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5118A - Formaion tray and formaion tray stack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ormaion tray and formaion tray stack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5118A
KR20230025118A KR1020210107224A KR20210107224A KR20230025118A KR 20230025118 A KR20230025118 A KR 20230025118A KR 1020210107224 A KR1020210107224 A KR 1020210107224A KR 20210107224 A KR20210107224 A KR 20210107224A KR 20230025118 A KR20230025118 A KR 20230025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battery cell
activation
fixing hole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2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승관
류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107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5118A/en
Publication of KR20230025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511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22Cells or battery with cylindrical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9Processes for forming or storing electrodes in the battery contai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6Initial charging meas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8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by electrochemical processing
    • H01M4/044Activating, forming or electrochemical attack of the supporting material
    • H01M4/0445Forming after manufacture of the electrode, e.g. first charge, cycling
    • H01M4/0447Forming after manufacture of the electrode, e.g. first charge, cycling of complete cells or cells st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tivation tray to prevent thermal runaway of battery cells mounted thereon and an activation tray stack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ctivation tray comprises a plurality of cell receiving units dispos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a tray bottom part and an outer wall provid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tray bottom part. The cell receiving units includes: a partition wall forming the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battery cell together with the tray bottom part and forming a boundary with other cell receiving units; and a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partition wall and fixing the battery cell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tray bottom part. A fixing hole through which the battery cell is inserted and fixed is penetrated and formed in the fixing member and the battery cell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is supported by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ing hole, such that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battery cell and the tray bottom part.

Description

활성화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활성화 트레이 적층체{FORMAION TRAY AND FORMAION TRAY STACK USING THE SAME}Activation tray and activation tray laminate using the same {FORMAION TRAY AND FORMAION TRAY STACK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활성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ctivating trays.

보다 상세하게는, 전지셀이 트레이 바닥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트레이 바닥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전지셀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활성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n activation tray including a fixing part for fixing battery cells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tray so that the battery cells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tray.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활성화 트레이를 적층한 활성화 트레이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tivation tray stack in which the activation trays are stacked.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에너지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는 이차전지의 장점으로 인해 매우 다양화되고 있으며, 향후에는 지금보다는 많은 분야와 제품들에 이차전지가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Recently, secondary batteries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have been widely used as energy sources for wireless mobile devices. In addition, secondary batterie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n energy source for electric vehicles, hybrid electric vehicles, etc., which are proposed as a solution to air pollution such as existing gasoline vehicles and diesel vehicles using fossil fuels. Therefore, the types of applications using secondary batteries are diversifying due to the advantages of secondary batteries, and it is expected that secondary batteries will be applied to more fields and products than now.

이러한 이차전지는 전극과 전해액의 구성에 따라 리튬이온 전지, 리튬이온폴리머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 등으로 분류되기도 하며, 그 중 전해액의 누액 가능성이 적으며, 제조가 용이한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의 사용량이 늘어나고 있다.These secondary batteries are sometimes classified into lithium ion batteries, lithium ion polymer batteries, lithium polymer batteries, etc.,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of electrodes and electrolytes. It is increasing.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전지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조립체가 원통형 또는 각 형의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 전지 및 각형 전지와, 전극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되며, 전지케이스에 내장되는 전극 조립체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구조로 이루어져 충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로서, 활물질이 도포된 긴 시트형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하여 권취한 젤리-롤형과, 소정 크기의 다수의 양극과 음극을 분리막에 개재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으로 분류된다.In general, secondary batteries include a cylindrical battery and a prismatic battery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cylindrical or prismatic metal can, and a pouch type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pouch-type case of an aluminum laminate sheet,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battery case. The electrode assembly, which is classified as a battery and is embedded in a battery case, is a power generating device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consisting of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nd a separator structure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It is classified into a jelly-roll type in which a separator is wound on the surface, and a stack type in which a plurality of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of a predetermined size are sequentially stacked in a state in which a separator is interposed.

한편, 이차 전지는 셀을 조립하는 과정과 전지를 활성화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전지 활성화 단계에서는 활성화 트레이에 전지를 탑재하고 활성화에 필요한 조건으로 충방전을 수행하는 충방전 공정이나 특정 조건에서 숙성시키는 에이징 공정을 거치게 된다.Meanwhile, a secondary battery is manufactured through a process of assembling a cell and a process of activating the battery. In the battery activation step, the battery is loaded on an activation tray and subjected to a charge/discharge process of charging and discharging under conditions necessary for activation or an aging process of aging under specific conditions.

이때, 내부 쇼트가 발생하는 불량 전지셀이 활성화 트레이에 탑재되어 있거나, 충방전기의 문제 등에 의해 과전압이 전지셀에 인가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전지셀은 이상 발열이나 전지의 내압의 급격한 상승에 의한 가스의 방출 등이 발생하여 열폭주 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re may be cases in which a defective battery cell causing an internal short circuit is mounted on an activation tray or an overvoltage is applied to the battery cell due to a problem in a charging/discharging device. In this case, the battery cell may generate abnormal heat or release gas due to a rapid increase in internal pressure of the battery, which may lead to a thermal runaway phenomenon.

