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1699A - Wearable device for assisting shoulder muscle of human - Google Patents

Wearable device for assisting shoulder muscle of huma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1699A
KR20230031699A KR1020210114211A KR20210114211A KR20230031699A KR 20230031699 A KR20230031699 A KR 20230031699A KR 1020210114211 A KR1020210114211 A KR 1020210114211A KR 20210114211 A KR20210114211 A KR 20210114211A KR 20230031699 A KR20230031699 A KR 20230031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user
muscle strength
shoulder
wear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2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10091B1 (en
Inventor
전광우
정현준
김민수
Original Assignee
한국로봇융합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로봇융합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로봇융합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14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091B1/en
Publication of KR20230031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16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0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6Exoskeletons, i.e. resembling a human fig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08Balancing devices
    • B25J19/0016Balancing devices usin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6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with articulated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A wearable device for supporting shoulder muscle strength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ame; a muscle strength assisting part coupled to the frame, and selectively supporting a load of a user's arm in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an arm support part coupled to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part, and supporting the user's arm.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wearable device for supporting shoulder muscle strength by selectively supporting the load of the user's arm in the direction of gravity to assist the shoulder muscle strength.

Description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FOR ASSISTING SHOULDER MUSCLE OF HUMAN}Shoulder muscle strength support wearable device {WEARABLE DEVICE FOR ASSISTING SHOULDER MUSCLE OF HUMAN}

본 발명은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device for supporting shoulder muscle strength.

우리 몸에서 어깨는 가동범위가 가장 넓은 부위인 동시에 실생활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부위로 관절을 안정화하고 팔을 들어올리거나 돌리는 동작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만 어깨는 구조적으로 취약하여 관절염, 연골 손상, 회전근개 파열 등 염증이 발생하거나 다치기 쉬운 부위 중 하나이다. 어깨는 손을 광범위한 공간에 보내는 기능을 하여 여러 가지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어깨관절에 이상이 생기면 작업을 하는데 필요한 추진력이 약해지거나 정밀한 작업이 어려워질 수 있다.In our body, the shoulder has the widest range of motion and is the most used part in real life.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stabilizing the joint and lifting and turning the arm. However, the shoulder is structurally vulnerable and is one of the areas that are prone to inflammation or injury, such as arthritis, cartilage damage, and rotator cuff tear. The shoulder functions to send the hand over a wide space, enabling various tasks. Therefore, if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shoulder joint, the driving force required for work may be weakened or precise work may be difficult.

국내 제조업 전반에 걸쳐 존재하는 비정형 자세 작업 근로자의 경우 어깨 통증 및 관절염 등 어깨 관련 질환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어깨에 힘을 많이 쓰는 직업군 예를 들어, 무거운 물건을 자주 드는 택배 기사, 건설업 근로자, 제조업 근로자에서의 어깨 관련 질환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Workers who work in atypical postures throughout the domestic manufacturing industry are prone to shoulder-related diseases such as shoulder pain and arthritis. In particular, shoulder-related diseases are gradually increasing in occupational groups that require a lot of strength on the shoulders, for example, courier drivers who often carry heavy objects, construction workers, and manufacturing workers.

이에 따라, 작업 근로자의 어깨의 근력을 보조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가 개발되어 있으나, 이러한 장치들은 모터/제어부/배터리 등이 존재하는 능동형 근력지원 장치로 무겁거나 근력보조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도 동력이 제공되어 사용자의 동작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various devices have been developed to assist workers' shoulder muscle strength, but these devices are active muscle support devices with motors/controllers/batteries, etc., providing power even when they are heavy or do not require muscle strength support.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s operation is limited.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팔의 중력방향으로의 하중을 선택적으로 지지하여 어깨 근력을 보조하는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arable device for supporting shoulder muscle strength by selectively supporting the load of the user's arm in the direction of gravity to assist the shoulder muscle strength.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팔의 중력 방향으로의 하중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근력 보조부 및 상기 근력 보조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팔을 받쳐주는 팔 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Shoulder muscle strength support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ame, coupled to the frame, a muscle strength assisting unit for selectively supporting a loa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of the user's arm, and coupled to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unit, the user's arm It may include an arm support for supporting it.

상기 근력 보조부는, 상기 근력 보조부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에게 근력을 지원하는 모드 및 자유롭게 동작할 수 있는 모드 상호간의 전환이 가능할 수 있다.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unit may be able to switch between a mode that supports muscle strength to the user and a mode that can be operated freely through manipulation of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unit.

상기 프레임은, 사용자의 척추 방향을 따라 연장된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에 결합되어, 횡방향으로 연장된 횡방향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The frame may include a vertical frame extending along the spine of the user and a transverse frame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and extending laterally.

상기 수직 프레임은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vertical frame may be adjustable according to the user's body.

상기 횡방향 프레임은 상기 수직 프레임과 수직한 방향의 평면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transverse frame may be rotatably coupled o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fram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수직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목을 받쳐주는 목 받침대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의 타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Shoulder muscle strength support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the neck support for supporting the user's neck and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frame, the back support for supporting the user's back further can includ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등 받침대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어깨에 멜 수 있도록 하는 어깨 지지부 및 상기 수직 프레임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허리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houlder muscle strength support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houlder support coupled to the back support so that the user can wear it on the shoulder and a waist fixing unit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and wrapped around the user's waist. can

상기 근력 보조부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로부터 돌출된 홀더 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홀더 핀이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복수 개의 핀 홀이 존재하는 디스크 판 및 상기 디스크 판에 결합되어, 사용자에게 토크를 제공하는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이동에 의해 상기 홀더 핀이 상기 핀 홀에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토크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The muscle strength auxiliary unit, a case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and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ame, a holder pin coupled to the case and protruding from the case, located inside the case, and the holder pin A case in which a disk plate having a plurality of selectively inserted pin holes and a torsion spring coupled to the disk plate and providing torque to a user are included, and the holder pin is coupled to the pin hole by movement of the case The torque of the torsion spring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

상기 근력 보조부는, 상기 비틀림 스프링에 결합되어, 상기 비틀림 스프링을 고정하는 스프링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uscle power assis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pring holder coupled to the torsion spring and fixing the torsion spring.

