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5106A -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5106A
KR20230025106A KR1020210107196A KR20210107196A KR20230025106A KR 20230025106 A KR20230025106 A KR 20230025106A KR 1020210107196 A KR1020210107196 A KR 1020210107196A KR 20210107196 A KR20210107196 A KR 20210107196A KR 20230025106 A KR20230025106 A KR 20230025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date
vehicle
controller
management
manage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혁상
정명규
김진아
정윤식
김학준
이동열
양영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7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5106A/ko
Priority to US17/719,786 priority patent/US20230052548A1/en
Priority to DE102022110067.7A priority patent/DE102022110067A1/de
Priority to CN202210462795.2A priority patent/CN115705203A/zh
Publication of KR20230025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51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58Monitoring arrangements for monitoring environmental properties or parameters of the computing system or of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e.g. monitoring of power, currents, temperature, humidity, position, vib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4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6Preventing errors by testing or debugging software
    • G06F11/362Software debug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70Software maintenance or management
    • G06F8/71Version control; Configura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2Registering or indicat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62Adapting control system settings
    • B60W2050/0075Automatic parameter input, automatic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 B60W2050/0083Setting, resetting, cal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24Energy storage means
    • B60W2510/242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 B60W2510/244Charge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15Selection or confirmation of op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는 차량 주행 중 미리 정한 주기마다 저전압 배터리 상태를 기반으로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 가능 여부를 1차 판단하는 제 1 협조 제어기; 상기 제 1 협조 제어기로부터 1차 판단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의 실행이 가능한 경우 차량의 이그니션 오프 시 사용자 승인을 요청하여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관리 제어기; 및 상기 사용자 승인을 위한 승인창을 표시하는 제 2 협조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 및 그 방법{Update management apparatus for controlling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상태를 기반으로 차량의 제어기를 업데이트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차량 관련 기술들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최근에 출시되는 차량에는 ABS, EPS, ADAS 등 다양한 전장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들이 탑재되어 있다. 각각의 제어기들의 유지 및 관리를 위해서는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지속적인 관리능력이 매우 중요한 바, 버그, 결함 및 변화하는 법률과 제도에 신속하고 지속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OTA(Over The Air)를 통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자율 주행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기들의 소프트웨어의 경우 주행 환경에 따른 잦은 기능 개선, 고객 맞춤형 R&H(Ride & Handling)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등으로 인해 다른 제어기들의 소프트웨어보다 업데이트의 빈도수가 높다. 따라서, 자율 주행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기들의 효율적인 업데이트를 위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에게 업데이트 승인을 받기 전 미리 업데이트 실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업데이트 실행 직전 업데이트 실행 가능 여부를 재판단하여 실행 가능 여부의 판단의 신뢰성을 높이고, 사용자 승인 후 업데이트 시작 실패가 되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는 차량 주행 중 미리 정한 주기마다 저전압 배터리 상태를 기반으로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 가능 여부를 1차 판단하는 제 1 협조 제어기; 상기 제 1 협조 제어기로부터 1차 판단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의 실행이 가능한 경우 차량의 이그니션 오프 시 사용자 승인을 요청하여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관리 제어기; 및 상기 사용자 승인을 위한 승인창을 표시하는 제 2 협조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협조 제어기는, 상기 차량 제어기 업데이트에 대한 상기 사용자 승인 완료 후, 현재 측정된 소모 전류값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 가능 여부를 2차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제어기는, 상기 2차 판단 결과, 상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제어기는, 상기 2차 판단 결과, 상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의 시작을 실패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알림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제어기는, 업데이트 예상 시간, 업데이트 시 추가 소모 전류값, 및 임시 임계 SOC 설정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제 1 협조 제어기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제어기는, 차량 제어기의 리프로그래밍 시간에 리프로그래밍 재시도 횟수 또는 롤백 횟수를 더하여 상기 업데이트 예상 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제어기는, 차량 제어기별 리프로그래밍 시 소모되는 추가 소모전류, 상기 차량 제어기별 리프로그래밍 예상 시간, 및 상기 업데이트 예상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업데이트 시 추가 소모 전류값을 산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제어기는, 서버로부터 상기 임시 임계 SOC 설정값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협조 제어기는, 업데이트 예상 시간, 업데이트 시 추가 소모 전류값, 