특히, 원통형 전지셀의 경우, 그 구조로 인해 원통형 전지셀의 전극 단자가 위치하는 상부면과 하부면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열폭주 현상이 일어나기 쉽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cylindrical battery cell, due to its structure, a thermal runaway phenomenon easily occur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where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are located.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원통형 캔에 수납된 전극 조립체(1)가 양극, 음극 및 분리막을 차례로 적층하여 둥근 형태로 감은 구조를 가지며, 그 권심에는 원통형의 센터핀(2)이 삽입된다. 상기 센터핀(2)은 전지셀의 내부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가스를 방출하는 통로로서 역할을 한다. 또한, 원통형 전지셀(B)은 열폭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비정상적인 작동시 전류를 차단하고 내압을 해소하는 전류차단부재(Current Interruptive Device, CID)가 전극 조립체(1)와 탑 캡(3) 사이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탑 캡(3)은 돌출된 형태로 양극 단자를 형성하고 배기구가 천공되어 있으며, 그것의 하부에 전지 내부의 온도 상승시 전지 저항이 크게 증가하여 전류를 차단하는 PTC 소자(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element)(4),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하향 돌출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전지 내부의 압력 상승시 돌출되면서 파열되어 가스를 배기하는 안전벤트(5), 및 상단 일측 부위가 안전벤트(5)에 결합되어있고 하단 일측이 전극조립체(1)의 양극에 연결되어 있는 접속 플레이트(6)가 순차적으로 위치되어 있다. 즉, 원통형 전지셀(B)은 내부 가스가 센터핀(2)과 탑 캡(3)을 통해 상부면으로 배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전류차단부재(CID)가 정상 작동하지 못하거나, 과한 가스 발생으로 센터핀(2)의 내부 압력이 급격하게 발생하면 열폭주 현상이 발생하므로, 원통형 전지셀(B)의 전극 단자가 위치하는 상부면과 하부면을 통해 열폭주 현상이 일어나기 쉽다. 특히, 양극 단자가 위치하는 전지셀의 상부면으로 열폭주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한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1, an electrode assembly 1 housed in a cylindrical can has a structure in which an anode, a cathode, and a separator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wound in a round shape, and a cylindrical center pin 2 is inserted into the core. . The center pin 2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gas generated by an internal reaction of the battery cell is discharged. In addition, in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B), a Current Interruptive Device (CID) is installed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y 1 and the top cap 3 to block current and relieve internal pressure during abnormal operation to prevent thermal runaway. is mounted on Specifically, the top cap 3 forms 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in a protruding form and has an exhaust hole, and a PTC element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coefficient) that blocks current by greatly increasing battery resistance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battery rises at the bottom thereof. element) (4), a safety vent (5) that protrudes downward in a normal state and ruptures while protruding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battery is increased to exhaust gas, and one side of the upper part is combined with the safety vent (5) Connection plates 6 having one lower side connected to the anode of the electrode assembly 1 are sequentially positioned. That is,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B) has a structure in which internal gas is discharged to the upper surface through the center pin 2 and the top cap 3, and the current blocking member (CID) as described above does not operate normally or , If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center pin 2 is rapidly generated due to excessive gas generation, thermal runaway occurs, so thermal runaway is likely to occur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where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B) are located. . In particular, a thermal runaway phenomenon frequently occur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where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is located.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활성화 트레이(10)의 구조는 전지셀(B)의 상면만 개방되어 있고, 전지셀(B)의 하부면은 셀 수용부(R)의 하부면을 구성하는 트레이 바닥부(11)에 의해 막혀있는 구조이다. 이로 인해, 전지셀(B)의 이상 발열이나 급격한 가스 방출이 일어나는 경우, 열이나 가스를 원활하게 배출하지 못하여 열폭주를 쉽게 유발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구조의 활성화 트레이(10)를 적층하는 경우는 최상단에 위치하는 활성화 트레이를 제외하고 전지셀의 상부마저 막혀있는 구조를 가지게 되어 열폭주는 더욱 쉽게 유발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활성화 트레이(10)는 셀 수용부(R)에 전지셀(B)이 격벽(13)에 의해 개별적으로 수용되어 부분적으로 분리되어 있기는 하지만, 셀 수용부 셀 수용부(R)는 별도의 열이나 가스의 배출구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밀폐 구조이다. 이로 인해, 하나의 전지셀이라도 열폭주 현상에 의한 화염이 발생하면, 쉽게 화염이 진압되지 않고 인접한 전지셀에 화염이 전달되어 연쇄 발화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2, in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activation tray 10, only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B) is ope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B) is the lower surface of the cell receiving portion (R). It is a structure blocked by the tray bottom portion 11 constituting the. Due to this, when abnormal heat generation or rapid gas discharge occurs in the battery cell B, heat or gas cannot be smoothly discharged, and thus thermal runaway is easily caused. In addition, when the activation trays 10 having such a structure are stacked, even the top of the battery cell is blocked except for the activation tray located at the top, so thermal runaway can be more easily induced.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activation tray 10, although the battery cells B are individually accommodated in the cell accommodating portion R and partially separated by the partition walls 13, the cell accommodating portion cell accommodating portion R is an airtight structure that does not have a separate heat or gas outlet. For this reason, when a flame is generated due to thermal runaway even in one battery cell, the flame is not easily suppressed and the flame is transferred to an adjacent battery cell, leading to a chain ignition.

따라서, 전지셀의 이상으로 인한 열폭주를 방지하고, 하나의 전지셀의 열폭주가 연쇄 발화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활성화 트레이에 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echnology related to an activation tray capable of preventing thermal runaway due to abnormal battery cells and preventing thermal runaway of one battery cell from leading to chain ignition.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27460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12746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서, 트레이에 탑재된 전지셀의 열폭주 현상을 예방하고, 열폭주 현상에 의한 화염이 인접한 전지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활성화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n activation tray capable of preventing thermal runaway of battery cells mounted on the tray and preventing flames caused by thermal runaway from being transferred to adjacent battery cells. aims to do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활성화 트레이를 이용하는 활성화 트레이 적증체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tivation tray stacker using the activation tray.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활성화 트레이는, 트레이 바닥부와 상기 트레이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구비된 외벽에 의해 형성된 내측 공간에 복수의 셀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셀 수용부는, 상기 트레이 바닥부와 함께 전지셀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다른 셀 수용부와의 경계를 형성하는 격벽; 및 상기 격벽과 결합되며, 전지셀이 트레이 바닥부와 이격되도록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부재에는 전지셀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에 삽입된 전지셀이 고정공의 내주면에 의하여 지지되어, 전지셀과 상기 트레이 바닥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전지셀의 하부면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ctivation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plurality of cell accommodating units in an inner space formed by a tray bottom and an outer wall provid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tray bottom, wherein the cell accommodating units ar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tray. A partition wall that forms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battery cells are accommodated together with the unit and forms a boundary with other cell accommodation units; and a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barrier rib and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ortion of the tray so that the battery cell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rein a fixing hole into which the battery cell is inserted and fixed is formed through the fixing member, and the battery cell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is fixed. It is supported b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is exposed through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battery cell and the bottom of the tray.

