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4744A - Pillow for use in various posture - Google Patents

Pillow for use in various pos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4744A
KR20230034744A KR1020210117871A KR20210117871A KR20230034744A KR 20230034744 A KR20230034744 A KR 20230034744A KR 1020210117871 A KR1020210117871 A KR 1020210117871A KR 20210117871 A KR20210117871 A KR 20210117871A KR 20230034744 A KR20230034744 A KR 20230034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user
pillow
cove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8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종근
장연미
Original Assignee
서종근
장연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종근, 장연미 filed Critical 서종근
Priority to KR1020210117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4744A/en
Publication of KR20230034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474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illow for use in various postures, which comprises: a body having a plurality of headrests having different heights and having holes formed in the plurality of headrests, respectively; and a cover coupled to cover the plurality of holes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The cover has a plurality of resilient support parts convexly pressed downward by the plurality of hole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ser's comfort and health through protection of the cervical vertebrae by varying the height at which the neck and head are supported according to the lying posture.

Description

다양한 자세로 사용이 가능한 베개{PILLOW FOR USE IN VARIOUS POSTURE}A pillow that can be used in various postures {PILLOW FOR USE IN VARIOUS POSTURE}

본 발명은 다양한 자세로 사용이 가능한 베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높낮이가 상이한 복수의 머리받침부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머리받침부에 홀이 각각 형성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상면에 상기 복수의 홀을 덮도록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복수의 홀에 의해 하측으로 볼록하게 눌려지는 복수의 탄력지지부를 가짐으로써, 눕는 자세에 따라 목과 머리를 받쳐 지지하는 높이를 달리하여 사용자의 편안함과 경추 보호를 통한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자세로 사용이 가능한 베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low that can be used in various postures, and more specifically, to a body having a plurality of headrests having different heights and having holes formed in the plurality of headrests,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headrest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It includes a cover coupled to cover the hole, and the cover has a plurality of resilient support parts that are convexly pressed downward by the plurality of holes, thereby varying the height of supporting the neck and head according to the lying posture, so that the user's It relates to a pillow that can be used in various postures that can improve health through comfort and cervical protection.

베개는 취침시 또는 휴식시 사용자의 목과 머리를 받쳐 숙면을 유도하고, 또한 경추 보호를 통한 신체 구조의 안정성을 확보하여 호흡과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illow induces a sound sleep by supporting the user's neck and head when sleeping or resting, and also secures the stability of the body structure through protection of the cervical vertebrae, thereby facilitating breathing and blood circulation.

그러나 종래의 베개는 단순히 사용자가 정면으로 누운 상태에서의 편안함을 추구하기 위해, 머리와 목 부위를 일정한 높이로 받쳐주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측면으로 눕거나 하는 경우 정면으로 누워 자는 자세와 자세가 달라지는데 이러한 점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illow simply has the main purpose of supporting the head and neck at a certain height in order to pursue comfort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lies on the front, and when the user lies on the side, sleeping posture lying on the front and attitudes are different, but these points are not taken into account.

베개를 잘못 베거나 자세에 따른 높이를 잘 못 선택하게 되면, 어깨 결림, 코골이, 두통, 불면증, 목 디스크, 일자 목 등의 다양한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이에 베개가 일생의 1/3을 차지하는 수면 시간에 깊은 수면을 유도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건강을 해치는 원인이 될 수 있다.If you cut the pillow incorrectly or choose the wrong height according to your posture, various problems such as stiff shoulders, snoring, headaches, insomnia, neck discs, and straight necks can occur. Not only can you not induce deep sleep during sleep time, but it can actually cause harm to your health.

또한, 종래의 베개는 옆으로 눕는 자세로 베었을 때, 측두부의 가압에 의해 귀를 지지하는 부분의 내측에 충진된 충진재가 한쪽으로 쏠리면서 귀에 해당하는 부분이 너무 움푹 들어가거나 한쪽으로 급격하게 경사진 형태로 형태 변형되는 등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ventional pillow is cut in a side-lying posture, the filling material filled inside the part supporting the ear by the pressure of the side head is leaned to one side, so that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ear is too dented or tilted sharply to one side It has a structure that makes the user feel uncomfortable, such as being transformed into a photographic form.

