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5097A -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방법 및 장치, 단말 및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방법 및 장치, 단말 및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5097A
KR20230035097A KR1020237004144A KR20237004144A KR20230035097A KR 20230035097 A KR20230035097 A KR 20230035097A KR 1020237004144 A KR1020237004144 A KR 1020237004144A KR 20237004144 A KR20237004144 A KR 20237004144A KR 20230035097 A KR20230035097 A KR 20230035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de
target network
access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4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옌샤 장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35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50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방법 및 장치, 단말 및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개시한다. 상기 방법은, 셀에 의해 제공된 액세스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단말이 동작하는 네트워크 모드와 대상 네트워크 모드가 일치하고, 액세스 제어 정보에 의해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지시되는 경우, 셀을 긴급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는 셀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제어 정보는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도록 허용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Description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방법 및 장치, 단말 및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7월 9일 중국에 제출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2010658650.0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방법 및 장치, 단말 및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네트워크측에 의해 해당 셀이 긴급 서비스의 제공을 지원하도록 지시되는 경우, 단말이 어떤 네트워크에 의해 긴급 서비스가 제공되는지를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은 불필요한 시도를 해야 하므로 제때에 긴급 서비스를 획득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단말이 어떤 네트워크에 의해 긴급 서비스가 제공되는지를 구분할 수 없어 제때에 긴급 서비스를 획득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방법 및 장치, 단말 및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은 다음과 같다.
제1 측면에서, 단말에 적용되는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셀에 의해 제공된 액세스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동작하는 네트워크 모드와 상기 대상 네트워크 모드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셀을 상기 긴급 서비스를 획득 가능한 셀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제어 정보는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도록 허용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2 측면에서,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셀에 의해 제공된 액세스 제어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액세스 제어 정보는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도록 허용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획득 모듈; 및, 상기 단말이 동작하는 네트워크 모드와 상기 대상 네트워크 모드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셀을 상기 긴급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는 셀로 결정하기 위한 제1 결정 모듈;을 포함한다.
제3 측면에서, 단말을 제공하며, 상기 단말은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제1 측면의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제4 측면에서, 네트워크측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측 장치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제1 측면의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제5 측면에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고,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제1 측면의 방법의 단계가 구현된다.
제6 측면에서, 프로세서와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칩을 제공하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측면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셀에 의해 제공된 액세스 제어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대상 네트워크 모드와 자체가 동작하는 네트워크 모드가 일치하고, 액세스 제어 정보에 의해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지시되는 경우, 단말은 셀을 긴급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는 셀로 결정하며, 즉 단말은 셀에 의해 제공된 액세스 제어 정보에 따라 긴급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는지 여부를 신속히 판단할 수 있어, 단말이 불필요한 시도를 하는 것을 방지하고,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단말이 어떤 네트워크에 의해 긴급 서비스가 제공되는지를 구분할 수 없어 제때에 긴급 서비스를 획득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단말의 하드웨어 구조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첨부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며,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아니며, 단지 일부분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고 얻은 다른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용어 "제1", "제2" 등은 유사한 객체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특정 순서 또는 선후 순서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데이터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여기에 예시되거나 설명된 것과 다른 순서로 실시될 수 있도록 적절한 상황에서 교환될 수 있고, "제1", "제2" 등으로 구분되는 객체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유형이고 객체의 수를 제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제1 객체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일 수 있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및/또는"은 연결된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고, 문자 "/"는 일반적으로 연결된 객체가 "또는"의 관계임을 나타낸다.
먼저 본 발명의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1) 비공용 네트워크(non-public network, NPN);
산업 환경에서 많은 애플리케이션(예: 제조, 자동화 제어 등)은 낮은 대기 시간, 높은 신뢰성 등과 같은 높은 성능을 요구한다. 로컬 네트워크에서는 장치의 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이러한 성능 요구사항을 충족하기 어렵지만, 기존 유선 링크 대신 무선 링크를 사용하여 5G 통신망을 통해 이러한 수직 산업에 LAN형 사설망을 제공함으로써, 수직 산업의 통신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다.
