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0305A - 이중 루프 제어를 이용한 3상 4선식 인버터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중 루프 제어를 이용한 3상 4선식 인버터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0305A
KR20230030305A KR1020210112390A KR20210112390A KR20230030305A KR 20230030305 A KR20230030305 A KR 20230030305A KR 1020210112390 A KR1020210112390 A KR 1020210112390A KR 20210112390 A KR20210112390 A KR 20210112390A KR 20230030305 A KR20230030305 A KR 20230030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command value
voltage
component
inductor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2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1816B1 (ko
Inventor
권민호
이종필
오창열
제갈준혁
김기룡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12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816B1/ko
Publication of KR20230030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wave form or frequency
    • H02M7/539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wave form or frequency by pulse-width mod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50Arrangements for eliminating or reducing asymmetry in polyphase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이중 루프 제어를 이용한 3상 4선식 인버터 제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3상 4선식 인버터 제어 시스템은 3상 4선식 전압형 인버터를 제어하여 4개의 상에서의 전압 불평형을 보상하는 3상 4선식 인버터의 제어 시스템으로서, 전압 제어부 및 전류 제어부를 포함한다. 전압 제어부는 3상 4선식 인버터의 출력 필터의 커패시터 전압으로부터 출력 필터의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를 4개의 상에 대해 각각 산출하고, 전류 제어부는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를 이용하여 3상 4선식 인버터의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4개의 상전압 지령치를 각각 생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이중 루프 제어를 이용하여 불평형 부하 전압 보상을 위한 보상기의 수를 줄이고 모듈레이션 기법을 단순화하여, 연산량과 복잡성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중 루프 제어를 이용한 3상 4선식 인버터 제어 시스템 {System for controlling 3-phase 4-wire inverter using double loop control}
본 발명은 전압형 인버터의 제어 관련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불평형 부하 전압 보상을 위해 3상 4선식 인버터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UPS 시스템용 인버터는 임계 부하에 대해 고정 진폭과 주파수로 고품질 정현파 전압을 제공해야 하고, 3상 애플리케이션에서 인버터는 불균형 부하를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3상 3선식 인버터는 3상 균형 부하 조건을 공급하는 데 적합하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불균형 부하에서 중성 전류의 흐름에 경로를 사용할 수 없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토폴로지가 연구되었다. 이러한 토폴로지의 예로는 분할 DC 링크 유형(도 1), 변압기 유형(도 2) 및 4-레그 유형(도 3) 등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중성 전류 경로를 구축하기 위한 회로 구조의 예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에서와 같이 부하가 중성점 연결을 필요로 하는 경우, DC 링크를 분할하기 위해 두 개의 커패시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중성점을 두 커패시터의 중간점에 연결할 수 있다.
또 다른 토폴로지는 도 2에 도시된 3상 인버터의 중성점을 연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Δ- Y 연결 절연 변압기 구조이다. 이 경우 하나의 DC-link capacitor만 사용되며, 중성점은 변압기 Y측에 연결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토폴로지 접근 방식은 거대한 부피, 무게 및 높은 비용과 같은 많은 단점을 보여준다. 따라서, 변압기가 없는 토폴로지가 일반적으로 선호된다.
4선식 결선 방식 중 3상 4선식 인버터는 비교적 낮은 DC 전압과 불평형 부하 전류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 등의 성능 특성으로 인해 널리 사용된다. 3상 4선식 인버터의 토폴로지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Lf는 필터 인덕터, Cf는 필터 커패시터, 입력 측의 Cdc는 DC 링크 커패시터이다.
이에 따라, 전압 불평형을 보상하기 위해, 4 레그(leg) 인버터를 이용하여 중성선을 제공하는 제어 기법들이 주로 사용된다. 대표적인 예로서, 종례에는 불평형 성분(정상분, 역상분, 영상분)을 추출(decomposition)하여 각각 제어를 수행한 후 최종 PWM신호를 만들기 직전에 합성(composition)하는 방법이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3상 전압의 불평형을 보상하기 위한 종래의 전압 및 전류 제어 루프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법에서는, 각 3가지 성분에 대하여 전압 및 전류 제어가 수행되며, 또한, 실수측(D)과 허수축(Q)에 대해 따로 제어가 필요하기 때문에, 최소 12개의 PI 보상기가 요구된다. 또한, 3D-SVPWM 방식의 복잡한 모듈레이션 기법이 요구된다.