상기 근력 보조부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디스크 판의 연결을 단속하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unit may include a lever for regulat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case and the disk plate.

상기 근력 보조부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케이스를 탄성력으로 밀어내는 선형 스프링 및 상기 선형 스프링을 관통하여 형성된 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는 상기 축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레버의 조절에 따라 상기 케이스의 위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The muscle power assisting unit is located inside the case, and includes a linear spring that pushes the case with an elastic force and an axis member formed through the linear spring, and the lever is coupled to the axis member and controls the lever.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case may be adjust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는 상기 레버에 의해 상기 홀더 핀과 상기 핀 홀이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동작의 가동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In the wearable device for supporting shoulder muscle strength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nge of motion of a user's motion may vary according to a position where the holder pin and the pin hole are coupled by the lever.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의 팔의 중력방향으로의 하중을 선택적으로 지지하여 어깨 근력을 보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earable device for supporting shoulder muscle strength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ssist shoulder muscle strength by selectively supporting the load of the user's arm in the direction of grav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의 근력 보조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Ⅱ-Ⅱ'를 따라 자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근력 보조부의 움직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근력 보조부의 홀더 핀과 핀홀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근력 보조부의 홀더 핀과 핀홀의 결합되는 위치에 따른 사용자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ulder muscle strength support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shoulder strength support wearable device of FIG.
3 is a rear view of the shoulder muscle strength support wearable device of FIG.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unit of the shoulder strength support wearable device of FIG.
FIG. 5 is a view cut along line II-II′ of FIG. 4 .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movement of the muscle power assisting unit of FIG. 4 .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between the holder pin and the pinhole of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unit of FIG. 4 is released.
8 is a view showing a user's opera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holder pin and the pinhole of the muscle power assisting unit are coupled.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exemplified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ncludes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ing'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t this time,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shoulder muscle strength support wearabl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의 배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ulder muscle strength support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the shoulder muscle strength support wearable device of FIG. 1, and FIG. 3 is a rear view of the shoulder muscle strength support wearable device of FIG. .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1)는 프레임(10), 높이 조절부(20), 결합부(30), 받침대(40), 어깨 지지부(50), 허리 고정부(60), 팔 받침부(70) 및 근력 보조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1)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1 to 3, the shoulder muscle strength support wearable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10, a height adjusting unit 20, a coupling unit 30, a support 40, and a shoulder It may include a support part 50, a waist fixing part 60, an arm support part 70, and a muscle strength auxiliary part 80. Here, thos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related to this embodiment that other general-purpose components other than the components shown in FIGS. 1 to 3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shoulder muscle support wearable device 1 I can understand.

본 실시예에 따른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1)는, 하중을 지지하는 프레임(10) 및 사용자의 팔의 중력 방향으로의 하중을 선택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근력 보조부(80)를 통해 사용자가 근력을 보조 받고자 할 때는 근력 지원 모드를 통해 어깨 근력을 보조하고, 근력을 보조 받을 필요가 없을 때는 자율 동작 모드로 자유로운 동작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Shoulder muscle strength support wearabl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user through the frame 10 for supporting the load and the muscle strength auxiliary unit 80 capable of selectively supporting the loa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of the user's arm When you want to receive support for muscle strength, shoulder strength is assisted through the muscle strength support mod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10)은 수직 프레임인 제1 수직 프레임(11) 및 제2 수직 프레임(12)과 횡방향 프레임인 제1 횡방향 프레임(13) 및 제2 횡방향 프레임(14)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은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1)의 구조를 전체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수직 프레임은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횡방향 프레임은 수직 프레임에 결합되어 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횡방향 프레임은 수직 프레임과 수직한 방향의 평면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프레임(1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1 to 3, the frame 10 includes a first vertical frame 11 and a second vertical frame 12 that are vertical frames and a first transverse frame 13 that is a transverse frame and a second transverse frame. Frame 14 may be included. The frame 10 may support the entire structure of the shoulder muscle strength support wearable device 1 . The length of the vertical frame may be adjustable according to the user's body. The transverse frame may be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and extend transversely. The transverse frame may be rotatably coupled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frame. Her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related to this embodiment can understand that other general-purpose components other than the components shown in FIGS. 1 to 3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frame 10. .

제1 수직 프레임(11)은 후술하는 허리 고정부(60)가 결합되고,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1)의 하부 기둥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수직 프레임(11)은 사용자의 척추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수직 프레임(11) 후술하는 제2 수직 프레임(12)과의 결합을 위해 속이 빈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제1 수직 프레임(11)은 사용자 및 장치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충분한 강성을 지닌 강철(Steel) 및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수직 프레임(11)의 형상 및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 및 재질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vertical frame 11 is coupled to a waist fixing unit 60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serve as a lower pillar of the shoulder muscle strength support wearable device 1 . The first vertical frame 11 may extend along the direction of the user's spine. The first vertical frame 11 may have a hollow cylindrical shape for coupling with the second vertical frame 12 to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vertical frame 11 may be made of steel and plastic having sufficient rigidity to support the load of users and devices. However, the shape and material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1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various shapes and materials.

제2 수직 프레임(12)은 제1 수직 프레임(11)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1)의 상부 기둥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수직 프레임(12)은 사용자의 척추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수직 프레임(12)은 제1 수직 프레임(1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제2 수직 프레임(12)은 제1 수직 프레임(11)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체 수직 프레임(1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2 수직 프레임(12)은 사용자 및 장치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충분한 강성을 지닌 강철(Steel) 및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제2 수직 프레임(12)의 형상 및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 및 재질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vertical frame 12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vertical frame 11 and may serve as an upper pillar of the shoulder muscle strength support wearable device 1 . The second vertical frame 12 may extend along the direction of the user's spine. The second vertical frame 12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vertical frame 11 . The second vertical frame 12 is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vertical frame 11 so that the length of the entire vertical frame 10 can be adjusted. The second vertical frame 12 may be made of steel and plastic having sufficient rigidity to support the load of users and devices. However, the shape and material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12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various shapes and materials.