현재, 3GPP는 수직 산업에서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해 다음의 두가지 비공용 네트워크(NPN) 배포 방식을 채택하는 것을 동의하는데, 첫번째 방식은, 독립형 NPN 배포(standalone NPN, SNPN) 방식이며, 상기 방식은 공용 네트워크에 의존하지 않고, 네트워크측에 의해 제공되는 비공용 네트워크 식별자(예: SNPN ID)를 통해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이 특정 네트워크에 캠핑될 수 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며, 예를 들어, 기존의 UE(예: SNPN 액세스를 지원하지 않는 UE)는 SNPN 네트워크에 해당하는 셀 상에 정상적으로 캠핑될 수 없고, SNPN UE는 공중 육상 이동통신망(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네트워크에 해당하는 셀 상에 정상적으로 캠핑될 수 없다. SNPN 기능이 있는 UE는 SNPN 모드 또는 PLMN 모드에서 모두 동작할 수 있다. UE는 SNPN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 SNPN를 통해서만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PLMN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 PLMN를 통해서만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두번째 방식은, 비독립형 NPN 배포(Public Network Integrated NPN, PNI-NPN) 방식이며, 상기 방식은 공용 네트워크에 의존한다. 상기 배포 시나리오에서는 특정 셀에 대한 UE 액세스 제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폐쇄 액세스 그룹(Closed Access Group, CAG) 개념이 도입된다. 예를 들어, UE가 NPN 서비스에 가입할 때 상기 UE가 속하는 CAG를 지시하고, 셀은 UE가 특정 셀에 액세스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CAG 식별자를 제공한다. UE가 속한 액세스 그룹이 CAG1이고, 셀이 지원하는 액세스 그룹이 CAG1 및 CAG2인 경우, UE는 셀에 액세스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셀이 지원하는 액세스 그룹이 단지 CAG2인 경우, UE는 해당 셀에 액세스할 수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2) RAN sharing;
무선 접속 네트워크(Wireless Access Network, RAN) 공유는 여러 사업자들이 동일한 무선 접속 네트워크를 공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비공용 네트워크 배포 시나리오에서, 비공용 네트워크(예: SNPN ID로 식별되는 네트워크) 및 공용 네트워크(예: PLMN ID로 식별되는 네트워크)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를 공유할 수 있다. NR에서 최대 12개 네트워크(예: PLMN ID로 식별되는 네트워크 및/또는 SNPN ID로 식별되는 네트워크 및/또는 PLMN ID+CAG ID로 식별되는 네트워크)가 공유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은 장기 진화(Long Term Evolution, LTE)/LTE 진화(LTE-Advanced, LTE-A) 시스템에 국한되지 않고,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단일 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Single-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및 다른 시스템과 같은 기타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용어 "시스템"과 "네트워크"는 항상 상호 대체 가능하게 사용되고, 여기에서 설명된 기술은 상기 시스템 및 무선 기술뿐만 아니라 다른 시스템 및 무선 기술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다음 설명은 예시의 목적으로 엔알(New Radio, NR) 시스템을 설명하고, 용어 NR은 다음 설명의 대부분에서 사용되지만, 이러한 기술은 6세대(6th Generation, 6G) 통신 시스템과 같은 NR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이외의 애플리케이션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무선통신시스템은 단말(11) 및 네트워크측 장치(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11)은 단말 장비 또는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이라고도 불리우며, 단말(11)은 핸드폰, 태블릿 컴퓨터(Tablet Personal Computer), 랩톱 컴퓨터(Laptop Computer) 또는 노트북, 개인용 디지털 비서(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팜탑, 넷북, 울트라 모바일 개인용 컴퓨터(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UMPC), 모바일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 MID),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또는 차량 탑재 장치(Vehicle User Equipment, VUE), 보행자 사용자 장비(Pedestrian User Equipment, PUE) 등 단말측 장치일 수 있고, 웨어러블 장치는 스마트 팔찌, 이어폰, 스마트 안경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11)의 구체적인 유형을 제한하지 않는다. 네트워크측 장치(12)는 기지국 또는 핵심 네트워크일 수 있고, 상기 기지국은 노드 B, 진화된 노드 B, 액세스 포인트,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ase Transceiver Station, BTS), 라디오 기지국, 라디오 트랜시버,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 확장 서비스 세트(Extended Service Set, ESS), B 노드, 진화형 B 노드(eNB), 홈 노드 B, 진화형 홈 노드 B, WLAN 액세스 포인트, WiFi 노드, 송수신 포인트(Transmitting Receiving Point, TRP) 또는 상기 분야의 다른 적절한 용어로 불리울 수 있고, 상기 기지국은 특정 기술 용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지 NR 시스템의 기지국을 예로 들지만, 기지국의 구체적인 유형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고, 구체적인 실시예 및 적용 시나리오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에 적용되는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즉:
단계 S202, 셀에 의해 제공된 액세스 제어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액세스 제어 정보는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도록 허용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단계 S204, 단말이 동작하는 네트워크 모드와 대상 네트워크 모드가 일치하고, 액세스 제어 정보에 의해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지시되는 경우, 셀을 긴급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는 셀로 결정한다.
상기 단계 S202 및 단계 S204 로부터 알 수 있다시피, 셀에 의해 제공된 액세스 제어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대상 네트워크 모드와 자체가 동작하는 네트워크 모드가 일치하고, 액세스 제어 정보에 의해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지시되는 경우, 단말은 셀을 긴급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는 셀로 결정하며, 즉 단말은 셀에 의해 제공된 액세스 제어 정보에 따라 긴급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는지 여부를 신속히 판단할 수 있어, 단말이 불필요한 시도를 하는 것을 방지하고,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단말이 어떤 네트워크에 의해 긴급 서비스가 제공되는지를 구분할 수 없어 제때에 긴급 서비스를 획득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구현 방식에서, 단말의 현재의 네트워크 모드와 대상 네트워크 모드가 일치하지 않거나 또는 액세스 제어 정보에 의해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도록 지시되는 경우, 셀을 긴급 서비스를 획득할 수 없는 셀로 결정한다. 즉, 단말은 액세스 제어 정보에 따라, 셀에서 긴급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의 현재의 네트워크 모드와 대상 네트워크 모드가 일치하지 않거나 또는 액세스 제어 정보에 의해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도록 지시되는 경우, 상기 셀의 사용이 금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은 제한된 서비스 상태의 단말이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대상 네트워크 모드는 독립형 비공용 네트워크(SNPN) 모드 및 공중 육상 이동통신망(PLMN) 모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SNPN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에는, SNPN 기능이 있고 SNPN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 폐쇄 액세스 그룹(CAG) 기능이 있는 단말, SNPN 기능 및 CAG 기능이 없는 단말이 포함될 수 있다. 단말의 SNPN 능력은 SNPN 액세스 능력과 동등하고, CAG 능력은 CAG 액세스 능력과 동등하다.
