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4690A - 절첩식 광고대 - Google Patents

절첩식 광고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4690A
KR20230024690A KR1020210106756A KR20210106756A KR20230024690A KR 20230024690 A KR20230024690 A KR 20230024690A KR 1020210106756 A KR1020210106756 A KR 1020210106756A KR 20210106756 A KR20210106756 A KR 20210106756A KR 20230024690 A KR20230024690 A KR 20230024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male
folding
rotation
panel
advertis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은홍
Original Assignee
민은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은홍 filed Critical 민은홍
Priority to KR1020210106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4690A/ko
Publication of KR20230024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46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5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ortable display standards
    • G09F15/006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ortable display standards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힌지 방식으로 절첩이 이루어지면서도 프레임에 힌지 구조를 일체화하여 부속을 최소화하고 조립공정을 간소화하며 일체화된 미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광고면이 형성되는 전,후방패널의 상단이 힌지 구조로 조립되어 A형으로 펼쳐 지면에 사용하는 절첩식 광고대에 있어서, 전,후방패널의 상단 절첩부가 전방패널과 후방패널에 각각 암회동부와 수회동부를 구비하고, 암회동부는 전방패널의 상부프레임에 수회동부는 후방패널의 상부프레임에 각각 일체로 압출 성형하여 암,수회동부가 축방향으로 조립되어 절첩 구조를 갖도록 하고, 암,수회동부가 축 결합된 상태에서 그 양측 단부에 체결구를 조립하여 상부프레임에 일체화된 힌지 구조로 절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조립구조를 간소화하고, 제작원가를 절감하면서도 광고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암회동부와 수회동부를 중공의 관 구조로 각각 원호부와 힌지부로 구성하여 그 양단에 체결구를 조립하고, 모서리조립구를 이용하여 광고패널의 프레임을 조립하며, 암,수회동부의 원호부와 힌지부에는 각각 요홈과 스토퍼에 의하여 절첩 각도를 제한하도록 하고, 힌지부의 내경에는 체결구의 피스조립부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트임부를 형성하면서도 중공된 내경에는 방사형으로 배치된 돌기살을 형성하여 힌지부가 지나치게 벌어져 원호부와 마찰면적이 넓어져 회동 작동을 저해하는 범위까지 벌어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체결구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광고대의 내구성을 확보하면서도 절첩 작동할 때 부상의 우려가 없이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절첩식 광고대{folding advertising stand}
본 발명은 A형으로 펼쳐지는 절첩식 광고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힌지 방식으로 절첩이 이루어지면서도 프레임에 힌지 구조를 일체화하여 부속을 최소화하고 조립공정을 간소화하며 일체화된 미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고대는 광고, 홍보, 안내 등을 목적으로 길거리나 실,내외를 불문하고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중에서도 절첩식 광고대는 프레임이 A형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삼각형의 형태로 직립하게 세워지는 광고대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절첩식 광고대는 대한민국 특허 2270831호(2021.06.23.)와 같이 금속 앵글로 전,후면에 광고 프레임으로 광고패널을 제작하고, 전,후면의 광고 프레임에는 광고시트를 게재하여 양면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영업장의 영업 시간에만 광고대를 설치하고, 영업이 끝나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광고대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프레임 상단에 경첩을 장착하여 힌지 구조로 광고패널을 마주하게 접거나 펼치 수 있게 접이식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전,후방패널이 벌어지는 각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별도의 간격조절수단을 장착하여 벌어지는 각도를 제한하도록 한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330670호(2003.10.09.)