KR 10-2017-0107277 A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불평형 부하 전압 보상을 위한 보상기의 수를 줄이고 모듈레이션 기법을 단순화하여, 연산량과 복잡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3상 4선식 인버터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3상 4선식 인버터 제어 시스템은 3상 4선식 전압형 인버터를 제어하여 4개의 상(a, b, c, N)에서의 전압 불평형을 보상하기 위한 3상 4선식 인버터의 제어 시스템으로서, 전압 제어부 및 전류 제어부를 포함한다.
전압 제어부는 3상 4선식 인버터의 출력 필터의 커패시터 전압으로부터 출력 필터의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를 4개의 상에 대해 각각 산출하고, 전류 제어부는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를 이용하여 3상 4선식 인버터의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4개의 상전압 지령치를 각각 생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이중 루프 제어를 이용하여, 불평형 부하 전압 보상을 위한 보상기의 수를 줄이고 모듈레이션 기법을 단순화하여, 연산량과 복잡성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4개의 상전압 지령치를 이용하여 인버터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PWM 신호를 생성하는 PWM 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압 제어부는, 커패시터 전압의 dq 정상 성분으로부터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3상 정상 성분을 생성하는 정상 전압 제어부, 커패시터 전압의 dq 역상 성분으로부터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3상 역상 성분을 생성하는 역상 전압 제어부, 및 커패시터 전압의 dq 영상 성분으로부터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N상 성분을 생성하는 영상 전압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상 전압 제어부는, 커패시터 전압의 dq 정상 성분의 지령치로부터 커패시터 전압의 dq 정상 성분을 감산하는 정상 성분 감산부, 정상 성분 감산부의 출력으로부터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dq 정상 성분을 생성하는 정상 PI 제어부, 및 정상 PI 제어부의 출력을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3상 정상 성분으로 변환하는 정상 3상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역상 전압 제어부는, 커패시터 전압의 dq 역상 성분으로부터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dq 역상 성분을 생성하는 역상 PI 제어부, 및 역상 PI 제어부의 출력을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3상 역상 성분으로 변환하는 역상 3상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전압 제어부는, 커패시터 전압의 dq 영상 성분으로부터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N상 성분을 생성하는 영상 PR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압 제어부는, 정상 전압 제어부와 역상 전압 제어부의 출력을 합하여 인덕터 전류의 3상 지령치를 생성하는 전압 합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류 제어부는,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a상 성분을 이용하여 3상 4선식 인버터의 스위치의 a상을 제어하기 위한 a상 전압 지령치를 생성하는 a상 전류 제어부,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b상 성분을 이용하여 3상 4선식 인버터의 스위치의 b상을 제어하기 위한 b상 전압 지령치를 생성하는 b상 전류 제어부,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c상 성분을 이용하여 3상 4선식 인버터의 스위치의 c상을 제어하기 위한 c상 전압 지령치를 생성하는 c상 전류 제어부, 및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N상 성분을 이용하여 3상 4선식 인버터의 스위치의 N상을 제어하기 위한 N상 전압 지령치를 생성하는 N상 전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a상 전류 제어부는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a상 성분에서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N상 성분의 1/3을 감산하는 제1 N상 지령치 감산부, 제1 N상 지령치 감산부의 출력에서 인덕터 전류의 a상 성분을 감산하는 a상 감산부, 및 a상 감산부의 출력을 3상 4선식 인버터의 스위치의 a상을 제어하기 위한 a상 전압 지령치로 변환하는 a상 PR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b상 전류 제어부는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b상 성분에서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N상 성분의 1/3을 감산하는 제2 N상 지령치 감산부, 제2 N상 지령치 감산부의 출력에서 인덕터 전류의 b상 성분을 감산하는 b상 감산부, 및 b상 감산부의 출력을 3상 4선식 인버터의 스위치의 b상을 제어하기 위한 b상 전압 지령치로 변환하는 b상 PR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c상 전류 제어부는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c상 성분에서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N상 성분의 1/3을 감산하는 제3 N상 지령치 감산부, 제3 N상 지령치 감산부의 출력에서 인덕터 전류의 c상 성분을 감산하는 c상 감산부, 및 제 c상 감산부의 출력을 3상 4선식 인버터의 스위치의 c상을 제어하기 위한 c상 전압 지령치로 변환하는 c상 PR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N상 전류 제어부는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N상 성분에서 인덕터 전류의 N상 성분을 감산하는 N상 감산부, 및 N상 감산부의 출력을 3상 4선식 인버터의 스위치의 N상을 제어하기 위한 N상 전압 지령치로 변환하는 N상 PR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PWM 신호 생성부는 SPWM 방식으로 모듈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중 루프 제어를 이용하여, 불평형 부하 전압 보상을 위한 보상기의 수를 줄이고 모듈레이션 기법을 단순화하여, 연산량과 복잡성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중성 전류 경로를 구축하기 위한 회로 구조의 예.
