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4605A - Robot cleaner - Google Patents

Robot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4605A
KR20230034605A KR1020210117556A KR20210117556A KR20230034605A KR 20230034605 A KR20230034605 A KR 20230034605A KR 1020210117556 A KR1020210117556 A KR 1020210117556A KR 20210117556 A KR20210117556 A KR 20210117556A KR 20230034605 A KR20230034605 A KR 20230034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water
container
robot clean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5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진
성지훈
성기정
정진호
하지우
엄정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7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4605A/en
Publication of KR20230034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460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3Liquid supply reservoirs; Preparation of the agents, e.g. mix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3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 A47L11/4025Means for empty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4Vacuuming or pick-up tools; Squeege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4Accessori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conventional vacuum-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6Dust remov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91Mounting or coupling means for cyclonic chamber or dus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cleaner, which includes a body hav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a battery and a suction motor therein, having a suction port, a water container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and a dust container detachably coupled to the water container and inserted into the body, wherein the robot cleaner has an effect that a user can separate the water container and the dust container from the body with one operation.

Description

로봇 청소기 {ROBOT CLEANER}Robot Cleaner {ROBOT CLEANER}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통 및 먼지통을 분리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bot cleaner capable of separating a water container and a dust container.

청소기는 청소 대상 영역의 먼지나 이물을 흡입하거나 닦아 청소를 수행하는 기기이다.A vacuum cleaner is a device that performs cleaning by sucking or wiping dust or foreign substances in an area to be cleaned.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Such cleaners may be classified into manual cleaners for cleaning while the user directly moves the cleaner, and automatic cleaners for cleaning while driving themselves.

여기서, 로봇 청소기는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 내를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한다. 또한, 로봇 청소기는 이에 마련된 장애물 센서 기타 센서를 이용하여 청소 영역을 자동으로 주행하면서 청소하거나 로봇 청소기와 무선 접속된 리모컨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로봇 청소기가 주행하면서 청소하도록 조종할 수 있다.Here, the robot cleaner sucks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the floor while traveling by itself in an area to be cleaned. In addition, the robot cleaner may clean while automatically driving the cleaning area by using an obstacle sensor or other sensors provided therein, or manually control the robot cleaner to clean while driving by using a remote controller wirelessly connected to the robot cleaner.

한편, 로봇 청소기에는 이물질이 흡입되어 포집되는 먼지통과 로봇 청소기의 하측 면에 구비된 물걸레에 수분을 공급하는 물통이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obot cleaner may be provided with a dust container in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and collected and a water container for supplying moisture to a wet mop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robot cleaner.

이와 같이 먼지통과 물통이 구비된 로봇 청소기의 경우, 먼지통의 내부에 이물질이 쌓이거나 엉켜붙을 수 있고, 물통의 내부에는 수분이 잔존할 수 있다. 이처럼 먼지통 내부 또는 물통의 내부에 이물질이나 수분이 잔존하면 부패 또는 세균의 번식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그에 따른 악취 등이 발생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robot cleaner equipped with a dust container and a water container as described above, foreign substances may accumulate or become entangled in the dust container, and moisture may remain in the water container. As such, if foreign substances or moisture remain inside the dust bin or inside the water bin, there is a possibility of corruption or propagation of bacteria, and a foul odor may occur accordingly.

한편, 한국공개특허 KR10-2014-0023068A에는 본체에서 먼지통을 분리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가 개시되어 있다.Meanwhil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KR10-2014-0023068A discloses a robot cleaner capable of separating a dust container from a main body.

상기의 로봇 청소기는 본체의 상부에 구비된 커버를 열고 먼지통을 착탈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described above may open a cover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ttach or detach the dust container.

그러나, 상기와 같이 먼지통을 착탈하기 위하여 별도의 커버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먼지통이 결합되는 구조 및 커버의 개폐 구조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로봇 청소기의 전체적인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where a separate cover is provided to attach and detach the dust bin as described above, the overall height of the robot cleaner can be increased because a structure for coupling the dust bin and a structur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must be provided.

이러한 경우, 높이가 낮은 로봇 청소기만 청소할 수 있는 영역(예를 들어, 소파의 아래)을 청소하는 데에 제한이 될 수 있는 한계가 있다.In this case, there is a limitation in cleaning an area (for example, under a sofa) that can only be cleaned by a robot cleaner with a low height.

따라서, 분리 및 세척이 용이하면서도 로봇 청소기 내부의 공간 활용을 최대화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의 개발이 필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robot cleaner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and washed while maximizing space utilization inside the robot cleaner.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로봇 청소기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물통 및 먼지통을 바디로부터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improve the problems of conventional robot cleaners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 cleaner capable of washing a water container and a dust container by separating them from a body.

또한, 사용자가 물통 및 먼지통을 한번의 동작으로 바디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 cleaner in which a user can separate a water container and a dust container from a body with a single operation.

또한, 먼지통은 먼지 집진 장치와 결합되어 먼지통 내부의 먼지가 제거될 수 있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 cleaner capable of removing dust inside the dust bin by combining the dust bin with a dust collection device.

또한, 물통과 먼지통이 서로 손쉽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 cleaner in which a water container and a dust container can be easily coupled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또한, 물통과 먼지통이 바디의 내부에서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 cleaner capable of minimizing the volume occupied by the water container and the dust container inside the body.

또한, 한정된 바디의 크기 내에서 물통과 먼지통의 용량을 최대화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 cleaner capable of maximizing the capacity of a water container and a dust container within a limited body siz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로봇 청소기는, 내부에 배터리 및 흡입 모터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흡입구가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통; 및 상기 물통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바디에 삽입되는 먼지통;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in which a space for accommodating a battery and a suction motor is formed and a suction port is formed; a water bottle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and a dust container detachably coupled to the water container and inserted into the body.

이때, 상기 물통과 상기 먼지통이 상기 바디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물통이 상기 바디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물통과 상기 먼지통이 함께 상기 바디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water container and the dust container are coupled to the body and the water container is separated from the body, the water container and the dust container may be separated from the body together.

상기 물통은, 상기 바디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The water tank may be hook-coupled to the body.

상기 물통은, 물통 본체; 상기 물통 본체에 구비되고, 중력 방향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바디에 후크 결합되는 바디 결합 후크; 및 상기 물통 본체에 구비되고,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바디 결합 후크를 중력 방향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물통 분리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The bucket may include a bucket body; a body coupling hook provided on the water bottle body and protruding upward in the gravitational direction to be hook-coupled to the body; and a water bottle separation button provided on the water bottle body and moving the body coupling hook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상기 먼지통은, 상기 물통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The dust container may be hook-coupled to the water container.

상기 물통은, 상기 물통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먼지통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며, 상기 먼지통에 후크 결합되는 먼지통 결합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container may include a dust container coupling hook provided on the water container body, protruding toward the dust container, and hooked to the dust container.

상기 먼지통은, 먼지통 본체; 및 상기 먼지통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먼지통 결합 후크와 결합되되,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먼지통 결합 후크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먼지통 분리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The dust container may include a dust container body; and a dust container separation button provided on the dust container main body, engaged with the dust container coupling hook, and disengaged from the dust container coupling hook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본 발명에 의한 로봇 청소기는, 상기 물통의 하측 면에 결합되고, 걸레가 결합되는 걸레 장착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op mounting plate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water container and to which a mop is coupled.

한편, 상기 물통은, 상기 물통 본체의 하측 면에 형성된 한 쌍의 걸레 장착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걸레 장착판은, 하측 면에 걸레가 결합되는 장착판 본체; 상기 장착판 본체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결합 해제 버튼; 및 상기 걸레 장착 후크와 후크 결합되고, 상기 결합 해제 버튼의 직선 이동과 연동하여 이동되는 후크 걸림 턱;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ucket includes a pair of mop mounting hook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ucket body, and the mop mounting plate includes a mounting plate body to which a mop is coupled to a lower surface; a coupling release button provided to be linearly movable on the mounting plate body; and a hook hooking jaw that is hook-coupled with the mop-mounted hook and moves in conjunction with the linear movement of the coupling release button.

그리고, 상기 물통은, 상기 물통 본체의 하측 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걸레 장착판은, 상기 가이드 레일을 수용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직선 이동하는 레일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cket may include a guide rail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ucket body, and the mop mounting plate may include a rail receiving groove that accommodates the guide rail and moves linearly along the guide rail. there is.

상기 먼지통은, 흡입된 먼지가 포집되는 먼지통 본체; 및 상기 먼지통 본체의 하측 면에 형성되고, 상기 먼지통 본체에 포집된 먼지가 배출되는 먼지 배출 홀;을 포함할 수 있다.The dust box may include a dust box body in which the sucked dust is collected; and a dust discharge hol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body, through which dust collected in the dust container body is discharged.

상기 먼지통은, 상기 먼지 배출 홀을 개폐하는 먼지 배출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ust bin may further include a dust discharge cover that opens and closes the dust discharge hole.

상기 먼지통은, 상기 먼지통 본체에 형성되고,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 및 상기 먼지통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dust bin may include an air inlet formed on the dust bin body and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dust is introduced; and an air outlet formed in the dust container body and through which the air is discharged.

본 발명에 의한 로봇 청소기는, 상기 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물통으로부터 물이 유입되며, 걸레로 물을 토출하는 물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unit disposed inside the body, receiving water from the water tank, and discharging water to a mop.

상기 물 공급부는, 상기 물통 내부에 저장된 물에 유동력을 제공하는 워터 펌프; 상기 물통의 중력 방향 상측에 적어도 일부 배치되고, 상기 물통에서 유입된 물이 유동하는 물 공급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may include a water pump providing fluidity to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It may include; a water supply pipe that is at least partially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ter container in the gravitational direction and through which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container flows.

상기 물 공급부는, 상기 바디의 저면에 구비되고, 상기 물 공급 배관과 결합되며, 상기 물통에서 유입된 물이 토출되는 물 공급 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nozzle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ody, coupled to the water supply pipe, and discharging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container.

이때, 상기 걸레 장착판은, 상기 장착판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걸레 장착판이 상기 물통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물 공급 노즐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물 공급 홀;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op mounting plate may include a water supply hole formed in the mounting plate main body and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water supply nozzle in a state in which the mop mounting plate is coupled to the water container.

본 발명에 의한 로봇 청소기는, 상기 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물통 및 상기 먼지통이 수용되는 통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ucket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on the body and accommodating the water container and the dust container.

상기 통 수용부는, 상기 물통 및 상기 먼지통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ainer accommodating part may include a guide jaw for guiding sliding movement of the water container and the dust contain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 의하면, 물통과 먼지통이 바디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물통 및 먼지통을 바디로부터 분리하여 각각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container and the dust container are detachably coupled from the body, so that the water container and the dust container can be separated from the body and washed respectively.

또한, 물통과 먼지통이 서로 결합되어 사용자가 물통 및 먼지통을 한번의 동작으로 바디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ater container and the dust container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user can separate the water container and the dust container from the body with a single operation.

또한, 먼지통은 먼지 배출 홀을 통하여 먼지 집진 장치와 유로적으로 연결되어 먼지통 내부의 먼지가 제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dust bin is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on device through a dust discharge hole, so that dust inside the dust bin can be removed.

또한, 물통과 먼지통이 후크 결합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결합할 수 있고,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서로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container and the dust container are hook-coupl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ombine them, and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m from each other with a simple operation of pressing a button.

또한, 바디에 형성된 하나의 수용 공간에 물통과 먼지통이 모두 삽입 결합되므로 물통과 먼지통이 바디의 내부에서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both the water container and the dust container are inserted and coupled to one accommodating space formed in the body, the volume occupied by the water container and the dust container inside the body can be minimized.

또한, 물통과 먼지통의 착탈을 위한 부가적인 구조가 불필요하므로 한정된 바디의 크기 내에서 물통과 먼지통의 용량을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an additional structure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water container and the dust container is unnecessary, the capacity of the water container and the dust container can be maximized within the limited size of the bod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서 걸레를 제거한 상태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바디에서 물통 및 먼지통을 분리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서 물통 및 먼지통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서 물통 및 먼지통이 분리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서 먼지통을 설명하기 위한 후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서 먼지통의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서 하부 바디에 결합된 먼지통 및 물통을 바라본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서 하부 바디에 물 공급 배관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서 하부 바디에 물 공급 노즐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서 물통의 후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서 물통과 걸레 장착판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서 걸레 장착판의 상측 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서 걸레 장착판의 하측 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서 물통의 후면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서 걸레 장착판의 하측 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서 물통과 걸레 장착판 및 걸레가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view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view of a state in which a mop is removed from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control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ater container and a dust container are separated from a body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ater container and a dust container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ater container and a dust container are separated from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rear view illustrating a dust bin in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over of a dust bin is opened in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dust container and a water container coupled to a lower body are viewed in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water supply pipe is coupled to a lower body in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water supply nozzle is coupled to a lower body in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of a rear view of a water container in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between a water container and a mop mounting plate in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as viewed from an upper surface of a mop mounting plate in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as view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mop mounting plate in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looking at the rear of the water container in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for explaining a lower surface of a mop mounting plate in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water container, a mop mounting plate, and a mop are coupled in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t may not be.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사시도가 개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저면도가 개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서 걸레를 제거한 상태의 저면도가 개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가 개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바디에서 물통 및 먼지통을 분리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가 개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서 하부 바디에 결합된 먼지통 및 물통을 바라본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개시되어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ottom view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ottom view of a state in which a mop is removed from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is disclosed, FIG. 4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control of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on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water container and a dust container are separated from a body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disclosed, and FIG. 10 is a view of a dust container and a water container coupled to a lower body of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state is disclosed.

도 1 내지 도 5,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and 10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는 바닥에 놓여 바닥면(B)을 따라 이동하면서 바닥을 청소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는 로봇 청소기(1)가 바닥에 놓인 상태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on the floor and moves along the floor surface B to clean the floor. Accordingly, hereinafter, the vertical direction will be determined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robot cleaner 1 is placed on the floor.

