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6761A - Participation reward type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issuance system - Google Patents

Participation reward type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issuanc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6761A
KR20230026761A KR1020210108770A KR20210108770A KR20230026761A KR 20230026761 A KR20230026761 A KR 20230026761A KR 1020210108770 A KR1020210108770 A KR 1020210108770A KR 20210108770 A KR20210108770 A KR 20210108770A KR 20230026761 A KR20230026761 A KR 20230026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ken
voucher
user
social security
volunte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87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06368B1 (en
Inventor
임태건
박용수
박민환
Original Assignee
임태건
박용수
박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태건, 박용수, 박민환 filed Critical 임태건
Priority to KR1020210108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368B1/en
Publication of KR20230026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7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3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94Escrow, recovery or storing of secret information, e.g. secret key escrow or cryptographic key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04L9/321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using tickets or tokens, e.g. Kerber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ken providing device for a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The token providing device for a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comprises: a user information managing unit; a block generating unit; a token generating unit; and a token providing unit. The user information managing unit registers and manages information of a user. When generating a registration request signal for requesting registration of a volunteer work history generated as the user performs volunteer work, the block generating unit generates a block in response to the registration request signal. The token generating unit generates token corresponding to the block by considering volunteer work time histor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olunteer work history. The token providing unit provides voucher token which is a token for the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as a compensation for performing the volunteer work to the user based on the generated token. The token and the voucher token can be the token of a value of a volunteer time.

Description

참여보상형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 {PARTICIPATION REWARD TYPE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ISSUANCE SYSTEM}Participation compensation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issuance system {PARTICIPATION REWARD TYPE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ISSUANCE SYSTEM}

본원은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 특히 참여보상형 사회복지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원은 참여보상형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is application relates to a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issuance system, in particular, a participation compensation type social welfare service voucher issuance system. In addition,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token for a participation reward type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국민의 행복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사회복지서비스, 사회보장서비스)가 필요하다. 하지만, 사회복지 제공을 위해서는 증세와 기부를 통해 재원 확충이 필수불가결하며, 기존의 기금과 예산이 턱없이 부족함에 따라 현재로서는 충분한 사회복지를 제공, 즉 충분한 사회보장 혜택을 제공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Social welfare (social welfare service, social security service) is necessary to improve the happiness and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However, in order to provide social welfare, it is indispensable to expand financial resources through tax increases and donations, and as the existing funds and budget are extremely insufficient, it is currently difficult to provide sufficient social welfare, that is, sufficient social security benefits. there is.

한편, 봉사 정신이라 함은 국가나 사회 또는 남을 위하여 자신을 돌보지 아니하고 힘을 바쳐 애쓰려는 마음의 자세나 태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우리의 아름다운 전통인 상부상조를 계승하고, 이타자리의 마음가짐을 정진해 나가는 것이라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pirit of service means the attitude or attitude of mind to devote one's efforts to the nation, society, or others without caring for oneself. can be said to be

이러한 봉사(자원봉사)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시간적 자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시간이라는 것은 제한적이라는 한정적 특성, 가공하거나 조작할 수 없는 불가변성 특성, 시간을 저장하거나 보관할 수 없는 비저장성 특성, 시간을 양도하거나 대여할 수 없는 비양도성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바쁘게 생활하는 현대인들에게 있어서는 인생을 누릴 시간이 제한적임에 따라 봉사 활동을 할 여유가 없고, 미래(노후)를 준비하는 것만으로도 시간이 부족한 실정이다.It can be said that time resources are absolutely necessary to carry out these service (volunteer) activities. However, time has a finite characteristic that is limited, an immutable characteristic that cannot be processed or manipulated, a non-storable characteristic that cannot be stored or stored, and a non-transferable characteristic that cannot be transferred or rented. For this reason, modern people who live a busy life have limited time to enjoy life, so there is no time to do volunteer work, and there is not enough time just to prepare for the future (retirement).

따라서, 연금 등과 같은 사회보장제도의 한정적인 재원을 시간(봉사 활동 시간)으로 보완 가능케 함으로써, 봉사 활동의 수행을 토대로 노후를 대비하고 사회복지서비스(사회보장혜택)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Therefore, by making it possible to supplement the limited financial resources of the social security system such as pension with time (volunteer activity time),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o prepare for old age and receive social welfare services (social security benefits) based on the performance of volunteer activities. this is required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06481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06481.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증세와 기부를 통한 재원 확충 없이 사회보장서비스(사회복지서비스, 사회보장 혜택)을 제공할 수 있는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applica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issuance system,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that can provide social security services (social welfare services, social security benefits) without expanding finances through tax increases and donations Its purpose is to provide a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token for use.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회복지를 위한 기금과 예산이 부족하더라도 충분한 사회복지를 제공할 수 있는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issuing system that can provide sufficient social welfare even when funds and budget for social welfare are insufficient, and a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okens for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s. intended to provide.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금 등과 같은 사회보장제도의 한정적인 재원을 시간(봉사 활동 시간)으로 보완하여 봉사 활동의 수행을 토대로 노후를 대비하고 사회복지서비스(사회보장혜택)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applica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supplements the limited financial resources of social security systems such as pensions with time (volunteer activity time) to prepare for old age based on the performance of volunteer activities and provide social welfare services (social securit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ystem for issuing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s and a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okens for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s.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는, 사용자의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 상기 사용자가 봉사활동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된 봉사활동 이력의 등록을 요청하는 등록 요청 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등록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블록을 생성하는 블록 생성부; 상기 봉사활동 이력에 대응하는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블록에 대응하는 토큰을 생성하는 토큰 생성부; 및 생성된 상기 토큰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봉사활동의 수행에 대한 보상으로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인 바우처 토큰을 제공하는 토큰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큰 및 상기 바우처 토큰은, 봉사활동 시간에 대한 가치를 토큰화한 것일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token for a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us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for registering and managing user information; a block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block in response to the registration request signal when a registration request signal requesting registration of the volunteer activity history generated as the user performs the volunteer activity; a token generating unit generating a token corresponding to the block in consideration of volunteer activity time histor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olunteer activity history; and a token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 voucher token, which is a token for a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to the user based on the generated token as a reward for performing the volunteer activity, wherein the token and the voucher token are used during volunteer activity time. It may be a tokenization of the value of

또한, 상기 토큰 및 상기 바우처 토큰은, 사회보장서비스의 제공 및 사회보장서비스 관련 바우처의 발행을 가능하게 하는 디지털 자산인 대체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token and the voucher token may be non-fungible tokens that are digital assets that enable the provision of social security services and the issuance of vouchers related to social security services.

또한, 상기 블록 생성부는, 기 설정된 인증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블록을 생성하되, 상기 기 설정된 인증 조건은, 사용자의 개인 신분 인증과 관련된 온라인 기반 인증 조건 및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에 대응하는 노드들 간의 연동을 기반으로 한 블록체인 기반 인증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ck generation unit generates the block only when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condition is satisfied, and the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condition corresponds to an online-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 related to user's personal identity authentication and a plurality of front-lin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t can include blockchain-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s based on interworking between nodes that

또한, 상기 기 설정된 인증 조건은, 봉사활동 장소 인증과 관련된 오프라인 기반 인증 조건을 더 포함하되, 상기 오프라인 기반 인증 조건은,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봉사활동을 수행하는 사회복지 일선기관인 봉사수행 일선기관의 기관 고유 ID 정보의 인식이 이루어진 경우 및/또는 사용자의 위치와 상기 봉사수행 일선기관의 위치가 매칭하는 경우에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t authentication condition further includes an offline-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 related to volunteer activity location authentication, wherein the offline-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 is a social welfare front-line organization in which the user performs volunteer activities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It may be determined that it satisfies when the organization-specific ID information of the front-line organization is recognized and/or the location of the user matches the location of the front-line organization performing the service.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은, 상술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 상기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사용자에게 봉사활동 수행 환경을 제공하는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 사회보장서비스 관련 바우처의 발행을 수행하는 복수의 기업 자원; 및 사회보장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issu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token providing device for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front-line social welfare institutions that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a network with the device for providing tokens for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s, and provide users with an environment for performing volunteer activities; A plurality of corporate resources undertaking issuance of vouchers related to social security services; and a plurality of social welfare service providers providing social security services.

또한, 상기 복수의 기업 자원 각각은, 봉사활동의 수행에 의해 바우처 토큰을 제공받은 사용자로부터 일부 바우처 토큰의 지불이 이루어진 경우, 지불에 응답하여 일부 바우처 토큰에 대응하는 사회보장서비스 관련 바우처를 상기 사용자에게 발행하고, 상기 복수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기관 각각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일부 바우처 토큰의 지불이 이루어진 경우, 지불에 응답하여 일부 바우처 토큰에 대응하는 사회보장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corporate resources, when payment of some voucher tokens is made from a user who has been provided with a voucher token by performing volunteer activities, provides a social security service related voucher corresponding to some voucher tokens to the user in response to the payment. issued to,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social welfare service providing institutions may provide social security services corresponding to some voucher tokens in response to the payment, when payment is made for some voucher tokens from the user.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방법은, 상술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를 통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방법으로서, (a) 사용자 정보 관리부에서, 사용자의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단계; (b) 블록 생성부에서, 상기 사용자가 봉사활동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된 봉사활동 이력의 등록을 요청하는 등록 요청 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등록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c) 토큰 생성부에서, 상기 봉사활동 이력에 대응하는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블록에 대응하는 토큰을 생성하는 단계; 및 (d) 토큰 제공부에서, 생성된 상기 토큰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봉사활동의 수행에 대한 보상으로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인 바우처 토큰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토큰 및 상기 바우처 토큰은, 봉사활동 시간에 대한 가치를 토큰화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providing a token for a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method for providing a token for a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through the above-described token providing device for a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a) in a us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Registering and managing the information of; (b) generating a block in response to the registration request signal when a registration request signal requesting registration of the volunteer activity history generated by the user performing the volunteer activity is generated by the block generator; (c) generating a token corresponding to the block in consideration of volunteer activity time histor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olunteer activity history; and (d) providing a voucher token, which is a token for a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to the user as a reward for performing the volunteer activity based on the generated token, by a token providing unit, wherein the token and the voucher The token may be tokenized value of volunteer time.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re merely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disclosure.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dditional embodiments may exist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봉사활동 시간에 대한 가치를 토큰화함으로써 생성된 대체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인 바우처 토큰을 사용자에게 봉사활동의 수행에 대한 보상으로서 제공함으로써, 증세와 기부를 통해 재원을 확충하지 않더라도 혹은 기존의 기금과 예산이 부족하더라도, 바우처 토큰을 이용해 충분한 사회보장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by providing a voucher token, which is a non-fungible token (NFT) generated by tokenizing the value of volunteer activity time, to the user as a reward for performing volunteer activities, Even if financial resources are not expanded through tax increases and donations, or even if existing funds and budgets are insufficient, voucher tokens can be used to ensure that sufficient social security services are provided.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봉사활동 수행에 대한 보상을 대체불가능 토큰인 바우처 토큰으로 제공함으로써, 연금 등과 같은 사회보장제도(사회보장서비스)의 한정적인 재원을 시간(봉사 활동 시간)으로 보완할 수 있는바, 봉사 활동의 수행을 토대로 노후를 대비하고 사회복지서비스(사회보장혜택)를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solving method of the present application, by providing a voucher token, which is a non-fungible token, as a reward for performing volunteer activities, the limited financial resources of social security systems (social security services) such as pensions are converted into time (volunteer activity hours). As it can be supplemented, based on the performance of volunteer activities, it is possible to prepare for old age and receive social welfare services (social security benefits).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봉사활동 시간을 블록체인으로 저장/관리하여 양도가 가능한 검증된 디지털 바우처로 활용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by providing a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issuance system and a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okens for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s, volunteer activity time is stored/managed in a block chain and converted into a verified digital voucher that can be transferred. It can be provided for use.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가 봉사(자원봉사)활동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발생)되는 봉사활동 시간의 가치를 대체불가능 토큰으로 저장하여 이를 바우처 토큰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봉사활동의 수행 행위에 대하여 보상받을 수 있는 생태계 내지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즉, 본원은 봉사활동 수행에 대한 보상을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생태계 내지 시스템을 구축(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value of volunteer time generated (occurred) as a user performs volunteer (volunteer) activities is stored as a non-fungible token and provided to the user as a voucher token, thereby volunteering It is possible to build an ecosystem or system that can be rewarded for the performance of In other words,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uild (construct) an ecosystem or system that allows compensation for performing volunteer activities to be provided as a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effects obtainable herei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may exist.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가 바우처 토큰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의 동작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에서 제안하는 바우처 발행 기법과 기존의 지역화폐 발행 기법 간의 차이를 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issu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providing a voucher token by an apparatus for providing a token for a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al flow of the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issu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4 is a table show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ucher issuance technique proposed by the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issuan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the existing local currency issuance technique.
5 is an operational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a token for a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applica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or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referred to as being “on,” “above,” “on top of,” “below,” “below,” or “below” another member, this means that a member is located in relation to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contact but also the case of another member between the two member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10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issuance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이하에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1000)을 설명의 편의상 본 시스템(1000)이라 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issuance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referred to as the present system 100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1000)은 사용자(1)의 봉사활동 수행(참여)에 따라 보상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으로서, 참여보상형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1000)이라 달리 지칭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is system 1000 is a system in which compensation is made according to the user 1's performance (participation) in volunteer activities, and may be otherwise referred to as a participation reward-type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issuance system 1000.