하나의 예로서, 상기 고정공의 내주면은 전지셀의 외주면보다 직경이 작은 영역을 구비하여, 상기 내주면에 전지셀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As an exampl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hole may have a region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nd the battery cell may be fitted and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an interference fit method.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고정 부재의 높이 방향의 길이가 전지셀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전지셀의 상부 및 하부는 상기 고정공으로부터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일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length of the fixing member in the height direction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battery cell, so that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attery cell protrude from the fixing hole and are exposed to the outside.

다른 하나의 예로서, 상기 고정공 하부에 고정공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 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공에 삽입된 전지셀이 상기 지지 리브에 의하여 상기 고정공 내에서 지지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 support rib protruding inwardly from the fixing hole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ixing hole, and the battery cell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may be supported in the fixing hole by the support rib.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지지 리브는 고정공 내주를 따라 복수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 리브의 사이로 상기 전지셀의 하부면이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a plurality of support ribs may protrude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xing hole, and a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between the support ribs.

하나의 예로서, 상기 고정부재와 격벽은, 상기 고정부재와 격벽 사이에 형성된 연결 리브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xing member and the barrier rib may be coupled by a connecting rib formed between the fixing member and the barrier rib.

하나의 예로서, 상기 트레이 바닥부에 하나 이상의 통기구가 형성될 수 있다.As one example, one or more ventilation holes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tray.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통기구는, 상기 격벽과 격벽 사이에 위치하는 트레이 바닥부에 상하 또는 좌우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ventilation holes may be vertically or left-right symmetrically formed at the bottom of the tray positioned between the barrier ribs.

다른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통기구는, 상기 전지셀의 하부면의 둘레에 대향하는 트레이 바닥부에 형성될 수 있다.As another specific example, the ventilation holes may be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of the tray faci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하나의 예로서, 상기 격벽의 높이가 전지셀의 높이보다 높은 것일 수 있다.As an example, the height of the barrier rib may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battery cell.

하나의 예로서, 상기 셀 수용부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수지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수지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As an example, the cell accommodating part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polycarbonate (PC) resin and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resin.

한편, 상기 고정 부재는 통 형상 부재일 수 있다.Meanwhile, the fixing member may be a tubular member.

구체적으로, 원통형 부재일 수 있다.Specifically, it may be a cylindrical member.

하나의 예로서, 상기 전지셀은 원통형 전지셀일 수 있다.As one example, the battery cell may be a cylindrical battery cell.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활성화 트레이가 높이 방향으로 다단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활성화 트레이 적층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ctivation tray stack in which the activation trays are stacked in multiple stages in a height direc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전지셀이 트레이 바닥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트레이 바닥부와 이격되게 전지셀을 고정하여, 공기 유로를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트레이에 탑재된 전지셀의 열폭주 현상을 예방하고, 열폭주에 의한 화염이 인접셀로 쉽게 전달되지 않는 이점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flow path can be secured by fixing the battery cell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tray so that the battery cells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tray. Thus, thermal runaway of battery cells mounted on the tray is prevented, and flames caused by thermal runaway are not easily transferred to adjacent cells.

도 1은 일반적인 원통형 전지셀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활성화 트레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활성화 트레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활성화 트레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활성화 트레이의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eneral cylindrical battery cell.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activation tray.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activation tra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activation tr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tack of activation tray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appropriately uses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describe his/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n the following way.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precluded from being excluded in advance.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상에" 배치된다고 하는 것은 상부 뿐 아니라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part such as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on"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on" the other part, but also the case where there is another part in the middle. Conversely, when a part such as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under"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under" the other part, but also the case where there is another part in between. In addition,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eing disposed "on" may include the case of being disposed at the bottom as well as at the top.

본 발명에 따른 활성화 트레이는, 트레이 바닥부와 상기 트레이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구비된 외벽에 의해 형성된 내측 공간에 복수의 셀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셀 수용부는, 상기 트레이 바닥부와 함께 전지셀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다른 셀 수용부와의 경계를 형성하는 격벽; 및 상기 격벽과 결합되며, 전지셀을 트레이 바닥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전지셀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부재는 전지셀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공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에 삽입된 전지셀이 고정공의 내주면에 의하여 지지되어, 전지셀과 상기 트레이 바닥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ctivation tr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ell accommodating portions in an inner space formed by a tray bottom portion and an outer wall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ray bottom portion, wherein the cell accommodating portions, together with the tray bottom portion, contain battery cells. a barrier rib forming an accommodating space and forming a boundary with other cell accommodating units; and a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barrier rib and fixing the battery cell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tray, wherein the fixing member is formed by penetrating a fixing hole into which the battery cell is inserted and fixed,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ttery cell inserted into the ball is supported b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hole, and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battery cell and the bottom of the tray.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활성화 트레이는 전지셀의 이상 발열이나 급격한 가스 방출이 일어나는 경우, 열이나 가스를 원활하게 배출하지 못하여 열폭주를 쉽게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전지셀이라도 열폭주 현상이 일어난다면 트레이에 탑재된 다른 전지셀에 쉽게 화염이 전달되어 연쇄 발화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activation tray has a problem of easily causing thermal runaway by not smoothly discharging heat or gas when abnormal heat generation or rapid gas discharge occurs in the battery cell. In addition, if a thermal runaway phenomenon occurs even in one battery cell, flames are easily transferred to other battery cells mounted on the tray, leading to chain ignition.

이에 본 발명은 트레이 바닥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전지셀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여, 전지셀과 트레이 바닥부 사이에 열, 가스, 또는 화염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지셀을 트레이 바닥부로부터 이격된 채로 고정하여 활성화 트레이에 수납함으로써, 열폭주 현상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폭주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인접한 전지셀까지 미치는 영향을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battery cell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tray to form a space in which heat, gas, or flame can be smoothly discharged between the battery cell and the bottom of the tray. to be By fixing the battery cells away from the bottom of the tray and storing them in the activation tray, thermal runaway can be prevented, and even if thermal runaway occurs, the effect on adjacent battery cells can be suppressed.

