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2124A - Reserve battery - Google Patents
Reserve batter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32124A KR20230032124A KR1020210114564A KR20210114564A KR20230032124A KR 20230032124 A KR20230032124 A KR 20230032124A KR 1020210114564 A KR1020210114564 A KR 1020210114564A KR 20210114564 A KR20210114564 A KR 20210114564A KR 20230032124 A KR20230032124 A KR 202300321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mpoule
- housing
- electrolyte
- case
- cas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3708 ampu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04 f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60 trigge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30—Deferred-action cells
- H01M6/36—Deferred-action cells containing electrolyte and made operational by physical means, e.g. thermal ce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앰플형 비축전지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해액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지의 활성화를 빠르게 이룰 수 있는 앰플형 비축전지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mpoule-type storage batt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mpoule-type storage battery capable of prolonging life by preventing leakage of electrolyte solution and rapidly achieving battery activation.
비축전지는 자연방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시간이 경과하면 전지기능을 상실하는 일차전지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해액 및 전극부를 서로 격리시켜 비활성화 상태로 보관하되 사용시 전해액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자연방전을 억제하여 전지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Reserve batteries are intended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primary batteries that lose their battery function over time due to continuous natural discharge. It has the advantage of extending the life of the battery.
도 4는 종래의 비축전지의 개념도이다. 종래의 비축전지는 전해액이 보관된 외장부(110)와, 기판(120)과, 전해액을 흡수하여 기판(120)에 전달하는 흡수판(130)과, 전해액을 누설하기 위하여 외장부(110)를 파괴하는 격발핀(140)으로 구성된다. 전지 사용시 격발핀(140)이 외장부(110)를 타격하며 이 경우, 외장부(110)에 수용된 전해액이 흡수판(130)으로 누설되어 기판(120)으로 전달된다.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ventional reserve battery. A conventional storage battery includes an
종래의 비축전지는 격발핀(140)과 흡수판(130) 사이에 틈(X)이 있었다. 그래서 격발핀(140)이 외장부(110)를 타격하여 전해액이 누설되더라도 격발핀(140)과 흡수판(130) 사이의 틈(X)으로 인하여 전해액이 흡수판(130)으로 바로 흡수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conventional storage battery, there is a gap (X) between th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장부가 격발될 경우, 전해액이 흡수판으로 신속하게 흡수될 수 있는 비축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serve battery in which an electrolyte solution can be quickly absorbed into an absorber plate when an exterior part is triggered.
또한, 본 발명은 전해액이 장기간 보관되더라도 누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비축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serve battery capable of preventing electrolyte solution from leaking even when stored for a long period of time.
본 발명에 따른 앰플형 비축전지는 하우징과, 전극부와, 흡수부와, 앰플수단과,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부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상단에 배치된 캐소드 및 애노드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하측에 장착된다. 상기 흡수부는 상기 전극부의 상단에 배치된다. 상기 앰플수단은 앰플케이싱과 전해액과 누액방지액과 분리막을 구비한다. 상기 앰플케이싱은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고 낙하하면 상기 흡수부와 충돌하여 상기 수용부가 개방될 수 있게 하부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된다. 상기 전해액은 상기 수용부가 개방되면 상기 흡수부가 상기 전극부로 전달할 수 있게 흡수하도록 상기 흡수부로 누설될 수 있게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수용된다. 상기 누액방지액은 상기 전해액이 상기 수용부의 상부를 통하여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해액과 섞이지 않고 상분리되는 오일로 되어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수용된다. 상기 분리막은 상기 전해액과 상기 누액방지액을 분리시키도록 상기 수용부에 장착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에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앰플수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낙하할 수 있게 상기 앰플케이싱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상측에 고정시킨다. An ampoule-type reserve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an electrode part, an absorption part, an ampoule means, and a fixing part. The electrode unit includes a substrate, a cathode and an anode disposed on top of the substrate, and is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The absorption part is disposed on top of the electrode part. The ampoule means includes an ampoule casing, an electrolyte, an anti-leak solution, and a separation membrane. The ampoule casing has an accommodating part formed therein, and when it falls, a protrusion is formed at the bottom so that the ampoule casing collides with the absorbing part and opens the accommodating part, and is mounted inside the housing. The electrolyte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so as to leak into the absorbing portion so that the absorbing portion can be transferred to the electrode portion when the accommodating portion is opened. The anti-leakage liquid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accommodating part in order to prevent the electrolyte from leaking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art as an oil phase-separated without being mixed with the electrolyte. The separation membrane is mounted on the accommodating portion to separate the electrolyte solution and the leak-prevention solution. The fixing part fixes the ampoule casing to the upper sid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so that the ampoule means can fall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housing.