본 시스템(1000)은 사용자(1), 사용자 단말(2),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100),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0), 복수의 기업 자원(300), 및 복수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기관(400)을 포함할 수 있다.This system 1000 includes a user 1, a user terminal 2, a device for providing tokens for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s 100, a plurality of front-lin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200, a plurality of corporate resources 300, and a plurality of A social welfare service providing institution 400 may be included.

여기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1)의 봉사활동 수행(참여)에 따라 보상이 이루어지는 장치로서, 참여보상형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100)라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100)는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상 본 장치(100)라 하기로 한다.Here, the device for providing tokens for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s 100 is a device for providing rewards according to the user 1's performance (participation) in volunteer activities, and is otherwise referred to as a device for providing tokens for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s for participation compensation 100. It can be. The device 100 for providing tokens for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referred to as the device 100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below.

사용자(1)는 봉사활동을 수행(참여)하는 사용자(대상자)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봉사자, 봉사활동자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사용자(1)는 한 명의 사람을 지칭하는 개인의 개념으로 의미할 수 있겠으나, 이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1)는 다수의 사람을 지칭하는 단체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1)는 개인(개인사용자) 또는 단체(둘 이상이 모인 단체 사용자)일 수 있다.The user 1 means a user (subject) who performs (participates) in volunteer activities, and may be referred to as volunteers, volunteers, and the like. User 1 may mean a concept of an individual referring to one person, but this is only an example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user 1 refers to a plurality of people. It can also be understood as the concept of a group that refers to. That is, the user 1 may be an individual (individual user) or a group (group user of two or more groups).

사용자(1)는 예시적으로 국방의무자, 보훈자, 사회보장서비스 제공자 및 자원봉사자, 재난자원봉사자(개인, 단체), 일반자원봉사자(개인, 단체), 사회복지종사자(사회복지포인트를 받는 관련 업계 종사자)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회보장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사용자라면 누구든지 적용될 수 있다.User (1) is illustratively a defense man, veterans, social security service providers and volunteers, disaster volunteers (individuals, organizations), general volunteers (individuals, organizations), social welfare workers (related to receiving social welfare points) industry),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to anyone who can receive social security services.

본원에서 사회보장서비스라는 용어는 사회복지, 사회복지서비스, 사회복지혜택, 사회보장혜택, 사회보장제도 등의 용어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들은 모두 같은 의미(즉, 사회에서 제공되는 모든 복지 관련 서비스/혜택)로 이해될 수 있다.In this application, the term social security service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erms such as social welfare, social welfare service, social welfare benefit, social security benefit, social security system, etc., but they all have the same meaning (ie, related to all welfare provided by society). service/benefit).

사용자(1)는 사용자 단말(2)을 소지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은 후술하여 설명하는 온라인 기반 인증 혹은 오프라인 기반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 user 1 may possess a user terminal 2 . The user terminal 2 may be used to perform online-based authentication or offline-based authentica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사용자 단말(2)이라 함은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 노트북, 웨어러블 디바이스, 데스크탑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user terminal 2 refers to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 smartphone, smartpad, tablet PC, laptop, wearable It may include all types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devices and desktop PC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장치(100)는 사용자(1)가 봉사활동(자원봉사활동)을 수행한 경우, 봉사활동을 수행한 시간(즉, 봉사활동 시간)에 대한 이력 정보(이력 데이터)를 블록에 저장(기록)하고, 해당 블록을 토큰(특히, 대체불가능 토큰)으로 변환함으로써 봉사활동 시간에 대한 가치를 토큰화한 토큰(대체불가능 토큰)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본 장치(100)는 생성된 토큰을 기반으로 사용자(1)에게 봉사활동 수행에 대한 보상으로서 바우처 토큰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바우처 토큰이라 함은, 사회보장서비스를 제공받거나 혹은 그러한 사회보장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바우처(상품권, 쿠폰 등)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전자) 상의 자산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바우처 토큰은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When the user 1 performs a volunteer activity (volunteer activity), the apparatus 100 stores (records) history information (history data) about the time of the volunteer activity (ie, volunteer activity time) in a block. ), and converting the corresponding block into a token (in particular, a non-fungible token), it is possible to create a token (non-fungible token) that tokenizes the value of volunteer time. Thereafter, the device 100 may provide the user 1 with a voucher token as a reward for performing the volunteer activity based on the generated token. Here, the voucher token may refer to a digital (electronic) asset that enables social security services to be provided or to purchase a voucher (gift certificate, coupon, etc.) for receiving such social security services. These voucher tokens may be otherwise referred to as tokens for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s.

본 장치(100)는 서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본원의 일예에서는 본 장치(100)가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0)의 구성과는 별개(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본 장치(100)는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0) 각각과 대응되도록 마련(복수개 마련)되어 각각이 대응된 해당 사회복지 일선기관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0)는 복수개 마련되고, 복수개의 본 장치(100) 각각은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0) 각각과 연동(즉, 1:1로 연동)될 수 있다. 이때, 본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복수개의 본 장치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apparatus 10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erver. In the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shown in FIG. 1, the device 100 is shown as a separate (separate) configuration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plurality of social welfare frontline institutions 200, but this is an example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but not limited to this. Preferably, the present device 100 is prepar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ocial welfare front-line institutions 200 (a plurality of units are provided), and each can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corresponding social welfare front-line institution. That is, a plurality of devices 100 may be provided,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devices 100 may be interlocked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front-lin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200 (ie, linked 1:1). At this tim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device 100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resent devices even if the content is omitted below.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0) 내 어느 하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과 본 장치(100)가 1:1로 연동되어 있다고 하자. 이러한 경우, 본 장치(100)는 어느 하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에 대응하는 서버 형태의 것으로서, 본원에서 노드라 지칭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본 장치(100)는 어느 하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의 회계프로그램으로서 동작할 수 있는바, 본 장치(100)는 노드 뿐만 아니라 회계장부프로그램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Assume that any one social welfare front-line institution in a plurality of front-line social welfare institutions 200 and the apparatus 100 are linked 1:1. In this case, the device 100 is in the form of a server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may be referred to as a node herein. In addition, this device 100 can operate as an accounting program of any one social welfare front-line institution, and this device 100 can be referred to as a node as well as an accounting ledger program.

본 시스템(1000)은 대체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을 지원하는 시스템으로서, 복수개의 본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시스템(1000) 및 본 장치(100)는 사용자(1)가 행한 봉사활동에 대한 시간(즉, 봉사활동 시간)을 대체불가능 토큰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시스템(1000) 및 본 장치(100)는 사용자(1)가 본 시스템(1000)과 연계된 사회복지 일선기관에서 봉사를 자유롭게 수행하고 그에 따른 보상으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바우처 토큰)을 제공받도록 함으로써, 사회적으로 봉사활동의 활성화를 장려하고, 사용자들이 노후를 준비함에 있어서 봉사활동을 행하는 시간과는 별도의 시간을 따로 투자하지 않아도 노후 대비(보장)용으로 각종 사회보장서비스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present system 1000 is a system supporting a non-fungible token (NFT)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esent devices 100. That is, the system 1000 and the apparatus 100 may generate the time (ie, volunteer time) for volunteer activities performed by the user 1 as a non-fungible token. This system 1000 and this device 100 allow the user 1 to freely perform service at a front-line social welfare institution associated with the system 1000 and receive a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token (voucher token) as a reward. By allowing users to be provided with, it encourages the vitalization of volunteer activities socially, and benefits of various social security services for old age preparation (guarantee) even if users do not invest a separate time from volunteer activities in preparing for their old age. can make it possible to receive

본 장치(100)는(즉, 복수개의 본 장치 각각은) 사용자(1)가 행한 봉사활동의 시간(봉사시간)을 블록체인으로 저장하고, 타인에게 양도가 가능한 검증된 디지털 바우처(즉, 대체불가능 토큰인 바우처 토큰)로 만들어 제공할 수 있다.The device 100 (ie, each of the plurality of devices) stores the time (volunteer time) of the user 1's volunteer activities in a block chain, and provides a verified digital voucher that can be transferred to others (ie, replacement It can be made and provided with an impossible token (voucher token).

본 장치(100)는 유일성을 갖는 객체(즉, 본원에서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를 의미함)에 대한 대체불가능 토큰을 블록체인 상에 생성하고, 생성된 토큰을 블록체인 상에서 관리할 수 있다. 대체불가능 토큰은 유일성을 갖는 객체(봉사활동 시간)를 디지털 자산화한 것으로서, 해당 객체가 유일성을 갖기 때문에 동일한 종류의 다른 토큰과도 교환이 불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The device 100 may generate a non-fungible token for an object having uniqueness (ie, volunteer activity time history information herein) on a blockchain and manage the generated token on the blockchain. A non-fungible token is a digital asset of an object (volunteer service time) with uniqueness, and is characterized by being impossible to exchange with other tokens of the same type because the object has uniqueness.

이때, 일예로 복수개의 본 장치(100)들에 의해 이용되는 블록체인은 사전에 허가된 사용자들만이 이용할 수 있는 블록체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일예로 본 시스템(1000)은 별도의 인증센터를 통해 인증서를 발급함으로써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는 사용자들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1000)에서는 본 시스템(10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들에 한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 및 트랜잭션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장치(100) 내 각 구성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t this time, for example, the block chain used by the plurality of devices 100 may be a block chain that can be used only by previously authorized users. Accordingly, although not shown in FIG. 1, for example, the system 1000 can manage users who can participate in the blockchain network by issuing certificates through a separate authentication center. In addition, in this system 1000, only users subscribed to the service provided by this system 1000 can participate in the blockchain network and generate transactions.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component in the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0)은 본 장치(100)와 네트워크(5)를 통해 연계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0)은 사용자(1)에게 봉사활동 수행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0)에는 노인복지센터, 장애인복지센터, 아동복지시설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봉사활동을 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각종 기관, 기업, 시설 등이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frontlin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200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by linking with the device 100 through the network 5 . A plurality of front-lin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200 may provide the user 1 with an environment for performing volunteer activities. Illustratively, the plurality of social welfare front-line organizations 200 may include senior welfare centers, disabled welfare centers, child welfare facilities, etc.,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users can perform volunteer activities Various institutions, companies, facilities, etc. can be applied.

도 1에 도시된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이라 함은,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0) 중 사용자(1)가 봉사활동을 수행한 어느 하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The front-line service organization 201 shown in FIG. 1 may refer to any one front-line social welfare institution among a plurality of front-line social welfare institutions 200 in which the user 1 has performed volunteer activities.

복수의 기업 자원(300)은 본 장치(100)와 네트워크(5)를 통해 연계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기업 자원(300)은 사용자(1)에게 사회보장서비스 관련 바우처의 발행을 수행하는 자원(기업), 즉 사회보장서비스 관련 바우처를 제공하는 자원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복수의 기업 자원(300)에는 사회적기업(일예로, 비영리단체 등),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참여기업(일예로, 기부지정단체, 일반기업 등)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회보장서비스 관련 바우처를 제공할 수 있는 각종 기관, 기업, 시설 등이 적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enterprise resources 30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in association with the device 100 through the network 5 . The plurality of corporate resources 300 may refer to resources (corporations) that issue social security service-related vouchers to the user 1, that is, resources that provide social security service-related vouchers. Illustratively, the plurality of corporate resources 300 may include social enterprises (eg, non-profit organizations, etc.), ES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participating enterprises (eg, donation-designated organizations, general corporations, etc.),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institutions, companies, facilities, etc. that can provide vouchers related to social security services can be applied.