이상의 본 발명의 보다 자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과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A mor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using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embodi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escription of each figure.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shown enlarged than actual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1 실시형태) (First Embodiment)

도 3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활성화 트레이(100)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원통형 전지셀(B)이 수납된 것을 예시로 든다. 도 3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원통형의 전지셀(B)은 사시도로 나타내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셀 수용부(R)를 3개만 도시하였는데 셀 수용부(R)의 개수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용도와 목적에 따라 활성화 트레이(100)의 셀 수용부(R)의 개수는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ctivation tray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a cylindrical battery cell (B) is accommodated. In FIG. 3, for ease of understanding, a cylindrical battery cell (B) is shown in a perspective view. Also,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nly three cell accommodating units R are shown, but the number of cell accommodating units 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cell accommodating units R of the activation tray 100 depend on the use and purpose. ) The number of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본 실시형태의 활성화 트레이(100)는, 트레이 바닥부(110)와 상기 트레이 바닥부(11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된 외벽(120)에 의해 형성된 내측 공간에 복수의 셀 수용부(R)를 구비하고, 상기 트레이 바닥부(110)와 함께 전지셀(B)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다른 셀 수용부(R)와의 경계를 형성하는 격벽(130); 및 상기 격벽(130)과 결합되며, 전지셀(B)을 트레이 바닥부(110)와 이격된 위치에서 전지셀(B)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140);를 포함한다.In the activation tray 100 of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cell accommodating portions R are provid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tray bottom 110 and the outer wall 120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ray bottom 110. a barrier rib 130 which is provided and forms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battery cell B is accommodated together with the bottom portion 110 of the tray, and forms a boundary with another cell accommodation portion R; and a fixing member 140 coupled to the barrier rib 130 and fixing the battery cell B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ortion 110 of the tray.

상기 고정 부재(140)는 상기 격벽(130)과 결합되며, 전지셀(B)과 트레이 바닥부(110)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전지셀(B)을 트레이 바닥부(110)와 이격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로써, 전지셀(B)과 트레이 바닥부(110) 사이에 형성되는 소정의 공간에 전지셀(B)에서 발생하는 가스나 열이 분산되어, 전지셀(B)의 열폭주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활성화 트레이(100)는 종래의 활성화 트레이는 상부만 개방된 형태여서 전지셀의 하부에서 발생하는 열이나 가스를 원활하게 배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개선한 것이다. 즉, 전지셀(B)의 상부 방향(a)과 하부 방향(b)으로 모두 열이나 가스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어, 열폭주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140 is coupled to the barrier rib 130, and the battery cell B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ortion 110 of the tray to form a space between the battery cell B and the bottom portion 110 of the tray. It serves to hold it in place. As a result, gas or heat generated from the battery cell (B) is dispersed in a predetermined space formed between the battery cell (B) and the tray bottom 110, and thermal runaway of the battery cell (B) can be prevented. . That is, the activation tra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problem that heat or gas genera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battery cell cannot be smoothly discharged because the conventional activation tray has only the upper part open. That is, since heat or gas can be smoothly discharged in both the upper direction (a) and the lower direction (b) of the battery cell B, thermal runaway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이때, 고정 부재(140)는 원통형 부재로서, 원통형 전지셀(B)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전지셀의 형상과 동일한 원통형상을 가짐으로써, 셀 수용부(R)의 제한된 공간에 큰 부피를 차지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 부재(140)가 원통형 부재인 경우, 셀수용부(R)에서 고정 부재(140)가 큰 부피를 차지했을 때, 전지셀(B)과 격벽(130) 사이의 거리를 지나치게 좁혀 전지셀(B)의 열이나 가스 배출의 통로가 되는 공기의 유로를 제한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xing member 140 is a cylindrical member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B). By having the same cylindrical shape as the shape of the battery cell, it can be efficiently disposed without occupying a large volume in the limited space of the cell accommodating portion (R). Specifically, when the fixing member 140 is a cylindrical member, when the fixing member 140 occupies a large volume in the cell accommodating portion R, the distance between the battery cell B and the partition wall 130 is too larg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roblem of restricting the flow path of air that serves as a passage for heat or gas discharge from the battery cell B by narrowing it.

이때, 고정 부재(140)가 전지셀(B)을 고정시키는 방식은 전지셀(B)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공(141)이 원통형 부재에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141)에 삽입된 전지셀(B)이 고정공(141)의 내주면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method in which the fixing member 140 fixes the battery cell B is that the fixing hole 141 into which the battery cell B is inserted and fixed is formed by penetrating the cylindrical member and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141. The battery cell (B) is supported b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hole (141).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공(141)의 내주면은 전지셀(B)의 외주면보다 직경이 작은 영역을 구비하여, 상기 내주면에 전지셀(B)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져 고정된다. 도 3에서는 고정공(141)의 내주면의 직경이 전지셀(B)의 외주면보다 직경이 약간 작게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하지만, 고정공(141)의 내주면은 전지셀(B)의 외주면보다 직경이 작은 영역을 구비하여, 전지셀(B)이 억지끼움 가능하다면, 전지셀(B)의 외주면보다 직경이 큰 영역을 함께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공(141)의 내주면의 중심부는 전지셀(B)의 외주면보다 직경이 작은 영역으로 형성되고, 고정공(141)의 내주면의 상부는 전지셀(B)의 외주면보다 직경이 큰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지셀(B)이 삽입되는 고정공(141)의 상부는 전지셀(B)의 외주면보다 커서 삽입이 용이하게 형성되고, 중심부는 전지셀(B)의 내주면보다 직경이 약간 작아 억지끼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Specificall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hole 141 has a region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ell (B), and the battery cell (B) is fitted and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an interference fit method. 3 shows that 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hole 141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outer circumferential diameter of the battery cell (B). However,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hole 141 is provided with a region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ell (B), and if the battery cell (B) can be fitted, an area larger in diameter tha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ell (B). can be provided together. For example, the cen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hole 141 is formed as a region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ell (B), and the upper par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hole 141 has a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ell (B). It can be formed in a large area. That is,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hole 141 into which the battery cell (B) is inserted is larger tha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ell (B) to facilitate insertion, and the center portion is slightly smaller in diameter tha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ell (B), so that it is fitted tightly. can have a structure.

