinical practice settings
Jacelon et al. Computer technology for self‐management: A scoping review
Barish et al. A mobile app for patients and those who care about them: A case study for veterans with PTSD+ anger
Hou et al. Medication adherence in patients with glaucoma and disability
Pattinson et al. Exploring beliefs and distress in patients with facial palsies
Rodríguez-Fernández et al. Telemedicine readiness across medical conditions in a US national representative sample of older adults
Altinisik Ergur et al. The patient perspective of telemedicine in the context of COVID-19 pandemic
KR20230036469A (ko) 질병에 대한 치료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Om E-Medicine: What it means for patients
Maskey et al. Text messaging and quality of life of diabetics in tertiary care hospital of Eastern Nep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