사용자(1)가 봉사활동을 수행한 경우, 사용자(1)는 봉사활동 수행 시간에 대한 보상으로서 본 장치(100)로부터 바우처 토큰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기업 자원(300) 각각은, 봉사활동의 수행에 의해 바우처 토큰을 제공받은 사용자로부터 일부 바우처 토큰의 지불이 이루어진 경우(즉, 사용자가 자신이 소유한 바우처 토큰 중 일부 바우처 토큰을 기업 자원에게 지불한 경우), 지불에 응답하여 일부 바우처 토큰에 대응하는 사회보장서비스 관련 바우처를 사용자에게 발행(제공)할 수 있다.When the user 1 performs a volunteer activity, the user 1 may receive a voucher token from the device 100 as a reward for the time spent performing the volunteer activity. At this time, each of the plurality of corporate resources 300, when payment of some voucher tokens is made from a user who has been provided with a voucher token by performing volunteer activities (ie, the user uses some of the voucher tokens owned by the company In case of payment to a resource), a voucher related to social security services corresponding to some voucher tokens may be issued (provided) to the user in response to the payment.

복수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기관(400)은 본 장치(100)와 네트워크(5)를 통해 연계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기관(400)은 사용자(1)에게 사회보장서비스(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복수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기관(400)에는 공공기관(일예로, 보건복지부 등), 준공공기관(일예로,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회복지협의회 등)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회보장서비스(사회복지 혜택)을 제공할 수 있는 각종 기관, 기업, 시설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일예로, 복수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기관(400)에는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0) 중 적어도 일부가 포함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 plurality of social welfare service providing institutions 40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by linking with the device 100 through the network 5 . The plurality of social welfare service providing institutions 400 may refer to institutions that provide social security services (social welfare services) to the user 1 . Illustratively, the plurality of social welfare service providing institutions 400 may include public institutions (e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etc.), quasi-public institutions (eg, Community Chest of Korea, Social Welfare Council, etc.), etc., and are limited thereto. However, various institutions, companies, and facilities that can provide social security services (social welfare benefits) can be applied.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social welfare service providing institutions 400 may include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front-line social welfare institutions 200,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사용자(1)가 봉사활동을 수행한 경우, 사용자(1)는 봉사활동 수행 시간에 대한 보상으로서 본 장치(100)로부터 바우처 토큰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기관(400) 각각은, 봉사활동의 수행에 의해 바우처 토큰을 제공받은 사용자로부터 일부 바우처 토큰의 지불이 이루어진 경우(즉, 사용자가 자신이 소유한 바우처 토큰 중 일부 바우처 토큰을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기관한테 지불한 경우), 지불에 응답하여 일부 바우처 토큰에 대응하는 사회보장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user 1 performs a volunteer activity, the user 1 may receive a voucher token from the device 100 as a reward for the time spent performing the volunteer activity. At this time, each of the plurality of social welfare service providing institutions 400, when payment of some voucher tokens is made from users who have been provided with voucher tokens by performing volunteer activities (that is, when users receive some of the voucher tokens they own) If the token is paid to a social welfare service provider), social security services corresponding to some voucher tokens can be provided to users in response to payment.

본 시스템(1000) 및 본 장치(100)는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0), 복수의 기업 자원(300) 및 복수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기관(400)과 연계되어 사용자(1)에게 사회복지 관련 다양한 서비스(즉, 사회보장서비스,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바우처 토큰 등)를 제공할 수 있는바, 사회복지 거버넌스(governance)의 구축을 가능케 할 수 있다.This system 1000 and this device 100 are linked with a plurality of social welfare front-line organizations 200, a plurality of corporate resources 300, and a plurality of social welfare service providers 400 to provide social welfare to the user 1. Since various related services (ie, social security service,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voucher token, etc.) can be provided, it is possible to build social welfare governance.

본 시스템(1000)에 포함된 각 구성들(즉, 본 장치, 사용자 단말,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 복수의 기업 자원, 복수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기관) 간에는 네트워크(5)를 통해 연동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system 1000 (that is, the device, user terminal, a plurality of front-line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 plurality of corporate resources, and a plurality of social welfare service providing institutions) is interlocked through the network 5 to provid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can take place.

네트워크(5)는 일예로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무선통신 네트워크)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The network 5 includes, for example, a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network, a Long Term Evolution (LTE) network, a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network, the Internet, a Local Area Network (LAN), and a Wireless LAN (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Bluetooth (Bluetooth) network,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network,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alog broadcasting network,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 A wireless network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inclu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시스템(1000) 및 본 장치(100)에서 제공 가능한 사회보장서비스(사회복지서비스)의 예로는 일예로 다음과 같은 서비스들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으로 사회보장서비스에는 공공복지서비스(일예로, 기초생활수급, 기초연금, 장애연금, 차상위계층지원, 긴급지원, 소방청 안전지원 등), 보건서비스(일예로, 보건소 건강관리, 만성질환자 방문간호, 예방접종, 암의료비 지원 등), 복지 서비스(일예로, 노인요양원 연계 서비스, 치매지원서비스, 수송 서비스, 장애인복지서비스, 지역복지관서비스, 도시락/반찬 서비스, 확대예방 서비스, 사회보장서비스 제공자 및 자원봉사자 연결 서비스 등), 돌봄서비스(일예로, 노인장기요양, 장애인활동지원, 노인종합돌봄 등), 보훈복지서비스(일예로, 국가유공자등급 관련 서비스, 이동보훈서비스, 보훈섬김이 지원 서비스, 임종관련 서비스, 유공자 임대주택 관련 서비스 등), 의료지원서비스(일예로, 전화진료 상담 서비스, 복약 상담 서비스 등), 방문의료서비스(일예로, 방문 물리치료, 방문 인지 작업 치료, 가정간호, 가정호스피스 등) 등이 포함될 수 있다.Examples of social security services (social welfare services) that can be provided by the system 1000 and the device 100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services. Exemplary social security services include public welfare services (for example, basic livelihood benefits, basic pension, disability pension, support for the next upper class, emergency support, fire department safety support, etc.), health services (for example, health care at public health centers, visits to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Nursing care, vaccination, support for cancer medical expenses, etc.), welfare services (for example, senior nursing home-linked service, dementia support service, transportation service, disabled welfare service, local welfare center service, lunch/side dish service, extended prevention service, social security service provider) and volunteer connection service, etc.), care service (eg, long-term care for the elderly, disabled activity support, comprehensive care for the elderly, etc.), veterans welfare service (eg, national merit-related service, mobile veterans service, veteran service support service) , end-of-life related services, services related to rental housing for persons of merit, etc.), medical support services (eg, telephone consultation service, medication consultation service, etc.), visiting medical services (eg, visiting physical therapy, visiting cognitive occupational therapy, home nursing, home hospice, etc.).

이에 따라, 본 시스템(1000)에 포함된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0), 기업 자원(300), 및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기관(400)은 상술한 다양한 사회보장서비스와 적어도 하나 관련된 각종 기관, 기업, 시설 등(일예로, 주민센터, 중앙보훈병원, 보건소, 정신건강복지센터, 장기요양재가센터,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역사회복지관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장치(100)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술히 설명한다.Accordingly, the plurality of social welfare front-line organizations 200, corporate resources 300, and social welfare service providing institutions 400 included in the system 1000 include various institutions related to at least one of the various social security services described above, Enterprises, facilities, etc. (for example, community center, central veterans hospital, public health center,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long-term care home center,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community welfare center, etc.) can be considered.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장치(100)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110), 블록 생성부(120), 토큰 생성부(130), 토큰 제공부(140) 및 인증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 the apparatus 100 may include a us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0, a block generation unit 120, a token generation unit 130, a token providing unit 140, and an authentication unit 150. there is.

사용자 정보 관리부(110)는 사용자(1)의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1)는 봉사활동을 수행하는 사용자로서, 봉사자, 봉사활동자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사회보장서비스의 제공 대상이 되는 사용자를 의미할 수 있다.The us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0 may register and manage information of the user 1 . Here, the user 1 is a user who performs volunteer activities, and may mean volunteers, volunteers, and the like, and may mean users who are to be provided with social security services.

사용자 정보 관리부(110)가 등록/관리하는 사용자(1) 정보에는, 일예로 사용자 개인 ID 정보(즉, 사용자 개인의 고유 ID 정보) 및 토큰지갑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토큰지갑(혹은 지갑)이라 함은, 사용자(1)가 봉사활동을 수행했을 때 본 장치(100)가 사용자(1)에게 제공하는 토큰(바우처 토큰)을 저장/기록/보관할 수 있는 저장부(저장공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1) 정보에는 사용자(1)의 이름, 휴대폰 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사용자(1) 정보에는 후술하는 온라인 기반 인증을 위해 사용자(1)의 생체 인증 정보(일예로, 지문, 홍채정보 등)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정보 관리부(110)는 사용자(1)의 정보로서 개인 ID 정보, 토큰지갑(사용자 개인의 토큰지갑), 이름, 휴대폰 번호, 생체 인증 정보 등이 서로 연계(결합)되어 저장/관리될 수 있다.The user 1 information registered/managed by the us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0 may include, for example, user personal ID information (ie, user's personal unique ID information) and token wallet. Here, the token wallet (or wallet) refers to a storage that can store/record/store the token (voucher token) provided by the device 100 to the user 1 when the user 1 performs volunteer activities. It may mean a part (storage space). Also, the user 1 information may include the user 1's name, mobile phone number, and the like. In addition, if necessary, the user 1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biometric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fingerprint, iris information, etc.) of the user 1 for online-based authentication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the us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0 stores/manages personal ID information, token wallet (user's individual token wallet), name, mobile phone number, biometric authentication information, etc. as information of the user 1 by linking (combining) with each other. It can be.

이때, 사용자 정보 관리부(110)는 사용자 단말(2) 혹은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으로부터 사용자 등록 요청이 이루어지면, 개인신분 인증을 통해 본인인증을 수행하고, 본인이 맞는 것으로 확인(인증)되면, 사용자(1)에 대응하는 토큰지갑을 생성하고 사용자 개인 ID 정보를 발급(즉, 지갑 생성을 통한 개인 ID 발급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일예로 개인 ID 발급은 통신사나 금융기관과 연계되어 그들을 경유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a user registration request is made from the user terminal 2 or the front-line organization 201, the us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0 performs identity authentication through personal identity authentication and confirms (authenticates) that the person is correct. , It is possible to create a token wallet corresponding to the user 1 and issue the user's personal ID information (ie, issue a personal ID through wallet creation). At this time, for example, personal ID issuance may be performed through communication companies or financial institutions in connection with them.

블록 생성부(120)는 사용자(1)가 봉사활동을 수행(참여)함에 따라 생성된 봉사활동 이력의 등록을 요청하는 등록 요청 신호가 발생한 경우, 등록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등록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봉사활동 이력에 관한 정보로는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가 고려될 수 있다.Block generation unit 120 responds to the registration request signal when a registration request signal requesting registration of the volunteer activity history created as the user 1 performs (participates) in the volunteer activity occurs. blocks can be created. In this case, volunteer activity time history information may be considered as volunteer activity history information.

일예로, 사용자(1)가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0) 중 어느 한 사회복지 일선기관으로서 노인복지센터에서 봉사활동을 수행했다고 하자. 이때, 사용자(1)가 봉사활동을 수행한 사회복지 일선기관은 본원에서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이라 지칭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0) 각각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As an example, let's assume that the user 1 has performed volunteer activities at a welfare center for the elderly a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ront-line social welfare institutions 200 . At this time, the social welfare front-line organization in which the user 1 performed the volunteer activity may be referred to as a volunteer front-line organization 201 herein. Therefore, even if the content is omitted below, the description of the first-line service organization 201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lin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200 .

예시적으로, 사용자(1)가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에서 20시간의 봉사활동을 수행했음이 인증되면,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은 본 장치(100)에 대하여 사용자(1)가 수행한 봉사활동 이력(특히, 봉사활동 시간 이력)의 등록을 요청하는 등록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본 장치(100)의 블록 생성부(120)는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으로부터 봉사활동 이력의 등록을 요청하는 등록 요청 신호가 수신(발생)되면, 등록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Illustratively, when it is authenticated that the user 1 has performed volunteer activities for 20 hours at the front-line volunteer organization 201, the front-line volunteer organization 201 performs the user 1 with respect to the device 100. A registration request signal requesting registration of a volunteer activity history (in particular, a volunteer activity time history) may be transmitted. Thereafter, when a registration request signal requesting registration of volunteer activity history is received (generated) from the volunteer organization 201, the block generation unit 120 of the apparatus 100 generates a block in response to the registration request signal. can do.

