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7759A -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 Google Patents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7759A
KR20230027759A KR1020210109903A KR20210109903A KR20230027759A KR 20230027759 A KR20230027759 A KR 20230027759A KR 1020210109903 A KR1020210109903 A KR 1020210109903A KR 20210109903 A KR20210109903 A KR 20210109903A KR 20230027759 A KR20230027759 A KR 20230027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beekeeping
big data
consumption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9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경득
Original Assignee
센트론테크놀러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트론테크놀러지(주) filed Critical 센트론테크놀러지(주)
Priority to KR1020210109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7759A/en
Publication of KR20230027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775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3Transforming infrared radi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A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is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comprises: a smart beehive including a beekeeping frame, a sensor unit detecting the inside of the beekeeping frame, a thermal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beekeeping frame, an entrance and exit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beekeeping frame, and a communication unit; and a management server that analyzes and predicts bee activities and beekeeping-related environments through AI analysis of big data transmitted from the smart beehive. Here, the management server visualizes an analyzed and predicted result by images and transmits them to a manager terminal.

Description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본 발명은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일반적으로, 양봉 농가는 인공 벌통을 설치하여 양봉 꿀을 수확한다. 이러한 양봉 꿀은 자연 벌통에 의해 얻어지는 자연 꿀에 비해 수확량이 많다. 양봉에 있어서, 벌들은 기후 조건과 벌통 내부의 상태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양봉 농가는 벌통 내부와 주변에 대한 세밀한 관찰이 필요하다.Generally, beekeepers install artificial hives to harvest beekeeping honey. Such beekeeping honey has a higher yield than natural honey obtained by natural beehives. In beekeeping, bees are very sensitive to climatic conditions and conditions inside the hive, so beekeepers need to closely observe the inside and surroundings of the hive.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공 벌통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는 기술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의 대부분은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단순한 정보를 통신을 통하여 원격으로 수집하는 수준이다. 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 technology for collecting various information about artificial beehives has emerged. Most of these technologies are at the level of remotely collecting simple information sensed by sensors through communication.

그러나 효과적인 양봉을 위해서는 산란 활동 및 채밀 활동 등과 같은 벌들의 활동과 그에 따른 개화 시기 등의 환경 상태를 분석 및 예측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벌통으로부터 감지되는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벌의 활동이나 양봉 관련 환경을 예측 및 분석하는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However, for effective beekeeping, it is important to analyze and predict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the activities of bees, such as spawning activities and harvesting activities, and the corresponding flowering tim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ystem that predicts and analyzes bee activities or beekeeping-related environments using big data detected from the beehive.

