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0992A -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0992A
KR20230030992A KR1020210113322A KR20210113322A KR20230030992A KR 20230030992 A KR20230030992 A KR 20230030992A KR 1020210113322 A KR1020210113322 A KR 1020210113322A KR 20210113322 A KR20210113322 A KR 20210113322A KR 20230030992 A KR20230030992 A KR 20230030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counselor
consultation
contents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5904B1 (ko
Inventor
조재형
조형준
신양기
Original Assignee
(주)아이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쿱 filed Critical (주)아이쿱
Priority to KR1020210113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904B1/ko
Publication of KR20230030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3Score-carding, benchmarking or key performance indicator [KPI]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8Performance of employee with respect to a job fun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방법은, 시스템이, 의료상담자에 의해 선택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에 상담내용을 입력하는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이, 상기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상담내용과 상기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포함하는 의료상담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의료상담 콘텐츠를 피상담자에게 제공 및 해당 의료상담자와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의료상담자의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하여 각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RECOMMENDING MEDICAL CONSULTANT BASED MEDICAL CONSULTATION CONTENTS}
본 발명은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료상담 시 의료상담자가 생성한 의료상담 콘텐츠를 피상담자에게 제공하고, 그 의료상담 콘텐츠 분석을 통해 의료상담자를 추천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인구 증가와 함께 특정 질환을 가진 환자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바쁜 현대인은 특정 질병의 초기 증상이 나타나도 병원을 곧바로 찾지 않고, 만성적인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야 종합검진이나 진료를 위해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
또한, 진료를 위해서는 오프라인 병원을 찾아야 하는데, 자신의 증상에 맞는 병원이 어디인지 제대로 알지 못하고, 여러 병원을 전전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진료를 위해서는 환자가 오프라인 병원을 찾아야 하는데, 의료정보의 비대칭성 때문에 자신의 질환에 적합한 병원과 의사를 제대로 알지 못한 채 여러 병원에서 진찰을 받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즉, 환자는 자신의 질환에 적합한 의사에 대한 판단을 병원 방문 및 진료를 시작한 후에야 할 수 있어 병원 및 진료 받을 의사를 사전에 결정하는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주치의 제도가 시행되고 있지 않은 국내에서는 환자가 질병이 발생할 때 마다 새로운 의사를 직접 찾아야 하는 어려움과 불편함이 있다. 또한, 온라인 원격 진료 서비스에서도 특정 환자에게 맞는 의료상담자의 매칭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7712호(2012.08.28. 공고)의 '네트워크를 통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매칭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료상담 시 의료상담자가 생성한 의료상담 콘텐츠를 피상담자에게 제공하고, 그 의료상담 콘텐츠 분석을 통해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상담자의 의료상담자 추천 요청 시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하여 산출된 의료상담자 평가점수에 기초하여 의료상담자를 추천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방법은, 시스템이, 의료상담자에 의해 선택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에 상담내용을 입력하는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이, 상기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상담내용과 상기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포함하는 의료상담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의료상담 콘텐츠를 피상담자에게 제공 및 해당 의료상담자와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시스템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의료상담자의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하여 각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시스템은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검색을 위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리스트를 상기 의료상담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의료상담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에 상담 내용을 입력하는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상기 의료상담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각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시스템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의료상담자의 의료상담 콘텐츠를 각각 분석하여 각 의료상담자의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시스템이, 상기 산출된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에 기초하여 해당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각 의료상담자의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시스템이 상기 의료상담 콘텐츠의 열람률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각 의료상담자의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시스템이 상기 의료상담 콘텐츠를 분석하여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와 상담 내용을 추출하고, 상기 상담 내용에서 이미지, 문자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상기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와의 관련도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관련도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해당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시스템이 상기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를 해당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로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해당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시스템이 상기 피상담자로부터 상기 의료상담 콘텐츠에 대한 이해도 점수를 입력받고, 상기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에 상기 이해도 점수를 추가로 반영하여 상기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해당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시스템이 의료상담 받은 피상담자의 단말기로부터 설문조사 응답내역을 수신하고, 상기 의료상담자에 대한 설문조사 응답내역에 포함된 각 항목별로 점수를 부여하여 상기 의료상담자에 대한 진료 평가점수를 산출하며, 상기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에 상기 진료 평가점수를 추가로 반영하여 상기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하되, 상기 설문조사 응답내역은 의료상담자의 성별, 나이, 선호도, 서비스 만족도, 진료시간, 진료회수, 및 치료기간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각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이후, 피상담자 단말기로부터 피상담자 정보를 포함하는 의료상담자 추천 요청 신호 수신 시, 상기 피상담자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 카테고리에 속한 의료상담자들 중에서 평가점수가 높은 순으로 일정 개수의 의료상담자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의료상담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피상담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시스템은, 의료상담자에 의해 선택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에 상담내용을 입력하는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제공부, 상기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상담내용과 상기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포함하는 의료상담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의료상담 콘텐츠를 피상담자에게 제공 및 해당 의료상담자와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의료상담 