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7889A - Cadastral reference point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using map application - Google Patents

Cadastral reference point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using map appl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7889A
KR20230027889A KR1020210110165A KR20210110165A KR20230027889A KR 20230027889 A KR20230027889 A KR 20230027889A KR 1020210110165 A KR1020210110165 A KR 1020210110165A KR 20210110165 A KR20210110165 A KR 20210110165A KR 20230027889 A KR20230027889 A KR 20230027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dastral
map
control point
map application
reference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1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57980B1 (en
Inventor
이원희
양평우
Original Assignee
한국국토정보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국토정보공사 filed Critical 한국국토정보공사
Priority to KR1020210110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7980B1/en
Publication of KR20230027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78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7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79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46Details of route searching algorithms, e.g. Dijkstra, A*, arc-flags, using precalculated rou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 G01C21/3807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ata
    • G01C21/3811Point data, e.g. Point of Interest [PO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dastral control point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using a map application. The device comprises: a map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 map through a first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function call of a map application; a cadastral control point mark display unit that provides coordinate values of a cadastral control point to the map application through a second API function call of the map application and displays a mark of the cadastral control point on the map; a mobile terminal mark display unit that provides the current coordinate value of a mobile terminal to the map application through the second API function call and displays a mark of the mobile terminal on the map; and a cadastral control point route guide unit that guides a route from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location of a specific cadastral control point through a third API function call of the map application when the specific cadastral control point is selected on the map. Accordingly, the coordinates of cadastral control points used in cadastral surveying can be collectively registered and managed on the map or road view.

Description

맵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 및 방법{CADASTRAL REFERENCE POINT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USING MAP APPLICATION}Point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using map application {CADASTRAL REFERENCE POINT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USING MAP APPLICATION}

본 발명은 지적기준점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적측량에 활용되는 지적기준점의 좌표를 맵 또는 로드뷰에 일괄적으로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는 맵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managing cadastral control point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adastral control points using a map application capable of collectively registering and managing coordinates of cadastral control points used in cadastral surveying on a map or road view. It is about.

지적기준점은 지적 측량기준점의 일부이며, 측량의 정확도를 확보하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특정 지점을 측량, 수로조사 및 특정 법률에 따른 측량기준에 따라 측정하고 좌표로 표시하여 측량 시에 기준으로 사용되는 점을 의미한다.The cadastral control point is a part of the cadastral survey control point, and is used as a standard for surveying by measuring and displaying coordinates in accordance with surveying, hydrographic surveys, and surveying standards in accordance with specific laws to secure accuracy and increase efficiency of surveying. means

지적기준점은 사용자가 지도를 보고 찾아가야 하지만, 특히, 산간 및 임야 지역에서 나타나는 홍수, 폭우와 같은 기상현상으로 인해 지적기준점의 위치변경 또는 유실은 사용자의 접근 용이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관리자의 효율적인 관리를 어렵게 할 수 있다.Although the user has to look at the map to find the cadastral reference point, the change or loss of the location of the cadastral control point due to weather phenomena such as floods and heavy rains, especially in mountainous and forest areas, can reduce the user's accessibility. Effective management can be difficult.

한국등록특허 제 10-0903274호는 토지 등의 측량 시 기준 표시 점으로 이용되는 지적기준점 또는 측량(기준)점을 고정시키고 훼손 및 망실 없이 보존하며, 노면 높낮이의 증감에 적응하면서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캡(Cap)을 구비하며 상부로 연장이 가능한 보호용 케이스에 위 측량기준점을 내장하도록 하는 지적기준점에 대한 기술을 개시한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03274 is for fixing a cadastral reference point or measurement (reference) point used as a reference mark when surveying land, preserving it without damage or loss, and adapting to the increase or decrease in the height of the road surface while using the cap. Disclosed is a technology for a point control point that has a cap and allows the above measurement point to be embedded in a protective case that can be extended upward.

한국등록특허 제 10-0953733호는 태양광을 이용한 다목적 기준점 설비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시계획 정보가 내장된 RFID태그가 기준점 시설물에 부착되고, RFID태그로부터 수신된 기준점 좌표를 포함한 기준점 정보 및 도시계획 정보를 안내하는 기술을 개시한다.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953733 relates to a multi-purpose reference point facility management system using sunlight. An RFID tag with built-in city planning information is attached to a reference point facility, and reference point information and city including reference point coordinates received from the RFID tag A technique for guiding planning information is disclosed.

한국등록특허 제10-0903274호 (2009.06.09)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03274 (2009.06.09) 한국등록특허 제10-0953733호 (2010.04.12)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53733 (2010.04.12)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적측량에 활용되는 지적기준점의 좌표를 맵 또는 로드뷰에 일괄적으로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는 맵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adastral control points using a map application capable of collectively registering and managing coordinates of cadastral control points used in cadastral surveying on a map or road view.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맵 및 로드뷰 상에 지적기준점을 표시함으로써 현장에서 지적기준점을 찾는데 효율성을 제고하여 지적측량 업무를 지원할 수 있는 맵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adastral reference points using a map application capable of supporting cadastral survey work by improving efficiency in finding cadastral reference points in the field by displaying cadastral reference points on a map and road view. .

실시예들 중에서, 맵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는 맵 어플리케이션의 제1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함수 호출을 통해 맵을 제공하는 맵 제공부; 상기 맵 어플리케이션의 제2 API 함수 호출을 통해 지적기준점의 좌표값을 상기 맵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고 상기 맵에 상기 지적기준점의 마크를 표시하는 지적기준점 마크 표시부; 상기 제2 API 함수 호출을 통해 모바일 단말의 현재 좌표값을 상기 맵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고 상기 맵에 상기 모바일 단말의 마크를 표시하는 모바일 단말 마크 표시부; 및 상기 맵에서 특정 지적기준점이 선택되면 상기 맵 어플리케이션의 제3 API 함수 호출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로부터 상기 특정 지적기준점의 위치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지적기준점 경로 안내부를 포함한다.Among embodiments, an apparatus for managing cadastral control points using a map application may include a map providing unit providing a map through a first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function call of the map application; a cadastral reference point mark display unit that provides coordinate values of cadastral reference points to the map application through a second API function call of the map application and displays a mark of the cadastral reference point on the map; a mobile terminal mark display unit providing current coordinate values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map application through the second API function call and displaying a mark of the mobile terminal on the map; and a cadastral point route guidance unit for guiding a route from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location of the specific cadastral control point through a third API function call of the map application when a specific cadastral control point is selected from the map.

상기 맵 제공부는 상기 맵 어플리케이션의 제4 API 함수 호출을 통해 특정 위치에서의 로드뷰를 제공하여 상기 지적기준점의 마크를 상기 로드뷰에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The map providing unit may provide a road view at a specific location through a fourth API function call of the map application to provide the mark of the reference point to the road view.

상기 지적기준점 마크 표시부는 상기 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특정 지적기준점의 선택을 수신하고 제5 API 함수 호출을 통해 상기 맵 어플리케이션의 상부에 상기 특정 지적기준점의 관리정보를 오버레이 할 수 있다.The cadastral control point mark display unit may receive selection of the specific cadastral control point through the map application and overlay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specific cadastral control point on top of the map application through a fifth API function call.

상기 지적기준점 마크 표시부는 상기 지적기준점의 관리정보로서 상기 지적기준점의 고유번호, 행정주소 및 작업자 메모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The cadastral control point mark display unit may provide a unique number, administrative address, and memo contents of the cadastral control point as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cadastral control point.

상기 지적기준점 마크 표시부는 상기 맵의 영역을 검출하고 지적기준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검출된 맵의 영역에 있는 상기 지적기준점의 좌표값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지적기준점의 좌표값을 행정주소로 변환하여 상기 맵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할 수 있다.The cadastral control point mark display unit detects the area of the map, extracts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cadastral control points in the detected map area from the cadastral control point database, and converts the extracted coordinate values of the cadastral control points into administrative addresses, and then converts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extracted cadastral control points to the map You can provide it to your application.

