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358A -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apparatus using a multi-speed transmission - Google Patents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apparatus using a multi-speed transmis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358A
KR20230036358A KR1020210119104A KR20210119104A KR20230036358A KR 20230036358 A KR20230036358 A KR 20230036358A KR 1020210119104 A KR1020210119104 A KR 1020210119104A KR 20210119104 A KR20210119104 A KR 20210119104A KR 20230036358 A KR20230036358 A KR 20230036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creep
speed transmission
creep speed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1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덕순
김선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오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오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오토
Priority to KR1020210119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6358A/en
Publication of KR20230036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35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063Cr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0Accelerator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2Brake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8Electric propulsion units
    • B60W2710/081Spe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apparatus using a multi-speed transmission. The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apparatus using the multi-speed transmis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riving motor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moving a vehicle in a creep mode; a multi-speed transmission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gears having multi-staged gear ratios; a creep speed signal input unit capable of receiving a creep speed request signal for moving the vehicle in the creep mode; and a control unit connecting the driving motor and the gears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creep speed signal input uni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apparatus using the multi-speed transmission, which can improve convenience and starting feeling of a driver.

Description

다단 변속기를 사용하는 크립 속도 다양화 제어장치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apparatus using a multi-speed transmission}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apparatus using a multi-speed transmission}

본 발명은 다단 변속기를 사용하는 크립 속도 다양화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크 컨버터를 사용하지 않고, 다단 변속기와 구동 모터를 통해 운전자의 요구에 따라 크립 속도를 다양화하여 운전자의 편의성 및 발진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단 변속기를 사용하는 크립 속도 다양화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device using a multi-speed transmiss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iver's convenience by diversifying the creep speed according to the driver's request through a multi-speed transmission and a driving motor without using a torque converter. and a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device using a multi-speed transmission capable of improving the feeling of starting.

일반적으로 자동 변속기를 탑재한 내연 기관 및 하이브리드 차량은 토크 컨버터가 설치되어 있어, 전진단 및 후진단에서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이 없다면, 평지기준으로 10 내지 15kph 정도의 차량 속도(크립 속도)를 구현할 수 있다.In general,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nd hybrid vehicles equipped with automatic transmissions are equipped with torque converters, so if there is no operation of the accelerator and brake pedals in the forward and reverse gears, the vehicle speed (creep speed) is about 10 to 15 kph on a flat surface. can be implemented.

구체적으로, 종래의 내연기관 및 하이드리드 차량은,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이 없는 크립 모드에서 전진단 및 후진단이 발생할 때 토크 컨버터를 통해 크립 속도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Specifically, conventional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nd hybrid vehicles can implement creep speeds through torque converters when forward and reverse speeds occur in a creep mode in which an accelerator pedal and a brake pedal are not manipulated.

그러나 종래의 토크 컨버터를 사용하여 크립 속도를 구현하는 차량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a vehicle implementing creep speed using a conventional torque converter has the following problems.

전기 자동차는 가솔린이나 경유를 이용하는 가솔린 차량이나 디젤 차량과는 달리 전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함에 따라, 배기가스의 배출이 전혀 없는 친환경 차량을 말한다. 최근에는 내연 기관 및 하이드리드 차량의 환경오염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친환경 차량인 전기 자동차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An electric vehicle refers to an eco-friendly vehicle that does not emit exhaust gas at all as it uses electricity as a power source, unlike gasoline or diesel vehicles that use gasoline or diesel. Recently, development of an electric vehicle, which is an eco-friendly vehicle, is in progres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nd hybrid vehicles.

토크 컨버터는 크기가 크고 중량이 무거우며, 토크 컨버터를 사용하는 것은 높은 비용을 요구하기 때문에, 전기 자동차용 변속기에 토크 컨버터를 사용하는 것은 공간적인 측면과 가성비 측면에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Since the torque converter is large in size and heavy, and the use of the torque converter requires high cost, the use of the torque converter in the electric vehicle transmission has inefficiency in terms of space and cost performance.

또한, 종래의 토크 컨버터를 사용하여 크립 속도를 구현하는 차량은, 운전자의 요구를 반영하지 않고 지정된 속도로만 크립 속도가 구현됨에 따라 운전자에게 불편함과 피로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a vehicle implementing a creep speed using a conventional torque converter has a problem of causing inconvenience and fatigue to the driver as the creep speed is implemented only at a designated speed without reflecting the driver's request.

구체적으로, 화물의 상하차가 필요한 경우나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할 때, 운전자는 크립 모드에서 저속으로 차량을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의 토크 컨버터를 사용하여 크립 속도를 구현하는 차량은, 운전자가 크립 속도를 별도로 조절하지 못함에 따라 운전자에게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Specifically, when loading and unloading of cargo is required or when safety is to be ensured, a driver may need to move the vehicle at a low speed in the creep mode. In this case, a vehicle implementing a creep speed using a conventional torque converter has a problem in that the driver cannot separately adjust the creep speed,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to the driver.

