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4029A -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그에 관한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그에 관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4029A
KR20230034029A KR1020210117118A KR20210117118A KR20230034029A KR 20230034029 A KR20230034029 A KR 20230034029A KR 1020210117118 A KR1020210117118 A KR 1020210117118A KR 20210117118 A KR20210117118 A KR 20210117118A KR 20230034029 A KR20230034029 A KR 20230034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data
server
network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창
전재광
이정빈
김원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117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4029A/ko
Priority to EP22864965.3A priority patent/EP4307205A1/en
Priority to AU2022340353A priority patent/AU2022340353A1/en
Priority to PCT/KR2022/012799 priority patent/WO2023033463A1/ko
Priority to CN202280027331.7A priority patent/CN117242475A/zh
Priority to JP2023557210A priority patent/JP2024510286A/ja
Publication of KR20230034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40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41Virtual LANs, VLANs, e.g. virtual private networks [VP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eparating internal from external traffic, e.g. firewalls
    • H04L63/0272Virtual privat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2Establishing a time schedule for servicing the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33Interconnection of networks using encapsulation techniques, e.g. tunne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eparating internal from external traffic, e.g. firewalls
    • H04L63/0281Prox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 장치,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VPN(virtual private network) 서버, 상기 VPN 서버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3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클라우드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제3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그에 관한 방법{SYSTEM FOR MANAGING BATTERY DATA AND METHOD THEREOF}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그에 관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는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이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랙으로 이용된다. 그리고 배터리 랙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의하여 상태 및 동작이 관리 및 제어된다. 이러한 배터리 랙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과 센서를 통해 주요 데이터를 획득하고, PC 기반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배터리의 상태를 나타내는 로그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PC 기반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주로 배터리 랙이 마련된 현장에 구비되어 배터리 랙을 제어 및 보호하기 위해 필수적인 장치로서, 높은 안정성이 요구되므로 정보 보안을 위해 네트워크를 연결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ESS가 설치된 공간인 ESS 사이트에 마련된 배터리의 상태 점검과 고장 발생시 원인 분석을 위해서는 현장에 관리자가 직접 방문하여야 점검을 수행하여야 하고, 데이터를 수동으로 백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며, 추가적인 관리 비용도 발생하게 된다. 또한, ESS 사이트에 화재 등 비상 상황 발생시 PC 기반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소손되는 경우에는 데이터 유실로 인해 사고 원인 분석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의 일 목적은 각종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자동으로 수집하고, 사설망 내에 설치한 배터리의 운영 정보를 통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의 일 목적은 배터리의 데이터를 유실없이 안전하게 보관이 가능하고, 배터리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해 관리자가 현장을 직접 방문할 필요가 없어 배터리의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의 일 목적은, VPN을 사용하여 보안이 강화된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 장치,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VPN(virtual private network) 서버, 상기 VPN 서버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3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클라우드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제3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VPN 서버와 암호화된 터널을 생성하기 위한 VPN 클라이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VPN 서버는, 상기 VPN 클라이언트가 생성한 암호화된 터널을 통해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3 네트워크는 사설망(private network) 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공용망(public network)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는 가상 사설망(virtual private network)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 중 상기 배터리의 고장 여부를 나타내는 진단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제1 데이터로 선정하고, 상기 제1 데이터를 기설정된 제1 주기로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배터리의 고장 진단을 위해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서 산출된 진단값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일정 기간 동안 수집된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인 제2 데이터를 기설정된 제2 주기로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빅 데이터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빅 데이터 서버는 상기 제2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배터리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웹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ETL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장치는 복수개일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데이터 관리 방법은, 통신 장치가,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 VPN(virtual private network) 서버가,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VPN 서버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3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관리 서버가,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제3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 중 상기 배터리의 고장 여부를 나타내는 진단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제1 데이터로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제1 데이터를 기설정된 제1 주기로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일정 기간 동안 수집된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인 제2 데이터를 기설정된 제2 주기로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VPN 서버와 암호화된 터널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배터리의 각종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자동으로 수집하고, 사설망 내에 설치한 배터리의 운영 정보를 통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배터리의 각종 데이터를 지역에 따라 지역 클라우드 서버에서 수집하여 통합 클라우드 서버에서 전체 데이터를 관리함으로서 물리적 거리에 따른 속도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배터리의 각종 데이터를 공용망으로 전송하는 경우에 보안 취약점을 노린 네트워크 공격에 취약한 점을 보완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해커가 ESS 사이트의 PC에 접근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VPN(가상 사설망) 클라이언트를 통해 생성된 암호화된 터널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데이터 관리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데이터 관리 방법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데이터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1000)은 통신 장치(100), VPN 서버(200), 클라우드 서버(300) 및 관리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100)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100) 각각은 배터리 랙과 연결될 수 있고, 연결된 배터리 랙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장치(100)는 배터리 랙에 포함될 수 있다.
