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5073A - 정보 구성 방법, 정보 구성 장치 및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구성 방법, 정보 구성 장치 및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5073A
KR20230035073A KR1020237003750A KR20237003750A KR20230035073A KR 20230035073 A KR20230035073 A KR 20230035073A KR 1020237003750 A KR1020237003750 A KR 1020237003750A KR 20237003750 A KR20237003750 A KR 20237003750A KR 20230035073 A KR20230035073 A KR 20230035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information
access network
network lis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3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아오완 케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35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50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5Transfer to or from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4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using triggered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12Mobility data transfer between location registers or mobility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정보 구성 방법, 정보 구성 장치 및 통신 장치를 제공하며, 무선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다. 해당 정보 구성 방법은, 제1 정보,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및/또는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정보에 따라 제1 조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작은 단말이 구성하거나 업데이트하는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로 결정하는 것; 단말로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것; 단말이 구성하거나 업데이트하는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로 결정하는 것;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에 따라,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를 내보내는 것; 단말로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보 구성 방법, 정보 구성 장치 및 통신 장치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20년 7월 31일 중국에서 제출된 중국 특허 출원 번호 No.202010762079.7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본 출원에서는 그 모든 내용을 인용하고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보 구성 방법, 정보 구성 장치 및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독립형 비공중 네트워크(Standalone Non-public Network, SNPN)의 배치 시나리오에서, 단말이 서비스 제공자의 증서를 통하여 SNPN에 접속하는 접속 시나리오를 도입하였다. 이로써 제1 공공 지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증서를 갖는 단말은 해당 제1 PLMN 증서를 통하여 제2 PLMN에 접속하거나 또는 SNPN에 접속할 수 있다. 네트워크를 선택할 때, 만일 현재 동시에 SNPN과 PLMN의 커버리지가 존재하면, 단말은 PLMN 또는 SNPN를 선택하여 접속하여야 하는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그러므로 어떻게 이 시나리오 하에서 단말의 네트워크 선택을 구현할 것인가 하는 것은 현재 시급히 해결하여야 하는 과제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이 서비스 제공자의 증서를 통하여 SNPN에 접속하는 접속 시나리오를 도입한 경우, 어떻게 단말의 네트워크 선택을 구현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정보 구성 방법, 정보 구성 장치 및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은 하기와 같이 구현된다.
제1 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통신 장치에 적용되고,
제1 정보,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및/또는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상기 제1 정보는 능력 정보, 제1 요청, 제2 요청,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의 유형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능력 정보는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한다는 것,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것 중의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능력은 단말이 서비스 제공자의 증서를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능력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요청은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요청은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의 유형은 제1 유형이고 또한 제1 유형은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 제2 유형이고 또한 제2 유형은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상기 획득한 정보에 따라 제1 조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작은 상기 제1 조작의 1 유형 조작, 상기 제1 조작의 2 유형 조작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작의 1 유형 조작은,
단말이 구성하거나 업데이트하는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로 결정하는 것;
단말로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작의 2 유형 조작은,
단말이 구성하거나 업데이트하는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로 결정하는 것;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에 따라,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를 내보내는 것;
단말로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는 한 그룹의 바람직한 제1 유형 네트워크의 정보 및/또는 제1 유형 네트워크와 접속 기술의 조합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는 한 그룹의 바람직한 제2 유형 네트워크의 정보 및/또는 제2 유형 네트워크와 접속 기술의 조합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형 네트워크는 독립형 비공중 네트워크, 공중 네트워크에 집적된 비공중 네트워크, 공중 네트워크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유형 네트워크는 공중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정보 구성 방법을 제공한다.
제2 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2 통신 장치에 적용되고,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정보는 능력 정보, 제1 요청, 제2 요청,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의 유형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능력 정보는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한다는 것,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것 중의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능력은 단말이 서비스 제공자의 증서를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능력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요청은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요청은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의 유형은 제1 유형이고 또한 제1 유형은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 제2 유형이고 또한 제2 유형은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정보 구성 방법을 제공한다.
제3 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통신 장치에 적용되고,
제1 정보,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및/또는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 모듈(상기 제1 정보는 능력 정보, 제1 요청, 제2 요청,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의 유형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능력 정보는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한다는 것,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것 중의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능력은 단말이 서비스 제공자의 증서를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능력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요청은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요청은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의 유형은 제1 유형이고 또한 제1 유형은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 제2 유형이고 또한 제2 유형은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상기 획득한 정보에 따라 제1 조작을 수행하는 수행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작은 상기 제1 조작의 1 클래스 조작, 상기 제1 조작의 2 클래스 조작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작의 1 클래스 조작은,
단말이 구성하거나 업데이트하는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로 결정하는 것;
단말로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작의 2 클래스 조작은,
단말이 구성하거나 업데이트하는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로 결정하는 것;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에 따라,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를 내보내는 것;
단말로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는 한 그룹의 바람직한 제1 유형 네트워크의 정보 및/또는 제1 유형 네트워크와 접속 기술의 조합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는 한 그룹의 바람직한 제2 유형 네트워크의 정보 및/또는 제2 유형 네트워크와 접속 기술의 조합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형 네트워크는 독립형 비공중 네트워크, 공중 네트워크에 집적된 비공중 네트워크, 공중 네트워크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유형 네트워크는 공중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정보 구성 장치를 제공한다.
제4 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2 통신 장치에 적용되고,
제1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정보는 능력 정보, 제1 요청, 제2 요청,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의 유형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능력 정보는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한다는 것,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것 중의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능력은 단말이 서비스 제공자의 증서를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능력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요청은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요청은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의 유형은 제1 유형이고 또한 제1 유형은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 제2 유형이고 또한 제2 유형은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정보 구성 장치를 제공한다.
제5 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 면에 따른 정보 구성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거나, 또는 제2 면에 따른 정보 구성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제6 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 면에 따른 정보 구성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거나, 또는 제2 면에 따른 정보 구성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제7 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비휘발성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상기 소프트웨어 제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제1 면에 따른 정보 구성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거나, 또는 제2 면에 따른 정보 구성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을 제공한다.