운전자는 크립 속도를 저속으로 유지하기 위해 브레이크 페달을 주기적으로 작동시켜야 하게 되며, 운전가가 브레이크 페달을 주기적으로 작동시켜야 함에 따라 운전자에게 피로감을 유발할 수 문제점이 있다. The driver needs to periodically operate the brake pedal to maintain the creep speed at a low speed, and as the driver needs to periodically operate the brake pedal, fatigue may be caused to the driver.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크립 속도를 저속으로 설계할 수도 있다. 그러나 크립 모드에서 운전자가 비교적 빨리 이동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저속으로 설계된 크립 속도에 의해 운전자는 불편함을 느낄 수 있으며, 이 경우 운전자가 주기적으로 가속 페달을 작동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reep rate may be designed to be low. However, when the driver needs to move relatively quickly in the creep mode, the driver may feel uncomfortable due to the low creep speed, and in this case, the driver has to periodically operate the accelerator pedal.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크 컨버터를 사용하지 않고, 다단 변속기와 구동 모터를 통해 운전자의 요구에 따라 크립 속도를 다양화하여 운전자의 편의성 및 발진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단 변속기를 사용하는 크립 속도 다양화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river's convenience and feeling of starting by diversifying the creep speed according to the driver's request through a multi-speed transmission and a drive motor without using a torque converter. It relates to a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device using a multi-speed transmission.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 변속기를 사용하는 크립 속도 다양화 제어장치는, 차량의 크립 속도를 제어하는 장치로, 크립 모드에서 차량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와 연결되며, 다단화된 기어비를 가지는 복수 개의 기어를 포함하는 다단 변속기; 크립 모드에서 차량을 이동시키는 크립 속도 요청 신호를 수신 받을 수 있는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 상기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와 상기 다단 변속기의 기어를 연결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creep speed diversification using a speed c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creep speed of a vehicle, comprising: a drive motor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vehicle in a creep mode; a multi-speed transmission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gears having multi-staged gear ratios; a creep speed signal input unit capable of receiving a creep speed request signal for moving the vehicle in a creep mode; and a control unit that connects the drive motor and the gear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creep speed signal input unit.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 변속기를 사용하는 크립 속도 다양화 제어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가속 페달의 On/Off 신호와 브레이크 페달의 On/Off 신호를 판별하는 크립 판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크립 판별부에서 상기 가속 페달의 Off 신호와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Off 신호를 수신받으면 크립 모드로 판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모터와 상기 다단 변속기의 기어를 통해 상기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에서 입력된 크립 속도 요청 신호에 따라 크립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of the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device using the single transmis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further includes a creep discriminating unit for discriminating an On/Off signal of an accelerator pedal and an On/Off signal of a brake pedal, , the control unit, when the creep determination unit receives the off signal of the accelerator pedal and the off signal of the brake pedal, determines the creep mode,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creep speed through the drive motor and the gear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The creep rate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reep rate request signal input from the signal input unit.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 변속기를 사용하는 크립 속도 다양화 제어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크립 모드 판별시 상기 다단 변속기의 복수 개의 상기 기어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구동 모터와 연결시키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모터를 지정된 목표 회전수로 회전시킬 수 있다. The controller of the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device using the single transmis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connects one of the plurality of gears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to the drive motor when determining the creep mode, The control unit may rotate the driving motor at a designated target rotational speed.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 변속기를 사용하는 크립 속도 다양화 제어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단 변속기의 복수 개의 상기 기어와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발생하는 크립 속도를 연산하는 크립 속도 연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와 상기 크립 속도 연산부의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다단 변속기의 복수 개의 상기 기어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구동 모터와 연결시켜,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 없이 요청 크립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of the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device using the single gearbox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creep speed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the creep speed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gears and the drive motor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The control unit compares signals between the creep speed signal input unit and the creep speed calculator, and connects one of the plurality of gears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to the driving motor so as to increase the speed of the accelerator pedal and the brake pedal. Request creep rate can be controlled without operation.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 변속기를 사용하는 크립 속도 다양화 제어장치의 상기 제어부는, 부하의 변동에 따라 변속 작용을 하는 토크 컨버터와 연결되지 않고, 상기 다단 변속기와 상기 구동 모터를 통해 상기 크립 모드 시 크립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of the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device using the single transmis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not connected to a torque converter that shifts according to load variation, and operates the multi-speed transmission and the drive motor.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reep speed in the creep mode.

본 발명은 다단 변속기를 사용하는 크립 속도 다양화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토크 컨버터를 사용하지 않고, 다단 변속기와 구동 모터를 통해 운전자의 요구에 따라 크립 속도를 다양화함에 따라 운전자의 편의성 및 발진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device using a multi-speed transmission, which diversifies the creep speed according to the driver's request through a multi-speed transmission and a drive motor without using a torque converter, thereby providing driver's convenience and feeling of departure. There are advantages to improving.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를 통해 다단 변속기와 구동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여 크립 속도를 다양화함에 따라, 운전자가 반복적으로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하지 않아도 목표로 하는 크립 속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운전자의 피로감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creep speed is diversified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and the drive motor through the control unit, the target creep speed can be maintained without the driver repeatedly operating the accelerator pedal and the brake pedal, Through this, there is an advantage of improving driver's fatigue.

이와 함께, 본 발명은 제어부를 통해 다단 변속기와 구동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여 크립 속도를 다양화함에 따라 다단 변속기의 기어의 다변화에 따른 크립 등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발진시 부드러운 출발을 유도하여 발진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creep climbing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diversification of the gears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by diversifying the creep speed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and the drive motor through the control unit, and smooth start when starting. It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sense of oscillation by inducing a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를 통해 구동 모터와 다단 변속기의 연결을 제어하여 차량의 크립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립 판별부를 통해 크립 모드를 판별하고, 크립 속도 연산부와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를 통해 요청 크립 속도에 따라 차량의 크립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변속기를 사용하는 크립 속도 다양화 제어장치를 통해 차량의 크립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동 모터의 크립 회전수, 다단 변속기의 1단 기어 출력축 회전수, 다단 변속기의 2단 기어 회전 출력축 회전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변속기의 1단 기어에 의한 크립 속도와, 다단 변속기의 2단 기어에 의해 크립 속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control of a creep speed of a vehicle by controlling a connection between a driving motor and a multi-speed transmission through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at a creep mode is determined through a creep determining unit and a creep speed of a vehicle is controlled according to a requested creep speed through a creep speed calculating unit and a creep speed signal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operation diagram illustrating control of a creep speed of a vehicle through a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device using a multi-speed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number of creep rotations of a drive motor, the number of rotations of a first gear output shaft of a multi-speed transmission, and the number of rotations of a rotation output shaft of a second gear of a multi-stage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reep speed by a first gear of a multi-speed transmission and a creep speed by a second gear of a multi-speed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is specification clarifie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xplains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iscloses embodiment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los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Expressions such as “include” or “may include” that may be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 the existence of a function, operation, or component that has been disclosed, and may include one or more additional functions, operations, or components. components, etc. are not limited.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ar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upled" to another elemen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upl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is a gap between the element and the 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new components may exist in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upled” to another elem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no new element exists between the element and the other element. should be able to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발명은 다단 변속기를 사용하는 크립 속도 다양화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토크 컨버터를 사용하지 않고, 다단 변속기와 구동 모터를 통해 운전자의 요구에 따라 크립 속도를 다양화하여 운전자의 편의성 및 발진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단 변속기를 사용하는 크립 속도 다양화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device using a multi-speed transmission, and improves the driver's convenience and feeling of starting by diversifying the creep speed according to the driver's request through a multi-speed transmission and a driving motor without using a torque converter. It relates to a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device using a multi-speed transmission capable of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변속기를 사용하는 크림 속도 다양화 제어장치는 가솔린이나 경유를 이용하는 가솔린 차량이나 디젤 차량과는 달리 전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전기 자동차에 사용될 수 있다. Cream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ler using a multi-speed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n electric vehicle using electricity as a power source, unlike gasoline or diesel vehicles using gasoline or diesel.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변속기를 사용하는 크림 속도 다양화 제어장치는 필요에 따라 내연 기관 및 하이브리드 차량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ream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device using a multi-speed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a hybrid vehicle as needed, of cour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변속기를 사용하는 크립 속도 다양화 제어장치는 구동 모터(110), 다단 변속기(120),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130),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a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device using a multi-speed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e motor 110, a multi-speed transmission 120, a creep speed signal input unit 130, and a control unit 140. include