또한, 상기의 앰플형 비축전지에 있어서, 상기 앰플케이싱은 낙하하여 상기 돌출부가 상기 흡수부와 충돌하면 상기 수용부가 개방되기 위하여 상기 돌출부가 절개되어 상기 수용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의 둘레를 따라 하부면에서 일정깊이 함몰된 컷팅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ampoule-type reserve battery, the ampoule casing fal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rotrusion so that the protrusion can be cut and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portion to open the accommodating portion when the protrusion collides with the absorption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a cutting groove recessed to a certain depth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또한, 상기의 앰플형 비축전지에 있어서, 상기 앰플케이싱은 제1케이스와 마개와 제2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케이스는 상기 상부가 개방된 수용부와 상기 돌출부와 상기 컷팅홈이 형성된다. 상기 마개는 개방된 상기 수용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제1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된다. 상기 제2케이스는 상단이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며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제1케이스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In addition, in the ampoule-type reserve battery, the ampoule casing preferably includes a first case, a stopper, and a second case. In the first case, the receiving portion with the upper portion open,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cutting groove are formed. The stopper is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case to close the open receiving porti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ase is coupled to the fixing part and the lower portion is opened so that the first case is inserted and coupled thereto.
본 발명에 의하면, 앰플케이싱은 수용부와, 돌출부와, 컷팅홈이 형성되고, 흡수부는 캐소드 및 애노드를 모두 덮을 수 있게 전극부의 상단에 배치된다. 이 경우, 앰플케이싱이 낙하하여 돌출부가 흡수부와 충돌하면 컷팅홈에 의해 돌출부의 둘레를 따라 하부면이 절개되어 돌출부는 수용부로 삽입되고, 전해액은 돌출부로 가압되어 수용부에서 빠르게 분출되어 흡수부에 누설된다. 그래서 전지의 활성화를 빠르게 이룰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mpoule casing is formed with a receiving portion, a protruding portion, and a cutting groove, and the absorption portion is disposed on top of the electrode portion to cover both the cathode and the anode. In this case, when the ampoule casing falls and the protruding part collides with the absorption part, the lower surface is cu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rotruding part by the cutting groove, and the protrud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art, and the electrolyte is pressurized into the protruding part and quickly ejected from the receiving part, leaked into Thus, activation of the battery can be achieved quickly.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해액은 앰플케이싱의 하부에 수용되고 누액방지액은 앰플케이싱의 상부에 수용된다. 