한편, 전지셀(B)을 고정공(141)에 삽입하거나 고정공(141)으로부터 분리할 때 용이하도록 고정 부재(140)는 연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xing member 140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o facilitate insertion of the battery cell B into the fixing hole 141 or separation from the fixing hole 141 .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전지셀(B)이 고정 부재(140)의 높이 방향의 길이가 전지셀(B)보다 작게 구비되어, 상기 전지셀(B)의 상부 및 하부는 상기 고정공(141)으로부터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전지셀(B)의 일부가 노출되므로, 셀 수용부(R)에서 순환되는 공기에 의해 전지셀(B)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의 방출이 더욱 원활해진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ttery cell (B) is provided with a length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xing member 140 is smaller than the battery cell (B),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attery cell (B) are the fixing hole 141 It protrudes from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Since a part of the battery cell (B) is exposed, the heat generated inside the battery cell (B) is more smoothly discharged by the air circulating in the cell accommodating part (R).

상기 고정 부재(140)와 격벽(130)은, 상기 고정 부재(140)와 격벽(130) 사이에 형성된 연결 리브(150)에 의하여 결합된다. 고정 부재(140)와 격벽(130)을 결합하는 연결 리브(150)를 더 포함하는 경우, 고정 부재(140)가 직접 격벽(130)과 결합되는 경우에 비해 공기의 순환 유로가 추가로 형성되어 전지셀(B)이 방출하는 열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140 and the partition wall 130 are coupled by a connecting rib 150 formed between the fixing member 140 and the partition wall 130 . In the case of further including a connection rib 150 combining the fixing member 140 and the partition wall 130, an air circulation path is additionally form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fixing member 140 is directly coupled to the partition wall 130. The heat emitted by the battery cell (B) can be smoothly discharged.

상기 트레이 바닥부(110)에는 하나 이상의 통기구(111)가 형성된다. 상기 통기구(111)는 열과 가스를 배출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종래의 활성화 트레이에 비해 전지셀(B)의 상부뿐만 아니라 하부에서 발생하는 열과 가스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으로 열폭주를 예방할 수 있다. 화염이 발생했을 때는 화염이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기구(111)가 4개 형성되어 있지만, 통기구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One or more ventilation holes 111 are formed in the bottom part 110 of the tray. The ventilation hole 111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heat and gas are discharged, an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activation tray, heat and gas generated from the upper portion and lower portion of the battery cell B can be smoothly discharged,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thermal runaway. can When a flame occurs, it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lame is discharged. In this embodiment, four vents 111 are formed, but the number of vent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상기 통기구(111)는 격벽(130)과 격벽(130) 사이에 위치하는 트레이 바닥부(110)에 상하 대칭으로 형성된다.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면, 셀 수용부(R)의 공기가 대부분 영역에서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으므로, 열 또는 가스 배출이 더욱 용이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달리, 좌우 대칭으로 통기구(111)가 형성된 경우도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The ventilation holes 111 are vertically symmetrically formed in the tray bottom 110 positioned between the partition walls 130 and the partition walls 130 . When formed symmetrically up and down, since the air of the cell accommodating portion R can be smoothly circulated in most areas, heat or gas is more easily discharged. In addition,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even when the ventilation holes 111 are formed symmetrically.

상기 통기구(111)가 형성된 위치는 상기 전지셀(B)의 하부면의 둘레에 대향하는 트레이 바닥부(110)이다. 고정 부재(140)의 고정공(141)을 통해 전지셀(B)의 하부면이 노출되기 때문에, 열폭주에 의해 전지셀(B)이 파열되는 경우, 파열된 전지셀(B)의 파편이 트레이 바닥부(110)로 이탈할 수 있다. 이때, 트레이 바닥부(110) 중 전지셀(B)의 하부면의 중심에 대향하는 위치에 통기구(111)가 형성되면 통기구(111)를 통해 전지셀의 파편이 이탈하기 쉽다. 특히, 활성화 트레이(100)를 적층하는 경우, 통기구(111)를 통해 파열된 전지셀(B)의 파편이 이탈되면, 다른 활성화 트레이(100)에 탑재된 전지셀(B)에 전기적인 단락을 일으키거나 열폭주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때, 트레이 바닥부(110) 중 전지셀(B)의 하부면의 중심에 대향하는 위치가 아닌 전지셀(B)의 하부면의 둘레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할 때, 상기와 같은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The location where the ventilation hole 111 is formed is the tray bottom 110 faci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B). Since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B) is exposed through the fixing hole 141 of the fixing member 140, when the battery cell (B) is ruptured by thermal runaway, fragments of the ruptured battery cell (B)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bottom of the tray (110). At this time, when the ventilation hole 111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B) among the bottom portion 110 of the tray, fragments of the battery cell are easily separated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111. In particular, when the activation trays 100 are stacked, if fragments of the ruptured battery cells B are separated through the ventilation holes 111, an electrical short circuit is caused to the battery cells B mounted on the other activation trays 100. or cause thermal runaway. Therefore, at this time, when formed in a position opposite to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B) rather than a position opposite to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B) of the tray bottom portion 110, the above risk can prevent

상기 격벽(130)의 높이는 전지셀(B)의 높이보다 높다. 격벽(130)의 높이를 전지셀(B)의 높이보다 높게 구성함으로써, 전지셀(B)의 열폭주에 의해 파열된 전지셀(B)의 파편이 격벽(130)을 넘어가거나, 열폭주에 의해 발생한 화염이 격벽(130)을 넘어 인접한 전지셀(B)까지 번져 연쇄 발화를 유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barrier rib 130 is higher than that of the battery cell (B). By configuring the height of the partition wall 130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battery cell (B), the fragments of the battery cell (B) ruptured by the thermal runaway of the battery cell (B) cross the partition wall 130 or cause thermal runaway.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lame generated by the spread to the adjacent battery cell B beyond the barrier rib 130 to cause chain ignition.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셀 수용부의 구성인 격벽(130) 및 고정 부재(140)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수지로 형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셀 수용부의 구성인 격벽(130) 및 고정 부재(140)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수지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는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면서 난연성을 가지는 수지로서, 전지셀(B)의 열폭주로 인한 화염이 고정 부재(140)에서 격벽(130)으로 번지거나, 격벽(130)을 타고 넘어가 인접한 전지셀(B)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바닥부(110)와 외벽(120)도 마찬가지로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는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상기의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rtition wall 130 and the fixing member 140, which are components of the cell accommodating part, are formed of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resin. Specifically, the partition wall 130 and the fixing member 140, which are components of the cell accommodating unit,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of polycarbonate (PC) resin and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resin. there is. The polycarbonate (PC) resin and the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resin are resins having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and flame retardancy, and the flame due to thermal runaway of the battery cell (B) is prevented from the fixing member 140 to the partition wall 130. ), or it can be suppressed from affecting the adjacent battery cell (B) by going over the barrier rib (130). In addition, the tray bottom 110 and the outer wall 120 are similarly formed of at least one of polycarbonate (PC) resin and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resin, so that the above effect can be further maximized.