제1 횡방향 프레임(13)은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1) 및 사용자의 팔의 중력방향으로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횡방향 프레임(13)은 제2 수직 프레임(12)에 결합되어 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횡방향 프레임(13)은 수직 프레임과 수직한 방향의 평면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 횡방향 프레임(13)은 제2 수직 프레임(12)과 직접 결합할 수도 있고, 평판을 통해 제2 수직 프레임(12)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횡방향 프레임(13)은 양단에 결합을 위한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횡방향 프레임(13)은 장치 및 사용자의 팔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충분한 강성을 지닌 강철(Steel) 및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횡방향 프레임(13)의 형상 및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 및 재질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transverse frame 13 may serve to support the load of the shoulder muscle strength support wearable device 1 and the user's arm in the direction of gravity. The first transverse frame 13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vertical frame 12 and exte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first transverse frame 13 may be rotatably coupled on a plan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frame. The first transverse frame 13 may be directly coupled to the second vertical frame 12 or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vertical frame 12 through a plate. The first transverse frame 13 may have through holes for coupling at both ends. The first transverse frame 13 may be made of steel and plastic with sufficient stiffness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device and the user's arms. However, the shape and material of the first transverse frame 13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various shapes and materials.

제2 횡방향 프레임(14)은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1) 및 사용자의 팔의 중력방향으로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횡방향 프레임(14)은 제1 횡방향 프레임(13)에 결합되어 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횡방향 프레임(14)은 수직 프레임과 수직한 방향의 평면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2 횡방향 프레임(14)은 양단에 결합을 위한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횡방향 프레임(14)은 장치 및 사용자의 팔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충분한 강성을 지닌 강철(Steel) 및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제2 횡방향 프레임(14)의 형상 및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 및 재질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transverse frame 14 may serve to support the load of the shoulder muscle strength support wearable device 1 and the user's arm in the direction of gravity. The second transverse frame 14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transverse frame 13 and exte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second transverse frame 14 may be rotatably coupled on a plan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frame. The second transverse frame 14 may be provided with through holes for coupling at both ends. The second transverse frame 14 may be constructed of steel and plastic with sufficient stiffness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device and the user's arms. However, the shape and material of the second transverse frame 14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various shapes and materials.

높이 조절부(20)는 제1 수직 프레임(11)과 제2 수직 프레임(12)의 경계에 위치하여, 제2 수직 프레임(12)이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된 후 고정하여 수직 프레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높이 조절부(20)는 제1 수직 프레임(11)과 제2 수직 프레임(12)을 고정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이 조절부(20)는 레버가 결합된 파이프 클램프로 레버를 잠궈 제2 수직 프레임(12)을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The height adjusting unit 20 is locat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vertical frame 11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12, and fixes the length of the vertical frame after the second vertical frame 12 slides to a desired position. can be adjusted The height adjusting unit 20 may have any configuration capable of fixing the first vertical frame 11 and the second vertical frame 12 . For example, the height adjuster 20 may fix the second vertical frame 12 to a desired position by locking the lever with a pipe clamp to which the lever is coupled.

결합부(30)는 제2 수직 프레임(12)과 제1 횡방향 프레임(13) 간의 결합, 제1 횡방향 프레임(13)과 제2 횡방향 프레임(14) 간의 결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결합부(30)는 제1 횡방향 프레임(13) 및 제2 횡방향 프레임(14)이 수직 프레임과 수직한 방향의 평면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어떠한 구성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30)는 제2 수직 프레임(12)과 제1 횡방향 프레임(13)의 결합부분 및 제1 횡방향 프레임(13)과 제2 횡방향 프레임(14)의 결합부분에 위치하여 결합홀을 관통하는 힌지(hing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part 30 may enable coupling between the second vertical frame 12 and the first transverse frame 13 and coupling between the first transverse frame 13 and the second transverse frame 14. . The coupling part 30 may have any configuration that allows the first transverse frame 13 and the second transverse frame 14 to be rotatably coupled on a plan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frame. For example, the coupling portion 30 is the coupling portion of the second vertical frame 12 and the first transverse frame 13 and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transverse frame 13 and the second transverse frame 14 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hinge passing through the coupling hole.

받침대(40)는 목 받침대(41) 및 등 받침대(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받침대(4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The support 40 may include a neck support 41 and a back support 42 . Her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related to this embodiment can understand that other general-purpose components other than the components shown in FIGS. 1 to 3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pedestal 40. .

목 받침대(41)는 수직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목을 받쳐줄 수 있다. 목 받침대(41)는 사용자의 경추를 받쳐줄 수 있도록 경추의 C자형 커브에 대응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목 받침대(41)는 내부에 충진재가 포함되어 사용자의 목에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다만, 목 받침대(41)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목을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는 어떠한 구조도 가능할 수 있다.The neck support 41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to support the user's neck. The neck support 41 may have a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C-shaped curve of the cervical vertebrae so as to support the user's cervical vertebrae. The neck support 41 includes a filler therein to mitigate impact on the user's neck.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neck support 41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structure capable of stably supporting the user's neck may be possible.

등 받침대(42)는 수직 프레임의 타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쳐줄 수 있다. 등 받침대(42)는 사용자의 등 전체를 감쌀 수 있는 날개부분이 있는 판 형태일 수 있다. 등 받침대(42)는 사용자의 척추의 커브에 대응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등 받침대(42)는 내부에 충진재가 포함되어 사용자의 등에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다만, 등 받침대(42)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등을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는 어떠한 구조도 가능할 수 있다.The backrest 42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frame to support the user's back. The backrest 42 may be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wings that can cover the entire user's back. The backrest 42 may be curved to correspond to the curve of the user's spine. The backrest 42 includes a filling material therein to mitigate impact on the user's back.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backrest 42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structure capable of stably supporting the user's back may be used.