누액방지액은 전해액과 섞이지 않고 상분리되는 오일로 이루어지므로 전해액이 앰플케이싱의 상부를 통하여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래서 비축전지를 장시간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lyte solution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ampoule casing and the leak-preventing liquid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ampoule casing. Since the anti-leakage liquid is composed of oil phase-separated without being mixed with the electrolyt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ectrolyte from leaking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ampoule casing. Therefore, the reserve battery can be stored and used for a long ti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앰플형 비축전지의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앰플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4의 (a),(b)는 종래의 비축전지의 개념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mpule-type reserve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mpoule means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4(a) and (b) are conceptual diagrams of a conventional storage battery.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앰플형 비축전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An embodiment of an ampoule-type reserve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
본 발명에 따른 앰플형 비축전지는 하우징(10)과, 전극부(20)와, 흡수부(30)와, 앰플수단(40)과, 고정부(60) 및 실링부(70)를 포함한다. The ampoule-type reserve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하우징(10)은 내부에 전극부(20)와, 흡수부(30)와, 앰플수단(40) 및 고정부(60)를 수용한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10)은 외부 하우징(11)과 내부 하우징(13)을 구비한다. The
외부 하우징(11)은 하부가 개방된다. The lower part of the
내부 하우징(13)은 외부 하우징(11)의 내부의 상측에 고정부(6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내부 하우징(13)은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내부에 앰플수단(40)을 수용하며, 내주면에 지지부(14)가 형성되어 외부 하우징(11)에 삽입 장착된다. 지지부(14)는 내주면에서 내부공간을 향해 돌출되어 고정부(60)를 지지한다. The
전극부(20)는 기판(21)과, 캐소드(23) 및 애노드(25)를 구비하여 외부 하우징(11)의 내부의 하측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캐소드(23) 및 애노드(25)는 반원으로 형성되어 기판(21)의 상단에 배치된다. The
흡수부(30)는 전극부(20)의 상단에 배치된다. 이때, 흡수부(30)는 전극부(20)의 상단을 모두 덮어 캐소드(23) 및 애노드(25)와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한다. The
앰플수단(40)은 내부에 전해액(51)을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앰플수단(40)은 앰플케이싱(41)과, 전해액(51)과, 누액방지액(53)과, 분리막(55)을 구비한다. The ampoule means 40 serves to store the electrolyte solution 51 therein. To this end, the ampoule means 40 includes an
앰플케이싱(41)은 전해액(51)과 누액방지액(53)을 수용하여 내부 하우징(13) 내부에 장착된다. 이를 위하여 앰플케이싱(41)은 제1케이스(42)와, 마개(48)와, 제2케이스(50)를 구비한다. The
제1케이스(42)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부(43)가 형성되고, 하부에 돌출부(45)와 컷팅홈(47)이 형성된다. 수용부(43)는 하부에 전해액(51)이 수용되고, 상부에 누액방지액(53)이 수용된다. 돌출부(45)는 앰플케이싱(40)이 낙하하면 흡수부(30)와 충돌할 수 있게 하부에서 돌출형성된다. 컷팅홈(47)은 앰플케이싱(40)이 낙하하여 돌출부(45)가 흡수부(30)와 충돌하면 돌출부(45)가 절개되어 수용부(43)로 삽입될 수 있게 돌출부(45)의 둘레를 따라 하부면에서 일정깊이 함몰형성된다. 그래서 앰플케이싱(40)이 낙하하여 돌출부(45)가 흡수부(30)와 충돌하면 컷팅홈(47)에 의해 돌출부(45)의 둘레를 따라 하부면이 절개되어 돌출부(45)는 수용부(43)로 삽입되고, 수용부(43)는 개방되어 전해액(51)이 누설된다. The
마개(48)는 수용부(43)를 폐쇄하도록 제1케이스(42)의 상부에 장착된다. The
제2케이스(50)는 상단(50a)이 고정부(60)에 결합되며, 하부가 개방되어 제1케이스(42)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제2케이스(50)는 제1케이스(42)와 나사결합되거나 접착제로 결합된다. In the
전해액(51)은 전극부(20)에 전달되어 전류를 흐르게 한다. 이를 위하여 전해액(51)은 수용부(43)가 개방되면 흡수부(30)로 누설될 수 있게 제1케이스(42)의 수용부(43)의 하부에 수용된다. The electrolyte solution 51 is delivered to the