KRKR 2020-0064475 2020-0064475 AA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벌통으로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벌의 활동 및 양봉 관련 환경을 예측 및 분석할 수 있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various information from the beehive and analyzes big data that can predict and analyze the activities of bees and the environment related to beekeeping using the collected big data.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비, 상기 소비 내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소비 내부를 촬영하는 열상 카메라, 상기 소비의 출입구를 촬영하는 출입 카메라, 및 통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벌통; 및 상기 스마트 벌통으로부터 전송된 빅데이터를 AI 분석을 통하여 벌의 활동 및 양봉 관련 환경을 분석 및 예측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분석 및 예측된 결과를 이미지로 시각화하여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smart camera including consumption, a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inside of the consumption, a thermal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consumption, an entrance and exit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entrance of the consumption, and a communication unit. wooden beehive; and a management server that analyzes and predicts the bee's activities and beekeeping-related environments through AI analysis of the big data transmitted from the smart beehive, wherein the management server visualizes the analyzed and predicted results as images to a manager terminal. A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is provid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출입 카메라의 영상을 인식하여 출입 개체수를 연산하여 상기 소비에 대한 출입 개체수를 계수하는 출입 계수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획득된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스마트 벌통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벌의 활동량, 날씨, 상기 스마트 벌통의 환경 적정성, 내부의 개체수 및 채밀 여부를 판단하는 상태 모니터링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소비 내의 사운드에서 여왕벌에 대응하는 주파수의 여부에 따라 상기 소비 내의 여왕벌의 유무를 판단하여 분봉 가능성을 판단하는 군집상태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nagement server includes an access counting unit recognizing the image of the access camera to calculate the number of access objects and counting the number of access objects for the consumption; a state monitoring unit that monitors the state of the smart beehive accor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sensor unit to determine the amount of bee activity, weather, environmental adequacy of the smart beehive, the number of populations inside the hive, and whether or not it is harvested; and a colony state analyzer for determining the possibility of swarming by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queen bee in the be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queen bee is present in the sound in the bee sensed by the sensor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소비 내의 사운드에서 말벌 또는 야생벌에 대응하는 주파수의 여부에 따라 상기 소비로의 이종 벌의 외부 침입을 판단하고, 상기 센서부의 데이터의 변화율이 일정값 이상인 경우 이상상태를 판단하는 이상징후 판단부; 및 상기 이상징후가 판단됨에 따라 상기 관리자 단말로 해당 이상징후 및 그에 따른 조치사항을 알람하는 알람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an external intrusion of a heterogeneous bee into the consumption according to whether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a wasp or a wild bee in the sound in the consumption sensed by the sensor unit is detected, and the data of the sensor unit is determined. an anomaly symptom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an abnormal state when the rate of chang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nd an alarm unit for notifying the manager terminal of the abnormal symptom and corresponding measures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abnormal symptom.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소비로 들어가는 벌의 화분 색깔에 따라 화분의 종류를 분석하는 화분 분석부; 및 상기 분석된 화분의 종류에 따라 해당 꽃에 대한 개화 시기를 예측하는 개화시기 예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nagement server includes a pollen analyzer for analyzing the type of pollen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pollen of the bee entering the consumption; and a flowering time predictor for predicting the flowering time of a corresponding flower according to the analyzed pollen typ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소비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상기 소비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 상기 소비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센서; 상기 소비 내부의 CO2 농도를 감지하는 CO2 센서; 및 상기 소비 내부의 사운드를 감지하는 사운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nsor unit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nsumption; a humidity sensor for sensing humidity inside the consumer; a weight sensor for detecting the weight of the consumption; a CO2 sensor for sensing the CO2 concentration inside the consumption; and a sound sensor for detecting a sound inside the consump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출입 카메라는 상기 출입구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출입구의 타측에는 차단판이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ccess camera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ntrance, and a blocking plate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entran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벌통은 상기 소비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mart beehive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sump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자 단말은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이고, 양봉 관리 전용앱에 의해 상기 관리 서버에서 분석 및 예측된 결과를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anager terminal is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smart phone, and may display results analyzed and predicted in the management server as an image by a dedicated app for beekeeping manage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은 센서에 의해 벌의 활동과 관련된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빅데이터를 AI 분석함으로써, 벌의 활동 및 양봉 관련 환경을 예측 및 분석할 수 있으므로 양봉 관리 효율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big data related to bee activities by sensors and analyzes the collected big data by AI to predict and analyze bee activities and beekeeping-related environments. Therefore, the efficiency and reliability of beekeeping management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은 벌통의 출입구 측에 카메라를 구비하여 촬영함으로써, 출입하는 벌들의 개체수 및 화분의 색깔 등의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므로 벌의 활동뿐만 아니라 양봉 관련 환경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llect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entering and exiting bees and the color of pollen by photographing with a camera at the entrance of the beehive. activities as well as the status of the environment related to beekeepin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은 사운드 센서를 통하여 여왕벌의 존재 유무를 모니터링함으로써, 해당 소비에 대한 분봉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조치를 통해 분봉을 방지하여 군집을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ig data analysis-based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he presence or absence of queen bees through a sound sensor, thereby predicting the possibility of swarming for the corresponding consumption, thereby preventing swarming through prompt measures to prevent crowding. can keep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은 온습도 센서 및 무게 센서뿐만 아니라 CO2 센서 및 사운드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벌통 내부에 대한 보다 다양한 정보를 획득 및 분석할 수 있으므로 벌의 생육 상태를 더욱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ig data analysis-based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CO2 sensor and a sound sensor as well as a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and a weight sensor, so that more diverse information about the inside of the hive can be obtained and analyzed. growth status can be monitored more effectivel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은 열상 카메라를 통하여 내부의 열 분포를 감지함으로써, 온도 센서에 의한 위치의 제약을 해소할 수 있으므로 더욱 정확한 내부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ig data analysis-based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internal heat distribution through a thermal camera, thereby solving the locational restriction by the temperature sensor, so that the internal state can be monitored more accurately. ca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의 스마트 벌통의 블록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의 출입문의 설치 예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의 출입문 구동부의 예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의 관리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의 관리자 단말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의 출입 카메라의 설치 예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의 출입 카메라의 획득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의 이상징후를 나타낸 관리자 단말의 그래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beehive of a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B is a front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a door of a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C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oor driving unit of a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management server of a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manager terminal of a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an entry and exit camera of a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acquired picture of an entry and exit camera of a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graph of a manager terminal showing abnormal symptoms of a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is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Hereinafter, a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10)은 소비가 형성된 스마트 벌통(100)으로부터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벌의 활동 및 양봉 관련 환경을 예측 및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소비는 벌이 알을 낳고 먹이와 꿀을 저장하며 생활하는 집으로서, 일벌들이 분비한 밀랍으로 만들며 육각형의 방이 여러 개 모여 층을 이루고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big data analysis-based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big data from the smart beehive 100 where consumption is formed to predict and predict bee activities and beekeeping-related environments. for analysis. Here, consumption is a house where bees lay eggs, store food and honey, and are made of beeswax secreted by worker bees, and several hexagonal rooms are gathered to form layers.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10)은 스마트 벌통(100), 관리 서버(200) 및 관리자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big data analysis-based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10 may include a smart beehive 100, a management server 200, and a manager terminal 300.

스마트 벌통(100)은 케이스(101) 내부에 소비가 내장되며, 케이스(101)의 외부에는 통신용 안테나(10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벌통(100)은 일측면에 벌들이 소비로 출입하기 위한 출입구(103)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벌통(100)은 일측면이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스마트 벌통(100) 내부의 소비로부터 꿀을 채취할 수 있다.The smart beehive 100 has a consumption built inside the case 101, and an antenna 102 for communication may be provided outside the case 101. This smart beehive 100 may be provided with an entrance 103 on one side for the bees to enter and exit for consumption. Here, one side of the smart beehive 100 may be open to the outside. Thereby, the operator can collect honey from consumption inside the smart hive 100.

또한, 스마트 벌통(100)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관리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벌통(100)은 그 내부의 소비의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된 데이터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beehive 100 may communicate with the management server 20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t this time, the smart beehive 100 may detect the state of consumption therein and transmit the detected data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관리 서버(200)는 스마트 벌통(100)으로부터 전송된 빅데이터를 AI 분석할 수 있다. 이때, 관리 서버(200)는 AI 분석을 통하여 벌의 활동 및 양봉과 관련된 환경을 분석 및 예측할 수 있다.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analyze the big data transmitted from the smart beehive 100 by AI. At this time,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analyze and predict the environment related to bee activities and beekeeping through AI analysis.

또한, 관리 서버(200)는 분석 및 예측된 결과를 관리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 서버(200)는 분석 및 예측된 결과를 그래프 등과 같은 이미지로 시각화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는 관리자 단말(300)에서 양봉 관리 전용앱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transmit analysis and predicted results to the manager terminal 300 . Here,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visualize the analyzed and predicted results as an image such as a graph. These images may be displayed on the manager terminal 300 through an app dedicated to beekeeping management.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10)은 벌의 활동 및 양봉 관련 환경을 예측 및 분석할 수 있으므로 양봉 관리 효율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big data analysis-based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dict and analyze bee activities and beekeeping-related environments, thereby improving beekeeping management efficiency and reliability.

관리자 단말(300)은 스마트 벌통(100)의 관리자의 단말로서, 관리 서버(200)로부터 빅데이터에 대한 AI 분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관리자 단말(300)은 휴대용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은 스마트폰 또는 노트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nager terminal 300 is a terminal of the manager of the smart beehive 100, and can receive AI analysis results for big data from the management server 200. For example, the manager terminal 300 may be a portable terminal. Here, the portable terminal may include a smart phone or a notepad.

