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5164A - 다중 렌즈를 사용한 전수조사용 옥외광고물 측정기기 - Google Patents
다중 렌즈를 사용한 전수조사용 옥외광고물 측정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35164A KR20230035164A KR1020210117464A KR20210117464A KR20230035164A KR 20230035164 A KR20230035164 A KR 20230035164A KR 1020210117464 A KR1020210117464 A KR 1020210117464A KR 20210117464 A KR20210117464 A KR 20210117464A KR 20230035164 A KR20230035164 A KR 2023003516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dvertisement
- outdoor
- mobile
- image
- outdoor advertiseme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606 normaliz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4 ne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GKAOGPIIYCISHV-UHFFFAOYSA-N neon atom Chemical compound [Ne] GKAOGPIIYCIS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OWZREIFADZCYQD-NSHGMRRFSA-N deltamethrin Chemical compound CC1(C)[C@@H](C=C(Br)Br)[C@H]1C(=O)O[C@H](C#N)C1=CC=CC(OC=2C=CC=CC=2)=C1 OWZREIFADZCYQD-NSHGMRRF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41 in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835 invest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07 loca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58 star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00 visua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80—2D [Two Dimensional] animation, e.g. using sprit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43—Conversion of monochrome picture signals to colour picture signals for colour picture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실시예는 다중 렌즈를 사용한 전수조사용 옥외광고물 측정기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옥외광고물 측정기기는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옥외광고물의 정보를 알고자 할 경우, 카메라에서 옥외광고물을 촬영해서 광고물 분석 시스템에 제공한다.
그래서, 일실시예의 옥외광고물 측정기기는 이러한 사진 속 광고물을 제공할 경우, 광고물 분석 시스템에서 이 광고물을 AI가 데이터화 하여 5G 통신 등을 통해 자신의 DB에 시스템적으로 실시간 입력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광고물 분석 시스템이 이때 딥러닝을 통해 AI가 인식하여 실시간으로 옥외 광고물 분석 정보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렇게 옥외광고물을 촬영할 경우에,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상이한 렌즈와 필터 교환 구조로부터 옥외광고물의 영상을 전수조사, 획득함으로써, 한번에 많고 정밀한 옥외광고물의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카메라 영상을 입력할 경우에, 모바일 흑백영상과 모바일 컬러영상 유형별로 상이한 영상처리를 수행해서, 옥외광고물의 모바일 영상을 애니메이션화한다.
그래서, 이러한 정보를 다시 모바일 흑백/컬러 영상별로 구성하여 매칭한 GUI로 상이하게 UI화해서, 옥외광고물을 모바일형 애니메이션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옥외광고물의 정보를 알고자 경우, 이러한 광고물 분석구조로부터 옥외광고물의 정보를 전수조사, 분석해서 제공함으로써, 많은 광고물 정보의 파악이 쉽지 않는 상황 등에서도 쉽게 인식한다.
또한, 이에 더하여 옥외광고물을 촬영할 경우에, 흑백 이미지 센서를 적용해서 이미지에 노이즈가 적고 선명할수록 규격 측정 시 오차율을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밀한 옥외광고물 측정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옥외광고물 측정기기는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옥외광고물의 정보를 알고자 할 경우, 카메라에서 옥외광고물을 촬영해서 광고물 분석 시스템에 제공한다.
그래서, 일실시예의 옥외광고물 측정기기는 이러한 사진 속 광고물을 제공할 경우, 광고물 분석 시스템에서 이 광고물을 AI가 데이터화 하여 5G 통신 등을 통해 자신의 DB에 시스템적으로 실시간 입력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광고물 분석 시스템이 이때 딥러닝을 통해 AI가 인식하여 실시간으로 옥외 광고물 분석 정보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렇게 옥외광고물을 촬영할 경우에,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상이한 렌즈와 필터 교환 구조로부터 옥외광고물의 영상을 전수조사, 획득함으로써, 한번에 많고 정밀한 옥외광고물의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카메라 영상을 입력할 경우에, 모바일 흑백영상과 모바일 컬러영상 유형별로 상이한 영상처리를 수행해서, 옥외광고물의 모바일 영상을 애니메이션화한다.
그래서, 이러한 정보를 다시 모바일 흑백/컬러 영상별로 구성하여 매칭한 GUI로 상이하게 UI화해서, 옥외광고물을 모바일형 애니메이션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옥외광고물의 정보를 알고자 경우, 이러한 광고물 분석구조로부터 옥외광고물의 정보를 전수조사, 분석해서 제공함으로써, 많은 광고물 정보의 파악이 쉽지 않는 상황 등에서도 쉽게 인식한다.
또한, 이에 더하여 옥외광고물을 촬영할 경우에, 흑백 이미지 센서를 적용해서 이미지에 노이즈가 적고 선명할수록 규격 측정 시 오차율을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밀한 옥외광고물 측정을 한다.
Descrip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옥외광고물 측정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옥외광고물 측정기기에서 사용자가 알고 싶은 옥외 광고물을 촬영하여 제공하고, 광고물 분석 시스템에서 사진 속 광고물을 분석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광고를 소비자들에게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매개수단으로서 광고매체가 사용되고 있다. 광고매체는 제품 판매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광고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그 중요성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 유형으로는 크게 인쇄광고, 전파광고, 옥외광고, 교통광고 및 온라인광고 등으로 다양하다.
이러한 다양한 유형의 광고매체는 그 자체만으로 소비자의 시선을 이끄는데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근래에는 광고매체를 대중화된 스포츠에 접목한 광고 마케팅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스포츠 종목에 따라 경기장 안의 펜스, 플로어 또는 스코어보드를 광고매체로 사용하거나, 더 나아가서는 스포츠 용품을 광고매체로 사용한 마케팅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간판의 경우 도시 미관 및 안전을 고려하여 건물에 대해 설치할 수 있는 개수, 위치 및 크기를 규제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간판 설치 규제안을 무시하고, 불법으로 시설된 간판이 많이 있고, 이를 단속하기 위해서는 단속자가 관할 구역을 수시로 돌아다니면서 등록 여부를 간판 등록 대장과 일일이 비교하면서 확인하여야 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관리 및 규제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국내 공개특허 제2006-0013342호에는 RFID태그를 이용한 간판 정보 관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간판정보 관리시스템은 단속자가 간판에 부착되어 있는 RFID태그에 근접되게 단말기를 갖다 대야만 등록 여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간판마다 일일이 단말기를 근접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특히 단속자의 키보다 높게 설치된 간판의 경우 RFID태그에 단말기를 현실적으로 근접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RFID태그를 이용하여 등록 여부를 확인한다 하더라도, 개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등록된 규격과 실제 현장에 설치된 간판의 규격이 일치하는 지를 검사하여야 하는데 간판이 지상으로부터 높게 설치되어 줄자 등을 이용해서는 규격측정이 불가능한 경우 변조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옥외 광고물을 분석하는 기술인 국내 등록특허 제10-0755431호에는 '피디에이를 이용한 옥외광고물 전수조사 시스템'을 제안한 바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은 피디에이를 이용한 옥외광고물 전수조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피디에이에 새주소의 건물번호를 입력하여 입력된 건물번호에 따른 사업자정보와 옥외광고물관리정보를 동시에 검색하여 표시함으로 한번에 건물번호에 해당하는 허가 또는 신고된 간판과 무허가 불법간판을 식별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광고물에 대한 전수조사를 소수의 인력으로 신속하고 투명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되어 세외수입증대는 물론 인건비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광고물의 주소정보, 사업자 정보를 수집하는 것에 불과하며 광고물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수집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단순히 시스템의 통합으로 구성된 것으로 실시간으로 정보를 받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한편, 최근에는 옥외광고물의 더욱 정밀한 측정을 위해서 개발품의 시각화 성능을 향상위한 방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옥외광고물 측정기기의 카메라 렌즈 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이다. 이는 최근에 출시하는 카메라들을 복수의 렌즈로 출시하고 있으므로 복수의 멀티렌즈를 활용한 사용방법을 측정기기에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영상 즉, 옥외광고물 정보를 모바일 기기 형태로 제공하기도 하는데, 모바일 기기에서 많은 정보들을 제공하므로 사람들에게 눈을 쉴 수 있도록 영상을 편안하게 볼 수 있도록 할 상황이기도 하다.