제8 면에서,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면에 따른 정보 구성 방법을 수행하거나, 또는 제2 면에 따른 정보 구성 방법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자의 증서를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능력을 구비하는 단말의 네트워크 선택을 지원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아키텍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일 정보 구성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다른 정보 구성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응용 시나리오 1의 정보 구성 방법의 흐름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에 따른 일 정보 구성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에 따른 다른 정보 구성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에 따른 다른 통신 장치의 구조도이다.
아래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명확하고 완전한 설명을 진행하게 되는 바, 기재되는 실시예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모든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당업계의 기술자들이 창조성적인 노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취득할 수 있는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출원의 명세서와 특허청구범위 중의 용어 “제1”, 제2” 등은 유사한 대상을 구분하기 위한 것일 뿐, 특정 순서 또는 선후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이렇게 사용되는 데이터는 적당한 상황 하에서 호환이 가능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가 여기에 도시되거나 또는 설명된 것과 다른 순서로 실시될 수 있고, 또한 "제1", "제2" 등이 구분하는 객체는 일반적으로 같은 유형이고, 객체의 수량을 한정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제1 객체는 하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리고,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되는 “및/또는”은 연결된 객체의 적어도 그 중의 하나를 표시하고, 부호 “/”는 일반적으로 전후 관련 대상이 “또는”의 관계라는 것을 표시한다.
짚고 넘어가야 할 바로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기재된 기술은 롱텀에볼루션(Long Time Evolution, LTE)/LTE의 향상된(LTE-Advanced, LTE-A) 시스템에 제한되지 않으며, 또한 기타 무선 통신 시스템, 예를 들면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간 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Single-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과 기타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용어 "시스템"과 "네트워크"는 자주 호환 사용될 수 있고, 본문에 기재된 기술은 위에 언급된 시스템과 무선 기술에 적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또한 기타 시스템과 무선 기술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하기 설명에서는 예시적인 목적으로 엔알(New Radio, NR) 시스템을 기술하였고, 또한 아래 대부분 설명에서 비록 이러한 기술이 NR 시스템 응용 외의 응용, 예를 들면 제6 세대(6th Generation, 6G)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도 있지만, NR 용어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가 응용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11)과 네트워크 측 장치(1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단말(11)은 단말 기능을 지원하는 릴레이 및/또는 릴레이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을 포함할 수 있고, 단말(11)은 또한 단말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로 칭할 수 있고, 단말(11)은 핸드폰,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랩톱 컴퓨터(Laptop Computer) 또는 노트북 컴퓨터,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 이동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 MID), 팜탑, 넷북, 울트라 모바일 PC(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UMPC),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이동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 MID),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차량탑재 장치(Vehicle User Equipment, VUE), 행인 단말(Pedestrian User Equipment, PUE) 등 단말측 장치일 수 있고, 웨어러블 장치는 밴드, 이어폰, 글라스 등을 포함한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말(11)구체적인 유형을 한정하지 않는다. 네트워크 측 장치(12)는 기지국 또는 코어 네트워크일 수 있고, 여기에서, 기지국은 노드 B, 향상된 노드 B, 접근점, 베이스 송수신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무선전 기지국, 무선전 송수신기, 베이직 서비스 셋(Basic Service Set, BSS), 확장 서비스 셋(Extended Service Set, ESS), B 노드, 향상된 B 노드(evolved Node B, eNB), 가정용 B 노드, 가정용 향상된 B 노드, 무선 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접근점,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노드, 송신과 수신 포인트(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 또는 상기 분야의 기타 어느 한 적합한 용어로 불릴 수 있고,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루기만 하면 특정 기술 용어에 제한되지 않으며,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지 NR 시스템 중의 기지국을 예로 들지만, 기지국의 구체적의 유형을 한정하지 않는다.
독립형 비공중 네트워크(Standalone Non-public Network, SNPN)의 배치 시나리오에서, 단말이 서비스 제공자의 증서(예를 들면 공공 지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증서, 제2 SNPN의 증서 또는 기타 증서)를 통하여 SNPN(예를 들면 제1 SNPN)에 접속하는 접속 시나리오를 도입하였다. 이 시나리오 하에서, 제1 PLMN 증서를 갖는 단말은 제1 PLMN 증서를 통하여 제2 PLMN에 접속하거나 또는 SNPN에 접속할 수 있다. 네트워크를 선택할 때, 만일 현재 동시에 SNPN과 PLMN의 커버리지가 존재하면, 단말은 PLMN 또는 SNPN를 선택하여 접속하여야 하는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운영자가 제어하는 바람직한 네트워크 리스트(Operator Controlled PLMN Selector with Access Technology)에는 단지 PLMN의 바람직한 우선순위 리스트만 존재한다. 그러므로, 서비스 제공자가 제어하는 하나의 바람직한 네트워크 리스트(Home SP-controlled prioritized list)를 정의하여야 하며, 이것은 SNPN과 PLMN을 혼합한 리스트인 바, 예를 들면 우선순위 순서가 PLMN-A, SNPN1, PLMN-B, SNPN2이다.
서비스 제공자의 바람직한 네트워크 리스트(이하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로 칭함)와 종래의 운영자가 제어하는 바람직한 네트워크 리스트(이하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로 칭함)은 함께 사용할 수 없다. 예를 들면 현재 동시에 SNPN-A과 PLMN-2의 커버리지가 존재하면,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에 따르면 응당 PLMN-2를 선택하여야 하고,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에 따르면 응당 SNPN-A를 선택 사용하여야 한다.
단말이 서비스 제공자의 증서(예를 들면 PLMN의 증서, 제2 SNPN의 증서, 기타 증서)를 통하여 SNPN(예를 들면 제1 SNPN)에 접속하는 접속 시나리오를 지원하기 위하여, 또한 하기 문제를 해결하여야 한다.