콘텐츠 생성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의료상담자의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하여 각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의료상담자 평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의료상담자 평가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의료상담자의 의료상담 콘텐츠를 각각 분석하여 각 의료상담자의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에 기초하여 해당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의료상담자 평가부는, 상기 의료상담 콘텐츠의 열람률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의료상담자 평가부는, 상기 의료상담 콘텐츠를 분석하여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와 상담 내용을 추출하고, 상기 상담 내용에서 이미지, 문자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상기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와의 관련도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관련도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의료상담자 평가부는, 상기 피상담자로부터 상기 의료상담 콘텐츠에 대한 이해도 점수를 입력받고, 상기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에 상기 이해도 점수를 추가로 반영하여 상기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의료상담자 평가부는, 상기 피상담자의 단말기로부터 설문조사 응답내역을 수신하고, 상기 의료상담자에 대한 설문조사 응답내역에 포함된 각 항목별로 점수를 부여하여 상기 의료상담자에 대한 진료 평가점수를 산출하며, 상기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에 상기 진료 평가점수를 추가로 반영하여 상기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하되, 상기 설문조사 응답내역은 의료상담자의 성별, 나이, 선호도, 서비스 만족도, 진료시간, 진료회수, 및 치료기간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보 발명은 피상담자 단말기로부터 피상담자 정보를 포함하는 의료상담자 추천 요청 신호 수신 시, 상기 피상담자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상기 의료 카테고리에 속한 의료상담자들 중에서 평가점수가 높은 순으로 일정 개수의 의료상담자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의료상담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피상담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의료상담자 추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더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방법 및 시스템은, 의료상담 시 의료상담자가 생성한 의료상담 콘텐츠를 피상담자에게 제공하고, 그 의료상담 콘텐츠 분석을 통해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하며, 산출된 의료상담자 평가점수에 기초하여 의료상담자를 추천함으로써, 피상담자가 병원에 방문하기 전에 자신의 질환에 적합한 의사를 추천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방법 및 시스템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의료상담자가 피상담자를 상담 시 상담을 보조할 수 있는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시각화된 이미지로 제공하여 의료상담을 보조함으로써, 피상담자의 이해를 도와 의료상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방법 및 시스템은,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상에 의료상담자가 상담 내용을 손쉽고 효과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성된 의료상담 콘텐츠를 환자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공유함으로써, 의료상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 전체에서 의료상담자는 의사, 약사, 한의사, 수의사 등과 같은 의료관련 자격증을 구비하고 환자를 관리할 수 있거나, 각종 의학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대학교수, 의료 분야의 연구원과 같은 전문회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의료상담자는 의학적 진료와 처방 그리고 상담을 제공할 수 있는 의료기관, 의료학적 처방에 따른 각종 약물을 제공할 수 있는 제약사, 국가가 운영 및/또는 민간이 운영하는 보험사를 포함할 수 있다. 피상담자는 의료상담자에게 의학적 지식 및 의료학적 처방을 받을 수 있는 환자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시스템은 단말기(100) 및 서비스 제공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외부서버(미도시)로부터 의료상담 및 추천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하고, 의료상담 및 추천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의료상담 보조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의료상담 및 추천 프로그램은 환자 진료 시 환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상담에 필요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조회하고, 해당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상에 필기 등을 통해 정보를 의료상담자가 입력할 수 있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의료상담용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러한 의료상담 및 추천 프로그램은, 예방 의학적 성격의 의료 정보, 환자에게 질병 등에 관한 정보, 외과적 치료법, 약물 복용법 및 부작용 등 환자가 본인의 질병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정보를 정확히 전달할 수 있다. 의료상담 및 추천 프로그램은, 통신망을 통해 외부서버(미도시)로부터 단말기(100)에 수신(다운로드)되고, 단말기(100)에 설치되어, 특정한 실행 명령에 따라 단말기(100)에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서버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될 수 있고,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의료상담 및 추천 프로그램의 다운로드를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의료상담 및 추천 프로그램은 각 의료상담자에 의해 생성된 의료상담 콘텐츠 분석을 통해 각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하고, 피상담자 정보를 포함하는 의료상담자 추천 요청 수신 시, 의료상담자 평가점수에 기초하여 의료상담자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의료상담 및 추천 프로그램은 로그인을 통해 접속한 접속자 정보에 기초하여 접속자가 의료상담자, 피상담자 등인지 구분할 수 있고, 접속자의 성격에 따라 개별적으로 미리 설정된 정보 공개 범위를 바탕으로 상이한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의료상담 및 추천 프로그램은 접속자의 성격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개의 의료상담 및 추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의료상담 및 추천 프로그램은 상담자와 피상담자에게 적합하고 서로 구분되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100)는, 의료상담 및 추천 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인 스마트 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태블릿 PC(tablet PC),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및 스마트 글라스(smart glas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고정형 단말인 데스크 탑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울트라북(ultrabook)과 같은 퍼스널 컴퓨터 등과 같이 유/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의료상담 및 추천 프로그램이 설치된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의료상담 및 추천 프로그램이 설치된 단말기(100)는, 사용하는 주체에 따라서 그 역할이 구분될 수 있다. 즉, 단말기(100)는 의료상담자 단말기(110) 및 피상담자 단말기(120)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의료상담자 단말기(110)는, 의료상담자가 피상담자에게 의료상담을 진행할 때 필요한 정보들을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의료상담자 단말기(110)는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상담에 적합하게 표시하여 상담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의료상담자 단말기(110)는 상담 내용을 효과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담 내용이 추가된 의료상담 콘텐츠를 생성하여 피상담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피상담자 단말기(120)는 의료상담 내용을 포함하는 의료상담 콘텐츠를 의료상담자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피상담자의 입력에 따라 필요 시 수신된 의료상담 콘텐츠를 출력하여, 피상담자의 진료 기억을 상기시키고 이후 의료 사고 발생 시 사고에 대한 근거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피상담자 단말기(120)는 피상담자 정보를 포함하는 의료상담자 추천 요청 신호를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피상담자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상담자를 추천받을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작성한 작성자 단말기(미도시)로부터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수신하여 등록하고, 이후 의료상담자가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요청할 경우 