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6627A - 터치 센싱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센싱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6627A
KR20230026627A KR1020210108428A KR20210108428A KR20230026627A KR 20230026627 A KR20230026627 A KR 20230026627A KR 1020210108428 A KR1020210108428 A KR 1020210108428A KR 20210108428 A KR20210108428 A KR 20210108428A KR 20230026627 A KR20230026627 A KR 20230026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data
sensing
correction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8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민
김진용
조재현
김재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Priority to KR1020210108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6627A/ko
Priority to CN202210659984.9A priority patent/CN115708046A/zh
Priority to TW111125404A priority patent/TW202309725A/zh
Priority to US17/869,894 priority patent/US11861104B2/en
Publication of KR20230026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6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6Touch location disambigu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복수의 터치 센서들과 연결되어 터치 센서를 구동하고 센싱 신호를 입력 받는 터치 센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입력부; 및 상기 센싱 데이터를 그룹화하고, 각 그룹의 센싱 데이터에 대해 서로 다른 보정값을 각각 적용하여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치 센싱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Apparatus and Driving Method for Touch Sensing Device}
본 명세서는 터치 센싱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액정을 이용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디스플레이 등이 대표적이다.
최근에는 버튼, 키보드, 마우스 등의 통상적인 입력방식에서 탈피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에 의한 터치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이하,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라 함)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술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센싱 장치를 포함한다.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터치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및 터치 유무 및 터치 좌표(또는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터치 센싱 장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터치 센싱 장치는 터치 센서(또는 터치 전극)들을 구동하여 센싱 데이터를 검출하고, 검출된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터치 유무 또는 터치 좌표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본 발명은 터치 센서들의 불균일한 물리적 특성에 의한 터치 센싱 불량을 개선하기 위한 터치 센싱 장치 및 이를 구동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복수의 터치 센서들과 연결되어 터치 센서를 구동하고 센싱 신호를 입력 받는 터치 센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입력부; 및 상기 센싱 데이터를 그룹화하고, 각 그룹의 센싱 데이터에 대해 서로 다른 보정값을 각각 적용하여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싱 장치 및 이를 구동하는 방법은 각 센싱 데이터에 대해 보정하지 않고, 복수의 터치 센서에 대응하는 그룹의 센싱 데이터들에 대해 동일한 보정값을 적용하여 보정하기 때문에, 리드아웃 집적회로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리드아웃 집적회로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싱 장치 및 이를 구동하는 방법은 센싱 데이터를 보정하여 터치 센서들의 불균일한 물리적 특성에 의한 터치 센싱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기간과 터치 센싱 기간에 대한 타이밍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구동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구동 장치에 의해 센싱된 센싱 데이터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구동 장치의 구동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4의 일부분에 대한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핵심 구성과 관련이 없는 경우 및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공지된 구성과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항목, 제2 항목 또는 제3 항목 각각뿐만 아니라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기간과 터치 센싱 기간에 대한 타이밍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구동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구동 장치에 입력된 센싱 데이터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100),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10) 및 터치 센싱 장치(22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디스플레이 기능과 터치 센싱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LCD)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Organic Light Emitting Diode:OLED)와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기간(DP)와 터치 센싱 기간(TP)으로 동작할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디스플레이 기간(DP)동안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고, 터치 센싱 기간(TP) 동안 터치 센싱을 위한 터치 패널의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터치 센싱 기간(TP)은 터치 센싱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 하나의 프레임을 의미할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소정 계조의 영상을 표시하거나 터치를 입력 받는다.