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5904A -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 - Google Patents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5904A
KR20230035904A KR1020210118474A KR20210118474A KR20230035904A KR 20230035904 A KR20230035904 A KR 20230035904A KR 1020210118474 A KR1020210118474 A KR 1020210118474A KR 20210118474 A KR20210118474 A KR 20210118474A KR 20230035904 A KR20230035904 A KR 20230035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s
cement block
microfiber
cement
cohe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8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5085B1 (ko
Inventor
김석환
Original Assignee
김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환 filed Critical 김석환
Priority to KR1020210118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085B1/ko
Publication of KR20230035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5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48Fibrous materials
    • C04B20/006Microfibres; Nano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38Fibrous materials; Whiskers
    • C04B14/42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34Non-shrinking or non-cracking materials
    • C04B2111/343Crack resistant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멘트 블록의 몸체를 형성하며, 복수 개의 입자를 포함하는 메인 블록 유닛; 및 복수 개의 입자들 사이에 부분 함침되어 메인 블록 유닛 내에 임의의 포지션으로 복수 개로 제공되는 바인딩 유닛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Cement block for enhancing cohesion of particle by selectively adjusting density of fiber slice}
본 발명은 시멘트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시멘트 블록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입자와 복수 개의 입자를 바인딩하여 선택적 인력을 형성하여 복수 개의 응집력을 증진시키도록 하는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에 관한 기술 분야이다.
국내 건설시장의 경우, 2020년 이후 선진국형 시장으로 전환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1인당 GDP가 3만 달러 이상되는 OECD 국가들의 GDP 대비 건설투자 비중은 대체적으로 11% 수준에서 형성되고 있다.
국내 건축 및 건설 시장은 2020년 이후 주택 리모델링, 도심재생, SOC 시설물의 유지보수/재건축 등과 관련된 유지 보수 시장 위주로 재편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내 신규 주택수요의 축소와 더불어 질적으로 신규 주택 공급 시장에 변화가 예상되며, 국내 주택보급률이 향상됨에 따라 향후 대규모 택지개발에 의한 주택 공급은 사라지고, 고객의 수요에 맞춘 고객 맞춤형 소량 공급의 시대가 본격적으로 전개되기 시작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기업들은 고객을 대상으로 다양한 기준을 기초로 세분화된 고객 집단별 니즈 분석을 통하여 맞춤형 소량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주택 사업 운영 프로세스 변화, 마케팅, 디자인 등의 역량을 강화할 것으로 보여진다.
건설자재의 범위와 유형은 크게 건출물의 뼈대를 이루는 구조재와 뼈대를 치장하는 마감재 시장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그 중 구조재는 건물의 하중을 감당하고, 건축물의 성능과 안전을 좌우하는 중요한 구성 요소에 해당하는 것으로 내강성, 비축성, 불연성, 내열성 등이 우수해야 하며 품질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야 한다.
다양한 고객의 니즈에 앞서 건축 시장에서의 구조물은 성능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야 하며, 다양한 질적 변화는 물론, 저비용의 효율적인 건축 자재의 개발이 대두되고 있다.
고객의 니즈와 더불어 효율적이고 안전한 건축 자재 개발을 위한 기술적인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선행 특허문헌 "유리미분말이 혼입된 초고성능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등록번호 제10-1207038호,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 1의 경우, 유리미분말을 혼입하여 섬유와 시멘트 복합체의 마찰력을 증진시켜 부착성능을 증진시킨 유리미분말이 혼입된 초고성능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의 경우, 유리미분말이 혼입된 초고성능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 제조방법은, 시멘트 100 중량부에 대해 모래 100 내지 130 중량부, 반응성 분체 10 내지 30 중량부, 증점제 0.05 내지 1중량부 및 유리미분말 15 내지 90 중량부를 포함하는 모르타르를 제조하는 단계; 물 90중량% 내지 99.5중량%와 감수제 0.5중량%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배합수를 제조하는 단계; 모르타르에 대한 배합수의 중량비가 0.25이하인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혼합물 100체적%에 대해 1체적% 내지 5체적%의 강섬유를 혼합물과 혼입한 후 양생를 포함하되, 유리미분말의 크기는 5.0~100㎛으로 한다.