한편, 최근 코로나 19로 인해 전 세계가 위생적인 부분에 민감하기 때문에 베개의 경우에도 세균이 서식하기 어렵고 세척이 용이한 위생적인 제품을 선호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world is sensitive to hygiene due to the recent Corona 19, even in the case of pillows, hygienic products that are difficult for germs to inhabit and are easy to clean are preferred.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2246341호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246341

본 발명은, 눕는 자세에 따라 목과 머리를 받쳐 지지하는 높이를 달리하여 사용자의 편안함과 경추 보호를 통한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다양한 자세로 사용이 가능한 베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llow that can be used in various postures, which can improve the user's comfort and health through protection of the cervical vertebrae by varying the height at which the neck and head are supported according to the lying postur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생적이며 통기성이 우수하고, 눕는 자세에 따라 사용자의 후두부 또는 귀 부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사용자의 편안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다양한 자세로 사용이 가능한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llow that can be used in various postures, which is hygienic, has excellent air permeability, and elastically supports the back of the head or the ear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lying posture to improve the user's comfort is to do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높낮이가 상이하여 눕는 자세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복수의 머리받침부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머리받침부에 홀이 각각 형성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상면에 상기 복수의 홀을 덮도록 결합되는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복수의 홀에 의해 하측으로 볼록하게 눌려지는 복수의 탄력지지부를 가지는, 다양한 자세로 사용이 가능한 베개를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dy having a plurality of headrests that can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a lying posture with different heights, and holes are formed in the plurality of headrests, respectively; And a cover coupled to cover the plurality of hol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Including, the cover provides a pillow that can be used in various postures having a plurality of resilient support parts that are convexly pressed downward by the plurality of hol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디는,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때 사용하는 제1 머리받침부와, 사용자가 위를 보고 똑바로 누울 때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머리받침부 보다 더 낮게 형성되는 제2 머리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머리받침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연결부로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is formed lower than the first headrest portion used when the user lies sideways, and the first headrest portion so that the user can use it when the user lies straight while looking up. 2 includes a headrest, and the first and second headrests may be connected by an inclined connec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바디는,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때 사용하는 제1 및 제2 머리받침부와, 상기 제1 및 제2 머리받침부 사이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위를 보고 똑바로 누울 때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3 머리받침부 보다 더 낮게 형성되는 제2 머리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머리받침부가 상기 제1 및 제3 머리받침부와 경사지게 형성된 각각의 연결부로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eadrest parts and the first and second headrest parts used when the user lies on his side and when the user lies upright and a second headrest portion formed lower than the first and third headrest portions so as to be usable, and the second headrest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and third headrest portions and respective connection portions formed at an angle. .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높낮이가 상이하여 눕는 자세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복수의 머리받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머리받침부재에는 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머리받침부재에 각각의 홀을 덮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커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커버는 상기 홀에 의해 하측으로 볼록하게 눌려지는 탄력지지부를 각각 가지는, 다양한 자세로 사용이 가능한 베개를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headrest members that can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a lying posture with different heights, holes are formed in the plurality of headrest members, respectively,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headrest members A plurality of covers coupled to cover the hole of; It further includes, and the plurality of covers provide a pillow that can be used in various postures, each having an elastic support portion that is convexly pressed downward by the hole.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때 사용하는 제1 머리받침부재와, 사용자가 위를 보고 똑바로 누울 때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머리받침부재 보다 더 낮게 형성되는 제2 머리받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머리받침부재는 상기 제1 머리받침부재 내부에 수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머리받침부재보다 폭과 길이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headrest member used when the user lies on his side, and a second headrest member formed lower than the first headrest member so that the user can use it when the user lies upright while looking up. Including, the second headrest member may be formed smaller in width and length than the first headrest member so as to be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headrest member.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베개에 위를 보고 똑바로 누울 때와 측면을 보고 옆으로 누울 때의 높이가 상이하게 된 복수의 머리받침부가 구비되어 있어서,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머리받침부 중 하나를 선택하여 바닥에 등을 대고 똑바로 눕거나 옆구리를 대고 옆으로 누워서 목과 경추를 보호하면서 편안하게 휴식이나 숙면을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pillow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eadrests having different heights when lying upright and sideways looking at one pillow, so that the user selects one of the headrests as needed. This allows you to lie on your back on the floor or lie on your side with your back on your side to protect your neck and cervical vertebrae while relaxing or sleeping comfortably.

또한, 본 발명의 베개는, 바디 내부가 비어 있고, 우수한 통기성 소재로 된 커버를 포함하여 통기성이 우수하고, 커버로 덮여진 홀 부분이 눕는 자세에 따라 사용자의 후두부 또는 귀 부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편안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ollow inside the body, has excellent air permeability by including a cover made of an excellent air permeability material, and elastically supports the back of the head or the ear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lying posture of the hole covered with the cover , can improve comfort.

특히, 옆으로 누웠을 때, 귀가 눌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보청기, 안경태 및 이어폰 등을 착용하더라도 불편함을 완화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you lie on your side, it is possible to minimize pressure on the ears, and thus, discomfort can be alleviated even when a hearing aid, glasses frames, earphones, etc. are worn.