개시된 내용은,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옥외광고물의 정보를 알고자 할 경우, 사용자를 통해 촬영한 사진과 영상 내에 광고물을 분석해서 제공함으로써, 광고물 정보의 파악이 쉽지 않는 상황 등에서도 쉽게 인식하는 다중 렌즈를 사용한 전수조사용 옥외광고물 측정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특히 이러한 측정기기는 이러한 경우에, 다수의 상이한 렌즈와 흑백 이미지 센서를 적용해서 이미지에 노이즈가 적고 선명할수록 규격 측정 시 오차율을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수조사와 정밀한 옥외광고물 측정을 한다.
또한, 이러한 옥외광고물 영상을 얻을 때에, 카메라 영상에서 옥외광고물을 사람이 쉽게 편안한 상태로 알 수 있도록 해서, 광고정보를 알고 있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른 다중 렌즈를 사용한 전수조사용 옥외광고물 측정기기는,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옥외광고물의 정보를 알고자 할 경우, 카메라에서 옥외광고물을 촬영해서 등록 광고물 분석 시스템에 제공한다.
그래서, 일실시예의 측정기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사진 속 광고물을 제공할 경우, 광고물 분석 시스템에서 이 광고물을 AI가 데이터화 하여 5G 통신 등을 통해 자신의 DB에 시스템적으로 실시간 입력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광고물 분석 시스템이 이때 딥러닝을 통해 AI가 인식하여 실시간으로 옥외 광고물 분석 정보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렇게 옥외광고물을 촬영할 경우에,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상이한 렌즈와 필터 교환 구조로부터 옥외광고물의 영상을 전수조사, 획득함으로써, 한번에 많고 정밀한 옥외광고물의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때 추가적으로 카메라 영상을 입력할 경우에, 모바일 흑백영상과 모바일 컬러영상 유형별로 상이한 영상처리를 수행해서, 전수조사한 옥외광고물의 모바일 영상을 애니메이션화한다.
그래서, 이러한 정보를 다시 모바일 흑백/컬러 영상별로 구성하여 매칭한 GUI로 상이하게 UI화해서, 옥외광고물을 모바일형 애니메이션으로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들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옥외광고물의 정보를 알고자 경우, 이러한 광고물 분석구조로부터 옥외광고물의 정보를 전수조사, 분석해서 제공함으로써, 많은 광고물 정보의 파악이 쉽지 않는 상황 등에서도 쉽게 인식한다.
또한, 이에 더하여 옥외광고물을 촬영할 경우에, 흑백 이미지 센서를 적용해서 이미지에 노이즈가 적고 선명할수록 규격 측정 시 오차율을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밀한 옥외광고물 측정을 한다.
그리고, 옥외광고물 영상을 획득할 때에, 카메라 영상에서 옥외광고물을 사람이 쉽게 편안한 상태로 알 수 있도록 해서, 광고정보를 알고 있는데 도움을 준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렌즈를 사용한 전수조사용 옥외광고물 측정기기의 개념도
도 2a와 도 2b는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렌즈를 사용한 전수조사용 옥외광고물 측정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렌즈를 사용한 전수조사용 옥외광고물 측정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 동작 화면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렌즈를 사용한 전수조사용 옥외광고물 측정기기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
도 2a와 도 2b는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렌즈를 사용한 전수조사용 옥외광고물 측정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렌즈를 사용한 전수조사용 옥외광고물 측정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 동작 화면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렌즈를 사용한 전수조사용 옥외광고물 측정기기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서의 상세 사항을 다루기 전에, 몇몇 용어를 정의하거나 또는 명확히 하기로 한다.
AI는 artificial intelligence의 약자로 혹은 machine intelligence라고도 불리며, 인공지능이라 한다. AI는 일반적으로 시스템에 의해 만들어지며 기계를 지능적으로 만들며, 기계가 환경을 파악하고 예측하여 적절하게 기능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AR은 augmented reality의 약자로 증강현실이라고 불린다. AR은 가상현실(VR)의 한 분야로 실제로 존재하는 환경에 가상의 사물이나 정보를 합성하여 마치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이다. 디지털 미디어에서 빈번하게 사용된다.
컴퓨터 비전 알고리즘은 카메라나 스캐너 등의 영상 입출력 매체를 통하여 입력 받은 이미지나 영상에서 물체 (Object), 전경 (Foreground), 배경 (Background) 등 물체와 주변 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유의미한 정보를 생성하는 기술로, Image Processing을 통하여 필요한 정보를 생성합니다. 즉, 컴퓨터의 시각적인 능력에 판단 능력을 부여하여 데이터 (이미지, 동영상)를 가공 및 해석하는데 사용된다.
DEC란 광고를 접하는 사람수를 의미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AR 및 GPS를 적용한) 다중 렌즈를 사용한 전수조사용 옥외광고물 측정기기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광고물 측정기기는 사용자가 옥외광고물의 정보를 알고자 할 경우, 카메라(100)에서 옥외광고물을 촬영해서 통신부(200)를 통해 미리 등록된 광고물 분석 시스템(10)에 제공한다.
그래서, 일실시예의 옥외광고물 측정기기는 이렇게 촬영된 사진 속 광고물이 제공될 경우, 광고물 분석 시스템(10)에서 이 광고물을 AI가 데이터화 하여 5G 통신 등을 통해 자신의 DB에 시스템적으로 실시간 입력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광고물 분석 시스템(10)이 이때 딥러닝을 통해 AI가 인식하여 실시간으로 옥외 광고물 분석 정보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이러한 광고물 분석 시스템(10)은 카메라(100)로 촬영한 광고물 사진을 분석하는 광고물 분석 AI(11) 및 분석한 광고물 정보를 저장하는 광고물 저장 DB(12)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이러한 옥외광고물 측정기기는 사용자가 옥외광고물의 정보를 알고자 경우, 이러한 광고물 분석구조로부터 옥외광고물의 정보를 분석해서 제공함으로써, 광고물 정보의 파악이 쉽지 않는 상황 등에서도 쉽게 인식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옥외광고물 측정기기는 이렇게 옥외광고물을 촬영할 경우, 일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상이한 렌즈와 흑백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전수조사용 옥외광고물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고도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먼저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앞서, 다수의 상이한 렌즈를 이용한 고도화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즉, 이러한 점은 여러 개의 렌즈를 가진 카메라로 고해상도 사진을 찍을 때에는 다음과 같은 기법이 들어가는데 각각의 렌즈들이 각자 다른 각도로 촬영한 사진들을 하나로 합쳐서 하나의 렌즈로 찍었을 때의 사진보다 고해상도의 사진을 만든다. 또한, 렌즈의 수가 많으면 심도있는 표현에도 용이하며, 이는 두께가 있는 옥외광고물 측정 시에 정확도 상승에 큰 역할을 할수 있다. 그래서, 일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에서도 동작을 수행하고, 보다 더 정확한 측정을 위해 상기와 같이 고도화를 진행한다.
