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3900A - Guard for the prevention of bruxism - Google Patents

Guard for the prevention of bruxis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3900A
KR20230023900A KR1020210105755A KR20210105755A KR20230023900A KR 20230023900 A KR20230023900 A KR 20230023900A KR 1020210105755 A KR1020210105755 A KR 1020210105755A KR 20210105755 A KR20210105755 A KR 20210105755A KR 20230023900 A KR20230023900 A KR 20230023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ard
teeth
wall
contact portion
brux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57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97883B1 (en
Inventor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이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훈 filed Critical 이동훈
Priority to KR1020210105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883B1/en
Publication of KR20230023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39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8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007Dental splints; teeth or jaw immobilisation devices; stabilizing retainers bonded to teeth after orthodontic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2005/563Anti-bruxism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ard for preventing bruxism, comprising a guard body which includes a bottom wall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teeth, an outer wall formed at one end of the bottom wall to protrude upward to cover the front surface of upper teeth, and an inner wall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ottom wall to protrude upward to cover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teeth, has an overall curved shape that corresponds to a dentition structure of the upper teeth, and is made of a thermoplastic soft resin that becomes ductile at a certain temperature or higher. The guard body is immersed in a liquid at a certain temperature or higher to become ductile, is placed to match the dentition of the upper teeth, and closely adhere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teeth, such that the guard can be used by being custom-molded to the teeth of a user.

Description

이갈이 방지 가드{Guard for the prevention of bruxism}Guard against bruxism {Guard for the prevention of bruxism}

본 발명은 이갈이 방지 가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치아 및 잇몸에 맞춤 성형하여 사용 가능한 이갈이 방지 가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uxism prevention guard, and more particularly, to a bruxism prevention guard that can be used after being molded to fit the user's teeth and gums.

이갈이는 수면 중 특별한 목적 없이 윗니와 아랫니를 맞대고 치아끼리 강아대는 행위를 말하는 것으로, 이갈이는 불쾌한 소리를 유발하는 뿐만 아니라 근육, 턱관절 등 저작 기관에 나쁜 영향을 주어 턱관절 장애, 안면 부위의 통증, 두통 등의 질병을 유발하기도 한다.Bruxism refers to the act of teeth grinding with upper and lower teeth facing each other without a specific purpose during sleep. Bruxism not only causes unpleasant sounds, but also adversely affects the muscles and temporomandibular joint and other chewing organs, resulting in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and facial pain. It can also cause ailments such as headaches.

그에 따라, 한국등록특허 제10-1782093호와 같이, 상측 치아와 하측 치와 중 적어도 한 곳의 치아를 덮도록 씌워져 상측 치아와 하측 치아 사이에 개재되어 입에 물리도록 하는 이갈이를 방지하기 위한 각종 기구들이 개발되고 있다.Accordingly, as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82093, various types of teeth are covered to cover at least one of the upper teeth and the lower teeth to prevent bruxism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teeth and the lower teeth to bite into the mouth. Instruments are being developed.

그러나, 종래의 이갈이를 방지하기 위한 가드는 동일한 형상과 크기의 기성품으로 제작되어, 각 사용자의 치열, 치아 형상과 크기 등에 맞지 않아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한 실정이다.However, conventional guards for preventing bruxism are made of ready-made products of the same shape and size, and there are problems that do not fit each user's teeth, tooth shape and size, causing discomfort, and a solution is needed. .

한국등록특허 제10-1782093호(2017.09.20.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782093 (registered on September 20, 2017) 한국등록특허 제10-1542349호(2015.07.31.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542349 (registered on July 31, 2015)

본 발명의 과제는 사용자 치아에 맞춤 성형하여 사용 가능한 이갈이 방지 가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uxism prevention guard that can be customized and molded to a user's teeth.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may be expand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이갈이 방지 가드는, 상부 치아 하면이 접촉되는 바닥벽과, 상기 바닥벽의 일측 단부에 상부 치아 전면을 커버하도록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외측벽과, 상기 바닥벽의 타측 단부에 상부 치아 후면을 커버하도록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내측벽을 포함하고, 상부 치아의 치열 구조와 대응되어 전체적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지며, 소정온도 이상에서 연성 상태가 되는 열가소성 연질수지로 이루어지는 가드몸체를 포함하여, 상기 가드몸체를 소정온도 이상의 액체에 담가 연성 상태로 만든 후 상부 치아의 치열에 맞게 배치시켜 상부 치아 외면에 밀착시켜 사용자의 치아에 맞춤 성형하여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uxism prevention guard includes a bottom wall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teeth, an outer wall protruding upward to cover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teeth at one end of the bottom wall, and the bottom wall A guard made of a thermoplastic soft resin that includes an inner wall protruding upward to cover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teeth at the other end of the upper teeth, has an overall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ntal structure of the upper teeth, and becomes ductile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Including the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uard body is immersed in a liquid of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to make it flexible, and then placed in line with the teeth of the upper teeth to closely adher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teeth to be molded to fit the user's teeth.

