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162A - 전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162A
KR20230036162A KR1020237007259A KR20237007259A KR20230036162A KR 20230036162 A KR20230036162 A KR 20230036162A KR 1020237007259 A KR1020237007259 A KR 1020237007259A KR 20237007259 A KR20237007259 A KR 20237007259A KR 20230036162 A KR20230036162 A KR 20230036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mouthpiece
cartomizer
user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7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너 브루턴
콜린 디킨스
패트릭 몰로니
안톤 코러스
알프레드 빈센트 스펜서
케빈 데이비드 블릭
안나 아조파디
리차드 헵워스
리사 하비
Original Assignee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36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1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Nozzles (AREA)

Abstract

사용자 흡입을 위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가 설명되어 있으며,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제1 에어로졸 발생 영역 및 제2 에어로졸 발생 영역; 사용자가 사용 동안에 발생된 에어로졸을 흡입하는 마우스피스―마우스피스는 제1 및 제2 마우스피스 개구들을 포함함―; 제1 에어로졸 발생 영역 내의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발생된 제1 에어로졸을 이송하기 위해 제1 에어로졸 발생 영역으로부터 제1 마우스피스 개구까지 연장되는 제1 경로; 및 제2 에어로졸 발생 영역 내의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발생된 제2 에어로졸을 이송하기 위해 제2 에어로졸 발생 영역으로부터 제2 마우스피스 개구까지 연장되는 제2 경로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경로들은 제1 및 제2 에어로졸들이 각각의 경로들을 따라 이송될 때 제1 및 제2 에어로졸들의 혼합을 방지하도록 서로 물리적으로 격리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
본 개시는 니코틴 전달 시스템들(nicotine delivery systems)(예를 들어, 전자 시가렛들(electronic cigarettes) 등)과 같은 전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s)에 관한 것이다.
전자 시가렛들(e-시가렛들)과 같은 전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담배-기반 제품(tobacco-based product)과 같은 고체 재료, 및/또는 전형적으로 니코틴(nicotine) 및 종종 향미제들(flavourants)과 같은 베이스 액체(base liquid)를 포함하는 제제(formulation)를 보유하는 소스 액체(source liquid)의 저장소(reservoir)와 같은 에어로졸(또는 증기) 전구체(precursor)/형성 재료를 보유하며, 이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예를 들어 열 증발을 통해, 에어로졸이 발생된다. 따라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무화기(atomiser)(또는 증발기(vaporiser)), 예를 들어 가열 요소를 보유하는 에어로졸 발생 챔버(aerosol generation chamber)를 포함할 것이며, 무화기(또는 증발기)는 전구체 재료의 일부를 증발시켜 에어로졸 발생 챔버 내에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도록 배열된다. 사용자가 디바이스 상을 흡입하고 전력이 가열 요소에 공급됨에 따라, 공기는 입구 구멍들을 통해 디바이스 내로, 그리고 공기가 증발된 전구체 재료와 혼합되어 에어로졸(aerosol)을 형성하는 에어로졸 발생 챔버 내로 흡인된다. 에어로졸 발생 챔버를 마우스피스(mouthpiece)의 개구와 연결하는 유동 경로가 있으며, 그래서 에어로졸 발생 챔버를 통해 흡인된 유입 공기는 유동 경로를 따라 마우스피스 개구까지 계속되어, 그와 함께 에어로졸의 일부를 운반하고,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흡입을 위해 마우스피스 개구를 통해 외부로 계속된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은 재사용 가능한 카트리지 부분(cartridge part) 및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 부분 둘 모두를 포함하는 모듈형 조립체(modular assembly)를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카트리지 부분은 소모성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 및/또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한편, 재사용 가능한 디바이스 부분은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rechargeable battery), 디바이스 제어 회로(device control circuitry), 활성화 센서들(activation sensors)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특징부들(user interface features)과 같은 보다 장수명 물품들을 포함할 것이다. 재사용 가능한 부분은 또한 제어 유닛(control unit) 또는 배터리 섹션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증발기 및 전구체 재료 둘 모두를 포함하는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 부분들은 또한 카토마이저들(cartomisers)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은 사용자에 의해 혼합 및 흡입되는 증기/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다수의 에어로졸 소스들(aerosol sources)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경우들에서, 사용자는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에어로졸의 조성 및/또는 에어로졸이 전달되는 방식의 관점에서 보다 유연한 시스템을 원할 수 있다.
이들 쟁점들 중 일부를 해결하는 것을 돕고자 하는 다양한 접근법들이 설명되어 있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사용자 흡입을 위한 에어로졸(aerosol)을 발생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aerosol provision device)가 제공되며,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aerosol precursor material)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제1 에어로졸 발생 영역 및 제2 에어로졸 발생 영역; 사용자가 사용 동안에 발생된 에어로졸을 흡입하는 마우스피스―마우스피스는 제1 및 제2 마우스피스 개구들을 포함함―; 제1 에어로졸 발생 영역 내의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발생된 제1 에어로졸을 이송하기 위해 제1 에어로졸 발생 영역으로부터 제1 마우스피스 개구까지 연장되는 제1 경로; 및 제2 에어로졸 발생 영역 내의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발생된 제2 에어로졸을 이송하기 위해 제2 에어로졸 발생 영역으로부터 제2 마우스피스 개구까지 연장되는 제2 경로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경로들은 제1 및 제2 에어로졸들이 각각의 경로들을 따라 이송될 때 제1 및 제2 에어로졸들의 혼합을 방지하도록 서로 물리적으로 격리되어 있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사용자 흡입을 위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제1 양태의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및 제1 및 제2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를 포함하며, 제1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는 제1 에어로졸 발생 영역에 위치되고, 제2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는 제2 에어로졸 발생 영역에 위치된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사용자 흡입을 위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 부분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마우스피스 부분(mouthpiece part)이 제공되며, 제어 부분은 제1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에어로졸 발생 영역, 및 제2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에어로졸 발생 영역을 포함하며, 제어 부분은 제1 및 제2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들로부터 각각 제1 및 제2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고, 마우스피스 부분은, 마우스피스 부분이 제어 부분에 결합될 때 제1 에어로졸을 수용하도록 사용자가 흡입하는 제1 마우스피스 개구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제1 채널(channel)―제1 채널은 마우스피스 부분을 통과함―; 및 마우스피스 부분이 제어 부분에 결합될 때 제2 에어로졸을 수용하도록 사용자가 흡입하는 제2 마우스피스 개구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제2 채널―제2 채널은 마우스피스 부분을 통과함―;을 포함하며, 제1 채널 및 제2 채널은 제1 및 제2 에어로졸들이 각각의 채널들을 따라 이송될 때 제1 및 제2 에어로졸들의 혼합을 방지하도록 서로 물리적으로 격리되어 있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4 양태에 따르면, 제3 양태에 따른 마우스피스 부분들을 복수 개 포함하는 부분들의 키트(kit)가 제공되며, 제1 및 제2 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가, 에어로졸이 마우스피스 개구들을 빠져나갈 때 에어로졸이 마우스피스 개구를 빠져나가는 방향 및/또는 에어로졸의 특성들을 변경시키도록 구성된다는 점에서, 복수의 마우스피스 부분들 각각은 서로 상이하다.
특정 실시예들의 제5 양태에 따르면, 사용자 흡입을 위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수단이 제공되며, 에어로졸 제공 수단은,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제1 저장 수단 및 제2 저장 수단; 사용자가 사용 동안에 발생된 에어로졸을 흡입하는 마우스피스―마우스피스는 제1 및 제2 마우스피스 개구들을 포함함―; 제1 저장 수단 내의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발생된 제1 에어로졸을 이송하기 위해 제1 저장 수단으로부터 제1 마우스피스 개구까지 연장되는 제1 경로; 및 제2 저장 수단 내의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발생된 제2 에어로졸을 이송하기 위해 제2 저장 수단으로부터 제2 마우스피스 개구까지 연장되는 제2 경로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경로들은 제1 및 제2 에어로졸들이 각각의 경로들을 따라 이송될 때 제1 및 제2 에어로졸들의 혼합을 방지하도록 서로 물리적으로 격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및 다른 양태들과 관련하여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들 및 양태들은, 전술한 특정 조합들로만이 아니라, 적절하게 본 발명의 다른 양태들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고 이들 실시예들과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을 단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은 제어 부분, 마우스피스 부분 및 2 개의 제거 가능한 카토마이저들을 포함하고, 카토마이저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사용자에게 에어로졸을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도 2는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의 개별 구성물들을 나타내는 분해된 형태의 도 1의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을 단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3a는 도 1 및 도 2의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의 제어 부분의 리셉터클 내로 반-삽입된 상태의 도 1 및 도 2의 카토마이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3b는 도 1 및 도 2의 에어로졸 전달 시스템의 제어 부분의 리셉터클 내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의 도 3a의 카토마이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4a는 각각의 리셉터클이 개별 공기 입구에 연결된 개별 공기 유동 경로를 구비하는 대안적인 제어 부분을 단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4b는 각각의 리셉터클이 다수의 공기 입구들에 연결된 개별 공기 유동 경로를 구비하고, 각각의 공기 입구가 유동 제한 부재를 갖는 또 다른 대안적인 제어 부분을 단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5a는 2 개의 카토마이저들(및 2 개의 가열 요소들)이 도 1 및 도 2의 제어 부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의 예시적인 회로 레이아웃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도 5b는 단 하나의 카토마이저(및 하나의 가열 요소)가 도 1 및 도 2의 제어 부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의 도 5a의 예시적인 회로 레이아웃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며;
도 6a는 제1 카토마이저, 카토마이저 A 및 제2 카토마이저, 카토마이저 B의 가열 요소들에 공급되는 전압 펄스들에 대한 50%의 듀티 사이클을 예시하는 전압 대 시간의 그래프를 묘사하고;
도 6b는 카토마이저 B의 가열 요소들에 공급되는 전압 펄스들에 대한 50%의 듀티 사이클, 및 카토마이저 A의 가열 요소들에 공급되는 전압 펄스에 대한 약 30%의 듀티 사이클을 예시하는 전압 대 시간의 그래프를 묘사하며;
도 7a는 도 1 및 도 2의 제어 부분(2)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마우스피스 부분을 개략적으로 예시하고, 여기서 각각의 카토마이저로부터 발생된 에어로졸은 사용자가 시스템 상을 흡인할 때 사용자의 입의 상이한 측면들을 향해 개별적으로 지향되고;
도 7b는 도 1 및 도 2의 제어 부분(2)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마우스피스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여기서 각각의 카토마이저로부터 발생된 에어로졸은 서로 이격되어 있는 마우스피스 부분의 표면 상의 마우스피스 개구들을 향해 개별적으로 지향되어, 사용자가 마우스피스 개구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통해 흡입할 수 있게 하며;
도 7c는 도 1 및 도 2의 제어 부분(2)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또 다른 예시적인 마우스피스 부분을 개략적으로 예시하고, 여기서 각각의 카토마이저로부터 발생된 에어로졸은 상이한 마우스피스 개구를 향해 개별적으로 지향되지만 마우스피스 개구들이 동심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도 7d는 도 1 및 도 2의 제어 부분(2)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다른 예시적인 마우스피스 부분을 개략적으로 예시하고, 여기서 하나의 카토마이저로부터 발생된 에어로졸은 다른 카토마이저로부터 발생된 에어로졸이 지향되는 마우스피스 개구를 둘러싸는 다수의 마우스피스 개구들을 향해 지향되고;
도 8a는 도 1 및 도 2의 제어 부분(2)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마우스피스 부분을 개략적으로 예시하고, 여기서 마우스피스 채널들은 채널들을 통과하는 에어로졸의 특성들을 변경시키도록 구성된 단부 섹션들을 포함하며;
도 8b는 도 1 및 도 2의 제어 부분(2)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추가의 예시적인 마우스피스 부분을 개략적으로 예시하고, 여기서 마우스피스 채널은 마우스피스 부분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채널을 통과하는 에어로졸의 특성들을 변경시키도록 구성된 단부 섹션을 포함한다.
특정 예들 및 실시예들의 양태들 및 특징들이 본원에서 논의/설명된다. 특정 예들 및 실시예들의 일부 양태들 및 특징들은 통상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들은 간결화를 위해 상세하게 논의/설명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 본원에서 논의된 장치 및 방법들의 양태들 및 특징들은 그러한 양태들 및 특징들을 구현하기 위한 임의의 통상적인 기술들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는 e-시가렛들과 같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로도 지칭될 수 있는 증기 제공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하기의 설명 전체에 걸쳐서, 용어 "e-시가렛"또는 "전자 시가렛"이 때때로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용어는 증기 제공 시스템 및 전자 증기 제공 시스템과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인 바와 같이, 용어들 "증기" 및 "에어로졸(aerosol)", 및 "증발하다", "휘발시키다" 및 "에어로졸화하다"와 같은 관련 용어들은 또한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응축 에어로졸을 통한 것 이외의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수단, 예컨대 진동(vibrational), 광자(photonic), 조사(irradiative), 정전기(electrostatic) 수단 등을 통한 무화(atomization)가 구상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매우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도 1은 조립된 상태의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을 도시하는 한편, 도 2는 분해된 상태/부분적으로 분해된 상태의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을 도시하고 있다. 하기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예시적인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부분들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의 다른 부분들로부터 제거 가능하게/탈착 가능하게 제공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은 제어/디바이스(또는 배터리/재사용 가능한) 부분(2), 탈착 가능한 마우스피스(또는 뚜껑) 부분(3), 및 본 예에서, 본원에서 총괄적으로 카토마이저들(4)로 지칭되는 카토마이저들(4a 및 4b)과 같은 2 개의 에어로졸 발생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사용 시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은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를 증발시킴으로써) 카토마이저(4)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고, 사용자가 마우스피스 부분(3)을 통해 흡입함에 따라 마우스피스 부분(3)을 통해 사용자에게 에어로졸을 전달/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은 제어 부분(2) 및 마우스피스 부분(3)에 부가하여 카토마이저들(4)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엄밀히 말하면, 용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카토마이저들(4)을 갖지 않는 제어/디바이스 부분(2) 및 마우스피스 부분(3)만을 지칭한다. 그러나, 개시된 시스템의 일반적인 설명을 돕기 위해, 용어들 "시스템" 및 "디바이스"는 카토마이저들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및 카토마이저들을 제외한 디바이스 중 어느 하나를 지칭하기 위해 본원에서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예시적인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일 양태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상태/구성에 관계없이, 사용자에게의 에어로졸의 일관된 전달을 제공하는 기능이다. 이에 의해, 그리고 하기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다수의 에어로졸 발생 구성요소들을 갖는 디바이스, 예를 들어 2 개의 카토마이저들(4)을 사용하든지, 또는 단일 에어로졸 발생 구성요소, 예를 들어 단일 카토마이저(4)만을 사용하든지 간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일관된(또는 거의 일관된) 경험을 제공하도록 제어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것은 생성된 에어로졸의 양(즉, 흡입된 에어로졸의 양/용적)의 관점에서 또는 증기 대 공기의 대체로 일관된 비율(즉, 생성된 에어로졸 내에 보유된 증기의 백분율)을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가 에어로졸 발생 영역들에 존재하는 하나의 에어로졸 발생 구성요소들을 갖든지, 또는 복수의 에어로졸 발생 구성요소들을 갖든지 간에 관계없이, 생성된 에어로졸의 양 또는 증기 대 공기의 비율은 동일(또는 대략 동일, 예를 들어 10% 이내)하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의 양은 사용자의 흡입(또는 퍼프(puff)) 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보다 강한 퍼프는 보다 약한 퍼프에 비해, 보다 많은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의 일 양태는 발생된 에어로졸의 양 및/또는 발생된 에어로졸의 품질의 관점에서 예상 성능에 변동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개시의 일 양태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이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에어로졸 발생 구성요소의 상태에 반응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다.
