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3419A - 디자인된 형태로 자라는 식물 재배장치 - Google Patents

디자인된 형태로 자라는 식물 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3419A
KR20230033419A KR1020210116353A KR20210116353A KR20230033419A KR 20230033419 A KR20230033419 A KR 20230033419A KR 1020210116353 A KR1020210116353 A KR 1020210116353A KR 20210116353 A KR20210116353 A KR 20210116353A KR 20230033419 A KR20230033419 A KR 20230033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unit
planting
leds
gr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헌
Original Assignee
이대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헌 filed Critical 이대헌
Priority to KR1020210116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3419A/ko
Publication of KR20230033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34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21V23/0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 F21V23/0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arranged on a substrate, e.g. a printed circuit board the substrate being distinct from the light source hol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F21V33/0028Decorative household equipment, e.g. plant holders or food dumm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0Status alarms responsive to mois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2009/003Receptacles consisting of separable sections, e.g. for allowing easy removal of the pl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디자인된 형태로 자라는 식물 재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만곡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공간에는 식물 배지가 채워지는 식재부; 상기 식재부의 개방된 제1 단에 결합되어 상기 식재부의 폐쇄된 제2 단을 향해 연장되는 만곡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식물 배지에 심어진 식물의 성장 공간을 제공하는 식물성장관찰부; 및 상기 제1 단이 상기 식재부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식재부를 지지하는 플랫폼을 포함하는 디자인된 형태로 자라는 식물 재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자인된 형태로 자라는 식물 재배장치{DESIGNED TYP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디자인된 형태로 자라는 식물 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랜테리어(planterior)란 식물(plant)과 인테리어(interior)의 합성어로서 식물을 이용하여 실내를 꾸며 공기정화 효과와 심리적 안정 효과를 얻고자 하는 인테리어 기법을 의미한다.
최근 미세먼지로 인한 실내 공기질이 중요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공기정화 효과를 가진 식물들이 주목 받기 시작하면서 플랜테리어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종래 플랜테리어와 관련된 인테리어 소품의 대표적인 예로는 화분, 조화, 식물 포스터 등이 있었다.
하지만, 조명에 실제 식물을 이용하는 형태의 인테리어 소품은 거의 존재하지 않았고, 일부 존재하더라도 조명과 화분을 단순 결합한 형태가 대부분이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7096호(2016.08.23, 달력, 조명 및 연필깎이 기능을 구비한 식생 화분)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식물을 실제 키우는 재미를 제공하면서 조명 광에 의한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식물의 식재 공간을 구성한 디자인된 형태로 자라는 식물 재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만곡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공간에는 식물 배지가 채워지는 식재부; 상기 식재부의 개방된 제1 단에 결합되어 상기 식재부의 폐쇄된 제2 단을 향해 연장되는 만곡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식물 배지에 심어진 식물의 성장 공간을 제공하는 식물성장관찰부; 상기 제1 단이 상기 식재부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식재부를 지지하는 플랫폼; 및 상기 식재부에 결합되고, 일면에 상기 식재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간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LED가 실장되는 LED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LED에서 생성된 가시 광은 상기 식물성장관찰부의 외부 표면에 입사하여 반사, 투과 또는 산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된 형태로 자라는 식물 재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식물성장관찰부는 상기 식재부와 함께 상기 플랫폼 상에 직립한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LED에서 생성된 가시 광은 상기 고리의 내측 공간을 가로질러 상기 식물성장관찰부의 외부 표면에 입사할 수 있다.