문제 1: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는 미리 유니버셜 가입자 식별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에 저장할 수 있다. 하나의 USIM은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원하는 이동 장치(Mobile Equipment, ME)에 삽입하거나,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원하지 않는 ME에 삽입할 수 있다. 현재, USIM은 구성 시 ME의 능력을 미리 알 수 없다.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도입한 후, 어떻게 하위 호환성을 지원할 것인지는 해결하여야 하는 과제이다.
문제 2: 네트워크는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UE로 구성할 수 있고, UE는 수신 후 ME에 저장할 수 있다. 현재 네트워크는 UE가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원하는지 여부를 알지 못한다.
문제 3: UE가 서비스 제공자의 증서를 통하여 비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만일 UE의 서비스 제공자가 UE로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송신하고자 하면, 비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는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함부로 변경한다.
일 해결방식은 서비스 제공자가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에 대하여 무결성 보호를 진행한 후 다시 송신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로밍 제어 용기(예를 들면 SoR container)에 포함시켜 송신할 수 있다. 로밍 제어 용기가 이미 무결성 보호를 지원하기 때문에, 문제가 존재하지 않는다.
다른 해결방식은 UE가 서비스 제공자의 증서를 통하여 비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서비스 제공자가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송신하지 않거나, 또는 단말이 상기 수신한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폐기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는 한 그룹의 우선순위에 따라 랭킹한 네트워크 및/또는 네트워크와 접속 기술의 조합이다. 단말은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선택을 진행한다. 상기 단말의 서비스 제공자 또는 소속 네트워크와 상기 접속 네트워크 사이에는 프로토콜이 존재하고, 단말이 서비스 제공자의 증서 또는 소속 네트워크의 증서를 통하여 상기 접속 네트워크에 접속하게 허용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는 단말이 네트워크 선택을 진행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단말이 소속 네트워크의 커버리지에서 벗어난 후, 단말은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선택을 진행한다. 상기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는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 제 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는 한 그룹의 바람직한(preferred) 네트워크의 정보 및/또는 네트워크와 접속 기술의 조합의 정보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획득은 구성으로부터 획득, 수신, 요청을 통과한 후 수신, 자체 학습을 통하여 획득, 수신되지 않은 정보에 따라 도출하여 획득 또는 수신한 정보에 따라 처리 후 획득으로 이해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실제 수요에 의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장치가 송신한 어느 한 능력 지시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였을 때, 해당 장치가 해당 능력을 지지하지 않는다고 도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송신은 방송, 시스템 메시지에서 방송, 요청 응답 후 리턴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카드는 범용 집적 회로 카드(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ICC), 삽입식 범용 집적 회로 카드(embedded 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eUICC), 가입자 식별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삽입식 가입자 식별 모듈(embedded Subscriber Identity Module, eSIM) 중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IM 카드는 또한 다르게 명명될 수도 있는 바, 예를 들면 직접 "카드"로 칭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은 제한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비공중 네트워크는 비공공 네트워크 또는 비공용 네트워크의 별칭이다. 비공중 네트워크 또는 비공용 네트워크는 비공중 통신 네트워크, 비공용 통신 네트워크 중의 하나를 칭할 수 있다. 비공중 네트워크는 물리적 비공중 네트워크, 가상의 비공중 네트워크, 공중 네트워크 상에 구현되는 비공중 네트워크 중의 적어도 한 가지 배치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서, 비공중 네트워크는 폐쇄 접속 그룹(Closed Access Group, CAG)이다. 하나의 CAG는 한 그룹의 단말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비공중 네트워크 서비스는 비공공 네트워크 서비스 또는 비공용 네트워크 서비스의 별칭이다. 비공중 네트워크 서비스 또는 비공용 네트워크 서비스는 비공중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서비스, 비공중 통신 서비스, 비공중 네트워크 통신 서비스, 비공중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서비스 또는 기타 명칭 중의 하나를 칭할 수 있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명명 방식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일 실시방식에서, 비공중 네트워크는 폐쇄 접속 그룹이고, 이때 비공중 네트워크 서비스는 폐쇄된 접속 그룹의 네트워크 서비스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비공중 네트워크 또는 비공용 네트워크는 사설 네트워크를 포함 또는 칭할 수 있다. 사설 네트워크는 사설 통신 네트워크, 사설망,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사설 가상 네트워크(Private virtual network, PVN), 격리된 통신 네트워크, 전용의 통신 네트워크 또는 기타 명칭 중의 하나를 칭할 수 있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명명 방식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공중 네트워크는 공공 네트워크 또는 공용 네트워크의 별칭이다. 공중 네트워크 또는 공용 네트워크는 공중 통신 네트워크, 공용 통신 네트워크 또는 기타 명칭중의 하나를 칭할 수 있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명명 방식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운영자는 네트워크 운영자를 표시한다.
본 출원의 일 선택가능한 실시예에서, 통신 장치는 통신 네트워크 요소와 단말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통신 네트워크 요소는 코어 네트워크 네트워크 요소와 무선 접속 네트워크 네트워크 요소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CN) 네트워크 요소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 코어 네트워크 노드, 코어 네트워크 기능, 코어 네트워크 네트워크 요소, 이동 관리 실체(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접속 관리 기능(Access Management Function, AMF), 네트워크 저장 기능(Network Repository Function, NRF),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사용자 평면 기능(User Plane Function, UPF),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 공공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ublic Data Network Gateway, PDN 게이트웨이), 정책 제어 기능(Policy Control Function, PCF), 정책 및 충전 규칙 기능(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 PCRF),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서비스 지원 노드(Serving GPRS Support Node, SGSN),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Gateway GPRS Support Node, GGSN), 통합 데이터 관리(Unified Data Management, UDM), 통합 데이터 저장(Unified Data Repository, UDR), 홈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 HSS)와 애플리케이션 기능(Application Function, AF)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정보 구성 방법에 대하여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통신 장치에 적용되는 정보 구성 방법을 제공하는 바, 해당 제1 통신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 카드(예를 들면 UICC, USIM 또는 SIM)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AMF(예를 들면 단말 접속 네트워크의 AMF, 단말의 소속 네트워크의 AMF 또는 서비스 제공자의 AMF), UDM(예를 들면 단말 소속 네트워크의 UDM 또는 서비스 제공자의 UDM)를 중의 하나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말은 UE, ME 중의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통신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일 때, 상기 단말은 U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통신 장치가 카드일 때, 상기 단말은 M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E는 카드와 ME의 결합일 수 있다. 상기 카드는 전자 카드 또는 물리 카드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방법은 하기 단계 포함한다.