예시적인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추가의 양태는 사용자에 의해 수용/흡입된 상이한 비율들의 에어로졸을 제공하는 기능이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는 디바이스 내에 위치된 에어로졸 발생 구성요소들, 예를 들어 카토마이저들로부터 발생된 상이한 백분율들의 증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구성요소들이 카토마이저들인 경우, 에어로졸 발생 구성요소들을 형성하거나 에어로졸 발생 구성요소들 내에 있는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의 유형에 기초할 수 있다. 상대적인 비율들은 디바이스 내의 각각의 에어로졸 발생 영역을 통한 공기 유동을 변경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예시적인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추가의 양태는, 복수의 에어로졸 발생 구성요소들, 예를 들어 카토마이저들 각각 내에 저장된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가 미래의 동일한 시간에 완전히 소모(또는 고갈)되도록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가 소모(고갈)되는 방식을 제어하는 능력이다. 이것은,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구성요소들, 예를 들어 카트리지들 중 하나를, 다른 에어로졸 발생 구성요소들이 소모되기 전에, 소모하지 않는 것을 보장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예를 들어 하나의 에어로졸 발생 영역에서 완전히(또는 거의) 소모되고 그리고 다른 에어로졸 발생 영역에서는 완전히 소모되지 않은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에 기인한 건조 위킹 재료(dry wicking material)의 연소/가열로 인해 원치않는 맛을 경험하지 않으며, 또한 사용자가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들을 보충할 때 에어로졸 발생 구성요소들, 예를 들어 카토마이저들 모두를 동시에 교체하고, 따라서 디바이스(1)와의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것은 각각의 에어로졸 발생 영역들(이들이 에어로졸 발생 구성요소의 일부를 형성하는지 유무에 관계없이)에 대해 지정된 무화 유닛들 각각에 분배된 전력을 변경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구성요소가 무화 유닛을 갖는 카토마이저를 포함할 때, 이것은 최소량의 에어로졸 전구체를 갖는 카토마이저에 공급되는 전력을 증가시키는 것, 및/또는 최대량의 에어로졸 전구체를 갖는 카토마이저에 공급되는 전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추가의 양태는 상이한 에어로졸 경로들을 서로 분리하여 유지하고, 상이한 에어로졸들의 혼합이 사용자의 입안에서 일어날 수 있게 하는 능력이다. 예를 들어, 이것은 상이하게 가향된 에어로졸과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각각의 카토마이저(4)는 상이한 향미(예를 들어, 딸기 향미 및 라즈베리 향미)를 생성하는 자체 소스 액체를 보유하고, 따라서 상이하게 가향된 에어로졸들은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1) 자체 내에서 서로 분리/격리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것은 사용자에게 상이한 감각적(sensorial) 경험을 제공할 수 있고, 향미들의 "블러링(blurring)"을 감소시킬 수 있다(다시 말해서, 사용자는 디바이스에서 혼합된 에어로졸과 비교하여 각각의 에어로졸/증기가 구강(mouth cavity)으로 직접 제공될 때 개별 향미들을 보다 쉽게 식별 가능할 수 있음). 또한, 상이한 에어로졸들은 디바이스를 빠져나갈 때에도 실질적인 혼합을 경험하지 않고, 입의 상이한 영역들(예를 들어, 입의 좌측 및 우측, 또는 입 천장 및 혀 등)에 효과적으로 침착될(deposited) 수 있으며, 이는 혼합을 수행하는 것이 사용자 자신임을 의미한다. 상이한 향미들이 입/구강의 특정 영역들에서 다소 인식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디바이스는 상이한 에어로졸을 입/구강의 상이한 부분들을 타깃으로 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단지 참고로, 하기의 논의는 시스템의 최상부, 저부, 좌측 및 우측을 언급할 것이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관련 도면들에서 대응하는 방향들; 즉, 도면들의 평면에서 자연적인 방향들을 지칭할 것이다. 그러나, 이들 방향은 정상 사용 동안의 시스템(1)의 특정 배향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여겨지지 않는다. 예를 들어, 조립된 시스템의 최상부는 사용 시에 사용자의 입과 접촉하는 시스템의 부분을 지칭하는 한편, 저부는 시스템의 대향 단부를 지칭한다. 방향들의 선택은 단지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특징부들의 상대적인 위치들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여겨진다.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제어 부분(2)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에 작동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21) 및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의 작동을 제어 및 모니터링하기 위한 제어 회로(22)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하우징(housing)(20)을 포함한다. 본 예에서, 전원(21)은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battery)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전자 시가렛들, 및 비교적 단기간들에 걸쳐 비교적 높은 전류들의 제공을 요구하는 다른 응용들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종류의 통상적인 유형일 수 있다.
외부 하우징(20)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예에서, 그 두께(도 1의 평면에 수직함)의 약 1.5 내지 2 배인 폭(도 1의 평면 내에 있음)을 갖는 대체로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전자 시가렛은 약 5 ㎝의 폭 및 약 3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예에서, 제어 부분(2)은 박스(box)/입방체(cuboid)의 형태를 취하지만, 제어 부분(2)은 원하는 다른 형상들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제어 부분(2)은 하우징(20)의 외부면 상에/내에 제공된 공기 입구(23), 2 개의 개별 에어로졸 발생 영역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구성요소들, 예컨대 카토마이저들(4) 중 하나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용적부를 각각 규정하는 리셉터클들(receptacles)(24a 및 24b), 하우징(20) 내로 연장되고 공기 입구(23)를 리셉터클들(24a 및 24b)과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공기 채널(air channel)(26), 및 각각의 리셉터클들(24a, 24b) 내로 공기 유동을 각각 변화시킬 수 있는 포지션들에서(구체적으로, 본 예에서는 리셉터클들(24a, 24b)에 의해 규정된 공간들에 대한 입구에서 또는 그에 근접하여) 공기 채널(26) 내에 제공된 2 개의 유동 제한 부재들(25)을 더 포함한다. 하기에서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들 특징부들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를 통한 공기 또는 에어로졸 경로의 일부를 형성하고, 여기서 공기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 외부로부터 공기 입구(23)를 통해, 카토마이저(4)를 보유하는 에어로졸 발생 영역들/리셉터클들(24a 및 24b)을 통해 그리고 사용자의 입으로 통과한다. 이제 카토마이저들을 참조하면, 카토마이저들(4)은 각각 증발을 위한 소스 액체를 저장하는 액체 저장소(41a, 41b), 및 카토마이저 채널(cartomiser channel)(44a, 44b)을 규정하는 하우징(40a, 40b), 및 본 예에서, 위킹 요소(wicking element)(42a, 42b) 및 위킹 요소(42a, 42b) 주위에 코일링된 가열 요소(43a, 43b)로 형성된 무화 유닛(또는 증발기)을 포함한다. 위킹 요소들(42a, 42b)은 각각의 액체 저장소들(41a, 41b)로부터 각각의 가열 요소들(43a, 43b)로 소스 액체(모세관 운동을 사용함)를 위킹/이송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무화 유닛들은 카토마이저들(4)의 하우징(40a, 40b)에 의해 규정된 각각의 카토마이저 채널들(44a, 44b)에 제공된다. 카토마이저 채널들(44a 및 44b)은, 카토마이저들(4)이 각각의 리셉터클들 내에 설치될 때, 카토마이저 채널들(44a 및 44b)이 공기 채널(26) 및 공기 입구(23)와 유체 연통하고, 따라서 공기 입구(23)를 통해 흡인된 공기가 공기 채널(26) 및 카토마이저들(4)의 카토마이저 채널들(44a 및 44b)을 따라 통과하도록 배열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발생 구성요소"는 에어로졸 발생을 담당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1 및 도 2에서, 이것은 소스 액체(또는 에어로졸 형성 재료) 및 무화 유닛 둘 모두를 포함하는 카토마이저들(4)을 포함한다. 이러한 배열에서, 카토마이저들(4)은 시스템에 설치된 카토마이저들(4)(및/또는 소스 액체를 포함하는 카토마이저들) 없이 에어로졸이 발생될 수 없기 때문에 에어로졸 발생 구성요소로 간주된다. 또한, 용어 "에어로졸 발생 영역"은 에어로졸이 발생되거나 발생될 수 있는 시스템 내의 영역/구역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서, 에어로졸 발생 영역은 카토마이저들(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셉터클들(24a 및 24b)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카토마이저들은 에어로졸 발생을 담당하는 구성요소들로 간주되는 반면, 리셉터클들은 에어로졸 발생 구성요소를 수납하고, 그에 따라 에어로졸이 발생되는 영역을 규정한다.
마우스피스 부분(3)은 일 단부(최상부 단부)에 2 개의 개구들(31a, 31b)을 포함하는 하우징(30)을 포함하며; 즉, 마우스피스 개구들은 마우스피스 부분(3)의 동일한 단부에 위치되고,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개구들 둘 모두 위에 자신의 입을 배치할 수 있도록 배열된다. 마우스피스 부분(3)은 또한 대향 단부(저부 단부)에 있는 리셉터클들(32a, 32b), 및 리셉터클들(32a, 32b)과 개구들(31a, 31b) 사이에서 연장되는 각각의 마우스피스 채널들(33a, 33b)을 포함한다.
마우스피스 부분(3)은 마우스피스 부분(3)의 최상부 단부를 향해 테이퍼지는 대체로 테이퍼형 또는 피라미드형 외부 프로파일을 갖는다. 마우스피스 부분(3)의 저부 단부는 마우스피스 부분(3)과 제어 유닛(2)이 만나거나 접속하는 곳이며, 제어 부분(2)과 마우스피스 부분(3)이 함께 결합될 때 동일 평면 상의 외부 프로파일을 제공하기 위해 제어 부분(2)의 등가 치수들에 대략적으로 대응하는, 폭방향(즉, 도 1 및 도 2의 평면의 수평방향) 및 두께방향(즉, 도 1 및 도 2의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치수들을 갖도록 크기설정된다. 개구들(31)이 위치된 마우스피스 부분(3)의 단부(최상부 단부)는 저부 단부보다 폭방향으로 약 1/3(예를 들어, 약 2 ㎝ 폭)만큼 더 작다. 즉, 마우스피스 부분(3)은 최상부 단부를 향해 폭방향으로 테이퍼진다. 이러한 단부는 사용자의 입에 수용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의 부분을 형성한다(다시 말해서, 이것은 사용자가 통상적으로 자신의 입술을 그 주위에 배치하고 그것을 통해 흡입하는 단부임).
마우스피스 부분(3)은 제어 부분(2)으로부터 별개의 제거 가능한 구성요소로서 형성되고, 마우스피스 부분(3)이 제어 부분(2)에 결합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적합한 결합/장착 메커니즘, 예를 들어 스냅-끼워맞춤부(snap-fitting), 나사부(screw thread) 등을 구비한다. 마우스피스 부분(3)이 제어 부분(2)에 결합되어 조립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를 형성할 때(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음), 조립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의 길이는 약 10 ㎝이다. 그러나, 본 개시를 구현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의 전체 형상 및 규모는 본원에 설명된 원리들에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리셉터클들(32a, 32b)은 (구체적으로, 리셉터클들(24a, 24b)에 연결되고 이들 내에 수용되는 단부와 반대측의 카토마이저의 단부에서) 각각 카토마이저들(4)의 카토마이저 채널(44a 및 44b)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열된다. 리셉터클들(32a, 32b)은 마우스피스 채널(33a, 33b)에 유체적으로 연결되고, 마우스피스 채널(33a, 33b)은 결국 개구들(31a 및 31b)에 유체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디바이스(1)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조립될 때, 마우스피스 부분(3)의 개구들(31a 및 31b)은 제어 부분(2)의 공기 입구(23)에 유체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시적인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는 일반적으로 공기/에어로졸이 디바이스를 통해 통과할 수 있는 2 개의 루트들(routes)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1 루트는 공기 입구(23)로부터 시작하여, 공기 채널(26)을 따라 그리고 유동 제한 부재(25a)를 통과한 후에, 리셉터클(24a) 내로 그리고 제1 카토마이저(4a)의 카토마이저 채널(44a)을 통해 리셉터클(32a) 내로, 마우스피스 부분(3)의 마우스피스 채널(33a)을 따라 개구(31a)로 통과한다. 마찬가지로, 제2 루트는 공기 입구(23)로부터 시작하여, 공기 채널(26)을 따라 그리고 유동 제한 부재(25b)를 통과한 후에, 리셉터클(24b) 내로, 그리고 제2 카토마이저(4b)의 카토마이저 채널(44b)을 통해 리셉터클(32b) 내로, 마우스피스 부분(3)의 마우스피스 채널(33b)을 따라 개구(31b)로 통과한다. 본 예에서, 제1 및 제2 루트들 각각은 유동 제한 부재들(25)의 상류의 공통 구성요소(즉, 공기 입구(23)에 결합된 공기 채널(26))를 공유하지만, 이러한 공통 구성요소로부터 분기된다. 하기에서, 루트들의 단면은 원형으로 설명되지만; 단면은 비원형(예를 들어, 임의의 규칙적인 다각형)일 수 있고, 그리고 또한 단면이 2 개의 루트들의 길이를 따라 일정한 크기 또는 형상일 필요는 없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시적인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는 중복되고, 본질적으로 디바이스를 통한 별도의 평행한 공기/에어로졸 유동 경로들을 제공하는 다수의 구성요소들/부분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상기에 의해 이해되어야 한다. 중복된 구성요소들에는 번호 뒤에 문자가 표시된다(예를 들어, 24a). 문자 "a"로 표시되는 구성요소들은 제1 카토마이저(4a)와 연관된 제1 공기/에어로졸 경로에 연결되거나 이를 규정하는 구성요소들인 한편, 문자 "b"로 표시되는 구성요소들은 제2 카토마이저(4b)와 연관된 제1 공기/에어로졸 경로에 연결되거나 이를 규정하는 구성요소들이다. 동일한 번호를 갖는 구성요소들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서로 동일한 기능 및 구성을 가질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성요소들은 하기에서 이들의 대응하는 번호로 총괄적으로 지칭될 것이며,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설명은 해당 번호로 언급된 구성요소들 "a" 및 "b" 둘 모두에 적용된다.
사용 시에, 사용자는 예시적인 디바이스(1)의 마우스피스 부분(3) 상을 (구체적으로, 개구들(31)을 통해) 흡입하여, 공기가 재사용 가능한 부분(2)의 하우징(20) 외부로부터, 공기/에어로졸이 통과하는 디바이스를 통한 각각의 루트들을 통해, 그리고 궁극적으로 사용자의 입 내로 통과하게 한다. 가열 요소들(43)은 위킹 요소들(42) 내에 보유된 소스 액체를 증발시키도록 활성화되어, 가열 요소들(43) 위/주위를 통과하는 공기가 증발된 소스 액체를 수집하거나 혼합하여 에어로졸을 형성한다. 소스 액체는 표면 장력/모세관 작용을 통해 액체 저장소(41)로부터 위킹 요소들(42) 내로/위킹 요소들(42)을 따라 통과할 수 있다.
전력은 제어 회로(22)에 의해 제어/조절되는 배터리(21)로부터 가열 요소들(43)에 공급된다. 제어 회로(22)는 사용자에 의한 흡입을 위해 카토마이저들(4)로부터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배터리(21)로부터 각각의 카토마이저들(4)의 가열 요소들(43)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전력은, 예를 들어 카토마이저들(4)이 제어 부분(2)의 리셉터클들(24) 내에 수용되고/그에 연결될 때 맞물림하는 스프링형/포고 핀 커넥터들(sprung/pogo pin connectors), 또는 전기 접점들의 임의의 다른 구성을 통해, 각각의 카토마이저들(4)과 제어 부분(2)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가로질러 확립된 전기 접점들(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각각의 가열 요소들(43)에 공급된다. 물론, 각각의 가열 요소들(43)에는 유도 가열과 같은 다른 수단을 통해 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제어 부분(2)/리셉터클들(24)과 카토마이저들(4) 사이를 접속하는 전기 접점들이 필요하지 않다.