본 실시형태는 원통형 전지셀(B)이 셀 수용부(R)의 고정 부재(140)에 고정되는 활성화 트레이(100)다. 상기 원통형 전지셀(B)의 양극 단자(B1)가 전지셀의 하부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통기구(111)가 형성된 트레이 바닥부(110)에 대향하게 위치한다. 원통형 전지셀의 경우는 양극 단자가 형성되는 탑 캡에 안전벤트, PTC 소자 등의 안전부재가 구비되고,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탑 캡을 통해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전지셀 내부의 가스나 열폭주에 의한 화염은 양극 단자를 통해 배출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종래에는 원통형 전지셀의 양극 단자는 안전 문제 때문에 전지셀 수용부에 수용될 때, 전지셀의 상면에 위치할 수밖에 없었다. 활성화 트레이가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지는 반면, 트레이 바닥부는 막혀있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활성화 트레이(100)는 고정 부재(140)에 의해 전지셀(B)과 트레이 바닥부(11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열, 가스, 또는 화염을 전지셀(B)의 하부면에서도 배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원통형 전지셀의 양극단자가 전지셀의 하부면에 위치하여도 전지셀의 열폭주에 대한 안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 단자(B1)가 전지셀(B)의 하부면에 위치하는 경우도 이격된 공간을 통해 가스나 화염을 배출할 수 있고, 이어서 트레이 바닥부(110)에 형성된 통기구(1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is embodiment is an activation tray 100 in which cylindrical battery cells B are fixed to the fixing member 140 of the cell accommodating portion R. The positive terminal (B1)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B)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to face the tray bottom portion 110 in which the vent 111 is formed. In the case of a cylindrical battery cell, it is common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a safety member such as a safety vent and a PTC device is provided on a top cap where 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is formed, and gas generated inside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top cap. Therefore, in many cases, gas inside the battery cell or flame due to thermal runaway is discharged through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Therefore, in the prior art,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had to b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when accommodated in the battery cell accommodating part for safety reasons. This is because the activation tray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top is open, while the bottom of the tray is closed. However, in the activation tra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battery cell B and the tray bottom 110 by the fixing member 140, so that heat, gas, or flame is transmitted to the battery cell B. It can also be discharged from the lower surface. Due to this, even if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safety against thermal runaway of the battery cell can be sufficiently secured. That is, as shown in FIG. 3, even when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B1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B, gas or flame can be discharged through a spaced apart space, and then the bottom of the tray 110 Through the vent 111 formed in,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제2 실시형태)(Second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활성화 트레이(200)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원통형 전지셀이 수납된 것을 예시로 든다. 도 4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원통형의 전지셀(B)은 사시도로 나타내었고, 전지셀(B)이 고정되어 있는 고정공(241)의 내주면이 도시되도록 단면도로 나타내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셀 수용부(R)를 3개만 도시하였는데 셀 수용부(R)의 개수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용도와 목적에 따라 활성화 트레이(100)의 셀 수용부(R)의 개수는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ctivation tray 2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a cylindrical battery cell is accommodated. In FIG. 4 , for ease of understanding,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B is shown in a perspective view,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hole 241 to which the battery cell B is fixed is shown as a cross-sectional view. Also,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nly three cell accommodating units R are shown, but the number of cell accommodating units 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cell accommodating units R of the activation tray 100 depend on the use and purpose. ) The number of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본 실시형태의 활성화 트레이(200)는 상기 고정 부재(240)에 관통되어 형성된 고정공(241)의 내주면에 의하여 전지셀(B)이 지지되고, 상기 고정공(241) 하부에 고정공(241)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 리브(242)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공(241)에 삽입된 전지셀(B)이 상기 지지 리브(242)에 의하여 상기 고정공(241) 내에서 지지되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제2 실시형태에서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구성요소에는 공통되는 부호를 붙이고 그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activation tray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ttery cell B is supported b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hole 241 formed through the fixing member 240, and the fixing hole 241 is formed under the fixing hole 241. ) The support rib 242 protruding inward is formed, and the battery cell B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241 is supported in the fixing hole 241 by the support rib 242. It i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In the second embodiment, components common to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are given common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공(241) 하부에 고정공(241)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 리브(242)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공(241)에 삽입된 전지셀(B)이 상기 지지 리브(242)에 의하여 상기 고정공(241) 내에서 지지되고 있다. As shown in FIG. 4, a support rib 242 protruding inside the fixing hole 241 is formed under the fixing hole 241 so that the battery cell B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241 is supported. It is supported in the fixing hole 241 by the rib 242.

상기 지지 리브(242)에 의해 전지셀(B)의 하부면이 지지되므로, 전지셀(B)이 억지끼움 되기 위해, 고정공(241)의 내주면이 전지셀(B)의 외주면보다 직경이 작은 영역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전지셀(B)을 고정하는 경우에 비해 전지셀(B)을 고정공(241)에 고정하거나 고정공(241)으로부터 분리할 때 더 용이한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고정공(241)의 내주면을 전지셀(B)의 외주면보다 직경이 작은 영역을 구비하여 내주면에 전지셀(B)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지는 방식을 함께 적용하면, 전지셀(B)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Since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B) is supported by the support rib 242,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hole 241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ell (B) in order to forcefully fit the battery cell (B). There is no need to have an area. Therefore,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battery cell (B) is fixed by the interference fitting method, it provides an easier advantage when the battery cell (B) is fixed to the fixing hole 241 or separated from the fixing hole 241. In addition, when a method in whic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hole 241 is provided with a region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ell (B) and the battery cell (B) is fit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an interference fit method is applied, the battery cell (B) can be fixed more stably.

