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9180A - Handle For Fishing Rod - Google Patents

Handle For Fishing R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9180A
KR20230029180A KR1020210111369A KR20210111369A KR20230029180A KR 20230029180 A KR20230029180 A KR 20230029180A KR 1020210111369 A KR1020210111369 A KR 1020210111369A KR 20210111369 A KR20210111369 A KR 20210111369A KR 20230029180 A KR20230029180 A KR 20230029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nnection
fishing rod
connecting member
bl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3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장근
이성수
Original Assignee
이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수 filed Critical 이성수
Priority to KR1020210111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9180A/en
Publication of KR20230029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918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8Handgr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07Fishing rods with built-in accessories, e.g. lighting means or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6Devices for fixing reels on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2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motor-drive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ophysics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handle for a fishing r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d is a handle for a fishing rod, in a handle for a fishing rod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blank on which a fishing line is disposed, comprising: a grip part which is formed in a long rod shape; and a hollow connecting member which has an inner hole so that one side accommodates the blank and the other side accommodates the grip part. As the connecting member moves from one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hole decreases, and the grip part and the blank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ng member.

Description

낚싯대용 손잡이{Handle For Fishing Rod}Handle for fishing rod {Handle For Fishing Rod}

본 개시는 낚싯대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handle for a fishing rod.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simp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for the present disclosure and does not constitute prior art.

낚싯대는 어류(fish), 두족류(cephalopod) 및 갑각류(crustacean) 등 여러 해양생물을 포획하도록 구성된 장비이다. 낚싯대는 손잡이(handle), 블랭크(blank), 낚싯줄(fishing line) 및 릴(re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낚싯대의 종류에는 민 장대, 릴 낚싯대 및 전동 릴 낚싯대 등이 있다. A fishing rod is a device configured to catch various marine organisms such as fish, cephalopods and crustaceans. A fishing rod may include a handle, a blank, a fishing line, a reel, and the like. Types of fishing rods include min poles, reel fishing rods, and electric reel fishing rods.

민 장대는 손잡이 및 블랭크를 포함할 수 있다. 릴 낚싯대는 손잡이, 블랭크 및 릴을 포함하는 장비로서, 낚싯줄과 연결된 릴을 이용하여 낚싯줄의 길이가 조절된다. 전동 릴 낚싯대는 릴이 전동식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 장비로서, 릴에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낚싯줄의 길이가 조절된다. A min pole may include a handle and a blank. A reel fishing rod is a device including a handle, a blank, and a reel, and the length of the fishing line is adjusted using a reel connected to the fishing line. An electric reel fishing rod is a device in which a reel is electrically operated, and the length of a fishing line is adjusted using electric power supplied to the reel.

한편, 어종, 날씨 및 수심 등이 달라지거나, 손잡이와 블랭크 중 어느 하나가 훼손된 경우, 손잡이와 블랭크 중 하나만을 교체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종래에는 낚싯대의 종류, 모델 및 제조사 등에 따라 손잡이와 블랭크의 규격이 상이하므로 둘 중 어느 하나만을 교체하여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는 문제가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fish species, weather, water depth, etc. are changed, or if any one of the handle and the blank is damaged, there is a case where only one of the handle and the blank needs to be replaced. Conventionally, since the specifications of the handle and the blank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model, and manufacturer of the fishing ro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nappropriate to replace only one of the two.