상기 지적기준점 마크 표시부는 상기 추출된 지적기준점의 행정주소를 기초로 지적기준점 레이어를 생성하고 상기 지적기준점 레이어를 상기 맵에 오버레이하여 상기 맵에 상기 지적기준점의 마크를 표시할 수 있다.The cadastral control point mark display unit may create a cadastral control point layer based on the extracted administrative address of the cadastral control point, overlay the cadastral control point layer on the map, and display the cadastral control point mark on the map.

상기 지적기준점 경로 안내부는 상기 특정 지적기준점의 위치까지의 도달을 검출하고 그렇다면 상기 특정 지적기준점의 관리정보 중 작업자 메모내용에 작업자 메모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pointing reference point route guidance unit may detect arrival of the specific pointing reference point and, if so, write a worker memo in the operator's memo contents of the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specific pointing reference point.

상기 지적기준점 경로 안내부는 상기 작업자 메모가 작성되면 상기 작업자 메모내용을 연대기별 작업자 메모로서 지적기준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When the worker memo is created, the pointing reference point route guidance unit may store the contents of the worker memo as a worker memo for each chronology in the pointing reference point database.

실시예들 중에서, 맵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적기준점 관리 방법은 맵 어플리케이션의 제1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함수 호출을 통해 맵을 제공하는 맵 제공단계; 상기 맵 어플리케이션의 제2 API 함수 호출을 통해 지적기준점의 좌표값을 상기 맵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고 상기 맵에 상기 지적기준점의 마크를 표시하는 지적기준점 마크 표시단계; 상기 제2 API 함수 호출을 통해 모바일 단말의 현재 좌표값을 상기 맵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고 상기 맵에 상기 모바일 단말의 마크를 표시하는 모바일 단말 마크 표시단계; 및 상기 맵에서 특정 지적기준점이 선택되면 상기 맵 어플리케이션의 제3 API 함수 호출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로부터 상기 특정 지적기준점의 위치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지적기준점 경로 안내단계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a method for managing cadastral control points using a map application includes a map providing step of providing a map through a first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function call of the map application; a cadastral reference point mark display step of providing coordinate values of the cadastral reference point to the map application through a second API function call of the map application and displaying the mark of the cadastral reference point on the map; a mobile terminal mark display step of providing a current coordinate value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map application through the second API function call and displaying a mark of the mobile terminal on the map; and a cadastral control point route guidance step of guiding a route from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location of the specific cadastral control point through a third API function call of the map application when a specific cadastral control point is selected from the map.

상기 지적기준점 마크 표시단계는 상기 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특정 지적기준점의 선택을 수신하고 제5 API 함수 호출을 통해 상기 맵 어플리케이션의 상부에 상기 특정 지적기준점의 관리정보를 오버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ing of the cadastral control point mark may include receiving a selection of the specific cadastral control point through the map application and overlaying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specific cadastral control point on top of the map application through a fifth API function call. .

상기 지적기준점 마크 표시단계는 상기 지적기준점의 관리정보로서 상기 지적기준점의 고유번호, 행정주소 및 작업자 메모내용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rking of the cadastral control point may include providing a unique number of the cadastral control point, an administrative address, and memo contents of the operator as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cadastral control point.

상기 지적기준점 마크 표시단계는 상기 맵의 영역을 검출하고 지적기준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검출된 맵의 영역에 있는 상기 지적기준점의 좌표값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지적기준점의 좌표값을 행정주소로 변환하여 상기 맵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displaying the cadastral control point mark detects the map area, extracts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cadastral control points in the detected map area from the cadastral control point database, and converts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extracted cadastral control points into administrative addresses. A step of providing the map to the application may be included.

상기 지적기준점 마크 표시단계는 상기 추출된 지적기준점의 행정주소를 기초로 지적기준점 레이어를 생성하고 상기 지적기준점 레이어를 상기 맵에 오버레이하여 상기 맵에 상기 지적기준점의 마크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ing of the cadastral control point mark may include generating a cadastral control point layer based on the extracted administrative address of the cadastral control point and displaying the cadastral control point mark on the map by overlaying the cadastral control point layer on the map. there is.

상기 지적기준점 경로 안내단계는 상기 특정 지적기준점의 위치까지의 도달을 검출하고 그렇다면 상기 특정 지적기준점의 관리정보 중 작업자 메모내용에 작업자 메모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guiding a path to the pointing reference point may include detecting arrival at the location of the specific pointing reference point and, if so, enabling a worker to write a memo in the operator's memo contents of the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specific pointing reference point.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must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so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rights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맵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 및 방법은 지적측량에 활용되는 지적기준점의 좌표를 맵 또는 로드뷰에 일괄적으로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adastral control points using a map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llectively register and manage coordinates of cadastral control points used for cadastral surveying in a map or road vie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맵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 및 방법은 맵 및 로드뷰 상에 지적기준점을 표시함으로써 현장에서 지적기준점을 찾는데 효율성을 제고하여 지적측량 업무를 지원할 수 있다.A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adastral control points using a map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cadastral survey work by improving efficiency in finding cadastral control points in the field by displaying cadastral control points on a map and a road vie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적기준점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맵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적기준점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a 내지 5f는 본 발명에 따른 맵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적기준점 관리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i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ystem configuration of the pointing control point management device of FIG. 1 .
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pointing control point management device of FIG. 1 .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cadastral control points using a map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f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process of managing cadastral control points using a map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to.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erms described in this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intervening elements exist.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refer to an embodi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eg,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follow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than specified.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defined otherwise.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적기준점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in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지적기준점 관리 시스템(100)은 API 서버(110),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130) 및 사용자 단말(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control point management system 100 may include an API server 110 , a control point management device 130 and a user terminal 150 .

API 서버(110)는 다양한 기능의 API들을 제공하는 외부의 API 제공 시스템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I 서버(110)는 카카오, 네이버, 구글 등에서 운영하는 API 서버에 해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PI 서버(110)는 맵 관련 기능을 제공하는 다양한 API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API의 호출량을 사용자 별로 제한할 수 있다. 즉, API 서버(110)는 API의 사용량이 소정의 기준을 넘지 않는 경우에는 자유로운 사용을 보장하는 반면, 소정의 기준을 초과하는 사용에 대해서는 소정의 비용을 지불하도록 하여 서버가 안정적으로 운영되게 할 수 있다. API 서버(110)는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The API server 110 may correspond to an external API providing system that provides APIs of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the API server 110 may correspond to an API server operated by Kakao, Naver, Google, or the like. Specifically, the API server 110 may provide various APIs that provide map-related functions, and may limit the amount of API calls for each user. That is, the API server 110 guarantees free use when the usage amount of the API does not exceed a predetermined standard, while paying a predetermined fee for use exceeding a predetermined standard so that the server can be operated stably. can The API server 110 may be connected to the point management device 130 through a network.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130)는 본 발명에 따른 맵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적기준점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50)과 유선 네트워크 또는 블루투스, WiFi, LTE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5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cadastral control point management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as a server corresponding to a computer or program that performs the cadastral control point management method using a map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point control device 130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50 through a wired network or a wireless network such as Bluetooth, WiFi, LTE, etc., and may transmit/receive data with the user terminal 150 through the network. .

또한,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130)는 API 서버(110)와 연결되어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130)는 API 서버(110)에게 API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API 서버(110)는 그에 따른 응답으로서 API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130)는 클라우드 서버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맵 연동과 지적기준점 관리를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ointed control point management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to operate in connection with the API server 110 . More specifically, the point management device 130 may transmit an API request signal to the API server 110 and the API server 110 may provide an API as a response thereto. In one embodiment, the cadastral control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as a cloud server, and thus may perform operations for linking a map and managing cadastral control points through a cloud service.

사용자 단말(150)은 사용자에 의해 운용되는 단말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로 이해될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들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50)에 대응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50 may correspond to a terminal device operated by a use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may be understood as one or more users, and a plurality of users may be divided into one or more user groups. Each of one or more users may correspond to one or more user terminals 150 .