도 4 내지 도 6은 3상 전압의 불평형을 보상하기 위한 종래의 전압 및 전류 제어 루프들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루프 제어를 이용한 3상 4선식 인버터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8 및 도 9는 각각 전압 제어부와 전류 제어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7의 시스템을 구현한 불평형 부하 보상을 위한 이중 루프 동기 및 고정 기준 프레임 컨트롤러의 상세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루프 제어를 이용한 3상 4선식 인버터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8 및 도 9는 각각 전압 제어부와 전류 제어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서, 3상 4선식 인버터 제어 시스템은 3상 4선식 전압형 인버터를 제어하여 4개의 상(a, b, c, N)에서의 전압 불평형을 보상하기 위한 3상 4선식 인버터의 제어 시스템으로서, 전압 제어부(100), 전류 제어부(200), 및 PWM 신호 생성부(300)를 포함한다.
전압 제어부(100)는 다시 정상 전압 제어부(110), 역상 전압 제어부(120), 영상 전압 제어부(130), 및 전압 합산부(140)를 포함하고, 정상 전압 제어부(110)는 정상 성분 감산부(112), 정상 PI 제어부(114), 정상 3상 변환부(116)를 포함하고, 역상 전압 제어부(120)는 역상 PI 제어부(122), 역상 3상 변환부(124)를 포함하며, 영상 전압 제어부(130)는 영상 PR 제어부(132)를 포함한다.
또한, 전류 제어부(200)는 다시 a상 전류 제어부(210), b상 전류 제어부(220), c상 전류 제어부(230), 및 N상 전류 제어부(240)를 포함하며, a상 전류 제어부(210)는 제1 N상 지령치 감산부(212), a상 감산부(214), 및 a상 PR 제어부(216)를 포함하고, b상 전류 제어부(220)는 제2 N상 지령치 감산부(222), b상 감산부(224), b상 PR 제어부(226)를 포함하고, c상 전류 제어부(230)는 제3 N상 지령치 감산부(232), c상 감산부(234), 및 c상 PR 제어부(236)를 포함한다. 또한, N상 전류 제어부(240)는 N상 감산부(242), 및 N상 PR 제어부(244)를 포함한다.
전압 제어부(100)는 3상 4선식 인버터의 출력 필터의 커패시터 전압으로부터 출력 필터의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를 4개의 상에 대해 각각 산출한다. 이를 위해, 정상 전압 제어부(110)는 커패시터 전압의 dq 정상 성분으로부터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3상 정상 성분을 생성한다.
이때, 정상 성분 감산부(112)는 커패시터 전압의 dq 정상 성분의 지령치로부터 커패시터 전압의 dq 정상 성분을 감산하고, 정상 PI 제어부(114)는 정상 성분 감산부(112)의 출력으로부터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dq 정상 성분을 생성하며, 정상 3상 변환부(116)는 정상 PI 제어부(114)의 출력을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3상 정상 성분으로 변환한다.