누액방지액(53)은 전해액(51)이 수용부(43)의 상부를 통하여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누액방지액(53)은 전해액(51)과 섞이지 않고 상분리되는 오일로 이루어지며, 수용부(43)의 상부에 수용된다. 비축전지는 -54℃ ~ 63℃ 사이에서 보관되므로 누액방지액(53)도 이 온도조건에서 화학적 성질이 변하지 않는 오일이 사용되어야 한다. 그리고 누액방지액(53)과 전해액(51)이 혼합되면 전해액(51)이 희석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누액방지액(53)은 전해액(51)과 상분리되는 오일이 사용되어야 한다. 제1케이스(42)의 수용부(43)에 전해액(51)만 보관된 경우, 전해액(51)은 제1케이스(42)과 제2케이스(50)의 나사결합된 틈으로 누설될 수 있다. 제1케이스(42)와 제2케이스(50)가 접착제로 결합된 경우에도 접착제가 산 계열의 전해액(51)에 녹으므로 전해액(51)이 외부로 누설되어 전해액(51)을 제1케이스(42)에 장기간 보관하는 것이 어렵다. 전해액(51)과 상분리되는 오일이 전해액(51)의 상층에 보관되므로 누액방지액(53)이 실링역할을 하여 전해액(51)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해액(51)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leak-preventing
분리막(55)은 전해액(51)과 누액방지액(53)을 분리시킬 수 있게 제1케이스(42)의 수용부(43)에 장착된다. The
고정부(60)는 제2케이스(50)의 상단(50a)과 결합되어 제2케이스(50)를 하우징(10)의 내부의 상측에 고정시킨다. 이때, 고정부(60)는 하우징(10)에 충격이 가해지면 앰플수단(40)이 하우징(10)의 내부에서 낙하할 수 있게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고정부(60)는 탄성스프링으로 구현되어 제2케이스(50)의 상단(50a)과 내부 하우징(13)의 지지부(14)에 지지되어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xing
실링부(70)는 하우징(10)을 밀폐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실링부(70)는 외부 하우징(11)의 하부에 장착된다. The sealing
본 실시예의 경우, 전해액(51)이 수용된 앰플수단(40)은 제2케이스(50)의 상단(50a)이 고정부(60)에 결합되어 하우징(10)의 내부의 상측에 고정된다. 이때, 앰플수단(40)은 하우징(10)의 내부의 하측에 장착된 전극부(2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하우징(10)의 내부의 상측에 고정된다. 전지 사용 시, 하우징(10)에 충격이 가해지면 제2케이스(50)의 상단(50a)이 고정부(60)에서 분리되어 낙하한다. 앰플수단(40)이 하우징(10)의 내부에서 낙하하면 제1케이스(42)의 돌출부(45)가 흡수부(30)와 충돌하여 돌출부(45)의 단부에 힘이 가해진다. 그러면 컷팅홈(47)에 의해 돌출부(45)의 둘레를 따라 제1케이스(42)의 하부면이 절개되어 돌출부(45)는 수용부(43)로 삽입되고, 전해액(51)은 돌출부(45)로 가압되어 수용부(43)에서 분출되어 흡수부(30)로 누설된다. 여기서, 돌출부(45)가 수용부(43)에 삽입되면 전해액(51)이 돌출부(45)로 가압되므로 전해액(51)은 빠르게 분출되어 흡수부(30)에 누설된다. 전해액(51)이 흡수부(30)에 흡수되면서 전극부(20)의 캐소드(23) 및 애노드(25)에 고르게 전달되고 동시에 전기가 발생된다. 그래서 전지의 활성화를 빠르게 이룰 수 있다. 또한, 흡수부(30)는 전극부(20)의 상단에 배치되어 전해액(51)을 전극부(20)에 전달하므로 전해액(51)과 전극부(20)를 오랜시간 반응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학반응에 필요한 전해액(51)의 양도 최소화 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ampoule means 40 in which the electrolyte 51 is accommodated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inside of the
반면, 도 4에 도시된 종래의 비축전지는 전지 사용 시 격발핀(140)이 외장부(110)를 타격하며 이 경우, 외장부(110)에 수용된 전해액이 흡수판(130)으로 누설되어 기판(120)으로 전달된다. 종래의 비축전지는 격발핀(140)과 흡수판(130) 사이에 틈(X)이 있어서 격발핀(140)이 외장부(110)를 타격하여 전해액이 누설되더라도 격발핀(140)과 흡수판(130) 사이의 틈(X)으로 인하여 전해액이 흡수판(130)으로 바로 흡수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본 발명에 의하면, 앰플케이싱(40)은 내부에 수용부(43)가 형성되고, 하부에 앰플케이싱(40)이 낙하하면 흡수부(30)와 충돌하는 돌출부(45)와, 돌출부(45)가 흡수부(30)와 충돌하면 돌출부(45)가 절개되어 수용부(43)로 삽입될 수 있게 돌출부(45)의 둘레를 따라 하부면에서 일정깊이 함몰된 컷팅홈(47)이 형성된다. 그리고 흡수부(30)는 캐소드(23) 및 애노드(25)를 모두 덮을 수 있게 전극부(20)의 상단에 배치된다. 이 경우, 앰플케이싱(40)이 낙하하여 돌출부(45)가 흡수부(30)와 충돌하면 컷팅홈(47)에 의해 돌출부(45)의 둘레를 따라 하부면이 절개되어 돌출부(45)는 수용부(43)로 삽입되고, 전해액(51)은 돌출부(45)로 가압되어 수용부(43)에서 빠르게 분출되어 흡수부(30)에 누설된다. 그래서 전지의 활성화를 빠르게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해액(51)은 앰플케이싱(40)의 하부에 수용되고 누액방지액(53)은 앰플케이싱(40)의 상부에 수용된다. 누액방지액(53)은 전해액(51)과 섞이지 않고 상분리되는 오일로 이루어지므로 전해액(51)이 앰플케이싱(40)의 상부를 통하여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래서 비축전지를 장시간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reserve battery shown in FIG. 4, the
