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3855A - 물류중개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물류중개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3855A
KR20230023855A KR1020210105310A KR20210105310A KR20230023855A KR 20230023855 A KR20230023855 A KR 20230023855A KR 1020210105310 A KR1020210105310 A KR 1020210105310A KR 20210105310 A KR20210105310 A KR 20210105310A KR 20230023855 A KR20230023855 A KR 20230023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gistics
warehouse
cargo owner
network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5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근
Original Assignee
(주)플라잉아이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플라잉아이에스티 filed Critical (주)플라잉아이에스티
Priority to KR1020210105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23855A/ko
Publication of KR20230023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38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06Q10/043Optimisation of two dimensional placement, e.g. cutting of clothes or woo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iophys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주 단말기로부터 평가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입력받아서 화물주가 입력한 가중치를 다층 퍼셉트론의 신경망 가중치로서 사용함으로써 화물주의 요구사항을 더욱 충실하게 반영할 수 있으며, 최적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3D 입체설계로 창고에 대한 정보를 다각적 시각화하여 제공함으로써 화물주가 물류창고를 직접 방문하지 않고 메타버스 환경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물류중개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화물주 단말기와,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창고업자 단말기와,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운송업자 단말기와,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물류중개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물류중개 플랫폼 서버는, 화물주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 물류 희망지역, 기활동권역, 예상 거점수, 업종, 1일 물동량, 제품 카테고리, 월 총예산, 소비자층, 납품지역, 배송처와 같은 입력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하게 되고, 지역, 보유시설, 사용빈도, 창고임대가격, 공간효율성, 접근성과 같은 평가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부와, 화물주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입력항목에 대한 데이터와, 평가항목에 대한 가중치로부터 다층 퍼셉트론을 사용하여 창고임대가격, 기준경로, 창고접근성, 보유시설, 공간효율성, 운송코스, 사용빈도, 거점위치, 운송 이동거리, 운영 효율성을 분석하여 결과값을 도출하는 결과값 도출부와, 업종에 따른 거점도시 근접성, 편의시설과 연동성, 판매망과의 상호연관성을 통한 적합 물류망을 설계하여 추천하는 적합 물류망 추천부와, 최적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3D 입체설계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창고에 대한 정보를 다각적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시뮬레이션부와, 상기 결과값 도출부와 적합 물류망 추천부와 시뮬레이션부의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인터페이스부와, 화물주 단말기가 선택한 물류창고에 대하여 계약을 실행할 수 있는 결제화면을 제공하여 처리하는 결제 처리부와, 화물주 단말기가 선택한 물류창고에서 이용할 수 있는 운송업자를 추천하는 운송업자 추천부와, 거점-운송망 섹션, 창고 3D 입체설계 섹션, 화물주 섹션, 결과값 섹션, 운송업자 섹션을 운용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류중개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Logistics warehouse brokerage platform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물류중개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화물주 단말기로부터 평가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입력받아서 화물주가 입력한 가중치를 다층 퍼셉트론(MLP)의 신경망 가중치로서 사용함으로써 화물주의 요구사항을 더욱 충실하게 반영할 수 있으며, 최적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3D 입체설계로 창고에 대한 정보를 다각적 시각화하여 제공함으로써 화물주가 물류창고를 직접 방문하지 않고 메타버스(Metaverse) 환경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물류중개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물건을 파는 상인은 판매 물건을 보관해 놓을 수 있는 물류창고를 필요로 하게 되며, 물류창고를 직접 소유하고 있지 않거나, 물류창고를 소유하고 있더라도 물류거점이 맞지 않거나 일시적으로 보관 물품이 자가 물류창고의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자신에게 적합한 물류창고를 창고업자로부터 임차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인이 화물주로서 창고업자로부터 물류창고를 임차하고자 하는 경우에, 폐쇄적 거래구조, 정보 불균형 등으로 인하여 임대중인 물류창고를 찾는 것이 쉽지 않으며, 임대중인 물류창고를 찾았다 하더라도 일일이 직접 물류창고들을 방문하여 현장조사를 하는 것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직접 물류창고들을 방문하는 경우에도 자신에게 적합한 물류창고 부족, 거리로 인한 물류 비용 증가, 물류 중개수수료 비교의 어려움 등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된다.
