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8179A -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향상된 특징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네트워크 프로토콜 - Google Patents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향상된 특징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네트워크 프로토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8179A
KR20230028179A KR1020220104058A KR20220104058A KR20230028179A KR 20230028179 A KR20230028179 A KR 20230028179A KR 1020220104058 A KR1020220104058 A KR 1020220104058A KR 20220104058 A KR20220104058 A KR 20220104058A KR 20230028179 A KR20230028179 A KR 20230028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ent device
network
media content
content
handsh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4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8800B1 (ko
Inventor
카나크라이 챠우한
Original Assignee
티-모바일 유에스에이,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모바일 유에스에이, 인크. filed Critical 티-모바일 유에스에이, 인크.
Publication of KR20230028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8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2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uni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5Network streaming protocols, e.g. 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or real-time control protocol [RT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04L65/1104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5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 H04L65/752Media network packet handling adapting media to network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80Responding to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9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for generating different ver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16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client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웹 서버는 향상된 피쳐들의 세트와 연관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상의 플레이백을 위한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한다. 활성화될 때, 각각의 향상된 피쳐는 미디어 콘텐츠와 연관되고 보충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웹 서버는 통신 채널을 인증하기 위해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의 각각과의 핸드쉐이크를 수행한다. 웹 서버는 제1 디바이스와의 핸드쉐이크로 교환된 정보가 제1 기준을 만족하면 제1 디바이스 상의 플레이백을 위한 미디어 콘텐츠를 전달하는 동안 향상된 피쳐들 중 하나 이상을 활성화한다. 웹 서버는 제2 디바이스와의 핸드쉐이크로 교환된 정보가 제1 기준을 만족하지 않으면, 향상된 피쳐들 중 임의의 것을 활성화함이 없이, 제2 디바이스 상의 플레이백을 위한 미디어 콘텐츠를 전달한다.

Description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향상된 특징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네트워크 프로토콜{NETWORK PROTOCOL FOR ENABLING ENHANCED FEATURES FOR MEDIA CONTENT}
통신 기술들 및 네트워크 기반구조가 향상됨에 따라, 통신 네트워크들은 스트리밍 오디오 및 비디오가 이제 유비쿼터스가 되도록,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들의 스트리밍 미디어 콘텐츠를 지원할 수 있게 되었다. 스트리밍 콘텐츠 제공자들의 서비스들(offerings)은 스트리밍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들의 욕구를 활용하기 위해 확장되었다. 그러나,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확장 능력들이 상이한 유형들의 미디어 콘텐츠에 상이한 방법들로 액세스 가능하게 하지만, 스트리밍 콘텐츠 제공자들은 통신 네트워크들이 종종 여전히 큰-대역폭 애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할 수 없기 때문에 미디어를 소비하는 새로운 방법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이하게 통합할 수 없었다. 예를 들어, 일부 네트워크들이 대역폭-집약적인 애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할 수도 있지만, 다른 네트워크들은 이러한 능력을 갖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콘텐츠 제공자들로 하여금 저대역폭 네트워크들에 접속된 고객들에 대해 스트리밍 서비스들의 품질을 유지하면서 확장된 기능 및 콘텐츠 유형들을 제공 가능하게 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네트워크 능력들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기존 시스템들의 이들 및 다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웹-기반 콘텐츠를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토콜, 시스템,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구현하도록 고안 및 변박하였다. 미디어 서버와 같은, 웹-기반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달된 콘텐츠를 보충하기 위해 향상된 피쳐들(enhanced features)을 제공한다. 증강 현실 콘텐츠, 가상 현실 콘텐츠, 3차원 콘텐츠, 워치 파티(watch party) 기능, 원격 통신들 계층, 또는 제2 시야각과 같은, 이들 향상된 피쳐들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되는 네트워크가 규정된 기준을 만족하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활성화된다. 예를 들어, 웹 서버는 네트워크가 특정 유형의 네트워크(예컨대, 5G 네트워크)인 경우 또는 네트워크가 특정의 모바일 네트워크 운영자에 의해 운영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향상된 피쳐들을 활성화한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되는 네트워크가 기준을 만족하지 않으면, 웹 서버는 향상된 피쳐들을 활성화하지 않고 콘텐츠를 전달할 수 있다. 웹 서버는 웹 서버가 콘텐츠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통신 채널을 확립하고 인증하는데 이용되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SIP) 핸드쉐이크와 같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의 핸드쉐이크 동안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되는 네트워크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핸드쉐이크로 교환된 정보에 기초하여, 웹 서버는 네트워크가 이들 향상들을 지원할 수 있을 때 다양한 유형들의 콘텐츠 향상들 중 임의의 것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콘텐츠를 전달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향상들이 네트워크 또는 웹 서버의 성능을 저하시킬 때 1차 콘텐츠와 연관된 서비스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들의 상세한 설명들을, 첨부 도면들의 사용을 통해서 기술 및 설명한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부 양태들이 동작하는 환경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a는 예시적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컴포넌트들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b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내 아이덴티티(identity) 모듈의 예시적인 구현예를 예시한다.
도 4는 네트워킹 환경에서 향상된 미디어 콘텐츠를 전달하는 프로세스를 예시하는 상호작용 다이어그램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스트리밍 비디오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예시한다.
도 6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적어도 일부 동작들이 구현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의 일 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도면들과 함께 상세한 설명을 연구함으로써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보다 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들을 설명하는 실시형태들 또는 구현예들은 일 예로서 예시되며, 동일한 참조들은 유사한 엘리먼트들을 표시할 수 있다. 도면들은 다양한 구현예들을 예시의 목적을 위해 도시되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대안적인 구현예들이 본 기술들의 원리들로부터 일탈함이 없이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특정의 구현예들이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지만, 본 기술은 다양한 수정들이 가능하다.
설명 및 연관된 도면들은 예시적인 예들이며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개시내용은 이들 예들의 완전한 이해 및 가능한 설명을 위한 특정의 세부 사항들을 제공한다. 그러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이들 세부 사항들 중 많은 부분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통상의 기술자은 예들의 설명들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본 발명이 자세하게 도시되거나 또는 설명되지 않은 널리 공지된 구조들 또는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시스템 개관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부 양태들이 동작하는 환경(100)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경(100)은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110)(예컨대, 모바일 전화, 태블릿 컴퓨터, 모바일 미디어 디바이스, 모바일 게이밍 디바이스, 운송체-기반 컴퓨터, 착용형 컴퓨팅 디바이스, 인터넷-접속된 텔레비전, 셋-탑 박스, 등), 하나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들(120), 및 하나 이상의 미디어 서버들(130)을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110)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로 하여금, 허가, 반-허가 또는 비허가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들(120) 중 하나 이상을 통해서 무선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함으로써 미디어 서버들(130) 또는 다른 포터블 전자 디바이스들과 통신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통신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일부의 경우, 각각의 통신 네트워크(120)는 다양한 네트워크들 사이 및 간의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도록 동작 가능한 게이트웨이들을 통해서 상호접속된, 다중 네트워크들, 심지어, 하나 이상의 보더 네트워크들, 보이스 네트워크들, 광대역 네트워크들,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들,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 네트워크들, 및/또는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들(PSTNs)와 같은 다중 이종 네트워크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통신 네트워크(120)는 또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코드/시분할 다중접속(CDMA/TDMA)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4 또는 5세대(4G/5G)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예컨대,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PRS/EGPRS),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 롱텀 에볼류션(LTE), 또는 NR(New Radio))와 같은 제3 자 통신 네트워크들, 또는 다른 유형들의 통신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110) 내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디바이스들로 하여금, 하나 이상의 유형들의 통신 네트워크들(120)에 의해 통신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는 GSM 모바일 원격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 결과, 모바일 디바이스는 GSM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또는 다른 네트워크들, 예를 들어, 3G 및/또는 4G 무선 프로토콜들을 이용하는 네트워크들 상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식별하는데 이용되는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IMSI) 번호를 저장하는 가입자 식별 모듈(SIM) 카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가 다른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하도록 구성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다른 통신 네트워크들 상에서 식별될 수 있도록 하는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에서, 통신 네트워크(120A)는 통신 네트워크(120B)와는 상이한 유형의 네트워크를 나타낼 수 있다. 일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110)은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유형들의 네트워크들을 통해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120A)는 4G 네트워크이고 한편 통신 네트워크(120B)는 5G 네트워크이며, 전자 디바이스(110A)는 (예컨대, 네트워크들의 지리적 한계들로 인해) 각각의 네트워크의 이용가능성에 기초하여 4G 네트워크(120A)와 5G 네트워크(120B) 사이에 스위칭한다. 다른 유형들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110)은 다른 유형이 아닌, 일부 유형들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110B)가 4G 네트워크 액세스용으로 구성되지만 5G 네트워크 액세스용으로 구성되지 않으면, 전자 디바이스(110B)는 5G 네트워크가 아닌, 4G 네트워크를 통해서 미디어 서버들(130)과 통신한다.