10 : 하우징
20 : 전극부
21 : 기판
23 : 캐소드
25 : 애노드
30 : 흡수부
40 : 앰플수단
41 : 앰플케이싱
42 : 제1케이스
43 : 수용부
45 : 돌출부
47 : 컷팅홈
48 : 마개
50 : 제2케이스
50a : 상단
51 : 전해액
53 : 누액방지액
55 : 분리막
60 : 고정부
70 : 실링부
110 : 외장부
120 : 기판
130 : 흡수판
140 : 격발핀
X : 틈10: housing 20: electrode part
21: substrate 23: cathode
25: anode 30: absorption part
40: ampoule means 41: ampoule casing
42: first case 43: receiving part
45: protrusion 47: cutting groove
48: stopper 50: second case
50a: top 51: electrolyte
53: leak prevention liquid 55: separation membrane
60: fixing part 70: sealing part
110: exterior part 120: substrate
130: absorption plate 140: trigger pin
X : Gap
Claims (3)
기판과, 상기 기판의 상단에 배치된 캐소드 및 애노드를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하측에 장착된 전극부와,
상기 전극부의 상단에 배치된 흡수부와,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고 낙하하면 상기 흡수부와 충돌하여 상기 수용부가 개방될 수 있게 하부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앰플케이싱과, 상기 수용부가 개방되면 상기 흡수부가 상기 전극부로 전달할 수 있게 흡수하도록 상기 흡수부로 누설될 수 있게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 수용된 전해액과, 상기 전해액이 상기 수용부의 상부를 통하여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해액과 섞이지 않고 상분리되는 오일로 되어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수용된 누액방지액과, 상기 전해액과 상기 누액방지액을 분리시키도록 상기 수용부에 장착된 분리막을 구비한 앰플수단과,
상기 하우징에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앰플수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낙하할 수 있게 상기 앰플케이싱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의 상측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형 비축전지. housing,
An electrode unit equipped with a substrate, a cathode and an anode disposed on top of the substrate and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an absorption unit disposed on an upper end of the electrode unit;
An ampoule casing having an accommodation portion formed therein and a protrusion formed at the lower portion so that the accommodation portion can be opened by colliding with the absorption portion when falling is mounted inside the housing, and when the accommodation portion is opened, the absorption portion can be delivered to the electrode unit. The electrolyte accommod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accommodating part so that it can leak into the absorbing part so as to be easily absorbed, and the oil that is phase separated without being mixed with the electrolyte in order to prevent the electrolyte from leaking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accommodating part, and the oil accommod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accommodating part an ampoule means having a leak-preventing liquid and a separation membrane mounted on the accommodating part to separate the electrolyte and the leak-preventing liquid;
and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ampoule casing to an upper sid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so that the ampoule means can fall inside the housing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housing.
