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3914A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통화 내용의 진정성립을 인증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통화 내용의 진정성립을 인증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3914A
KR20230023914A KR1020210105777A KR20210105777A KR20230023914A KR 20230023914 A KR20230023914 A KR 20230023914A KR 1020210105777 A KR1020210105777 A KR 1020210105777A KR 20210105777 A KR20210105777 A KR 20210105777A KR 20230023914 A KR20230023914 A KR 20230023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information
user
modu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5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지호
Original Assignee
배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지호 filed Critical 배지호
Priority to KR1020210105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3914A/ko
Publication of KR20230023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39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ryptographic hash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4Protecting data integrity, e.g. using checksums, certificates or signatures
    • G06F21/645Protecting data integrity, e.g. using checksums, certificates or signatures using a third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04L9/321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using tickets or tokens, e.g. Kerber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42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3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audio recording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독의 녹음 또는 사용자 및 1인 이상의 상대방 사이의 녹음된 통화내용정보를 인증하는 시스템으로서, 사용자가 녹음한 통화파일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통화정보 확인모듈로서, 상기 대화자를 연결하는 통신네트워크 제공자서버와 연동되고, 상기 통화파일을 기반으로 통화정보 어셈블리가 생성되는, 통화정보 확인모듈; 미리 설정된 암호화방식을 통해,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를 암호화하는 암호화처리모듈;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를 확인할 수 있고, 고유의 트랜잭션정보의 생성이 가능한 사용자계정모듈; 상기 트랜잭션정보의 생성 및 변동 상태가 기록되는 블록체인네트워크; 및 상기 트랜잭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에 포함된 사실정보를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인증하도록 구성된 인증모듈; 을 포함하는, 통화내용정보 인증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통화내용정보 인증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Call Content Information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통화내용정보 인증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특히,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차세대 통신 기술을 활용하는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기술에 용이하게 접목 가능한 기술이다.
2009년 블록체인(blockchain)에 기반을 둔 비트코인(bitcoin)이 공개된 이후, 블록체인은 비트코인과 같은 전자화폐 시스템뿐만 아니라 스마트 계약을 위한 플랫폼 제공 서비스, 클라우드 저장 서비스, 블록체인 컴퓨팅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블록체인의 주요구성인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은 블록체인을 탈중앙화된 시스템으로 만들어 주는 핵심기술로서, 거래기록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중앙화된 서버가 소유하는 것이 아닌,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노드가 동일한 원장을 소유하고 관리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2015년에는 리눅스재단에서 기업용 블록체인 개발을 위해 하이퍼 레저(Hyper ledger) 프로젝트를 만들었는데 오픈소스 형태의 프로젝트로서 전 세계 기업과 개발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비즈니스 목적에 알맞은 형태로 다양한 블록체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예를 들면, 금융, 물류, 부동산, 특허 및 의료 등 다양한 형태의 비즈니스 데이터를 분산원장에 기록할 수 있고, 비즈니스 시스템에 적합한 블록 생성 알고리즘이나 트랜잭션 보증 정책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법률관계를 형성함에 있어서 대화내용은 그 자체로 법률행위를 구성하며, 형사 범죄의 구성요건에 해당하는 행위 일부를 구성하는 등 법률상 매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당사자 간의 대화는 격지자 간 전화 통화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다수를 이루며, 그 통화내용을 저장한 녹취파일과 그 내용을 서증으로 활용하기 위해 문서화한 녹취록은 법률 실무에서 매우 다양하게 활용된다.
통화내용을 저장하는 가장 단순한 방법은 유선 전화기 혹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녹음 기능을 부가하여 마그네틱 테이프나 메모리칩에 통화내용을 저장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 통화내용을 녹취,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의 한계가 있고, 관리가 까다로워 오래된 통화내용이 삭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문제는 통화내용의 '진정성(authentication)'이다. 법적 분쟁에 있어서 통화내용은 진정성 즉, 진정성립이 입증되지 않으면 증거능력을 인정받지 못하고, 유효한 증거방법으로서의 활용될 수 없기 때문이다. 민사소송(이를 준용하는 절차를 포함한다)의 경우 (1) 해당 통화내용이 실제 주장되고 있는 특정 당사자들 사이에서 이루어졌는지(통화자의 진정성립), (2) 해당 통화내용이 실제 주장되는 시점에 이루어졌는지(시점 진정성립)에 대한 입증이 필요하다. 형사소송의 경우, 위 요건들 외에도, 통화내용이 녹취록의 형태로 제출되었다면, 전문법칙 등에 따른 증거능력을 갖추기 위한 일련의 조건들을 만족해야만 한다. 또한 통화 내용이 녹취록이 아닌 파일의 형태로 제출될 경우, 디지털 증거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기 위한 별도의 조건들이 충족되어야만 한다.
특히 분쟁이 심화된 상황, 즉 입증하고자 하는 사실이 발생한 때로부터 상당한 시점이 이른 이후, 통화내용이 저장된 파일을 증거로 활용하기 위해서, 통화내용이 위조되지 않았고 녹취파일의 내용이 임의로 편집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일이 된다.