통신 장치(100)는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0)는 획득된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VPN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장치(100)는 VPN 서버(200)와 암호화된 터널을 생성하기 위한 VPN 클라이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0)는 VPN 클라이언트를 실행하여 VPN 서버(200)와 암호화된 터널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터널을 통해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VPN 서버(200)는 통신 장치(100)로부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VPN 서버(200)는 수신된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VPN 서버(200)는 기 설정된 시간동안 통신 장치(100)로부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는 사설망(private network)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는 가상 사설망(virtual private network)일 수 있다. 따라서, VPN 서버(200)는 보안을 유지하면서 통신 장치(100)로부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VPN 서버(200)로부터 제2 네트워크를 통해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수신된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300)는 VPN 서버(200)로부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관리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네트워크는 공용망(public network)일 수 있다.
관리 서버(400)는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제3 네트워크를 통해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관리 서버(400)는 수신된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400)는 수신된 모든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취합할 수 있고, 취합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네트워크는 사설망(private network)일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1000)은 배터리 랙으로부터 획득된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100), VPN 서버(200) 및 클라우드 서버(300)를 통해 관리 서버(400)에서 수신하여 관리함으로서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장기간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고, 고장 발생 시 즉시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서버의 물리적인 위치에 따른 속도 지연 및 데이터 유실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1000)은 배터리의 각종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자동으로 수집하고, 사설망 내에 설치한 배터리의 운영 정보를 통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1000)은 배터리의 데이터를 유실없이 안전하게 보관이 가능하고, 배터리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해 관리자가 현장을 직접 방문할 필요가 없어 배터리의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1000)은 통신 장치(100)와 VPN 서버(200)간 암호화된 터널을 생성하여, 생성된 터널을 기초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서 공용망의 보안 취약점에 관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도 2의 통신 장치(100), VPN 서버(200), 클라우드 서버(300) 및 관리 서버(400)는 각각 도 1의 통신 장치(100), VPN 서버(200), 클라우드 서버(300) 및 관리 서버(4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 랙(10)은 복수의 배터리 모듈(12), 센서(14), 스위칭부(16)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배터리 랙(10)에는 배터리 모듈(12), 센서(14), 스위칭부(16)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50)이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배터리 모듈(12)은 충방전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배터리 모듈(12)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센서(14)는 배터리 랙(10)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전류의 검출 신호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5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스위칭부(16)는 배터리 모듈(12)의 (+) 단자 측 또는 (-) 단자 측에 직렬로 연결되어 배터리 모듈(12)의 충방전 전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칭부(16)는 배터리 랙(10)의 사양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마그네틱 접촉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50)은 배터리 랙(10)의 전압, 전류, 온도 등을 모니터링하여, 과충전 및 과방전 등을 방지하도록 제어 관리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배터리 관리 시스템(50)은 RBMS일 수 있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50)은 각종 파라미터를 측정한 값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로서, 복수의 단자와, 이들 단자와 연결되어 입력받은 값들의 처리를 수행하는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50)은, 스위칭부(16), 예를 들어, 릴레이 또는 접촉기 등의 ON/OFF를 제어할 수도 있으며, 배터리 모듈(12)에 연결되어 배터리 모듈(12) 각각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문서에 개시된 배터리 관리 시스템(50)에서는 이하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터리 모듈(12)의 전압, 전류, 온도 등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러한 데이터들을 통신 장치(100)를 통해 외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배터리 관리 시스템(50)과 연결된 통신 장치(100)에서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50)에서 저장된 전체 상태 데이터를 일정 시간 단위(예를 들어, 하루 단위)로 수집하여 VPN 서버(200) 및 클라우드 서버(300)를 통해 관리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장치(100)는 배터리 랙(10)에 포함된 배터리 관리 시스템(50)과 접속되어, 배터리 관리 시스템(50)으로부터 배터리의 상태에 관한 각종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 랙(10)과 통신 장치(100)는 ESS의 설치 사이트의 통신망에 마련될 수 있다.