미디어 서버들(130)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110)에 의한 액세스를 위한 미디어 콘텐츠를 저장한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미디어 서버들(130)은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들, 클라우드-기반 아키텍처의 하나 이상의 노드들, 및/또는 콘텐츠 배포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노드들을 각각 나타낸다. 미디어 서버들(130)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110)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요청들을 수신하고, 응답하여, 요청된 콘텐츠를 배포한다. 다양한 구현예들에서, 스트리밍 비디오, 스트리밍 오디오, 또는 이미지들을 포함하여, 임의의 다양한 유형들의 미디어 콘텐츠가 미디어 서버들(130)을 통해서 액세스될 수 있다.
미디어 서버들(130)에 의해 저장된 미디어 콘텐츠는 활성화될 때, 미디어 콘텐츠에 대응하고 보충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향상된 피쳐들의 세트와 연관된다. 향상된 피쳐의 하나의 예시적인 유형은 인공 현실(AR), 가상 현실(VR) 콘텐츠, 또는 3차원 콘텐츠로의 미디어 콘텐츠의 변환, 또는 기본 미디어 콘텐츠를 보충하는 AR 또는 VR 콘텐츠의 추가이다. 예를 들어, 미디어 콘텐츠가 스트리밍 비디오 콘텐츠인 경우, 향상된 피쳐가 활성화될 때 스트리밍 비디오가 AR 또는 VR 콘텐츠로서 출력될 수 있으며, 향상된 피쳐들이 비활성화될 때 종래의 2차원 콘텐츠로서 출력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스트리밍 비디오는 향상된 피쳐가 활성화될 때 3D 콘텐츠로서 출력될 수 있고 향상된 피쳐가 비활성화될 때 2차원 콘텐츠로서 출력될 수 있다. 다른 경우, 스트리밍 비디오와 연관된 AR 또는 VR 콘텐츠는 제1 디바이스로 출력될 수 있지만 스트리밍 비디오 자체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출력된다. 이와 유사하게, 미디어 콘텐츠가 정지 이미지 콘텐츠(예컨대, 가구 물품의 이미지)일 때, 향상된 피쳐는 (예컨대, 잠재 구매자가 구매자의 홈에서 가구의 물품의 외관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이미지를 VR 콘텐츠로서 출력하게 한다. 향상된 피쳐가 비활성화될 때, 가구의 물품의 이미지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0)에 의해 비-VR 콘텐츠로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와 연관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향상된 피쳐는 워치 파티 기능 또는 원격 통신들 계층이며, 여기서, 다수의 사용자들은 미디어 콘텐츠를 함께 소비하고 비디오, 채팅, 통화들, 또는 다른 채널들을 통해 서로 상호작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들에서, 향상된 피쳐는 사용자 디바이스가 출력 서라운드 사운드 오디오를 출력하게 하거나, 또는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다른 시야각을 제공한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0)가 미디어 콘텐츠에 액세스하도록 요청할 때, 미디어 서버들(130)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의 핸드쉐이크를 수행하여, 미디어 콘텐츠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통신 채널을 인증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핸드쉐이크는 미디어 서버가 미디어 콘텐츠를 송신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0)와 미디어 서버(130) 사이의 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후속하여 종료하기 위한 수정된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핸드쉐이크이다. SIP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과의 세션들을 생성, 수정, 및 종료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계층 제어 프로토콜이며, 여기서, 세션들은 예를 들어, 인터넷 전화 통화들 또는 멀티미디어 배포를 포함한다. SIP는 RFC-3261과 같은 다양한 기술 사양들에 설명되어 있으며, 본원에 전체적으로 참고로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SIP 핸드쉐이크는 사용자 위치, 사용자 이용가능성, 사용자 능력들, 세션 셋업, 및 세션 관리와 같은, 당사자들 사이의 세션을 확립하기 위한 데이터를 통신한다. 본원의 구현예들에 따른 수정된 SIP 핸드쉐이크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0)는 추가적으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0)가 접속된 네트워크(120)의 식별자를 통신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0) 및 미디어 서버들(130)은 사용자 정의 요청들 및 응답들로 SIP 메시지들을 교환한다. 요청의 시작 라인은 요청을 정의하는 메소드, 및 요청이 전송될 위치를 정의하는 요청-URI를 포함한다. 이와 유사하게, 응답의 시작 라인은 해당 세션에 대해 사용자가 이용가능한 추가적인 능력들을 포함하는 응답 코드를 포함한다.
핸드쉐이크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세션 기술 프로토콜(SDP) 데이터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유형들의 미디어는 SIP 메시지들 내 SDP 페이로드들을 통해서 송신되며, 따라서 이러한 유형들의 미디어에 액세스하기 위한 SIP 핸드쉐이크는 SDP 데이터 유닛들을 포함한다. SDP 데이터 유닛들은 미디어 포맷, 코덱, 및 미디어 통신 프로토콜과 같은 정보 뿐만 아니라, 본원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네트워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0)와 미디어 서버(130) 사이의 핸드쉐이크는 전송 계층 보안(TLS),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RTP), 또는 보안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SRTP)을 포함한, 임의의 다양한 다른 프로토콜들의 피쳐들에 따라서 진행하거나 이용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들(130)은 핸드쉐이크에 포함된 네트워크 정보가 규정된 기준을 만족하면 하나 이상의 향상된 피쳐들을 활성화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미디어 서버들(130)은 네트워크(120)가 5G 네트워크와 같은, 규정된 유형의 네트워크이면 하나 이상의 향상된 피쳐들을 활성화한다. 예를 들어, 5G 네트워크가 아마도 4G 네트워크보다 큰 대역폭 및 속도들을 가지므로, 5G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성능을 현저하게 감소시킴이 없이 기본 미디어 콘텐츠 및 추가적인 피쳐 둘 모두의 전달을 더 잘 지원할 수 있다. 미디어 서버들(130)은 또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규정된 유형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우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적어도 임계 양의 시간 동안 네트워크에 접속될 가능성이 있으면 향상된 피쳐를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운영자는 임의의 주어진 위치에서의 가능한 네트워크 이용가능성, 이들 위치들에서의 가능한 네트워크 혼잡, 또는 유사한 데이터에 대한 통계치들 및 모델 예측들을 집합한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미디어 서버들(130)에 액세스하고 있을 때, 네트워크 운영자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적어도 임계 양의 시간 동안 네트워크에 접속될지 여부를 네트워크 운영자 또는 미디어 서버(130)가 예측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위치에서 현재 또는 예측된 네트워크 속성들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운송체로 이동하는 동안 5G 네트워크를 통해 비디오를 스트리밍하고 있으면, 미디어 서버(130)는 운송체가 5G 네트워크에 의해 커버되는 지리적 영역을 1 분 미만에 떠날 가능성이 있으면 향상된 피쳐를 활성화하지 않을 수도 있다. 향상된 피쳐들을 활성화하기 위해 적용되는 기준들은 예를 들어, 미디어 서버들(130)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 의해 정의된 사용자 정의 규칙들에 기초하여 발생될 수 있다.
