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2164A - IoT-BASED SMART CLOTHES DRYER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oT-BASED SMART CLOTHES DRYER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2164A
KR20230032164A KR1020210114674A KR20210114674A KR20230032164A KR 20230032164 A KR20230032164 A KR 20230032164A KR 1020210114674 A KR1020210114674 A KR 1020210114674A KR 20210114674 A KR20210114674 A KR 20210114674A KR 20230032164 A KR20230032164 A KR 20230032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er
clothes dryer
user
drying
clot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6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28670B1 (en
Inventor
강민균
Original Assignee
신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농(주) filed Critical 신농(주)
Priority to KR1020210114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670B1/en
Publication of KR20230032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21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6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6Condition of the drying air, e.g. air humidity or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0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buttons or rotary d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4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ounting or attachment features, e.g. detachable control panels or detachable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 G06V30/2247Characters composed of bars, e.g. CMC-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es dryer system including an IoT-based smart clothes dry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includes a clothes dryer for drying laundry of a user; a dryer management server for remotely managing the clothes dryer; and a user terminal for communicating with the dryer server and the clothes dryer. The clothes dryer includes: a display module for providing the user with information related to the drying condition and drying operation of the current laundry; a user control panel functioning to receive a desired drying temperature and time from the user, and also enable the clothes dryer to be operated in a manual drying mode or a smart drying mode; an identification code reader for reading a user identification cod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a camera module for photographing the laundry information of the us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lothes dryer.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optimized drying by generating an optimized drying profile and performing drying in accordance with the same.

Description

IoT 기반의 스마트 의류 건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IoT-BASED SMART CLOTHES DRYER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IoT-BASED SMART CLOTHES DRYER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IOT 기반의 스마트 의류 건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드럼 방식 의류 건조기에 비교하여 섬유의 수축 및 변형과 같은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IOT 기반의 스마트 의류 건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based smart clothes dryer and a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IOT-based smart clothes dryer capable of suppressing damage such as shrinkage and deformation of fibers compared to a conventional drum-type clothes dryer, and It is about a system that includes this.

의류 건조기는 열을 이용하여 세탁물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기기로써, 세탁기와 더불어 널리 사용되는 가전제품 중 하나임. 과거에는 세탁기를 통해 세탁과정을 거친 세탁물을 건조대에 널어 자연 건조 시키는 방식이 주된 건조 방식이었다면, 최근에는 의류 건조기를 활용하여 열기로 세탁물을 건조하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다. A clothes dryer is a device that evaporates moisture from laundry using heat, and is one of the widely used home appliances along with a washing machine. In the past, the main drying method was to dry laundry by hanging it on a drying rack after washing through a washing machine, but recently, consumers who dry laundry with heat using a clothes dryer are increasing.

특히 제조업이나 집단생활을 주로 하는 병원, 군대 등에서 오래전부터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가정으로 그 영역이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더불어 최근 코로나의 확산 및 미세먼지와 황사 등 외부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살균 및 위생 가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여 해당 과정에서 건조기의 활용도가 주목받고 있다.In particular, it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in manufacturing industries, hospitals and the military, etc., which are mainly used for group living, and recently, the area is expanding to the home. In addition, due to the recent spread of corona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fine dust and yellow dust, the demand for sterilization and sanitary appliances has increased, and the utilization of dryers in the process is attracting attention.

의류 건조기를 활용할 경우 세탁 후 세탁물에 남아있는 먼지가 건조과정에서 여과되기에 일반적으로 자연 건조를 거친 세탁물보다 잔여 먼지량을 두드러지게 줄일 수 있으며, 더불어 별도의 건조대에 세탁물을 널기 위한 시간 투자가 필요하지 않아 아이를 양육하는 맞벌이 부부나 일과 시간이 바쁜 직장인 및 1인 가구 등에서 그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When using a clothes dryer, the amount of remaining dust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laundry that has generally been dried naturally because the dust remaining on the laundry after washing is filtered during the drying process, and it does not require time investment to hang the laundry on a separate drying rack. Demand for it is greatly increasing among dual-income couples raising children due to lack of work, office workers with busy working hours, and single-person households.

그러나 기존의 드럼형 건조기는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로 인해 옷감의 마모, 정전기 발생, 옷감 손상, 수축, 구김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건조 이후에 옷감의 손상 정도가 커 오히려 옷을 버리게 되고, 건조기 사용 시 과다한 전력 에너지의 소요로 사용자의 전기세 부담과 함께 에너지 낭비 등이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However, conventional drum-type dryers cause problems such as abrasion of the fabric, generation of static electricity, damage to the fabric, shrinkage, and wrinkles due to friction generated during the drying process. Problems such as waste of energy as well as the burden of electricity bills on users arise due to the excessive consumption of electric energy during use.

한국공개특허 10-2005-0119260(2005.12.21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119260 (published on December 21, 2005) 한국공개특허 10-2009-0112185(2009.10.28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112185 (published on October 28, 2009)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에 기반하여 안출된 발명으로 IoT 스마트 센서를 이용하여 건조 대상 직물의 원료, 밀도, 세탁과정을 거친 후의 온도, 건조 시내부온도 및 습도를 측정하여 각각의 건조 대상에 최적화된 히팅 조건을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는 IOT 기반의 스마트 의류 건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made based on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uses an IoT smart sensor to measure the raw material, density, temperature after washing, drying stream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fabric to be dried, and optimized for each drying targe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OT-based smart clothes dryer capable of reflecting heating conditions in real time and a system including the same.

또한 여러 사용자가 함께 이용하는 병원, 군대, 기숙사와 같은 장소에서 사용자들의 세탁물이 뒤섞이거나 분실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IOT 기반의 스마트 의류 건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OT-based smart clothes dryer and a system including the same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users' laundry being mixed or lost in places such as hospitals, military units, and dormitories used by many users.

또한 본 발명은 열과 마찰로 인한 세탁물의 수축/변형과 같은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IOT 기반의 스마트 의류 건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OT-based smart clothes dryer capable of minimizing problems such as shrinkage/deformation of laundry due to heat and friction and a system including the same.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IoT 기반 스마트 의류 건조기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시스템이 제공되고,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lothes dryer system including an IoT-based smart clothes dryer is provided,

이 시스템은, 사용자 세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의류 건조기; 의류 건조기를 원격지에서 관리하기 위한 건조기 관리 서버; 및 건조기 서버 및 의류 건조기와 통신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The system includes a clothes dryer for drying user laundry; a dryer management server for remotely managing a clothes dryer; And a user terminal for communicating with the dryer server and the clothes dryer,

상기 의류 건조기는, 사용자에게 현재 세탁물의 건조 상태 및 건조 동작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 사용자부터 원하는 건조 온도 및 건조 시간을 입력받고, 또한 의류 건조기를 수동 건조 모드 또는 스마트 건조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기능하는 사용자 조작 패널; 사용자의 단말에 제공되는 사용자 식별 코드를 판독하기 위한 식별코드 판독기; 사용자의 세탁물 정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의류 건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고,The clothes dryer may include a display module for providing a user with information related to a current drying state of laundry and a drying operation; a user control panel that receives desired drying temperature and drying time from a user and operates the clothes dryer in a manual drying mode or a smart drying mode; an identification code reader for reading a user identification code provided to a user's terminal; a camera module for photographing user's laundry information;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clothes dryer. including,

상기 의류 건조기는 건조기의 내부 상부에 의류가 걸려지는 행거를 포함하고, 의류 건조기는 건조기의 내부의 현재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 건조기 내부의 현재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 센서; 및 상기 행거를 진동 운동 시키기 위한 진동 모터를 더 포함한다. The clothes dryer includes a hanger on which clothes are hung on an upper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dryer, and the clothes dryer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a current temperature inside the dryer; Humidity sensor for measuring the current humidity inside the dryer; and a vibration motor for vibrating the hanger.