통신 장치(100)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50)으로부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 이 때, 통신 장치(100)는 배터리 랙(10)에 포함된 배터리 관리 시스템(50)과 접속된 IoT(Internet of Things) 통신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통신 장치(100)는 보안을 위해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50)을 대신하여 외부 인터넷 망을 연동하고 네트워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장치(100)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50)으로부터 수신된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 중 배터리의 고장 여부를 나타내는 진단 정보에 관한 주요 데이터를 제1 데이터로 선정하고, 제1 데이터를 기설정된 주기(제1 주기)(예를 들어, 1분 내지 수분 단위)로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데이터는 배터리의 고장 진단을 위해 배터리 관리 시스템(50)에서 산출된 데이터인 배터리 셀 별 최대, 최소 전압, 배터리 셀들의 평균 전압, SOC(state of charge), SOH(state of health) 등의 진단값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장치(100)는 VPN 서버(200) 및 클라우드 서버(300)를 통해, 제1 데이터를 관리 서버(400)의 ETL 서버(410)를 거쳐 웹 서버(43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장치(100)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50)으로부터 일정 기간(예를 들어, 하루 단위) 동안 수집된 배터리 랙(10)에 포함된 전체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인 제2 데이터를 기설정된 주기(제2 주기)(예를 들어, 하루 단위)로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데이터는 일정 기간 동안 수집된 전체 배터리의 상태 정보(전압, 전류, 내부 온도 등)와 배터리 주변의 환경에 관한 센싱 정보(외부 온도, 습도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장치(100)는 VPN 서버(200) 및 클라우드 서버(300)를 통해, 제2 데이터를 관리 서버(400)의 ETL 서버(410)와 빅데이터 서버(420)를 거쳐 웹 서버(43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 장치(100)는 VPN 서버(200)와 암호화된 터널을 생성할 수 있는 VPN 클라이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0)는 VPN 서버(200)와 암호화된 터널을 생성한 후에,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생성된 터널을 통해 VPN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0)는 터널 생성이 실패한 경우 VPN 서버(20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0)는 VPN 서버(200)와 터널이 생성되기 이전 또는 터널이 생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VPN 서버(20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VPN 서버(200)는 통신 장치(100)로부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PN 서버(200)는 제1 네트워크(60)를 통해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VPN 서버(200)는 통신 장치(100)로부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PN 서버(200)는 제1 네트워크(60)와 상이한 제2 네트워크(7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300)로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60)는 사설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60)는 가상 사설망일 수 있다. 즉, 통신 장치(100)가 VPN 서버(20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는 가상 사설망일 수 있고, 외부로부터의 공격에 대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VPN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관리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300)는 제1 네트워크(60) 및 제2 네트워크(70)와 상이한 제3 네트워크(80)를 통해 관리 서버(400)로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수신된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관리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배터리 랙(10)을 포함하는 ESS 사이트와 관리 서버(400) 사이에서 버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클라우드 서버(300)는 사설망에 마련되는 관리 서버(400)의 물리적인 위치에 따른 속도 지연이나 데이터 유실을 방지하여 데이터 전송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300)는 대한민국에 위치한 빅데이더 서버(420)와 미국에 위치한 ESS 사이트 간의 통신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관리 서버(400)는 VPN 서버(200) 및 클라우드 서버(300)를 통해 수신된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400)는 전체 ESS 사이트의 배터리를 통합하여 운영 및 관리하고, 실시간 상태 정보를 통해 배터리의 고장을 즉시 인지하거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배터리의 고장을 사전 검출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ETL 서버(410)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50)으로부터 통신 장치(100), VPN 서버(200) 및 클라우드 서버(300)를 통해 수신한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 가능한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TL 서버(410)는 시간 역행 제거, 중복 데이터 제거, 시간 단위 설정, 파일 형식 변환 등을 통해 전처리를 수행하여 빅데이터 서버(420)나 사용자 단말 등에서 분석 가능한 형태로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빅데이터 서버(420)는 ETL 서버(410)에서 변환된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여 장기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빅데이터 서버(420)는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 중 일정 기간 동안 수집된 전체 데이터(예를 들어, 제2 데이터)를 압축하여 저장하여 ESS 설치 사이트와 관계 없이 한 곳에서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빅데이터 서버(420)는 이러한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에 기초하여 빅데이터 모델링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배터리의 고장 여부를 사전에 진단할 수 있다.
