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7769A - 스마트팜 펀딩 연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팜 펀딩 연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7769A
KR20230027769A KR1020210109926A KR20210109926A KR20230027769A KR 20230027769 A KR20230027769 A KR 20230027769A KR 1020210109926 A KR1020210109926 A KR 1020210109926A KR 20210109926 A KR20210109926 A KR 20210109926A KR 20230027769 A KR20230027769 A KR 20230027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ding
smart farm
smart
consumers
consu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욱
Original Assignee
조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욱 filed Critical 조성욱
Priority to KR1020210109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7769A/ko
Publication of KR20230027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77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6Price or cost determination based on market fa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echnology Law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실시예를 통해 소비자는 작물재배를 간접적으로 경험하고 펀딩하는 스마트팜을 관찰하며 펀딩하는 스마트팜으로부터 치유 농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팜에서의 작물 재배 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농업인과 활발하게 소통 할 수 있도록 하고, 농산물 먹거리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안감을 경감할 수 있다. 아울러, 중간 도매상을 거치지 않고, 산지유통기반의 새로운 판로를 개척가능하고, 중간 유통 수수료를 가격에서 제거하여, 소비자에게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신선하고 안전한 농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심미적 특징이 큰 화훼작물을 간접재배 하는 경우, 화훼시장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아울러, 농가 직거래의 새로운 판로를 개척함으로써, 농가와 소비자들 서로 호혜적 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팜 펀딩 연계 시스템 및 방법{Smart Farm Funding Consumer Linkage System and Method}
본 개시는 스마트팜 펀딩 연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스마트팜에 펀딩하려는 소비자를 농업인과 연결하고, 참여한 소비자에게 농업인의 작물재배과정을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로 제공하여 스마트팜과 소비자의 펀딩 및 작물 구매를 연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치유농업이란 농업, 농촌 자원이나 이를 이용해 국민의 신체, 정서, 심리, 인지, 사회 등의 건강을 도모하는 활동과 산업이다. 치유농업의 범위는 채소와 꽃 등 식물뿐만 아니라 가축 기르기, 산림과 농촌문화자원을 이용하는 경우까지 모두 포함하며 그 목적은 더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는 사람들을 비롯해 사회적 치료가 필요한 사람들을 치유하는 것이다. 즉, 치유농업은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농사일을 치유의 수단으로 이용한다. 농업 선진국에서는 치유농업, 사회적 농업, 녹색치유농업, 건강을 위한 농업 등 다양한 용어로 표현하며 본질적으로는 '치유를 제공하기 위한 농업의 활용'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서울 시민 10명 중 4명은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해 정신건강이 더 나빠졌다고 응답했다. 육체적인 건강 상태가 나빠졌다는 응답은 25%로 나타나 정신 건강이 더 나빠졌다고 응답한 바 있다. 또한, 많은 소비자들이 잔류농약, 원산지 허위표시, GMO의 안전성 논란 등 먹을거리에 대한 안전을 위협하는 위해요소들에 점점 민감해지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발표에 따르면 2002년부터 2016년까지 발생한 식품사고의 발생 원인을 조사한 결과 전체 3926건 중에서 유해미생물이 57.3%(2551건)로 제일 높았다. 반면 농약잔류 등의 화학물질은 0.1%(5건)이었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국내외 농산물의 먹거리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수확 후 농산물에 대하여 작물별 농약 잔류기준을 설정하여 왔고, 다양한 농약의 개발과 현장에서 농약 사용이 증가됨에 따라서 잔류기준이 없는 농약에 대한 안전관리 강화 방안 요구 증대되었다. 이에 따라 식약처에서는 농약의 잔류허용기준을 강화하는 제도 즉,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된 농약 이외에 작물에 일률기준(0.01ppm)을 적용하는 PLS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PLS제도 시행에도 불구하고 잔류농약이 검출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도 이러한 잔류농약 검출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이는 소비자의 농산물 소비에 대한 불안감에 영향을 끼친다.