어깨 지지부(50)는 어깨 끈(51), 제1 스트랩(52) 및 제2 스트랩(53)을 포함할 수 있다. 어깨 지지부(50)는 등 받침대(42)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어깨에 멜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어깨 지지부(5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The shoulder support 50 may include a shoulder strap 51 , a first strap 52 and a second strap 53 . The shoulder support 50 is coupled to the backrest 42 so that the user can carry it on the shoulder. Her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related to this embodiment can understand that other general-purpose components other than the components shown in FIGS. 1 to 3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shoulder support 50. there is.

어깨 끈(51)은 등 받침대(42)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직접 어깨에 멜 수 있게 할 수 있다. 어깨 끈(51)은 사용자의 어깨에 직접 닿으므로, 하중을 적절히 분산할 수 있도록 폭이 넓은 끈 형태 일 수 있다. 어깨 끈(51)은 지속적인 하중을 견디기에 충분히 튼튼한 웨빙 스트랩일 수 있다. 다만 어깨 끈(51)은 사용자가 어깨에 멜 수 있게 할 수 있는 어떠한 끈도 가능할 수 있다.The shoulder strap 51 is coupled to the backrest 42 so that the user can directly wear it on the shoulder. Since the shoulder strap 51 directly touches the user's shoulder, it may have a wide strap shape to properly distribute the load. Shoulder strap 51 may be a webbing strap that is strong enough to withstand sustained loads. However, the shoulder strap 51 may be any strap that allows the user to wear it on the shoulder.

제1 스트랩(52)은 어깨 끈(51)에 연결되어, 어깨 끈(51) 간의 거리가 멀어지지 않게 위치 한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스트랩(52)은 어깨 끈(51)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스트랩(52)에는 지속적인 하중을 견디기에 충분히 튼튼한 웨빙 스트랩일 수 있다. 제1 스트랩(52)은 중간에 버클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1)를 벗을 때는 버클을 풀고 사용자가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1)를 사용할 때는 버클을 체결하게 할 수 있다. 다만, 제1 스트랩(52)의 종류 및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strap 52 is connected to the shoulder strap 51, and may serve to limit the position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shoulder straps 51 does not increase. The first strap 52 may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houlder strap 51 . The first strap 52 may be a webbing strap that is strong enough to withstand a sustained load. The first strap 52 has a buckle formed in the middle so that when the user takes off the shoulder muscle strength support wearable device 1, the buckle is released, and when the user uses the shoulder muscle strength support wearable device 1, the buckle is fastened. However, the type and shape of the first strap 52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various types and shapes.

제2 스트랩(53)은 어깨 끈(51)에서 연장되어 말단이 허리 고정부(60)에 결합되어 어깨 끈(51)을 고정할 수 있다. 제2 스트랩(53)은 지속적인 하중을 견디기에 충분히 튼튼한 웨빙 스트랩일 수 있다. 다만 제2 스트랩(53)의 종류 및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 및 위치를 가질 수 있다.The second strap 53 extends from the shoulder strap 51 and has an end coupled to the waist fixing part 60 to fix the shoulder strap 51 . The second strap 53 may be a webbing strap that is strong enough to withstand sustained loads. However, the type and location of the second strap 53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various types and locations.

허리 고정부(60)는 벨트(61) 및 체결 부재(62)를 포함할 수 있다. 허리 고정부(60)는 수직 프레임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감쌀 수 있다. 여기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허리 고정부(6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The waist fixing part 60 may include a belt 61 and a fastening member 62 . The waist fixing unit 60 is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to wrap around the user's waist. Her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related to this embodiment will understand that other general-purpose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waist fixing unit 60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shown in FIGS. 1 to 3 can

벨트(61)는 제1 수직 프레임(11)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감쌀 수 있다. 벨트(61)는 사용자의 허리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기 위해 폭이 넓은 밴드형태 일 수 있다. 다만, 벨트(61)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belt 61 may be coupled to the first vertical frame 11 to wrap the user's waist. The belt 61 may be in the form of a wide band to distribute the load applied to the user's waist. However, the shape of the belt 61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various shapes.

체결 부재(62)는 벨트(61)의 말단에 결합되어 벨트(61)를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결합을 풀거나 체결하게 할 수 있다. 체결 부재(62)는 벨트(61)의 양단을 결합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도 가능할 수 있다.The fastening member 62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belt 61 so that the user can uncouple or fasten the belt 61 as needed. The fastening member 62 may have any configuration capable of coupling both ends of the belt 61 .

팔 받침부(70)는 팔 지지대(71), 팔 커버(72) 및 팔 스트랩(73)을 포함할 수 있다. 팔 받침부(70)는 후술하는 근력 보조부(8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팔을 받쳐줄 수 있다. 여기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허리 고정부(6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The arm support 70 may include an arm support 71 , an arm cover 72 and an arm strap 73 . The arm support unit 70 is coupled to a muscle strength assist unit 80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support the user's arm. Her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related to this embodiment will understand that other general-purpose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waist fixing unit 60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shown in FIGS. 1 to 3 can

팔 지지대(71)는 근력 보조부(80)의 단부에서 사용자의 팔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팔을 고정할 수 있다. 팔 지지대(71)는 후술하는 근력 보조부(80)의 케이스(81)와 일체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 구동할 수 있다. 팔 지지대(71)는 사용자의 팔의 중력방향으로의 하중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지닌 강철(Steel) 및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팔 지지대(71)의 형상 및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 및 재질을 가질 수 있다.The arm support 71 is formed in the form of a rod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user's arm at the end of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unit 80 to fix the user's arm. The arm support 71 may be integrally coupled with the case 81 of the muscle power assisting unit 80 to be described later and rotated together. The arm support 71 may be made of steel or plastic having sufficient rigidity to support the load of the user's arm in the direction of gravity. However, the shape and material of the arm support 71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various shapes and materials.