웹 서버(430)는 배터리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즉, 웹 서버(430)에서는 통신 장치(100)를 통해 수분 단위로 수신되는 실시간 상태 정보와 고장 발생 유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웹 서버(430)는 통신 장치(100)를 통해 하루 또는 수일 단위로 수신되는 배터리의 전체 상태 데이터에 대한 빅데이터 서버(420)의 분석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각 지역에 설치된 ESS 사이트에 마련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배터리 랙(10)에 포함된 배터리 셀들의 전압, 전류, 온도 등의 상태 정보와 배터리 랙(10)에 마련된 센서로부터 외부 온도, 습도 등의 센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이러한 상태 정보와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 셀의 최대/최소/평균 전압, SOC, SOH 등의 진단값을 산출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연결된 통신 장치(100)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서 수집된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즉, 상태 정보, 센싱 정보, 진단값 등)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장치(100)는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수신된 상태 데이터를 외부 서버에 전송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통신 장치(100)에서는 배터리의 고장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 배터리의 진단값(제1 데이터)을 1 내지 수 분 단위로 수집하여 적어도 하나의 VPN 서버(20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300)에 임시로 저장하고,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전송되어 ETL 서버(410)에서 전처리를 한 후에 웹 서버(43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웹 서버(430)에서는 사용자로 하여금 ESS 사이트의 배터리 이상 유무를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클라우드 서버(300)는 제1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고 바로 관리 서버(4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통신 장치(100)는 하루 내지 수 일 단위로 수집된 배터리 전체의 상태 정보와 센싱 정보(제2 데이터)를 1 내지 수 분 단위로 수집하여 적어도 하나의 VPN 서버(200) 및 클라우드 서버(300)를 통해 전송되어 ETL 서버(410)에서 전처리를 한 후에 빅데이터 서버(420)로 전송할 수 있다. 빅데이터 서버(420)에서는 이러한 배터리의 상태 정보와 센싱 정보를 압축 및 저장하여 장기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빅데이터 서버(420)에서는 이러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빅데이터 모델링 분석을 수행하여, 배터리 고장에 대해 사용자가 사전에 예측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빅데이터 서버(420)에 저장된 상태 데이터나 빅데이터 분석 결과 정보 등은 웹 서버(43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단말(예를 들어, PC, 태블릿, 휴대폰 등)(500)을 통해 웹 서버(430)로부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 고장 진단 정보, 빅데이터 분석 결과 정보 등 각종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500)을 통해 관리 서버(400)의 분석 결과 정보를 확인하거나, 사용자 단말(500)에 구비된 프로그램 등을 통해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에 대해 직접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통신 장치(100)에서 획득된 데이터가 적어도 하나의 VPN 서버(200) 및 클라우드 서버(300)를 통해 전송되고, ETL 서버(410)를 거쳐 웹 서버(430)로 곧장 전송되거나(제1 데이터), 또는 빅데이터 서버(420)에 저장된 후 웹 서버(430)로 전송되는 것(제2 데이터)으로 설명하였으나, 관리 서버(400) 중 ETL 서버(410), 빅데이터 서버(420) 및 웹 서버(430) 중 일부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1000)에서는 관리자가 직접 현장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각 ESS 사이트로부터 배터리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장기간 저장이 가능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을 수행하여 배터리의 고장을 검출 및 예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BMS(51, 52, 53) 각각은 도 2의 BMS(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고, 복수의 통신 장치(101)에 포함된 각각의 통신 장치(110, 120, 130)는 도 1의 통신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고, VPN 서버(200)는 도 1의 VPN 서버(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고, 클라우드 서버(300)는 도 1의 클라우드 서버(3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고, 관리 서버(400)는 도 1의 관리 서버(4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장치(101)는 복수의 BMS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장치(110)는 제1 배터리 랙(미도시)에 포함된 제1 BMS(51)와 통신할 수 있고, 제2 통신 장치(120)는 제2 배터리 랙(미도시)에 포함된 제2 BMS(52)와 통신할 수 있고, 제3 통신 장치(130)는 제3 배터리 랙(미도시)에 포함된 제3 BMS(53)와 통신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장치(101) 각각은 연결된(통신하는) 복수의 BMS(51, 52, 53)로부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각각의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통신 장치(101) 각각은 제1 네트워크(60)를 통해 VPN 서버(200)로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60)는 사설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60)는 가상 사설망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통신 장치(101) 각각은 VPN 클라이언트를 포함할 수 있고, VPN 클라이언트를 통해 VPN 서버(200)와 암호화된 터널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통신 장치(101) 각각은 VPN 서버(200)와 암호화된 터널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터널을 통해 VPN 서버(200)로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통신 장치(101)는 외부로부터의 데이터 탈취를 방지할 수 있다.