21 단계: 제1 정보,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및/또는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획득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는 능력 정보, 제1 요청, 제2 요청, 지원하는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의 유형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능력 정보는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한다는 것,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것 중의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능력은 단말이 서비스 제공자의 증서를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능력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요청은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 요청은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의 유형은 제1 유형이고 또한 제1 유형은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 제2 유형이고 또한 제2 유형은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1 통신 장치(예를 들면 UDM 및/또는 AMF)는 단말(예를 들면 UE 또는 ME)로부터 제1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통신 장치(예를 들면 UDM)에서,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및/또는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나아가, 단말이 서비스 제공자의 증서를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능력은 단말이 서비스 제공자의 증서를 통하여 제1 유형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능력을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제1 유형 네트워크는 독립형 비공중 네트워크, 공중 네트워크에 집적된 비공중 네트워크, 공중 네트워크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증서는 공중 네트워크의 증서, 비공중 네트워크의 증서, 기타 증서(예를 들면 OTT의 증서) 중의 하나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제2 유형 네트워크는 공중 네트워크(예를 들면 PLMN)를 포함한다.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제2 유형 네트워크는 단지 공중 네트워크만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는 단말이 네트워크 선택을 진행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단말이 소속 네트워크의 커버리지에서 벗어난 후, 단말은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선택을 진행한다. 상기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는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 제 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1)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는 한 그룹의 바람직한(preferred) 제1 유형 네트워크의 정보 및/또는 제1 유형 네트워크와 접속 기술의 조합의 정보를 포함한다.
나아가, 선택적으로, 상기 한 그룹의 바람직한 제1 유형 네트워크의 정보 및/또는 제1 유형 네트워크와 접속 기술의 조합의 정보는 한 그룹의 우선순위에 따라 랭킹된 제1 유형 네트워크의 정보 및/또는 제1 유형 네트워크와 접속 기술의 조합의 정보이다.
일 실시방식에서,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 중의 네트워크 및/또는 네트워크와 접속 기술의 조합은 우선순위에 따라 랭킹된 것으로서, 예를 들면 PLMN-1, SNPN-A, PLMN-2, SNPN-B이다.
일 실시방식에서, 단말이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 중의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방식은 서비스 제공자의 증서를 통하여 접속을 진행하는 것이다.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는 서비스 제공자가 제어하는 바람직한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 및/또는 서비스 제공자가 제어하는 바람직한 네트워크와 접속 기술의 조합의 리스트 정보라 칭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유형 네트워크의 정보는 상기 제1 유형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아이디 정보를 포함하고, 독립형 비공중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아이디(예를 들면 PLNM + NID), 공중 네트워크에 집적된 비공중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아이디(예를 들면 PLMN + CAD ID), 공중 네트워크 아이디(예를 들면 PLMN ID)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2)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는 한 그룹의 바람직한 제2 유형 네트워크의 정보 및/또는 제2 유형 네트워크와 접속 기술의 조합의 정보를 포함한다.
나아가, 선택적으로, 상기 한 그룹의 바람직한 제2 유형 네트워크의 정보 및/또는 제2 유형 네트워크와 접속 기술의 조합의 정보는 한 그룹의 우선순위에 따라 랭킹된 제2 유형 네트워크의 정보 및/또는 제2 유형 네트워크와 접속 기술의 조합의 정보이다.
일 실시방식에서, 단말이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 중의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방식은 단말 소속 네트워크의 증서를 통하여 접속을 진행하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는 운영자가 제어하는 바람직한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 및/또는 운영자가 제어하는 바람직한 네트워크와 접속 기술의 조합의 리스트 정보라 칭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유형 네트워크의 정보는 상기 제2 유형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아이디 정보를 포함하고, 공중 네트워크 아이디(예를 들면 PLMN ID)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서,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 중의 네트워크 및/또는 네트워크와 접속 기술의 조합은 우선순위에 따라 랭킹된 것으로서, 예를 들면 PLMN-1, PLMN-2이다.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로부터 제2 유형 네트워크를 제외한 기타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를 제거한 후,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내보낼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일 실시방식에서, 제1 통신 장치는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방식에서, 제1 통신 장치는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와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방식에서, 서비스 제공자의 증서를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방식은 로밍 네트워크의 방식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짚고 넘어가야 할 바로는, 서비스 제공자는 통신 네트워크, 통신 네트워크 운영자, 통신 네트워크 외의 기타 서비스 제공자 중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 또는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는 독립형 비공중 네트워크(예를 들면 SNPN), 공중 네트워크에 집적된 비공중 네트워크(예를 들면 PNI-NPN), 공중 네트워크(PLMN) 중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의 증서를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접속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유형이 제1 유형 네트워크인 것은, 독립형 비공중 네트워크(예를 들면 SNPN), 공중 네트워크에 집적된 비공중 네트워크(예를 들면 PNI-NPN), 공중 네트워크(PLMN)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22 단계: 획득한 정보에 따라 제1 조작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조작은 제1 조작의 1 클래스 조작, 제1 조작의 2 클래스 조작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제1 조작의 1 클래스 조작은,
단말이 구성하거나 업데이트하는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로 결정하는 것;
단말로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조작의 2 클래스 조작은,
단말이 구성하거나 업데이트하는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로 결정하는 것;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에 따라,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를 내보내는 것;
단말로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조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제1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제1 조작의 1 클래스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능력 정보가 상기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한다고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한다고 결정하는 것;
제1 요청을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1 요청은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것인 것;
제1 유형을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1 유형은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
상기 단말이 현재 접속한 네트워크가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인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조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제2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조작의 2 클래스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능력 정보가 상기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다고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것;
제2 요청을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2 요청은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것인 것;
제2 유형을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2 유형은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
제1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로부터 제2 유형 네트워크를 제외한 기타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정보를 제거한 후,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내보낼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로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은,
로밍 제어 용기(Steer of roaming의 용기)를 통하여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로밍 제어 용기의 헤드부가 상기 로밍 제어 용기에 포함된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시하는 것;
제1 유형의 용기를 통하여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제1 유형의 용기는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위하여 무결성 보호를 제공할 수 있는 용기인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유형의 용기는 로밍 제어 용기를 제외한 용기이다.