참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2-0009843(공개일자 2002년 02월 02일)의 "인터넷을 이용한 물류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에는 인터넷을 통하여 제조회사/무역회사. 전자상거래업체/물류센터 등의 하주와 운송업체/택배회사/영업용 차주 등의 차주간의 화물과 차량정보를 중개 알선하고, 하주와 물류센터 들의 창고업자간의 화물보관 및 창고 임대에 대한 정보를 중개 알선하여 전자 상거래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1-0104443(공개일자 2001년 11월 26일)의 "물류정보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에는 사용자의 물류정보 통합 검색을 통한 가격, 스케줄 비교를 통한 최적의 물류 서비스를 원 스톱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세계 주요 포트의 스케줄 정보가 저장된 스케줄 관리 데이터베이스부와, 국가 정보, 환율 정보, 관세 정보, 운송 회사 정보, 창고 회사 정보, 보험 회사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가 저장된 부가 정보 데이터베이스부와, 항공사, 해운사, 창고 회사, 보험 회사 등의 광고 데이터가 저장된 광고 데이터베이스부와, 항공사, 해운사, 창고 회사, 보험회사 등의 인터넷 사이트로의 링크 정보 및 각 링크 인터넷 사이트의 업체에 대한 음성 광고 데이터가 저장된 링크 데이
터베이스부와, 네트워크 망을 통해 접속된 클라이언트에서 사용자가 물류정보를 검색하기 위해 입력하는 질의문을 분석하여 검색 신호를 생성하여 주는 검색부와, 검색부로부터 전송되는 검색 신호에 따라 스케줄 관리 데이터베이스부와 부가 정보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물류정보를 추출하여 주며, 사용자에 의한 특정 정보에 대한 링크 신호가 있을 경우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로 링크시켜 주는 내부 브로커를 포함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2-0009843 및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1-0104443를 포함한 종래의 물류중개 시스템은, 화물주의 요구사항 반영이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메타버스(Metaverse) 환경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2-0009843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1-0104443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물주 단말기로부터 평가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입력받아서 화물주가 입력한 가중치를 다층 퍼셉트론(MLP)의 신경망 가중치로서 사용함으로써 화물주의 요구사항을 더욱 충실하게 반영할 수 있는, 물류중개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적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3D 입체설계로 창고에 대한 정보를 다각적 시각화하여 제공함으로써 화물주가 물류창고를 직접 방문하지 않고 메타버스(Metaverse) 환경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물류중개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화물주 단말기와,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창고업자 단말기와,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운송업자 단말기와,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물류중개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물류중개 플랫폼 서버는, 화물주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 물류 희망지역, 기활동권역, 예상 거점수, 업종, 1일 물동량, 제품 카테고리, 월 총예산, 소비자층, 납품지역, 배송처와 같은 입력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하게 되고, 지역, 보유시설, 사용빈도, 창고임대가격, 공간효율성, 접근성과 같은 평가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부와, 화물주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입력항목에 대한 데이터와, 평가항목에 대한 가중치로부터 다층 퍼셉트론(Multilayer Perceptron, MLP)을 사용하여 창고임대가격, 기준경로, 창고접근성, 보유시설, 공간효율성, 운송코스, 사용빈도, 거점위치, 운송 이동거리, 운영 효율성을 분석하여 결과값을 도출하는 결과값 도출부와, 업종에 따른 거점도시 근접성, 편의시설과 연동성, 판매망과의 상호연관성을 통한 적합 물류망을 설계하여 추천하는 적합 물류망 추천부와, 최적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3D 입체설계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창고에 대한 정보를 다각적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시뮬레이션부와, 상기 결과값 도출부와 적합 물류망 추천부와 시뮬레이션부의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인터페이스부와, 화물주 단말기가 선택한 물류창고에 대하여 계약을 실행할 수 있는 결제화면을 제공하여 처리하는 결제 처리부와, 화물주 단말기가 선택한 물류창고에서 이용할 수 있는 