미디어 서버들(130)에 의해 적용되는 다른 예시적인 기준들은 네트워크(120)가 규정된 네트워크 운영자에 의해 동작되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운영자는 미디어 서버들(130)의 운영자들과 협력하여 추가적인 기능을 제1 네트워크 운영자의 고객들에게 제공할 수 있지만, 다른 네트워크 운영자들의 고객들은 향상된 피쳐들이 아닌, 미디어 콘텐츠에 액세스할 수 있다. 더욱이, 미디어 서버들(130)의 일부 구현예들은 상이한 네트워크 속성들에 기초하여 상이한 향상된 피쳐들을 활성화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피쳐는 네트워크가 제1 기준을 만족할 때(예컨대, 네트워크가 제1 유형일 때) 활성화될 수 있지만, 다른 피쳐는 네트워크가 제2 기준을 만족할 때(예컨대, 네트워크가 제2 유형일 때) 활성화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미디어 서버들(130)은 다른 디바이스가 규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것에 기초하여 하나의 디바이스 상에서 향상된 피쳐들을 활성화한다. 미디어 서버들(130)은 디바이스들 둘 모두가 동일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것을 식별함으로써 하나의 디바이스를 다른 디바이스에 맵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리밍 비디오 콘텐츠는 텔레비전 상에서 플레이되지만, 미디어 서버(130)는 스트리밍 비디오 가입자의 계정과 연관된 모바일 전화 번호를 검색하여 사용자의 모바일 전화를 식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미디어 서버(130)는 네트워크 운영자 또는 하나 이상의 제3 자 서비스들로부터 동일한 사용자에 의해 소유되는 다수의 디바이스들 사이의 맵핑을 검색할 수 있다. 일단 디바이스들이 맵핑되면, 미디어 서버들(130)은 하나의 디바이스가 접속되는 네트워크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요청된 미디어에 대해 향상된 피쳐들을 활성화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향상된 피쳐들을 활성화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이용되는 기준이 모바일 네트워크 운영자의 아이덴티티일 때, 미디어 서버(130)는 디바이스가 규정된 모바일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가입된 모바일 전화에 맵핑되면 상이한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예컨대, WiFi 네트워크에 접속된 텔레비전) 상에서 향상된 피쳐들을 활성화한다.
향상된 피쳐들을 활성화하는 것은 대응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0)가 활성화된 피쳐의 표시자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0)의 사용자는 사용자가 향상된 피쳐와 연관된 기능 또는 콘텐츠에 액세스하기를 원하는 경우 표시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미디어 서버(130)는 향상된 피쳐가 활성화되면, 사용자로부터의 명시적인 입력을 요함이 없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0)가 출력 향상된 피쳐와 연관된 기능 또는 콘텐츠를 자동적으로 출력하게 할 수 있다. 향상된 피쳐가 주어진 디바이스에 대해 활성화될 때, 향상된 피쳐는 기본 미디어 콘텐츠 자체의 전달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부의 경우, 스트리밍 비디오의 프레임 레이트 및/또는 해상도는 향상된 피쳐가 활성화될지 여부에 무관하게 동일하다.
무선 통신 시스템
도 2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210) 중 일부가 미디어 콘텐츠에 액세스하는 예시적인 무선 원격 통신 네트워크(200)(“네트워크(200)")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네트워크(200)는 기지국들(202-1 내지 202-4)(또한, 개별적으로 “기지국(202)"로 또는 일괄하여 “기지국들(202)"로 지칭됨)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셀 사이트, 트랜시버 기지국, 또는 무선 기지국으로 또한 지칭될 수 있는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NAN)의 유형이다. 네트워크(200)는 액세스 지점, 무선 트랜시버, gNodeB(gNB), NodeB, eNodeB(eNB), 홈 NodeB 또는 홈 eNodeB, 또는 기타 등등을 포함한, NAN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광역 네트워크(WWAN) 기지국인 것에 추가하여, NAN은 미국 전기전자 학회(IEEE) 802.11 액세스 지점과 같은,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액세스 지점일 수 있다.
네트워크(200)에 의해 형성되는 네트워크(200)의 NAN들은 또한 무선 디바이스들(204-1 내지 204-7)(개별적으로 “무선 디바이스(204)"로 또는 일괄하여 “무선 디바이스들(204)"로 지칭됨) 및 코어 네트워크(206)를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들(204-1 내지 204-7)은 다양한 접속 표준들을 이용하여 통신 가능한 네트워크(200) 엔터티들에 대응하거나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G 통신 채널은 28 GHz 이상의 밀리미터 파(mmW) 액세스 주파수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무선 디바이스(204)는 4G 통신 채널로서 지칭되는, LTE/LTE-A(long-term evolution/long-term evolution-advanced) 통신 채널을 통해서 기지국(202)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206)는 보안 서비스들, 사용자 인증, 액세스 인가, 트래킹, 인터넷 프로토콜(IP) 접속, 및 다른 액세스, 라우팅, 또는 모빌리티 기능들을 제공, 관리, 및 제어한다. 기지국들(202)은 백홀 링크들의 제1 세트(예컨대, S1 인터페이스들)를 통해서 코어 네트워크(206)와 인터페이스하며, 무선 디바이스들(204)과의 통신을 위해 무선 구성 및 스케쥴링을 수행할 수 있거나 또는 기지국 제어기(미도시)의 제어 하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기지국들(202)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들일 수 있는 백홀 링크들(210-1 내지 210-3)의 제2 세트(예컨대, X1 인터페이스들)를 통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예컨대, 코어 네트워크(206)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기지국들(202)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 안테나들을 통해 무선 디바이스들(204)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셀 사이트들은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들(212-1 내지 212-4)(또한, 개별적으로 “커버리지 영역(212)"으로 또는 일괄하여 “커버리지 영역들(212)"로 지칭됨)에 대해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202)에 대한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212)은 단지 커버리지 영역(미도시)의 부분만을 구성하는 섹터들로 분할될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상이한 유형들의 기지국들(예컨대, 매크로 및/또는 소형 셀 기지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상이한 서비스 환경들(예컨대, 사물 인터넷(IoT), 모바일 광대역(MBB), 운송체-대-만물(V2X), 머신-대-머신(M2M), 머신-대-만물(M2X), 초고-신뢰성 저-레이턴시 통신(URLLC), 머신-유형 통신(MTC), 등)에 대해, 중첩하는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들(212)이 있을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5G 네트워크(200) 및/또는 LTE/LTE-A 또는 다른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LTE/LTE-A 네트워크에서, 용어 eNB가 기지국들(202)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며, 5G NR(New Radio) 네트워크들에서, 용어 gNB들이 mmW 통신들을 포함할 수 있는 기지국들(202)을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네트워크(200)는 상이한 유형들의 기지국들이 다양한 지리적 영역들에 대해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이종 네트워크(200)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기지국(202)은 매크로 셀, 소형 셀, 및/또는 다른 유형들의 셀들에 대해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용어 "셀"은 문맥에 따라, 기지국, 캐리어 또는 기지국과 연관된 컴포넌트 캐리어, 또는 캐리어 또는 기지국의 커버리지 영역(예컨대, 섹터)과 관련될 수 있다.
매크로 셀은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큰 지리적 영역(예컨대, 수 킬로미터 반경)을 커버하며, 무선 네트워크(200) 서비스 제공자에게 서비스 가입들을 한 무선 디바이스들에 의한 액세스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소형 셀은 매크로 셀과 비교하여 저-전력 기지국이며, 매크로 셀들과는 동일한 또는 상이한 (예컨대, 허가된, 비허가된) 주파수 대역들에서 동작할 수 있다. 소형 셀들의 예들은 피코 셀들, 펨토 셀들, 및 마이크로 셀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피코 셀은 커버 상대적으로 더 작은 지리적 영역을 커버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200) 제공자에게 서비스 가입들을 한 무선 디바이스들에 의한 비제한된 액세스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펨토 셀은 상대적으로 더 작은 지리적 영역(예컨대, 홈)을 커버하며, 펨토 유닛과 연관되어 있는 무선 디바이스들(예컨대, 폐쇄 가입자 그룹(CSG)의 무선 디바이스들, 홈 내 사용자들을 위한 무선 디바이스들)에 의한 제한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은 하나 또는 다수의(예컨대, 2개, 3개, 4개 등의) 셀들(예컨대, 컴포넌트 캐리어들)을 지원할 수 있다. 네트워크(200)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는, 본원에서 언급된 모든 고정된 트랜시버들은 소형 셀들을 포함하는, NAN들이다.