그리고 제1 주행휠(211) 및 제2 주행휠(212)을 기준으로, 후술할 에지테이터(320)가 결합되는 쪽을 앞쪽, 전측, 전방으로 정하여 설명하고, 후술할 물통(410)이 배치된 쪽을 뒷쪽, 후측, 후방으로 정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based on the first driving wheel 211 and the second driving wheel 212, the side to which the agitator 320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is defined as the front, front, and front, and the bucket 410 to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Define the side as the back, the back, and the back and explai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각 구성의 ‘가장 낮은 부분’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가 바닥에 놓여 사용될 때, 각 구성에서 가장 낮게 위치하는 부분일 수 있고, 또는 바닥과 가장 가까운 부분일 수 있다. The 'lowest part' of each component describ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he lowest part of each component when the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on the floor and used, or It may be the part closest to the floo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는, 바디(100), 주행부(200), 청소부(300), 물청소부(400), 센서부(500), 배터리(6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0, a driving unit 200, a cleaning unit 300, a water cleaning unit 400, a sensor unit 500, a battery 600, and a control unit 700. ), including

바디(100)는, 로봇 청소기(1)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거나,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100)에는 로봇 청소기(1)를 이루는 각 부품들이 결합될 수 있고, 로봇 청소기(1)를 이루는 일부 부품들은 바디(1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The body 100 may form the overall outer shape of the robot cleaner 1 or may be formed in a frame shape. Each part constituting the robot cleaner 1 may be coupled to the body 100, and some parts constituting the robot cleaner 1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body 100.

구체적으로, 바디(100)는 하부 바디(110)와 하부 바디(110)를 덮는 상부 바디(120)로 구분될 수 있고, 하부 바디(110)와 상부 바디(120)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공간상에 로봇 청소기(1)의 부품들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바디(100)는 내부의 공간에 배터리(60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터를 수용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ody 100 may be divided into a lower body 110 and an upper body 120 covering the lower body 110, and the lower body 110 and the upper body 120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in a space formed Parts of the robot cleaner 1 may be provided. For example, the body 100 may accommodate the battery 600 and at least one motor in an internal spac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바디(100)는 상하방향(Z와 평행한 방향) 높이보다 수평방향(X 및 Y와 평행한 방향)의 폭(또는 직경)이 더 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바디(100)는, 로봇 청소기(1)가 안정된 구조를 이루도록 돕고, 로봇 청소기(1)가 이동(주행)함에 있어서 장애물을 회피하는데 유리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100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width (or diamet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irections parallel to X and Y) is greater than th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direction parallel to Z). The body 100 may help the robot cleaner 1 achieve a stable structure and may provide a structure advantageous for avoiding obstacles while the robot cleaner 1 moves (runs).

위 또는 아래에서 바라볼 때, 바디(100)는 원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When viewed from above or below, the body 10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an oval, or a rectangle.

하부 바디(110)는 상부 바디(120)와 결합되고, 내부에 먼지통(330), 물통(410), 배터리(60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터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The lower body 110 is coupled to the upper body 120 to form a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a dust container 330, a water container 410, a battery 600, at least one sensor, and at least one motor therein. can

또한, 하부 바디(110)에는 흡입구(111) 및 한 쌍의 휠 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suction port 111 and a pair of wheel holes 112 may be formed in the lower body 110 .

흡입구(111)는 바닥면의 먼지가 유입되는 통로일 수 있다. 일 예로, 흡입구(111)는 직사각형 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흡입 노즐(310)의 하측 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구(111)는 흡입 노즐(310)의 하측 단부에 형성된 먼지 유입구와 연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흡입 모터(340)가 작동되면, 먼지가 포함된 공기는 흡입구(111)를 통과하여 유입될 수 있고, 흡입 노즐(310)을 유동할 수 있으며, 상기의 공기에 포함된 먼지는 먼지통(330)에 포집될 수 있다.The inlet 111 may be a passage through which dust on the floor is introduced. For example, the suction port 111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hole, and the lower end of the suction nozzle 310 may be connected. The suction port 111 may communicate with a dust inlet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uction nozzle 310 .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suction motor 340 is operated, air containing dust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ort 111 and flow through the suction nozzle 310, and dust contained in the air may be introduced. may be collected in the dust bin 330.

흡입구(111)의 내부에는 후술할 에지테이터(320)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흡입구(111) 주변의 먼지가 에지테이터(320)의 회전에 의하여 흡입구(111) 내부로 유도될 수 있고, 먼지를 흡입하는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An agitator 320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rotatably accommodated inside the inlet 111 . With this configuration, the dust around the inlet 111 can be guided into the inlet 111 by the rotation of the agitator 320, and the efficiency of inhaling dust can be increased.

한 쌍의 휠 홀(112)은 하부 바디(110)에 형성될 수 있고,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주행휠(210)을 각각 수용할 수 있다.A pair of wheel holes 112 may be formed in the lower body 110, may be formed symmetrically from side to side, and may accommodate driving wheels 210 therein, respectively.

하부 바디(110)의 저면에는 한 쌍의 사이드 브러쉬(113)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바디(110)의 저면의 전방 양측에는 한 쌍의 사이드 브러쉬(113)가 구비될 수 있다. 사이드 브러쉬(113)는 사이드 브러쉬 모터(360)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로봇 청소기(1)의 전방 양측의 먼지를 쓸어 모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로봇 청소기(1)가 청소할 수 있는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다.A pair of side brushes 113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10 . For example, a pair of side brushes 113 may be provided on both front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10 . The side brushes 113 may sweep dust on both sides of the front side of the robot cleaner 1 while rotat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ide brush motor 360 . With this configuration, an area that can be cleaned by the robot cleaner 1 can be expanded.

하부 바디(110)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바퀴(114)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로봇 청소기(1)와 바닥면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로봇 청소기(1)의 움직임을 안내할 수 있다.At least one auxiliary wheel 114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10 .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robot cleaner 1 while minimizing friction between the robot cleaner 1 and the floor.

하부 바디(110)에는 물통 연결 노즐(115)이 구비될 수 있다. 물통(410)이 하부 바디(110)에 결합될 경우, 물통 연결 노즐(115)은 물통(410)의 물 토출구(413)와 결합되어 물통(410) 내부에 저장된 물을 물 공급부(440)로 공급할 수 있다.A water bottle connection nozzle 115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body 110 . When the bucket 410 is coupled to the lower body 110, the bucket connection nozzle 115 is coupled to the water outlet 413 of the bucket 410 to supply water stored in the bucket 410 to the water supply unit 440. can supply

하부 바디(110)에는 먼지통(330) 및 물통(410)이 삽입 결합될 수 있는 통 수용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A bucket accommodating portion 116 into which the dust container 330 and the water container 410 can be inserted and coupled may be formed in the lower body 110 .

구체적으로 통 수용부(116)는 먼지통(330) 및 물통(410)이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 수용부(116)는 하부 바디(110)의 후방 측면에서부터 전방을 향하여 오목하게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통 수용부(116)의 하측은 적어도 일부 개방될 수 있다. 이때, 통 수용부(116)의 하측 면에는 먼지통(330) 및 물통(410)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턱(116a)이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dust container 330 and the water container 410 may be inserted and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116 in a sliding manner. For example, the barrel accommodating portion 116 may be concavely formed in a groove shape toward the front from the rear side of the lower body 110, and the lower side of the barrel accommodating portion 116 may be at least partially open. At this time, guide protrusions 116a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iner accommodating portion 116 to guide sliding movement of the dust container 330 and the water container 410 .

이와 같은 구성으로, 사용자는 먼지통(330) 및 물통(410)을 하부 바디(110)의 후방에서부터 밀어넣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하부 바디(110)에 먼지통(330) 및 물통(410)을 결합시킬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user can couple the dust container 330 and the water container 410 to the lower body 110 by simply pushing the dust container 330 and the water container 410 in from the rear of the lower body 110. .

그리고, 통 수용부(116)의 개방된 하측 면을 통하여 통 수용부(116) 내부에 쌓일 수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that may accumulate in the barrel accommodating portion 116 may be easily removed through the open lower surface of the tub accommodating portion 116 .

또한, 가이드 턱(116a)에 의하여 먼지통(330) 및 물통(410)이 지지되어 먼지통(330) 및 물통(410)이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ust container 330 and the water container 410 are supported by the guide jaw 116a,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ust container 330 and the water container 410 from being separated downward.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통 수용부(116)의 내부 공간은 흡입 노즐(310)의 유로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통 수용부(116)에는 흡입 모터(340)가 장착된 위치에 홀이 형성되어 흡입 모터(340)의 작동 시 공기가 흡입 모터(340)를 향하여 유동될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the inner space of the tub accommodating portion 116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flow path of the suction nozzle 310 . In addition, a hole is formed in the cylinder accommodating portion 116 at a position where the suction motor 340 is mounted so that air can flow toward the suction motor 340 when the suction motor 340 operates.

따라서, 통 수용부(116)에 먼지통(330)이 결합된 상태에서 흡입 모터(340)가 작동되면, 흡입구(111)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 및 먼지는 흡입 노즐(310)을 통과하여 먼지통(330)으로 유입될 수 있고, 먼지통(330)으로 유입된 공기는 흡입 모터(340)를 향하여 배출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suction motor 340 is operated while the dust bin 330 is coupled to the bin accommodating part 116, the air and dust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hole 111 pass through the suction nozzle 310 and pass through the dust bin 330. ),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st bin 330 may be discharged toward the suction motor 340.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부 바디(110)에는 후술할 바디 결합 후크(412)와 후크 결합되는 물통 결합턱(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물통 결합턱(미도시)은 통 수용부(116)의 상측 벽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바디 결합 후크(412)가 걸릴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물통 결합턱(미도시)의 돌출 형태는 바디 결합 후크(412)가 걸려 지지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lower body 110 may be formed with a water bottle coupling jaw (not shown) hook-coupled with a body coupling hook 412 to be described later. A bucket coupling jaw (not shown)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upper wall of the bucket accommodating portion 116 so that the body coupling hook 412 can be caught. At this time, the protruding shape of the bucket coupling jaw (not shown) can be transformed into various shapes that can be supported by hanging the body coupling hook 412 .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바디(100)에 형성된 하나의 수용 공간에 물통(330)과 먼지통(410)이 모두 삽입 결합되므로 물통(330)과 먼지통(410)이 바디(100)의 내부에서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both the water container 330 and the dust container 410 are inserted and coupled to one accommodating space formed in the body 100, the volume occupied by the water container 330 and the dust container 410 inside the body 100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또한, 물통(330)과 먼지통(410)의 착탈을 위한 부가적인 구조가 불필요하므로 한정된 바디(100)의 크기 내에서 물통(330)과 먼지통(410)의 용량을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an additional structure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water container 330 and the dust container 410 is unnecessary, the capacities of the water container 330 and the dust container 410 can be maximized within the limited size of the body 100. There is an effect.

상부 바디(120)는 로봇 청소기(1)의 상측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부 바디(120)에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 있다.The upper body 120 may form an upper exterior of the robot cleaner 1 . Although not shown, a display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body 120 .

본 발명의 로봇 청소기(1)는 범퍼(130)를 포함할 수 있다. 범퍼(130)는, 바디(100)의 테두리를 따라 결합되되, 바디(100)를 상대로 움직이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범퍼(130)는, 바디(100)의 중앙쪽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바디(100)에 결합될 수 있다.The robot clean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umper 130. The bumper 130 is coupled along the rim of the body 100, and is made to move against the body 100. For example, the bumper 130 may be coupled to the body 100 to be reciprocally movable along a direction approaching the center of the body 100 .

범퍼(130)는 바디(100)의 테두리 일부를 따라 결합될 수 있고, 또는 바디(100)의 테두리 전체를 따라 결합될 수 있다. 범퍼(130)와 바디(100)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범퍼(130)가 장애물 등과 접촉하여 바디(100)의 중앙 쪽으로 상대이동하면, 범퍼(130)는 탄성 부재(미도시)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고, 범퍼(130)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 또는 분산하여 바디(100)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 및 감소시킬 수 있다.The bumper 130 may be coupled along a portion of the rim of the body 100, or may be coupled along the entire rim of the body 100. At least one elastic member (not show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bumper 130 and the body 100 .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bumper 130 moves relative to the center of the body 100 in contact with an obstacle, the bumper 130 can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not shown), the bumper By absorbing or dispersing the shock applied to the body 130, transmission of the shock to the body 100 can be prevented and reduced.

주행부(200)는 주행휠(210) 및 액추에이터(2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200 may include a driving wheel 210 and an actuator 220 .

주행휠(210)은 제1 주행휠(211) 및 제2 주행휠(21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주행휠(211)은 제2 주행휠(212)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대칭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 주행휠(211)이 로봇 청소기(1)의 왼쪽에 위치하는 것이라면 제2 주행휠(212)은 로봇청소기(1)의 오른쪽에 위치할 수 있고, 이때 제1 주행휠(211)과 제2 주행휠(212)은 서로 좌우대칭을 이룰 수 있다.The driving wheel 210 may include a first driving wheel 211 and a second driving wheel 212 . In this case, the first driving wheel 211 may be made the same as the second driving wheel 212 or may be made symmetrically. For example, if the first driving wheel 211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robot cleaner 1, the second driving wheel 212 may be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robot cleaner 1, and in this case, the first driving wheel 211 ) and the second driving wheel 212 may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액추에이터(220)는 제1 액추에이터(221) 및 제2 액추에이터(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액추에이터(221)는, 바디(100)에 결합되어 제1 주행휠(211)을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진다.The actuator 220 may include a first actuator 221 and a second actuator 222 . The first actuator 221 is coupled to the body 100 to rotate the first driving wheel 211 .

제1 액추에이터(221)는, 제1 주행 모터(221a) 및 하나 이상의 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actuator 221 may include a first driving motor 221a and one or more gears.

제1 주행 모터(221a)는 전기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기어는 서로 맞물려 회전하도록 이루어지고, 제1 주행 모터(221a)와 제1 주행휠(211)을 연결하며, 제1 주행 모터(221a)의 회전 동력을 제1 주행휠(211)로 전달한다. 따라서, 제1 주행 모터(221a)의 회전축의 회전 시 제1 주행휠(211)이 회전할 수 있다.The first driving motor 221a may be formed of an electric motor. The plurality of gear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o rotate, connect the first driving motor 221a and the first driving wheel 211, and transmit rotational power of the first driving motor 221a to the first driving wheel 211. do. Therefore, when the rotating shaft of the first driving motor 221a rotates, the first driving wheel 211 may rotate.