또한, 사용자 단말(150)은 지적기준점 관리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하나의 장치로서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130)와 연동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50)은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130)와 연결되어 동작 가능한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포함하여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50, as a device constituting the cadastral point management system 100,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n oper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cadastral point management device 130.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50 may be implemented as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or a computer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the control point management device 13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evices including a tablet PC and the like. It can be.

또한, 사용자 단말(150)은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130)와 연동하기 위한 전용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또는 앱, app)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50)은 지적기준점에 관한 등록 및 조회 요청을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130)에게 전송하고,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130)는 그에 따른 응답으로서 기준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50)은 전용 앱을 통해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130)에서 제공하는 전용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전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집되거나 또는 갱신되는 정보들을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130)에게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150 may install and execute a dedicated program or application (or app, app) for interworking with the point management device 130 .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150 may transmit a registration and search request for cadastral control points to the cadastral control point management device 130, and the cadastral control point management device 130 may provide reference point information as a response thereto. The user terminal 150 may provide a dedicated interface in the process of using the dedicated service provided by the cadastral point management device 130 through a dedicated app, and the information collected or updated through the cadastral point management device 130 can be forwarded to

또한, 사용자 단말(150)은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50)들은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150)은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130)에 의하지 않고 API 서버(110)와 직접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50)은 API 서버(110)에게 직접 API 요청을 전송할 수 있고, API 서버(110)는 관련 API를 사용자 단말(150)에게 직접 제공할 수 있다.Also, the user terminal 150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point management device 130 through a network, and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50 may be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he control point management device 130 . Meanwhile, the user terminal 15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and operated with the API server 110 without relying on the reference point management device 130 . That is, the user terminal 150 may directly transmit an API request to the API server 110, and the API server 110 may directly provide a related API to the user terminal 150.

도 2는 도 1의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ystem configuration of the pointing control point management device of FIG. 1 .

도 2를 참조하면,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13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control point management device 130 may include a processor 210 , a memory 230 , a user input/output unit 250 and a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

프로세서(2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맵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적기준점 관리 프로시저를 실행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 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13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13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or 210 may execute a procedure for managing cadastral control points using the map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nage the memory 230 read or written in this process, and in the memory 230 Synchronization time between volatile memory and non-volatile memory can be scheduled. The processor 21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int management device 13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mory 230,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and 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to control data flow between them. can do. The processor 210 may be implemented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f the point management device 130 .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isk)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13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3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210)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맵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적기준점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들의 집합을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230 is implemented as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solid state disk (SSD) or a hard disk drive (HDD) and may include an auxiliary storage device used to store all data necessary for the intellectual control point management device 130, , may include a main memory implemented as a volatile memory such as RAM (Random Access Memory). In addition, the memory 230 may store a set of commands that are executed by the electrically connected processor 210 to execute the control point management method using the map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 입출력부(250)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은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130)는 독립적인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includes an environment for receiving a user input and an environment for outputting specific information to the user, and includes an adapter such as a touch pad, a touch screen, an on-screen keyboard, or a pointing device. It may include devices and output devices including adapters such as monitors or touch screens. In one embodiment,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connected through a remote connection, and in such a case, the IP control device 130 may be implemented as an independent server.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50)과 연결되기 위한 통신 환경을 제공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는 학습 데이터의 무선 전송을 위해 WiFi,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 기능이나 4G 이상의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provides a communication environment to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50 through a network, and includes, for example,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wide area network (WAN) and An adapter for communication such as a Value Added Network (VAN)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may be implemented to provide a short-range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WiFi or Bluetooth or a 4G or higher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for wireless transmission of learning data.

도 3은 도 1의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pointing control point management device of FIG. 1 .

도 3을 참조하면,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130)는 맵 제공부(310), 지적기준점 마크 표시부(330), 모바일 단말 마크 표시부(350), 지적기준점 경로 안내부(370) 및 제어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pointing control point management device 130 includes a map providing unit 310, a pointing control point mark display unit 330, a mobile terminal mark display unit 350, a pointing control point route guide unit 370, and a control unit 390. can include

맵 제공부(310)는 맵 어플리케이션의 제1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함수 호출을 통해 맵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맵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150) 상에서 실행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할 수 있고,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130)와 연결되어 관련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맵 제공부(310)는 제1 API 함수를 통해 맵 어플리케이션과 연결될 수 있으며, 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시각화 되어 표시되는 맵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맵은 특정 지역에 관한 전자지도에 해당할 수 있으며, 전자지도는 2차원 지도로 표현될 수 있다. 한편, 제1 API 함수는 맵의 제공과 연관된 다양한 설정들을 함께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map providing unit 310 may provide a map through a first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function call of a map application. Here, the map application may correspond to a dedicated application executed on the user terminal 150, and may be implemented to perform a related operation by being connected to the pointing control point management device 130. The map providing unit 310 may be connected to a map application through a first API function, and may provide a map that is visualized and displayed through the map application. In this case, the map may correspond to an electronic map of a specific area, and the electronic map may be expressed as a two-dimensional map. Meanwhile, the first API function may be implemented to receive various settings associated with providing a map together.

일 실시예에서, 맵 제공부(310)는 맵 어플리케이션의 제4 API 함수 호출을 통해 특정 위치에서의 로드뷰를 제공하여 지적기준점의 마크를 로드뷰에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맵 제공부(310)는 제4 API 함수를 통해 맵 어플리케이션과 연결될 수 있으며, 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맵과 함께 로드뷰를 시각화 화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로드뷰(road view)는 실제 도로의 풍경을 제공하는 디지털 맵에 해당할 수 있으며, 특정 위치를 기준으로 360도의 실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맵 제공부(3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 위치를 기준으로 로드뷰를 제공할 수 있으며, 로드뷰 상에서 지적기준점의 마크를 시각화 하여 표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p providing unit 310 may provide a road view at a specific location through a fourth API function call of a map application to provide a mark of a reference point to the road view. The map providing unit 310 may be connected to a map application through a fourth API function, and may visualize and provide a road view along with a map through the map application. In this case, the road view may correspond to a digital map providing a landscape of an actual road, and may be provided along with an interface for confirming a 360-degree actual image based on a specific location. The map providing unit 310 may provide a road view based on a specific location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nd may visualize and display marks of reference points on the road view.

지적기준점 마크 표시부(330)는 맵 어플리케이션의 제2 API 함수 호출을 통해 지적기준점의 좌표값을 맵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고 맵에 지적기준점의 마크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제2 API 함수는 지적기준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맵 상에 등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지적기준점 마크 표시부(330)는 제2 API를 호출하면서 지적기준점의 좌표값을 제공하고, 맵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좌표값을 맵 상의 위치에 매칭할 수 있다. 이후, 맵 어플리케이션은 매칭된 맵 상의 위치를 시각화 하여 지적기준점의 마크를 맵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지적기준점에 대응되는 맵 상의 위치에는 소정의 아이콘, 이미지 등으로 시각화 된 마크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다.The cadastral control point mark display unit 330 may provide coordinate values of the cadastral control point to the map application through a second API function call of the map application and display the cadastral control point mark on the map. That is, the second API function may perform an operation of receiving and registering information on a reference point on a map. The pointing reference point mark display unit 330 provides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pointing reference points while calling the second API, and the map application may match the coordinate values to locations on the map. Thereafter, the map application may visualize the matched location on the map and display the mark of the reference point on the map. That is, a mark visualized as a predetermined icon, image, or the like may be overlaid and displayed at a location on the map corresponding to the pointed reference point.

