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2251A - Vacuum cleaning system of radon removal type - Google Patents

Vacuum cleaning system of radon removal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2251A
KR20230032251A KR1020210114867A KR20210114867A KR20230032251A KR 20230032251 A KR20230032251 A KR 20230032251A KR 1020210114867 A KR1020210114867 A KR 1020210114867A KR 20210114867 A KR20210114867 A KR 20210114867A KR 20230032251 A KR20230032251 A KR 20230032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radon
suction
air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8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43601B1 (en
Inventor
원용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여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여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여명
Priority to KR1020210114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3601B1/en
Publication of KR20230032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22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6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8Built-in suction cleaner installations, i.e. with fixed tube system to which, at different stations, hoses can be connec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58Construction of outlets
    • A47L9/1666Construction of outlets with 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2Suction motor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94Details related to signal transmission in suction clea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55Radionucl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2Carb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In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s a radon removal type vacuum cleaning system. In the radon removal type vacuum clea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vacuum cleaner body in which a vacuum suction par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n air discharge part drawn out to the outdoor side are coupled is fixedly installed on an indoor wall surface. Accordingly, various contaminants indoors are all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air that is vacuum-sucked during the collection of the contaminants so that the air is not re-introduced into the indoor side, while removing the various contaminants indoors and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removing radon contained in the air indoors.

Description

라돈 제거형 진공 청소 시스템{Vacuum cleaning system of radon removal type}Radon removal type vacuum cleaning system {Vacuum cleaning system of radon removal type}

본 발명은 진공 청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측 오염원을 진공 흡입시 동시에 흡입되는 공기가 실내측으로 배기되는 것을 방지하여, 공기중에 포함되는 라돈을 대기중으로 모두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라돈 제거형 진공 청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radon removal system capable of exhausting all radon contained in the air into the atmosphere by preventing the air sucked in while vacuuming an indoor pollutant source from being exhausted indoors. type vacuum cleaning system.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모터의 강력한 흡입력을 이용하여 각종 오염원을 진공 흡입하고 이를 집진통에 집진하는 것으로, 이러한 진공 청소기는 대부분이 이동 편의성을 가진 것이다.In general, vacuum cleaners vacuum-suck various contaminants by using strong suction power of a motor and collect dust in a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most of these vacuum cleaners are portable.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동 편의성을 가지는 진공 청소기의 본체는 배기구를 형성하게 되면서 구동하는 모터의 열을 배기하도록 설계된 것이며, 이에따라 진공 청소기의 집진통으로 각종 오염원이 진공 흡입되어 집진될 때 함께 진공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배기구를 통해 다시 실내측으로 재유입되면서, 상기 공기중에 포함되는 라돈을 대기중으로 방출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main body of the vacuum cleaner having the convenience of movement as described above is designed to exhaust the heat of the driving motor while forming an exhaust port, and accordingly, when various pollutants are vacuumed and collected by the vacuum cleaner's dust collection box, the air that is vacuumed together While is re-introduced into the room through the exhaust po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radon contained in the air cannot be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즉, 상기 라돈(Rn)은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무색, 무취, 무미의 수용성 방사성 가스로 원자량 219, 220과 222의 동위원소를 가지며, 이들은 각각 U-235, Th-232, U-222의 방사성 붕괴산물로서 불활성이어서 이동도가 크고 공기보다 무겁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쉽게 흡입될 가능성이 크다.That is, the radon (Rn) is a naturally occurring colorless, odorless, and tasteless water-soluble radioactive gas having atomic weights of 219, 220, and 222 isotopes, which are radioactive decays of U-235, Th-232, and U-222, respectively. As a product, it is inert, highly mobile, and heavier than air, so it is likely to be easily inhaled by people.

이때, 상기 라돈은 대기중에서는 일정기간(예; 3일정도)이 경과되면 자연적으로 없어지는 것이지만, 실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흡연에 이은 제 2의 폐암 발생 원인이 되며, 특히 실내 대기중 라돈의 농도가 매우 적을지라도 방사선 발생에 의해 폐에 손상을 입힐 수 있고, 토양가스, 건축자재, 지하수 등에 의해 라돈이 꾸준히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어 지구상 어느 공간에서나 분포할 수 있다는 점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At this time, the radon naturally disappears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eg, about 3 days) in the air, but when present indoors, it becomes the second cause of lung cancer following smoking, and in particular, radon in the indoor air Even if the concentration is very low, radiation can damage the lungs, and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is that radon is steadily introduced into indoor spaces by soil gas, building materials, groundwater, etc. and can be distributed anywhere on the earth.

이에 종래에는 본원출원인이 발명자(원용천)로 등록된 등록특허공보 제10-1543757호에서와 같이, 환기장치 설치를 통해 실내에 존재하는 라돈을 실외로 배출시켰지만, 상기와 같은 환기 장치를 이용한 라돈 제거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도출하지는 못하였다.In the past, as in Patent Registration No. 10-1543757, in which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registered as an inventor (Won Yong-cheon), radon present in the room was discharged to the outdoors through the installation of a ventilation device, but radon using the ventilation device as described above. Removal did not yield satisfactory results.

즉, 벽면 등에 설치되는 환기장치는 실내 벽면 일측에 설치되면서 실내 공간 전체에 대한 환기에 오랜 시간이 걸리고, 특히 실내의 공기중에 포함되는 라돈을 대기중으로 방출시킴에 있어 상기 환기장치 주변의 공기중 라돈 방출은 효율적이지만, 상기 환기장치와 멀리 떨어진 실내 공기속 라돈에 대한 대기중 방출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었던 것이다.That is, the ventilation device installed on the wall or the lik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indoor wall and takes a long time to ventilate the entire indoor space. Although the emission is efficient, airborne emission of radon in indoor air far from the ventilation device could not be properly achieved.

한편, 상기의 진공 청소기를 통해 실내측 공기중에 포함되는 라돈을 흡입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공기중 라돈은 청소기 본체의 배기구를 통해 실내측으로 배기되면서, 실내측에서의 라돈 제거가 제대로 실행되지 못하였던 것이다.Meanwhile, radon contained in indoor air may be inhaled through the vacuum cleaner, but the radon in the air is exhausted to the indoor through the exhaust port of the cleaner body, so radon removal from the indoor is not properly performed.