또한, 상기 가드몸체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로 이루어지며, 상기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는 총 100 중량부 중 초산비닐(VA)을 15 내지 40 중량부를 함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uard body is made of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 and the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 is configured to contain 15 to 40 parts by weight of vinyl acetate (VA) out of a total of 100 parts by weight. to be

또한, 본 발명의 이갈이 방지 가드는, 상기 가드몸체 중앙과 상부 치아 앞니 4개 중 중간 2개의 사이공간에 맞춰 상기 가드몸체의 중앙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가드몸체 중앙에 구비되는 중앙위치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위치 가이드부는 상기 외측벽 중앙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중앙표시돌기와, 상기 외측벽 중앙의 상측 단부에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중앙표시홈과, 상기 외측벽 중앙에 별도의 부재로 그려지거나 접착되어 표시되는 수직선인 중앙표시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ruxism prevention gu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ntral positioning guid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guard body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the guard body according to the space between the center of the guard body and the middle two of the four upper front teeth. The center position guide part is drawn or adhered as a separate member to the center of the outer wall, a center display protrusion protruding vertically from the center of the outer wall, a center display groove recessed downward at the upper end of the center of the outer wall,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central display lines that are displayed vertical lines.

또한, 본 발명의 이갈이 방지 가드는, 상기 가드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침배출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ruxism prevention gu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aliva discharge hole formed through the guard body.

이때, 상기 침배출공은 상기 외측벽과 상기 내측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구비되고, 상기 침 유출공은 치아와 접촉되어 침이 유입되는 일단부가 타단부 보다 직경 크기가 더 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needle discharge hole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outer wall and the inner wall, and the needle outlet hole is configur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other end at one end through which the needle flows in contact with the teeth. do.

또한, 상기 침배출공은 상기 외측벽과 상기 내측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구비되고, 상기 침 유출공은 치아와 접촉되어 침이 유입되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needle discharge hole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outer wall and the inner wall, and the needle outlet hole is disposed inclined downward from one end to which the needle is introduced in contact with the teeth to the other end. do.

또한, 본 발명의 이갈이 방지 가드는, 상기 바닥벽은 상부 치아 중 앞니 4개와 대응되는 앞니접촉부와, 상기 앞니접촉부 양측으로 송곳니와 어금니가 접촉되는 좌측접촉부 및 우측접촉부로 나뉘며, 상기 좌측접촉부 및 상기 우측접촉부는 상기 앞니접촉부 보다 상하 두께가 더 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bruxism prevention guar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wall is divided into an incisor contact portion corresponding to four front teeth among upper teeth, and a left contact portion and a right contact portion in which canines and molars are contacted on both sides of the incisor contact portion, and the left contact portion and the The right contac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have a larger upper and lower thickness than the front tooth contact portion.

또는, 본 발명의 이갈이 방지 가드는, 상기 바닥벽은 상부 치아 중 앞니 4개와 대응되는 앞니접촉부와, 상기 앞니접촉부 양측으로 송곳니와 어금니가 접촉되는 좌측접촉부 및 우측접촉부로 나뉘며, 상기 좌측접촉부와 상기 우측접촉부 각각에 보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ternatively, in the bruxism prevention guar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wall is divided into an incisor contact portion corresponding to four front teeth among upper teeth, and a left contact portion and a right contact portion in which canines and molars are contacted on both sides of the incisor contact portion, and the left contact portion and th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reinforc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at each right contact portion.

이때,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좌측접촉부와 상기 우측접촉부 각각에 돌출 형성되는 보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reinforcing member may include a reinforc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each of the left contact portion and the right contact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이갈이 방지 가드는, 상기 가드몸체의 만곡된 길이방향을 따라 만곡된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앞니접촉부 양단에 좌측주름부와 우측주름부가 각각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만곡길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ruxism prevention guard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urved length adjusting unit configured to provide a left crease and a right crease at both ends of the incisor contact portion, respectively, so as to adjust the curved length along the curved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ard body. It is characterized by doing.