또한, 코로나19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외식소비가 급감하고 학교급식용 우수농산물의 판로마저 막혀 농업인들의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이에 우리 농산물 팔아주기 운동이 지역사회에서 벌어져 학교급식용 우수 농산물로 구성된 꾸러미농산물과 함께 급식납품용 농산물인 오이, 감자, 양파, 대파, 마늘 등 다양한 우수농산물을 착한 가격에 판매하는 장터가 늘어나고 있다. 이처럼 코로나19로 어렵게 생산한 농산물이 안정적 판로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농업인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 위한 방안이 시급한 상황이다. 아울러, 농업인들이 판로걱정 없이 농산물을 생산하고 유통될 수 있는 산지유통기반 확충과 판로 개척이 필요한 실정이다.
아울러, 스마트팜이란 비닐하우스·축사에 ICT를 접목하여 원격·자동으로 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을 적정하게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는 농장이다.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그린뉴딜 정책의 일환으로 스마트팜 사업은 지지를 받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스마트팜 시장은 2017년 4조 4,493억원에서 연평균 5%로 성장하여 2022년에는 5조 9,588억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최근 스마트팜은 화훼 ·채소 ·과수 등의 원예작물을 자연환경에서 가꾸는 노지재배까지 확장되고 있다.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펀딩 연계 시스템 및 방법은 스마트팜과 이를 펀딩하는 소비자를 연결하고, 펀딩하는 소비자에게 스마트팜에서 이루어지는 육종, 정식, 수확 및 출하 과정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에에서는 소비자와 스마트팜 농가를 위한 펀딩 및 거래 플랫폼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펀딩 연계 시스템은 전국각지의 스마트팜을 대상으로 작물을 키우고자 하는 소비자들에게 펀딩을 모집하고, 소비자는 펀딩하는 스마트팜의 육종, 정식, 수확, 출하의 모든 단계를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펀딩 연계 시스템은 스마트팜의 위치, 재배 작물 종류, 펀딩 조건을 포함하는 농가정보를 등록하는 농업인 단말; 전국 각지의 스마트팜 농가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스마트팜 농가를 펀딩할 소비자를 모집하여 스마트팜과 소비자를 펀딩 연계하는 중앙서버; 및 펀딩을 희망하는 작물 또는 농가를 검색하여 스마트팜 농가에 펀딩을 시작하는 소비자 단말;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농업인 단말;은 농업인의 스마트팜에 펀딩이 시작되면, 스마트팜 실시간 모니터링 영상을 생성하여 영상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전달하고,
소비자 단말;은 영상 스트리밍 플랫폼에 접속하여 펀딩하는 스마트팜의 실시간 모니터링 영상을 출력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단말, 농업인 단말 및 중앙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팜 펀딩 연계 시스템의 스마트팜 펀딩 연계 방법은 (A) 농업인 단말에서 작물재배 펀딩을 생성하고 작물재배 펀딩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B) 소비자 단말에서 복수개의 작물재배 펀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작물재배 펀딩에서 작물재배량을 설정하는 단계; (C) 중앙서버에서 작물재배 펀딩 조건이 만족되면, 소비자 단말로 스마트팜 실시간 스트리밍 영상 접근 권한을 제공하는 단계; (D) 소비자 단말에서 스마트팜 실시간 스트리밍 영상 접근 권한을 수신하여, 스마트팜 영상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스마트팜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E) 중앙서버에서 작물의 육묘, 정식, 수확, 출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 이벤트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를 통해 소비자는 작물재배를 간접적으로 경험하고 펀딩하는 스마트팜을 관찰하며 펀딩하는 스마트팜으로부터 치유 농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팜에서의 작물 재배 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농업인과 활발하게 소통 할 수 있도록 하고, 농산물 먹거리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안감을 경감할 수 있다.
아울러, 중간 도매상을 거치지 않고, 산지유통기반의 새로운 판로를 개척가능하고, 중간 유통 수수료를 가격에서 제거하여, 소비자에게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신선하고 안전한 농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심미적 특징이 큰 화훼작물을 간접재배 하는 경우, 화훼시장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아울러, 농가 직거래의 새로운 판로를 개척함으로써, 농가와 소비자들 서로 호혜적 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다.