선택적으로, 단말이 접속한 것이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가 아니거나, 또는 단말이 서비스 제공자의 증서를 통하여 기타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제1 통신 장치(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자의 UDM 및/또는 AMF)는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짚고 넘어가야 할 바로는, 제1 통신 장치가 카드인 경우, 선택적으로, 단말(예를 들면 ME)로부터 제1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카드에 구성에 기반하여,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및/또는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카드에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및/또는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구성한다.
선택적으로, 단말은 AMF(예를 들면 접속 네트워크의 AMF, 단말의 소속 네트워크의 AMF 또는 서비스 제공자의 AMF)로 제1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AMF는 UDM(예를 들면 단말 소속 네트워크의 UDM 또는 서비스 제공자의 UDM)로 제1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자의 증서를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능력을 구비하는 단말의 네트워크 선택을 지원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제2 통신 장치에 적용되는 정보 구성 방법을 제공하는 바, 해당 제2 통신 장치는 단말(예를 들면 UE, ME), AMF(예를 들면 단말 접속 네트워크 중의 AMF)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방법은 하기 단계 포함한다.
31 단계: 제1 정보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는 능력 정보, 제1 요청, 제2 요청,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의 유형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능력 정보는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한다는 것,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것 중의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능력은 단말이 서비스 제공자의 증서를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능력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요청은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 요청은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의 유형은 제1 유형이고 또한 제1 유형은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 제2 유형이고 또한 제2 유형은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방식에서, 제2 통신 장치가 ME인 경우, 카드(예를 들면 UICC, USIM 또는 SIM)로 제1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은, 제3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능력 정보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능력 정보는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한다는 것, 제1 요청을 송신하는 것 및/또는 제1 유형을 송신하는 것을 지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3 조건은,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는 것;
단말이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원하는 것;
단말이 현재 접속한 네트워크가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인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은, 제4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능력 정보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능력 정보는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것, 제2 요청을 송신하는 것 및/또는 제2 유형을 송신하는 것을 지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4 조건은,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것;
단말이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원하지 않는 것;
단말이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원하는 것;
제3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 정보를 송신한 후, 상기 방법은,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5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유형의 저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저장하며, 및/또는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에 따라,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
제6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를 폐기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5 조건은,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는 것;
단말이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원하는 것;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6 조건은,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것;
단말이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원하지 않는 것;
비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자의 증서를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능력을 구비하는 단말의 네트워크 선택을 지원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아래, 구체적인 응용 시나리오를 결부시켜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응용 시나리오 1
본 응용 시나리오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되는 정보 구성 과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41 단계: UE가 AMF(예를 들면 접속 네트워크(예를 들면 PLMN 또는 SNPN) 중의 AMF)로 등록 요청을 송신한다. 여기에서, 해당 요청에는 능력 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능력 정보는 UE가 제1 능력을 구비하는 것을 지시하거나, 또는 UE가 제1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것을 지시하며; 해당 제1 능력은 UE가 서비스 제공자의 증서(service provider credential, SP credential)를 통하여 네트워크(예를 들면 SNPN)를 접속하는 능력을 포함하다.
42 단계: UE, AMF, AUSF(예를 들면 소속 네트워크(예를 들면 PLMN 또는 SNPN) 중의 AUSF)와 UDM 사이의 상호작용 과정을 통하여, UE에 대하여 인증을 진행한다.
43 단계: UE와 AMF 사이에 보안 모드 제어 예를 들면 NAS SMC 과정을 수행한다.
44 단계: AMF가 등록 요청 예를 들면 Nudm_UECM_Registration을 통하여 UE 능력을 소속 PLMN 중의 UDM으로 송신한다.
45 단계: UDM가 AMF로 등록 응답 예를 들면 Nudm_UECM_Registration_Response를 리턴한다.
46 단계: AMF가 UDM으로 요청 메시지 예를 들면 Nudm_SDM_Get을 송신하여, UE 계약 정보를 획득할 것을 요청한다.
47 단계: UDM이 UE의 능력에 의하여 UE를 위하여 구성한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의 유형, 예를 들면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 또는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UE가 제1 능력을 구비할 때, UE를 위하여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자의 증서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를 구성하는 바, 이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는 SNPN, PNI NPN, PLMN 중의 적어도 한 가지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UE가 제1 능력을 구비하지 않을 때, UE를 위하여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예를 들면 로밍 네트워크 리스트의 정보(예를 들면 "Operator Controlled PLMN Selector with Access Technology")를 구성하는 바, 해당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는 단지 PLMN만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UDM은 로밍 제어 용기(Steering of Roaming container, SoR container)를 통하여 UE로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이때 SoR header에서 상기 SoR 용기에 포함된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시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1 bit를 사용하여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시한다.
응용 시나리오 2
본 응용 시나리오에서, USIM 중에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및/또는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미리 구성한다. 제1 능력을 구비한 ME는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Home SP-controlled prioritized list)를 호출하거나, 또는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사용할 수 있고,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Operator Controlled PLMN Selector)를 무시한다. 제1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ME는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호출할 수 있다.