제2 액추에이터(222)는, 바디(100)에 결합되어 제2 주행휠(212)을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진다.The second actuator 222 is coupled to the body 100 to rotate the second driving wheel 212 .

제2 액추에이터(222)는, 제2 주행 모터(222a) 및 하나 이상의 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actuator 222 may include a second driving motor 222a and one or more gears.

제2 주행 모터(222a)는 전기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기어는 서로 맞물려 회전하도록 이루어지고, 제2 주행 모터(222a)와 제2 주행휠(212)을 연결하며, 제2 주행 모터(222a)의 회전 동력을 제2 주행휠(212)로 전달한다. 따라서, 제2 주행 모터(222a)의 회전축의 회전 시 제2 주행휠(212)이 회전할 수 있다.The second driving motor 222a may be formed of an electric motor. The plurality of gears mesh with each other to rotate, connect the second driving motor 222a and the second driving wheel 212, and transmit rotational power of the second driving motor 222a to the second driving wheel 212. do. Accordingly, when the rotating shaft of the second driving motor 222a rotates, the second driving wheel 212 may rotat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액추에이터(221)는 제1 주행휠(211) 바로 옆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액추에이터(222)는 제2 주행휠(212) 바로 옆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제1 액추에이터로(221) 및 제2 액추에이터(222)부터 제1 주행휠(211) 및 제2 주행휠(212)로 전달되는 동력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ctuator 221 may be disposed right next to the first driving wheel 211 . Also, the second actuator 222 may be disposed right next to the second driving wheel 212 . With this configuration, loss of power transmitted from the first actuator 221 and the second actuator 222 to the first driving wheel 211 and the second driving wheel 212 can be minimized.

제2 액추에이터(222)는 제1 액추에이터(221)와 대칭(좌우대칭)을 이룰 수 있다.The second actuator 222 may be symmetrical (left-right symmetry) with the first actuator 221 .

청소부(300)는 바닥면의 먼지 및 공기를 흡입하여 먼지를 포집할 수 있다. The cleaner 300 may collect dust by sucking dust and air on the floor.

청소부(330)는 흡입 노즐(310), 에지테이터(320), 먼지통(330), 흡입 모터(340), 필터(350), 사이드 브러쉬 모터(360) 및 에지테이터 모터(3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er 330 may include a suction nozzle 310, an agitator 320, a dust bin 330, a suction motor 340, a filter 350, a side brush motor 360, and an agitator motor 370. there is.

흡입 노즐(310)은 흡입구(111)로 유입되는 먼지 및 공기를 먼지통(330)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일 예로, 흡입 노즐(310)은 관 형태로 형성되어 흡입구(111)와 먼지통(l3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즉, 흡입 노즐(310)은 흡입구(111) 및 먼지통(330) 내부 공간을 연통시킬 수 있다. 이때, 흡입 노즐(310)은 흡입구(111)에서부터 직경이 점차 좁아지면서 먼지통(330)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suction nozzle 310 may guide dust and ai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ort 111 to the dust bin 330 . For example, the suction nozzle 310 may be formed in a tubular shape to connect the suction port 111 and the dust bin 130. That is, the suction nozzle 310 may communicate the suction port 111 and the inner space of the dust bin 330 . At this time, the suction nozzle 310 may be connected to the dust bin 330 while gradually narrowing in diameter from the suction port 111 .

에지테이터(320)는 복수 개의 브러시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외부의 먼지 및 공기를 먼지통(330)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에지테이터(3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agitator 3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rushes rotatably to guide external dust and air to the dust bin 330 .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hat at least one or more gears are provided in the agitator 320 .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에지테이터(320)는 별도의 에지테이터 모터(370)가 설치되어 회전 동력을 전달 받는 것은 물론, 실시예에 따라 제1 주행 모터(221a) 또는 제2 주행 모터(222a)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 받는 것도 가능하며, 흡입 모터(340)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 받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agitator 3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eparate agitator motor 370 installed to receive rotational power, as well as the first driving motor 221a or the second driving motor 222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 It is also possible to receive rotational power from, it is also possible to receive rotational power from the suction motor 340.

먼지통(330)은 흡입 노즐(310)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먼지를 저장할 수 있다. 먼지통(330)은 흡입 노즐(310)과 연통되는 먼지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고, 먼지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공기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먼지통(33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dust bin 330 may store dust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nozzle 310 . The dust container 330 may have a dust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nozzle 310, a space for storing dust, and an air outlet for discharging ai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ust bin 330 will be described later.

흡입 모터(340)는 흡입구(111)를 통하여 외부의 먼지 및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예로, 흡입 모터(340)는 전기 모터일 수 있다. 흡입 모터(340)에서 발생된 흡입력에 의하여 외부의 먼지 및 공기가 흡입구(111)로 유입될 수 있고, 흡입 노즐(310)을 통과한 후 먼지통(330)에 도달할 수 있다. The suction motor 340 may generate a suction force capable of sucking external dust and air through the suction port 111 . For example, the suction motor 340 may be an electric motor. External dust and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suction port 111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suction motor 340 and may reach the dust bin 330 after passing through the suction nozzle 310 .

한편, 본 실시예의 먼지통(33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350)가 수용될 수 있다. 필터(350)에 의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한 먼지가 분리될 수 있고, 미세한 먼지가 다시 공기 중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at least one or more filters 350 may be accommodated in the dust bin 330 of this embodiment.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can be separated by the filter 350, and fine dus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into the air again.

물청소부(400)는 바닥면을 닦아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물청소부(400)는 걸레(430)에 물을 공급하고, 로봇 청소기(1)의 하중을 이용하여 바닥면을 누르면서 걸레(430)와 바닥면의 마찰에 따라 바닥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닦아낼 수 있다. 물청소부(4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water cleaning unit 400 may remove foreign substances by wiping the floor. The water cleaning unit 400 supplies water to the mop 430, presses the floor using the load of the robot cleaner 1, and wipes foreign substances present on the floor according to the friction between the mop 430 and the floor. ca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water cleaning unit 400 will be described later.

센서부(500)는 로봇 청소기(1)의 청소 지역의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500 may detect obstacles in the cleaning area of the robot cleaner 1 .

센서부(500)는 제1 센서(510), 제2 센서(520) 및 제3 센서(5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500 may include a first sensor 510 , a second sensor 520 and a third sensor 530 .

제1 센서(510)는 바디(100)에 결합되고, 바디(100)를 상대로 한 범퍼(130)의 움직임(상대이동)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센서(510)는, 마이크로스위치(microswitch), 포토인터럽터(photo interrupter), 또는 택트스위치(Tact Switch)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sensor 510 may be coupled to the body 100 and detect movement (relative movement) of the bumper 130 relative to the body 100 . The first sensor 510 may be formed using a microswitch, a photo interrupter, or a tact switch.

제2 센서(520)는 바디(100)에 결합되고, 장애물과의 상대적인 거리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센서(520)는 거리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sensor 520 may be coupled to the body 100 and detect a relative distance to an obstacle. The second sensor 520 may be configured as a distance sensor.

제3 센서(530)는 바디(100)에 결합되고, 바닥면과의 상대적인 거리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hird sensor 530 may be coupled to the body 100 and detect a relative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제3 센서(530)에 의해 감지되는, 바닥면과의 상대적인 거리(바닥면에서 수직방향의 거리일 수 있고, 또는 바닥면에서 경사방향의 거리일 수 있음)가 소정의 값을 초과하는 경우, 또는 소정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는, 바닥면이 갑지가 낮아지는 경우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3 센서(530)는 낭떠러지를 감지할 수 있다.When the relative distance from the floor (which may be a vertical distance from the floor or an inclined distance from the floor) detected by the third sensor 530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Alternatively, when the predetermined range is exceeded, the bottom surface may be lowered, and thus the third sensor 530 may detect a cliff.

제3 센서(530)는, 광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 및 반사된 빛이 입사되는 수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센서(530)는 적외선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third sensor 530 may be formed of an optical sensor, and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for irradiating light and a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reflected light. The third sensor 530 may be formed of an infrared sensor.

제3 센서(530)는 클리프센서(Cliff Sensor)로 칭하여 질 수 있다.The third sensor 530 may be referred to as a cliff sensor.

배터리(600)는, 바디(100)에 결합되어 로봇 청소기(1)를 이루는 다른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배터리(600)는 제1 액추에이터(221) 및 제2 액추에이터(222)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특히, 제1 주행 모터(221a)와 제2 주행 모터(222a)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battery 600 is coupled to the body 100 to supply power to othe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robot cleaner 1. The battery 600 may supply power to the first actuator 221 and the second actuator 222, and in particular, may supply power to the first travel motor 221a and the second travel motor 222a.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배터리(600)는, 외부의 전원에 의하여 충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바디(100)의 일측, 또는 배터리(600) 자체에는 배터리(600)의 충전을 위한 충전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600 may be charged by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for this purpose, a charging terminal for charging the battery 60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100 or on the battery 600 itself. It can b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에서 배터리(600)는 바디(10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600)는 하부 바디(110)와 상부 바디(120)가 결합되어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In the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600 may be coupled to the body 100. Specifically, the battery 600 may be accommodat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combining the lower body 110 and the upper body 120 .

제어부(700)는, 기 설정된 정보 또는 실시간 정보에 따라, 제1 액추에이터(221) 및 제2 액추에이터(222)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700)의 제어를 위하여 로봇 청소기(1)에는,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가 구비될 수 있고, 제어부(700)는, 로봇 청소기(1)로 입력되는 정보, 로봇 청소기(1)에서 출력되는 정보 등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로봇 청소기(1)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troller 70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actuator 221 and the second actuator 222 according to preset information or real-time information. For control of the controller 700, the robot cleaner 1 may include a storage medium in which application programs are stored, and the controller 700 controls information input to the robot cleaner 1 and output from the robot cleaner 1. The robot cleaner 1 may be controlled by driving an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information to be used.

제어부(700)는 로봇 청소기(1)의 주행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700)는 제1 주행 모터(221a) 및 제2 주행 모터(222a)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를 각각 제어하여, 제1 주행휠(211) 및 제2 주행휠(212)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속도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700 may control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 That is, the controller 700 controls the rotation direction and rotation speed of the first travel motor 221a and the second travel motor 222a, respectively, to rotate the first travel wheel 211 and the second travel wheel 212. Direction and rotation speed can be controlled respectively.

이때, 제어부(700)는 직진 주행 또는 직선 왕복 주행하도록 로봇 청소기(1)를 제어할 수 있고, 소정 영역에 대하여 중첩적으로 주행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700)는 미리 설정된 주행 패턴을 따라 주행하도록 로봇 청소기(1)를 제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700 may control the robot cleaner 1 to travel straight or to travel in a straight line, and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robot cleaner 1 to travel overlappingly in a predetermined area. Also, the controller 700 may control the robot cleaner 1 to travel according to a preset driving pattern.

제어부(700)는, 로봇 청소기(1)의 범퍼(130)가 장애물과 접촉한 경우 회피기동할 수 있도록 로봇 청소기(1)를 제어할 수 있고, 제1 센서(510)에 의한 정보에 따라 제1 액추에이터(221) 및/또는 제2 액추에이터(222)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 청소기(1)가 주행하면서 범퍼(130)가 장애물에 접촉한 경우, 제1 센서(510)에 의해 범퍼(130)가 접촉한 위치가 파악될 수 있으며, 제어부(700)는 이러한 접촉 위치를 벗어나도록, 제1 액추에이터(221) 및/또는 제2 액추에이터(22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700 may control the robot cleaner 1 to avoid maneuvering when the bumper 130 of the robot cleaner 1 contacts an obstacle, and control the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information from the first sensor 510. It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actuator 221 and/or the second actuator 222 . For example, when the bumper 130 contacts an obstacle while the robot cleaner 1 is driving, the contact position of the bumper 130 may be identified by the first sensor 510, and the controller 700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actuator 221 and/or the second actuator 222 to move out of this contact position.

제어부(700)는, 제2 센서(520)에 의한 정보에 따라, 로봇 청소기(1)와 장애물 간의 거리가 소정의 값 이하인 경우, 로봇 청소기(1)의 주행방향이 전환하거나, 로봇 청소기(1)가 장애물과 멀어지도록, 제1 액추에이터(221) 및/또는 제2 액추에이터(22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robot cleaner 1 and an obstacle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according to information from the second sensor 520, the control unit 700 changes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 or changes the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 The operation of the first actuator 221 and/or the second actuator 222 may be controlled so that ) moves away from the obstacle.

또한 제어부(700)는, 제3 센서(530)에 의해 감지되는 거리에 따라, 로봇 청소기(1)가 정지하거나 주행방향이 전환되도록, 제1 액추에이터(221) 및/또는 제2 액추에이터(222)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700 controls the first actuator 221 and/or the second actuator 222 so that the robot cleaner 1 stops or the driving directio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istance detected by the third sensor 530. operation can be controlled.

제어부(700)는 청소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00)는 흡입 모터(34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700)는 흡입 모터(34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는 사이드 브러쉬 모터(360)의 출력을 제어하여 사이드 브러쉬(113)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는 에지터이터 모터(370)의 출력을 제어하여 에지테이터(32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700 may control the cleaner 300 . Specifically, the controller 700 may control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340 . That is, the controller 700 may control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uction motor 340 . In addition, the controller 700 may control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ide brush 113 by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side brush motor 360 . Also, the controller 700 may control the rotational speed of the agitator 320 by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agitator motor 370 .

또한, 제어부(700)는 바닥면(B)에 있는 먼지의 양에 따라 흡입 모터(34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700)는 센서부(500)를 통하여 바닥면에 존재하는 먼지의 양을 감지할 수 있고, 바닥면에 존재하는 먼지의 양이 소정 기준값보다 많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흡입 모터(340)의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700 may control the output of the suction motor 340 according to the amount of dust on the bottom surface B. That is, the control unit 700 can detect the amount of dust present on the floor through the sensor unit 500,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mount of dust present on the floor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suction motor 340 output can be increased.