또한, 스마트팜에서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농업인과 소통하며, 작물을 육종-정식-수확-출하경험을 공유하고, 이를 받아볼 수 있도록 하여, 실시예가 농가에 도입되는 경우, 농업인의 소득을 증진시켜주며, 지역 농산물의 홍보로 지역 이미지를 강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소비자에게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농산물을 제공하여, 지속적인 지역농산물 소비를 이끌어 낼 수 있다. 아울러, 비대면 스트리밍을 통한 지역의 농촌자원을 홍보하고, 방문객을 유도하여 농촌관광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펀딩 연계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중앙서버의 데이터 처리 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펀딩 연계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펀딩 연계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펀딩 연계 시스템을 적용한 '아임파머'의 수익구조 모델을 나타낸 도면
도 6 내지 10은 스마트팜 펀딩 연계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펀딩 연계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펀딩 연계 시스템은 중앙서버(200), 소비자 단말(100) 및 농업인 단말(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농업인 단말(300)은 농가정보를 입력하여 펀딩을 희망하는 농가로 등록하고, 펀딩 조건을 설정한다. 실시예에서 농가정보는 스마트팜의 위치, 재배 작물, 농업인의 업력, 평균 재배 작물 가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펀딩 조건은 최소 펀딩 금액, 펀딩 시 농작물 구매 할인 혜택, 펀딩 기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서버(200)는 농업인 단말(300)로 부터 수집한 농가 정보를 카테고리화 하여, 전국 각지의 스마트팜 농가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스마트팜 농가를 펀딩할 소비자를 모집하여 스마트팜과 소비자를 펀딩 연계한다. 예컨대, 중앙서버(200)는 농가정보를 위치, 재배작물종류, 가격, 펀딩 조건 등으로 카테고리화 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한다. 아울러, 중앙서버(200)는 수집한 농가정보와 소비자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율에 따라 소비자에게 펀딩할 스마트팜 농가를 추천할 수 있다.
소비자 단말(100)은 펀딩을 희망하는 작물 또는 농가를 검색하여 스마트팜 농가에 펀딩을 시작한다. 펀딩이 시작되면, 중앙서버(200)는 농업인 단말(300)으로 펀딩 시작 정보를 전송하고, 소비자 단말(100)로 스마트팜 실시간 영상 모니터링 영상 접근 권한을 전송한다. 농업인 단말(300)은 농업인의 스마트팜에 펀딩이 시작되면, 스마트팜 실시간 모니터링 영상을 생성하여 영상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전달한다. 소비자 단말(100)은 중앙서버(200)로부터 스마트팜 모니터링 영상 접근 권한을 수신하고, 유트브 등의 영상 스트리밍 플랫폼에 접속하여 펀딩하는 스마트팜의 실시간 모니터링 영상을 출력한다.
또한, 실시예에서 농업인 단말(300)은 스마트팜 모니터링 영상을 유트브를 포함하는 영상 스트리밍 플랫폼에 업로드 하면, 중앙서버(200)에서 해당 스마트 팜을 펀딩하는 소비자 단말(200)에 스마트팜 모니터링 영상 접근 권한을 부여하여, 스마트팜을 펀딩하는 소비자가 스마트팜 모니터링 영상을 감상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중앙서버(200)는 스마트팜에서 작물이 수확되면, 이를 펀딩 소비자에게 먼저 알리고, 펀딩 금액에 따라 할인된 가격으로 작물을 구입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노지재배까지 확장된 스마트팜을 펀딩 연계할 수 있다. 노지재배는 지역적인 특색을 지니며 심미적 효과가 뛰어나고, 봉평 메밀, 고성 라벤더, 안반데기 고랭지 배추 등 과같이 농촌경관의 가치가 높은 재배지로서, 각각의 재배지에 특색있는 썸네일, 음향, 스토리를 부여하여 재배지만의 개성을 부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에서는 노지재배지까지 스마트팜에 포함시키고, 노지재배지를 펀딩 연계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자가 자신의 취향이 더욱 반영된 스마트팜에 펀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투자 만족도를 향상시킨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중앙서버의 데이터 처리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중앙서버(200)는 고객정보 관리모듈(210), 펀딩 연계모듈(230), 산출모듈(250) 및 계약서 생성모듈(2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이라는 용어는 용어가 사용된 문맥에 따라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는 기계어, 펌웨어(firmware), 임베디드코드(embedded code), 및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하드웨어는 회로, 프로세서, 컴퓨터, 집적 회로, 집적 회로 코어, 센서, 멤스(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수동 디바이스,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고객정보 관리모듈(210)은 스마트팜에서 재배되는 작물의 종류, 스마트팜의 위치, 작물 거래가격, 펀딩조건을 포함하는 농가정보를 농업인 단말로부터 수집하여 카테고리화하고, 소비자단말로부터 관심 작물, 펀딩금액, 배송지역을 포함하는 소비자 정보를 소비자 단말로부터 수집하여 관리한다. 또한, 고객정보 관리모듈(210)은 스마트팜 별 24시간 라이브 스트리밍 영상, 커뮤니티, 농가 성장 기록을 포함하는 스마트팜 소통 페이지를 생성하고, 소비자가 펀딩중인 농가, 펀딩 레벨, 계약 내용을 포함하는 소비자 소통 페이지를 생성하여, 스마트팜을 운영하는 농업인과 일반 소비자간 의사소통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객정보 관리모듈(210)은 스마트팜에서 이루어지는 육묘-정식-수확-출하 등 영농활동의 주요 이벤트를 스마트팜에 펀딩을 제공하는 소비자 및 상기 스마트팜 관심 소비자에게 전송한다. 이로써, 스마트팜을 펀딩하는 소비자가 자신이 펀딩하는 스마트팜의 주요 이벤트를 팔로업 할 수 있도록 한다.