낚싯대에 장착되는 릴을 전동식으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릴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필요하다. 기존에는 전동 릴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부피가 크고, 무게가 무거운 배터리가 이용되었다. 크고 무거운 배터리가 이용될 경우, 낚싯대의 이동 및 사용 편의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In order to electrically operate a reel mounted on a fishing rod, a battery that supplies power to the reel is required. Conventionally, bulky and heavy batteries have been used to supply power to electric reels. When a large and heavy battery is us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ase of movement and use of the fishing rod is deteriorated.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용 손잡이는 내부홀(inner hole)을 포함하는 중공형 연결부재(connecting member)를 그립부와 블랭크의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상호간에 규격이 다른 그립부와 블랭크가 결합할 수 있다.In the handle for a fishing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 hollow connecting member including an inner hole is disposed between the grip portion and the blank, so that the grip portion and the blank having different specifications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용 손잡이는 그립부의 내부에 배치된 전지(battery)를 이용하여 릴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전동 릴(electric reel)이 장착된 낚싯대의 이동 및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The handle for a fishing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supplies power to the reel using a battery disposed inside the grip part, thereby improving movement and ease of use of a fishing rod equipped with an electric reel.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낚싯줄이 배치되는 블랭크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낚싯대용 손잡이에 있어서, 기다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그립부; 및 일측이 상기 블랭크를 수용하고, 타측이 상기 그립부를 수용하도록 내부홀을 구비하는 중공형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내부홀의 단면적이 작아지고, 상기 그립부와 상기 블랭크는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낚싯대용 손잡이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a handle for a fishing rod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blank on which a fishing line is disposed, the grip portion formed in a long rod shape; And a hollow connecting member having an inner hole so that one side accommodates the blank and the other side accommodates the grip portion, wherein as the connecting member moves from one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hole is reduced, and the grip portion and the blank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ng member to provide a handle for a fishing rod.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낚싯대용 손잡이는 내부홀을 포함하는 중공형 연결부재를 그립부와 블랭크의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상호간에 규격이 다른 그립부와 블랭크가 결합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andle for a fishing rod has an effect of coupling the grip part and the blank having different specifications to each other by arranging a hollow connection member including an inner hole between the grip part and the blank.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낚싯대용 손잡이는 그립부의 내부에 배치된 전지를 이용하여 릴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전동 릴이 장착된 낚싯대의 이동 및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shing rod handle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movement and ease of use of the fishing rod equipped with the electric reel by supplying power to the reel using a battery disposed inside the grip portion.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용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이 완성된 낚싯대용 손잡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립부, 블랭크 및 연결부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립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andle for a fishing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ndle for a fishing rod complete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ternal structures of a grip part, a blank, and a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grip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이용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described in detail using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disclosure,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symbols such as first, second, i), ii), a), and b) may be used. These code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 sequence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codes. In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or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explicitly stated otherwise. .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용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andle for a fishing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이 완성된 낚싯대용 손잡이의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ndle for a fishing rod complete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립부, 블랭크 및 연결부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ternal structures of a grip part, a blank, and a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용 손잡이(handle for fishing rod)는 블랭크(blank, 20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블랭크(200)는 낚싯줄이 배치되는 부재로서, 가늘고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1 to 3, a handle for fishing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blank 200. Here, the blank 200 is a member on which a fishing line is disposed, and may be formed in a long and thin rod shape.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용 손잡이는 그립부(grip part, 100), 연결부재(connecting member, 300) 및 릴(reel, 400)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 handle for a fishing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grip part (100), a connecting member (300), and a reel (400).

그립부(100)는 하우징(housing, 110), 복수 개의 단자(terminals, 120), 연결회로(connecting circuit, 130), 전지(battery, 140), 전원 케이블(power cable, 150), 마개(cap, 160) 및 케이블 삽입구(cable insertion hole, 1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grip part 100 includes a housing 110, a plurality of terminals 120, a connecting circuit 130, a battery 140, a power cable 150, a cap, 160) and a cable insertion hole 170.

블랭크(200)는 낚싯줄(fishing line)이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낚싯줄 삽입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blank 200 may include one or more fishing line inserts (not shown) into which a fishing line is inserted.

연결부재(300)는 제1 연결부(first connecting part, 310), 제2 연결부(320) 및 내부홀(inner hole, 3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300 may include a first connecting part 310 , a second connecting part 320 and an inner hole 330 .

제1 연결부(310)는 홈(groove, 311), 제1 중앙홀(first central hole, 312), 관통부(penetration part, 313) 및 제1 돌기(first bump,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may include a groove 311, a first central hole 312, a penetration part 313, and a first bump (not shown). .

제2 연결부(320)는 제2 돌기(321) 및 제2 중앙홀(322)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20 may include a second protrusion 321 and a second central hole 322 .

내부홀(330)은 제1 중앙홀(312) 및 제2 중앙홀(322)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ner hole 330 may include a first central hole 312 and a second central hole 322 .

릴(400)은 릴 몸체부(reel body, 410), 릴 손잡이부(reel handle, 420), 표시부(display, 430) 및 케이블 수용부(cable receptacle,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el 400 may include a reel body 410, a reel handle 420, a display 430, and a cable receptacle (not shown).