응용 시나리오 3
본 응용 시나리오에서, USIM 중에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및/또는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미리 구성한다. 또한 USIM은 ME가 제1 능력을 구비하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제1 능력을 구비하는 ME에 대하여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제공한다. 제1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 ME에 대하여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제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1 통신 장치에 적용되는 정보 구성 장치를 제공하는 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정보 구성 장치(50)는,
제1 정보,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및/또는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 모듈(51)(상기 제1 정보는 능력 정보, 제1 요청, 제2 요청,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의 유형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능력 정보는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한다는 것,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것 중의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능력은 단말이 서비스 제공자의 증서를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능력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요청은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요청은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의 유형은 제1 유형이고 또한 제1 유형은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 제2 유형이고 또한 제2 유형은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상기 획득한 정보에 따라 제1 조작을 수행하는 수행 모듈(52)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1 조작은 상기 제1 조작의 1 클래스 조작, 상기 제1 조작의 2 클래스 조작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작의 1 클래스 조작은,
단말이 구성하거나 업데이트하는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로 결정하는 것;
단말로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작의 2 클래스 조작은,
단말이 구성하거나 업데이트하는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로 결정하는 것;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에 따라,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를 내보내는 것;
단말로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는 한 그룹의 바람직한 제1 유형 네트워크의 정보 및/또는 제1 유형 네트워크와 접속 기술의 조합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는 한 그룹의 바람직한 제2 유형 네트워크의 정보 및/또는 제2 유형 네트워크와 접속 기술의 조합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형 네트워크는 독립형 비공중 네트워크, 공중 네트워크에 집적된 비공중 네트워크, 공중 네트워크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유형 네트워크는 공중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행 모듈(52)은 구체적으로,
제1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조작의 1 클래스 조작을 수행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능력 정보가 상기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한다고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한다고 결정하는 것;
제1 요청을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1 요청은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것인 것;
제1 유형을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1 유형은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
상기 단말이 현재 접속한 네트워크가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인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행 모듈(52)은 구체적으로,
제2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조작의 2 클래스 조작을 수행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능력 정보가 상기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다고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것;
제2 요청을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2 요청은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것인 것;
제2 유형을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2 유형은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
제1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행 모듈(52)은,
로밍 제어 용기를 통하여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로밍 제어 용기의 헤드부가 상기 로밍 제어 용기에 포함된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시하는 것;
제1 유형의 용기를 통하여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제1 유형의 용기는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위하여 무결성 보호를 제공할 수 있는 용기인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며;
제1 유형의 용기는 로밍 제어 용기를 제외한 용기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행 모듈(52)은 또한 상기 단말이 접속한 것이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가 아니거나, 또는 상기 단말이 서비스 제공자의 증서를 통하여 기타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정보 구성 장치(50)는 본 출원의 도 2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가 구현하는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고, 또한 동일한 유익한 효과를 이루는 바,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제2 통신 장치에 적용되는 정보 구성 장치를 제공하는 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정보 구성 장치(60)는,
제1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모듈(61)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1 정보는 능력 정보, 제1 요청, 제2 요청,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의 유형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능력 정보는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한다는 것,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것 중의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능력은 단말이 서비스 제공자의 증서를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능력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요청은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요청은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의 유형은 제1 유형이고 또한 제1 유형은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 제2 유형이고 또한 제2 유형은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모듈(61)은 구체적으로,
제3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능력 정보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능력 정보는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한다는 것, 제1 요청을 송신하는 것 및/또는 제1 유형을 송신하는 것을 지시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3 조건은,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는 것;
단말이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원하는 것;
단말이 현재 접속한 네트워크가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인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모듈(61)은 구체적으로,
제4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능력 정보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능력 정보는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것, 제2 요청을 송신하는 것 및/또는 제2 유형을 송신하는 것을 지시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4 조건은,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것;
단말이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원하지 않는 것;
단말이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원하는 것;
제3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정보 구성 장치(60)는,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제5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유형의 저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저장하며, 및/또는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에 따라,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
제6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를 폐기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5 조건은,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는 것;
단말이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원하는 것;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6 조건은,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것;
단말이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원하지 않는 것;
비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정보 구성 장치(60)는 본 출원의 도 3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가 구현하는 각 과정을 구현할 수 있고, 또한 동일한 유익한 효과를 이루는 바,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본 출원에 따른 다른 통신 장치의 구조도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장치(70)는 프로세서(71), 메모리(72) 및 상기 메모리(72)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71)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통신 장치(70) 중의 각 모듈은 버스 인터페이스(73)를 통하여 한데 커플링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71)에 의해 실행될 상기 도 2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에서 구현하는 각 과정을 구현하거나, 또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에서 구현하는 각 과정을 구현하며,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루는 바,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도 2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에서 구현하는 각 과정을 구현하거나, 또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방법 실시예에서 구현하는 각 과정을 구현하며, 또한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이루는 바, 중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그 중에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예를 들면 읽기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무작위 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이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문에서, 용어 “포함하다” 또는 이의 임의의 기타 변형체는 비 배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뜻함으로써, 일련의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이러한 요소를 포함할 뿐 아니라, 또한 명확하게 언급하지 않은 기타 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상품 또는 장치의 고유한 요소를 포함하도록 한다. 더욱 많은 제한이 없는 경우, “하나의... 을(를)을 포함하다”는 구절로 한정되는 요소는 해당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또한 기타 동일한 요소가 포함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본 명세서 공개된 실시예의 각 예시의 유닛 및 연산 단계를 결합시켜,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는 기술방안의 특정의 응용과 설계 제한 조건에 의하여 결정된다. 전문 기술자들은 각 특정의 응용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초과한 것으로 이해해서는 않된다.
설명의 편리와 간략화를 위하여, 상기 시스템, 장치와 유닛의 구체적인 작동 과정은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이해할 것이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실시예에서, 상기 공개된 장치와 방법은 또한 기타 방식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적인 구분이고, 실제 구현 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복수의 유닛 또는 모듈은 다른 시스템에 결합 또는 집적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은 삭제되거나 또는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사이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은 간접적인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을 통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는 바,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식일 수 있다.