펀딩 연계 모듈(230)은 스마트팜 정보 및 소비자 정보에 따라 소비자와 펀딩할 농가를 연결한다. 예컨대, 농업인이 등록한 펀딩 조건과, 소비자의 펀딩 금액을 비교하여 소비자의 펀딩 금액을 만족하는 스마트팜을 소비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또한, 펀딩 연계 모듈(230)은 소비자가 펀딩할 스마트팜을 선택하면, 소비자와 스마트팜 농가간 펀딩 계약을 수행하고, 이를 농업인 단말로 전송한다.
산출모듈(250)은 가격 산출 요소에 따라 스마트팜에서 수확되는 작물의 판매 가격을 산출한다. 실시예에서 가격 산출 요소에는 소비자 별 펀딩 금액, 작물 수확량, 시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소비자의 펀딩 금액에 따라 작물 판매 가격을 산출 할 수 있다. 예컨대, 산출모듈(250)은 일정기간 이상 스마트팜을 펀딩한 소비자에게는 펀딩 기간에 비례하여 작물 소비자가를 할인하여 산출하고, 펀딩 금액이 일정 액수를 초과하는 소비자는 펀딩 액수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할인하는 금액으로 작물 판매가를 산출 할 수 있다. 이로써, 소비자는 자신이 펀딩한 스마트팜에서 재배한 신선한 농작물을 할인된 가격으로 빠르게 배송 받을 수 있다.
계약서 생성모듈(270)은 농가, 시스템 관리자 및 소비자를 포함하는 3자간 표준거래 계약서를 소비자의 펀딩 기간과 금액에 따라 생성한다. 실시예에서 계약서 생성모듈(270)은 소비자가 펀딩하는 스마트팜에서 작물 재배시, 재배된 작물을 우선적으로 소비할 수 있도록 하는 선구입권 항목을 계약 조항을 계약서에 추가 할 수 있다. 또한, 계약서 생성모듈(270)은 소비자의 펀딩 금액과 기간에 따라 할인금액을 산출하여, 산출된 할인 금액으로 재배 작물을 선구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스마트팜 펀딩 연계 방법에 대해서 차례로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펀딩 연계 방법의 작용(기능)은 스마트팜 펀딩 연계 시스템의 기능과 본질적으로 같은 것이므로 도 1 및 도 2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펀딩 연계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는 S310 단계에서는 농업인 단말(300)에서 위치, 재배작물, 펀딩조건 등을 포함하는 농가정보를 등록하고 S320 단계에서 등록된 정보를 중앙서버(200)로 전송한다. S330 단계에서는 중앙서버(200)에서 수신한 농가 정보를 카테고리화 하여 소비자 단말(100)으로 전송한다. S340 단계에서는 소비자 단말(100)에서 농가 정보를 출력한다. S350 단계에서는 소비자 단말(100)에서 펀딩할 농가를 선택하여 S360 단계에서 선택한 스마트팜 농가 정보를 중앙서버(200)로 전송한다. S370 단계에서는 중앙서버(200)에서 소비자가 펀딩하기로 선택한 농가 정보를 수신하여 선택된 스마트팜 농가와 소비자간 펀딩 계약을 생성하고, S380 단계에서 생성된 펀딩 계약 정보를 농업인 단말(300)으로 전송한다. S390 단계에서는 농업인 단말(300)에서 펀딩 계약 정보 확인 후, 스마트팜 실시간 모니터링 영상 생성하여, 스마트팜 실시간 모니터링 영상을 영상 송출 플랫폼으로 전송한다. S400 단계에서는 중앙서버(200)에서 펀딩계약 체결 이후, 해당 소비자 단말(100)의 스마트팜 실시간 모니터링 영상 접근 권한을 생성하여, 소비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S410 단계에서는 스마트팜 실시간 모니터링 영상 접근 권한을 수신하고, 영상 스트리밍 플랫폼 등에서 소비자가 후원하는 스마트팜의 실시간 영상을 스트리밍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간 모니터링 영상 접근 권한을 수신한 소비자 단말(100)은 다양한 스마트팜의 실시간 모니터링 영상을 영상 스트리밍 플랫폼 등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펀딩 연계 시스템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는 S510 단계에서는농업인 단말에서 작물재배 펀딩을 생성하고 작물재배 펀딩 조건을 설정한다. 