전술한 여러 문제점으로 인하여, 통화내용을 녹음한 파일이나 녹취록은 대부분의 사건에서 제출되지만, 법원의 재판 등을 통해 실제 증거능력을 인정받아 요증사실을 입증하기 위한 중요한 증거로써 활용되는 사례는 많지 않은 상황이다.
이처럼, 당사자가 통화내용을 법률상의 증거로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조건들이 충족되어야만 하지만, 증거가 형성되는 시점, 즉 통화가 이루어지는 시점부터 이와 관련된 문제를 기술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은 아직 개발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582194호인 '진본성 입증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종래기술은 음성진본(眞本) 데이터에 음성진본 데이터의 정보를 지닌 고유 암호를 실어 음성진본 데이터라 주장되는 데이터의 진본 여부를 검증하는 방식이다. 통화내용 녹음파일의 위변조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일부 효과가 있긴 하나, 통화 사실에 대한 제반사항들을 모두 기술적으로 인증하지는 못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으며, 이 부분에 대한 인식도 전혀 없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0582194호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1781353호
(비특허문헌 1) Grimm, P.W., Capra, D.J. and Joseph, G.P.(2017). Authenticating Digital Evidence, Baylor Law Review, 69: 1-55.
(비특허문헌 2) 이창섭(2017). 녹음매체의 증거능력에 관한 몇 가지 검토, 법조, 66(1): 57-94.
(비특허문헌 3) 권오걸(2018). 형사소송법 제313조에서의 정보저장매체의 범위와 증거능력, 법학논고, 62: 161~184.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안성 및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술에 통화녹음 기술을 융합함으로써, 통화내용의 원본성뿐만 아니라, 통화사실에 대한 제반사항들을 기술적으로 인증할 수 있는 혁신적인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암호화정보(예로, 해쉬데이터)의 공개에 따른 개인정보보호의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대화자들 간의 통화내용 및 통화사실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인증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현실에서는 통화를 통한 법률행위가 빈번하게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실제 법률적 분쟁에서, 통화사실에 관한 내용은 진정성립에 관한 입증이 어려운 바, 통화사실의 진정성립에 관한 입증을 용이하게 하여, 증거능력을 인정받을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독의 녹음 또는 사용자 및 1인 이상의 상대방 사이의 녹음된 통화내용정보를 인증하는 시스템으로서, 사용자가 녹음한 통화파일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통화정보 확인모듈로서, 상기 대화자를 연결하는 통신네트워크 제공자서버와 연동되고, 상기 통화파일을 기반으로 통화정보 어셈블리가 생성되는, 통화정보 확인모듈; 미리 설정된 암호화방식을 통해,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를 암호화하는 암호화처리모듈;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를 확인할 수 있고, 고유의 트랜잭션정보의 생성이 가능한 사용자계정모듈; 상기 트랜잭션정보의 생성 및 변동 상태가 기록되는 블록체인네트워크; 및 상기 트랜잭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에 포함된 사실정보를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인증하도록 구성된 인증모듈; 을 포함하는, 통화내용정보 인증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통화파일은 사용자단말에 저장되며,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 또는 통화정보 어셈블리에 대한 암호화정보는, 상기 통신네트워크 제공자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인증모듈은, 사용자에 의한 인증요청이 발생된 경우, 상기 통신네트워크 제공자서버에 저장된 암호화된 또는 암호화되지 않은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 및 상기 사용자단말에 저장된 암호화 또는 암호화되지 않은 통화파일; 의 매칭 여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에 저장된 통화파일을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증모듈에 의해 인증되는 사실은, 상기 통화파일이 무결성이라는 제1 사실;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를 기준으로, 대화자에 대한 진정성립인 제2 사실; 및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를 기준으로, 통화시간에 대한 진정성립인 제3 사실; 를 포함하는 사실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계정모듈은,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에 대응되어 발행된 토큰(token)을 보관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토큰은, NFT(Non Fungible Token)를 기반으로 하는 NFT토큰일 수 있다.