그립부(100)는 가늘고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립부(100)는 중공형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립부(100)의 내부에는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낚싯대의 사용자가 그립부(100)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 그립부(100)의 적어도 일부에는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립부(100)는 카본(carbon) 또는 플라스틱(plastic)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grip part 100 may be formed in a long and thin rod shape. The grip part 100 may be formed in a hollow cylinder shape. An accommodation space may be formed inside the grip part 100 . At least a portion of the grip portion 100 may be curved so that a user of the fishing rod can easily grip the grip portion 100 . The grip part 100 may be formed of carbon or plastic material.

그립부(100)의 일측에는 릴(400)이 장착될 수 있다. 릴(400)이 그립부(100)에 견고하게 장착되도록, 그립부(100)의 적어도 일부에는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립부(100)의 적어도 일부는 연결부재(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립부(100)는 연결부재(300)를 이용하여 블랭크(200)와 결합할 수 있다. A reel 400 may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grip part 100 . At least a portion of the grip part 100 may be curved so that the reel 400 is firmly mounted on the grip part 100 . At least a part of the grip part 10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300 . The grip part 100 may be combined with the blank 200 using the connecting member 300 .

하우징(110)은 그립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수용 공간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원형 실린더(circular cylinde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에는 하나 이상의 전지(140)가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우징(110)의 양 끝단에는 복수 개의 단자(120)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단자(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회로(130)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일단에는 마개(160)가 설치될 수 있다. The housing 110 is formed inside the grip part 100 and includes an accommodation space. The housing 11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cylinder shape. One or more batteries 140 may be disposed in the housing 110 . A plurality of terminals 120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housing 1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10 . A connection circuit 130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terminals 120 may be formed inside the housing 110 . A stopper 160 may be installed at one end of the housing 110 .

단자(120)는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우징(110)의 양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단자(12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복수 개의 단자(120)는 (+)단자 및 (-)단자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단자(120) 중 적어도 하나는 하우징(110)의 일단에 설치된 마개(160)에 형성될 수 있다. The terminals 120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housing 1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10 . The number of terminals 120 may be plural. The plurality of terminals 120 include a (+) terminal and a (-) terminal.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120 may be formed in the stopper 160 installed at one end of the housing 110 .

복수 개의 단자(120)는 각각 전지(140)의 (+)극 및 (-)극과 연결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단자(120)는 연결회로(13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단자(120)는 전원 케이블(150)과 연결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terminals 120 may be connected to (+) poles and (-) poles of the battery 140, respectively. A plurality of terminals 1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a connection circuit 130 . A plurality of terminals 120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cable 150 .

연결회로(130)는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하우징(1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회로(130)는 복수 개의 단자(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연결회로(130)는 전원 케이블(150)과 연결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circuit 130 may be formed inside the housing 1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10 . The connection circuit 130 electrically connects the plurality of terminals 120 . The connection circuit 130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cable 150 .

전지(140)는 원형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지(14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전지(14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전지(140)의 (+)극 및 (-)극은 복수 개의 단자(120)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전지(140)는 직렬 또는 병렬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전지(140)는 복수 개의 단자(120), 연결회로(130) 및 전원 케이블(150)을 거쳐 릴(4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지(140)는 1차 전지 또는 2차 전지일 수 있다. The battery 14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cylinder shape. The battery 140 may be plural. A plurality of batteries 140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10 . The (+) pole and the (-) pole of the battery 140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terminals 120 . Cells 140 may be arranged in a series or parallel configuration. The battery 140 may supply power to the reel 400 through the plurality of terminals 120, the connection circuit 130, and the power cable 150. The battery 140 may be a primary battery or a secondary battery.

전원 케이블(150)은 전지(140)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을 릴(400)에 전달할 수 있다. 전원 케이블(150)의 일단은 복수 개의 단자(120) 및 연결회로(13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전원 케이블(150)의 다른 일단은 릴(400)과 연결될 수 있다. 전원 케이블(150)의 다른 일단은 릴(400)에 형성된 케이블 수용부와 연결될 수 있다. The power cable 150 may transfer power output from the battery 140 to the reel 400 . One end of the power cable 15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120 and the connection circuit 130 . The other end of the power cable 150 may be connected to the reel 400 . The other end of the power cable 150 may be connected to the cable receiving portion formed in the reel 400 .