예컨대, 작물 재배 펀딩 조건은 작물 종류, 최소 펀딩 금액과 펀딩 기간, 재배기간, 작물 재배량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520 단계에서는 소비자 단말에서 복수개의 작물재배 펀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작물재배 펀딩에서 작물재배량을 설정한다. 예컨대, 소비자 단말은 펀딩 가능한 최소 펀딩 금약, 기간, 최소 작물 재배량 등을 설정한다.
S530 단계에서는 중앙서버에서 농업자 단말과 소비자 단말에서 수집한 작물 재배 펀딩 조건을 비교하여, 농업자와 소비자간 작물 재배 펀딩 조건이 충족되는지 판단한다. 농업자와 소비자간 작물 재배 펀딩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 S540 단계에서는 소비자 단말로 스마트팜 실시간 스트리밍 영상 접근 권한을 제공한다. S550 단계에서는 소비자 단말에서 스마트팜 실시간 스트리밍 영상 접근 권한을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팜 영상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스마트팜 영상을 출력한다. S560 단계에서는 스마트팜 농가의 육묘-정식-수확-출하 등 영농활동의 주요 이벤트 일정정보를 중앙서버로 전송한다. S570 단계에서는 중앙서버에서 작물의 육묘-정식-수확-출하 등 영농활동의 주요 이벤트가 발생하면, 소비자 단말기로 이벤트 알림을 전송하고, S580 단계에서는 해당 스마트팜을 펀딩하는 소비자 단말에서 이벤트 알람을 수신한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펀딩 연계 시스템을 적용한 '아임파머'의 수익구조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른 '아임파머'는 스마트팜과 소비자를 펀딩 연계하고, 연계된 소비자에게 스마트팜 실시간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실시예에서는 '아임파머'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국각지의 스마트팜을 대상으로 작물을 키우고자 하는 소비자들에게 펀딩을 모집하고, 스마트팜을 펀딩하는 소비자는 스마트팜의 육종-정식-수확-출하의 모든 단계를 실시간으로 스트리밍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소비자는 자신의 스마트 단말에서 '아임파머' 어플리케이션에 가입하고 전국 각지에 위치한 스마트팜에서 자신의 목적에 맞는 작물과 단위를 선택한다. 이때, 딸기 1단위 4kg 50단위 등의 일정 단위로 최대 제한을 설정한다.
실시예에서는 농업인이 선택한 기한이나 펀딩 액수 또는 인원수가 마감되면, 스마트팜 24시간 스트리밍을 시작한다. 실시예에서 스트리밍 플랫폼은 유튜브를 활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육묘-정식-수확-출하 등 영농활동의 주요 이벤트 알림을 소비자에게 전송하고, 재배 기간중에 농업인은 서비스 이용자와 소통할 수 있는 커뮤니티를 제공한다. 이후, 출하를 마친 농산물은 농업인이 직접 출하, 소비자가 수령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아임파머와 농가간 펀딩비용을 전국 평균 직거래 가격으로 설정하고, 농가, 아임파머 아임파머 3자간 표준거래 계약서를 생성한다. 소비자가 배송비를 포함한 계약금을 입금하면, 아임파머 측 수수료(6.8%)를 제외한 거래금 농가에 입금하고, 수확 후 농가가 소비자에 출하한다.