또한, 역상 전압 제어부(120)는 커패시터 전압의 dq 역상 성분으로부터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3상 역상 성분을 생성하며, 이때, 역상 PI 제어부(122)는 커패시터 전압의 dq 역상 성분으로부터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dq 역상 성분을 생성하고, 역상 3상 변환부(124)는 역상 PI 제어부(122)의 출력을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3상 역상 성분으로 변환한다.
영상 전압 제어부(130)는 커패시터 전압의 dq 영상 성분으로부터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N상 성분을 생성한다. 이때, 영상 PR 제어부(132)는 커패시터 전압의 dq 영상 성분으로부터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N상 성분을 생성한다.
또한, 전압 합산부(140)는 정상 전압 제어부(110)와 역상 전압 제어부(120)의 출력을 합하여 인덕터 전류의 3상 지령치를 생성한다.
전류 제어부(200)는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를 이용하여 3상 4선식 인버터의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4개의 상전압 지령치를 각각 생성한다. 이를 위해, a상 전류 제어부(210)는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a상 성분을 이용하여 3상 4선식 인버터의 스위치의 a상을 제어하기 위한 a상 전압 지령치를 생성한다. 이때, 제1 N상 지령치 감산부(212)는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a상 성분에서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N상 성분의 1/3을 감산하고, a상 감산부(214)는 제1 N상 지령치 감산부(212)의 출력에서 인덕터 전류의 a상 성분을 감산하며, a상 PR 제어부(216)는 a상 감산부(214)의 출력을 3상 4선식 인버터의 스위치의 a상을 제어하기 위한 a상 전압 지령치로 변환한다.
b상 전류 제어부(220)는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b상 성분을 이용하여 3상 4선식 인버터의 스위치의 b상을 제어하기 위한 b상 전압 지령치를 생성한다. 이때, 제2 N상 지령치 감산부(222)는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b상 성분에서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N상 성분의 1/3을 감산하고, b상 감산부(224)는 제2 N상 지령치 감산부(222)의 출력에서 인덕터 전류의 b상 성분을 감산하며, b상 PR 제어부(226)는 b상 감산부(224)의 출력을 3상 4선식 인버터의 스위치의 b상을 제어하기 위한 b상 전압 지령치로 변환한다.
c상 전류 제어부(230)는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c상 성분을 이용하여 3상 4선식 인버터의 스위치의 c상을 제어하기 위한 c상 전압 지령치를 생성한다. 이때, 제3 N상 지령치 감산부(232)는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c상 성분에서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N상 성분의 1/3을 감산하고, c상 감산부(234)는 제3 N상 지령치 감산부(232)의 출력에서 인덕터 전류의 c상 성분을 감산하며, c상 PR 제어부(236)는 제 c상 감산부(234)의 출력을 3상 4선식 인버터의 스위치의 c상을 제어하기 위한 c상 전압 지령치로 변환한다.
N상 전류 제어부(240)는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N상 성분을 이용하여 상기 4선식 인버터의 스위치의 N상을 제어하기 위한 N상 전압 지령치를 생성한다. 이때, N상 감산부(242)는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N상 성분에서 인덕터 전류의 N상 성분을 감산하고, N상 PR 제어부(244)는 N상 감산부(242)의 출력을 3상 4선식 인버터의 스위치의 N상을 제어하기 위한 N상 전압 지령치로 변환한다.
PWM 신호 생성부(300)는 4개의 상전압 지령치를 이용하여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PWM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PWM 신호 생성부(300)는 SPWM 방식으로 모듈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불평형 부하를 위한 이중 루프 컨트롤러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기준 프레임 구조에는 자연 abc, 고정 αβo 및 동기 dqo의 세 가지 유형이 있다. 고정 αβo는 시변 기준 프레임으로, 기존 PI 제어기로는 제어하기 어렵다. 동기 dqo는 시불변 기준 프레임이므로 기존 PI 제어기를 사용하여 우수한 DC 제어 성능을 보여준다.