상기 SNPN 기능 및 CAG 기능이 없는 단말은 레거시 단말이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셀의 유형에는 다음 사항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다. 즉:
1) PLMN 및 SNPN 액세스를 지원하는 셀: 즉, PLMN 및 SNPN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는 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공용 네트워크 액세스(공용 네트워크는 PLMN ID로 식별) 및 하나 이상의 독립적으로 배포된 비공용 네트워크 액세스(독립적으로 배포된 비공용 네트워크는 SNPN ID로 식별)의 셀.
2) SNPN, PLMN 및 폐쇄 액세스 그룹(CAG) 액세스의 셀: 즉, SNPN, PLMN 및 CAG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는 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공용 네트워크 액세스(PLMN ID로 식별) 및 하나 이상의 독립적으로 배포된 비공용 네트워크 액세스(SNPN ID로 식별) 및 하나 이상의 비독립적으로 배포된 비공용 네트워크 액세스(PLMN ID+CAG ID로 식별)의 셀.
3) SNPN 및 CAG 액세스를 지원하는 셀: 즉, SNPN 및 CAG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는 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독립적으로 배포된 비공용 네트워크 액세스(SNPN ID로 식별) 및 하나 이상의 비독립적으로 배포된 비공용 네트워크 액세스(PLMN ID+CAG ID로 식별)의 셀.
4) SNPN 액세스를 지원하는 셀: SNPN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는 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비공용 네트워크 액세스(SNPN ID로 식별)의 셀.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액세스 제어 정보는 제1 지시 정보 및 제2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SNPN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도록 허용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PLMN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도록 허용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제1 지시 정보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1 지시 정보는 per cell의 지시 정보, 예를 들어 SIB1에 포함된 per cell의 지시 정보(예: 1 비트 지시 정보)일 수 있으며, 지시 정보의 값이 "1"인 경우, SNPN 모드에서 동작하는 UE가 상기 셀에서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지원함을 나타내고, 값이 "0"인 경우, SNPN 모드에서 동작하는 UE가 상기 셀에서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지원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또는, SIB1에 per cell의 지시 정보(예: 1 비트 지시 정보)가 포함되거나 존재하는 경우, SNPN 모드의 UE가 상기 셀에서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지원함을 나타내고, SIB1에 per cell의 지시 정보(예: 1 비트 지시 정보)가 포함되지 않거나 존재하지 않는 경우, SNPN 모드의 UE가 상기 셀에서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지원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예시적으로, 제1 지시 정보가 per cell의 지시 정보이고, 상기 셀을 공유하는 모든 독립적으로 배포된 비공용 네트워크가 모두 긴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 네트워크측은 제1 지시 정보를 SNPN 모드의 UE가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지원하지 않도록 설정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1 지시 정보를 SNPN 모드의 UE가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설정한다. 예를 들어, 셀 A는 SNPN1 및 SNPN2 등 두가지 독립적으로 배포된 비공용 네트워크 액세스(즉, SNPN1 및 SNPN2 등 두가지 독립적으로 배포된 비공용 네트워크 공유 셀 A)를 지원할 수 있고, SNPN1 및 SNPN2가 모두 긴급 서비스의 제공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네트워크는 제1 지시 정보를 SNPN 모드의 UE가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지원하지 않도록 설정하며, 제1 지시 정보가 1 비트 지시인 경우, 상기 1 비트를 "0"으로 설정한다. 또는,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다. 또는,
제1 지시 정보는 1 비트 지시 정보 또는 비트맵과 같은 per SNPN의 지시 정보일 수 있으며, 비트맵의 각 비트는 독립적으로 배포된 비공용 네트워크에 대응되며; 특정 시나리오에서, 셀 1이 SNPN1 및 SNPN2 등 두가지 독립적으로 배포된 비공용 네트워크 액세스를 지원하는 경우, 각각의 독립적으로 배포된 비공용 네트워크(예: SNPN1)에 대해 모두 하나의 지시 정보가 있고, 지시 정보의 값이 "1"인 경우, 대응하는 독립적으로 배포된 비공용 네트워크(예: SNPN 1)는 긴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SNPN 모드의 UE는 상기 독립적으로 배포된 비공용 네트워크를 통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다. 지시 정보의 값이 "0"인 경우, 대응하는 독립적으로 배포된 비공용 네트워크(예: SNPN 1)는 긴급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SNPN 모드의 UE는 상기 독립적으로 배포된 비공용 네트워크를 통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할 수 없다. 또는, 네트워크측(예: SIB1에 지시 정보가 존재함)에서 per SNPN의 지시 정보(예: 1 비트 지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대응하는 독립적으로 배포된 비공용 네트워크(예: SNPN 1)가 긴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SNPN 모드의 UE는 상기 독립적으로 배포된 비공용 네트워크를 통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예: SIB1에 지시 정보가 존재하지 않음)에서 per SNPN의 지시 정보(예: 1 비트지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 대응하는 독립적으로 배포된 비공용 네트워크(예: SNPN 1)가 긴급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음을 나타내고, SNPN 모드의 UE는 상기 독립적으로 배포된 비공용 네트워크에서 긴급 서비스를 획득할 수 없다.