제어 회로(22)는 통상적인 e-시가렛들을 제어하기 위해 확립된 기술들에 따라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의 통상적인 작동 기능들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능을 제공하도록 적합하게 구성/프로그래밍된다. 따라서, 제어 회로(22)는 다수의 상이한 기능 블록들, 예를 들어 배터리(21)로부터 제1 카토마이저(4a)의 가열 요소(43a)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 블록, 배터리(21)로부터 제2 카토마이저(4b)의 가열 요소(43b)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 블록, (예를 들어, 전력 공급을 개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예를 들어 구성 설정들에 응답하여 디바이스(1)의 작동 양태들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 블록뿐만 아니라, 본원에 설명된 원리들에 따른 기능 및 전자 시가렛들의 정상 작동과 연관된 다른 기능 블록들을 논리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들 논리 블록들의 기능은, 예를 들어 단일의 적합하게 프로그래밍된 범용 컴퓨터 또는 적합하게 구성된 주문형 집적 회로(들)/회로를 사용하여, 다양한 다른 방식들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는 일반적으로 그 작동 기능과 연관된 다양한 다른 요소들, 예를 들어 USB 포트와 같은 배터리(21)를 충전하기 위한 포트(port)를 포함할 것이며, 이들은 통상적일 수 있고, 간결화를 위해 도면들에 도시되거나 상세하게 논의되지 않는다.
하우징(20)의 표면 상에 제공되고 사용자가 버튼을 누를 때 전력을 공급하는 버튼(또는 등가의 사용자 구동 메커니즘)의 구동에 기초하여 전력이 가열 요소(43)에 공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제어 회로(22)에 연결되고 제어 회로(22)에 의해 제어되며 압력 또는 공기 유동의 변화가 검출될 때 제어 회로(22)에 신호를 송신하는 공기 유동 센서 또는 압력 센서, 예컨대 다이어프램 마이크로폰(diaphragm microphone)을 사용하는 사용자 흡입의 검출에 기초하여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전력 전달을 시작하기 위한 메커니즘의 원리들은 본 개시의 원리들에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양태는 디바이스(1)의 상태/조건에 관계없이, 사용자에게 일관된 에어로졸 전달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예시적인 에어로졸 전달 디바이스(1)에서, 카토마이저들(4)은 제어 부분(2) 및 마우스피스 부분(3)과 별도로 제공되고, 따라서 리셉터클들(24) 내로 삽입되거나 리셉터클들(24)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카토마이저들(4)은 다양한 이유들로 교체/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토마이저들(4)에는 상이하게 가향된 소스 액체들이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는 상이한 향미들(예를 들어, 딸기 향미 및 멘톨/민트 향미)의 2 개의 카토마이저들(4)을 각각의 리셉터클들(24) 내로 삽입하여, 원하는 경우 상이하게 가향된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카토마이저들(4)은 카토마이저들(4)이 건조 상태로 작동하는 경우(즉, 액체 저장소(41) 내의 소스 액체가 고갈되는 경우)에 제거/교체될 수 있다.
카토마이저들(4)을 보다 상세하게 참조하면, 카토마이저들(4) 각각은 본 예에서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 하우징(40)을 포함한다. 하우징(40)은 일반적으로 외경 및 내경을 갖는 중공 관형 원통체의 형태이며, 내경의 벽들은 카토마이저 채널(44)의 한계들을 규정한다. 하우징(40)은 상기에 언급된 무화기 유닛과 같은 카토마이저(4)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지지하고, 또한 제어 부분(2)의 리셉터클들(24)과의 기계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이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됨). 본 예에서, 카트리지는 약 1 내지 1.5 ㎝의 길이, 6 내지 8 ㎜의 외경 및 약 2 내지 4 ㎜의 내경을 갖는다. 그러나, 특정 기하형상, 보다 일반적으로는 관련된 전체 형상들은 상이한 구현예들에서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언급된 바와 같이, 카토마이저(4)는 하우징(40)의 외벽과 내벽 사이에 공동의 형태를 취하는 소스 액체 저장소(41)를 포함한다. 소스 액체 저장소(41)는 소스 액체를 보유한다. 전자 시가렛을 위한 소스 액체는 전형적으로 대부분의 액체를 구성하는 베이스 액체 제제를, 베이스 액체에 원하는 향미/냄새/니코틴 전달 특성들을 제공하기 위한 첨가제들과 함께 포함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형적인 베이스 액체는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PG) 및 식물성 글리세롤(vegetable glycerol; VG)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예에서, 액체 저장소(41)는 카토마이저(4)의 내부 용적부의 대부분을 포함한다. 저장소(41)는, 예를 들어 성형된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여, 통상적인 기술들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카토마이저(4)의 무화 유닛은 본 예에서는 각각의 위킹 요소(42) 주위에 코일링된 전기 저항 와이어(electrically resistive wire)를 포함하는 가열 요소들(43)을 포함한다. 본 예에서, 가열 요소들(43)은 니켈 크롬 합금(Cr20Ni80) 와이어를 포함하고 위킹 요소(42)는 유리 섬유 다발을 포함하지만, 특정 무화기 구성은 본원에 설명된 원리들에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어 부분(2)에 형성된 리셉터클들(24)은 대략 원통형이며, 일반적으로 카토마이저들(4)의 외부 형상과 일치하는 형상(내부면)을 갖는다. 언급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들(24)은 카토마이저들(4)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리셉터클들의 깊이(즉, 리셉터클들(24)의 종축을 따른 치수)는 카토마이저들(4)의 길이(예를 들어, 0.8 내지 1.3 ㎝)보다 약간 작고, 그에 따라 카토마이저들(4)이 리셉터클들(24) 내에 수용될 때, 카토마이저들(4)의 노출된 단부들은 하우징(20)의 표면으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있다. 카토마이저들(4)의 외경은 리셉터클들(24)의 직경보다 약간 작아서(예를 들어, 약 1 ㎜ 이하), 카토마이저들(4)이 비교적 용이하게 리셉터클들 내로 슬라이딩하지만, 리셉터클들(24) 내에 적정하게 잘 끼워맞춰질 수 있게 하여, 카토마이저(4)의 종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한다. 본 예에서, 카토마이저들(4)은 제어 부분(2)의 본체에 대체로 나란한 구성으로 장착된다.
카토마이저들(4)을 삽입, 교체 또는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는 전형적으로 디바이스(1)를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분해할 것이다. 사용자는 마우스피스 부분(3)을 제어 부분(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마우스피스 부분(3)을 제어 부분(2)으로부터 제거하고, (적용 가능한 경우) 리셉터클들 내에 위치된 임의의 이전의 카토마이저들(4)을 제어 부분(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카토마이저들(4)을 제거하며, 새로운 카토마이저(4)를 리셉터클(24) 내에 삽입할 것이다. 다음에, 카토마이저(들)(4)가 리셉터클(24)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마우스피스 부분(3)을 재사용 가능한 부분(2)에 결합시킴으로써 디바이스(1)를 재조립한다. 조립된 디바이스(1)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마우스피스 부분(3)과 제어 부분(2)의 하우징(20) 사이의 갭(gap)과 같은 특정 특징부들은 축척대로 도시되어 있지 않고 명확화를 위해 과장되어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설명된 바와 같이, 제어 부분(2)에는 별도의 카토마이저들(4)을 위한 각각의 유동 경로들에 위치된 유동 제한 부재들(25)이 제공된다. 본 예에서, 각각의 유동 경로에는 리셉터클들(24)의 상류측에 배치된 단일 유동 제한 부재(25)가 제공된다. 본 예에서, 유동 제한 부재들(25)은 탄성 중합체 재료로 형성된 복수의 플랩들(flaps)을 포함하는 기계적 일방향 밸브들(25)이지만; 임의의 적합한 밸브가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고려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예의 플랩들은 폐쇄 포지션으로 바이어싱되고(biased), 그리고 이러한 포지션에서, 공기가 공기 유동 경로(26)로부터 리셉터클들(24) 내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방해한다. 탄성중합체 플랩들은 일 측부가 유동 경로들의 외벽(또는 이후에 유동 경로들의 외벽에 고정되는 적합한 밸브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고, 다른 단부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탄성중합체 플랩들은 플랩들에 인가된 힘에 응답하여 특정 방향(본 예에서, 리셉터클들로부터 밸브들을 향한 하향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배열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예에 따른 밸브 작동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카토마이저들(4) 각각에는 각각의 밸브(25)와 기계적으로 맞물림하도록 배열된 기계식 맞물림 부재가 끼워맞춤된다(fitted).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예에서, 기계적 맞물림 부재는 카토마이저(4)의 원형 베이스를 넘어서 연장되는 돌출부(45)(명확화를 위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지 않음)이다. 본 예에서, 돌출부(45)는 카토마이저(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테이퍼지는 환형 링(annular ring) 또는 중공 절두원추 형상을 취하고; 즉, 테이퍼 부분은 하우징(40)의 베이스를 넘어서 하향으로 연장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돌출부는 적절한 본딩 기술들, 예를 들어 접착제를 사용하여 카토마이저(4)의 내벽에 부착되고, 또한 카토마이저 채널(44) 내로 도중까지 연장되어 카토마이저 채널(44)이 좁아지게 한다. 그러나, 기계적 맞물림 부재의 다른 형상들 및 배열이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고려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돌출부들(45)의 형상은 밸브(25), 리셉터클(24) 및 카토마이저(4)의 구성/크기에 의존할 것이다. 돌출부(45)는 또한 하우징에 부착된 별도의 구성요소와는 달리 카토마이저(4)의 하우징(4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예를 들어 화살표(X)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카토마이저(4)에 힘을 인가하거나, 카토마이저(4)가 중력 하에서 리셉터클(24) 내로 하강될 수 있게 함으로써, 카토마이저(4)를 리셉터클(24) 내로 가압할 수 있다. 도 3a에서, 카토마이저(4)는 리셉터클(24) 내로 부분적으로만 삽입되고, 돌출부(45)는 밸브(25)와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배열에서, 밸브(25)는 폐쇄 상태로 바이어싱되고, 공기가 밸브(25)를 통해 거의 또는 전혀 유동할 수 없다.
추가 힘을 인가함으로써(또는 단순히 카토마이저가 리셉터클 내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게 함으로써), 돌출부(45)는 밸브(25)와 접촉하여 밸브(25)가 개방되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돌출부(45)의 테이퍼 부분들은 탄성중합체 플랩들의 자유 단부들이 공기 유동 경로들(26)의 외벽 상의 고정 포지션에 대해 하향으로 구부러지고/경사지게 한다. 이러한 굽힘은 탄성중합체 플랩들의 자유 단부들이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밸브(25)를 통한 갭을 형성하게 하며, 이 갭을 통해 공기 유동 경로(26)로부터의 공기가 카토마이저(4)의 카토마이저 채널(44) 내로 유동할 수 있다. 다음에, 사용자가 나중에 카토마이저(4)를 리셉터클로부터 제거하면, 탄성 중합체 플랩들은 돌출부(45)가 밸브(25)의 플랩들로부터 멀리 이동될 때 바이어싱된 폐쇄 포지션으로 복귀한다.
본 예의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에서, 카토마이저들(4)은 리셉터클들 내로 자유롭게 삽입된다. 밸브(25)가 정확하게/완전히 개방되고, 카토마이저(4)(이는 가열 요소들(43)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와 리셉터클(24)(이는 전력 공급장치(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의 전기 접점들(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충분한 전기 접촉이 존재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카토마이저(4)의 노출된 단부는 마우스피스 부분(3)이 제어 부분(2)에 결합될 때 마우스피스 부분(3)의 리셉터클(32)에 의해 접촉될 수 있다. 리셉터클들(32)은 카토마이저들(4)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크기설정된 마우스피스 부분(3) 내의 원통형 리세스들(recesses)이라는 점에서 리셉터클들(24)과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마우스피스 부분(3)과 제어 부분(2)이 결합될 때 리셉터클(24)의 저부면과 리셉터클(32)의 최상부면 사이의 거리는 카토마이저들(4)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약간 작도록(예를 들어, 0.5 ㎜) 설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카토마이저(들)(4)를 리셉터클(들)(24) 내로 삽입한 후에 마우스피스 부분(3)을 적용할 때, 리셉터클(32)은 카토마이저(4)의 노출된 단부와 접촉하고, 사용자가 마우스피스 부분(3)에 힘을 인가함에 따라 리셉터클(24) 내에 적절하게 안착되도록 카토마이저(4)를 강제한다. 마우스피스 부분(3)이 제어 부분(2)에 결합될 때, 카토마이저(4)는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며, 이는 양호한 전기적 접촉 및 밸브와의 양호한 접촉이 보장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카토마이저들(4)은 뚜껑이 제어 부분(2)에 결합될 때 디바이스(1)의 리셉터클들(24 및 32) 내에서 제자리에 클램핑된다. 이러한 구성은 또한 카토마이저(4)가 예를 들어 프레스-끼워맞춤 메커니즘(press-fit mechanism)을 통해 리셉터클들(24)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카토마이저 채널(44), 마우스피스 채널(33) 및 공기 유동 경로(26) 사이에 밀봉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디바이스(1)의 다른 부분들 내로의 공기/에어로졸의 누출이 감소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밀봉을 향상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카토마이저 채널(44), 마우스피스 채널(33) 및 공기 채널(26)의 입구들을 둘러싸도록 시일(seal)(예컨대, 탄성중합체 O-링 또는 등가물)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로부터 이해되어야 하는 바와 같이, 카토마이저(4)가 각각의 리셉터클(24) 내로 삽입될 때, 대응하는 유동 제한 부재(25)가 개방되며 이는 각각의 제1 또는 제2 유동 경로를 공통 공기 채널(26)에 연결한다. 반대로, 카토마이저(4)가 각각의 리셉터클(24) 내에 위치되지 않을 때, 유동 제한 부재(25)가 폐쇄되며 이는 제1 또는 제2 에어로졸 경로를 공통 공기 채널(26)로부터 격리시키며, 이는 본질적으로 공기가 이러한 경로를 따라 유동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의 상태/구성에 관계없이(예를 들어, 본 예에서, 카토마이저들(4) 중 하나만 또는 둘 모두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사용자에게 보다 일관된 경험/에어로졸 전달이 제공된다.
에어로졸은 공기 또는 다른 기체 내에의 고체 또는 액체 입자들의 현탁액으로 규정되며, 결과적으로 공기에 대한 특정 농도의 소스 액체 입자들을 규정할 수 있다. 증발이 일어나는 속도는 히터의 온도(또는 히터에 공급되는 전력), 카토마이저(4)를 통한 공기 유동 속도, 위킹 요소(42)를 따라 히터로 위킹되는 액체의 위킹 속도 등과 같은 많은 요인들에 의존한다. 단지 예시로서, 주어진 흡입 강도를 가정하면, 도 1의 디바이스(카토마이저들(4a 및 4b) 둘 모두가 리셉터클들(24a 및 24b) 내에 삽입될 때)는 증발된 액체 입자들로 구성된 에어로졸의 약 10%를 갖는 에어로졸이 사용자에 의해 흡입될 수 있게 한다. 본 예의 목적을 위해, 여기서는 증발된 액체 입자들의 약 절반(즉, 5%)이 카토마이저들(4a 및 4b) 각각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이제, 하나의 카토마이저(4a)만이 디바이스(1)에 존재하는 두 가지 상황들이 고려된다. 하나의 상황에서, 카토마이저(4a)가 존재하고, 밸브(25b)(즉, 카토마이저(4b)와 연관된 밸브)가 개방된다. 이것은 공기가 카토마이저(4a) 및 리셉터클(24b)(카토마이저(4b)를 포함하지 않음) 둘 모두를 통해 유동하게 한다. 간략화를 위해, 이것은 공기의 50%가 카토마이저(4a)를 통해 유동하고 50%가 리셉터클(24b)을 통해 유동함을 의미한다고 가정한다. 카토마이저(4a)는 카토마이저들(4a 및 4b) 둘 모두가 존재하는 상황과 비교하여 다양한 조건들(예를 들어, 공기 유동 속도, 위킹 속도 등)의 어떠한 변화도 경험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흡입된 에어로졸은 단지 5%의 증발된 액체 입자들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흡입된 공기 중의 액체 소스 입자들의 농도는 카토마이저들(4a 및 4b) 둘 모두가 존재하는 상황에 비해 감소되었다. 이것은 흡입된 에어로졸에 대한 사용자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예를 들어, 맛/향미가 강하거나 현저하지 않을 수 있음).