또한, 통화내용정보 인증시스템은, 상기 NFT토큰의 기초가 되는 상기 통화파일이 암호화 또는 비암호화된 상태로 공유되며, 상기 통화파일의 트랜잭션정보의 일부로서, 상기 통화파일에 관한 정보가 암호화 또는 비암호화된 상태로 공유되는 분산형 저장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분산형 저장모듈은, 상기 사용자계정모듈과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해 확인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화파일을 대상으로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가공을 처리하는 보안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안모듈은, 상기 통화파일을 가공처리한 상태에서, 통화정보 어셈블리를 생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의 가공은, 통화파일의 임의의 구간에, 보안용 해시값을 삽입하는 제1 가공; 및 통화파일 중 일부 또는 전부를 대상으로, 비가청주파수(non-audible frequency) 대역의 음향신호를 삽입하는 제2 가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화정보 확인모듈에 의해 상기 대화자 사이에 복수의 통화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인공지능모델을 이용하여, 제1 내지 제N 통화파일의 대화자 동일성을 판단하는 인공지능 인증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인공지능 인증모듈은,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학습된 상기 인공지능모델을 이용하되, 상기 통신네트워크 제공자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상대방ID가 동일한 경우, 상대방단말의 실제사용자의 동일성을 더 판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대방ID는, 상대방단말ID 및 상대방단말에 설치된 인앱(In-app)에서의 상대방식별I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공지능 인증모듈은, 상기 상대방ID 및 상기 상대방ID로부터 전송되는 음향신호를 매칭한 상태에서, 상기 음향신호를 입력정보로 하고, 상기 상대방ID를 출력정보로 하여 인공지능모델을 학습하는 인공지능모델 학습부; 제1 내지 제N 통화파일 중 동일한 상대방ID에 대한 음향신호를 선별하는 음향신호식별부; 및 상기 음향신호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음향신호를 상기 인공지능모델에 입력하며, 상기 인공지능모델에 의해 상기 음향신호의 동일성을 판단하는 인공지능 판단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화정보 확인모듈에 의해 생성된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가 상기 사용자단말에 보관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사용자 계정모듈은, (a)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와 동일한 통화정보 어셈블리를 별도로 저장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b) 한 쌍의 쌍방인증용 NFT토큰이 발행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의 위변조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 단독의 녹음 또는 사용자 및 1인 이상의 상대방 사이의 녹음된 통화내용정보를 인증하는 방법으로서, (a) 통화정보 확인모듈에서, 사용자가 녹음하여 사용자단말에 저장된 통화파일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대화자를 연결하는 통신네트워크 제공자서버와 연동되어, 상기 통신네트워크 제공자서버로부터 제공된 사용자ID 및 상대방ID를 포함하는 통화정보 어셈블리가 생성되는, 단계; (b) 암호화처리모듈에서, 미리 설정된 암호화함수를 통해,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를 암호화처리하는 단계; (c) 사용자계정모듈에서, 고유의 트랜잭션정보가 생성되며, 상기 트랜잭션정보의 변동 상태가 블록체인네트워크에 기록되는 단계; (d) 사용자에 의해, 상기 통화파일에 대한 인증요청이 발생되는 단계; 및 (e) 인증모듈에서,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트랜잭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에 포함된 사실정보를 인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b) 단계 이후에, (b1)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에 대한 암호화정보는, 상기 통신네트워크 제공자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e) 단계는, (e1) 상기 통신네트워크 제공자서버에 저장된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의 암호화정보를 로딩하는 단계; 및 (e2)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의 암호화정보 및 상기 사용자단말에 저장된 통화파일의 암호화정보의 매칭 여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에 저장된 통화파일을 인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통화내용정보 인증시스템 서비스 제공 서버에 있어서, 통신모듈; 통화내용정보 인증시스템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녹음되어 사용자단말에 저장된 통화파일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사용자 및 상대방을 연결하는 통신네트워크 제공자서버와 연동되어, 상기 통신네트워크 제공자서버로부터 제공된 사용자ID 및 상대방ID를 포함하는 통화정보 어셈블리를 생성하며, 미리 설정된 암호화함수를 통해,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를 암호화처리하며, 고유의 트랜잭션정보가 생성되며, 상기 트랜잭션정보의 변동 상태가 블록체인네트워크에 기록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통화파일에 대한 인증요청이 발생될 경우, 상기 트랜잭션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미리 설정된 방식을 통해,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에 포함된 사실정보를 인증하는, 통화내용정보 인증시스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여, 통화파일의 원본성을 강력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위변조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둘째, 통화사실에 대한 진정성을 용이하게 입증 가능하게 함으로써, 법률분쟁에서 증거능력을 인정받아 증거로 널리 활용될 수 있는 기술적 근거를 마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용정보 인증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용정보 인증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용정보 인증시스템에서, 사실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용정보 인증시스템에서, 보안모듈을 통해 통화파일을 암호화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용정보 인증시스템에서, 인공지능 인증모듈을 이용하여, 대화자의 동일성을 판단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용정보를 인증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용정보 인증시스템을 실제로 구현한 UI의 일 예시이다.
도 9는 한 쌍의 쌍방인증용 NFT토큰이 발행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논리식의 일 예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본원을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에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모듈(module)'이라는 용어는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위를 의미하나, 상기 기능으로만 모듈이 제한되지는 않고, 모듈이 특정된 그 기능 이외에, 상기 기능 수행을 위한 보조적 기능 및 추가적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음을 미리 명시한다.
또한,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되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모듈(Module)', '~서버(Server)'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본원에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원에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모든 무선통신장치 및 거치형 PC, 노트북과 같은 컴퓨팅 장치가 이용될 수 있고, 상기의 분산 어플리케이션은 컴퓨터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며 읽고 쓰기가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단말기에 탑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바,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한다.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W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용정보 인증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용정보 인증시스템의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용정보 인증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용정보 인증시스템은 통화정보 확인모듈(110), 암호화처리모듈(180), 사용자계정모듈(130) 및 인증모듈(150)을 포함하며, 이들은 블록체인 네트워크(140)를 기반으로 한다.