또한, 별도의 내피가 없으며 세척 및 소독이 용이하여, 가정집은 물론 찜질방, 양로원, 요양원 및 병원 등 다수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곳에서도 안전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re is no separate endothelial and it is easy to clean and disinfect, so it can be safely and conveniently used in places where many people use it, such as a sauna, a nursing home, a nursing home, and a hospital as well as a ho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베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베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연결부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베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베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베개에서, 제1 머리받침부재 내부에 제2 머리받침부재가 수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illo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II' of FIG. 1 .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illow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3 .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onnection unit in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illow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llow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headrest member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headrest member in a pillow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베개에 대한 바람직한 양상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특히 언급하고 있는 사항 이외의 일이며 본 발명의 실시에 필요한 일은 그 분야의 종래 기술에 기초한 당업자의 설계 사항으로서 파악될 수 있다.Hereinafter, a preferred aspect of the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matters other than those specifically mentio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necessary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grasped as design matters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based on the prior art in the field.

또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과 그 분야의 기술 상식에 기초해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기재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을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모식화되어 있고 실제로 사용되는 베개의 크기나 축척을 반드시 정확하게 나타낸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ased on the cont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ommon technical knowledge in the field. 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rawings are modeled as necessary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necessarily accurately represent the size or scale of a pillow actually us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베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선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illo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1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의 베개(100)는, 바디(10)와 커버(20)를 포함한다.1 and 2, the pillow 100 of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body 10 and a cover 20.

바디(10)는 가볍고 튼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가 수면 또는 휴식 중에 좌우로 몸을 돌리는 것을 고려하여 X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Z방향으로의 상면과 X방향으로 2개의 단면 및 Y방향으로 2개의 측면을 포함하고, Z방향으로의 하면은 개방되어 내부가 비어있을 수 있다.The body 10 may be formed of a light and durable material, may be formed long in the X direction in consideration of the user turning the body left and right during sleep or rest, and may have a top surface in the Z direction and two cross-sections in the X direction and It includes two side surfaces in the Y direction, and the lower surface in the Z direction is open so that the inside may be empty.

또한, 바디(10)는 사용자가 눕는 자세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높이가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복수의 머리받침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body 10 includes a plurality of headrests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heights so that the user can selectively use them according to a lying posture.

제1 실시 예에서, 상기 머리받침부는, X방향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제1 머리받침부(11)와, X방향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제2 머리받침부(12)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headrest may include a first headrest 11 located on the left side in the X direction and a second headrest 12 located on the right side in the X direction.

제1 머리받침부(11)는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측면을 보고 옆으로 누웠을 때 머리의 한쪽 측면부를 받쳐 지지하게 된다.The first headrest part 11 is used when the user lies on his side, and when the user lies on his side while looking at the side, it supports one side part of the head.

이러한 제1 머리받침부(11)는 제2 머리받침부(12)보다 높게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평균의 신체적 조건을 가지는 성인이 측면을 보고 옆으로 누었을 때 목과 경추가 가장 편안하게 느끼는 정도의 높이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목이 꺽이거나 어깨가 눌리는 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headrest part 11 is formed higher than the second headrest part 12, and preferably the degree to which an adult with average physical condition feels most comfortable when lying on his side looking at the side. It is configured with a height of ,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the user's neck is bent or the shoulders are pressed.

또한, 제1 머리받침부(11)는 가장자리 부분에 제1 단턱부(15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턱부(15a)는 사용자가 X방향으로 우측을 보고 오른쪽 옆구리가 바닥을 향하도록 옆으로 누웠을 때 사용자의 코 밑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제1 머리받침부(11) 너머로 더 굴러 떨어지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후두부는 제2 머리받침부(12) 쪽을 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headrest portion 11 may have a first stepped portion 15a formed at an edge portion. The first stepped chin portion 15a is located under the user's nose when the user looks to the right in the X direction and lies on his or her side with the right side facing the floor to prevent the user from further rolling over the first headrest 11. will do At this time, the back of the head faces the second headrest 12 side.

제2 머리받침부(12)는 사용자가 위를 보고 등이 바닥을 향하도록 똑바로 누울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위를 보고 똑바로 누웠을 때 사용자의 후두부를 받쳐 지지하게 된다.The second headrest unit 12 is used when the user lies upright with his or her back facing the floor while looking up, and supports the back of the user when the user lies down looking up.

이러한 제2 머리받침부(12)는 제1 머리받침부(11) 보다 더 낮게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평균의 신체적 조건을 가지는 성인이 똑바로 위를 보고 누었을 때 목과 경추가 가장 편안하게 느끼는 정도의 높이로 구성되어, 목 근육의 긴장을 완화시켜 줄 수 있다.The second headrest portion 12 is formed lower than the first headrest portion 11, and preferably the degree to which an adult with average physical condition feels most comfortable when lying face down on the neck and cervical spine. It is composed of a height of, can relieve the tension of the neck muscles.