분리된 부품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은 것을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품은 물리적인 유닛이거나 아닐 수 있으며, 한 곳에 위치하거나 또는 다수의 네트워크 유닛 상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수요에 의하여 그 중의 일부 또는 모든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의 각 실시예 중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 중에 집적될 수도 있고, 또는 각 유닛의 독립적인 물리적 존재일 수 있으며, 또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실시방식에 대한 기재를 통하여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에 필요한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또한 하드웨어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여러 경우 중에서 전자가 더욱 바람직한 실시방식이다. 이를 기반으로 본 출원의 기술방안의 본질적이나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하여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예를 들면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될 수 있는 바, 일부 명령이 포함되어 단말(핸드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장치 등일 수 있음)로 하여금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을 구현하게 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기술된 이러한 실시예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 코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서, 모듈, 유닛, 서브 유닛은 하나 또는 복수의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 디지털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SP Device, DSPD),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범용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본 출원의 상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기타 전자 유닛 또는 그 조합 중에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상기 기능을 구현하는 모듈을 통하여(예를 들면 과정, 함수 등) 본 출원의 실시예의 상기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프로세서 외부에서 구현될 수 있다.
위에서는 도면을 결부시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은 상기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는 단지 예시적일 뿐 제한적인 것이 아니며,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본 출원의 힌트 하에서 본 출원의 사상과 청구항이 보호하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경우, 얼마든지 더욱 많은 형식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20)

  1. 제1 통신 장치에 적용되고,
    제1 정보,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및/또는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상기 제1 정보는 능력 정보, 제1 요청, 제2 요청,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의 유형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능력 정보는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한다는 것,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것 중의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능력은 단말이 서비스 제공자의 증서를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능력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요청은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요청은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의 유형은 제1 유형이고 또한 제1 유형은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 제2 유형이고 또한 제2 유형은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상기 획득한 정보에 따라 제1 조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작은 상기 제1 조작의 1 클래스 조작, 상기 제1 조작의 2 클래스 조작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작의 1 클래스 조작은,
    단말이 구성하거나 업데이트하는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로 결정하는 것;
    단말로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작의 2 클래스 조작은,
    단말이 구성하거나 업데이트하는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로 결정하는 것;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에 따라,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를 내보내는 것;
    단말로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는 한 그룹의 바람직한 제1 유형 네트워크의 정보 및/또는 제1 유형 네트워크와 접속 기술의 조합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는 한 그룹의 바람직한 제2 유형 네트워크의 정보 및/또는 제2 유형 네트워크와 접속 기술의 조합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형 네트워크는 독립형 비공중 네트워크, 공중 네트워크에 집적된 비공중 네트워크, 공중 네트워크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유형 네트워크는 공중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정보 구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제1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조작의 1 클래스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능력 정보가 상기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한다고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한다고 결정하는 것;
    제1 요청을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1 요청은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것인 것;
    제1 유형을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1 유형은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
    상기 단말이 현재 접속한 네트워크가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인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및/또는
    상기 제1 조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제2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조작의 2 클래스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능력 정보가 상기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다고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것;
    제2 요청을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2 요청은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것인 것;
    제2 유형을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2 유형은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
    제1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 구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로밍 제어 용기를 통하여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로밍 제어 용기의 헤드부가 상기 로밍 제어 용기에 포함된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시하는 것;
    제1 유형의 용기를 통하여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제1 유형의 용기는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위하여 무결성 보호를 제공할 수 있는 용기인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제1 유형의 용기는 로밍 제어 용기를 제외한 용기인 정보 구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접속한 것이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가 아니거나, 또는 상기 단말이 서비스 제공자의 증서를 통하여 기타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구성 방법.
  5. 제2 통신 장치에 적용되고,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정보는 능력 정보, 제1 요청, 제2 요청,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의 유형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능력 정보는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한다는 것,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것 중의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능력은 단말이 서비스 제공자의 증서를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능력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요청은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요청은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의 유형은 제1 유형이고 또한 제1 유형은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 제2 유형이고 또한 제2 유형은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정보 구성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제3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능력 정보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능력 정보는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한다는 것, 제1 요청을 송신하는 것 및/또는 제1 유형을 송신하는 것을 지시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조건은,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는 것;
    단말이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원하는 것;
    단말이 현재 접속한 네트워크가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인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및/또는,
    상기 제1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제4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능력 정보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능력 정보는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것, 제2 요청을 송신하는 것 및/또는 제2 유형을 송신하는 것을 지시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4 조건은,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것;
    단말이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원하지 않는 것;
    단말이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원하는 것;
    제3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 구성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제 정보를 송신한 후,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구성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5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유형의 저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저장하며, 및/또는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에 따라,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
    제6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를 폐기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5 조건은,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는 것;
    단말이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원하는 것;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6 조건은,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것;
    단말이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원하지 않는 것;
    비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 구성 방법.
  9. 제1 통신 장치에 적용되고,
    제1 정보,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및/또는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 모듈(상기 제1 정보는 능력 정보, 제1 요청, 제2 요청,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의 유형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능력 정보는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한다는 것,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것 중의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능력은 단말이 서비스 제공자의 증서를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능력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요청은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요청은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의 유형은 제1 유형이고 또한 제1 유형은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 제2 유형이고 또한 제2 유형은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임);
    상기 획득한 정보에 따라 제1 조작을 수행하는 수행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작은 상기 제1 조작의 1 클래스 조작, 상기 제1 조작의 2 클래스 조작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작의 1 클래스 조작은,
    단말이 구성하거나 업데이트하는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로 결정하는 것;
    단말로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작의 2 클래스 조작은,
    단말이 구성하거나 업데이트하는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로 결정하는 것;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에 따라,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를 내보내는 것;
    단말로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송신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는 한 그룹의 바람직한 제1 유형 네트워크의 정보 및/또는 제1 유형 네트워크와 접속 기술의 조합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는 한 그룹의 바람직한 제2 유형 네트워크의 정보 및/또는 제2 유형 네트워크와 접속 기술의 조합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형 네트워크는 독립형 비공중 네트워크, 공중 네트워크에 집적된 비공중 네트워크, 공중 네트워크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유형 네트워크는 공중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정보 구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 모듈은 구체적으로,
    제1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조작의 1 클래스 조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능력 정보가 상기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한다고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한다고 결정하는 것;
    제1 요청을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1 요청은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것인 것;
    제1 유형을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1 유형은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
    상기 단말이 현재 접속한 네트워크가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인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및/또는,
    상기 수행 모듈은 구체적으로,
    제2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조작의 2 클래스 조작을 수행하며;
    상기 제2 조건은,
    상기 능력 정보가 상기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다고 지시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것;
    제2 요청을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2 요청은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것인 것;
    제2 유형을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2 유형은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
    제1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 구성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 모듈은,
    로밍 제어 용기를 통하여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로밍 제어 용기의 헤드부가 상기 로밍 제어 용기에 포함된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시하는 것;
    제1 유형의 용기를 통하여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제1 유형의 용기는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위하여 무결성 보호를 제공할 수 있는 용기인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며;
    제1 유형의 용기는 로밍 제어 용기를 제외한 용기인 정보 구성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 모듈은 또한 상기 단말이 접속한 것이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가 아니거나, 또는 상기 단말이 서비스 제공자의 증서를 통하여 기타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정보 구성 장치.