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정전용량방식을 이용한 인셀(In-cell) 터치 타입의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또는,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자기정전용량(Self Capacitance) 방식을 이용한 인셀 터치 타입의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상호정전용량(Mutual Capacitance) 방식을 이용한 인셀 터치 타입의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복수 개의 게이트 라인(G1~Gm), 복수 개의 데이터 라인(D1~Dn), 복수 개의 픽셀(P), 복수 개의 터치 센서(TE) 및 복수 개의 터치 라인(T1~Tk)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게이트 라인(G1~Gm) 각각은 디스플레이 기간(DP)시 스캔 펄스를 입력받는다. 복수 개의 데이터 라인(D1~Dn) 각각은 디스플레이 기간(DP)시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는다. 복수 개의 게이트 라인(G1~Gm)과 복수 개의 데이터 라인(D1~Dn) 각각은 기판 상에 서로 교차하도록 위치하여 복수 개의 픽셀 영역을 정의한다. 복수 개의 픽셀(P) 각각은 인접한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에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미도시),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픽셀 전극(미도시) 및 픽셀 전극에 연결된 스토리지 커패시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터치 센서(TE) 각각은 터치를 센싱하는 터치 전극의 역할을 수행하거나 픽셀 전극과 함께 전계를 형성시켜 액정을 구동시키는 공통 전극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터치 센서(TE) 각각은 터치 센싱 기간(TP)시 터치 전극으로 이용되고, 디스플레이 기간(DP)시 공통 전극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터치 센서(TE) 각각은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 개의 터치 센서(TE) 각각은 터치 센싱 기간(TP)시 자기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로 사용되기 때문에 터치 객체와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100) 간의 최소 접촉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가져야 한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터치 센서(TE) 각각은 하나 이상의 픽셀(P)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복수 개의 터치 센서(TE)는 복수 개의 수평 라인과 복수 개의 수직 라인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터치 센서(TE) 각각은 디스플레이 기간(DP)시 복수 개의 터치라인(T1~Tk) 각각은 해당하는 터치 센서(TE)에 공통 전압을 공급한다. 복수 개의 터치 라인(T1~Tk) 각각은 복수 개의 터치 센서(TE) 각각에 개별적으로 연결된다.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210)는 디스플레이 기간(DP)시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포함된 복수 개의 픽셀(P)에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도록 하여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통해 영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구동부(210)는 타이밍 컨트롤러(211), 게이트 구동 장치(212) 및 데이터 구동 장치(213)을 포함한다.
타이밍 컨트롤러(211)는 외부 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수직 동기 신호(Vsync), 수평 동기 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DE: Data Enable) 신호, 클럭 신호(CLK) 등을 포함하는 각종 타이밍 신호들을 수신하여 게이트 구동 장치(212)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 신호(GCS: Gate Control signal) 및 데이터 구동 장치(213)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신호(DCS: Data Control Signal)를 생성한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211)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영상신호(RGB)를 수신하여 데이터 구동 장치(213)에서 처리 가능한 형태의 영상신호(RGB')로 전환하여 출력한다.
한편, 타이밍 컨트롤러(211)는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외부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미리 설정된 디스플레이 기간(DP) 내로 압축하여 내부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internal Data Enable: iDE)를 발생시킬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211)는 수직동기신호(Vsync)와 내부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의 타이밍에 맞추어 1 프레임 기간(1F)을 디스플레이 기간(DP)과 터치 센싱 기간(TP)로 시분할하는 터치 동기 신호(Tsync)를 생성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211)는 터치 동기 신호(Tsync)를 게이트 구동 장치(212), 데이터 구동 장치(213), 터치 구동 장치(221), 및 터치 컨트롤러(222)로 전송할 수 있다.
호스트 시스템은 디지털 영상데이터를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하기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한다. 호스트 시스템은 디지털 영상데이터와 함께 타이밍 신호들을 타이밍 컨트롤러(211)로 전송한다. 호스트 시스템은 텔레비전 시스템, 셋톱박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개인용 컴퓨터(PC), 홈 시어터 시스템, 폰 시스템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되어 입력영상을 수신한다.
한편, 호스트 시스템은 터치 컨트롤러(222)로부터 터치 입력 좌표를 수신하고, 수신된 터치 입력 좌표에 연계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 장치(212)는 디스플레이 기간(DP) 동안 타이밍 컨트롤러(211)로부터 게이트 제어 신호(GCS)를 수신받는다. 게이트 제어신호(GCS)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 GSP), 게이트 쉬프트 클럭(Gate Shift Clock; GSC), 및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 신호(Gate Output Enable; GO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 장치(212)는 수신 받은 게이트 제어 신호(GCS)를 통해 데이터 신호에 동기되는 게이트 펄스(또는 스캔 펄스)를 발생하고, 발생된 게이트 펄스를 쉬프트하여 게이트 라인들(G1~Gm)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 게이트 구동 장치(212)는 복수개의 게이트 드라이브 IC(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브 IC들은 디스플레이 기간(DP) 동안 타이밍 컨트롤러(211)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 신호와 동기되는 게이트 펄스를 게이트 라인들(G1~Gn)에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데이터 신호가 기입되는 데이터 라인을 선택한다. 게이트 펄스는 게이트 하이전압과 게이트 로우전압 사이에서 스윙한다.