다음으로는, 흑백 이미지 센서의 고도화 기술 내용을 소개한다.
우선적으로 이러한 흑백 이미지 센서는 일반 이미지 센서보다 더 많은 빛을 받아들일 수 있어서 이를 활용해 저조도 환경에서의 능력을 강화한다.
그리고, 흑백 이미지 센서는 컬러 필터가 없기에 노이즈를 최소화해서 찍을 수 있다.
또한, 흑백 이미지 센서의 픽셀 전면에는 컬러 필터가 없으므로 모든 픽셀은 빛의 파장에 관계 없이 빛의 강도를 측정할 수 있고 휘도 값만을 저장한다.
또한 이미지에 조사되는 동일한 빛에 대해서도 컬러 이미지 센서보다 훨씬 높은 수광률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흑백 이미지 센서는 해상력과 감도에서 컬러 이미지 센서에 비해 우수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 컬러 센서로 촬영한 이미지는 흑백 이미지 위에 색을 입혀주는 방식을 이용하면, 노이즈가 적고 선명한 사진을 얻을 수가 있다.
그래서, 이미지에 노이즈가 적고 선명할수록 규격 측정 시 오차율을 줄일 수가 있으므로 흑백 이미지 센서가 필요하다.
참고적으로, 이를 위한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즉, 카메라(100)의 구성은 아래의 도 2a와 도 2b를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또한 이러한 경우에 일실시예에 따른 측정기기는 카메라에서 영상을 입력할 경우, 모바일 흑백영상과 모바일 컬러영상 유형별로 상이한 영상처리를 수행해서, 전수조사한 옥외광고물의 모바일 영상을 애니메이션화한다.
그래서, 이러한 영상처리 정보를 다시 모바일 흑백/컬러 영상별로 구성하여 매칭한 GUI로 상이하게 UI화해서, 여러 개의 전수조사한 옥외광고물을 모바일형 애니메이션으로 제공한다.
참고로, 이러한 모바일형 애니메이션에 관한 영상처리는 아래의 도 2a와,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a와 도 2b는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광고물 측정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2a는 일실시예에 따른 (AR 및 GPS를 적용한) 다중 렌즈를 사용한 전수조사용 옥외광고물 측정기기의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b는 이러한 측정기기에 적용된 카메라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광고물 측정기기는 5G 통신 등을 기반으로 하며 광고물을 AI가 데이터화하여 분석하는 광고물 분석 시스템(10)과 연동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일실시예의 측정기기는 옥외광고물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00)와, 5G 등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부(200), 데이터를 저장하는 보조기억장치(300) 및 옥외광고물 정보를 광고물 분석 시스템에 제공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디스플레이(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00)는 다수의 상이한 옥외광고물을 촬영하여 전수조사하기 위한 다수의 카메라 렌즈를 구비한다. 그리고, 옥외광고물을 촬영할 경우, 일실시예에 따라 흑백 이미지 센서를 통해 좀 더 옥외광고물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고도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카메라(100)는 도 2b와 같이 아래의 구성을 구비한다. 즉, 상기 카메라(100)는 다수의 상이한 카메라 렌즈별로 필터교환 구동부(A)와 투명부(B), 적외선 차단 필터부(C)를 순서대로 형성한 제 1 필터교환부와 투명부(B)와 적외선 투과부(D), 필터교환 구동부(A)를 순서대로 형성한 제 2 필터교환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상기 카메라(100)는 상기 제 1 필터교환부와 상기 제 2 필터교환부는 상하방향으로 각 투명부(B)를 상대측의 투명부(B)와 적외선 투과부(D) 또는, 적외선 차단 필터부(C)에 모두 부분적으로 겹쳐서 설치한다. 그래서, 카메라(100)는 설정 제 1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필터교환부는 투명부(B)로, 상기 제 2 필터교환부는 투명부(B)로 필터교환되어 흑백영상을 구현한다. 그리고 나서, 이러한 경우, 사용자 선택정보에 따라 해당 흑백영상에 다수의 상이한 색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색상으로 색을 오버레이해서 컬러영상도 구현한다. 또한 카메라(100)는 설정 제 2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필터교환부는 적외선 차단 필터부(C), 상기 제 2 필터교환부는 투명부(B)로 필터교환되어 컬러영상을 만든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카메라(100)가 촬영한 사진이나 영상에서 가게명과 가게 전화번호, 간판 규격, 해당 매장 소재지에 관한 정보를 상기 광고물 분석 시스템(10)에서 회신받고, 상기 광고물 저장 DB(12)에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 이러한 경우에,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한 전수조사한 여러 가지의 옥외광고물 정보를 아래의 옥외광고물 모바일형 애니메이션화 모드로부터 애니메이션 형태로 제공받는다. 이때 상기 옥외광고물 모바일형 애니메이션화 모드는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카메라(100) 영상을 제공할 경우에, 광고물 분석 시스템에서 모바일 흑백영상과 모바일 컬러영상 유형별로 상이한 영상처리를 수행해서, 전수조사한 옥외광고물의 모바일 영상을 각기 상이하게 애니메이션화한다. 그래서, 이러한 정보를 다시 모바일 흑백/컬러 영상별로 구성하여 매칭한 GUI로 상이하게 UI화해서, 옥외광고물을 모바일형 애니메이션으로 회신한다. 이때, 이러한 영상처리는 아래와 같이 이루어진다. a) 먼저 상기 카메라(100) 영상을 입력할 경우에, 모바일 흑백영상과 모바일 컬러영상 유형별로 설정 다수의 상이한 아날로그 간격과 주기, 싸이클 정보를 매칭하여 아날로그 샘플링정보를 미리 등록한다. b)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모드 또는 상기 제 2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설정할 때, 상기 아날로그 샘플링정보로부터 각각의 모드별로 구현한 디지털영상을 상이하게 샘플링해서, 옥외광고물의 모바일 영상을 애니메이션화한다. c) 그래서, 이러한 디지털영상을 설정 모바일 흑백/컬러 영상별 GUI로 상이하게 UI화해서, 옥외광고물을 모바일형 애니메이션으로 회신한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옥외광고물 측정기기에 적용된 5G 기반 광고물 분석 AI(11)에 적용할 수 있는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동시적 위치추정과 지도작성) 기술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SLAM 기술은 VIO(Visual Inertial Odometry, 시각적 관성 거리계)를 기반으로 하며, VIO의 구현에 있어서는 칼만 필터 기반의 방식으로 하는 것을 권장한다. 이는 카메라(100)로부터 들어오는 영상을 광고물 분석 AI(11)가 컴퓨터 비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특징점을 찾고, 이를 칼만 필터에서 활용하여 오차를 보정한다. 이를 통해 공간상의 특정한 점에 가상 물체를 놓을 수 있는 앵커링 기능이 가능한 것이다.