한편, 도 5 내지 도 1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서 먼지통(330) 및 물청소부(4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개시되어 있다.Meanwhile, FIGS. 5 to 16 ar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dust container 330 and the water cleaning unit 400 in the robot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1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통(330) 및 물청소부(4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dust bin 330 and the water cleaning uni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16 .

먼지통(330)은 흡입 노즐(310)을 통과하여 유입되는 먼지를 저장할 수 있다.The dust bin 330 may store dust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nozzle 310 .

먼지통(330)은 먼지통 본체(331), 먼지통 분리 버튼(332), 먼지통 커버(333), 먼지 배출 홀(334), 먼지 배출 커버(335), 배출 커버 고정부(336), 먼지 유입구(337), 공기 배출구(338) 및 필터 수용홈(339)을 포함할 수 있다.The dust container 330 includes a dust container body 331, a dust container separation button 332, a dust container cover 333, a dust discharge hole 334, a dust discharge cover 335, a discharge cover fixing part 336, and a dust inlet 337. ), an air outlet 338 and a filter receiving groove 339 may be included.

먼지통 본체(331)는 내부에 먼지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통 본체(331)는 상측이 개방된 상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먼지통 본체(331)의 상부에는 먼지통 커버(333)가 힌지 결합되며, 먼지통 본체(331)의 하측에는 먼지 배출 홀(334), 먼지 유입구(337) 및 공기 배출구(338)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먼지통 본체(331)의 내부에는 필터 수용홈(339)이 형성될 수 있다.The dust container body 331 may provide a space for storing dust therein. For example, the dust container body 331 may be formed in a box shape with an open top. The dust box cover 333 is hinged to the upper part of the dust box body 331, and the dust discharge hole 334, the dust inlet 337, and the air outlet 338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dust box body 331. . In addition, a filter accommodating groove 339 may be formed inside the dust container body 331 .

먼지통(330)은 물통(410)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지통 본체(331)에는 물통(410)의 먼지통 결합 후크(416)가 결합되는 후크 수용홈(332a)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크 수용홈(332a)은 먼지통 본체(331)의 후측 면에 형성될 수 있다. 후크 수용홈(332a)에는 한 쌍의 먼지통 결합 후크(416) 중 하나가 삽입되어 후크 결합될 수 있다. The dust container 330 may be hook-coupled to the water container 410 . Specifically, a hook receiving groove 332a to which the dust container coupling hook 416 of the water container 410 is coupled may be formed in the dust container body 331 . For example, the hook receiving groove 332a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body 331 . One of the pair of dust container coupling hooks 416 may be inserted into the hook receiving groove 332a and hook-coupled thereto.

먼지통 분리 버튼(332)은 먼지통 본체(331)에 구비되고, 한 쌍의 먼지통 결합 후크(416) 중 하나와 결합되되, 외력이 인가되면 먼지통 결합 후크(416)와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The dust container separation button 332 is provided on the dust container main body 331 and is engaged with one of the pair of dust container coupling hooks 416, bu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engagement with the dust container coupling hook 416 can be released.

먼지통 분리 버튼(332)은 먼지통 결합 후크(416)와 후크 결합되고, 외력이 인가되면 먼지통 결합 후크(416)와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통 분리 버튼(332)은 길죽한 보드(board)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일측 단부(후측 단부)에는 후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먼지통 분리 버튼(332)의 가운데 부분에는 힌지부가 구비되어 먼지통 본체(331)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힌지부에는 토션스프링이 구비되어 먼지통 분리 버튼(332)과 먼지통 결합 후크(416)의 결합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먼지통 분리 버튼(332)의 타측 단부(전측 단부)에는 사용자가 누르는 위치를 가이드하는 버튼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먼지통 분리 버튼(332)의 후크는 먼지통 결합 후크(416)와 후크 결합되고, 사용자가 버튼부를 누르면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먼지통 결합 후크(416)와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The dust container separation button 332 is hook-coupled with the dust container coupling hook 416, 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coupling with the dust container coupling hook 416 may be released. For example, the dust bin separation button 33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long board, and a hook may be formed at one end (rear end). In addition, a hinge portion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dust container separation button 332 to be hinged with the dust container body 331 . At this time, a torsion spring is provided in the hinge portion to elastically support the coupling between the dust container separation button 332 and the dust container coupling hook 416 . Also, a button unit for guiding a position pressed by a user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front end) of the dust bin separation button 332 . With this configuration, the hook of the dust container separation button 332 is hook-coupled with the dust container coupling hook 416,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the hook can be released while rotating around the hinge portion.

먼지통 분리 버튼(332)은 먼지통 본체(331)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지통 분리 버튼(332)은 먼지통 본체(331)의 측면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통 본체(331)의 측면에는 먼지통 분리 버튼(332)이 수용되도록 버튼 수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먼지통 분리 버튼(332)이 먼지통 본체(33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먼지통(330)이 바디(100)에 부드럽게 삽입 장착될 수 있다.The dust container separation button 332 may be coupled to the dust container body 331 . Specifically, the dust container separation button 332 may be hinged to a side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body 331 . For example, a button accommodating groove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dust container main body 331 to accommodate the dust container separation button 332 . With this configuration, the dust container separation button 332 can be prevented from protruding outward from the dust container body 331, and the dust container 330 can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body 100.

먼지통 커버(333)는 먼지통 본체(331)의 내부 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통 커버(333)는 먼지통 본체(331)의 상측에 힌지 결합될 수 있고, 먼지통 본체(331)의 개방된 상측을 개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먼지통(330)을 바디(100)에서 분리할 경우 먼지통 본체(331)의 상측으로 먼지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는 필요시 먼지통 커버(333)를 개방하여 먼지통 본체(331)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다.The dust box cover 333 may open and close the inner space of the dust box body 331 . For example, the dust box cover 333 may be hinged to the upper side of the dust box body 331, and the open upper side of the dust box body 331 may be opened and closed.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dust bin 330 is separated from the body 100, dust can be prevented from scattering to the upper side of the dust bin body 331, and the user can open the dust bin cover 333 when necessary to prevent the dust bin body from scattering. The interior of (331) can be cleaned.

먼지 배출 홀(334)은 먼지통 본체(331)의 하측 면에 형성되고, 먼지통 본체에 포집된 먼지가 배출될 수 있다. The dust discharge hole 334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dust container body 331, and dust collected in the dust container body can be discharged.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는 청소기 스테이션(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청소기 스테이션(미도시)은 로봇 청소기(1)와 결합되어 로봇 청소기(1)의 먼지통(330)에 저장된 먼지를 제거할 수 있고, 로봇 청소기(1)의 배터리(6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 청소기(1)가 청소기 스테이션(미도시)에 결합되면, 청소기 스테이션(미도시)의 흡입구가 먼지 배출 홀(334)과 유로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로봇 청소기(1)의 충전 단자가 청소기 스테이션(미도시)의 충전 단자와 접촉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upled to a cleaner station (not shown). Here, the cleaner station (not shown) is combined with the robot cleaner 1 to remove dust stored in the dust bin 330 of the robot cleaner 1 and supplies power to the battery 600 of the robot cleaner 1. can For example, when the robot cleaner 1 is coupled to a cleaner station (not shown), a suction port of the cleaner station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the dust discharge hole 334 in a flow path. Also, a charging terminal of the robot cleaner 1 may be in contact with a charging terminal of a cleaner station (not shown).

따라서, 청소기 스테이션(미도시)의 집진 모터가 작동되면, 먼지통(330) 내부에 저장된 먼지는 먼지 배출 홀(334)을 통과하여 청소기 스테이션(미도시)의 집진부로 흡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로봇 청소기(1)의 먼지통(330)을 직접 비우지 않고도 먼지통(330) 내부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dust collection motor of the cleaner station (not shown) is operated, the dust stored in the dust container 330 may pass through the dust discharge hole 334 and be sucked into the dust collector of the cleaner station (not shown).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in that the user can remove dust inside the dust bin 330 of the robot cleaner 1 without directly emptying the dust bin 330 .

먼지 배출 커버(335)는 먼지 배출 홀(334)을 개폐할 수 있다. The dust discharge cover 335 may open and close the dust discharge hole 334 .

먼지 배출 커버(335)는 청소기 스테이션(미도시)의 집진 모터가 작동되면, 상기 집진 모터의 흡입력에 의하여 먼지 배출 홀(334)을 개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 배출 커버(335)는 판 형태로 형성되고,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먼지 배출 커버(335)의 일측 단부(이하 '고정단'이라 부를 수 있다.)는 배출 커버 고정부(336)에 의하여 먼지통 본체(331)의 하측 면에 결합되고, 먼지 배출 커버(335)의 타측 단부(이하 '자유단'이라 부를 수 있다.)는 먼지통 본체(331)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로봇 청소기(1)가 주행 및/또는 청소 시에는 먼지 배출 커버(335)가 먼지 배출 홀(334)을 막아 먼지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로봇 청소기(1)가 청소기 스테이션(미도시)에 결합된 상태에서 청소기 스테이션(미도시)의 집진 모터가 작동되면, 먼지 배출 커버(335)의 자유단이 집진 모터의 흡입력에 의하여 로봇 청소기(1)의 외측으로 휘어지면서 먼지 배출 홀(334)이 개방될 수 있다.When the dust collection motor of the cleaner station (not shown) is operated, the dust discharge cover 335 may open the dust discharge hole 334 by the suction force of the dust collection motor. For example, the dust discharge cover 335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In addition, one e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xed end') of the dust discharge cover 335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dust box body 331 by the discharge cover fixing part 336, and the dust discharge cover 335 The other end (which may be referred to as a 'free end' hereinafter) of ) may be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dust box body 331 . Therefore, when the robot cleaner 1 is driving and/or cleaning, the dust discharge cover 335 blocks the dust discharge hole 334 so that dust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when the dust collection motor of the cleaner station (not shown) is operated while the robot cleaner 1 is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not shown), the free end of the dust discharge cover 335 is move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dust collection motor to the robot cleaner. The dust discharge hole 334 may be opened while being bent to the outside of (1).

배출 커버 고정부(336)는 먼지 배출 커버(335) 및 먼지통 본체(331)의 하측 면을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출 커버 고정부(336)는 먼지 배출 커버(335)를 관통하여 먼지통 본체(331)의 하측 면에 결합되는 관통 결합부(336a) 및 먼지 배출 커버(335)를 먼지통 본체(331) 방향으로 누르는 가압부(336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먼지 배출 커버(335)의 고정단을 먼지통 본체(331)에 고정 결합시킬 수 있고, 로봇 청소기(1)가 주행 및/또는 청소 시에 먼지 배출 커버(335)가 먼지 배출 홀(334)을 실링할 수 있다.The discharge cover fixing part 336 may couple the lower surface of the dust discharge cover 335 and the dust container body 331 . Specifically, the discharge cover fixing portion 336 penetrates the dust discharge cover 335 and connects the through-coupled portion 336a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body 331 and the dust discharge cover 335 to the dust container body 331. It may include a pressing portion 336b that presses in the direction. With this configuration, the fixed end of the dust discharge cover 335 can be fixedly coupled to the dust container body 331, and the dust discharge cover 335 is installed in the dust discharge hole ( 334) can be sealed.

먼지 유입구(337)는 흡입 노즐(310)과 연통되고,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먼지통 본체(33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먼지 유입구(337)는 먼지통 본체(331)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 유입구(337)는 먼지통 본체(331)의 전방에 배치되어 하방 경사지게 형성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부 바디(110)에 형성된 흡입구(111)와 흡입 노즐(310) 내부 공간 및 먼지 유입구(337) 연결하는 유로가 완만한 경사를 이룰 수 있고, 유로 손실을 최소화하여 흡입 모터(340)의 흡입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dust inlet 337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nozzle 310 , and air containing dust may flow into the dust container body 331 . The dust inlet 337 may be formed in front of the dust container body 331 . For example, the dust inlet 337 may be formed on a surface disposed in front of the dust container body 331 and inclined downward. With this configuration, the flow path connecting the suction port 111 formed on the lower body 110, the inner space of the suction nozzle 310 and the dust inlet 337 can form a gentle slope, and minimize flow loss so that the suction motor ( 340) ha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the suction power.

공기 배출구(338)는 먼지통 본체(331)에 형성되고,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배출구(338)는 먼지통 본체(331)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공기 배출구 공기 배출구(338)는 흡입 모터(340) 및 필터(350)와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흡입 모터(340)가 작동되면, 먼지 유입구(337)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에서 먼지가 분리된 후 공기 배출구(338)로 토출될 수 있다. The air outlet 338 is formed in the dust container body 331, and air can be discharged. For example, the air outlet 338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body 331 . At this time, the air outlet air outlet 338 may be disposed close to the suction motor 340 and the filter 350 .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suction motor 340 is operated, dust may be separated from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dust inlet 337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338 .

필터 수용홈(339)에는 필터(350)가 수용될 수 있다. 필터 수용홈(339)은 먼지통 본체(33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먼지통 본체(331)의 내부 공간에 격벽이 형성되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 수용홈(339)은 상측이 개방된 상태의 홈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사용자는 필터 수용홈(339)의 상측에서 필터(350)를 삽입하여 필터(350)를 결합시킬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결합된 필터(350)를 상측으로 잡아당겨 필터 수용홈(339)에서 필터(35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는 필요 시 용이하게 필터(350)를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고, 필터(350)를 용이하게 교체 또는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 filter 350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lter receiving groove 339 . The filter accommodating groove 339 may be disposed inside the dust container body 331, and a partition wall may be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ust container body 331. Accordingly, the filter receiving groove 339 may be a groove with an open upper side. With this configuration, the user can insert the filter 350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receiving groove 339 to couple the filter 350, and pull the coupled filter 350 upward as necessary to filter the receiving groove. At 339, the filter 350 can be separated. With this configuration,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and combine the filter 350 when necessary, and can easily replace or clean the filter 350 .