게이트 구동 장치(212)는 터치 센싱 기간(TP) 동안 게이트 펄스를 발생하지 않고 게이트 로우전압(VGL)을 게이트 라인들(G1~Gm)에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게이트 라인들(G1~Gm)은 디스플레이 기간(DP) 동안 게이트 펄스를 각 픽셀들의 박막 트랜지스터(TFT)에 공급하여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데이터 신호가 기입될 데이터 라인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터치 센싱 기간(TP) 동안 게이트 로우전압을 유지하여 터치 센서들의 출력 변동을 방지한다.
데이터 구동 장치(213)는 디스플레이 기간(DP) 동안 타이밍 컨트롤러(211)로부터 데이터 제어 신호(DCS) 및 영상신호(RGB')를 수신받는다. 데이터 제어신호(DCS)는 소스 스타트 펄스(Source Start Pulse; SSP), 소스 샘플링 클럭(Source Sampling Clock; SSC), 및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Source Output Enable: SO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스타트 펄스는 데이터 구동 장치(213)를 구성하는 n개의 소스 드라이브 IC(SDIC)의 데이터 샘플링 시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소스 샘플링 클럭은 소스 드라이브 IC(SDIC) 각각에서 데이터의 샘플링 타이밍을 제어하는 클럭 신호이다. 소스 출력 인에이블 신호는 각 소스 드라이브 IC(SDIC)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한다.
또한, 데이터 구동 장치(213)는 수신한 영상신호(RGB')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복수 개의 데이터 라인(D1~Dn)을 통해 픽셀(P)들에 공급한다.
터치 센싱 장치(220)는 터치 센싱 기간(TP)시 터치 센서(TE)들을 통해 터치를 센싱한다. 구체적으로, 터치 센싱 장치(220)는 터치 센서(TE)들로부터 터치 구동 신호를 공급하여 터치 센서(TE)을 구동하고, 터치 센서(TE) 터치시 발생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센싱한다.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상호정전용량 방식(Mutual Capacitance Type)으로 구현되는 경우, 리드 아웃 집적회로(ROIC)는 터치 센서(TE)를 구동시키기 위한 터치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터치 라인(T1~Tk)을 통해 터치 센서(TE)들로 공급하는 구동 회로, 터치 라인(T1~Tk)을 통해 터치 센서(TE)들의 용량 변화를 센싱하여 터치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싱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자기정전용량 방식(Self Capacitance Type)으로 구현되는 경우, 리드 아웃 집적회로(ROIC)는 하나의 회로를 이용하여 터치 구동 신호를 터치 센서(TE)들로 공급하고 터치 센서(TE)들로부터 터치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터치 센싱 장치(220)는 터치 구동 장치(221) 및 터치 컨트롤러(222)를 포함한다.
터치 구동 장치(221)는 터치 센싱 기간(TP) 동안 터치 센서(TE)들을 구동함으로써 터치 센서(TE)들로부터 터치 센싱 신호를 수신한다. 터치 구동 장치(221)는 수신한 터치 센싱 신호를 터치 센싱 데이터로 변환하여 터치 컨트롤러(222)로 전송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구동 장치(221)는 복수 개의 리드아웃 집적회로(ROIC1~ROICn)를 포함한다.
리드 아웃 집적회로(ROIC1~ROICn)는 디스플레이 기간(DP) 동안 터치 라인(T1~Tk)을 통해 터치 센서들(TE)로 공통전압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터치 센서(TE)들은 디스플레이 기간(DP) 동안 공통 전극으로써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소스 드라이브 집적회로(SDIC)와 리드아웃 집적회로(ROIC1~ROICn)가 별개의 구성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소스 드라이브 집적회로(SDIC)와 리드아웃 집적회로(ROIC1~ROICn)는 하나의 칩에 통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각 리드아웃 집적회로(ROIC1~ROICn)는 입력부(221a), 보정부(221b) 및 출력부(221c)를 포함한다.