또는, 상기 가드몸체는 외면에 함몰 형성되는 끼움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보강몸체와,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보강몸체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기와, 상기 바닥부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보강몸체에 구비되는 상측보강부를 포함하여, 상기 가드몸체와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ternatively, the guard body further comprises a fitting groove formed recessed on the outer surface, and the reinforcing member includes a reinforcing body, a fitt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reinforcing body to be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and the reinforcement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Including an upper reinforcement provided in the body, characterized in that the guard body and detachably configured.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상측보강부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조절주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djustment corrugated portion to be abl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upper reinforcement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이갈이 방지 가드는, 소정온도 이상에서 연성 상태가 되는 열가소성 연질수지로 이루어지고, 바닥벽, 외측벽 및 내측벽을 포함하는 가드몸체에 의해 사용자의 치아 및 잇몸에 맞춤 성형하여 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The bruxism prevention gu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thermoplastic soft resin that becomes ductile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and can be used by custom-molding the user's teeth and gums with a guard body including a bottom wall, an outer wall, and an inner wall. there i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갈이 방지 가드는 가드몸체가 총 100중량부 중 초산비닐 15 내지 40 중량부를 함유하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용융지수, 용융점, 투명도를 포함하여 다양한 물성과 특성 조건을 만족하는 이갈이 방지 가드를 제공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bruxism prevention gu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guard body is made of an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containing 15 to 40 parts by weight of vinyl acetate out of a total of 100 parts by weight, and has various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melt index, melting point, and transparency. There is an advantage in providing a bruxism prevention guard that satisfies the characteristic condition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갈이 방지 가드는, 중앙위치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여, 가드몸체 중앙을 사용자의 앞니 중앙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로 용이하게 조절하여 성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bruxism prevention gu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entral position guide, so that the center of the guard body can be easily adjusted and mold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part of the front teeth of the us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갈이 방지 가드는 침배출공이 다수 형성되어, 이갈이 방지 가드 내부에 침고임을 방지하여 쾌적한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bruxism prevention gu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aliva discharge holes, so that the bruxism prevention guard has an effect of preventing saliva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bruxism prevention guard to maintain a comfortable wearing feel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갈이 방지 가드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여, 송곳니와 어금니 부분에서 파손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보강부재가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손상 정도에 따라 해당 부분만 교체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경제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bruxism prevention gu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einforcing member, so that the occurrence of breakage can be reduced in the canine teeth and molars, so that durability can be improved, and the reinforcing member is detachably configur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damage, only the corresponding part can be replaced and used, thereby improving economic feasi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방지 가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갈이 방지 가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방지 가드에서 침배출공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방지 가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방지 가드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uxism prevention guar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the bruxism prevention guard shown in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saliva discharge hole in the bruxism prevention guar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of a bruxism prevention guar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uxism prevention guar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문에 게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Fo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ublished in the text,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mere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the text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disclosed,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such as "between" and "direct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 describ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exists, but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are present.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general,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또한, 설명의 편의상 좌, 우, 상, 하, 전, 후 및 이와 유사한 명칭으로, 각 방향을 지칭하는 단어는 설명의 편의상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바라보는 방향 또는 구성요소의 배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words referring to each direction, such as left, right, up, down, front, back, and similar names, are based on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viewing direction or the arrangement of components. ca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방지 가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갈이 방지 가드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방지 가드에서 침배출공(300)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uxism prevention guar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bruxism prevention guard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bruxism prevention guar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of the saliva discharge hole 300.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다른 이갈이 방지 가드는, 상부 치아의 치열 구조와 대응되어 전체적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지며, 소정온도 이상에서 연성 상태가 되는 열가소성 연질수지로 이루어지는 가드몸체(100)를 포함하고, 가드몸체(100)는 상부 치아 하면이 접촉되는 바닥벽(110)과, 상기 바닥벽(110)의 일측 단부에 상부 치아 전면을 커버하도록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외측벽(120)과, 상기 바닥벽(110)의 타측 단부에 상부 치아 후면을 커버하도록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내측벽(130)을 포함한다.1 to 3, the bruxism prevention guar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thermoplastic soft resin that has an overall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ntal structure of the upper teeth and becomes ductile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It includes a guard body 100 made of, and the guard body 100 is formed with a bottom wall 110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teeth, and protruding upward to cover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teeth at one end of the bottom wall 110 It includes an outer wall 120 and an inner wall 130 protruding upward to cover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teeth at the other end of the bottom wall 110.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본 발명의 이갈이 방지 가드는 소정온도 이상의 액체에 담가 연성 상태로 만든 후 상부 치아의 치열에 맞게 배치시켜 가드몸체(100)의 바닥벽(110) 상측으로 외측벽(120)과 내측벽(130) 사이 공간으로 상부 치아를 끼워 상부 치아 외면에 밀착시켜 사용자의 치아에 맞게 맞춤 성형하여 사용자가 입 속에 착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된다.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bruxism prevention gu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mersed in a liquid of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to make it soft, and then placed in line with the upper tooth row so that the outer wall 120 and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wall 110 of the guard body 100 are formed. The upper teeth are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wall 130 and closely adher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teeth to fit the user's teeth, so that the user wears them in the mouth.

이때, 가드몸체(100)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연질수지는 에틸렌과 초산비닐 모너머를 공중합시켜 얻어지는 중합체인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로 이루어지며,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의 초산비닐(VA, Vinly Acetate)의 함량에 따라 물성과 특성이 상이해지며, 특히 초산비닐(VA)의 함량에 따라 제조되는 가드몸체(100)의 투명도, 용융지수(MI, Melt Index), 용융점(Tm, Meling Point), 비캣연화점 등이 달라지며, 본 발명의 이갈이 방지 가드에 사용되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는 총 100 중량부 중 초산비닐이 15 내지 40 중량부가 함유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thermoplastic soft resin constituting the guard body 100 is made of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 which is a polymer obtained by copolymerizing ethylene and vinyl acetate monomer, and the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Depending on the content of vinyl acetate (VA, Vinly Acetate), the physical 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Tm, Meling Point), Vicat softening point, etc. are different, and the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used in the bruxism prevention gu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contain 15 to 40 parts by weight of vinyl acetate out of a total of 100 parts by weight.