에 개시된 바와 같이 광고패널의 벌어짐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다단으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수단이 장착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광고패널에 경첩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일측의 패널에 경첩을 피스 고정한 후 다른 패널에 경첩을 피스고정해야 하는 공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전,후방패널간 위치를 정확하게 맞추기가 매우 번거롭고, 압출성형물을 일정간격으로 재단하여 제작하는 프레임의 특성상 규격에 따른 조립위치를 표시할 수 없기 때문에 경첩의 조립위치를 특정할 수 없으므로 광고대가 절첩되는 과정에서 미세하게 편심이 발생하고 이 상태에서 반복 사용할 경우 경첩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특히 이러한 경첩은 광고패널 외부에 절치되는데, 경첩이 외부로 노출될 경우 광고대 미관을 해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절첩되는 안쪽, 즉 프레임 하부 내측에 경첩을 조립해야 하며, 비좁은 틈을 통해서 경첩을 조립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결국 전,후방패널을 완전히 펼친 상태에서 경첩을 조립해야 하므로 조립이 매우 번거롭고 조립을 위한 공간을 지나치게 넓게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단순히 경첩만을 조립하면 광고패널이 필요이상으로 벌어지게 되기 때문에 상술한 종래의 기술들과 같이 광고패널이 적정한 각도로 펼쳐져 직립하게 세워서 설치할 수 있도록 간격조절수단이 장착되는데, 이 간격조절수단은 경첩을 먼저 조립한 상태에서 추가적인 조립공정을 통하여 설정하고자 하는 각도에 맞추어서 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이같은 간격조절수단은 광고대를 접거나 펼칠 때 함께 절첩되는 구조를 갖는데, 사용자가 자칫 광고패널 또는 간격조절수단이 절첩되는 안쪽으로 손가락을 넣은 상태로 광고대를 절첩 작동하는 경우 손끼임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시 주의를 하면서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별도의 경첩, 간격조절수단이 추가 조립되는 특성상 조립부위들이 외부로 노출될 수밖에 없으므로 광고대의 미관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고, 최근에는 광고대를 다양한 색상으로 분체 도장하는 등 고급질감을 위하여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는데 반하여 경첩이나 스토퍼등의 철물들은 대부분 금속성의 크롬도금되어 은색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광고대 외관과 일체화된 미감을 제공하지 못하고 상품가치를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광고패널을 구성하는 프레임에 힌지구조를 일체로 형성하여 경첩과 같은 절첩 부속이 필요없이 그 자체로 절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광고대의 조립구성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지면서도 미관을 우수하게 하는 절첩식 광고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절첩구조가 매우 견고하면서도 외력이나 비틀림에 의한 파손이나 손상의 우려가 없으며, 힌지 구조에 각도 설정기능을 부가하여 펼쳐짐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부속을 조립하지 않고도 일체화된 부가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광고패널을 절첩 할 때 부상의 우려가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절첩식 광고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광고면이 형성되는 전,후방패널의 상단이 힌지 구조로 조립되어 A형으로 펼쳐 지면에 사용하는 절첩식 광고대에 있어서, 전,후방패널의 상단 절첩부가 전방패널과 후방패널에 각각 암회동부와 수회동부를 구비하고, 암회동부는 전방패널의 상부프레임에 수회동부는 후방패널의 상부프레임에 각각 일체로 압출 성형하여 암,수회동부가 축방향으로 조립되어 절첩 구조를 갖도록 하고, 암,수회동부가 축 결합된 상태에서 그 양측 단부에 체결구를 조립하여 상부프레임에 일체화된 힌지 구조로 절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암,수회동부와 상부프레임을 동일한 길이로 제작하고, 암회동부와 수회동부를 중공의 관 구조로 각각 원호부와 힌지부로 구성하여 그 양단에 체결구를 조립하고, 모서리조립구를 이용하여 광고패널의 프레임을 조립함으로써 체결부위가 측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암,수회동부의 원호부와 힌지부에는 각각 요홈과 스토퍼에 의하여 절첩 각도를 제한하도록 하고, 힌지부의 내경에는 체결구의 피스조립부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트임부를 형성하면서도 중공된 내경에는 방사형으로 배치된 돌기살을 형성하여 힌지부가 지나치게 벌어져 원호부와 마찰면적이 넓어져 회동 작동을 저해하는 범위까지 벌어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체결구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절첩식 광고대에 의하면, 절첩부의 회동구조가 광고패널과 일체로 형성되므로 종래와 같이 프레임의 적정위치에 경첩을 조립한 후 양측의 프레임을 맞추면서 조립할 필요가 없이 힌지부분을 축결합 방식으로 끼워 조립이 완료되기 때문에 조립이 매우 간편하고, 작업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으며, 생산효율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광고패널과 암,수회동부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단프레임을 압출성형하는 과정에서 일체로 성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작이 간편하고, 경첩이나 각도조절을 위한 추가부속들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힌지 체결부에서의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고 온전히 절첩이 이루어지므로 매우 체결부위가 매우 견고하고 광고대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힌지 구조가 일체화된 구조이기 때문에 부가적인 철물부속의 조립이 필요치 않으므로 체결부위가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으므로 미관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원하는 색상으로 프레임을 제작,생산하더라도 광고대를 조립했을 때 디자인적인 이질감이 없을 뿐만 아니라, 철물로 인한 추가 도색이 필요없이 매우 다양한 색상으로 디자인 표출이 가능하다