3상 4-레그 토폴로지의 컨트롤러에 대해 이 분야에서 수행된 수많은 조사에도 불구하고 어떤 컨트롤도 완벽한 솔루션으로 간주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PR 및 PI 이중 루프 컨트롤러가 사용되었다. PR 제어기는 기본 주파수의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고정 αβo 참조 프레임에 적용되었다. 대조적으로, PI 제어기는 출력 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동기 dqo 기준 프레임에 적용되었다.
도 10은 도 7의 시스템을 구현한 불평형 부하 보상을 위한 이중 루프 동기 및 고정 기준 프레임 컨트롤러의 상세한 도면이다. 도 10의 이중 루프 컨트롤러는 내부 전류 및 외부 전압 컨트롤로 구성되며, 여기에서 전류 컨트롤의 기준은 전압 컨트롤러에서 생성된다.
외부 전압 제어를 위해 PI 컨트롤러가 있는 동기 기준 프레임을 포지티브 및 네거티브 시퀀스 전압 제어에 사용했다. 내부 전류 제어를 위해 불평형 부하 조건에서 60Hz 기본 주파수 AC 제어를 위한 PR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각 위상 및 제로 시퀀스 구성 요소를 독립적으로 제어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전압형 인버터의 불평형 부하 조건에서 3상 평형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3상 전압형 인버터에서 불평형 부하는 3상 전압의 불평형을 유발한다. 이와 같은 전압 불평형에서 출력 전압을 보상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PI 및 PR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이중 루프 컨트롤러를 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압의 불평형 성분을 추출(decomposition)하여 각각의 DQ기반 전압 제어만을 수행하고, 전압제어기의 출력을 합하여 각상의 전류의 지령치를 만든다. 전류제어기는 DQ기반이 아닌 각상의 순시 전류를 제어할 수 있는 PR 보상기를 적용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각 불평형 성분의 전압제어만 수행 후 합성하여 전류 지령치를 만든다. 전류제어기는 순시전류를 제어하기 위한 PR 보상기 기반의 루프를 적용한다. 또한, PWM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모듈레이션 기법이 단순한 SPWM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비록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아니 되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뒷받침되는 상기 실시예의 변형이나 개량에도 미쳐야할 것이다.
100: 전압 제어부
110: 정상 전압 제어부
112: 정상 성분 감산부
114: 정상 PI 제어부
116: 정상 3상 변환부
120: 역상 전압 제어부
122: 역상 PI 제어부
124: 역상 3상 변환부
130: 영상 전압 제어부
132: 영상 PR 제어부
140: 전압 합산부
200: 전류 제어부
210: a상 전류 제어부
212: 제1 N상 지령치 감산부
214: a상 감산부
216: a상 PR 제어부
220: b상 전류 제어부
222: 제2 N상 지령치 감산부
224: b상 감산부
226: b상 PR 제어부
230: c상 전류 제어부
232: 제3 N상 지령치 감산부
234: c상 감산부
236: c상 PR 제어부
240: N상 전류 제어부
242: N상 감산부
244: N상 PR 제어부
300: PWM 신호 생성부

Claims (13)

  1. 3상 4선식 전압형 인버터를 제어하여 4개의 상(a, b, c, N)에서의 전압 불평형을 보상하기 위한 3상 4선식 인버터의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3상 4선식 인버터의 출력 필터의 커패시터 전압으로부터 상기 출력 필터의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를 상기 4개의 상에 대해 각각 산출하는 전압 제어부; 및
    상기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를 이용하여 상기 3상 4선식 인버터의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4개의 상전압 지령치를 각각 생성하는 전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4선식 인버터 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상전압 지령치를 이용하여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PWM 신호를 생성하는 PWM 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전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4선식 인버터 제어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부는,
    상기 커패시터 전압의 dq 정상 성분으로부터 상기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3상 정상 성분을 생성하는 정상 전압 제어부;
    상기 커패시터 전압의 dq 역상 성분으로부터 상기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3상 역상 성분을 생성하는 역상 전압 제어부; 및
    상기 커패시터 전압의 dq 영상 성분으로부터 상기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N상 성분을 생성하는 영상 전압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4선식 인버터 제어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정상 전압 제어부는,
    상기 커패시터 전압의 dq 정상 성분의 지령치로부터 상기 커패시터 전압의 dq 정상 성분을 감산하는 정상 성분 감산부;