전술한 실시예에서 사용자 조작 패널로부터 스마트 건조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의류 건조기의 제어부는, 카메라 모듈을 통해 의류에 부착된 섬유 정보 태그로부터 의류의 섬유 정보를 추출하는 동작;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의류의 섬유 조직 정보를 추출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hen the smart drying mode is selected from the user control panel, the control unit of the clothes dryer may perform an operation of extracting fabric information of clothes from a fabric information tag attached to clothes through a camera module; It is configured to perform an operation of extracting textile tissue information of clothing through the camera module.

또한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어부는 의류의 섬유 성분 정보 및 의류의 섬유 조직 정보에 기반하여 건조 시간에 따른 상이한 건조 온도 정보와 습도 정보를 포함하는 건조 프로파일을 작성하도록 구성된다. Further, in any one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reate a drying profile including different drying temperature information and humidity information according to drying time based on the fiber component information and the fiber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clothes.

또한 전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섬유 조직 정보는, 건조 대상 직물의 성분, 직물 밀도, 편직 구조, 꼬임, 실의 두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 in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fiber structure information preferably includes information on components of the fabric to be dried, fabric density, knitting structure, twist, and yarn thickness.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식별코드 판독기로부터 판독된 사용자의 식별코드를 건조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식별된 사용자가 건조기 관리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인 경우에만 의류 건조기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다. Also,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user read by the identification code reader to the dryer management server, and to operate the clothes dryer only when the identified user is a user registered in the dryer management serv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IoT 기반 의류 건조기에 따르면, 건조 대상 직물의 성분, 직물 밀도, 편직 구조, 꼬임, 실의 두께와 같은 섬유 정보를 이용하여 건조 대상에 최적화된 건조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그에 따라 건조를 수행함으로써 최적화된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IoT-based clothes dryer, a drying profile optimized for a drying target is created using fiber information such as components, fabric density, knitting structure, twist, and yarn thickness of the fabric to be dried, and accordingly By carrying out drying, it is possible to perform optimized dry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여러 사용자가 함께 이용하는 병원, 군대, 기숙사와 같은 장소에서 사용자들의 세탁물이 뒤섞이거나 분실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olve a problem in which users' laundry is mixed or lost in a place such as a hospital, military unit, or dormitory shared by many user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열과 마찰로 인한 세탁물의 수축/변형과 같은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blems such as shrinkage/deformation of laundry due to heat and friction can be minimized.

도 1은 IoT 기반 스마트 의류 건조기를 포함하는 건조기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IoT 기반 스마트 의류 건조기에 이용되는 사용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의 기능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 스마트 의류 건조기를 포함하는 건조기 시스템에서 건조기 예약 대기자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의류 건조기의 정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의류 건조기의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의류 건조기의 측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의류 건조기의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의류 건조기의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dryer system including an IoT-based smart clothes dryer;
2 is a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structure of an application of a user terminal used in an IoT-based smart clothes dryer;
3 is a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 user with a waiting list for a dryer in a dryer system including an IoT-based smart clothes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front configuration of the smart clothes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mart clothes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open;
6 is a view showing the side configuration of the smart clothes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of a smart clothes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al flow of the smart clothes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illustrat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o the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disclosures, and includes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directly between" or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n embodi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xamples. Like reference numerals presented in each figure may be understood to represent like member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IOT 기반의 스마트 의류 건조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이하 건조기 시스템이라고 함)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 시스템은 사용자의 세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의류 건조기(10); 상기 의류 건조기(10)를 원격지에서 관리하기 위한 건조기 서버(30); 및 건조기 서버(30) 또는 의류 건조기(20)와 통신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20)을 포함한다.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ryer system) including an IOT-based smart clothes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dry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othes dryer 10 for drying user's laundry; a dryer server 30 for remotely managing the clothes dryer 10; and a user terminal 20 for communicating with the dryer server 30 or the clothes dryer 20 .

사용자 단말(20)과 건조기 서버(30) 및 의류 건조기(20)와 건조기 서버(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 단말(20)은 서버측 또는 시스템 운영자측에서 제공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건조기 서버(30)와 통신가능하고, 의류 건조기(20) 역시 네트워크를 통해 건조기 서버(30)에 연결되어 이벤트 발생기 건조기의 상태 정보 등을 건조기 서버(30)에 전송하고, 건조기 서버(30)로부터의 명령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user terminal 20 and the dryer server 30 and the clothes dryer 20 and the dryer server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network, and the user terminal 20 runs a dedicated application provided by the server side or system operator side. The clothes dryer 20 is also connected to the dryer server 30 through a network and transmits the event generator and dryer status information to the dryer server 30, and the dryer server 30 It is configured to receive commands from.

즉 네트워크 또는 통신망은 의류 건조기(10), 사용자 단말(20) 및 건조기 서버(30) 간의 정보 송수신을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통신망이라고 함은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건조 시작, 건조 종료, 건조 예상 시간, 건조 조건 설정과 같은 세탁 건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의류 건조기(10), 사용자 단말기(20), 건조기 관리 서버(30)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모든 데이터망을 포함한다.That is, the network or communication network serves to provide a path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clothes dryer 10 , the user terminal 20 and the dryer server 30 . That is, the communication network refers to the clothes dryer 10, the user terminal 20, and the dryer management server in order to provide laundry and drying information such as drying start, drying end, expected drying time, and drying condition setting to the display unit of the user terminal. (30) It includes all data networks that enabl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예를 들어,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로는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 및 끊기는 현상이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망으로, 아이피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을 통합한 아이피망 구조인 올 아이피(All IP)망 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유선통신망, 이동통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위성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망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합된 통신망일 수 있다.For example, a network that performs such a function is an IP network that provides larg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ervices and data services without disconnection through the Internet Protocol (IP). It may be an All IP network, which is an integrated IP network structure. In addition, the network includes any one or one or more of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Wibro (Wireless Broadband) network,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network,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Wi-Fi (Wireless Fidelity) network. It may be a combined communication network that

도 2는 사용자 단말(20)에 제공되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회원가입모듈(210), 바코드 저장 모듈(220), 바코드 판독 모듈(230), 건조기 제어 모듈(240), 서버 통신 모듈(250)을 포함한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edicated application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20 . As shown in FIG. 2 , the dedicated application includes a membership registration module 210, a barcode storage module 220, a barcode reading module 230, a dryer control module 240, and a server communication module 250.