운송업자를 추천하는 운송업자 추천부와, 거점-운송망 섹션, 창고 3D 입체설계 섹션, 화물주 섹션, 결과값 섹션, 운송업자 섹션을 운용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은, 상기 결과값 도출부는, 화물주가 입력한 입력항목에 대하여 화물주가 입력한 가중치를 신경망 가중치로서 사용함과 동시에 바이어스를 통해 활성화 함수를 거쳐 결과값을 도출하여 데이터 베이스의 결과값 섹션에 저장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은, 상기 적합 물류망 추천부는 주기적인 웹 크롤링을 통하여 지역별, 업종별로 창고 임대가격, 창고규모, 운송업자 등의 정보를 획득하여 데이터 베이스의 거점-운송망 섹션에 저장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은, 상기 시뮬레이션부는 웹크롤링을 통하여 획득된 창고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최적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3D 입체설계를 하여 데이터 베이스의 창고 3D 입체설계 섹션에 저장하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방법의 구성은, 화물주 단말기로부터 물류중개 요청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화물주 단말기로부터 물류중개 요청이 있는 경우에, 사용자 정보, 물류 희망지역, 기활동권역, 업종, 1일 물동량, 제품 카테고리, 예상 거점수, 월 총예산, 소비자층, 납품지역, 배송처와 같은 입력항목을 제공하는 단계와, 화물주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입력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와, 지역, 보유시설, 사용빈도, 창고임대가격, 공간효율성, 접근성과 같은 평가항목을 가중치와 함께 제공하는 단계와, 화물주 단말기로부터 평가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입력받는 단계와, 화물주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입력항목에 대한 데이터와, 평가항목에 대한 가중치로부터 창고임대가격, 기준경로, 창고접근성, 보유시설, 공간효율성, 운송코스, 사용빈도, 거점위치, 운송 이동거리, 운영 효율성을 분석하여 결과값을 도출하는 단계와, 업종에 따른 거점도시 근접성, 편의시설과 연동성, 판매망과의 상호연관성을 통한 적합 물류망을 설계하여 추천하는 단계와, 최적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3D 입체설계로 저장되어 있는 창고에 대한 정보를 다각적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단계와, 화물주 단말기가 선택한 물류창고에 대하여 계약을 실행할 수 있는 결제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와, 운송업자를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의 구성은, 상기 결과값을 도출하는 단계에 있어서, 화물주가 입력한 입력항목에 대하여 화물주가 입력한 가중치를 신경망 가중치로서 사용함과 동시에 바이어스를 통해 활성화 함수를 거쳐 결과값을 도출하여 데이터 베이스의 결과값 섹션에 저장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화물주 단말기로부터 평가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입력받아서 화물주가 입력한 가중치를 다층 퍼셉트론(MLP)의 신경망 가중치로서 사용함으로써 화물주의 요구사항을 더욱 충실하게 반영할 수 있으며, 최적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3D 입체설계로 창고에 대한 정보를 다각적 시각화하여 제공함으로써 화물주가 물류창고를 직접 방문하지 않고 메타버스(Metaverse) 환경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중개 플랫폼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중개 플랫폼 시스템의 물류중개 플랫폼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중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중개 플랫폼 시스템의 입력화면의 일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중개 플랫폼 시스템의 결과값 출력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중개 플랫폼 시스템의 적합물류망 추천 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중개 플랫폼 시스템의 3D 입체설계 창고 화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중개 플랫폼 시스템의 메타버스 창고 화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물 내지 대체물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원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의 표현은,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일예로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방향에 관한 표현은 설명상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상에 표현된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하며, "연결된다"거나 "접속된다"라는 표현은 직접적인 연결 또는 접속뿐만이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는 연결 또는 접속을 포함한다. 