통화정보 확인모듈(110)은 사용자가 녹음한 통화파일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다. 대화자를 중개하는 통신네트워크 제공자서버(120)와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여기서 '연동'은 통신네트워크 제공자서버(120)와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까지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통화파일을 기반으로 통화정보 어셈블리가 생성되며, 통화정보 어셈블리는 발신자-수신자 사이의 모든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발신자 단말기정보(D1), 수신자 단말기정보(D2), 참석자 단말기정보(D3)(3자 이상의 다자간 통화인 경우에 한함), 통화시간정보(D4), 통화시각정보(D5), 발신자 및 수신자의 GPS정보, 통신네트워크정보(발신자 및 수신자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의미함) 등과 같이 모든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화정보 어셈블리는 통화파일과 관련된 모든 정보의 집합체를 의미한다. 이들이 하나의 데이터세트로 형성된 상태를 통화정보 어셈블리라고 칭한다.
통화정보 확인모듈(110)은 통신네트워크 제공자서버(120)로부터 통화정보 어셈블리를 직접 제공받을 수도 있으며, 통화 연결/종료시 사용자단말로부터 확인된 통화정보 확인모듈(110)을 제공받는 방식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통화파일은 사용자가 통화가 종료된 이후에 최종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의 통화파일은 사용자단말에 저장되거나,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저장모듈(예를 들어, 클라우드 등)에 저장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암호화처리모듈(180)은 미리 설정된 암호화방식을 이용하여 통화정보 어셈블리에 대한 암호화를 수행한다. 즉, 하나의 데이터세트를 소정의 방식을 통해 암호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해쉬함수를 이용한 암호화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설계자는 본 발명에 최적화된 해쉬함수를 선택할 수 있으며, 공지된 해쉬함수를 커스터마이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암호화처리모듈(180)에 의해, 통화정보 어셈블리에 매칭되는 고유의 해쉬데이터가 도출된다. 본 발명에서 해쉬데이터 생성은 MD5(MessageDigest algorithm 5), SHA(Secure Hash Algorithm) 등 다양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암호화처리모듈(180)을 이용함으로써, 후술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40)를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사용자계정모듈(130)은 통화정보 어셈블리를 확인하는 '마이페이지(my page)'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고유의 트랜잭션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기록된다. 사용자계정모듈(130)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미리 설정된 개인인증절차를 거쳐야 한다. 로그인의 방식은 현재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방식의 인증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계정모듈(130)에서는 고유의 트랜잭션정보를 이용하여, NFT(Non Fungible Token)를 기반으로 하는 NFT토큰을 발행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용정보 인증시스템은 FT(Fungible Token)를 발행하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도 있고, NFT토큰을 발행하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도 있으나, 이들 모두를 발행하지 않고, 사용자계정모듈(130)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140)만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음을 미리 명시한다.
NFT토큰을 발행하는 방식일 경우, 사용자계정모듈(130)은 토큰의 지갑(Wallet) 기능을 수행하는 바, NFT토큰을 보관하거나, 양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령, 통화파일에 대한 인증이 필요한 제3자(공적인 기관을 모두 포함)에게 NFT토큰을 양도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이더리움(ERC-20, ERC-721) 기반의 스마트컨트랙트 기술(Solidity), 탈중앙화 웹(Web 3.0)을 구현하기 위한 분산 파일 저장소 기술인 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 IPDB(InterPlanetary DataBase) 기술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계정모듈(13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와 연동되어 트랜잭션정보의 생성 및 변동상태가 실시간(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을 주기로) 기록됨으로써, 블록형태로 온체인(on-chain) 될 수 있다.
사용자계정모듈(130)은 두가지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첫째로는, 제1 통화정보 어셈블리와 동일한 제2 통화정보 어셈블리가 별도로 저장시키는 제1 방식이다. 둘째로는, 한 쌍의 쌍방인증용 NFT토큰이 발행되도록 형성됨으로써, 통화정보 어셈블리의 위변조를 판단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2 방식이다(도 9 참조). 여기서, 한 쌍의 쌍방인증용 NFT토큰은 편의상 '쌍둥이 NFT토큰'이라 불리기도 한다.
인증모듈(150)은 트랜잭션정보를 기반으로, 통화정보 어셈블리에 포함된 사실정보를 인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통화파일은 사용자단말에 저장되고, 통화정보 어셈블리 또는 통화정보 어셈블리에 대한 암호화정보는, 통신네트워크 제공자서버(120)로 전송되어 저장되는 방식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통화파일의 용량을 통신네트워크 제공자서버(120)가 모두 저장하기에는 과부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바, 통화파일 자체는 사용자단말에 저장되는 것이 효율적이며, 상대적으로 용량이 작은 통화정보 어셈블리 또는 통화정보 어셈블리의 암호화정보(예로, 해쉬값)는 통신네트워크 제공자서버에 보관될 수 있다. 여기서, 통화파일은 사용자단말에 암호화된 상태로 저장될 수 있다.