또한, 관리자 단말(300)은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AI 분석 결과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양봉 관리 전용앱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양봉 관리 전용앱은 관리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AI 분석 결과를 그래프 등의 이미지로 시각화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ager terminal 300 may have an app dedicated to beekeeping management for displaying AI analysis results provid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200 . Here, the beekeeping management dedicated app can visualize and display the AI analysis result provided by the management server 200 as an image such as a graph.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의 스마트 벌통의 블록도이다. 2a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beehive of a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를 참조하면, 스마트 벌통(100)은 센서부(110), 열상 카메라(120), 출입 카메라(130), 온도 조절부(140), 통신부(150), 저장부(160), 출입문 구동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A, the smart beehive 100 includes a sensor unit 110, a thermal camera 120, an access camera 130, a temperature control unit 140, a communication unit 150, a storage unit 160, and a door drive unit. 170 and a control unit 180 may be included.

센서부(110)는 소비 내에 구비되어 소비의 각종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온도 센서(112), 습도 센서(114), 무게 센서(116), CO2 센서(118) 및 사운드 센서(119)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110 may be provided within consumption to detect various states of consumption. The sensor unit 110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112 , a humidity sensor 114 , a weight sensor 116 , a CO2 sensor 118 , and a sound sensor 119 .

온도 센서(112)는 소비 내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온도 센서(112)는 소비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온도 센서(112)는 스마트 벌통(100) 내부에 존재하는 벌로부터 발생하는 열에 대응하는 온도와 외부 환경에 의한 온도의 합을 감지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or 112 can sense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nsumer. This temperature sensor 112 can be placed inside the consumer. Here, the temperature sensor 112 can detect the sum of the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heat generated from the bees present inside the smart beehive 100 and the temperature caus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습도 센서(114)는 소비 내부의 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습도 센서(114)는 소비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습도 센서(114)는 외부 환경에 의한 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Humidity sensor 114 can sense the humidity inside the consumer. This humidity sensor 114 may be placed inside the consumer. Here, the humidity sensor 114 may detect the humidity of the external environment.

무게 센서(116)는 소비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무게 센서(116)는 소비 또는 스마트 벌통(1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무게 센서(116)는 스마트 벌통(100) 내부에 존재하는 벌의 개체수에 대응하는 무게, 채집된 꿀의 양에 대응하는 무게 및 소비 자체의 무게의 합을 감지할 수 있다.The weight sensor 116 may detect the weight of consumption. This weight sensor 116 may be plac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nsumption or smart hive 100. Here, the weight sensor 116 may detect the sum of the weight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bees present in the smart hive 100, the weight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collected honey, and the weight of consumption itself.

CO2 센서(118)는 소비 내부의 CO2 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CO2 센서(118)는 소비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CO2 센서(118)는 소비 내에서 존재하는 벌들로부터 배출되는 CO2를 감지할 수 있다. The CO2 sensor 118 can sense the CO2 concentration inside the consumer. This CO2 sensor 118 may be placed inside the consumer. Here, the CO2 sensor 118 can detect the CO2 emitted from the bees present within the consumption.

사운드 센서(119)는 소비 내부의 사운드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운드 센서(119)는 소비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운드 센서(119)는 내부의 사운드를 주파수별로 감지할 수 있다. The sound sensor 119 can detect sound inside the consumer. This sound sensor 119 can be placed inside the consumer. Here, the sound sensor 119 may detect internal sound for each frequency.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10)은 일반적인 온도 센서(112), 습도 센서(114) 및 무게 센서(116)뿐만 아니라 스마트 벌통(100) 내부의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벌의 생육 상태를 더욱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big data analysis-based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eneral temperature sensor 112, humidity sensor 114, and weight sensor 116 as well as the inside of the smart beehive 100 Since a variety of information can be obtained, the growth status of bees can be monitored more effectively.

열상 카메라(120)는 소비 내부를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열상 카메라(120)는 소비 내부에서 열 분포를 촬영할 수 있다. 일례로, 열상 카메라(120)는 소비 내부에 밀랍으로 구성된 육각형 방 내부의 열 분포를 촬영할 수 있다.The thermal camera 120 can take pictures of the interior of the consumer. This thermal camera 120 can photograph the heat distribution inside the consumer. As an example, the thermal camera 120 may capture the heat distribution inside a hexagonal chamber made of beeswax inside the consumption.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10)은 온도 센서 등의 위치별 온도 감지에 따른 위치의 제약을 해소할 수 있으므로 더욱 정확한 내부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big data analysis-based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liminate locational restrictions caused by temperature detection by location, such as a temperature sensor, so that the internal state can be monitored more accurately. .

출입 카메라(130)는 출입구(103)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출입 카메라(130)는 출입구(103) 부근을 촬영할 수 있다. 즉, 출입 카메라(130)는 벌들이 출입구(103)를 통하여 출입하는 상태를 촬영할 수 있다.The access camera 130 may be provided above the entrance 103 . The access camera 130 may capture the vicinity of the entrance 103 . That is, the entry and exit camera 130 may capture a state in which bees enter and exit through the entrance 103 .

온도 조절부(140)는 소비의 내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온도 조절부(140)는 겨울철과 같이 소비의 온도가 낮은 경우, 발열체를 통하여 소비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온도 조절부(140)는 여름철과 같이 소비의 온도가 높은 경우, 냉각체를 통하여 소비의 내부 온도를 하강시킬 수 있다.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140 may adjus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consumption. 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of consumption is low, such as in winter,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140 may increase the internal temperature of consumption through a heating element. As another example,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140 may lower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sumer through the cooling body when the temperature of the consumer is high, such as in summer.

통신부(150)는 관리 서버(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부(150)는 WiFi 또는 BLE와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150)는 AP(access point)을 통하여 인터넷망에 접속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통신부(150)는 5G와 같은 원거리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communicate with the management server 200 by wire or wirelessly. As an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communicate with WiFi or BLE in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through an access point (AP). As anothe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50 may communicate using a long-distance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5G.