다양한 개시된 예들을 수용하는 통신 네트워크들은 계층화된 프로토콜 스택에 따라 동작하는 패킷-기반 네트워크들일 수 있다. 사용자 평면에서, 베어러 또는 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PDCP) 계층에서의 통신들은 IP-기반일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링크 제어(RLC) 계층은 패킷 세그멘테이션 및 재조립을 수행하여 논리 채널들을 통해 통신한다. 매체 액세스 제어(MAC) 계층은 우선순위 핸들링 및 전송 채널들로의 논리 채널들의 멀티플렉싱을 수행할 수 있다. MAC 계층은 또한 하이브리드 ARQ(HARQ)를 이용하여 MAC 계층에서 재송신을 제공하여, 링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어 평면에서, 무선 리소스 제어(RRC) 프로토콜 계층은 무선 디바이스(204)와, 사용자 평면 데이터에 대한 무선 베어러들을 지원하는 기지국들(202) 또는 코어 네트워크(206) 사이의 RRC 접속의 확립, 구성, 및 유지관리를 제공한다. 물리(PHY) 계층에서, 전송 채널들은 물리 채널들에 맵핑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들(204)은 네트워크(200) 전체에 걸쳐 분산되어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무선 디바이스(204)는 고정식이거나 또는 이동식일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이동국,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무선 유닛, 원격 유닛, 핸드헬드 모바일 디바이스, 원격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기, 모바일 단말기, 무선 단말기, 원격 단말기, 핸드셋,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기타 등등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의 예들은 모바일 전화, 개인 휴대정보 단말기(PDA), 무선 모뎀, 핸드헬드 모바일 디바이스(예컨대, 무선 디바이스들(204-1 및 204-2)), 태블릿 컴퓨터, 랩탑 컴퓨터(예컨대, 무선 디바이스(204-3)), 또는 웨어러블(예컨대, 무선 디바이스(204-4))과 같은, 사용자 장비(UE)를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드론(예컨대, 무선 디바이스(204-5)), 운송체(예컨대, 무선 디바이스(204-6)), 머리-장착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예컨대, 무선 디바이스(204-7))와 같은 증강 현실/가상 현실(AR/VR) 디바이스, 홈 내 기기와 같은 IoT 디바이스, 포터블 게이밍 콘솔,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원격 서버에 제공하는 무선으로 접속된 센서와 같은, 다른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매크로 eNB들/gNB들, 소형 셀 eNB들/gNB들, 릴레이 기지국들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200)의 에지에서 다양한 유형들의 기지국들 및 네트워크(200) 장비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는 또한 디바이스-대-디바이스(D2D) 통신들을 통해서 동일한 커버리지 영역의 기지국 내에서 또는 외부에서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200)에 나타낸 통신 링크들(214-1 내지 214-9)(또한, 개별적으로 “통신 링크(214)"로 또는 일괄하여 “통신 링크들(214)"로서 지칭됨)은 무선 디바이스(204)로부터 기지국(202)으로의 업링크(UL) 송신들, 및/또는 기지국(202)으로부터 무선 디바이스(204)로의 다운링크(DL) 송신들을 포함한다. 다운링크 송신들은 또한 순방향 링크 송신들로 지칭될 수 있는 반면, 업링크 송신들은 또한 역방향 링크 송신들로 지칭될 수 있다. 각각의 통신 링크(214)는 하나 이상의 캐리어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캐리어는 다양한 무선 기술들에 따라서 변조된 다수의 서브-캐리어들(예컨대, 상이한 주파수들의 파형 신호들)로 구성된 신호일 수 있다. 각각의 변조된 신호는 상이한 서브-캐리어 상에서 전송될 수 있으며 제어 정보(예컨대, 참조 신호들, 제어 채널들), 오버헤드 정보, 사용자 데이터, 등을 운반할 수 있다. 통신 링크들(214)은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를 이용하여 (예컨대, 페어링된 스펙트럼 리소스들을 이용하여) 또는 시분할 듀플렉스(TDD) 동작을 이용하여 (예컨대, 비페어링된 스펙트럼 리소스들을 이용하여) 양방향 통신들을 송신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통신 링크들(214)은 LTE 및/또는 mmW 통신 링크들을 포함한다.
네트워크(200)의 일부 구현예들에서, 기지국들(202) 및/또는 무선 디바이스들(204)은 기지국들(202)과 무선 디바이스들(204) 사이의 통신 품질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안테나 다이버시티 방식들을 이용하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기지국들(202) 및/또는 무선 디바이스들(204)은 동일한 또는 상이한 코딩된 데이터를 운반하는 다수의 공간 계층들을 송신하기 위해 다중-경로 환경들을 이용할 수 있는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기법들을 이용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도 3a는 무선 원격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하도록 구성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서 구현된, 예시적인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0)의 컴포넌트들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0)는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 프로토콜, 글로벌 이동 통신 시스템(GSM) 프로토콜, 롱텀 에볼류션(LTE) 프로토콜,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프로토콜, NR(New Radio) 프로토콜, 또는 다른 무선 원격 통신들 프로토콜 중 하나 이상에 따라 하나 이상의 외부 네트워크 디바이스들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셀룰러 무선 트랜시버(302)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0)는 또한 프로세서(304) 및 하나 이상의 입력 또는 출력 디바이스들(308), 예컨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하나 이상의 버튼들, 또는 외부 입력 또는 출력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도 3a에 추가로 나타낸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0)는 모바일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0)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아이덴티티 모듈(306)을 포함할 수 있다. 아이덴티티 모듈(306)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은 착탈식 또는 비-착탈식 가입자 식별 모듈(SIM) 카드, 착탈식 사용자 식별 모듈(R-UIM), 또는 범용 집적 회로 카드(UICC)를 포함한다.
도 3b는 아이덴티티 모듈(306)의 예시적인 구현예를 예시한다. 아이덴티티 모듈(306)은 메모리(320) 및 로직 프로세서(3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20)는 다양한 식별 정보 및 인증 정보, 예를 들어, 아이덴티티 모듈(306)을 식별하고 가입자를 식별하고/하거나 아이덴티티 모듈(306)과 연관된 모바일 통신 서비스 제공자 및/또는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정보를 저장한다. 전화 번호는 메모리(320)에 저장될 수 있다. 게다가, 메모리(330)는 집적 회로 카드 식별자(ICCID)(332),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IMSI)(324), 및 인증 키(326)를 저장할 수 있다. IMSI는 모바일 국가 코드(MCC), 모바일 네트워크 코드(MNC), 및 모바일 가입자 식별 번호(MSIN)를 포함할 수도 있다. MCC 및 MNC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0)가 가입된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를 식별하지만, MSIN은 네트워크의 운영자에 대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0)의 사용자를 식별한다. 프로세서(330)는 외부 컴포넌트들로 하여금 메모리(320)에 저장된 데이터에 액세스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미인가된 액세스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하는 로직을 실행한다.
향상된 미디어 콘텐츠를 전달
도 4는 일부 구현예들에 따른, 네트워킹 환경에서 향상된 미디어 콘텐츠를 전달하는 프로세스(400)를 예시하는 상호작용 다이어그램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세스의 단계들은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0A) 및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0B)와 같은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110) 뿐만 아니라, 미디어 서버(1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110) 및 미디어 서버(130)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로 통신한다. 프로세스(400)의 다른 구현예들은 도 4에 나타낸 것들보다 추가적이거나, 더 적거나, 또는 상이한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순서들로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
블록 402A에서,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0A)는 제1 디바이스의 아이덴티티 모듈로부터, 제1 디바이스(110A)의 사용자, 디바이스가 접속된 모바일 네트워크, 및/또는 디바이스가 접속된 모바일 네트워크와 연관된 모바일 네트워크 운영자에 대한 식별자 또는 식별자들의 조합을 검색한다. 검색된 식별자는 예를 들어, 모바일 국가 코드(MCC), 모바일 네트워크 코드(MNC), 및/또는 IMSI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 402B에서,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0B)는 유사하게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110B) 내 아이덴티티 모듈로부터 식별자 또는 식별자들의 조합을 검색한다.
블록 404에서,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0A)는 미디어 서버(130)와의 핸드쉐이크를 수행하여, 미디어 서버(130)를 통해 미디어 콘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한 제1 통신 채널을 인증한다. 핸드쉐이크 동안,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0A)는 미디어 서버(130)로 아이덴티티 모듈로부터 검색된 식별자 또는 식별자들의 조합을 전송한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핸드쉐이크는 아이덴티티 모듈로부터 검색된 식별자(들)를 포함하는 수정된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핸드쉐이크이다.