팔 커버(72)는 팔 지지대(71)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팔을 감쌀 수 있다. 팔 커버(72)는 사용자의 팔을 감쌀 수 있는 유연한 판 형태일 수 있다. 팔 커버(72)는 사용자의 팔 두께에 따라 변형될 수 있도록 유연한 패브릭(Fabric) 및 폴리에스터(Polyester)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팔 커버(72)의 형상 및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 및 재질을 가질 수 있다.The arm cover 72 may be coupled to the arm support 71 to cover the user's arm. The arm cover 72 may be in the form of a flexible plate capable of covering the user's arm. The arm cover 72 may be made of a flexible fabric or polyester material so as to be deform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user's arm. However, the shape and material of the arm cover 72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various shapes and materials.

팔 스트랩(73)은 팔 커버(72)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팔의 두께에 맞게 팔 커버(72)를 조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팔 스트랩(73)에는 길이 조절을 위한 버클 및 조리개가 포함될 수 있다. 팔 스트랩(73)은 지속적인 하중을 견디기에 충분히 튼튼한 웨빙 스트랩일 수 있다. 다만, 팔 스트랩(73)의 형상 및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 및 재질을 가질 수 있다.The arm strap 73 may be coupled to the arm cover 72 and serve to tighten the arm cover 72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user's arm. The arm strap 73 may include a buckle and an aperture for adjusting the length. The arm strap 73 may be a webbing strap that is strong enough to withstand sustained loads. However, the shape and material of the arm strap 73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various shapes and materials.

도 4는 도 1의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의 근력 보조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Ⅱ-Ⅱ'를 따라 자른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근력 보조부의 움직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근력 보조부의 홀더 핀과 핀 홀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unit of the shoulder muscle strength support wearable device of Figure 1, Figure 5 is a view cut along II-II 'of Figure 4,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ovement of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unit of Figure 4,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between the holder pin and the pin hole of the muscle power assisting unit of FIG. 4 is released.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근력 보조부(80)는 케이스(81), 결합 부재(82a), 결합판(82b), 레버(83), 센서(84), 디스크 판(85), 홀더 핀(86a), 핀 홀(86b), 선형 스프링(87a), 비틀림 스프링(87b), 스프링 홀더(88) 및 축 부재(89)를 포함할 수 있다. 근력 보조부(80)는 프레임(1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팔의 중력 방향으로의 하중을 선택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근력 보조부(80)는 근력 보조부(80)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에게 근력을 지원하는 모드 및 자유롭게 동작할 수 있는 모드 상호간의 전환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 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이 근력 보조부(8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4 to 7, the muscle power assisting unit 80 includes a case 81, a coupling member 82a, a coupling plate 82b, a lever 83, a sensor 84, a disk plate 85, and a holder pin. 86a, a pin hole 86b, a linear spring 87a, a torsion spring 87b, a spring holder 88, and a shaft member 89.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unit 80 is coupled to the frame 10 and can selectively support the load of the user's arm in the direction of gravity. In addition,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unit 80 may be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a mode in which muscle strength is supported to the user and a mode in which a user can freely operate the muscle power assisting unit 80 through manipulation of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unit 80 . Her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related to this embodiment can understand that other general-purpose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shown in FIGS. 4 to 7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unit 80. there is.

케이스(81)는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프레임(10)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외부 충격으로부터 근력 보조부(80)를 보호할 수 있다. 케이스(81)는 두개의 프레임(10)이 겹쳐져 후술하는 결합 부재(82a)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81)에는 결합을 위한 복수 개의 통공이 케이스(8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81)는 팔 받침부(70)와 결합된 부분이 돌출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속이 빈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케이스(81)는 근력 보조부(80)에 가해지는 하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충분한 강성을 지닌 강철(Steel) 및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만, 케이스(81)의 재질 및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 및 재질을 가질 수 있다.The case 8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10, is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ame 10, and can protect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unit 80 from external impact. The case 81 may be coupled by overlapping two frames 10 and a coupling member 82a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case 81 ,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 coupling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ase 81 . The case 81 may have a hollow cylindrical shape so that a portion coupled to the arm support 70 protrudes and an internal space is formed. The case 81 may be made of steel and plastic materials having sufficient rigidity to protect from the load applied to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unit 80 . However, the material and shape of the case 81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various shapes and materials.

결합 부재(82a)는 복수 개의 케이스(81)를 결합할 수 있다. 결합 부재(82a)는 케이스(81)의 결합을 위한 어떠한 구조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결합 부재(82a)는 케이스(81)에 형성된 통공에 대응하는 볼트 및 나사일 수 있다.The coupling member 82a may couple the plurality of cases 81 . The coupling member 82a may have any structure for coupling the case 81 . For example, the coupling member 82a may be a bolt or screw corresponding to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ase 81 .

결합판(82b)은 프레임(10)과 디스크 판(85)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게 할 수 있다. 결합판(82b)은 결합을 위한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고 일변이 타변보다 길이가 긴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결합판(82b)은 통공에 의해 후술하는 디스크 판(85)의 중심축에 끼워지고 프레임(10)과 결합되어, 디스크 판(85)이 축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결합판(82b)의 형상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채용될 수 있는 범위에서 일부 변경될 수 있다.The coupling plate 82b may allow the frame 10 and the disk plate 85 to be rotatably coupled. The coupling plate 82b may have a hexahedral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 coupling are formed and one side is longer than the other side. The coupling plate 82b is inserted into the central axis of the disk plate 85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a through hole and is coupled to the frame 10 so that the disk plate 85 can pivot. However, the shape of the coupling plate 82b may be partially changed within the range that can be employ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레버(83)는 케이스(81)와 디스크 판(85)의 연결을 단속할 수 있다. 레버(83)는 후술하는 후술하는 축 부재(89)에 결합되고, 레버(83)의 조절에 따라 케이스(81)의 위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레버(83)는 근력 보조부(80)에서 사용자에게 보조력을 제공하는 근력 보조 모드와 사용자의 자유로운 동작이 가능하게 하는 자율 동작 모드 상호간의 전환을 조절할 수 있다. 레버(83)에 의해 홀더 핀(86a)과 핀 홀(86b)이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동작의 가동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레버(83)는 케이스(81)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레버(83)는 케이스(81)의 상부에 위치한 퀵 릴리스(QR)레버 일 수 있다.The lever 83 may control the connection between the case 81 and the disk plate 85. The lever 83 is coupled to a shaft member 89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position of the case 81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djustment of the lever 83. The lever 83 may control switching between the muscle power assisting unit 80 providing assistance to the user and the autonomous operation mode enabling the user to freely operate. Depending on the position where the holder pin 86a and the pin hole 86b are coupled by the lever 83, the user's motion range may vary. The lever 83 can have any configuration to enable position adjustment of the case 81 . For example, the lever 83 may be a quick release (QR) lever located on the top of the case 81 .