또한, 상기 지지 리브(242)는 고정공(241)의 내주를 따라 2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전지셀(B)의 하부면에 위치하는 양극 단자(B1)는 충분히 외측으로 노출되면서도, 하나의 지지 리브(242)만 있는 경우보다 안정적으로 전지셀(B)을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 리브(242)가 2개 형성되어 있지만, 지지 리브(242)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고정공(241)에 고정되는 전지셀(B)의 무게나 크기에 따라 전지셀(B)이 충분히 지지할 수 있는 적절한 개수로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wo support ribs 242 protrude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xing hole 241 . The positive terminal B1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B can fix the battery cell B more stably than when there is only one support rib 242 while being sufficiently exposed to the outside.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wo support ribs 242 are formed, the number of support ribs 24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depending on the weight or size of the battery cell B fixed to the fixing hole 241, the battery cell (B) can be set to an appropriate number that can be sufficiently supported.

(제3 실시형태)(Third Embodiment)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활성화 트레이의 적층체(1000)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원통형 전지셀(B)이 수납된 것을 예시로 든다. 도 5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원통형의 전지셀(B)은 사시도로 나타내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각의 활성화 트레이(100a, 100b)의 셀 수용부(R)를 3개만 도시하였는데 셀 수용부(R)의 개수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용도와 목적에 따라 활성화 트레이(100a, 100b)의 셀 수용부(R)의 개수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ck 1000 of activation tray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a cylindrical battery cell (B) is accommodated. In FIG. 5, for ease of understanding, a cylindrical battery cell (B) is shown in a perspective view. 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nly three cell accommodating portions R of each activation tray 100a, 100b are shown, but the number of cell accommodating portions 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activation tray The number of cell accommodating parts R of (100a, 100b)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본 실시형태의 활성화 트레이 적층체(1000)는 제1 실시형태의 활성화 트레이(100a, 100b)가 2단으로 적층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3 실시형태에서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구성요소에는 공통되는 부호를 붙이고 그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lthough the activation tray stack 10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illustrated as having the activation trays 100a and 100b of the first embodiment stacked in two stages, i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third embodiment, common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components common to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활성화 트레이를 적층하는 경우, 최상단의 활성화 트레이를 제외하고는 활성화 트레이의 상부도 막혀 셀 수용부(R)는 완전히 밀폐된 구조를 가진다. 이로 인해, 전지셀(B)에서 발생하는 열 또는 가스의 배출이 더욱 어려워 열폭주는 더욱 쉽게 유발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stacking conventional activation trays, except for the uppermost activation tray, the upper portion of the activation tray is also blocked so that the cell accommodating portion R has a completely sealed structure. Due to this, it is more difficult to discharge heat or gas generated from the battery cell B, and thermal runaway can be more easily induced.

반면, 본 실시형태의 활성화 트레이 적층체(1000)는, 하단에 위치하는 활성화 트레이(100a)도 고정 부재(140a)에 의해 전지셀(B)과 상기 트레이 바닥부(110a)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공기의 순환 유로가 형성되어, 전지셀(B)이 방출하는 가스나 열이 셀 수용부(R)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셀 수용부(R)는 각각 트레이 바닥부(110a)에 형성된 통기구(111a)에 의해 가스, 열 또는 화염의 배출로를 갖게 된다. 따라서, 활성화 트레이를 적층하는 경우도, 효과적으로 전지셀(B)의 열폭주의 영향이 인접 셀에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activation tray stack 1000 of the present embodiment,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battery cell B and the bottom portion 110a of the tray by the fixing member 140a even in the activation tray 100a located at the bottom. Thus, an air circulation passage is formed, and gas or heat emitted from the battery cell B can be prevented from accumulating in the cell accommodating portion R. In addition, each of the cell accommodating parts R has a discharge path for gas, heat, or flame by vent holes 111a formed in the bottom part 110a of the tray. Therefore, even when the activation trays are stacke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effect of thermal runaway of the battery cell B from affecting adjacent cell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활성화 트레이의 셀 수용부가 전지셀을 트레이 바닥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전지셀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여, 전지셀과 트레이 바닥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전지셀의 열 또는 가스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여 전지셀의 열폭주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지셀의 열폭주가 발생한 경우여도, 상기 이격된 공간을 통해 화염이 배출할 수 있게 되어, 인접한 전지셀까지 화염이 번지거나 폭파된 전지셀의 파편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효과는 활성화 트레이를 이용하여 활성화 트레이를 적층체를 구성했을 때도 동일하게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ell receiving portion of the activation tray includes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battery cell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ortion of the tray, thereby forming a space between the battery cell and the bottom portion of the tray,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rmal runaway of the battery cell by smoothly discharging heat or gas from the battery cell. In addition, even when thermal runaway of the battery cell occurs, the flame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spaced apart space, so that the flame can be prevented from spreading to adjacent battery cells or fragments of the exploded battery cell from being separated. The same effect as above can be obtained even when the activation tray is used to form a laminat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rawing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drawing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전, 후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대상이 되는 사물의 위치나 관측자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Meanwhile, terms indicating directions such as up, down, left, right, front, and back are used in this specification, but these terms are on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target object or the location of the observer. It is self-evident that it can

R: 셀 수용부
B: 전지셀
B1: 양극 단자
1: 전극조립체
2: 센터핀
3: 탑 캡
4: PTC 소자
5: 안전벤트
6: 접속플레이트
100, 200: 활성화 트레이
11, 110, 210: 트레이 바닥부
111, 211: 통기구
12, 120, 220: 외벽
13, 130, 230: 격벽
140, 240: 고정부재
141, 241: 고정공
242: 지지 리브
150, 250: 연결 리브
1000: 활성화 트레이 적층체
R: cell receptacle
B: battery cell
B1: positive terminal
1: electrode assembly
2: center pin
3: Top cap
4: PTC element
5: safety vent
6: connection plate
100, 200: activation tray
11, 110, 210: tray bottom
111, 211: vent
12, 120, 220: outer wall
13, 130, 230: bulkhead
140, 240: fixing member
141, 241: fixed hole
242: support rib
150, 250: connecting rib
1000: activation tray stack