다음은 일실시예에 따른 (AR 및 GPS를 적용한) 옥외광고물 측정기기가 구분하는 광고물 유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광고물 유형은 크게 가로형 간판, 세로형 간판, 돌출 간판, 공연 간판, 옥상 간판, 창문 광고물, 현수막, 지주 이용 광고물, 공공시설물 이용 광고물로 구분한다.
다음은 광고물 유형에 따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가로형 간판은 문자ㅇ도형 등을 목재ㅇ아크릴ㅇ금속재 등의 판에 표시하거나 입체형으로 제작되어 건물의 벽면에 가로로 길게 붙이거나 벽면 등에 직접 도료로 표시하는 광고물을 의미한다. 또한, 주유소나 가스충전소 등의 주유기나 충전기시설의 차양면에 상호, 정유사 등의 명칭을 표시하거나 상호를 현수식으로 표시하는 광고물을 뜻한다.
세로형 간판은 문자ㅇ도형 등을 목재ㅇ아크릴ㅇ금속재 등의 판에 표시하거나 입체형으로 제작되어 건물의 벽면 또는 기둥에 세로로 길게 붙이거나 벽면 등에 직접 도료로 표시하는 광고물을 의미한다.
돌출 간판은 문자, 도형 등을 목재, 아크릴, 금속재 등의 판이나 이용업소, 미용업소의 표지와 같이 건물의 벽면에 튀어나오게 붙이는 광고물을 의미한다.
공연 간판은 공연, 영화를 알리기 위한 문자, 그림 등을 목재, 아크릴, 금속재 등의 판에 표시하거나 실물의 모형 등을 제작하여 해당 공연 건물의 벽면에 표시하는 광고물을 의미한다.
옥상 간판은 건물의 옥상에 따로 삼각형ㅇ사각형 또는 원형 등의 게시시설을 설치하여 문자ㅇ도형 등을 표시하거나 승강기탑ㅇ계단탑ㅇ망루ㅇ장식탑ㅇ옥탑 등 건물의 옥상구조물에 문자ㅇ도형 등을 직접 표시하는 광고물을 의미한다.
창문 이용 광고물은 천ㅇ종이ㅇ비닐 등에 문자ㅇ도형 등을 표시하여 창문 또는 출입문에 직접 붙이거나 문자ㅇ도형 등을 목재ㅇ아크릴ㅇ금속재 등의 판이나 입체형으로 제작하여 창문 또는 출입문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광고물을 의미한다.
현수막은 천ㅇ종이ㅇ비닐 등에 문자ㅇ도형 등을 표시하여 건물 등의 벽면, 지주, 게시시설 또는 그 밖의 시설물 등에 매달아 표시하는 광고물을 의미한다.
지주 이용 광고물은 문자ㅇ도형 등을 표시한 목재ㅇ아크릴ㅇ금속재 등의 판을 지면에 따로 설치한 지주에 붙이거나, 문자ㅇ도형 등을 따로 설치한 삼각기둥ㅇ사각기둥ㅇ원기둥 등의 게시시설 기둥면에 직접 표시하거나, 군사시설, 철도의 주요 경계시설, 공사 현장 등을 가리기 위하여 지주에 표시하는 광고물을 의미한다.
공공시설물 이용광고물은 공공의 목적을 위하여 설치하는 인공구조물 또는 편익시설물에 표시하는 광고물을 의미한다.
다음은, 일실시예에 따른 (AR 및 GPS를 적용한) 옥외광고물 측정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는 옥외광고 효과측정 모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옥외광고를 크게 야립광고와 옥상광고로 구분하여 그에 따른 효과측정 모델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야립광고 효과측정 모델은 야립광고물의 효과분석을 위해 야립광고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본원적 요인으로 DEC를 규정하였다. 야립광고의 DEC1는 야립광고물의 설치지역을 중심으로 해당지역을 통과하는 교통량만을 측정하도록 한다.
DEC는 야립광고물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1일 통행량을 기준으로 측정하며, 시간을 아침, 오전, 오후, 저녁, 시간대별로 측정하며, 교통수단의 특성을 고려하여 버스에는 15의 가중치를 자동차의 경우 1.3의 가중치를 적용하도록 한다.
야립광고의 실제적 노출을 고려한 항목으로 가시각도와 노출시간, 차량정체도(평균주행속도)가 포함되며, 또한 DEC 측정 지수를 통해 야립광고의 매체효율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로서 하기 수학식과 같이 CPM1을 도출할 수 있다.
<수학식1. 야립광고 총 노출량에 관한 식>
<수학식2. 야립광고 DEC에 관한 식>
<수학식3. 야립광고의 CPM에 관한 식>
Y1은 야립광고 총 노출량을 의미하며, DEC1은 야립광고 모델에서 차량유동인구를 의미한다.
다음은 옥상광고 효과측정 모델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모델은 옥상광고물의 효과분석을 위해 옥상광고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본원적 요인으로 DEC를 규정하였다. 옥상광고의 DEC는 옥상광고물의 설치지역을 중심으로 해당지역을 통과하는 교통량(차량유동인구)과 도보유동인구를 측정하도록 한다.
DEC는 옥상광고물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1일 차량통행량을 기준으로 측정시간을 아침, 오전, 오후, 저녁, 시간대별로 측정하며, 교통수단의 특성을 고려하여 버스에는 15의 가중치를 자동차의 경우 1.3의 가중치를 적용한다.
도보유동인구의 경우, 옥상광고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지하철 출구와 버스승하차장을 고려하여 측정지점이 각각의 유입인구를 포함시킬 수 있도록 유의하여, 하차이후 보행자 이동선이 옥외광고를 향하고 있는 곳을 중심으로 측정지점을 선정하여 측정하며, 옥상광고의 실제적 노출을 고려한 항목으로 가시각도, 가시거리, 차량정체도(평균주행속도) 등이 포함된다. 또한 CPM을 도출하는 방법은 야립광고 모델과 같다.
<수학식4. 옥상광고 총 노출량에 관한 식>
<수학식5. 옥상광고 DEC에 관한 식>
<수학식6. 옥상광고의 CPM에 관한 식>
Y2은 옥상광고 총 노출량을 의미하며, DEC2은 옥상광고 모델에서 차량유동인구를 의미한다.
또한, 야립광고, 옥상광고 효과측정 모델에서 공통적으로, 가시각도란 광고물이 식별 가능한 영역을 말하는 것으로 광고물의 위치에 따라 노출될 수 있는 영역(각도)이 넓거나 좁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반영하여 노출될 가능성에 대한 가중치를 주기 위한 것이다.
노출시간은 광고물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시간을 말하는 것으로, 주변 환경에 방해받지 않고 지속적으로 노출될 수 있는 시간을 의미한다.
차량정체도는 광고지점의 허용속도와 평균속도의 비를 통하여 쉽게 도출해낼 수 있고, 이를 가중치로 부여함. 예를 들어 허용속도가 70km/h 인 지점에서의 평균속도가 35km/h 라면 70/35=2 즉, 200%의 가중치를 부여할수 있는 것이다.