제2 지시 정보의 경우, 특정 적용 시나리오에서 비트 정보를 이용하여 긴급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시할 수도 있으며, 그 방식은 제1 지시 정보와 유사하므로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다음 방식으로,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셀에서 긴급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1) 획득된 액세스 제어 지시 정보에 의해 셀이 SNPN 모드의 UE가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지시되는 경우, UE가 SNPN 모드의 UE(예: 제한된 서비스 모드의 UE)이면, UE는 상기 셀에서 긴급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네트워크측에서 per cell의 지시 정보(예: SIB1에 포함)를 제공하는 경우, 지시 정보에 의해 상기 셀이 SNPN 모드의 UE에 긴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지시되면, SNPN 모드의 UE는 상기 셀에서 긴급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또는, 네트워크측에서 per SNPN의 지시 정보(예: SIB1에 지시 정보가 존재함)를 제공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지시 정보에 의해 대응하는 독립적으로 배포된 비공용 네트워크가 긴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지시되면, SNPN 모드의 UE는 상기 셀에서 긴급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2) 획득된 액세스 제어 지시 정보에 의해서만 셀이 SNPN 모드의 UE가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지시되고, UE가 PLMN 모드의 UE이면, UE(예: 제한된 서비스 모드의 UE)는 상기 셀에서 긴급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3) 획득된 액세스 제어 지시 정보에 의해서만 셀이 PLMN 모드의 UE가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지시되는 경우, UE가 SNPN 모드의 UE(예: 제한 서비스 모드의 UE)이면, UE는 상기 셀에서 긴급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은, 단말이 동작하는 네트워크 모드와 대상 네트워크 모드가 일치하고, 액세스 제어 정보에 의해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지시되는 경우, 긴급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는 셀을 셀 선택 또는 재선택 후보 셀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긴급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는 셀을 높은 우선 순위의 셀 선택 또는 재선택 후보 셀로 결정할 수 있으며, 즉, 복수의 후보 셀(예를 들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는 셀과 긴급 서비스를 획득할 수 없는 셀을 포함)이 존재하는 경우, 긴급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는 셀을 셀 선택 또는 재선택 후보 셀로 우선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계 S202에서 언급된 셀에 의해 제공된 액세스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은, 액세스 계층을 통해 셀에 의해 제공된 액세스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액세스 계층을 통해 셀에 의해 제공된 액세스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후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은, 액세스 계층을 통해 비 액세스 계층에 액세스 제어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액세스 계층을 통해 셀에 의해 제공된 액세스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후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은, 액세스 계층을 통해 비 액세스 계층에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식별 정보는 액세스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per SNPN의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경우와 같이, 네트워크 식별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네트워크 식별자는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per cell의 지시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경우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식별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네트워크 식별자는 복수개일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셀 A는 독립적으로 배포된 비공용 네트워크 SNPN1 및 SNPN2 액세스를 지원할 수 있고,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per cell의 지시 정보인 경우, 액세스 계층은 비 액세스 계층에 제1 지시 정보를 입력할 때, SNPN 1 및 SNPN2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식별자와 같은 제1 지시 정보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식별자를 추가로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제1 지시 정보가 상기 per SNPN의 지시 정보인 경우, 액세스 계층은 비 액세스 계층에 제1 지시 정보를 입력할 때, SNPN1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식별자와 같은 제1 지시 정보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식별자를 추가로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액세스 계층을 통해 비 액세스 계층에 액세스 제어 정보와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입력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다음과 같다. 즉:
1) UE AS는 UE NAS에 셀에서 획득된 액세스 제어 지시 정보 지시 및 지시 정보에 대응하는 독립적으로 배포된 비공용 네트워크 식별자(예: SNPN ID)를 입력한다.
해당 방식은 전술한 per SNPN의 지시 정보에 해당한다.
2) UE AS는 UE NAS에 셀에서 획득된 액세스 제어 지시 정보 지시 및 셀에 대응하는 모든 독립적으로 배포된 비공용 네트워크 식별자(예: SNPN ID)를 입력한다.
해당 방법은 전술한 per cell의 지시 정보에 해당한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식별 정보가 액세스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 네트워크 모드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비 액세스 계층을 통해 긴급 서비스를 시작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은, 액세스 제어 정보에 의해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지시되고, 단말의 네트워크 모드와 대상 네트워크 모드가 일치하고, 단말에 의해 선택 또는 등록된 네트워크의 식별자가 네트워크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된 대상 네트워크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 액세스 계층을 통해 네트워크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된 대상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액세스 제어 정보가 per SNPN 지시 정보인 경우, 상기 비 액세스 계층을 통해 긴급 서비스를 시작하는 방식은 특정 적용 시나리오에서 다음과 같을 수 있는데, 즉: 획득된 액세스 제어 지시 정보에 의해 셀이 SNPN 모드의 UE가 긴급 서비스(상기 지시 정보는 독립적으로 배포된 비공용 네트워크 SNPN1에 대응함)를 획득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지시되고, SNPN 모드의 UE의 선택 SNPN 또는 등록 SNPN(예: UE의 선택 SNPN 또는 등록 SNPN은 SNPN2)과 액세스 제어 지시 정보에 대응하는 독립적으로 배포된 SNPN(예: SNPN1)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UE NAS계층은 SNPN 선택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UE는 획득된 액세스 제어 지시 정보를 기반으로, SNPN 모드의 UE가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지원하는 독립적으로 배포된 비공용 네트워크를 선택한다. 예시적으로, UE NAS는 SNPN 선택 절차를 수행하여 독립적으로 배포된 비공용 네트워크 SNPN1를 선택한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식별 정보가 셀에 대응하는 모든 대상 네트워크 모드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비 액세스 계층을 통해 긴급 서비스를 시작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은, 액세스 제어 정보에 의해 제1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도록 지시되고, 단말의 네트워크 모드와 제1 대상 네트워크 모드가 일치하고, 단말에 의해 선택 또는 등록된 네트워크가 네트워크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된 제1 대상 네트워크와 일치한 경우, 비 액세스 계층을 통해 제2 대상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 대응하는 액세스 제어 정보는 제1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지시한다.
