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7513A -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 - Google Patents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7513A
KR20230027513A KR1020210109388A KR20210109388A KR20230027513A KR 20230027513 A KR20230027513 A KR 20230027513A KR 1020210109388 A KR1020210109388 A KR 1020210109388A KR 20210109388 A KR20210109388 A KR 20210109388A KR 20230027513 A KR20230027513 A KR 20230027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pressure
patient
module
main body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경신
Original Assignee
케어투케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어투케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어투케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9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7513A/ko
Publication of KR20230027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75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2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with artificial climate; with means to maintain a desired pressure, e.g. for germ-free rooms
    • A61G10/023Room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at over- or under-pressure or at a variable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05Isolators, i.e. enclosures generally comprising flexible walls for maintaining a germ-free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2/00Accommodation for nursing, e.g. in hospitals, not covered by groups A61G1/00 - A61G11/00, e.g. trolleys for transport of medicaments or food; Prescription lists
    • A61G12/002Supply appliances, e.g. columns for gas, fluid, electricity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10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 A61M16/1005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with O2 features or with parameter measurement
    • A61M16/101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with O2 features or with parameter measurement using an oxygen concentr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10/00Devices for specific treatment or diagnosis
    • A61G2210/30Devices for specific treatment or diagnosis for intensive ca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는, 일측에 형성된 주입공을 통해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팽창되어 설치되며, 팽창된 상태에서 외부와 격리되어 환자가 수용되도록 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산소가 공급되도록 함과 동시에 음압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기압조절부 및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환자가 누웠을 때, 환자의 머리가 놓여지는 위치에 인접한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의료진이 환자의 진료를 위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직접 들어가지 않고 의료진의 손이 상기 내부공간으로 진입되도록 하여 환자의 비대면 진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진료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공기를 주입하기 전 접혀진 상태로 보관부재에 수납되어 사용하지 않는 상기 본체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으며, 공기를 주입하여 설치했을 경우,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환자가 눕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환자가 누웠을 때 환자의 발이 위치하는 부분에서 환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부분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환자가 상기 내부공간에서 답답함을 느끼지 않고, 앉아있거나 활동을 함에 있어서 불편함이 없도록 한다.

Description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NEGATIVE PRESSURE TENT WITH HIGH SPACE UTILIZATION}
본 발명은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를 주입하는 방식으로 텐트를 설치함으로써, 설치 시간을 대폭 절감하여 전염병 환자의 신속한 격리가 가능하며, 격리 병상이 부족한 상황에서도 효과적인 공간의 확보로 인해 환자에 대한 1인 격리가 이루어져 환자의 효율적인 케어가 가능한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압병실이란 전염병 확산 방지 등의 이유로 환자를 외부 및 일반 환자들과 분리하여 수용하고 치료함에 있어서, 병실 내의 기압을 대기압 보다 낮게 유지함으로써 병실 내의 공기 또는 에어로졸(aerosol)이나 비말 중에 포함된 병원체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음압병실은 결핵, 홍역, 수두, 메르스, 사스, 인플루엔자, 동물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 신종감염병 증후군, 생물테러감염, 코로나19 등과 같은 공기를 매개로 한 접촉전염병 환자를 격리하여 병원균의 확산 감염을 차단할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음압병실은 통상적으로 복도로부터 전실, 병실, 화장실의 순서로 음압 절대치가 커질 수 있도록 순서대로 배치되며, 병실의 도어로부터 멀리 이격하게 위치하는 베드 머리맡에 인접한 영역에 배기부가 위치하고 상기한 도어에 인접한 영역에 급기부가 위치하며, 상기한 전실에는 기압 확인을 위한 차압계가 설치된다.