상기 구동 모터(110)는 크립 모드에서 차량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립 모드는, 전진단 및 후진단에서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이 없는 상태를 말하며, 상기 크립 모드에서 차량은 크립 속도로 이동할 수 있다. The driving motor 110 provides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vehicle in the creep mode. A creep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state in which an accelerator pedal and a brake pedal are not oper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nd in the creep mode, the vehicle can move at a creep speed.

상기 구동 모터(110)는 크립 모드에서 모터의 회전을 통해 차량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구동 모터(110)는 상기 다단 변속기(120)와 연결되면서 상기 다단 변속기(120)에서 선택되는 기어의 출력축에 의해 차량의 구동력이 정해질 수 있게 된다. The drive motor 110 can provide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vehicle through rotation of the motor in the creep mode, and the drive motor 110 is connected to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in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The driving force of the vehicle can be determined by the output shaft of the selected gear.

상기 다단 변속기(120)는 상기 구동 모터(110)와 연결되는 것으로, 다단화된 기어비를 가지는 복수 개의 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다단 변속기(120)는 기어비가 다른 복수 개의 기어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기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구동 모터(110)에 연결될 수 있다.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11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gears having multi-staged gear ratios.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includes a plurality of gears having different gear ratios, and any one of the plurality of gears may be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110 .

상기 구동 모터(110)에서 발생한 동력은 상기 다단 변속기(120)의 복수 개의 상기 기어 중 어느 하나에 전달되며, 상기 다단 변속기(120)에서 선택되는 기어의 출력축에 의해 차량의 구동력이 정해진다. The power generated by the drive motor 110 is transmitt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gears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and the driving force of the vehicle is determined by the output shaft of the gear selected in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다단 변속기(120)는 1단 기어와 2단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운전자가 크립 속도를 저속으로 지정하는 경우, 상기 다단 변속기(120)의 1단 기어가 상기 구동 모터(1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운전자가 크립 속도를 고속으로 지정하는 경우, 상기 다단 변속기(120)의 2단 기어가 상기 구동 모터(110)와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gear and a second gear. When the driver designates the creep speed as low speed, the first gear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may be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110, and when the driver designates the creep speed as high speed,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A second gear of may be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110 .

다만, 상기 다단 변속기(120)는 1단 기어와 2단 기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다단 변속기(120)는 크립 속도의 속도 제어 구간에 따라 기어비가 다른 복수 개의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owever,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is not limited to including a first gear and a second gear, and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gears having different gear ratios according to the speed control section of the creep speed. Of course you ca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130)는 크립 모드에서 차량을 이동시키는 크립 속도 요청 신호를 수신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운전자는 크립 모드에서 차량을 이동시키는 크립 속도를 지정할 수 있으며, 상기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130)는 운전자가 지정하는 상기 크립 속도에 관한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2 , the creep speed signal input unit 130 can receive a creep speed request signal for moving a vehicle in a creep mode. A driver can designate a creep speed for moving the vehicle in the creep mode, and the creep speed signal input unit 130 can receive a signal related to the creep speed designated by the driver.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운전자는 저속으로 크립 속도를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 저속 크립 속도 신호에 대응되는 1단의 신호(Manual 1단)를 지정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130)는 상기 1단의 신호를 수신 받게 된다.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3 , when the driver wants to maintain the creep speed at a low speed, the driver may designate a first-stage signal (Manual first-stage) corresponding to the low-speed creep speed signal. In this case, the creep speed signal input unit ( 130) receives the signal of the first stage.

상기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130)가 1단의 신호를 수신 받으면, 상기 다단 변속기(120)의 1단 기어가 상기 구동 모터(110)와 연결되면서 크립 속도가 저속이 될 수 있다. When the creep speed signal input unit 130 receives the first gear signal, the first gear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110, and the creep speed can be reduced.

또한, 운전자는 고속으로 크립 속도를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 고속 크립 속도 신호에 대응되는 2단의 신호(Manual 2단)를 지정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130)는 상기 2단의 신호를 수신 받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driver wants to maintain the creep speed at high speed, he or she can designate a 2-stage signal (Manual 2-stage) corresponding to the high-speed creep speed signal. In this case, the creep speed signal input unit 130 is signal is received.

상기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130)가 2단의 신호를 수신 받으면, 상기 다단 변속기(120)의 2단 기어가 상기 구동 모터(110)와 연결되면서 크립 속도가 고속이 될 수 있다. When the creep speed signal input unit 130 receives the 2-stage signal, the 2-stage gear of the multi-stage transmission 12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110 and the creep speed can be increased.