사용자 단말(20)은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건조기 관리 서버(30)에 접속하고, 회원가입모듈(210)에서 제공되는 미리정해진 절차에 따라 회원에 가입하게 된다.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회원가입 절차에 따라 개인식별자(ID)를 생성하면, 서버(30)는 사용자 전용의 바코드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고,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의 바코드 저장 모듈(220)은 서버로부터 발행된 개인용 바코드를 저장하게 된다.The user terminal 20 accesses the dryer management server 30 through a dedicated application and registers as a membe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cedure provided by the membership registration module 210 . When the user creates a personal identifier (ID) according to the membership registration procedure provided by the application, the server 30 generates a user-specific barcode and provides it to the user's application, and the barcode storage module 220 of the user application stores the server 30 Personal barcodes issued from

사용자는 부여받은 바코드를 통해 의류 건조기(10)에 제공된 바코드 판독기의 판독 동작을 거치게 되고, 바코드 인증을 통과한 경우 해당하는 의류 건조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 user undergoes a reading operation of the barcode reader provided to the clothes dryer 10 through the assigned barcode, and when the barcode authentication is passed, the user can use the clothes dryer.

또한 부여받은 바코드는 의류 건조기(10)를 사용중인 도중, 또는 의류 건조기의 건조 동작이 완료된 후, 건조 중인 의류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의류를 꺼내기 위해 사용자가 건조기의 문을 열 수 있도록 기능한다. 이는 다른 사용자가 의류 건조기(10)의 문을 열지 못하도록 하는 자물쇠 기능과 동일하다.Also, the assigned barcode functions to allow the user to open the door of the dryer to check the state of the clothes being dried or to take out the clothes while the clothes dryer 10 is in use or after the drying operation of the clothes dryer is completed. This is the same as a lock function preventing other users from opening the door of the clothes dryer 10 .

즉 의류 건조기(10)는 현재 건조기 내에 수용된 세탁물에 대해 세탁물의 소유자만이 접근할 수 있도록 동작함으로써 세탁물이 다른 사람에 의해 도난되거나 세탁물이 다른 사용자의 세탁물과 뒤섞이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That is, the clothes dryer 10 operates so that only the owner of the laundry can access the laundry stored in the dryer, thereby preventing the laundry from being stolen by another person or from being mixed with the laundry of other users.

바코드 판독 모듈(230)은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의류 건조기(10)의 상태 정보 또는 대기자 정보를 확인하고자 할때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건조기를 사용하고자 할때 몇명의 대기자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바코드 판독 모듈을 사용하여 해당하는 의류 건조기(10)에 부착된 바코드(또는 QR 코드)를 판독하고 나서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대기자 확인 버튼을 누르면, 의류 건조기(10)는 현재 건조기에 대해 사용 예약을 해둔 사용자의 대기열 및 예상 대기 시간을 사용자의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The barcode reading module 230 may be used when a user wants to check state information of the clothes dryer 10 or information on a waiting list. For example, the user can check how many people are waiting to use the dryer. When the user reads the barcode (or QR code) attached to the corresponding clothes dryer 10 using the barcode reading module provided by the application and presses the waitlist confirmation button provided by the application, the clothes dryer 10 is the current dryer. The queue and expected waiting time of users who have made a reservation for use are displayed on the user's screen.

사용자가 직접 바코드를 이용하여 대기자를 확인하는 것 이외에도 사용자는 원격으로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서버 통신 모듈(250)을 통해 서버에 접속하고 서버에 접속한 이후 서버에 기록된 대기자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의 대기열 및 예상 대기 시간을 확인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o the user directly checking the waitlist using the barcode, the user remotely connects to the server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module 250 provided by the application and checks the waitlist information recorded in the server after accessing the server. and expected waiting time.

도 3은 사용자가 서버에 접속한 후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대기열 및 예상 대기 시간을 확인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먼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에 접속한다. 서버에 접속한 후 사용자는 전용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건조기 사용 예약" 버튼을 클릭한다.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how to check the user's queue and expected waiting time from the server after the user accesses the server. As shown in FIG. 3, a user first accesses a server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user terminal. After accessing the server, the user clicks the "Reserve Use of Dryer" button provided in the dedicated application.

건조기 관리 서버(30)에서 사용자로부터 건조기 사용 요청을 수신하면 건조기 관리 서버는 사용자가 위치한 공간 내의 의류건조기 리스트(1~4)를 호출하고 호출된 건조기 리스트 마다 예약 사용자의 리스트를 작성하게 된다.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건조기 관리 서버(30)는 사용자의 GPS 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다.When the dryer management server 30 receives a request to use the dryer from the user, the dryer management server calls the list of clothes dryers 1 to 4 in the space where the user is located and creates a reservation user list for each dryer list called. In order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user, the dryer management server 30 may use GPS information of the user.

대기 사용자 또는 예약 사용자 리스트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자의 명단과 함께 예상 대기 시간이 함께 표시된다. 사용자는 대기자의 명단과 예상 대기 시간을 참조하여 자신이 건조하고자 하는 대상의 건조기를 선택하면, 건조기 관리 서버(30)는 건조하고자 하는 세탁물의 중량을 입력하도록 요청하고 사용자는 건조하고자 하는 세탁물의 중량을 입력하게 된다.As shown in the list of waiting users or reserved users, the expected waiting time is displayed along with a list of waiting people. When the user selects a dryer to be dried by referring to the waiting list and the expected waiting time, the dryer management server 30 requests input of the weight of the laundry to be dried, and the user inputs the weight of the laundry to be dried. will enter.

서버는 사용자가 입력한 세탁물 중량에 기반하여 자체 계산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건조 예상 시간을 계산하고, 사용자의 ID와 함께 예상 시간을 해당하는 의류 건조기의 대기자 리스트를 갱신하게 된다.The server calculates the expected drying time by applying its own calculation algorithm based on the weight of the laundry input by the user, and updates the waiting list of clothes dryers corresponding to the expected time together with the user's ID.

건조기 제어 모듈(240)은 건조기의 건조 설정을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건조기의 건조 온도와 건조 시간을 건조기 제어 모듈(240)을 통해 입력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당업자에게 자명하겠지만 이와 같은 건조 온도와 건조 시간은 사용자가 의류 건조기에 제공된 제어 버튼을 통해 입력할 수도 있다.The dryer control module 240 operates so that a user can directly input drying settings of the dryer. For example, the user may input the drying temperature and drying time of the dryer through the dryer control module 240 . A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drying temperature and drying time may be input by the user through a control button provided in the clothes dryer.

사용자가 건조기 제어 모듈(240)을 통해 건조기의 건조 온도와 건조 시간을 설정하지 않은 경우 의류 건조기(10)는 스마트 건조 모드에서 건조를 수행하게 된다. 스마트 건조 모드에 대해서는 의류 건조기(10)에 대한 부분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If the user does not set the drying temperature and drying time of the dryer through the dryer control module 240, the clothes dryer 10 performs drying in the smart drying mode. The smart drying mod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section on the clothes dryer 10 .

사용자는 서버 통신 모듈(250)을 통해 건조기 관리 서버(30)로부터 건조 중인 세탁물의 상태 정보를 더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건조상태 확인 모듈을 선택하면 서버 통신 모듈(250)은 건조를 수행중인 의류 건조기로부터 현재의 진행 상황, 예를 들면, 건조 진척율, 남은 시간, 현재 건조기내 온도, 현재 건조기내 습도와 같은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화면에 이를 표시하도록 기능한다.The user may further check status information of laundry being dried from the dryer management server 30 through the server communication module 250 .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drying state check module, the server communication module 250 transmits the current progress from the drying clothes dryer, for example, the drying progress rate, the remaining time, the current temperature in the dryer, and the current interior of the dryer. It functions to receive information such as humidity and display it on the user's screen.