및 임시 임계 SOC 설정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협조 제어기는, 상기 1차 판단 시, 미리 정한 소모 전류 및 상기 관리 제어기로부터 수신한 추가 소모 전류를 이용하여 소모되는 배터리량을 산출하고, 현재 배터리 충전량에서 상기 소모되는 배터리량을 차감하여 업데이트 종료 시 예상 배터리량을 산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협조 제어기는, 상기 업데이트 종료 시 예상 배터리량을 상기 관리 제어기로부터 수신한 임시 임계 SOC 설정값과 비교하여 업데이트 실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협조 제어기는, 상기 2차 판단 시, 측정된 추가 소모 전류 및 상기 관리 제어기로부터 수신한 추가 소모 전류를 이용하여 소모되는 배터리량을 산출하고, 현재 배터리 충전량에서 상기 소모되는 배터리량을 차감하여 업데이트 종료 시 예상 배터리량을 산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제어기는, 상기 차량의 주행 중 상기 1차 판단 결과, 상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 2 협조 제어기로 상기 승인창 표시 준비를 요청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제어기는, 상기 차량이 이그니션 오프되면 상기 인터페이스부로 상기 승인창 표시를 요청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제어기는, 상기 차량이 이그니션 오프되면 상기 사용자 승인을 받은 후, 상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를 위한 준비를 수행하고, 사용자에게 전기 부하 사용의 제한을 권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협조 제어기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협조 제어기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는 차량 주행 중 미리 정한 주기마다 저전압 배터리 상태를 기반으로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 가능 여부를 1차 판단하고,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 가능한 경우 차량의 이그니션 오프 후 사용자 승인을 요청하여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사용자 승인을 위한 승인창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 제어기 업데이트에 대한 상기 사용자 승인을 받으면, 현재 측정된 소모 전류값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 가능 여부를 2차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2차 판단 결과, 상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를 수행하고, 상기 2차 판단 결과, 상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의 시작을 실패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알림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방법은 차량 주행 중 미리 정한 주기마다 저전압 배터리 상태를 기반으로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 가능 여부를 1차 판단하는 단계;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 가능한 경우 차량의 이그니션 오프 후 사용자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승인을 위한 승인창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제어기 업데이트에 대한 상기 사용자 승인을 받으면, 현재 측정된 소모 전류값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 가능 여부를 2차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판단 결과 상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이 가능한 경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은 사용자에게 업데이트 승인을 받기 전 미리 업데이트 실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업데이트 실행 직전 업데이트 실행 가능 여부를 재 판단하여 실행 가능 여부의 판단의 신뢰성을 높이고, 사용자 승인 후 업데이트 시작 실패가 되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업데이트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업데이트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업데이트 예상 시간을 산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업데이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업데이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업데이트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차량 업데이트 관리 장치(100)는 차량의 이그니션 오프(Ignition off)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기(320)의 무선업데이트(OTA; Over The Air)를 수행하고, 업데이트 시 저전압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한다. 저전압 배터리는 용량의 한계가 있어서 여러 개의 제어기를 동시에 업데이트 하기에 부족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차량 업데이트 관리 장치(100)는 이그니션 오프 상태에서 저전압 배터리의 사용을 제한하고, 업데이트 시간을 산출하여 업데이트 종료 시 배터리 상태를 예측해야 한다. 이에 차량 업데이트 관리 장치(100)는 업데이트 종료 시 배터리 상태와 배터리의 시동 성능을 위한 최소 요구 상태를 기반으로 업데이트 시작 전 업데이트 실행 여부를 판단 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업데이트 관리 장치(100)는 이그니션 오프 후 사용자 승인을 받아 진행하게 되는데, 사용자 승인 후 업데이트를 바로 시작하지 못하는 경우 업데이트를 실제 시작하는 시점에서 다시 차량의 업데이트 조건을 판단하게 되는데, 차량의 업데이트 조건이 불가능으로 변경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업데이트 승인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업데이트 불가를 안내해야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차량 업데이트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업데이트 승인을 받기 전 업데이트 가능 여부를 먼저 판단하여 업데이트 가능 여부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차량 업데이트 관리 장치(100)는 제한된 특정 상황에서만 사용자 승인 후 업데이트의 시작이 실패 되도록 하여, 사용자 승인 후 업데이트 실패로 인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업데이트 관리 장치(100)는 차량의 내부에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업데이트 관리 장치(100)는 차량의 내부 제어 유닛들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별도의 연결 수단에 의해 차량의 제어 유닛들과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업데이트 관리 장치(100)는 관리 제어기(310), 수행 제어기(320), 및 협조 제어기(330)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제어기(310)는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행 제어기(321, 322, 323)의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직접적으로 서버(200)와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계할 수 있다.
관리 제어기(310)는 OTA 업데이트를 주관하는 제어기로서 서버(200)로부터 S/W를 다운로드 받고, 수행 제어기(300)로 S/W를 전송하여 리프로그래밍을 실행한다.
이를 위해 관리 제어기(310)는 무선통신 제어부(311), 업데이트 관리부(312), 업데이트 실행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 제어부(311)는 서버(200)로부터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다운로드 받고 수행 제어기(320)의 버전정보, 업데이트 결과 등을 서버(200)로 전송하고 서버(200)로부터 업데이트 명령을 수신한다.