보다 상세하게는, 우선, 용융지수(MI, Melt Index)는, 정해진 일정 조건하에서 용융물을 피스톤으로 압출하였을 때의 유량으로, 용융물의 흐름의 용이성을 나타내는 지수로, 약어로는 MI를 사용하고, 멜트 플로 인덱스(MFI), 멜트 플로 레이트(MFR)라고도 하며, 이때, 용융지수는 이갈이 방지 가드의 인장강도에 영향을 주며, 용융지수는 50~300 dg/min가 바람직하며, 용융지수가 50 dg/min 미만인 경우에는 이갈이 방지 가드가 너무 단단하여 사용자가 입 속에 끼워 사용할 때 착용감이 좋지 않으며, 용융지수가 300 dg/min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구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More specifically, first, the melt index (MI) is the flow rate when the melt is extruded with a piston under predetermined conditions, and is an index representing the ease of flow of the melt, using MI as an abbreviation, It is also called melt flow index (MFI) and melt flow rate (MFR). At this time, the melt flow rate affects the tensile strength of the bruxism prevention guard, and the melt flow rate is preferably 50 to 300 dg/min, and the melt flow rate is 50 dg /min, the bruxism prevention guard is too hard, and the user does not feel comfortable when inserting it in the mouth, and when the melt index exceeds 300 dg/min, durability is deteriorated, which is not preferable.

또한, 용융점(Tm, Meling Point), 열에 의해 고체가 액체 상태로 녹는 지점으로, 본 발명의 이갈이 방지 가드의 용융점은 60~75℃가 바람직하며, 이갈이 방지 가드의 용융점이 60℃ 미만인 경우에는 이갈이 방지 가드는 입 속에 착용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가드몸체(100)가 다시 연화되어 물러져 형상 변형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용융점이 7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갈이 방지 가드를 사용자의 치아에 맞게 성형하는 과정에서 화상이 발생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이갈이 방지 가드의 용융점이 60~75℃일 때 성형된 이후 사용자가 입 속에 물고 사용하는 중에 형상 변화가 최소화되고 구강 내에서 경화되어 성형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lting point (Tm, melting point) is a point at which solid melts into a liquid state by heat, and the melting point of the bruxism prevention gu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60 to 75 ° C. If the melting point of the bruxism prevention guard is less than 60 ° C, bruxism The prevention guard has a problem that the guard body 100 softens and becomes soft again during use in the mouth, causing shape deformation. It is undesirable because burns may occur during the molding process, so after molding when the melting point of the bruxism prevention guard is 60 ~ 75 ℃, the shape change is minimized while the user holds it in the mouth and is hardened and molded in the oral cavity. can remain stable.

한편, 본 발명의 이갈이 방지 가드는 연성 상태에서 사용자의 치아에 맞게 성형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치열에 따라 이갈이 방지 가드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투명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bruxism prevention gu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position of the bruxism prevention guard can b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teeth in the process of being molded to fit the user's teeth in a soft state.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갈이 방지 가드에서 가드몸체(100)를 이루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는 총 100 중량부 중 초산비닐이 15 내지 40 중량부가 함유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에 기재된 본 발명의 이갈이 방지 가드의 바람직한 용융지수, 용융점, 투명도 등을 모두 만족하는 물성과 특성을 제공 가능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이갈이 방지 가드에서는 총 100 중량부 중 초산비닐이 15 내지 40 중량부가 함유하도록 구성되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a result, when the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constituting the guard body 100 in the bruxism prevention gu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contain 15 to 40 parts by weight of vinyl acetate out of a total of 100 parts by weight, the bruxism pre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ince it is possible to provide physical 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that satisfy all of the desirable melt index, melting point, transparency, etc. of the guard, the bruxism prevention gu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15 to 40 parts by weight of vinyl acetate out of a total of 100 parts by weight Ethylene acetic acid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use a vinyl copolymer.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다른 이갈이 방지 가드는, 사용자가 치아에 맞춰 성형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치열에 맞춰 가드몸체(10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가드몸체(100)의 외측벽(120) 중앙을 상부 치아 앞니 4개 중 중간 2개의 사이공간과 맞추기 위하여 외측벽(120) 중앙에 구비되는 중앙위치 가이드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bruxism prevention guar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ard body 100 is form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guard body 100 according to the user's teeth in the process of molding to fit the teeth. In order to align the center of the outer wall 120 with the space between the middle two of the four upper front teeth, a center guide portion 200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outer wall 120 may be further included.

이때, 중앙위치 가이드부(200)는, 일례로, 외측벽(120) 중앙에 수직으로 미세하게 돌출되는 중앙표시돌기(210)를 포함하거나, 다른 예로, 외측벽(120) 중앙의 상측 단부가 하측으로 함몰되는 중앙표시홈(220)을 포함하거나, 또 다른 예로, 외측벽(120) 중앙에 별도의 부재로 접착되거나 그려져 표시되는 수직선인 중앙표시선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참고로 도 2에서는 중앙표시돌기(210)와 중앙표시홈(220)이 모두 구비된 예시를 나타낸다.At this time, the center position guide part 200, for example, includes a central display protrusion 210 that protrudes finely vertically from the center of the outer wall 120, or, as another example, the upper end of the center of the outer wall 120 is directed downward. It may include a central mark groove 220 that is recessed, or, as another exampl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entral mark line, which is a vertical line that is displayed by being attached or drawn as a separate member at the center of the outer wall 120. For reference, in FIG. 2, the center mark An example in which both the protrusion 210 and the central display groove 220 are provided is shown.