한편, 필터 수용홈(339)의 일측에는 공기 배출구(338)가 배치될 수 있고, 필터 수용홈(339)의 타측에는 흡입 모터(34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공기 배출구(338)는 먼지통 본체(331)의 내부 공간에서 먼지가 저장되는 공간과 필터 수용홈(339)을 구획하는 격벽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흡입 모터(340)가 작동되면, 흡입 모터(340)의 흡입력에 의하여 유동되는 공기가 공기 배출구(338) 쪽으로 유입되고,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한 먼지는 필터(350)에 의하여 분리되어 먼지가 저장되는 공간 내에 포집될 수 있다.Meanwhile, an air outlet 338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lter accommodating groove 339, and a suction motor 340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lter accommodating groove 339. In this case, the air outlet 338 may be formed in a partition wall that divides the dust storage space and the filter receiving groove 339 in the inner space of the dust container body 331 .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suction motor 340 is operated, the air flowing by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motor 340 is introduced toward the air outlet 338, and the fine dust contained in the air is separated by the filter 350. It can be collected in the space where the dust is stored.

한편, 먼지통(330)이 바디(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먼지통(330)과 주변 부품들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지통(330)의 전방에는 흡입 노즐(310)이 배치될 수 있고, 먼지통(330)의 후방에는 물통(410)이 배치될 수 있으며, 먼지통(330)의 좌우 방향 일측에는 흡입 모터(340)가 배치될 수 있고, 먼지통(330)의 좌우 방향 타측에는 워터 펌프(441)가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dust container 330 is mounted on the body 100, a dis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dust container 330 and surrounding parts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A suction nozzle 31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dust container 330, a water container 410 may be disposed behind the dust container 330, and a suction motor 34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ust container 330 in a left-right direction. A water pump 441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dust bin 33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이때, 먼지통(330)과 물통(410)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먼지통(330)과 물통(410)이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물통(410)을 로봇 청소기(1)의 외측(후측)으로 당기면, 먼지통(330)도 물통(410)과 함께 로봇 청소기(1)의 외측(후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먼지통(330)의 주변에 배치된 흡입 노즐(310), 흡입 모터(340) 및 워터 펌프(441)는 먼지통(330)이 직선 이동되는 경로 상에 배치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물통(410)을 당기는 동작만으로 먼지통(330)까지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분리된 먼지통(330)을 바디(100)에 결합시킬 때에는, 먼지통(330)을 바디(100)의 후측에서 밀어 넣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흡입 노즐(310), 먼지통(330) 및 흡입 모터(340)가 유로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편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ust container 330 and the water container 410 may be detachably coupled, and in a state where the dust container 330 and the water container 410 are coupled, the user moves the water container 410 to the outside (rear side) of the robot cleaner 1. ), the dust container 330 may also be moved to the outside (rear side) of the robot cleaner 1 together with the water container 410 . In this case, since the suction nozzle 310, the suction motor 340, and the water pump 441 disposed around the dust container 330 are not disposed on a path along which the dust container 330 moves in a straight line, the user may use the water container 410 )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dust bin 330 only by pulling. In addition, when the separated dust bin 330 is coupled to the body 100, the suction nozzle 310, the dust bin 330, and the suction motor 340 are operated by simply pushing the dust bin 330 from the rear side of the body 100. ) can provide convenience that can be connected in a flow way.

한편, 먼지통 본체(331)의 내부 공간 배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지통 본체(331)의 전방에는 먼지 유입구(337)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먼지통 본체(331) 내부의 좌우 방향 일측에는 필터 수용홈(339) 및 공기 배출구(338)가 배치될 수 있고, 먼지통 본체(331) 내부의 좌우 방향 타측에는 먼지 배출 홀(334) 및 먼지 배출 커버(335)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흡입 모터(340)를 작동시켜 먼지를 흡입 및 저장할 때의 공기의 유동 경로와 청소기 스테이션(미도시)의 집진 모터를 작동시켜 먼지통(330)에 저장된 먼지를 배출할 때의 공기의 유동 경로를 다르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공기가 일정한 경로로만 유동하면서 먼지통 내부의 특정 위치에 먼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Meanwhile, the arrangement of the inner space of the dust box body 331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A dust inlet 337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dust container body 331 . In addition, a filter receiving groove 339 and an air outlet 338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dust box body 33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dust discharge hole 334 and dust discharge holes 334 and dust on the other side of the inside of the dust box body 33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discharge cover 335 may be disposed. With this configuration, the air flow path when dust is sucked and stored by operating the suction motor 340 and the air flow path when dust stored in the dust bin 330 is discharged by operating the dust collecting motor of the cleaner station (not shown) The flow path of can be made different.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dust from accumulating in a specific position inside the dust bin while the air flows only through a certain path.

물청소부(400)는 바닥면(B)을 닦아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The water cleaning unit 400 may remove foreign substances by wiping the bottom surface (B).

물청소부(400)는 물통(410), 걸레 장착판(420), 걸레(430) 및 물공급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cleaning unit 400 may include a water container 410, a mop mounting plate 420, a mop 430 and a water supply unit 440.

물통(410)은, 그 내부에 물과 같은 액체가 저장되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용기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water container 410 is made in the form of a container having an internal space so that a liquid such as water is stored therein.

물통(410)은 바디(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통(410)은 바디(100)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The water bottle 41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100 . Specifically, the water bottle 410 may be hook-coupled to the body 100 .

물통(410)은 물통 본체(411), 바디 결합 후크(412), 물 주입구(미도시), 주입구 커버(414), 물통 분리 버튼(415), 먼지통 결합 후크(416), 걸레 장착 후크(417), 가이드 레일(418) 및 보조 바퀴(419)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container 410 includes a water container body 411, a body coupling hook 412, a water inlet (not shown), an inlet cover 414, a water container separation button 415, a dust container coupling hook 416, a mop mounting hook 417 ), a guide rail 418 and an auxiliary wheel 419 may be included.

물통 본체(411)는 내부에 물 등의 액체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물통 본체(411)는 후방 면(411a), 전방 면(411b), 연결면(411c), 상측 면(411d) 및 하측 면(411e)을 포함하고, 상기의 후방 면(411a), 전방 면(411b), 연결면(411c), 상측 면(411d) 및 하측 면(411e)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 물 등의 액체가 저장될 수 있다.The water tank body 411 is provided with a space capable of storing liquid such as water therein. Specifically, the water bottle body 411 includes a rear surface 411a, a front surface 411b, a connection surface 411c, an upper surface 411d and a lower surface 411e, the rear surface 411a, A liquid such as water may be stored in the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front surface 411b, the connection surface 411c, the upper surface 411d, and the lower surface 411e.

여기에서 후방 면(411a)은 바디(100)와 함께 로봇 청소기(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 또는 아래에서 바라볼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는 전체적으로 원형 내지 타원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물통(410)이 바디(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후방 면(411a)은 바디(100)의 외곽 곡면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후방 면(411a)에는 후술할 물통 분리 버튼(415)이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rear surface 411a may form the exterior of the robot cleaner 1 together with the body 100 . For example, when viewed from above or below, the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ircular or oval shape as a whole. At this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water bottle 410 is coupled to the body 100, the rear surface 411a may have the same curvature as the curvature of the outer curved surface of the body 100. Meanwhile, a water bottle separation button 415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411a.

그리고, 전방 면(411b) 및 연결면(411c)은 물통(410)이 바디(100)에 결합된 경우, 바디(1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 면(411b)은 물통(410)이 바디(100)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후방 면(411a)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And, when the water bottle 410 is coupled to the body 100, the front face 411b and the connection face 411c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body 100. For example, the front face 411b may be disposed forward than the rear face 411a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water bottle 410 is coupled to the body 100.

이때, 전방 면(411b)은 먼지통(330)과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 면(411b)은 평면 형태로 형성되되, 후술할 먼지통 결합 후크(416)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물통(410)과 먼지통(330)이 결합된 상태에서 전방 면(411b)은 먼지통 본체(331)와 서로 접촉된 상태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front surface 411b may contact the dust bin 330 and each other. For example, the front surface 411b is formed in a flat shape, and a dust bin coupling hook 416 to be described later may protrude therefrom. 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water container 410 and the dust container 330 are coupled, the front surface 411b may be in contact with the dust container body 331 .

연결면(411c)은 전방 면(411b) 및 후방 면(411a)을 연결시키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연결면(411c)에는 물 공급부(440)로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구(411ca)가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surface 411c may refer to a surface connecting the front surface 411b and the rear surface 411a. A water supply port 411ca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supply unit 440 may be formed on the connection surface 411c.

상측 면(411d)은 전방 면(411b), 후방 면(411a) 및 연결면(411c)의 상측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측 면(411d)에는 바디 결합 후크(412), 물 토출구(413) 및 주입구 커버(414)가 구비될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411d may be disposed to cover upper sides of the front surface 411b, the rear surface 411a, and the connection surface 411c. A body coupling hook 412, a water outlet 413, and an inlet cover 414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411d.

하측 면(411e)은 전방 면(411b), 후방 면(411a) 및 연결면(411c)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측 면(411e)에는 걸레 장착 후크(417) 및 가이드 레일(418)이 구비될 수 있다.The lower surface 411e may be disposed below the front surface 411b, the rear surface 411a, and the connection surface 411c. A mop mounting hook 417 and a guide rail 418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411e.

바디 결합 후크(412)는 물통 본체(411)에 구비되고, 물통 본체(411)에서 중력 방향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 결합 후크(412)는 물통 본체(411)의 상측 면(411d)에 구비되어, 상측 면(411d)보다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coupling hook 412 is provided on the water bottle body 411 and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water bottle body 411 in the gravitational direction. Specifically, the body coupling hook 412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411d of the water bottle body 411 and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411d.

또한, 바디 결합 후크(412)는 바디(100)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 결합 후크(412)는 중력 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바디(100)에는 바디 결합 후크(412)와 접촉 지지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토퍼(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dy coupling hook 412 may be hook-coupled to the body 100 . For example, the body coupling hook 412 may move up and down along the direction of gravity. In addition, a stopper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body 100 so as to support and contact the body coupling hook 412 .

물통(410)이 바디(100)에 삽입 결합되면, 바디 결합 후크(412)가 바디(100)의 내부로 들어가고, 바디 결합 후크(412)는 스토퍼(미도시)에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사용자가 물통(410)을 바디(100)의 바깥쪽으로 당길 경우, 바디 결합 후크(412)가 스토퍼(미도시)에 걸려 물통(410)과 바디(100)의 분리를 막을 수 있다.When the water bottle 410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body 100, the body coupling hook 412 goes into the body 100, and the body coupling hook 412 is supported by a stopper (not shown).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user pulls the water bottle 410 out of the body 100, the body coupling hook 412 is caught on a stopper (not shown) to prevent separation between the water bottle 410 and the body 100. there is.

한편, 바디 결합 후크(412)는 물통 분리 버튼(415)에 외력이 인가되면 중력 방향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사용자가 물통 분리 버튼(415)을 누르면 바디 결합 후크(412)가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물통(410)과 바디(100)의 후크 결합이 해제될 수 있고, 사용자가 물통(410)을 바디(100)의 바깥쪽으로 당기면 물통(410)이 바디(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Meanwhile, the body coupling hook 412 may move downward in the gravitational direc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water bottle separation button 415 .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bucket release button 415, the hook coupling between the bucket 410 and the body 100 can be released while the body coupling hook 412 is moved downward, and the user can move the bucket 410 When pulling outward of the body 100, the water tank 410 may be separated from the body 100.

물 토출구(413)는 액체가 물통 본체(411)에서 토출 가능하도록 형성된 유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통(410)이 바디(100)에서 분리된 경우, 물 토출구(413)는 실링 부재(미도시) 등에 의하여 막힐 수 있고, 물통(410)이 바디(100)와 결합되면 물 토출구(413)는 물통 연결 노즐(115)과 결합되면서 물이 토출 가능하도록 개방될 수 있다.The water outlet 413 may refer to a passage formed to allow liquid to be discharged from the water container body 411 . For example, when the water tank 410 is separated from the body 100, the water outlet 413 may be blocked by a sealing member (not shown) or the like, and when the water tank 410 is coupled to the body 100, the water outlet 413 may be blocked. 413 may be opened to discharge water while being coupled with the water tank connection nozzle 115 .

물 주입구(미도시)는 액체가 물통 본체(411)로 주입될 수 있는 홀을 의미할 수 있다. 물 주입구(미도시)는 물통 본체(411)의 상측 면(411d)에 형성될 수 있다.The water inlet (not shown) may refer to a hole through which liquid is injected into the water container body 411 . A water inlet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411d of the water container body 411 .

주입구 커버(414)는 물 주입구(미도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물통(410) 내부의 액체가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inlet cover 414 may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water inlet (not shown). 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iquid inside the water container 410 from overflowing to the outside.

물통 분리 버튼(415)은 사용자가 눌러 바디 결합 후크(41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통 분리 버튼(415)은 후방 면(411a)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물통 분리 버튼(415)은 바디(100)의 상측 면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사용자가 하나의 손가락으로 물통 분리 버튼(415)을 누르고, 손 바닥과 나머지 손가락으로 물통(410)과 바디(100)를 서로 분리시킬 수 있다. The water bottle separation button 415 may be pressed by the user to move the body coupling hook 412 . For example, the water bottle release button 415 may be disposed on the rear face 411a. And the water bottle separation button 415 may be disposed close to the upper side of the body 100. With this configuration, the user can press the water bottle separation button 415 with one finger and separate the water bottle 410 and the body 100 with the palm of the hand and the rest of the fingers.

먼지통 결합 후크(416)는 먼지통(33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통 결합 후크(416)는 전방 면(411b)에 한 쌍 구비될 수 있고, 전방 면(411b)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먼지통 결합 후크(416)는 서로 대칭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dust bin coupling hook 416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dust bin 330 . For example, a pair of dust bin coupling hooks 416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411b and protrude forward from the front surface 411b. In this case, the pair of dust bin coupling hooks 416 may be formed in a symmetrical shape.