이때, 일반적으로 똑바로 위를 보고 눕는 경우 머리가 차지하는 공간이 옆으로 누었을 때 보다 더 많이 필요하므로, 제2 머리받침부(12)는 제1 머리받침부(11)보다 상대적으로 더 넓은 면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n general, since the space occupied by the head when lying straight up is more than when lying on the side, the second headrest part 12 has a relatively larger area than the first headrest part 11 It is desirable to have

또한, 제2 머리받침부(12)는 가장자리 부분에 제2 단턱부(15b)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단턱부(15b)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수면 상태에서 무의식 중에 몸을 좌측으로 더 돌리더라도 사용자의 머리가 제2 머리받침부(12)로부터 이탈하여 바닥에 굴러 떨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stepped portion 15b may be formed at an edge of the second headrest portion 12 . The second step chin portion 15b, for example, serves to prevent the user's hea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cond headrest portion 12 and rolling down on the floor even if the user turns the body further to the left while unconscious in a sleeping state. can do.

그리고, 제1 머리받침부(11)에는 소정 크기의 제1 홀(16)이 형성되고, 제2 머리받침부(12)에는 소정 크기의 제2 홀(17)이 형성된다.Also, a first hole 16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in the first headrest part 11 and a second hole 17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in the second headrest part 12 .

그리고, 바디(10)의 상면에 제1 및 제2 홀(16, 17)을 덮도록 커버(20)가 결합된다.Then, a cover 2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 to cover the first and second holes 16 and 17 .

이때, 커버(20)는 바디(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 단턱부(15a)와 제2 단턱부(15b)는 커버하지 않는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ver 20 may be formed in a size that does not cover the first stepped portion 15a and the second stepped portion 15b formed at the edge of the body 10 .

또한, 커버(20)는 복수의 나사 또는 핀 등의 고정수단(30)을 이용하여 커버(20)의 가장자리 부분을 바디(10)의 상면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바디(10)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20 may be coupled to the body 10 by fixing the edge portion of the cover 2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 using fixing means 30 such as a plurality of screws or pins. .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시 커버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바디(10)의 상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다만, 파손 등의 이유로 커버(2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접착제보다는 나사나 핀 구조 등으로 커버(20)를 바디(10)에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f necessary, the cover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 using an adhesive or the like. However, it is preferable to couple the cover 20 to the body 10 with a screw or pin structure rather than an adhesive so that the cover 20 can be easily replaced due to damage or the like.

한편, 커버(20)는 제1 머리받침부(11)에서 제1 홀(16)에 의해 하측으로 볼록하게 살짝 눌려지는 제1 탄력지지부(21)를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ver 20 may have a first elastic support portion 21 that is lightly pressed convexly downward by the first hole 16 in the first headrest portion 11 .

제1 탄력지지부(21)는 사용자의 귀가 위치하는 부분으로, 제1 홀(16) 위에 위치하여 소정의 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옆으로 누웠을 때 사용자의 귀가 과도하게 눌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first elastic support part 21 is a part where the user's ear is located, and since it is located above the first hole 16 and has a certain elasticity, it serves to prevent the user's ear from being excessively pressed when the user lies on his side. can

이렇게 귀가 과도하게 눌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소리를 듣는데도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사용자는 옆으로 누운 상태에서도 편하게 TV를 시청할 수 있다.By preventing excessive pressure on the ears, there is no problem in hearing the sound, so the user can comfortably watch TV even while lying on his side.

또한, 제1 탄력지지부(21)는 사용자가 보청기를 착용 중이거나, 안경을 사용 중이거나 이어폰을 착용하고 있더라도, 이러한 보청기, 안경태 및 이어폰이 눌림으로써 발생하는 불편함을 완화시키는 역할도 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user is wearing a hearing aid, glasses, or earphones, the first elastic support part 21 can play a role in alleviating discomfort caused by pressing the hearing aid, glasses frames, and earphones. .

그리고, 커버(20)는 제2 머리받침부(12)에서 제2 홀(17)에 의해 하측으로 볼록하게 살짝 눌려지는 제2 탄력지지부(22)를 가질 수 있다.And, the cover 20 may have a second elastic support part 22 that is lightly pressed convexly downward by the second hole 17 in the second headrest part 12 .

제2 탄력지지부(22)는 제2 홀(17) 위에 위치하여 소정의 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위를 보고 똑바로 누웠을 때 사용자의 둥그렇게 생긴 후두부가 닿으면서 머리의 하중을 분산시켜 사용자의 머리가보다 안정적이고 편안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Since the second elastic support part 22 is located above the second hole 17 and has a predetermined elasticity, when the user lies upright, the rounded back of the head of the user touches and distributes the load of the head, thereby distributing the user's head It can make it more stable and comfortable to support.

이러한 커버(20)는 바람직하게는 다공성의 재질로서 통기성이 우수한 3D 메쉬(mesh)와 같은 직물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cover 20 may be formed using a fabric such as a 3D mesh having excellent air permeability as a porous material.