상술한 설명에서는 상기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130)는 1단의 신호와 2단의 신호를 입력받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130)는 크립 속도의 속도 제어 구간에 따라 복수 개의 신호를 수신 받을 수도 있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reep rate signal input unit 130 has been described as receiving a first-stage signal and a second-stage sign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creep rate signal input unit 130 may receive a plurality of signals according to the speed control section of the creep rate.

가령, 크립 속도의 속도 제어 구간이 늘어나게 되면, 상기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130)는 1단의 신호와 2단의 신호 이외에 더 많은 신호를 수신 받을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if the speed control period of the creep speed is increased, the creep speed signal input unit 130 can receive more signals than the first stage signal and the second stage signal.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130)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110)와 상기 다단 변속기(120)의 기어를 연결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130)의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110)와 상기 다단 변속기(1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The control unit 140 can connect the driving motor 110 and gears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according to the creep speed signal input unit 130 . 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control unit 14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110 and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creep speed signal input unit 130 .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130)에서 수신 받은 신호가 크립 속도를 저속으로 유지하는 신호라면, 상기 구동 모터(110)와 상기 다단 변속기(120)의 저단 기어(1단 기어)가 연결되도록 상기 구동 모터(110)와 상기 다단 변속기(1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I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creep speed signal input unit 130 is a signal for maintaining the creep speed at a low speed, 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the low gear (first gear) of the drive motor 110 and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110 and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so that is connected.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130)에서 수신 받은 신호가 크립 속도를 고속으로 유지하는 신호라면, 상기 구동 모터(110)와 상기 다단 변속기(120)의 고단 기어(2단 기어)가 연결되도록 상기 구동 모터(110)와 상기 다단 변속기(1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creep speed signal input unit 130 maintains the creep speed at a high speed,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high gear (second gear) of the drive motor 110 and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110 and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may be controlled so that a gear) is connec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변속기를 사용하는 크립 속도 다양화 제어장치는, 크립 모드에서 상기 다단 변속기(120)의 기어 선택에 따라 저속과 고속으로 차량의 주행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device using the multi-speed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the driving of the vehicle at low speed and high speed according to the gear selection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in the creep mod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변속기를 사용하는 크립 속도 다양화 제어장치는 상기 제어부(140)를 통해 상기 다단 변속기(120)와 상기 구동 모터(110)의 협조 제어를 통해 크립 모드에서 목표로 하는 속도로 크립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A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apparatus using a multi-speed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arget in a creep mode through cooperative control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and the drive motor 110 through the control unit 140. It is possible to maintain creep speed with spe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구동 모터(110)의 회전수와 상기 다단 변속기(120)의 기어비를 통해 크립 모드에서의 크립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creep speed in the creep mode through the rotation speed of the drive motor 110 and the gear ratio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

도 1을 참조하면, 크립 모드에서의 크립 속도(kph)는 상기 구동 모터(110)의 회전수에 비례하고, 상기 다단 변속기(120)의 기어비에 반비례하는 것이다. 크립 모드에서의 크립 속도는 (상기 구동 모터(110)의 회전수×타이어 동반경) / (상기 다단 변속기(120)의 기어비 × 종감속비)로 구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creep speed (kph) in the creep mode i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drive motor 110 and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gear ratio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 The creep speed in the creep mode may be implemented as (revolution number of the drive motor 110 × tire rolling diameter) / (gear ratio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 final reduction ratio).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구동 모터(110)의 회전수와 상기 다단 변속기(120)의 기어비를 제어함으로써 목표로 하는 크립 속도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drive motor 110 and the gear ratio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to realize a target creep speed.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140)는 크립 판별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립 판별부(150)는 가속 페달의 On/Off 신호와 브레이크 페달의 On/Off 신호를 판별할 수 있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2 , the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reep determining unit 150 . The creep determining unit 150 can discriminate between an On/Off signal of an accelerator pedal and an On/Off signal of a brake pedal.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140)는 크립 모드에서 상기 구동 모터(110)와 상기 다단 변속기(120)의 작동을 제어하여 목표로 하는 크립 속도를 구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140)는 크립 모드 여부를 먼저 판별하여야 한다. Since the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110 and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in the creep mode to realize a target creep speed, the control unit 140 must first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reep mode is present.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크립 판별부(150)로부터 상기 가속 페달의 On/Off 신호와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On/Off 신호를 수신 받아 크립 모드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receives the on/off signal of the accelerator pedal and the on/off signal of the brake pedal from the creep determining unit 150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reep mode exists.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크립 판별부(150)에서 상기 가속 페달의 Off 신호와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Off 신호를 수신 받으면, 이를 크립 모드로 판별하게 된다. Specifically, when the control unit 140 receives the off signal of the accelerator pedal and the off signal of the brake pedal from the creep determining unit 150, it determines them as a creep mod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크립 모드는, 전진단 및 후진단에서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이 없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가속 페달과 상기 브레이크 페달이 모두 작동하지 않는 Off 상태인 경우일 수 있다.The creep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s a state in which the accelerator pedal and the brake pedal are not oper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nd may be in an off state in which the accelerator pedal and the brake pedal do not operate. .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크립 판별부(150)를 통해 크립 모드를 판별할 수 있는 것이다. As such, the control unit 140 can determine the creep mode through the creep determination unit 150 .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40)는 크립 모드 여부를 판별하면서, 상기 다단 변속기(120)의 복수 개의 상기 기어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구동 모터(110)에 연결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40)는 구동 모터(110)를 지정된 목표 회전수로 회전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control unit 140 may connec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gears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to the drive motor 110 while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reep mode is present.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40 may rotate the driving motor 110 at a designated target rotational speed.