상기와 같은 중앙위치 가이드부(200)가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는 중앙위치 가이드부(200)를 통해 가드몸체(100)의 중앙을 사용자의 상부 치아 앞니 4개 중 중간에 위치되는 2개의 중절치 사이와 대응되는 위치로 배치시켜 가드몸체(100)를 사용자의 치열에 맞게 용이하게 배치를 조절하여 성형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central position guide part 200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the user moves the center of the guard body 100 through the central position guide part 200 between two central incisor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user's four upper front teeth. Arrang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uard body 100 to be easily molded by adjusting the arrangement to fit the user's teeth.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방지 가드는, 사용자가 입에 물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가드몸체(100)의 바닥벽(110) 상측으로 외측벽(120)과 내측벽(13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내측으로 분비되는 침이 해당 공간에 고이지 않고 가드몸체(100)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가드몸체(10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침배출공(30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이갈이 방지 가드를 물고 사용하는 과정에서 가드몸체(100) 내부에 침고임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쾌적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bruxism prevention guar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between the outer wall 120 and the inner wall 130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wall 110 of the guard body 100 in the process of being used by the user in the mouth. At least one or more saliva discharge holes 300 formed through the guard body 100 are further included so that saliva secreted into the space formed in the spac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guard body 100 without pooling in the corresponding space. As a result, the user can prevent the user from sinking into the guard body 100 in the process of biting and using the bruxism prevention guard, thereby providing a pleasant feeling of use.

이때, 침배출공(3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벽(120)과 내측벽(1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구비될 수 있으며, 침배출공(300)은 외측벽(120)과 내측벽(130) 하부에 만곡된 형상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1 to 3, the needle discharge hole 300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outer wall 120 and the inner wall 130, and the needle discharge hole 300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wall ( 12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wall 130 are preferab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paced apart arrangements along the curved shape.

또한, 침배출공(300)은, 사용자의 치아와 접촉되는 측 일단부인 침유입부는 분비된 침이 용이하게 모일 수 있도록 타단부인 침배출부 보다 직경 크기가 더 크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불어 침배출공(300)은 일단부인 침유입부로부터 타단부인 침배출부로 갈수록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침유입부를 통해 침배출공(300)으로 유입되는 침이 침배출부 측으로 흘러내려 가드몸체(100) 외측으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saliva discharge hole 300, it is preferable that the needle inlet, which is one end in contact with the user's teeth, is configur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other end, which is the saliva discharge, so that secreted saliva can be easily collected. The needle discharge hole 300 is disposed inclined downward from the needle inlet, which is one end, to the needle discharge, which is the other end, so that the needle flowing into the needle discharge hole 300 through the needle inlet flows down to the needle discharge unit, so that the guard body ( 100)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o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한편, 본 발명의 이갈이 방지 가드는,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드몸체(100)의 외측벽(120)과 내측벽(130) 각각은, 가드몸체(100) 외측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4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가드몸체(100)를 입 속에 물고 있는 상태에서, 상부 치아와 입술 사이 공간으로 끼워진 외측벽(120) 상단부에 의한 이물감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bruxism prevention guard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outer wall 120 and the inner wall 130 of the guard body 100, as shown in FIG. ), which allows the user to reduce the foreign body feeling caused by the upper part of the outer wall 120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upper teeth and the lips while holding the guard body 100 in the mouth, thereby improving the wearing comfort allow it to be done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방지 가드의 평면도이고,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방지 가드의 사시도이다.4 is a plan view of a bruxism prevention guar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uxism prevention guar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의 이갈이 방지 가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드몸체(100)가 사용자의 상부 치아 중 앞니 4개와 대응되는 앞니접촉부(F)와, 앞니접촉부(F) 양측으로 사용자의 송곳니와 어금니가 접촉되는 좌측접촉부(L)와 우측접촉부(R)로 나뉠 수 있으며, 이때, 앞니접촉부(F)는 좌측접촉부(L) 및 우측접촉부(R) 보다 외측벽(120)과 내측벽(130) 사이 공간의 폭이 작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4, in the bruxism prevention guar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ard body 100 has an anterior tooth contact portion (F) corresponding to four front teeth of the user's upper teeth and an anterior tooth contact portion (F) on both sides of the user's teeth. It can be divided into a left contact part (L) and a right contact part (R) where canines and molars are in contact, and at this time, the front tooth contact part (F) has an outer wall 120 and an inner wall ( 130) is preferably configured such that the width of the space between them is small.

이때, 본 발명의 이갈이 방지 가드는, 송곳니와 어금니에 의한 접촉, 가압, 마찰로 인한 파손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가드몸체(100)의 바닥벽(110)은 좌측접촉부(L)와 우측접촉부(R)가 앞니접촉부(F) 보다 상하 두께가 더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bruxism prevention guar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wall 110 of the guard body 100 is formed on the left contact portion L and the right contact portion so as to reduce damage caused by contact, pressure, and friction between canine and molar teeth. (R) may be configured to have a larger upper and lower thickness than the front tooth contact portion (F).

또는, 본 발명의 이갈이 방지가드는, 송곳니와 어금니에 의한 접촉, 가압, 마찰로 인한 파손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보강부재(5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bruxism prevention guar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member 500 to reduce damage caused by contact, pressure, and friction between canine and molar teeth.