또한, 다른 예로서, 커버(20)는 EVA와 같은 탄성합성수지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합성수지는 습기에 젖지 않아 위생적이고 세척 및 관리가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다중이용시설 등에서 사용하는데 유리하다.Also, as another example, the cover 20 may be made of an elastic synthetic resin such as EVA. The elastic synthetic resin is hygienic because it does not get wet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clean and manage, so it is advantageous for use in multi-use facilities and the like.

한편, 바디(10)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기용 홀(13)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t least one ventilation hole 13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body 10 .

이에 통기용 홀(13)을 통해 바디(1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커버(20)와 제1 또는 제2 홀(16, 17)을 통해 바디(10) 위쪽으로 배출되거나, 반대로 커버(20)와 제1 또는 제2 홀(16, 17)을 통해 바디(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면서, 통풍이 원활하게 되어 제1 또는 제2 머리받침부(11, 12)에 누운 사용자의 머리를 시원하게 해주어 수면 또는 휴식시 쾌적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body 10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13 is discharged upward through the cover 20 and the first or second holes 16 and 17, or, conversely, the cover 20 ) and the first or second holes 16 and 17, as air flows into the body 10, ventilation is facilitated, so that the head of the user lying on the first or second headrest 11 or 12 It can cool you down and improve your comfort while sleeping or resting.

그리고, 커버(20)는 상면에 복수의 오돌토돌한 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돌기는 사용자가 누었을 때 사용자의 머리를 눌러 지압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 the cover 20 may have a plurality of uneven protrusion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se protrusions may provide an effect of acupressure by pressing the user's head when the user lies down.

그리고, 바디(10)에서 제1 및 제2 머리받침부(11, 12)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8)는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portion 18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headrest portions 11 and 12 of the body 10 to each other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이에 사용자가 제1 머리받침부(11)에 누워있다가 X방향의 좌측으로 부드럽게 옆으로 머리를 굴려 제2 머리받침부(12)로 내려가면서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제2 머리받침부(12)에 머리를 대고 누워 있다가 X방향의 우측으로 부드럽게 머리를 굴려 제1 머리받침부(11)로 올라가면서 간편하게 이동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move while lying down on the first headrest part 11 and then gently roll his head sideways in the left direction in the X direction to go down to the second headrest part 12 . Conversely, the user may lie down with his or her head against the second headrest 12, and then gently roll his or her head to the right in the X-direction to climb up to the first headrest 11 and move conveniently.

그리고, 바디(10)의 일 단면에는 사용자의 명찰을 끼울 수 있는 명찰결합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베개(10)를 여러 명이 같이 생활하는 공용시설에서 사용하는 경우, 베개(10)의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손쉽게 구별할 수 있게 된다.And, one end surface of the body 10 may be provided with a name card coupling portion into which a user's name card can be inserted. Accordingly, when the pillow 10 is used in a common facility where several people live together, it is possible to easily distinguish who the user of the pillow 10 is.

그리고, 바디(10)의 타 단면에는 손가락을 끼워 베개(10)의 커버(20)에 손을 대지 않고도 손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홀 형상으로 된 손잡이부(14)가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 handle portion 14 having a hole shape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body 10 so that the pillow 10 can be easily carried without touching the cover 20 of the pillow 10 by inserting a finger.

다른 예로서,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베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II-II'선 단면도이다. 이하, 제2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서 제1 실시 예와 유사한 구조 및 효과에 대해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s another example,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illow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3 .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s of structures and effects similar to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are omitted to avoid duplica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실시 예의 베개(100')는, 바디(10')가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옆으로 보고 누울 때 사용하는 제1 및 제3 머리받침부(11a, 11b)와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위를 보고 등으로 누울 때 사용하는 제2 머리받침부(12')를 포함할 수 있다.3 and 4, in the pillow 100'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body 10' has a high height, and the first and third headrests 11a are used when the user lies down while looking sideways. , 11b) and the second headrest 12', which is formed low in height and used when the user lies down while looking up, may be included.

그리고, 제1 머리받침부(11a)는 가장자리 부분에 제1 단턱부(15a)가 형성될 수 있고, 제3 머리받침부(11b)는 가장자리 부분에 제3 단턱부(15b)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headrest portion 11a may have a first stepped portion 15a formed at an edge portion, and the third headrest portion 11b may have a third stepped portion 15b formed at an edge portion. there is.

제1 및 제3 단턱부(15a, 15b)는 사용자가 각각 우측 또는 좌측 옆구리가 바닥을 향하도록 누웠을 때 사용자의 코 밑에 각각 위치하여 사용자가 제1 및 제3 머리받침부(11a, 11b) 너머로 더 굴러 떨어지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first and third stepped portions 15a and 15b are located under the user's nose when the user lies down with the right or left sides facing the floor, so that the user can move over the first and third headrest portions 11a and 11b. This will help keep it from rolling down further.

