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5980A - 그룹앱 다운로드 가능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그룹앱 다운로드 가능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5980A
KR20230025980A KR1020210107815A KR20210107815A KR20230025980A KR 20230025980 A KR20230025980 A KR 20230025980A KR 1020210107815 A KR1020210107815 A KR 1020210107815A KR 20210107815 A KR20210107815 A KR 20210107815A KR 20230025980 A KR20230025980 A KR 20230025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
display device
present
display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맥스젠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맥스젠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맥스젠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210107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5980A/ko
Publication of KR20230025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59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6Schedule adjustment for a person or gro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xicolog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그룹앱 다운로드 가능한 표시장치에서, 발명의 설명의 기재사항 및 도면에 도시된 사항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그룹앱 다운로드 가능한 표시장치{Apparatus of display for downloading group app}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룹(group)화된 그룹앱을 포함하는 통합모드(mode)가 다양한 상황에 부합되도록 적절하게 변환이 가능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는 액정표시소자(LC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전기영동표시장치(EPD)와 같은 디스플레이가 화면을 형성한다. 표시장치에는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터치스크린을 채용되고, 터치스크린의 전면에는 외부의 충격이나 접촉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표시장치를 보호하는 윈도우가 배치된다. 최근에는 플렉시블 및 휘어진 디스플레이의 등장으로 그에 부응하는 윈도우도 출현하고 있다. 한편,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다양한 앱(app)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앱은 유튜브, 페이스북, 지도, 결제시스템, 알람뿐만 아니라, 게임, 배달, 음식점, 각종 취향, 각종 산업에 걸쳐 삶의 전반에 깊숙하게 자리를 잡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국내공개특허 제2012-0069318호와 같이 그룹 앱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이 제시되었으나, 상황에 따른 앱 또는 앱들을 사용자에게 적절하게 제공하지 못한다. 예컨대, 상기 그룹앱은 사용자의 소속, 의도 등과 같은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사용자는 상기 상황에 적합하고 유용한 그룹앱을 검색하기 어렵고, 검색하는 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상기 그룹앱이 즉시 변환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소속, 의도 등의 상황에 부합하는 그룹앱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다운로드되는 그룹앱 다운로드 가능한 표시장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발명의 설명의 기재사항 및 도면에 도시된 사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그룹앱 다운로드 가능한 표시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소속에 부합하는 그룹앱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다운로드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그룹앱을 다운로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의 상황에 부합하는 그룹앱을 다운로드함으로써, 사용자의 소속, 의도 등의 상황에 따라 그룹앱을 다운로드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장치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그룹앱은 상기 상황에 따라 생성되고 변환되는 소프트웨어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소프트웨어는 상황에 부합하는 하나 이상의 앱(app)을 필수적으로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배경화면, 이미지, 음악, 동영상, 응용 프로그램, 통합모드 운영 프로그램, 운영체계 중의 하나 이상의 부가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상황에 부합하도록 생성되고 변환되는 승인용 프로그램, 인식용 프로그램, 보안용 프로그램 등이 있으며, 상기 운영 프로그램은 상기 통합모드가 동작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고, 운영체계(operation system)는 표시장치를 구동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상기 운영체계에는 안드로이드, IOS 등이 있다. 상기 운영체계에 의하여 앱(app), 배경화면, 이미지, 음악, 동영상, 응용 프로그램 및 통합모드가 동작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구동된다.
상기 운영체계는 특정집단, 특정지역 등과 같이 특정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국방, 우주산업, 교육 등에 관련된 표시장치는 거기에 부합되는 별도의 운영체계를 채용할 수 있고, 인도, 중국, 미국 등과 같이 국가는 별도의 운영체계를 적용한 표시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운영체계는 상기 특정 목적에 따라 달라지는 운영체계를 자유롭게 변환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여기서, 운영체계를 자유롭게 변환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는 상위개념인 포괄적 운영체계라고 한다.
<표시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다만, 엄밀한 의미의 도면을 표현한 것이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다.
도 1에 의하면, 표시장치(100)는 윈도우(10), 터치스크린(11), 디스플레이(12), 제어기판(13) 및 배면커버(14)를 포함한다. 이때, 윈도우(10) 및 배면커버(14)는 각각 터치스크린(11) 및 제어기판(13)에 고착된 고정형이거나, 윈도우(10) 또는 배면커버(14)의 적어도 하나는 각각 터치스크린(11) 또는 제어기판(13) 중의 어느 하나에 탈부착되는 탈부착형일 수 있다. 여기서, 탈부착은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는 것이다. 윈도우(10), 터치스크린(11), 디스플레이(12), 제어기판(13) 및 배면커버(14)는 공지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표시장치(100)의 종류에 따라 터치스크린(11)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표시장치(100)는 모바일 기기로써, 예컨대 스마트폰, 테블릿, 폴더블, 롤러블 및 노트북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어기판(13)은 표시장치(100) 내부 또는 외부의 통합모드용 서버(2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도면에는 표현하지 않았지만, 표시장치(100) 내부에 통합모드용 서버(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어기판(13) 또는 통합모드용 서버(20) 또는 양쪽 모두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통합모드의 생성, 저장 및 변환을 수행하는 모드(mode) 제어부(15)를 포함한다. 모드 제어부(15)는 통합모드를 생성, 저장 및 변환을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경우에 따라 제어기판(13), 윈도우(10), 배면커버(14) 및 통합모드용 서버(20)가 상호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되기 위한 통신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100)를 이용하여 통합모드 변환을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때, 표시장치(100)는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의 통합모드의 변환은 제1 내지 제4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법은 제어기판(13)을 이용하여 수행하고, 상기 제2 방법은 제어기판(13) 및 통합모드용 서버(20)가 연동되어 수행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방법은 고정형 또는 탈부착형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3 방법은 제어기판(13)과 탈부착되는 윈도우(10) 또는 배면커버(14)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인식부(16)와 상호 연계되어 수행된다. 상기 제4 방법은 상기 제3 방법에 통합모드용 서버(20)와 연계된다.
상기 제3 및 제4 방법을 위하여, 윈도우(10) 또는 배면커버(14)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사용자를 인식하는 인식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인식부(16)는 인식 코드(code) 또는 인식 칩(chip)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식 코드는 바코드, QR 코드, 점자 코드, 이미지 코드 등이 있으며, 코드 리더기에 의해 인식부(16)가 인식되면, 모드 제어부(15)는 통합모드를 변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윈도우를 분리하여, 상기 윈도우에 새겨진 상기 인식 코드를 코드 리더기로 인식하여 통합모드를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인식코드는 윈도우(10) 또는 배면커버(14) 중의 어느 하나에 문양의 형태로 새겨질 수 있다.
상기 인식 칩이 수동소자이면, 표시장치(100)에 탑재된 근거리 통신망으로 인식을 마친 후에 통합모드를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인식 칩이 능동소자이면, 윈도우(10) 또는 배면커버(14) 중의 적어도 하나에 상기 인식 칩에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전원은 배터리, 태양광, 진동에너지, 무선충전, 표시장치(100)에서 발생한 전자기파 또는 열에 의해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인식 칩은 지문인식, 암호, 안구인식, 안면인식 등으로 동작하며, 상기 인식 칩이 동작되면 통합모드의 변환이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그룹앱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현실세계에서의 애플 스토어, 구글(플레이) 스토어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앱 검색하고 다운로드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노인앱 (1,2,3,4), 군인앱 (1,2,3,4,), 태권도앱 (1,2,3,4,), BTS (1,2,3,4,) 등으로 그룹을 만들고, 그룹단위로 그룹앱을 다운로드 받는다.
현재에는 게임검색을 하고 게임들을 예컨대 20개를 리스크하고 하나씩 다운로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게임(자동차, 혼자, 산)을 그룹지어 검색하고 복수개를 검색하여 일괄하여 다운로드한다. 예를 들어, 노인앱의 경우, 노인앱A형, 노인앱B형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고, 군인앱의 경우, 공군, 육군, 해병대, ROTC 등으로 관련 앱으로 승인을 받고 다운로드를 받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조회수, 구매빈도수 등와 같은 사용자 빈도수를 고려하여 그룹앱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형은 사용자 빈도수를 고려하고, 신규 스마트폰과 연관된 빈도수를 고려하고, 사용자와 신규 스마트폰, 빅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을 고려하며, 특정 단체, 특정 국가, 특정 지역 등을 고려하여 그룹앱이 추천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표시장치
10; 윈도우 11; 터치스크린
12; 디스플레이 13; 제어기판
14; 배면커버 15; 모드 제어부
16; 인식부 20; 통합모드용 서버