상기 고리는 원형으로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LED는 상기 고리의 원 중심에서 광축이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식재부의 외부 표면에는 상기 식재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 홈이 형성되고, 상기 LED 기판은 상기 삽입 홈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LED 기판은 플렉서블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랫폼은 상기 고리를 직립하도록 지지하는 지지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식재부는 상기 식물성장관찰부 및 상기 플랫폼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식재부를 길이 방향으로 2분할하여 형성되되 상호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분할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장관찰부는 원형 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식물성장관찰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식물성장관찰부는 물 주입공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장관찰부는 상기 식물성장관찰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간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통기공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플랫폼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LED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랫폼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LED의 구동 신호를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기 플랫폼에 결합되고,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 받은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LED를 제어하는 제어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재부에 결합되고, 상기 식물 배지의 수분량을 감지하는 수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기판은 상기 수분 센서에서 감지한 수분량이 기 설정 값 이하가 되면 상기 복수의 LED를 점멸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식재부에 식물 배지를 채우고 식물 배지에 식물을 심은 후에 식물성장관찰부를 통해 식물이 성장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식물성장관찰부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식물이 식물성장관찰부의 길이 방향으로 성장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식물이 성장하는 것을 보다 잘 인지하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사용자가 식물을 키우는 재미를 배가시킬 수도 있다. 식물을 키우는 가장 큰 기쁨은 식물의 성장인데, 일반 화분에서는 매일 조금씩 이루어지는 식물 성장을 인지하기 어렵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를 보다 잘 인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식재부와 식물성장관찰부는 만곡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식재 공간을 경제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LED는 가시 광을 만곡된 관 형상의 식물성장관찰부의 외부 표면에 조사하여 반사, 투과 또는 산란시킴으로써 식물 성장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어둠을 밝히는 조명으로서 기능하여 조명 광에 의한 미감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자인된 형태로 자라는 식물 재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디자인된 형태로 자라는 식물 재배장치의 제어 로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7은 도 1의 식재부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식재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1의 식물성장관찰부의 다양한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명백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볼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는 것으로 볼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된 경우, 해당 부분은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 "상"으로 기재된 경우, 해당 구성요소의 위 또는 아래를 의미하고,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해당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해당 구성요소가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용어는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자인된 형태로 자라는 식물 재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디자인된 형태로 자라는 식물 재배장치의 제어 로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자인된 형태로 자라는 식물 재배장치(10)는 플랜테리어 무드등일 수 있고, 식재부(100), 식물성장관찰부(200), 플랫폼(300), LED 기판(400) 및 복수의 LED(5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터리(600), 입력부(700), 수분 센서(800) 및/또는 제어 기판(90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식재부(100)는 식물 배지(20), 예를 들어 흙을 채울 수 있는 내부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식재부(100)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식재부(100)는 횡단면 형상이 원형인 원형 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식재부(100)의 양단 중 제1 단은 식물 배지(20)에 심어진 식물(30)이 성장하여 식재부(10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도록 개방될 수 있고, 제2 단은 폐쇄될 수 있다.
특히, 식재부(100)는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식재부(100)가 플랫폼(300)에 의해 지지되었을 때 식재부(100)의 개방된 제1 단은 식재부(1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식재부(100)는 만곡되게 형성됨으로써 후술하는 것처럼 식물성장관찰부(200)와 함께 원형 고리를 형성하여 전체 미감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식재부(100)의 외부 표면에는 LED 기판(400)이 삽입되는 삽입 홈(110)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 홈(110)은 식재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식물성장관찰부(200)는 식재부(100)에 결합되어 식물 배지(20)에 심어진 식물(30)이 성장해 나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식물(30)이 성장하는 것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식물 배지(30)에 심어지는 식물(30)은 넝쿨식물일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식물성장관찰부(200)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물성장관찰부(200)는 횡단면 형상이 원형인 원형 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것처럼, 복수의 LED(500)에서 생성된 가시 광이 식물성장관찰부(200)의 외부 표면에 입사하면 다양한 각도로 반사 또는 확산되어 가시 광에 의한 조명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식물성장관찰부(200)의 양단 중 제3 단은 식재부(100)의 내부공간에 연결되도록 개방될 수 있고, 제4 단은 폐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재부(100)의 제1 단은 식물성장관찰부(200)의 제3 단에 삽입될 수 있다.
특히, 식물성장관찰부(200)는 식재부(100)의 폐쇄된 제2 단을 향해 연장되도록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식물성장관찰부(200)의 제4 단은 식재부(100)의 제2 단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식물성장관찰부(200)는 식재부(100)와 함께 원형으로 만곡된 고리(R)를 형성할 수 있다.
식물성장관찰부(200)는 물 주입공(210) 및 복수의 통기공(220)을 구비할 수 있다.