입력부(221a)는 터치 센싱 기간(TP) 동안 터치 센서(TE)로부터 터치 센싱 신호(ts)를 입력 받고, 입력 받은 터치 센싱 신호(ts)를 이용하여 센싱 데이터(sd)를 생성한다. 특히, 입력부(221a)는 터치 센싱 기간(TP)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대응되는 터치 센싱 신호(ts)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221a)는 터치 센서(TE)로부터 제1 주파수(f1)에 따라 터치 센싱 신호(ts)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때, 제1 주파수(f1)는 후술할 제2 주파수(f2)와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으며, 특히 더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제1 주파수(f1)와 제2 주파수(f2)의 관계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터치 센서(TE)가 균일하게 형성된 제1 영역(A1) 및 터치 센서(TE)가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은 제2 영역(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A1)에 위치하는 터치 센서(TE)들은 균일한 물리적 특성을 갖기 때문에 균일한 터치 센싱 신호(ts)를 터치 센싱 장치에 전송할 수 있으나, 제2 영역(A2)에 위치하는 터치 센서(TE)들은 불균일한 물리적 특성으로 인한 센싱 불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A1)은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센터(center) 부분일 수 있고, 제2 영역(A2)은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엣지(edge)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정부(221b)는 입력부(221a)에서 생성된 센싱 데이터(sd) 중 제2 영역(A2)에 위치하는 터치 센서(TE)에 대응되는 센싱 데이터(sd)를 보정 데이터(td)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보정부(221b)는 제2 영역(A2)에 위치하는 터치 센서(TE)에 대응되는 센싱 데이터(sd)를 각 센싱 데이터(sd)의 위치에 따라 구분하고, 위치에 따라 구분된 센싱 데이터(sd)를 값에 따라 그룹화하여 두 개 이상의 그룹으로 구분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부(221b)는 서로 인접하여 위치하는 센싱 데이터(sd)들을 서로 유사한 값을 갖는 그룹으로 구분하거나, 미리 정해진 경계값을 기준으로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센싱 데이터들 중 일부는 '1244','1629'의 유사한 값을 갖는 센싱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그룹(Group1) 및 '3312', '3548'의 유사한 값을 갖는 센싱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그룹(Group2)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는,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센싱 데이터들 중 일부는 센싱 데이터의 중간값인'2047'보다 작은 값인 '1244','1629'의 값을 갖는 센싱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그룹(Group1) 및 '2047'보다 큰 값인 3312', '3548'의 값을 갖는 센싱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그룹(Group2)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정부(221b)는 각 그룹에 대해 서로 다른 보정값을 적용하여 보정 데이터(td)를 생성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정부(221b)는 각 프레임에서 서로 다른 그룹에 대해 서로 다른 보정값을 적용하여 보정 데이터(td)를 생성하고, 생성된 보정 데이터(td)들을 조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영역(A2)에 위치하는 터치 센서에 대응되는 센싱 데이터(sd)들이 제1 주파수(f1)로 입력부(221a)에 입력되고, 제1 주파수(f1)과 다른 제2 주파수(f2)로 보정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정부(221b)는 입력부(221a)로부터 제1 주파수(f1)로 센싱 데이터(sd)들을 입력 받고,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 영역(A1)에 위치하는 터치 센서(TE)에 대응되는 센싱 데이터(sd)를 제1 주파수(f1)로 출력하고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2 영역(A2)에 위치하는 터치 센서(TE)에 대응되는 센싱 데이터(sd)를 보정하여 제2 주파수(f2)로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21c)는 보정부(221b)에서 생성된 보정 데이터(td)를 제2 주파수(f2)에 따라 터치 컨트롤러(222)로 전송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싱 장치의 구동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구동 장치에 의해 센싱된 센싱 데이터들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구동 장치의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일부분에 대한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2 영역(A2)에 위치하는 터치 센서(TE)에 대응되는 센싱 데이터(sd)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두 개 이상의 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영역(A2)에 위치하는 터치 센서(TE)들에 대응하는 센싱 데이터(sd)들은 제1 그룹(Group 1) 및 제2 그룹(Group 2)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그룹으로 구분되는 센싱 데이터(sd)들은 서로 유사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보정부(221b)는 센싱 데이터(sd)들을 그룹으로 구분하고, 각 그룹의 센싱 데이터에 대해 서로 다른 보정값을 적용하여 보정한다. 이에 따라, 보정부(221b)는 각 센싱 데이터(sd)에 대해 보정하지 않고, 복수의 터치 센서(TE)에 대응하는 각 그룹의 센싱 데이터(sd)에 대해 동일한 보정값을 적용하여 보정하기 때문에, 리드아웃 집적회로(ROIC1~ROICn)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리드아웃 집적회로(ROIC1~ROICn)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입력부(221a)는 각 프레임(1frame, 2frame)에서 센싱 데이터(sd)를 입력 받는다(s501).