뿐만 아니라 배기부가 연통된 FFU(fan Filter Unit)는 병실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으나 유지 보수 측면에서 병실 외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집진 및 흡착에 의한 제균과 아울러, 살균 소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음압병실은 병원 등의 실내 공간에 고정되도록 구축됨으로 그 설치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어 신종 감염병의 확산 시 그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곤란하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으며, 신종 감염병 환자는 1인 1실 사용을 원칙으로 하여야 함에도 비용 상의 문제로 2~6인실로 운용하는 경우가 많아 의료진의 관리상 문제점이 있을 경우 추가 확산 감염의 위험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 들어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코로나19와 같이 동시에 수백, 수천명의 환자가 발생할 경우, 설치된 음압병실의 수가 부족하여 환자를 즉시 격리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감염병증에 확진된 감염환자 뿐만 아니라 감염병 증상이 발현되어 검사 중인 격리 환자를 이동시키거나 격리시킬 때도 감염환자를 트레일러 또는 구급차를 이용해 이동시키므로 그 과정에서 추가 감염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6536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전염병 감염자나 의심자 등과 같은 환자가 발생함에 따라 진료가 요구되는 경우, 공기를 주입하여 설치되도록 하는 텐트의 구조를 통해 빠르게 음압공간을 형성하여 환자의 신속한 격리가 가능하며, 실내외 어디에서든 설치가 가능하고, 효율적인 공간 활용으로 인해 기존의 음압병실 및 격리 병상이 부족한 상황에서도 환자에 대한 1인 격리가 이루어져 환자의 효율적인 케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또한, 저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하며, 환자를 내부에 격리한 상태 그대로 다른 곳으로 안전하게 이송이 가능하여 추가 감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압축하여 접은 상태로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여 여분의 물량을 보관함에 있어서 공간의 제약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휴대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는, 일측에 형성된 주입공을 통해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팽창되어 설치되며, 팽창된 상태에서 외부와 격리되어 환자가 수용되도록 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산소가 공급되도록 함과 동시에 음압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기압조절부 및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환자가 누웠을 때, 환자의 머리가 놓여지는 위치에 인접한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의료진이 환자의 진료를 위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직접 들어가지 않고 의료진의 손이 상기 내부공간으로 진입되도록 하여 환자의 비대면 진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진료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공기를 주입하기 전 접혀진 상태로 보관부재에 수납되어 사용하지 않는 상기 본체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으며, 공기를 주입하여 설치했을 경우,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환자가 눕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환자가 누웠을 때 환자의 발이 위치하는 부분에서 환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부분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환자가 상기 내부공간에서 답답함을 느끼지 않고, 앉아있거나 활동을 함에 있어서 불편함이 없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본체는 상기 주입공과 연계되며, 에어펌프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가 내부에 충진됨에 따라 팽창하여 상기 본체의 골격이 형성되도록 하는 골격모듈과, 상기 골격모듈의 외부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골격모듈이 팽창됨에 따라 환자가 외부와 격리되어 수용되도록 하는 상기 내부공간의 벽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벽면모듈 및 상기 벽면모듈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가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환자의 출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일측이 상기 도어모듈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되며, 연장된 일측 면이 상기 벽면모듈의 외측면에 면대면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밀폐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골격모듈은 상기 벽면모듈의 모든 테두리가 지지되도록 구비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높이 차이가 나도록 형성되는 상기 내부공간 중 높은 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벽면모듈이 하중에 의해 내려앉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벽면모듈은 상기 기압조절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압조절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배출공을 통해 일정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팬모듈과, 상기 몸체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일측이 상기 결합공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가 상기 벽면모듈에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모듈과,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및 바이러스가 필터링 되도록 하는 필터모듈 및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팬모듈 및 필터모듈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팬모듈의 구동에 의해 상기 몸체의 외부 공기가 상기 몸체의 내부로 원활하게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구를 갖는 커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압조절부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위치 및 방향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환자가 누웠을 때, 환자의 발이 놓이는 위치의 상기 벽면모듈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내부공간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에 상기 흡입구가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음압텐트 외부의 공기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양압부 및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환자가 누웠을 때, 환자의 머리가 놓이는 위치의 상부에 해당하는 상기 벽면모듈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내부공간을 기준으로 내측 방향에 상기 흡입구가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가 필터링을 거쳐 상기 음압텐트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음압부로 구분되며, 상기 양압부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보다 상기 