이때, 보강부재(500)는, 일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벽(110)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보강돌기(510)를 포함하여, 보강돌기(510) 상측으로 사용자의 송곳니와 어금니가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보강부재(500)는 사용자의 치아 크기, 형상, 치열 등 치아상태에 따라 보강돌기(510)의 위치를 사용자의 송곳니와 어금니 위치에 맞춰 조절할 수 있도록, 가드몸체(100)의 만곡된 길이방향을 따라 만곡된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좌측주름부(610)와 우측주름부(620)를 포함하는 만곡길이 조절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만곡길이 조절부(600)는 가드몸체(100)의 앞니접촉부(F) 양단에 좌측주름부(610)와 우측주름부(620)가 각각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앞니를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 각각을 점차 늘려 만곡길이를 연장시킴에 따라 앞니접촉부(F)의 면적이 확장되면서 보강돌기(510)를 송곳니와 어금니 위치에 맞춰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reinforcing member 5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including a reinforcing protrusion 510 protruding from the top of the bottom wall 110, the reinforcing protrusion 510 upwards the user's canine teeth. and molars may be configured to be seated, and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member 500 adjusts the position of the reinforcing protrusion 510 according to the user's tooth size, shape, dental condition, etc. to match the position of the user's canine teeth and molars. , It may further include a curved length control unit 600 including a left crease 610 and a right crease 620 to adjust the curved length along the curved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ard body 100, , The curvature length adjusting unit 600 is configured to have a left crease 610 and a right crease 620 at both ends of the front tooth contact portion F of the guard body 100, respectively, with the front teeth as the center,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As the curved length is extended by gradually increasing, the area of the incisor contact portion (F) is expanded so that the reinforcing protrusion 51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anine teeth and molars.

다른 예로, 보강부재(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드몸체(100) 특히 바닥벽(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가드몸체(100)에 끼움홈(140)이 함몰 형성되어, 보강부재(500)는 보강몸체(520)와, 상기 보강몸체(520)에 상기 끼움홈(140)에 삽입되어 상기 보강몸체(520)를 바닥벽(110)과 결합되도록 하는 끼움돌기(530)와, 상기 바닥벽(11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보강몸체(520)에 구비되는, 특히 좌측접촉부(L)나 우측접촉부(R)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상측보강부(5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치아 특히 송곳니와 어금니에 의해 손상이 발생되는 부분에 보강부재(500)를 부착하여 사용하고, 보강부재(500)의 손상 정도에 따라 사용자가 보강부재(500) 부분만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가드몸체(100)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주로 손상이 발생되는 송곳니와 어금니 부분과 접촉되는 부분인 보강부재(500)만을 교체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As another example, the reinforcing member 500, as shown in Figure 5, can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to the guard body 100, especially the bottom wall 110, more specifically, the fitting groove in the guard body 100 140 is recessed, and the reinforcing member 500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140 of the reinforcing body 520 and the reinforcing body 520 to secure the reinforcing body 520 to the bottom wall 110. A fitting protrusion 530 to be coupled and provided to the reinforcing body 520 to cover the upper portion of the bottom wall 110, especially provided to cover the left contact portion (L) or the right contact portion (R), the upper side It may include a reinforcing part 540, whereby the reinforcing member 500 is attached and used to the part where damage is caused by the user's teeth, especially canine teeth and molars, and depending on the degree of damage of the reinforcing member 500, the user A reinforcing member 500 can be easily replaced and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guard body 100, so that only the reinforcing member 500, which is a part in contact with the canine and molar parts where damage occurs, can be continuously used by replacing only the reinforcing member 500. so that the economy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이때 보강부재(500)는 상기 바닥벽(110)의 하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보강몸체(520)에 구비되는 하측보강부(55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하부 치아와 접촉되는 부분의 파손 발생을 감소시키고, 하부 송곳니와 어금니에 의한 이갈이 방지 가드의 가드몸체(100)에 직접적인 손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member 500 may further include a lower reinforcing part 550 provided in the reinforcing body 520 to cover the lower portion of the bottom wall 110, which is a portion of the lower part in contact with the teeth.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durability by reducing damage and preventing direct damage to the guard body 100 of the guard against bruxism caused by lower canines and molars.

더불어, 상기와 같은 보강부재(500)는 바닥벽(110)의 좌측접촉부(L)와 우측접촉부(R)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보강부재(500)의 상측보강부(540)와 하측보강부(550)는 끼움돌기(530)를 중심으로 상측과 하측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한편 보강부재(500)는 상측보강부(540)와 하측보강부(550)가 각각 바닥벽(110)의 만곡된 형상을 따라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조절주름부(560)가 더 구비되어, 조절주름부(560)에 의해 상측보강부(540)와 하측부강부의 길이를 연장시켜 조절함에 따라 상하 좌우 모두 사용자의 송곳니와 어금니 위치에 맞춰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member 500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on the left contact part (L) and the right contact part (R) of the bottom wall 110, respectively, and also the upper reinforcement part 540 and the lower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500. The reinforcing part 550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around the fitting protrusion 530, while the reinforcing member 500 has an upper reinforcing part 540 and a lower reinforcing part 550, respectively, on the bottom wall. An adjustment corrugation part 560 is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along the curved shape of 110, and the length of the upper reinforcement part 540 and the lower part corrugation part is extended and adjusted by the adjustment corrugation part 560.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o be adjustabl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user's canine teeth and molars in all directions.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The above embodiment is merely an example, and other embodiments variously modified therefrom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include not only the above embodiments but also variously modified oth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100 : 가드몸체
110 : 바닥벽
120 : 외측벽
130 : 내측벽
140 : 끼움홈
200 : 중앙위치 가이드부
210: 중앙표시돌기
220: 중앙표시홈
300 : 침배출공
400 : 경사면
500 : 보강부재
510 : 보강돌기
520 : 보강몸체
530 : 끼움돌기
540 : 상측보강부
550 : 하측보강부
560 : 조절주름부
600 : 만곡길이 조절부
610 : 좌측주름부
620 : 우측주름부
F : 앞니접촉부
L : 좌측접촉부
R: 우측접촉부
100: guard body
110: bottom wall
120: outer wall
130: inner wall
140: fitting groove
200: central position guide unit
210: central display protrusion
220: central display groove
300: spit discharge hole
400: slope
500: reinforcing member
510: reinforcing protrusion
520: reinforcement body
530: fitting protrusion
540: upper reinforcement part
550: lower reinforcement part
560: adjusting corrugation
600: curvature length control unit
610: left crease
620: right crease
F: Front teeth contact area
L: Left contact part
R: right contact