블록 406에서, 미디어 서버(130)는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0A)와 연관된 정보가 하나 이상의 기준들의 세트의 제1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미디어 서버(130)는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0A)가 특정의 모바일 네트워크 운영자에 의해 운영되는 원격 통신 네트워크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결정한다. 다른 예로서, 미디어 서버(130)는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0A)가 5G 네트워크와 같은 특정 유형의 네트워크에 현재 접속되어 있는지, 및/또는 적어도 임계 양의 시간 동안 특정 유형의 네트워크에 계속 접속될 가능성이 있는지를 결정한다. 또한 다른 예에서, 미디어 서버(130)는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0A)와 연관된 사용자의 식별자를 검색하고, 사용자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3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맵핑한다. 예를 들어,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0A)가 인터넷-접속된 텔레비전이면, 미디어 서버(130)는 제3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서, 텔레비전의 사용자와 연관된 모바일 전화를 식별한다. 이후, 미디어 서버(130)는 (예컨대, 모바일 전화가 특정의 모바일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가입되어 있는지를 결정함으로써) 제3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되는 네트워크가 기준을 만족하는지를 결정하며, 기준이 만족되면 제1 디바이스(110A) 상에서 하나 이상의 향상된 피쳐들을 활성화한다.
제1 기준이 만족되면, 미디어 서버(130)는 블록 408에서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0A)에 대해 하나 이상의 향상된 피쳐들을 활성화한다. 미디어 서버(130)는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0)로 하여금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0A)에 의해 요청된 미디어 콘텐츠의 전달과 관련하여 활성화된 피쳐의 표시자를 출력하게 할 수 있다. 도 5a는 일 예로서, 임의의 향상된 피쳐들 없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0A)에 의해 출력되는 스트리밍 비디오(502)를 예시하지만, 도 5b는 활성화된 향상된 피쳐에 각각 대응하는 3개의 표시자들(504)과 함께 출력되는 스트리밍 비디오(502)를 예시한다.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0A)의 사용자가 3개의 표시자들 중 하나를 선택하면, 미디어 서버(130)는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의한 출력을 위해, 선택된 피쳐와 연관된 기능 또는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자(504A)가 선택되면, 서라운드 사운드는 비디오에 대해 작동될 것이다. 표시자(504B)가 선택되면, 비디오는 증강 현실 콘텐츠로서 플레이될 것이다. 표시자(504C)가 선택되면, 비디오는 3차원 콘텐츠로서 플레이될 것이다. 일부 구현예들에서, 표시자들(504)의 각각은 제1 디바이스(110A)와 연관된 네트워크가 제1 기준을 만족하면 향상된 피쳐가 활성화되는 것과 연관된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각각의 향상된 피쳐는 네트워크가 기준들의 세트 중 대응하는 기준을 만족하면 활성화된다. 예를 들어, 표시자(504A)와 연관된 피쳐는 네트워크가 제1 기준을 만족하면 활성화되며, 표시자(504B)와 연관된 피쳐는 네트워크가 제2 기준을 만족하면 활성화되며, 표시자(504C)와 연관된 피쳐는 네트워크가 제3 기준을 만족하면 활성화된다.
블록 410에서, 제2 디바이스(110B)는 미디어 서버(130)와의 핸드쉐이크를 수행하여, 제2 디바이스가 미디어 서버(130)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제2 통신 채널을 인증한다. 블록 410에서 수행되는 핸드쉐이크는 블록 404에서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0A)에 의해 수행되는 핸드쉐이크와 유사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미디어 서버(130)는 블록 412에서,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0B)와 연관된 네트워크 정보가 기준들의 세트 중 임의의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0B)와 연관된 네트워크 정보가 기준들의 세트의 임의의 기준을 만족하지 않으면, 미디어 서버(130)는 블록 414에서 임의의 향상된 피쳐들을 활성화함이 없이 미디어 콘텐츠를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0B)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미디어 서버(130)는 도 5a에 나타낸 스트리밍 비디오(502)와 유사하게, 향상된 피쳐들의 임의의 표시자들을 디스플레이함이 없이, 비디오 콘텐츠를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10B)로 스트리밍한다.
컴퓨터 시스템
도 6은 본원에서 설명되는 적어도 일부 동작들이 구현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600)의 일 예를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나타낸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60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602), 메인 메모리(606), 비-휘발성 메모리(6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612), 비디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18), 입력/출력 디바이스(620), 제어 디바이스(622)(예컨대, 키보드 및 포인팅 디바이스), 저장 매체(626)를 포함하는 구동 유닛(624), 및 버스(616)에 통신가능하게 접속된 신호 발생 디바이스(630)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616)는 적합한 브릿지들, 어댑터들, 또는 제어기들에 의해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물리적 버스들 및/또는 점-대-점 접속들을 나타낸다. 다양한 공통 컴포넌트들(예컨대, 캐시 메모리)은 간결성을 위해 도 6에서 생략된다. 대신, 컴퓨터 시스템(600)은 도면들의 예들과 관련하여 예시 또는 설명된 컴포넌트들 및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이 구현될 수 있는 하드웨어 디바이스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컴퓨터 시스템(600)은 임의의 적합한 물리적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시스템(600)은 서버 컴퓨터, 개인용 컴퓨터(PC), 태블릿 컴퓨터, 모바일 전화기, 게임 콘솔, 뮤직 플레이어, 착용형 전자 디바이스, 네트워크-접속된(“스마트") 디바이스(예컨대, 텔레비전 또는 홈 보조 디바이스), AR/VR 시스템들(예컨대, 머리-장착형 디스플레이), 또는 컴퓨팅 시스템(600)에 의해 취해질 액션(들)을 규정하는 명령들의 세트를 실행 가능한 임의의 전자 디바이스의 아키텍처와 유사한 아키텍처를 공유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컴퓨터 시스템(600)은 내장 컴퓨터 시스템, 시스템-온-칩(SOC), 단일-보드 컴퓨터 시스템(SBC) 또는 컴퓨터 시스템들의 메시와 같은 분산 시스템일 수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들에서의 하나 이상의 클라우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경우,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들(600)은 실시간으로, 거의 실시간으로, 또는 배치 모드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612)는 컴퓨팅 시스템(600)으로 하여금, 컴퓨팅 시스템(600) 및 외부 엔터티에 의해 지원되는 임의의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서 컴퓨팅 시스템(600) 외부에 있는 엔터티와 네트워크(614) 내 데이터를 중재 가능하게 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612)의 예들은 네트워크 어댑터 카드,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라우터, 액세스 지점, 무선 라우터, 스위치, 다층 스위치, 프로토콜 변환기, 게이트웨이, 브릿지, 브릿지 라우터, 허브, 디지털 미디어 수신기, 및/또는 리피터 뿐만 아니라, 본원에서 언급된 모든 무선 엘리먼트들을 포함한다.
메모리(예컨대, 메인 메모리(606), 비-휘발성 메모리(610), 머신-판독가능 매체(626))는 로컬, 원격, 또는 분산형일 수 있다. 단일 매체로 나타내었지만, 머신-판독가능 매체(626)는 명령들(628)의 하나 이상의 세트들을 저장하는 다수의 매체들(예컨대, 중앙집중/분산 데이터베이스 및/또는 연관된 캐시들 및 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머신-판독가능(저장) 매체(626)는 컴퓨팅 시스템(600)에 의한 실행을 위한 명령들의 세트를 저장, 인코딩, 또는 운반 가능한 임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머신-판독가능 매체(626)는 비일시적일 수 있거나 또는 비일시적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상황에서, 비일시적 저장 매체는 유형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는 그의 물리적 상태를 변경할 수 있지만 디바이스가 구체적인 물리적 형태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비일시적은 이러한 상태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유형적으로 남아 있는 디바이스를 지칭한다.
구현예들이 완전히 기능하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맥락에서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의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배포될 수 있다. 머신-판독가능 저장 매체들, 머신-판독가능 매체들, 또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의 예들은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디바이스들(610), 착탈식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들, 광 디스크들과 같은, 기록가능한 유형의 매체들, 및 디지털 및 아날로그 통신 링크들과 같은, 송신-유형 매체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본원의 예들을 구현하기 위해 실행되는 루틴들은 운영 시스템 또는 특정의 애플리케이션의 부분, 컴포넌트, 프로그램, 오브젝트, 모듈, 또는 명령들의 시퀀스(일괄하여 “컴퓨터 프로그램들"로 지칭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들은 전형적으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다양한 메모리 및 저장 디바이스들에 다양한 시간들에서 설정된 하나 이상의 명령들(예컨대, 명령들(604, 608, 628))을 포함한다. 프로세서(602)에 의해 판독 및 실행될 때, 명령(들)은 컴퓨팅 시스템(600)으로 하여금,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태들을 포함하는 엘리먼트들을 실행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한다.