액세스 제어 정보가 per SNPN 지시 정보인 경우, 상기 비 액세스 계층을 통해 긴급 서비스를 시작하는 방식은 특정 적용 시나리오에서 다음과 같을 수 있는데, 즉: 획득된 액세스 제어 지시 정보에 의해 셀이 SNPN1 모드의 UE가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지원하지 않도록 지시되고, SNPN1 모드의 UE의 선택 SNPN와 액세스 제어 지시 정보에 대응하는 독립적으로 배포된 SNPN1가 일치하는 경우, UE NAS 계층은 SNPN 선택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SNPN 모드의 UE의 선택 SNPN는 SNPN1이고, 획득된 지시 정보에 의해 SNPN1가 긴급 서비스의 제공을 지원하지 않도록 지시되는 경우, UE는 SNPN 선택을 수행한다. 예시적으로, UE는 획득된 액세스 제어 지시 정보를 기반으로, SNPN 모드의 UE가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지원하는 독립적으로 배포된 비공용 네트워크를 선택하며; 예를 들어, UE에 의해 획득된 액세스 제어 지시 정보에 의해 SNPN2가 긴급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지시되는 경우, UE NAS는 SNPN2를 선택한다.
본 발명의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방법을 통해, 대상 유형의 단말(예: SNPN 모드의 UE)은 네트워크측에 의해 제공된 액세스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 유형의 단말이 상기 셀에서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시도로 인해 긴급 서비스를 제때에 획득할 수 없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방법의 실행 주체는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장치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장치 중의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모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장치에 의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제공하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장치의 구조도이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셀에 의해 제공된 액세스 제어 정보를 획득하되, 액세스 제어 정보는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도록 허용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획득 모듈(32); 및,
단말이 동작하는 네트워크 모드와 대상 네트워크 모드가 일치하고, 액세스 제어 정보에 의해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지시되는 경우, 셀을 긴급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는 셀로 결정하기 위한 제1 결정 모듈(34);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장치는, 단말의 현재의 네트워크 모드와 대상 네트워크 모드가 일치하고, 액세스 제어 정보에 의해 상기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지시되는 경우, 상기 긴급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는 셀을 셀 선택 또는 재선택 후보 셀로 결정하기 위한 제2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대상 네트워크 모드는 독립형 비공용 네트워크(PLMN) 모드 및 공중 육상 이동통신망(SNPN) 모드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SNPN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에는, SNPN 기능이 있고 SNPN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포함되며; PLMN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에는, SNPN 기능이 있고 PLMN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 폐쇄 액세스 그룹(CAG) 기능이 있는 단말, SNPN 기능 및 CAG 기능이 없는 단말이 포함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액세스 제어 정보는 제1 지시 정보 및 제2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SNPN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도록 허용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PLMN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도록 허용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셀의 유형은 PLMN 및 SNPN 액세스를 지원하는 셀; SNPN, PLMN 및 폐쇄 액세스 그룹(CAG) 액세스를 지원하는 셀; SNPN 및 CAG 액세스를 지원하는 셀; 및, SNPN 액세스를 지원하는 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획득 모듈(32)은 또한 액세스 계층을 통해 셀에 의해 제공된 액세스 제어 정보를 획득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액세스 계층을 통해 비 액세스 계층에 액세스 제어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제1 입력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액세스 계층을 통해 비 액세스 계층에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입력하되 상기 네트워크 식별 정보는 상기 액세스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2 입력 모듈;을 더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식별 정보가 액세스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 네트워크 모드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비 액세스 계층을 통해 긴급 서비스를 시작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액세스 제어 정보에 의해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지시되고, 단말의 네트워크 모드와 대상 네트워크 모드가 일치하고, 단말에 의해 선택 또는 등록된 네트워크가 네트워크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된 대상 네트워크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 액세스 계층을 통해 네트워크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된 대상 네트워크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선택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 식별 정보는 셀에 대응하는 모든 대상 네트워크 모드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비 액세스 계층을 통해 긴급 서비스를 시작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액세스 제어 정보에 의해 제1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도록 지시되고, 단말의 네트워크 모드와 제1 대상 네트워크 모드가 일치하고, 단말에 의해 선택 또는 등록된 네트워크가 네트워크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된 제1 대상 네트워크와 일치한 경우, 비 액세스 계층을 통해 제2 대상 네트워크를 선택하기 위한 제2 선택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대상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액세스 제어 정보는 제1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지시한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단말의 현재의 네트워크 모드와 액세스 제어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대상 네트워크 모드가 일치하지 않거나 또는 액세스 제어 정보에 의해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도록 지시되는 경우, 셀을 긴급 서비스를 획득할 수 없는 셀로 결정하기 위한 제3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단말의 현재의 네트워크 모드와 대상 네트워크 모드가 않는 일치하지 않거나 또는 액세스 제어 정보에 의해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도록 지시되는 경우, 해당 셀의 사용을 금지하기 위한 금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은 제한된 서비스 상태의 단말이다.