저장부(160)는 센서부(110)에 감지된 소비의 상태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저장된 상태정보가 관리 서버(200)로 전송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삭제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consumption stat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10 . The storage unit 160 may be deleted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stored stat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

출입문 구동부(170)는 출입구(103)에 구비되는 출입문을 구동할 수 있다. 일례로, 출입문 구동부(170)는 모터일 수 있다. 이때, 출입문 구동부(170)는 회전에 따라 출입구(103)의 개방면적을 조절하도록 출입문을 수평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The door driver 170 may drive the door provided in the doorway 103 . For example, the door driver 170 may be a motor. At this time, the door driver 170 may slide the door horizontally to adjust the open area of the door 103 according to rotation.

제어부(180)는 센서부(110), 열상 카메라(120), 출입 카메라(130), 온도 조절부(140), 통신부(150), 저장부(160) 및 출입문 구동부(170)와 통신적으로 연결되며, 스마트 벌통(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80 communicates with the sensor unit 110, the thermal camera 120, the access camera 130,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140, the communication unit 150, the storage unit 160, and the door driving unit 170. It is connected and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mart beehive (100).

이러한 제어부(180)는 센서부(110)에 의해 감지되고 저장부(160)에 저장된 상태정보를 통신부(150)를 통하여 원격지의 관리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80 may control the stat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10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to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management server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0 .

또한, 제어부(180)는 열상 카메라(120)가 소비의 상태를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80)는 출입 카메라(130)가 출입구(103)의 부근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온도 센서(112)의 감지 결과에 따라 온도 조절부(140)가 소비의 온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온도 센서(112)의 감지 결과에 따라 출입구(103)의 개방면적을 조절하도록 출입문 구동부(170)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thermal camera 120 to capture a state of consumption.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80 may control the access camera 130 to photograph the vicinity of the entrance 103 .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temperature controller 140 to increase or decrease the temperature of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temperature sensor 112 . In addition,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door driver 170 to adjust the open area of the door 103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temperature sensor 112 .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의 출입문의 설치 예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의 출입문 구동부의 예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2B is a front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a door of a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C is a front view of a door driving unit of a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도 2b를 참조하면, 출입구(103)에는 출입문(17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출입문(171)은 출입문 구동부(170)에 의해 슬라이딩될 수 있다. 즉, 출입문(171)인 슬라이딩됨에 따라 출입구(103)의 개방면적이 조절될 수 있다. 일례로, 출입문(171)은 유연성이 있는 판상의 강철 띠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출입문(171)은 길이 방향으로는 유연성을 갖지만, 두께 방향으로는 강성을 갖기 때문에, 출입구(103)의 개방면적 조절에 적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B , an entrance door 171 may be provided in the entrance 103 . The door 171 may be slid by the door driver 170 . That is, as the door 171 slides, the open area of the door 103 can be adjusted. For example, the entrance door 171 may be provided with a flexible plate-shaped steel strip. In this way, the entrance door 171 has flexibilit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rigidity in the thickness direction, so it may be suitable for adjusting the open area of the entrance 103.

도 2c를 참조하면, 출입문 구동부(170)와 출입문(171)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출입문 구동부(170)는 내부에 모터가 구비되고, 출입문(171)이 내장될 수 있다. 즉, 출입문(171)이 유연성을 갖기 때문에, 모터의 회전에 따라 출입문(171)이 출입문 구동부(170)의 내측으로 감기거나 외측으로 풀림으로써,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어 출입구(103)의 개방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C , the door driver 170 and the door 171 may be integrally provided. For example, the door driving unit 170 may include a motor and a door 171 embedded therein. That is, since the door 171 has flexibility, the door 171 is wound inward or unwound outward of the door driver 17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otor, so that the door 171 can slide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reby opening the door 103. area can be adjust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의 관리 서버의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of a management server of a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200)는 통신부(210), 제어부(220) 및 데이터베이스(2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210 , a control unit 220 and a database 230 .

통신부(210)는 스마트 벌통(100) 및 관리자 단말(3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부(210)는 WiFi 또는 BLE와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210)는 AP을 통하여 인터넷망에 접속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통신부(210)는 5G와 같은 원거리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communicate with the smart beehive 100 and the manager terminal 300 by wire or wirelessly. As an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communicate with WiFi or BLE in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through an AP. As anothe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communicate using a long-distance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5G.

제어부(220)는 통신부(210) 및 데이터베이스(230)와 통신적으로 연결되며, 관리 서버(2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20)는 스마트 벌통(100)으로부터 전송된 빅데이터를 AI 분석함으로써, 벌의 활동 및 양봉 관련 환경을 분석 및 예측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20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210 and the database 230 and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anagement server 200 .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20 can analyze and predict bee activities and beekeeping-related environments by AI-analyzing the big data transmitted from the smart beehive 100.

또한, 제어부(220)는 출입 계수부(221), 상태 모니터링부(222), 군집상태 분석부(223), 이상징후 판단부(224), 알람부(225), 화분 분석부(226) 및 개화시기 예측부(227)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220 includes an access counting unit 221, a state monitoring unit 222, a cluster state analysis unit 223, an anomaly symptom determination unit 224, an alarm unit 225, a pollen analysis unit 226 and A flowering time prediction unit 227 may be included.

출입 계수부(221)는 스마트 벌통(100)의 출입 카메라(130)에서 촬영된 영상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출입 계수부(221)는 인식된 영상으로부터 소비에 대한 출입 개체수를 연산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출입 계수부(221)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비에 대한 시간별 출입 개체수를 계수할 수 있다.The access counting unit 221 may recognize an image captured by the access camera 130 of the smart beehive 100. At this time, the access counting unit 221 may calculate the number of access objects for consumption from the recognized image. As a result, the entry and exit counting unit 221 may count the number of people entering and exiting per hour for consump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

상태 모니터링부(222)는 스마트 벌통(100)의 센서부(110) 및 열상 카메라(120)로부터 획득된 상태 정보에 따라 스마트 벌통(100)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때, 상태 모니터링부(222)는 스마트 벌통(100)의 상태 정보에 따라 벌의 활동량, 날씨, 스마트 벌통(100)의 내부 환경의 적정성, 내부의 개체수 및 채밀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The state monitoring unit 222 may monitor the state of the smart hive 100 according to state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sensor unit 110 and the thermal camera 120 of the smart hive 100 . At this time, the state monitoring unit 222 can determine the amount of activity of bees, the weather, the adequacy of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smart hive 100, the number of individuals inside, and whether or not they are harvested accor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smart hive 100.