Claims (1)

  1. 발명의 설명의 기재사항 및 도면에 도시된 사항을 포함하는 그룹앱 다운로드 가능한 표시장치.
KR1020210107815A 2021-08-17 2021-08-17 그룹앱 다운로드 가능한 표시장치 KR202300259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815A KR20230025980A (ko) 2021-08-17 2021-08-17 그룹앱 다운로드 가능한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815A KR20230025980A (ko) 2021-08-17 2021-08-17 그룹앱 다운로드 가능한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980A true KR20230025980A (ko) 2023-02-24

Family

ID=85330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815A KR20230025980A (ko) 2021-08-17 2021-08-17 그룹앱 다운로드 가능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59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24216B (zh) 包括隐藏显示器的可折叠电子设备及其信息显示方法
CN105893814B (zh) 电子设备和在电子设备中注册指纹的方法
CN106168875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CN110870072A (zh) 包括用于阻挡多个光接收传感器之间的干扰的遮光构件的图像传感器,以及包含其的电子设备
CN105302238A (zh) 便携式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CN105528066A (zh) 用于使用设备来处理画面的方法和装置
US20190130087A1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160071887A (ko) 이동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04954512A (zh) 带显示的无源手机保护壳及其显示方法
US10788891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password in virtual reality scene
KR20180126198A (ko) 이동 단말기
US20230021413A1 (en) Voice Paymen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02385482A (zh) 用于增强壁纸显示的方法和装置
CN109416615A (zh) 处理触摸事件的方法和适用于该方法的电子装置
US10216276B2 (en)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3515987A (zh) 掌纹识别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08229139A (zh) 一种密码输入方法及移动终端
CN107368793A (zh) 一种彩色虹膜采集方法及系统
CN111597592B (zh) 一种输入方法、输入装置及移动终端
CN108306795A (zh) 一种电子设备控制的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KR20230025980A (ko) 그룹앱 다운로드 가능한 표시장치
EP4006722A1 (en) Display device allowing change of integrated mode
KR102541200B1 (ko) 통합모드 변환이 가능한 표시장치
KR102406624B1 (ko) 통합모드 변환이 가능한 표시장치
CN108668310B (zh) 一种检测装置的控制方法、检测装置以及存储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