등록특허공보 제10-0449415호(공고일 2004.09.18.)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449415 (Public date 2004.09.18.) 등록특허공보 제10-0862201호(공고일 2008.10.09.)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862201 (Announcement date 2008.10.09.) 등록특허공보 제10-1543757호(공고일 2015.08.11.)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543757 (Announcement Date 2015.08.11.)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33246호(공개일 2018.04.02.)Publication No. 10-2018-0033246 (published on 2018.04.02)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23453호(공개일 2020.03.04.)Publication No. 10-2020-0023453 (published on March 4, 2020)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24292호(공개일 2020.03.06.)Publication No. 10-2020-0024292 (published on March 6, 202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진공 흡입부와 실외측으로 인출되는 공기 방출부가 결합되는 진공 청소기 본체를 실내측 일단에 고정 설치하면서, 실내측의 각종 오염원을 집진시 함께 진공 흡입되는 공기가 실내측으로 재유입되지 않도록 실외측으로 모두 방출시켜, 실내에서의 라돈 제거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라돈 제거형 진공 청소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x and install a vacuum cleaner main body in which a vacuum suction par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n air discharge part drawn out to the outside are coupled to one end of the indoor side, while vacuuming various pollutants indoors when dust is collect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adon removal type vacuum cleaning system capable of increasing radon removal efficiency in a room by discharging all the air to the outdoor side so that the air is not re-introduced into the indoor side.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라돈 제거형 진공 청소 시스템은, 연통구를 가지는 격벽에 의해 흡입구를 가지는 흡입공간과 배구기를 가지는 배기공간이 분할 형성되는 벽면 설치형의 청소기 본체; 상기 배기공간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흡입공간과 상기 배기공간에 오염원 흡입을 위한 진공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동하는 구동모터; 상기 흡입구에 연결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발생하는 진공 흡입력에 따라 실내측 오염원을 진공 흡입하는 진공 흡입부; 상기 흡입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진공 흡입부에 의해 진공 흡입되는 실내측 오염원을 1차 집진하며 상기 오염원과 함께 진공 흡입되는 실내측 공기는 배기시키는 집진백; 상기 흡입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연통구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집진백을 통과하는 진공 흡입된 실내측 공기에 포함되는 미세 오염원을 2차 집진하며 상기 미세 오염원과 함께 진공 흡입되는 실내측 공기는 상기 배기공간으로 배기시키는 필터부재; 상기 배기공간의 외부에서 상기 배기구측에 연결되어 실외측으로 인출되며 상기 필터부재로부터 배기되는 실내 공기를 실외측의 대기중으로 방출시키는 공기 방출부; 및, 실내측 또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상기 흡입공간에 형성되면서 실내측 공기 또는 진공 흡입되는 실내측 공기중에 포함되는 라돈을 검출하는 라돈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의 온 구동은 작동 스위치의 온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돈센서에 의해 공기중에 포함되는 라돈이 검출시 검출된 라돈이 실내측으로 재유입되지 않고 상기 공기 방출부를 통해 실외측의 대기중으로 방출되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온 구동을 유지시키거나 또는 온 구동하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량을 증감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되는 것이다.A radon-removing vacuum cleaning system, which is a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ll-mounted cleaner body in which a suction space having a suction port and an exhaust space having a volleyball are divided and formed by a partition wall having a communication port; a drive motor mounted inside the exhaust space and driven to generate a vacuum suction force for sucking pollutants into the suction space and the exhaust space; a vacuum suction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and vacuum-sucks an indoor pollutant according to vacuum suction force generated according to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a dust-collecting bag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in the suction space, primarily collecting dust from indoor pollutants vacuum-sucked by the vacuum suction unit, and exhausting indoor air vacuum-sucked together with the pollutants; It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communication port side in the suction space and secondary dusts are collected on the fine pollutants included in the vacuumed indoor air passing through the dust collection bag, and the indoor air vacuumed together with the fine pollutants is a filter member for exhausting air into the exhaust space; an air discharge unit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from the outside of the exhaust space, drawn out to the outdoor side, and discharging indoor air exhausted from the filter member into the outdoor air; and a radon sensor formed in the indoor air or in the suction space of the cleaner body and detecting radon included in indoor air or vacuum-sucked indoor air. The on-driving of the driving motor is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to which an on-switching signal of an operation switch is input, but when the radon contained in the air is detected by the radon sensor, the detected radon is reintroduced into the room. A control program for maintaining the on-driving of the driving motor or controlling to increase or decrease the driving amount of the driving motor that is on-driving is mounted so that the air is discharged into the outdoor atmosphere through the air discharge unit without being discharged.

또한, 상기 배기공간은 상기 격벽을 기준으로 상기 청소기 본체의 하단에 형성하고, 상기 흡입공간은 상기 격벽을 기준으로 상기 청소기 본체의 상단에 형성하면서, 상기 흡입공간의 상부는 개구되도록 하되, 상기 흡입공간의 개구된 상부는 덮개에 의해 밀폐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exhaust space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leaner body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wall, and the suction space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leaner body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wall, while the upper part of the suction space is open. The open top of the space is sealed by a cover.

또한, 상기 흡입구와 상기 배기구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일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inlet and the outlet are respectively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leaner body.

또한, 상기 청소기 본체가 벽면에 고정시, 상기 흡입구에는 상기 진공 흡입부의 연결을 위한 제 1 연결관체가 형성되며, 상기 배기구에는 상기 공기 방출부의 연결을 위한 제 2 연결관체가 형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cleaner body is fixed to a wall surface, a first connection pipe for connecting the vacuum suction part is formed in the inlet, and a second connection pipe for connecting the air discharge part is formed in the exhaust hole.

또한, 상기 청소기 본체는 실내측 벽면에 설치되는 벽면 고정체에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벽면 고정체에는 상기 흡입구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 1 연결관체 및, 상기 배기구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 2 연결관체가 형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leaner body is coupled to a wall fixture installed on an indoor wall surface, and the wall fixture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and a second connection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will be formed

또한, 상기 진공 흡입부는, 상기 제 1 연결관체의 타단에 연결되는 것으로 실내측 청소 영역을 커버하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진공호스; 및, 상기 진공호스 끝단에 연결되는 청소헤드; 를 포함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vacuum suction part may include a vacuum hos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tube and covering an indoor cleaning area; and a cleaning head connected to the end of the vacuum hose. is to include

또한, 상기 진공 흡입부에는, 상기 진공 호스 대신에 상기 제 1 연결관체의 타단에 연결되는 것으로 실내측의 다중 청소 영역을 커버하도록 소정 길이로서 고정 배치되는 진공 관체; 및, 실내측의 다중 청소 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진공 관체로부터 다중 분기되는 분기 관체;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기 관체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상기 진공호스가 연결되며, 상기 진공호스 끝단에는 상기 청소헤드가 연결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vacuum suction unit may include a vacuum tube bod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tube body instead of the vacuum hose and fixedly dispos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to cover multiple indoor cleaning areas; and a branch pipe body branching from the vacuum pipe body in multiple directions to correspond to multiple indoor cleaning areas. The vacuum hos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connected to the branch pipe body, and the cleaning head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vacuum hose.

또한, 상기 진공호스와 상기 청소헤드 사이에는 파이프 형상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청소 폴대가 연결되는 것이다.In addition, at least one or more than one cleaning pole forming a pipe shape is connected between the vacuum hose and the cleaning head.

또한, 상기 배기구에는 실외측의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라돈을 흡착하는 정화 필터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 구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purification filter for adsorbing radon emitted into the outdoor ai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exhaust port.