도 6 내지 10은 스마트팜 펀딩 연계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는 스마트팜 펀딩 연계 시스템인 아임파머의 초기화면이다. 서비스 이용자는 기존의 이메일을 이용하여 회원가입을 하거나, 카카오톡 혹은 페이스북을 통해서 회원가입이 가능하다. 도 6의 (b)는 회원 가입 후 출력되는 화면이다. 회원가입을 마치면 일러스트와 함께 '아임파머' 서비스에 관한 간단한 내용을 소개받는다.
도 7의 (a)는 펀딩 작물 선택창으로, 전국에 스마트팜과 그 작물을 일러스트의 형태로 나타낸다. 펀딩 작물 선택창에는 펀딩 가능한 작물 정보와 작물 별 펀딩 참여도 정보가 표시된다. 도 7의 (b)는 펀딩 작물 선택 창을 나타낸 도면으로, 펀딩 작물 선택창에는 선택한 작물과 몇 일 뒤에 재배가 시작하는지 출력되고, 스마트팜 사진과 위치, 단위당 kg, 남은 자릿수 등이 출력된다. 화면 하단 초록색 부분에는 이용 후기에 따른 별점과 공유, 좋아요, 댓글 버튼이 있고. Let's farm 아이콘을 클릭하면 결제화면으로 이동된다. 실시예에서는 이미지를 오른쪽으로 슬라이드하여 펀딩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8의 (a)는 두번째 펀딩 정보화면으로 스마트팜에 대한 설명 및 농업인에 대한 설명과 짧은 인사말이 나타난다. 도 8의 (b)는 세번째 펀딩 정보화면으로 농작물에 대한 설명과 GAP인증 및 간단한 농작물 예시를 출력한다.
도 9의 (a)는 네번째 펀딩 정보화면으로 재배일정에 관한 내용을 출력하고, 실시예에서 재배일정은 농업인이 직접 설정한 것으로 달라질 수 있다. 도 9의 (b)는 펀딩 결제 정보창으로, 실시예에서는 Let's farm 아이콘을 클릭하면 나타나는 화면이다. 결제금액과, 배송정보, 결제방법과 동의에 대한 내용을 출력한다.
도 10의 (a)는 실시예에 따른 농업인과 소비자의 커뮤니티 정보를 표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제일 상단에는 프로필, 내가 좋아하는 팜, 재배중인 팜(펀딩 중인 팜), 소식, 설정, 멤버십 레벨을 표시하고, 바로 밑 하단에는 소비자가 계약한 스마트 팜 내용을 출력한다. 특정 스마트 팜을 클릭하면 24시간 라이브 영상과 커뮤니티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의 (b)는
스마트팜 모니터링 영상이 영상 스트리밍 플랫폼인 유트브에서 실시간 스트리밍 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스마트팜 펀딩 연계 시스템은 농업인과 소비자를 연결하여 소비자는 작물재배를 간접적으로 경험하고 펀딩하는 스마트팜을 관찰하며 펀딩하는 스마트팜으로부터 치유 농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팜에서의 작물 재배 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농업인과 활발하게 소통 할 수 있도록 하고, 농산물 먹거리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안감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중간 도매상을 거치지 않고, 산지유통기반의 새로운 판로를 개척가능하고, 중간 유통 수수료를 가격에서 제거하여, 소비자에게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신선하고 안전한 농산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심미적 특징이 큰 화훼작물을 간접재배 하는 경우, 화훼시장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아울러, 농가 직거래의 새로운 판로를 개척함으로써, 농가와 소비자들 서로 호혜적 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가공분야와 제조영역까지 실시예와 같은 스트리밍 서비스를 확대함으로써, 영농조합 및 지역 가공업체와 협업을 가능하게 하여 지역 경제에 이바지하고, 농산물 부가가치를 상승 시킬 수 있도록 한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12)

  1. 스마트팜 펀딩 연계 시스템에 있어서,
    스마트팜의 위치, 재배 작물 종류, 펀딩 조건을 포함하는 농가정보를 등록하는 농업인 단말;
    전국 각지의 스마트팜 농가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스마트팜 농가를 펀딩할 소비자를 모집하여 스마트팜과 소비자를 펀딩 연계하는 중앙서버; 및
    펀딩을 희망하는 작물 또는 농가를 검색하여 스마트팜 농가에 펀딩을 시작하는 소비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농업인 단말;은
    농업인의 스마트팜에 펀딩이 시작되면, 스마트팜 실시간 모니터링 영상을 생성하여 영상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전달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은
    영상 스트리밍 플랫폼에 접속하여 펀딩하는 스마트팜의 실시간 모니터링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펀딩 연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는