음압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 많게 하여 상기 내부공간이 음압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환자에게서 발생되는 바이러스와 같은 병원균이 상기 음압부를 통해서만 필터링되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체결모듈과 상기 벽면모듈의 사이 공간으로 공기의 누출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공의 둘레를 따라 상기 체결모듈이 완전히 덮이도록 상기 벽면모듈과 면대면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제2밀폐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압조절부는 상기 팬모듈의 원격 구동이 가능하도록 리모컨 또는 관리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계 가능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료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누워있는 환자의 머리를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한 상기 벽면모듈에 각각 형성되며, 외부에서 내부의 관찰이 가능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스크린모듈과, 상기 스크린모듈에 형성되며,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캡이 구비되고, 상기 음압텐트의 외부에 위치한 의료진의 두 손이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으로 진입되도록 하여 환자의 진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한 쌍의 진입공 및 상기 스크린모듈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한 쌍의 상기 진입공에 선택적인 연결이 가능하여, 환자와 의료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함과 동시에 진료 간에 상기 진입공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글러브포트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음압텐트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 가능하여 응급상황 발생 시 환자에게 신속한 산소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산소호흡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산소호흡기는 상기 본체의 외부에 구비 가능한 산소통과 호스 연결되며,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개폐 가능하여 유사시 상기 산소호흡기와 상기 산소통이 연결되도록 하는 호스가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음압텐트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기압을 표기하여 음압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가능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관리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계 가능하여 상기 내부공간의 기압 상태가 기 설정된 값을 벗어날 경우 알림이 울리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압텐트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압텐트는 상시 전원과 유선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음압텐트에 구비 가능한 전자부품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 받으며, 상기 음압텐트가 상시 전원의 공급이 어려운 환경에 설치되거나, 상시 전원의 공급이 갑자기 끊어질 경우, 전력의 공급이 지속적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보조전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전력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 가능하며, 비상 전력이 포집된 보조배터리 또는 태양광 발전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는 상기 음압텐트 상에 구비 가능한 전자부품에 연결된 각종 전선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정리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전선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압텐트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연기 또는 일산화탄소를 감지하여 관리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 감지 정보를 전송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압텐트는 상기 본체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내부공간에 환자가 수용 격리된 상태에서 환자의 이송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복수의 바퀴를 갖는 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압축하여 접은 상태로 보관이 가능하여 보관에 필요한 공간의 확보가 용이하며,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공기를 주입하여 설치함으로써, 빠르게 설치가 가능하여 감염 환자에 대한 신속한 격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설치되는 공간의 제약을 최소화 하여 기존의 음압병실 및 격리 병상이 부족한 상황에서도 감염 환자에 대한 1인 격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환자의 효율적인 케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넷째, 이에 따라 감염병의 실내 전파 우려를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감염 환자가 격리된 상태에서 음압텐트 전체의 이동이 가능하여 감염 환자의 이송에 따른 추가 감염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기존의 음압병실 증축에 비해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하며, 간편하게 필요한 만큼 추가 설치가 가능하여 격리 시설의 확충 및 보강에 따른 비용의 부담을 대폭 줄여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의 전체 구조 및 음압공간을 형성하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에 있어서, 보관 및 설치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에 있어서, 도어모듈 및 내부공간을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에 있어서, 진료부를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에 있어서, 본체의 내부공간에 전자부품들이 구비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에 있어서, 전선커버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에 있어서, 기압조절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에 있어서, 받침부를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공기를 주입하는 방식으로 텐트를 설치함으로써, 설치 시간을 대폭 절감하여 전염병 환자의 신속한 격리가 가능하며, 격리 병상이 부족한 상황에서도 효과적인 공간의 확보로 인해 환자에 대한 1인 격리가 이루어져 환자의 효율적인 케어가 가능한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형성되는 주입공(110)을 통해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팽창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팽창된 상태에서 감염병에 감염되거나 의심이 되는 환자가 외부와 단독으로 격리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내부공간(120)이 형성될 수 있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0)에 형성되는 상기 내부공간(120)에 산소가 공급되도록 함과 동시에 음압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기압조절부(200) 및 상기 내부공간(120)에 수용된 환자가 누웠을 때를 기준으로 환자의 머리가 놓여지는 위치에 인접한 상기 