이후, 보정부(221b)는 센싱 데이터들을 n(n은 2이상의 정수)개의 그룹으로 구분한다(s502). 예를 들어, 보정부(221b)는 제1 내지 제4 센싱 데이터(sd1~sd4)를 n(n은 2이상의 정수)개의 그룹으로 구분한다. 즉, 보정부(221b)는 센싱 데이터(sd1~sd4)들을 제1 그룹(Group1) 및 제2 그룹(Group2)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보정부(221b)는 서로 인접하는 터치 센서에 대응되는 센싱 데이터(sd)들을 구분하고, 구분된 센싱 데이터(sd)들을 서로 유사한 값을 갖는 그룹으로 구분하거나, 미리 정해진 경계값을 기준으로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센싱 데이터(sd1, sd2)는 1000이상 2000이하의 값을 가져 서로 유사한 값을 갖기 때문에 제1 그룹(Group1)을 구성하고, 제3 및 제4 센싱 데이터(sd3, sd4)는 3000이상 4000이하의 값을 가져 서로 유사한 값을 갖기 때문에 제2 그룹(Group2)을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제1 및 제2 센싱 데이터(sd1, sd2)는 2047이하의 값을 가져 제1 그룹(Group1)을 구성하고, 제3 및 제4 센싱 데이터(sd3, sd4)는 2047 초과의 값을 가져 제2 그룹(Group2)을 구성할 수 있다.
이후, 보정부(221b)는 i프레임(iframe)(i는 1이상 n이하의 정수)에서 제i 그룹(Groupi)에 대해 제i 보정값(ti)을 적용하여 보정한다(s503). 예를 들어, 센싱 데이터(sd1~sd4)들은 2(n=2)개의 제1 및 제2 그룹(Group1, Group2)으로 구분되고, 1프레임(1frame)에서 제1 그룹(Group1)의 제1 및 제2 센싱 데이터(sd1, sd2)에 대해 제1 보정값(t1)을 각각 적용하여 제1 및 제2 보정 데이터(td1, td2)를 생성하고, 2프레임(2frame)에서 제2 그룹(Group2)의 제3 및 제4 센싱 데이터(sd3, sd4)에 대해 제2 보정값(t2)을 각각 적용하여 제3 및 제4 보정 데이터(td3, td4)를 생성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프레임(1frame)에서 '1244'값을 갖는 제1 그룹(Group1)의 제1 센싱 데이터(sd1)에 제1 보정값(t1)인 800을 더하여 '2044' 값을 갖는 제1 보정 데이터(td1)를 생성하고, '1629'값을 갖는 제1 그룹(Group1)의 제2 센싱 데이터(sd2)에 제1 보정값(t1)인 800을 더하여 '2429' 값을 갖는 제2 보정 데이터(td2)를 생성하고, 2프레임(2frame)에서 '3312'값을 갖는 제2 그룹(Group2)의 제3 센싱 데이터(sd3)에 제2 보정값(t2)인 -1400을 더하여 '1912' 값을 갖는 제3 보정 데이터(td3)를 생성하고, '3548'값을 갖는 제2 그룹(Group2)의 제4 센싱 데이터(sd4)에 제2 보정값(t2)인 -1400을 더하여 '2148' 값을 갖는 제4 보정 데이터(td4)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1프레임(1frame)에서 제1 그룹(Group1)의 제1 및 제2 센싱 데이터(sd1, sd2) 및 2프레임(2frame)에서 제2 그룹(Group2)의 제3 및 제4 센싱 데이터(sd3, sd4)들이 각각 서로 다른 보정값으로 보정되어 그 편차가 감소하고 서로 유사한 값을 갖는 제1 및 제2 보정 데이터(td1, td2) 및 제3 및 제4 보정 데이터(td3, td4)로 변환된다.
