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9269A -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그리고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컨트롤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그리고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컨트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9269A
KR20230029269A KR1020210111560A KR20210111560A KR20230029269A KR 20230029269 A KR20230029269 A KR 20230029269A KR 1020210111560 A KR1020210111560 A KR 1020210111560A KR 20210111560 A KR20210111560 A KR 20210111560A KR 20230029269 A KR20230029269 A KR 20230029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device
hybrid
input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나연
동호석
류동훈
박지찬
박지훈
Original Assignee
김나연
동호석
류동훈
박지찬
박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나연, 동호석, 류동훈, 박지찬, 박지훈 filed Critical 김나연
Priority to KR1020210111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9269A/ko
Publication of KR20230029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92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09Monitoring remote activity, e.g. over telephone lines or network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9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task 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1
    • G06F2203/011Emotion or mood input determined on the basis of sensed human body parameters such as pulse, heart rate or beat, temperature of skin, facial expressions, iris, voice pitch, brain activity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그리고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컨트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기간 사용시에도 터널 증후군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간편하게 손목에 착용함으로써, 다양한 손동작 표현이 가능하고 구동 범위의 다양성을 통해서 다양한 입력신호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그리고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컨트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그리고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컨트롤 시스템{Hybrid wearable control device and hybrid wearable control device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그리고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컨트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기간 사용시에도 터널 증후군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간편하게 손목에 착용함으로써, 다양한 손동작 표현이 가능하고 구동 범위의 다양성을 통해서 다양한 입력신호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그리고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컨트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의 필수품인 컴퓨터, 스마트패드,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 디바이스는 다양한 입력장치로 키보드 및 마우스, VR 컨트롤러, 카메라를 이용한 손 동작 감지(hand detection) 등이 사용되고 있다.
키보드 및 마우스는 장시간 사용시 터널 증후군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VR 컨트롤러는 무겁고 다양한 손동작 표현이 제한될 수 있다. 카메라를 이용한 손 동작 감지는 사용자 손 구동 범위가 제한되는 한계점이 있어 왔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장기간 사용시에도 터널 증후군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간편하게 손목에 착용함으로써, 다양한 손동작 표현이 가능하고 구동 범위의 다양성을 통해서 다양한 입력신호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6-0007685(2016.01.21)호 "웨어러블 포인팅 장치(WEARABLE POINTING DEVIC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5-0071970(2015.05.22)호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장기간 사용시에도 터널 증후군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그리고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컨트롤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간편하게 손목에 착용함으로써, 다양한 손동작 표현이 가능하고 구동 범위의 다양성을 통해서 다양한 입력신호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그리고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컨트롤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는, 근육 전기신호 인식 센서(EMG, electromyogram)를 통해 사용자의 손목 근육의 변화를 감지하는 손목 근육 감지 센서(120); 손목 근육의 변화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200)에 맞는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통신부(160)를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는 제어부(140); 및 제어부(140)에 의해 제공된 전원제공부(180)의 충전배터리의 배터리 잔량 정보, 연결된 장치 목록 확인 정보를 출력으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손목 근육 감지 센서(120)로부터 제공된 입력신호 및 변환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소형 