상기 제어부(140)가 크립 모드를 판별한 경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구동 모터(110)의 협조 제어를 통해 상기 구동 모터(110)를 지정된 목표 회전수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 모터(110)가 지정된 목표 회전수로 회전할 때 상기 다단 변속기(120)의 기어단을 변속하면, 크립 속도를 원하는 목표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controller 140 determines the creep mode, the controller 140 can rotate the drive motor 110 at a specified target rotational speed through cooperative control of the drive motor 110 . When the gear stage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is shifted when the drive motor 110 rotates at a designated target rotation speed, the creep speed can be controlled to a desired target.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 모터(110)를 지정된 목표 회전수로 회전시키고, 상기 다단 변속기(120)의 1단 기어(저단 기어)를 상기 구동 모터(110)와 연결시키면, 1단 기어의 기어비에 따라 1단 기어의 출력축 회전수가 결정된다.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driving motor 110 is rotated at a designated target rotational speed, and the first gear (low gear)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110. Then,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output shaft of the first gear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gear ratio of the first gear.

1단 기어의 출력축 회전수가 결정되면, 그에 따라 차량의 크립 속도가 정해지게 되면서, 도 5와 같이 1단의 차량 속도(저속)로 크립 속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output shaft of the first gear is determined, the creep speed of the vehicle is determined accordingly, and the creep speed can be maintained at the vehicle speed (low speed) of the first gear as shown in FIG. 5 .

또한, 상기 구동 모터(110)를 지정된 목표 회전수로 회전시키고, 상기 다단 변속기(120)의 2단 기어(저단 기어)를 상기 구동 모터(110)와 연결시키면, 2단 기어의 기어비에 따라 2단 기어의 출력축 회전수가 결정된다. In addition, when the drive motor 110 is rotated at a designated target rotational speed and the second gear (low gear)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is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110, the gear ratio of the second gear 2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output shaft of the gear is determined.

2단 기어의 출력축 회전수가 결정되면, 그에 따라 차량의 크립 속도가 정해지게 되면서, 도 5와 같이 2단의 차량 속도(고속)로 크립 속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output shaft of the second gear is determined, the creep speed of the vehicle is determined accordingly, and the creep speed can be maintained at the vehicle speed (high speed) of the second gear as shown in FIG. 5 .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140)는 크립 모드 판별시 상기 구동 모터(110)를 지정된 목표 회전수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다단 변속기(120)의 기어비를 변경함에 따라 크립 속도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creep speed by changing the gear ratio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while rotating the driving motor 110 at a specified target rotation speed when determining the creep mode. be able to

상술한 설명과 도 4 및 도 5에서는 1단 기어와 2단 기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다단 변속기(120)는 상기 1단 기어와 상기 2단 기어 이외의 다른 기어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FIGS. 4 and 5,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first gear and the second gear are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includes other gears other than the first gear and the second gear. Of course, it can includ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변속기를 사용하는 크립 속도 다양화 제어장치의 상기 제어부(140)는 크립 속도 연산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controller 140 of the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device using a multi-speed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reep speed calculator 160 .

상기 크립 속도 연산부(160)는 상기 다단 변속기(120)의 복수 개의 상기 기어와 상기 구동 모터(110)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크립 속도를 연산할 수 있는 것이다. The creep speed calculation unit 160 can calculate the creep speed that can be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gears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and the driving motor 110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크립 속도 연산부(160)는, 상기 구동 모터(110)의 회전수와 상기 다단 변속기(120)의 기어비를 통해 크립 모드에서의 크립 속도를 연산할 수 있는 것이다. The creep speed calculation unit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alculate the creep speed in the creep mode us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driving motor 110 and the gear ratio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

크립 모드에서의 크립 속도(kph)는 상기 구동 모터(110)의 회전수에 비례하고, 상기 다단 변속기(120)의 기어비에 반비례할 수 있다. 상기 크립 속도 연산부(160)는 이를 이용하여 크립 속도를 연산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크립 속도 연산부(160)에서 연산되는 크립 속도는 식 (A) : (상기 구동 모터(110)의 회전수×타이어 동반경) / (상기 다단 변속기(120)의 기어비 × 종감속비)를 통해 연산될 수 있다. The creep speed (kph) in the creep mode may be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driving motor 110 and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gear ratio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 The creep speed calculator 160 can calculate the creep speed using this, and the creep speed calculated by the creep speed calculator 160 is Equation (A): (number of rotations of the drive motor 110 × tire) It can be calculated through the following diameter) / (gear ratio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 final reduction ratio).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130)와 상기 크립 속도 연산부(160)의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다단 변속기(120)의 복수 개의 상기 기어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구동 모터(110)에 연결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40 compares signals of the creep speed signal input unit 130 and the creep speed calculator 160 to select one of the plurality of gears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may be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110.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크립 속도 연산부(160)에서 연산된 크립 속도를 상기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130)에서 입력된 신호와 비교하고, 서로 대응 되도록 상기 다단 변속기(120)의 기어를 조절하여 상기 구동 모터(110)에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어부(140)는,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 없이 크립 속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The control unit 140 compares the creep speed calculated by the creep speed calculator 160 with the signal input from the creep speed signal input unit 130, and adjusts the gears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so that they correspond to each other. It can be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110. Through this, the controller 140 can control the creep speed without operating the accelerator pedal and the brake pedal.