물 주입공(210) 및 복수의 통기공(220)은 식물성장관찰부(200)의 제3 단과 제4 단 사이에서 식물성장관찰부(200)의 외부 표면과 내부 표면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물 주입공(210)은 복수의 통기공(220)보다 제3 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물 주입공(210)은 식물성장관찰부(200)의 전면에 배치되는 반면, 복수의 통기공(220)은 식물성장관찰부(200)의 후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주사기를 사용하여 물 주입공(210)을 통해 식물 배지(20)에 물을 공급할 때에 물이 통기공(2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통기공(220)은 식물성장관찰부(200)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간에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식물성장관찰부(200) 내에서 성장하는 식물(30)은 복수의 통기공(220)을 통해 대기와 접촉하여 성장에 필요한 가스를 공급받거나 광합성에 의해 생성한 산소를 배출할 수 있으며, 공기정화 식물, 예를 들어 아이비(ivy)인 경우에 대기를 정화할 수도 있다.
또한, 식물성장관찰부(200)의 외부 표면에는 사용자가 식물 성장 정도를 정량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눈금이 형성될 수도 있다.
플랫폼(300)은 식재부(100)의 제1 단이 식재부(10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식재부(100)를 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식재부(100) 및 식물성장관찰부(200)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 고리(R)는 플랫폼(300) 상에 직립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플랫폼(300)은 식재부(100)가 삽입되는 지지 홈(310)을 구비할 수 있다.
지지 홈(310)은 원형 고리(R)가 직립하도록 식재부(100)를 지지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LED 기판(400)은 식재부(100)에 결합될 수 있고, LED 기판(400)의 일면에는 복수의 LED(500)가 실장될 수 있다.
복수의 LED(500)는 식재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간에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LED 기판(400)은 식재부(100)의 외부 표면에 형성된 삽입 홈(100)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식재부(100)의 만곡된 형상에 상응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플렉서블 기판(flexible substrat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LED(500)는 가시 광을 생성할 수 있고, 복수의 LED(500)에서 생성된 가시 광은 식물성장관찰부(200)의 외부 표면에 입사하여 반사, 투과 및/또는 산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LED(500)는 식물성장관찰부(200)의 외부 표면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LED(500)에서 생성된 가시 광은 원형 고리(R)의 내측 공간을 가로질러 식물성장관찰부(200)의 외부 표면에 입사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LED(500)는 원형 고리(R)의 원 중심(A)에서 LED(500)의 광축(L)이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가시 광에 의한 조명 효과가 균일해질 수 있다. 여기서, 광축(L)은 LED(500)의 광 출사면에 수직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LED 기판(400) 및 복수의 LED(500)는 생략되거나, 식재부(100)와 분리되어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플랫폼(300)에 배치될 수도 있다.
배터리(600)는 플랫폼(300) 내에 탑재될 수 있고, 복수의 LED(500)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식재부(100)와 플랫폼(300)에는 전기 공급을 위한 플러그 소켓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60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일 수 있다. 이 경우, 플랫폼(300)은 충전 케이블이 결합될 수 있는 충전 소켓(320)과, 배터리(600)의 충전 상태를 알려줄 수 있는 충전 표시등(330)을 구비할 수 있다.