비고
용어들 “예", “실시형태" 및 “구현예"는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에서 "하나의 예" 또는 "예"에 대한 언급은 동일한 구현예에 대한 언급들일 수 있으며 반드시 그렇지는 않으며; 이러한 언급들은 구현예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 어구 "일 예에서"의 출현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예들과 상호 배타적인 별개의 또는 대안적인 예들도 아니다. 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예에 포함될 수 있다. 더욱이, 일부 예들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고 다른 예들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없는 다양한 특징들이 설명된다. 이와 유사하게, 일부 예들에 대한, 그러나, 다른 예들에 대해서는 아닌, 요구사항들일 수 있는 다양한 요구사항들이 설명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특정의 구체적인 예들과 관련하여 이용되더라도, 가장 광범위하고 타당한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이용되는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관련 기술 분야에서, 본 개시내용의 문맥 내에서, 그리고 각각의 용어가 사용되는 특정의 문맥에서, 이들의 통상적인 의미들을 갖는다. 대안적인 언어 또는 동의어들의 상술은 다른 동의어들의 사용을 배제하지 않는다. 용어가 본원에서 상술되거나 또는 설명되는지 여부에 특별한 의미를 두어서는 안된다. 강조 표시(highlighting)의 사용은 용어의 범위 및 의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 동일한 것이 하나 보다 많은 방법으로 말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문맥이 명백히 다르게 요구하지 않는 한, 설명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 단어들 "포함한다", "포함하는" 등은 배타적이거나 또는 완전한 의미가 아닌, 포괄적인 의미로; 즉,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의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용어들 "접속된", "커플링된", 또는 이의 임의의 변형은 2개 이상의 엘리먼트들 사이의, 직접 또는 간접, 임의의 접속 또는 커플링을 의미하며; 엘리먼트들 사이의 커플링 또는 접속은 물리적, 논리적,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단어들 "본원에서", "위(above)", "아래(below)", 및 유사한 의미의 단어들은 본 출원의 임의의 특정의 부분들이 아닌, 본 출원 전체를 지칭할 수 있다. 문맥이 허용하는 경우, 단일 또는 복수의 개수를 이용하는 상기 상세한 설명의 단어들은 또한 복수의 또는 단일 개수를 각각 포함할 수도 있다. 2개 이상의 아이템들의 리스트와 관련하여 단어 "또는"은 다음 단어의 해석들: 리스트 내 아이템들 중 임의의 아이템, 리스트 내 아이템들 모두, 및 리스트 내 아이템들의 임의의 조합 모두를 포함한다. 용어 "모듈"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펌웨어 컴포넌트들, 및/또는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을 널리 지칭한다.
기술의 구체적인 예들이 예시적인 목적들을 위해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통상의 기술자들이 인식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등가 수정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예를 들어, 프로세스들 또는 블록들이 주어진 순서로 제시되지만, 대안적인 구현예들은 상이한 순서로, 단계들을 갖는 루틴들을 수행하거나, 또는 블록들을 갖는 시스템들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일부 프로세스들 또는 블록들은 대안적인 또는 하위-조합들을 제공하기 위해 삭제, 이동, 추가, 세분, 결합, 및/또는 수정될 수도 있다. 이들 프로세스들 또는 블록들 각각은 다양한 상이한 방법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스들 또는 블록들이 직렬로 수행되는 것으로 종종 나타내지만, 이들 프로세스들 또는 블록들은 대신, 병렬로 수행 또는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시간들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 본원에서 언급된 임의의 특정의 숫자들은 단지 대안적인 구현예들이 상이한 값들 또는 범위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예들이다.
개시된 구현예들의 세부 사항들은 개시된 교시들에 의해 여전히 포함되면서 특정의 구현예들에서 상당히 다를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들 또는 양태들을 설명할 때 이용되는 특정의 용어는 그 용어가 연관되는 본 발명의 임의의 특정의 특성들, 특징들, 또는 양태들에 제한되도록 용어가 본원에서 재정의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일반적으로, 다음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상기 상세한 설명이 이러한 용어들을 명시적으로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을 본원에서 개시된 구체적인 예들에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제 범위는 개시된 예들 뿐만 아니라, 청구범위 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 또는 구현하는 모든 등가 방법들을 포괄한다. 일부 대안적인 구현예들은 위에서 설명된 이들 구현예들에 대한 추가적인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더 적은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임의의 특허들 및 출원들 및 기타 참조들, 및 첨부된 출원 문서에 열거될 수도 있는 모두는 임의의 기술요지 면책 조항들 또는 부인들(disavowals)을 제외하고, 그리고 통합된 자료가 본원에서의 명시적인 공개와 부합하지 않는, 이 경우, 본 개시내용에서의 언어가 지배하는 범위를 제외하고, 그들의 전체로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들을 제공하기 위해 위에서 설명된 다양한 참조들의 시스템들, 기능들, 및 컨셉들을 이용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청구항들의 수를 감축하기 위해, 특정의 구현예들이 특정의 청구항 형식들로 아래에서 제시되지만, 출원인은 발명의 다양한 양태들을 다른 형태들로 고려한다. 예를 들어, 청구항의 양태들은 수단-플러스-기능 형식으로 또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구현되는 것과 같은 다른 형식들로 인용될 수 있다. 수단-플러스-기능 청구항으로서 해석되도록 의도된 청구항은 단어들 “위한 수단"을 이용할 것이다. 그러나, 임의의 다른 문맥에서 용어 "위한"의 사용은 유사한 해석을 불러일으키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출원인은 본 출원에서 또는 계속 출원에서 이러한 추가적인 청구 형식들을 추구할 권리를 보유한다.

Claims (20)

  1. 방법으로서,
    웹 서버에 의해,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상의 플레이백을 위한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미디어 콘텐츠는 활성화될 때 상기 미디어 콘텐츠에 연관되고 보충하는 기능을 각각 제공하는 향상된 피쳐들의 세트와 연관됨-;
    상기 웹 서버에 의해, 각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개별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상기 웹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에 액세스하는 통신 채널을 인증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각각과의 핸드쉐이크를 수행하는 단계 - 상기 핸드쉐이크는 상기 개별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상기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요청하고 있는 네트워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상기 웹 서버에 의해,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액세스를 요청하고 있는 상기 네트워크에 관한 정보가 제1 기준을 만족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상의 플레이백을 위한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전달하는 동안, 상기 향상된 피쳐들의 세트 내 상기 향상된 피쳐들 중 하나 이상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웹 서버에 의해,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액세스를 요청하고 있는 상기 네트워크에 관한 정보가 상기 제1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향상된 피쳐들의 세트 중 임의의 것을 활성화함이 없이,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상의 플레이백을 위한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의 상기 핸드쉐이크를 수행하는 단계는,
    각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각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아이덴티티 모듈로부터 검색된 모바일 네트워크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향상된 피쳐들은 상기 모바일 네트워크 코드가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상기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요청하고 있는 상기 네트워크를 규정된 모바일 네트워크 운영자에 의해 운영되는 모바일 원격 통신 네트워크인 것으로 식별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의 상기 핸드쉐이크를 수행하는 단계는,
    각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각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상기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요청하고 있는 상기 네트워크의 유형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향상된 피쳐들은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상기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요청하고 있는 상기 네트워크가 네트워크의 제1 유형이라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의 제1 유형은 5세대(5G) 네트워크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는 스트리밍 비디오 콘텐츠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상의 플레이백을 위한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상의 플레이백을 위한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향상된 피쳐들을 활성화하면서, 상기 스트리밍 비디오 콘텐츠를 제1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로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스트리밍 비디오 콘텐츠를 상기 제1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로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는 스트리밍 비디오 콘텐츠를 포함하며, 상기 향상된 피쳐들의 세트는 증강 현실 콘텐츠, 가상 현실 콘텐츠, 3차원 콘텐츠, 워치 파티 기능, 원격 통신들 계층, 또는 상기 스트리밍 비디오 콘텐츠의 제2 시야각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쉐이크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핸드쉐이크를 포함하는, 방법.