    상기 정상 성분 감산부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dq 정상 성분을 생성하는 정상 PI 제어부; 및
    상기 정상 PI 제어부의 출력을 상기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3상 정상 성분으로 변환하는 정상 3상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4선식 인버터 제어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역상 전압 제어부는,
    상기 커패시터 전압의 dq 역상 성분으로부터 상기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dq 역상 성분을 생성하는 역상 PI 제어부; 및
    상기 역상 PI 제어부의 출력을 상기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3상 역상 성분으로 변환하는 역상 3상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4선식 인버터 제어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전압 제어부는,
    상기 커패시터 전압의 dq 영상 성분으로부터 상기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N상 성분을 생성하는 영상 PR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4선식 인버터 제어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부는,
    상기 정상 전압 제어부와 상기 역상 전압 제어부의 출력을 합하여 상기 인덕터 전류의 3상 지령치를 생성하는 전압 합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4선식 인버터 제어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어부는,
    상기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a상 성분을 이용하여 상기 3상 4선식 인버터의 스위치의 a상을 제어하기 위한 a상 전압 지령치를 생성하는 a상 전류 제어부;
    상기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b상 성분을 이용하여 상기 3상 4선식 인버터의 스위치의 b상을 제어하기 위한 b상 전압 지령치를 생성하는 b상 전류 제어부;
    상기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c상 성분을 이용하여 상기 3상 4선식 인버터의 스위치의 c상을 제어하기 위한 c상 전압 지령치를 생성하는 c상 전류 제어부; 및
    상기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N상 성분을 이용하여 상기 3상 4선식 인버터의 스위치의 N상을 제어하기 위한 N상 전압 지령치를 생성하는 N상 전류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4선식 인버터 제어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a상 전류 제어부는,
    상기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a상 성분에서 상기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N상 성분의 1/3을 감산하는 제 1 N상 지령치 감산부;
    상기 제1 N상 지령치 감산부의 출력에서 상기 인덕터 전류의 a상 성분을 감산하는 a상 감산부; 및
    상기 a상 감산부의 출력을 상기 3상 4선식 인버터의 스위치의 a상을 제어하기 위한 a상 전압 지령치로 변환하는 a상 PR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4선식 인버터 제어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b상 전류 제어부는,
    상기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b상 성분에서 상기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N상 성분의 1/3을 감산하는 제 2 N상 지령치 감산부;
    상기 제2 N상 지령치 감산부의 출력에서 상기 인덕터 전류의 b상 성분을 감산하는 b상 감산부; 및
    상기 b상 감산부의 출력을 상기 3상 4선식 인버터의 스위치의 b상을 제어하기 위한 b상 전압 지령치로 변환하는 b상 PR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4선식 인버터 제어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c상 전류 제어부는,
    상기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c상 성분에서 상기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N상 성분의 1/3을 합산하는 제 3 N상 지령치 감산부;
    상기 제3 N상 지령치 감산부의 출력에서 상기 인덕터 전류의 c상 성분을 감산하는 c상 감산부; 및
    상기 제 c상 감산부의 출력을 상기 3상 4선식 인버터의 스위치의 c상을 제어하기 위한 c상 전압 지령치로 변환하는 c상 PR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4선식 인버터 제어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N상 전류 제어부는,
    상기 인덕터 전류의 지령치의 N상 성분에서 상기 인덕터 전류의 N상 성분을 감산하는 N상 감산부; 및
    상기 N상 감산부의 출력을 상기 3상 4선식 인버터의 스위치의 N상을 제어하기 위한 N상 전압 지령치로 변환하는 N상 PR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4선식 인버터 제어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PWM 신호 생성부는,
    SPWM 방식으로 모듈레이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 4선식 인버터 제어 시스템.