센서(84)는 케이스(81)에 결합되어 케이스(81)의 회전각을 측정할 수 있다. The sensor 84 may be coupled to the case 81 to measure the rotation angle of the case 81 .

디스크 판(85)은 케이스(81) 내부에 위치하고 후술하는 홀더 핀(86a)이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복수 개의 핀 홀(86b)이 존재하여 케이스(81)와의 결합이 체결되는지 여부에 따라 케이스(81)에 후술하는 비틀림 스프링(87b)의 보조력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크 판(85)은 홀더 핀(86a)이 끼워질 수 있는 홀인 복수 개의 핀 홀(86b)이 형성된 원형 판 형상일 수 있다. 디스크 판(85)은 중심에 회전을 위한 중심축인 속이 빈 원기둥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디스크 판(85)의 원기둥 형상은 비틀림 스프링(87b)을 관통하며 결합되어, 비틀림 스프링(87b)의 토크를 케이스(81)에 전달할 수 있다.The disk plate 85 is located inside the case 81 and has a plurality of pin holes 86b into which holder pins 86a to be described later are selectively inserted, so that the case 81 ) may be provided with an auxiliary force of a torsion spring 87b to be described later. The disk plate 85 may have a circular plate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pin holes 86b, which are holes into which holder pins 86a can be inserted, are formed. The disk plate 85 may have a hollow cylindrical shape, which is a central axis for rotation, at the center. The cylindrical shape of the disc plate 85 passes through and is coupled to the torsion spring 87b, so that the torque of the torsion spring 87b can be transmitted to the case 81.

홀더 핀(86a)은 케이스(81)에 결합되어 케이스(81)로부터 돌출되며 케이스(81)를 디스크 판(85)과 결합되게 할 수 있다. 홀더 핀(86a)은 케이스(81)에 형성된 통공에 결합될 수 있는 직경을 지닌 기둥 형상일 수 있다. 홀더 핀(86a)은 케이스(81)로부터 돌출된 부분이 핀 홀(86b)에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지닐 수 있다. The holder pin 86a is coupled to the case 81, protrudes from the case 81, and allows the case 81 to be coupled to the disk plate 85. The holder pin 86a may be a pillar shape having a diameter capable of being coupled to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ase 81 . The holder pin 86a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ase 81 can be coupled to the pin hole 86b.

핀 홀(86b)은 디스크 판(85)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홀더 핀(86a)과의 결합에 의해 케이스(81)와 디스크 판(85)이 함께 구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pin hole 86b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disk plate 85 so that the case 81 and the disk plate 85 can be driven together by engagement with the holder pin 86a.

선형 스프링(87a)은 케이스(81) 내부에 위치하여, 케이스(81)를 탄성력으로 밀어낼 수 있다. 선형 스프링(87a)은 나선형으로 연장된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선형 스프링(87a)은 디스크 판(85)의 상부에 위치하여 케이스(81)를 레버(83)에 의해 제한되는 위치까지 밀어낼 수 있다.The linear spring 87a is located inside the case 81 and can push the case 81 with an elastic force. The linear spring 87a may be a spirally extended coil spring. The linear spring 87a is positioned above the disc plate 85 and can push the case 81 to a position limited by the lever 83.

비틀림 스프링(87b)은 디스크 판(85)에 결합되어 사용자에게 토크를 제공할 수 있다. 비틀림 스프링(87b)은 디스크 판(85)의 원기둥 형상에 의해 관통되며 결합되어 디스크 판(85)에 토크를 제공할 수 있다. 비틀림 스프링(87b)은 후술하는 스프링 홀더(88)에 의해 일측이 고정되고 디스크 판(85)에 의해 타측이 고정될 수 있다. The torsion spring 87b is coupled to the disc plate 85 to provide torque to the user. The torsion spring 87b may be penetrated by the cylindrical shape of the disk plate 85 and coupled thereto to provide torque to the disk plate 85 . One side of the torsion spring 87b may be fixed by a spring holder 88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other side may be fixed by a disc plate 85.

스프링 홀더(88)는 비틀림 스프링(87b)에 결합되어, 비틀림 스프링(87b)을 고정할 수 있다. 스프링 홀더(88)는 비틀림 스프링(87b)의 돌출된 말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스프링 홀더(88)는 결합판(82b)에 결합되어 비틀림 스프링(87b)의 돌출된 말단이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The spring holder 88 is coupled to the torsion spring 87b to fix the torsion spring 87b. The spring holder 88 may have a hexahedral shape in which a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protruding end of the torsion spring 87b can be coupled thereto. The spring holder 88 can be coupled to the coupling plate 82b to keep the protruding end of the torsion spring 87b in a fixed position.

축 부재(89)는 선형 스프링(87a)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케이스(81)가 축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축 부재(89)는 레버(83)와 결합될 수 있다. 축 부재(89)는 케이스(81)의 축회전의 중심이 될 수 있다. 축 부재(89)는 케이스(81)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된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축 부재(89)는 축회전의 중심이 될 수 있어 변형되지 않아야 하므로, 충분한 강성을 지닌 강철(Steel)과 같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만, 축 부재(89)의 형상 및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 및 재질을 가질 수 있다.The shaft member 89 is formed by penetrating the linear spring 87a and allows the case 81 to pivot. The shaft member 89 may be coupled with the lever 83. The shaft member 89 may be the center of shaft rotation of the case 81 . The shaft member 89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ase 81 . Since the shaft member 89 can be the center of shaft rotation and should not be deformed, it can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steel having sufficient rigidity. However, the shape and material of the shaft member 89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various shapes and materials.