또한, 상기 정화필터는 미세 세공이 형성된 무정형 탄소의 집합체로서 활성화 공정에서 분자 크기 정도의 미세 세공이 형성되어 큰 내부 표면적을 가지는 흡착제인 활성탄을 적용시킨 활성탄 필터인 것이다.In addition, the purification filter is an activated carbon filter in which activated carbon, which is an adsorbent having a large internal surface area by forming fine pores of a molecular size in an activation process, is an aggregate of amorphous carbon in which fine pores are formed.

또한, 상기 라돈센서는 상기 흡입공간으로 진공 흡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되는 라돈을 감지하도록 상기 흡입공간내에 설치되면서, 상기 제어부와 유선라인으로 연결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radon sensor is installed in the suction space to detect radon contained in air vacuum sucked into the suction space,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through a wired line.

또한, 상기 라돈센서는 실내측 공기중에 포함되는 라돈을 감지하도록 상기 본체부가 설치되는 실내측 벽면이나 천정면에 설치되면서 상기 제어부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며, 이에 상기 라돈센서와 상기 제어부에는 각각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이 탑재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radon sensor is installed on the indoor wall or ceiling surface where the main body is installed to detect radon contained in the indoor air, and perform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unit. Accordingly, the radon sensor and the control unit each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install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소정 길이를 가지는 진공 흡입부와 실외측으로 인출되는 공기 방출부가 결합되는 진공 청소기 본체를 실내측 벽면에 고정 설치하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실내측의 각종 오염원을 집진시 함께 진공 흡입되는 공기가 실내측으로 재유입되지 않도록 실외측으로 모두 방출시키면서, 실내측의 각종 오염원 제거와 더불어 실내 공기에 포함되는 라돈 제거 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a vacuum cleaner main body in which a vacuum suction par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n air discharge part drawn out to the outside are coupled is fixedly installed on an indoor wall surface, and through this, various pollutants indoors are vacuumed together when dust is collected.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radon removal efficiency contained in the indoor air as well as removing various pollutants from the indoor side while releasing all of the air to the outdoor side so that the air that is used is not re-introduced into the indoor sid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라돈 제거형 진공 청소 시스템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라돈 제거형 진공 청소 시스템의 구조를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라돈 제거형 진공 청소 시스템의 구조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라돈 제거형 진공 청소기 본체가 벽면 고정체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라돈 제거형 진공 청소 시스템의 개략적인 제어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단일 실내공간에서 라돈 제거형 진공 청소 시스템을 사용하는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복수 실내공간에서 라돈 제거형 진공 청소 시스템을 사용하는 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radon removal type vacuum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radon removal type vacuum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radon removal type vacuum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adon removal type vacuum cleaner body is coupled to the wall fix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control block diagram of a radon removal type vacuum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tate diagram using a radon removal type vacuum cleaning system in a single indoor spac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tate diagram using a radon removal type vacuum cleaning system in a plurality of indoor spaces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the embodiments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but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technology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n the embodiments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or plan views, which are ideal exemplary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necessary forms. For example, a region shown at right angles may be rounded or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Accordingly,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have schematic properties, and the shapes of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 specific shape of the region of the device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ccordingl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even if not mentioned or described in the drawings. Also, even if reference numerals are not indicated, description may be made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라돈 제거형 진공 청소 시스템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라돈 제거형 진공 청소 시스템의 구조를 보인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라돈 제거형 진공 청소 시스템의 구조를 보인 단면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라돈 제거형 진공 청소기 본체가 벽면 고정체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radon-removing vacuum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radon-removing vacuum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radon-removing vacuum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adon-removing vacuum cleaner main body is coupled to a wall fix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라돈 제거형 진공 청소 시스템의 개략적인 제어 블럭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단일 실내공간에서 라돈 제거형 진공 청소 시스템을 사용하는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복수 실내공간에서 라돈 제거형 진공 청소 시스템을 사용하는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5 is a schematic control block diagram of a radon-removing vacuum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use of a radon-removing vacuum cleaning system in a single indoor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 state diagram using a radon removal type vacuum cleaning system in a plurality of indoor spaces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돈 제거형 진공 청소 시스템은, 청소기 본체(10), 구동모터(20), 진공 흡입부(30), 집진백(40), 필터부재(50), 공기 방출부(60), 라돈센서(70), 제어부(80)를 포함하고, 및/또는 정화필터(90)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1 to 7, the radon-removing vacuum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eaner body 10, a drive motor 20, a vacuum suction unit 30, and a dust collection bag 40. , A filter member 50, an air discharge unit 60, a radon sensor 70, a control unit 80, and/or a purification filter 90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연통구(10a)를 가지는 격벽(D1)에 의해 흡입구(T1)를 가지는 상부가 개구된 흡입공간(S1)과 배구기(T2)를 가지는 배기공간(S2)이 분할 형성되는 박스형 구조물로서, 상기 배기공간(S2)은 상기 격벽(D1)을 기준으로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하단에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흡입공간(S1)은 상기 격벽(D1)을 기준으로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흡입공간(S1)의 개구된 상부는 오염원이 집진된 상기 집진백(40)과 미세 오염원이 흡착된 상기 필터부재(50)의 탈부착을 위해 덮개(11)에 의해 밀폐될 수 있는 것이다.The vacuum cleaner body 10 is divided into a suction space S1 having an upper part of the opening T1 and an exhaust space S2 having a volleyball T2 by a partition wall D1 having a communication hole 10a. As a box-shaped structure, the exhaust space (S2)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leaner body 10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wall (D1), and the suction space (S1) is formed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wall (D1). It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leaner body 10, and the open top of the suction space S1 is a cover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dust collection bag 40 in which pollutants are collected and the filter member 50 in which fine pollutants are adsorbed. It can be sealed by (11).

여기서, 상기 흡입구(T1)와 상기 배기구(T2)는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일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청소기 본체(10)는 벽면에 직접 설치되거나 또는 벽면 고정체(12)를 통해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Here, the inlet (T1) and the outlet (T2) are respectively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leaner body 10, and the cleaner body 10 is directly installed on the wall or through the wall fixture 12. can be installed on

한편,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벽면에 직접 설치되는 경우,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일면에 형성되는 상기 흡입구(T1)에는 상기 진공 흡입부(30)의 연결을 위한 제 1 연결관체(T11), 그리고 상기 배기구(T2)에는 상기 공기 방출부(60)의 연결을 위한 제 2 연결관체(T12)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Meanwhile, when the cleaner body 10 is directly installed on a wall surface, the suction port T1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leaner body 1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ipe body T11 for connecting the vacuum suction part 30 to the suction port T1. ), and a second connection tube T12 for connecting the air discharge unit 60 may be formed in the exhaust port T2.