입력부(700)는 플랫폼(300)에 결합되어 복수의 LED(500)의 구동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700)는 전원 버튼(710), 조도조절 버튼(720) 및 타이머 버튼(73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버튼(710), 조도조절 버튼(720) 및 타이머 버튼(730)은 터치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전원 버튼(710)은 1회 터치되면 복수의 LED(500)에 대한 전기 공급이 시작될 수 있고, 2회 터치되면 복수의 LED(500)에 대한 전기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조도조절 버튼(720)은 터치 횟수에 따라 복수의 LED(500)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LED(500)는 처음 전기 공급이 시작되면 최대 밝기의 75%로 발광할 수 있고, 조도조절 버튼(720)의 터치 횟수에 따라 25%, 50%, 75% 및 100%로 밝기가 순차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타이머 버튼(730)은 터치 횟수에 따라 복수의 LED(500)의 발광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LED(500)는 처음 전기 공급이 시작되면 발광 시간이 제한되지 않지만, 타이머 버튼(730)의 터치 횟수에 따라 3시간, 9시간 및 12시간으로 발광시간이 순차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700)는 타이머 버튼(730)에 의해 조절된 발광 시간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발광 시간에 맞게 점등하는 3시간 표시등, 9시간 표시등 및 12시간 표시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수분 센서(800)는 식재부(100)에 결합되어 식물 배지(20)의 수분량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 기판(900)은 플랫폼(300) 내에 탑재될 수 있고, 입력부(700)에서 입력 받은 구동 신호에 따라 복수의 LED(500)가 상술한 것처럼 구동하도록 복수의 LED(5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기판(900)은 수분 센서(800)에서 감지한 수분량이 기 설정 값 이하가 되면 복수의 LED(500)를 기 설정된 시간 간격, 예를 들어 0.5초 간격으로 점멸시켜 사용자가 물 부족 상태를 인지하고 식물 배지(20)에 물을 공급하게 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 기판(900)은 알람 소리, 예를 들어 1초 간격으로 울리는 '삐삐' 소리를 생성할 수도 있고, 이를 위해 제어 기판(900)에는 스피커 모듈이 탑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기판(900)은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에 물 부족 상태를 안내하는 정보를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알림 기능이나 문자 메시지 등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7은 도 1의 식재부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식재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식재부(100)는 한 쌍의 분할조립체(100a, 100b)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쌍의 분할조립체(100a, 100b)는 식재부(100)를 식재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2분할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호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할조립체(100a, 100b)의 횡단면 형상은 반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식재부(100)는 식물성장관찰부(200) 및 플랫폼(300)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식재부(100)를 식물성장관찰부(200) 및 플랫폼(300)으로부터 분리한 후에 한 쌍의 분할조립체(100a, 100b)가 상호간에 분리되도록 분해한 후에 식물 배지(20)를 채워 넣고 식물(30)을 심을 수 있다. 그 결과, 식재부(100)의 만곡된 형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식재 초기 단계에서의 어려움이 해소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도 1의 식물성장관찰부의 다양한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식물성장관찰부(200)는 다양한 디자인 변경에 따라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공간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식물성장관찰부(200)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식재부(100)와 함께 고리(R´)를 형성하되, 고리(R´)는 원형이 아닌 타원형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식물성장관찰부(200)는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상호간에 일체로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되 서로 반대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의 한 쌍의 만곡부(200a, 20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만곡부(200a, 200b) 중 제1 만곡부(200a)는 플랫폼(3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제2 만곡부(200b)는 보조 플랫폼(3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식물 재배장치 20: 식물 배지
30: 식물 100: 식재부
100a, 100b: 분할조립체 110: 삽입 홈
200: 식물성장관찰부 200a, 200b: 만곡부
210: 물 주입공 220: 통기공
300: 플랫폼 300´: 보조 플랫폼
310: 지지 홈 320: 충전 소켓
330: 충전 표시등 400: LED 기판
500: LED 600: 배터리
700: 입력부 710: 전원 버튼
720: 조도조절 버튼 730: 타이머 버튼
800: 수분 센서 900: 제어 기판

Claims (15)

  1. 만곡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공간에는 식물 배지가 채워지는 식재부;
    상기 식재부의 개방된 제1 단에 결합되어 상기 식재부의 폐쇄된 제2 단을 향해 연장되는 만곡된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식물 배지에 심어진 식물의 성장 공간을 제공하는 식물성장관찰부; 및