    스마트팜에서 재배되는 작물의 종류, 스마트팜의 위치, 작물 거래가격, 펀딩조건을 포함하는 농가정보를 농업인 단말로부터 수집하여 카테고리화하고, 소비자단말로부터 관심 작물, 펀딩금액, 배송지역을 포함하는 소비자 정보를 소비자 단말로부터 수집하여 관리하는 고객정보관리모듈;
    농가정보 및 소비자 정보에 따라 소비자와 펀딩할 농가를 연결하는 펀딩연계모듈; 및
    소비자의 펀딩 금액,펀딩 기간, 작물 수확량, 시세를 포함하는 가격 산출요소에 따라 스마트팜에서 수확되는 작물 가격을 산출하는 산출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팜 펀딩 연계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는
    농가, 시스템 관리자 및 소비자를 포함하는 3자간 표준거래 계약서를 소비자의 펀딩 기간과 금액에 따라 생성하는 계약서 생성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펀딩 연계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정보관리모듈;는
    스마트팜 별 24시간 라이브 스트리밍 영상, 커뮤니티, 농가 성장 기록을 포함하는 스마트팜 소통 페이지를 생성하고, 소비자가 펀딩중인 농가, 펀딩 레벨, 계약 내용을 포함하는 소비자 소통 페이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펀딩 연계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농업인 단말;은
    농업인이 선택한 펀딩 모집 기한이 마감되거나 모집인원이 모두 등록되면, 스마트팜 24시간 스트리밍을 영상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펀딩 연계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정보관리모듈;은
    스마트팜에서 이루어지는 육묘, 정식, 수확, 출하를 포함하는 주요 이벤트를 상기 스마트팜에 펀딩을 제공하는 소비자 및 상기 스마트팜 관심 소비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펀딩 연계 시스템.
  7. 스마트팜 펀딩 연계 방법에 있어서,
    (A) 농업인 단말에서 스마트팜의 위치, 재배 작물을 포함하는 농가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B) 중앙서버에서 전국 각지의 스마트팜 농가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스마트팜 농가를 펀딩할 소비자를 모집하여 스마트팜과 소비자를 펀딩 연계하는 단계; 및
    (C) 소비자 단말에서 펀딩을 희망하는 작물 또는 농가를 검색하여 스마트팜 농가에 펀딩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의 단계;는
    농업인의 스마트팜에 펀딩이 시작되면, 스마트팜 실시간 모니터링 영상을 생성하여 영상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전달하고,
    상기 (C)의 단계;는
    영상 스트리밍 플랫폼에 접속하여 펀딩하는 스마트팜의 실시간 모니터링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펀딩 연계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B)의 단계;는
    (B-1) 스마트팜에서 재배되는 작물의 종류, 스마트팜의 위치, 작물 거래가격을 포함하는 농가정보를 농업인 단말로부터 수집하여 카테고리화하고, 소비자단말로부터 관심 작물, 펀딩금액, 배송지역을 포함하는 소비자 정보를 소비자 단말로부터 수집하여 관리하는 단계;
    (B-2) 농가 정보 및 소비자 정보에 따라 소비자와 펀딩할 농가를 연결하는 단계;
    (B-3) 소비자의 펀딩 금액, 작물 수확량, 시세를 포함하는 가격 산출요소에 따라 스마트팜에서 수확되는 작물 가격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팜 펀딩 연계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B-2)의 단계;는
    농가, 시스템 관리자 및 소비자를 포함하는 3자간 표준거래 계약서를 소비자의 펀딩 기간과 금액에 따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펀딩 연계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B-1)의 단계;는
    스마트팜 별 24시간 라이브 스트리밍 영상, 커뮤니티, 농가 성장 기록을 포함하는 스마트팜 소통 페이지를 생성하고, 소비자가 펀딩중인 농가, 펀딩 레벨, 계약 내용을 포함하는 소비자 소통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펀딩 연계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B-1)의 단계;는
    스마트팜에서 이루어지는 육묘, 정식, 수확, 출하를 포함하는 주요 이벤트를 상기 스마트팜에 펀딩을 제공하는 소비자 및 상기 스마트팜 관심 소비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펀딩 연계 방법.