즉, 상기 실내측 벽면에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설치 고정되는 장착홈(미도시)을 가공하여둔 상태에서, 상기 장착홈에 상기 청소기 본체(10)를 고정시킨 후, 상기 제 1 연결관체(T11)에는 상기 진공흡입부(30)을 연결하고, 상기 제 2 연결관체(T12)에는 상기 공기 방출부(60)의 일단을 연결하면서, 상기 공기 방출부(60)의 타단은 실외측으로 인출시키는 것이다.That is, in a state in which a mounting groove (not shown) in which the cleaner body 10 is installed and fixed is machined on the indoor wall surface, after the cleaner body 10 is fixed to the mounting groove, the first connection pipe body The vacuum suction part 30 is connected to (T11), and one end of the air discharge part 6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tube T12, while the other end of the air discharge part 60 is drawn out to the outside. is to do

여기서,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실내측 벽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실내측에 고정 프레임(미도시)을 설치한 후 이에 상기 청소기 본체(10)를 고정하면서, 상기 제 2 연결관체(T12)에 연결되는 상기 공기 방출부(60)를 실외측으로 인출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Here,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cleaner body 10 is installed on the indoor wall surface, a fixing frame (not shown) is installed on the indoor side, and then the cleaner body 10 is fixed thereto, while the second connecting tube body T12 ) The air discharge unit 60 connected to may be drawn out to the outside.

더불어, 상기 진공 흡입부(30)는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실내측 벽면 또는 고정 프레임에 설치 고정될 때,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일면에서 실내측 방향으로 인출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상기 실내측 벽면의 경우에는 상기 진공 흡입부(30)를 실내측으로 인출하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거나 또는 실내측 벽면의 일측면에 상기 진공 흡입부(30)를 인출하기 위한 별도의 유로를 시공할 수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vacuum suction part 30 is drawn out from one surface of the cleaner body 10 in the indoor direction when the cleaner body 10 is installed and fixed on an indoor wall surface or a fixed frame. In the case of the side wall, a space for drawing the vacuum suction part 30 to the indoor side may be provided, or a separate flow path for drawing the vacuum suction part 30 may be constructed on one side of the indoor wall surface. .

한편, 상기 청소기 본체(10)를 실내측 벽면에 설치되는 벽면 고정체(12)에 결합시키는 경우, 우선 상기 벽면 고정체(12)를 벽면에 설치하면서, 상기 벽면 고정체(12)에 각각 상기 흡입구(T1)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 1 연결관체(T11), 그리고 상기 배기구(T2)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 2 연결관체(T12)를 형성시키는 것이다.Meanwhile, when the cleaner body 10 is coupled to the wall fixture 12 installed on the indoor wall surface, first, the wall fixture 12 is installed on the wall, while the wall fixture 12 is attached to each of the wall fixtures 12. A first connecting pipe (T11)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intake port (T1) and a second connecting pipe (T12)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T2) are formed.

즉, 상기 청소기 본체(10)를 벽면에 직접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관체(T11, T12)를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흡입구(T1)와 배구기(T2)에 직접 연결하지만, 상기 청소기 본체(10)를 상기 벽면 고정체(12)를 통해 벽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관체(T11, T12)를 상기 벽면 고정체(12)에 연결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관체(T11, T12)를 상기 흡입구(T1)와 상기 배구기(T2)에 각각 연결시키도록 하면서, 상기 청소기 본체(10)에 대한 설치 작업을 완료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cleaner body 10 is directly installed on a wall,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tubes T11 and T12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T1 and the volleyball T2 of the cleaner body 10. However, when the cleaner body 10 is installed on a wall surface through the wall fixture 12, while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tube bodies T11 and T12 to the wall fixture 12, the The installation work for the cleaner body 10 can be completed while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tubes T11 and T12 to the inlet T1 and the outlet T2, respectively.

상기 구동모터(20)는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하단에 형성되는 상기 배기공간(S2)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흡입공간(S1)과 상기 배기공간(S2)에 오염원 흡입을 위한 진공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동하며, 그 구동은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작동 스위치(SW1)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The drive motor 20 is mounted inside the exhaust space S2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leaner body 10, and has a vacuum suction power for sucking pollutants into the suction space S1 and the exhaust space S2. is driven to generate, and the driving can be performed by an operating switch (SW1)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leaner body (10).

즉, 상기 작동 스위치(SW1)를 온 스위칭시키면, 상기 온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80)가 상기 구동모터(20)를 온 구동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operation switch SW1 is turned on, the control unit 80 controls the driving motor 20 to be turned on according to the on-switching signal.

상기 진공 흡입부(30)는 상기 흡입구(T1)에 연결되는 상기 제 1 연결관체(T11)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20)의 구동에 따라 발생하는 진공 흡입력에 따라 실내측 오염원을 진공 흡입하는 것이다.The vacuum suction part 3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tube T11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T1, and vacuums the indoor pollutants according to the vacuum suction force generated by driving the driving motor 20. to inhale

이때, 상기 진공 흡입부(30)는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설치되는 실내측 공간이 단일 실내공간(예; 방 1개)이거나 또는 공간 면적이 협소한 경우(예; 10평 이하), 상기 제 1 연결관체(T11)의 타단에 연결되는 것으로 실내측 청소 영역을 커버하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진공호스(31), 그리고 상기 진공호스(31)의 끝단에 연결되는 청소헤드(32)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 the vacuum suction unit 30 is used when the indoor space where the cleaner body 10 is installed is a single indoor space (eg, one room) or the space area is narrow (eg, one room). ; 10 pyeong or less), a vacuum hose 31 of a flexible material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tube T11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covering the indoor cleaning area, and an end of the vacuum hose 31 It may include a cleaning head 32 connected to.

반면, 상기 진공 흡입부(30)는 첨부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청소기 본체(10)가 설치되는 실내측 공간이 복수의 실내 공간(예; 방 2개 이상)이거나 또는 공간 면적이 넓은 경우(예; 10평 이상), 상기 제 1 연결관체(T11)의 타단에 연결되는 것으로 실내측의 다중 청소 영역을 커버하도록 소정 길이로서 고정 배치되는 진공 관체(33), 그리고 실내측의 다중 청소 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진공 관체(32)로부터 다중 분기되는 분기 관체(34)를 더 포함하면서, 상기 분기 관체(34)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상기 진공호스(31)를 연결하고, 상기 진공호스(31)의 끝단에는 상기 청소헤드(32)를 연결하도록 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vacuum suction unit 30, as shown in the attached FIG. 7 , when the indoor space in which the cleaner body 10 is installed is a plurality of indoor spaces (eg, two or more rooms) or has a large space area ( Example; 10 pyeong or more), the vacuum tube 33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tube T11 and fixedly arrang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to cover multiple indoor cleaning areas, and the indoor multiple cleaning areas. Correspondingly, while further including a branch pipe body 34 branched multiple times from the vacuum pipe body 32, the vacuum hose 31 made of a flexible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connected to the branch pipe body 34, and the vacuum hose 31 is connected. The cleaning head 32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hose 31.