이때, 사용자(1)가 20시간의 봉사활동을 정상적으로 수행했음에 대한 인증은, 후술하여 설명하는 세 단계의 인증 절차(즉, 온라인 기반 인증, 오프라인 기반 인증 및 블록체인 기반 인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블록 생성부(120)는 상술한 세 단계의 인증(검증) 절차를 거친 후, 상술한 세 단계의 인증(검증)에 이상이 없는 경우에 한하여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세 단계의 인증 절차를 위해 본 장치(100)는 인증부(1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t this time, authentication that the user 1 has normally performed 20 hours of volunteer work can be performed through a three-step authentication procedure (ie, online-based authentication, offline-based authentication, and blockchain-based authentica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re is. In other words, the block generation unit 120 may generate a block only when there is no abnormality in the above-described three-step authentication (verification) after going through the three-step authentication (verification) procedure. For the three-step authentication process, the apparatus 100 may include the authentication unit 150, and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블록 생성부(120)는 본 시스템(1000)에 연동(가입)되어 있는 서비스 가입 기관(즉, 사회복지 일선기관(노드))의 수에 따라 생성되는 블록의 수를 조정할 수 있다. 즉, 블록 생성부(120)는 노드 수에 따라 블록생성 수를 조정할 수 있다. 블록 생성부(120)에 의해 생성되는 블록은 블록체인 상의 블록을 의미할 수 있으며, 데이터(특히, 봉사활동 이력에 대응하는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를 담는 그릇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block generating unit 120 may adjust the number of blocks gener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ervice subscribing organizations (ie, social welfare frontline organizations (nodes)) linked to (subscribing to) the present system 1000 . That is, the block generator 120 may adjust the number of block generators according to the number of nodes. A block generated by the block generator 120 may mean a block on a blockchain, and may serve as a container for storing data (in particular, volunteer activity time histor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volunteer activity history).

토큰 생성부(130)는 블록이 생성된 이후, 봉사활동 이력에 대응하는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를 고려하여 블록에 대응하는 토큰을 생성할 수 있다. 토큰 생성부(130)는 생성된 블록에 봉사활동 이력에 대응하는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상술한 일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행한 봉사활동 수행 시간으로서, 20시간을 의미함)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는 일예로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의 담당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토큰 생성부(130)는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가 저장된 블록을 토큰으로 변환함으로써 토큰을 생성할 수 있다.After the block is generated, the token generating unit 130 may generate a token corresponding to the block by considering volunteer activity time histor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olunteer activity history. The token generating unit 130 may store volunteer activity time histor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volunteer activity time performed by the user, meaning 20 hours) corresponding to the volunteer activity history in the created block. Such volunteer activity time history information may be provided, for example, by a person in charge of the volunteer organization 201 . The token generation unit 130 may generate a token by converting a block in which volunteer activity time history information is stored into a token.

이때, 토큰 생성부(130)에 의해 생성된 토큰은 사용자(1)가 수행한 봉사활동 시간에 대한 가치를 토큰화한 것(즉, 토큰화함으로써 생성된 것)으로서, 대체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토큰 생성부(130)에 의해 생성된 토큰은 사회보장서비스의 제공 및 사회보장서비스 관련 바우처의 발행을 가능하게 하는 토큰화된 디지털 자산인 대체불가능 토큰일 수 있다. 달리 말해, 토큰 생성부(130)에 의해 생성된 토큰은 봉사활동 시간(봉사활동 수행 시간)을 고유값으로 하여 블록체인 상에 분산 저장되어 관리되는 디지털 자산인 대체불가능 토큰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token generated by the token generation unit 130 is a value obtained by tokenizing the value of the volunteer time performed by the user 1 (ie, generated by tokenizing), and is a non-fungible token (Non- Fungible Token, NFT). That is, the token generated by the token generator 130 may be a non-fungible token that is a tokenized digital asset that enables the provision of social security services and the issuance of vouchers related to social security services. In other words, the token generated by the token generation unit 130 may be a non-fungible token that is a digital asset that is distributedly stored and managed on a blockchain with volunteer activity time (volunteer activity time) as a unique value.

이에 따르면, 토큰 생성부(130)는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일예로 20시간)가 저장된 블록을 토큰으로 변환시킴으로써 대체불가능 토큰을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he token generation unit 130 may generate a non-fungible token by converting a block in which volunteer activity time history information (for example, 20 hours) is stored into a token.

대체불가능 토큰(NFT)은 토큰 1개당 가격이 같아 서로 거래 가능한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과는 달리, 블록체인 상에서 특정 토큰을 다른 토큰으로 대체하는 것이 불가능한 토큰을 의미한다. 대체불가능 토큰의 1개당 가치는 모두 다르며, 본 장치(100)는 봉사활동 시간이라는 정보를 블록체인 상에서 토큰화함으로써 봉사활동 시간에 대한 가치를 대체불가능 토큰으로 사용할 수 있다.A non-fungible token (NFT) means a token that cannot be substituted for a specific token with another token on the blockchain, unlike Bitcoin or Ethereum, which can be traded with each other at the same price per token. Each non-fungible token has a different value, and the device 100 can use the value of volunteer activity time as a non-fungible token by tokenizing the volunteer activity time information on the blockchain.

토큰 생성부(130)에 의해 생성되는 토큰(즉, 대체불가능 토큰)은 봉사활동 시간(봉사시간)의 가치저장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토큰(대체불가능 토큰)은 인증된 발행, 장기간 보관 사용, 위변조/훼손방지 등이 보장될 수 있다.Tokens (i.e., non-fungible tokens) generated by the token generator 130 can be used as a means of storing the value of volunteer time (volunteer hours), and these tokens (non-fungible tokens) can be issued with authentication and stored for a long period of time. Use, forgery/falsification/damage prevention, etc. can be guaranteed.

토큰 제공부(140)는, 토큰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토큰을 기반으로 사용자(1)에게 봉사활동의 수행에 대한 보상으로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인 바우처 토큰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토큰 제공부(140)는 바우처 토큰을 사용자(1)에 대하여 생성된 토큰지갑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토큰 제공부(140)는 바우처 토큰 제공부, 바우처 토큰 지급부, 보상 지급부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The token providing unit 140 may provide a voucher token, which is a token for a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to the user 1 as a reward for performing volunteer activities based on the token generated by the token generating unit 130 . In particular, the token provider 140 may provide the voucher token to the token wallet created for the user 1. According to this, the token providing unit 140 may be otherwise referred to as a voucher token providing unit, a voucher token payment unit, a reward payment unit, and the like.

예시적으로, 토큰 제공부(140)는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에 해당하는 봉사활동 시간 중 미리 설정된 비율(일예로, 25%)만큼을 보상 지급 기준으로 인정(즉, 봉사시간의 25%를 인정)하여, 미리 설정된 비율만큼에 해당하는 바우처 토큰을 보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원의 일예에서는 미리 설정된 비율(즉, 보상 지급 기준의 인정 비율)이 25%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미리 설정된 비율은 일예로 상장코인에 의해 가변적으로 조절 가능할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token providing unit 140 recognizes a preset ratio (eg, 25%) of the volunteer activity time corresponding to the volunteer activity time history information as a reward payment criterion (ie, recognizes 25% of the volunteer time). ), a voucher token corresponding to a preset ratio may be provided as a reward. At this time, 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preset ratio (ie, the recognition ratio of the compensation payment standard) is exemplified as 25%,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t ratio may be variably adjusted by, for example, a listed coin. .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장치(100)에서 고려되는 토큰 및 바우처 토큰은, 봉사활동 시간에 대한 가치를 토큰화한 것(토큰화함으로써 생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0)에서 고려되는 토큰 및 바우처 토큰은, 사회보장서비스의 제공 및 사회보장서비스 관련 바우처의 발행을 가능하게 하는 토큰화된 디지털 자산인 대체불가능 토큰을 의미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oken and voucher token considered in the present device 100 may be tokenized (generated by tokenizing) the value of volunteer time. In addition, the token and voucher token considered in the present device 100 may refer to a non-fungible token that is a tokenized digital asset that enables the provision of social security services and the issuance of vouchers related to social security services.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세 단계의 인증 절차(즉, 온라인 기반 인증, 오프라인 기반 인증 및 블록체인 기반 인증)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above-described three-step authentication procedure (ie, online-based authentication, offline-based authentication, and blockchain-based authent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블록 생성부(120)는 봉사활동 이력의 등록을 요청하는 등록 요청 신호가 발생한 경우 등록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블록을 생성할 수 있는데, 이때 기 설정된 인증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장치(100)는 기 설정된 인증 조건의 충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수단으로 인증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block generating unit 120 may generate a block in response to the registration request signal when a registration request signal requesting registration of volunteer activity history is generated. there is. To this end, the apparatus 100 may include an authentication unit 150 as a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preset authentication conditions are satisfied.

기 설정된 인증 조건은, 사용자(1)의 개인 신분 인증과 관련된 온라인 기반 인증 조건 및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에 대응하는 노드들 간의 연동을 기반으로 한 블록체인 기반 인증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 설정된 인증 조건은 봉사활동 장소 인증과 관련된 오프라인 기반 인증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t authentication conditions may include online-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s related to personal identity authentication of the user 1 and blockchain-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s based on linkage between nod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front-lin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addition, the preset authentication conditions may include offline-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s related to volunteer activity place authentication.

본원에서는 일예로 온라인 기반 인증 조건은 제1 인증 조건, 오프라인 기반 인증 조건은 제2 인증 조건, 블록체인 기반 인증 조건은 제3 인증 조건이라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블록 생성부(120)는 기 설정된 인증 조건으로서 제1 인증 조건 내지 제3 인증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 달리 말해 제1 인증 조건 내지 제3 인증 조건이 모두 이상이 없는 것으로 인증(검증, 판단)된 경우에 한하여,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for example, the online-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authentication condition, the offline-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authentication condition, and the blockchain-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be referred to as a third authentication condition. Preferably, the block generation unit 120 certifies that all of the first to third authentication conditions are satisfied as preset authentication conditions, in other words, that all of the first to third authentication conditions are normal (verification, decision), a block can be created.

제1 인증 조건(온라인 기반 인증 조건)과 관련하여, 인증부(150)는 등록 요청 신호(사용자가 봉사활동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된 봉사활동 이력의 등록을 요청하는 등록 요청 신호)가 발생했을 때, 등록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1)가 실제 본인이 맞는지를 온라인을 통해 1차적으로 인증(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인증부(150)는 등록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일예로 통신사/금융기관으로 개인신분 인증요청을 함으로써, 통신사나 금융기관과 연계하여 신분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Regarding the first authentication condition (online-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 the authentication unit 150, when a registration request signal (a registration request signal requesting registration of volunteer activity records generated as the user performs volunteer activities) occurs , It is possible to perform primary authentication (verification) through online whether the user 1 corresponding to the registration request signal is actually himself. At this time, in response to the registration request signal, the authentication unit 150 may perform identity authentication i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company/financial institution, for example, by requesting personal identity authentication to the communication company/financial institution.

또한, 예시적으로 인증부(150)는 등록 요청 신호가 발생하면 사용자(1)로부터 본인확인정보(일예로, 이름, 휴대폰 번호, 생체 인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고, 금번 입력받은 본인확인정보가 사용자 정보 관리부(110)에 기 등록(저장)된 사용자(1)의 정보(일예로, 개인 ID 정보, 이름, 휴대폰 번호, 생체 인증 정보 등)와 매칭하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실제 본인이 맞는지를 온라인을 통해 1차적으로 인증(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금번 입력받은 본인확인정보와 기 등록된 사용자의 정보가 매칭하는 경우, 인증부(150)는 등록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1)가 실제 본인이 맞는 것으로 판단하여, 결과적으로 사용자(1)가 온라인 기반 인증 조건(제1 인증 조건)을 충족하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illustratively, when a registration request signal is generated, the authentication unit 150 receives identity ver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name, a mobile phone number, and biometric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1, and the identity verification received this time By determining whether the information matches the information (for example, personal ID information, name, mobile phone number, biometric authentication information, etc.) of the user 1 pre-registered (stored) in the us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0, Authentication (verification) can be performed primarily through online. At this time, if the identity ver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this time and the information of the previously registered user match, the authentication unit 150 determines that the user 1 corresponding to the registration request signal is actually the person himself, and as a result, the user 1 ) may be determined to be in a state that satisfies the online-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 (first authentication condition).