조금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상기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130)에서 고속의 크립 속도를 유지하고자 하는 신호를 받으며, 가속 페달의 조작 없이 상기 크립 속도 연산부(160)에서 연산된 크립 속도와 상기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130)에서 입력된 고속의 크립 속도가 대응되도록 상기 다단 변속기(120)의 상기 기어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signal to maintain a high creep speed from the creep speed signal input unit 130, and the creep speed calculator 160 without manipulating an accelerator pedal. The operation of the gear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may be adjusted so that the creep speed calculated in ) corresponds to the high-speed creep speed input from the creep speed signal input unit 130 .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상기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130)에서 저속의 크립 속도를 유지하고자 하는 신호를 받으며,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 없이 상기 크립 속도 연산부(160)에서 연산된 크립 속도와 상기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130)에서 입력된 저속의 크립 속도가 대응되도록 상기 다단 변속기(120)의 상기 기어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signal to maintain a low creep speed from the creep speed signal input unit 130, and calculates the creep speed operation unit 160 without manipulating the brake pedal. The operation of the gear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may be adjusted so that the creep speed obtained and the low speed creep speed input from the creep speed signal input unit 130 correspond to each other.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140)는 가속 페달의 조작과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 없이 크립 속도를 고속 또는 저속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the controller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creep speed at a high or low speed without manipulating the accelerator pedal and the brake pedal.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변속기를 사용하는 크립 속도 다양화 제어장치의 상기 제어부(140)는, 부하의 변동에 따라 변속 작용을 하는 토크 컨버터와 연결되지 않고, 상기 다단 변속기(120)와 상기 구동 모터(110)를 통해 상기 크립 모드 시 크립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 of the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device using a multi-speed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connected to a torque converter that shifts according to a load change, and is connected to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and the control unit 140. A creep speed may be controlled in the creep mode through the driving motor 110 .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변속기를 사용하는 크립 속도 다양화 제어장치는 종래의 차량에 사용되는 토크 컨버터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상기 구동 모터(110)의 토크와 상기 다단 변속기(120)의 제어만으로 운전자가 원하는 요구 크립 속도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at is, the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device using the multi-speed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a torque converter used in a conventional vehicle, but the torque of the driving motor 110 and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It has the advantage of realizing the required creep speed desired by the driver only by control.

도 3을 참조하면,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변속기를 사용하는 크립 속도 다양화 제어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할 수 있다. 후술할 설명에서는 상기 다단 변속기(120)가 1단 기어(저속 기어)와 2단 기어(고속 기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130)는 1단 신호(Manual 1단)와 2단 신호(Manual 2단)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3 , the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device using the multi-speed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operate as follows. In the description to be described later,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will be described as including a first gear (low gear) and a second gear (high gear). In addition, the creep rate signal input unit 130 will be described as receiving a first stage signal (manual stage 1) and a second stage signal (manual stage 2).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다단 변속기(120)는 1단 기어와 2단 기어 이외의 다른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130)는 1단 신호와 2단 신호 이외의 다른 신호를 더 수신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may further include gears other than the first gear and the second gear, and the creep speed signal input unit 130 may include signals other than the first gear and the second gear. Of course, other signals of may be further received.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크립 판별부(150)를 통해 크립 모드를 판별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크립 판별부(150)에서 상기 가속 페달의 Off 신호와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Off 신호를 수신 받으면, 이를 크립 모드로 판별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3 , the control unit 140 determines the creep mode through the creep determination unit 150 . Specifically, when the control unit 140 receives the off signal of the accelerator pedal and the off signal of the brake pedal from the creep determining unit 150, it determines them as a creep mode.

동시에 운전자는 목표로 하는 크립 속도에 따라 1단 신호 또는 2단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130)는 운전자가 발생시킨 신호를 수신 받을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130)에서 발생한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110)와 상기 다단 변속기(120)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At the same time, the driver can generate the first stage signal or the second stage signal according to the target creep speed. The creep speed signal input unit 130 may receive a signal generated by a driver, and the control unit 140 may operate the drive motor 110 and the multi-speed transmission ( 120) can be controlled.

여기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크립 속도 연산부(160)에서 연산된 크립 속도와 상기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130)에서 입력된 신호가 서로 대응되도록 상기 구동 모터(110)와 상기 다단 변속기(120)의 상기 기어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Here,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driving motor 110 and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so that the creep speed calculated by the creep speed calculator 160 and the signal input from the creep speed signal input unit 130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operation of the gear of can be adjusted.

구체적으로, 상기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130)에서 수신 받은 신호가 1단 신호(저속 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40)는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 없이 상기 크립 속도 연산부(160)에서 연산된 크립 속도와 상기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130)에서 입력된 저속의 크립 속도가 대응되도록 변속기 엑츄에이터를 통해 상기 다단 변속기(120)의 1단 기어(저속 기어)를 상기 구동 모터(110)에 연결시킨다. Specifically, when the signal received by the creep speed signal input unit 130 is a first-stage signal (low speed signal), the control unit 140 calculates the creep speed calculated by the creep speed calculator 160 and the The first gear (low gear)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is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110 through a transmission actuator so that the low creep speed input from the creep speed signal input unit 130 corresponds.

이때,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구동 모터(110)를 협조 제어하여, 상기 구동 모터(110)를 지정된 목표 회전수로 회전시킨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 모터(110)를 지정된 목표 회전수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다단 변속기(120)의 1단 기어를 상기 구동 모터(110)에 연결시킴에 따라, 크립 속도는 1단 기어의 출력측 회전수에 의해 결정된다.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40 cooperatively controls the driving motor 110 to rotate the driving motor 110 at a designated target rotation speed. Referring to FIG. 4 , as the first gear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is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110 while rotating the drive motor 110 at a designated target rotation speed, the creep speed of the first gear is It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rotations on the output side.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1단 기어의 출력측 회전수에 의해 크립 모드에서 크립 속도는 저속으로 구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creep speed in the creep mode can be implemented at a low speed by the number of rotations on the output side of the first gear.

상기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130)에서 수신 받은 신호가 2단 신호(저속 신호)이면, 상기 제어부(140)는 가속 페달의 조작 없이 상기 크립 속도 연산부(160)에서 연산된 크립 속도와 상기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130)에서 입력된 저속의 크립 속도가 대응되도록 변속기 엑츄에이터를 통해 상기 다단 변속기(120)의 2단 기어(고속 기어)를 상기 구동 모터(110)에 연결시킨다. When the signal received by the creep speed signal input unit 130 is a second-stage signal (low speed signal), 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creep speed calculated by the creep speed calculator 160 and the creep speed signal without manipulating the accelerator pedal. The second gear (high gear)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110 through a transmission actuator so that the low creep speed input from the input unit 130 corresponds.