디스플레이(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200)와 무선으로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6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목 근육 감지 센서(120)로부터 제공된 입력신호의 적어도 2개 이상의 연속된 동작에 따른 제스처에 대한 복수의 제어신호 중 하나에 대한 제어신호로의 설정을 따라 입력부(150)를 통해 전달받은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저장하는 저장부(17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50)는, 소형 디스플레이(130)와 일체로 형성되는 터치모듈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입력장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손목 근육 감지 센서(120)를 통해 근육 움직임을 감지하면, 통신부(160)를 통해 연결된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출력 상태가 변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출력상태의 변동으로 입력신호 및 종료신호에 따른 포인터 이동과 입력, 활자 입력을 포함한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응용프로그램 작동에 매칭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근육 움직임을 감지시 사용자의 기본적인 손, 손가락 제스처 뿐만 아니라, 사용자 본인이 임의로 설정한 특정 제스처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입력신호는,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포인터 이동, 클릭 및 키보드 활자 입력 뿐만 아니라, 사용자 본인이 미리 설정한 입력신호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컨트롤 시스템은,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100), 스마트 디바이스(200), 네트워크(400) 및 웨어러블 컨트롤 서버(500)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컨트롤 시스템(1)에 있어서, 스마트 디바이스(200)에 대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100)를 활용한 입력에 따라 스마트 디바이스(200) 상에 자동전원 공급 스케쥴 설정을 수행하며, 자동전원 공급 스케쥴 정보는 스마트 디바이스(200)에서 네트워크(400)를 통해 웨어러블 컨트롤 서버(500)로 시간대별로 사용자 정보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그리고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컨트롤 시스템은, 장기간 사용시에도 터널 증후군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입력장치로서 기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그리고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컨트롤 시스템은, 간편하게 손목에 착용함으로써, 다양한 손동작 표현이 가능하고 구동 범위의 다양성을 통해서 다양한 입력신호를 제공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100)에 대한 주변 장치와의 구동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컨트롤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100)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100)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100)는 전원/페어링 버튼(110), 손목 근육 감지 센서(120), 소형 디스플레이(130), 제어부(140), 입력부(150), 통신부(160), 저장부(170) 및 전원제공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손목 근육 감지 센서(120)는 근육 전기신호 인식 센서(EMG, electromyogram)를 통해 사용자의 손목 근육의 변화를 감지할 뿐만 아니라 자이로 센서를 통해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100)를 착용한 사용자 손의 방위 변화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손목 근육의 변화 및 방위 변화 정보를 토대로 스마트 디바이스(200)에 맞는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통신부(160)를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소형 디스플레이(130)는 제어부(140)에 의해 제공된 전원제공부(180)의 충전배터리의 배터리 잔량 정보, 연결된 장치 목록 확인 정보를 출력으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손목 근육 감지 센서(120)로부터 제공된 입력신호 및 변환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6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블루투스 그 밖에 지그비, UWB, Binary CDMA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200)와 무선으로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70)는 손목 근육 감지 센서(120)로부터 제공된 입력신호의 적어도 2개 이상의 연속된 동작에 따른 제스처에 대한 복수의 제어신호 중 하나에 대한 제어신호로의 설정을 따라 입력부(150)를 통해 전달받은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150)는 소형 디스플레이(130)와 일체로 형성되는 터치모듈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입력장치부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손목 근육 감지 센서(120)는 환형으로 손목을 감싸면서 접촉면과 외부면이 평판체로 이루어진 디바이스 몸체(100a)의 내측에 형성되며, 적어도 4개 이상의 근육 전기신호 인식 센서, 그리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이로 센서로 이루어짐으로써, 근육 전기신호 인식 센서를 활용하여 사용자와 미리 설정된 접촉한 손목의 좌, 우, 상, 하 4개의 접촉 포인트 이상의 전기신호의 동작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140)로 전송할 뿐만 아니라, 자이로 센서를 통해서 처음에 설정한 방향을 유지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100)의 방위 변화 정보를 감지하여 제어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근육 전기신호 인식 센서는 근육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한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는 화학 센서의 하나인 EMG 센서일 수도 있고, 이 경우 도 1b와 같이 손목 근육 감지 센서(120)는 디바이스 몸체(100a)의 내측면에 90°간격으로 