일예로, 인증부(150)는 온라인 기반 인증 조건(제1 인증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등록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봉사활동 이력의 등록이 불가함을 통지하는 신호(알림)를 등록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기관(즉,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에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online-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 (first authentication condition) is not satisfied, the authentication unit 150 registers a signal (notification) notifying that registration of volunteer activity history is not possible as a response to the registration request signal. It can be provided to the organization (ie, the front-line organization 201 performing the service)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signal.

다음으로, 제2 인증 조건(오프라인 기반 인증 조건)과 관련하여, 인증부(150)는 등록 요청 신호가 발생한 후 온라인 기반 인증 조건(제1 인증 조건)이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후 등록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1)가 실제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에서 봉사활동을 수행한 것이 맞는지를 2차적으로 인증(검증)할 수 있다. 이때, 인증부(150)는 제2 인증 조건의 충족 여부 판단시, 지리적 인증 조건 및 태깅 인증 조건을 충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Next, in relation to the second authentication condition (offline-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 the authentication unit 150 determines that the online-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 (first authentication condition) is satisfied after the registration request signal is generated, and then the registration request signal. It is possible to secondarily authenticate (verify) whether the user 1 corresponding to has actually performed volunteer activities at the front-line organization 201 performing volunteer activities. In this case, when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authentication condition is satisfied, the authentication unit 150 may determine whether the geographical authentication condition and the tagging authentication condition are satisfied.

지리적 인증 조건은, 사용자(1)의 위치와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의 위치가 서로 매칭하는지를 인증하는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지리적 인증 조건의 판단을 위해, 인증부(150)는 사용자(1)가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2)의 위치 정보(GPS 정보)와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의 위치 정보(주소나 지리적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반경, 일예로 200m) 범위 이내에 사용자 단말(2)의 위치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2)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 인증부(150)는 사용자(1)가 오프라인 기반 인증 조건(제2 인증 조건) 내 지리적 인증 조건을 충족하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geographical authentication condition may refer to a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whether the location of the user 1 and the location of the first-line organization 201 match each other. Illustratively, in order to determine the geographical authentication condition, the authentication unit 150 may use location information (GPS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 carried by the user 1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ront-line organization 201 ( address or geographic location information) is acquired, an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2 exists within a range of a preset distance (radius, for example, 200 m) from the location of the service performing organization 201 . At this time, whe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2 exists within a preset distance range, the authentication unit 150 determines that the user 1 satisfies the geographical authentication condition in the offline-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 (second authentication condition). can judge

태깅 인증 조건은, 사용자(1)가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에 자체 부여된 고유 ID(기관 고유 ID 정보)를 오프라인 상에서 태깅했는지를 판단하여 사용자(1)가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의 위치에 위치하는지를 인증하는 조건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태깅 인증 조건의 판단을 위해, 인증부(150)는 일예로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의 건물 내에서 제공하는 일예로 QR코드(이는 봉사수행 일선기관의 기관 고유 ID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QR코드를 의미함) 등을 사용자(1)가 자신이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2)을 이용해 태깅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태깅의 수행으로 인해, 사용자 단말(2)을 통해 식별 가능한 사용자(1)의 개인 ID 정보와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의 기관 고유 ID 정보 간의 매칭 인증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인증부(150)는 사용자(1)가 오프라인 기반 인증 조건(제2 인증 조건) 내 태깅 인증 조건을 충족하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tagging authentication condition determines whether the user 1 has tagged a unique ID (organization-specific ID information) assigned to the first-line service organization 201 offline, so that the user 1 identifies the first-line volunteer organization 201 It may refer to a condition for authenticating whether or not it is located in a location. Illustratively, in order to determine the tagging authentication conditions, the authentication unit 150 provides, for example, a QR code provided in the building of the first-line service organization 201 (which includes the organization-specific ID information of the first-line service organiz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1 has tagged the user 1 using the user terminal 2 that the user 1 carries. At this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matching authentication between the personal ID information of the user 1 identifiable through the user terminal 2 and the organization-specific ID information of the front-line organization 201 is performed due to the tagging, the authentication unit ( 15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1 satisfies the tagging authentication condition in the offline-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 (second authentication condition).

상술한 일예에서는 태깅 인증 방식으로서 QR 코드 인증을 수행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NFC 등 다양한 무선통신 기반의 인증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QR code authentication is illustrated as a tagging authentication method, but this is only an example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based authentication methods such as NFC may be applied. there is.

이때,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을 포함한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0) 각각에 부여되는 고유 ID(기관 고유 ID 정보)는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0)이 본 시스템(1000)에 연동(가입)될 때 발급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nique ID (institution-specific ID information) given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ront-line social welfare institutions 200, including the front-line service organization 201, is linked to the system 1000 by the plurality of front-line social welfare institutions 200. It can be issued at the time of (subscription).

이에 따르면, 인증부(150)는 오프라인 기반 인증 조건(제2 인증 조건)과 관련하여, 지리적 인증 및 태깅 인증(즉, 개인 ID와 기관 고유 ID 간 태깅을 통한 인증) 중 적어도 하나가 정상 인증된 경우, 결과적으로 사용자(1)가 오프라인 기반 인증 조건(제2 인증 조건)을 충족하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in relation to the offline-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 (second authentication condition), the authentication unit 150 determines that at least one of geographic authentication and tagging authentication (that is, authentication through tagging between a personal ID and an institution-specific ID) is properly authenticated. In this case, as a result,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1 is in a state that satisfies the offline-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 (second authentication condition).

즉, 오프라인 기반 인증 조건(제2 인증 조건)은,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사용자(1)가 봉사활동을 수행하는 사회복지 일선기관인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의 기관 고유 ID 정보의 인식(태깅)이 이루어진 경우 및/또는 사용자(1)의 위치와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의 위치가 매칭하는 경우(즉,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충족하는 것으로 인증부(150)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That is, the offline-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 (second authentication condition) recognizes (tagging) the institution-specific ID information of the first-line service organization 201, which is a front-lin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where the user 1 performs volunteer activities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The authentication unit ( 150) can be determined.

여기서, 무선통신이라 함은 일예로 RF(Radio Frequency)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비콘(Beacon) 통신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He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for example, radio frequency (RF) communicatio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communication, Bluetooth communication, beacon communication,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인증부(150)는 오프라인 기반 인증 조건(제2 인증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특히, 지리적 인증 조건 및 태깅 인증 조건 중 적어도 하나가 충족하지 않는 경우), 등록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봉사활동 이력의 등록이 불가함을 통지하는 신호(알림)를 등록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기관(즉,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에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offline-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 (second authentication condition) is not satisfied (in particular, when at least one of the geographical authentication condition and the tagging authentication condition is not satisfied), the authentication unit 150 serves as a response to the registration request signal. A signal (notification) for notifying that registration of the activity history is not possible may be provided to an organization corresponding to the registration request signal (ie, the first-line service organization 201).

제3 인증 조건(블록체인 기반 인증 조건)과 관련하여, 인증부(150)는 등록 요청 신호가 발생한 후 온라인 기반 인증 조건(제1 인증 조건)과 오프라인 기반 인증 조건(제2 인증 조건)이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후 블록체인을 이용해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에 대하여 3차적으로 인증(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Regarding the third authentication condition (blockchain-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 after the registration request signal is generated, the authentication unit 150 satisfies the online-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 (first authentication condition) and the offline-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 (second authentication con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it does, then third-level authentication (verification) can be performed on the volunteer activity time history information using the blockchain.

구체적으로, 인증부(150)는 제3 인증 조건의 충족 여부 판단을 위해, 노드들(즉,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 각각에 대응하는 노드들,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의 회계프로그램들) 간에 블록체인을 통해 기관 고유 ID의 실시간 변조 연동(일예로, 암구호 방식)을 수행하고, 등록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봉사활동 이력(특히,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에 대한 탈중앙화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인증부(150)는 제3 인증 조건과 관련하여 노드 간 검증(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블록체인 기반 인증 방식 내지 탈중앙화 인증 방식은 종래에 기 공지되거나 향후 개발되는 인증 방식이 적용될 수 있는바,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pecifically, the authentication unit 150 intervenes between nodes (that is, nodes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front-line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nd accounting programs of a plurality of front-line social welfare institutions) to determine whether the third authentication condition is satisfied. Through blockchain, it is possible to perform real-time modulation interlocking of institution-specific ID (for example, a password method), and to perform decentralized authentication on volunteer activity history (in particular, volunteer activity time histor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registration request signals. . That is, the authentication unit 150 may perform verification (authentication) between nodes in relation to the third authentication condition. At this time, a previously known authentication method or an authentication method developed in the future may be applied to the blockchain-based authentication method or the decentralized authentication metho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인증부(150)는 블록체인 기반 인증 내지 탈중앙화 인증에 이상이 없으면, 결과적으로 사용자(1)가 블록체인 기반 인증 조건(제3 인증 조건)을 충족하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예로, 인증부(150)는 블록체인 기반 인증 조건(제3 인증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등록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서, 봉사활동 이력의 등록이 불가함을 통지하는 신호(알림)를 등록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기관(즉,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에 제공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authentication unit 150 may determine that the user 1 satisfies the blockchain-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 (third authentication condition) if there is no abnormality in the blockchain-based authentication or the decentralized authentication. For example, if the authentication unit 150 does not satisfy the blockchain-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 (third authentication condition), as a response to the registration request signal, the authentication unit 150 sends a signal (notification) notifying that registration of the volunteer activity history is not possible. It may be provided to an organization corresponding to the registration request signal (ie, the first-line service organization 201).

상술한 바에 따르면, 인증부(150)는 등록 요청 신호가 발생하면, 등록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사용자(1)가 기 설정된 인증 조건(즉, 온라인 기반 인증 조건, 오프라인 기반 인증 조건, 및 블록체인 기반 인증 조건)을 충족하는지 판단하는 인증(검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인증 조건 내지 제3 인증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블록 생성부(120)는 등록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gistration request signal is generated, the authentication unit 150 sets the user 1 corresponding to the registration request signal to preset authentication conditions (ie, online-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s, offline-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s, and blockchain-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s). An authentication (verification) process for determining whether the authentication condition) is satisfied may be performed. In this case, only when all of the first to third authentication conditions are satisfied, the block generating unit 120 may generate a block corresponding to the registration request signal.

상술한 본원의 일예에서는 기 설정된 인증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의 판단함에 있어서, 제1 인증 조건 → 제2 인증 조건 → 제3 인증 조건의 순으로 인증 절차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는 다른 일예로 제2 인증 조건 → 제1 인증 조건 → 제3 인증 조건의 순으로 인증 절차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밖에 상술한 세 단계의 인증 절차의 순서는 변경 가능하다.In the above-described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determining whether a preset authentication condition is satisfied, it is illustrated that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is performed in the order of the first authentication condition → the second authentication condition → the third authentication condition, but this helps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only one example f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present application, as another example, the authentica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in the order of the second authentication condition → the first authentication condition → the third authentication condition, and the order of the above-described three-step authentication process may be changed.

본 시스템(1000) 및 본 장치(100)는, 봉사(봉사활동)의 가치를 시간의 보상으로 전환 가능토록 할 수 있는바, 봉사시간의 저축을 통해 사회보장서비스(사회보장혜택)를 받을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본 시스템(1000) 및 본 장치(100)는 연금 등의 사회보장제도의 한정적인 재원을 시간으로 보완할 수 있으며, 또한, 봉사시간을 블록체인으로 저장, 양도가 가능한 검증된 디지털 바우처(바우처 토큰)로 만들어 제공할 수 있다.This system 1000 and this device 100 can convert the value of volunteering (volunteer activity) into compensation for time, so that social security services (social security benefits) can be received through savings of volunteering time. can provide it. This system 1000 and this device 100 can supplement the limited financial resources of social security systems such as pensions with time, and also, a verified digital voucher (voucher token) that can store and transfer service hours in a blockchain ) can be made and provided.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based on the detail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flow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briefly reviewed.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100)가 바우처 토큰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providing a voucher token by 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a token for a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우처 토큰을 제공하는 과정은 앞서 설명된 본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본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바우처 토큰을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voucher token shown in FIG. 2 may be performed by the device 100 described above. Therefore, even if the content is omitted below, the description of the device 100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voucher token.