도 4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IOT 기반의 스마트 의류 건조기(10)의 외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IOT 기반의 스마트 의류 건조기(10)는 종래의 드럼식 건조기와 다르게 스탠드 형태의 건조기로 제공된다.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xterior of the IOT-based smart clothes dryer 1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IOT-based smart clothes dryer 10 is provided as a stand-type dryer, unlike conventional drum-type dryers.

종래 드럼식 건조기의 경우 건조과정에서 의류가 드럼 안에서 회전할 때 발생하는 마찰과 낙차 등으로 의류에 물리력이 가해지며 구김 현상 및 옷감의 마모, 의류 수축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물이 행거에 의해 걸려지는 스탠드 형태의 건조기로 구성되었다.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drum dryer, physical force is applied to clothes due to friction and falls generated when clothes rotate in the drum during the drying process, and significantly affects wrinkles, abrasion of clothes, and shrinkage of clothes. As shown in Fig. 5, it is composed of a dryer in the form of a stand in which laundry is hung by a hanger.

다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건조기(10)의 전면부에는 사용자에게 현재 세탁물의 건조 상태(온도,습도,함수율) 및 사용자에게 건조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110); 사용자가 원하는 건조 온도, 건조 습도를 선택하여 동작하는 수동 모드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스마트 건조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기능하는 사용자 조작 패널(112); 사용자의 단말에 제공되는 사용자 식별 코드(예를 들면 바코드 및 QR 코드)를 판독하기 위한 식별코드 판독기(113), 사용자의 세탁물 정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114); 및 잠금장치가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손잡이(115)를 포함한다.Again, as shown in FIG. 4, the front part of the clothes dryer 10 includes a display module 110 for providing the user with the current drying state (temperature, humidity, moisture content) of the laundry and information related to drying to the user; a user control panel 112 that functions to allow a user to select a desired drying temperature and drying humidity in a manual mode or a smart drying mode provided b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dentification code reader 113 for reading user identification codes (for example, barcodes and QR codes) provided to the user's terminal, and a camera module 114 for photographing user's laundry information; and a user handle 115 including a locking device.

이와 같은 구성에서 사용자는 먼저 식별코드 판독기(113)에 사용자 단말(20)에 저장된 개인식별코드, 예를 들면 바코드를 인식시킨다. 식별코드 판독기(113)를 통해 판독된 식별정보는 서버로 전송되고, 서버에서는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허가된 사용자인지를 판단하고 이를 의류 건조기(10)에 전송하게 된다.In this configuration, the user first causes the identification code reader 113 to recognize a personal identification cod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20, for example, a barcod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ad through the identification code reader 113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and the server determines whether a user to use is an authorized user and transmits it to the clothes dryer 10 .

카메라 모듈(114) 모듈은 사용자가 세탁물을 스마트 건조 모드에서 이용하고자 할 때 동작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식별코드 인식을 통해 정당한 사용자라고 판단된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모듈(110) 상에 안내되는 정보에 따라 조작 패널(112) 상에서 수동 건조 모드와 스마트 건조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The camera module 114 module is operated when the user wants to use the laundry in the smart drying mode. For example, when the user is determined to be a legitimate user through identification code recognition, the user can select a manual drying mode and a smart drying mode on the operation panel 112 according to information provided on the display module 110 .

사용자가 스마트 건조 모드를 선택한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10)에는 먼저 세탁물에 제공된 섬유 성분 관련 태그를 카메라 모듈(114)를 이용하여 촬영할 것을 지시한다. 섬유 성분 태그를 촬영하고 난 뒤 디스플레이 모듈(110)에는 카메라 모듈(114)를 이용하여 직물의 구조를 촬영하도록 안내 정보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세탁하고자 하는 세탁물의 직물을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다.When the user selects the smart drying mode, the display module 110 first instructs the camera module 114 to take a picture of a tag related to a fiber component provided in the laundry. After the textile component tag is photographed, guid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module 110 to photograph the structure of the fabric using the camera module 114 . A user takes a picture of laundry fabric to be washed using a camera.

세탁물을 구성하는 섬유는 건조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고유의 친수기에 따라 섬유가 함유할 수 있는 수분율이 결정된다. 즉 섬유가 함유할 수 있는 수분의 양에 따라서 건조 시간이 달라지며 건조 메커니즘에 차이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면의 표준 수분율은 7%, 양모는 16%, 견은 9~11%, 비스코스 레이온은 12~14% 이고, 합성섬유의 경우, 나일론의 표준수분율은 약 3.5~5% 이고 폴리에스테르와 스판덱스의 표준수분율은 1% 미만으로 세탁 후 머금은 물의 양이 친수성 소재에 비해 현저히 적다. 본 발명에서는 의류 등에 부착되는 섬유 성분 태그를 촬영하고 문자 인식을 통해 세탁물의 섬유의 종류를 판별해 내도록 구성된다.The moisture content of the fibers constituting the laundry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herent hydrophilic group that affects the drying time. That is, the drying time varies depending on the amount of moisture that the fiber can contain, and the drying mechanism is different. In general, the standard moisture content of cotton is 7%, wool is 16%, silk is 9-11%, and viscose rayon is 12-14%. The standard moisture content of spandex is less than 1%, and the amount of water retained after washing is significantly less than that of hydrophilic materials. In the present invention, a fiber component tag attached to clothing is photographed and the type of fiber of the laundry is determined through character recognition.

의류소재는 섬유의 종류, 실의 직물 구조, 실의 두께, 꼬임 방법 등에 따라 건조시 수축도가 달라지게 된다. 특히 의류소재는 의복의 형태가 되어 사용될 때 치수 혹은 표면의 형태가 변하게 된다. 의류소재의 치수 변형의 종류에는 신장과 수축이 있으며 주로 일어나는 변형은 수축이다. Clothing materials have different shrinkage during drying depending on the type of fiber, the structure of the yarn, the thickness of the yarn, and the twisting method. In particular, the clothing material changes its size or surface shape when it is used in the form of clothing. Types of dimensional deformation of clothing materials include elongation and contraction, and the main deformation is shrinkage.

섬유는 섬유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원래의 길이로 돌아가려고 하는 탄성 신장이 일어나지만 그 힘이 커질수록 영구적인 변형이 발생한다. 이러한 신장 현상은 섬유의 탄성회복률, 탄성계수, 실의 굵기, 꼬임, 실의 밀도, 두께 등에 따라 달라지며, 실의 자유도가 높은 편성물이 직물에 비해 이러한 변형이 훨씬 쉽게 일어난다. 본 발명에서는 의류를 형성하는 섬유의 직물 구조를 촬영함으로써 직물 구조, 섬유의 굵기, 꼬임, 실의 밀도, 실의 두께와 같은 요소들을 이미지 분석을 통해 파악한다.Fibers undergo elastic elongation to return to their original length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fibers is removed, but permanent deformation occurs as the force increases. This elongation phenomenon varies depending on the elastic recovery rate of the fiber, the modulus of elasticity, the thickness of the yarn, the twist, the density of the yarn, the thickness, etc., and the deformation occurs much more easily in a knitted fabric having a higher degree of freedom than in a fabric. In the present invention, by photographing the fabric structure of fibers forming clothing, factors such as fabric structure, fiber thickness, twist, yarn density, and yarn thickness are identified through image analysis.