4곳에 형성되거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디바이스 몸체(100a)의 내측면 전체를 둘러싸고 있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을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목 근육 감지 센서(120)의 각 근육 전기신호 인식 센서는 사용자의 손목에 대한 좌측으로의 수축신호인 제 1 수축신호, 손목에 대한 우측으로의 수축신호인 제 2 수축신호, 손목에 대한 상향으로의 수축신호인 제 3 수축신호, 손목에 대한 하향으로의 수축신호인 제 4 수축신호를 인식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목에 대한 좌측으로부터의 이완신호인 제 1 이완신호, 손목에 대한 우측으로부터의 이완신호인 제 2 이완신호, 손목에 대한 상향으로부터 이완신호인 제 3 이완신호, 손목에 대한 하향으로부터의 이완신호인 제 4 이완신호를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각각의 방향에 대한 수축신호를 각 방향에 대한 "2차원 좌표 입력신호", 각각의 방향에 대한 이완신호를 각 방향에 대한 "2차원 좌표 종료신호"로 인식할 뿐만 아니라, 2개 이상의 수축신호 즉 좌상, 좌하, 우상, 우하에 대한 수축신호에 따른 "2차원 좌표 입력신호" 인식 및 이완신호에 따른 "3차원 좌표 종료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근육 전기신호 인식 센서에 대한 입력이 중단된 상태에서 자이로 센서에 대한 3차원 입체 방위 변화 정보를 감지하여 "3차원 방위 입력신호"로 인식하며, 자이로 센서에 대한 3차원 입체 방위 변화 정보 입력의 중단에 따라 "3차원 방위 종료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신호 및 종료신호에 따라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100)는 근육 움직임을 감지 및 분석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한 뒤, 통신부(160)를 통해 연결된 스마트 디바이스(200) 등의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출력 상태가 변동되도록 하며, 출력상태의 변동은 입력신호 및 종료신호에 따른 포인터 이동과 입력, 활자 입력을 포함한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응용프로그램 작동에 매칭되어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100)에 대한 주변 장치와의 구동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도 1 및 도 2에서의 구성을 갖는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100)를 활용하는 시나리오를 살펴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스마트 디바이스(200)로 컴퓨터의 전원에 대한 구동에 따라, 책상에 키보드 마우스는 없으며, 무선 충전 중이던 손목에 착용하는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100)를 착용하고, 전원/페어링 버튼(110)에 대한 입력에 따라 제어부(140)는 통신부(160)를 통해 근거리무선통신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제공하면,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통신모듈에서 근거리무선통신 브로드캐스팅 신호에 대한 응답과 근거리무선통신 브로드캐스팅 신호에 포함된 미리 등록된 암호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스마트 디바이스(200)와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100) 간의 데이터 세션 연결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술한 손목 근육 감지 센서(120)를 활용한 "2차원 좌표 입력신호 및 종료신호", 그리고 "3차원 방위 입력신호 및 방위 종료신호"를 통해 2차원 또는 3차원에 따른 자유로운 손동작으로 스마트 디바이스(200)로 입력을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VR 게임을 하기 위해 스마트 디바이스(200)와 연결된 VR HMD(Head Mounted Display)(300)에 대한 사용자의 착용이 완료된 뒤,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에 의해 손목에 착용됨을 제어부(140)가 손목 근육 감지 센서(120)로부터 입력신호를 통해 인식한다.
이후, 전원/페어링 버튼(110)에 대한 입력에 따라 제어부(140)는 통신부(160)를 통해 근거리무선통신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제공하면, 스마트 디바이스(200) 및 VR HMD(Head Mounted Display)(300)의 통신모듈에서 근거리무선통신 브로드캐스팅 신호에 대한 응답에 따라 스마트 디바이스(200) 상에서 근거리무선통신 브로드캐스팅 신호에 포함된 미리 등록된 암호번호의 입력이 완료되면, 스마트 디바이스(200)와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100) 및 VR HMD(300)의 3개의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 세션 연결을 스마트 디바이스(200)가 중계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술한 손목 근육 감지 센서(120)를 활용한 "2차원 좌표 입력신호 및 종료신호", 그리고 "3차원 방위 입력신호 및 방위 종료신호"를 통해 2차원 또는 3차원에 따른 자유로운 손동작으로 스마트 디바이스(200)로 입력을 편하게 사용하면, 스마트 디바이스(200) 상에서 VR HMD(300)로 입력신호에 따라 변환된 입력정보를 제공하여 출력되도록 하여, 양 손목에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100)를 가볍게 착용하여, 자유롭게 손을 구동하며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컨트롤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컨트롤 시스템(1)은 도 3에서 상술한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100), 스마트 디바이스(200) 및 VR HMD(300) 외에 네트워크(400) 및 웨어러블 컨트롤 서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200)에 대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100)를 활용한 입력에 따라 스마트 디바이스(200) 상에 자동전원 공급 스케쥴 설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자동전원 공급 스케쥴 정보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웨어러블 컨트롤 서버(500)로 시간대별로 사용자 정보로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충전배터리와 외부입력 단자로 이루어진 전원제공부(180)를 이용하여 무선 충전 중인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100)에 대해서 사용자가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100)를 손목시계나 팔찌와 같은 방식으로 착용을 하면, 착용 정보가 제어부(140)가 손목 근육 감지 센서(120)로의 