도 2를 참조하면, 일예로 봉사활동 시간 이력의 등록을 위해, 사용자(1)는 사용자 단말(2)을 이용해 본 장치(100)로 가입신청(S201)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본 장치(100) 내 사용자 정보 관리부(110)는 통신사/금융기관에 대하여 개인신분 인증요청(S202)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통신사/금융기관으로부터 사용자(1)에 대한 신분 인증(S203)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사 혹은 금융기관에서는 사용자(1)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2)의 전화번호나 공인인증서 등을 통해 사용자(1)에 대한 인증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for example, in order to register a volunteer activity time history, a user 1 may request a subscription (S201) to the apparatus 100 using the user terminal 2. In response, the us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0 in the present device 100 requests personal identity authentication from the communication company / financial institution (S202), and in response, the identity authentication of the user 1 from the communication company / financial institution ( S203) A result may be received. A telecommunications company or a financial institution may hav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the user 1 through a phone number of the user terminal 2 or an authorized certificate for the user 1 .

신분 인증(S203)이 확인되면(즉, 사용자 본인임이 확인되면), 사용자 정보 관리부(110)는 가입신청(S201)의 응답으로서, 사용자(1) 혹은 사용자 단말(2)에 대하여 개인 ID를 생성(S204)하여 발급(제공)하고, 사용자(1)에 대응하는 토큰지갑(11)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신분 인증(S203)이 확인되면, 사용자 정보 관리부(110)는 사용자(1)에 대응하는 토큰지갑(11)을 생성하고 사용자 개인 ID 정보를 발급(즉, 지갑 생성을 통한 개인 ID 발급을 수행)할 수 있다.When identity authentication (S203) is confirmed (ie, when the user's identity is confirmed), the us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0 generates a personal ID for the user 1 or the user terminal 2 as a response to the subscription request S201. It is issued (provided) by (S204), and a token wallet 11 corresponding to the user 1 can be created. That is, when identity authentication (S203) is confirmed, the us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0 creates a token wallet 11 corresponding to the user 1 and issues the user's personal ID information (ie, personal ID issuance through wallet creation). can do).

사용자 정보 관리부(110)는 가입된 사용자(1)의 정보로서 개인 ID 정보, 토큰지갑(사용자 개인의 토큰지갑), 이름, 휴대폰 번호, 생체 인증 정보 등을 서로 연계(결합)하여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The us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10 stores and manages personal ID information, token wallet (user's personal token wallet), name, mobile phone number, and biometric authentication information by linking (combining) each other as information of the subscribed user (1). can

사용자(1)가 가입된 상태에서, 일예로 사용자(1)가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0) 중 어느 하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1)에서 봉사활동을 수행한 경우, 해당 어느 하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1)은 설명의 편의상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이라 지칭될 수 있다.In the state in which the user 1 is subscribed, for example, when the user 1 performs volunteer activities at any one social welfare front-line institution 201 among a plurality of front-line social welfare institutions 200, that one social welfare The welfare frontline organization 201 may be referred to as a service frontline organization 201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사용자(1)가 수행한 봉사활동에 대한 봉사활동 이력(특히,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를 등록하기 위해, 사용자(1)는 일예로 봉사장소(봉사활동 장소)인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의 건물 내 일영역에 마련된 QR코드(오프라인 상 QR 코드, 12)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QR 코드 인증에 대한 설명은 앞서 오프라인 기반 인증 조건(제2 인증 조건) 중 태깅 인증 조건에 대한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했으므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order to register the volunteer activity history (particularly, volunteer activity time history information) for the volunteer activity performed by the user 1, the user 1 is, for example, a volunteer organization (201), which is a volunteer place (volunteer activity place) Authentication can be performed for the QR code (offline QR code, 12) prepared in one area of the building. At this time,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QR code authentica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tagging authentication condition among the offline-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s (second authentication condition), duplicate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below.

인증부(150)는 QR 코드(12) 인증을 통해 사용자(1)가 제2 인증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로 판단되면, 다음으로 일예로 제1 인증 조건을 충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인증부(150)는 제2 인증 조건과 제2 인증 조건(온라인 기반 인증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3 인증 조건(블록체인 기반 인증 조건)을 충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인증부(150)는 제3 인증 조건을 충족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본 장치(100)와는 다른 노드들(101, 102, 103, …), 즉 봉사수행 일선기관(201) 외 다른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 각각에 대응하는 노드들(101, 102, 103, …) 간의 검증(블록체인 기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1 satisfies the second authentication condition through QR code 12 authentication, the authentication unit 150 may determine, for example, whether the first authentication condition is satisfied. Then, when it is determined that both the second authentication condition and the second authentication condition (online-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 are satisfied, the authentication unit 150 may determine whether the third authentication condition (blockchain-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 is satisfied. At this time,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third authentication condition is satisfied, the authentication unit 150 uses a plurality of other nodes 101, 102, 103, ... other than the device 100, that is, the front-line organization 201 other than the service performing organization 201. It is possible to perform verification (blockchain-based authentication) between nodes (101, 102, 103, ...)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이처럼, 제1 인증 조건 내지 제3 인증 조건이 모두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블록 생성부(120)는 등록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등록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블록(13)을 생성할 수 있다. 블록(13)이 생성되면, 토큰 생성부(130)는 봉사수행 일선기관(201)의 담당자에 의해 제공되는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를 블록(13)에 저장(S205)할 수 있다. 이후 토큰 생성부(130)는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가 저장(기록)된 블록을 토큰으로 변환시킴으로써 대체불가능 토큰(NFT, 14)을 생성할 수 있다. As such, when it is determined that all of the first to third authentication conditions are satisfied, the block generating unit 120 may generate the block 13 corresponding to the registration request signal in response to the registration request signal. When the block 13 is generated, the token generation unit 130 may store volunteer activity time history information provided by a person in charge of the volunteer organization 201 in the block 13 (S205). Thereafter, the token generation unit 130 may generate a non-fungible token (NFT) 14 by converting a block in which volunteer activity time history information is stored (recorded) into a token.

이후, 토큰 제공부(140)는 토큰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토큰(즉, 대체불가능 토큰)을 토대로, 사용자(1)에게(특히, 사용자에 대응하는 토큰지갑(11)으로) 봉사활동의 수행에 대한 보상으로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인 바우처 토큰을 제공(S206)할 수 있다.Thereafter, the token providing unit 140 performs service activities to the user 1 (in particular, to the token wallet 11 corresponding to the user) based on the token generated by the token generating unit 130 (ie, the non-fungible token). A voucher token, which is a token for a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may be provided as a reward for the performance of S206.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201 내지 S206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In the foregoing description, steps S201 to S206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Also, some steps may be omitted if necessary, and the order of steps may be changed.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1000)의 동작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al flow of the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issuing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이때, 도 3에 도시된 동작 흐름은 앞서 설명된 본 시스템(10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바,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본 시스템(10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3에 도시된 동작 흐름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flow shown in FIG. 3 can be performed by the present system 1000 described above, even if the content is omitted below,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ystem 1000 is the operation flow shown in FIG. The same can be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1)는 봉사활동을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봉사자 등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고, 이는 개인 혹은 단체일 수 있다. 사용자(1)가 본 장치(100)에 대하여 가입 신청하여 신분 인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본 장치(100)는 사용자(1)에 대응하는 토큰지갑(11)을 생성할 수 있다. 즉, 토큰지갑(11)은 사용자(1) 개인용 토큰지갑을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a user 1 means a person who performs volunteer activities, and may be otherwise referred to as a volunteer or the like, which may be an individual or a group. When the user 1 applies for subscription to the device 100 and identity authentication is normally performed, the device 100 may generate a token wallet 11 corresponding to the user 1 . That is, the token wallet 11 may mean a personal token wallet of the user 1.

사용자(1)는 일예로 공익캠페인 등의 홍보를 보고 사회복지 일선기관(201, 봉사수행 일선기관)에서 공공 봉사활동을 수행(제공)할 수 있다(S301). 사용자(1)가 봉사활동의 수행을 완료하면, 사회복지 일선기관(201)에서는 사용자(1)의 봉사활동 이력의 등록을 요청하는 등록 요청 신호를 본 장치(100)로 제공(요청)할 수 있다. 이후, 본 장치(100)는 기 설정된 인증 조건을 충족하는지 판단하고, 충족하면 사회복지 일선기관(201)으로부터 제공받은 등록 요청 신호를 토대로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를 식별하고, 식별된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를 생성된 블록에 저장(기록, 등록)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0)는 기 설정된 인증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회복지 일선기관(201)으로부터 제공받은 봉사활동 이력 정보(특히,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를 블록에 저장(등록)할 수 있다(S302). 본 장치(100)는 블록에 저장되는 사용자(1)의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1 may perform (provide) public service activities in a front-lin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201, front-line service organization) by viewing publicity campaigns, etc. (S301). When the user 1 completes the volunteer activity, the social welfare front-line institution 201 may provide (request) a registration request signal requesting registration of the user 1's volunteer activity history to the device 100. there is. Thereafter, the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a preset authentication condition is satisfied, and if it is satisfied, identifies volunteer activity time history information based on the registration request signal provided from the social welfare front-line organization 201, and identifies the identified volunteer activity time history. Information can be stored (recorded, registered) in the created block. That is, the device 100 stores (registers) volunteer activity history information (particularly, volunteer activity time history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front-line social welfare institution 201 in a block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reset authentication condition is satisfied. It can (S302). The apparatus 100 may manage volunteer activity time history information of the user 1 stored in a block.

블록에 봉사활동 이력 정보가 등록되면(S302), 그에 대한 보답으로서 본 장치(100)는 사회복지 일선기관(201)에 대하여 대행 수수료로 토큰을 지급할 수 있다(S303). 사회복지 일선기관(201)이 본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은 토큰은 사회복지 일선기관(201)에 대응하도록 기 생성된 토큰지갑(즉, 일선기관 지갑, 15)에 저장되고 관리될 수 있다. 사회복지 일선기관(201)과 본 장치(100) 간에는 인증기관/외부감사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When volunteer activity history information is registered in the block (S302), as a reward therefor, the device 100 may provide a token as an agency fee to the front-line social welfare institution 201 (S303). Tokens provided by the first-line social welfare institution 201 from the device 100 can be stored and managed in a pre-generated token wallet (ie, the first-line institution wallet 15) to correspond to the first-line social welfare institution 201. A certification institution/external audit may be performed between the social welfare front-line organization 201 and the apparatus 100.

본 장치(100)는 토큰생성엔진인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가 저장(기록)된 블록을 토대로 해당 블록에 대응하는 토큰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토큰이 생성될 때 발행 수수료(토큰)(S305)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본 장치(100)에 의해 기 생성된 수수료지갑(16)에 저장될 수 있다.The device 100 may generate a token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block based on a block in which volunteer activity time history information is stored (recorded) by using a blockchain as a token generation engine. At this time, when the token is generated, an issuance fee (token) (S305) may occur, which may be stored in the fee wallet 16 previously generated by the device 100.

사회복지 일선기관(201)과 본 장치(100) 간에는 토큰 환매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회계프로그램 사용료를 제하고 토큰 환매가 이루어질 수 있다. 토큰 환매로 인해 발생되는 토큰은 수수료지갑(16) 및 일선기관 지갑(15) 각각에 저장되고 관리될 수 있다.Token redemption may be made between the social welfare front-line organization 201 and the device 100, and at this time, token redemption may be made after deducting the fee for using the accounting program. Tokens generated by token redemption can be stored and managed in each of the fee wallet 16 and the front-line institution wallet 15.

토큰 생성 이후, 본 장치(100)는 생성된 토큰을 기반으로 사용자(1)에게(특히, 사용자에 대응하는 토큰지갑(11)으로) 보상을 지급(S304)할 수 있다.After generating the token, the device 100 may pay (S304) a reward to the user 1 (in particular, to the token wallet 11 corresponding to the user) based on the generated token.

이때, 단계S304에서, 본 장치(100)는 봉사활동의 수행에 대한 보상으로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인 바우처 토큰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S304에서, 본 장치(100)는 예시적으로 봉사활동 시간의 25%를 인정하여 그에 상응하는 바우처 토큰을 보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인정 비율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추후 상장코인에 의해 가변적으로 조절되거나 혹은 본 시스템(1000)의 관리자(사용자)에 의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step S304, the apparatus 100 may provide a voucher token, which is a token for a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as a reward for performing volunteer activities. In step S304, the apparatus 100 may illustratively recognize 25% of volunteer time and provide a corresponding voucher token as a reward. At this time, as mentioned above, the recognition rate may be variably adjusted later by the listed coin or set differently by the manager (user) of the present system 1000.