다른 상황은 카토마이저(4a)가 존재하지만 밸브(25b)(즉, 카토마이저(4b)와 연관된 밸브)가 폐쇄되어 있는 경우이다. 이것은 본 개시의 교시들에 따른다. 이러한 상황은 공기가 카토마이저(4a)를 통해 유동할 수 있게 하지만, 리셉터클(24b)을 통해서는 유동하지 않게 한다. 간략화를 위해, 이것은 100%의 공기가 카토마이저(4a)를 통해 유동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카토마이저(4a)는 증발과 연관된 다양한 조건들의 변화를 경험한다. 이러한 경우에, 공기 유동 속도는 카토마이저(4a)를 통해 증가하며, 이는 위킹 요소(42a)를 따라 보다 많은 액체를 흡인하고, 그에 따라 소스 액체의 보다 많은 증발을 유발할 수 있게 한다. 증가된 공기 유동 속도는 또한 가열 요소(43a)에 대한 냉각 효과를 증가시키지만, 일부 구현예들에서 가열 요소들(43)은 (예를 들어, 가열 요소(43)에 공급되는 전력을 증가시킴으로써) 가열 요소들(43)을 특정 온도로 유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공기에 대한 소스 액체의 농도는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밸브(25b)가 개방된 상황에 비해 증가된다. 다시 말해서, 밸브(25b)가 폐쇄된 상황에서 증발된 액체 입자들에 대한 공기의 농도는 2 개의 카토마이저들(4a 및 4b)이 존재하는 상황(예를 들어, 이것은 6% 내지 10%의 증발된 액체 입자들로 구성된 에어로졸이 사용자에 의해 흡입될 수 있게 함)에서 증발된 액체 입자들에 대한 공기의 농도에 더 근접한다(일부 구현예들에서는 동일함).
따라서, 사용자에게는, 디바이스 내에 하나의 카토마이저가 존재하든지, 또는 카토마이저들(4) 둘 모두가 존재하든지 간에 관계없이, 수용하는 에어로졸에 별로 불일치가 없이 제공된다. 일부 경우들에서, 향미 또는 향미들의 혼합물은 (예를 들어, 상이하게 가향된 소스 액체들을 보유하는 카토마이저를 사용하는 경우) 변하지만, 사용자에게는 어느 상황에서도 대체로 일관된 용적/양의 증발된 액체 입자들이 제공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디바이스의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고,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보다 유연하게 사용하고(즉, 1 개 또는 2 개의 카토마이저들을 사용함) 일관된 경험을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술한 구현예에서, 유동 제한 부재들(25)은 카토마이저(4)가 리셉터클(24) 내에 존재할 때 완전히 개방되도록, 또는 카토마이저(4)가 리셉터클(24) 내에 존재하지 않을 때 완전히 폐쇄되도록 제어된다. 그러나, 다른 구현예들에서, 유동 제한 부재들(25)은 개방 포지션과 폐쇄 포지션 사이의 다양한 포지션들로 구동될 수 있다. 즉, 유동 제한 부재(25)는 절반 개방되거나, 1/4 개방되거나, 등등일 수 있다. 유동 제한 부재가 개방되는 정도는 디바이스(1)의 흡인 저항(즉, 디바이스의 마우스피스(3) 상을 빨아들일 때 사용자가 느끼는 저항)을 변경시킨다―예를 들어, 절반 개방된 유동 제한 부재(25)는 완전히 개방된 유동 제한 부재(25)보다 큰 흡인 저항을 갖는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유동 제한 부재들(25)은, 예를 들어 밸브를 개방하는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되는 전기 모터 등을 갖는 전기 작동식 밸브들일 수 있다. 즉, 일부 구현예들에서, 제어 회로(22)는 특정 입력에 응답하여 전기 작동식 유동 제한 부재들(25)을 구동시키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특정 입력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입력이 아니라, 대신에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의 현재 상태/구성에 의존하는 입력이다. 예를 들어, 각각의 카토마이저(4)가 리셉터클(24) 내로 삽입될 때, 카토마이저들(4)(가열 요소(43)에 연결됨)의 전기 접점들(도시되지 않음)과 리셉터클(제어 회로(22)에 연결됨)의 전기 접점들 사이에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그러한 구현예들에서, 제어 회로(22)는 카토마이저(4)가 리셉터클 내에 수용될 때 (예를 들어, 저항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전기적 특성들의 변화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전기적 특성의 이러한 변화는 카토마이저(4)가 리셉터클(24) 내에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며, 전기적 특성의 변화를 검출하면, 제어 회로(22)는 전기 작동식 유동 제한 부재(25)에 신호를 전송하여(예를 들어, 배터리(21)로부터 유동 제한 부재들(25)의 모터로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유동 제한 부재(25)가 개방되게 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어 회로(22)는 카토마이저들(4)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카토마이저(4)가 리셉터클(24) 내에 존재하면 유동 제한 부재들(25)을 개방하거나, 카토마이저(4)가 리셉터클 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유동 제한 부재들(25)을 폐쇄하도록 배열된다. 또한, 전술한 기계적 구현예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전기 작동식 유동 제한 부재들은 개방, 폐쇄 또는 부분 개방 상태에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의 상태에 관계없이 에어로졸 전달의 일관성은 주요 초점이 아닐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유동 제한 부재들(25)은 2 개의 카토마이저들(4) 각각에 의해 발생된 에어로졸의 상대적인 비율들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 구동식 유동 제한 부재들(25)이 제공되는 구현예에서, 카토마이저(4)에는 유동 제한 부재들(25)을 다양한 정도들로 개방 또는 폐쇄하는 상이한 형상의 돌출부들(45)이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이한 소스 액체들이 상이한 형상의 돌출부들(45)을 갖는 카토마이저들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카토마이저(4a)의 돌출부(45) 상의 테이퍼 부분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것보다 짧을 수 있는 한편(따라서, 또한 보다 큰 테이퍼 각도를 가짐), 카토마이저(4b)의 돌출부(45)의 테이퍼 부분은 도시된 것보다 길 수 있다(따라서, 보다 작은 테이퍼 각도를 가짐). 카토마이저(4a)의 보다 짧은 돌출부(45)는 유동 제한 부재(25) 내로 덜 깊게 침투하며, 이는 유동 제한 부재(25)가 적은 양만큼만 개방됨(즉, 25% 개방)을 의미한다. 카토마이저(4b)의 보다 긴 돌출부는 유동 제한 부재(25) 내로 보다 깊게 침투하여, 유동 제한 부재(25)가 보다 많은 양으로 개방되게 한다(즉, 75% 개방).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디바이스 상을 흡입함에 따라, 대략 25%의 공기가 카토마이저(4a)를 통과하고, 75%의 공기가 카토마이저(4b)를 통과할 것이다. 이것은 사용자에 의해 흡입된 에어로졸이 카토마이저(4a)에 의해 발생된 액체 증기의 용적과 비교하여 카토마이저(4b)에 의해 발생된 보다 큰 용적의 액체 증기를 포함함을 의미한다. 카토마이저(4a)가 체리 향미 소스 액체를 포함하고 카토마이저(4b)가 딸기 향미 소스 액체를 포함한다고 가정하면, 이러한 특정 예에서, 사용자는 체리 향미보다 많은 딸기 향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수용할 것이다.
각각의 카토마이저(4)로부터 발생된 에어로졸의 비율들에 대한 이러한 제어 형태는 전기 작동식 유동 제한 부재들(25)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카토마이저(4)에는 카토마이저(4) 내에 보유된 소스 액체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향미, 또는 예컨대 니코틴의 강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칩(computer readable chip)이 제공될 수 있다. 제어 회로(22)는 저장소(41) 내에 보유된 소스 액체의 특성을 식별하기 위해 카토마이저(4)의 칩을 판독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구비할 수 있다(또는 메커니즘에 연결됨). 결과적으로, 제어 회로(22)는 소스 액체의 유형에 기초하여 특정 정도로 개방되도록 유동 제한 부재들(25)을 구동시키고, 그에 맞춰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공기/에어로졸의 상이한 비율들을 구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예에 따라, 유동 제한 부재(25a)는 75% 개방되도록 설정될 수 있는 한편, 유동 제한 부재(25b)는 25% 개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전기 기반 시스템은, 제어 회로(22)가 디바이스 내의 소스 액체들에 대한 에어로졸의 비율들을 설정할 수 있다는 점―즉, 디바이스가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등에 기초하여, 체리 향미보다 보다 많은 딸기 향미를 포함하거나, 사과 향미보다 많은 체리 향미를 포함하는 에어로졸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기계 시스템에 비해 개선된 유연성을 제공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상기에 부가하여, 유동 제한 부재들(25)은 카토마이저들(4) 내에 보유된 소스 액체의 양에 기초하여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토마이저(4a)가 카토마이저(4b)보다 액체 저장소(41a)에 보다 큰 용적의 소스 액체를 보유하는 경우, 유동 제한 부재(25a)는 유동 제한 부재(25b)보다 많은 양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에어로졸을 흡입함에 따라, 에어로졸은 카토마이저(4b)보다 카토마이저(4a)로부터 더 큰 비율의 증발된 소스 액체를 보유한다. 이것은 다른 카토마이저(예를 들어, 카토마이저(4a)) 이전에 하나의 카토마이저(예를 들어, 카토마이저(4b))가 "드라이아웃될(drying out)"(즉, 그의 소스 액체를 소모할)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데 유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을 제공하는 것은, 예를 들어 카토마이저들(4) 중 하나가 고갈되어 건조 위킹 요소(42)를 가열하기 시작할 때, 사용자가 불쾌한 맛을 경험하지 않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전기 작동식 유동 제한 부재들(25)이 제공되는 시스템에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에는 카토마이저들(4) 각각에 보유된 에어로졸의 양을 감지/결정하기 위한 일부 메커니즘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카토마이저 하우징(40)의 벽들 또는 리셉터클들(24)의 벽들에는 별도의 전기 전도성 플레이트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전기 전도성 플레이트들은 디바이스(1)가 조립된 상태에 있을 때 카토마이저(4) 내의 소스 액체의 용적이 플레이트들 사이에 위치되도록 서로 대면하도록 배열된다. 플레이트들은 (예를 들어, 배터리(21)로부터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통해) 전기적으로 충전되도록 배열되고, 제어 회로(22)는 플레이트들의 커패시턴스 측정치(capacitance measurement)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플레이트들 사이에 위치된 액체의 용적이 변함에 따라, 커패시턴스 값이 변화되며, 제어 회로(22)는 이러한 변화를 식별하고 잔류하는 액체의 양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는 카토마이저들(4)의 저장소(41) 내의 소스 액체의 양이 검출될 수 있는 방식에 대한 일 예일 뿐이지만, 본 개시의 원리들은 이러한 기술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어 회로(22)가 잔류하는 액체의 양을 식별하면, 제어 회로(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동 제한 부재들(25)을 구동시킨다. 이것은 2 개의 카토마이저들(4)(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영역들)에 잔류하는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의 양에 기초하여 개방 포지션과 폐쇄 포지션 사이의 상이한 포지션들로 유동 제한 부재들(25)을 구동시켜서 2 개의 카토마이저들(4)로부터 발생된 에어로졸들의 비율을 변화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유동 제한 부재들(25)은 소정량의 에어로졸 전구체가 카토마이저(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발생 영역들)에서 검출될 때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양이 특정 한계(예를 들어, 0.1 ㎖) 미만으로 떨어질 때, 또는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가 남아있지 않은 것으로 검출될 때 폐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계 작동식 유동 제한 부재들(25)이 제공되는 시스템에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는 카토마이저들(4)의 중량에 비례하여 활성화되는 유동 제한 부재들(25)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보다 무거운 카토마이저(즉, 보다 많은 소스 액체를 보유한 카토마이저)는 보다 가벼운 카토마이저(즉, 보다 적은 소스 액체를 보유한 카토마이저)보다 유동 제한 부재(25)에 더 큰 하향력(downward force)을 인가한다. 이것은, 밸브들(25)이 카토마이저들(4)의 중량에 기초하여 보다 크거나 보다 작은 정도로 개방 또는 폐쇄되고, 그에 맞춰서 사용자가 흡입함에 따라 카토마이저들 각각으로부터 상이한 비율들의 에어로졸을 제공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에서는, 유동 제한 부재들(25)은 시스템 내의 카토마이저들의 존재 및/또는 시스템 내의 카토마이저들과 연관된 파라미터(예를 들어, 소스 액체의 유형 또는 카토마이저 내의 소스 액체의 양)에 기초하여 각각의 카토마이저들을 통한 공기 유동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카토마이저(4)의 특성에 기초하여 유동 제한 부재들(25)을 제어하는 상기 기술들이 개별적으로 설명되었지만, 다른 구현예들에서 이들 기술들의 조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카토마이저(4a)를 통한 공기 유동의 백분율은 액체의 유형에 기초하여 카토마이저(4b)를 통한 공기 유동의 백분율보다 높도록 설정될 수 있지만, 백분율들은 또한 카토마이저들(4) 내의 액체의 양에 기초하여 가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할이 액체 유형에 기초하여 75% 대 25%인 것으로 가정하지만, 분할은 추가적으로 액체 레벨에 기초하여 60% 대 40%가 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유동 제한 부재들(25)이 리셉터클들(24)의 입구들에 위치된 구현예들이 설명되었지만, 유동 제한 부재들(25)은 디바이스(1) 내의 별도의 유동 경로들을 따라 다른 포지션들에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유동 제한 부재들(25)은 디바이스를 통한 공기 또는 에어로졸을 위한 별도의 유동 경로를 따라 임의의 포지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동 제한 부재들은 마우스피스 부분(3) 내의 리셉터클들(32) 또는 마우스피스 채널들(33) 내에―즉, 카토마이저들(4)의 무화 유닛들의 하류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유동 제한 부재들은 디바이스를 통한 별도의 유동 경로들에 공통인 위치들에는 제공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동 제한 부재(25)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디바이스의 공기 입구(23)에 제공되지 않는다. 설명된 구현예들에서, 유동 제한 부재(25)는 하나의 각각의 카토마이저를 통한 공기의 유동이 변경되는 위치에 제공된다. 또한, 다수의 유동 제한 부재들(25)이 각각의 유동 경로에 제공될 수 있다는 것―예를 들어, 유동 제한 부재들(25)은 공기가 카토마이저 채널(44)로 진입하기 전에(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24)의 입구에), 그리고 또한 에어로졸이 카토마이저 채널(44)을 빠져나간 후에(예를 들어, 리셉터클(32)로부터 마우스피스 채널(33)로의 출구에)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것은 유동 제한 부재들 중 하나가 고장나는 경우 중복성(redundancy)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디바이스(1) 내에 덜 강인하거나 보다 저렴한 유동 제한 부재들의 사용을 허용한다.