해당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요청한 의료상담자로부터 해당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에 대한 소정의 대가를 받은 후 적어도 일부를 작성자에게 분배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의료상담자가 필요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검색하는 보조 콘텐츠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의료상담자가 선택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전송하여 의료상담자 단말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피상담자 계정과 매칭하여 의료상담 콘텐츠, 의료관련 데이터 또는 전자의무기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상담내용과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포함하는 의료상담 콘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의료상담 콘텐츠를 해당 의료상담자와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함은 물론, 피상담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각 의료상담자의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하여 각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220)로부터 각 의료상담자의 의료상담 콘텐츠를 추출하고, 추출된 의료상담 콘텐츠를 각각 분석하여 각 의료상담자의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에 기초하여 해당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해당 의료상담자와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피상담자 단말기(120)로부터 피상담자 정보를 포함하는 의료상담자 추천 요청 신호 수신 시, 피상담자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의료 카테고리에 속한 의료상담자들 중에서 평가점수가 높은 의료상담자를 피상담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의료상담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의료상담자 단말기(110)에서 의료상담 콘텐츠를 생성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의료상담자 추천 시스템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의료상담자가 피상담자를 상담 시 상담을 보조할 수 있는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시각화된 이미지로 제공하여 의료상담을 보조함으로써, 피상담자의 이해를 도와 의료상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의료상담자 추천 시스템은, 의료상담 시 의료상담자가 생성한 의료상담 콘텐츠를 피상담자에게 제공하고, 그 의료상담 콘텐츠 분석을 통해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하며, 산출된 의료상담자 평가점수에 기초하여 의료상담자를 추천함으로써, 피상담자가 병원에 방문하기 전에 자신의 질환에 적합한 의사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의료상담자 추천 시스템은 다양한 정보들과 다양한 데이터 형식을 가지는 의료관련 데이터를 의료상담에 적합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로 가공하여, 의료상담자가 피상담자를 진료 시 보조 정보로 활용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의료상담자 추천 시스템은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상에 의료상담자가 상담 내용을 손쉽고 효과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성된 의료상담 콘텐츠를 환자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공유함으로써, 의료상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의료상담자 추천 시스템을 단말기(100)와 서비스 제공 서버(2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의료상담 추천 시스템은 단말기(100)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서비스 제공 서버(200)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의료상담 추천 시스템이 단말기(100)만을 포함하는 경우, 단말기(100)는 도 1에서 설명한 단말기(100)와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동작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기(100)는 의료상담 시 의료상담자가 생성한 의료상담 콘텐츠를 피상담자에게 제공하고, 그 의료상담 콘텐츠 분석을 통해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하며, 산출된 의료상담자 평가점수에 기초하여 의료상담자를 추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의료상담 추천 시스템이 서비스 제공 서버(200)만을 포함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도 1에서 설명한 단말기(100)와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동작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의료상담 시 의료상담자가 생성한 의료상담 콘텐츠를 피상담자에게 제공하고, 그 의료상담 콘텐츠 분석을 통해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하며, 산출된 의료상담자 평가점수에 기초하여 의료상담자를 추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의료상담자 추천 시스템은 단말기(100)만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서비스 제공 서버(200)만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의료상담자 추천 시스템은 '시스템'으로 칭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의료상담 추천 시스템이 단말기(100)와 서비스 제공 서버(200)를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저장부(140), 촬영부(150), 마이크(160), 스피커(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통신망과 연동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 단말기(100)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110)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 및 외부서버 등과 통신하여,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및 의료상담 콘텐츠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의료상담 콘텐츠를 외부 프린터로 전송하여, 의료상담 콘텐츠를 오프라인 출력물로 프린팅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의료상담자 추천 요청 신호를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의료상담자를 추천받을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근거리 통신모듈, 무선 통신모듈, 이동통신 모듈, 유선 통신모듈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상담 내용을 입력받아 의료상담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단말기(10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구성이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30)는 의료상담 및 추천 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및 의료상담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의료상담 콘텐츠를 작성하기 위한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20)로도 동작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제공하면서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받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입력부(120) 상에 디스플레이부(130)가 결합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기(100)는 터치 스크린의 터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출력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필기를 터치 입력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단말기(10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저장부(140)는 공지된 저장매체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ROM, PROM, EPROM, EEPROM, RAM 등과 같이 공지된 저장매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40)에는 의료상담 및 추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촬영부(150)는 진료 및 의료상담 과정들을 촬영하여 상담내용을 영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촬영부(150)는 단말기(100)의 전면 또는/및 후면에 배치되어 배치된 방향측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촬영부(150)는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상담자 또는/및 피상담자와 떨어진 외부 시점에서 진료 과정을 촬영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통신부(110)를 통해 제어부(180)로 촬영한 진료 과정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촬영부(150)는 예컨대, 카메라일 수 있다.
마이크(160)는 의료상담자와 피상담자의 음성 입력을 감지하여, 상담내용을 포함하는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스피커(170)는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나, 의료상담 콘텐츠에 포함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의료상담 및 추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술한 각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단말기(100)를 사용하는 주체에 따라서 그 역할이 구분될 수 있다.