사용자(1)는 자신이 봉사활동을 행함에 따라 그에 대한 보상으로 바우처 토큰을 본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고, 제공받은 바우처 토큰은 사용자 자신의 토큰지갑(11)에 저장(보관)될 수 있다.The user 1 may receive a voucher token from the device 100 as a reward for volunteering, and the provided voucher token will be stored (stored) in the user's own token wallet 11. can

사용자(1)는 토큰지갑(11)에 저장된 바우처 토큰을 사회보장서비스를 제공받거나 혹은 사회보장서비스 관련 바우처를 제공받는 데에 사용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타 사용자에게 양도할 수 있다. The user 1 can use the voucher token stored in the token wallet 11 to receive social security services or social security service-related vouchers, and can also transfer it to other users.

한편, 복수의 기업 자원(300)에는 일예로 사회적기업(301)(일예로, 비영리단체 등), ESG 참여기업(302)(일예로, 기부지정단체, 일반기업 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기업 자원(300)(301, 302)은 바우처몰을 입점시키고 바우처몰을 통해 토큰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Meanwhile, the plurality of corporate resources 300 may include, for example, a social enterprise 301 (eg, a non-profit organization, etc.), an ESG participating enterprise 302 (eg, a donation-designated organization, a general corporation, etc.). These plurality of corporate resources 300 (301, 302) can enter the voucher mall and generate token revenue through the voucher mall.

예시적으로, 사용자(1)는 자신의 토큰지갑(11)에 저장된 바우처 토큰 중 적어도 일부의 바우처 토큰을 일예로 사회적기업(301)이 제공하는 바우처몰(301')에 지불(S306)할 수 있다. 바우처 토큰 지불(S306)에 응답하여 사용자(1)는, 바우처몰(301')로부터 지불된 바우처 토큰에 대응하는 사회보장서비스 관련 바우처(일예로, 쿠폰 등)을 제공(발행)받을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1)가 토큰(바우처 토큰)을 지불(S306)하는 행위를 통해, 사회적기업(301)은 토큰 수익을 낼 수 있으며, 벌어들인 토큰을 사회적기업(301)과 관련된 실수요자(301'')의 토큰지갑으로 제공할 수 있다.Illustratively, the user 1 may pay (S306) at least some of the voucher tokens stored in his or her token wallet 11 to the voucher mall 301' provided by the social enterprise 301, for example. there is. In response to the voucher token payment (S306), the user 1 may receive (issue) a social security service related voucher (eg, coupon, etc.) corresponding to the paid voucher token from the voucher mall 301'. In this way, through the act of the user 1 paying the token (voucher token) (S306), the social enterprise 301 can generate token revenue, and the earned token can be used by the end user 301' associated with the social enterprise 301. ') can be provided as a token wallet.

또한, 사용자(1)는 복수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기관(400) 중 어느 하나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기관에 대하여 바우처 토큰을 지불(S307)할 수 있다. 토큰 지불(S307)에 응답하여, 사용자(1)는 지불된 바우처 토큰에 대응하는 사회보장서비스(즉, 사회복지서비스)(17)를 어느 하나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기관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1 may pay a voucher token to any one social welfare service providing institution among a plurality of social welfare service providing institutions 400 (S307). In response to the token payment (S307), the user 1 may receive a social security service (ie, social welfare service) 17 corresponding to the paid voucher token from any one social welfare service providing institution.

한편, 본 장치(100)는 일예로 수수료지갑(16)에 저장된 토큰을 이용하여 ESG 참여기업(302)과 B2B(Business to Business) 거래를 수행(S308)할 수 있다. ESG 참여기업(302)은 바우처몰(302')을 입점시켜 해당 바우처몰(302')을 통해 토큰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또한, ESG 참여기업(302)은 벌어들인 토큰을 이용해 ESG 참여기업(302)과 관련된 실수요자(302'')에게 바우처, 바우처 토큰, 세제혜택 등을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device 100 may perform (S308) a B2B (Business to Business) transaction with the ESG participating company 302 using the token stored in the fee wallet 16, for example. The ESG participating company 302 may enter the voucher mall 302' and generate token revenue through the voucher mall 302'. In addition, the ESG participating company 302 may provide vouchers, voucher tokens, tax benefits, etc. to end users 302 ″ related to the ESG participating company 302 using the earned tokens.

또한, ESG 참여기업(302)과 관련된 실수요자(302'') 및 사회적기업(301)과 관련된 실수요자(301'')를 포함한 모든 사용자들은, 사용자(1)와 마찬가지로 토큰(바우처 토큰)을 지불하는 경우(S309) 복수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기관(400)으로부터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회보장서비스(사회복지서비스, 17)를 제공받을 수 있다(S310).In addition, all users, including end users 302'' related to ESG participating companies 302 and end users 301'' related to social enterprises 301, like user 1, pay tokens (voucher tokens). In case (S309), at least one social security service (social welfare service, 17) provided by a plurality of social welfare service providing institutions 400 may be provided (S310).

이에 따르면, 본 시스템(1000)은 사용자(1)에게 바우처 토큰을 발급할 수 있으며, 바우처 토큰을 토대로 사용자(1)에게 사회보장서비스와 사회보장서비스 관련 바우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he system 1000 can issue a voucher token to the user 1, and can provide social security services and social security service-related vouchers to the user 1 based on the voucher token.

이러한 본 시스템(1000)에 의하면, 사용자(1)(즉, 봉사자, 봉사활동자)들은 봉사활동 제공에 따른 바우처 토큰을 수입으로 얻을 수 있고, 사회보장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1)는 자신의 바우처 토큰을 양도할 수 있는바, 양도문화를 통해 사회에 기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ystem 1000, users 1 (ie, volunteers, volunteers) can obtain voucher tokens as income according to the provision of volunteer activities and can use social security services. In addition, since the user 1 can transfer his or her voucher token, he or she can contribute to society through the transfer culture.

또한, 본 시스템(1000)에 의하면,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200)들은 봉사활동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고, 수수료 토큰 환매에 따른 민간기부금을 할당할 수 있으며, 사회복지 거버넌스를 구축할 수 있는데 기여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is system 1000, a plurality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200 can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volunteer activities, allocate private donations according to fee token redemption, and establish social welfare governance. can contribute

또한, 본 시스템(1000)에 의하면, 복수의 기업 자원(300)(특히, ESG 기업)들은 기업이미지를 제고하고, 세제혜택이 가능하며, 임직원 바우처 제공에 따른 복지혜택의 다각화에 기여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is system 1000, a plurality of corporate resources 300 (in particular, ESG companies) can contribute to improving corporate image, providing tax benefits, and diversifying welfare benefits by providing employee vouchers.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301 내지 S310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In the foregoing description, steps S301 to S310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Also, some steps may be omitted if necessary, and the order of steps may be changed.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1000)에서 제안하는 바우처 발행 기법과 기존의 지역화폐 발행 기법 간의 차이를 표로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table show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ucher issuance technique proposed by the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issuance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the existing local currency issuance technique.

도 4에 도시된 '블록체인 NFT 바우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1000)에서 제안하는 기법으로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즉, 바우처 토큰) 발행 기법을 의미한다. 반면, 도 4에 도시된 '블록체인 지역화폐'는 기존의 지역화폐 발행 기법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전자를 본 제안 기법이라 지칭하고, 후자를 기존 기법이라 지칭한다.The 'blockchain NFT voucher' shown in FIG. 4 is a technique proposed by the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issuance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refers to a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ie, voucher token) issuance technique. On the other hand, the 'blockchain local currency' shown in FIG. 4 refers to the existing local currency issuance techniqu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ormer is referred to as the proposed technique, and the latter is referred to as the existing technique.

도 4를 참조하면, 본 제안 기법과 기존 기법 간에는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Referring to FIG. 4, there are the following differences between the proposed technique and the existing technique.

구체적으로, 본 제안 기법은 사회보장서비스 암호화 바우처(즉, 암호화 바우처 토큰)를 발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반면, 기존 기법은 사회복지예산 대체 암호화 화폐를 발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Specifically, the proposed technique is different in that it aims to issue social security service cryptographic vouchers (i.e., cryptographic voucher tokens), whereas the existing technique aims to issue alternative cryptocurrencies for social welfare budgets.

참여 형태의 경우, 본 제안 기법은 서비스 가입 사회복지 일선기관이 참여하는 형태인 반면, 기존 기법은 지방자치단체가 참여하는 형태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발행주체의 경우, 본 제안 기법은 봉사활동 제공자(즉, 일예로 사회복지 일선기관 등)인 반면, 기존 기법은 지자체로부터 승인 및 허가된 사업주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In the case of the participation type, this proposed method is different in that the first-lin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participating in the service participate, whereas the existing method involves local governments participating. In the case of the issuing entity, this proposed method is a volunteer activity provider (i.e., a front-lin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for example), while the existing method is different in that it is a business entity approved and licensed by the local government.

투입 자원의 경우, 본 제안 기법은 봉사활동 시간인 반면, 기존 기법은 사회복지 예산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본 제안 기법에서는 노드(분산원장)가 본 시스템(10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가입된 사회복지 일선기관(즉, 서비스 가입 사회복지 일선기관)으로서 자체 개발 회계세무 관리프로그램이 설정되는 반면, 기존 기법은 불특정으로 설정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In the case of input resources, this proposed technique differs in that it is volunteer work time, while the existing technique is social welfare budget. In addition, in this proposed technique, a self-developed accounting and tax management program is set as a social welfare front-line institution (ie, a service subscribing social welfare front-line institution) subscribed to the service provided by the system 1000 by the node (distributed ledger), The existing technique is different in that it is set unspecified.

또한, 본 제안 기법에서는, 암호화 및 인증을 수행함에 있어서 1차 온라인 신원 인증(지갑생성), 2차 오프라인 장소인증(체크인관리), 및 3차 블록체인 내 검증을 수행(즉, 제1 인증 조건 내지 제3 인증 조건에 대한 충족 여부를 판단)하는 반면, 기존 기법에서는 1차 온라인 신원인증(지갑생성) 및 2차 블록체인 내 검증만 수행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oposed technique, in performing encryption and authentication, the first online identity authentication (wallet creation), the second offline location authentication (check-in management), and the third blockchain verification (i.e., the first authentication condition) are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third authentication conditions are met), while existing techniques are different in that only the first online identity authentication (wallet creation) and the second verification within the blockchain are performed.

또한, 본 제안 기법에서는 봉사활동시간 이력이 저장되는 블록이 활용되는 반면, 기존 기법에서는 거래내역이 들어간 블록이 활용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본 제안 기법에서는 최초발행물로서 대체불가능 토큰을 제공하는 반면, 기존 기법에서는 최초발행물로서 암호화폐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본 제안 기법은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을 사용자(1)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is proposed method uses a block in which volunteer activity time histories are stored, whereas in the existing method, a block containing transaction details is used. In addition,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proposed method provides a non-fungible token as the initial issue, while the existing method provides cryptocurrency as the initial issue. That is, the proposed technique can provide a token for a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to the user 1.

또한, 본 제안 기법은 사용 범위가 서비스 생태계 내로 설정되는 반면, 기존 기법은 지자체 행정관할구역 내로 설정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본 제안 기법은 발행되는 대체불가능 토큰이 사회보장서비스를 결제하는 수단으로서 활용되는 반면, 기존 기법에서는 발행되는 암호화폐가 지역 현물 결제대행 및 사회복지보상의 수단으로 활용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In addition, this proposed technique differs in that the scope of use is set within the service ecosystem, whereas the existing technique is set within the administrative jurisdiction of a local government. In addition, this proposed technique is different in that the issued non-fungible token is used as a means of payment for social security services, whereas in the existing technique, the issued cryptocurrency is used as a local in-kind settlement agent and as a means of social welfare compensation. .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based on the detail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flow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briefly reviewed.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5 is an operational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a token for a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5에 도시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방법은 앞서 설명된 본 장치(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본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method of providing tokens for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s shown in FIG. 5 may be performed by the device 100 described above. Therefore, even if the content is omitted below, the description of the device 100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the method of providing a token for a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도 5를 참조하면, 단계S11에서 사용자 정보 관리부는 사용자의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in step S11, the us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may register and manage user information.