보다 구체적으로, 상태 모니터링부(222)는 출입 계수부(221)에서 계수된 소비로 유입되는 개체수에 따라 벌의 활동량 및 날씨를 예측 및 분석할 수 있다. 일례로, 출입 개체수가 큰 경우, 날씨가 맑고 좋아서 벌의 활동량이 증가한 것으로 예측하거나 분석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tate monitoring unit 222 may predict and analyze the amount of activity and weather of be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individuals entering the consumption counted by the entry and exit counter 221 . For example, when the number of entrances and exits is large, it can be predicted or analyzed that the activity of bees has increased because the weather is clear and good.

또한, 상태 모니터링부(222)는 스마트 벌통(100)의 온도 센서(112)의 감지 결과에 따라 계절의 변화 같은 외부 환경에 변화를 예측 및 분석할 수 있다. 아울러, 상태 모니터링부(222)는 소비 내부의 온도가 증가하는 경우, 벌들의 활동량이 증가할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태 모니터링부(222)는 무게 센서(116)의 감지 결과를 참조할 수 있다. 즉, 상태 모니터링부(222)는 스마트 벌통(100)의 무게가 증가하면 벌의 활동량의 증가로 판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dition monitoring unit 222 can predict and analyze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seasonal changes,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temperature sensor 112 of the smart beehive 100. In addition, the state monitoring unit 222 may analyze that the amount of activity of bees increases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nsumption increases. In this case, the state monitoring unit 222 may refer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weight sensor 116 . That is, the state monitoring unit 222 may determine that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activity of the bees when the weight of the smart beehive 100 increases.

또한, 상태 모니터링부(222)는 스마트 벌통(100)의 열상 카메라(120)의 감지 결과에 따라 소비 내부의 열 분포에 따라 벌의 성장과정의 적정성을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ate monitoring unit 222 may deter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growth process of the bees according to the heat distribution inside the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thermal camera 120 of the smart beehive 100.

또한, 상태 모니터링부(222)는 스마트 벌통(100)의 습도 센서(114)의 감지 결과에 따라 우기 등과 같은 외부 환경의 변화를 분석 및 예측할 수 있다. 일례로, 상태 모니터링부(222)는 소비 내의 습도가 높은 경우 비오는 것으로 분석 및 예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태 모니터링부(222)는 출입 계수부(221)의 계수 결과를 참조할 수 있다. 즉, 상태 모니터링부(222)는 출입 개체수가 감소하면 비가 오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dition monitoring unit 222 can analyze and predict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the rainy season,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humidity sensor 114 of the smart beehive 100. For example, the condition monitoring unit 222 may analyze and predict that it will rain if the humidity in consumption is high. In this case, the state monitoring unit 222 may refer to the counting result of the entry/exit counting unit 221 . That is, the state monitoring unit 222 may determine that it is raining when the number of entering and exiting objects decreases.

또한, 상태 모니터링부(222)는 스마트 벌통(100)의 무게 센서(116)의 감지 결과에 따라 소비 내의 꿀의 양의 변화 또는 벌의 개체수의 변화를 분석 및 예측할 수 있다. 일례로, 상태 모니터링부(222)는 소비의 무게가 증가하면 채밀 시기를 판별할 수 있다. 아울러, 상태 모니터링부(222)는 소비의 무게가 증가하면 개체수의 증가를 판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ate monitoring unit 222 may analyze and predict a change in the amount of honey in consumption or a change in the number of bees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weight sensor 116 of the smart hive 100. For example, the state monitoring unit 222 may determine the time to harvest wheat when the weight of consumption increases. In addition, the state monitoring unit 222 may determine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objects when the weight of consumption increases.

또한, 상태 모니터링부(222)는 스마트 벌통(100)의 CO2 센서(118)의 감지 결과에 따라 소비 내의 벌의 개체수의 변화를 분석 및 예측할 수 있다. 일례로, 상태 모니터링부(222)는 소비 내부의 CO2 농도가 증가하면 소비 내의 개체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태 모니터링부(222)는 무게 센서(116)의 감지 결과를 참조할 수 있다. 즉, 상태 모니터링부(222)는 소비의 무게가 증가하면 개체수의 증가로 판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te monitoring unit 222 can analyze and predict changes in the number of bees in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CO2 sensor 118 of the smart beehive 100. For example, the state monitoring unit 222 may determine that the number of objects within the consumption increases when the concentration of CO2 within the consumption increases. In this case, the state monitoring unit 222 may refer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weight sensor 116 . That is, the state monitoring unit 222 may determine that the number of objects increases when the weight of consumption increases.

군집상태 분석부(223)는 스마트 벌통(100)의 사운드 센서(119)의 감지 결과에 따라 소비 내의 여왕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군집상태 분석부(223)는 여왕벌의 존재 유무에 따라 분봉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군집상태 분석부(223)는 여왕벌의 존재 여부에 따라 군집의 붕괴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 이때, 군집상태 분석부(223)는 소비 내에서 감지된 사운드에서 여왕벌에 대응하는 주파수 여부에 따라 여왕벌의 존재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일벌, 여왕벌 및 수벌은 서로 상이한 주파수의 사운드를 생성한다. The colony state analysis unit 223 may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queen bee in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ound sensor 119 of the smart beehive 100. Accordingly, the colony state analysis unit 223 can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swarming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queen bees. Therefore, the colony state analysis unit 223 can predict whether or not the colony will collaps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queen bees. At this time, the colony state analysis unit 223 may determine whether a queen bee exists or not according to whether or not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queen bee is present in the sound sensed within consumption. Here, workers, queens and drones produce sounds of different frequencies.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10)은 사운드 소비에 대한 분봉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으므로 여왕벌을 대체할 수 있도록 하는 신속한 조치를 통해 분봉을 방지하여 군집을 유지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big data analysis-based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dict the possibility of swarming for sound consumption, thereby preventing swarming through prompt measures to replace the queen bee to prevent clustering. can keep