즉, 실내측 공간이 다중 공간이거나 또는 청소 영역이 넓으면, 상기 진공 호스(31)의 길이는 제한적일 수 밖에 없으므로, 다중 공간에 대응하여 상기 진공 관체(33)를 설치한 후 이에 각각 분기관체(34)를 분기시키면서, 각 분기된 분기관체(34)에 상기 진공호스(31)와 상기 진공헤드(32)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if the indoor space is a multi-space or the cleaning area is wide, the length of the vacuum hose 31 is inevitably limited, so after installing the vacuum tube body 33 corresponding to the multi-space, each branch body ( 34), the vacuum hose 31 and the vacuum head 32 are connected to each branched branch body 34 so that they can be used.

여기서, 상기 진공호스(31)와 상기 청소헤드(32) 사이에는 파이프 형상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청소 폴대(35)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상기 청소헤드(32)를 통해 실내측에서 각종 오염원을 진공 흡입시 그 진공 흡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지지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함인 것이다.Here, at least one or one or more cleaning poles 35 constituting a pipe shape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vacuum hose 31 and the cleaning head 32, which allows the user to This is to serve as a support for facilitating vacuum suction of various contaminants.

상기 집진백(40)은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기 흡입공간(S1)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T1)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이는 상기 진공 흡입부(30)에 의해 진공 흡입되는 실내측 오염원(예; 먼지, 고형화된 이물질 등)을 1차 집진하고, 상기 오염원과 함께 진공 흡입되는 실내측 공기는 상기 연통구(10a)를 통해 상기 배기공간(S2)으로 배기시키는 다공성의 종이백 구조물인 것이다.The dust collection bag 4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T1 side in the suction space S1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leaner body 10, which is attached to the vacuum suction part 30. Indoor pollutants (eg, dust, solidified foreign matter, etc.) vacuum-sucked by the air are primarily collected, and the indoor air vacuum-sucked together with the pollutants is exhausted to the exhaust space S2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0a. It is a porous paper bag structure.

한편, 상기 집진백(40)에 정해진 용량의 오염원이 집진되면, 상기 집진백(40)은 부풀어 오르고 이에 부풀어 오른 상기 집진백(40)은 상기 덮개(11)의 개방을 통해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외부로 분리가 가능하게 되면서, 상기 흡입구(T1)에는 새로운 집진백(40)이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따라 상기 집진백(40)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흡입구(T1)에 연결 가능한 소켓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dust collection bag 40 collects dust of a predetermined capacity, the dust collection bag 40 inflates, and the inflated dust collection bag 40 expands the vacuum cleaner body 10 through the opening of the cover 11. ) As the separation to the outside is possible, a new dust collection bag 40 may be connected to the inlet T1, and accordingly, the dust collection bag 40 has a socket connectable to the inlet T1,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at can be formed.

상기 필터부재(50)는 상기 흡입공간(S1)의 내부에서 상기 연통구(10a)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집진백(40)을 통과하는 진공 흡입된 실내측 공기에 포함되는 미세 오염원(예; 미세 먼지)을 2차 집진하고, 상기 미세 오염원과 함께 진공 흡입되는 실내측 공기는 상기 배기공간(S2)으로 배기시키는 것이다.The filter member 50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communication hole 10a in the suction space S1, and the fine particles contained in the vacuumed indoor air passing through the dust collection bag 40 Pollution sources (eg, fine dust) are secondaryly collected, and indoor air vacuum-sucked together with the fine pollution sources is exhausted into the exhaust space (S2).

여기서, 상기 필터부재(50)는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연통구(10a)에 결합되는 연결구를 가지는 원통형 몸체에 다단 접힘된 헤파필터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Here, the filter member 5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llows a HEPA filter folded in multiple stages to be coupled to a cylindrical body having a connector coupled to the communication port 10a.

상기 공기 방출부(60)는 상기 배기공간(S2)의 외부에서 상기 배기구(T2)측에 연결되는 제 2 연결관체(T12)에 연결되면서 실외측으로 인출되는 것으로, 상기 필터부재(50)로부터 배기되는 실내 공기를 실외측의 대기중으로 방출시키는 호스 구조물 또는 파이프 구조물일 수 있는 것이다.The air discharge unit 6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ipe T12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T2 from the outside of the exhaust space S2 and is drawn out to the outside, and exhaust from the filter member 50 It may be a hose structure or a pipe structure that discharges indoor air into the atmosphere on the outdoor side.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20)의 구동으로 실내측 공기가 진공 흡입되면, 진공 흡입되는 상기 공기는 실내측으로 재유입되지 않고 상기 공기 방출부(60)를 통해 실외측 대기중으로 그 방출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따라 상기 공기중에 라돈이 포함시, 상기 라돈 또한 실내측으로의 재유입이 방지되면서, 실내측 공기에 포함되는 라돈 제거 효율은 높아질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when indoor air is vacuumed by driving the driving motor 20, the vacuumed air is not re-introduced indoors and can be released into the outdoor atmosphere through the air discharge unit 60. Accordingly, when radon is included in the air, the radon is also prevented from being re-introduced into the room, and the efficiency of removing radon from the room air can be increased.

상기 라돈 센서(70)는 실내측 또는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상기 흡입공간(S1)에 형성되면서 실내측 공기 또는 진공 흡입되는 실내측 공기중에 포함되는 라돈을 검출한 후 그 검출신호를 상기 제어부(80)에 제공하는 것이다.The radon sensor 70 is formed in the indoor air or in the suction space S1 of the cleaner body 10 and detects radon included in the indoor air or the vacuum sucked indoor air, and then sends the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80) is provided.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작동 스위치(SW1)의 온 스위칭 신호가 입력시 상기 구동모터(20)의 온 구동을 제어하지만, 상기 라돈센서(70)에 의해 공기중에 포함되는 라돈이 검출시 검출된 라돈이 실내측으로 재유입되지 않고 상기 공기 방출부(60)를 통해 실외측의 대기중으로 방출되도록 상기 구동모터(20)의 온 구동을 유지시키거나 또는 온 구동하는 상기 구동모터(20)의 구동량을 증감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되는 것이다.The controller 80 controls the on-drive of the drive motor 20 when the on-switch signal of the operation switch SW1 is input, but the radon sensor 70 detects radon contained in the air when it is detected. The driving amount of the driving motor 20 maintaining or turning on the driving motor 20 so that radon is not re-introduced indoors and is discharged into the outdoor atmosphere through the air discharge unit 60 A control program that controls to increase or decrease is mounted.