본 발명의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통해, 대상 유형의 단말(예: SNPN 모드의 UE)은 네트워크측에 의해 제공된 액세스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 유형의 단말이 상기 셀에서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시도로 인해 긴급 서비스를 제때에 획득할 수 없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장치는 장치일 수 있으며, 또는 단말의 구성요소, 집적회로 또는 칩일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모바일 단말 또는 비 모바일 단말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모바일 단말은 전술한 단말(11)의 유형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비 모바일 단말은 서버, 네트워크 연결 스토리지(Network Attached Storage, NAS),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텔레비전(television, TV), 현금 인출기 또는 셀프 서비스 기계 등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장치는 운영체제를 구비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운영체제는 안드로이드(Android) 운영체제, ios 운영체제 또는 기타 가능한 운영체제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장치는 도 2의 방법 실시예에서 구현되는 각 프로세스를 구현할 수 있고, 동등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대안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통신 장치(400)를 제공하며, 상기 통신 장치는 프로세서(401), 메모리(402) 및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은 메모리(402)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401)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401)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상기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방법의 각 단계가 수행되고 동등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장치(400)가 네트워크측 장치인 경우,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401)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상기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가 수행되고 동등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단말의 하드웨어 구조도이다.
상기 단말(500)은 무선 주파수 장치(501), 네트워크 모듈(502), 오디오 출력 장치(503), 입력 장치(504), 센서(505), 표시 장치(506), 사용자 입력 장치(507), 인터페이스 장치(508), 메모리(509) 및 프로세서(510)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단말(500)은 또한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예를 들어, 배터리)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원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510)와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전력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및 전력 소비 관리 등 기능을 관리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단말 구조가 단말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지 않으며, 단말은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특정 구성요소를 조합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배치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입력 장치(504)는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5041) 및 마이크로폰(50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래픽 처리 장치(5041)는 비디오 캡처 모드 또는 이미지 캡처 모드에서 이미지 캡처 장치(예를 들어,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정지 이미지 또는 비디오의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한다. 표시 장치(506)는 표시 패널(50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 패널(506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장치(507)는 터치 패널(5071) 및 기타 입력 장치(5072)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5071)은 터치 스크린이라고도 한다. 터치 패널(5071)은 터치 감지 장치와 터치 컨트롤러 등 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입력 장치(5072)는 물리적 키보드, 기능 키(예를 들어, 볼륨 제어 버튼,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및 조이스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주파수 장치(501)는 네트워크측 장치에 의해 전송된 하향 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후, 프로세서(510)에 전송하여 처리하고; 또한, 상향링크 데이터를 네트워크측 장치에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 장치(501)는 안테나,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메모리(509)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또는 명령 및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509)는 주로 프로그램 또는 명령 저장 영역과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또는 명령 저장 영역에는 운영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예를 들어, 사운드 재생 기능, 이미지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명령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509)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비 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 휘발성 고체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하나 이상의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대안적으로, 프로세서(510)에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모뎀 처리 장치가 통합될 수 있으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또는 명령 등을 처리하며, 모뎀 처리 장치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모뎀 처리 장치는 프로세서(510)에 통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무선 주파수 장치(501)는 셀에 의해 제공된 액세스 제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고, 액세스 제어 정보는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을 제어하여 상기 셀에서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고,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도록 허용할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프로세서(510)는 단말이 동작하는 네트워크 모드와 대상 네트워크 모드가 일치하고, 액세스 제어 정보에 의해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지시되는 경우, 셀을 긴급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는 셀로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대상 유형의 단말(예: SNPN 모드의 UE)은 네트워크측에 의해 제공된 액세스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 유형의 단말이 상기 셀에서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불필요한 시도로 인해 긴급 서비스를 제때에 획득할 수 없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상기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가 수행되고 동등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의 프로세서이다. 상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의 예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칩을 추가로 제공하며, 상기 칩은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실행됨으로써, 상기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가 수행되고 동등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반복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칩은 시스템 레벨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또는 시스템 온 칩으로도 불릴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 "함유" 또는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 포함을 가리키며,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그 요소 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나열되지 않은 다른 요소도 포함하며, 또는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도 포함한다. 별도로 제한이 없는 한, "~을 포함"으로 정의된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서 다른 동일한 요소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 및 장치의 범위는 도시되거나 논의된 순서로 기능을 수행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관련된 기능에 따라 실질적으로 동시에 또는 역순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설명된 방법들은 설명된 것과 다른 순서로 수행될 수 있으며, 다양한 단계들이 추가, 생략 또는 조합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예를 참조하여 설명된 특징은 다른 예에서 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을 통해, 당업자는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부하는 방식에 의해 구현되거나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지만, 많은 경우에 소프트웨어와 필요한 일반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부하는 방식이 더 바람직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해에 기초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의 본질적 부분 또는 기존 기술에 기여한 부분 또는 해당 기술적 해결책의 전부 또는 일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단말(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이 수행될 수 있는 복수의 명령을 포함시켜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을 저장 매체(예를 들어,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첨부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일 뿐이고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당업자는 본 발명의 목적 및 청구범위에 따른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기반하여 다양한 변형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Claims (33)