이상징후 판단부(224)는 스마트 벌통(100)의 사운드 센서(119)의 감지 결과에 따라 이종 벌의 외부 침입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이상징후 판단부(224)는 소비 내에서 감지된 사운드에서 말벌 또는 야생벌에 대응하는 주파수의 여부에 따라 소비로의 이종 벌의 침입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말벌 또는 야생벌과 같은 이종 벌은 양봉을 위한 꿀벌과 상이한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를 생성한다. The anomaly symptom determination unit 224 may determine external intrusion of heterogeneous bees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ound sensor 119 of the smart beehive 100. At this time, the anomaly symptom determination unit 224 may determine whether a heterogeneous bee invades the consumption according to whether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a wasp or a wild bee is present in the sound sensed within the consumption. Here, heterogeneous bees, such as wasps or wild bees, generate sounds of a different frequency band from bees for beekeeping.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10)은 이종 벌 등의 외부의 침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위험 상태에 신속하게 파악하여 조치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big data analysis-based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an external intrusion such as heterogeneous bees can quickly identify and take action in a dangerous state.

아울러, 이상징후 판단부(224)는 스마트 벌통(100)의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각 데이터의 변화율이 일정값 이상인 경우 이상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이상징후 판단부(224)는 소비 내의 온도, 습도, 무게 및 CO2 농도 중에서 어느 하나가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하면 이상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unit 224 may determine an abnormal state when the rate of change of each data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10 of the smart beehive 10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For example, the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unit 224 may determine an abnormal state when any one of the temperature, humidity, weight, and CO2 concentration within consumption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알람부(225)는 이상징후 판단부(224)에서 이상징후가 판단됨에 따라 관리자 단말(300)로 해당 이상징후를 알람할 수 있다. 이때, 알람부(225)는 이상징후에 대한 조치사항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알람부(225)는 문자 메시지를 통하여 관리자 단말(300)로 이상징후를 알람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알람부(225)는 관리자 단말(300)에서 양봉 관리 전용앱을 활성화하도록 이상징후를 알람할 수 있다.The alarm unit 225 may alarm the corresponding abnormal symptom to the manager terminal 300 according to the abnormal symptom determined by the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unit 224 . At this time, the alarm unit 225 may also provide action items for abnormal symptoms. For example, the alarm unit 225 may alarm an abnormal symptom to the manager terminal 300 through a text message. As another example, the alarm unit 225 may alarm an abnormal symptom so as to activate a dedicated beekeeping management app in the manager terminal 300 .

화분 분석부(226)는 스마트 벌통(100)의 출입 카메라(130)에서 촬영된 영상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화분 분석부(226)는 인식된 영상으로부터 소비로 들어가는 벌이 채취한 화분(꽃가루) 색깔을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분 분석부(226)는 화분의 색깔에 대응하는 꽃의 종류를 분석할 수 있다.The pollen analyzer 226 may recognize an image taken by the entry and exit camera 130 of the smart beehive 100. At this time, the pollen analysis unit 226 may identify the color of pollen (pollen) collected by the bee entering the consumption from the recognized image. Accordingly, the pollen analyzer 226 may analyze the type of flower corresponding to the color of the pollen.

개화시기 예측부(227)는 화분 분석부(226)에서 분석된 화분의 종류에 따라 해당 꽃에 대한 개화 시기를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개화시기 예측부(227)는 스마트 벌통(100) 부근에 서식하는 꽃 종류와 그에 대한 개화 시기를 예측할 수 있다.The flowering time predictor 227 may predict the flowering time of a corresponding flower according to the type of pollen analyzed by the pollen analyzer 226 . Here, the flowering time prediction unit 227 can predict the type of flowers inhabiting the vicinity of the smart beehive 100 and the flowering time thereof.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10)은 출입구(103)를 통하여 출입하는 벌들의 개체수 및 벌에 의해 채취된 화분의 색깔 등의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따라서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10)은 벌의 활동뿐만 아니라 양봉 관련 환경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10 based on big data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llect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bees entering and exiting through the entrance 103 and the color of pollen collected by the bees. there is. Therefore, the big data analysis-based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10 may analyze the beekeeping-related environment conditions as well as bee activities.

데이터베이스(230)는 스마트 벌통(100)으로부터 전송된 빅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230)는 센서부(110)에 포함된 센서별로 상태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230)는 제어부(220)에서 예측 및 분석된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데이터베이스(230)는 관리 서버(200)에서 관리자 단말(300)로 제공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The database 230 may store big data transmitted from the smart beehive 100. The database 230 may store state information for each sensor included in the sensor unit 110 . In addition, the database 230 may store results predicted and analyzed by the control unit 220 . In addition, the database 230 may stor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200 to the manager terminal 300 .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의 관리자 단말의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manager terminal of a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관리자 단말(300)은 양봉 관리 전용앱에 의해 관리 서버(200)에서 분석 및 예측된 결과를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례로, 관리자 단말(300)은 이상 증상을 나타내는 제1그래프(310) 및 제2그래프(3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manager terminal 300 may display results analyzed and predicted in the management server 200 as an image by a beekeeping management dedicated app. For example, the manager terminal 300 may display a first graph 310 and a second graph 320 representing abnormal symptoms.

제1그래프(310)는 이전 또는 이후에 비하여 일시적으로 이상 증상을 나타낼 수 있다. 예들 들면, 제1그래프(310)는 말벌이나 야생벌들에 침입에 의해 사운드의 주파수가 순간적으로 증가하는 이상 증상을 나타낼 수 있다. The first graph 310 may temporarily show abnormal symptoms compared to before or after. For example, the first graph 310 may indicate an abnormal symptom in which the frequency of a sound instantaneously increases due to an invasion of wasps or wild bees.