본체(100)의 측면에 형성 가능하여 환자를 진료하고자 하는 의료진이 상기 내부공간(120)으로 직접 들어가지 않아도 의료진의 두 손만이 상기 내부공간(120)으로 진입 가능하도록 하여 환자와의 비대면 진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진료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100)는 공기를 주입하기 전에는 압축되어 접혀진 상태로 가방이나 케이스 등과 같은 보관부재(B)에 수납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상기 음압텐트를 사용하지 않을 시 상기 본체(100)를 보관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을 최소한으로 함으로써, 병원 등과 같은 의료 시설에서 코로나19 사태와 같이 갑자기 급증할 수 있는 전염병 환자의 수에 대비하여 충분한 물량을 공간의 부담을 최소화 하여 비축해 둘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켜 설치했을 경우, 상기 내부공간(120)에 수용되는 환자가 눕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환자가 누웠을 때 환자의 발이 위치하는 부분에서 환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부분으로 갈수록 상기 내부공간(120)의 높이가 높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내부공간(120)에 수용된 환자가 느낄 수 있는 답답함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환자가 상기 내부공간(120)에서 앉아 있거나 간단한 활동을 함에 있어서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술한 바와 같은 형상, 다시 말해 설치된 상기 본체(100)가 입체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반적으로 누워서 생활하는 환자가 누웠을 때 보이는 시야를 넓게 하여 환자가 답답함을 느끼거나 혹시 모를 폐소공포증(Claustrophobia)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증세가 약한 환자의 경우 앉아서 쉬거나 일어서서 간단한 활동을 할 수 있을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여 환자의 건강이 치유되는 과정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설치된 상기 본체(100)가 환자가 누웠을 때를 기준으로 환자의 발이 위치하는 공간보다 머리가 위치하는 공간의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은, 상기 내부공간(120)이 음압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상기 기압조절부(200)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120)에 환자에게 필요한 신선한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100)가 정육면체 혹은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졌다고 가정할 경우, 본체(100)의 내부공간(120)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의 면적 대비 넓은 면적을 통해 동일하게 넓은 면적의 공간으로 흐르게 되어 일측을 통해 외부로 다시 배출되게 되는데, 이때,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의 면적과 공기가 흐르게 되는 면적의 차이로 인해 공기의 흐름이 사방으로 퍼지게 되어 외부로 배출되어야 하는 공기의 흐름이 약해지거나 환자가 흡수하게 되는 공기의 신선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상술한 바와 같이, 환자의 발이 위치하는 공간에서 머리가 위치하는 공간으로 갈수록 높아지는(여기서는 공기 면적의 증가를 의미한다.) 형상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대적으로 공간의 면적이 좁은 위치(환자의 발이 놓이는 위치)에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급하게 되고, 그 공기가 흘러 넓은 공간의 면적(환자의 머리가 놓이는 위치)에서 다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의 면적과 공기가 흐르게 되는 면적의 차이를 줄여주어 공기의 흐름이 약해지지 않고 환자의 머리 방향으로 신선한 공기가 꾸준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단순히 생각하면 그냥 입김을 불 때와 깔떼기와 같은 형상을 통하거나 손을 모아 통로를 만들어 입김을 불 때, 입김을 통한 바람 흐름의 집중도를 참고하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100)는 상기 주입공(110)와 연계 가능하며, 에어펌프(P)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가 내부에 충진됨에 따라 팽창하여 상기 본체(100)의 골격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골격모듈(130)과, 상기 골격모듈(130)의 외부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골격모듈(130)이 팽창됨에 따라 환자가 외부와 격리되어 수용되도록 하는 상기 내부공간(120)의 벽면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벽면모듈(140) 및 상기 벽면모듈(140)의 일측에 형성 가능하고, 상기 본체(100)가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환자의 출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어모듈(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어펌프(P)는 브로와 등을 이용한 전동식 또는 패달 등을 이용한 수동식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상기 골격모듈(130)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상기 에어펌프(P)가 결합되는 상기 주입공(110)에는 주입된 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한 밀폐커버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일측이 상기 도어모듈(150)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연장된 일측 면이 상기 벽면모듈(140)의 외측면에 면대면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됨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내부공간(120)으로 환자가 들어간 이후 폐쇄되는 상기 도어모듈(150)과 상기 벽면모듈(140)의 틈으로 공기가 누출되지 않고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1밀폐모듈(16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제1밀폐모듈(160)은 벨크로를 이용하여 상기 벽면모듈(140)의 일측면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본체(100)에서 밀폐가 취약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이중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골격모듈(130)은 상기 벽면모듈(140)의 모든 테두리가 지지될 수 있도록 상호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가 눕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높이 차이가 나도록 형성되는 상기 내부공간(120) 중 높은 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벽면모듈(140)이 하중에 의해 내려앉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골격모듈(130)은 상기 본체(100)의 내부공간(120)의 모서리 부분뿐만 아니라 상기 내부공간(120)에서 높이 차이가 발생되는 부분의 상면 및 양측면에도 연결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본체(100)가 상술한 바와 같이 입체 사다리꼴 형상이 굳건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내부공간(120)에는 환자가 편안하게 누울 수 있는 베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베드 역시 공기를 주입하는 방식의 에어베드로 구비되어 환자가 격리되어 생활하게 될 공간이 쉽고 간편하게 마련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100)를 이루는 상기 골격모듈(130) 및 상기 벽면모듈(140), 그리고 상기 도어모듈(150)은 내구성이 강한 PVC 재질로 이루어져, 환자의 격리 공간이 부족한 병원이나 의료시설 등의 내부는 물론, 외부에도 쉽고 안전하게 설치가 가능하다.