도 4a 및 도 4b는 유동 제한 부재들 및 제어 부분들의 대안적인 배열들을 단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4a는, 제어 부분(2')이 2 개의 공기 입구들(23a' 및 23b') 및 2 개의 공기 채널들(26a' 및 26b')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어 부분(2)과 동일한 제어 부분(2')을 도시한다. 도 4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기 채널들(26')은 서로 분리되어 있다―즉, 제어 부분(2') 내에서 유체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각각의 공기 채널(26')은 리셉터클(24) 및 공기 입구(23')에 연결된다. 본질적으로, 도 4a는, 디바이스를 통한 유동 경로들의 공유(또는 공통) 구성요소가 없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전술한 구현예들과 동일한 구현예를 도시한다. 즉, 공기 채널(26a')은 공기 입구(23a')를 리셉터클(24a)에만 연결하고, 공기 채널(26b')은 공기 입구(23b')를 리셉터클(24b)에만 연결한다.
도 4b는, 공기 채널(26")에 의해 단일 리셉터클(24)에 연결된 다수(구체적으로, 3 개)의 공기 입구들(23")이 존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어 유닛(2)과 동일한 예시적인 제어 유닛(2")을 도시한다. 도 4b는 제어 유닛(2")의 절반(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와 관련하여 좌측 절반)만 도시하지만, 제어 유닛(2")의 우측 절반에 대응하는 배열이 존재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4b의 구현예에서, 3 개의 유동 제한 부재들(25")은 제어 부분(2")의 3 개의 공기 입구들(23") 각각 사이에 제공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3 개의 공기 입구들(23") 각각은 개방 또는 폐쇄 상태에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얼마나 많은 유동 제한 부재들(25")이 개방되는지에 따라 흡인 저항이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 개의 유동 제한 부재(25") 모두가 개방된 경우, 3 개의 유동 제한 부재들(25") 중 하나만이 개방된 경우에 비해 흡인 저항이 비교적 낮다. 따라서, 흡인 저항을 변경함으로써, 디바이스(1)는 전술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각각의 카토마이저(4)를 통과하는 흡입된 총 공기의 상대적인 백분율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가 카토마이저(4a)를 통과할 수 있게 하는 유동 제한 부재들(25")이 모두 완전히 개방되도록 설정되는 반면, 공기가 카토마이저(4b)를 통과할 수 있게 하는 유동 제한 부재들(25")이 3 개 중 하나만 개방되도록 설정되는 경우, 사용자가 디바이스 상을 흡입함에 따라, 카토마이저(4b)를 통한 유동 경로가 보다 큰 흡인 저항을 가지므로 카토마이저(4b)에 비해 보다 큰 비율의 흡입 공기가 카토마이저(4a)를 통과한다.
도 4b에 도시된 이러한 배열에서, 유동 제한 부재들(25")은 현재의 응용에 따라 전기 구동식이거나 기계 구동식일 수 있다. 즉, 유동 제한 부재들(25")은 기계적 또는 전기적 입력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현예들에서, 사용자에게는,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어떤 유동 제한 부재들(25")이 개방 또는 폐쇄될지를 수동으로 제어하는 옵션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에 의해 이해되어야 하는 바와 같이, 사용 시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을 통한 공기 유동은 다수의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일반적으로, 디바이스를 사용할 때, 제1 유동 제한 부재는 제1 에어로졸 발생 영역을 통과하도록 배열되고 마우스피스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제1 유동 경로를 따라 공기의 유동을 변화시키도록 조정되고, 제2 유동 제한 부재는 제2 에어로졸 발생 영역을 통과하도록 배열되고 마우스피스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제2 유동 경로를 따라 공기의 유동을 변화시키도록 조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동 제한 부재들은 시스템 내의 각각의 에어로졸 발생 영역들에서의 에어로졸 발생 구성요소의 존재 및/또는 시스템 내의 각각의 에어로졸 발생 구성요소와 연관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각각의 경로들을 따라 공기의 유동을 변화시킨다.
디바이스(1)를 통한 공기 유동을 제어하는 것에 부가하여 또는 그에 대한 대안으로서, 본 개시의 양태들은 에어로졸 발생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카토마이저들(4a 및 4b) 사이의 전력 분배에 관한 것이다.
언급된 바와 같이, 제어 회로(22)는 상이한 카토마이저들(4)의 가열 요소들(43)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따라서, 제어 회로(22)의 하나의 기능은 전력 분배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전력 분배 회로"는 제어 회로(22)의 전력 분배 기능/기능성을 지칭한다.
일 구현예에서, 각각의 에어로졸 발생 영역들, 리셉터클들(24) 내의 에어로졸 발생 구성요소들, 예를 들어 카토마이저들(4)의 존재 또는 부재에 기초하여 전력이 분배된다. 전술한 것과 매우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 회로(22)는 카토마이저(4)가 리셉터클들(24) 각각 내에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전기적으로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제어 회로(22)는, 카토마이저(4)가 리셉터클(24) 내로 삽입되고 가열 와이어(43)와 제어 회로(22) 사이에 (예를 들어, 카토마이저들과 리셉터클들 상의 전기 접점들의 결합을 통해) 전기적 연결이 확립될 때, 전기 저항의 변화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회로(22)는, 이러한 경우에 디바이스(1) 내에서의 회로의 전기적 특성(예를 들어, 저항)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어느 때에 디바이스 내에 얼마나 많은 카토마이저들(4)이 설치되어 있는지를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구성요소가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 예를 들어 액체인 경우, 커패시턴스는 에어로졸 발생 구성요소가 에어로졸 발생 영역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적합한 방식이지만, 다른 검출 메커니즘들, 예를 들어 광학 검출 메커니즘이 적합할 수 있다.
도 5a는 디바이스(1)에 설치된 2 개의 카토마이저들(4a 및 4b)의 가열 와이어들(43a 및 43b)과 배터리(21) 사이의 전기적 연결들을 나타내는 예시적인 개략적 회로도이다. 도 5a는 배터리(21)와 병렬로 연결된 가열 와이어(43a) 및 가열 와이어(43b)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병렬 회로의 각 아암(arm)에는 여기서는 제어 회로 블록(22a 및/또는 22b)으로 지칭되는 제어 회로(22)의 기능 블록들의 개략적인 표현이 제공된다. 간략화를 위해서, 제어 회로(22)의 기능 블록들은 시각화의 용이성을 위해 개별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제어 회로(22)는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단일 칩/전자 구성요소일 수 있거나, 또는 각각의 기능 블록은 (일반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전용 칩/회로 기판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제어 회로 블록(22a)은 가열 와이어(43a)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 제어 메커니즘이고, 제어 회로 블록(22b)은 가열 와이어(43b)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 제어 메커니즘이다. 전력 제어 메커니즘은, 예를 들어 각각의 가열 와이어들(43)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펄스 폭 변조(PWM) 제어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도 5a에서, 2 개의 카토마이저들(4)은 도 5a의 2 개의 가열 와이어들(43)의 존재에 의해 식별되는 바와 같이 디바이스 내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 회로(22)는 디바이스 내의 카토마이저들(4) 둘 모두의 존재를 식별하고, 이어서 카토마이저들(4) 둘 모두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배터리 전압이 약 5 볼트라고 가정하면, 각각의 가열 와이어(43a)에는 약 2.5 볼트의 (평균) 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간략화를 위해, 여기서는 각각의 가열 와이어(43)가 동일하고, 결과적으로, 각각의 가열 와이어에 전력이 공급되고 소스 액체의 증발이 일어날 때, 각각의 카토마이저(4)가 동일한 양/용적의 증기를 생성한다고 가정한다.
도 5b는 도 5a와 동일한 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지만; 제2 카토마이저(4b)는 회로/디바이스로부터 제거되어 있으며, 이는 가열 와이어(43b)가 더 이상 회로에 연결되어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에, 회로(22a)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한다고 가정하면, 가열 와이어(43a)는 가열 와이어에 공급되는 전력이 일정하기 때문에 카토마이저(4b)가 존재하는 경우와 대략 동일한 양의 증기를 생성하지만, 디바이스(1)에 의해 전체적으로 생성된 증기의 총량은 더 적으며, 이는 카토마이저(4b)로부터의 기여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 보상하기 위해, 회로(22a)는, 예를 들어 2.5 볼트로부터 3.5 볼트로 공급되는 전압을 증가시킴으로써, 가열 와이어(43a)에 공급되는 전압/전력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가열 와이어들(43a 및 43b)의 전기 저항이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하나의 카토마이저가 회로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나머지 카토마이저에 공급되는 전력(P)은 이전 전압의 √2 배를 공급함으로써 배가될 수 있다. 간단히 말하면, 가열 와이어에 공급되는 전력을 배가하는 것은 약 2 배 용적의 증기가 생성되게 할 수 있다.
즉, 디바이스 내에 하나의 카토마이저의 부재 시에, 디바이스에 존재하는 카토마이저로부터 보다 많은 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해 나머지 카토마이저에 공급되는 전력이 증가된다. 따라서, 가열 와이어(43a)는, 그렇지 않으면 카토마이저(4b)로부터 공급될 증기의 양을 보상하기 위해 보다 많은 양의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흡입 당 생성된 증기의 총량은 사용자가 디바이스(1)에 1 개의 카토마이저(4)를 설치하든지, 또는 2 개의 카토마이저들(4)을 설치하든지 간에 관계없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대략 동일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에게는, 1 개 또는 2 개의 카토마이저들이 디바이스에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일정한 용적의 증기가 제공되고, 따라서 디바이스(1)를 사용할 때 전체적으로 보다 일관된 경험이 제공된다.
실제로, 다른 영향들(예컨대, 위킹 재료(42) 내의 액체로의 열 전달 효율, 액체 위킹 속도 등)의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전력을 배가시킬 때 에어로졸의 용적이 완전히 2 배로 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디바이스는 하나의 카토마이저만이 디바이스 내에 존재하는 경우, 2 배의 증기 용적이 단일 카토마이저(4)로부터 발생되도록 가열 요소들(43)에 공급되는 전력이 선택되도록 교정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현예들에서, 흡입된 증기의 양은 일관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반드시 배가될 필요는 없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2 개의 카토마이저들에 의해 발생된 증기의 총 용적의 약 80% 또는 90% 또는 95%만이 하나의 카토마이저가 디바이스 내에 설치되는 경우에 발생될 필요가 있다고 결정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카토마이저만이 디바이스 내에 존재하는 상황에서 생성된 에어로졸의 용적 차이는 20%, 10% 또는 5% 이하이다. 이것은 (즉, 흡인 저항의 증가로 인해) 단일 카토마이저(4)/유동 경로를 통해 흡입될 수 있는 공기의 용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제어 회로(22)는 카토마이저의 특정 특성들, 예를 들어 카토마이저들의 액체 저장소(41) 내에 저장된 액체에 따라 카토마이저들(4) 사이에 전력을 분배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카토마이저(4a)는 딸기 향미 소스 액체를 보유할 수 있는 한편, 카토마이저(4b)는 체리 향미 소스 액체를 보유할 수 있다. 카토마이저들(4) 둘 모두가 디바이스(1) 내에 설치되는 경우, 제어 회로(22a)는 공급된 전력의 30%가 카토마이저(4a)로 지향되고 공급된 전력의 70%가 카토마이저(4b)로 지향되도록 전력을 분배할 수 있다. 그러한 상황에서, 흡입된 에어로졸은 딸기 향미 에어로졸에 비하여 더 많은 비율의 체리 향미 에어로졸을 포함한다. 그러나, 카토마이저(4b)가 제거되면, 카토마이저(4a)에 분배된 전력은 동일한 양의 증발된 액체를 제공하기 위해 2 배 초과만큼 증가된다.
회로 블록들(22a 및 22b)은 PWM 기술을 사용하여 가열 와이어들(43)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에서 구성된다. PWM은 사전결정된 시간 동안 전압을 온/오프 펄싱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술이다. 1 회의 온/오프 사이클은 전압 펄스의 지속시간(duration) 및 후속 전압 펄스들 사이의 시간을 포함한다. 펄스의 지속시간과 펄스들 사이의 비율은 듀티 사이클(duty cycle)로 알려져 있다. 가열 와이어들(43)에 공급된 전압(및 따라서 전력)을 증가(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회로 블록들(22a 및 22b)은 듀티 사이클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 가열 와이어(43a)에 공급되는 평균 전압을 증가시키기 위해, 듀티 사이클은 50%로부터 증가될 수 있다(즉, 1 회의 사이클에 있어서, 사이클의 절반 동안에는 전압이 가열 와이어로 공급되고, 다른 절반 동안에는 전압이 가열 와이어에 공급되지 않음). 평균 전압은 듀티 사이클 기간에 걸쳐 공급된 전압의 척도이다. 다시 말해서, 각각의 전압 펄스는 배터리 전압, 예를 들어 5 V와 동일한 진폭을 가질 수 있지만, 가열 와이어(43)에 공급된 평균 전압은 공급된 배터리 전압에 듀티 사이클을 곱한 것과 동일하다.
도 6a 및 도 6b는 예시적인 PWM 전력 분포들을 나타내는 그래프들이다. x-축을 따라 시간이 표시되고, y-축을 따라 전압(즉, 다양한 전압 펄스들의 전압 값)이 표시된다. 도 6a 및 도 6b에서, "A"로 표시된 펄스들은 가열 와이어(43a)에 공급된 전압을 나타내고, "B"로 표시된 펄스들은 가열 와이어(43b)에 공급된 전압을 나타낸다.
도 6a는 동일한 평균 전압이 가열 와이어들(43) 각각에 공급되는 제1 예시적인 전력 분배를 도시하고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사이클은 펄스의 시작으로부터 다음 펄스의 시작까지의 총 시간이며, 본 예에서, 가열 와이어들(43a 및 43b) 둘 모두에 대해, 총 시간의 절반이 가열 와이어에 전압 펄스를 공급하는데 소비된다―따라서, 각 가열 와이어에 대한 듀티 사이클은 50%이다. 도 6b에서, 펄스 A에 대한 듀티 사이클은 약 30%로 감소되며, 이는 가열 와이어(43a)에 비해 가열 와이어(43b)에 보다 많은 평균 전압이 공급되어 보다 많은 용적의 소스 액체가 카토마이저(4b)로부터 증발됨을 의미한다.
또한, 도 6a 및 도 6b로부터, 전압 펄스들이 가열 와이어들(43a 및 43b)에 교대로 인가된다는 것―즉, 가열 와이어(43a)에 공급되는 전압 펄스들이 동일 위상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것은 제어 회로(22)에서 구현되는 제어 메커니즘을 보다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 와이어(43a)에 연결된" 상태, "가열 와이어(43b)에 연결된" 상태 및 "연결되지 않은" 상태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구성된 단일 스위치는 제어 회로(22)에서 3 개의 가능한 연결 상태들을 실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6a에서, 스위치는 2 개의 연결 상태들 사이에서 교번하도록 제어될 수 있는 한편, 도 6b에서, 스위치는, (즉, 도 6b에서의 펄스들 A와 B 사이의 갭을 실현하기 위해) 또한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통과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어 회로 및 회로를 제어하는 방법이 단순화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구현예들에서는 상이한 제어 메커니즘들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각각의 가열 와이어(43)가 별도의 스위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 6a 및 도 6b에는 각각의 가열 와이어에 전압 펄스가 교대로 공급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1 회 사이클의 주기는 수십 ms일 수 있으며, 이는 실제로 각각의 카토마이저(4a 및 4b)가 대략 동시에 증기를 발생시키고, 그에 따라 발생된 증기들 둘 모두가 사용자에게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간에 전달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가열 요소(43)에 공급된 총 전력은 사용자 흡입 강도에 의존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즉, 사용자가 보다 강하게 흡입하면, 보다 큰 전압이 가열 요소(43)에 공급되어 보다 많은 양의 증기/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들 구현예들에서, 듀티 사이클은 흡입 강도의 함수일 것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즉, 예로서 도 6a의 패턴을 고려하면, 듀티 사이클은 즉 25% 내지 50%에서 가열 와이어들(43) 둘 모두에 대해 변할 수 있으며, 여기서 50%는 가능한 가장 강한 흡입(또는 적어도 최대 임계 값 초과의 흡입)에 대해 선택되고, 25%는 가능한 가장 약한 흡입(또는 적어도 흡입을 감지하기 위한 임계치와 동일한 흡입 강도)에 대해 선택된다. 이것은 가열 와이어들(43) 둘 모두에 대한 듀티 사이클들이 동일한 경우, 또는 (예를 들어, 도 6b에서와 같이) 듀티 사이클들이 상이한 경우에 적용 가능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듀티 사이클들은 가열 와이어(43a)와 가열 와이어(43b) 사이의 듀티 사이클들의 특정 비율을 제공하도록 변화될 수 있다.