또한, 광고대를 접거나 펼치는 과정에서 각도조절구에 손이 끼는 등의 부상의 우려가 없이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고대의 외관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광고대의 절첩부 조립구조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광고대가 접힌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절첩부의 조립부 구조를 나타낸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절첩부의 조립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절첩부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외측으로 광고면이 형성되는 전방패널(120)과 후방패널(140)로 이루어져 양면으로 광고면이 노출되는 광고패널(100)이 구비되고, 광고패널(100)은 전방패널(120)과 후방패널(140)의 상단이 힌지 구조로 조립된 절첩부(200)에 의하여 전,후방패널을 접어서 보관하거나 펼쳐서 A형 광고대로 사용하는 절첩식 광고대에 관한 기술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패널(120,140)을 절첩하기 위한 구조로써 전방패널(120)과 후방패널(140)에 각각 암회동부(220)와 수회동부(240)가 일체로 구성되어 별도의 경첩이나 간격조절구와 같은 철물부속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한 조립구조로 절첩식의 광고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광고대를 구성하는 광고패널(100)은 전방패널(120)과 후방패널(140)이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광고시트 등을 게재함으로써 광고면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전,후방패널(120,140)은 각각 상부프레임(122,142)과 측면프레임(124,144)과 하부프레임에 의하여 사각형으로 프레임이 조립되어 광고시트를 게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하부프레임과 측면프레임이 조립되는 모서리 부분에는 꺽쇠를 이용하여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들에는 광고시트의 테두리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하부프레임과 측면프레임의 어느 하나 이상에는 힌지구조로 축결합되어 절첩 작동하는 덮개판을 장착하여 광고시트를 게재하거나 교체할 때 덮개판을 개폐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고패널(100)을 구성하는 프레임들 중 상부프레임(122,142)에는 절첩부(200)가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암회동부(220)는 전방패널(120)의 상부프레임(122)과 일체로 압출 성형되고, 상기 수회동부(240)는 후방패널(140)의 상부프레임(142)과 일체로 압출 성형되어 축방향으로 조립되어 전,후방패널(120,140)이 절첩 구조를 갖도록 되고, 상기 암회동부(220)와 수회동부(240)가 축 결합된 상태에서 그 양측 단부에는 체결구(260)가 조립되어 암,수회동부(220,240)가 유동되지 않게 조립되며, 그 상태에서 암,수회동부가 회동되면서 절첩부(200)의 절첩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프레임(122,142)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소재를 압출 성형하여 제작되는데, 상부프레임의 일단에 암,수회동부(220,240)를 일체로 압출 성형함으로써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힌지 구조로 결합되어 상부프레임 전체가 절첩 기능을 하게 하여 안정적인 절첩 작동이 이루어짐은 물론, 광고패널(100)과 절첩부(200)가 별도의 부속이 아닌 일체화된 미감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광고패널(100)을 구성하는 프레임 자체가 힌지 구조로 조립되어 별도의 철물 부속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한 공정에 의하여 광고대의 조립이 이루어지고,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회동부(220)와 수회동부(2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22,142)과 일체로 압출 성형함으로써 암,수회동부와 상부프레임이 동일한 길이로 재단되게 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전,후방패널(120,140)은 각각 상부프레임(122,142)이 측면프레임(124,144)과 모서리조립구(126,146)로 조립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암회동부(220)와 수회동부(240)가 축 결합된 상태에서 그 양측 단부에 조립된 체결구(260)가 측방향, 즉 광고대 좌,우측으로 전혀 돌출되지 않게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안전에 위해한 요소를 제거하고 조립부위가 노출되는 최소화하여 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회동부(220)와 수회동부(240)가 축 결합된 상태에서 절첩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구조로써, 암회동부(220)는 상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중공의 관형태로 이루어지는 원호부(222)의 일측에 개구부(224)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수회동부(240)는 원호부(222)에 삽입되도록 상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힌지부(242)의 일측에 연결대(244)를 형성하면 전방패널(120)과 후방패널(140) 상단이 조립된 상태에서 절첩되는 각도를 제한하여 광고패널(100)의 벌어짐 각도를 제한하고 광고대가 지면에 이등변 삼각형의 형태로 직립되게 세워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힌지부(242)는 체결구(260)를 조립할 수 있도록 중공의 관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체결구(260)는 수회동부(240)의 중공된 내측에 체결되는 피스조립부(262)와 헤드(264)로 구성되어 피스조립부(262)가 수회동부(240)에 체결된 상태에서 헤드(264)에 의하여 암회동부(220)의 측방향 이탈을 방지하고 광고대의 절첩 작동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즉, 암회동부(220)와 수회동부(240)의 길이가 동일하게 이루어진 상태에서 축 결합되고, 