인증모듈(150)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사용자에 의한 인증요청이 선행되어야 한다. 사용자에 의한 인증요청이 발생된 경우, 인증모듈(150)은 통신네트워크 제공자서버(120) 및 사용자단말 각각과 연결된다.
사용자에 의한 인증요청이 발생된 경우, 통신네트워크 제공자서버(120)에 저장된 암호화된(암호화는 선택적임) 통화정보 어셈블리 및 사용자단말에 저장된 암호화된(암호화는 선택적임) 통화파일의 매칭 여부를 통해, 사용자단말에 저장된 통화파일을 인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통화파일은 저장 당시, 암호화된 통화정보 어셈블리를 메타값으로 포함할 수 있는 바, 통화정보 어셈블리만의 비교를 통해 통화파일을 인증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는, 사용자단말에 현재 저장 중인 통화파일을 객체로 하여, 통화정보 확인모듈(110)을 이용하여, 인증용 통화정보 어셈블리를 추출한 후, 이들을 비교하는 방식으로도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은 모두 트랜잭션정보를 발생시키는 바, 블록체인 네트워크(140) 상에 기록됨으로써, 인증의 완전성을 담보할 수 있다.
인증모듈(150)에 의해 인증되는 사실은 크게 3가지 사실에 대한 진정성립을 포함한다.
제1 사실은 통화파일이 무결성이라는 사실이다. 즉, 통화파일이 위변조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제2 사실은 통화정보 어셈블리를 기준으로, 대화자에 대한 진정성립이다. 즉, 발신자 A와 수신자 B가 통화했다는 사실을 인증하는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A라는 사용자단말ID 및 B라는 사용자단말ID를 이용하여 통화된 사실인 바, 사용자단말에 대한 사실인증이다. 다만, 사용자단말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자 개인인증을 거치는 바, 이러한 개인인증 사실까지 모두 포함하여 통화당사자를 특정할 수 있다.
제3 사실은 통화정보 어셈블리를 기준으로, 통화시간에 대한 진정성립이다. 여기서, 통화시간은 통화시작시간-통화종료시간을 포함한다. 통화종료시간 및 통화시작시간의 차는 통화수행시간인 바, 이러한 정보를 모두 포함한다. 이들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이, GPS정보 및 삼인 이상의 다자간 통화일 경우, 참석자 모두에 대한 정보 등을 인증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인증요청이 발생되면, 서비스제공자에 의해 과금이 수행될 수 있다. 암호화폐계좌를 통해 과금 및 입금이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한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바, 암호화폐계좌 자체적으로 과금에 대한 기간 조건 등을 모두 고려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과금에 사용되는 계좌는 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를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화폐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디지털화폐가 향후에 적용되는 경우, 현재보다는 훨씬 더 진보된 형태로 간이하게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결제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7을 먼저 참조하면, 사용자계정모듈(130)은 보안모듈과 연동되어 통화파일에 기반한 사실인증을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사실인증은 NFT토큰으로 발행되어 보관될 수도 있으며, QR코드 방식으로 인증이 출력될 수 있는 바, 이러한 사실의 인증을 판단하는 주체(예를 들어, 법원, 검찰청과 같은 공적기관)는 사실인증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용정보 인증시스템은 분산형 저장모듈(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산형 저장모듈(160)에는 NFT토큰의 기초가 되는 통화파일이 암호화 또는 비암호화된 상태로 공유되며, 통화파일의 트랜잭션정보의 일부로서, 통화파일에 관한 정보가 암호화 또는 비암호화된 상태로 공유될 수 있는 바, 분산형 저장모듈(160) 상의 통합자원식별자(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를 통해, 누구나 액세스(access) 가능하다.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분산형 저장모듈(160)에는 암호화된 상태로 공유하는 것이 더욱 유리하며, 개인키(Private Key) 및 공개키(Public Key)를 이용하여 암호화 및 복호화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분산형 저장모듈(160)은, 사용자계정모듈(130)과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해 확인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용정보 인증시스템은, 통화파일 자체의 위변조 및 통화정보 어셈블리의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해, 보안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안모듈은 상기 정보에 대한 가공처리를 수행하는 바, 암호화와는 일부 상이한 방식이다. 보안모듈에서의 가공은 제1 또는 제2 가공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1 가공은 통화파일의 임의의 구간에, 보안용 해시값을 삽입하는 가공을 의미한다. 제2 가공은 통화파일 중 일부 또는 전부를 대상으로, 비가청주파수(non-audible frequency) 대역의 음향신호를 삽입하는 가공을 의미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보안용 해쉬값을 통화파일 중간에 삽입할 수 있으며, 해쉬값이 삽입된 상태로 암호화처리모듈(180)에 의해 암호화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른 방식으로 비가청주파수 대역의 음향신호를 강제로 삽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제1 내지 제3 주파수대역은 모두 비가청주파수 대역을 의미한다. 특정 구간에만 삽입될 수도 있으나, 통화파일 전체에 걸쳐 삽입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인공지능 인증모듈(170)을 이용한 방식을 설명한다. 이는 대화자에 대한 진정성립인 제2 사실의 신뢰성을 더욱 높이기 위한 방안이다.