일 실시예에서, 지적기준점 마크 표시부(330)는 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 지적기준점의 선택을 수신하고 제5 API 함수 호출을 통해 맵 어플리케이션의 상부에 특정 지적기준점의 관리정보를 오버레이 할 수 있다. 맵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150) 상에서 실행될 수 있고, 그 실행에 따라 전용 인터페이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맵 상에서 시각화 된 복수의 지적기준점들을 확인하고, 특정 지적기준점을 선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지적기준점 마크 표시부(3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적기준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맵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제5 API 함수를 호출하여 해당 지적기준점에 대한 관리 정보를 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지적기준점에 대한 소정의 관리 정보가 맵 어플리케이션의 상부에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adastral control point mark display unit 330 may receive selection of a specific cadastral control point through the map application and overlay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specific cadastral control point on top of the map application through a fifth API function call. The map application may be executed on the user terminal 150, and a dedicated interfac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according to its execution. The user can check a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visualized on the map through a dedicated interface and perform an operation of selecting a specific reference point. The cadastral control point mark display unit 33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cadastral control point selected by the user, and may provide management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cadastral control point through the map application by calling a fifth API function interworking with the map application. there is. Accordingly, predetermined management information for the reference point selected by the user may be displayed overlaid on the top of the map application.

일 실시예에서, 지적기준점 마크 표시부(330)는 지적기준점의 관리정보로서 지적기준점의 고유번호, 행정주소 및 작업자 메모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지적기준점은 관리를 위한 식별정보로서 사전에 고유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적기준점 마다 고유번호가 지정되며, 지적기준점 마크 표시부(33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적기준점으로부터 고유번호를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해당 지적기준점에 대한 관리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관리정보에는 기본적으로 고유번호, 행정주소와 작업자가 남긴 메모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도로명주소, 지번주소, 등록일, 갱신일, GPS 좌표 정보 등이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작업자의 메모내용의 경우 동일한 지적기준점에 대해 다수의 메모가 저장될 수 있고, 지적기준점 마크 표시부(330)는 다수의 작업자 메모내용 중 최신 순으로 소정의 개수만을 선별하여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adastral control point mark display unit 330 may provide the cadastral control point's unique number, administrative address, and operator's memo contents as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cadastral control point. That is, the cadastral reference point may be given a unique number in advance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management. Accordingly, a unique number is designated for each cadastral control point, and the cadastral control point mark display unit 330 obtains a unique number from the cadastral control point selected by the user and collects management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cadastral control point from the database based on this. Management information may basically include a unique number, administrative address, and memo left by a worker, and may optionally include road name address, lot number address, registration date, update date, GPS coordinate information, etc., if necessary. Meanwhile, in the case of the operator's memo contents, a plurality of memos for the same reference point may be stored, and the reference point mark display unit 330 may select and provide a predetermined number of memo contents in the latest order among the plurality of operator memo contents.

일 실시예에서, 지적기준점 마크 표시부(330)는 맵의 영역을 검출하고 지적기준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된 맵의 영역에 있는 지적기준점의 좌표값을 추출하며 추출된 지적기준점의 좌표값을 행정주소로 변환하여 맵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할 수 있다. 지적기준점 마크 표시부(330)는 현재의 위치를 기준으로 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될 맵의 영역을 결정할 수 있으며, 맵의 영역 내에 존재하는 지적기준점들을 탐색하여 리스트 형태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adastral control point mark display unit 330 detects the map area, extracts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cadastral control points in the detected map area from the cadastral control point database, and converts the extracted coordinate values of the cadastral control points into administrative addresses. and provide it to the map application. The control point mark display unit 330 may determine an area of a map to be provided through a map application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and may search for control points existing in the area of the map to generate data in the form of a list.

예를 들어, 탐색된 지적기준점들에 관한 목록은 엑셀 형식의 파일로 저장되어 생성될 수 있다. 지적기준점 마크 표시부(330)는 검출된 지적기준점들의 좌표값을 기준으로 지번주소 또는 도로명주소 등의 행정주소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목록과 행정주소 목록은 통합되어 맵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지적기준점들에 관한 목록과 행정주소 목록은 통합된 결과 소정의 데이터 구조를 갖는 파일 형태로 소정의 위치에 저장될 수 있다.For example, a list of searched reference points may be saved and generated as an Excel format file. The cadastral control point mark display unit 330 may acquire administrative addresses such as lot number addresses or road name addresses based on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detected cadastral control points, and the obtained list and administrative address list may be integrated and transmitted to a map application. . In addition, the list of cadastral control points and the administrative address list may be integrated and stored in a predetermined location in the form of a file having a predetermined data structure.

일 실시예에서, 지적기준점 마크 표시부(330)는 추출된 지적기준점의 행정주소를 기초로 지적기준점 레이어를 생성하고 지적기준점 레이어를 맵에 오버레이하여 맵에 지적기준점의 마크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지적기준점 레이어는 지적기준점의 위치를 시각화 하는 레이어에 해당할 수 있으며, 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맵 상에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지적기준점 레이어에는 지적기준점의 행정주소에 대응되는 위치 정보와 각 지적기준점에 대한 마크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지적기준점의 마크는 소정의 아이콘, 이미지 등으로 시각화 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적기준점의 마크 정보에는 그래픽 정보, 위치 및 크기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adastral control point mark display unit 330 may create a cadastral control point layer based on the extracted administrative address of the cadastral control point, overlay the cadastral control point layer on the map, and display the cadastral control point mark on the map. That is, the cadastral control point layer may correspond to a layer that visualizes the location of cadastral control points, and may be overlapped and displayed on a map through a map application. Accordingly, the cadastral control point layer may includ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dministrative address of the cadastral control point and mark information for each cadastral control point. The mark of the reference point may be visualized and displayed as a predetermined icon, image, etc. Accordingly, the mark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point may include graphic information, location and size information, and the like.

한편, 지적기준점 레이어는 지적기준점의 유형에 따라 군집화 될 수 있고, 각 군집 별로 독립된 레이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지적기준점 마크 표시부(330)는 화면의 크기와 확대 비율에 따라 결정된 지도의 축적에 따라 지적기준점 레이어의 범위를 조정할 수 있다. 특히, 지적기준점 마크 표시부(330)는 화면이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를 표시하는 경우 지적기준점이 많은 지역은 마커로 인해 지도가 보이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적기준점들을 군집화(cluster) 하여 시각화 할 수 있다.Meanwhile, the cadastral control point layer may be clustered according to the type of cadastral control point, and may be composed of independent layers for each cluster. In addition, the control point mark display unit 330 may adjust the range of the control point layer according to the scale of the map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creen size and magnification ratio. In particular, the cadastral control point mark display unit 330 may cluster and visualize cadastral control point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map is not visible due to the markers in an area with many cadastral control points when the screen displays a relatively wide range. .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화면을 축소하는 경우 지적기준점들의 밀집도에 따라 군집이 생성되면서 해당 군집의 지적기준점들의 마크를 대신하여 군집화 표시가 나타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화면을 확대하는 경우 일부 군집화 표시가 해제되면서 해당 군집의 지적기준점들의 마크가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zooms out the screen, a clustering display may be displayed instead of the marks of the reference points of the corresponding cluster while clusters a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density of the reference points. Conversely, when the user enlarges the screen, the display of some clusters may be canceled and marks of reference points pointed out in the corresponding cluster may be displayed.

모바일 단말 마크 표시부(350)는 제2 API 함수 호출을 통해 모바일 단말의 현재 좌표값을 맵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고 맵에 모바일 단말의 마크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2 API 함수는 모바일 단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맵 상에 등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 마크 표시부(350)는 제2 API를 호출하면서 모바일 단말의 현재 좌표값을 제공하고, 맵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좌표값을 맵 상의 위치에 매칭할 수 있다. 이후, 맵 어플리케이션은 매칭된 맵 상의 위치를 시각화 하여 모바일 단말의 마크를 맵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에 대응되는 맵 상의 위치에는 소정의 아이콘, 이미지 등으로 시각화 된 마크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지적기준점의 마크와는 시각적으로 구분되는 크기, 형상 및 색상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mark display unit 350 may provide the current coordinate values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map application through a second API function call and display the mark of the mobile terminal on the map. At this time, the second API function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mobile terminal and perform an operation of registering it on a map. The mobile terminal mark display unit 350 may provide current coordinate values of the mobile terminal while calling the second API, and the map application may match the corresponding coordinate values to locations on the map. Thereafter, the map application may visualize the matched location on the map and display the mark of the mobile terminal on the map. Accordingly, a mark visualized as a predetermined icon, image, etc. may be overlaid and displayed at a location on the map corresponding to the mobile terminal, and may be displayed in a size, shape, color, etc. that are visually distinguished from the mark of the reference point. there is.