아울러, "초고성능 섬유보강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등록번호 제10-1751479호, 이하 특허문헌 2라 한다.)"도 존재한다.
특허문헌 2의 경우, 초고성능 섬유보강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시멘트, 지르코늄 함유 실리카질 미분말, 잔골재, 충전재, 수축저감제, 고성능 감수제, 배합수, 매크로 강섬유, 마이크로 강섬유, 및 소포제를 혼합하여 형성된 시멘트 복합체에서 실리카질 미분말의 비표면적의 범위는 80,000cm2/g 이상 150,000cm2/g 이하이고, 강섬유의 형상계수는 60 이상 100 이하가 되도록 혼합하고, 미세균열을 유도하기 위한 균열유도체를 전체 체적의 0.5 ~ 2%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다.
또한 선행 특허문헌으로서, "슬립과 균열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텍스타일 보강 시멘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등록번호 제10-2286554호, 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한다.)"도 존재한다.
특허문헌 3의 경우, 시멘트 복합체 내에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가 매립되는 텍스타일 보강 시멘트 복합체 제조시, 각형 충전재를 혼합함으로써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와 시멘트 복합체 간의 슬립을 억제하고, 시멘트 복합체의 균열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유기섬유를 혼입함으로써 섬유의 가교작용으로 시멘트 복합체의 균열 발생을 억제하고 미세균열 분포를 유도할 수 있으며, 또한, 구형 결합재 및 화학혼화제를 첨가하여 각형 충전재 혼합에 따른 시멘트 복합체의 유동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일정 입경을 갖는 미분말 결합재를 혼합하여 텍스타일 그리드 보강재와 시멘트 복합체 간의 슬립을 억제할 수 있는, 슬립과 균열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텍스타일 보강 시멘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종래의 기술적 문헌들은 대부분 시멘트 블록의 균열을 방지하고 블록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연구 개발만이 진행되어 왔는데, 적층 구조적인 부분에서의 접근이 부족하며, 충전재 혹은 보강재 등에 대한 접근만으로는 목적하는 블록의 내구성에 대한 기술적인 분석과 이에 대한 원리 분석적인 내용이 담기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등록번호 제10-1207038호 등록번호 제10-1751479호 등록번호 제10-2286554호
본 발명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시멘트 블록 상에 인가되는 외력으로부터 형성되는 크랙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시멘트 블록 상에 인가되는 외력이 제거되면 시멘트 블록의 입자들이 본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외부의 충격이나 외력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대응함으로 크랙 발생 또는 일부 탈락 등과 같은 구조적인 약화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은 시멘트 블록의 몸체를 형성하며, 복수 개의 입자를 포함하는 메인 블록 유닛; 및 상기 복수 개의 입자들 사이에 부분 함침되어 상기 메인 블록 유닛 내에 임의의 포지션으로 복수 개로 제공되는 바인딩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의 상기 바인딩 유닛은, 상기 시멘트 블록 내에 복수 개의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의 상기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는, 상기 복수 개의 입자의 결정화로부터 상기 메인 블록 내 픽싱 포지션이 임의 설정되고, 상기 픽싱 포지션에 따라 선택적인 인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의 상기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는, 상기 시멘트 블록 내 상기 픽싱 포지션에 따라 각각이 개별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입자와 결합하고, 상기 복수 개의 입자를 상호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의 상기 바인딩 유닛은, 상기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의 상기 픽싱 포지션과 상기 복수 개의 입자와의 접합을 통하여 상기 메인 블록 유닛의 상기 복수 개의 입자의 응집력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의 상기 바인딩 유닛은, 상기 시멘트 블록 상에 소정의 외력이 발생되어 상기 시멘트 블록에 크랙(crack)이 형성되면, 상기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가 상기 크랙(crack)의 발생을 상쇄시키는 방향으로 상호 인력을 제한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의 상기 바인딩 유닛은, 상기 픽싱 포지션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외력이 발생되어 상기 크랙이 형성되면, 상기 크랙의 발생 지점에 제공된 복수 개의 상기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의 상호 간의 인력이 상기 크랙의 발생 방향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의 상기 바인딩 유닛은, 상기 픽싱 포지션과 동등한 방향으로 상기 크랙이 발생되면, 상기 크랙 발생 지점 인근에 제공된 복수 개의 상기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의 상호 간의 인력이 상기 크랙 발생의 인근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의 상기 메인 블록 유닛은, 상기 시멘트 블록 상에 발생된 소정의 외력이 제거되면, 복수 개의 상기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의 상호 인력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입자가 일정한 위치로 회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의 상기 시멘트 블록은, 소정의 구획 영역을 지정하고, 상기 복수 개의 입자와 상기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의 비율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소정의 구획 영역에 따라 상기 상호 인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의 상기 시멘트 블록은, 상기 소정의 구획 영역에 내 상기 복수 개의 입자 대비 상기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의 밀도를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선택적으로 변이시켜 상기 상호 인력이 상기 소정의 구획 영역 내에서 점진적으로 분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선택적으로 인력을 형성하도록 하는 슬라이스 입자의 함입을 통하여 크랙을 상쇄시키는 