Claims (15)

트레이 바닥부와 상기 트레이 바닥부의 둘레를 따라 구비된 외벽에 의해 형성된 내측 공간에 복수의 셀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셀 수용부는,
상기 트레이 바닥부와 함께 전지셀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다른 셀 수용부와의 경계를 형성하는 격벽; 및
상기 격벽과 결합되며, 전지셀이 트레이 바닥부와 이격되도록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부재에는 전지셀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에 삽입된 전지셀이 고정공의 내주면에 의하여 지지되어, 전지셀과 상기 트레이 바닥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전지셀의 하부면이 노출되는 활성화 트레이.
A plurality of cell accommodating portions are provided in an inner space formed by a tray bottom portion and an outer wall provided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tray bottom portion,
The cell receiving part,
a barrier rib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battery cells are accommodated together with the bottom portion of the tray and forming a boundary with other cell accommodation units; and
It is coupled to the barrier rib and includes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battery cell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tray,
A fixing hole into which a battery cell is inserted and fixed is formed through the fixing member, and the battery cell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is supported by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hole, through a space formed between the battery cell and the bottom of the tray. Activation tray with the lower surface expo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공의 내주면은 전지셀의 외주면보다 직경이 작은 영역을 구비하여,
상기 내주면에 전지셀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활성화 트레이.
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hole has a region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ell,
An activation tray in which battery cells are inserted and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an interference fit mann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의 높이 방향의 길이가 전지셀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전지셀의 상부 및 하부는 상기 고정공으로부터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활성화 트레이.
According to claim 2,
The length of the fixing member in the height direction is formed smaller than the battery cell,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attery cell protrude from the fixing hole and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activation tr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공 하부에 고정공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 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공에 삽입된 전지셀이 상기 지지 리브에 의하여 상기 고정공 내에서 지지되는 활성화 트레이.
According to claim 1,
An activation tray wherein a support rib protrudes into the fixing hole is formed under the fixing hole, and a battery cell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is supported in the fixing hole by the support rib.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리브는 고정공 내주를 따라 복수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 리브의 사이로 상기 전지셀의 하부면이 외측으로 노출되는 활성화 트레이.
According to claim 4,
The activation tray wherein a plurality of support ribs protrude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ixing hol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is exposed to the outside between the support rib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격벽은, 상기 고정부재와 격벽 사이에 형성된 연결 리브에 의하여 결합되는 활성화 트레이.
According to claim 1,
The activation tray of claim 1 , wherein the fixing member and the barrier rib are coupled by a connecting rib formed between the fixing member and the barrier rib.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바닥부에 하나 이상의 통기구가 형성되는 활성화 트레이.
According to claim 1,
An activation tray having one or more vent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tra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는, 상기 격벽과 격벽 사이에 위치하는 트레이 바닥부에 상하 또는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는 활성화 트레이.
According to claim 7,
The activation tray is form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symmetrically at the bottom of the tray positioned between the partition wall and the partition wal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는,
상기 전지셀의 하부면의 둘레에 대향하는 트레이 바닥부에 형성되는 활성화 트레이.
According to claim 7,
The vent is
An activation tray formed on the bottom of the tray faci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e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높이가 전지셀의 높이보다 높은 활성화 트레이.
According to claim 1,
An activation tray wherein the barrier ribs ar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battery cel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 수용부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수지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수지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활성화 트레이.
According to claim 1,
The activation tray of claim 1 , wherein the cell accommodating portion is formed of at least one of polycarbonate (PC) resin and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res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통 형상 부재인 활성화 트레이.
According to claim 1,
The activating tra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member is a tubular member.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원통형 부재인 활성화 트레이.
According to claim 12,
The activating tray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fixing member is a cylindrical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은 원통형 전지셀인 활성화 트레이.
According to claim 1,
The battery cell is an activation tray of a cylindrical battery cell.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활성화 트레이가 높이방향으로 다단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활성화 트레이 적층체.
The activation tray of any one of claims 1 to 14 is multi-stage in the height direction.
An activation tray laminate formed by stacking.
KR1020210107224A 2021-08-13 2021-08-13 Formaion tray and formaion tray stack using the same KR2023002511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224A KR20230025118A (en) 2021-08-13 2021-08-13 Formaion tray and formaion tray stack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224A KR20230025118A (en) 2021-08-13 2021-08-13 Formaion tray and formaion tray stack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118A true KR20230025118A (en) 2023-02-21

Family

ID=85328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224A KR20230025118A (en) 2021-08-13 2021-08-13 Formaion tray and formaion tray stack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5118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460A (en) 2019-05-02 2020-1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tra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460A (en) 2019-05-02 2020-1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tr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2799B2 (en) Battery module having gas discharge structure
US20200099114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KR20190040403A (en)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production method for the same
US20220209332A1 (en) Battery Pack Cas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US20210083344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rack and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same
WO2022071759A1 (en) Secondary battery and device including same
EP4096008A1 (en) Battery pack and device including same
KR20210072999A (en) Battery Pack Having High Energy Density And High-Efficiency of radiating heat
KR102220430B1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top insulation member
KR20170124343A (en) Cap assembly for rechargeable battery
EP4024573A1 (en) Battery pack having heat diffusion preventing structure applied between battery modules
US20240006707A1 (e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230025118A (en) Formaion tray and formaion tray stack using the same
EP4142022A1 (en) Battery pack with structure for prevention of heat diffusion between battery modules
CN111226344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EP4135103A1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battery pack
KR20160026509A (en) Secondary battery module
JP7101794B2 (en) Battery module including internal plate
KR102670474B1 (en) Battery module to prevent thermal runaway propagation
KR102622859B1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20230216126A1 (en)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same
KR20230160464A (en) Battery module to prevent thermal runaway propagation
KR20230094180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20240042714A (en) Battery pack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venting gas while preventing flame emission
JP2023534854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ntain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