또한, 가열 요소들(43)에 공급된 총 전력은 사용자 입력에 의존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는 재사용 가능한 부분(2) 상에 위치된 버튼 또는 스위치(도시되지 않음)일 수 있고 사용자가 생성되는 에어로졸의 양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용적 선택 메커니즘(volume selection mechanism)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적 선택 메커니즘은 낮은 설정, 중간 설정 또는 높은 설정 사이에서 구동될 수 있는 3-포지션 스위치일 수 있으며, 여기서 낮은 설정은 높은 설정보다 사용자에게 적은 에어로졸을 제공하고, 중간 설정은 낮은 설정 및 높은 설정에 의해 제공되는 용적들 사이의 어디쯤의 에어로졸의 용적을 제공한다. 이것은, 누를 때에 가열 요소들(43)에 전력을 공급하는 사용자 구동식 버튼을 통해 가열 요소들(43)에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용적 선택 메커니즘은 사용자가 전력 공급 버튼을 구동시킬 때 가열 요소들(43)에 공급되는 총 전력을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듀티 사이클들은 용적 선택 메커니즘의 설정에 따라 변화된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에서, 드라이아웃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카토마이저들(4) 사이에 전력이 분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1)를 사용할 때 일관된 사용자 경험을 유지하기 위해 드라이아웃이 회피되어야 한다. 이것이 제어될 수 있는 하나의 방식은 카토마이저들(4) 각각을 통해 에어로졸 유동을 제어하는 것에 의한 것이지만; 대안적으로(또는 추가적으로) 카토마이저들(4) 각각에 공급되는 전력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구현예에서, 제어 회로(22)는 유동 제한 부재들(25)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예를 들어, 소스 액체가 소모됨에 따라 커패시턴스의 변화를 검출하는 용량성 플레이트들(capacitive plates)을 통해) 액체 저장소들(41) 각각에 저장된 소스 액체의 양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에, 제어 회로(22)는 검출된 소스 액체 레벨(즉, 제어 회로(22)는 감지된 액체 레벨을 나타내는 신호 또는 신호들을 수신함)에 기초하여 각각의 카토마이저들(4)에 공급될 전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질적으로, 제어 회로(22)는 소스 액체가 디바이스(1)에 의해 사용되는(또는 보다 정확하게는 증발되는)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액체 저장소들(41)이 미래의 동일한 시점에서 완전히 고갈되도록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카토마이저(4a)가 1 ㎖의 소스 액체를 보유하는 한편, 카토마이저(4b)가 0.5 ㎖의 액체를 보유한다고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에, 카토마이저들이 미래의 동일한 시간에 완전히 고갈되도록, 카토마이저(4b) 내의 소스 액체는 카토마이저(4a) 내의 소스 액체의 절반의 속도로 증발(소모/고갈)되어야 한다. 여기서, 용어 "미래의 동일한 시간(same time in the future)"은 정확하게 또는 특정 공차 내에서 시점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이것은 시간 이내, 예를 들어 1 초 이내 또는 1 분 이내 등의 범위, 또는 특정 퍼프 횟수 이내, 예를 들어 1 회 퍼프 이내 또는 2 회 퍼프 이내 등의 범위에 기초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완전히 고갈된"은 에어로졸 전구체가 전혀 남아있지 않거나, 소량의 에어로졸 전구체, 예를 들어 카토마이저(4) 내에 저장될 수 있는 에어로졸 형성 재료의 최대 용적의 5%, 2% 또는 1% 미만이 남아있는 경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속도는 가열 요소(43)에 공급되는 전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따라서, 제어 회로(22)는 카토마이저들이 소스 액체를 증발시키는 속도가 잔류 액체가 미래의 동일한 시점에 소비되게 하도록 각각의 카토마이저(4)에 공급될 전력을 계산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카토마이저들 중 하나가 건조 위킹 요소(42)를 가열/연소시키는 것으로부터 기인하는 불쾌한 맛(foul taste)을, 다른 카토마이저가 에어로졸을 계속 생성하는 동안에, 사용자가 경험할 가능성이 감소됨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제어 회로(22)는 최대량의 소스 액체를 포함하는 카토마이저(4)의 가열 요소(43)에 보다 큰 비율의 전력을 공급할 것이고; 즉, 보다 큰 전력/평균 전압이 카토마이저(4a)에 공급될 것이다. 예를 들어, 대략 3 와트가 카토마이저(4b)에 공급되면, 6 와트가 카토마이저(4a)에 공급될 것이다.
일 구현예에서, 제어 회로(22)는 디바이스(1)의 사용 동안 카토마이저들 내의 액체의 양들을 연속적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22)는 (예를 들어, 용량성 센서로부터) 카토마이저 내의 소스 액체 레벨들의 연속적인 측정치를 수신할 수 있거나, 제어 회로는 센서로부터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회로는 그에 맞춰서 카토마이저들에 공급되는 전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제어 회로는, 업데이트 이전에 공급된 전력에 대해, 최소량의 소스 액체를 포함하는 카토마이저의 무화 유닛에 공급되는 전력을 감소시키고, 그리고/또는 최대량의 소스 액체를 포함하는 카토마이저의 무화 유닛에 공급되는 전력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제어 유닛은 특정 총 전력(생성되는 에어로졸의 용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에 기초하여 전력을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예를 사용하여, 총 9 와트가 카토마이저들 둘 모두에 공급되어 특정 양의 증기를 발생시키고, 사용 동안에 제어 회로(22)는 카토마이저(4b)가 액체를 충분히 빨리 사용하고 있지 않다고(그래서, 카토마이저(4a)가 보다 빨리 드라이아웃됨) 결정할 수 있다. 제어 회로(22)는 예를 들어, 카토마이저(4b)에 공급되는 전력을 3 W로부터 4 W로 변경하고, 이어서 카토마이저(4a)에 공급되는 전력을 6 W로부터 5 W로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연속적인 총 전력을 유지할 필요는 없을 수 있으며, 그래서 제어 회로는 대신에 카토마이저들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에 대한 전력을 증가/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에서는 전력 분배를 사용하여 하나의 카토마이저가 다른 카토마이저 이전에 드라이아웃될 가능성의 감소가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또한 카토마이저들을 통한 공기 유동을 추가로 제어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제어 회로(22)는 상이한 무화 유닛들에 분배될 전력의 비율을 설정하기 전에 유동 제한 부재들(25)이 개방되는 정도(및 그래서 카토마이저들 각각을 통한 공기 유동 속도)를 고려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하나의 카토마이저가 다른 카토마이저 이전에 드라이아웃되는 것을 방지하는 경우의 유연성 레벨의 증가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예를 들어, 에어로졸들의 상대 농도들을 변경함으로써) 에어로졸의 사용자 맛/경험에 대한 영향의 감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양태는 에어로졸 발생 영역들 내의 카토마이저(4)와 같은 에어로졸 발생 구성요소들로부터 발생된 에어로졸을 이송하는 경로들로서 여기서 규정된 2 개의 별도 에어로졸 경로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의 예시적인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는 일반적으로 공기/에어로졸이 디바이스를 통과할 수 있는 2 개의 루트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1 루트는 공기 입구(23)로부터 시작하여, 공기 채널(26)을 따라 유동 제한 부재(25a)를 통과한 후에, 리셉터클(24a) 내로, 그리고 제1 카토마이저(4a)의 카토마이저 채널(44a)을 통해 리셉터클(32a) 내로, 마우스피스 부분(3)의 마우스피스 채널(33a)을 따라 개구(31a)로 통과한다. 제2 루트는 공기 입구(23)로부터 시작하여, 공기 채널(26)을 따라 유동 제한 부재(25b)를 통과한 후에, 리셉터클(24b) 내로, 그리고 제2 카토마이저(4b)의 카토마이저 채널(44b)을 통해 리셉터클(32b) 내로, 마우스피스 부분(3)의 마우스피스 채널(33b)을 따라 개구(31b)로 통과한다.
디바이스를 통한 제1 및 제2 루트들 각각은 유동 제한 부재들(25)의 상류의 공통 구성요소(즉, 공기 입구(23)에 결합된 공기 채널(26))를 공유하지만, 이러한 공통 구성요소로부터 분기된다. 본 개시에서, 에어로졸 경로는 에어로졸/증기를 발생시키는 것을 담당하는 구성요소로부터 시작하는 경로로서 규정된다. 본 예의 디바이스(1)에서, 이들은 카토마이저들(4)의 가열 와이어들(43a 및 43b)이다. 이들은 먼저 소스 액체를 증발시켜서 증기를 발생시키는, 제1 및 제2 루트들을 따르는 구성요소들이며,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루트들을 따라 이러한 지점의 하류로 유동하는 임의의 공기는 공기와 생성된 증기―즉, 에어로졸―의 조합물/혼합물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1 에어로졸 경로 및 제2 에어로졸 경로가 디바이스(1) 내에 규정될 수 있다. 즉, 제1 에어로졸 경로는 가열 요소(43a)로부터 시작하여, 제1 카토마이저(4a)의 카토마이저 채널(44a)을 통해 리셉터클(32a) 내로, 그리고 마우스피스 부분(3)의 마우스피스 채널(33a)을 따라 개구(31a)로 통과한다. 제2 에어로졸 경로는 가열 요소(43b)로부터 시작하여, 제2 카토마이저(4b)의 카토마이저 채널(44b)을 통해 리셉터클(32b) 내로, 그리고 마우스피스 부분(3)의 마우스피스 채널(33b)을 따라 개구(31b)로 통과한다.
도 1 및 도 2로부터 이해되어야 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에어로졸 경로들은 무화 유닛의 하류에서 서로 물리적으로 격리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열 요소(43a)를 통과하여 발생된 에어로졸과 가열 요소(43b)를 통과하여 발생된 에어로졸은 정상 사용 동안에 디바이스 내에서 혼합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대신에, 개별 에어로졸들은 각각의 마우스피스 개구들(31a 및 31b)을 통해 디바이스(1)를 빠져나가고, 디바이스(1)를 빠져나간 직후에 초기에 서로 분리된다. 에어로졸들이 디바이스(1)를 통과할 때 서로 물리적으로 격리된다는 사실은 디바이스 내에서 혼합되는 에어로졸들을 흡입하는 것과 비교하여 별도의 에어로졸을 수용할 때 상이한 사용자 경험을 야기할 수 있다. 용어 "정상 사용 시에"는 "사용자가 디바이스 상을 정상적으로 흡입할 때"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그에 따라 구체적으로 여기서는, 사용자가 이러한 방식으로 흡입할 때 에어로졸이 취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통한 정상 루트를 지칭한다. 이것은 악용하는 행동, (예를 들어) 흡입하기보다는 디바이스 내로 내뿜는 행동과 구별되어야 한다. 정상 사용 시에, 본 개시는 상이한 에어로졸들이 에어로졸이 발생되는 지점의 하류에서 격리되는 배열들을 설명한다.
디바이스를 빠져나가는 에어로졸들은 주로 두 가지 방법들을 통해 에어로졸들의 조합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혼합될 수 있다. 제1 방법은 상이한 에어로졸들이 서로 개별적으로 디바이스(1)를 빠져나가는 것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에어로졸을 사용자의 구강 내로 더욱 흡입 및 흡인함에 따라, 2 개의 에어로졸들은 에어로졸들의 혼합물이 사용자에 의해 수용되는 구강의 표면(예를 들어, 혀 또는 볼들의 내부면) 상에 충돌하기 전에 사용자의 구강 내에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호흡 기관들을 따라 구강 이후의 다른 지점들에서, 예를 들어 목구멍, 식도, 폐 등에서 혼합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 지적되어야 한다. 제2 방법은 각각의 에어로졸이 사용자 입의 상이한 영역(예를 들어, 볼들의 좌측 및 우측 내부면들 등)에 주로 충돌하도록 에어로졸들을 실질적으로 개별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입의 상이한 부분들에서 에어로졸을 수용하는 것에서 기인하는 상이한 신호들을 사용자의 뇌가 조합함으로써 혼합이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여기서 이들 기술들 둘 모두는 디바이스에서 혼합하는 것과 달리 "입에서 혼합하는 것"으로 지칭된다. 실제로, 흡입되는 상이한 에어로졸들은 2 개의 방법들 모두를 통해 혼합될 수 있지만, 마우스피스 부분(3)의 구성에 따라, 혼합은 전술한 방법들 중 하나를 통해 주로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마우스피스 부분(3)은 마우스피스 채널들(33)의 축들이 디바이스(1)의 최상부 단부로부터 떨어진 지점에서 수렴하도록 마우스피스 채널들(33)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서, 마우스피스 부분이 디바이스의 저부 단부로부터 최상부 단부까지 연장되고 대체로 마우스피스 부분의 중심을 통과하는 축을 규정한다고 가정하면, 에어로졸들은 축을 향해 지향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마우스피스 부분(3)은 전술한 제1 방법에 따라, 즉 사용자 입의 표면에 충돌하기 전에 에어로졸들의 혼합을 통해, 에어로졸들을 주로 혼합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 7a는 제어 부분(2)에 끼워맞춤/결합되도록 구성된 다른 예시적인 마우스피스 부분(103)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7a는 좌측 상에 마우스피스 부분(103)을 단면도로 도시하고, 도 7a의 우측 상에는 마우스피스 부분(103)의 종축을 따르는 방향에서 본 마우스피스 부분(103)이 도시되어 있다. 마우스피스 부분(103)은, 마우스피스 채널들(133a 및 133b)의 단부들이 마우스피스 채널들(133)의 대체적인 종축들로부터 멀리 향하게 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마우스피스 부분(3)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마우스피스 개구들(131a 및 131b)은 마우스피스 부분(3)의 개구들(31a 및 31b)과 비교하여 마우스피스 부분(103)의 좌측 및 우측에 더 근접한 포지션들에 제공된다. 마우스피스 채널들(133)의 단부 부분들의 종축들은 (마우스피스 부분(3)과 대조적으로) 디바이스(1) 내의 지점에서 수렴한다. 즉, 채널들(133)은 별도 에어로졸들을 마우스피스 부분(103)의 종축들로부터 멀리 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마우스피스 부분(103)은 전술한 제2 방법에 따라, 즉 각각의 별도 에어로졸이 사용자 입의 표면에 충돌한 후에 에어로졸들의 혼합을 통해, 에어로졸들을 주로 혼합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마우스피스 부분(103)은 상이한 에어로졸들을 사용자 입의 상이한 부분들로 지향시키거나 이들을 타깃으로 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 7b는 제어 부분(2)에 끼워맞춤/결합되도록 구성된 다른 예시적인 마우스피스 부분(203)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7b는 좌측 상에 마우스피스 부분(203)을 단면도로 도시하고, 도 7b의 우측 상에는 마우스피스 부분(203)의 종축을 따르는 방향에서 본 마우스피스 부분(203)이 도시되어 있다. 마우스피스 부분(203)은, 마우스피스 채널들(233a 및 233b)이 디바이스(1)의 종축에 대해 더 완만한 각도로 제공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마우스피스 부분(3)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마우스피스 채널들(233)의 종축들은 마우스피스 부분(3)과 비교하여 디바이스(1)로부터 더욱 멀리 떨어진 지점에서 수렴한다. 이어서, 마우스피스 개구들(231a 및 231b)은 도 7b에서 분리 거리(y)로 표시된 보다 큰 거리만큼 분리된다. 또한, 마우스피스 부분(203)의 최상부 단부의 폭은 마우스피스 부분(3)의 최상부 단부의 폭보다 크며, 예를 들어 마우스피스 부분(203)의 폭은 약 4 ㎝라는 것에 주목하자. 이러한 배열은 에어로졸의 혼합 정도가 마우스피스 부분(3)보다 적음을 의미한다.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2 ㎝ 내지 4 ㎝, 예컨대 3.5 ㎝의 마우스피스 개구들(231) 사이의 적절한 분리 거리(y)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입을 대응하는 마우스피스 개구(들)(231) 위에 위치결정함으로써, 마우스피스 개구(231a), 마우스피스 개구(231b) 또는 마우스피스 개구들(231a 및 231b)의 조합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흡입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에어로졸들 중 어떤 것을 수용할 것인지(따라서, 카토마이저들(4)의 가열 와이어들(43a, 43b) 중 어떤 것에 전력이 공급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마우스피스 개구들(231)은 사용자가 마우스피스 개구들(231)로부터 선택적으로 흡입할 수 있게 하는 마우스피스 부분(3) 상의 포지션들에 제공된다.