이때,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구동 모터(110)를 협조 제어하여, 상기 구동 모터(110)를 지정된 목표 회전수로 회전시킨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 모터(110)를 지정된 목표 회전수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다단 변속기(120)의 2단 기어를 상기 구동 모터(110)에 연결시킴에 따라, 크립 속도는 2단 기어의 출력측 회전수에 의해 결정된다. At this time, the controller 140 cooperatively controls the driving motor 110 to rotate the driving motor 110 at a designated target rotation speed. Referring to FIG. 4 , as the second gear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is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110 while rotating the drive motor 110 at a designated target rotation speed, the creep speed of the second gear It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rotations on the output side.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2단 기어의 출력측 회전수에 의해 크립 모드에서 크립 속도는 고속으로 구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creep speed in the creep mode can be implemented at high speed by the number of rotations on the output side of the second gea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변속기를 사용하는 크립 속도 다양화 제어장치는, 상기 제어부(140)를 통해 상기 구동 모터(110)와 상기 다단 변속기(120)의 작동을 조절함에 따라 운전자가 목표로 하는 크립 속도를 단계별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device using the multi-speed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110 and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through the controller 140 so that the driver can The target creep rate can be implemented step by step.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변속기를 사용하는 크립 속도 다양화 제어장치는 속도 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creep speed diversification using a multi-speed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peed selector.

상기 속도 선택부는 운전자가 조작할 수 있는 버튼 및 패널을 포함하는 것으로, 운전자는 상기 속도 선택부를 통하여 상기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130)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속도 선택부는 차량의 내부에 구비되는 버튼 및 패널일 수 있으며, 운전자는 상기 속도 선택부를 통해 목표로 하는 크립 속도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The speed selection unit includes a button and a panel that can be manipulated by a driver, and the driver can transmit a signal to the creep speed signal input unit 130 through the speed selection unit. The speed selector may be a button or panel provided inside the vehicle, and the driver may set a target creep speed through the speed selector.

상기 속도 선택부는 1단 신호 버튼, 2단 신호 버튼과 같은 물리적 버튼일 수 있으며, 회전에 의해 구간별로 속도를 조절하는 버튼일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속도 선택부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운전자가 목표로 하는 크립 속도를 설정하기 위해 크립 속도 요청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상기 속도 선택부는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peed selector may be a physical button such as a first-stage signal button or a second-stage signal button, or may be a button that adjusts speed for each section by rotation. However, the speed selector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peed selector may include various configurations as long as it is capable of generating a creep speed request signal to set a creep speed that a driver targets.

운전자는 상기 속도 선택부를 통해 상기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130)로 크립 속도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받는 크립 속도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110)와 상기 다단 변속기(120)의 작동을 제어하여 운전자가 목표로 하는 크립 속도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The driver may transmit a creep speed request signal to the creep speed signal input unit 130 through the speed selector, and the control unit 140 may transmit a creep speed reques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reep speed signal input unit 130.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110 and the multi-speed transmission 120, the driver's target creep speed can be realized.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변속기를 사용하는 크립 속도 다양화 제어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device using the multi-speed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종래의 토크 컨버터를 사용하여 크립 속도를 구현하는 차량은, 운전자의 요구를 반영하지 않고 지정된 속도로만 크립 속도가 구현됨에 따라 운전자에게 불편함과 피로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A vehicle implementing a creep speed using a conventional torque converter has a problem of causing inconvenience and fatigue to the driver as the creep speed is implemented only at a specified speed without reflecting the driver's request.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변속기를 사용하는 크립 속도 다양화 제어장치는 토크 컨버터를 사용하지 않고, 다단 변속기와 구동 모터를 통해 운전자의 요구에 따라 크립 속도를 다양화함에 따라 운전자의 편의성 및 발진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However, the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device using a multi-speed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versifies the creep speed according to the driver's request through a multi-speed transmission and a driving motor without using a torque converter, thereby improving driver convenience and convenience. It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feeling of rash.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변속기를 사용하는 크립 속도 다양화 제어장치는 고가의 비용이 발생하는 토크 컨버터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차량의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the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device using a multi-speed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of a vehicle by not using an expensive torque converter.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변속기를 사용하는 크립 속도 다양화 제어장치는 크기가 크고 중량이 무거운 토크 컨버터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차량의 중량을 낮추면서 차량의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전기 자동차에 토크 컨버터를 적용하지 않고도 크립 속도를 다양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device using a multi-speed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a torque converter that is large in size and heavy in weight, there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vehicle and increasing space utilization of the vehicle. ,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iversify the creep speed without applying a torque converter to electric vehicles.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변속기를 사용하는 크립 속도 다양화 제어장치는 제어부를 통해 다단 변속기와 구동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여 크립 속도를 다양화함에 따라, 운전자가 반복적으로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하지 않아도 목표로 하는 크립 속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운전자의 피로감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device using the multi-speed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and the drive motor through the control unit to diversify the creep speed, so that the driver repeatedly presses the accelerator pedal.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target creep speed without manipulating the brake pedal, and through this, there is an advantage of improving driver fatigu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변속기를 사용하는 크립 속도 다양화 제어장치는, 화물의 상하차가 필요한 경우나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경우,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와 제어부를 통해 크립 속도를 저속으로 유지함에 따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브레이크 페달을 주기적으로 작동시키지 않아도 크립 속도를 저속으로 유지할 수 있음에 따라 운전자의 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in the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device using a multi-speed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loading and unloading of cargo is required or when safety is to be ensured, the creep speed is set to a low speed through a creep speed signal input unit and a control unit. Safety can be secured by maintaining the brake pedal, and as the creep speed can be maintained at a low speed without periodically operating the brake pedal, the driver's fatigue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변속기를 사용하는 크립 속도 다양화 제어장치는, 크립 모드에서 운전자가 비교적 빨리 이동할 필요가 있는 경우,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와 제어부를 통해 크립 속도를 고속으로 유지함에 따라 가속 페달을 주기적으로 작동시키지 않아도 크립 속도를 고속으로 유지할 수 있음에 따라 운전자의 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device using a multi-speed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the creep speed at a high speed through the creep speed signal input unit and the control unit when the driver needs to move relatively quickly in the creep mode. Accordingly, the creep speed can be maintained at high speed without periodically operating the accelerator pedal, thereby reducing the driver's fatigue.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단 변속기를 사용하는 크립 속도 다양화 제어장치는, 제어부를 통해 다단 변속기와 구동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여 크립 속도를 다양화함에 따라 다단 변속기의 기어의 다변화에 따른 크립 등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발진시 부드러운 출발을 유도하여 발진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device using the multi-speed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and the drive motor through the control unit to diversify the creep speed, thereby diversifying the gears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It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creep climbing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tep, and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feeling of launch by inducing a soft start when starting.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embodiment are possible therefrom. .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10...구동 모터
120...다단 변속기
130...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
140...제어부
150...크립 판별부
160...크립 속도 연산부
110 ... drive motor
120 ... multi-speed transmission
130 ... creep rate signal input
140 ... control unit
150 ... creep discrimination unit
160 ... creep rate calculation unit