제2그래프(320)는 직전에 비하여 급격하게 감소하는 이상 증상을 나타낼 수 있다. 예들 들면, 제2그래프(320)는 분봉에 의해 개체수가 급격하게 감소하는 이상 증상을 나타낼 수 있다. The second graph 320 may indicate abnormal symptoms that rapidly decrease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For example, the second graph 320 may indicate an abnormal symptom in which the population rapidly decreases due to swarming.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의 출입 카메라의 설치 예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의 출입 카메라의 획득된 사진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example of an access camera of a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ccess camera of a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acquired picture of

도 5를 참조하면, 출입 카메라(130)는 출입구(103)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출입 카메라(130)는 지지대(132)에 의해 케이스(10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출입 카메라(130)에 대향하여 차단판(104)은 출입구(103)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판(104)은 출입 카메라(130)의 촬영 범위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는 판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access camera 130 may be provided above the entrance 103 . Here, the access camera 130 may be coupled to the case 101 by the support 132 . At this time, the blocking plate 104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entrance 103 to face the entrance camera 130 . The blocking plate 104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n area corresponding to a photographing range of the entrance/exit camera 130 .

이때, 출입 카메라(130)는 출입구(103)의 전방측에서 차단판(104)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차단판(104)의 케이스(101) 측은 출입구(103)에 근접한 위치로서 벌들이 출입구(103)로 들어가는 것(In)으로 이해될 수 있다. 아울러, 차단판(104)의 케이스(101)의 반대측은 출입구(103)로부터 먼 위치로서 벌들이 출입구(103)로부터 나가는 것(Out)으로 이해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ccess camera 130 may capture an image of the blocking plate 104 at the front side of the entrance 103 . Here, the case 101 side of the blocking plate 104 may be understood as a position close to the entrance 103 and that the bees enter the entrance 103 (In). In addition, the opposite side of the case 101 of the blocking plate 104 is a position far from the entrance 103 and can be understood as an out of the entrance 103.

도 6을 참조하면, 출입 카메라(130)에 의해 촬영된 사진에서 적색 선은 출입구(103) 측으로서 In으로 표시되고, 연두색 선은 출입구(103)의 반대측으로서 Out 으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적색 선 및 연두색 선은 출입구(103)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로서, 소비로 들어가고(In) 나가는(Out) 개체수를 판단하는 기준선일 수 있다. 즉, 소비로 들어가는 개체수는 적색 선 부근의 개체수이고, 소비로부터 나가는 개체수는 연두색 선 부근의 개체수로 연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in a picture taken by the access camera 130, a red line may be displayed as In as the entrance 103 side, and a light green line may be displayed as Out as the opposite side of the entrance 103. Here, the red line and the light green line are predetermined distances from the entrance 103 and may be reference lines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individuals entering (In) and going out (Out) for consumption. That is, the number of individuals entering consumption is the number of individuals near the red line, and the number of individuals exiting consumption may be calculated as the number of individuals near the light green line.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의 이상징후를 나타낸 관리자 단말의 그래프이다. 7 is a graph of a manager terminal showing abnormal symptoms of a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의 (a)에서, 관리자 단말(300)은 직전에 비하여 임의의 시점에서 급격하게 감소하는 이상 증상을 나타낼 수 있는 그래프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임의의 시점에서 급격히 감소하는 이상 증상은 분봉에 의해 개체수가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우에 나타날 수 있다. 이때, 관리 서버(200)는 해당 시점에서 발생하는 이상 증상과 그에 대한 조치를 관리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In (a) of FIG. 7 , the manager terminal 300 may provide a graph capable of representing rapidly decreasing abnormal symptoms at an arbitrary point in time compared to the previous time. For example, an abnormal symptom that rapidly decreases at any point in time may appear when the population rapidly decreases due to swarming. In this case,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provide the manager terminal 300 with abnormal symptoms occurring at that time and measures for them.

도 7의 (b)에서, 관리자 단말(300)은 임의의 시점에서 이전 또는 이후에 비하여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이상 증상을 나타낼 수 있다. 일례로, 임의의 시점에서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이상 증상은 말벌이나 야생벌들에 침입에 의해 사운드의 주파수가 순간적으로 증가하는 경우에 나타날 수 있다. 이때, 관리 서버(200)는 해당 시점에서 발생하는 이상 증상과 그에 대한 조치를 관리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In (b) of FIG. 7 , the administrator terminal 300 may exhibit abnormal symptoms that temporarily increase compared to before or after at any point in time. For example, an abnormal symptom that temporarily increases at a certain point in time may appear when the frequency of a sound instantaneously increases due to an infestation of wasps or wild bees. At this time, the management server 200 may provide the manager terminal 300 with abnormal symptoms occurring at that time and measures for them.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ele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However, it will be possible to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by means of changes, deletions, additions, etc., but this will also be sai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
100 : 스마트 벌통 101 : 케이스
102 : 안테나 103 : 출입구
104 : 차단판 110 : 센서부
112 : 온도 센서 114 : 습도 센서
116 : 무게 센서 118 : CO2 센서
119 : 사운드 센서 120 : 열상 카메라
130 : 출입 카메라 140 : 온도 조절부
150 : 통신부 160 : 저장부
170 : 출입문 구동부 171 : 출입문
180 : 제어부 200 : 관리 서버
210 : 통신부 220 : 제어부
221 : 출입 계수부 222 : 상태 모니터링부
223 : 군집상태 분석부 224 : 이상징후 판단부
225 : 알람부 226 : 화분 분석부
227 : 개화시기 예측부 230 : 데이터베이스
300 : 관리자 단말 310 : 제1그래프
320 : 제2그래프
10: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100: smart hive 101: case
102: antenna 103: entrance
104: blocking plate 110: sensor unit
112: temperature sensor 114: humidity sensor
116: weight sensor 118: CO2 sensor
119: sound sensor 120: thermal camera
130: entrance camera 140: temperature controller
150: communication unit 160: storage unit
170: door drive unit 171: door
180: control unit 200: management server
210: communication unit 220: control unit
221: access counting unit 222: condition monitoring unit
223: cluster state analysis unit 224: anomaly symptom determination unit
225: alarm unit 226: pollen analysis unit
227: flowering time prediction unit 230: database
300: manager terminal 310: first graph
320: second graph

Claims (8)