방향으로 인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시멘트 블록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인력을 형성하는 슬라이스 입자를 획일화된 밀도로 적용하지 않고, 선택적으로 밀도가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구간별 선택적 밀도를 조절하여 외력에 대한 내구성과 충격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시멘트 블록의 크랙 발생과 크랙 진행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의 시멘트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 중 외력 제거 후 크랙의 진행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 중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와 입자가 제공된 시멘트 블록의 부분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 중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가 크랙 발생을 상쇄시키는 방향으로 인력이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 중 크랙 발생 인근에 제공된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가 크랙 방향으로 인력을 제공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 중 복수 개의 입자와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의 비율이 선택적으로 조절되어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 중 소정의 구획 영역에 따라 복수 개의 입자와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의 비율이 선택적으로 제공된 것을 도시한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 중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 간의 상호 인력에 대하여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 중 소정의 구획 영역 내에 복수 개의 입자 대비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의 밀도를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선택적으로 변이시켜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 중 교차적으로 소정의 구획 영역이 배치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시멘트 블록의 크랙 발생과 크랙 진행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의 시멘트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 중 외력 제거 후 크랙의 진행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 중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와 입자가 제공된 시멘트 블록의 부분 확대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 중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가 크랙 발생을 상쇄시키는 방향으로 인력이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 중 크랙 발생 인근에 제공된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가 크랙 방향으로 인력을 제공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 중 복수 개의 입자와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의 비율이 선택적으로 조절되어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 중 소정의 구획 영역에 따라 복수 개의 입자와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의 비율이 선택적으로 제공된 것을 도시한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 중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 간의 상호 인력에 대하여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 중 소정의 구획 영역 내에 복수 개의 입자 대비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의 밀도를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선택적으로 변이시켜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 중 교차적으로 소정의 구획 영역이 배치되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종래의 시멘트 블록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이 발생하여 크랙(crack)이 형성되는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크랙은 시멘트 블록 내부로 점진적으로 발전되며, 결과적으로 시간 경과에 따라 크랙으로 인한 시멘트 블록의 갈라짐, 조각남으로 발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력에 의한 크랙 발생을 상쇄시키는 방향으로의 인력을 형성함을 통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랙이 시멘트 블록(10) 내부로 발전되지 않도록 하며, 외력이 제거되면, 입자(1)의 회귀를 통하여 시멘트 블록(10)의 갈라짐, 조각남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블록 유닛(main block unit, 100), 바인딩 유닛(binding unit, 2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메인 블록 유닛(100)의 경우, 시멘트 블록(cement block, 10)의 몸체를 형성하며, 복수 개의 입자(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멘트 블록(10)은 시멘트로 형성되어 일정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는 블록으로 형성된 것이다.
메인 블록 유닛(100)은 복수 개의 입자(1)들의 집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입자(1)의 경우, 시멘트(cement)를 이루는 규산삼칼슘(3CaO·SiO2), 규산이칼슘(2CaO·SiO2)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석회(CaO), 실리카(SiO2), 알루미나(AI2O3) 등의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바인딩 유닛(200)의 경우, 복수 개의 입자(1)들 사이에 부분 함침되어 메인 블록 유닛(100) 내에 임의의 포지션으로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바인딩 유닛(200)은 복수 개로 제공되는 것으로 메인 블록 유닛(100)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입자(1)와 함께 시멘트 블록(10)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며, 복수 개의 입자(1)와 소정의 비율로 제공될 수 있다.