인공지능 인증모듈(170)은 통화정보 확인모듈에 의해 대화자 사이에 복수의 통화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인공지능모델을 이용하여, 제1 내지 제N 통화파일의 대화자 동일성을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즉, 음향신호(음성패턴)를 이용하여, 사용자단말ID에서 1차적으로 검증된 당사자를 2차적으로 검증하는 바, 실제사용자를 인증하는 것이다. 인공지능모델을 이용하되, 통신네트워크 제공자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상대방ID가 동일한 경우, 상대방단말의 실제사용자의 동일성을 더 판단한다. 여기서, 상대방ID는, 상대방단말ID 및 상대방단말에 설치된 인앱(In-app)에서의 상대방식별ID를 포함한다.
발신자 및 수신자 사이의 통화는 통신서비스 제공자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으나, 채팅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최근 대다수의 채팅어플리케이션은 인터넷망을 통한 통화서비스 기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채팅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경우, 통신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상대방ID를 제공받지 못하는 바, 인앱에서의 상대방식별ID를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 '통신네트워크 제공자서버'란 통신서비스 제공자 및 채팅어플리케이션 서비스제공자를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대화자 사이의 통화를 연결시키는 서비스 제공자라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인공지능 인증모듈(170)은 인공지능모델 학습부(172), 음향신호식별부(174) 및 인공지능 판단부(176)를 포함한다. 인공지능모델 학습부(172)는 상대방ID 및 상대방ID로부터 전송되는 음향신호를 매칭한 상태에서, 음향신호를 입력정보로 하고, 상대방ID를 출력정보로 하여 인공지능모델을 생성한다. 여기서, 인공지능모델이란, 상대방ID마다 생성될 수 있다. 즉, 상대방ID-A인 경우, 인공지능모델-A가 생성될 수 있으며, 인공지능모델-A는 상대방ID-A를 판단할 때만 사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대방B에 대한 과거 통화파일(③⑤⑥)을 통해, 상대방B에 대한 인공지능모델을 생성한다. 인증 대상인 현재통화를 선택하면, 음향신호 식별부(174)에서 상대방ID 및 음향신호를 추출한 후, 인공지능모델이 포함된 인공지능 판단부(176)에 상기의 음향신호를 전송하여 상대방ID가 출력되는지 확인한다.
이 때, 인공지능 판단부(176)에서, '상대방ID=B'를 출력한 경우, 통화파일(①)은 과거 통화파일(③⑤⑥)의 실제사용자와 동일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인공지능 판단부(176)에서, '상대방ID≠B'로 출력할 경우, 비록 상대방ID는 'B'이나 실제사용자는 'B'가 아니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는 바, 전술한 제2 사실의 신뢰성을 갖기는 어렵다고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용정보 인증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방법은 단계(S110) 내지 단계(S152)를 포함한다.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S110)은 통화정보 확인모듈(110)에서, 사용자가 녹음하여 사용자단말에 저장된 통화파일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대화자를 연결하는 통신네트워크 제공자서버(120)와 연동되어, 상기 통신네트워크 제공자서버(120)로부터 제공된 사용자ID 및 상대방ID를 포함하는 통화정보 어셈블리가 생성되는 단계이다.
단계(S120)는 암호화처리모듈(180)에서, 미리 설정된 암호화함수를 통해,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를 암호화처리하는 단계이다.
단계(S130)은 사용자계정모듈(130)에서, 고유의 트랜잭션정보가 생성되며, 상기 트랜잭션정보의 변동 상태가 블록체인네트워크에 기록되는 단계이다.
단계(S140)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통화파일에 대한 인증요청이 발생되는 단계이다.
단계(S150)은 인증모듈(150)에서,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트랜잭션정보를 기반으로, 통화정보 어셈블리에 포함된 사실정보를 인증하는 단계이다.
단계(S150)은 구체적으로, 단계(S151) 및 단계(S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51)은 상기 통신네트워크 제공자서버에 저장된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의 암호화정보를 로딩하는 단계이다.