먼지통 결합 후크(416)는 먼지통(330)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먼지통 결합 후크(416) 중 어느 하나는 먼지통(330)의 후크 수용홈(332a)에 삽입 결합되고, 먼지통 결합 후크(416) 중 다른 하나는 먼지통 분리 버튼(33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물통(410)과 먼지통(330)이 바디(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물통(410)이 바디(100)로부터 분리되면, 물통(410)과 먼지통(330)이 함께 바디(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먼지통(330)과 물통(410)을 서로 분리시키고 싶을 경우, 사용자가 먼지통 분리 버튼(332)을 눌러 하나의 먼지통 결합 후크(416)와의 결합을 해제한 후, 나머지 먼지통 결합 후크(416)를 후크 수용홈(332a)에서 빼낼 수 있다.The dust bin coupling hook 416 may be hook-coupled to the dust bin 330 . For example, one of the pair of dustbin coupling hooks 416 is inserted into the hook receiving groove 332a of the dustbin 330, and the other of the dustbin coupling hooks 416 is connected to the dustbin separation button 332. can be combined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water container 410 is separated from the body 100 while the water container 410 and the dust container 330 are coupled to the body 100, the water container 410 and the dust container 330 are together with the body 100. It can be separated from (100). In addition, when the user wants to separate the dust bin 330 and the water container 410 from each other, the user presses the dust bin separation button 332 to release the coupling with one dust bin coupling hook 416, and then the remaining dust bin coupling hooks 416 Can be taken out of the hook receiving groove (332a).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물통(330)과 먼지통(410)이 후크 결합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결합할 수 있고,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서로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container 330 and the dust container 410 are hook-coupl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ouple them, and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m from each other with a simple operation of pressing a button.

또한, 물통(330)과 먼지통(410)이 서로 결합되어 사용자가 물통(330) 및 먼지통(410)을 한번의 동작으로 바디(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ater container 330 and the dust container 41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user can separate the water container 330 and the dust container 410 from the body 100 with a single operation.

또한, 물통(330) 및 먼지통(410)을 바디(100)로부터 분리하여 각각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ater container 330 and the dust container 410 can be separated from the body 100 and washed respectively.

걸레 장착 후크(417)는 걸레 장착판(420)과 후크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레 장착 후크(417)는 물통(410)의 하측 면(411e)에 형성되어 걸레 장착판(420)의 후크 걸림턱(423)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The mop mounting hook 417 may be hook-coupled with the mop mounting plate 420 . Specifically, the mop mounting hook 417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411e of the water container 410 and hook-coupled to the hook engaging jaw 423 of the mop mounting plate 420.

예를 들어, 걸레 장착 후크(417)는 물통(410)의 하측 면(411e) 상에서 로봇 청소기(1)의 전후 방향을 따라 한 쌍 형성되되, 한 쌍의 걸레 장착 후크(417)는 각각의 후측 단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하여 후크 형태의 돌출턱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걸레 장착판(420)의 로봇 청소기(1)의 후방에서부터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되면, 후크 걸림 턱(423)이 직선 이동되면서 걸레 장착 후크(417)의 돌출턱을 통과한 후, 후크 걸림 턱(423)과 걸레 장착 후크(417)의 돌출턱이 서로 지지한다. 따라서, 걸레 장착판(420)이 물통(410)에 결합되면 걸레 장착 후크(417)에 의하여 걸레 장착판(4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a pair of mop-mounted hooks 417 are formed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 on the lower surface 411e of the water container 410, and the pair of mop-mounted hooks 417 are located on the rear side of each Protruding jaws in the form of hooks may be formed toward the ends facing each other. At this time, when the mop mounting plate 420 is moved in a sliding manner from the rear of the robot cleaner 1, the hook hooking jaw 423 is linearly moved while passing through the protruding jaw of the mop mounting hook 417, and the hook hooking jaw 423 and the protruding jaw of the mop mounting hook 417 support each other. Therefore, when the mop mounting plate 420 is coupled to the water container 410, separation of the mop mounting plate 420 can be prevented by the mop mounting hook 417.

가이드 레일(418)은 걸레 장착판(420)과 물통(410)의 결합을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레일(418)은 물통(410)의 하측 면(411e)에 형성되어 걸레 장착판(420)의 레일 수용홈(424)에 결합되며, 걸레 장착판(420)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The guide rail 418 may guide the coupling of the mop mounting plate 420 and the bucket 410 . Specifically, the guide rail 418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411e of the water container 410, is coupled to the rail receiving groove 424 of the mop mounting plate 420, and guides the slide movement of the mop mounting plate 420. can do.

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418)은 물통(410)의 하측 면(411e) 상에서 로봇 청소기(1)의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레일(418)은 물통(410)의 하측 면(411e)에서 연직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부(418a)와 연장부(418a)의 하측에 배치되고, 연장부(418a)보다 좌우방향 폭이 더 넓게 형성된 지지부(418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걸레 장착판(420)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걸레 장착판(420)과 물통(410)이 결합된 상태에서 걸레 장착판(420)이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For example, the guide rail 418 may be formed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robot cleaner 1 on the lower surface 411e of the water container 410 . At this time, the guide rail 418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extension 418a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411e of the water container 410 and the extension 418a, and is wider than the extension 418a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is may include a wider formed support portion 418b. With this configuration, the effect of guiding the coupling of the mop mounting plate 420 and preventing the mop mounting plate 420 from being disengaged downward in a state in which the mop mounting plate 420 and the bucket 410 are coupled there is.

보조 바퀴(419)는 물통(410)의 하측 면(411e)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바퀴(419)는 물통(410)과 걸레 장착판(420)이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 물통(410)의 하측 면(411e)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물 청소를 할 필요가 없는 경우, 로봇 청소기(1)에서 걸레 장착판(420) 및 걸레(430)를 분리하고, 보조 바퀴(419)를 결합하여 로봇 청소기(1)의 주행을 보조할 수 있다.The auxiliary wheel 419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411e of the water container 410 . For example, the auxiliary wheel 419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411e of the bucket 410 when the bucket 410 and the mop mounting plate 420 are not mounted. Therefore, when there is no need to clean with water, the mop mounting plate 420 and the mop 430 are separated from the robot cleaner 1, and the auxiliary wheels 419 are coupled to assist the robot cleaner 1 in driving. can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여, 걸레 장착판(420) 및 걸레(43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S. 9 and 10 , the mop mounting plate 420 and the mop 430 are described as follows.

걸레 장착판(420)은 물통(410)의 하측 면(411e)에 결합되고, 하측에 걸레(430)가 결합될 수 있다. 즉, 걸레 장착판(420)은 물통(410)과 걸레(430) 사이에 배치되어, 걸레(430)를 물통(410)에 결합시키는 수단일 수 있다.The mop mounting plate 42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411e of the water container 410 and the mop 43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That is, the mop mounting plate 4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bucket 410 and the mop 430, and may be a means for coupling the mop 430 to the bucket 410.

구체적으로, 걸레 장착판(420)은 장착판 본체(421), 결합 해제 버튼(422), 후크 걸림 턱(423), 레일 수용홈(424), 물 공급 홀(425) 및 걸레 결합부(426)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op mounting plate 420 includes a mounting plate body 421, a coupling release button 422, a hook holding jaw 423, a rail receiving groove 424, a water supply hole 425, and a mop coupling part 426 ) may be included.

장착판 본체(421)는 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측에 물통(410)이 결합되고, 하측에 걸레(430)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장착판 본체(421)의 상측 면은 물통(410)의 하측 면(411e)과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고, 장착판 본체(421)의 하측 면은 걸레(43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Mounting plate body 421 is formed in a plate shape, the water tank 41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the mop 43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body 421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411e of the water container 410 in a sliding manner,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body 421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mop 430. there is.

한편, 장착판 본체(421)의 측면 후방에는 결합 해제 버튼(422)이 구비될 수 있고, 장착판 본체(421)의 상측 면에는 후크 걸림 턱(423) 및 레일 수용홈(424)이 구비될 수 있으며, 장착판 본체(421)의 하측 면에는 걸레 결합부(426)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장착판 본체(421)에는 물 공급 홀(425)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coupling release button 422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mounting plate body 421, and a hook holding jaw 423 and a rail receiving groove 424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ounting plate body 421.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body 421 may be provided with a mop coupling portion 426. In addition, a water supply hole 425 may be formed through the mounting plate body 421 .

결합 해제 버튼(422)은 장착판 본체(421)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해제 버튼(422)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장착판 본체(421) 내에서 서로 가까워지거나 서로 멀어지도록 직선이동될 수 있다. The coupling release button 422 may be provided to be linearly movable on the mounting plate body 421 . For example, the coupling release buttons 422 may be provided as a pair and linearly moved to be closer to each other or away from each other within the mounting plate body 421 .

결합 해제 버튼(422)은 외력이 인가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장착판 본체(421)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착판 본체(421)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의 공간에 결합 해제 버튼(422)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장착판 본체(421)의 측면 후방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의 공간에 결합 해제 버튼(422)이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상기의 공간에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을 넣은 후,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을 오므려 결합 해제 버튼(422)을 누를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coupling release button 422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unting plate body 421 so that an external force may be applied. Specifically, a space into which a user's finger can enter may be formed in the mounting plate body 421, and a coupling release button 422 may be disposed in the space. For example, a space into which a user's finger can enter may be formed at the rear side of the mounting plate body 421, and the coupling release button 422 may be exposed in the space. Accordingly, the user may, for example, press the coupling release button 422 by inserting the thumb and forefinger into the above space and then closing the thumb and forefinger.

또한, 결합 해제 버튼(422)에는 스프링(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스프링(미도시)은 결합 해제 버튼(422)에 복원력을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해제 버튼(422)에 인가되는 외력이 해제되면, 결합 해제 버튼(422)을 원위치(외력이 인가되기 전의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 spring (not shown)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release button 422 . A spring (not shown) may apply restoring force to the coupling release button 422 . Therefore,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oupling release button 422 is released, the coupling release button 422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position before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결합 해제 버튼(422)은 후크 걸림 턱(423)과 연결될 수 있다. 결합 해제 버튼(422)과 후크 걸림 턱(423)은 서로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해제 버튼(422)이 이동되면, 후크 걸림 턱(423)도 결합 해제 버튼(422)에 연동되어 함께 이동될 수 있다.The coupling release button 422 may be connected to the hook hooking jaw 423 . The coupling release button 422 and the hook locking jaw 423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or integrally formed. Accordingly, when the coupling release button 422 is moved, the hook hooking jaw 423 may also move in conjunction with the coupling release button 422 .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 쌍의 결합 해제 버튼(422)을 사용자가 누를 경우, 결합 해제 버튼(422)은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될 수 있고, 후크 걸림 턱(423)이 결합 해제 버튼(422)과 함께 이동되면서, 물통(410)과 걸레 장착판(420)의 후크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누름이 종료되면 결합 해제 버튼(422)은 스프링(미도시)의 복원력에 의하여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pair of coupling release buttons 422, the coupling release buttons 422 can be moved closer to each other, and the hook hooking jaw 423 is coupled with the coupling release button 422. While being moved, the hook coupling between the bucket 410 and the mop mounting plate 420 may be released. Meanwhile, when the user's pressing ends, the coupling release button 422 may be moved away from each other by a restoring force of a spring (not shown).

후크 걸림 턱(423)은 걸레 장착 후크(417)와 후크 결합되고, 결합 해제 버튼(422)의 이동과 연동하여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크 걸림 턱(423)은 장착판 본체(421)의 상측 면에 한 쌍 구비될 수 있고, 결합 해제 버튼(422)의 이동과 연동하여 서로 가까워지거나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 즉, 결합 해제 버튼(422)이 외력에 의하여 서로 가까워질 경우 후크 걸림 턱(423)도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될 수 있고, 결합 해제 버튼(422)이 서로 멀어질 경우 후크 걸림 턱(423)도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The hook hooking jaw 423 is hook-coupled with the mop-mounted hook 417, and may be moved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coupling release button 422. For example, a pair of hook hooking protrusions 423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body 421 and may be moved closer to each other or farther from each other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coupling release button 422 . That is, when the coupling release buttons 422 get closer to each other by an external force, the hook locking jaws 423 can also be moved to come closer to each other, and when the coupling release buttons 422 move away from each other, the hook locking jaws 423 also move to each other. It can be moved farther away.

한편, 후크 걸림 턱(423)은 장착판 본체(421)가 물통(410)에 슬라이드 결합됨에 따라 걸레 장착 후크(417)과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착판 본체(421)가 후방에서부터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후크 걸림 턱(423)은 걸레 장착 후크(417)에 형성된 경사면과 접촉되고,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걸레 장착 후크(417)와 서로 후크 결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hook hooking protrusion 423 may be hook-coupled with the mop mounting hook 417 as the mounting plate body 421 slides to the water container 410. For example, when the mounting plate body 421 slides from the rear to the front, the hook hooking protrusion 423 comes into contact with an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mop mounting hook 417 and mov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while the mop mounting hook 417 ) and can be hook-coupled with each other.

따라서, 후크 걸림 턱(423)과 걸레 장착 후크(417)가 서로 결합된 후에는 장착판 본체(421)가 후방으로 당겨지더라도, 후크 걸림 턱(423)과 걸레 장착 후크(417)의 결합에 의하여 걸레 장착판(420)이 물통(4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Therefore, even if the mounting plate body 421 is pulled rearward after the hook catching protrusion 423 and the mop mounting hook 417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engagement of the hook catching protrusion 423 and the mop mounting hook 417 As a result, the mop mounting plate 420 is not separated from the water container 410.

반면, 사용자가 결합 해제 버튼(422)을 가압한 상태에서는 후크 걸림 턱(423)이 서로 가까워지면서 걸레 장착 후크(417)와의 후크 결합이 해제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장착판 본체(421)를 후방으로 당기면, 걸레 장착판(420)과 물통(410)이 서로 분리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presses the coupling release button 422, the hook engagement with the mop mounting hook 417 may be released as the hook locking protrusions 423 get closer to each other, and in this state, the user can release the mounting plate body 421 ) When pulling backward, the mop mounting plate 420 and the water container 410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레일 수용홈(424)은 가이드 레일(418)을 수용하고, 가이드 레일(418)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일 수용홈(424)은 장착판 본체(421)의 상측 면에 구비될 수 있고, 내부에 가이드 레일(418)이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될 수 있다. The rail accommodating groove 424 accommodates the guide rail 418 and may linearly move along the guide rail 418 . For example, the rail accommodating groove 424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body 421, and the guide rail 418 may be accommodated therein to be linearly movable.