업데이트 관리부(312)는 수행 제어기(320)의 업데이트 실행을 주관하고 무선통신 제어부(311)로 통신을 요청할 수 있다.
업데이트 실행부(313)는 업데이트 관리부(312)의 명령에 따라 수행 제어기(320)에 소프트웨어를 전송하고 업데이트 결과를 업데이트 관리부(312)로 전달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행 제어기(321, 322, 323)는 업데이트 실행부(313)로부터 소프트웨어를 수신하여 리프로그래밍을 수행할 수 있다.
협조 제어기(330)는 차량 내 장치로서 관리 제어기(310)와 협조하여 수행 제어기(320)의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협조 제어기(330)는 배터리 상태 관리부(331) 및 디스플레이(332)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상태 관리부(331)는 관리 제어기(310)로부터 업데이트 예상시간, 업데이트시 추가 소모전류, 임시임계 SOC 설정값 등을 수신하여 저전압 배터리 상태를 기반으로 제어기의 업데이트를 실행 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32)는 관리 제어기(310)의 요청에 따라 화면에 업데이트 승인창, 진행상황 및 결과 등의 안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배터리 상태 관리부(331)는 차량 주행 중 미리 정한 주기마다 저전압 배터리 상태를 기반으로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 가능 여부를 1차 판단하는
관리 제어기(310)는 제 1 협조 제어기로부터 1차 판단 결과를 수신하여,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의 실행이 가능한 경우 차량의 이그니션 오프 시 사용자 승인을 요청하여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 상태 관리부(331)는 차량 제어기 업데이트에 대한 사용자 승인 완료 후, 현재 측정된 소모 전류값을 기반으로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 가능 여부를 2차 판단할 수 있다.
관리 제어기(310)는 2차 판단 결과,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관리 제어기(310)는 2차 판단 결과,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를 수행하지 않고,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의 시작을 실패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알림 할 수 있다. 관리 제어기(310)는업데이트 예상 시간, 업데이트 시 추가 소모 전류값, 및 임시 임계 SOC 설정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 1 협조 제어기로 전송 할 수 있다.
관리 제어기(310)는 차량 제어기의 리프로그래밍 시간에 리프로그래밍 재시도 횟수 또는 롤백 횟수를 더하여 업데이트 예상 시간을 산출 할 수 있다.
관리 제어기(310)는 서버(200)로부터 임시 임계 SOC 설정값을 수신할 수 있다.
배터리 상태 관리부(331)는 업데이트 예상 시간, 업데이트 시 추가 소모 전류값, 및 임시 임계 SOC 설정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 가능 여부를 판단 할 수 있다.
배터리 상태 관리부(331)는 1차 판단 시, 미리 정한 소모 전류 및 관리 제어기로부터 수신한 추가 소모 전류를 이용하여 소모되는 배터리량을 산출하고, 현재 배터리 충전량에서 소모되는 배터리량을 차감하여 업데이트 종료 시 예상 배터리량을 산출할 수 있다.
배터리 상태 관리부(331)는 업데이트 종료 시 예상 배터리량을 관리 제어기로부터 수신한 임시 임계 SOC 설정값과 비교하여 업데이트 실행 가능 여부를 판단 할 수 있다.
배터리 상태 관리부(331)는 2차 판단 시, 측정된 추가 소모 전류 및 관리 제어기로부터 수신한 추가 소모 전류를 이용하여 소모되는 배터리량을 산출하고, 현재 배터리 충전량에서 소모되는 배터리량을 차감하여 업데이트 종료 시 예상 배터리량을 산출 할 수 있다.
관리 제어기(310)는 차량의 주행 중 1차 판단 결과,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 2 협조 제어기로 승인창 표시 준비를 요청 할 수 있다.
관리 제어기(310)는 차량이 이그니션 오프되면 인터페이스부로 승인창 표시를 요청 할 수 있다.
관리 제어기(310)는 차량이 이그니션 오프되면 사용자 승인을 받은 후,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를 위한 준비를 수행하고, 사용자에게 전기 부하 사용의 제한을 권고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업데이트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를 위한 시스템은 차량 업데이트 관리 장치(100) 및 서버(200)를 포함한다.