도 6을 참조하면, 근력 보조부(80)의 모드전환이 케이스(81)의 이동에 의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레버(83)의 조작에 의해 케이스(81)가 도 6상에서 하방으로 이동할 경우, 케이스(81)에 결합된 홀더 핀(86a)이 디스크 판(85)의 핀 홀(86b)에 삽입되어 케이스(81)와 디스크 판(85)이 함께 구동할 수 있다. 디스크 판(85)에는 토크를 제공하는 비틀림 스프링(87b)이 결합되어 있기에 케이스(81)에 토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근력 보조 모드에 해당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it can be seen that the mode conversion of the muscle strength assisting unit 80 is performed by the movement of the case 81 . When the case 81 is moved downward in FIG. 6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83, the holder pin 86a coupled to the case 81 is inserted into the pin hole 86b of the disk plate 85 so that the case ( 81) and the disk plate 85 can be driven together. Since a torsion spring 87b providing torque is coupled to the disc plate 85, torque can be provided to the case 81. At this time, it may correspond to a muscle power assistance mode.

레버(83)의 조작에 의해 케이스(81)가 도 6상에서 상방으로 이동할 경우, 케이스(81)에 결합된 홀더 핀(86a)이 디스크 판(85)의 핀 홀(86b)에서 빠져나와 케이스(81)가 디스크 판(85)과 별개로 구동할 수 있다(도 7 참조). 즉, 디스크 판(85)에 결합된 비틀림 스프링(87b)의 토크가 케이스(81)에 전달되지 않는 바, 사용자는 어떠한 힘도 제공받지 않고 자유로이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자율 동작 모드에 해당할 수 있다.When the case 81 is moved upward in FIG. 6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83, the holder pin 86a coupled to the case 81 comes out of the pin hole 86b of the disk plate 85 and the case ( 81) can be driven separately from the disk plate 85 (see FIG. 7). That is, since the torque of the torsion spring 87b coupled to the disk plate 85 is not transmitted to the case 81, the user can operate freely without receiving any force. In this case, it may correspond to an autonomous operation mode.

도 8은 근력 보조부의 홀더 핀과 핀 홀의 결합되는 위치에 따른 사용자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the user's opera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holder pin and the pin hole of the muscle power assisting unit are coupled.

도 8을 참조하면, 레버(83)에 의해 홀더 핀(86a)과 핀 홀(86b)이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동작의 가동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movable range of the user's motion may vary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holder pin 86a and the pin hole 86b are coupled by the lever 83 .

예를 들어, 도 8(a)와 같이 팔 지지대(71)가 지면과 나란한 일방향에 위치할 때 홀더 핀(86a)과 핀 홀(86b)이 결합된 경우, 회전 축을 중심으로 상기 일방향에서 하방으로 이동할수록 비틀림 스프링(87b)에 의해 큰 토크를 받을 수 있다. 일방향에서 하방으로 최대 가동범위 각도만큼 축회전한 지점 까지의 범위가 사용자의 동작 가동범위가 될 수 있다. 최대 가동범위 각도는 비틀림 스프링(87b)의 탄성력 및 결합구조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a), when the arm support 71 is positioned in one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when the holder pin 86a and the pin hole 86b are coupled, downward in the one direction around the axis of rotation As it moves, a large torque can be received by the torsion spring 87b. A range from one direction to a point rotated downward by the maximum movable range angle may be the user's movable range. The maximum movable range angle may vary depending on the elastic force and coupling structure of the torsion spring 87b.

도 8(b)와 같이 지면과 약 45도의 각도를 이루는 타방향에서 홀더 핀(86a)과 핀 홀(86b)이 결합된 경우, 회전 축을 중심으로 상기 타방향에서 하방으로 이동할 수 록 비틀림 스프링(87b)에 의해 큰 토크를 받을 수 있다. 타방향에서 하방으로 최대 가동범위 각도만큼 축회전한 지점 까지의 범위가 사용자의 동작 가동범위가 될 수 있다. 최대 가동범위 각도는 비틀림 스프링(87b)의 탄성력 및 결합구조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8 (b), when the holder pin 86a and the pin hole 86b are coupled in the other direction forming an angle of about 45 degrees with the ground, the torsion spring can move downward in the other direction around the axis of rotation ( 87b) can receive a large torque. A range up to a point rotated downward by the maximum movable range angle from the other direction may be the user's movable range. The maximum movable range angle may vary depending on the elastic force and coupling structure of the torsion spring 87b.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e like, and this will also be sai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
10 프레임
20 높이 조절부
30 결합부
40 받침대
50 어깨 지지부
60 허리 고정부
70 팔 받침부
80 근력 보조부
1 Shoulder strength support wearable device
10 frames
20 height control part
30 joint
40 Pedestal
50 shoulder support
60 waist fixation
70 arm support
80 Muscular Support