즉, 상기 라돈 센서(70)에 의해 실내측 공기중에 라돈이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80)에 탑재된 상기 제어프로그램은 상기 작동 스위치(SW1)의 온 스위칭 신호에 관계없이 상기 구동모터(20)를 지속적으로 온 구동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구동모터(20)에 공급되는 전원의 전류량을 증감시키면서 상기 구동모터(20)의 구동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 검출된 라돈의 대기중 방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when radon is detected in indoor air by the radon sensor 70, the control program mounted in the controller 80 operates the drive motor 20 regardless of the on-switching signal of the operation switch SW1. The detected radon is discharged into the air smoothly by continuously controlling the on-drive, or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driving amount of the driving motor 20 while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amount of current of power supplied to the driving motor 20. it is to bear

여기서, 상기 라돈센서(70)는 상기 흡입공간(S1)으로 진공 흡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되는 라돈을 감지하도록 상기 흡입공간(S1)내에 설치되면서 상기 제어부(80)와 유선라인으로 연결될 수 있고, 반대로 상기 라돈센서(70)는 실내측 공기중에 포함되는 라돈을 감지하도록 상기 본체부(10)가 설치되는 실내측 벽면이나 천정면에 설치되면서 상기 제어부(80)와 근거리 무선 통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라돈센서(70)와 상기 제어부(80)에는 각각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예; 블루투스 모듈)(BT1, BT2)이 탑재될 수도 있는 것이다.Here, the radon sensor 70 may be installed in the suction space S1 to detect radon contained in the air vacuumed into the suction space S1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80 through a wired line, and vice versa. The radon sensor 70 can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unit 80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hile being installed on the indoor wall or ceiling surface where the main body 10 is installed to detect radon contained in the indoor air.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eg, Bluetooth modules) BT1 and BT2 may be installed in the radon sensor 70 and the control unit 80, respectively.

상기 정화필터(90)는 상기 배기구(T2)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실외측의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라돈을 흡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urifying filter 90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exhaust port T2, which is to adsorb radon emitted into the outdoor air.

여기서, 상기 정화 필터(90)는 미세 세공이 형성된 무정형 탄소의 집합체로서 활성화 공정에서 분자 크기 정도의 미세 세공이 형성되어 큰 내부 표면적을 가지는 흡착제인 활성탄을 적용시킨 활성탄 필터로서, 상기 공기 방출부(60)를 통해 라돈이 포함되는 공기가 대기중으로 방출될 때, 상기 공기중에 포함되는 상기 라돈을 흡착하면서, 대기중으로는 라돈이 제거된 공기만이 방출되도록 하여, 혹여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라돈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함인 것이다.Here, the purification filter 90 is an aggregate of amorphous carbon in which fine pores are formed, and is an activated carbon filter to which activated carbon, which is an adsorbent having a large internal surface area by forming fine pores of a molecular size in an activation process, is applied, and the air discharge unit ( 60), when the air containing radon is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the radon contained in the air is adsorbed and only the air from which radon is removed is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thereby causing damage caused by radon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is to prevent

즉, 상기 라돈은 대기중에 방출시 일정기간(예; 3일정도)이 경과되어야만 자연적으로 없어지므로 이를 감안하여 상기 정화필터(90)를 통해 흡착하면서,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라돈이 혹여 건물의 다른 환기구를 통해 실내측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인 것이다.That is, since the radon naturally disappears only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e.g., about 3 days) has elapsed when released into the air, in consideration of this, radon emitted into the air while adsorbed through the purification filter 90 may be released into the air through other vents of the building. This is to prevent re-inflow into the room through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돈 제거형 진공 청소 시스템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우선 청소기 본체(10)의 흡입구(T1)에 제 1 연결관체(T11)를 이용하여 진공 흡입부(30)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배기구(T2)에는 제 2 연결관체(T12)를 통해 공기 방출부(60)의 일단을 연결한 후, 상기 공기 방출부(60)의 타단은 실외측으로 인출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radon-removing vacuum clean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S. In the state in which the vacuum suction part 30 is connected, after connecting one end of the air discharge part 60 to the exhaust port T2 of the cleaner body 10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tube T12, the air discharge part The other end of (60) is drawn out to the outside.

이후, 상기 청소기 본체(10)에 전원을 연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작동 스위치(SW1)를 온 스위칭시킨다.Thereafter, in a state in which power is connected to the cleaner body 10, the user turns on the operation switch SW1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leaner body 10.

그러면, 상기 작동 스위치(SW1)의 온 스위칭신호에 따라 제어부(80)는 구동모터(20)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게 되면서, 상기 구동모터(20)의 온 구동에 따라 진공 흡입력이 발생하고, 상기 진공 흡입력에 따라 상기 진공 흡입부(30)에 포함되는 청소헤드(32)는 실내측 바닥면 등에 존재하는 각종 오염원(예; 먼지, 이물질 등)을 진공 흡입하게 되고, 진공 흡입된 각종 오염원은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상단 흡입공간(S1)에 마련되는 집진백(40)에 집진될 수 있는 것이다.Then, the control unit 80 supplies driving power to the driving motor 20 according to the ON switching signal of the operation switch SW1, and a vacuum suction force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ON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20, and the According to the vacuum suction force, the cleaning head 32 included in the vacuum suction part 30 vacuums various contaminants (eg, dust, foreign substances, etc.) Dust can be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bag 40 provided in the upper suction space S1 of the cleaner body 10.

이때, 상기 청소헤드(32)를 통해 각종 오염원이 진공 흡입시 공기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공기는 상기 집진백(40)을 통과하게 되면서 필터부재(50)에 의해 미세 먼지 등에 대한 2차 필터링이 이루어지고, 2차 필터링이 이루어진 공기는 상기 공기 방출부(60)를 통해 실외측으로 방출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가 실외측으로 방출시 그 공기중에 라돈이 포함시, 상기 라돈 또한 실내측으로 재유입되지 않고 실외측의 대기중으로 방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when various contaminants are vacuumed through the cleaning head 32, air may be included, and as this air passes through the dust collecting bag 40, secondary filtering of fine dust by the filter member 50 is performed. and the secondary filtering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door side through the air discharge unit 60, and when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door side and radon is included in the air, the radon is not re-introduced into the indoor side. It can be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on the outdoor side.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실내측 또는 상기 청소기 본체(10)의 상기 흡입공간(T1)에 라돈센서(70)가 설치되는 바, 상기 라돈센서(70)는 실내측 공기 또는 진공 흡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되는 라돈을 검출한 후 그 검출 결과를 제어부(80)에 제공하게 된다.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don sensor 70 is installed indoors or in the suction space T1 of the cleaner body 10, and the radon sensor 70 is the indoor air or vacuum sucked air. After detecting radon contained in the air, the detection result is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80.

그러면,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구동모터(20)의 온 구동을 지속시키거나 또는 구동량을 증대시키면서 진공 흡입력을 높이고, 이에따라 실내측 공기가 각종 오염원과 함께 진공 흡입시, 상기 실내측 공기에 포함되는 검출된 라돈이 실내측으로 재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공기 방출부(60)를 통해 실외측의 대기중으로 방출시키면서, 상기 라돈에 의한 피해를 방지시키게 되는 것이다.Then, the control unit 80 increases the vacuum suction power while continuing the ON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20 or increasing the driving amount, and accordingly, when the indoor air is vacuumed together with various pollutants, the indoor air Damage caused by radon is prevented while the detected radon contained is released into the outdoor atmosphere through the air discharge unit 60 so that it is not re-introduced indoors.