이때, 상기 벽면모듈(140)의 일측에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공간(120)이 음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신선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기압조절부(200)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공(14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압조절부(200)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공간(120)을 음압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며, 신선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기압조절부(200)의 조합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벽면모듈(140)에 형성 가능한 상기 결합공(141) 역시 상기 기압조절부(200)에 대응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압조절부(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211)을 갖는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210)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배출공(211)을 통해 일정한 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팬모듈(220)과, 상기 몸체(210)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몸체(210)의 일측이 상기 결합공(141)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210)가 상기 벽면모듈(140)에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모듈(230)과, 상기 몸체(210)의 내부에 구비 가능하여 상기 몸체(210)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및 바이러스와 병원균 등이 필터링 될 수 있도록 하는 필터모듈(240) 및 상기 몸체(210)의 일측면에 결합 가능하여 상기 몸체(2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팬모듈(220) 및 필터모듈(24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팬모듈(2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몸체(210)의 외부 공기가 상기 몸체(210)의 내부로 원활하게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흡입구(251)를 갖는 커버모듈(2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모듈(240)은 미세망으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210)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미세망 필터 및 알러지 유발 요소를 억제하고 미세 먼지와 5대 유해가스(포름알데히드, 톨루엔, 암모니아, 아세트알데이드, 초산)를 제거할 수 있으며, 바이러스 및 병원균 등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항알러지 헤파필터(항알러지+HEPA+VOCS)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내부공간(120)으로 신선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환자의 호흡기를 통해 배출되는 유해 균들이 상기 본체(100)의 내부공간(120)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상기 기압조절부(200)는 상기 본체(100)에서 구비되는 위치 및 방향에 따라, 그 역할을 달리할 수 있는 양압부(200a) 및 음압부(200b)로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양압부(200a)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공간(120)에 격리 수용되는 환자가 누웠을 때, 환자의 발이 놓이는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벽면모듈(14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120)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 다시 말해, 상기 본체(100)의 외측에 상기 흡입구(251)가 위치되고, 상기 본체(100)의 내측으로 상기 배출공(211)이 위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음압텐트 외부의 공기가 상기 팬모듈(220)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12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압부(200b)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공간(120)에 격리 수용되는 환자가 누웠을 때, 환자의 머리가 놓이는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벽면모듈(14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120)을 기준으로 내측 방향, 다시 말해,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상기 흡입구(251)가 위치되고, 상기 본체(100)의 외측에 상기 배출공(211)이 위치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100)의 내부공간(120)의 공기가 상기 필터모듈(240)의 필터링을 거쳐 상기 음압텐트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양압부(200a)를 통해 외부에서 상기 본체(100)의 내부공간(120)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보다 상기 음압부(200b)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120)에서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 많도록 하여 상기 내부공간(120)이 음압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에게서 발생되는 바이러스와 같은 병원균이 상기 음압부(200b)를 통해서만 필터링되어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120)의 공기 흐름을 환자가 누웠을 때, 발에서 머리 방향으로 흐르도록 함으로써, 호흡기 계통에서 발생되는 유해한 균이 포함된 공기가 필터링을 거쳐 최단거리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상기 결합공(141)에 관통되어 상기 체결모듈(230)과 상기 벽면모듈(140)이 체결되도록 결합되는 상기 기압조절부(200)에 있어서, 상기 체결모듈(230)과 상기 벽면모듈(140)의 사이 공간으로 상기 내부공간(120)의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공(141)의 둘레를 따라 상기 벽면모듈(140)과 체결되는 상기 체결모듈(230)이 완전히 덮일 수 있도록 상기 벽면모듈(140)과 면대면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는 제2밀폐모듈(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밀폐모듈(170)에 의해 상기 기압조절부(200)가 결합되는 상기 본체(100)의 상기 결합공(141) 둘레에는 혹여나 생길 수 있는 틈이 완전히 밀폐될 수 있도록 2중으로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기압조절부(200)는 상기 몸체(210)의 외부에서 공기를 흡수하여 상기 배출공(211)을 통해 일정한 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팬모듈(220)이 원격으로 제어되어 구동될 수 있도록 리모컨이나 관리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계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모듈(26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100)의 내부공간(120)에 격리 수용된 환자의 비대면 진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상기 진료부(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공간(120)에 격리 수용되어 누워있는 환자의 머리를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벽면모듈(140)에 각각 형성 가능하며, 외부에서 내부의 모습이 관찰 가능하도록 하여 의료진이 실시간으로 환자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스크린모듈(310)과, 