VPN 서버(200)는 생성된 터널을 통해 수신된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PN 서버(200)는 제2 네트워크(70)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300)로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네트워크(70)는 공용망일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수신된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관리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서버(300)는 수신된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제3 네트워크(80)를 통해 관리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네트워크(80)는 사설망일 수 있다.
도 5는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데이터 관리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데이터 관리 방법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획득하고,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S110), 통신 장치로부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고,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S120), VPN 서버로부터 제2 네트워크를 통해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3 네트워크를 통해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S130) 및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제3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관리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획득하고,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S110)에서 통신 장치(100)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VPN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0)는 제1 네트워크를 통해 VPN 서버(200)로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는 사설망일 수 있다.
통신 장치로부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고,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S120)에서, VPN 서버(200)는 제1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장치(100)로부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제2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네트워크는 공용망일 수 있다.
VPN 서버로부터 제2 네트워크를 통해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3 네트워크를 통해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S130)에서 클라우드 서버(300)는 제2 네트워크를 통해 VPN 서버(200)로부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제3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네트워크는 사설망일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제3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관리하는 단계(S140)에서 관리 서버(400)는 제3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300)로부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400)에 포함된 ETL 서버(410)는 배터리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 가능한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관리 서버(400)에 포함된 빅데이터 서버(420)는 ETL 서버(410)에서 변환된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수집하여 장기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400)에 포함된 웹 서버(430)는 배터리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데이터 관리 방법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데이터 관리 방법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 중 배터리의 고장 여부를 나타내는 진단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제1 데이터로 선정하는 단계(S210), 제1 데이터를 기설정된 제1 주기로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S220) 및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일정 기간 동안 수집된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인 제2 데이터를 기설정된 제2 주기로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S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 중 배터리의 고장 여부를 나타내는 진단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제1 데이터로 선정하는 단계(S210)에서 통신 장치(100)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 중 배터리의 고장 여부를 나타내는 진단 정보에 관한 주요 데이터를 제1 데이터로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데이터는 배터리의 고장 진단을 위해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서 산출된 데이터인 배터리 셀 별 최대, 최소 전압, 배터리 셀들의 평균 전압, SOC(state of charge), SOH(state of health) 등의 진단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데이터를 기설정된 제1 주기로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S220)에서 통신 장치(100)는 제1 데이터를 기설정된 제1 주기로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0)는 VPN 서버(200) 및 클라우드 서버(300)를 통해, 제1 데이터를 관리 서버(400)의 ETL 서버(410)를 거쳐 웹 서버(430)로 전송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일정 기간 동안 수집된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인 제2 데이터를 기설정된 제2 주기로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S230)에서 통신 장치(100)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일정 기간(예를 들어, 하루 단위) 동안 수집된 배터리 랙(10)에 포함된 전체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인 제2 데이터를 기설정된 주기(제2 주기)(예를 들어, 하루 단위)로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데이터는 일정 기간 동안 수집된 전체 배터리의 상태 정보(전압, 전류, 내부 온도 등)와 배터리 주변의 환경에 관한 센싱 정보(외부 온도, 습도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 장치(100)는 VPN 서버(200) 및 클라우드 서버(300)를 통해, 제2 데이터를 관리 서버(400)의 ETL 서버(410)와 빅데이터 서버(420)를 거쳐 웹 서버(4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210 단계가 수행되는 경우 S220 단계는 함께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S210 단계 및 S230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서 따른 배터리 데이터 관리 방법은, VPN 서버와 암호화된 터널을 생성하는 단계(S310),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획득하고,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S320), 통신 장치로부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고,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S330), VPN 서버로부터 제2 네트워크를 통해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3 네트워크를 통해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S340) 및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제3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관리하는 단계(S3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320 단계 내지 S350 단계는 각각 도 5의 S110 단계 내지 S140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따른 배터리 데이터 관리 방법은 도 5에 도시한 단계에서 S310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VPN 서버와 암호화된 터널을 생성하는 단계(S310)에서 통신 장치(100)는 VPN 서버(200)와 암호화된 터널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0)는 VPN 클라이언트를 포함할 수 있고, VPN 클라이언트를 통해(실행해) VPN 서버(200)와 암호화된 터널을 생성할 수 있다. 통신 장치(100)는 VPN 서버(200)와 암호화된 터널이 생성된 경우에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생성된 터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0)는 터널 생성이 실패한 경우 VPN 서버(20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통신 장치(100)는 VPN 서버(200)와 터널이 생성되기 이전 또는 터널이 생성되지 않은 경우에 VPN 서버(200)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310 단계는 S320 단계 이전에 또는 S320 단계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즉, S310 단계는 S320 단계에 포함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8은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데이터 관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800)은 MCU(810), 메모리(820), 입출력 I/F(830) 및 통신 I/F(840)를 포함할 수 있다.