전원 케이블(150)은 그립부(1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그립부(100)와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원 케이블(150)이 그립부(100)와 분리되어 형성되는 경우, 그립부(100)에는 전원 케이블(150)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케이블 삽입구(170)가 형성될 수 있다.The power cable 15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grip part 100 or formed separately from the grip part 100 . When the power cable 150 is formed separately from the grip part 100, a cable insertion hole 170 may be formed in the grip part 100 so that one end of the power cable 150 is inserted.

마개(160)는 그립부(100)의 일단에 설치될 수 있다. 마개(160)는 원형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개(160)에는 복수 개의 단자(120)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마개(160)는 그립부(100)와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마개(160)의 적어도 일부에는 실링(sealing)을 위한 오링(O-ring)이 배치될 수 있다. The stopper 160 may be installed at one end of the grip part 100 . The stopper 16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cylinder shap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120 may be formed in the stopper 160 . The stopper 160 may be coupled to the grip part 100 by a screw fastening method. An O-ring for sealing may be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topper 160 .

블랭크(200)는 그립부(1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블랭크(200)의 적어도 일부는 연결부재(300)의 내부홀(330)에 삽입될 수 있다. 블랭크(200)는 연결부재(300)를 이용하여 그립부(100)와 결합할 수 있다. The blank 20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grip part 100 . At least a portion of the blank 200 may be inserted into the inner hole 330 of the connecting member 300 . The blank 200 may be combined with the grip part 100 using the connecting member 300 .

블랭크(200)는 복수 개의 낚싯줄 삽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낚싯줄 삽입구에는 낚싯줄이 삽입된다. 블랭크(200)에는 블랭크(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낚싯줄이 배치될 수 있다. 블랭크(200)의 적어도 일부에는 하나 이상의 낚시 바늘이 배치될 수 있다. The blank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shing line inserts. A fishing line is inserted into the fishing line insertion port. A fishing line may be disposed on the blank 2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ank 200 . One or more fishing hooks may be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blank 200 .

블랭크(200)는 블랭크(200)의 길이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블랭크(200)는 상호 간에 단면적이 다른 복수 개의 단위 낚싯대가 순차적으로 연결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lank 200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lank 200 . The blank 20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fishing rods having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s are sequenti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연결부재(300)는 일측이 블랭크(200)를 수용하고, 타측이 그립부(100)를 수용하도록 내부홀(33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300)를 이용하여 그립부(100)와 블랭크(200)가 결합할 수 있다. 연결부재(300)는 그립부(100)와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300 may include an inner hole 330 so that one side accommodates the blank 200 and the other side accommodates the grip portion 100 . The grip part 100 and the blank 200 may be coupled using the connection member 300 . The connection member 300 may be coupled to the grip part 100 by a screw fastening method.

제1 연결부(310)의 외주면에는 제1 연결부(3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홈(3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310)의 일측은 홈(311)으로부터 제1 연결부(310)의 일측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노즐(nozzl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310)의 타측은 홈(311)으로부터 제1 연결부(310)의 타측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노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 groove 311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10 may be formed in a nozzle shape with a cross-sectional area decreasing toward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10 from the groove 311 .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may be formed in a nozzle shape with a cross-sectional area decreasing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from the groove 311 .

제1 연결부(310)의 내부에는 블랭크(200)가 삽입되도록 제1 중앙홀(3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310)는 제1 연결부(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의 관통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A first central hole 312 may be formed inside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so that the blank 200 is inserted therein.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rough parts 313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

제1 연결부(310)의 일측의 내부에는 블랭크(200)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연결부(310)의 타측은 그립부(10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연결부(310)는 제2 연결부(3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부(310)의 홈(311)에는 제2 연결부(320)의 제2 돌기(321)가 삽입될 수 있다. The blank 200 may be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may be inserted into the grip part 100 .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may be disposed inside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0 . The second protrusion 321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0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311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

제1 연결부(310)와 블랭크(200) 간의 마찰력이 증가하도록, 제1 연결부(310)의 내주면에는 제1 연결부(3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제1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기는 톱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기의 단면적은 삼각형, 사각형 또는 원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and the blank 200, a first protrusion (not shown) may b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The first protrusion may be formed in a sawtooth shap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protrusion may be formed in a shape such as a triangle, a rectangle, or a circle.

관통부(313)는 제1 연결부(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된다. 복수 개의 관통부(313)는 상호간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복수 개의 관통부(313)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연결부(31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형성된다. 복수 개의 관통부(313)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연결부(310)의 타측 끝단으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형성된다. 복수 개의 관통부(313)의 단면적이 변함에 따라, 제1 중앙홀(312)의 단면적이 변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through portions 313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10 . A plurality of penetrating portions 313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through portions 313 are formed in a direction from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310 to the other side.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through parts 313 are formed in one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 A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lurality of through portions 313 change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central hole 312 may change.