레일 수용홈(424)은 가이드 레일(418)의 형태에 대응하여 가이드 레일(418)이 끼워져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일 수용홈(424)은 장착판 본체(421)의 상측 면에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 레일(418)의 연장부(418a)가 수용되는 소경부와 상기 소경부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소경부보다 좌우방향 폭이 더 넓게 형성된 확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가이드 레일(418)이 레일 수용홈(424)에 수용된 상태에서 걸레 장착판(420)의 직선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고, 걸레 장착판(420)이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rail accommodating groove 424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guide rail 418 so that the guide rail 418 can be inserted and accommodated therein. For example, the rail accommodating groove 424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body 421, and is formed on a small diameter portion where the extension portion 418a of the guide rail 418 is accommodated and a lower side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And, it may include an enlarged diameter portion formed wid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an the small-diameter portion. With this configuration, the linear movement of the mop mounting plate 420 can be guided while the guide rail 418 is accommodated in the rail receiving groove 424, and the mop mounting plate 4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moved downward. can

물 공급 홀(425)은 장착판 본체(421)에 형성되고, 걸레 장착판(420)이 물통(4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후술할 물 공급 노즐(443)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공급 홀(425)은 장착판 본체(421)의 좌우에 한 쌍이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물 공급 홀(425)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장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장홀 형태의 물 공급 홀(425) 중 적어도 일부는 물 공급 노즐(443)의 토출구의 수직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hole 425 is formed in the mounting plate body 421, and may be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water supply nozzle 443 to be described later in a state where the mop mounting plate 420 is coupled to the water container 410. . For example, a pair of water supply holes 425 may be symmetrically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unting plate body 421 . At this time, the water supply hole 425 may be formed in a long hole shap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t least some of the long hole shape water supply hole 425 may be disposed vertically below the discharge port of the water supply nozzle 443. .

이와 같은 구성으로, 물 공급 노즐(443)을 통하여 토출되는 물이 물 공급 홀(425)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물은 물 공급 홀(425)의 형태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퍼질 수 있다. 따라서, 물은 물 공급 홀(425)를 통하여 걸레(430)로 공급되되, 로봇 청소기(1)의 전진 또는 후진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넓게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물이 걸레(430)로 공급된 상태에서 로봇 청소기(1)가 전진 또는 후진할 경우, 로봇 청소기(1)의 이동에 의하여 물은 걸레(43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더 퍼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물 공급 홀(425)의 형성 방향 및 로봇 청소기(1)의 전진 또는 후진으로 물이 걸레(430) 전체에 충분히 공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supply nozzle 443 may flow into the water supply hole 425 . At this time, water may sprea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long the shape of the water supply hole 425 . Accordingly, water may be supplied to the mop 430 through the water supply hole 425, and widely suppli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orward or backward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 Therefore, when the robot cleaner 1 moves forward or backward while water is supplied to the mop 430, the water may further spread to the front or rear of the mop 430 due to the movement of the robot cleaner 1. As a result, there is an effect that water can be sufficiently supplied to the entire mop 43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supply hole 425 is formed and the robot cleaner 1 moves forward or backward.

걸레 결합부(426)는 장착판 본체(421)의 하측 면에 구비될 수 있고, 걸레(430)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레 결합부(426)는 장착판 본체(421)의 하측 면에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레 결합부(426)는 장착판 본체(421)에 4개 구비될 수 있고, 그 중 2개는 장착판 본체(421)에서 전방에 배치되며, 나머지 2개는 전방에 배치된 2개보다 후방에 배치되되 로봇 청소기(1)의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로봇 청소기(1)의 주행에 따라 걸레(430)와 바닥면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더라도 전후좌우 모든 방향에서 걸레(430)가 걸레 장착판(420)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The mop coupling part 426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body 421 and may be coupled with the mop 430 . For example, the mop coupling part 426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body 421 . For example, four mop couplings 426 may be provided on the mounting plate body 421, two of which are disposed in the front of the mounting plate body 421, and the other two are disposed in the front. It is disposed rearward than the two, but may be dispose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robot cleaner 1. With this configuration, even if friction occurs between the mop 430 and the floor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robot cleaner 1,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mop 430 from falling from the mop mounting plate 420 in all directions there is.

한편, 걸레 결합부(426)는 걸레(43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걸레 결합부(426)는 벨크로(Velcro)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p coupling portion 426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mop 430. For example, the mop coupling part 426 may be Velcro.

걸레(430)는 바닥면과의 마찰에 의하여 바닥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닦아낼 수 있다. The mop 430 may wipe foreign matter present on the floor surface by friction with the floor surface.

걸레(430)는 로봇 청소기(1)의 하부에서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레(430)는 흡입 노즐(310)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로봇 청소기(1)의 전진 주행 시, 흡입 노즐(310)이 먼저 바닥면에 존재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한 후, 걸레(430)가 바닥면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닦아낼 수 있다. The mop 430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lower part of the robot cleaner 1. Specifically, the mop 430 may be disposed behind the suction nozzle 310 .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robot cleaner 1 moves forward, the suction nozzle 310 first sucks in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existing on the floor, and then the mop 430 wipes the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floor. can

걸레(430)는 물통(410) 및 걸레 장착판(4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걸레(430)는 로봇 청소기(1) 전체의 하중에 의하여 바닥면을 누를 수 있다.The mop 430 may be disposed below the water container 410 and the mop mounting plate 420. Accordingly, the mop 430 may press the floor surface by the load of the entire robot cleaner 1.

걸레(430)는 걸레 장착판(420)의 하측 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걸레(430)는 걸레 장착판(420)의 하측 면에 벨크로(Velcro)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걸레 장착판(420)의 하측 면에는 걸레 결합부(426)가 구비될 수 있고, 걸레 결합부(미도시)는 걸레의 상측 면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Mop 43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op mounting plate 420. For example, the mop 43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op mounting plate 420 in a Velcro manner. That is, the mop coupling part 426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mop mounting plate 420, and the mop coupling part (not shown)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mop.

걸레(430)는 물통(41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고, 흡수된 물을 걸레(430)의 하측 면(바닥면과 마찰되는 면) 전체에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레(430)는 상측에서부터 물을 흡수시키는 층과 물을 분산시키는 층 및 바닥면과 마찰되는 청소면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걸레(430)는 물의 흡수 및 물의 분산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The mop 430 may absorb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container 410 and evenly distribute the absorbed water over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mop 430 (the surface in friction with the floor). For example, the mop 43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water absorbing layer, a water dispersing layer, and a cleaning surface rubbing against the floor are sequentially stacked from the top. Alternatively, the mop 43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water is absorbed and water is dispersed at the same time.

이와 같은 구성으로, 걸레(430)는 물통(410)에서부터 물 공급부(440)를 통하여 물을 공급받을 수 있고, 로봇 청소기(1)의 하중을 이용하여 바닥면을 누르면서 걸레(430)와 바닥면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바닥면의 이물질을 닦아낼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mop 430 may be supplied with water from the water container 410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440, and the mop 430 and the floor surface are pressed while pressing the floor using the load of the robot cleaner 1. Foreign substances on the floor can be wiped off using the frictional force of

물 공급부(440)는 물통(410)으로부터 물이 유입되고, 걸레(430)로 물을 토출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440 may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container 410 and discharge the water to the mop 430 .

물 공급부(440)는 워터 펌프(441), 물 공급 배관(442) 및 물 공급 노즐(443)을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440 may include a water pump 441 , a water supply pipe 442 , and a water supply nozzle 443 .

워터 펌프(441)는 바디(1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워터 펌프(441)는 하부 바디(110)에 배출될 수 있고, 먼지통(33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워터 펌프(441)는 먼지통(330)을 기준으로 흡입 모터(340)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바디(100) 내부의 공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water pump 441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body 100 . For example, the water pump 441 may be discharged to the lower body 110 and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dust bin 330 . In this case, the water pump 441 may b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ction motor 340 based on the dust bin 330 . With this configuration, space efficiency inside the body 100 can be improved.

워터 펌프(441)는 물통(410) 내부에 저장된 물에 유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워터 펌프(441)는 물 공급 배관(442)을 통하여 물통(410) 및 물 공급 노즐(443)과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워터 펌프(441)는 제1 배관(442a)을 통하여 물통(410)과 유로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워터 펌프(441)가 작동되면, 물통(410)에 흡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워터 펌프(441)는 제2 배관(442b)과 연결되고, 워터 펌프(410)가 작동되면 제2 배관(442b)을 통하여 물을 토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워터 펌프(441)는 물통(410) 내부에 저장된 물을 흡입하여 물 공급 노즐(443)로 토출하는 유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water pump 441 may provide fluidity to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container 410 . The water pump 441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container 410 and the water supply nozzle 443 through a water supply pipe 442 . For example, the water pump 441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tank 410 via a flow path through the first pipe 442a, and when the water pump 441 is operated, a suction force may be applied to the water tank 410. . In addition, the water pump 441 is connected to the second pipe 442b, and when the water pump 410 is operated, water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pipe 442b. Accordingly, the water pump 441 may provide fluid power to suck in water stored in the water container 410 and discharge it to the water supply nozzle 443 .

물 공급 배관(442)은 물통(410)에서 유입된 물이 유동하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The water supply pipe 442 may provide a path through which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container 410 flows.

물 공급 배관(442)은 바디(100) 내부에 구비되고, 물통(410)과 워터 펌프(441) 및 물 공급 노즐(443)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 공급 배관(442)은 물통(410)과 워터 펌프(441) 사이 및 워터 펌프(441)와 물 공급 노즐(44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물 공급 배관(442)은 물통(410)의 중력 방향 상측에 적어도 일부 배치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pipe 442 is provided inside the body 10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tank 410, the water pump 441, and the water supply nozzle 443. Specifically, the water supply pipe 44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water tank 410 and the water pump 441 and between the water pump 441 and the water supply nozzle 443 . At this time, the water supply pipe 442 may be disposed at least partially on the upper side of the water container 410 in the direction of gravity.

예를 들어, 물 공급 배관(442)은 제1 배관(442a), 제2 배관(442b), 티커넥터(442c), 제 배관(442d) 및 제4 배관(442e)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water supply pipe 442 may include a first pipe 442a, a second pipe 442b, a tee connector 442c, a first pipe 442d, and a fourth pipe 442e.

제1 배관(442a)은 물통(410)과 워터 펌프(441)를 연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관(442a)은 하부 바디(110)에 형성된 물통 연결 노즐(115)과 워터 펌프(441)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때, 물통 연결 노즐(115)은 물통(410)과 결합되어 물통(410)에 저장된 물이 제1 배관(442a)으로 토출 가능하도록 연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워터 펌프(441)가 작동되면, 물통(410) 내부에 저장된 물이 제1 배관(442a)을 따라 워터 펌프(441)로 유동할 수 있다.The first pipe 442a may connect the water container 410 and the water pump 441 . For example, the first pipe 442a may connect the water tank connection nozzle 115 formed in the lower body 110 and the water pump 441 . At this time, the water container connection nozzle 115 is coupled to the water container 410 so that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container 410 can be discharged to the first pipe 442a. Accordingly, when the water pump 441 is operated, water stored in the water container 410 may flow to the water pump 441 along the first pipe 442a.

제2 배관(442b)은 워터 펌프(441)와 티커넥터(442c)를 연결시킬 수 있다. 제2 배관(442b)은 워터 펌프(441)에서 토출되는 물을 티커넥터(442c)로 안내할 수 있다. 이때, 하부 바디(110)에는 가이드 리브(116)가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 리브(116)는 물통(4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배관(442b)은 가이드 리브(116)에 끼워져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물의 유동 시, 물의 압력으로 제2 배관(442b)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정적으로 물을 유동시킬 수 있다.The second pipe 442b may connect the water pump 441 and the tee connector 442c. The second pipe 442b may guide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pump 441 to the tee connector 442c. At this time, a guide rib 116 may be formed in the lower body 110 , and the guide rib 116 may be disposed above the water container 410 . Also, the second pipe 442b may be support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rib 116 .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water flow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cond pipe 442b from being shaken by the pressure of the water, and it is possible to stably flow the water.

티커넥터(442c)는 워터 펌프(441)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나누어 물 공급 노즐(443)에 공급할 수 있다. 티커넥터(442c)는 내부에 3개의 유로가 형성되고, 3개의 유로가 서로 연통된 커넥터일 수 있다. 이때, 티커넥터(442c)는 제2 배관(442b)을 통하여 워터 펌프(441)와 연결되어 워터 펌프(441)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티커넥터(442c)는 제3 배관(442d) 및 제4 배관(442e)과 연결되어 한 쌍의 물 공급 노즐(443)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티커넥터(442c)는 워터 펌프(441)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2개의 방향으로 나누어 제3 배관(442d) 및 제4 배관(442e)으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티커넥터(442c)는 물통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로봇 청소기(1)를 위에서 바라볼 때, 티커넥터(442c)는 로봇 청소기(1)의 좌우 대칭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티커넥터(442c)는 걸레(430)의 좌우측으로 물을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다.The tee connector 442c may divide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pump 441 and supply the water to the water supply nozzle 443 . The tee connector 442c may be a connector having three flow paths formed therein and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tee connector 442c is connected to the water pump 441 through the second pipe 442b to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pump 441 . In addition, the tee connector 442c is connected to the third pipe 442d and the fourth pipe 442e to supply water to the pair of water supply nozzles 443 . With this configuration, the tee connector 442c can divide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pump 441 into two directions and supply it to the third pipe 442d and the fourth pipe 442e. Meanwhile, the tee connector 442c may be disposed above the water tank. Also, when viewing the robot cleaner 1 from above, the tee connector 442c may be disposed on a left-right symmetrical line of the robot cleaner 1. With this configuration, the tee connector 442c can uniformly supply water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p 430.