소정의 비율의 경우, 복수 개의 입자(1)가 바인딩되고자 하는 정도 또는 시멘트 블록(10) 내에서 복수 개의 입자(1)와의 비율을 통하여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의 비율의 경우,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서는 이후 바인딩 유닛(200)의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의 바인딩 유닛(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멘트 블록(10) 내에 복수 개의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로 제공될 수 있다.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는 파이버글라스(Fiberglass)의 한 종류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산화규소(SiO2)로 구성된 물질을 가늘게 형성한 것에 해당할 수 있다.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는 일정한 길이의 슬라이스 조각으로 제공되는데, 일정한 길이의 경우,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의 길이가 3mm로 제공될 수 있으나, 6mm, 10mm 등의 길이로 제공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가 제공되는 길이는 동일하거나 동등하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미세한 섬유와 같이, 마이크로 반경을 가지는 조각들의 집합체 혹은 마이크로 반경을 가지는 하나의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로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의 경우, 조각난 표면에 각을 형성할 수 있으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부분과 짧게 형성되는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의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는, 복수 개의 입자(1)의 결정화로부터 메인 블록 내 픽싱 포지션이 임의 설정되고, 픽싱 포지션에 따라 선택적인 인력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입자(1)의 경우, 물과의 반응을 통하여 결정화될 수 있는데, 복수 개의 입자(1) 사이에 제공되는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와 함께 복수 개의 입자(1)는 시멘트 블록(10)으로 결정화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결정화를 통하여 복수 개의 입자(1)는 단단한 형태의 시멘트 블록(10)으로 굳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입자(1)가 시멘트 블록(10)으로 굳어지는 경우,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의 위치도 고정되어질 수 있는데, 이때, 시멘트 블록(10) 내에서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가 고정된 위치를 픽싱 포지션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복수 개의 입자(1)와 함께 믹싱된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는 임의로 위치가 설정되며, 복수 개의 입자(1)의 결정화 시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가 위치한 곳에 복수 개의 입자(1)와 함께 시멘트 블록(10)으로 결정화 되는 것이다. 이때,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는 결정화를 통하여 위치가 픽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픽싱 포지션에 위치한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 간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선택적인 인력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는 제한적인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의 유연성을 통하여 복수 개의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 간의 상호 작용이 다각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의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는, 시멘트 블록(10) 내 픽싱 포지션에 따라 각각이 개별적으로 복수 개의 입자(1)와 결합하고, 복수 개의 입자(1)를 상호 접합할 수 있다.
픽싱 포지션에 제공된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의 경우, 픽싱 포지션에 제공되는 복수 개의 입자(1)와 결합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와 결합된 복수 개의 입자(1)는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를 통하여 상호 접합될 수 있다.
예컨대,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는 복수 개의 입자(1)를 그 표면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입자(1)를 결합시킨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로 인하여 복수 개의 입자(1)는 상호 접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가 픽싱 포지션의 위치에 픽싱됨을 통하여 복수 개의 입자(1)들은 상호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의 바인딩 유닛(200)은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의 픽싱 포지션과 복수 개의 입자(1)와의 접합을 통하여 메인 블록 유닛(100)의 복수 개의 입자(1)의 응집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바인딩 유닛(200)의 경우,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의 픽싱 포지션과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와 복수 개의 입자(1)와의 접합을 통하여 메인 블록 유닛(100)의 복수 개의 입자의 응집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의 경우, 앞서 서술된 바와 같이, 픽싱 포지션 내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입자(1)와 결합하며, 복수 개의 입자(1)의 결합을 통하여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는 복수 개의 입자(1)의 응집력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예컨대,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가 제공되지 않고 복수 개의 입자(1)만으로 형성된 시멘트 블록(10)의 경우, 복수 개의 입자(1)는 외력에 의하여 복수 개의 입자(1) 간 간격이 벌어질 수 있으나,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가 제공되어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에 결합된 복수 개의 입자(1)는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의 복원력과 인장력을 통하여 복수 개의 입자(1)는 응집될 수 있는 것이다.