본 발명에서는 의류의 건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물리적 변형을 방지하도록 의류를 구성하는 섬유의 종류, 건조 온도, 건조 시간, 습도 등을 포함하는 요인을 고려하여 의류의 수축, 확대, 뒤틀림(Skewness), 구김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hrinkage, expansion, skewness, and wrinkles of clothes are considered in consideration of factors including the type of fibers constituting the clothes, drying temperature, drying time, humidity, etc. to prevent physical deformation occurring during the drying process of the clothes. It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back.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모듈(110)에서 제공되는 안내 정보에 따라 카메라 모듈(114)를 통해 의류의 섬유 성분 태그 및 직물 구조를 촬영하고 난 후 사용자는 의류는 건조기 내부의 행거에 걸게 된다.After the user photographs the textile component tag and fabric structure of the clothes through the camera module 114 according to the guidanc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display module 110, the user hangs the clothes on a hanger inside the dryer.

손잡이(115)는 내부에는 잠금장치(1151)가 제공되고 잠금장치에 의해 건조기의 도어는 건조기의 본체에 잠궈진다. 손잡이에 제공된 잠금장치는 사용자 매칭부(151)에 의해 잠금/해제될 수 있다. A locking device 1151 is provided inside the handle 115, and the door of the dryer is locked to the main body of the dryer by the locking device. The locking device provided on the handle may be locked/unlocked by the user matching unit 151.

도 5는 건조기 도어(101)를 개방한 상태의 의류 건조기(1)의 내부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건조기(1)의 내부에는 온도 센서(1181), 습도 센서(1182), 중량 센서(1183), 액적 센서(1184)을 포함한다.5 is a view showing an internal shape of the clothes dryer 1 in a state in which the dryer door 101 is opened. As shown in FIG. 5 , the clothes dryer 1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1181 , a humidity sensor 1182 , a weight sensor 1183 , and a droplet sensor 1184 .

온도 센서(1181)는 건조기 내부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제공되고 습도 센서(1182)는 건조기 내부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제공된다. 건조기의 제어부(150)는 온도 센서(1181) 및 습도 센서(1182)로부터 온도값과 습도값을 판독하여 건조기의 히터와 블로워, 그리고 진동모터(130)의 세기를 조절하게 된다.The temperature sensor 1181 is provid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inner space of the dryer and the humidity sensor 1182 is provid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inner space of the dryer. The controller 150 of the dryer read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values from the temperature sensor 1181 and the humidity sensor 1182 to adjust the strength of the heater, blower, and vibration motor 130 of the dryer.

건조기의 내부 공간에는 세탁물을 걸기 위한 행거(1301)가 제공되고 행거의 일축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모터(130)에 연결된다. 또한 행거(1301)와 모터조립체(130)는 그 하부에 제공된 중량센서(1183)에 의해 동시에 지지되어 행거(1301)에 세탁물이 걸리는 경우 세탁물의 중량을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건조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수분이 증발됨에 따라 세탁물의 중량은 점차 변화되고 제어부는 세탁물의 중량 변화, 카메라 모듈을 통해 파악된 섬유의 함수율, 건조기내 습도 변화를 통해 건조 종료 시간을 예측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A hanger 1301 for hanging laundry i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ryer, and one shaft of the hanger is connected to the vibration motor 130 as shown. In addition, the hanger 1301 and the motor assembly 130 are simultaneously supported by a weight sensor 1183 provided below the hanger 1301 to measure the weight of laundry when laundry is caught on the hanger 1301. As moisture evaporates during the drying process, the weight of the laundry gradually changes, and the control unit can predict the drying end time through the change in the weight of the laundry, the moisture content of the fabric detected through the camera module, and the change in humidity in the dryer. .

행거(1301)는 의류를 건조기 내부에 수용하는 지지대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진동모터(130)에 연결되어 건조 도중 지속적으로 진동 운동을 수행하고 행거의 진동은 행거에 걸려진 의류에 전달되어 건조 과정에서 의류에 포함된 수분은 진동력과 중력에 의해 하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The hanger 1301 functions as a support for accommodating clothes inside the dryer, and is connected to the vibration motor 130 to continuously vibrate during drying, and the vibration of the hanger is transmitted to the clothes hung on the hanger during the drying process. Moisture contained in the clothes moves to the lower side by vibration force and gravity.

수분을 많이 포함한 의류의 경우 뜨거운 공기에 의해 증발되지 않은 수분은 의류 건조기의 하부로 물방울 형태로 낙하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건조기의 하부에 이와 같은 물방울을 수용하기 위한 배수통(140)이 제공되고 배수통의 일측에는 외부로 연결되는 배수로(141)가 연결되어 있으며, 배수통의 하부에는 액적 센서(1184)가 설치된다. 의류로부터 낙하된 물방울 또는 수분은 액적 센서(1184)에서 먼저 감지된 후 배수로를 통해 배출되어, 건조 과정에서 배수통(140)에 수용된 물이 증기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불필요한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한다. 액적 센서로부터 감지된 물방울의 량은 의류에 가해지는 풍량의 위치와 속도를 결정하는데 이용된다.In the case of clothes containing a lot of moisture, the moisture that is not evaporated by the hot air falls to the lower part of the clothes dryer in the form of water droplets. In the present invention, a drain 140 for accommodating such water droplets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dryer, and a drain 141 connected to the outsid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drain, and a droplet sensor 1184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drain. is installed Water droplets or moisture falling from the clothes are first sensed by the droplet sensor 1184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revent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drain container 140 from being vaporized during the drying process,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waste of energy. The amount of water droplets sensed by the droplet sensor is used to determine the location and speed of the air volume applied to the clothing.

행거(1301)는 고온의 열기를 견디기 위한 내열성 소재, 예를 들면 실리콘 소재, 또는 실리콘 소재로 몰딩된 금속재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130)에 의해 의류에 전달되는 진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의류에 포함된 물기를 의류의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진동을 수행하는 한편 이와 같은 진동 운동은 의류의 구겨짐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준다.The hanger 1301 may use a heat-resistant material for enduring high-temperature heat, for example, a silicon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molded with a silicon material. In addition,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clothes by the vibration motor 130 performs the vibration to move the water contained in the clothes to the lower side of the clothes as described above, and this vibration movement helps to prevent the clothes from being wrinkled.

도 6은 의류 건조기(10)의 측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 건조기(10)는 하부측에 공기 흡입구(191)가 제공되고 상부측에 공기 배기구(192)가 제공된다. 건조기 공기 흡입구(19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히터 수단(150)에 의해 가열되고 가열된 고온 공기는 건조기의 후측에 형성된 공기 통로(193)를 통해 이동하게 된다. 공기 통로에 유입된 뜨거운 공기는 공기 통로에 형성된 블로워 또는 송풍수단(162)에 의해 건조기의 내부로 공급되고, 건조기 내부에 들어간 고온 건조의 공기가 세탁물을 가열하게 되고 세탁물에서 발생되는 증기(습기)를 포함하는 공기가 배기팬(164)의 작용에 의해 배기구(19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6 is a side view of the clothes dryer 10 . As shown in FIG. 6 , the clothes dryer 10 has an air inlet 191 provided at the lower side and an air outlet 192 provided at the upper side.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dryer air inlet 191 is heated by the heater means 150, and the heated high-temperature air moves through the air passage 193 formed at the rear of the dryer. The hot air introduced into the air passage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dryer by a blower or blowing means 162 formed in the air passage, and the high-temperature drying air entering the inside of the dryer heats the laundry and generates steam (moisture) generated from the laundry. The air containing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ort 192 by the action of the exhaust fan 164.