가시각도와 노출시간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른 단위를 쓰면 된다. 예를 들면 도(ㅀ), 초(second)가 될 것이다.
따라서,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 광고물 분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측정기기와 옥외 광고물 분석 시스템을 함께 적용한다면, 사용자가 간편하게 사용자의 스마트폰 카메라(혹은 측정기기(100))를 통해 화면에 담긴 영상에서 바로 광고물에 대한 정보를 처리해준다.
그래서, 이 때문에 사진을 따로 찍을 필요 없이 스마트폰이나 측정기기(100)의 용량에 지장을 주지도 않으며 실시간으로 광고물 분석 AI(400)가 인식 가능한 광고물인지 아닌지를 확인 가능하므로, 일일이 사진을 찍어 광고물 분석 AI(400)가 그 광고물을 인식하는지 하지 않는 지를 바로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통해 편리성이 증대되었다고 볼 수 있다.
반면에, 종래의 방식들(PDA 등을 이용한 방식)은 사진을 찍어서 일일이 저장한 후 데이터화 작업을 거쳐야만 했으므로 그에 비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5G 기반 AI 옥외 광고물 분석 시스템은 쉽고 간편하게 누구나 본인의 스마트폰을 통해 바로 광고물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광고물 측정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 동작 화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광고물 측정기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광고물을 촬영할 시, 촬영한 사진 속 광고물을 광고물 분석 AI(11)가 데이터화하여 5G 통신을 통해 광고물 저장 DB(12)에 자동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한다.
상기 광고물 분석 AI(11)가 데이터화하여 상기 광고물 저장 DB(12)에 저장하는 광고물 정보는 크게 가게명과 가게 전화번호, 간판 규격, 간판 해당 매장 소재지(GPS), 간판 사진 등이다. 가게명과 가게 전화번호 등은 AI의 텍스트 분석 기능을 활용하여 읽어오며, 영어나 숫자에 비해 한글의 경우 인식이 잘 안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수정이 가능하게끔 수정 항목을 따로 두는 것을 권장한다. 간판 규격은 AR기능을 이용하여 화면상에 들어온 간판의 거리를 인지하여 간판의 가로, 세로, 두께를 측정한다. 가게 소재지 정보는 촬영 당시 스마트폰의 GPS위치를 상기 광고물 저장 DB(12)에 저장한다.
도 3과 같이 광고물 분석 AI(11)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 내의 변수에 저장하여 데이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한 번 확인 시켜준 후 상기 광고물 분석 AI(11)에 의한 데이터에 오류가 있을 시(오탈자 등) 수정 버튼을 눌러 사용자가 직접 수정할 수 있으며, 오류가 없는 경우 저장 버튼을 눌러 광고물 저장 DB(12)에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 스마트폰의 GPS기능을 이용하여 데이터화한 광고물의 위치가 어디인지를 데이터화하여 광고물 저장 DB(12)에 저장할 수 있으며, 촬영 위치는 건물의 높이, 위치, 주변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GPS 저장 시 그 광고물이 존재하는 도로명을 GPS 데이터로 불러오도록 한다. 정확한 건물위치 필요 시 사용자가 수정 버튼을 눌러 입력되어 있는 도로명 뒤에 건물번호와 건물이름, 층수 등을 자세히 기술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광고물 분석 AI(11)를 딥러닝을 통해 간판의 형태(일반 간판, 네온 간판, 애드벌룬 등)를 학습시킨 후 간판의 형태를 구분 짓는 데이터도 광고물 저장 DB(12)에 저장한다. 일반간판, 네온간판, 애드벌룬 등의 이미지 데이터들을 대량으로 학습시켜 각각의 특징을 구분 지을 수 있게끔 한다.
또한, AR(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측정기기로부터 광고물까지의 거리를 광고물 분석 AI(11)가 인식한 후 거리에 비례하여 화면상에 보이는 광고물 앞면의 세로, 가로 길이, 광고물의 두께를 측정하여 데이터화하여 광고물 저장 DB(12)에 저장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AR 및 GPS를 적용한 옥외광고물 측정기기의 AR 기능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종래의 AR 시스템들은 현실세계의 컨텍스트를 어플리케이션 설계에 직접 반영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Physical Resource로 현실세계를 모델링하여,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Point of Interest(POI)에 URI를 부여하고, HTTP로 URI의 Metadata를 얻는 REST 구조에 기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POI는 옥외광고물과 옥외광고물이 설치된 건물, 지역 등이 될 것이다.
또한, 웹 문서를 2차원 페이지가 아닌 3차원 공간에 Scene graph로 구성하며, POI의 물리적 추적 정보의 반영을 위한 방법을 CSS(cascading style sheets, 스타일시트)로 제공한다. 따라서 위치 기반&이미지 추적 기반의 증강현실의 통합이 실현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실세계의 물체(POI)들을 Web Resource로 간주하여 URI를 부여한다.
이러한 POI의 생성순서는 기본 정보 입력 단계; 물리적 식별 정보 입력 단계; 위치 입력 단계; 장소(Place) 확장 정보 입력단계로 구성된다.
기본 정보 입력 단계는 POI에 대한 간단한 설명(주소, 소재지, 광고의 경우 광고주 등)을 입력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물리적 식별 정보 입력 단계는 광고물 분석 시스템(10)상에서 각각의 POI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번호를 입력하는 것이다.
위치 입력 단계는 사진이나 동영상에서 POI가 위치하는 위치를 입력하는 단계이다. 장소 확장 정보 입력단계는 GPS 상의 정확한 위치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광고물 측정기기의 동작을 순서대로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광고물 측정기기는 먼저 사용자가 옥외광고물의 정보를 알고 싶어할 경우, 카메라에서 다수의 상이한 렌즈를 통해 옥외광고물을 촬영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옥외광고물의 영상을 수집, 즉 전수 조사한다.
이러한 경우,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광고물 측정기기는 상기 카메라에서 아래의 동작을 수행한다.
a) 즉, 우선적으로 카메라는 여러 카메라 렌즈별로 필터교환 구동부(A)와 투명부(B), 적외선 차단 필터부(C)를 순서대로 형성한 제 1 필터교환부와 투명부(B)와 적외선 투과부(D), 필터교환 구동부(A)를 순서대로 형성한 제 2 필터교환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필터교환부와 상기 제 2 필터교환부는 상하방향으로 각 투명부(B)를 상대측의 투명부(B)와 적외선 투과부(D) 또는, 적외선 차단 필터부(C)에 모두 부분적으로 겹쳐서 설치한다.
b-1) 그래서, 이러한 상태에서 설정 제 1 모드인 경우에(S401), 상기 제 1 필터교환부는 투명부(B)로, 상기 제 2 필터교환부는 투명부(B)로 필터교환해서 흑백영상을 구현한다(S402).
b-2) 그리고 나서, 이러한 경우, 사용자 선택정보에 따라 해당 흑백영상에 다수의 상이한 색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색상으로 색을 오버레이해서 컬러영상을 구현한다(S403).
c) 이에 더하여, 설정 제 2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필터교환부는 적외선 차단 필터부(C), 상기 제 2 필터교환부는 투명부(B)로 필터교환해서 컬러영상을 구현한다(S404).