그리고, 제1 머리받침부(11a)에는 소정 크기의 제1 홀(16a)이 형성되고, 제2 머리받침부(12')에는 소정 크기의 제2 홀(17')이 형성되고, 제3 머리받침부(11b)에는 소정 크기의 제3 홀(16b)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first hole 16a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in the first headrest portion 11a, and a second hole 17'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in the second headrest portion 12'. A third hole 16b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in the headrest portion 11b.

그리고, 바디(10')의 상면에 제1, 제2 및 제3 홀(16a, 17', 16b)을 덮도록 커버(20')가 결합된다.Then, a cover 2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 to cover the first, second, and third holes 16a, 17', and 16b.

이때, 커버(20')는 제1 머리받침부(11a)에서 제1 홀(16a)에 의해 하측으로 볼록하게 살짝 눌려지는 제1 탄력지지부(21a)를 가지고, 제2 머리받침부(12')에서 제2 홀(17')에 의해 하측으로 볼록하게 살짝 눌려지는 제2 탄력지지부(22')를 가지고, 제3 머리받침부(11b)에서 제3 홀(16b)에 의해 하측으로 볼록하게 살짝 눌려지는 제3 탄력지지부(21b)를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ver 20' has a first elastic support portion 21a that is lightly pressed convexly downward by the first hole 16a in the first headrest portion 11a, and the second headrest portion 12' ) has a second elastic support portion 22' that is slightly pressed convexly downward by the second hole 17', and is convex downward by the third hole 16b in the third headrest portion 11b It may have a third elastic support portion 21b that is slightly pressed.

이때, 제2 머리받침부(12')는 X방향으로 제1 머리받침부(11a)와 제3 머리받침부(11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headrest portion 12' may be located between the first headrest portion 11a and the third headrest portion 11b in the X direction.

이에 제2 머리받침부(12')에 사용자가 위를 보고 누운 경우, 제1 머리받침부(11a)와 제2 머리받침부(12')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18a)와 제3 머리받침부(11b)와 제2 머리받침부(12')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18b)에 사용자의 머리의 양 측면부가 가볍게 지지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user lies on the second headrest 12' facing up,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8a connecting the first headrest 11a and the second headrest 12' and the third head Both side parts of the user's head can be lightly supported by the second connection part 18b connecting the support part 11b and the second headrest part 12'.

또한, 제1 및 제2 연결부(18a, 18b)는 둘 다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Also, both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rtions 18a and 18b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이에 사용자가 제1 머리받침부(11a)에 오른쪽 옆구리로 누워있다가 좌측으로 부드럽게 옆으로 머리를 굴려 제2 머리받침부(12')로 내려가면서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제2 머리받침부(12')에 머리의 후두부를 대고 누워 있다가 우측으로 부드럽게 머리를 굴려 제1 머리받침부(11a)로 올라가면서 간편하게 이동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move while lying on the right side on the first headrest part 11a, gently roll his head sideways to the left side, and go down to the second headrest part 12'. Conversely, the user may lie down with the back of the head against the second headrest part 12', and then gently roll his head to the right side to ascend to the first headrest part 11a and move conveniently.

또한, 사용자가 제3 머리받침부(11b)에 왼쪽 옆구리로 누워있다가 우측으로 부드럽게 옆으로 머리를 굴려 제2 머리받침부(12')로 내려가면서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제2 머리받침부(12')에 머리의 후두부를 대고 누워 있다가 좌측으로 부드럽게 머리를 굴려 제3 머리받침부(11b)로 올라가면서 간편하게 이동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easily move while lying on the left side on the third headrest part 11b and gently rolling his head to the right side to go down to the second headrest part 12'. Conversely, the user may lie down with the back of the head against the second headrest part 12', and then gently roll his head to the left side to ascend to the third headrest part 11b and move conveniently.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연결부(18a', 18b')는 직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하단부가 예각을 가져 내측으로 오므려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rtions 18a' and 18b' may be formed at right angles, or may be formed in a shape where lower ends have an acute angle and are folded inward.

이 경우, 사용자가 제2 머리받침부(22')에서 제1 또는 제2 연결부(18a', 18b')를 통해 제1 또는 제3 머리받침부(11a, 11b)로 이동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위를 보고 등으로 눕는 자세를 계속하여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면 중에 모로 누워 자는 자세로 바꾸는 것을 어렵게 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조에 따라, 특정한 이유로 사용자가 등으로 누워서 계속 자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it becomes difficult for the user to move from the second headrest portion 22' to the first or third headrest portion 11a or 11b via the first or second connection portions 18a' or 18b', By having the user continue to maintain the posture of lying on the back while looking upward, it may be difficult for the user to change to the posture of lying on the side while sleeping. That is, 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a user needs to continue sleeping lying on his back for a specific reason, it can be usefully utilized.