먼저, 의료상담자가 단말기(100)를 사용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조회하고, 해당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상에 필기 등을 통해 상담내용을 의료상담자가 입력할 수 있는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상담내용을 통신부(110)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는 의료상담자 단말기(110)의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표시된 의료상담 보조 이미지 상에 의료상담자가 필기, 음성, 편집 또는 영상을 입력하도록 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는, 의료상담 보조 이미지 상에 사용자의 필기입력을 감지하는 필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의료상담 보조 이미지를 표시하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하여, 의료상담자 단말기(110)는 입력부(120)와 디스플레이부(130)가 합쳐진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은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가 의료상담자 단말기(110)의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된 경우, 의료상담자는 도 4와 같이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상(A)에 필기를 통해 상담내용(B)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하여 녹음된 상담음성을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와 매칭함으로써 상담 내용을 입력하는 음성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는 라이브 클리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라이브 클리닉 기능은 의료상담자의 필기 과정을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필기 과정에서 녹음한 음성을 결합하여, 애니메이션으로 의료상담 콘텐츠를 생성하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의료상담자가 라이브 클리닉 기능을 실행하면, 이후 의료상담자에 의해 입력되는 필기 데이터들은 시간의 순서에 따라 저장되고, 상담 음성들도 필기 데이터와 같이 시간의 순차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담 화면도 시간의 순서에 따라 저장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라이브 클리닉 기능을 이용하여 생성된 의료상담 콘텐츠를 출력하면, 시간에 따라 진행하는 필기 과정이 애니메이션 형태로 의료상담자 단말기(110)의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고, 이와 더불어 녹음된 상담 음성이 스피커(17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라이브 클리닉 기능은, 의료상담에 대한 정보를 좀더 풍부하고 현실감 있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는 의료상담자와 피상담자를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와 매칭함으로써 상담 내용을 입력하는 영상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피상담자가 단말기(120)를 사용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통신부를 통해 의료상담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받은 의료상담자 추천 요청 신호를 통신부(110)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의료상담자 추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80)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연산 장치는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160)로 컨트롤러 칩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통신부(210), 데이터베이스(220),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제공부(230), 의료상담 콘텐츠 생성부(240), 의료상담자 평가부(250), 의료상담자 추천부(260), 저장부(270) 및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통신망과 연동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 단말기(100)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210)는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단말기(100)에 제공하고, 단말기(100)로부터 상담내용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단말기(100)로부터 의료상담자 추천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의료상담자 추천 정보를 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20)는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2), 의료상담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24), 피상담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26)를 포함할 수 있다.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2)는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들을 검색 가능하게 저장할 수 있다.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2)에는 피상담자에게 질병 교육, 식이 요법이나 운동 요법의 교육을 위한 데이터와 각종 질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진단적 수술, 근치적 수술, 예방적 수술, 완화적 수술 등 각종 수술 방법을 포함하는 콘텐츠, 수술에 따른 부작용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각종 치료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등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2)는, 질병진단 콘텐츠, 치료방법 콘텐츠, 약물상담 콘텐츠가 일련의 순서로 통합된 특정질병에 대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의료상담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24)는 의료상담 및 추천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의료상담자에 대한 정보, 각 의료상담자가 상담한 피상담자 정보, 각 의료상담자가 생성한 의료상담 콘텐츠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의료상담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24)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웹사이트 또는 소셜사이트로부터 의사에 대한 질환별 전문 치료분야, 경력 및 진료실적에 대한 정보, 그리고 병의원 정보(위치정보, 사진 및 동영상)를 빅데이터 기법을 통해 분석하여 의료 카테고리별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의료상담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24)는 의료상담자 평가부(250)에서 산출된 각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피상담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26)는 피상담자의 의료정보, 예컨대, 환자 나이, 환자 성별, 인종, 혈액형, 이전 질병 내역, 치료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피상담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26)는 환자 개인이 집에서 측정한 환자의 체중, 혈당, 혈압 등을 포함하는 전자의료기록(HER)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제공부(230)는 의료상담자 단말기(110)에 의해 선택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에 상담내용을 입력하는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의료상담자 단말기(11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의료상담자가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면,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제공부(230)는 선택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에 상담 내용을 입력하는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의료상담자 단말기(110)에 제공할 수 있다.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는 의료관련 이미지, 동영상, 애니메이션 또는 텍스트들의 조합으로 형성되어, 의료상담자 단말기(11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어 의료상담을 보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는 의료상담을 보조하기 위한 시청각 자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시청각 자료는 질병진단 콘텐츠, 치료방법 콘텐츠, 약물상담 콘텐츠, 진료비용 콘텐츠, 보험 정보 콘텐츠, 서명 콘텐츠, 기타 콘텐츠 및 전술한 콘텐츠들을 통합한 의료상담 콘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에는, 신체기관 이미지, 질병 정보, 치료법 이미지, 치료법 정보, 약물 복약방법, 약물 정보 및 보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나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의료상담 콘텐츠를 작성하는데 사용되는 청각 정보도 보조로 포함될 수 있다.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는 의료상담자 단말기(110)의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표시된 의료상담 보조 이미지 상에 의료상담자가 필기, 음성, 편집 또는 영상을 입력하도록 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의료상담 콘텐츠 생성부(240)는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상담내용과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포함하는 의료상담 콘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의료상담 콘텐츠를 해당 의료상담자와 매칭시켜 의료상담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24)에 저장 및 피상담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의료상담 콘텐츠는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상에 의료상담자에 의해 입력된 상담내용이 추가되어 생성된 콘텐츠일 수 있다. 즉, 의료상담 콘텐츠는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와 상담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의료상담 콘텐츠 생성을 위해, 의료상담자 단말기(110)에서는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들로 구성된 의료상담 콘텐츠 작성 화면이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와 함께 제공되고,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기초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상에 상담내용이 입력되어 의료상담 콘텐츠가 생성될 수 있다.
다만,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가 인터랙션 콘텐츠이거나, 움직임이 있는 콘텐츠인 경우, 상담 내용을 입력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의 경우에는,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의 일 장면을 보조 이미지로 캡쳐한 후 캡쳐된 보조 이미지 상에 상담 내용이 입력될 수 있다.