상기 스크린모듈(31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캡(321)이 구비되고, 상기 음압텐트의 외부에 위치하는 의료진의 두 손이 상기 본체(100)의 내부공간(120)으로 진입되도록 하여 환자의 진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한 쌍의 진입공(320) 및 상기 벽면모듈(140)의 양측에 형성 가능한 상기 스크린모듈(31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한 쌍의 상기 진입공(320)에 선택적으로 연결이 가능하여, 환자와 의료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함과 동시에 환자의 진료 간에 상기 진입공(320)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120)의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글러브포트모듈(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호 인접되어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상기 음압텐트의 방향 및 위치에 따라 상기 본체(100)의 내부공간(120)에 격리 수용된 환자를 진료하기 위한 방향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유동적으로 대응하여 진료의 어려움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글러브포트모듈(330)은 한 쌍의 상기 스크린모듈(31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글러브포트모듈(330)이 연결되지 않은 상기 스크린모듈(310)에 형성된 상기 진입공(320)은 상기 캡(321)에 의해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음압텐트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 즉, 상기 내부공간(120) 상에 구비가 가능하여 응급상황 발생 시 상기 내부공간(120)에 수용 격리된 환자에게 신속한 산소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산소호흡기(40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산소호흡기(400)는 상기 본체(100)의 외부에 구비 가능한 산소통(410)과 호스(43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는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하여 유사시에 상기 산소호흡기(400)와 상기 산소통(410)이 연결되도록 하는 호스가 결합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재(42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420) 역시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폐쇄되어 있거나, 혹은 공기의 흐름 방향을 한 방향으로 한정할 수 있는 역류방지기가 구비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상기 음압텐트에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120)의 기압을 표기하여 줌으로써, 상기 내부공간(120)의 음압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모듈(500)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500)은 관리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계 가능하여 의료진 또는 관리자가 실시간으로 상기 음압텐트의 음압상태를 체크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120)의 기압 상태가 기 설정된 값을 벗어날 경우 상기 관리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에 경고 알림이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응급상황이 발생되더라도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압텐트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 즉, 상기 내부공간(120) 상에 LED 등으로 이루어진 조명부(600)가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두운 상황이나 밤에도 상기 내부공간(120)에 격리 수용된 환자의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체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환자 역시 어두운 곳에서도 보다 편하게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 조명부(600)는 환자의 눈으로 빛이 직접적으로 조사되기 보다는 상기 내부공간(120)의 천장에 해당하는 상기 벽면모듈(140) 측으로 빛이 조사되도록 하여 반사되는 빛에 의한 간접 조명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음압텐트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내부공간(120)의 천장 부분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120)의 연기 또는 일산화탄소를 감지하여 관리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 감지 정보가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센서부(80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센서부(800)는 상기 내부공간(120)에 예기치 못한 문제가 발생되거나 산소의 공급에 문제가 생겨 환자에게 위급상황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내부공간(120)에 격리 수용된 환자의 진료 및 편의를 위해 여러가지 전자부품이 구비 될 수 있는 상기 음압텐트는 상기 음압텐트가 설치된 위치의 상시 전원과 유선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자부품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나, 상기 음압텐트가 상시 전원의 공급이 어려운 환경에 설치되거나 혹은 상시 전원의 공급이 갑자기 끊어질 경우에는 전력의 공급이 지속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보조전력부(7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보조전력부(700)는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 가능하며, 비상 전력이 포집된 보조배터리 또는 태양광 발전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공간(120)에 격리 수용된 환자의 진료 및 편의를 위해 상기 본체(100)에 구비될 수 있는 각종 전자부품에 대한 예시로는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기본적으로 모두 벨크로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해체 시 파손되지 않고 유지 관리가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각종 전자부품에 연결되는 각종 전선들은 상기 음압텐트 상에서 정리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환자의 움직임에 의해 걸려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전선커버(18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전선커버(18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일정한 라인 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접힌 상태로 벨크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형상으로 하여 접힌 그 사이 공간으로 상기 전선들이 정리되어 일정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내부공간(120)에 격리 수용된 환자의 움직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압텐트는 상기 본체(100)의 하단에 구비 가능하여 상기 본체(100)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100)에 환자가 격리 수용된 상태에서 환자의 이송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바퀴를 갖는 받침부(900)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부(900)에 의해 상기 본체(100) 전체가 원하는 장소로 이동이 가능함으로써, 환자의 이송 간에 전염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받침부(9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하단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힌지 등에 의해 반으로 접히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사용하지 않을 시 접은 상태에서 쌓아 올리거나, 세워서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관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 된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 본체 110 : 주입공