송풍 수단(162)은 건조기 내부에 복수의 개소에 제공된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 수단(162: 1621, 1622,1623)는 건조기의 높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3곳에 형성된다. Blowing means 162 are provided in a plurality of places inside the dryer.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blowing means (162: 1621, 1622, 1623) are formed in at least three places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dryer.

복수의 송풍 수단(162)은 건조기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되어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세탁물의 하부에 액적 센서(1184)가 제공되고 액적 센서에 의해 세탁물로부터 떨어지는 물방울의 량이 계산된다. 예를 들면, 건조 동작이 시작된 초기 건조 동작시에는 액적 센서(184)에서 감지되는 물방울의 낙하 횟수가 많다. 따라서 복수의 송풍 수단(162: 1621, 1622,1623)에서 모두 송풍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진동 모터에 의한 진동이 시작되었다고 하더라도 건조 초기에는 의류내 수용된 물기가 의류의 전반에 걸쳐 고르게 유지되고 있기 때문이다.The plurality of blowing means 162 are controlled by the dryer control unit 150 and configured to be individually controllab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oplet sensor 1184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laundry, and the amount of water droplets falling from the laundry is calculated by the droplet sensor. For example, during the initial drying operation when the drying operation starts, the number of drops of water droplets sensed by the droplet sensor 184 is large. Accordingly, all of the plurality of blowing units 162 (1621, 1622, and 1623)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 blowing operation. This is because even if the vibration by the vibration motor starts,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clothes is maintained evenly throughout the clothes in the initial drying period.

그러나 중간 건조 과정에서는 액적 센서(1184)로부터 감지되는 액적의 감지 횟수가 줄어들게 되는데 이는 의류내 함유된 수분이 감소하여 진동에 의해 점차적으로 하부로 스며드는 수분의 량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복수의 송풍 수단(162: 1621, 1622,1623) 중 중간 높이의 송풍 수단(1622)와 가장 하측에 위치된 송풍 수단(1621) 만이 송풍을 수행하고 상측의 송풍 수단(1623)은 송풍 동작을 수행하지 않거나 다른 송풍 수단들에 비해 송풍의 세기를 약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However, during the intermediate drying process, the number of detections of droplets detected by the droplet sensor 1184 is reduced because the amount of moisture contained in the clothes decreases and the amount of moisture gradually permeated to the bottom by vibration decreases. In this case, among the plurality of blowing means (162: 1621, 1622, 1623), only the blowing means (1622) at the middle height and the blowing means (1621) located at the lowest position perform air blowing, and the blowing means (1623) at the upper side performs the blowing operation. may not be performed or the intensity of blowing may be operated weakly compared to other blowing means.

건조 동작의 끝부분에서는 액적 센서(1184)로부터의 감지되는 액적의 감지횟수는 더 줄어들게 되거나 감지되지 않게 된다. 이 때 의류내 함유된 수분은 진동에 의해 대부분 하측에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가장 하측에 위치된 송풍 수단(1621) 만이 송풍 동작을 수행하고, 다른 송풍 수단(1622,1623)은 송풍 동작을 정지하거나 상대적으로 작은 세기로 약하게 동작할 수 있다.At the end of the drying operation, the number of detected droplets from the droplet sensor 1184 is reduced or not detected. At this time, most of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clothes exists on the lower side due to vibration. Accordingly, in this case, only the blowing unit 1621 located at the lowermost side performs the blowing operation, and the other blowing units 1622 and 1623 may stop the blowing operation or operate weakly with relatively small intensity.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10)의 제어부(15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제어부에 의한 건조기의 동작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제어부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 이하에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잠금 장치를 해제/잠금하기 위한 사용자 매칭부(151); 식별코드 판독기(152)로부터의 판독된 식별 코드를 통해 사용자가 허가된 사용자 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확인부(152); 건조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대기 리스트를 작성하고 저장하는 대기자 작성부(153); 외부의 센서들, 예를 들면 중량센서(117), 카메라 모듈(114), 조작 패널(112)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건조 조건 수신부(154); 수신된 건조 조건에 따라 스마트 건조를 제어하는 스마트 건조 제어부(155); 스마트 건조 제어부(155)의 제어하에 히터/모터/블로워(송풍팬,배기팬)을 구동하기 위한 히터/모터/블로워 구동부(156); 내부의 온도 센서(1181,1182)에 따라 건조 상태를 감시하는 건조 상태 감시부(157)를 포함한다.FIG.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150 of the clothes dry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flow of the dryer by the control unit.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 As shown, the control unit 150 includes a user matching unit 151 for unlocking/locking the locking device; a user identification unit 152 for verifying whether the user is an authorized user through the identification code read from the identification code reader 152; a waiting list creation unit 153 for creating and storing a waiting list of users who want to use the dryer; a drying condition receiver 154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external sensors, for example, the weight sensor 117, the camera module 114, and the control panel 112; a smart drying controller 155 that controls smart drying according to the received drying conditions; a heater/motor/blower driving unit 156 for driving a heater/motor/blower (blowing fan, exhaust fan) under the control of the smart drying controller 155; A drying state monitoring unit 157 monitoring the drying state according to internal temperature sensors 1181 and 1182 is included.

건조기가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먼저 사용자 확인부(152)는 식별코드 판독기(113)으로부터 판독된 식별코드를 통신 모듈(158)을 통해 건조기 관리 서버(30)에 전송하고 건조기 관리 서버(30)로부터 식별코드의 진위를 확인한다. 식별코드가 정상적인 사용자인 것으로 판정되면 사용자 확인부(152)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동작 대기 상태로 진행된다.With the dryer configured in this way,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152 first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code read from the identification code reader 113 to the dryer management server 3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58, and the dryer management server 30 Confirm the authenticity of the identification code from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identification code is a normal user, the user confirmation unit 152 proceeds to an operation standby state for receiving the user's input.

만일 의류 건조기(10)가 사용중인 상태인 경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현재 대기중인 사용자의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대기 예약을 진행할 것인지를 표시한다. 사용자가 대기 예약을 진행하는 경우 제어부는 대기자 작성부(153)를 통해 대기자 명단에 사용자의 식별코드(또는 아이디)를 추가하여 업데이트 하고 업데이트된 대기자 명단(대기자 리스트)을 건조기 관리 서버(20)에 전송하게 된다.If the clothes dryer 10 is in use, the control unit provides a list of currently waiting users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module and indicates whether or not to proceed with standby reservation. When a user makes a standby reservation, the control unit adds and updates the identification code (or ID) of the user to the waiting list through the waiting list preparation unit 153, and sends the updated waiting list (waiting list) to the dryer management server 20. will be sent

건조 조건 수신부(154)는 사용자가 조작 패널을 통해 수동 건조 모드를 선택했는지 또는 스마트 건조 모드를 선택했는지를 수신한다. 사용자가 수동 건조 모드를 선택한 경우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에 건조 온도 및 건조 시간을 입력할 것을 표시하지만 사용자가 스마트 건조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카메라 모듈(114)를 이용하여 의류 태그 정보 및 의류 섬유 조직을 촬영할 것을 지시하고 촬영된 태그 사진과 의류 섬유 조직을 스마트 건조 제어부(155)로 전송하게 된다.The drying condition receiving unit 154 receives whether the user selects a manual drying mode or a smart drying mode through the operation panel. If the user selects the manual drying mode,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input of the drying temperature and drying time on the display module, but if the user selects the smart drying mode, the camera module 114 provides the user with clothing tag information and clothing fiber information. It instructs to photograph the tissue, and transmits the photographed tag photo and clothing fiber tissue to the smart drying control unit 155.