의료상담 콘텐츠 생성부(240)는 다양한 방식의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상담 내용과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매칭시켜 의료상담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의료상담 콘텐츠 생성부(240)는 생성된 의료상담 콘텐츠를 그 의료상담 콘텐츠를 생성한 의료상담자와 매칭시켜 의료상담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24)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의료상담 콘텐츠 생성부(240)는 생성된 의료상담 콘텐츠를 피상담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의료상담 콘텐츠 생성부(240)는 의료상담 콘텐츠를 피상담자와 관련된 소셜 네트워크, 메일, 휴대 단말기에서 취급하는 메시지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의료상담 콘텐츠 생성부(240)는 의료상담 콘텐츠를 별도의 각 피상담자에 대한 개인건강기록 클라우드(personal health record cloud)를 구비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의료상담 콘텐츠 생성부(240)는 의료상담 콘텐츠를 프린터 기기로 전송하여, 프린터 기기가 수신된 의료상담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의료상담 콘텐츠는 문자, 이메일, 각 피상담자별 개인건강기록 클라우드 및 소셜 네트워크의 공유를 통하여 자신의 진료 정보를 공개할 수 있어, 피상담자는 개인건강기록 클라우드를 통해 언제든지 자신의 진료 상담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나아가 소셜 네트워크 상의 주변인으로부터 자신의 진료 상담에 기초가 된 의료 정보를 보강하기 위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피상담자는 출력된 의료상담 콘텐츠를 전달 받을 수 있으므로, 상담 내용을 오랫동안 기억할 수 있고, 상담자로부터 전달 받은 정보를 수시로 확인 및 약물 기기 사용법이나 주의 사항 등을 쉽게 상기할 수 있다.
의료상담 콘텐츠 생성부(240)는 생성된 의료상담 콘텐츠를 용도에 맞게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료상담 콘텐츠 생성부(240)는 의료상담 콘텐츠를 오프라인으로 피상담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출력용 의료상담 콘텐츠로 편집할 수 있다. 출력용 의료상담 콘텐츠로 변환하기 위해, 의료상담 콘텐츠 생성부(240)는 순차적으로 입력된 필기를 최종 단계의 필기상태로 변환할 수 있으며, 녹음된 상담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표시할 수 있고, 애니메이션이나 동영상이 포함된 경우 주요 이미지를 캡쳐하여 일련의 프로세스 이미지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의료상담 콘텐츠 생성부(240)는 의료상담 콘텐츠를 공유용 의료상담 콘텐츠로 변환할 수 있다. 의료상담 콘텐츠 생성부(240)는 의료상담 콘텐츠를 타인에게 공유하기 위해, 의료상담 콘텐츠에 포함된 사생활 내용이나 불필요한 내용을 편집하여 공유용 의료상담 콘텐츠로 변환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상담 콘텐츠 생성부(240)는 특정 구간의 녹음 음성을 묵음 처리하거나, 피상담자 프라이버시 필기 내용을 삭제하는 편집을 수행하고, 불필요한 콘텐츠 화면을 삭제하도록 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공유용 의료상담 콘텐츠를 손쉽게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공유용 의료상담 콘텐츠는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되어 추후 다른 피상담자가 동일한 질병인 경우 공유용 의료상담 콘텐츠를 표시하여, 좀더 손쉽게 상담을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의료상담 콘텐츠 생성부(240)는 의료상담 콘텐츠를 편집하여 시판 후 조사를 위한 콘텐츠로 변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의료상담 콘텐츠 생성부(240)는 설문작성 화면, 서명작성 화면만을 포함하여 시판 후 조사 콘텐츠로 생성할 수 있다.
의료상담 콘텐츠가 완성되면, 의료상담 콘텐츠 생성부(240)는 생성된 의료상담 콘텐츠를 피상담자에게 온/오프라인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의료상담자 평가부(250)는 의료상담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24)에 저장된 각 의료상담자의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하여 각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의료상담자 평가부(250)는 의료상담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24)로부터 각 의료상담자의 의료상담 콘텐츠를 추출하고, 추출된 각 의료상담자의 의료상담 콘텐츠를 분석하여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의료상담자 평가부(250)는 의료상담 콘텐츠의 열람률에 기초하여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열람률은 열람횟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의료상담자에 의해 생성된 제1 내지 제3 의료상담 콘텐츠 중에서, 제1 의료상담 콘텐츠의 열람률이 '10', 제2 의료상담 콘텐츠의 열람률이 '2', 제3 의료상담 콘텐츠의 열람률이 '5'인 경우, 의료상담자 평가부(250)는 (10+2+5=17)을 제1 의료상담자의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로 산출할 수 있다.
열람률에 기초하여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 산출 시, 의료상담자 평가부(250)는 최근을 기준으로 일정 기간 동안의 열람률에 기초하여 의료상담 콘텐츠의 평가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의료상담자 평가부(250)는 의료상담 콘텐츠를 분석하여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와 상담 내용을 추출하고, 상담 내용에서 이미지, 문자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와의 관련도를 산출하며, 산출된 관련도에 기초하여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를 산출할 수도 있다. 이때, 의료상담자 평가부(250)는 OCR(광학문자인식,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을 이용하여 의료상담 콘텐츠에서 문자를 추출할 수 있다. 그런 후, 의료상담자 평가부(250)는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데이터베이스(222)로부터 해당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와 매핑된 색인어들을 추출하고, 의료상담 콘텐츠에서 추출된 문자와 추출된 색인어의 유사도를 산출하며, 산출된 유사도를 관련도로 산출할 수 있다. 음성이 추출된 경우, 의료상담자 평가부(250)는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고, 변환된 문자와 추출된 색인어의 유사도를 산출하며, 산출된 유사도를 관련도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의료상담자 평가부(250)는 검증된 전문가들에게 의료상담 콘텐츠에 대한 신뢰도 점수를 수신하여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를 산출할 수도 있다.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가 산출되면, 의료상담자 평가부(250)는 산출된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에 기초하여 해당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의료상담자 평가부(250)는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를 해당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로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의료상담자 평가부(250)는 현재를 기준으로 현재와 가까운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의료상담자 평가부(250)는 피상담자로부터 의료상담 콘텐츠에 대한 이해도 점수를 입력받고,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에 이해도 점수를 추가로 반영하여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의료상담자 평가부(250)는 의료상담 콘텐츠와 이해도 점수를 합연산하여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의료상담자 평가부(250)는 의료상담 받은 피상담자의 단말기(120)로부터 설문조사 응답내역을 수신하고, 의료상담자에 대한 설문조사 응답내역에 포함된 각 항목별로 점수를 부여하여 의료상담자에 대한 진료 평가점수를 산출하며,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에 진료 평가점수를 추가로 반영하여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설문조사 응답내역은 의료상담자의 성별, 나이, 선호도, 서비스 만족도, 진료시간, 진료회수, 및 치료기간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의료상담자 평가부(250)는 산출된 의료상담자 평가점수를 의료상담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24)에 해당 의료상담자와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의료상담자 추천부(260)는 