다만, 관통부(313)의 구조 및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통부(313)의 단면적 변화에 따라 제1 중앙홀(312)의 단면적이 변하는 다른 구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However,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penetrating portion 313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other structures and shapes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central hole 312 change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enetrating portion 313 .

제2 연결부(320)의 내주면에는 제2 연결부(32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제2 돌기(3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부(320)의 일측은 제2 돌기(321)로부터 제2 연결부(320)의 일측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부(320)의 타측은 단면적이 일정한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부(320)의 내부에는 제1 연결부(310)가 배치되도록 제2 중앙홀(322)이 형성될 수 있다. A second protrusion 321 may b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0 .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20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toward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20 from the second protrusion 321 .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32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constant cross-section. A second central hole 322 may be formed inside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0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is disposed.

제2 연결부(320)는 내부에 제1 연결부(310)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부(320)는 그립부(100)의 일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부(320)의 제2 돌기(321)는 제1 연결부(310)의 홈(311)에 삽입될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0 may be formed to accommodate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therein.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0 may be form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one end of the grip part 100 . The second protrusion 321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0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311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

제1 중앙홀(312)과 제2 중앙홀(322)의 중심 축이 일치하도록, 제2 연결부(320)의 내부에는 제1 연결부(31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부(320)에 형성된 제2 돌기(321)가 제1 연결부(310)에 형성된 홈(311)에 삽입됨으로써, 제1 연결부(310)가 제2 연결부(320)에 거치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may be disposed inside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0 so that the central axes of the first central hole 312 and the second central hole 322 coincide. When the second protrusion 321 formed on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311 formed on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can be mounted on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0.

릴(400)은 낚싯줄과 연결되어 낚싯줄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된 부재로서, 그립부(100)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릴(400)은 수동식 및/또는 전동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The reel 400 is a member connected to the fishing lin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fishing line, and may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grip part 100 . Reel 400 may be manually operated and/or powered.

릴 몸체부(410)는 그립부(100)에 고정될 수 있다. 릴 몸체부(410)에는 낚싯줄이 배치될 수 있다. 릴 몸체부(410)의 일단에는 릴 손잡이부(420)가 형성될 수 있다. 릴(400)이 전동식으로 작동함에 있어서, 표시부(430)는 배터리 잔량, 낚싯줄의 길이 및 수심 등을 나타낼 수 있다. 릴(400)에는 케이블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수용부에는 케이블(15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다. 케이블 수용부에 케이블(150)이 삽입됨으로써, 전지(140)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이 릴(400)에 공급될 수 있다. The reel body part 410 may be fixed to the grip part 100 . A fishing line may be disposed on the reel body 410 . A reel handle 420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reel body 410 . When the reel 400 is electrically operated, the display unit 430 may indicate the remaining battery level, the length of the fishing line, and the water depth. A cable accommodating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reel 400 . One end of the cable 150 may be inserted into the cable accommodating portion. As the cable 150 is inserted into the cable accommodating portion, power output from the battery 140 may be supplied to the reel 400 .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이 완성된 낚싯대용 손잡이의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ndle for a fishing rod completed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립부, 블랭크 및 연결부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ternal structures of a grip part, a blank, and a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립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grip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용 손잡이의 구조 및 효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The structure and effect of the handle for a fishing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

제1 중앙홀(312)과 제2 중앙홀(322)의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제 2 연결부(320)의 내부에는 제1 연결부(310)가 배치된다. 제2 연결부(320)의 제2 돌기(321)가 제1 연결부(310)의 홈(311)에 삽입됨으로써, 제1 연결부(310)가 제2 연결부(320)에 거치된다. 제1 연결부(310) 및 제2 연결부(320)의 일측에는 블랭크(200)가 삽입된다. 제1 연결부(310)의 타측은 그립부(100)의 내부에 삽입된다. 제2 연결부(320)의 타측에는 그립부(100)가 삽입된다.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is disposed inside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0 so that the central axes of the first central hole 312 and the second central hole 322 coincide. As the second protrusion 321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311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is mounted on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0 . A blank 200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0 .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is inserted into the grip part 100 . The grip part 100 is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0 .