다음으로, 단계S12에서 블록 생성부는, 사용자가 봉사활동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된 봉사활동 이력의 등록을 요청하는 등록 요청 신호가 발생한 경우, 등록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Next, in step S12, when a registration request signal requesting registration of the volunteer activity history created as the user performs the volunteer activity occurs, the block generation unit may generate a block in response to the registration request signal.

이때, 단계S12에서 블록 생성부는, 기 설정된 인증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step S12, the block generation unit may generate a block only when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condition is satisfied.

여기서, 기 설정된 인증 조건은, 사용자의 개인 신분 인증과 관련된 온라인 기반 인증 조건 및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에 대응하는 노드들 간의 연동을 기반으로 한 블록체인 기반 인증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reset authentication conditions may include online-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s related to user's personal identity authentication and blockchain-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s based on linkage between nod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front-lin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또한, 기 설정된 인증 조건은, 봉사활동 장소 인증과 관련된 오프라인 기반 인증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오프라인 기반 인증 조건은,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봉사활동을 수행하는 사회복지 일선기관인 봉사수행 일선기관의 기관 고유 ID 정보의 인식(태깅)이 이루어진 경우 및/또는 사용자의 위치와 봉사수행 일선기관의 위치가 매칭하는 경우에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t authentication conditions may include offline-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s related to volunteer activity place authentication. Here, the offline-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 is when recognition (tagging) of the organization's unique ID information of the first-lin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where the user performs volunteer activities is performed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and/or the user's location and volunteer performance It can be determined that it satisfies when the locations of the first-line organizations match.

다음으로, 단계S13에서 토큰 생성부는, 봉사활동 이력에 대응하는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를 고려하여 단계S12에서 생성된 블록에 대응하는 토큰을 생성할 수 있다.Next, in step S13, the token generating unit may generate a token corresponding to the block generated in step S12 in consideration of volunteer activity time histor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olunteer activity history.

다음으로, 단계S14에서 토큰 제공부는, 단계S13에서 생성된 토큰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봉사활동의 수행에 대한 보상으로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인 바우처 토큰을 제공할 수 있다.Next, in step S14, the token provision unit may provide a voucher token, which is a token for a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to the user as a reward for performing volunteer activities based on the token generated in step S13.

이때, 단계S13 및 단계S14에서 고려되는 토큰 및 바우처 토큰은, 봉사활동 시간에 대한 가치를 토큰화한 것일 수 있다. 또한, 토큰 및 바우처 토큰은, 사회보장서비스의 제공 및 사회보장서비스 관련 바우처의 발행을 가능하게 하는 토큰화된 디지털 자산인 대체불가능 토큰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tokens and voucher tokens considered in steps S13 and S14 may be tokenized values for volunteering time. In addition, tokens and voucher tokens may be non-fungible tokens, which are tokenized digital assets that enable the provision of social security services and the issuance of vouchers related to social security services.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 내지 S14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In the foregoing description, steps S11 to S14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steps or combined into fewer steps, depending 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some steps may be omitted if necessary, and the order of steps may be changed.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of providing tokens for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 includes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act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또한, 전술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method of providing a token for a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or application executed by a computer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1000: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
1: 사용자 2: 사용자 단말
100: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
110: 사용자 정보 관리부 120: 블록 생성부
130: 토큰 생성부 140: 토큰 제공부
150: 인증부
200: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
300: 복수의 기업 자원
400: 복수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기관
1000: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issuance system
1: user 2: user terminal
100: Token providing device for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110: us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20: block generation unit
130: token generating unit 140: token providing unit
150: authentication unit
200: Multiple social welfare frontline organizations
300: multiple corporate resources
400: multiple social welfare service providers

Claims (7)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로서,
사용자의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
상기 사용자가 봉사활동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된 봉사활동 이력의 등록을 요청하는 등록 요청 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등록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블록을 생성하는 블록 생성부;
상기 봉사활동 이력에 대응하는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블록에 대응하는 토큰을 생성하는 토큰 생성부; 및
생성된 상기 토큰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봉사활동의 수행에 대한 보상으로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인 바우처 토큰을 제공하는 토큰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큰 및 상기 바우처 토큰은, 봉사활동 시간에 대한 가치를 토큰화한 것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
As a token providing device for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s,
a us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registers and manages user information;
a block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block in response to the registration request signal when a registration request signal requesting registration of the volunteer activity history generated as the user performs the volunteer activity;
a token generating unit generating a token corresponding to the block in consideration of volunteer activity time histor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olunteer activity history; and
A token providing unit providing a voucher token, which is a token for a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to the user as a reward for performing the volunteer activity based on the generated token;
The token and the voucher token are tokenized value for volunteering time, a token providing device for a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큰 및 상기 바우처 토큰은, 사회보장서비스의 제공 및 사회보장서비스 관련 바우처의 발행을 가능하게 하는 디지털 자산인 대체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인 것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oken and the voucher token are non-fungible tokens, which are digital assets that enable the provision of social security services and the issuance of vouchers related to social security services. Device for providing tokens for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생성부는, 기 설정된 인증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블록을 생성하되,
상기 기 설정된 인증 조건은, 사용자의 개인 신분 인증과 관련된 온라인 기반 인증 조건 및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에 대응하는 노드들 간의 연동을 기반으로 한 블록체인 기반 인증 조건을 포함하는 것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block generation unit generates the block only when a predetermined authentication condition is satisfied,
The preset authentication conditions include online-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s related to the user's personal identity authentication and blockchain-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s based on linkage between nod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social welfare front-line organizations, social security service Token giving device for vouch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인증 조건은, 봉사활동 장소 인증과 관련된 오프라인 기반 인증 조건을 더 포함하되,
상기 오프라인 기반 인증 조건은,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봉사활동을 수행하는 사회복지 일선기관인 봉사수행 일선기관의 기관 고유 ID 정보의 인식이 이루어진 경우 및/또는 사용자의 위치와 상기 봉사수행 일선기관의 위치가 매칭하는 경우에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것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preset authentication conditions further include offline-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s related to volunteer activity place authentication,
The offline-based authentication condition is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when recognition of the organization-specific ID information of the first-lin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where the user performs volunteer activities is made and/or the user's location and the first-line volunteer organization Token providing device for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s, which is determined to be satisfied when the position of is matched.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으로서,
제1항의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
상기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사용자에게 봉사활동 수행 환경을 제공하는 복수의 사회복지 일선기관;
사회보장서비스 관련 바우처의 발행을 수행하는 복수의 기업 자원; 및
사회보장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기관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기업 자원 각각은, 봉사활동의 수행에 의해 바우처 토큰을 제공받은 사용자로부터 일부 바우처 토큰의 지불이 이루어진 경우, 지불에 응답하여 일부 바우처 토큰에 대응하는 사회보장서비스 관련 바우처를 상기 사용자에게 발행하고,
상기 복수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기관 각각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일부 바우처 토큰의 지불이 이루어진 경우, 지불에 응답하여 일부 바우처 토큰에 대응하는 사회보장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 발행 시스템.
As a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issuance system,
The device for providing tokens for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s in paragraph 1;
a plurality of front-line social welfare institutions that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a network with the device for providing tokens for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s, and provide users with an environment for performing volunteer activities;
A plurality of corporate resources undertaking issuance of vouchers related to social security services;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social welfare service providers providing social security services,
Each of the plurality of corporate resources issues a social security service-related voucher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the voucher token to the user in response to payment when some voucher tokens are paid from a user who has been provided with a voucher token by performing volunteer activities. do,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social welfare service providing institutions provides social security services corresponding to some of the voucher tokens in response to payment when payment of some of the voucher tokens is made from the user, the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issuing system.
제1항의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장치를 통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방법으로서,
(a) 사용자 정보 관리부에서, 사용자의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하는 단계;
(b) 블록 생성부에서, 상기 사용자가 봉사활동을 수행함에 따라 생성된 봉사활동 이력의 등록을 요청하는 등록 요청 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등록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c) 토큰 생성부에서, 상기 봉사활동 이력에 대응하는 봉사활동 시간 이력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블록에 대응하는 토큰을 생성하는 단계; 및
(d) 토큰 제공부에서, 생성된 상기 토큰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봉사활동의 수행에 대한 보상으로서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인 바우처 토큰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토큰 및 상기 바우처 토큰은, 봉사활동 시간에 대한 가치를 토큰화한 것인, 사회보장서비스 바우처용 토큰 제공 방법.
As a method of providing tokens for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s through the token providing device for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s in paragraph 1,
(a) registering and managing user information in a us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b) generating a block in response to the registration request signal when a registration request signal requesting registration of the volunteer activity history generated by the user performing the volunteer activity is generated by the block generator;
(c) generating a token corresponding to the block in consideration of volunteer activity time histor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volunteer activity history; and
(d) providing a voucher token, which is a token for a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to the user as a reward for performing the volunteer activity, based on the generated token, by a token providing unit;
The token and the voucher token are tokenized values for volunteering time, a method for providing a token for a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제6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claim 6 on a computer.
KR1020210108770A 2021-08-18 2021-08-18 Participation reward type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issuance system KR1025063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770A KR102506368B1 (en) 2021-08-18 2021-08-18 Participation reward type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issuanc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770A KR102506368B1 (en) 2021-08-18 2021-08-18 Participation reward type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issuanc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761A true KR20230026761A (en) 2023-02-27
KR102506368B1 KR102506368B1 (en) 2023-03-03

Family

ID=85329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770A KR102506368B1 (en) 2021-08-18 2021-08-18 Participation reward type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issuanc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636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760A (en) * 2010-07-09 2012-01-17 하용진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coupon service
US20160042345A1 (en) * 2014-06-06 2016-02-11 Tyson Kopczynski Token-based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non-cash payments without us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data
KR102095944B1 (en) * 2019-10-23 2020-04-01 박성집 System and method for certifying volunteer activities
KR20200092033A (en) * 2019-01-24 2020-08-03 지쉐어몰 주식회사 Community shared economy platform Business model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lity (CSR)
KR20200137818A (en) * 2019-05-31 2020-12-09 주식회사 구하다 Blockchain-based community operating methods and systems for shopping mall and therefo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760A (en) * 2010-07-09 2012-01-17 하용진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coupon service
US20160042345A1 (en) * 2014-06-06 2016-02-11 Tyson Kopczynski Token-based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non-cash payments without us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data
KR20200092033A (en) * 2019-01-24 2020-08-03 지쉐어몰 주식회사 Community shared economy platform Business model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lity (CSR)
KR20200137818A (en) * 2019-05-31 2020-12-09 주식회사 구하다 Blockchain-based community operating methods and systems for shopping mall and therefore
KR102095944B1 (en) * 2019-10-23 2020-04-01 박성집 System and method for certifying volunteer activi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6368B1 (en) 202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4672B2 (en) System for secure routing of data to various networks from a process data network
US11042878B2 (en) Network node authentication
Ahmad et al. Mobile money, financial inclusion and development: A review with reference to African experience
US10178105B2 (en) System for providing levels of security access to a process data network
US9990625B2 (en) Establishing trust for conducting direct secure electronic transactions between a user and service providers
US20190340689A1 (en) Blockchain instrument for transferable equity
US20150254658A1 (en) Limiting token collaboration network usage by token
US2015027882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ecuting cryptographically secure transactions using voice an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US20150254663A1 (en) Token usage scaling based on determined level of exposure
KR102469533B1 (en) Platform system for pay service and method for pay service using the same
US20150254657A1 (en) Limiting token collaboration network usage by user
Bhardwaj et al. Direct benefit transfer using Aadhaar: improving transparency and reducing corruption
KR102506368B1 (en) Participation reward type social security service voucher issuance system
Dubey et al. Blockchain technology: a solution to address the challenges faced by the international travellers
WO2014013437A2 (en) Transactional account repository
US11748807B1 (en) Community-based digital transaction authentication
Lo et al. OneFeather mobile wallet: A digital solution for Indigenous peoples in Canada?
Song et al. Mobile core-banking server: Cashless, branchless and wireless retail banking for the mass market
CN110462610B (en) Professional service recommendation system
JP2021033420A (en) Settlement device, settlement method and settlement program
KR101504499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alent Donate Bank Service
US20230019045A1 (en) Systems and methods of facilitating trading a stored value card using blockchain
Ramesh et al. NPCI: Chartering a payment freeway
US11475489B1 (en) Community-based digital transaction authentication
US2023023760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urchasing and commercializing real est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