즉,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를 통해 실내에 대한 청소 작업을 진행할 때, 상기 진공 청소기에서 배기되는 공기가 실내측으로 재유입되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공기중에 포함되는 라돈이 실내측으로 재유입되는 문제를 방지한 것이고, 이에따라 실내측 공기중에 라돈이 포함되더라도 그 라돈을 효과적으로 대기중으로 방출시키면서, 실내에서 사용자가 라돈을 흡입하는 피해를 방지시키는 것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re-introduction of radon contained in the air into the room while preventing the air exhausted from the vacuum cleaner from re-introducing into the room when the vacuum cleaner is used to clean the room. Accordingly, even if radon is contained in indoor air, the radon is effectively discharged into the air, and damage caused by inhalation of radon by a user indoors is prevent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라돈 제거형 진공 청소 시스템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 the technical idea of the radon removal type vacuum clean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an exemplary description of the b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on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it is possible, and such vari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청소기 본체 10a; 연통구
11; 덮개 12; 벽면 고정체
20; 구동모터 30; 진공 흡입부
31; 진공호스 32; 청소헤드
33; 진공 관체 34; 분기관체
35; 청소폴대 40; 집진백
50; 필터부재 60; 공기 방출부
70; 라돈센서 80; 제어부
90; 정화필터 D1; 격벽
BT1, BT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S1; 흡입공간
S2; 배기공간 SW1; 작동 스위치
T1; 흡입구 T2; 배기구
T11; 제 1 연결관체 T12; 제 2 연결관체
10; a cleaner body 10a; communication port
11; cover 12; wall fixture
20; drive motor 30; vacuum suction
31; vacuum hose 32; cleaning head
33; vacuum tube body 34; branch body
35; cleaning pole 40; dust bag
50; filter member 60; air discharge
70; Radon sensor 80; control unit
90; purification filter D1; septum
BT1, BT2;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1; suction space
S2; Exhaust space SW1; operating switch
T1; inlet T2; exhaust
T11; The first connecting tube T12; 2nd connecting pipe

Claims (11)

연통구를 가지는 격벽에 의해 흡입구를 가지는 흡입공간과 배구기를 가지는 배기공간이 분할 형성되는 벽면 설치형의 청소기 본체;
상기 배기공간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흡입공간과 상기 배기공간에 오염원 흡입을 위한 진공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동하는 구동모터;
상기 흡입구에 연결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발생하는 진공 흡입력에 따라 실내측 오염원을 진공 흡입하는 진공 흡입부;
상기 흡입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진공 흡입부에 의해 진공 흡입되는 실내측 오염원을 1차 집진하며 상기 오염원과 함께 진공 흡입되는 실내측 공기는 배기시키는 집진백;
상기 흡입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연통구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집진백을 통과하는 진공 흡입된 실내측 공기에 포함되는 미세 오염원을 2차 집진하며 상기 미세 오염원과 함께 진공 흡입되는 실내측 공기는 상기 배기공간으로 배기시키는 필터부재;
상기 배기공간의 외부에서 상기 배기구측에 연결되어 실외측으로 인출되며 상기 필터부재로부터 배기되는 실내 공기를 실외측의 대기중으로 방출시키는 공기 방출부; 및,
실내측 또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상기 흡입공간에 형성되면서 실내측 공기 또는 진공 흡입되는 실내측 공기중에 포함되는 라돈을 검출하는 라돈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의 온 구동은 작동 스위치의 온 스위칭 신호가 입력되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라돈센서에 의해 공기중에 포함되는 라돈이 검출시 검출된 라돈이 실내측으로 재유입되지 않고 상기 공기 방출부를 통해 실외측의 대기중으로 방출되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온 구동을 유지시키거나 또는 온 구동하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량을 증감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돈 제거형 진공 청소 시스템.
A wall-mounted vacuum cleaner main body in which a suction space having a suction hole and an exhaust space having a volleyball are divided and formed by a partition wall having a communication hole;
a drive motor mounted inside the exhaust space and driven to generate a vacuum suction force for sucking pollutants into the suction space and the exhaust space;
a vacuum suction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and vacuum-sucks an indoor pollutant according to vacuum suction force generated according to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a dust-collecting bag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in the suction space, primarily collecting dust from indoor pollutants vacuum-sucked by the vacuum suction unit, and exhausting indoor air vacuum-sucked together with the pollutants;
It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communication port side in the suction space and secondary dusts are collected on the fine pollutants included in the vacuumed indoor air passing through the dust collection bag, and the indoor air vacuumed together with the fine pollutants is a filter member for exhausting air into the exhaust space;
an air discharge unit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from the outside of the exhaust space, drawn out to the outdoor side, and discharging indoor air exhausted from the filter member into the outdoor atmosphere; and,
a radon sensor that is formed indoors or in the suction space of the cleaner body and detects radon included in indoor air or vacuum-sucked indoor air; including,
The on-driving of the driving motor is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to which an on-switching signal of an operating switch is input, but when the radon sensor detects radon in the air, the detected radon is not re-introduced into the room and the air Radon removal type vacuum cleaning, characterized in that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o increase or decrease the driving amount of the driving motor to maintain the on-driving of the driving motor or to be on-driving so as to be discharged into the outdoor atmosphere through the discharge unit.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공간은 상기 격벽을 기준으로 상기 청소기 본체의 하단에 형성하고, 상기 흡입공간은 상기 격벽을 기준으로 상기 청소기 본체의 상단에 형성하면서, 상기 흡입공간의 상부는 개구되도록 하되, 상기 흡입공간의 개구된 상부는 덮개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돈 제거형 진공 청소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exhaust space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leaner body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wall, and the suction space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leaner body with respect to the partition wall, while the upper part of the suction space is open. Radon removal type vacuum clea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 top is sealed by a cov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와 상기 배기구는 상기 청소기 본체의 일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돈 제거형 진공 청소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radon removal type vacuum clea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uction port and the exhaust port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leaner body, respectivel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가 벽면에 고정시, 상기 흡입구에는 상기 진공 흡입부의 연결을 위한 제 1 연결관체가 형성되며, 상기 배기구에는 상기 공기 방출부의 연결을 위한 제 2 연결관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돈 제거형 진공 청소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Radon removal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cleaner body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a first connection pipe for connecting the vacuum suction part is formed in the suction hole, and a second connection pipe for connecting the air discharge part is formed in the exhaust hole mold vacuum cleaning system.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본체는 실내측 벽면에 설치되는 벽면 고정체에 결합되도록 하되, 상기 벽면 고정체에는 상기 흡입구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 1 연결관체 및, 상기 배기구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 2 연결관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돈 제거형 진공 청소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The cleaner body is coupled to a wall fixture installed on an indoor wall surface, and the wall fixture includes a first connecting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and a second connecting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Radon removal type vacuum clea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흡입부는,
상기 제 1 연결관체의 타단에 연결되는 것으로 실내측 청소 영역을 커버하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진공호스; 및,
상기 진공호스 끝단에 연결되는 청소헤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돈 제거형 진공 청소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or 5,
The vacuum suction part,
a vacuum hos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tube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covering an indoor cleaning area; and,
a cleaning head connected to an end of the vacuum hose; A radon-removing vacuum cleaning system comprising a.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흡입부에는,
상기 진공 호스 대신에 상기 제 1 연결관체의 타단에 연결되는 것으로 실내측의 다중 청소 영역을 커버하도록 소정 길이로서 고정 배치되는 진공 관체; 및,
실내측의 다중 청소 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진공 관체로부터 다중 분기되는 분기 관체;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기 관체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상기 진공호스가 연결되며, 상기 진공호스 끝단에는 상기 청소헤드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돈 제거형 진공 청소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6,
In the vacuum suction part,
a vacuum tube bod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tube body instead of the vacuum hose and fixedly arrang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to cover multiple cleaning areas in the room; and,
Branch pipe bodies branched from the vacuum pipe body in multiple directions to correspond to multiple indoor cleaning areas; Including more,
The radon removal type vacuum clea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vacuum hos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connected to the branch pipe body, and the cleaning head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vacuum ho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에는 실외측의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라돈을 흡착하는 정화 필터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돈 제거형 진공 청소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radon removal type vacuum clea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purification filter for adsorbing radon emitted into the outdoor atmospher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exhaust por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필터는 미세 세공이 형성된 무정형 탄소의 집합체로 활성화 공정에서 분자크기 정도의 미세 세공이 형성되어 큰 내부 표면적을 가지는 흡착제인 활성탄을 적용시킨 활성탄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돈 제거형 진공 청소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The purification filter is a radon removal type vacuum clea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ctivated carbon filter, which is an adsorbent having a large internal surface area, is applied to an aggregate of amorphous carbon in which fine pores are formed, and fine pores of a molecular size are formed in an activation proc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돈센서는 상기 흡입공간으로 진공 흡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되는 라돈을 감지하도록 상기 흡입공간내에 설치되면서, 상기 제어부와 유선라인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돈 제거형 진공 청소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radon removal type vacuum clea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radon sensor is installed in the suction space to detect radon contained in the air vacuum sucked into the suction space,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hrough a wired li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돈센서는 실내측 공기중에 포함되는 라돈을 감지하도록 상기 본체부가 설치되는 실내측 벽면이나 천정면에 설치되면서 상기 제어부와 근거리 무선 통신하며, 이에 상기 라돈센서와 상기 제어부에는 각각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이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돈 제거형 진공 청소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radon sensor is installed on the indoor wall or ceiling surface where the main body is installed to detect radon contained in the indoor air, and perform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unit. Accordingly, the radon sensor and the control unit each hav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 radon-removing vacuum clea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mounted.
KR1020210114867A 2021-08-30 2021-08-30 Vacuum cleaning system of radon removal type KR1025436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867A KR102543601B1 (en) 2021-08-30 2021-08-30 Vacuum cleaning system of radon removal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867A KR102543601B1 (en) 2021-08-30 2021-08-30 Vacuum cleaning system of radon removal ty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251A true KR20230032251A (en) 2023-03-07
KR102543601B1 KR102543601B1 (en) 2023-06-20