피상담자 단말기(120)로부터 피상담자 정보를 포함하는 의료상담자 추천 요청 신호 수신 시, 피상담자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결정된 의료 카테고리에 속한 의료상담자들 중에서 평가점수가 높은 순으로 의료상담자를 선택하며, 선택된 의료상담자를 포함하는 추천 정보를 피상담자 단말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피상담자 정보는 환자의 질환, 처방전, 건강검진 내역, 관심의료 질의내역, 진단서, 환자의 위치, 병의원의 위치 또는 성별(남의사 또는 여의사)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천 정보는 피상담자 정보와 대응하는 의료상담자의 내역을 평가점수의 상위점수 순으로 나열한 내역과, 해당 의료상담자가 근무하는 병의원 정보(연락처, 사진,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의료상담자 추천부(260)는 피상담자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한 요청정보와 대응하는 의료상담자의 내역을 평가점수의 상위점수 순으로 나열한 내역과, 해당 의료상담자가 근무하는 병의원 정보(연락처, 사진, 위치)를 포함하는 추천정보를 의료상담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24)로부터 색인하여 피상담자 단말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의료상담자 추천부(260)는 피상담자가 앓고 있는 질환에 대한 치료이력 데이터를 토대로 질환에 적합한 의료상담자 내역을 제공함으로써, 단말기(100)를 통해 병원에 방문하기 전에 자신의 질환에 적합한 의료상담자를 추천받을 수 있다.
저장부(270)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동작과 관련된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구성이다. 특히, 저장부(270)에는 의료 상담 및 추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제공부(230), 의료상담 콘텐츠 생성부(240), 의료상담자 평가부(250), 및 의료상담자 추천부(260)는 컴퓨팅 장치상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각각 구현될 수 있다. 이처럼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제공부(230), 의료상담 콘텐츠 생성부(240), 의료상담자 평가부(250), 및 의료상담자 추천부(260)는 물리적으로 독립된 각각의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프로세서 내에서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280)는 통신부(210), 데이터베이스(220),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제공부(230), 의료상담 콘텐츠 생성부(240), 의료상담자 평가부(250), 의료상담자 추천부(260), 저장부(270)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다양한 구성부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적어도 하나의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연산 장치는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의료상담자 단말기(110)는 의료상담 및 추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접속한다(S602). 의료상담자 단말기(110)에서 의료상담 및 추천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피상담자인 환자들의 개인정보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의료상담자 단말기(110)는 의료상담자의 병원에 등록된 피상담자 리스트 또는 금일 의료상담을 진행할 피상담자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으며, 환자 이름 등을 통해 의료상담자는 피상담자 리스트에서 상담할 피상담자 개인정보들을 검색/검출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의료상담자 단말기(110)는 상담할 피상담자 개인정보를 검출하면 피상담자에 대한 상담을 진행하며, 이후 상담 진행 중 사용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나 의료상담 콘텐츠 등은 피상담자 개인정보와 매칭되어 피상담자 단말기(120) 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의료상담자 단말기(110)는 피상담자 개인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전송하여, 피상담자 개인정보에 매칭된 상담에 필요한 정보들을 가져올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상담자 단말기(110)는 피상담자가 이전 상담한 상담내용을 포함하는 의료상담 콘텐츠나, 상담시 사용했던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피상담자의 전자의무기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서버는 상담할 피상담자의 개인정보가 등록되면, 피상담자의 개인정보에 매칭하여 의료상담에 필요한 의료관련 정보들을 모두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이후 의료상담 시 이를 제공하여 의사나 병원이 바뀌더라도 진료의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
S602 단계가 수행되면, 의료상담자 단말기(110)는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검색하여,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선택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한다(S604). 즉, 의료상담자 단말기(110)가 의료상담 및 추천 프로그램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접속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의료상담자에게 필요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검색하는 보조 콘텐츠 검색 기능을 제공하고, 의료상담자는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들 중에서 원하는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의료상담자 단말기(110)는 선택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및 의료상담자 단말기 식별정보 등을 포함하는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선택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S604 단계가 수행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의료상담자 단말기(110)에 의해 선택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에 상담내용을 입력하는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의료상담자 단말기(110)에 제공한다(S606).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는 표시된 의료상담 보조 이미지 상에 상담자가 필기, 음성, 편집 또는 영상을 입력하도록 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가 인터랙션 콘텐츠이거나 움직임이 있는 콘텐츠인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전에,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정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의료상담 보조 이미지 상에 상담 내용을 필기 입력으로 받는 필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하여 녹음된 상담음성을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와 매칭함으로써 상담 내용을 입력하는 음성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라이브 클리닉 기능의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와 매칭함으로써 상담 내용을 입력하는 영상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S606 단계가 수행되면, 의료상담자 단말기(110)는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S608),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담내용이 입력되면(S610), 의료상담자 단말기(110)는 상담 내용이 입력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포함하는 상담내용 입력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한다(S612). 즉, 의료상담자는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담 내용을 입력할 수 있고, 의료상담자 단말기(110)는 상담내용 및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포함하는 상담내용 입력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S612 단계가 수행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상담내용과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포함하는 의료상담 콘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의료상담 콘텐츠를 해당 의료상담자와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224)에 저장한다(S614).