제3 배관(442d) 및 제4 배관(442e)은 티커넥터(442c)와 한 쌍의 물 공급 노즐(443)을 각각 연결시킬 수 있고, 티커넥터(442c)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한 쌍의 물 공급 노즐(443)에 각각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3 배관(442d)이 티커넥터(442c)의 좌측에 결합되고 제4 배관(442e)이 티커넥터(442c)의 우측에 결합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3 배관(442d)이 티커넥터(442c)의 우측에 결합되고 제4 배관(442e)이 티커넥터(442c)의 좌측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third pipe 442d and the fourth pipe 442e may connect the tee connector 442c and the pair of water supply nozzles 443, respectively, and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tee connector 442c is connected to the pair of water supply nozzles. They can be supplied to the supply nozzles 443 respectively. Meanwhile, in this embodiment, the third pipe 442d is coupled to the left side of the tee connector 442c and the fourth pipe 442e is coupled to the right side of the tee connector 442c,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hird pipe 442e is coupled to the right side of the tee connector 442c. It is also possible that (442d) is coupled to the right side of the tee connector (442c) and the fourth pipe (442e) is coupled to the left side of the tee connector (442c).

물 공급 노즐(443)은 바디(100)의 저면에 구비되고, 물 공급 배관(442)과 결합되며, 물통(410)에서 유입된 물을 토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 공급 노즐(443)은 하부 바디(110)의 저면에 좌우 대칭적으로 한 쌍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물 공급 노즐(443)은 물이 통과 가능하도록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며, 제3 배관(442d) 또는 제4 배관(442e)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배관(442d) 및 제4 배관(442e)을 통하여 유입된 물이 물 공급 노즐(443)을 통하여 하부 바디(1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걸레 장착판(420)이 물통(410)에 결합된 상태에서, 물 공급 노즐(443)은 걸레 장착판(420)의 물 공급 홀(425)의 수직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물 공급 노즐(443)에서 토출된 물이 물 공급 홀(425)을 통과하여 걸레(430)로 공급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nozzle 443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00, is coupled to the water supply pipe 442, and can discharge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container 410. Specifically, a pair of water supply nozzles 443 may be provided symmetrical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body 110 . In addition, each water supply nozzle 443 has a flow path formed therein to allow water to pass therethrough, and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pipe 442d or the fourth pipe 442e. Accordingly,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third pipe 442d and the fourth pipe 442e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 body 110 through the water supply nozzle 443 . On the other hand, in a state where the mop mounting plate 420 is coupled to the water container 410, the water supply nozzle 443 may be disposed vertically above the water supply hole 425 of the mop mounting plate 420. With this configuration,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nozzle 443 may pass through the water supply hole 425 and be supplied to the mop 430 .

한편, 도 17 내지 도 19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의 걸레 장착판(1420) 및 물통(1410)이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FIGS. 17 to 19 show a mop mounting plate 1420 and a water container 1410 of the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 내지 도 1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의 걸레 장착판(142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S. 17 to 19, the mop mounting plate 1420 of the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한편,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특별히 설명하는 내용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의 내용을 원용할 수 있다. Meanwhile, in order to avoid redundant description, the contents of the robot clea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except for the contents specifically described in the present embodiment.

본 실시예에서 장착판 본체(1421)의 내부에는 결합 해제 버튼(1422)이 수용될 수 있고, 장착판 본체(1421)의 하측 면에는 걸레 결합부(1426)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장착판 본체(1421)에는 물 공급 홀(1425)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coupling release button 1422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mounting plate body 1421, and a mop coupling part 1426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body 1421. In addition, a water supply hole 1425 may be formed through the mounting plate body 1421 .

결합 해제 버튼(1422)은 장착판 본체(1421)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해제 버튼(1422)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장착판 본체(1421) 내에서 서로 가까워지거나 서로 멀어지도록 직선이동될 수 있다. The coupling release button 1422 may be provided to be linearly movable on the mounting plate body 1421 . For example, the coupling release buttons 1422 may be provided as a pair and linearly moved to be closer to each other or away from each other within the mounting plate body 1421 .

이때, 결합 해제 버튼(1422)은 외력이 인가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장착판 본체(1421)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착판 본체(1421)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의 공간에 결합 해제 버튼(1422)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장착판 본체(1421)의 하측 면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의 공간에 결합 해제 버튼(1422)이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상기의 공간에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을 넣은 후,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을 오므려 결합 해제 버튼(1422)을 누를 수 있다.At this time, at least a part of the coupling release button 1422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unting plate body 1421 so that an external force may be applied. Specifically, a space into which a user's finger can enter may be formed in the mounting plate body 1421,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oupling release button 1422 may be disposed in the space. For example, a space into which a user's finger can enter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body 1421, and the coupling release button 1422 may be exposed in the space. Accordingly, the user may, for example, press the coupling release button 1422 by inserting the thumb and forefinger into the above space and then closing the thumb and forefinger.

또한, 걸레 장착판(1420)에 걸레(143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사용자는 걸레 장착판(1420)에서 걸레(1430)를 분리한 후, 상기의 공간에 손가락을 넣어 결합 해제 버튼(1422)을 누를 수 있다.In add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mop 1430 is coupled to the mop mounting plate 1420, the user separates the mop 1430 from the mop mounting plate 1420, and then inserts a finger into the above space to release the coupling button 1422. can be pressed.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의하면 걸레 장착판(1420)에 걸레(143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결합 해제 버튼(1422)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이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들어가는 공간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a state in which the mop 1430 is coupled to the mop mounting plate 1420, the coupling release button 1422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is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accumulating in a space where a user's finger enters.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is i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 that modific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by the person.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arified by the appended claims.

1 : 로봇 청소기
100 : 바디
110 : 하부 바디
200 : 주행부
300 : 청소부
330 : 먼지통
331 : 먼지통 본체
332 : 먼지통 분리 버튼
339 : 필터 수용홈
340 : 흡입 모터
350 : 필터
400 : 물청소부
410 : 물통
411 : 물통 본체
412 : 바디 결합 후크
415 : 물통 분리 버튼
416 : 먼지통 결합 후크
417 : 걸레 장착 후크
418 : 가이드 레일
420, 1420 : 걸레 장착판
421, 1421 : 장착판 본체
422, 1422 : 결합 해제 버튼
423, 1423 : 후크 걸림 턱
424, 1424 : 레일 수용홈
425, 1425 : 물 공급 홀
430 : 걸레
440 : 물 공급부
441 : 워터 펌프
442 : 물 공급 배관
443 : 물 공급 노즐
1: Robot vacuum cleaner
100: body
110: lower body
200: driving part
300: cleaner
330: dust bin
331: dust box body
332: dust bin separation button
339: filter receiving groove
340: intake motor
350: filter
400: water cleaner
410: bucket
411: water bottle body
412: body coupling hook
415: water bottle separation button
416: dust bin coupling hook
417: mop mounting hook
418: guide rail
420, 1420: mop mounting plate
421, 1421: mounting plate body
422, 1422: coupling release button
423, 1423: hook hook jaw
424, 1424: rail receiving groove
425, 1425: water supply hole
430: mop
440: water supply unit
441: water pump
442: water supply piping
443: water supply nozzle

Claims (18)

내부에 배터리 및 흡입 모터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흡입구가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통; 및
상기 물통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바디에 삽입되는 먼지통;
을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A body in which a space for accommodating a battery and a suction motor is formed and a suction port is formed;
a water bottle detachably coupled to the body; and
a dust container detachably coupled to the water container and inserted into the body;
A robot clean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과 상기 먼지통이 상기 바디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물통이 상기 바디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물통과 상기 먼지통이 함께 상기 바디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water container and the dust container are coupled to the body and the water container is separated from the body, the water container and the dust container are separated from the body toge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상기 바디에 후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bucket is
A robot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hook coupled to the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물통 본체;
상기 물통 본체에 구비되고, 중력 방향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바디에 후크 결합되는 바디 결합 후크; 및
상기 물통 본체에 구비되고,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바디 결합 후크를 중력 방향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물통 분리 버튼;
을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bucket is
bucket body;
a body coupling hook provided on the water bottle body and protruding upward in the gravitational direction to be hook-coupled to the body; and
a water bottle separation button provided on the water bottle body and moving the body coupling hook downward in the gravitational direc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 robot clean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통은,
상기 물통에 후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dust bin,
A robot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hook coupled to the water ta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상기 물통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먼지통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며, 상기 먼지통에 후크 결합되는 먼지통 결합 후크;
를 포함하고,
상기 먼지통은,
먼지통 본체; 및
상기 먼지통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먼지통 결합 후크와 결합되되,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먼지통 결합 후크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먼지통 분리 버튼;
을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bucket is
a dust container coupling hook provided on the water container body, protruding toward the dust container, and hooked to the dust container;
including,
The dust bin,
dust box body; and
a dust container separation button provided on the dust container main body, engaged with the dust container coupling hook, and disengaged from the dust container coupling hook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 robot clean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의 하측 면에 결합되고, 걸레가 결합되는 걸레 장착판;
을 더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A mop mounting plate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water container and coupled to a mop;
A robot cleaner further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물통 본체; 및
상기 물통 본체의 하측 면에 형성된 한 쌍의 걸레 장착 후크;
를 포함하고,
상기 걸레 장착판은,
하측 면에 걸레가 결합되는 장착판 본체;
상기 장착판 본체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결합 해제 버튼; 및
상기 걸레 장착 후크와 후크 결합되고, 상기 결합 해제 버튼의 직선 이동과 연동하여 이동되는 후크 걸림 턱;
을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7,
The bucket is
bucket body; and
A pair of mop mounting hook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tank body;
including,
The mop mounting plate,
Mounting plate body to which the mop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a coupling release button provided to be linearly movable on the mounting plate body; and
a hook hooking jaw that is hook-coupled with the mop mounting hook and moves in conjunction with the linear movement of the coupling releasing button;
A robot cleaner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물통 본체; 및
상기 물통 본체의 하측 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
을 포함하고,
상기 걸레 장착판은,
상기 가이드 레일을 수용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직선 이동하는 레일 수용홈;
을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7,
The bucket is
bucket body; and
a guide rail formed on a lower side of the water tank body;
including,
The mop mounting plate,
a rail accommodating groove that accommodates the guide rail and linearly moves along the guide rail;
A robot clean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통은,
먼지통 본체; 및
상기 먼지통 본체의 하측 면에 형성되고, 상기 먼지통 본체에 포집된 먼지가 배출되는 먼지 배출 홀;
을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dust bin,
dust box body; and
a dust discharge hol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dust container body and through which dust collected in the dust container body is discharged;
A robot cleaner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통은,
상기 먼지 배출 홀을 개폐하는 먼지 배출 커버;
를 더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0,
The dust bin,
a dust discharge cover opening and closing the dust discharge hole;
A robot cleaner furth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통은,
먼지통 본체;
상기 먼지통 본체에 형성되고,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 및
상기 먼지통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
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dust bin,
dust box body;
an air inlet formed in the dust box body and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dust is introduced; and
an air outlet formed in the dust box body and through which the air is discharged;
A robot clean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물통으로부터 물이 유입되며, 걸레로 물을 토출하는 물 공급부;
를 더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a water supply unit disposed inside the body, receiving water from the water tank, and discharging water to a mop;
A robot cleaner further comprising a.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부는,
상기 물통 내부에 저장된 물에 유동력을 제공하는 워터 펌프;
상기 물통의 중력 방향 상측에 적어도 일부 배치되고, 상기 물통에서 유입된 물이 유동하는 물 공급 배관;
을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3,
The water supply unit,
a water pump providing fluidity to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a water supply pipe disposed at least partially above the water tank in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through which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tank flows;
A robot cleaner comprising a.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부는,
상기 바디의 저면에 구비되고, 상기 물 공급 배관과 결합되며, 상기 물통에서 유입된 물이 토출되는 물 공급 노즐;
을 더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4,
The water supply unit,
a water supply nozzle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ody, coupled to the water supply pipe, and discharging 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container;
A robot cleaner further comprising a.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의 하측 면에 결합되고, 걸레가 결합되는 걸레 장착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걸레 장착판은,
하측 면에 걸레가 결합되는 장착판 본체; 및
상기 장착판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걸레 장착판이 상기 물통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물 공급 노즐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는 물 공급 홀;
을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5,
A mop mounting plate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water container and coupled to a mop;
Including more,
The mop mounting plate,
Mounting plate body to which the mop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and
a water supply hole formed in the mounting plate main body and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water supply nozzle in a state in which the mop mounting plate is coupled to the water container;
A robot clean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물통 및 상기 먼지통이 수용되는 통 수용부;
를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a bucket receiving portion formed on the body and accommodating the water container and the dust container;
A robot cleaner comprising a.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통 수용부는,
상기 물통 및 상기 먼지통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턱;
을 포함하는 로봇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7,
The container receiving portion,
guide jaws for guiding sliding movement of the water container and the dust container;
A robot cleaner comprising a.
KR1020210117556A 2021-09-03 2021-09-03 Robot cleaner KR2023003460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556A KR20230034605A (en) 2021-09-03 2021-09-03 Robot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556A KR20230034605A (en) 2021-09-03 2021-09-03 Robot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4605A true KR20230034605A (en) 2023-03-10

Family

ID=85511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556A KR20230034605A (en) 2021-09-03 2021-09-03 Robot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460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7128B2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CN112075886A (en) Floor cleaning robot
KR20070074146A (en) Cleaner system
AU2019331419B2 (en) Floor cleaner
CN109805828B (en) Garbage can type dust collector
KR20230034605A (en) Robot cleaner
US20230371766A1 (en) Station for cleaner
EP4356807A1 (en) Cleaner station and cleaner system
US20220110496A1 (en) Cleaner system
KR102527189B1 (en) Cleaner station, cleaner system including same, and residual dust removal method using the cleaner system
CN210228008U (en) Garbage can type dust collector
EP4360526A1 (en) Cleaner station
AU2022321358A1 (en) Dust collecting device, cleaner, and cleaner s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