    상기 제1 단이 상기 식재부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식재부를 지지하는 플랫폼을 포함하는 디자인된 형태로 자라는 식물 재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부에 결합되고, 일면에 상기 식재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간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LED가 실장되는 LED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LED에서 생성된 가시 광은 상기 식물성장관찰부의 외부 표면에 입사하여 반사, 투과 또는 산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된 형태로 자라는 식물 재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장관찰부는 상기 식재부와 함께 상기 플랫폼 상에 직립한 고리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LED에서 생성된 가시 광은 상기 고리의 내측 공간을 가로질러 상기 식물성장관찰부의 외부 표면에 입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된 형태로 자라는 식물 재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는 원형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된 형태로 자라는 식물 재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LED는 상기 고리의 원 중심에서 광축이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된 형태로 자라는 식물 재배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부의 외부 표면에는 상기 식재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 홈이 형성되고,
    상기 LED 기판은 상기 삽입 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된 형태로 자라는 식물 재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LED 기판은 플렉서블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된 형태로 자라는 식물 재배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상기 고리를 직립하도록 지지하는 지지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된 형태로 자라는 식물 재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부는 상기 식물성장관찰부 및 상기 플랫폼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식재부를 길이 방향으로 2분할하여 형성되되 상호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분할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된 형태로 자라는 식물 재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장관찰부는 원형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된 형태로 자라는 식물 재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장관찰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된 형태로 자라는 식물 재배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장관찰부는 물 주입공 및 복수의 통기공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통기공은 상기 식물성장관찰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간에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된 형태로 자라는 식물 재배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LED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디자인된 형태로 자라는 식물 재배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LED의 구동 신호를 입력 받는 입력부; 및
    상기 플랫폼에 결합되고,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 받은 구동 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LED를 제어하는 제어 기판을 더 포함하는 디자인된 형태로 자라는 식물 재배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부에 결합되고, 상기 식물 배지의 수분량을 감지하는 수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기판은 상기 수분 센서에서 감지한 수분량이 기 설정 값 이하가 되면 상기 복수의 LED를 점멸시키고 알람 소리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된 형태로 자라는 식물 재배장치.
KR1020210116353A 2021-09-01 2021-09-01 디자인된 형태로 자라는 식물 재배장치 KR202300334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353A KR20230033419A (ko) 2021-09-01 2021-09-01 디자인된 형태로 자라는 식물 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353A KR20230033419A (ko) 2021-09-01 2021-09-01 디자인된 형태로 자라는 식물 재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419A true KR20230033419A (ko) 2023-03-08

Family

ID=85508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353A KR20230033419A (ko) 2021-09-01 2021-09-01 디자인된 형태로 자라는 식물 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34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31096A1 (en) * 2018-11-30 2022-02-03 Dae Hun Lee Mountabl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096B1 (ko) 2015-04-06 2016-08-23 유효진 달력, 조명 및 연필깎이 기능을 구비한 식생 화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096B1 (ko) 2015-04-06 2016-08-23 유효진 달력, 조명 및 연필깎이 기능을 구비한 식생 화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31096A1 (en) * 2018-11-30 2022-02-03 Dae Hun Lee Mountabl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5152B2 (en) Plant growth system
KR102137860B1 (ko) 수직 다층 식물 재배 장치
KR102033649B1 (ko)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
US9204748B2 (en) Tree topper with trunk attachable deformable conduit
KR20120000837A (ko) 화분의 수분 조절장치
KR20230033419A (ko) 디자인된 형태로 자라는 식물 재배장치
KR101427814B1 (ko) 화분 내의 수분 높이 측정 장치
KR20110064916A (ko) 환경친화적 엘이디 조명
CN103210872B (zh) 一种利于观赏和娱乐的养鱼装置
KR20070088847A (ko) 조명등을 내장한 식물 재배용 화분
KR101052415B1 (ko) 엘이디 식물재배기
US20090219711A1 (en) Lighted Bouquet
KR101278358B1 (ko) 학습 교구용 화분
CN201797792U (zh) 生态水族盆栽
KR101353135B1 (ko) 가습기 겸용 수경재배기
CN220793085U (zh) 一种水景装饰灯
CN220986852U (zh) 一种苗木养殖培育装置
KR20130095021A (ko) 엘이디 광원을 이용한 식물재배 장치
CN216532740U (zh) 一种led地插式圆环植物照明灯
JP3196541U (ja) 水耕栽培装置
KR102387964B1 (ko) 스마트 화분 받침대
CN216567242U (zh) 悬挂式植物栽培装置
KR102425568B1 (ko) 인테리어 조명화분 받침대
KR20120001174U (ko) 다용도 테이블 조명 일체형 화분
KR20180062845A (ko) 스마트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