소비, 상기 소비 내부를 감지하는 센서부, 소비 내부를 촬영하는 열상 카메라, 상기 소비의 출입구를 촬영하는 출입 카메라, 및 통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벌통; 및
상기 스마트 벌통으로부터 전송된 빅데이터를 AI 분석을 통하여 벌의 활동 및 양봉 관련 환경을 분석 및 예측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분석 및 예측된 결과를 이미지로 시각화하여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
A smart beehive including a consumer, a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inside of the consumer, a thermal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consumer, an entrance and exit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consumer, and a communication unit; and
A management server that analyzes and predicts the bee's activity and beekeeping-related environment through AI analysis of the big data transmitted from the smart beehive;
The management server is a big data analysis-based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that visualizes the analyzed and predicted results as images and transmits them to the manag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출입 카메라의 영상을 인식하여 출입 개체수를 연산하여 상기 소비에 대한 출입 개체수를 계수하는 출입 계수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획득된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스마트 벌통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벌의 활동량, 날씨, 상기 스마트 벌통의 환경 적정성, 내부의 개체수 및 채밀 여부를 판단하는 상태 모니터링부;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소비 내의 사운드에서 여왕벌에 대응하는 주파수의 여부에 따라 상기 소비 내의 여왕벌의 유무를 판단하여 분봉 가능성을 판단하는 군집상태 분석부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anagement server,
an access counting unit recognizing the image of the access camera to calculate the number of access objects and counting the number of access objects for the consumption;
a state monitoring unit that monitors the state of the smart beehive according to the state information obtained by the sensor unit to determine the amount of bee activity, weather, environmental adequacy of the smart beehive, the number of populations inside the hive, and whether or not it is harvested; and
A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including a colony state analyzer for determining the possibility of swarming by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queen bee in the consumption according to whether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queen bee is present in the sound in the consumption detected by the sensor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소비 내의 사운드에서 말벌 또는 야생벌에 대응하는 주파수의 여부에 따라 상기 소비로의 이종 벌의 외부 침입을 판단하고, 상기 센서부의 데이터의 변화율이 일정값 이상인 경우 이상상태를 판단하는 이상징후 판단부; 및
상기 이상징후가 판단됨에 따라 상기 관리자 단말로 해당 이상징후 및 그에 따른 조치사항을 알람하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anagement server,
An external intrusion of a heterogeneous bee into the consumption is judged according to whether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a wasp or a wild bee in the sound in the consumption sensed by the sensor unit is detected, and an abnormal state is determined when the change rate of the data of the sensor uni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bnormal symptom determination unit to determine; and
A big data analysis-based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an alarm unit for notifying the manager terminal of the abnormal symptom and corresponding ac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abnormal sympto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소비로 들어가는 벌의 화분 색깔에 따라 화분의 종류를 분석하는 화분 분석부; 및
상기 분석된 화분의 종류에 따라 해당 꽃에 대한 개화 시기를 예측하는 개화시기 예측부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anagement server,
a pollen analyzer for analyzing the type of pollen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pollen of the bee entering the consumption; and
Big data analysis-based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flowering time predictor for predicting the flowering time of the flower according to the analyzed pollen ty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소비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상기 소비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
상기 소비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센서;
상기 소비 내부의 CO2 농도를 감지하는 CO2 센서; 및
상기 소비 내부의 사운드를 감지하는 사운드 센서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unit,
a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a temperature inside the consumer;
a humidity sensor for sensing humidity inside the consumer;
a weight sensor for detecting the weight of the consumption;
a CO2 sensor for sensing the CO2 concentration inside the consumption; and
Big data analysis-based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sound sensor for detecting the sound inside the consump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카메라는 상기 출입구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출입구의 타측에는 차단판이 구비되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access camera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entrance,
Big data analysis-based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provided with a blocking plate on the other side of the entr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벌통은 상기 소비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mart beehive is a big data analysis-based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further comprising a temperature controller for adjust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nsump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은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이고,
양봉 관리 전용앱에 의해 상기 관리 서버에서 분석 및 예측된 결과를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 스마트 양봉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anager terminal is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smartphone,
A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that displays the results analyzed and predicted in the management server by the beekeeping management dedicated app as an image.
KR1020210109903A 2021-08-20 2021-08-20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KR2023002775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903A KR20230027759A (en) 2021-08-20 2021-08-20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903A KR20230027759A (en) 2021-08-20 2021-08-20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759A true KR20230027759A (en) 2023-02-28

Family

ID=85326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903A KR20230027759A (en) 2021-08-20 2021-08-20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7759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475A (en) 2018-11-29 2020-06-08 배문섭 Auto cooling and heating IOT beehive system for smart far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4475A (en) 2018-11-29 2020-06-08 배문섭 Auto cooling and heating IOT beehive system for smart far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23344B2 (en) Agricultural monitoring system using image analysis
US11160263B2 (en) Detecting the presence of pests using networked systems
KR101736288B1 (en) System having a beehiv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and a management method thereof
US8152590B2 (en) Acoustic sensor for beehive monitoring
US20200267945A1 (en) Communication and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beehives
US1184970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beehive strength
CN108594678A (en) A kind of bee colony monitoring system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
TW201600008A (en) Honeybee behavior monitoring device and honeybee behavior monitoring system
US20210165089A1 (en) Doppler radar based bee hive activity monitoring system
JP2018077760A (en)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method, and monitoring program
Bourouis et al. IoT for smart apiculture: issues and solutions
KR20210010750A (en) Smart beehive
KR20230027759A (en) Smart beekeep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big data analysis
KR10226579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aring of bumblebee, insect pollinator using ICT
Tashakkori et al. Analyses of audio and video recordings for detecting a honey bee hive robbery
RU2783299C1 (en)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AGRICULTURAL CROP POLLINATION NEAR BEEHIVES APPLY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AND SYSTEM FOR IMPLEMENTATION THEREOF
CN111815202A (en) Prediction method and system for honey production
KR20200057561A (en) Predictive analysis system for beekeeping and method thereof
KR20230027758A (en) Smart beehive
AU2020210159A1 (en) Honey Beehive Swarm Prediction, Real time Swarm Detection and Hive Monitoring System
Anaghaa et al. Application of wireless sensor networks for advancements in non intrusive precision beekeeping
KR2023008355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ctivity of be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