  13. 제2 통신 장치에 적용되고,
    제1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정보는 능력 정보, 제1 요청, 제2 요청,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의 유형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능력 정보는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한다는 것,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것 중의 하나를 지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능력은 단말이 서비스 제공자의 증서를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능력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요청은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2 요청은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의 유형은 제1 유형이고 또한 제1 유형은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 제2 유형이고 또한 제2 유형은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시하기 위한 것인 것을 지시하기 위한 것인 정보 구성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제3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능력 정보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능력 정보는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한다는 것, 제1 요청을 송신하는 것 및/또는 제1 유형을 송신하는 것을 지시하며;
    상기 제3 조건은,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는 것;
    단말이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원하는 것;
    단말이 현재 접속한 네트워크가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인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및/또는
    상기 송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제4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능력 정보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능력 정보는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것, 제2 요청을 송신하는 것 및/또는 제2 유형을 송신하는 것을 지시하며;
    상기 제4 조건은,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것;
    단말이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원하지 않는 것;
    단말이 제2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원하는 것;
    제3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 구성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구성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모듈은 구체적으로,
    제5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유형의 저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저장하며, 및/또는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에 따라,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것;
    제6 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를 폐기하는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며;
    상기 제5 조건은,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는 것;
    단말이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원하는 것;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6 조건은,
    단말이 제1 능력을 구비하지 않는다는 것;
    단말이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를 지원하지 않는 것;
    비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유형의 접속 네트워크 리스트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 구성 장치.
  17. 통신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구성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거나, 또는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구성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8.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면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구성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거나, 또는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구성 방법의 단계가 구현되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이 저장되어 있는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19. 비휘발성의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상기 소프트웨어 제품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구성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거나, 또는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구성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
  2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구성 방법을 수행하거나, 또는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구성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통신 장치.
KR1020237003750A 2020-07-31 2021-08-02 정보 구성 방법, 정보 구성 장치 및 통신 장치 KR202300350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762079.7A CN114079923B (zh) 2020-07-31 2020-07-31 信息配置方法、装置及通信设备
CN202010762079.7 2020-07-31
PCT/CN2021/110014 WO2022022738A1 (zh) 2020-07-31 2021-08-02 信息配置方法、装置及通信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5073A true KR20230035073A (ko) 2023-03-10

Family

ID=80037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3750A KR20230035073A (ko) 2020-07-31 2021-08-02 정보 구성 방법, 정보 구성 장치 및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179987A1 (ko)
EP (1) EP4191926A4 (ko)
KR (1) KR20230035073A (ko)
CN (1) CN114079923B (ko)
WO (1) WO2022022738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12401B2 (en) * 2005-04-04 2009-03-31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capabilities of a device
CN101594663B (zh) * 2008-05-31 2012-05-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选择的方法、系统和装置
CN103379654B (zh) * 2012-04-17 2018-09-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D2D终端接入控制方法、D2D终端、eNB和MME
CN104853410B (zh) * 2015-04-30 2016-12-2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网络接入方法及移动通信终端
US11832096B2 (en) * 2018-11-02 2023-11-28 Apple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privacy and control of traffic accessing PLMN service at a non-public network
WO2020149240A1 (en) * 2019-01-18 2020-07-23 Nec Corporation Establishing a secure connection between a user equipment and a non-public network
US20200245235A1 (en) * 2019-01-24 2020-07-3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electing non-public networ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91926A1 (en) 2023-06-07
WO2022022738A1 (zh) 2022-02-03
US20230179987A1 (en) 2023-06-08
CN114079923A (zh) 2022-02-22
EP4191926A4 (en) 2024-01-10
CN114079923B (zh) 202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25963B1 (en) Slice-based communications method and device
EP3487196B1 (en) Privacy managing entity selection in communication system
KR102504960B1 (ko) 사업자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EP3550886B1 (en) Voice over ims incoming session
US20220418038A1 (en) Selection of ip version
US20210409934A1 (en) Procedure to update the parameters related to unified access control
CN110881185B (zh) 一种通信的方法及装置
US20210297844A1 (en) Selection of Slice-Supporting PLMNs While Roaming Away from Home Network
JP7043631B2 (ja) Sscモード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150023023A (ko) 네트워크 선택의 동적 제어
CN105359564A (zh) 可信的无线局域网(wlan)接入场景
CN115004635A (zh) 签约信息获取方法及装置
CN110858991B (zh) 通信方法和设备
KR20210018831A (ko) 단말 능력을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KR102216293B1 (ko) 프로비져닝 프로파일을 이용하는 가입자 인증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접속 방법
CN111757340A (zh) 一种确定服务区域的方法、装置及系统
KR20230035073A (ko) 정보 구성 방법, 정보 구성 장치 및 통신 장치
JP7077482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システムを作動させる方法
KR20220152950A (ko) 네트워크 슬라이스 승인 제어(nsac) 발견 및 로밍 향상들
CN113329392B (zh) 家庭网关接入网络的方法和通信装置
CN114071465A (zh) 接入控制方法、装置及通信设备
WO2014067587A1 (en) Transmission of an andsf managed object tailored to ue capabilities
EP4192064A1 (en) Access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device
CN115379437B (zh) 目标终端的确定方法及装置
WO2023124991A1 (zh) 通信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