그리고 나서,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광고물 측정기기는 이때 DSP부에서 상기 카메라에 의한 옥외광고물 영상을 디지털 신호 처리해서(S405), 옥외광고물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이렇게 DSP부의 옥외광고물 영상에서 광고물 정보를 추출해서(S406) 통신부를 통해 등록 광고물 분석 시스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광고물 측정기기는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옥외광고물의 정보를 알고자 경우, 이러한 광고물 분석구조로부터 옥외광고물의 정보를 분석해서 제공함으로써, 광고물 정보의 파악이 쉽지 않는 상황 등에서도 전수조사를 하고, 또한 쉽게 인식한다.
이러한 경우, 이러한 옥외광고물 측정기기는 흑백 이미지 센서를 적용해서 이미지에 노이즈가 적고 선명할수록 규격 측정 시 오차율을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밀한 옥외광고물 측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이러한 경우에 추가적으로 이러한 옥외광고물 측정기기는 옥외광고물 영상을 획득할 때에, 카메라 영상에서 옥외광고물을 사람이 쉽게 편안한 상태로 알 수 있도록 해서, 광고정보를 알고 있는데 도움을 준다.
a) 이를 위해, 이러한 옥외광고물 측정기기는 먼저 상기 카메라(100) 영상을 제공할 경우에, 광고물 분석 시스템에서 모바일 흑백영상과 모바일 컬러영상 유형별로 설정 다수의 상이한 아날로그 간격과 주기, 싸이클 정보를 매칭하여 아날로그 샘플링정보를 미리 등록한다.
b)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모드 또는 상기 제 2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설정할 때, 상기 아날로그 샘플링정보로부터 각각의 모드별로 구현된 디지털영상을 상이하게 샘플링해서(S407), 옥외광고물의 모바일 영상을 애니메이션화한다.
c) 그래서, 이러한 디지털영상을 미리 설정된 모바일 흑백/컬러 영상별 GUI로 상이하게 UI화해서(S408), 옥외광고물을 모바일형 애니메이션으로 회신받는다.
그래서, 이를 통해 일실시예의 옥외광고물 측정기기는 사진 속 광고물을 제공할 경우, 광고물 분석 시스템에서 이 광고물을 AI가 데이터화 하여 5G 통신 등을 통해 자신의 DB에 시스템적으로 실시간 입력한다(S409).
그리고 나서, 상기 광고물 분석 시스템이 이때 딥러닝을 통해 AI가 인식하여 실시간으로 옥외 광고물 분석 정보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일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옥외광고물의 정보를 알고자 할 경우, 카메라에서 옥외광고물을 촬영해서 광고물 분석 시스템에 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이러한 옥외광고물 측정기기는 이렇게 옥외광고물을 촬영할 경우에, 다수의 상이한 렌즈와 흑백 이미지 센서를 적용해서 전수조사를 하고 또한, 이미지에 노이즈가 적고 선명할수록 규격 측정 시 오차율을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수조사를 하면서 정밀한 옥외광고물 측정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특히 옥외광고물 정보를 즉시 편리하게 알 수 있으면서, 또한 이러한 필터 교환 구조로부터 옥외광고물의 영상을 획득함으로써, 전수조사하면서 정밀한 옥외광고물의 정보를 얻는다.
또한, 이에 더하여 카메라 영상을 제공할 경우에, 광고물 분석 시스템에서 모바일 흑백영상과 모바일 컬러영상 유형별로 상이한 영상처리를 수행해서, 전수조사한 옥외광고물의 모바일 영상을 애니메이션화한다.
그래서, 이러한 영상처리된 정보를 다시 모바일 흑백/컬러 영상별로 구성하여 매칭한 GUI로 상이하게 UI화해서, 여러 가지의 옥외광고물을 모바일형 애니메이션으로 회신받는다.
따라서, 이를 통해 옥외광고물 영상을 획득할 때에, 카메라 영상에서 옥외광고물을 사람이 쉽게 편안한 상태로 알 수 있도록 해서, 광고정보를 알고 있는데 도움을 준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옥외광고물 측정기기는 이렇게 필터 교환과 모바일용 애니메이션화로서 옥외광고물 영상을 얻을 경우에, 아래의 구성으로부터 여러 형태를 변경해서, 비가 올 때 또는, 안개가 낄 상황 등에서 원활히 영상을 얻는다.
이를 위해, 먼저 제어부는 상기한 c)에서 설정 제 1 광량보다 낮은 광이 입사한 경우, 즉 흐린 상황에서 상기 b)로 즉, 흑백영상 획득용으로서 필터를 교환 지시한다.
또한, 이때 상기 카메라는 이러한 지시에 따른 제 1 악천후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제 1 필터교환부는 투명부(B)로, 상기 제 2 필터교환부는 투명부(B)로 필터교환해서 흑백영상을 만든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옥외광고물 모바일형 애니메이션화 모드는 이러한 흑백영상을 만들 때에, 전술한 아날로그 샘플링정보로부터 상기 디지털 흑백영상을 샘플링해서, 전수조사한 옥외광고물의 모바일 흑백영상을 애니메이션화한다.
그래서, 이러한 디지털 흑백영상을 상기 모바일 흑백영상 GUI로 UI화해서, 옥외광고물을 모바일형 애니메이션으로 회신받는다.
이와 관련된 다른 형태는, 상기 제어부는 c)에서 현재 컬러영상의 선명도값과 채도값을 현재 컬러영상의 마지막 이전 컬러영상의 선명도값과 채도값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 낮아진 경우에 즉, 흐린 상황하에서 상기 b)로 필터를 교환 지시한다.
그리고, 이때도 상기 카메라는 이러한 지시에 따른 제 2 악천후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제 1 필터교환부는 투명부(B)로, 상기 제 2 필터교환부는 투명부(B)로 필터교환해서 흑백영상을 만든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옥외광고물 모바일형 애니메이션화 모드는 이렇게 흑백영상을 만든 때에, 상기한 아날로그 샘플링정보로부터 상기 디지털 흑백영상을 샘플링해서, 옥외광고물의 모바일 흑백영상을 애니메이션화한다.
그래서, 이러한 디지털 흑백영상을 상기 모바일 흑백영상 GUI로 UI화해서, 옥외광고물을 모바일형 애니메이션으로 회신받는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옥외광고물 영상을 얻을 때, 다양한 모바일 해상도별로 맞게 영상을 얻도록 함으로써, 여러 형태의 모바일 기기에 맞는 영상으로 얻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옥외광고물 모바일형 애니메이션화 모드는 전술한 아날로그 샘플링정보를 모바일 흑백영상과 모바일 컬러영상별 해상도 유형마다 상기 아날로그 간격과 주기, 싸이클 정보를 상이하게 매칭해서 등록한다.
또한, 이에 더하여 실시예에 따라 흑백영상으로 컬러영상을 만들 경우에, 아래의 구성으로부터 옥외광고물 유형에 맞게 다양한 컬러영상을 제공하며, 모바일용 애니메이션화를 서비스해서, 각각의 상황하에서도 나은 효과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는 먼저 흑백영상에 색을 오버레이해서 컬러영상을 만들 경우에, 다수의 상이한 옥외광고물 유형별로 매칭한 컬러색 등록정보로부터 상기 흑백영상을 오버레이해서, 옥외광고물별 맞춤컬러영상을 구현한다.