이후, 보정부(221b)는 1프레임 내지 n프레임(1frame~nframe)의 각 제1 내지 제n 그룹(Group1~Groupn)의 보정 데이터들을 조합하여 출력한다(s504).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부(221b)는 1프레임(1 frame)에서 제1 그룹(Group1)의 제1 및 제2 보정 데이터(td1, td2)와 2프레임(2 frame)에서 제2 그룹(Group2)의 제3 및 제4 보정 데이터(td3, td4)를 조합한다. 이에 따라, 보정 후 주파수는 보정 전 주파수의 1/n의 주파수로 보정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정부(221b)는 60Hz의 제1 주파수(f1)로 입력받은 2개의 프레임에서 각각 보정된 제1 내지 제4 보정 데이터(td1~td4)를 30Hz의 제2 주파수(f2)로 보정 데이터를 터치 컨트롤러(222)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정부(221b)는 입력부(221a)로부터 제1 주파수(f1)에 따라 센싱 데이터들을 입력 받고,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1 영역(A1)에 대응되는 센싱 데이터를 제1 주파수(f1)로 출력하고 터치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2 영역(A2)에 위치하는 터치 센서(TE)에 대응되는 센싱 데이터(sd)를 보정하여 제1 주파수(f1)의 1/n인 제2 주파수(f2)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되어 있는 방법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 구성요소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 또는 기계 판독 가능한 매체를 통해 일련의 컴퓨터 지시어들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시어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ASICs, FPGAs, DSPs, 또는 그 밖의 다른 유사 소자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지시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다른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프로세서 또는 다른 하드웨어 구성은 상기 일련의 컴퓨터 지시어들을 실행할 때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 및 절차들의 모두 또는 일부를 수행하거나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디스플레이 장치 100: 디스플레이 패널
210: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211: 타이밍 컨트롤러
212: 게이트 구동 장치 213: 데이터 구동 장치
220: 터치 센싱 장치 221: 터치 구동 장치
222: 터치 컨트롤러

Claims (16)

  1. 복수의 터치 센서들과 연결되어 터치 센서를 구동하고 센싱 신호를 입력 받는 터치 센싱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입력부; 및
    상기 센싱 데이터를 그룹화하여 각 그룹의 센싱 데이터에 대해 서로 다른 보정값을 각각 적용하여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제1 내지 제n(n은 1보다 큰 정수) 프레임 각각에서 센싱 데이터들을 입력 받고,
    상기 보정부는 상기 제1 내지 제n 프레임 각각에서 입력 받은 센싱 데이터들을 값에 따라 제1 내지 제n 그룹으로 구분하고, 제i(i는 1이상 n이하의 정수) 프레임에서 제i 그룹을 구성하는 센싱 데이터들에 대해 제i 보정값을 적용하여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n 프레임에서 상기 제1 내지 제n 그룹에 대해 생성된 각 보정 데이터들을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제1 주파수로 센싱 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보정부는 상기 제1 내지 제n 그룹에 대한 보정 데이터를 조합하여 제1 주파수의 1/n인 제2 주파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제1 주파수로 상기 센싱 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보정부는 상기 보정 데이터를 상기 제1 주파수와 다른 제2 주파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제1 주파수로 센싱 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보정부는 상기 센싱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주파수와 다른 값인 제2 주파수로 출력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 중 다른 일부를 상기 제1 주파수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센싱 데이터를 값에 따라 제1 내지 제n 그룹으로 구분하고,
    제i(i는 1이상 n이하의 정수) 프레임에서 제i 그룹을 구성하는 센싱 데이터들에 대해 제i 보정값을 적용하여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상기 제1 내지 제n 그룹의 보정 데이터를 조합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싱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데이터는 미리 정해진 경계값을 기준으로 그룹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싱 장치.