Family

ID=85513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867A KR102543601B1 (en) 2021-08-30 2021-08-30 Vacuum cleaning system of radon removal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3601B1 (en)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646U (en) * 1998-11-09 2000-06-05 전주범 Fixed vacuum cleaner
KR100449415B1 (en) 2002-02-28 2004-09-18 남도금형(주) A vacuum cleaner that can sweep with a floorcloth
KR100862201B1 (en) 2008-07-18 2008-10-09 에이치엔씨 시스템(주) A dust emission test system for vacuum cleaner
US20100162513A1 (en) * 2005-10-07 2010-07-01 Cube Investments Limited Central vacuum cleaner control, unit and system with contaminant sensor
KR20120100532A (en) * 2011-03-04 2012-09-12 씨앤에치아이앤씨(주) Radon eliminator
KR101543757B1 (en) 2013-02-25 2015-08-11 씨앤에치아이앤씨(주) Radon elimination system
KR101823839B1 (en) * 2017-11-20 2018-01-30 강희철 Central dust collect vacuum cleaning system
KR20180033246A (en) 2015-07-24 2018-04-02 세브 에스.아. Stick type vacuum cleaner with hinged brush head
KR20200023453A (en) 2017-08-11 2020-03-04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Dust separator for vacuum cleaner
KR20200024292A (en) 2017-08-11 2020-03-06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Handheld Vacuum Cleaners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646U (en) * 1998-11-09 2000-06-05 전주범 Fixed vacuum cleaner
KR100449415B1 (en) 2002-02-28 2004-09-18 남도금형(주) A vacuum cleaner that can sweep with a floorcloth
US20100162513A1 (en) * 2005-10-07 2010-07-01 Cube Investments Limited Central vacuum cleaner control, unit and system with contaminant sensor
KR100862201B1 (en) 2008-07-18 2008-10-09 에이치엔씨 시스템(주) A dust emission test system for vacuum cleaner
KR20120100532A (en) * 2011-03-04 2012-09-12 씨앤에치아이앤씨(주) Radon eliminator
KR101543757B1 (en) 2013-02-25 2015-08-11 씨앤에치아이앤씨(주) Radon elimination system
KR20180033246A (en) 2015-07-24 2018-04-02 세브 에스.아. Stick type vacuum cleaner with hinged brush head
KR20200023453A (en) 2017-08-11 2020-03-04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Dust separator for vacuum cleaner
KR20200024292A (en) 2017-08-11 2020-03-06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Handheld Vacuum Cleaners
KR101823839B1 (en) * 2017-11-20 2018-01-30 강희철 Central dust collect vacuum clean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3601B1 (en) 202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7444B1 (en) Plasma air cleaner
KR101518624B1 (en) Air purifying apparatus for air ventilation
CN105757795A (en) Air Cleaner And Home Appliance Having Air Processing Unit
JP2009085511A (en) Humidifier and air cleaner
KR20040048957A (en) A device for setting up central vacuum cleaning installations
KR20100019824A (en) Air clea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51583B1 (en) Multipurpose air cleaner
KR102543601B1 (en) Vacuum cleaning system of radon removal type
KR102110831B1 (en) Multifunction oxygen supply system
JP2004232954A (en) Air cleaner
KR102341395B1 (en) Movable Air Purifier
KR20190015673A (en) Oxygen Generator for Air Cleaning
JP2004069157A (en) Air cleaner
KR20060126343A (en) Air cleaner
KR102111216B1 (en) Air cleaning device and clean air supply system
JP2006250396A (en) Smoking room with air cleaning function
KR20200018061A (en) A structure equipped in ceiling
CN109126376A (en) A kind of Mobile air purifying equipment
KR20150003608A (en) A smoking for both of purification device
JP2011092751A (en) Removing device of suspended particle in air
KR20030039465A (en) Air cleaner which also uses as a cleaner
JP3222280U (en) Booth system for gas deodorization and purification
JP2000333886A (en) Electric cleaner
JPH05305211A (en) Air purifier
JP2000356380A (en) Dust remover for hou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