지적기준점 경로 안내부(370)는 맵에서 특정 지적기준점이 선택되면 맵 어플리케이션의 제3 API 함수 호출을 통해 모바일 단말의 위치로부터 특정 지적기준점의 위치까지의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3 API 함수는 모바일 단말의 제1 위치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적기준점의 제2 위치 사이의 이동경로를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3 API 함수는 전달되는 변수에 따라 이동경로 산출을 위한 기준을 상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적기준점 경로 안내부(370)는 제3 API 함수를 호출하면서 이동경로 산출을 위한 기준으로서 이동거리, 소요비용, 소요시간 등을 변수로 입력하여 각 기준에 따른 이동경로를 독립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When a specific cadastral reference point is selected from the map, the cadastral reference point route guidance unit 370 may guide a route from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location of the specific cadastral reference point through a third API function call of the map application. Here, the third API function may perform an operation of determining a movement path between the firs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second location of the reference point selected by the user. The third API function may apply different criteria for calculating the movement path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variable. For example, the pointed control point route guidance unit 370 inputs the movement distance, required cost, required time, etc. as variables as criteria for calculating the movement route while calling the third API function, and independently determines the movement route according to each criterion. can be obtained

일 실시예에서, 지적기준점 경로 안내부(370)는 특정 지적기준점의 위치까지의 도달을 검출하고 그렇다면 특정 지적기준점의 관리정보 중 작업자 메모내용에 작업자 메모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지적기준점 경로 안내부(370)는 맵 상에서 이동경로가 제공되는 동안에는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여 이동경로의 목적지에 해당하는 지적기준점의 위치까지의 도달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달여부는 모바일 단말과 지적기준점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반경 이내인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지적기준점 경로 안내부(370)는 사용자가 목적지에 도달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해당 지적기준점의 관리정보를 조회하여 작업자 메모내용을 자동으로 표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ointing reference point path guidance unit 370 detects the arrival to the location of the specific pointing reference point, and if so, allows a worker to write a memo in the operator's memo contents of the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specific pointing reference point. While the movement route is provided on the map, the cadastral reference point route guide unit 370 may track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determine whether the cadastral reference point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of the movement route has been reached. Reachability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reference point is within a predetermined radiu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reached the destination, the pointing reference point route guidance unit 370 may retrieve the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pointing reference point and automatically display the contents of the operator's memo.

이때, 작업자 메모내용은 맵 상에 오버레이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맵과 구분되는 영역 상에서 독립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지적기준점 경로 안내부(370)는 작업자가 기존의 메모내용에 추가적인 작업자 메모를 즉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작업자 메모내용 중에는 기존의 작업자 메모에 대한 편집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제한 권한이 부여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적기준점 경로 안내부(370)는 지적기준점과 연관되어 저장된 메모내용을 단순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의 추가적인 선택에 따라 신규 작업자 메모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ents of the operator's memo may be displayed overlaid on the map, or may be displayed independently on an area distinguished from the map. In addition, the pointed reference point path guidance unit 370 may provide a predetermined interface allowing the operator to immediately input additional operator memos to the existing memo contents. On the other hand, among the contents of the worker's memo, the restriction authority to disable editing of the existing worker's memo may be granted. In this case, the pointing reference point route guidance unit 370 may simply display memo content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pointing reference point, and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inputting a new worker memo according to the user's additional selection.

일 실시예에서, 지적기준점 경로 안내부(370)는 작업자 메모가 작성되면 작업자 메모내용을 연대기별 작업자 메모로서 지적기준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지적기준점 경로 안내부(370)는 입력된 작업자 메모에 생성 시점과 생성 위치에 대한 정보를 부여할 수 있고, 해당 작업자 메모는 해당 지적기준점의 작업자 메모내용에 추가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작업자 메모는 생성 시점을 기준으로 시간 순서에 따라 지적기준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지적기준점 경로 안내부(370)는 지적기준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작업자 메모내용을 조회하는 경우 작업자 메모들을 생성 시점 또는 생성 위치를 기준으로 정렬하여 조회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a worker memo is prepared, the pointing reference point route guidance unit 370 may store the contents of the worker memo as a worker memo for each chronology in the pointing reference point database. The pointing control point route guidance unit 370 may give information on the creation time and the creation location to the input worker memo, and the corresponding worker memo may be added to and stored in the operator memo contents of the corresponding pointing reference point. In this case, the worker memo may be stored in the reference point database according to the chronological order based on the creation time. When searching for operator memo contents stored in the cadastral control point database, the cadastral reference point route guidance unit 370 may generate an inquiry result by arranging the operator memos based on creation time or creation position.

제어부(390)는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맵 제공부(310), 지적기준점 마크 표시부(330), 모바일 단말 마크 표시부(350) 및 지적기준점 경로 안내부(37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9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inting control point management device 130, and includes the map providing unit 310, the pointing control point mark display unit 330, the mobile terminal mark display unit 350, and the pointing control point route guidance unit 370. It can manage control flow or data flow betwee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맵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적기준점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cadastral control points using a map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130)는 맵 제공부(310)를 통해 맵 어플리케이션의 제1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함수 호출을 통해 맵을 제공할 수 있다(단계 S410).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130)는 지적기준점 마크 표시부(330)를 통해 맵 어플리케이션의 제2 API 함수 호출을 통해 지적기준점의 좌표값을 맵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고 맵에 지적기준점의 마크를 표시할 수 있다(단계 S430).Referring to FIG. 4 , the pointing control point management device 130 may provide a map through a first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function call of a map application through the map providing unit 310 (step S410). The cadastral control point management device 130 may provide the coordinate value of the cadastral control point to the map application through the second API function call of the map application through the cadastral control point mark display unit 330 and display the cadastral control point mark on the map ( Step S430).

또한,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130)는 모바일 단말 마크 표시부(350)를 통해 제2 API 함수 호출을 통해 모바일 단말의 현재 좌표값을 맵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고 맵에 모바일 단말의 마크를 표시할 수 있다(단계 S450).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130)는 지적기준점 경로 안내부(370)를 통해 맵에서 특정 지적기준점이 선택되면 맵 어플리케이션의 제3 API 함수 호출을 통해 모바일 단말의 위치로부터 특정 지적기준점의 위치까지의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단계 S470).In addition, the cadastral point management device 130 may provide the current coordinate values of the mobile terminal to a map application through a second API function call through the mobile terminal mark display unit 350 and display the mark of the mobile terminal on the map ( Step S450). When a specific cadastral control point is selected from the map through the cadastral control point route guidance unit 370, the cadastral control point management device 130 determines a route from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location of the specific cadastral control point through a third API function call of the map application. Guidance may be provided (step S470).

도 5a 내지 5f는 본 발명에 따른 맵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적기준점 관리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5a to 5f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process of managing cadastral control points using a map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5f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적기준점 관리 방법은 작업자가 운용하는 모바일 단말 상에서 실행되는 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동작될 수 있다. 맵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단말 상에서 작업자의 조작을 통해 실행될 수 있으며, 앱 화면에서 제공되는 메뉴를 통해 지적기준점 관리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A to 5F , the control poin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perated through a map application executed on a mobile terminal operated by an operator. The map application can be executed through operator manipulation on a mobile terminal, and can provide various functions for managing cadastral reference points through menus provided on the app screen.