응집력은 복수 개의 입자(1)가 외부의 힘의 작용에 대하여 저항함으로 통하여 원형 그대로의 위치와 상태를 유지하려는 것으로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를 통하여 복수 개의 입자(1)의 응집력은 증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의 바인딩 유닛(200)은 시멘트 블록(10) 상에 소정의 외력이 제공되어 시멘트 블록(10)에 크랙이 발생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가 크랙의 발생을 상쇄시키는 방향으로 상호 인력을 제한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는 시멘트 블록(10) 내에서 다각적인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위치하는 다각적인 방향에 따라 상호 인력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의 경우, 제한적 범위 내에서 선택적인 복원력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의 경우, 소재에 따라 상이하지만, 인력을 형성할 수 있는 임계치에 해당하는 인장력을 가질 수 있으며, 예컨대, 일부 구간의 시멘트 블록(10)이 탈락되는 경우, 탈락된 부분에 존재하는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는 인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임계치를 벗어난 것으로 인장력이 형성되지 못하는 것이다.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는 크랙의 발생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인력을 형성하여 복수 개의 입자(1)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예컨대, 크랙이 형성된 부분에 위치한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는 크랙이 형성된 위치에서의 다각적 방향으로의 인력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와 복수 개의 입자(1) 사이에는 벡터(vector)의 합이 제로(zero)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의 바인딩 유닛(200)은, 픽싱 포지션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크랙이 발생되면, 크랙의 발생 지점에 제공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의 상호 간의 인력이 크랙의 발생 방향에 대응하여 제공될 수 있다.
바인딩 유닛(200)의 경우,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의 상호 간의 인력에 의하여 시멘트 블록(10)의 크랙 발생 방향에 대응하여 인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의 길이 방향에 따라 시멘트 블록(10)의 외력이 소실되도록 하는 것이며,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에 의하여 복수 개의 입자(1)가 가까워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의 바인딩 유닛(2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싱 포지션과 동등한 방향으로 크랙이 발생되면, 크랙 발생 지점 인근에 제공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 상호 간의 인력이 크랙 발생의 인근에 제공될 수 있다.
소정의 외력이 발생되어 형성된 크랙 방향과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의 제공 방향이 동일한 경우, 크랙 방향을 상쇄하는 방향으로의 마 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의 인력 형성이 발생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대하여, 크랙 발생으로부터 인근에 제공되는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 간의 상호간의 인력을 통하여 크랙 발생 지점에 인력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의 메인 블록 유닛(100)은, 시멘트 블록(10) 상에 소정의 외력이 제거되면, 복수 개의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의 상호 인력에 따라 복수 개의 입자(1)가 일정한 위치로 회귀하도록 할 수 있다.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의 상호 인력에 외력 제거 시 복수 개의 입자(1)는 일정한 위치로 회귀될 수 있다.
시멘트 블록 상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외력에 따라 복수 개의 입자(1)는 크랙 발생과는 무관하게 복수 개의 입자(1)가 소정의 위치만큼 멀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입자(1)는 시멘트 블록(10) 상의 복수 개의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의 상호 인력으로 인하여 복수 개의 입자(1)의 원 위치로 회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 간의 상호 인력을 형성할 수 있는데, 예컨대, 복수 개의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의 경우, 시멘트 블록(10) 내에서 X, Y, Z방향으로 다각적 제공될 수 있는데, 다각적으로 제공된 복수 개의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 간에 X, Y, Z방향으로의 인력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의 시멘트 블록(10)은, 소정의 구획 영역을 지정하고, 복수 개의 입자(1)와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의 비율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소정의 구획 영역에 따라 상호 인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시멘트 블록(10) 내에서 소정의 구획 영역(zone #n)을 지정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구획 영역(zone #n)은 복수 개의 입자(1)와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의 비율이 선택적으로 조절되어 제공되는 것이다.