스마트 건조 제어부(155)는 촬영된 태그 정보에 대해 문자 인식을 수행하여 세탁물 의류의 섬유 성분을 추출하고, 또한 섬유 조직 사진에 대해 이미지 분석을 통해 의류의 직물 구조(편직 구조), 섬유의 굵기, 꼬임, 실의 밀도, 실의 두께 등을 판별하게 된다.The smart drying control unit 155 performs text recognition on the photographed tag information to extract the fiber components of the laundry clothes, and also analyzes the image of the textile structure photos to determine the fabric structure (knitting structure) of the clothes, the thickness of the fibers, Twist, yarn density, and yarn thickness are determined.

이후 스마트 건조 제어부(155)는 분석된 정보, 섬유 성분, 직물 구조(편직 구조), 섬유의 굵기, 꼬임, 실의 밀도, 실의 두께를 포함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시간대별 건조기 내부 온도 및 건조기 내부 습도에 대한 프로파일을 작성하는 동시에, 해당하는 프로파일에 맞게 히터, 블로워(송풍팬, 배출팬), 진동모터 구동부를 구동시킴으로써, 건조하고자 하는 세탁물의 구성에 적합하게 내부 온도 및 습도를 변경하는 동시에, 모터 진동수, 송풍팬 및 배기팬 속도, 히터의 온도 등을 제어하게 된다. Thereafter, the smart drying control unit 155 uses information including the analyzed information, fiber components, fabric structure (knitting structure), fiber thickness, twist, yarn density, and yarn thickness to determin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dryer and the interior of the dryer for each time period. At the same time as creating a profile for humidity, the internal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changed to suit the configuration of the laundry to be dried by driving the heater, blower (blowing fan, discharge fan), and vibration motor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profile. It controls the frequency of the motor, the speed of the blowing fan and the exhaust fan, and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건조 상태 감시부(157)은 온도 및 습도 센서(1181,1182)로부터 취득되는 온도 데이터와 습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세탁물의 건조 완료 예상 시간을 계산하고, 세탁물의 현재 건조 상태를 감시하도록 구성되고, 완료 예상 시간 10분 전에 스마트 건조 제어부(155)에 이를 통보(건조 예상 통보)한다.The drying state monitoring unit 157 is configured to calculate an estimated drying completion time of the laundry using the temperature data and humidity data acquired from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s 1181 and 1182 and monitor the current drying state of the laundry, and complete the drying process. 10 minutes prior to the expected time, the smart drying control unit 155 is notified (drying expected notification).

스마트 건조 제어부(155)는 건조 상태 감시부(157)로부터 건조 예상 통보를 수신하면 이를 관리 서버(30)에 통보하고, 관리 서버는 현재 세탁물 건조기의 사용자와 다음번 건조기 대기자에게 종료 10분임을 통보하게 된다.The smart drying control unit 155 notifies the management server 30 of receiving the drying forecast notification from the drying state monitoring unit 157, and the management server notifies the users of the current laundry dryer and those waiting for the next dryer that 10 minutes have passed. do.

현재 세탁물의 사용자는 건조 예상 통보를 수신하고 나서 건조가 완료되면 해당하는 의류 건조기에서 건조된 세탁물을 꺼내야만 한다. 건조기로부터 건조된 세탁물을 꺼내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에 저장된 식별코드를 식별코드 판독기에 스캔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사용자가 식별코드를 스캔하고 나면 제어부(150)의 사용자 매칭부(151)는 스캔된 식별코드가 세탁물 건조 시작 동작에서 스캔된 식별코드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고 이전 스캔된 식별코드와 동일한 경우 잠금 장치(1151)의 잠금을 해제시킨다.Currently, a laundry user must take out dried laundry from a corresponding clothes dryer when drying is completed after receiving a drying prediction notification. In order to take out the dried laundry from the dryer, the user must go through a process of scanning the identification cod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20 with an identification code reader. After the user scans the identification code, the user matching unit 151 of the control unit 150 checks whether the scanned identification code matches the identification code scanned in the laundry drying start operation, and if it is the same as the previously scanned identification code, the lock device ( 1151) is unlocked.

건조가 완료된 후, 만일 세탁물의 사용자가 건조된 세탁물을 꺼내지 않고 일정 시간(예를 들면, 5분)이 경과된 경우 제어부(150)는 건조기 관리 서버(20)에 이를 통보하고 건조기 관리 서버(20)는 해당하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에 추후 5분이 더 경과된 시점부터 추가 과금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건조기 사용 제한이 되는 패널티 정보를 해당하는 사용자에게 통보하게 된다.After drying is completed, if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5 minutes) has elapsed without the user taking out the dried laundry, the controller 150 notifies the dryer management server 20 of this, and the dryer management server 20 ) notifies the applicable user of penalty information that results in additional charges or restrictions on the use of the dryer from the time when the application of the corresponding user has elapsed more than 5 minutes later.

한편, 건조가 완료된 후, 세탁물의 사용자가 건조된 세탁물을 모두 꺼내고 난 후 일정 시간 동안(예를 들면, 5분) 다음번 사용자로부터 바코드 입력이 없는 경우 건조기의 제어부(150)는 건조기 관리 서버(20)에 이를 통보하고 건조기 관리 서버(20)는 다음번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에 추후 5분이 더 경과될 경우 사용자 대기 목록로부터 삭제됨을 통보한다. 대기 목록에서 삭제된 경우 건조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다시 대기 예약을 수행해야만 한다.Meanwhile, after drying is completed, if there is no barcode input from the next us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g, 5 minutes) after the laundry user takes out all the dried laundry, the controller 150 of the dryer controls the dryer management server 20 ), and the dryer management server 20 notifies the next user's application that it will be deleted from the user waiting list if 5 more minutes pass. If the dryer is deleted from the standby list, the user must make a standby reservation again in order to use the dryer.