또 다른 예로서, 도 6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베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베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베개에서, 제1 머리받침부재 내부에 제2 머리받침부재가 수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제3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서 제1 실시 예와 유사한 구조 및 효과에 대해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s another example,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illow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illow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illow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second head support member is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head support member. Hereinafter, detailed descriptions of structures and effects similar to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e description of the third embodiment are omitted to avoid duplication.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베개는 앞서 설명한 실시 예에서의 머리받침부의 개수만큼 서로 분리되는 복수의 머리받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6 to 8 , the pillow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headrest members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number of headrest member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제3 실시 예에서는, 베개(100")가 제1 바디(221)를 포함하는 제1 머리받침부재(200)와 제2 바디(312)를 포함하는 제2 머리받침부재(30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베개는 구성에 따라 3개 이상의 머리받침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the third embodiment, the pillow 100" includes a first headrest member 200 including a first body 221 and a second headrest member 300 including a second body 312 Although illustrated and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illow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ree or more headrest members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제1 머리받침부재(200)의 제1 바디(211)는 제2 머리받침부재(300)의 제2 바디(312)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다. 이때, 제1 바디(211)는 제2 머리받침부재(300)를 내부에 슬라이딩하며 수납할 수 있도록 일 측면이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body 211 of the first headrest member 200 is formed relatively higher than the second body 312 of the second headrest member 300 . At this time, the first body 211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is open so that the second headrest member 300 can be slid therein and accommodated therein.

그리고, 제1 바디(211)에는 소정 크기의 제1 홀(216)이 형성되고, 제1 홀(216)을 덮도록 제1 커버(220)가 결합될 수 있다.Also, a first hole 216 having a predetermined size may be formed in the first body 211 , and a first cover 220 may be coupled to cover the first hole 216 .

제2 머리받침부재(300)의 제2 바디(312)는 제1 머리받침부재(200)의 제1 바디(211)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다. 이때, 제2 바디(312)는 제1 바디(211) 내부에 수납될 수 있도록 제1 바디(211)보다 길이와 폭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body 312 of the second headrest member 300 is formed relatively lower than the first body 211 of the first headrest member 200 . In this case, the second body 312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length and width than the first body 211 so as to be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body 211 .

그리고, 제2 바디(312)에는 소정 크기의 제2 홀(317)이 형성되고, 제2 홀(317)을 덮도록 제2 커버(320)가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hole 317 having a predetermined size may be formed in the second body 312 , and a second cover 320 may be coupled to cover the second hole 317 .

이와 같이 구성된 제3 실시 예의 베개(10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제1 머리받침부재(200)와 제2 머리받침부재(300) 중에서 하나를 선택적으로 골라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제1 머리받침부재(200)와 제2 머리받침부재(300)를 X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한 후 사용할 수도 있다.The pillow 100 "of the third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by selectively selecting one of the first head support member 200 and the second head support member 300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And, in the case Accordingly, the first headrest member 200 and the second headrest member 300 may be used after arranging them side by side in the X direction.

이때, 사용자가 위를 보고 똑바로 눕고자 하는 경우에는, 높이가 낮은 제2 머리받침부재(300)를 이용하여 제2 커버에서 제2 홀(317)에 의해 하측으로 볼록하게 살짝 눌려지는 제2 탄력지지부(322)에 사용자의 머리의 후두부가 지지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후두부가 안정적이고 편안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wants to lie down straight while looking up, the second elasticity is slightly pressed convexly downward by the second hole 317 in the second cover using the second headrest member 300 having a low height. The back of the head of the user's head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322, so that the back of the head of the user can be stably and comfortably supported.

그리고, 사용자가 측면을 보고 옆으로 눕고자 하는 경우에는, 높이가 높은 제1 머리받침부재(200)를 이용하여 제1 커버에서 제1 홀(216)에 의해 하측으로 볼록하게 살짝 눌려지는 제1 탄력지지부(221)에 사용자의 귀가 닿은 상태로 탄력적으로 받쳐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머리의 측면부가 안정적이고 편안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wants to lie on his side while looking at the side, the first headrest member 200 having a high height is used to press the first hole 216 convexly downward in the first cover. The user's ear can be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elastic support part 221 in a state of contact, so that the side part of the user's head can be stably and comfortably supported.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include' a compon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100, 100', 100": 베개
10: 바디
11, 12: 제1 및 제2 머리받침부
15a, 15b: 제1 및 제2 단턱부
16, 17: 제1 및 제2 홀
20: 커버
21, 22: 제1 및 제2 탄력지지부
100, 100', 100": Pillow
10: body
11, 12: first and second headrests
15a, 15b: first and second stepped portions
16, 17: first and second holes
20: cover
21, 22: first and second elastic supports

Claims (5)