S614 단계가 수행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생성된 의료상담 콘텐츠를 피상담자에게 제공한다(S616).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의료상담 콘텐츠를 피상담자와 관련된 소셜 네트워크, 메일, 휴대 단말기에서 취급하는 메시지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의료상담 콘텐츠를 별도의 각 피상담자에 대한 개인건강기록 클라우드(personal health record cloud)를 구비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의료상담 콘텐츠를 프린터 기기로 전송하여, 프린터 기기가 수신된 의료상담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S616 단계의 수행 후,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의료상담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24)에 저장된 각 의료상담자의 의료상담 콘텐츠를 각각 분석하여 각 의료상담자의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를 산출한다(S618).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의료상담 콘텐츠의 열람률에 기초하여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의료상담 콘텐츠를 분석하여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와 상담 내용을 추출하고, 상담 내용에서 이미지, 문자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와의 관련도를 산출하며, 산출된 관련도에 기초하여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를 산출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검증된 전문가들에게 의료상담 콘텐츠에 대한 신뢰도 점수를 수신하여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를 산출할 수도 있다.
S618 단계가 수행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산출된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에 기초하여 해당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하여 저장한다(S620). 즉,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를 해당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로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현재를 기준으로 현재와 가까운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피상담자로부터 의료상담 콘텐츠에 대한 이해도 점수를 입력받고,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에 이해도 점수를 추가로 반영하여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의료상담 받은 피상담자의 단말기(120)로부터 설문조사 응답내역을 수신하고, 의료상담자에 대한 설문조사 응답내역에 포함된 각 항목별로 점수를 부여하여 의료상담자에 대한 진료 평가점수를 산출하며,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에 진료 평가점수를 추가로 반영하여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산출된 의료상담자 평가점수를 의료상담자 정보 데이터베이스(224)에 해당 의료상담자와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S620 단계의 수행 후, 피상담자 단말기(120)가 피상담자 정보를 포함하는 의료상담자 추천 요청 신호를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면(S622),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피상담자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 카테고리를 결정하고(S624), 결정된 의료 카테고리에 속한 의료상담자들 중에서 평가점수가 높은 순으로 일정 개수의 의료상담자를 선택하며(S626), 선택된 의료상담자를 포함하는 추천 정보를 피상담자 단말기(120)로 전송한다(S628). 여기서, 피상담자 정보는 환자의 질환, 처방전, 건강검진 내역, 관심의료 질의내역, 진단서, 환자의 위치, 병의원의 위치 또는 성별(남의사 또는 여의사)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천 정보는 피상담자 정보와 대응하는 의료상담자의 내역을 평가점수정보의 상위점수 순으로 나열한 내역과, 해당 의료상담자가 근무하는 병의원 정보(연락처, 사진,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방법 및 시스템은, 의료상담 시 의료상담자가 생성한 의료상담 콘텐츠를 피상담자에게 제공하고, 그 의료상담 콘텐츠 분석을 통해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하며, 산출된 의료상담자 평가점수에 기초하여 의료상담자를 추천함으로써, 피상담자가 병원에 방문하기 전에 자신의 질환에 적합한 의사를 추천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방법 및 시스템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의료상담자가 피상담자를 상담 시 상담을 보조할 수 있는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시각화된 이미지로 제공하여 의료상담을 보조함으로써, 피상담자의 이해를 도와 의료상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방법 및 시스템은,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상에 의료상담자가 상담 내용을 손쉽고 효과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성된 의료상담 콘텐츠를 환자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공유함으로써, 의료상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단말기
110, 2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270 : 저장부
150 : 촬영부
160 : 마이크
170 : 스피커
180, 280 : 제어부
200 : 서비스 제공 서버
220 : 데이터베이스
230 :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제공부
240 : 의료상담 콘텐츠 생성부
250 : 의료상담자 평가부
260 : 의료상담자 추천부

Claims (16)

  1. 시스템이, 의료상담자에 의해 선택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에 상담내용을 입력하는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시스템이, 상기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상담내용과 상기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포함하는 의료상담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의료상담 콘텐츠를 피상담자에게 제공 및 해당 의료상담자와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시스템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의료상담자의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하여 각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시스템은,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검색을 위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리스트를 상기 의료상담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의료상담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에 상담 내용을 입력하는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상기 의료상담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시스템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의료상담자의 의료상담 콘텐츠를 각각 분석하여 각 의료상담자의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시스템이, 상기 산출된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에 기초하여 해당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의료상담자의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의료상담 콘텐츠의 열람률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의료상담자의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의료상담 콘텐츠를 분석하여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와 상담 내용을 추출하고, 상기 상담 내용에서 이미지, 문자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상기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와의 관련도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관련도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를 해당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피상담자로부터 상기 의료상담 콘텐츠에 대한 이해도 점수를 입력받고, 상기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에 상기 이해도 점수를 추가로 반영하여 상기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시스템은 의료상담 받은 피상담자의 단말기로부터 설문조사 응답내역을 수신하고, 상기 의료상담자에 대한 설문조사 응답내역에 포함된 각 항목별로 점수를 부여하여 상기 의료상담자에 대한 진료 평가점수를 산출하며, 상기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에 상기 진료 평가점수를 추가로 반영하여 상기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하되,
    상기 설문조사 응답내역은 의료상담자의 성별, 나이, 선호도, 서비스 만족도, 진료시간, 진료회수, 및 치료기간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이후,
    피상담자 단말기로부터 피상담자 정보를 포함하는 의료상담자 추천 요청 신호 수신 시, 상기 피상담자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 카테고리에 속한 의료상담자들 중에서 평가점수가 높은 순으로 일정 개수의 의료상담자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의료상담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피상담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방법.