또한 건조가 완료된 후, 세탁물의 사용자가 건조된 세탁물을 모두 꺼내고 난 후 대기자 목록에서 최우선 순위가 아닌 대기자가 건조기를 이용하기 위해 식별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제어부(150)의 사용자 매칭부는 스캔 입력된 식별코드를 대기열의 최우선 순위의 식별코드와 비교를 수행하고 비교결과 불일치가 발생되고, 제어부(150)는 의류 건조기를 동작시키지 않기 때문에 건조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Also, after drying is completed, when a laundry user takes out all the dried laundry and a non-top priority waiter scans an identification code to use the dryer in the waiting list, the user matching unit of the control unit 150 scans and inputs The identification code is compared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highest priority in the queue, and a discrepancy occurs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and since the controller 150 does not operate the clothes dryer, a drying operation is not performed.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IoT 기반 의류 건조기에 따르면, 건조 대상 직물의 성분, 직물 밀도, 편직 구조, 꼬임, 실의 두께와 같은 섬유 정보를 이용하여 건조 대상에 최적화된 건조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그에 따라 건조를 수행함으로써 최적화된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IoT-based clothes dryer, a drying profile optimized for a drying target is determined using fiber information such as components, fabric density, knitting structure, twist, and yarn thickness of the fabric to be dried. Optimized drying can be carried out by generating and drying according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여러 사용자가 함께 이용하는 병원, 군대, 기숙사와 같은 장소에서 사용자들의 세탁물이 뒤섞이거나 분실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열과 마찰로 인한 세탁물의 수축, 변형과 같은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washing laundry of users being mixed or lost in places such as hospitals, military units, and dormitories shared by many users. Problems such as shrinkage and deformation can be minimized.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method describe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method described, or other components may be used. Or even if it is replac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 스마트 의류 건조기 20: 사용자 단말
30: 건조기 관리 서버 110: 디스플레이 모듈
112: 조작 패널 113: 식별코드 판독기
114: 카메라 모듈 115: 손잡이
10: smart clothes dryer 20: user terminal
30: dryer management server 110: display module
112: operation panel 113: identification code reader
114: camera module 115: handle

Claims (5)

IoT 기반 스마트 의류 건조기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세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한 의류 건조기;
의류 건조기를 원격지에서 관리하기 위한 건조기 관리 서버; 및
건조기 서버 및 의류 건조기와 통신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의류 건조기는,
사용자에게 현재 세탁물의 건조 상태 및 건조 동작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
사용자부터 원하는 건조 온도 및 건조 시간을 입력받고, 또한 의류 건조기를 수동 건조 모드 또는 스마트 건조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기능하는 사용자 조작 패널;
사용자의 단말에 제공되는 사용자 식별 코드를 판독하기 위한 식별코드 판독기;
사용자의 세탁물 정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의류 건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의류 건조기는 건조기의 내부 상부에 의류가 걸려지는 행거를 포함하고, 의류 건조기는 건조기의 내부의 현재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 건조기 내부의 현재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습도 센서; 및 상기 행거를 진동 운동 시키기 위한 진동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스마트 의류 건조기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시스템.
In a clothes dryer system including an IoT-based smart clothes dryer,
a clothes dryer for drying user laundry;
a dryer management server for remotely managing a clothes dryer; and
Including a user terminal for communicating with the dryer server and the clothes dryer,
The clothes dryer,
a display module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a current drying state of laundry and a drying operation to a user;
a user control panel that receives desired drying temperature and drying time from a user and operates the clothes dryer in a manual drying mode or a smart drying mode;
an identification code reader for reading a user identification code provided to a user's terminal;
a camera module for photographing user's laundry information;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clothes dryer; including,
The clothes dryer includes a hanger on which clothes are hung on an upper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dryer, and the clothes dryer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a current temperature inside the dryer; Humidity sensor for measuring the current humidity inside the dryer;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vibration motor for vibrating the hanger
A clothes dryer system including an IoT-based smart clothes dr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작 패널로부터 스마트 건조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의류 건조기의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의류에 부착된 섬유 정보 태그로부터 의류의 섬유 정보를 추출하는 동작;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의류의 섬유 조직 정보를 추출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스마트 의류 건조기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smart drying mode is selected from the user operation panel, the control unit of the clothes dryer,
extracting textile information of the clothing from a textile information tag attached to the clothing through the camera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perform an operation of extracting textile tissue information of clothing through the camera module
A clothes dryer system including an IoT-based smart clothes dry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의류의 섬유 성분 정보 및 의류의 섬유 조직 정보에 기반하여 건조 시간에 따른 상이한 건조 온도 정보와 습도 정보를 포함하는 건조 프로파일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스마트 의류 건조기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creates a drying profile including different drying temperature information and humidity information according to drying time based on the fiber component information of the clothing and the fiber structure information of the clothing.
A clothes dryer system including an IoT-based smart clothes dry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조직 정보는, 건조 대상 직물의 성분, 직물 밀도, 편직 구조, 꼬임, 실의 두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스마트 의류 건조기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3,
Characterized in that the fiber structure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omposition of the fabric to be dried, fabric density, knitting structure, twist, and yarn thickness
A clothes dryer system including an IoT-based smart clothes dr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식별코드 판독기로부터 판독된 사용자의 식별코드를 건조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식별된 사용자가 건조기 관리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인 경우에만 의류 건조기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반 스마트 의류 건조기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user read by the identification code reader to the dryer management server, and to operate the clothes dryer only when the identified user is a user registered in the dryer management server.
A clothes dryer system including an IoT-based smart clothes dryer.
KR1020210114674A 2021-08-30 2021-08-30 IoT-BASED SMART CLOTHES DRYER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6286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674A KR102628670B1 (en) 2021-08-30 2021-08-30 IoT-BASED SMART CLOTHES DRYER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674A KR102628670B1 (en) 2021-08-30 2021-08-30 IoT-BASED SMART CLOTHES DRYER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164A true KR20230032164A (en) 2023-03-07
KR102628670B1 KR102628670B1 (en) 2024-01-25

Family

ID=85512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674A KR102628670B1 (en) 2021-08-30 2021-08-30 IoT-BASED SMART CLOTHES DRYER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8670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9260A (en) 2004-06-16 2005-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Clothes drying apparatus
KR20090112185A (en) 2008-04-23 2009-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es dryer
KR20190104949A (en) * 2019-08-01 2019-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Artificial Intelligent Based Clothes Handling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KR20200019523A (en) * 2018-08-14 2020-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200095724A (en) * 2019-02-01 2020-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Landau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on-line system contain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9260A (en) 2004-06-16 2005-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Clothes drying apparatus
KR20090112185A (en) 2008-04-23 2009-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es dryer
KR20200019523A (en) * 2018-08-14 2020-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200095724A (en) * 2019-02-01 2020-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Landau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on-line system containing the same
KR20190104949A (en) * 2019-08-01 2019-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Artificial Intelligent Based Clothes Handling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8670B1 (en) 2024-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69780A1 (en) Personalized laundry appliance
KR102019132B1 (en) Artificial intelligence laundry treating machine
CN107460708A (en) Device for clothing processing
US8250776B2 (en) Method of managing operation of laundry room machine and dryer therefor
KR102506531B1 (en) Fabric treating apparatus
US8443527B2 (en) Fabric temperature estimation for a laundry dryer
US20070144031A1 (en) Condensing type dry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9285167B2 (en) Clothes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20022362A (en) Clothing management system and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CN104426729B (en) The remote operating system of home appliance
KR20190099569A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7974797A (en) A kind of furnace drying method of washing-drying integral machine
US20120023681A1 (en) Laundry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9208287A (en) Operate the method and garment drying apparatus of garment drying apparatus
CN110904616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washing machine
KR102628670B1 (en) IoT-BASED SMART CLOTHES DRYER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JP2010085016A (en) Building
KR101598785B1 (en) Fabric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ITTO20101070A1 (en) PROCEDURE AND MACHINE FOR THE LINEN DRYING
JP2024015209A (en) laundry equipment control system
CN101400845A (en) Control method of dryer
CN111748992A (en) Clothes treatment device and combined washing and drying machine
CN114263031B (en) Clothes drying control method and clothes treatment equipment
JP2021094465A (en) Washing service system of coin laundry
WO2020241406A1 (en) Processing devic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