120 : 내부공간 130 : 골격모듈
140 : 벽면모듈 141 : 결합공
150 : 도어모듈 160 : 제1밀폐모듈
170 : 제2밀폐모듈 180 : 전선커버
200 : 기압조절부 200a : 양압부
200b : 음압부 210 : 몸체
211 : 배출공 220 : 팬모듈
230 : 체결모듈 240 : 필터모듈
250 : 커버모듈 251 : 흡입구
260 : 통신모듈 300 : 진료부
310 : 스크린모듈 320 : 진입공
321 : 캡 330 : 글러브포트모듈
400 : 산소호흡기 410 : 산소통
420 : 연결부재 430 : 호스
500 : 디스플레이모듈 600 : 조명부
700 : 보조전력부 800 : 센서부
900 : 받침부
B : 보관부재 P : 에어펌프

Claims (17)

  1. 일측에 형성된 주입공을 통해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팽창되어 설치되며, 팽창된 상태에서 외부와 격리되어 환자가 수용되도록 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산소가 공급되도록 함과 동시에 음압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기압조절부; 및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환자가 누웠을 때, 환자의 머리가 놓여지는 위치에 인접한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의료진이 환자의 진료를 위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직접 들어가지 않고 의료진의 손이 상기 내부공간으로 진입되도록 하여 환자의 비대면 진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진료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공기를 주입하기 전 접혀진 상태로 보관부재에 수납되어 사용하지 않는 상기 본체를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으며, 공기를 주입하여 설치했을 경우,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환자가 눕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환자가 누웠을 때 환자의 발이 위치하는 부분에서 환자의 머리가 위치하는 부분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환자가 상기 내부공간에서 답답함을 느끼지 않고, 앉아있거나 활동을 함에 있어서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주입공과 연계되며, 에어펌프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가 내부에 충진됨에 따라 팽창하여 상기 본체의 골격이 형성되도록 하는 골격모듈;
    상기 골격모듈의 외부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골격모듈이 팽창됨에 따라 환자가 외부와 격리되어 수용되도록 하는 상기 내부공간의 벽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벽면모듈; 및
    상기 벽면모듈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가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환자의 출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어모듈;
    을 포함하는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일측이 상기 도어모듈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되며, 연장된 일측 면이 상기 벽면모듈의 외측면에 면대면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1밀폐모듈;
    을 더 포함하는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골격모듈은,
    상기 벽면모듈의 모든 테두리가 지지되도록 구비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높이 차이가 나도록 형성되는 상기 내부공간 중 높은 부분에 해당하는 상기 벽면모듈이 하중에 의해 내려앉지 않도록 하는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모듈은,
    상기 기압조절부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공;
    을 더 포함하는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압조절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배출공을 통해 일정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팬모듈;
    상기 몸체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일측이 상기 결합공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가 상기 벽면모듈에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모듈;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및 바이러스가 필터링 되도록 하는 필터모듈; 및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팬모듈 및 필터모듈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팬모듈의 구동에 의해 상기 몸체의 외부 공기가 상기 몸체의 내부로 원활하게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구를 갖는 커버모듈;
    을 포함하는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압조절부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위치 및 방향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환자가 누웠을 때, 환자의 발이 놓이는 위치의 상기 벽면모듈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내부공간을 기준으로 외측 방향에 상기 흡입구가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음압텐트 외부의 공기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양압부; 및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환자가 누웠을 때, 환자의 머리가 놓이는 위치의 상부에 해당하는 상기 벽면모듈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내부공간을 기준으로 내측 방향에 상기 흡입구가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가 필터링을 거쳐 상기 음압텐트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음압부;
    로 구분되며,
    상기 양압부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보다 상기 음압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 많게 하여 상기 내부공간이 음압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환자에게서 발생되는 바이러스와 같은 병원균이 상기 음압부를 통해서만 필터링되어 배출되도록 하는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체결모듈과 상기 벽면모듈의 사이 공간으로 공기의 누출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공의 둘레를 따라 상기 체결모듈이 완전히 덮이도록 상기 벽면모듈과 면대면으로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제2밀폐모듈;
    을 더 포함하는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압조절부는,
    상기 팬모듈의 원격 구동이 가능하도록 리모컨 또는 관리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계 가능한 통신모듈;