입력신호에 따라 인식하고, 통신부(160)를 통해 근거리무선통신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제공하면,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통신모듈에서 근거리무선통신 브로드캐스팅 신호에 대한 응답에 따라 스마트 디바이스(200) 상에서 근거리무선통신 브로드캐스팅 신호에 포함된 미리 등록된 암호번호의 입력이 필요없이 전원 대기 상태의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전원이 켜지면서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100)와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후,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40)가 사용자의 손목 근육 변화를 손목 근육 감지 센서(120) 중 근육 전기신호 인식 센서를 통해 인식한 뒤, 사용자가 의도한 입력신호를 스마트 디바이스(200)에서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100)로부터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100)는 손목 근육 감지 센서(120)의 근육 전기신호 인식 센서가 n×m(n 및 m은 서로 같거나 다른 자연수)인 경우, 입력신호 및 출력신호에 해당하는 손목 근육 움직임을 손목 근육 감지 센서(120)을 통해 감지하는 사용자의 기본적인 손 뿐만 아니라, 손가락 제스처, 그리고 사용자 본인이 임의로 설정한 특정 제스처도 인식하여 제어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손가락 제스처 감지를 위해 디바이스 몸체(100a)의 내측에 형성되며, 적어도 4개 이상의 근육 전기신호 인식 센서, 그리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이로 센서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와 미리 설정된 접촉한 손목의 좌, 우, 상, 하 4개의 접촉 포인트 뿐만 아니라, 4개의 접촉 포인트의 전방에서 손등 위치에 형성된 5개의 손가락의 움직임과 관련된 근육 이완 및 수축을 감지하기 위한 5개의 근육 전기신호 인식 센서를 통해 각 손가락의 입력신호를 분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손 및 손가락, 그리고 미리 설정된 제스처에 따른 입력신호로,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포인터 이동, 클릭 및 키보드 활자 입력을 분석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스마트 디바이스(2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컨트롤 서버(500)는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100), 스마트 디바이스(200)와 연결된 VR HMD(Head Mounted Display)(300)를 활용한 게임을 수행하는 경우,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100)로부터 실시간으로 손목 근육 감지 센서(120)로부터 제공된 입력신호 뿐만 아니라, 입력신호에 대해 변환된 제어신호를 네트워크(400)를 통해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100)로부터 수신한 뒤, 2차원 정보에 해당하는 "2차원 좌표 입력신호" 및 "2차원 좌표 종료신호"에 해당하는 미리 설정된 제스처 동작과, 자이로센서로부터 제공된 3차원 모델링 정보에 해당하는 "3차원 방위 입력신호" 및 "3차원 방위 종료신호"에 따른 손의 방위 변화 정보, 그리고 방위 변화 정보로 기준 좌표를 기준으로 측정한 좌표정보를 활용하여 4방향(동, 서, 남, 북), 8방향(남동, 북동, 남서, 북서, 동, 서, 남, 북) 중 하나에 대한 방향 정보를 포함시켜서 제스처 동작과 방향 정보에 해당하는 미리 설정된 영상정보를 추출하여 네트워크(300)를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200)로 전송함으로써, 스마트 디바이스(200) 상에서 VR HMD(Head Mounted Display)(300)로 추출된 영상정보와 게임상의 배경화면 및 주변객체와 매칭되는 VR 영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컨트롤 시스템
100 :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110 : 전원/페어링 버튼
120 : 손목 근육 감지 센서
130 : 소형 디스플레이
140 : 제어부
150 : 입력부
160 : 통신부
170 : 저장부
180 : 전원제공부
200 : 스마트 디바이스
300 : VR HMD(Head Mounted Display)
400 : 네트워크
500 : 웨어러블 컨트롤 서버

Claims (9)

  1. 근육 전기신호 인식 센서(EMG, electromyogram)를 통해 사용자의 손목 근육의 변화를 감지하는 손목 근육 감지 센서(120);
    손목 근육의 변화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200)에 맞는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통신부(160)를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는 제어부(140); 및
    제어부(140)에 의해 제공된 전원제공부(180)의 충전배터리의 배터리 잔량 정보, 연결된 장치 목록 확인 정보를 출력으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손목 근육 감지 센서(120)로부터 제공된 입력신호 및 변환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소형 디스플레이(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200)와 무선으로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6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손목 근육 감지 센서(120)로부터 제공된 입력신호의 적어도 2개 이상의 연속된 동작에 따른 제스처에 대한 복수의 제어신호 중 하나에 대한 제어신호로의 설정을 따라 입력부(150)를 통해 전달받은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저장하는 저장부(17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4. 청구항 2에 있어서, 입력부(150)는,
    소형 디스플레이(130)와 일체로 형성되는 터치모듈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입력장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5. 청구항 2에 있어서, 제어부(140)는,
    손목 근육 감지 센서(120)를 통해 근육 움직임을 감지하면, 통신부(160)를 통해 연결된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출력 상태가 변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제어부(140)는,
    출력상태의 변동으로 입력신호 및 종료신호에 따른 포인터 이동과 입력, 활자 입력을 포함한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응용프로그램 작동에 매칭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7. 청구항 5에 있어서, 제어부(140)는,