MCU(810)는 메모리(820)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프로그램(예를 들어, 배터리 셀 전압 측정 프로그램, 스위칭 제어 프로그램 등)을 실행시키고, 이러한 프로그램들을 통해 ESS 사이트 정보, 배터리의 상태 정보, 센싱 정보, 진단값 등을 포함한 각종 데이터를 처리하며, 전술한 도 1에 나타낸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1000)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메모리(820)는 배터리 셀의 전압 측정이나 스위칭 제어 등에 관한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820)는 ESS 사이트 정보, 배터리의 상태 정보, 센싱 정보, 진단값 및 분석 결과 등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820)는 필요에 따라서 복수 개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메모리(820)는 휘발성 메모리일 수도 있으며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로서의 메모리(820)는 RAM, DRAM, SRAM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로서의 메모리(820)는 ROM, PROM, EAROM,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열거한 메모리(820)들의 예를 단지 예시일 뿐이며 이들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출력 I/F(830)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널 등의 입력 장치(미도시)와 디스플레이(미도시) 등의 출력 장치와 MCU(810) 사이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 I/F(840)는 서버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각종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I/F(840)를 통해 별도로 마련된 외부 서버로부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 수집과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메모리(820)에 기록되고, MCU(810)에 의해 처리됨으로써, 예를 들어 도 1에서 도시한 각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문서에 개시된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문서에 개시된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문서에 개시된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문서에 개시된 기술 사상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문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배터리 랙
12: 복수의 배터리 모듈
14: 센서
16: 릴레이
50: BMS
51: 제1 BMS
52: 제2 BMS
53: 제3 BMS
60: 제1 네트워크
70: 제2 네트워크
80: 제3 네트워크
100: 통신 장치
101: 복수의 통신 장치
110: 제1 통신 장치
120: 제2 통신 장치
130: 제3 통신 장치
200: VPN 서버
300: 클라우드 서버
400: 관리 서버
410: ETL 서버
420: 빅데이터 서버
430: 웹 서버
800: 컴퓨팅 시스템
810: MCU
820: 메모리
830: 입출력 I/F
840: 통신 I/F

Claims (16)

  1.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 장치;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VPN(virtual private network) 서버;
    상기 VPN 서버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3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클라우드 서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제3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VPN 서버와 암호화된 터널을 생성하기 위한 VPN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VPN 서버는,
    상기 VPN 클라이언트가 생성한 암호화된 터널을 통해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및 상기 제3 네트워크는 사설망(private network) 이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공용망(public networ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는 가상 사설망(virtual private network)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 중 상기 배터리의 고장 여부를 나타내는 진단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제1 데이터로 선정하고, 상기 제1 데이터를 기설정된 제1 주기로 외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배터리의 고장 진단을 위해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서 산출된 진단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일정 기간 동안 수집된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인 제2 데이터를 기설정된 제2 주기로 외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빅 데이터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빅 데이터 서버는 상기 제2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배터리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웹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ETL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복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
  13. 통신 장치가,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
    VPN(virtual private network) 서버가,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
    클라우드 서버가, 상기 VPN 서버로부터 상기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3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관리 서버가,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부터 상기 제3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를 관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배터리 데이터 관리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 중 상기 배터리의 고장 여부를 나타내는 진단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제1 데이터로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제1 데이터를 기설정된 제1 주기로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데이터 관리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일정 기간 동안 수집된 상기 배터리의 상태 데이터인 제2 데이터를 기설정된 제2 주기로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데이터 관리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VPN 서버와 암호화된 터널을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데이터 관리 방법.