그 양단에 체결구(260)가 조립되는데, 피스조립부(262)는 수회동부(240)의 힌지부(242)의 중공된 내경에 피스방식으로 가압 체결되고, 체결구(260)의 헤드(264)는 암회동부(220)의 원호부(222) 내경보다 헤드(264)의 외경을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체결구(260)가 수회동부(240)의 양측 단부에 체결된 상태에서 암회동부(220)가 헤드(264)에 의하여 측방향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회동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헤드(264)의 외경은 암회동부(220)의 원호부(222) 외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부프레임(122,142)이 상호 절첩될 때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암,수회동부(220,240)가 조립된 양측에 체결구(260)가 조립되기 때문에 절첩부의 조립된 부분이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절첩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절첩부(200)는 반복적으로 광고대를 절첩할 경우 암회동부(220)와 수회동부(240)가 펼쳐진 상태에서 또는 회동 작동시 수회동부(240)에 형성된 연결대(244)에 암회동부(220)의 원호부(222)의 개구된 선단이 밀착되어 지지되기 때문에 연결대(244)에 하중이 집중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연결대(244)가 외력에 의하여 손상되거나 파손, 변형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연결대(244)에 하중이 집중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힌지부(242)의 외경에 돌출된 구조의 스토퍼(243)를 형성하고, 원호부(222)의 내경에는 스토퍼(24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요홈(223)을 형성하며, 요홈(223)의 크기를 스토퍼(243)가 요홈(223) 내에서 일정한 범위에서만 움직임 되도록 하면 요홈(223)이 스토퍼(243)의 회동각을 제한하면서 연결대(244)에 하중이 집중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암회동부(220)에 형성된 개구부(224)는 상부프레임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하부측으로 형성하고, 상부로는 원호부(222) 중의 일부만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절첩부(200)가 조립된 부위가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절첩부(200)가 조립된 상태에서 광고패널(100)이 절첩될 경우에도 조립부위가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회동부(240)의 외경은 암회동부(220)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함으로써 암회동부(220)의 내경과 수회동부(240)의 외경 사이가 유동 가능하게 미세한 틈으로 이격 구성되어 회동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수회동부(240)는 체결구(260) 조립시 피스조립부(26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트임부(246)를 형성하면 피스조립부(262)가 수회동부(240)의 중공된 내경에 조립될 때 힌지부(242)가 트임부(246)로 인하여 미세하게 벌어지면서 피스조립부(262)가 삽입, 체결된다.
따라서 암,수회동부(220,240)가 조립된 양측에 체결구(260)가 조립되기 때문에 체결구(260)가 조립된 양 끝부분을 중심으로만 수회동부(240)가 미세하게 벌어지기 때문에 오히려 좌,우 균형을 유지한 상태로 절첩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더욱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수회동부(240)의 힌지부(242) 내경에는 체결구(260)의 피스조립부(262)가 맞물려 체결될 때 트임부(246)가 과도하게 벌어져 힌지부(242)의 외경이 원호부(222)의 내경에 밀착되어 회동 작동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기살(248)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돌기살(248)은 피스조립부(262)가 조립되는 축을 중심으로 복수의 돌기살(248)이 방사형으로 배치되게 함으로써 피스조립부(262)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지지 않게 피스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살(248)에는 체결구(260)의 피스조립부(262)의 산과 동일하게 나선홀이 형성될 수 있으나, 돌기살(248)에 나선홀이 형성되지 않더라도 피스조립부(262)의 산이 회전하면서 돌기살(248)의 내경에 압착되어 마모가 이루어지면서 가압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렇게 마모에 의한 방식으로 가압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100: 광고패널
120: 전방패널 122: 상부프레임 124: 측면프레임
126: 모서리조립구
140: 후방패널 142: 상부프레임 144: 측면프레임
146: 모서리조립구
200: 절첩부
220: 암회동부 222: 원호부 223: 요홈
224: 개구부
240: 수회동부 242: 힌지부 243: 스토퍼
244: 연결대 246: 트임부 248: 돌기살
260: 체결구 262: 피스조립부 264: 헤드

Claims (6)

  1. 외측으로 광고면이 형성되는 전방패널(120)과 후방패널(140)로 이루어져 양면으로 광고면이 노출되는 광고패널(100)이 구비되고, 광고패널(100)은 전방패널(120)과 후방패널(140)의 상단이 힌지 구조로 조립된 절첩부(200)에 의하여 전,후방패널을 접어서 보관하거나 펼쳐서 A형 광고대로 사용하는 절첩식 광고대에 있어서,
    상기 절첩부(200)는 전방패널(120)과 후방패널(140)에 각각 암회동부(220)와 수회동부(240)가 구비되고,
    상기 암회동부(220)는 전방패널(120)의 상부프레임(122)과 일체로 압출 성형되고, 상기 수회동부(240)는 후방패널(140)의 상부프레임(142)과 일체로 압출 성형되어 축방향으로 조립되어 전,후방패널(120,140)이 절첩 구조를 갖도록 되고,