  8.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프로세서; 및
    명령들을 저장한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명령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시스템으로 하여금,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상의 플레이백을 위한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게 하고 - 상기 미디어 콘텐츠는, 활성화될 때 상기 미디어 콘텐츠에 연관되고 보충하는 기능을 각각 제공하는 향상된 피쳐들의 세트와 연관됨-;
    각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대해, 개별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웹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에 액세스하는 통신 채널을 인증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들 각각과의 핸드쉐이크를 수행하게 하고 - 상기 핸드쉐이크는 상기 개별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연관된 네트워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
    상기 웹 서버에 의해,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연관된 네트워크에 관한 정보가 제1 기준을 만족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상의 플레이백을 위한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전달하는 동안, 상기 향상된 피쳐들의 세트 내 상기 향상된 피쳐들 중 하나 이상을 활성화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웹 서버에 의해,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연관된 네트워크에 관한 정보가 상기 제1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향상된 피쳐들의 세트 중 임의의 것을 활성화함이 없이,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상의 플레이백을 위한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전달하게 하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연관된 상기 네트워크에 관한 정보가 상기 제1 기준을 만족한다고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 연관된 사용자의 식별자를 검색하는 것;
    상기 사용자의 상기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를 제3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맵핑하는 것;
    상기 제3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되는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것; 및
    상기 제3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되는 상기 네트워크가 상기 제1 기준을 만족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향상된 피쳐들을 활성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는 원격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이며, 상기 제3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의해 이용되는 상기 네트워크가 상기 제1 기준을 만족한다고 결정하는 것은 상기 원격 통신 네트워크가 규정된 모바일 네트워크 운영자에 의해 운영된다고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의 상기 핸드쉐이크를 수행하는 것은,
    각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각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의 아이덴티티 모듈로부터 검색된 모바일 네트워크 코드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향상된 피쳐들은 상기 모바일 네트워크 코드가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상기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요청하고 있는 상기 네트워크를 규정된 모바일 네트워크 운영자에 의해 운영되는 모바일 원격 통신 네트워크인 것으로 식별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와의 상기 핸드쉐이크를 수행하는 것은,
    각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각각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상기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요청하고 있는 상기 네트워크의 유형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향상된 피쳐들은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가 상기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요청하고 있는 상기 네트워크가 네트워크의 제1 유형이라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는 스트리밍 비디오 콘텐츠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상의 플레이백을 위한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전달하는 것 및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상의 플레이백을 위한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전달하는 것은,
    상기 하나 이상의 향상된 피쳐들을 활성화하면서, 상기 스트리밍 비디오 콘텐츠를 제1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로 상기 제1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것; 및
    상기 스트리밍 비디오 콘텐츠를 상기 제1 프레임 레이트 및 해상도로 상기 제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는 스트리밍 비디오 콘텐츠를 포함하며, 상기 향상된 피쳐들의 세트는 증강 현실 콘텐츠, 가상 현실 콘텐츠, 3차원 콘텐츠, 워치 파티 기능, 원격 통신들 계층, 또는 상기 스트리밍 비디오 콘텐츠의 제2 시야각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시스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쉐이크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핸드쉐이크를 포함하는, 시스템.
  16. 일시적 신호들을 제외하고 명령들을 운반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시스템으로 하여금,
    모바일 디바이스 내 아이덴티티 모듈 상에 저장된 모바일 네트워크 코드(MNC)에 액세스하게 하고;
    미디어 서버를 통해서 이용가능한 미디어 콘텐츠에 액세스하기 위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미디어 서버와의 핸드쉐이크를 개시하게 하고 - 상기 핸드쉐이크는,
    상기 MNC를 상기 미디어 서버로 전송하는 것 - 상기 미디어 서버는 수신된 상기 MNC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유형을 결정하고, 상기 네트워크 유형이 제1 네트워크 유형인 것에 응답하여, 상기 미디어 콘텐츠에 관련된 향상된 피쳐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됨-; 및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상기 향상된 피쳐가 활성화되었다는 통지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함 -; 그리고
    상기 미디어 콘텐츠 및 상기 활성화된 향상된 피쳐의 표시자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추가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MNC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의 운영자를 결정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운영자가 규정된 네트워크 운영자라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향상된 피쳐를 활성화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18. 제16항에 있어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추가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활성화된 향상된 피쳐에 액세스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된 표시자에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상기 활성화된 향상된 피쳐와 연관된 보충 콘텐츠를 요청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는 스트리밍 비디오 콘텐츠를 포함하며, 상기 향상된 피쳐들의 세트는 증강 현실 콘텐츠, 가상 현실 콘텐츠, 3차원 콘텐츠, 워치 파티 기능, 원격 통신들 계층, 또는 상기 스트리밍 비디오 콘텐츠의 제2 시야각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쉐이크는 세션 개시 프로토콜 핸드쉐이크인,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20104058A 2021-08-20 2022-08-19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향상된 특징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네트워크 프로토콜 KR1025488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408,217 2021-08-20
US17/408,217 US11516270B1 (en) 2021-08-20 2021-08-20 Network protocol for enabling enhanced features for media cont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8179A true KR20230028179A (ko) 2023-02-28
KR102548800B1 KR102548800B1 (ko) 2023-06-28

Family

ID=83271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058A KR102548800B1 (ko) 2021-08-20 2022-08-19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향상된 특징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네트워크 프로토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516270B1 (ko)
EP (1) EP4138399A1 (ko)
JP (1) JP7340666B2 (ko)
KR (1) KR1025488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23670A1 (en) * 2006-02-06 2008-05-2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extended services in a user device using a voice over packet gateway
US20180352303A1 (en) * 2016-12-29 2018-12-06 Dressbot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user digital interactive experience

Family Cites Families (7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47302B1 (en) 1999-12-02 2006-05-16 Sony Corporation Entertainment America Inc.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optional customer election of auxiliary content provided on detachable local storage media during access of primary content over a network and for collecting data concerning viewed auxiliary content
US6535878B1 (en) 1997-05-02 2003-03-18 Roxio,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n-line interactivity over a server-client network
US20050210101A1 (en) 1999-03-04 2005-09-22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management, and interactivity for client devices
US7178106B2 (en) 1999-04-21 2007-02-13 Sonic Solutions, A California Corporation Presentation of media content from multiple media sources
US7346920B2 (en) 2000-07-07 2008-03-18 Sonic Solutions, A California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for a common cross platform framework for development of DVD-Video content integrated with ROM content
US7187947B1 (en) 2000-03-28 2007-03-06 Affinity Lab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selected information to an electronic device
US8166384B1 (en) 2000-06-14 2012-04-24 Adobe Systems Incorporated Environment-based bookmark media
KR20040041082A (ko) 2000-07-24 2004-05-13 비브콤 인코포레이티드 멀티미디어 북마크와 비디오의 가상 편집을 위한 시스템및 방법
AU8467401A (en) 2000-07-28 2002-02-13 Storymail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vice, operating system, and network transport neutral secure interactive multi-media messaging
US20070047523A1 (en) 2001-08-16 2007-03-01 Roamware, Inc. Method and system for call-setup triggered push content
US8554940B2 (en) 2001-01-19 2013-10-08 Single Touch Interactive, Inc.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media
US7296074B2 (en) 2002-03-20 2007-11-13 Scientific-Atlanta, Inc. Media on demand session re-use
AU2003234406A1 (en) 2002-05-10 2003-11-11 Edward Vincent Fitzgerald Method and system for media
US8296393B2 (en) 2002-08-12 2012-10-23 David S. Morganstein Media advertising over peer-to-peer networks
US8301724B2 (en) 2002-08-12 2012-10-30 David S. Morganstein Targeted media advertising over networks
US7461067B2 (en) 2002-09-13 2008-12-02 Motricity, Inc. System for supporting production, management and delivery of media content for wireless devices
US20040205811A1 (en) 2002-09-23 2004-10-14 Grandy Leslie L.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 media
US8302111B2 (en) 2003-11-24 2012-10-30 Time Warner Cab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hardware registration in a network device
US8484308B2 (en) 2004-07-02 2013-07-09 MatrixStrea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content via a network
US7995756B1 (en) 2005-10-12 2011-08-09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Mobile device playback and control of media content from a personal media host device
KR100754196B1 (ko) 2005-12-10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트리밍 재생 중에 컨텐트 재생 장치를 변경하는 방법 및이를 위한 장치
WO2007101182A2 (en) 2006-02-28 2007-09-07 Maven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and managing media content downloaded to a network connected device