도 7c는 제어 부분(2)에 끼워맞춤/결합되도록 구성된 다른 예시적인 마우스피스 부분(303)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7c는 좌측 상에 마우스피스 부분(303)을 단면도로 도시하고, 도 7c의 우측 상에는 마우스피스 부분(303)의 종축을 따르는 방향에서 본 마우스피스 부분(303)이 도시되어 있다. 마우스피스 부분(303)은, 마우스피스 채널들(333a 및 333b)이 크기가 상이하고 이러한 경우에 또한 동심인 마우스피스 개구들(331a 및 331b)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마우스피스 부분(3)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우스피스 개구(331a)는 마우스피스 개구(331b)의 외경을 둘러싸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마우스피스 채널(333b)은 마우스피스 채널(333a)의 중공 부분 내로 연장되는 벽 섹션(walled section)을 포함한다는 것(예를 들어, 마우스피스 채널(333b)은 채널(333a)을 채널(333b)로부터 구획하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관형 벽을 포함함)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성은 에어로졸들이 마우스피스 부분(303)을 빠져나갈 때 제1 에어로졸에 의해 둘러싸인 제2 에어로졸을 제공한다. 대부분의 혼합은 상기 제1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은 또한 제1 에어로졸(즉, 카토마이저(4a)로부터 발생된 에어로졸)이 제2 에어로졸(즉, 카토마이저(4b)로부터 발생된 에어로졸) 직전에 사용자의 입에 충돌하는 상황들을 야기할 수 있다. 이것은 상이한 사용자 경험, 예를 들어 제1 에어로졸로부터 제2 에어로졸로의 점진적인 수용/전이를 야기할 수 있다.
도 7d는 제어 부분(2)에 끼워맞춤/결합되도록 구성된 다른 예시적인 마우스피스 부분(403)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7d는 이 도면의 좌측 상에 마우스피스 부분(403)을 단면도로 도시하고, 도 7d의 우측 상에는 마우스피스 부분(403)의 종축을 따르는 방향에서 본 마우스피스 부분(403)이 도시되어 있다. 마우스피스 부분(403)은, 마우스피스 채널(433b)이 2 개의 마우스피스 개구들(431b)에 결합되는 2 개의 채널들로 분할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마우스피스 부분(3)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마우스피스 개구들은 카토마이저(4b)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개구들(431b)이 카토마이저(4a)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마우스피스 개구(431a)의 양 측부에 제공되도록 배열된다. 마우스피스 채널(433b)의 하나의 분기부는 마우스피스 채널(433a) 위로(또는 아래로) 통과하도록 형상화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이것은 카토마이저(4a)로부터 발생된 에어로졸을 구강의 중간을 향해 지향시키면서, 카토마이저(4b)로부터 발생된 에어로졸을 사용자 입의 외부 부분들을 향해 지향시킴으로써 상이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 7a 내지 도 7d와, 도 1 및 도 2의 마우스피스 부분(3)을 고려하면,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의 마우스피스 부분은 사용자에게 상이한 사용자 경험들을 제공하기 위해 디바이스(1)의 사용자 입 내에서의 상이한 에어로졸들의 혼합을 달성하도록 다양한 방식들로 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시된 예들 각각에서, 에어로졸들은 정상 사용 시에 디바이스 내에서 혼합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에 언급된 도면들은 마우스피스 부분들의 특정 디자인들을 도시하고 있지만, 마우스피스 채널들은 구강 내에서 에어로졸들을 혼합하거나 에어로졸들을 구강의 특정 영역들을 타깃으로 하는 의도된 기능들을 실현하는데 필요하거나 요망되는 임의의 구성을 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8a 및 도 8b는 마우스피스 부분들(503 및 603)의 대안적인 배열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들에서, 마우스피스 부분들에는, 에어로졸 스트림들에 상이한 특성들, 구체적으로는 상이한 밀도들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마우스피스 채널들의 변형된 단부가 제공된다.
도 8a는 제어 부분(2)에 끼워맞춤/결합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마우스피스 부분(503)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8a는 좌측 상에 마우스피스 부분(503)을 단면도로 도시하고, 도 8a의 우측 상에는 마우스피스 부분(503)의 종축을 따르는 방향에서 본 마우스피스 부분(503)이 도시되어 있다. 마우스피스 부분(503)은 마우스피스 부분(3)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마우스피스 채널들(533a 및 533b)에는 마우스피스 부분(503)의 최상부 단부를 향해 마우스피스 채널(533)의 확대 또는 축소를 제공하는 단부 섹션들(543)이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우스피스 채널(533a)은 마우스피스 채널(533a)의 직경이 하류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단부 섹션(534a)을 포함한다. 이것은 비교적 큰 직경의 마우스피스 개구(531a)를 초래한다. 카토마이저(4a)로부터 발생된 에어로졸이 사용자의 퍼핑 작용(puffing action)에 의해 마우스피스 채널(533a)을 따라 흡입될 때, 에어로졸이 에어로졸의 단부 섹션(534a)을 통해 이동함에 따라 에어로졸의 밀도가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이것은 마우스피스 개구(531a)로부터 배출되는 에어로졸이, 예를 들어 마우스피스 개구(31a)로부터 배출되는 에어로졸에 비하여 비교적 확산되게 한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에어로졸이 디바이스(1)를 빠져나가는 지점을 향해 직경(또는 폭/두께)이 증가하는 단부 섹션을 포함하는 마우스피스 채널은 보다 확산된 에어로졸 스트림을 제공한다.
반대로, 마우스피스 채널(533b)은 마우스피스 채널(533b)의 직경이 하류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단부 섹션(534b)을 포함한다. 이것은 비교적 작은 직경의 마우스피스 개구(531b)를 초래한다. 카토마이저(4b)로부터 발생된 에어로졸이 사용자의 퍼핑 작용에 의해 마우스피스 채널(533b)을 따라 흡입될 때, 에어로졸이 에어로졸의 단부 섹션(534b)을 통해 이동함에 따라 에어로졸의 밀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마우스피스 개구(31b)로부터 배출되는 에어로졸에 비하여, 에어로졸의 보다 농축된 제트(more concentrated jet)가 마우스피스 개구(531b)로부터 배출되게 한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에어로졸이 디바이스(1)를 빠져나가는 지점을 향해 직경(또는 폭/두께)이 감소하는 단부 섹션을 포함하는 마우스피스 채널은 보다 제트형(more jet-like)의 농축된 에어로졸 스트림(또는 덜 확산된 에어로졸 스트림)을 제공한다.
도 8a는 마우스피스 부분의 최상부 단부 아래(즉, 최상부면 아래)에 위치된 각각의 마우스피스 채널(533)의 단부 섹션들(534)을 도시하지만, 마우스피스 채널들 및 따라서 단부 섹션은 마우스피스 부분의 최상부 단부를 넘어서 연장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8b는 도 7c에 도시된 마우스피스 부분(303)의 변형된 버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8a는 좌측 상에 마우스피스 부분(603)을 단면도로 도시하고, 우측 상에는 마우스피스 부분(603)의 종축을 따르는 방향에서 본 마우스피스 부분(603)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에서, 마우스피스 채널(333b)에는, 마우스피스 채널(333b)의 단부로부터 연장/돌출되는 단부 부분(634b)이 추가로 제공된다. 단부 섹션(634b)은 마우스피스 채널(333b)의 단부에 끼워맞춰진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거나, 단부 섹션(634b)은 마우스피스 채널(333b)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본질적으로 마우스피스 채널(333b)로의 연장부를 제공함). 단부 섹션(634b)에는 하류 방향으로 직경이 좁아지는 벽들이 제공되며, 그래서 단부 섹션으로부터 배출되는 에어로졸은 보다 제트형이다(즉, 보다 높은 소스 액체 입자 밀도를 가짐).
상기 예들은 마우스피스 채널의 단부 섹션들이 해당 마우스피스 채널로부터 배출되는 에어로졸에 상이한 특성들을 부여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는 방식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단지 단부 섹션과는 달리, 마우스피스 채널 전체가 에어로졸에 상이한 특성들을 부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8a의 채널(533b)은 대안적으로 제트형 에어로졸 스트림을 제공하기 위해 리셉터클(32b)에 대한 연결부로부터 개구(531b)까지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마우스피스 채널들에는 채널을 빠져나가는 에어로졸의 특성들을 조정하기 위한 추가 구성요소들(예를 들어, 배플 플레이트(baffle plate))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예들은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입에서 혼합되고, 일부 경우들에서 입의 상이한 영역들을 타깃으로 하는 상이한 에어로졸 스트림을 제공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일부 구현예에서, 상이한 에어로졸 스트림들이 사용자의 호흡기 시스템의 완전히 다른 영역들을 타깃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카토마이저(4a)에 의해 발생된 에어로졸은 사용자 입의 구강에 침착되는 것을 타깃으로 할 수 있는 반면(구강 내의 확산된 구름형 에어로졸을 제공하도록 형상화된 채널(533a)과 같은 마우스피스 채널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음), 카토마이저(4b)로부터 발생된 에어로졸은 사용자의 호흡기 시스템의 폐에 침착되는 것을 타깃으로 할 수 있다(분산이 비교적 적은 상태로 사용자의 호흡기 시스템 내로 대체로 보다 깊게 이동하는 에어로졸의 제트형 스트림을 제공하도록 형상화된 채널(533b)과 같은 마우스피스 채널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음). 그러한 배열은, 예를 들어 가향된 에어로졸을 사용자의 입에 전달하고 니코틴 보유 에어로졸을 사용자의 폐에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및/또는 추가적으로, 시스템은 상이한 입자 크기 분포들을 갖는 다수의 에어로졸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용어 에어로졸 발생 구성요소는 일반적으로 카토마이저(4)에 의해 전체에 걸쳐 예시되며, 여기서 카토마이저는 소스 액체(또는 보다 일반적으로는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 및 무화 유닛 둘 모두를 포함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용어 에어로졸 발생 구성요소는 디바이스(1) 내에 존재할 때 에어로졸의 발생을 허용하는 구성요소들을 지칭한다.
상기에서는, 예를 들어, 제어 부분(2)이 복수의 카토마이저들(4)을 수용하고, 여기서 카토마이저들(4)이 액체 저장소(41), 및 위킹 요소(42) 및 가열 요소(43)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에서 설명된 무화 유닛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카토마이저는 본원에서 무화 유닛을 포함하는 카트리지인 것으로 간주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무화 유닛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의 제어 부분(2)에 대안적으로 제공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카토마이저들이 디바이스(1)의 리셉터클들(24) 내로 삽입되는 대신에, 카트리지들(무화 유닛을 포함하지 않음)이 디바이스의 리셉터클들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카트리지들은 설치된 무화 유닛의 유형에 따라 적합한 방식으로 무화 유닛과 정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화 유닛이 위킹 요소 및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경우, 위킹 요소는 카트리지 내에 보유된 소스 액체와 유체 연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부분(2)이 카트리지를 수용하도록 배열되는 구현예들에서, 카트리지는 에어로졸 발생 구성요소인 것으로 간주된다.
상기에서는, 상기 카토마이저들/카트리지들이 증기/에어로졸 전구체로서 작용하는 소스 액체를 보유하는 액체 저장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또한 설명되었다. 그러나, 다른 구현예들에서, 카토마이저들/카트리지들은 담배 잎들, 분쇄 담배(ground tobacco), 재생 담배(reconstituted tobacco), 겔들(gels) 등과 같은 다른 형태들의 증기/에어로졸 전구체를 보유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들/카토마이저들과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들의 임의의 조합이 전술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카토마이저(4a)는 액체 저장소(41) 및 소스 액체를 포함할 수 있는 한편, 카토마이저(4b)는 재생 담배 및 재생 담배와 접촉하는 관형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가열 요소(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무화 유닛), 예를 들어 심지와 코일(wick and coil), 오븐형 히터(oven-type heater), LED형 히터, 진동기(vibrator) 등이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라 선택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1)가 에어로졸 발생 구성요소들, 예를 들어 2 개의 카토마이저들(4)을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개시의 원리들은 2 개 초과의 에어로졸 발생 구성요소들, 예를 들어 3 개, 4 개 등의 카토마이저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특정 양태에 따른 다른 구현예들에서, 에어로졸 발생 영역들, 즉 리셉터클들(24)은 대신에 액체 소정량의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 예를 들어 소정량의 소스를 직접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즉, 에어로졸 발생 영역들은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를 수용 및/또는 보유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에어로졸 발생 구성요소는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인 것으로 간주된다. 이들 구현예들에서, 무화 유닛은 리셉터클(24) 내의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와 연통할 수 있도록 제어 부분(2)에 제공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영역들, 예를 들어 리셉터클들(24)은 액체 저장소들(41)로서 작용하도록 구성되고, 소스 액체(에어로졸 발생 구성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킹 재료 및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무화 유닛이 리셉터클(24) 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제공되며, 그에 따라 액체는 가열 요소로 이송되고 전술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증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구현예들에서, 사용자는 대응하는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 리셉터클들을 재충전(또는 재보충)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들은 소스 액체 내에 침지된 와딩(wadding) 또는 유사한 재료를 수용할 수 있고, 와딩은 무화 유닛에 접촉하여/근접하여 배치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에서는, 마우스피스 부분(3)이 제어 부분(2)과 별도의 구성요소인 것으로 또한 설명되었다. 일부 경우들에서, 상이한 형상의 마우스피스 채널들(33)을 갖는 복수의 마우스피스 부분들(3)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는 마우스피스 부분들(3, 103, 203 등)이 공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에어로졸들의 혼합(및 보다 일반적으로는 사용자 경험)을 변경시키기 위해 어떤 마우스피스 부분들(3, 103, 203)이 제어 부분(2)에 결합될지를 교환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구현예들에서, 마우스피스 부분(3)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힌지(hinge) 또는 테더(tether)를 통해 제어 부분(2)에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에어로졸 발생 구성요소를 각각 보유하는 복수의 개별 에어로졸 발생 영역들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흡입될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가 설명되어 있으며,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사용 동안에 발생된 에어로졸을 흡입하는 마우스피스; 제1 에어로졸 발생 영역을 통과하도록 배열되고 마우스피스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제1 유동 경로; 및 제2 에어로졸 발생 영역을 통과하도록 배열되고 마우스피스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제2 유동 경로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유동 경로들 각각에는, 디바이스 내의 각각의 에어로졸 발생 영역에서의 에어로졸 발생 구성요소의 존재 및/또는 디바이스 내의 각각의 에어로졸 발생 구성요소와 연관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각각의 유동 경로들을 통한 공기의 유동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된 유동 제한 부재가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 흡입을 위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가 설명되어 있으며,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제1 에어로졸 발생 영역 및 제2 에어로졸 발생 영역; 사용자가 사용 동안에 발생된 에어로졸을 흡입하는 마우스피스―마우스피스는 제1 및 제2 마우스피스 개구들을 포함함―; 제1 에어로졸 발생 영역 내의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발생된 제1 에어로졸을 이송하기 위해 제1 에어로졸 발생 영역으로부터 제1 마우스피스 개구까지 연장되는 제1 경로; 및 제2 에어로졸 발생 영역 내의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발생된 제2 에어로졸을 이송하기 위해 제2 에어로졸 발생 영역 챔버로부터 제2 마우스피스 개구까지 연장되는 제2 경로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 경로들은 제1 및 제2 에어로졸들이 각각의 경로들을 따라 이송될 때 제1 및 제2 에어로졸들의 혼합을 방지하도록 서로 물리적으로 격리되어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를 수용하도록 각각 구성된 복수의 에어로졸 발생 영역들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가 설명되어 있으며,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제1 에어로졸 발생 영역에 존재하는 제1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제1 무화 요소 및 제2 에어로졸 발생 영역에 존재하는 제2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제2 무화 요소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 및 제1 및 제2 에어로졸 발생 영역들에 각각 존재하는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무화 요소들 사이에 전력을 분배하도록 구성된 전력 분배 회로를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일부 측면들에서 일부의 특정 예시적인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동일한 원리들이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들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다시 말해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의 다양한 양태들이 기능하는 특정 방식은 본원에 설명된 예들의 기본적인 원리들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는다.