다음,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옥외광고물 모바일형 애니메이션화 모드는 상기한 아날로그 샘플링정보를 옥외광고물 유형별로 매칭한 컬러영상으로 세분화하여 등록한다.
그리고 나서, 옥외광고물 유형별로 컬러영상을 상이하게 만들 경우에, 상기 등록 정보로부터 상기 디지털 컬러영상을 상이하게 샘플링한다.
그래서, 이러한 디지털 컬러영상을 옥외광고물 유형별로 매칭한 컬러영상별 GUI로 상이하게 UI화함으로써, 옥외광고물의 모바일 영상을 애니메이션화하여 회신받는다.
이때, 추가적으로 모바일 기기별로 영상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옥외광고물 모바일형 애니메이션화 모드는 아래의 구성을 가진다.
즉, 옥외광고물 유형별로 컬러영상을 상이하게 UI화를 할 경우에, 다수의 상이한 모바일 기기 유형별로도 해당하는 GUI를 세분화하여 설정해서, 모바일 기기별로 맞게 영상처리를 제공한다.
한편,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옥외광고물 정보를 광고물 분석 시스템의 광고물 저장 DB에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시예의 측정기기에 설치한다.
그래서,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가 촬영한 사진이나 영상에서 가게명과 가게 전화번호, 간판 규격, 해당 매장 소재지에 관한 옥외광고물 구성정보를 상기 애니메이션 방식에 의해 회신받는다.
이때, 상기 옥외광고물 구성정보를 회신할 경우에는, 다수의 상이한 옥외광고물 구성 유형별로 매칭한 에지정합정보를 가진 정규화포맷으로부터 추출된 옥외광고물 구성정보를 정규화해서, 옥외광고물 구성별로 맞게 정보추출한다.
그리고, 예를 들어, 이러한 정규화포맷은 다수의 상이한 옥외광고물 유형별로 에지정합정보를 세분화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옥외광고물 유형과, 옥외광고물 구성 유형별로 상기 모바일 흑백/컬러 영상별 GUI를 세분화하여 설정함으로써, 모바일 옥외광고물 영상을 다중으로 애니메이션화한다.
10 : 광고물 분석 시스템
11 : 광고물 분석 AI
12 : 광고물 저장 DB
100 : 카메라
200 : 통신부
300 : 보조기억장치
400 : 디스플레이
500 : 제어부
11 : 광고물 분석 AI
12 : 광고물 저장 DB
100 : 카메라
200 : 통신부
300 : 보조기억장치
400 : 디스플레이
500 : 제어부
Claims (10)
- 다수의 상이한 옥외광고물을 촬영하여 전수조사하기 위한 다수의 카메라 렌즈를 구비한 카메라;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한 옥외광고물 영상을 디지털 신호 처리하는 DSP부;
상기 DSP부에 의해 처리한 옥외광고물 영상 정보를 등록 광고물 분석 시스템에 제공하도록 하고, 상기 광고물 분석 시스템으로부터 옥외광고물 정보를 제공받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옥외광고물 영상 정보를 상기 광고물 분석 시스템에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카메라는,
a) 상기 다수의 카메라 렌즈별로 각기 필터교환 구동부(A)와 투명부(B), 적외선 차단 필터부(C)를 순서대로 형성한 제 1 필터교환부와 투명부(B)와 적외선 투과부(D), 필터교환 구동부(A)를 순서대로 형성한 제 2 필터교환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필터교환부와 상기 제 2 필터교환부는 상하방향으로 각 투명부(B)를 상대측의 투명부(B)와 적외선 투과부(D) 또는, 적외선 차단 필터부(C)에 모두 부분적으로 겹쳐서 설치해서,
b) 설정 제 1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필터교환부는 투명부(B)로, 상기 제 2 필터교환부는 투명부(B)로 필터교환해서 옥외광고물의 모바일 흑백영상을 구현하며,
상기 모바일 흑백영상을 구현한 경우, 사용자 선택정보에 따라 해당 흑백영상에 다수의 상이한 색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색상으로 색을 오버레이해서는 모바일 컬러영상을 구현하고,
c) 설정 제 2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필터교환부는 적외선 차단 필터부(C), 상기 제 2 필터교환부는 투명부(B)로 필터교환해서 모바일 컬러영상을 구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물 분석 시스템에서 옥외광고물 정보를 제공받을 경우에, 아래의 옥외광고물 모바일형 애니메이션화 모드로부터 상기 다수의 카메라 렌즈별로 전수조사한 상이한 옥외광고물 정보마다 각기 상이하게 애니메이션화하여 제공하고,
상기 옥외광고물 모바일형 애니메이션화 모드는,
a) 상기 카메라에 의한 전수조사 영상을 제공할 경우에, 상기 광고물 분석 시스템에서 모바일 흑백영상과 모바일 컬러영상 유형별로 설정 다수의 상이한 아날로그 간격과 주기, 싸이클 정보를 매칭하여 아날로그 샘플링정보를 미리 등록하고,
b) 상기 제 1 모드 또는 상기 제 2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설정할 때, 상기 아날로그 샘플링정보로부터 각각의 모드별로 구현한 디지털영상을 상이하게 샘플링해서, 옥외광고물의 모바일 영상을 애니메이션화하고,
c) 상기 샘플링한 디지털영상을 설정 모바일 흑백/컬러 영상별 GUI로 상이하게 UI화해서, 옥외광고물을 모바일형 애니메이션으로 회신받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렌즈를 사용한 옥외광고물 전수조사용 측정기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c)에서 설정 제 1 광량보다 낮은 광을 입사한 경우, 상기 b)로 필터를 교환 지시하고,
상기 카메라는,
d) 상기 지시에 따른 제 1 악천후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제 1 필터교환부는 투명부(B)로, 상기 제 2 필터교환부는 투명부(B)로 필터교환해서 흑백영상을 구현하고,
상기 옥외광고물 모바일형 애니메이션화 모드는,
a) 상기 흑백영상을 구현할 때에, 상기 아날로그 샘플링정보로부터 상기 디지털 흑백영상을 샘플링해서, 옥외광고물의 모바일 흑백영상을 애니메이션화하고,
b) 상기 샘플링한 디지털 흑백영상을 상기 모바일 흑백영상 GUI로 UI화해서, 옥외광고물을 모바일형 애니메이션으로 회신받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렌즈를 사용한 옥외광고물 전수조사용 측정기기.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c)에서 현재 컬러영상의 선명도값과 채도값을 현재 컬러영상의 마지막 이전 컬러영상의 선명도값과 채도값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 낮아진 경우에 상기 b)로 필터를 교환 지시하고,
상기 카메라는,
d') 상기 지시에 따른 제 2 악천후 모드인 경우에, 상기 제 1 필터교환부는 투명부(B)로, 상기 제 2 필터교환부는 투명부(B)로 필터교환해서 흑백영상을 구현하고,
상기 옥외광고물 모바일형 애니메이션화 모드는,
a) 상기 흑백영상을 구현할 때에, 상기 아날로그 샘플링정보로부터 상기 디지털 흑백영상을 샘플링해서, 옥외광고물의 모바일 흑백영상을 애니메이션화하고,
b) 상기 샘플링한 디지털 흑백영상을 상기 모바일 흑백영상 GUI로 UI화해서, 옥외광고물을 모바일형 애니메이션으로 회신받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렌즈를 사용한 옥외광고물 전수조사용 측정기기.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옥외광고물 모바일형 애니메이션화 모드는,
상기 아날로그 샘플링정보를 모바일 흑백영상과 모바일 컬러영상별 해상도 유형마다 상기 아날로그 간격과 주기, 싸이클 정보를 상이하게 매칭해서 등록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렌즈를 사용한 옥외광고물 전수조사용 측정기기. - 청구항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흑백영상에 색을 오버레이해서 컬러영상을 구현할 경우에, 다수의 상이한 옥외광고물 유형별로 매칭한 컬러색 등록정보로부터 상기 흑백영상을 오버레이해서, 옥외광고물별 맞춤컬러영상을 구현하고,
상기 옥외광고물 모바일형 애니메이션화 모드는,
a) 상기 아날로그 샘플링정보를 옥외광고물 유형별로 매칭한 컬러영상으로 세분화하여 등록하고,
b) 상기 옥외광고물 유형별로 컬러영상이 상이하게 구현할 경우에, 상기 등록 정보로부터 상기 구현된 디지털 컬러영상을 상이하게 샘플링해서,