먼저 맵 어플리케이션은 외부에서 제공되는 맵 정보를 수신하여 모바일 단말 인근의 맵을 화면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맵 어플리케이션은 작업자에 의해 입력된 지적기준점의 좌표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맵 어플리케이션은 다수의 지적기준점들에 대한 좌표값을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작업자는 도 5a와 같이 엑셀 형태의 파일로 저장된 지적기준점의 좌표값을 복사한 다음 맵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에 붙여넣음으로써 간단하게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맵 어플리케이션은 지적기준점의 좌표값에 대응되는 지번주소로의 변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지번주소에 대한 변한 기능은 기적기준점 표석대장의 소재지 등록에 필요할 경우 활용될 수 있다.First, the map application may receive map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outside and display a map near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 screen. In addition, the map application may obtain coordinate values of reference points input by the operator. At this time, the map application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inputting coordinate values for a plurality of reference points. As shown in FIG. 5A , the operator can simply input data by copying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cadastral control points stored in an Excel-type file and then pasting them into an interface provided by a map application. In one embodiment, the map application may provide a function of converting the coordinates of the cadastral reference point into a land number address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 value. The changed function for the lot number address can be used if necessary for registering the location of the landmark reference point.

이후, 맵 어플리케이션은 지적기준점의 좌표값에 대응되는 마크(510)를 맵 상에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도 5b). 지적기준점의 마크(510)는 소정의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그래픽으로 시각화 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화면 상에 표시되는 지적기준점의 마크(510)들은 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에 따른 밀집도 변화를 반영하여 동적으로 시각화 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밀집도는 화면 상의 영역을 기준으로 해당 영역 내에 존재하는 지적기준점들의 개수를 기초로 산출될 수 있다.Thereafter, the map application may overlay and display the mark 510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 value of the reference point on the map (FIG. 5B). The mark 510 of the pointed reference point may be displayed as a predetermined ico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visualized and displayed as various graphics. In one embodiment, the marks 510 of reference points displayed on the screen may be dynamically visualized by reflecting a change in density according to enlargement or reduction of the screen. Here, the degree of density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number of reference points existing in a corresponding area on the basis of the area on the screen.

구체적으로, 화면 상에 표시되는 맵의 범위가 증가하는 경우 특정 지역에서 마크(510)들의 밀집도가 증가할 수 있고, 밀집도가 기 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지역의 마크(510)들은 군집화(cluster) 되어 군집화 표시(520)로 변경될 수 있다(도 5b의 1, 2, 3 표시). 이와 반대로, 화면 상에 표시되는 맵의 범위가 감소하는 경우 특정 지역에서 마크(510)들의 밀집도가 감소할 수 있고, 밀집도가 기 설정된 기준 미만으로 떨어지는 경우 군집화 표시(520)가 해제되고 해당 지역의 마크(510)들이 시각화 되어 표시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range of the map displayed on the screen increases, the density of the marks 510 in a specific region may increase, and when the density exceeds a predetermined criterion, the marks 510 in the corresponding region are clustered. ) and can be changed to the clustering display 520 (marks 1, 2, and 3 in FIG. 5B). Conversely, when the range of the map displayed on the screen decreases, the density of the marks 510 may decrease in a specific area, and when the density falls below a predetermined criterion, the clustering display 520 is released and the area of the corresponding area Marks 510 may be visualized and displayed.

또한, 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맵 상에서 표시되는 지적기준점들을 각각 고유번호(530)가 부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맵 상에 표시된 특정 지적기준점의 마크(510)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지적기준점의 고유번호(530)가 마크(510) 인근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c에서, 작업자가 총 4개의 마크(510)들을 연속해서 선택할 수 있고, 각 선택마다 마크(510)들의 상단 부분에 고유번호(530) 9989, 100, 60, 61이 표시될 수 있다. 만약 작업자가 선택한 마크(510)를 다시 선택하는 경우 화면에 표시된 고유번호(530)는 사라질 수 있다. 한편, 맵 어플리케이션은 작업자가 맵 상에 표시된 특정 지적기준점의 마크(510)을 선택하는 경우 해당 지적기준점의 고유번호(530) 외에 등록일, 갱신일, 지번주소, 좌표 등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작업자는 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선택에 따라 표시되는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 unique number 530 may be assigned to each reference point displayed on the map through the map application. Accordingly, when the operator selects the mark 510 of a specific reference point displayed on the map, the unique number 530 of the corresponding reference point may be displayed near the mark 510 . For example, in FIG. 5C, a worker may select a total of four marks 510 in succession, and for each selection, a unique number 530 9989, 100, 60, and 61 will be displayed on the upper part of the marks 510. can If the operator selects the selected mark 510 again, the unique number 530 displayed on the screen may disappear. Meanwhile, the map application may selectively display the registration date, update date, lot number address, coordinates, etc. in addition to the unique number 530 of the corresponding cadastral control point when the operator selects the mark 510 of a specific cadastral control point displayed on the map. In addition, the operator can set the displayed information according to selection through the map application.

또한, 작업자는 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되는 맵 상에서 임의의 지점을 선택할 수 있고, 이 경우 맵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지점에 별도의 임의선택 마크(540)를 표시하면서 임의선택 마크 (540)의 상단 부분에 해당 지점의 지번주소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임의선택 마크(540)는 맵 상에 표시된 지적기준점의 마크(520)와 구분되도록 크기, 색상, 형상 등이 상이하게 표시될 수 있다. 도 5d에서는, 지적기준점의 마크(520)는 파란색으로 표시되는 반면, 임의선택 마크(540)는 노란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perator can select a random point on the map displayed through the map application, and in this case, the map application corresponds to the upper part of the random selection mark 540 while displaying a separate random selection mark 540 at the corresponding point. The lot address of the branch can be displayed together. The random selection mark 540 may be displayed in a different size, color, shape, etc.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mark 520 of the reference point displayed on the map. In FIG. 5D , the reference point mark 520 is displayed in blue, while the optional selection mark 540 may be displayed in yellow.

또한, 맵 어플리케이션은 화면에 표시된 맵 상에서 다양한 맵 레이어들을 선택할 수 있는 레이어 선택 인터페이스(550)를 제공할 수 있다. 작업자는 레이어 선택 인터페이스(550)를 통해 다양한 맵을 선택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e에서, 맵의 좌상단 부분에 지적도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표시되고, 작업자는 해당 메뉴를 선택하여 화면 상에서 지적편집도로 변환된 맵을 확인할 수 있다. 맵 어플리케이션은 지적도뿐만 아니라 지번도, 분포도, 기후도 등 다양한 주제나 특수한 목적에 이용 가능한 맵 레이어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p application may provide a layer selection interface 550 through which various map layers may be selected on the map displayed on the screen. A worker can selectively check various maps through the layer selection interface 550 . For example, in FIG. 5E , an interface for selecting a cadastral map is displayed in the upper left corner of the map, and a worker selects a corresponding menu to check the map converted to cadastral editing on the screen. The map application may selectively provide map layers usable for various subjects or special purposes, such as land maps, distribution maps, climate maps, as well as cadastral maps.

또한, 맵 어플리케이션은 맵의 좌상단 부분에 로드뷰 활성화 인터페이스(560)를 제공할 수 있다. 작업자는 로드뷰 활성화 인터페이스(560)를 선택하여 로드뷰 영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맵 어플리케이션은 로드뷰 영상 내에서 지적기준점의 마크(510)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맵 어플리케이션은 도 6f와 같이, 맵과 로드뷰 영상을 독립된 영역으로 구분하여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맵 상에 표시된 지적기준점의 마크(A)와 로드뷰 영상에 표시된 지적기준점의 마크(A)를 동기화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맵 상에 표시된 마크들 중에서 로드뷰 영상에서 표시된 마크와 일치하는 마크는 다른 마크들과 구분되게 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p application may provide a road view activation interface 560 on the upper left portion of the map. The operator may switch to the road view image by selecting the load view activation interface 560 . The map application may display the mark 510 of the reference point in the road view image. In addition, the map application can divide the map and the road view image into independent areas and display them at the same time, as shown in FIG. ) can be synchronized. Accordingly, among the marks displayed on the map, a mark matching the mark displayed in the road view image may be displayed to be distinguished from other marks.