Claims (12)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팔의 중력 방향으로의 하중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근력 보조부; 및
상기 근력 보조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팔을 받쳐주는 팔 받침부를 포함하는,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
frame;
Coupled to the frame, the muscle power assisting unit for selectively supporting the load of the user's arm in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Coupled to the muscle strength auxiliary unit, including an arm support for supporting the user's arm, shoulder muscle strength support wearable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근력 보조부는, 상기 근력 보조부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에게 근력을 지원하는 모드 및 자유롭게 동작할 수 있는 모드 상호간의 전환이 가능한,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uscle strength auxiliary unit, a shoulder muscle strength support wearable device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a mode that supports muscle strength to the user through manipulation of the muscle strength auxiliary unit and a mode that can be operated freel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사용자의 척추 방향을 따라 연장된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에 결합되어, 횡방향으로 연장된 횡방향 프레임을 포함하는,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rame,
A vertical frame extending along the direction of the user's spine and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including a transverse frame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houlder muscle strength support wearable devic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은 사용자의 신체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한,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vertical frame is adjustable in length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houlder strength support wearable devic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프레임은 상기 수직 프레임과 수직한 방향의 평면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transverse frame is rotatably coupled on a plan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frame, shoulder strength support wearable device.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목을 받쳐주는 목 받침대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의 타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
According to claim 3,
A neck support coupled to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and supporting the user's neck; and
Shoulder strength support wearable device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frame, further comprising a back support for supporting the user's back.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등 받침대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어깨에 멜 수 있도록 하는 어깨 지지부 및
상기 수직 프레임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허리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
According to claim 6,
A shoulder support coupled to the backrest so that the user can wear it on the shoulder, and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further comprising a waist fixing portion surrounding the user's waist. Shoulder strength support wearable devic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근력 보조부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로부터 돌출된 홀더 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홀더 핀이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복수 개의 핀 홀이 존재하는 디스크 판; 및
상기 디스크 판에 결합되어, 사용자에게 토크를 제공하는 비틀림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이동에 의해 상기 홀더 핀이 상기 핀 홀에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토크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muscle strength auxiliary unit,
a case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and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ame;
a holder pin coupled to the case and protruding from the case;
a disc plate located inside the case and having a plurality of pin holes into which the holder pins are selectively inserted; and
A torsion spring coupled to the disk plate and providing torque to the user;
Shoulder muscle strength support wearable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the torque of the torsion spring to the user when the holder pin is coupled to the pin hole by movement of the cas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근력 보조부는,
상기 비틀림 스프링에 결합되어, 상기 비틀림 스프링을 고정하는 스프링 홀더를 더 포함하는,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muscle strength auxiliary unit,
Is coupled to the torsion spring, further comprising a spring holder for fixing the torsion spring, shoulder muscle strength support wearable device.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근력 보조부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디스크 판의 연결을 단속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muscle strength auxiliary unit, including a lever for regulat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case and the disk plate, shoulder muscle strength support wearable device.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근력 보조부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케이스를 탄성력으로 밀어내는 선형 스프링 및
상기 선형 스프링을 관통하여 형성된 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는 상기 축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레버의 조절에 따라 상기 케이스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
According to claim 10,
The muscle strength auxiliary unit,
A linear spring located inside the case and pushing the case with an elastic force; and
It includes a shaft member formed through the linear spring,
The lever is coupled to the shaft member, the position of the cas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djustment of the lever, shoulder muscle strength support wearable device.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에 의해 상기 홀더 핀과 상기 핀 홀이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동작의 가동범위가 달라지는, 어깨 근력지원 웨어러블 장치.
According to claim 11,
Depending on the position where the holder pin and the pin hole are coupled by the lever, the range of motion of the user's motion is different, shoulder muscle strength support wearable device.
KR1020210114211A 2021-08-27 2021-08-27 Wearable device for assisting shoulder muscle of human KR10251009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211A KR102510091B1 (en) 2021-08-27 2021-08-27 Wearable device for assisting shoulder muscle of huma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211A KR102510091B1 (en) 2021-08-27 2021-08-27 Wearable device for assisting shoulder muscle of huma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1699A true KR20230031699A (en) 2023-03-07
KR102510091B1 KR102510091B1 (en) 2023-03-14

Family

ID=85502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211A KR102510091B1 (en) 2021-08-27 2021-08-27 Wearable device for assisting shoulder muscle of huma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09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59065A (en) * 2023-07-05 2023-10-10 中国环境科学研究院 Wearable automatic monitoring equipment for researching ecological system and species distribu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7620A (en) * 2010-06-16 2010-09-24 Univ Of Tsukuba Wearing type motion assis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72630A (en) * 2018-12-12 2020-06-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Wearable apparatus for assisting muscular strength
JP6738699B2 (en) * 2016-09-12 2020-08-12 サンコール株式会社 Upper arm assist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7620A (en) * 2010-06-16 2010-09-24 Univ Of Tsukuba Wearing type motion assis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738699B2 (en) * 2016-09-12 2020-08-12 サンコール株式会社 Upper arm assist device
KR20200072630A (en) * 2018-12-12 2020-06-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Wearable apparatus for assisting muscular strength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59065A (en) * 2023-07-05 2023-10-10 中国环境科学研究院 Wearable automatic monitoring equipment for researching ecological system and species distribution
CN116859065B (en) * 2023-07-05 2024-04-16 中国环境科学研究院 Wearable automatic monitoring equipment for researching ecological system and species distribu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0091B1 (en) 202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94516B2 (en) A device that supports both arms of the user
KR20210029079A (en) Waist Strength Assist Device and Wearable Robot including the same
KR2018005327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oskeleton support for human arm
US10870198B1 (en) Back exoskeleton to assist lifting
CN107847387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oskeleton coupling
KR102510091B1 (en) Wearable device for assisting shoulder muscle of human
KR20180123108A (en) Exoskeleton for a Human Being
US20220228710A1 (en) Gravity compensation mechanisms and methods
US20180272524A1 (en) Assist device
JP6283799B1 (en) Lumbar assist device
US20200078200A1 (en) Device for supporting at least one arm of a user
JP5426804B1 (en) Support device, motion support device, and strength training support device
CN105856194A (en) Bearing device for hip exoskeleton
US20140361059A1 (en) Weight transfer carrying device and method
US20230149245A9 (en) Neck Switch Device in a Passive Exoskeleton
JP6420737B2 (en) Work aid
JP2022535076A (en) Load compensator, especially for gravitational loads, applicable to exoskeletons
US20220062022A1 (en) Device for Compensating a Shoulder Elevation in a Passive Exoskeleton
US20180295998A1 (en) Dynamically adjustable arm lift (daal) accessory device
US20150028169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upport of optics
CN107970104B (en) Waist rotating mechanism
WO2007056828A1 (en) Carrier support harness
IT202000006076U1 (en) DEVICE FOR SUPPORTING AN EQUIPMENT MANEUVERED MANUALLY BY AN OPERATOR
IT202000025900A1 (en) DEVICE FOR SUPPORTING AN EQUIPMENT MANEUVERED MANUALLY BY AN OPERATOR
EP4173762A1 (en) Device and method for arrangement on a body comprising an essentially rotation-symmetric portion, and method for moving and/or manipulation of an object using th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