c) 상기 샘플링된 디지털 컬러영상을 옥외광고물 유형별로 매칭한 컬러영상별 GUI로 상이하게 UI화함으로써, 옥외광고물의 모바일 영상을 애니메이션화하여 회신받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렌즈를 사용한 옥외광고물 전수조사용 측정기기.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옥외광고물 모바일형 애니메이션화 모드는,
상기 옥외광고물 유형별로 컬러영상을 상이하게 UI화를 할 경우에, 다수의 상이한 모바일 기기 유형별로도 해당하는 GUI를 세분화하여 설정해서, 모바일 기기별로 맞게 영상처리를 회신받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렌즈를 사용한 옥외광고물 전수조사용 측정기기.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사진이나 영상에서 가게명과 가게 전화번호, 간판 규격, 해당 매장 소재지에 관한 옥외광고물 구성정보를 상기 애니메이션 방식에 의해 회신받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렌즈를 사용한 옥외광고물 전수조사용 측정기기.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옥외광고물 구성정보를 회신할 경우에는, 다수의 상이한 옥외광고물 구성 유형별로 매칭한 에지정합정보를 가진 정규화포맷으로부터 상기 옥외광고물 구성정보를 정규화해서, 옥외광고물 구성별로 맞게 정보추출을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렌즈를 사용한 옥외광고물 전수조사용 측정기기.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정규화포맷은,
다수의 상이한 옥외광고물 유형별로 에지정합정보를 세분화하여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렌즈를 사용한 옥외광고물 전수조사용 측정기기.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옥외광고물 유형과 옥외광고물 구성 유형별로 상기 모바일 흑백/컬러 영상별 GUI를 세분화하여 설정해서, 모바일 옥외광고물 영상을 다중으로 애니메이션화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렌즈를 사용한 옥외광고물 전수조사용 측정기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7464A KR102528808B1 (ko) | 2021-09-03 | 2021-09-03 | 다중 렌즈를 사용한 전수조사용 옥외광고물 측정기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7464A KR102528808B1 (ko) | 2021-09-03 | 2021-09-03 | 다중 렌즈를 사용한 전수조사용 옥외광고물 측정기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5164A true KR20230035164A (ko) | 2023-03-13 |
KR102528808B1 KR102528808B1 (ko) | 2023-05-04 |
Family
ID=85513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17464A KR102528808B1 (ko) | 2021-09-03 | 2021-09-03 | 다중 렌즈를 사용한 전수조사용 옥외광고물 측정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28808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5431B1 (ko) | 2007-02-12 | 2007-09-04 | 주식회사 명진 아이앤씨 | 피디에이를 이용한 옥외광고물 전수조사 시스템 |
KR101047378B1 (ko) | 2009-05-13 | 2011-07-07 | 문추연 | 옥외광고물 측정시스템 |
KR20160034754A (ko) * | 2014-09-22 | 2016-03-30 | 임근원 | 스마트폰을 이용한 옥외간판 전수조사 및 그 옥외광고물 관리방법 |
-
2021
- 2021-09-03 KR KR1020210117464A patent/KR10252880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5431B1 (ko) | 2007-02-12 | 2007-09-04 | 주식회사 명진 아이앤씨 | 피디에이를 이용한 옥외광고물 전수조사 시스템 |
KR101047378B1 (ko) | 2009-05-13 | 2011-07-07 | 문추연 | 옥외광고물 측정시스템 |
KR20160034754A (ko) * | 2014-09-22 | 2016-03-30 | 임근원 | 스마트폰을 이용한 옥외간판 전수조사 및 그 옥외광고물 관리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28808B1 (ko) | 2023-05-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18943B2 (en) | CV tag video image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layer generating and selection functions | |
US8515673B2 (en) | Crime risk assessment system | |
Downes et al. | What you see is not always what you get: A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of ex ante visualizations with ex post photography of landscape and architectural projects | |
CA2761794C (en) |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acquiring and analyzing vehicle data and generating an electronic representation of vehicle operations | |
US20130067505A1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auditing signage | |
EP2617007B1 (en) | Visualizing video within existing still images | |
US20110109618A1 (en) | Method of displaying navigation data in 3d | |
JP6653361B2 (ja) | 路面標示画像処理装置、路面標示画像処理方法及び路面標示画像処理プログラム | |
CN116227834A (zh) | 一种基于三维点云模型的智能景区数字化平台 | |
KR102308193B1 (ko) | Ocr기술을 활용한 옥외광고물 측정기기 및 그와 연동되는 운영시스템 | |
Ma et al. | Multiview feature aggregation for facade parsing | |
Ito et al. | Translating street view imagery to correct perspectives to enhance bikeability and walkability studies | |
KR102528808B1 (ko) | 다중 렌즈를 사용한 전수조사용 옥외광고물 측정기기 | |
KR102230352B1 (ko) | Ar 및 gps를 적용한 옥외광고물 측정기기 | |
Leberl et al. | Aerial computer vision for a 3d virtual habitat | |
KR102639240B1 (ko) | 다중 영상을 사용한 옥외광고물 측정기기 | |
KR102329623B1 (ko) | 5g 기반 ai 옥외 광고물 분석 시스템 | |
KR102377122B1 (ko) | 옥외 광고물 분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측정기기 | |
CN115512084A (zh) | 基于ar的店铺分析方法、装置、终端设备及服务器 | |
KR20010078123A (ko) |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위치정보 안내시스템 및위치정보 안내방법 | |
JP2020096255A (ja) | 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学習済みモデルの生成方法及び学習済みモデル | |
WO2023282570A1 (ko) | Ar을 이용한 광고판 관리 및 거래 플랫폼 | |
WO2009126159A1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auditing signage | |
KR20230007237A (ko) | Ar을 이용한 광고판 관리 및 거래 플랫폼 | |
Deng | Discovering Perceived Images of Reused Industrial Heritage from User-Generated Photographs: Three Mega-Event-Reinforced Industrial Heritage Transformation Cas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