복수 개의 입자(1)와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의 비율은 소정의 구획 영역(zone #n)에 따라 상호 인력이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가 다수로 제공되는 경우, 복수 개의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 간의 상호 인력이 다각적으로 발생되며 상호 인력 발생 위치와 지점이 상당하게 제공되어질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가 소수로 제공되는 경우,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는 상호 인력을 형성할 수 있는 인근의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가 적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복수 개의 입자(1)와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의 비율을 달리하여 시멘트 블록(10)에 해당하는 메인 블록 유닛(100)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호 간의 인력이 소정의 구획 영역(zone #n)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되도록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의 시멘트 블록(10)은, 소정의 구획 영역 내 복수 개의 입자(1) 대비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의 밀도를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선택적으로 변이 시켜 상호 인력이 소정의 구획 영역 내에서 점진적으로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구획 영역(zone #n)에 따라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밀도를 선택적으로 변이 시키도록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구획 영역(zone #n) 내에서 상부는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의 밀도가 적게 제공되며 하부는 높은 밀도가 제공될 수 있으며,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구획 영역(zone #n-1) 내의 상부는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의 밀도가 높게 제공되고 하부는 낮은 밀도로 제공되어질 수 있다.
또한, 밀도가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변이되는 소정의 구획 영역(zone #n)이 격자 형태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격자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2)의 밀도가 교차적으로 배치되도록 제공되어질 수 있다.
밀도가 교차적으로 배치됨에 따라, 외력이 전달되는 방향이 쿠션 역할을 통해 하향 전달되고, 외력이 전달되는 방향에 따라 하중 또는 외력이 분산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입자
2: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micro fiber slice)
10: 시멘트 블록(cement block)
100: 메인 블록 유닛(main block unit)
200: 바인딩 유닛(binding unit)

Claims (10)

  1. 시멘트 블록의 몸체를 형성하며, 복수 개의 입자를 포함하는 메인 블록 유닛; 및
    상기 복수 개의 입자들 사이에 부분 함침되어 상기 메인 블록 유닛 내에 임의의 포지션으로 복수 개로 제공되는 바인딩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딩 유닛은,
    상기 시멘트 블록 내에 복수 개의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는,
    상기 복수 개의 입자의 결정화로부터 상기 메인 블록 내 픽싱 포지션이 임의 설정되고, 상기 픽싱 포지션에 따라 선택적인 인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는,
    상기 시멘트 블록 내 상기 픽싱 포지션에 따라 각각이 개별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입자와 결합하고, 상기 복수 개의 입자를 상호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딩 유닛은,
    상기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의 상기 픽싱 포지션과 상기 복수 개의 입자와의 접합을 통하여 상기 메인 블록 유닛의 상기 복수 개의 입자의 응집력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딩 유닛은,
    상기 시멘트 블록 상에 소정의 외력이 제공되어 상기 시멘트 블록에 크랙(crack)이 발생되면, 상기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가 상기 크랙(crack)의 발생을 상쇄시키는 방향으로 상호 인력을 제한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딩 유닛은,
    상기 픽싱 포지션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기 크랙이 발생되면, 상기 크랙의 발생 지점에 제공된 복수 개의 상기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의 상호 간의 인력이 상기 크랙의 발생 방향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딩 유닛은,
    상기 픽싱 포지션과 동등한 방향으로 상기 크랙이 발생되면, 상기 크랙 발생 지점 인근에 제공된 복수 개의 상기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의 상호 간의 인력이 상기 크랙 발생의 인근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블록 유닛은,
    상기 시멘트 블록 상에 소정의 외력이 제거되면, 복수 개의 상기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의 상호 인력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입자가 일정한 위치로 회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블록은,
    소정의 구획 영역을 지정하고, 상기 복수 개의 입자와 복수 개의 상기 마이크로 파이버 슬라이스의 비율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소정의 구획 영역에 따라 상기 상호 인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



KR1020210118474A 2021-09-06 2021-09-06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 KR102605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474A KR102605085B1 (ko) 2021-09-06 2021-09-06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474A KR102605085B1 (ko) 2021-09-06 2021-09-06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5904A true KR20230035904A (ko) 2023-03-14
KR102605085B1 KR102605085B1 (ko) 2023-11-24

Family