차량 업데이트 관리 장치(10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인터페이스부(130), 프로세서(14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기(151, 152, 15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100)는 차량의 내부에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100)는 차량의 내부 제어 유닛들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별도의 연결 수단에 의해 차량의 제어 유닛들과 연결될 수도 있다.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100)는 차량 주행 중 주기적으로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 가능을 판단한 후 사용자에게 업데이트 승인을 요청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업데이트 불가 알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100)는 차량 주행 중 미리 정한 주기마다 미리 정한 고정된 소모 전류값을 기반으로 저전압 배터리 상태를 판단하여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 가능 여부를 1차 판단하고,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 가능한 경우 차량의 이그니션 오프 후 사용자 승인을 요청하여 사용자 승인을 위한 승인창을 표시하고, 차량 제어기 업데이트에 대한 사용자 승인을 받으면, 현재 측정된 소모 전류값을 기반으로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 가능 여부를 2차 판단하고, 2차 판단 결과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이 가능한 경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10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무선 또는 유선 연결을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해 다양한 전자 회로로 구현되는 하드웨어 장치로서, 차량 내 장치들과 차량 내 네트워크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차량 내 네트워크 통신 기술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 플렉스레이(Flex-Ray) 통신, 이더넷(Ethernet)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무선 인터넷 기술 또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을 통해 차량 외부의 서버(200), 인프라, 타 차량 등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파이(Wi-Fi),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band),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예로, 통신부(110)는 서버(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를 위한 데이터를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프로세서(14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및/또는 알고리즘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저장부(120)는 프로세서(140)에 의해 산출되는 업데이트 예상시간, 업데이트 시 추가 소모전류, 임시 임계 SOC 설정값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1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마이크로 타입(micro type), 및 카드 타입(예컨대,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또는 XD 카드(eXtream Digital Card)) 등의 메모리와,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롬(ROM,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자기 메모리(MRAM, Magnetic RAM),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및 광디스크(optical disk) 타입의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기록 매체(storage medium)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사용자로부터의 제어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수단과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결과 등을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인터페이스부(130)는 업데이트를 위한 사용자 승인 요청 화면(승인창)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승인을 위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30)는 업데이트 수행 과정 및 업데이스 시작 실패 알림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수단은 키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마우스, 조이스틱, 조그셔틀, 스타일러스 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입력수단은 디스플레이 상에 구현되는 소프트 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클러스터, AVN(Audio Video Navigation), HMI(Human Machine Interface), USM (User Setting Menu)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출력수단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피커와 같은 음성출력수단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터치 센서가 디스플레이에 구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며, 입력수단과 출력수단이 통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ld Emission Display, FED),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각 구성들을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의 명령을 실행하는 전기 회로가 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후술하는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고, 각 구성요소들이 제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차량에 탑재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다른 하위 제어기일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차량 주행 중 미리 정한 주기마다 저전압 배터리 상태를 기반으로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 가능 여부를 1차 판단하고,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 가능한 경우 차량의 이그니션 오프 후 사용자 승인을 요청하여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차량 제어기 업데이트에 대한 사용자 승인을 받으면, 현재 측정된 소모 전류값을 기반으로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 가능 여부를 2차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2차 판단 결과,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2차 판단 결과,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를 