    근육 움직임을 감지시 사용자의 기본적인 손, 손가락 제스처 뿐만 아니라, 사용자 본인이 임의로 설정한 특정 제스처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8. 청구항 6에 있어서, 입력신호는,
    스마트 디바이스(200)의 포인터 이동, 클릭 및 키보드 활자 입력 뿐만 아니라, 사용자 본인이 미리 설정한 입력신호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9.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100), 스마트 디바이스(200), 네트워크(400) 및 웨어러블 컨트롤 서버(500)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컨트롤 시스템(1)에 있어서,
    스마트 디바이스(200)에 대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100)를 활용한 입력에 따라 스마트 디바이스(200) 상에 자동전원 공급 스케쥴 설정을 수행하며, 자동전원 공급 스케쥴 정보는 스마트 디바이스(200)에서 네트워크(400)를 통해 웨어러블 컨트롤 서버(500)로 시간대별로 사용자 정보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컨트롤 시스템.
KR1020210111560A 2021-08-24 2021-08-24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그리고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컨트롤 시스템 KR202300292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560A KR20230029269A (ko) 2021-08-24 2021-08-24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그리고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컨트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560A KR20230029269A (ko) 2021-08-24 2021-08-24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그리고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컨트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269A true KR20230029269A (ko) 2023-03-03

Family

ID=85510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560A KR20230029269A (ko) 2021-08-24 2021-08-24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그리고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컨트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9269A (ko)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5-0071970(2015.05.22)호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6-0007685(2016.01.21)호 "웨어러블 포인팅 장치(WEARABLE POINT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1786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the human body as an input device
CN210573659U (zh) 计算机系统、头戴式设备、手指设备和电子设备
CN107678542B (zh) 一种指环类可穿戴设备及人机交互方法
US20200159325A1 (en) Wearable muscle interface systems, devices and methods that interact with content displayed on an electronic display
US8570273B1 (en) Input device configured to control a computing device
KR20200074609A (ko) 홈 트레이닝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ikuchi et al. EarTouch: turning the ear into an input surface
US20150220158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pping of Arbitrary Human Motion Within an Arbitrary Space Bounded by a User's Range of Motion
JP2015507803A (ja) 高められたジェスチャ・ベースの対話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3324309A (zh) 可穿戴计算机
JP2015121979A (ja) 装着型情報入力装置、情報入力システム、及び情報入力方法
US11237632B2 (en) Ring device having an antenna, a touch pad, and/or a charging pad to control a computing device based on user motions
US20240028129A1 (en) Systems for detecting in-air and surface gestures available for use in an artificial-reality environment using sensors at a wrist-wearable device,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02402310A (zh) 一种手势鼠标
US20150331493A1 (en) Wearable Input Device
US20240019938A1 (en) Systems for detecting gestures performed within activation-threshold distances of artificial-reality objects to cause operations at physical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203490651U (zh) 可穿戴计算机
US20230325002A1 (en) Techniques for neuromuscular-signal-based detection of in-air hand gestures for text production and modification, and systems, wearable devices, and methods for using these techniques
KR101211808B1 (ko) 동작인식장치 및 동작인식방법
KR20230029269A (ko)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그리고 하이브리드 웨어러블 컨트롤 디바이스 컨트롤 시스템
CN118076940A (zh) 基于用户佩戴的腕式可穿戴设备的侧倾值来不同地解释用户的手指对手指手势的系统及其使用方法
KR102322968B1 (ko) 사용자의 손동작에 따른 명령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CN104932695B (zh) 信息输入装置及信息输入方法
Nakamura et al. Evaluation of spatial directional guidance using cheek haptic stimulation in a virtual environment
US20210318759A1 (en) Input device to control a computing device with a touch pad having a curved surface configured to sense touch inp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