단계(S152)는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의 암호화정보 및 상기 사용자단말에 저장된 통화파일의 암호화정보의 매칭 여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에 저장된 통화파일을 인증하는 단계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단말 및 서버의 통신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는 통신모듈, 통화내용정보 인증시스템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녹음되어 사용자단말에 저장된 통화파일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사용자 및 상대방을 연결하는 통신네트워크 제공자서버와 연동되어, 상기 통신네트워크 제공자서버로부터 제공된 사용자ID 및 상대방ID를 포함하는 통화정보 어셈블리를 생성하며, 미리 설정된 암호화함수를 통해,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를 암호화처리하며, 고유의 트랜잭션정보가 생성되며, 상기 트랜잭션정보의 변동 상태가 블록체인네트워크에 기록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통화파일에 대한 인증요청이 발생될 경우, 상기 트랜잭션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미리 설정된 방식을 통해,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에 포함된 사실정보를 인증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원은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며,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클라우드컴퓨팅, 차세대 통신 기술과 접목하여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하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10: 통화정보 확인모듈
120: 통신네트워크 제공자서버
130: 사용자계정모듈
150: 인증모듈
160: 분산형 저장모듈
170: 블록체인 네트워크
180: 암호화처리모듈

Claims (13)

  1. 사용자 단독의 녹음 또는 사용자 및 1인 이상의 상대방 사이의 녹음된 통화내용정보를 인증하는 시스템으로서,
    사용자가 녹음한 통화파일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통화정보 확인모듈로서, 상기 대화자를 연결하는 통신네트워크 제공자서버와 연동되고, 상기 통화파일을 기반으로 통화정보 어셈블리가 생성되는, 통화정보 확인모듈;
    미리 설정된 암호화방식을 통해,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를 암호화하는 암호화처리모듈;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를 확인할 수 있고, 고유의 트랜잭션정보의 생성이 가능한 사용자계정모듈;
    상기 트랜잭션정보의 생성 및 변동 상태가 기록되는 블록체인네트워크; 및
    상기 트랜잭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에 포함된 사실정보를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인증하도록 구성된 인증모듈; 을 포함하는,
    통화내용정보 인증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화파일은 사용자단말에 저장되며,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 또는 통화정보 어셈블리에 대한 암호화정보는, 상기 통신네트워크 제공자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인증모듈은,
    사용자에 의한 인증요청이 발생된 경우,
    상기 통신네트워크 제공자서버에 저장된 암호화된 또는 암호화되지 않은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 및
    상기 사용자단말에 저장된 암호화 또는 암호화되지 않은 통화파일; 의 매칭 여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에 저장된 통화파일을 인증하는,
    통화내용정보 인증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증모듈에 의해 인증되는 사실은,
    상기 통화파일이 무결성이라는 제1 사실;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를 기준으로, 대화자에 대한 진정성립인 제2 사실; 및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를 기준으로, 통화시간에 대한 진정성립인 제3 사실; 를 포함하는 사실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통화내용정보 인증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계정모듈은,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에 대응되어 발행된 토큰(token)을 보관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토큰은, NFT(Non Fungible Token)를 기반으로 하는 NFT토큰인,
    통화내용정보 인증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통화내용정보 인증시스템은,
    상기 NFT토큰의 기초가 되는 상기 통화파일이 암호화 또는 비암호화된 상태로 공유되며, 상기 통화파일의 트랜잭션정보의 일부로서, 상기 통화파일에 관한 정보가 암호화 또는 비암호화된 상태로 공유되는 분산형 저장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분산형 저장모듈은,
    상기 사용자계정모듈과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해 확인 가능하도록 형성된,
    통화내용정보 인증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화파일을 대상으로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가공을 처리하는 보안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안모듈은,
    상기 통화파일을 가공처리한 상태에서, 통화정보 어셈블리를 생성시키는,
    통화내용정보 인증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방식의 가공은,
    통화파일의 임의의 구간에, 보안용 해시값을 삽입하는 제1 가공; 및
    통화파일 중 일부 또는 전부를 대상으로, 비가청주파수(non-audible frequency) 대역의 음향신호를 삽입하는 제2 가공;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통화내용정보 인증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화정보 확인모듈에 의해 상기 대화자 사이에 복수의 통화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인공지능모델을 이용하여, 제1 내지 제N 통화파일의 대화자 동일성을 판단하는 인공지능 인증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인공지능 인증모듈은,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학습된 상기 인공지능모델을 이용하되, 상기 통신네트워크 제공자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상대방ID가 동일한 경우, 상대방단말의 실제사용자의 동일성을 더 판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대방ID는,
    상대방단말ID 및 상대방단말에 설치된 인앱(In-app)에서의 상대방식별ID를 포함하는,
    통화내용정보 인증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인공지능 인증모듈은,
    상기 상대방ID 및 상기 상대방ID로부터 전송되는 음향신호를 매칭한 상태에서, 상기 음향신호를 입력정보로 하고, 상기 상대방ID를 출력정보로 하여 인공지능모델을 학습하는 인공지능모델 학습부;
    제1 내지 제N 통화파일 중 동일한 상대방ID에 대한 음향신호를 선별하는 음향신호식별부; 및
    상기 음향신호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음향신호를 상기 인공지능모델에 입력하며, 상기 인공지능모델에 의해 상기 음향신호의 동일성을 판단하는 인공지능 판단부; 를 포함하는,
    통화내용정보 인증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화정보 확인모듈에 의해 생성된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가 상기 사용자단말에 보관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사용자 계정모듈은,
    (a)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와 동일한 통화정보 어셈블리를 별도로 저장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b) 한 쌍의 쌍방인증용 NFT토큰이 발행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의 위변조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통화내용정보 인증시스템.