  9. 복수의 터치 센서들과 연결되어 터치 센서를 구동하고 센싱 신호를 입력 받는 터치 센싱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센싱 신호를 이용하여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센싱 데이터가 제1 내지 제n 그룹으로 구분되는 단계; 및
    각 그룹의 센싱 데이터에 대해 서로 다른 보정값을 적용하여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싱 장치의 구동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데이터가 제1 내지 제n 그룹으로 구분되는 단계에서,
    상기 센싱 데이터가 값에 따라 제1 내지 제n 그룹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싱 장치의 구동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데이터들이 값에 따라 제1 내지 제n 그룹으로 구분되는 단계에서, 상기 센싱 데이터는 미리 정해진 경계값을 기준으로 그룹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싱 장치의 구동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내지 제n 그룹에 대해 서로 다른 다른 보정값을 각각 적용하여 생성한 보정 데이터들을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싱 장치의 구동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데이터를 조합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터치 센서로부터 센싱 신호를 입력받아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센싱 신호는 제1 주파수로 입력받고,
    상기 보정 데이터를 조합하여 출력하는 단계에서 조합된 보정 데이터는 상기 제1 주파수와 다른 제2 주파수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싱 장치의 구동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파수는 상기 제1 주파수의 1/n인 것은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싱 장치의 구동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각 그룹의 센싱 데이터에 대해 서로 다른 보정값을 적용하여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센싱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해 서로 다른 보정값을 적용하여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싱 장치의 구동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주파수와 다른 제2 주파수에 따라 출력되고, 센싱 데이터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제1 주파수에 따라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싱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210108428A 2021-08-18 2021-08-18 터치 센싱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3002662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428A KR20230026627A (ko) 2021-08-18 2021-08-18 터치 센싱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N202210659984.9A CN115708046A (zh) 2021-08-18 2022-06-13 触摸感测装置及其驱动方法
TW111125404A TW202309725A (zh) 2021-08-18 2022-07-06 觸摸感測裝置及其驅動方法
US17/869,894 US11861104B2 (en) 2021-08-18 2022-07-21 Touch sensing device having group correction unit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428A KR20230026627A (ko) 2021-08-18 2021-08-18 터치 센싱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627A true KR20230026627A (ko) 2023-02-27

Family

ID=85212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428A KR20230026627A (ko) 2021-08-18 2021-08-18 터치 센싱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61104B2 (ko)
KR (1) KR20230026627A (ko)
CN (1) CN115708046A (ko)
TW (1) TW202309725A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036B1 (ko) 2011-11-15 2014-11-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1617143B1 (ko) * 2012-12-19 2016-05-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터치 인식 방법
KR101738864B1 (ko) 2015-06-01 2017-05-23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압력을 감지하는 터치 입력 장치의 감도 보정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GB2544307B (en) * 2015-11-12 2018-02-07 Cambridge Touch Tech Ltd Processing signals from a touchscreen panel
CN105760017A (zh) * 2016-02-17 2016-07-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屏的驱动方法和驱动集成电路
CN111752420B (zh) * 2019-03-27 2024-04-30 松下汽车电子系统株式会社 显示系统、控制装置、控制方法及显示装置
US11353988B1 (en) * 2021-02-19 2022-06-07 Himax Technologies Limited Touch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touch display panel
US11443546B1 (en) * 2021-04-19 2022-09-13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Fingerprint sensing signal correction method and devic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61104B2 (en) 2024-01-02
US20230057889A1 (en) 2023-02-23
CN115708046A (zh) 2023-02-21
TW202309725A (zh) 2023-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4018B1 (ko) 터치 스크린 구동 장치 및 방법
US9880649B2 (en) Touch, pen and force sensor operation with variable refresh displays
JP6084186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20160188006A1 (en) Touch screen device
TW201610798A (zh) 觸控感測裝置及使用該觸控感測裝置的顯示裝置
TWI514218B (zh) 具有整合型觸控螢幕的顯示裝置及其驅動方法
US10048797B2 (en) Display device with data line precharging at boundary between touch driving period and display driving period
KR102007817B1 (ko) 기준 데이터 보정방법과 이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장치
KR20140129832A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257980B1 (ko) 터치 스크린 장치
KR102235497B1 (ko) 표시장치
US11500495B2 (en) Touch display device
KR20230026627A (ko) 터치 센싱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11797125B2 (en) Driving apparatus for touch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for touch display device
KR20160059549A (ko) 저지연 터치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20230205348A1 (en) Touch sensing device and touch display driving device
KR20160037307A (ko) 인셀 터치방식 액정표시장치
US11307700B2 (en) Tim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emission of emission element for recognizing touch coordinate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555864B1 (ko) 터치 구동 회로, 터치 컨트롤러 및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US11308863B2 (en) Tim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emission of emission element for recognizing touch coordinate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30083448A (ko) 터치 센싱 장치 및 터치 센싱 방법
KR102513384B1 (ko) 터치 센서 내장형 표시장치
KR20230017505A (ko) 터치 센싱 장치 및 이를 구동하는 방법
CN113253867A (zh) 定时控制器及包括其的电子装置
CN113253868A (zh) 定时控制器及包括其的电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