KR1020210112390A 2021-08-25 2021-08-25 이중 루프 제어를 이용한 3상 4선식 인버터 제어 시스템 KR102611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390A KR102611816B1 (ko) 2021-08-25 2021-08-25 이중 루프 제어를 이용한 3상 4선식 인버터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390A KR102611816B1 (ko) 2021-08-25 2021-08-25 이중 루프 제어를 이용한 3상 4선식 인버터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305A true KR20230030305A (ko) 2023-03-06
KR102611816B1 KR102611816B1 (ko) 2023-12-07

Family

ID=85509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390A KR102611816B1 (ko) 2021-08-25 2021-08-25 이중 루프 제어를 이용한 3상 4선식 인버터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18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63205A1 (en) * 2003-09-24 2005-03-24 Stancu Constantin 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tand-alone 4-leg voltage source inverter
WO2011084227A2 (en) * 2009-12-16 2011-07-14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rol of four-leg transformerles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KR20170107277A (ko) 2016-03-15 2017-09-25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3상 시스템의 전류 불평형 보상 기능을 갖는 에너지 저장장치
US20180026568A1 (en) * 2015-02-18 2018-01-25 Ge Aviation Systems Llc Aircraft starting and generat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63205A1 (en) * 2003-09-24 2005-03-24 Stancu Constantin 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tand-alone 4-leg voltage source inverter
WO2011084227A2 (en) * 2009-12-16 2011-07-14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rol of four-leg transformerles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S20180026568A1 (en) * 2015-02-18 2018-01-25 Ge Aviation Systems Llc Aircraft starting and generating system
KR20170107277A (ko) 2016-03-15 2017-09-25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3상 시스템의 전류 불평형 보상 기능을 갖는 에너지 저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1816B1 (ko) 2023-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cuna et al. A single-objective predictive control method for a multivariable single-phase three-level NPC converter-based active power filter
Pal et al. A comparative analysis of different magnetics supported three-phase four-wire unified power quality conditioners–a simulation study
US5317500A (en) Active no-break power transfer control for a VSCF power generating system
Acordi et al. A study of shunt active power filters applied to three-phase four-wire systems
Po-Ngam The simplified control of three-phase four-leg shunt active power filter for harmonics mitigation, load balancing and reactive power compensation
Jabbarnejad et al. Combined control of grid connected converters based on a flexible switching table for fast dynamic and reduced harmonics
Vijaykumar et al. Railway power supply system using modular multilevel converter with droop characteristics
Jacobina et al. DC-link three-phase-to-three-phase four-leg converters
Kim et al. Imbalance compensation of the grid current using effective and reactive power for split DC-link capacitor 3-leg inverter
KR101951184B1 (ko) 무정전 전원공급시스템의 병렬 운전 제어 장치 및 방법
Dixon et al. Dynamically stabilized indirect current controlled SPWM boost type 3-phase rectifier
JP3822910B2 (ja) 方形波インバータとdcバス制御とを備えたハイブリッド並列能動/受動フィルタシステムによる電力線高調波の低減
KR102611816B1 (ko) 이중 루프 제어를 이용한 3상 4선식 인버터 제어 시스템
Doan et al. Design of a hybrid controller for the three-phase four-leg voltage-source inverter with unbalanced load
Li et al. Control stratories for grid-connected and island dualmode operated inverter under unbalanced grid voltage conditions
Lin et al. Analysis and implementation of shunt active power filter with three-level PWM scheme
CN111934575B (zh) 一种列车辅助变流器输出电压平衡控制方法及介质
Babu et al. Design of unified power quality conditioner (UPQC) to improve the power quality problems by using PQ theory
Saber et al. Neutral current compensation of three-phase four-wire distribution system using three-level four-leg DSTATCOM based on simplified 3DSVM Algorithm
Biel et al. Control strategy for parallel-connected three-phase inverters
Méllo et al. DVR based on three-phase converter cascaded by transformers with only two pairs of windings
Hossain et al. Power quality improvement of the distribution system using a solid-state transformer
JPH05111164A (ja) 電力変換装置
JPH10174291A (ja) 系統連系インバータ装置
Song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imbalanced three-phase grid current compensation methods for the scott transformer based gr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