Claims (5)

차량의 크립 속도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크립 모드에서 차량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와 연결되며, 다단화된 기어비를 가지는 복수 개의 기어를 포함하는 다단 변속기;
크립 모드에서 차량을 이동시키는 크립 속도 요청 신호를 수신 받을 수 있는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
상기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와 상기 다단 변속기의 기어를 연결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변속기를 사용하는 크립 속도 다양화 제어장치.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creep speed of a vehicle,
a drive motor providing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vehicle in a creep mode;
a multi-speed transmission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gears having multi-staged gear ratios;
a creep speed signal input unit capable of receiving a creep speed request signal for moving the vehicle in a creep mode;
The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device using a multi-speed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necting the drive motor and the gear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creep speed signal inpu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가속 페달의 On/Off 신호와 브레이크 페달의 On/Off 신호를 판별하는 크립 판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크립 판별부에서 상기 가속 페달의 Off 신호와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Off 신호를 수신받으면 크립 모드로 판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모터와 상기 다단 변속기의 기어를 통해 상기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에서 입력된 크립 속도 요청 신호에 따라 크립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변속기를 사용하는 크립 속도 다양화 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Further comprising a creep discriminating unit for discriminating the on / off signal of the accelerator pedal and the on / off signal of the brake pedal,
The control unit determines a creep mode when the creep determination unit receives the off signal of the accelerator pedal and the off signal of the brake pedal,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reep speed according to the creep speed request signal input from the creep speed signal input unit through the driving motor and the gear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크립 모드 판별시 상기 다단 변속기의 복수 개의 상기 기어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구동 모터와 연결시키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모터를 지정된 목표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변속기를 사용하는 크립 속도 다양화 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control unit,
When the creep mode is determined, one of the plurality of gears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The control unit,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device using a multi-speed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rotating the drive motor at a specified target rotation spe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단 변속기의 복수 개의 상기 기어와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발생하는 크립 속도를 연산하는 크립 속도 연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크립 속도 신호 입력부와 상기 크립 속도 연산부의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다단 변속기의 복수 개의 상기 기어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구동 모터와 연결시켜,
가속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 없이 요청 크립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변속기를 사용하는 크립 속도 다양화 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A creep rate calculation unit configured to calculate a creep rate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gears and the driving motor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The control unit,
By comparing signals between the creep speed signal input unit and the creep speed calculator, one of the plurality of gears of the multi-speed transmission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A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device using a multi-speed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rols a requested creep speed without operating an accelerator pedal and a brake ped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부하의 변동에 따라 변속 작용을 하는 토크 컨버터와 연결되지 않고, 상기 다단 변속기와 상기 구동 모터를 통해 상기 크립 모드 시 크립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변속기를 사용하는 크립 속도 다양화 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device using a multi-speed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rols the creep speed in the creep mode through the multi-speed transmission and the driving motor without being connected to a torque converter that shifts according to load variation.
KR1020210119104A 2021-09-07 2021-09-07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apparatus using a multi-speed transmission KR2023003635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104A KR20230036358A (en) 2021-09-07 2021-09-07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apparatus using a multi-speed transmi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104A KR20230036358A (en) 2021-09-07 2021-09-07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apparatus using a multi-speed transmis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358A true KR20230036358A (en) 2023-03-14

Family

ID=85502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104A KR20230036358A (en) 2021-09-07 2021-09-07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apparatus using a multi-speed transmis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635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0419B1 (en) Fixed speed operation in a hybrid transmission including sport and economy modes
US6510370B1 (en) Control system for hybrid vehicles
US7473202B2 (en) Continuously variable dual mode transmission
JP4127142B2 (en) Control device for hybrid vehicle
US8788162B2 (en) Shifting control for a hybrid vehicle
US10139001B2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20140004994A1 (en) Hybrid vehicle and associated control method
US8663061B2 (en) Shifting control method of hybrid vehicle
US8171824B2 (en) Vehicular power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US20080109139A1 (en) Vehicle,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WO2011122115A1 (en) Vehicle transmission device
JPS62502744A (en) Control device for shifting of stepped transmissions
JPH1169509A (en) Transmission controlling device for hybrid vehicle
JP2000324614A (en) Controller for hybrid vehicle
JP6658484B2 (en) Vehicle control device
US9108631B2 (en) Hybrid vehicle and associated control method
JPS6231660B2 (en)
EP2123532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JP2000289496A (en) Control device for vehicle with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200950804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ngine torque and speed
US8998770B2 (en) Hybrid vehicle and associated engine speed control method
KR20230036358A (en) Creep speed diversification control apparatus using a multi-speed transmission
JP2011161975A (en) Power train of vehicle
JP2000156905A (en) Power plant for vehicle
JP2000110930A (en) Control device for transmission of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