다양한 쟁점들을 해결하고 당해 기술을 진전시키기 위하여, 본 개시는, 청구된 발명(들)이 실시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예시로서 보여준다. 본 개시의 장점들 및 특징들은 실시예들의 대표적인 샘플에 불과하고, 여기에만 국한되거나 그리고/또는 배타적인 것은 아니다. 이러한 장점들 및 특징들은 청구된 발명(들)을 이해하는 것을 돕기 위해 그리고 교시하기 위해 단지 제시된다. 본 개시의 장점들, 실시예들, 예들, 기능들, 특징들, 구조들, 및/또는 다른 양태들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개시에 대한 제한들로서, 또는 청구항들의 균등물들에 대한 제한들로서 고려되지 않아야 하고,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들이 활용될 수 있고, 변형들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원에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들 이외의, 개시된 요소들, 구성요소들, 특징들, 부분들, 단계들, 수단들 등의 다양한 조합들을 적절하게 포함할 수 있거나, 이들로 구성될 수 있거나, 이들을 필수 구성으로 포함(consist essentially of)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종속 청구항들의 특징들이 독립 청구항들의 특징들과 청구항들에 명시적으로 기재된 것들 이외의 조합들로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는 현재 청구되지 않지만 추후에 청구될 수 있는 다른 발명들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8)

  1. 사용자 흡입을 위한 에어로졸(aerosol)을 발생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aerosol provision device)로서,
    상기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aerosol precursor material)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제1 에어로졸 발생 영역 및 제2 에어로졸 발생 영역;
    사용자가 사용 동안에 발생된 에어로졸을 흡입하는 마우스피스(mouthpiece)―상기 마우스피스는 제1 및 제2 마우스피스 개구들을 포함함―;
    상기 제1 에어로졸 발생 영역 내의 상기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발생된 제1 에어로졸을 이송하기 위해 상기 제1 에어로졸 발생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마우스피스 개구까지 연장되는 제1 경로; 및
    상기 제2 에어로졸 발생 영역 내의 상기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발생된 제2 에어로졸을 이송하기 위해 상기 제2 에어로졸 발생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마우스피스 개구까지 연장되는 제2 경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경로들은 상기 제1 및 제2 에어로졸들이 각각의 경로들을 따라 이송될 때 상기 제1 및 제2 에어로졸들의 혼합을 방지하도록 서로 물리적으로 격리되어 있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정상 사용 시에, 상기 제1 및 제2 에어로졸들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마우스피스 개구들을 통과한 후에 혼합되도록 허용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마우스피스 및 상기 디바이스의 반대 측부를 통과하는 중심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경로들 중 적어도 하나는 에어로졸을 상기 중심축을 향해 지향시키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마우스피스 및 상기 디바이스의 반대 측부를 통과하는 중심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경로들 중 적어도 하나는 에어로졸을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멀리 지향시키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5.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각각의 마우스피스 개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경로의 단부가 상기 중심축에 대해 비스듬하게 제공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경로들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의 경로를 빠져나가는 에어로졸의 밀도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로는 상기 에어로졸의 밀도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로는 상기 에어로졸의 밀도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9. 제7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경로를 따라 에어로졸의 이동 방향으로 변하는 단면을 갖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마우스피스 개구들은 동심으로 배열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11.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마우스피스 개구들은 특정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특정 거리는, 사용자가 상기 제1 및 제2 마우스피스 개구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흡입할 수 있게 할 정도로 충분히 크고, 사용자가 상기 제1 및 제2 마우스피스 개구들 둘 모두를 통해 동시에 흡입할 수 있게 할 정도로 충분히 작은,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12. 제1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는 추가 마우스피스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경로들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의 에어로졸 발생 영역과 상기 추가 마우스피스 개구 사이에서 연장되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13. 제1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공기 입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경로들과 유체 연통하는 공기 채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경로들은 상기 제1 및 제2 에어로졸들이 정상 사용 동안에 발생되는 위치들의 하류에서 서로 물리적으로 격리되어 있는,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14. 사용자 흡입을 위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aerosol provision system)으로서,
    상기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은,
    제1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의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및
    제1 및 제2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는 상기 제1 에어로졸 발생 영역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는 상기 제2 에어로졸 발생 영역에 위치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는 제1 카트리지(cartridge) 내에 수납되고, 상기 제2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는 제2 카트리지 내에 수납되며, 상기 제1 및 제2 에어로졸 발생 영역들은 각각 제1 및 제2 카트리지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16. 사용자 흡입을 위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 부분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마우스피스 부분(mouthpiece part)으로서,
    상기 제어 부분은 제1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에어로졸 발생 영역, 및 제2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에어로졸 발생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들로부터 각각 제1 및 제2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마우스피스 부분은,
    상기 마우스피스 부분이 상기 제어 부분에 결합될 때 상기 제1 에어로졸을 수용하도록 사용자가 흡입하는 제1 마우스피스 개구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제1 채널(channel)―상기 제1 채널은 상기 마우스피스 부분을 통과함―; 및
    상기 마우스피스 부분이 상기 제어 부분에 결합될 때 상기 제2 에어로졸을 수용하도록 사용자가 흡입하는 제2 마우스피스 개구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제2 채널―상기 제2 채널은 상기 마우스피스 부분을 통과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채널 및 상기 제2 채널은, 상기 제1 및 제2 에어로졸들이 각각의 채널들을 따라 이송될 때 상기 제1 및 제2 에어로졸들의 혼합을 방지하도록 서로 물리적으로 격리되어 있는,
    사용자 흡입을 위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 부분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마우스피스 부분.
  17. 제16 항에 따른 마우스피스 부분을 복수 개 포함하는 부분들의 키트(kit)로서,
    상기 제1 및 제2 채널들 중 적어도 하나가, 에어로졸이 상기 마우스피스 개구들을 빠져나갈 때 상기 에어로졸이 상기 마우스피스 개구를 빠져나가는 방향 및/또는 상기 에어로졸의 특성들을 변경시키도록 구성된다는 점에서, 상기 복수의 마우스피스 부분들 각각은 서로 상이한,
    마우스피스 부분을 복수 개 포함하는 부분들의 키트.
  18. 사용자 흡입을 위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한, 에어로졸 제공 수단으로서,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제1 저장 수단 및 제2 저장 수단;
    사용자가 사용 동안에 발생된 에어로졸을 흡입하는 마우스피스―상기 마우스피스는 제1 및 제2 마우스피스 개구들을 포함함―;
    상기 제1 저장 수단 내의 상기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발생된 제1 에어로졸을 이송하기 위해 상기 제1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1 마우스피스 개구까지 연장되는 제1 경로; 및
    상기 제2 저장 수단 내의 상기 에어로졸 전구체 재료로부터 발생된 제2 에어로졸을 이송하기 위해 상기 제2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2 마우스피스 개구까지 연장되는 제2 경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경로들은, 상기 제1 및 제2 에어로졸들이 각각의 경로들을 따라 이송될 때 상기 제1 및 제2 에어로졸들의 혼합을 방지하도록 서로 물리적으로 격리되어 있는,
    에어로졸 제공 수단.
KR1020237007259A 2017-12-20 2018-12-19 전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KR202300361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1721447.9A GB201721447D0 (en) 2017-12-20 2017-12-20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
GB1721447.9 2017-12-20
KR1020207017503A KR20200090831A (ko) 2017-12-20 2018-12-19 전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PCT/GB2018/053694 WO2019122878A1 (en) 2017-12-20 2018-12-19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7503A Division KR20200090831A (ko) 2017-12-20 2018-12-19 전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162A true KR20230036162A (ko) 2023-03-14

Family

ID=6100896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7503A KR20200090831A (ko) 2017-12-20 2018-12-19 전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KR1020237007259A KR20230036162A (ko) 2017-12-20 2018-12-19 전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7503A KR20200090831A (ko) 2017-12-20 2018-12-19 전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20210022400A1 (ko)
EP (1) EP3727061A1 (ko)
JP (1) JP7067847B2 (ko)
KR (2) KR20200090831A (ko)
CN (1) CN111669980B (ko)
AU (1) AU2018390121B2 (ko)
BR (1) BR112020012660A2 (ko)
CA (1) CA3085802C (ko)
GB (1) GB201721447D0 (ko)
IL (1) IL275465B2 (ko)
MX (1) MX2020006449A (ko)
NZ (1) NZ764858A (ko)
RU (1) RU2745184C1 (ko)
UA (1) UA127989C2 (ko)
WO (1) WO2019122878A1 (ko)
ZA (1) ZA2020030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92530B2 (en) * 2016-11-15 2019-12-03 Rai Strategic Holdings, Inc. Two-wire authentication system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WO2018166898A1 (en) 2017-03-16 2018-09-20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aerosol-generating system
GB201721477D0 (en) 2017-12-20 2018-01-31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
GB201721470D0 (en) 2017-12-20 2018-01-31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
KR102427856B1 (ko) * 2020-04-13 2022-08-0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2553828B1 (ko) * 2020-07-13 2023-07-10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114098163A (zh) * 2020-08-31 2022-03-01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雾化装置
US11730205B2 (en) 2020-10-20 2023-08-22 Dr. Dabber Inc. Quick connect adapter and electronic vaporizer having a ceramic heating element having a quick connect adapter
JP2023549107A (ja) * 2020-11-05 2023-11-22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開口部を備える可撓性膜を有するエアロゾル発生装置
GB202018721D0 (en) * 2020-11-27 2021-01-13 Nicoventures Trading Ltd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
KR102593730B1 (ko) * 2021-04-02 2023-10-2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멀티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GB202107723D0 (en) * 2021-05-28 2021-07-14 Nicoventures Trading Ltd Aerosol provision device
GB202107703D0 (en) * 2021-05-28 2021-07-14 Nicoventures Holdings Ltd Aerosol provision device
GB202212988D0 (en) * 2022-09-06 2022-10-19 Nicoventures Trading Ltd Aerosol provis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2048A (en) * 1989-12-12 1991-03-26 Makiej Jr Walter J Inhalation device utilizing two or more aerosol containers
JPH03105299U (ko) * 1990-02-14 1991-10-31
US5492112A (en) * 1991-05-20 1996-02-20 Dura Pharmaceuticals, Inc. Dry powder inhaler
US5437267A (en) * 1993-08-03 1995-08-01 Weinstein; Allan Device for delivering aerosol to the nasal membranes and method of use
US7305986B1 (en) * 1999-07-23 2007-12-11 Mannkind Corporation Unit dose capsules for use in a dry powder inhaler
US6779520B2 (en) * 2001-10-30 2004-08-24 Iep Pharmaceutical Devices Inc. Breath actuated dry powder inhaler
CA2546454A1 (en) * 2003-11-18 2005-06-02 Yansong Shan Healthy pleasurable inhalation device
MX2007004106A (es) * 2004-10-06 2007-06-14 Boehringer Ingelheim Int Dispositivo dispensador, dispositivo de almacenamiento y metodo para dispensar polvo.
RU2618084C2 (ru) * 2011-05-09 2017-05-02 Импел Ньюрофарма Инк. Наконечники для назальной доставки лекарственных средств
US9282772B2 (en) * 2012-01-31 2016-03-15 Altria Client Services Llc Electronic vaping device
CA2869712C (en) * 2012-04-18 2017-08-08 Fontem Holdings 1 B.V. Electronic cigarette
GB2502055A (en) * 2012-05-14 2013-11-20 Nicoventures Holdings Ltd Modular electronic smoking device
US9308336B2 (en) * 2012-09-19 2016-04-12 Kyle D. Newton Refill diverter for electronic cigarette
US9877511B2 (en) * 2013-07-24 2018-01-30 Altria Client Services Llc Electronic smoking article
ES2849049T3 (es) * 2013-12-23 2021-08-13 Juul Labs Int Inc Sistemas de dispositivo de vaporización
GB2524779A (en) * 2014-04-02 2015-10-07 Cigtronica Ltd Inhalation device
EP3864979A1 (en) * 2014-07-24 2021-08-18 Altria Client Services LLC Method of producing a vapor from an electronic vaping device
CN204146323U (zh) * 2014-08-11 2015-02-11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电子烟
EP3200634A4 (en) * 2014-10-03 2018-06-06 Altria Client Services LLC Electronic vap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0251426B2 (en) * 2014-10-03 2019-04-09 Fertin Pharma A/S Electronic nicotine delivery system
US9814271B2 (en) * 2015-01-13 2017-11-14 Haiden Goggin Multiple chamber vaporizer
US10178879B2 (en) * 2015-01-29 2019-01-15 Lawrence F Glaser e-Cigarettes, e-Cigars, Vape-device public safety and protection mechanisms
CN205947119U (zh) * 2016-06-03 2017-02-15 湖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电子烟雾化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0012660A2 (pt) 2020-12-01
CA3085802A1 (en) 2019-06-27
JP2021508239A (ja) 2021-03-04
ZA202003001B (en) 2023-10-25
KR20200090831A (ko) 2020-07-29
EP3727061A1 (en) 2020-10-28
WO2019122878A1 (en) 2019-06-27
CN111669980B (zh) 2024-04-30
UA127989C2 (uk) 2024-03-06
CN111669980A (zh) 2020-09-15
RU2745184C1 (ru) 2021-03-22
CA3085802C (en) 2022-10-18
NZ764858A (en) 2022-08-26
IL275465B2 (en) 2023-12-01
IL275465A (en) 2020-08-31
GB201721447D0 (en) 2018-01-31
AU2018390121B2 (en) 2021-04-01
JP7067847B2 (ja) 2022-05-16
AU2018390121A1 (en) 2020-06-18
IL275465B1 (en) 2023-08-01
US20210022400A1 (en) 2021-01-28
MX2020006449A (es) 202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0472B1 (ko) 전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KR20230036162A (ko) 전자 에어로졸 제공 시스템
CA3085804C (en)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 with a plurality of aerosol generating areas
JP2022519511A (ja) 蒸気供給システム
JP2023550957A (ja) 電子的エアロゾル供給システム
NZ793259A (en)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