또한, 맵 어플리케이션은 맵 상에 로드뷰 영상의 현재 위치(x)를 표시하고, 현재 위치(x)를 기준으로 로드뷰 영상에 해당하는 영역(readview area)의 방향(direction)과 각도(angle)를 시각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f에서, 맵 어플리케이션은 로드뷰 영상의 현재 위치(x)를 지적기준점의 마크(A)와 상이하게 표시하고, 현재 위치(x)를 중심으로 하는 원형 경계선을 표시한 다음 로드뷰 영상의 방향과 각도에 대응되는 영역(roadview area)을 원형 내부에 시각화 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가 로드뷰 영상을 회전시키는 경우 맵 상에 표시되는 로드뷰 영역(roadview area)도 실시간으로 갱신되어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p application displays the current location (x) of the roadview image on the map, and the direction and angle of the readview area corresponding to the roadview image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x) can be visualized and displayed. For example, in FIG. 6F, the map application displays the current position (x) of the road view image differently from the mark (A) of the pointing reference point, displays a circular boundary line centered on the current position (x), and then loads A roadview area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and angle of the view image may be visualized and displayed inside the circle. In this case, when the operator rotates the roadview image, a roadview area displayed on the map may also be updated and displayed in real time.

여기에서, 맵 어플리케이션은 기본적으로 모바일 단말을 통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모바일 단말 이외의 PC, 서버 상의 장치에서 실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모바일 단말과 PC 또는 서버 간의 데이터 교환과 상호 연동이 가능할 수 있다.Here, the map application is basically described as being executed through a mobile terminal,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to be executed on a device on a PC or server other than the mobile terminal. In this case, data exchange and mutual interworking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PC or server may be possible.

한편, 맵 어플리케이션은 맵을 제공하는 맵 윈도우(window)와 로드뷰를 제공하는 로드뷰 윈도우를 독립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각 윈도우는 고유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map application may independently provide a map window for providing a map and a road view window for providing a road view, and each window may be implemented to provide a unique function.

보다 구체적으로, 맵 윈도우는 다음의 표 1의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map window may provide the functions of Table 1 below.

대분류Main Category 세부 내용The details 지도 일반사항Map General 로드뷰 On/Off, 지도·항공사진 On/Off,
Map 이동·화면축소 및 확대, 내위치 찾기(Geolocation)
Road View On/Off, Map/Aerial Photo On/Off,
Map movement, screen reduction and expansion, find my location (Geolocation)
도면 사항blueprint 지적도·기준점 On/OffCadastral map/reference point On/Off 검색search 기준점, 지번 검색, 내비게이션 기능Reference point, lot number search, navigation function 경로Route 자동차, 도보 등 최적, 최단거리, 최소시간 등 검색Optimal, shortest distance, minimum time, etc. search by car, walking, etc. 기준점 마크표시Reference point mark 기준점 종류별 표시 (On/off 포함), 화면축척에 따라 군집화(Cluster) 표현Display by reference point type (including On/Off), cluster expression according to screen scale 기준점 정보표시Base point information display 기준점 마크 클릭 등의 관련 이벤트로 기준점 정보를 표시함
(서버의 기준점에 관한 모든 DB를 연계)
Display of reference point information with related events, such as clicks on reference point marks
(Linking all DBs related to the server's reference point)
작업자 측정현황 공유Share worker measurement status 작업자간 기준점 측정현황 정보 공유 및 등록
기준점 현황조사, 측정현황, 망실유무, 측량보점 사진 및 360도 파노라마 사진 공유, 등록
Sharing and registering reference point measurement status information among workers
Reference point status survey, measurement status, loss or absence, survey point photo and 360-degree panoramic photo sharing and registration

또한, 로드뷰 윈도우는 다음의 표 2의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ad view window may provide the functions of Table 2 below.

대분류Main Category 세부 내용The details 일반사항general details 화면회전 및 Pan 이동, 도로방향 이동, 화면 확대 축소
로드뷰 창 닫기, Map과 화면 연동
Screen rotation and pan movement, road direction movement, screen zoom in/out
Closing the road view window, linking the screen with the map
기준점Benchmark 기준점 좌표에 맞게 마커표시, 마커 클릭시 기준점 정보 조회Map 화면의 기준점과 연동Marker display according to the coordinates of the reference point, reference point information inquiry when clicking the marker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00: 지적기준점 관리 시스템
110: API 서버 130: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
150: 사용자 단말
21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50: 사용자 입출력부 27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맵 제공부 330: 지적기준점 마크 표시부
350: 모바일 단말 마크 표시부 370: 지적기준점 경로 안내부
390: 제어부
100: cadastral reference point management system
110: API server 130: pointed reference point management device
150: user terminal
210: processor 230: memory
250: user input/output unit 270: network input/output unit
310: map providing unit 330: pointing reference point mark display unit
350: mobile terminal mark display unit 370: pointing reference point route guidance unit
390: control unit

Claims (14)