제2 연결부(320)가 제2 연결부(320)의 일측으로부터 제2 연결부(320)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연결부(310)의 일측은 제2 연결부(320)에 의해 조여진다. 제1 연결부(310)의 타측은 그립부(100)에 의해 조여진다. 제1 연결부(310)가 조여짐에 따라, 제1 연결부(31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부(313)의 단면적이 작아진다. 관통부(313)의 단면적이 작아짐에 따라, 제1 중앙홀(312)의 단면적도 작아진다. 제1 연결부(310) 및 제2 연결부(320)를 이용하여 상호간에 규격이 다른 그립부(100)와 블랭크(200)가 결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용 손잡이의 사용자는 모든 종류의 블랭크(200)를 그립부(100)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0 moves from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0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0,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is tightened by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0.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is tightened by the grip part 100 . As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is tightene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lurality of through parts 313 formed in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decreases. A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hrough portion 313 decrease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central hole 312 also decreases. The grip part 100 and the blank 200 having different specifications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using the first connection part 31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320 . As a result, the user of the fishing rod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has an effect of using all kinds of blanks 200 by combining them with the grip part 100.

그립부(100)는 중공형 원형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립부(100)의 내부에는 하우징(110)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수용 공간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의 양 끝단에는 복수 개의 단자(120)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단자(120)는 연결회로(130)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 케이블(150)의 일단은 복수 개의 단자(120) 및 연결회로(13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전원 케이블(150)의 다른 일단은 릴(400)의 케이블 수용부에 삽입될 수 있다. The grip part 100 may be formed in a hollow circular cylinder shape. A housing 110 may be formed inside the grip part 100 . The housing 110 includes a receiving space. A plurality of terminals 120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housing 110 . A plurality of terminals 1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using a connection circuit 130 . One end of the power cable 15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120 and the connection circuit 130 . The other end of the power cable 150 may be inserted into the cable receiving portion of the reel 400 .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전지(140)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전지(140)는 직렬 또는 병렬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전지(140)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이 단자(120), 연결회로(130) 및 전원 케이블(150)을 거쳐 릴(400)에 공급된다. 릴(400)은 전지(140)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전동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용 손잡이의 사용자는 종래의 크고 무거운 배터리를 동반하지 않고, 그립부(100)의 내부에 배치된 전지(140)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릴(400)을 전동식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A plurality of batteries 140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10 . The plurality of batteries 140 may be arranged in series or parallel form. Power output from the battery 140 is supplied to the reel 400 via the terminal 120, the connecting circuit 130 and the power cable 150. The reel 400 may operate electrically using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140 . As a result, the user of the fishing rod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does not accompany a conventional large and heavy battery, and uses power output from the battery 140 disposed inside the grip part 100 to reel 400. ) can be operated electrically.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is embodiment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is embodiment.

100: 그립부 110: 하우징
120: 단자 130: 연결회로
140: 전지 150: 케이블
160: 마개 170: 케이블 삽입구
200: 블랭크 300: 연결부재
310: 제1 연결부 311: 홈
312: 제1 중앙홀 313: 관통부
320: 제2 연결부 321: 제2 돌기
322: 제2 중앙홀 400: 릴
410: 릴 몸체부 420: 릴 손잡이부
430: 표시부
100: grip part 110: housing
120: terminal 130: connection circuit
140: battery 150: cable
160: plug 170: cable entry
200: blank 300: connecting member
310: first connection part 311: groove
312: first central hole 313: through portion
320: second connection part 321: second protrusion
322: second central hole 400: reel
410: reel body part 420: reel handle part
430: display unit

Claims (9)