ID=85502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474A KR102605085B1 (ko) 2021-09-06 2021-09-06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508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377Y1 (ko) * 2001-04-17 2001-10-11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고밀도 유리섬유 보강 합성 콘크리트 도로 경계석
JP2002087868A (ja) * 2000-09-12 2002-03-27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繊維混入コンクリート
KR20040079228A (ko) * 2003-03-07 2004-09-14 (주)조연테크 유리섬유강화시멘트의 제조방법
KR101207038B1 (ko) 2010-11-16 2012-11-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리미분말이 혼입된 초고성능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751479B1 (ko) 2016-08-08 2017-06-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초고성능 섬유보강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00969A (ko) * 2017-06-23 2019-01-04 코단콘크리트 주식회사 건축용 패널
KR102286554B1 (ko) 2019-09-09 2021-08-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슬립과 균열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텍스타일 보강 시멘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7868A (ja) * 2000-09-12 2002-03-27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繊維混入コンクリート
KR200240377Y1 (ko) * 2001-04-17 2001-10-11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고밀도 유리섬유 보강 합성 콘크리트 도로 경계석
KR20040079228A (ko) * 2003-03-07 2004-09-14 (주)조연테크 유리섬유강화시멘트의 제조방법
KR101207038B1 (ko) 2010-11-16 2012-11-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리미분말이 혼입된 초고성능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751479B1 (ko) 2016-08-08 2017-06-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초고성능 섬유보강 콘크리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00969A (ko) * 2017-06-23 2019-01-04 코단콘크리트 주식회사 건축용 패널
KR102286554B1 (ko) 2019-09-09 2021-08-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슬립과 균열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텍스타일 보강 시멘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5085B1 (ko) 2023-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ung et al. Development of pseudo-ductile permanent formwork for durable concrete structures
Tan et al. Strengthening of openings in one-way reinforced-concrete slabs using carbon fiber-reinforced polymer systems
KR102139181B1 (ko) Poss 나노복합체를 포함하는 고기능성 모르타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보강공법
KR102088816B1 (ko) 내진 및 면진 보강용 교좌장치 및 이의 설치공법
CN103964795A (zh) 一种纤维编织网增强水泥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yriakides et al. Behavior of unreinforced masonry prisms and beams retrofitted with 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s
Hong et al. Seismic strengthening of concrete columns by ultrahigh-performance fiber-reinforced concrete jacketing
Al‐Zu'bi et al. The effect of length and inclination of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laminates on shear capacity of near‐surface mounted retrofitted reinforced concrete beams
Ding et al. Theoretical analysis on optimal fiber-matrix interfacial bonding and corresponding fiber rupture effect for high ductility cementitious composites
KR102286554B1 (ko) 슬립과 균열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텍스타일 보강 시멘트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Song et al. Transfer length and splitting force calculation for pretensioned concrete girders with high-capacity strands
Shakir et al. Behavior of pocket-type high-strength RC beams without or with dapped ends
Haber et al. Ultimate behavior of deck-to-girder composite connection details using UHPC
Shakir et al. Behavior of high-performance reinforced arched-hybrid self-compacting concrete deep beams
KR20230035904A (ko) 입자의 선택적 비율 조절을 통한 응집력 증진이 가능한 시멘트 블록
KR100950717B1 (ko) 신축이음장치 및 교량 받침부의 콘크리트층을 보수하는 방법
KR102393404B1 (ko) 실란 화합물의 가수 축합반응으로 제조되는 poss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고기능성 모르타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보강구조물
EP2646390A1 (en) Reinforced wall system and method
US20060014878A1 (en) Polymer concrete
Jin et al. Fiber-reinforced-cementitious-composites plate for anchoring FRP sheet on concrete member
Abdul Rahim et al. Experimental study of slurry infiltrated fiber reinforced concrete
JP2018080461A (ja) 連結構造及び連結方法
Dawood et al. Flexural strength of prestressed concrete beams with openings and strengthened with CFRP sheets
Mohammed et al. An innovative method of voided reinforced concrete one-way slabs using bundled waste PET bottled tubes
KR101786742B1 (ko) 난방용 패널 및 이의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