높낮이가 상이하여 눕는 자세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복수의 머리받침부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머리받침부에 홀이 각각 형성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상면에 상기 복수의 홀을 덮도록 결합되는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복수의 홀에 의해 하측으로 볼록하게 눌려지는 복수의 탄력지지부를 가지는, 다양한 자세로 사용이 가능한 베개.
a body having a plurality of headrests that can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a lying posture having different heights, and having holes formed in the plurality of headrests, respectively; and
a cover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to cover the plurality of holes; including,
The cover has a plurality of resilient support that is convexly pressed downward by the plurality of holes, a pillow that can be used in various postur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때 사용하는 제1 머리받침부와, 사용자가 위를 보고 똑바로 누울 때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머리받침부 보다 더 낮게 형성되는 제2 머리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머리받침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연결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자세로 사용이 가능한 베개.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includes a first headrest part used when the user lies on his side and a second headrest part formed lower than the first headrest part so that the user can use it when the user lies upright while looking up.
A pillow that can be used in various posture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headrests are connected by an inclined conn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때 사용하는 제1 및 제2 머리받침부와, 상기 제1 및 제2 머리받침부 사이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위를 보고 똑바로 누울 때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3 머리받침부 보다 더 낮게 형성되는 제2 머리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머리받침부가 상기 제1 및 제3 머리받침부와 경사지게 형성된 각각의 연결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자세로 사용이 가능한 베개.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is located between first and second headrest parts used when the user lies on his side and the first and second headrest parts, and the first and second headrest parts can be used when the user lies upright. 3 including a second headrest formed lower than the headrest,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headrest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third headrest portions and each of the connecting portions formed obliquely, the pillow usable in various postures.
높낮이가 상이하여 눕는 자세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복수의 머리받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머리받침부재에는 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머리받침부재에 각각의 홀을 덮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커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커버는 상기 홀에 의해 하측으로 볼록하게 눌려지는 탄력지지부를 각각 가지는, 다양한 자세로 사용이 가능한 베개.
It includes a plurality of headrest members that can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lying posture because the height is different,
A hole is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headrest members,
a plurality of cover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headrest members to cover respective holes; Including more,
The plurality of covers each have an elastic support that is convexly pressed downward by the hole, a pillow that can be used in various postures.
제4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옆으로 누울 때 사용하는 제1 머리받침부재와, 사용자가 위를 보고 똑바로 누울 때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머리받침부재 보다 더 낮게 형성되는 제2 머리받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머리받침부재는 상기 제1 머리받침부재 내부에 수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머리받침부재보다 폭과 길이가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자세로 사용이 가능한 베개.
According to claim 4,
A first headrest member used when the user lies on his side, and a second headrest member formed lower than the first headrest member so that the user can use it when the user lies upright while looking up.
The second headrest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and length are formed smaller than the first headrest member so as to be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headrest member, a pillow usable in various postures.
KR1020210117871A 2021-09-03 2021-09-03 Pillow for use in various posture KR2023003474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871A KR20230034744A (en) 2021-09-03 2021-09-03 Pillow for use in various pos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871A KR20230034744A (en) 2021-09-03 2021-09-03 Pillow for use in various pos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4744A true KR20230034744A (en) 2023-03-10

Family

ID=85511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871A KR20230034744A (en) 2021-09-03 2021-09-03 Pillow for use in various pos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4744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341B1 (en) 2020-09-10 2021-04-28 유승표 Functional pillow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341B1 (en) 2020-09-10 2021-04-28 유승표 Functional pillow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5262B1 (en) A pillow
KR101883182B1 (en) Functionality pillow
US20130318722A1 (en) Functional Pillow
KR101577903B1 (en) pillow for effect of correction and treatment
KR101056654B1 (en) Functional pillow
US5579551A (en) Arch shaped pillow apparatus with ear accomodating hole
KR101559482B1 (en) Functional pillow
KR101820357B1 (en) Massage pillow
WO2019112412A1 (en) Ergonomic and orthopaedic pillow for avoiding face wrinkles during sleep
KR20140130885A (en) A Cervical Pillow
KR20150038795A (en) Ordered Functional Pillow
KR101260501B1 (en) Sleeping posture supporting instrument
KR102475466B1 (en) Corrective pillow for cervical spine
KR20150028552A (en) Effective height-adjustable self-functional sound sleep pillow cervical spine correction and improvement on the Snoring
KR20230034744A (en) Pillow for use in various posture
KR200393585Y1 (en) The thoracic vertebrae pillow
KR200469631Y1 (en) Pillow for preventing facial wrinkle
KR100444950B1 (en) The pillow
KR101491029B1 (en) Multi-function pillow
KR102123260B1 (en) Functional pillow
KR200417962Y1 (en) A various usesing pillow
KR200308940Y1 (en) a cervical pillow
JP3197395U (en) pillow
JP2019110966A (en) pillow
KR200472811Y1 (en) Pil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