KR1020210117118A 2021-09-02 2021-09-02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그에 관한 방법 KR20230034029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118A KR20230034029A (ko) 2021-09-02 2021-09-02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그에 관한 방법
EP22864965.3A EP4307205A1 (en) 2021-09-02 2022-08-26 System for managing battery data, and method therefor
AU2022340353A AU2022340353A1 (en) 2021-09-02 2022-08-26 Battery dat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PCT/KR2022/012799 WO2023033463A1 (ko) 2021-09-02 2022-08-26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그에 관한 방법
CN202280027331.7A CN117242475A (zh) 2021-09-02 2022-08-26 电池数据管理系统及其方法
JP2023557210A JP2024510286A (ja) 2021-09-02 2022-08-26 バッテリーデータ管理システム及びそれに関する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118A KR20230034029A (ko) 2021-09-02 2021-09-02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그에 관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4029A true KR20230034029A (ko) 2023-03-09

Family

ID=85412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118A KR20230034029A (ko) 2021-09-02 2021-09-02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그에 관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307205A1 (ko)
JP (1) JP2024510286A (ko)
KR (1) KR20230034029A (ko)
CN (1) CN117242475A (ko)
AU (1) AU2022340353A1 (ko)
WO (1) WO202303346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12843B1 (fr) * 2007-02-16 2009-06-26 Electricfil Automotive Soc Par Procede de diagnostic d'une batterie plomb-acide d'un vehicule automobile et systeme pour sa mise en oeuvre
EP3249737A4 (en) * 2015-03-12 2018-05-02 Omron Corporation Battery, system, battery management method, battery management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170107214A (ko) * 2016-03-15 2017-09-25 주식회사유넷컨버전스 원격 접속이 가능한 bms 관리 시스템
US20190033377A1 (en) * 2017-07-28 2019-01-31 Northstar Battery Compan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zing battery operating data and exogenous data
KR102166092B1 (ko) * 2018-12-13 2020-10-15 한국자동차연구원 원격 센싱형 배터리 센서의 운용이 가능한 중앙관리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10286A (ja) 2024-03-06
CN117242475A (zh) 2023-12-15
EP4307205A1 (en) 2024-01-17
WO2023033463A1 (ko) 2023-03-09
AU2022340353A1 (en) 202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249083A1 (zh) 车辆的电池管理方法和系统、车辆和服务器
CN109462755A (zh) 一种基于多网络视频故障分析及手自动故障排除的运维系统
CN113763667B (zh) 一种基于5g边缘计算的火灾预警及状态监测装置及方法
CN108872780A (zh) 带电勘查的带电作业检测、系统及终端设备
CN112685472A (zh) 一种电网多站融合监控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147521B (zh) 一种企业专用网络安全事件管理系统
CN116360377A (zh) 电芯化成分容的数据处理方法及分布式控制系统
CN105654134A (zh) 一种基于有监督自反馈的情景感知系统及其工作方法与应用
KR102549245B1 (ko) IoT 기반 전기차 급속/완속 충전기 원격 차단기 제어시스템
KR20230034029A (ko)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그에 관한 방법
CN109586788B (zh) 监控系统故障诊断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07525955A (zh) 一种电表数据处理方法及装置
KR20230034028A (ko)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그에 관한 방법
CN108663970B (zh) 一种电力操作安全监控系统
US20220404419A1 (en) Battery dat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16626492A (zh) 电池故障诊断方法、装置及车辆
CN206100072U (zh) 电力监控系统的安全防护合规性数据采集系统
CN108124442A (zh) 一种电梯元件参数校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206901517U (zh) 一种基于大数据的区域电梯管理系统
CN115632379A (zh) 一种多途径检测的vcs隔离开关箱用电弧光保护系统
US20220268844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30038053A (ko) 통신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220118862A (ko) 배터리 분석 장치 및 방법
CN112858902A (zh) 微型断路器监测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6707146B (zh) 一种光伏发电与储能系统的智能监测方法及相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