  10. 의료상담자에 의해 선택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에 상담내용을 입력하는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제공부;
    상기 의료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상담내용과 상기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포함하는 의료상담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의료상담 콘텐츠를 피상담자에게 제공 및 해당 의료상담자와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의료상담 콘텐츠 생성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의료상담자의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하여 각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의료상담자 평가부
    를 포함하는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상담자 평가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각 의료상담자의 의료상담 콘텐츠를 각각 분석하여 각 의료상담자의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에 기초하여 해당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상담자 평가부는,
    상기 의료상담 콘텐츠의 열람률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상담자 평가부는,
    상기 의료상담 콘텐츠를 분석하여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와 상담 내용을 추출하고, 상기 상담 내용에서 이미지, 문자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여 상기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와의 관련도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관련도에 기초하여 상기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상담자 평가부는,
    상기 피상담자로부터 상기 의료상담 콘텐츠에 대한 이해도 점수를 입력받고, 상기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에 상기 이해도 점수를 추가로 반영하여 상기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상담자 평가부는,
    상기 피상담자의 단말기로부터 설문조사 응답내역을 수신하고, 상기 의료상담자에 대한 설문조사 응답내역에 포함된 각 항목별로 점수를 부여하여 상기 의료상담자에 대한 진료 평가점수를 산출하며, 상기 의료상담 콘텐츠 평가점수에 상기 진료 평가점수를 추가로 반영하여 상기 의료상담자의 평가점수를 산출하되,
    상기 설문조사 응답내역은 의료상담자의 성별, 나이, 선호도, 서비스 만족도, 진료시간, 진료회수, 및 치료기간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시스템.
  16. 제10항에 있어서,
    피상담자 단말기로부터 피상담자 정보를 포함하는 의료상담자 추천 요청 신호 수신 시, 상기 피상담자 정보에 대응하는 의료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상기 의료 카테고리에 속한 의료상담자들 중에서 평가점수가 높은 순으로 일정 개수의 의료상담자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의료상담자에 대한 정보를 상기 피상담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의료상담자 추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시스템.
KR1020210113322A 2021-08-26 2021-08-26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방법 및 시스템 KR102595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322A KR102595904B1 (ko) 2021-08-26 2021-08-26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322A KR102595904B1 (ko) 2021-08-26 2021-08-26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992A true KR20230030992A (ko) 2023-03-07
KR102595904B1 KR102595904B1 (ko) 2023-10-31

Family

ID=85513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322A KR102595904B1 (ko) 2021-08-26 2021-08-26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9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4705B1 (ko) * 2023-04-12 2023-12-15 클라우드호스피탈 주식회사 사용자특성에 기반하여 의료서비스사용자와 의료진을 중개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645371B1 (ko) * 2023-11-02 2024-03-11 주식회사 키블 발달 지연 분석 상담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3246A (ko) * 2012-06-21 2013-12-31 주식회사 해건 환자 상담 내역 기록 및 재생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모바일 단말
KR20170102633A (ko) * 2016-03-02 2017-09-12 (주)아이쿱 의료상담시스템
KR20190030789A (ko) * 2017-08-16 2019-03-25 주식회사 삼우이노베이션 사용자 단말, 서비스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큐레이션 기반 고객-서비스 제공자 매칭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53804A (ko) * 2018-11-09 2020-05-19 (주)아이쿱 의료상담 보조방법 및 시스템
KR20200104088A (ko) * 2019-02-26 2020-09-0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 환자 치료를 위한 상담 콘텐츠 제작 및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3246A (ko) * 2012-06-21 2013-12-31 주식회사 해건 환자 상담 내역 기록 및 재생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모바일 단말
KR20170102633A (ko) * 2016-03-02 2017-09-12 (주)아이쿱 의료상담시스템
KR20190030789A (ko) * 2017-08-16 2019-03-25 주식회사 삼우이노베이션 사용자 단말, 서비스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큐레이션 기반 고객-서비스 제공자 매칭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53804A (ko) * 2018-11-09 2020-05-19 (주)아이쿱 의료상담 보조방법 및 시스템
KR20200104088A (ko) * 2019-02-26 2020-09-0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 환자 치료를 위한 상담 콘텐츠 제작 및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4705B1 (ko) * 2023-04-12 2023-12-15 클라우드호스피탈 주식회사 사용자특성에 기반하여 의료서비스사용자와 의료진을 중개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645371B1 (ko) * 2023-11-02 2024-03-11 주식회사 키블 발달 지연 분석 상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5904B1 (ko) 202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2450B2 (en) Diagnosis-driven electronic charting
WO2022267678A1 (zh) 视频问诊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16023961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ing data, creating billable information and outputting billable information
KR102595904B1 (ko) 의료상담 콘텐츠에 기초한 의료상담자 추천 방법 및 시스템
CN112331298A (zh) 开具药方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014589B1 (ko) 의료 상담을 보조하기 위한 방법
US10936962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firming an advisory interaction with an artificial intelligence platform
CN112164451A (zh) 智能导诊和挂号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12003397A2 (en) Diagnosis-driven electronic charting
US20210327582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the health of users through engagement, monitoring, analytics, and care management
US10586615B2 (en) Electronic health record quality enhancement
US2019010889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sting medical consultation
KR102348160B1 (ko) 의료관련 데이터(ehr) 시각화 방법 및 시스템
CN115146179A (zh) 基于跨域医疗数据的信息推荐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US2021013362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firming an advisory interaction with an artificial intelligence platform
US20200294682A1 (en) Medical interview apparatus
KR20220069327A (ko) 유전자 검사 정보를 반영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20071331A (ko) 건강 관리 인공지능 주치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20072049A (ko) 인공지능 주치의 서비스 프로그램
US20240152990A1 (en) Provider search and matching
KR102459510B1 (ko) 라이프 시퀀스 기반 헬스데이터 플랫폼
US11940986B1 (en) Determining repair status information using unstructured textual repair data in response to natural language queries
KR20220069325A (ko) 유전 정보 기반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20069343A (ko) 환경 및 주변 질환 발생 정보를 반영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KR20220069334A (ko) 환경 및 주변 질환 발생 정보를 반영한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