    상기 암회동부(220)와 수회동부(240)가 축 결합된 상태에서 그 양측 단부에 체결구(260)로 조립되어 상부프레임에 일체화된 힌지 구조로 절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절첩식 광고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회동부(220)와 수회동부(240)는 전,후방패널(120,140)의 상부프레임(122,142)과 동일한 길이로 재단되고,
    상기 상기 전,후방패널(120,140)은 각각 상부프레임(122,142)이 측면프레임(124,144)과 모서리조립구(126,146)로 조립구성되어 암회동부(220)와 수회동부(240)가 축 결합된 상태에서 그 양측 단부에 조립된 체결구(260)가 측방향으로 돌출되지 않게 조립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광고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암회동부(220)는 상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중공의 관형태로 이루어지는 원호부(222)의 일측에 개구부(224)가 형성되고, 상기 수회동부(240)는 원호부(222)에 삽입되도록 상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힌지부(242)의 일측에 연결대(244)가 형성되어 광고패널(100) 상단의 절첩 각도를 제한할 수 있게 되고,
    상기 힌지부(242)는 체결구(260)를 조립할 수 있도록 중공의 관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체결구(260)는 수회동부(240)의 중공된 내측에 체결되는 피스조립부(262)와 헤드(264)로 구성되어 피스조립부(262)가 수회동부(240)에 체결된 상태에서 헤드(264)에 의하여 암회동부(220)의 측방향 이탈을 방지하고 광고대의 절첩 작동이 이루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광고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암회동부(220)와 수회동부(240) 간의 회동 작동시 연결대(244)에 하중이 집중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힌지부(242)의 외경에는 스토퍼(243)가 형성되고, 원호부(222)의 내경에는 스토퍼(243)의 회동각을 제한하기 위한 요홈(2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광고대.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암회동부(220)의 내경과 수회동부(240)의 외경은 회동작동을 위하여 유동이 가능하게 이격 구성되고, 상기 수회동부(240)는 체결구(260) 조립시 피스조립부(26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트임부(24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광고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회동부(240)의 힌지부(242) 내경에는 체결구(260)의 피스조립부(262)가 맞물려 체결될 때 트임부(246)가 과도하게 벌어져 힌지부(242)의 외경이 원호부(222)의 내경에 밀착되어 회동 작동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돌기살(248)이 방사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광고대.
















KR1020210106756A 2021-08-12 2021-08-12 절첩식 광고대 KR202300246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756A KR20230024690A (ko) 2021-08-12 2021-08-12 절첩식 광고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756A KR20230024690A (ko) 2021-08-12 2021-08-12 절첩식 광고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4690A true KR20230024690A (ko) 2023-02-21

Family

ID=85328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756A KR20230024690A (ko) 2021-08-12 2021-08-12 절첩식 광고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46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5188A (en) Modified folding tent
US9516934B2 (en) Umbrella, and a tip element for an umbrella frame
EP2842446B1 (de) Schwenkbarer Sonnenschirm
US20060174929A1 (en) Tent assembly
US8056969B2 (en) Collapsible articles of furniture
EP0547121A1 (en) Collapsible lampshades
US6089245A (en) Collapsible sunshade with hinged arms
WO2005024158A1 (ja) 折り畳みテント
US20050283947A1 (en) Disappearing hinging device for windows and doors with wing and swivel wing opening
US20110254252A1 (en) Folding bicycle with telescopic rod
JP2001501853A (ja) 補強されたリブ構造を有する折り畳み傘
US6499905B2 (en) Apparatus for pop-up display structures
KR20230024690A (ko) 절첩식 광고대
US6499188B1 (en) Case hinge structure
US6959454B2 (en) Structure with extendable leaves
US7802580B2 (en) Umbrella
US4193415A (en) Umbrella canopy frame and staff construction
EP2713804B1 (en) Foldable articulated arm
CN209694259U (zh) 一种旋转伞及其应用的下巢
US20240032659A1 (en) Sunshade Mounting Structure
US11998092B2 (en) Rotary replaceable umbrella nest assembly for an umbrella
KR200315843Y1 (ko) 스냅 쓰루를 이용한 자동텐트
JPH041978Y2 (ko)
US20230212873A1 (en) Tent and Tent Pole Thereof
CN216983905U (zh) 便携收纳雨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