수행하지 않고,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의 시작을 실패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알림 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도 1의 관리 제어기(310) 및 배터리 상태 관리부(330)의 기능을 수행하며, 디스플레이(332)는 도 1의 인터페이스부(13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기(151, 152, 153)는 자율 주행 제어기일 수 있고, ADAS PRK, ADAS VP, HD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기(151, 152, 153)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기(151, 152, 153)는 자율 주행 기능의 수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서버(200)는 OTA 서버로서, 차량 업데이트 관리 장치(100)와의 통신을 통해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를 위한 소프트웨어 등의 데이터를 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관리 제어기(310)로부터 각 제어기(321, 322, 323)의 S/W들의 버전 및 차량 정보(차종, 지역, VIN(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를 수신 받아서 차량의 현재 이벤트 버전을 판단하고 현재 이벤트 버전을 기반으로 목표 이벤트 버전을 지정한 후, 해당 이벤트로 업데이트 하기 위한 S/W 패키지 다운로드 명령을 관리 제어기(310)로 전송한다. 일 예로, 서버(200)는 차량 외부의 클라우드 서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업데이트 전 업데이트 예상시간 및 여러 요인들 기반으로 저전압 배터리 상태를 판단하여 업데이트 실행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업데이트 후 저전압 배터리의 본래 기능(예, 시동)을 보장하고 사용자에게 업데이트 실행 가능한 상태에서만 승인을 요청하되, 특정 상황(차량조건, 사용조건)에서는 페일 세이프(Fail-Safe) 기능이 작동하여 업데이트 실행판단로직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업데이트 예상시간을 산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아래 수학식 1을 참조하여 차량 업데이트 관리 장치(100)는 최종 업데이트 예상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T_est는 업데이트 총 예상시간, T_1은 고전압 구동 관련 제어기(PE(Power electric) 제어기) 및 ICU 리프로그래밍 시간, T_2는 고전압 구동 관련 제어기 외의 제어기들의 리프로그래밍 시간, T_3은 CCU(Central Communication Unit) 리프로그래밍 시간이다. NRT(Number ReTry)는 리프로그래밍 재시도 횟수, NRB(Number RollBack)는 롤백 횟수이다. 이때, 차량 업데이트 관리 장치(100)는 직렬 및 병렬 처리별 재시도 횟수 및 롤백 횟수를 고려하여 업데이트 예상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차량 업데이트 관리 장치(100)는 리프로그래밍을 한번에 한 개씩 수행하는 직렬 처리 방식으로 구동 되는 경우, 예상 시간에 재시도 횟수, 롤백 횟수를 합산하여 총 예상 시간을 산출하고, 리프로그래밍을 동시에 여러 개를 처리하는 병렬처리 방식으로 구동 되는 경우, 병렬 처리되는 예상 시간 중 최대값(Max) 이용하여 총 예상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차량 업데이트 관리 장치(100)는 업데이트 총 예상 시간(T_est)에 재시도 횟수 또는 롤백 횟수를 곱하여 최종 업데이트 예상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업데이트 관리 장치(100)는 아래 수학식 2와 같이 리프로그래밍 시 소모되는 추가 전류 및 최종 업데이트 예상 시간을 이용하여 업데이트 시 추가 소모 전류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수학식 2와 같이 차량 업데이트 관리 장치(100)는 리프로그래밍 예상시간을 총 예상시간으로 나눈 값을 리프로그래밍 시 추가 소모전류에 곱하여 업데이트 추가 소모 전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업데이트 관리 장치(100)는 리프로그래밍 시 추가 소모 전류 및 리프로그래밍 예상시간을 서버(200)로부터 업데이트 명령 수신 시에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수학식 2에서 총 예상 시간은 수학식 1에서 산출된 값이다.
예를 들어, EMS 리프로그래밍시 추가 소모전류 50A, 리프로그래밍 예상시간 15분(재시도, 롤백 포함)이고, 최종 예상 시간이 60분인 경우, 추가소모전류 = 50A * 15분/60분 = 12.5A가 된다.
또한, 차량 업데이트 관리 장치(100)는 서버(200)로부터 업데이트 명령 수신 시 임시 임계 SOC 설정값을 수신할 수 있다.
임시 임계 SOC 설정값은 업데이트가 완료되는 시점의 배터리의 SOC값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으로서, 업데이트가 완료되는 시점의 배터리의 SOC값이 임시 임계 SOC 설정값보다는 커야 업데이트 완료 시 차량 시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차량 업데이트 관리 장치(100)는 업데이트가 완료되는 시점의 배터리의 SOC값을 예측하고 예측된 SOC 값을 임시 임계 SOC 설정값과 비교하여 업데이트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차량 업데이트 관리 장치(100)는 업데이트가 완료되는 시점의 배터리 SOC가 임시 임계계 SOC값보다 큰 경우에 업데이트를 수행 가능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임시 임계 SOC 설정값을 0으로 설정하고, 배터리 문제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불가시 임시 대응을 위해 임시 임계 SOC 설정값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에서 임시 임계 SOC이 0으로 설정되면 기존 차량에 셋팅된 40~50%(차종마다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되어 다름)의 임시 임계 SOC값이 사용되고, 서버(200)에서 0이 아닌 임시 임계 SOC값을 차량으로 전소안 경우, 차량은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임시 임계 SOC값을 우선시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업데이트 관리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차량 업데이트 관리 장치(100)의 각 구성인 배터리 상태 관리부(331), 업데이트 관리부(312), 디스플레이(332)가 도 4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가정한다.
차량 업데이트 관리 장치(100)의 업데이트 관리부(312)는 업데이트 예상시간, 업데이트 시 추가 소모 전류, 임시 임계 SOC 설정값을 배터리 상태 관리부(331)로 전송한다(S101). 이때, 배터리 상태 관리부(331)는 업데이트 시 소모 전류(고정값)을 미리 산출하여 저장하고 있다.
업데이트 예상시간은 업데이트 종료 시 배터리 SOC를 예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추가 소모 전류는 업데이트 실행 판단 시점 이후 업데이트 중 추가적인 전류 소모값이며, 업데이트 소모전류(고정값)에 더해지는 값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업데이트 소모 전류는 고정값으로서, 실험치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업데이트 소모 전류는 업데이트를 실제로 실행할 때 소모되는 전류로서 여러 종류의 차량 제어기의 상태 마다 업데이트 소모 전류가 다르나, 주행 중 업데이트 소모 전류는 일정한 값이 측정된다. 이에 업데이트 관리부(312)는 차량 주행 중 업데이트 소모 전류를 테스트를 통해 미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일정 값으로 고정시켜 이용할 수 있다.