낚싯줄이 배치되는 블랭크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낚싯대용 손잡이에 있어서,
기다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그립부; 및
일측이 상기 블랭크를 수용하고, 타측이 상기 그립부를 수용하도록 내부홀을 구비하는 중공형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내부홀의 단면적이 작아짐으로써 상기 그립부와 상기 블랭크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낚싯대용 손잡이.
In the handle for a fishing rod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blank on which the fishing line is placed,
A grip part formed in the shape of a long rod; and
Including a hollow connecting member having an inner hole so that one side accommodates the blank and the other side accommodates the grip part,
As the connecting member moves from one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ner hole decreases so that the grip portion and the blank are connect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일측의 내부에 상기 블랭크가 삽입되며, 타측은 상기 그립부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제1 연결부; 및
내부에 상기 제1 연결부를 수용하고, 상기 그립부의 일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제2 연결부
를 포함하는 낚싯대용 손잡이.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member is
a first connecting portion having one side of the blank inserted therein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gripping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configured to receive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therein and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one end of the grip portion.
A handle for a fishing rod comprising a.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의 내부에는 상기 블랭크가 삽입되도록 제1 중앙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의 내부에는 상기 제1 연결부가 배치되도록 제2 중앙홀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연결부재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중앙홀의 단면적이 작아지는 낚싯대용 손잡이.
According to claim 2,
A first central hole is formed inside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to insert the blank,
A second central hole is formed inside the second connection part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part is disposed,
As the connecting member moves from one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center hole decrease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연결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의 일측은 상기 홈으로부터 상기 제1 연결부의 일측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부의 타측은 상기 홈으로부터 상기 제1 연결부의 타측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낚싯대용 손잡이.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 groov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such that a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toward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from the groove,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s a fishing rod handle that is form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from the groove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2 연결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연결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의 일측은 상기 제2 돌기로부터 상기 제2 연결부의 일측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부의 타측은 단면적이 일정한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는 낚싯대용 손잡이.
According to claim 2,
The second connection part includes a second protrusion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such that a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from the second protrusion toward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a handle for a fishing rod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constant cross-sectional are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의 일측에는 릴이 설치되고,
상기 릴은 상기 낚싯줄과 연결되는 낚싯대용 손잡이.
According to claim 1,
A reel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grip part,
The reel is a handle for a fishing rod connected to the fishing lin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그립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양 끝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단자;
상기 복수 개의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회로;
일단이 상기 복수 개의 단자 및 상기 연결회로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전지를 포함하고,
상기 릴은,
상기 전원 케이블의 다른 일단과 연결되도록 케이블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릴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전동식으로 작동하는 낚싯대용 손잡이.
According to claim 6,
The grip part,
a housing formed inside the grip unit and including an accommodation space;
a plurality of terminal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hous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a connection circuit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terminals;
a power cabl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and the connection circuit; and
Including one or more cell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the reel,
Including a cable receiving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ower cable,
The reel is a handle for a fishing rod that operates electrically by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the one or more batteri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그립부는 나사 체결 방식으로 연결되는 낚싯대용 손잡이.
According to claim 1,
A handle for a fishing rod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grip portion by a screw fastening metho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굴곡이 형성된 낚싯대용 손잡이.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a portion of the grip portion has a curved handle for a fishing rod.
KR1020210111369A 2021-08-24 2021-08-24 Handle For Fishing Rod KR2023002918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369A KR20230029180A (en) 2021-08-24 2021-08-24 Handle For Fishing R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369A KR20230029180A (en) 2021-08-24 2021-08-24 Handle For Fishing R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180A true KR20230029180A (en) 2023-03-03

Family

ID=85510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369A KR20230029180A (en) 2021-08-24 2021-08-24 Handle For Fishing R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918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8937B1 (en) Retractable extension cord housing having a low-profile plug holder
JP2538855Y2 (en) Structure of waterproof connector
KR200484546Y1 (en) Cable fixing apparatus
US20090136831A1 (en) Battery
US20070099488A1 (en) Nato slave connector
US1155242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cable clip
KR20230029180A (en) Handle For Fishing Rod
JPH032570U (en)
US11064686B2 (en) Fishing light attractor and a method of fishing therewith
US5139438A (en) Extension cord receptacle
US8951076B2 (en) Receptacle unit
CN218302380U (en) Lithium battery extension bar
KR200263495Y1 (en) Multi-Consent with space for accepting wire
US7591411B2 (en) Animal prod
KR200207766Y1 (en) An electronic float having waterproof structure
KR102516089B1 (en) Fishing rod with power supply
KR102044976B1 (en) Wireless charging terminal assembly for hair dryer
CN108471021A (en) A kind of electrical outlets and corresponding plug
CN220692480U (en) Multi-port quick-charging circuit adapter
JP3190664U (en) Plug
CN216488765U (en) Self-locking assembly connector
KR20230135790A (en) Fishing rod, holder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fishing rod
CN213460268U (en) Waterproof bent angle type plug
CN210041367U (en) Charger and equipment convenient to accomodate
KR200281715Y1 (en) Protective housing for cond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