Claims (12)

상부 치아 하면이 접촉되는 바닥벽과, 상기 바닥벽의 일측 단부에 상부 치아 전면을 커버하도록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외측벽과, 상기 바닥벽의 타측 단부에 상부 치아 후면을 커버하도록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내측벽을 포함하고, 상부 치아의 치열 구조와 대응되어 전체적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지며, 소정온도 이상에서 연성 상태가 되는 열가소성 연질수지로 이루어지는 가드몸체;를 포함하여,
상기 가드몸체를 소정온도 이상의 액체에 담가 연성 상태로 만든 후 상부 치아의 치열에 맞게 배치시켜 상부 치아 외면에 밀착시켜 사용자의 치아에 맞춤 성형하여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갈이 방지 가드.
A bottom wall contac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teeth, an outer wall protruding upward to cover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teeth at one end of the bottom wall, and an inner wall protruding upward to cover the rear surface of the upper teeth at the other end of the bottom wall. A guard body made of a thermoplastic soft resin that includes a side wall, has an overall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dental structure of the upper teeth, and becomes ductile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including,
The bruxism prevention guard,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used by immersing the guard body in a liquid of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to make it soft, and then placing it in line with the teeth of the upper teeth and closely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teeth to fit the user's tee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몸체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로 이루어지며,
상기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는
총 100 중량부 중 초산비닐(VA)을 15 내지 40 중량부를 함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갈이 방지 가드.
According to claim 1,
The guard body
It is made of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
Th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EVA) is
A bruxism prevention guar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contain 15 to 40 parts by weight of vinyl acetate (VA) out of 100 parts by weight in tot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몸체 중앙과 상부 치아 앞니 4개 중 중간 2개의 사이공간에 맞춰 상기 가드몸체의 중앙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가드몸체 중앙에 구비되는 중앙위치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위치 가이드부는
상기 외측벽 중앙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중앙표시돌기와, 상기 외측벽 중앙의 상측 단부에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중앙표시홈과, 상기 외측벽 중앙에 별도의 부재로 그려지거나 접착되어 표시되는 수직선인 중앙표시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갈이 방지 가드.
According to claim 1,
A center position guid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guard body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the guard body according to the space between the center of the guard body and the middle two of the four upper front teeth; further comprising,
The central location guide part
At least one of a center display protrusion protruding vertically from the center of the outer wall, a center display groove recessed downward at the upper end of the center of the outer wall, and a center display line that is a vertical line drawn or glued as a separate member at the center of the outer wal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the above, bruxism prevention gu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침배출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갈이 방지 가드.
According to claim 1,
The bruxism prevention guard further comprises a saliva discharge hole formed through the guard bod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침배출공은
상기 외측벽과 상기 내측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구비되고,
상기 침 유출공은
치아와 접촉되어 침이 유입되는 일단부가 타단부 보다 직경 크기가 더 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갈이 방지 가드.
According to claim 4,
The saliva discharge hole
It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r more of the outer wall and the inner wall,
The saliva outflow hole
A guard against bruxism,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of the tooth contact and into which saliva is introduced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other en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침배출공은
상기 외측벽과 상기 내측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구비되고,
상기 침 유출공은
치아와 접촉되어 침이 유입되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갈이 방지 가드.
According to claim 4,
The saliva discharge hole
It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r more of the outer wall and the inner wall,
The saliva outflow hole
A guard for preventing bruxis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obliquely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one end to which saliva is introduced in contact with the teeth to the other e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벽은
상부 치아 중 앞니 4개와 대응되는 앞니접촉부와, 상기 앞니접촉부 양측으로 송곳니와 어금니가 접촉되는 좌측접촉부 및 우측접촉부로 나뉘며,
상기 좌측접촉부 및 상기 우측접촉부는
상기 앞니접촉부 보다 상하 두께가 더 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갈이 방지 가드.
According to claim 1,
the bottom wall
It is divided into an incisor contact portion corresponding to four incisors of the upper teeth, a left contact portion and a right contact portion in which canines and molars are in contact on both sides of the incisor contact portion,
The left contact part and the right contact part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and lower thickness is configured to be greater than the incisor contact portion, the bruxism prevention gu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벽은
상부 치아 중 앞니 4개와 대응되는 앞니접촉부와, 상기 앞니접촉부 양측으로 송곳니와 어금니가 접촉되는 좌측접촉부 및 우측접촉부로 나뉘며,
상기 좌측접촉부와 상기 우측접촉부 각각에 보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갈이 방지 가드.
According to claim 1,
the bottom wall
It is divided into an incisor contact portion corresponding to four incisors of the upper teeth, a left contact portion and a right contact portion in which canines and molars are in contact on both sides of the incisor contact portion,
A bruxism prevention guard, characterized in that a reinforc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on each of the left contact portion and the right contact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좌측접촉부와 상기 우측접촉부 각각에 돌출 형성되는 보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갈이 방지 가드.
According to claim 8,
The reinforcing member
The bruxism prevention guar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inforc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each of the left contact portion and the right contact por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몸체의 만곡된 길이방향을 따라 만곡된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앞니접촉부 양단에 좌측주름부와 우측주름부가 각각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만곡길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갈이 방지 가드.
According to claim 9,
The guard against bruxism further comprises a curved length adjusting unit configured to have a left crease and a right crease at both ends of the incisor contact portion, respectively, so as to be able to adjust the curved length along the curved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ard bod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몸체는
외면에 함몰 형성되는 끼움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보강몸체와,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보강몸체 돌출 형성되는 끼움돌기와, 상기 바닥부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보강몸체에 구비되는 상측보강부를 포함하여, 상기 가드몸체와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갈이 방지 가드.
According to claim 8,
The guard body
Further comprising a fitting groove formed recessed on the outer surface,
The reinforcing member
A reinforcing body, a fitt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reinforcing body to be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and an upper reinforcing part provided in the reinforcing body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bottom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guard body. , bruxism prevention guar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상측보강부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조절주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갈이 방지 가드.
According to claim 11,
The reinforcing member
The bruxism prevention guar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djustment corrugation portion that allows the length of the upper reinforcement portion to be adjusted.
KR1020210105755A 2021-08-11 2021-08-11 Guard for the prevention of bruxism KR1025978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755A KR102597883B1 (en) 2021-08-11 2021-08-11 Guard for the prevention of bruxis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755A KR102597883B1 (en) 2021-08-11 2021-08-11 Guard for the prevention of bruxis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900A true KR20230023900A (en) 2023-02-20
KR102597883B1 KR102597883B1 (en) 2023-11-02