맵 어플리케이션의 제1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함수 호출을 통해 맵을 제공하는 맵 제공부;
상기 맵 어플리케이션의 제2 API 함수 호출을 통해 지적기준점의 좌표값을 상기 맵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고 상기 맵에 상기 지적기준점의 마크를 표시하는 지적기준점 마크 표시부;
상기 제2 API 함수 호출을 통해 모바일 단말의 현재 좌표값을 상기 맵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고 상기 맵에 상기 모바일 단말의 마크를 표시하는 모바일 단말 마크 표시부; 및
상기 맵에서 특정 지적기준점이 선택되면 상기 맵 어플리케이션의 제3 API 함수 호출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로부터 상기 특정 지적기준점의 위치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지적기준점 경로 안내부를 포함하는 맵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
a map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 map through a first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function call of a map application;
a cadastral reference point mark display unit that provides coordinate values of cadastral reference points to the map application through a second API function call of the map application and displays a mark of the cadastral reference point on the map;
a mobile terminal mark display unit providing current coordinate values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map application through the second API function call and displaying a mark of the mobile terminal on the map; and
When a specific cadastral control point is selected from the map, a map application including a cadastral control point route guidance unit for guiding a route from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location of the specific cadastral control point through a third API function call of the map application is used. Cadastre reference point managemen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맵 제공부는
상기 맵 어플리케이션의 제4 API 함수 호출을 통해 특정 위치에서의 로드뷰를 제공하여 상기 지적기준점의 마크를 상기 로드뷰에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맵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p providing unit
Pointing control point management device using a map appl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by providing a road view at a specific location through a fourth API function call of the map application to provide the mark of the pointing control point to the road vie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적기준점 마크 표시부는
상기 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특정 지적기준점의 선택을 수신하고 제5 API 함수 호출을 통해 상기 맵 어플리케이션의 상부에 상기 특정 지적기준점의 관리정보를 오버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맵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ointed reference point mark display unit
A device for managing cadastral control points using a map appl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the selection of the specific cadastral control point through the map application and overlaying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specific cadastral control point on top of the map application through a fifth API function call.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적기준점 마크 표시부는
상기 지적기준점의 관리정보로서 상기 지적기준점의 고유번호, 행정주소 및 작업자 메모내용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맵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ointed reference point mark display unit
A cadastral control point management device using a map appl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providing a unique number, administrative address, and operator memo contents of the cadastral control point as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cadastral control poi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적기준점 마크 표시부는
상기 맵의 영역을 검출하고 지적기준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검출된 맵의 영역에 있는 상기 지적기준점의 좌표값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지적기준점의 좌표값을 행정주소로 변환하여 상기 맵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맵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ointed reference point mark display unit
Detecting the area of the map, extracting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cadastral control points in the detected map area from the cadastral control point database, converting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extracted cadastral control points into administrative addresses, and providing them to the map application. A cadastral reference point management device using a map application to b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적기준점 마크 표시부는
상기 추출된 지적기준점의 행정주소를 기초로 지적기준점 레이어를 생성하고 상기 지적기준점 레이어를 상기 맵에 오버레이하여 상기 맵에 상기 지적기준점의 마크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맵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ointed reference point mark display unit
A cadastral control point layer is created based on the administrative address of the extracted cadastral control point, and the cadastral control point layer is overlaid on the map to display the mark of the cadastral control point on the map.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적기준점 경로 안내부는
상기 특정 지적기준점의 위치까지의 도달을 검출하고 그렇다면 상기 특정 지적기준점의 관리정보 중 작업자 메모내용에 작업자 메모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맵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ointed reference point route guidance unit
Pointing control point management device using a map appl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cting the arrival to the location of the specific pointing control point and, if so, creating a worker memo in the operator memo contents of the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specific pointing control poin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적기준점 경로 안내부는
상기 작업자 메모가 작성되면 상기 작업자 메모내용을 연대기별 작업자 메모로서 지적기준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맵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ointed reference point route guide unit
When the worker memo is created, the cadastral reference point management device using a map appl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ring the contents of the worker memo in the cadastral reference point database as a chronological worker memo.
맵 어플리케이션의 제1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함수 호출을 통해 맵을 제공하는 맵 제공단계;
상기 맵 어플리케이션의 제2 API 함수 호출을 통해 지적기준점의 좌표값을 상기 맵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고 상기 맵에 상기 지적기준점의 마크를 표시하는 지적기준점 마크 표시단계;
상기 제2 API 함수 호출을 통해 모바일 단말의 현재 좌표값을 상기 맵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고 상기 맵에 상기 모바일 단말의 마크를 표시하는 모바일 단말 마크 표시단계; 및
상기 맵에서 특정 지적기준점이 선택되면 상기 맵 어플리케이션의 제3 API 함수 호출을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위치로부터 상기 특정 지적기준점의 위치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지적기준점 경로 안내단계를 포함하는 맵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적기준점 관리 방법.
A map providing step of providing a map through a first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function call of a map application;
a cadastral reference point mark display step of providing coordinate values of the cadastral reference point to the map application through a second API function call of the map application and displaying the mark of the cadastral reference point on the map;
a mobile terminal mark display step of providing a current coordinate value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map application through the second API function call and displaying a mark of the mobile terminal on the map; and
When a specific cadastral control point is selected from the map, a map application including a cadastral control point route guidance step of guiding a route from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location of the specific cadastral control point through a third API function call of the map application is utilized. How to manage a cadastral control poin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적기준점 마크 표시단계는
상기 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특정 지적기준점의 선택을 수신하고 제5 API 함수 호출을 통해 상기 맵 어플리케이션의 상부에 상기 특정 지적기준점의 관리정보를 오버레이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맵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적기준점 관리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reference point mark
Receiving selection of the specific cadastral control point through the map application and overlaying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specific cadastral control point on top of the map application through a fifth API function call. How to manage cadastral reference point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적기준점 마크 표시단계는
상기 지적기준점의 관리정보로서 상기 지적기준점의 고유번호, 행정주소 및 작업자 메모내용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맵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적기준점 관리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tep of marking the pointed reference point
A method for managing cadastral reference points using a map application,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a unique number, administrative address, and operator memo contents of the cadastral reference points as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cadastral reference point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적기준점 마크 표시단계는
상기 맵의 영역을 검출하고 지적기준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검출된 맵의 영역에 있는 상기 지적기준점의 좌표값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지적기준점의 좌표값을 행정주소로 변환하여 상기 맵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맵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적기준점 관리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reference point mark
Detecting the map area, extracting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cadastral control points in the detected map area from the cadastral control point database, converting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extracted cadastral control points into administrative addresses, and providing them to the map application. Point management method using a map appl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적기준점 마크 표시단계는
상기 추출된 지적기준점의 행정주소를 기초로 지적기준점 레이어를 생성하고 상기 지적기준점 레이어를 상기 맵에 오버레이하여 상기 맵에 상기 지적기준점의 마크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맵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적기준점 관리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tep of marking the pointed reference point
Creating a cadastral control point layer based on the administrative address of the extracted cadastral control point, overlaying the cadastral control point layer on the map, and displaying the mark of the cadastral control point on the map. How to manage a cadastral control poin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적기준점 경로 안내단계는
상기 특정 지적기준점의 위치까지의 도달을 검출하고 그렇다면 상기 특정 지적기준점의 관리정보 중 작업자 메모내용에 작업자 메모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맵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적기준점 관리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ointing reference point route guidance step
Detecting the arrival to the location of the specific cadastral reference point and, if so, enabling a worker memo to be written in the operator memo contents of the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specific cadastral reference point.
KR1020210110165A 2021-08-20 2021-08-20 Cadastral reference point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using map application KR1025579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165A KR102557980B1 (en) 2021-08-20 2021-08-20 Cadastral reference point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using map appl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165A KR102557980B1 (en) 2021-08-20 2021-08-20 Cadastral reference point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using map appl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889A true KR20230027889A (en) 2023-02-28
KR102557980B1 KR102557980B1 (en) 2023-07-21

Family

ID=85326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165A KR102557980B1 (en) 2021-08-20 2021-08-20 Cadastral reference point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using map appl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7980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06816A (en) * 2007-07-31 2008-01-16 东南大学 Method for global positioning system to realize land patrol and real monitoring based on network relay
KR100903274B1 (en) 2007-10-11 2009-06-17 문혜순 Survey marker
KR100953733B1 (en) 2009-06-19 2010-04-19 (주)지오투정보기술 System for managing a multipurpose station using solar cell
US20200158529A1 (en) * 2017-08-10 2020-05-21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Map data processing method, computer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210010070A (en) * 2019-07-19 2021-01-27 대진기술정보 (주) Control point system based on mobile app
KR102279760B1 (en) * 2021-02-23 2021-07-20 주식회사 제이시스 Underground facilities detect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based on ground control point through uav photogragh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06816A (en) * 2007-07-31 2008-01-16 东南大学 Method for global positioning system to realize land patrol and real monitoring based on network relay
KR100903274B1 (en) 2007-10-11 2009-06-17 문혜순 Survey marker
KR100953733B1 (en) 2009-06-19 2010-04-19 (주)지오투정보기술 System for managing a multipurpose station using solar cell
US20200158529A1 (en) * 2017-08-10 2020-05-21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Map data processing method, computer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210010070A (en) * 2019-07-19 2021-01-27 대진기술정보 (주) Control point system based on mobile app
KR102279760B1 (en) * 2021-02-23 2021-07-20 주식회사 제이시스 Underground facilities detect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based on ground control point through uav photogragh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7980B1 (en) 2023-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0084B2 (en) Graphical representation generation for multiple points of interest
Schall et al. Smart Vidente: advances in mobile augmented reality for interactive visualization of underground infrastructure
CN111708858B (en) Map data process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8463543B2 (en) Schematic maps
JP2005083941A (en) Guid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program
US10094681B2 (en) Controlling a map system to display off-screen points of interest
CN105247465B (en) System and method for being disambiguated to items selection
US9529925B2 (en) Method of displaying search results
US2016037744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6785513B2 (en) Dust collection business support system
CN104636358A (en) Map over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2557980B1 (en) Cadastral reference point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using map application
CN105579867A (en) Method for using geographical positioning system data to sketch the site for scouting job
JP2019002747A (en) Destination specification system
US8878648B2 (en) Generation of buffer zones for buried assets
KR101274575B1 (en) Derivation method of survey point using computer aided design
JP3673504B2 (en) Geographic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and geographic information retrieval program
JP2005292933A (en)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information retrieva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18060143A (en) Map display device, map display method and program
KR10251227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uiding user to point corresponding to surveying location on construction map by providing guiding user interface such that user enables to perform precise survey
WO2022161309A1 (en) Interactive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electronic map, and electronic devic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2019045958A (en) Spot information display system
KR101870752B1 (en) Method for providing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in mobile terminal
JP2018156019A (en) Map registration system, map registration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U2014101564B4 (en) A system, method, computer program and data signal for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