  12. 소비자 단말, 농업인 단말 및 중앙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팜 펀딩 연계 시스템의 스마트팜 펀딩 연계 방법에 있어서,
    (A) 농업인 단말에서 작물재배 펀딩을 생성하고 작물재배 펀딩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B) 소비자 단말에서 복수개의 작물재배 펀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작물재배 펀딩에서 작물재배량을 설정하는 단계;
    (C) 중앙서버에서 상기 작물재배 펀딩 조건이 만족되면, 소비자 단말로 스마트팜 실시간 스트리밍 영상 접근 권한을 제공하는 단계;
    (D) 소비자 단말에서 상기 스마트팜 실시간 스트리밍 영상 접근 권한을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팜 영상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스마트팜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E) 중앙서버에서 작물의 육묘, 정식, 수확, 출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 이벤트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팜 펀딩 연계 방법.
KR1020210109926A 2021-08-20 2021-08-20 스마트팜 펀딩 연계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277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926A KR20230027769A (ko) 2021-08-20 2021-08-20 스마트팜 펀딩 연계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926A KR20230027769A (ko) 2021-08-20 2021-08-20 스마트팜 펀딩 연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769A true KR20230027769A (ko) 2023-02-28

Family

ID=85327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926A KR20230027769A (ko) 2021-08-20 2021-08-20 스마트팜 펀딩 연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776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rnandez‐Aguilera et al. Quality as a driver of sustainable agricultural value chains: The case of the relationship coffee model
Simmons et al. An analysis of contract farming in East Java, Bali, and Lombok, Indonesia
Challies et al. The interaction of global value chains and rural livelihoods: The case of smallholder raspberry growers in Chile
Van den Broeck et al. Rice farmers' preferences for fairtrade contracting in Benin: Evidence from a discrete choice experiment
Arslan et al. Farmers’ subjective valuation of subsistence crops: The case of traditional maize in Mexico
Tarekegn et al. Value chain analysis of banana in Bench Maji and Sheka Zones of Southern Ethiopia
Herforth et al. Understanding participation in modern supply chains under a social network perspective: Evidence from blackberry farmers in the Ecuadorian Andes
KR20170096953A (ko) 농축산물 생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Orr et al. Gender and social targeting in plant breeding
Qanti et al. Triangle of linkages among modernising markets, sprayer–traders, and mango-farming intensification in Indonesia
Mnimbo et al. Influence of gender on roles, choices of crop types and value chain upgrading strategies in semi-arid and sub-humid Tanzania
Rodrigues Fortes et al. Food systems and food security: the role of small farms and small food businesses in Santiago Island, Cabo Verde
Zuza et al. Review of macadamia production in Malawi: focusing on what, where, how much is produced and major constraints
Otsuka Strategy for Transforming Indonesian Agriculture
Barnett et al. External evaluation of mobile phone technology-based nutrition and agriculture advisory services in Africa and South Asia
Ghebreagziabiher et al. Understanding the capacity of key actors and their role in the seed potato systems: the case of eritrea
KR20230027769A (ko) 스마트팜 펀딩 연계 시스템 및 방법
Pircher et al. How responsive is Nigeria’s cassava seed system to farmers’ demand? Exploring supply and demand interactions in three farming communities
Kleemann The relevance of business practices in linking smallholders and large agro-businesses in Sub-Sahara Africa
Ruben et al. Farmers, markets and contracts: Chain integration of smallholder producers in Costa Rica
Hando Market value chain of honey production in Northern Ethiopia
Argwings-Kodhek et al. Measuring income and the potential for poverty reduction in rural Kenya
Wijesinghe et al. Factors Influencing Vegetable Farmers' Decisions
Sebstad et al. Assessing the impact of the Kenya BDS and the horticultural development center projects in the tree fruit subsector of Kenya: Baseline research design
Mahfuza et al. Impact of Betel Leaf Farming on Livelihood and Income Generation in Some Selected Areas of the Rajshahi District of Banglade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