Family

ID=85329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755A KR102597883B1 (en) 2021-08-11 2021-08-11 Guard for the prevention of bruxis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883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349B1 (en) 2013-07-30 2015-08-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Appliance for preventing snoring and bruxism by using tongue position raising
KR101782093B1 (en) 2016-10-10 2017-09-26 송영호 Prevention instrument for snore and bruxism
KR20180060290A (en) * 2016-11-28 2018-06-07 정수창 Temporomandibular joint stabilization apparatus
KR20190014870A (en) * 2017-08-04 2019-02-13 주식회사 닥터픽 Mouthpiece and Oral Care Device
KR102011625B1 (en) * 2019-04-16 2019-08-16 고영석 Snoring prevention mouthpiece
KR20210002366A (en) * 2013-10-11 2021-01-07 울트라덴트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Wax-based compositions, articles made therefrom,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349B1 (en) 2013-07-30 2015-08-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Appliance for preventing snoring and bruxism by using tongue position raising
KR20210002366A (en) * 2013-10-11 2021-01-07 울트라덴트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Wax-based compositions, articles made therefrom,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KR101782093B1 (en) 2016-10-10 2017-09-26 송영호 Prevention instrument for snore and bruxism
KR20180060290A (en) * 2016-11-28 2018-06-07 정수창 Temporomandibular joint stabilization apparatus
KR20190014870A (en) * 2017-08-04 2019-02-13 주식회사 닥터픽 Mouthpiece and Oral Care Device
KR102011625B1 (en) * 2019-04-16 2019-08-16 고영석 Snoring prevention mouthpie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7883B1 (en) 2023-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9633A (en) Anti-snoring device with adjustable upper and lower relational members
KR101452015B1 (en) Interocclusal appliance and method
US7954496B2 (en) Dental guard
US8459987B2 (en) Orthodontic appliance
US20090165805A1 (en) Mouth Guard
US5117816A (en) Anti-snore device
US7971591B2 (en) Dental guard
US5277203A (en) Bite plate
US5277202A (en) Easy fit anti-snoring device
US8656923B2 (en) Oral orthosis
ES2367912T3 (en) ORAL EQUIPMENT.
US6837246B1 (en) Tongue-airway appliance
US8439044B2 (en) Dental appliance for minimizing effects of bruxism
US20100196837A1 (en) Orthodontic appliance
US20050115571A1 (en) Mouthguard
EP1083973B1 (en) A mouthguard
US20210236325A1 (en) Custom-formable night grinding appliance and method of use
US8186356B2 (en) Mouth guard
KR102325958B1 (en) Guard for the prevention of bruxism
US7490609B2 (en) Dental appliance for minimizing effects of bruxism
US20150360115A1 (en) Mouthpiece for athletic performance enhancement
JP4489503B2 (en) Mouth guard
US20080206707A1 (en) Oral appliance for improving airway function during sleep or physical activity
KR102597883B1 (en) Guard for the prevention of bruxism
CN218739185U (en) Lip and oral cavity orthodontic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