  11. 사용자 단독의 녹음 또는 사용자 및 1인 이상의 상대방 사이의 녹음된 통화내용정보를 인증하는 방법으로서,
    (a) 통화정보 확인모듈에서, 사용자가 녹음하여 사용자단말에 저장된 통화파일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대화자를 연결하는 통신네트워크 제공자서버와 연동되어, 상기 통신네트워크 제공자서버로부터 제공된 사용자ID 및 상대방ID를 포함하는 통화정보 어셈블리가 생성되는, 단계;
    (b) 암호화처리모듈에서, 미리 설정된 암호화함수를 통해,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를 암호화처리하는 단계;
    (c) 사용자계정모듈에서, 고유의 트랜잭션정보가 생성되며, 상기 트랜잭션정보의 변동 상태가 블록체인네트워크에 기록되는 단계;
    (d) 사용자에 의해, 상기 통화파일에 대한 인증요청이 발생되는 단계; 및
    (e) 인증모듈에서,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트랜잭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에 포함된 사실정보를 인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에,
    (b1)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에 대한 암호화정보는, 상기 통신네트워크 제공자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e) 단계는,
    (e1) 상기 통신네트워크 제공자서버에 저장된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의 암호화정보를 로딩하는 단계; 및
    (e2)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의 암호화정보 및 상기 사용자단말에 저장된 통화파일의 암호화정보의 매칭 여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에 저장된 통화파일을 인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통화내용정보 인증시스템 서비스 제공 서버에 있어서,
    통신모듈;
    통화내용정보 인증시스템 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녹음되어 사용자단말에 저장된 통화파일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사용자 및 상대방을 연결하는 통신네트워크 제공자서버와 연동되어, 상기 통신네트워크 제공자서버로부터 제공된 사용자ID 및 상대방ID를 포함하는 통화정보 어셈블리를 생성하며,
    미리 설정된 암호화함수를 통해,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를 암호화처리하며,
    고유의 트랜잭션정보가 생성되며, 상기 트랜잭션정보의 변동 상태가 블록체인네트워크에 기록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통화파일에 대한 인증요청이 발생될 경우,
    상기 트랜잭션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미리 설정된 방식을 통해, 상기 통화정보 어셈블리에 포함된 사실정보를 인증하는,
    통화내용정보 인증시스템 서비스 제공 서버.
KR1020210105777A 2021-08-11 2021-08-11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통화 내용의 진정성립을 인증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239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777A KR20230023914A (ko) 2021-08-11 2021-08-11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통화 내용의 진정성립을 인증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777A KR20230023914A (ko) 2021-08-11 2021-08-11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통화 내용의 진정성립을 인증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914A true KR20230023914A (ko) 2023-02-20

Family

ID=85329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777A KR20230023914A (ko) 2021-08-11 2021-08-11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통화 내용의 진정성립을 인증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39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970129B (zh) 一种基于区块链的数据处理方法、设备以及可读存储介质
US11743038B2 (en) Methods and systems of providing verification of information using a centralized or distributed ledger
Dai et al. A low storage room requirement framework for distributed ledger in blockchain
Vokerla et al. An overview of blockchain applications and attacks
Zhong et al. Distributed blockchain‐based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protocol for smart grid
CN112613956B (zh) 一种招投标处理方法和装置
CN112149077B (zh) 基于区块链技术的供应链票据方法、系统和计算机设备
CN112231769A (zh) 基于区块链的数值验证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介质
CN108183906B (zh) 时间银行管理方法、服务器、终端、存储介质及电子设备
Jamal et al. Enhanced bring your own device (BYOD) environment security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KR20230023914A (ko)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통화 내용의 진정성립을 인증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Hadi et al. A vision of blockchain technology and its integration with IOT: Application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rom the authentication perspective
Tuyisenge Blockchain technology security concerns: Literature review
US2023035138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multi-layer, multi-channel approach to authenticate users and transactions in public and private network settings
Sonon et al. Real Impact of the Blockchain in Securing a ToIP Network
BAKSHI Research on Blockchain Technology and its associated Cybersecurity Issues
Srivastava et al. Blockchain Risk and Uncertainty in Automated Applications
Jain et al. Enhancing trust in a blockchain-based system
Yap et al. SUCAS: smart-card-based secure user-centric attestation framework for location-based services
George et al. Impact of AI, BC and IoT for Smart Cities
KR20230086497A (ko) 블록체인 기반 증거자료 공증 시스템의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시스템
KR20230017577A (ko)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채팅 앱 대화 기록의 진정성립을 인증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CN117614640A (zh) 基于分布式身份的区块链跨链系统和方法
CN112488656A (zh) 基于区块链实现对等多方数字化业务全域管理的方法、装置、处理器及其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