업데이트 관리부(312)는 임시 임계 SOC 설정값을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임시 임계 SOC 설정값이 0x0일 경우 수신한 값을 무시하고 제어기 내 설정된 값을 사용한다. 반면 협조 제어기인 배터리 상태 관리부(331)의 설정값의 문제로 OTA실행이 불가할 경우, 협조 제어기인 배터리 상태 관리부(331)를 업데이트 해야하는데 실행이 불가하므로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임계 SOC설정값을 이용할 수 있다.
배터리 상태 관리부(331)는 업데이트 관리부(312)로부터 수신한 업데이트 예상시간, 업데이트 시 추가 소모 전류, 및 임시 임계 SOC 설정값과 자체적으로 판단한 배터리액 온도, 현재 배터리 충전량을 기반으로 저전력 배터리 상태를 판단하고, 저전력 배터리 상태를 기반으로 업데이트 실행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S102).
Figure pat00003
수학식 3과 같이, 배터리 상태 관리부(331)는 미리 저장해둔 업데이트 소모 전류(고정값)와 업데이트 시 업데이트 관리부(312)로부터 수신한 업데이트 시 추가 소모 전류를 합하여 소모되는 배터리량을 산출하고, 현재 배터리 충전량에서 소모되는 배터리량을 차감하여 업데이트 종료 시 예상 배터리량을 산출한다.
이어 아래 수학식 4와 같이, 배터리 상태 관리부(331)는 산출된 업데이트 종료시 예상 배터리량이 업데이트 관리부(312)로부터 수신한 임시 임계 SOC 설정값보다 큰지를 판단하여, 크면 업데이트가 가능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이처럼 본 발명은 차량 주행 중 미리 업데이트 실행 가능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업데이트가 확실히 가능한 조건에서만 승인창을 표출하도록 할 수 있다.
배터리 상태 관리부(331)는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 가능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업데이트 관리부(312)로 전송할 수 있다(S103).
이에 업데이트 관리부(312)는 배터리 상태 관리부(331)로부터 수신한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 가능한 경우 사용자 승인을 위한 화면(승인창)의 출력 준비를 디스플레이(332)로 요청한다(S104).
이후, 차량 이그니션이 오프되면 업데이트 관리부(312)는 디스플레이(332)로 승인창 출력을 요청한다(S105).
이에 디스플레이(332)는 사용자 승인을 위한 화면(승인창)을 표시하고(S106), 사용자로부터 승인을 받아 승인 결과를 업데이트 관리부(312)로 전송한다(S107). 이때, 차량의 이그니션 오프 시 디스플레이(332)의 화면이 꺼지나, 미리 승인창 출력 준비를 요청받은 상태에서 이그니션 오프 시에는 디스플레이(332)의 화면이 꺼지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업데이트 관리부(312)는 디스플레이(332)로부터 사용자 승인을 수신한 후 업데이트 준비를 수행한다(S108).
이때, 업데이트 준비과정 중에는 사용자에게 전기 부하 사용을 제한하라고 권고할 수 있으며, 특정 전기부하 사용 시 업데이트 시작이 불가하므로 이러한 조건들을 디스플레이(332)를 통해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림 할 수 있다.
이후 업데이트 관리부(312)는 업데이트 예상시간, 업데이트 시 추가 소모 전류, 임시 임계 SOC 설정값을 배터리 상태 관리부(331)로 전송한다(S109).
이어 배터리 상태 관리부(331)는 업데이트 시 소모 전류(측정값)을 기반으로 업데이트 실행 가능 여부를 다시 판단한다(S110).
즉 차량의 이그니션 오프 이후 업데이트 준비시간 동안 차량 조건 및 사용 조건에 의해 저전압 배터리의 방전이 과하게 되었을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 상태 관리부(331)는 업데이트 시작 직전에 업데이트 실행 가능 여부를 한번 더 판단한다. 이때, 배터리 상태 관리부(331)는 현재 소모전류(측정값) 기반으로 판단한다.
이어 배터리 상태 관리부(312)는 과정 S110에서 판단한 업데이트 실행 가능 여부 판단 결과를 업데이트 관리부(312)로 전송하고(S111), 업데이트 관리부(312)는 업데이트 실행 가능한 경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를 실행한다(S112).