  1. 단말에 적용되는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셀에 의해 제공된 액세스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액세스 제어 정보는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도록 허용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됨 - ;
    상기 단말이 동작하는 네트워크 모드와 상기 대상 네트워크 모드가 일치하고, 상기 액세스 제어 정보에 의해 상기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지시되는 경우, 상기 셀을 상기 긴급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는 셀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단말의 현재의 네트워크 모드와 상기 대상 네트워크 모드가 일치하고, 상기 액세스 제어 정보에 의해 상기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지시되는 경우, 상기 긴급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는 셀을 셀 선택 또는 재선택 후보 셀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네트워크 모드는 독립형 비공용 네트워크(SNPN) 모드 및 공중 육상 이동통신망(PLMN) 모드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SNPN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에는, SNPN 기능이 있고 SNPN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포함되고;
    상기 PLMN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에는, SNPN 기능이 있고 PLMN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 폐쇄 액세스 그룹(CAG) 기능이 있는 단말, SNPN 기능 및 CAG 기능이 없는 단말이 포함되는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제어 정보에는 제1 지시 정보 및 제2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며;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SNPN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도록 허용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PLMN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도록 허용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의 유형은,
    PLMN 및 SNPN 액세스를 지원하는 셀; SNPN, PLMN 및 폐쇄 액세스 그룹(CAG) 액세스를 지원하는 셀; SNPN 및 CAG 액세스를 지원하는 셀; 및, SNPN 액세스를 지원하는 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셀에 의해 제공된 액세스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액세스 계층을 통해 셀에 의해 제공된 액세스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액세스 계층을 통해 셀에 의해 제공된 액세스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액세스 계층을 통해 비 액세스 계층에 상기 액세스 제어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액세스 계층을 통해 셀에 의해 제공된 액세스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액세스 계층을 통해 비 액세스 계층에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 상기 네트워크 식별 정보는 상기 액세스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됨 - ;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식별 정보는 상기 액세스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비 액세스 계층을 통해 긴급 서비스를 시작할 때,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액세스 제어 정보에 의해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지시되고,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모드와 상기 대상 네트워크 모드가 일치하고, 상기 단말에 의해 선택 또는 등록된 네트워크의 식별자가 상기 네트워크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된 대상 네트워크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비 액세스 계층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된 대상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식별 정보는 상기 액세스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비 액세스 계층을 통해 긴급 서비스를 시작할 때,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액세스 제어 정보에 의해 제1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도록 지시되고,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모드와 상기 제1 대상 네트워크 모드가 일치하고, 상기 단말에 의해 선택 또는 등록된 네트워크의 식별자가 상기 네트워크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된 제1 대상 네트워크와 일치한 경우, 상기 비 액세스 계층을 통해 제2 대상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대상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액세스 제어 정보는 제1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지시하는 제어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단말의 현재의 네트워크 모드와 상기 대상 네트워크 모드가 일치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액세스 제어 정보에 의해 상기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도록 지시되는 경우, 상기 셀을 상기 긴급 서비스를 획득할 수 없는 셀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단말의 현재의 네트워크 모드와 상기 대상 네트워크 모드가 않는 일치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액세스 제어 정보에 의해 상기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도록 지시되는 경우, 상기 셀의 사용이 금지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은 제한된 서비스 상태에 있는 제어 방법.
  15.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장치에 있어서,
    셀에 의해 제공된 액세스 제어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액세스 제어 정보는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도록 허용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획득 모듈;
    상기 단말이 동작하는 네트워크 모드와 상기 대상 네트워크 모드가 일치하고, 상기 액세스 제어 정보에 의해 상기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지시되는 경우, 상기 셀을 상기 긴급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는 셀로 결정하기 위한 제1 결정 모듈;을 포함하는 제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현재의 네트워크 모드와 상기 대상 네트워크 모드가 일치하고, 상기 액세스 제어 정보에 의해 상기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지시되는 경우, 상기 긴급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는 셀을 셀 선택 또는 재선택 후보 셀로 결정하기 위한 제2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제어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네트워크 모드는 독립형 비공용 네트워크(SNPN) 모드 및 공중 육상 이동통신망(PLMN) 모드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SNPN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에는, SNPN 기능이 있고 SNPN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포함되고;
    상기 PLMN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에는, SNPN 기능이 있고 PLMN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 폐쇄 액세스 그룹(CAG) 기능이 있는 단말, SNPN 기능 및 CAG 기능이 없는 단말이 포함되는 제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제어 정보에는 제1 지시 정보 및 제2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며;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SNPN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도록 허용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PLMN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도록 허용하는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어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셀의 유형은,
    PLMN 및 SNPN 액세스를 지원하는 셀; SNPN, PLMN 및 폐쇄 액세스 그룹(CAG) 액세스를 지원하는 셀; SNPN 및 CAG 액세스를 지원하는 셀; 및, SNPN 액세스를 지원하는 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또한 액세스 계층을 통해 셀에 의해 제공된 액세스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계층을 통해 비 액세스 계층에 상기 액세스 제어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제1 입력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제어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계층을 통해 비 액세스 계층에 네트워크 식별 정보를 입력하되, 상기 네트워크 식별 정보는 상기 액세스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2 입력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제어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식별 정보는 상기 액세스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비 액세스 계층을 통해 긴급 서비스를 시작할 때,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액세스 제어 정보에 의해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지시되고,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모드와 상기 대상 네트워크 모드가 일치하고, 상기 단말에 의해 선택 또는 등록된 네트워크가 상기 네트워크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된 대상 네트워크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비 액세스 계층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된 대상 네트워크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선택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제어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식별 정보는 상기 액세스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비 액세스 계층을 통해 긴급 서비스를 시작할 때,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액세스 제어 정보에 의해 제1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도록 지시되고,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모드와 상기 제1 대상 네트워크 모드가 일치하고, 상기 단말에 의해 선택 또는 등록된 네트워크가 상기 네트워크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된 제1 대상 네트워크와 일치한 경우, 상기 비 액세스 계층을 통해 제2 대상 네트워크를 선택하기 위한 제2 선택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대상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액세스 제어 정보는 제1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지시하는 제어 장치.