낙하하여 상기 돌출부가 상기 흡수부와 충돌하면 상기 수용부가 개방되기 위하여 상기 돌출부가 절개되어 상기 수용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의 둘레를 따라 하부면에서 일정깊이 함몰된 컷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형 비축전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mpoule casing
When the protrusion collides with the absorber by falling, a cutting groove recessed to a certain depth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rotrusion so that the protrusion can be cut and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portion to open the accommodat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Ampoule type storage battery.
상기 상부가 개방된 수용부와 상기 돌출부와 상기 컷팅홈이 형성된 제1케이스와,
개방된 상기 수용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제1케이스의 상부에 장착된 마개와,
상단이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며,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제1케이스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케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형 비축전지.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mpoule casing
A first case in which the upper portion is opened,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cutting groove are formed;
A stopper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case to close the opened receiving portion;
An ampoule-type reserve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econd case with an upper end coupled to the fixing part and a lower part opened to which the first case is inserted and coupl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4564A KR20230032124A (en) | 2021-08-30 | 2021-08-30 | Reserve batter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4564A KR20230032124A (en) | 2021-08-30 | 2021-08-30 | Reserve batter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2124A true KR20230032124A (en) | 2023-03-07 |
Family
ID=85513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14564A KR20230032124A (en) | 2021-08-30 | 2021-08-30 | Reserve batter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32124A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17636A (en) | 2009-08-14 | 2011-02-22 | 세주엔지니어링주식회사 | Electrode structure for reserved cell and reserved cell |
KR20140065861A (en) | 2012-11-22 | 2014-05-30 | 세주엔지니어링주식회사 | High safety a large output reserve battery |
KR101485897B1 (en) | 2013-10-29 | 2015-01-26 | 주식회사 비츠로셀 | reserve battery enhancing impact resistant |
-
2021
- 2021-08-30 KR KR1020210114564A patent/KR20230032124A/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17636A (en) | 2009-08-14 | 2011-02-22 | 세주엔지니어링주식회사 | Electrode structure for reserved cell and reserved cell |
KR20140065861A (en) | 2012-11-22 | 2014-05-30 | 세주엔지니어링주식회사 | High safety a large output reserve battery |
KR101485897B1 (en) | 2013-10-29 | 2015-01-26 | 주식회사 비츠로셀 | reserve battery enhancing impact resista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617386A (en) | Sealed cell construction | |
JP5148782B2 (en) | Battery pack | |
US8603658B2 (en) | Activation mechanism for a reserve battery cell | |
KR20000062499A (en) | pack battery | |
KR20040110598A (en) | Secondary battery | |
US6844108B1 (en) | Ultraminiaturized reserve battery cell | |
JPH02500766A (en) | A device for continuously supplying liquid or viscous media, especially lubricating substances | |
ES2971852T3 (en) | Battery Safety Vent Assembly | |
KR20230032124A (en) | Reserve battery | |
US7754372B2 (en) | Lithium secondary battery | |
KR100284667B1 (en) | Cylindrical alkaline battery | |
KR102299443B1 (en) | A battery pack having fire extinguishing means | |
US3228801A (en) | Deferred action dry cell | |
KR101105268B1 (en) | Electrode structure for reserved cell and reserved cell | |
KR20220048860A (en) | ESS battery pack with a gas discharge structure | |
KR102371966B1 (en) | Reserve battery | |
US3827914A (en) | Activator for a reserve electric cell,as in a flashlight | |
US7892696B2 (en) | Liquid fuel container, fuel cell system,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 |
JP2001076701A (en) | Tubular alkaline battery | |
KR102135629B1 (en) | Battery Pack Comprising Fire Extinguishing Agent | |
JP2000306559A (en) | Pack battery | |
JP2009140853A (en) | Cap structure and fuel cartridge with the same | |
JPS63236255A (en) | Cylindrical alkaline battery | |
US20240097148A1 (en) | Reserve battery with fast voltage rise time | |
JPH06260161A (en) | Safety valve for secondary battery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