이때, 통상의 조건에서는 업데이트 시 소모 전류(고정값)을 기반으로 업데이트 실행 가능 여부를 판단한 상기 과정 S102와 현재 소모 전류(측정값)을 기반으로 업데이트 실행 가능 여부를 판단한 상기 과정 S110의 결과가 동일하다. 그러나, 상기 과정 S102 이후 이그니션 오프 후 사용자가 외부전기부하를 인가하여 전류소모가 과하거나 특정 차량 조건에 의해 특정 전기부하가 작동하여 전류소모가 과한 경우, 페일 세이프(Fail-safe) 형식으로 상기 과정 S110에서 업데이트 시작 불가로 판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에게 업데이트 시작 불가임을 디스플레이(332)를 통해 알림 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업데이트 관리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2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100)가 도 5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도 5의 설명에서,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은 업데이트 관리 장치(100)의 프로세서(140)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차량의 이그니션 온이 되면(S201), 업데이트 관리 장치(100)는 저전압 배터리의 상태가 차량의 제어기 업데이트가 가능한 상태인 지를 판단할 수 있다(S202). 이때, 업데이트 관리 장치(100)는 업데이트 소모 전류(고정값)을 기반으로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의 실행이 불가능한 상태로 판단되면, 업데이트 관리 장치(100)는 차량이 이그니션 오프되면(S209). 종료한다.
반면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의 실행이 가능한 상태로 판단되면, 업데이트 관리 장치(100)는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를 위한 승인창 표출을 준비하고(S203), 차량이 이그니션 오프가 되면(S204), 승인창을 표출하여 사용자로부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에 대한 승인을 받는다(S205).
사용자 승인이 완료되면 업데이트 관리 장치(100)는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를 준비하고(S206), 업데이트 준비 과정을 마친 후 실제 업데이트 시작 전 저전압 배터리의 상태가 업데이트 가능한 상태인지를 측정된 전류를 기반으로 재 판단 한다(S207).
판단 결과, 저전압 배터리의 상태가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가 가능한 상태이면, 업데이트 관리 장치(100)는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를 실행한 후 종료한다(S208).
반면, 판단 결과 저전압 배터리의 상태가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가 불가능한 상태로 판단되면, 업데이트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업데이트 시작 실패 상태(업데이트 취소)를 알림하고 종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주행 중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시작 전에 업데이트 예상시간 등 여러 요인들을 기반으로 저전압배터리 상태를 판단하여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 가능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후 저전압 배터리의 본래기능(시동)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업데이트 실행 가능한 상태에서만 승인을 요청하되, 특정 상황(차량조건, 사용조건) 에서는 페일 세이프 기능을 작동하여 업데이트 실행 판단로직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 1310) 및 RAM(Random Access Memory, 132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차량 주행 중 미리 정한 주기마다 저전압 배터리 상태를 기반으로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 가능 여부를 1차 판단하는 제 1 협조 제어기;
    상기 제 1 협조 제어기로부터 1차 판단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의 실행이 가능한 경우 차량의 이그니션 오프 시 사용자 승인을 요청하여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관리 제어기; 및
    상기 사용자 승인을 위한 승인창을 표시하는 제 2 협조 제어기
    를 포함하는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협조 제어기는,
    상기 차량 제어기 업데이트에 대한 상기 사용자 승인 완료 후,
    현재 측정된 소모 전류값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 가능 여부를 2차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제어기는,
    상기 2차 판단 결과, 상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제어기는,
    상기 2차 판단 결과, 상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의 시작을 실패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알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제어기는,
    업데이트 예상 시간, 업데이트 시 추가 소모 전류값, 및 임시 임계 SOC 설정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제 1 협조 제어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제어기는,
    차량 제어기의 리프로그래밍 시간에 리프로그래밍 재시도 횟수 또는 롤백 횟수를 더하여 상기 업데이트 예상 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제어기는,
    차량 제어기별 리프로그래밍 시 소모되는 추가 소모전류, 상기 차량 제어기별 리프로그래밍 예상 시간, 및 상기 업데이트 예상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업데이트 시 추가 소모 전류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제어기는,
    서버로부터 상기 임시 임계 SOC 설정값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협조 제어기는,
    업데이트 예상 시간, 업데이트 시 추가 소모 전류값, 및 임시 임계 SOC 설정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협조 제어기는,
    상기 1차 판단 시,
    미리 정한 소모 전류 및 상기 관리 제어기로부터 수신한 추가 소모 전류를 이용하여 소모되는 배터리량을 산출하고,
    현재 배터리 충전량에서 상기 소모되는 배터리량을 차감하여 업데이트 종료 시 예상 배터리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1 협조 제어기는,
    상기 업데이트 종료 시 예상 배터리량을 상기 관리 제어기로부터 수신한 임시 임계 SOC 설정값과 비교하여 업데이트 실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1 협조 제어기는,
    상기 2차 판단 시,
    측정된 추가 소모 전류 및 상기 관리 제어기로부터 수신한 추가 소모 전류를 이용하여 소모되는 배터리량을 산출하고,
    현재 배터리 충전량에서 상기 소모되는 배터리량을 차감하여 업데이트 종료 시 예상 배터리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제어기는,
    상기 차량의 주행 중 상기 1차 판단 결과, 상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 2 협조 제어기로 상기 승인창 표시 준비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제어기는,
    상기 차량이 이그니션 오프되면 상기 승인창 표시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 제어기는,
    상기 차량이 이그니션 오프되면 상기 사용자 승인을 받은 후, 상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를 위한 준비를 수행하고, 사용자에게 전기 부하 사용의 제한을 권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협조 제어기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협조 제어기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