  2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현재의 네트워크 모드와 상기 대상 네트워크 모드가 일치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액세스 제어 정보에 의해 상기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도록 지시되는 경우, 상기 셀을 상기 긴급 서비스를 획득할 수 없는 셀로 결정하기 위한 제3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제어 장치.
  2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현재의 네트워크 모드와 상기 대상 네트워크 모드가 일치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액세스 제어 정보에 의해 상기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이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도록 지시되는 경우, 상기 셀의 사용을 금지하기 위한 금지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제어 장치.
  28. 제1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네트워크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말은 제한된 서비스 상태에 있는 제어 장치.
  29. 단말로서,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단말.
  30.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31. 프로세서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칩으로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명령을 실행하는 칩.
  32.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프로그램 제품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방법이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33.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단말.
KR1020237004144A 2020-07-09 2021-07-09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방법 및 장치, 단말 및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202300350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658650.0 2020-07-09
CN202010658650.0A CN113923756B (zh) 2020-07-09 2020-07-09 获取紧急服务的控制方法及装置、终端及可读存储介质
PCT/CN2021/105403 WO2022007927A1 (zh) 2020-07-09 2021-07-09 获取紧急服务的控制方法及装置、终端及可读存储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5097A true KR20230035097A (ko) 2023-03-10

Family

ID=79232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4144A KR20230035097A (ko) 2020-07-09 2021-07-09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방법 및 장치, 단말 및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37356A1 (ko)
EP (1) EP4181577A4 (ko)
JP (1) JP2023532583A (ko)
KR (1) KR20230035097A (ko)
CN (1) CN113923756B (ko)
WO (1) WO2022007927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54664A1 (en) * 2005-09-01 2007-03-08 Pantech & Curitel Communications, Inc.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emergency call connection using hand-off
CN101730036B (zh) * 2009-03-24 2012-12-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附着状态改变方法、装置以及用户设备
CN102118721A (zh) * 2010-01-04 2011-07-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演进的分组系统及其紧急呼叫的附着处理方法
CN103430579B (zh) * 2012-02-21 2017-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紧急呼叫接入方法和系统、基站及终端
EP3198979A1 (en) * 2014-09-17 2017-08-02 Nokia Technologies OY Emergency call handling using over-the-top services
CN108696854B (zh) * 2017-02-28 2021-02-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呼叫方法及终端
KR102306416B1 (ko) * 2017-08-09 2021-09-28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긴급 음성 서비스 지원 표시
CN111182593B (zh) * 2019-04-04 2023-08-1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支持漫游的方法及通信设备
GB2588103A (en) * 2019-10-04 2021-04-21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CN113141607B (zh) * 2020-01-19 2022-09-02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ims紧急服务状态指示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32583A (ja) 2023-07-28
WO2022007927A1 (zh) 2022-01-13
EP4181577A4 (en) 2024-01-03
EP4181577A1 (en) 2023-05-17
CN113923756A (zh) 2022-01-11
CN113923756B (zh) 2023-02-21
US20230137356A1 (en)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4658B1 (ko) 셀 재선택 방법, 단말 및 네트워크 기기
CN114071644B (zh) 接入控制方法、装置及通信设备
US20230337128A1 (en) Network selection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230164681A1 (en) Access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and network device
KR20230048529A (ko) 네트워크 선택 방법, 정보 송신 방법,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
WO2022022685A1 (zh) 接入控制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KR20230035097A (ko) 긴급 서비스를 획득하기 위한 제어 방법 및 장치, 단말 및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US9648554B2 (en) Mobile terminal for cell reselection in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therefor
CN115134797B (zh) 紧急服务的处理方法、网络侧设备及终端
KR20210025973A (ko) 듀얼 커넥티비티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3923686B (zh) 辅助信息处理方法、辅助信息发送方法及相关设备
WO2022199455A1 (zh) 小区重选的方法、装置及终端
WO2024032537A1 (zh) 通信方法、设备及可读存储介质
WO2022068866A1 (zh) 工作区域变更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WO2023274072A1 (zh) 小区评估方法、装置、终端、中继和存储介质
CN114980151A (zh) 系统信息块的有效性检查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WO2023131071A1 (zh) 小区选择重选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WO2024051546A1 (zh) 选网方法及装置、终端
WO2024037512A1 (zh) 网络接入方法、装置、终端及通信设备
CN115134797A (zh) 紧急服务的处理方法、网络侧设备及终端
CN115835340A (zh) 网络选择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CN115643639A (zh) 寻呼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5209448A (zh) 终端注册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16867020A (zh) 终端路由选择策略ursp确定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CN115696472A (zh) 小区选择方法、服务方法、终端设备和网络侧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