    을 더 포함하는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누워있는 환자의 머리를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한 상기 벽면모듈에 각각 형성되며, 외부에서 내부의 관찰이 가능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스크린모듈;
    상기 스크린모듈에 형성되며,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캡이 구비되고, 상기 음압텐트의 외부에 위치한 의료진의 두 손이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으로 진입되도록 하여 환자의 진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한 쌍의 진입공; 및
    상기 스크린모듈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한 쌍의 상기 진입공에 선택적인 연결이 가능하여, 환자와 의료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함과 동시에 진료 간에 상기 진입공을 통해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글러브포트모듈;
    을 포함하는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텐트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 가능하여 응급상황 발생 시 환자에게 신속한 산소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산소호흡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산소호흡기는 상기 본체의 외부에 구비 가능한 산소통과 호스 연결되며,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개폐 가능하여 유사시 상기 산소호흡기와 상기 산소통이 연결되도록 하는 호스가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부재;
    를 더 포함하는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텐트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의 기압을 표기하여 음압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가능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관리자의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계 가능하여 상기 내부공간의 기압 상태가 기 설정된 값을 벗어날 경우 알림이 울리도록 하는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텐트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조명부;
    를 더 포함하는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텐트는,
    상시 전원과 유선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음압텐트에 구비 가능한 전자부품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 받으며,
    상기 음압텐트가 상시 전원의 공급이 어려운 환경에 설치되거나, 상시 전원의 공급이 갑자기 끊어질 경우,
    전력의 공급이 지속적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보조전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전력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 가능하며, 비상 전력이 포집된 보조배터리 또는 태양광 발전기로 이루어지는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음압텐트 상에 구비 가능한 전자부품에 연결된 각종 전선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정리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전선커버;
    를 더 포함하는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텐트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연기 또는 일산화탄소를 감지하여 관리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 감지 정보를 전송하는 센서부;
    를 더 포함하는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텐트는,
    상기 본체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내부공간에 환자가 수용 격리된 상태에서 환자의 이송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복수의 바퀴를 갖는 받침부;
    를 더 포함하는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
KR1020210109388A 2021-08-19 2021-08-19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 KR202300275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388A KR20230027513A (ko) 2021-08-19 2021-08-19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388A KR20230027513A (ko) 2021-08-19 2021-08-19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7513A true KR20230027513A (ko) 2023-02-28

Family

ID=85326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388A KR20230027513A (ko) 2021-08-19 2021-08-19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751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536Y1 (ko) 2005-09-08 2006-01-23 주식회사 하나지엔씨 인공지능형 공기차압장치를 이용한 바이오 클린룸의 세균오염방지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536Y1 (ko) 2005-09-08 2006-01-23 주식회사 하나지엔씨 인공지능형 공기차압장치를 이용한 바이오 클린룸의 세균오염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07985A1 (en) Negative pressure aerosolization mitigation devices and methods
KR101575233B1 (ko) 감염증 환자 선별 통제 시스템
JP5859960B2 (ja) 微生物及び空気中の健康有害物質の広がりを低減するための並びに/又は微生物及び空気中の健康有害物質から保護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CA2473400C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on/isolation against infections
KR102145148B1 (ko) 이동형 음압 격리 부스
US20220096701A1 (en) Air purification and disinfection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US20090206713A1 (en) Movable equipment for medical environment
CN110141441A (zh) 具备负压换气防疫医疗功能的隔离舱装置
US8821133B2 (en) Transportable medical air compressor
US20210307987A1 (en) Negative Pressure Isolation Pods
US10842697B1 (en) Disposable bio-secure environmental unit
CN111297587A (zh) 防护隔离系统、及应用该系统的防护隔离床
KR20080002753U (ko) 복실형 고압산소요법챔버
CN107320822A (zh) 一种医疗护理用制氧机
US10716725B2 (en) Disposable bio-secure environmental unit
KR20230027513A (ko) 공간의 활용도가 높은 음압텐트
CN213697620U (zh) 一种装配式病床负压隔离罩
CN211634067U (zh) 一种便携式多功能增压帐篷
KR20230053170A (ko) 신속한 격리를 위한 음압 격리 장치
US20210298977A1 (en) Infectious disease isolation module
CN216417846U (zh) 一种具有杀菌消毒功能的医用电梯
CN211854283U (zh) 一种负压式呼吸系统传染病隔离床
CN218979505U (zh) 一种负压ct救护车
KR102378193B1 (ko) 양압 및 음압 일체형 복합장치 특장차
EP4159179A1 (en) Collective protection device particularly for health facilities such as hospitals, private clinics, health centers and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