  17. 차량 주행 중 미리 정한 주기마다 저전압 배터리 상태를 기반으로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 가능 여부를 1차 판단하고,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 가능한 경우 차량의 이그니션 오프 후 사용자 승인을 요청하여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사용자 승인을 위한 승인창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는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 제어기 업데이트에 대한 상기 사용자 승인을 받으면,
    현재 측정된 소모 전류값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 가능 여부를 2차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2차 판단 결과, 상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를 수행하고,
    상기 2차 판단 결과, 상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의 시작을 실패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알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
  20. 차량 주행 중 미리 정한 주기마다 저전압 배터리 상태를 기반으로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 가능 여부를 1차 판단하는 단계;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 가능한 경우 차량의 이그니션 오프 후 사용자 승인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승인을 위한 승인창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제어기 업데이트에 대한 상기 사용자 승인을 받으면,
    현재 측정된 소모 전류값을 기반으로 상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 가능 여부를 2차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판단 결과 상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실행이 가능한 경우,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방법.
KR1020210107196A 2021-08-13 2021-08-13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02510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196A KR20230025106A (ko) 2021-08-13 2021-08-13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US17/719,786 US20230052548A1 (en) 2021-08-13 2022-04-13 Update management apparatus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DE102022110067.7A DE102022110067A1 (de) 2021-08-13 2022-04-26 Aktualisierungsverwaltung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dafür
CN202210462795.2A CN115705203A (zh) 2021-08-13 2022-04-28 用于车辆的更新管理装置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196A KR20230025106A (ko) 2021-08-13 2021-08-13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106A true KR20230025106A (ko) 2023-02-21

Family

ID=85039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196A KR20230025106A (ko) 2021-08-13 2021-08-13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052548A1 (ko)
KR (1) KR20230025106A (ko)
CN (1) CN115705203A (ko)
DE (1) DE102022110067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3876B2 (ja) * 2002-01-18 2006-08-23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電源装置
JP2020030607A (ja) * 2018-08-22 2020-02-2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ソフトウェア更新装置
KR102598962B1 (ko) * 2018-12-12 2023-1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제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차량 시스템
JP6943903B2 (ja) * 2019-02-22 2021-10-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ソフトウェア更新装置、車両及びソフトウェア更新方法
JP7063853B2 (ja) * 2019-07-03 2022-05-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ソフトウェア更新装置、サーバ装置、ソフトウェア更新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5461711A (zh) * 2020-04-21 2022-12-09 株式会社电装 车辆用电子控制系统、数据的初始化方法、中心装置、车辆用主装置、初始化数据包的分发程序以及数据的初始化程序
US20230102795A1 (en) * 2021-09-30 2023-03-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 selection of nodes on which to perform tas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705203A (zh) 2023-02-17
DE102022110067A1 (de) 2023-02-16
US20230052548A1 (en)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8530B2 (en) Vehicle update systems and methods
US9086941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edictive software upgrades
JP2018037059A (ja) 車載更新装置及び車載更新システム
US11099830B2 (en) Software updating apparatus, vehicle, and software updating method
KR102598962B1 (ko) 차량 제어기의 업데이트 제어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차량 시스템
KR20210133599A (ko) 차량의 무선 업데이트 장치 및 그 방법
US11561789B2 (en) Software update device, vehicle, and software update method
KR102587084B1 (ko) 차량의 업데이트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07065856A (ja) 情報書き換えシステムおよび情報書き換え装置
US1117590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update of vehicle
US11281455B2 (en) Apparatus for over the air update for vehicle and method therefor
KR20230025106A (ko) 차량의 업데이트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JP7320547B2 (ja) プログラム更新制御装置、プログラム更新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284232B2 (en) Vehicle control system
US11307743B2 (e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providing mode switching
US11886863B2 (en) Mobility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updating thereof
JP2020021506A (ja) 電子制御装置及びセッション確立プログラム
US20230123222A1 (en) Mobility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updating thereof
US11604638B2 (en) Software update device, vehicle, and software update method
KR20240018226A (ko) 무선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
US20230036444A1 (en) System,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JP2020088483A (ja) 通信端末、サービス提供方法
CN117651932A (zh) 软件更新装置、软件更新系统以及软件更新方法
CN117950696A (zh) 一种车辆ota升级的控制方法、装置及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