US9386327B2 (en) 2006-05-24 2016-07-05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Secondary content insertion apparatus and methods
US8893195B2 (en) 2006-10-31 2014-11-1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Electronic devices for capturing media content and transmitting the media content to a network accessible media repository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8418231B2 (en) 2006-10-31 2013-04-0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managing media content by capturing media content at a client device and storing the media content at a network accessible media repository
WO2008060140A1 (en) 2006-11-14 2008-05-22 Adjustables B.V. System for video presentations with adjustable display elements
WO2008112835A1 (en) 2007-03-14 2008-09-18 Ranjit Ramesh Sawant Capture and transfer of rich media content
US8161171B2 (en) 2007-11-20 2012-04-17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Session initiation protocol-based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WO2009120301A2 (en) 2008-03-25 2009-10-01 Square Product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 media presentation
US20100011295A1 (en) 2008-07-08 2010-01-14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of Delivering Customer Contact Service to IPTV Viewer
US8260877B2 (en) 2008-12-31 2012-09-04 Apple Inc. Variant streams for real-time or near real-time streaming to provide failover protection
US9237311B2 (en) 2009-02-06 2016-01-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Network architecture and method for application deployment
US9094713B2 (en) 2009-07-02 2015-07-28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association of content
US9203816B2 (en) 2009-09-04 2015-12-01 Echostar Technologies L.L.C. Controlling access to copies of media content by a client device
US9706257B2 (en) 2009-09-14 2017-07-1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Viewing control management across multiple access points
US8555406B2 (en) 2009-10-06 2013-10-0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Remote viewing of multimedia content
US8396055B2 (en) 2009-10-20 2013-03-12 Time Warner Cab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enabling media functionality in a content-based network
US9325502B2 (en) 2009-11-13 2016-04-2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Identity management for transactional content
US20110138018A1 (en) 2009-12-04 2011-06-09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media server
US8244707B2 (en) 2010-01-15 2012-08-14 Hulu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upplemental video content for third party websites
WO2011123821A1 (en) 2010-04-01 2011-10-06 Apple Inc. Real-time or near real-time streaming
US9762639B2 (en) 2010-06-30 2017-09-12 Brightcove Inc. Dynamic manifest generation based on client identity
US9602414B2 (en) 2011-02-09 2017-03-21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led bandwidth reclamation
US9847888B2 (en) 2011-08-29 2017-12-19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Controlling content access and related actions on a DLNA network
US9319321B2 (en) 2011-12-16 2016-04-19 Netflix, Inc. Web server constraint support
US9660922B2 (en) 2012-03-23 2017-05-23 Cisco Technology, Inc. Network assisted rate shifting for adaptive bit rate streaming
US8838149B2 (en) 2012-04-02 2014-09-16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ensuring delivery of geographically relevant content
US9386331B2 (en) 2012-07-26 2016-07-05 Mobitv, Inc. Optimizing video clarity
US9357272B2 (en) 2012-08-03 2016-05-31 Intel Corporation Device orientation capability exchange signaling and server adaptation of multimedia content in response to device orientation
US20140047562A1 (en) 2012-08-09 2014-02-13 Rawllin International Inc. Selective provisioning of online media content
US9565472B2 (en) 2012-12-10 2017-02-07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ent transfer protection
US9414219B2 (en) * 2013-06-19 2016-08-09 Facebook, Inc. Detecting carriers for mobile devices
US20150039680A1 (en) 2013-08-02 2015-02-05 Avvasi Inc. Methods and systems for video quota management
US10873616B1 (en) 2013-12-10 2020-12-22 Google Llc Providing content to co-located devices with enhanced presentation characteristics
JP6448046B2 (ja) 2014-03-13 2019-01-09 ブラボ アイディアズ デジタル カンパニー,リミティド 複合メディアコンテンツの提示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実行する提示システム
US10476926B2 (en) 2015-06-12 2019-11-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BR bitrate delivery responsive to video buffer characteristics of a client
EP3311577B1 (en) 2015-06-16 2020-05-27 Intel IP Corporation A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ypertext transfer protocol (dash) assisting network element (dane) transcoding media content based on a set of metric and status messages received from the dash client and corresponding dash client device
US10993069B2 (en) 2015-07-16 2021-04-27 Snap Inc. Dynamically adaptive media content delivery
US10349104B2 (en) 2015-08-19 2019-07-09 Ericsson Ab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egment delivery and bandwidth responsive to encoding complexity metrics
US20170311008A1 (en) 2016-04-25 2017-10-26 Shane Petersen Portable media server for providing offline playback of copyright protected media
WO2018027237A1 (en) 2016-08-05 2018-02-08 Sportscastr.Live Llc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scalable low-latency viewing of broadcast digital content streams of live events
WO2018104834A1 (en) 2016-12-07 2018-06-14 Yogesh Chunilal Rathod Real-time, ephemeral, single mode, group & auto taking visual media, stories, auto status, following feed types, mass actions, suggested activities, ar media & platform
US10601838B2 (en) 2017-04-25 2020-03-24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agnostic entitlement gateway and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10523727B2 (en) 2017-12-28 2019-12-31 Sling Media Pvt Ltd Adaptive bitrate optimization upon video streaming initialization
US11716558B2 (en) 2018-04-16 2023-08-01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integrated high-capacity data and wireless network services
WO2020148659A2 (en) 2019-01-18 2020-07-23 Rathod Yogesh Augmented reality based reactions, actions, call-to-actions, survey, accessing query specific cameras
JP7211845B2 (ja) 2019-02-20 2023-01-24 日本放送協会 動画セグメントの画質及び経路を判定する判定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US20230224548A1 (en) 2019-08-19 2023-07-13 Koninklijke Kpn N.V. Streaming Assistance System and Computer-Implemented Method
JP2021064822A (ja) 2019-10-10 2021-04-22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10046241A (ko) 2019-10-18 2021-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Xr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1894130B2 (en) 2019-12-26 2024-02-06 Augmenticon Gmbh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process control, support and analysi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23670A1 (en) * 2006-02-06 2008-05-2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extended services in a user device using a voice over packet gateway
US20180352303A1 (en) * 2016-12-29 2018-12-06 Dressbot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user digital interactive experie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800B1 (ko) 2023-06-28
JP2023029318A (ja) 2023-03-03
US20230088413A1 (en) 2023-03-23
JP7340666B2 (ja) 2023-09-07
US11516270B1 (en) 2022-11-29
US11924261B2 (en) 2024-03-05
EP4138399A1 (en) 2023-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0837B2 (en) Reduction of power consumption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non-standalone devices
US11206640B2 (en) Private local network access, authentication, and association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US10827549B2 (en) Facilitating automatic neighbor relationships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US20230020097A1 (en) Indication of multiple in multiple out network layers across carriers to optimize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US10833812B2 (en) Configurable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feedback types for sidelink communication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US20220141916A1 (en) Facilitation of power retention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non-standalone devices
US11510111B2 (en) Facilitation of voice over new radio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US20230074567A1 (en) Coordination of transmit authorization in a shared spectrum environment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US20220361077A1 (en) Mobile device display of federated wireless access point networks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KR102548800B1 (ko)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향상된 특징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네트워크 프로토콜
US11844013B1 (en) Radio access technology prioritization
US20240073103A1 (en) Dynamic configuration and discovery of security edge protection proxy
US20240129733A1 (en) Privacy protection in network slice as a service
US12004023B2 (en) Facilitation of voice over new radio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US20240146544A1 (en) Authenticating a user interacting with a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 via a non-internet connected phone
US20230353985A1 (en) Rich communication services in multi-carrier environments
US20240187841A1 (en) Pushing esim functionality to user devices by cellular networks
US11350442B2 (en) Facilitation of configured grants for sidelink reception for 5G or other next generation network
US20230354029A1 (en) Increasing efficiency of communication between a mobile device and a satellite associated with a 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
US20240064503A1 (en) Selectively restricting wi-fi calls supported by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20240155555A1 (en) Notifications on a manag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