또한, "~부"라는 표현은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 등을 포함하며, 1개의 유닛은 1개 이상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될 수도 있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중개 플랫폼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류중개 플랫폼 시스템의 구성은,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10)와, 상기 네트워크(10)에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화물주 단말기(201~20n)와, 상기 네트워크(10)에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창고업자 단말기(301~30k)와, 상기 네트워크(10)에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운송업자 단말기(401~40j)와, 상기 네트워크(10)에 연결되어 있는 물류중개 플랫폼 서버(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화물주 단말기(20~2n), 창고업자 단말기(301~30n), 운송업자 단말기(401~40j)는 컴퓨터, 스마트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그 외의 무선 또는 유선으로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는 전자기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화물주 단말기(20~2n), 창고업자 단말기(301~30n), 운송업자 단말기(401~40j), 물류중개 플랫폼 서버(5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10)는 인터넷을 기본으로 하며, 그외에도 WAN(Wide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3G, 4G, 5G, LTE(Long Term Evolu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중개 플랫폼 시스템의 물류중개 플랫폼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중개 플랫폼 시스템의 물류중개 플랫폼 서버(50)의 구성은, 화물주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 물류 희망지역, 기활동권역, 예상 거점수, 업종, 1일 물동량, 제품 카테고리, 월 총예산, 소비자층, 납품지역, 배송처와 같은 입력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하게 되고, 지역, 보유시설, 사용빈도, 창고임대가격, 공간효율성, 접근성과 같은 평가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부(51)와, 화물주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입력항목에 대한 데이터와, 평가항목에 대한 가중치로부터 다층 퍼셉트론(Multilayer Perceptron, MLP)을 사용하여 창고임대가격, 기준경로, 창고접근성, 보유시설, 공간효율성, 운송코스, 사용빈도, 거점위치, 운송 이동거리, 운영 효율성을 분석하여 결과값을 도출하는 결과값 도출부(52)와, 업종에 따른 거점도시 근접성, 편의시설과 연동성, 판매망과의 상호연관성을 통한 적합 물류망을 설계하여 추천하는 적합 물류망 추천부(53)와, 최적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3D 입체설계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창고에 대한 정보를 다각적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시뮬레이션부(54)와, 상기 결과값 도출부(52)와 적합 물류망 추천부(53)와 시뮬레이션부(54)의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인터페이스부(55)와, 화물주 단말기가 선택한 물류창고에 대하여 계약을 실행할 수 있는 결제화면을 제공하여 처리하는 결제 처리부(56)와, 화물주 단말기가 선택한 물류창고에서 이용할 수 있는 운송업자를 추천하는 운송업자 추천부(57)와, 거점-운송망 섹션, 창고 3D 입체설계 섹션, 화물주 섹션, 결과값 섹션, 운송업자 섹션을 운용하는 데이터 베이스(5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적합 물류망 추천부(53)는 주기적인 웹 크롤링을 통하여 지역별, 업종별로 창고 임대가격, 창고규모, 운송업자 등의 정보를 획득하여 데이터 베이스(58)의 거점-운송망 섹션에 저장한다.
상기 시뮬레이션부(54)는 웹크롤링을 통하여 획득된 창고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최적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3D 입체설계를 하여 데이터 베이스(58)의 창고 3D 입체설계 섹션에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중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중개 방법은, 화물주 단말기로부터 물류중개 요청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S10)와, 화물주 단말기로부터 물류중개 요청이 있는 경우에, 사용자 정보, 물류 희망지역, 기활동권역, 업종, 1일 물동량, 제품 카테고리, 예상 거점수, 월 총예산, 소비자층, 납품지역, 배송처와 같은 입력항목을 제공하는 단계(S20)와, 화물주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입력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S30)와, 지역, 보유시설, 사용빈도, 창고임대가격, 공간효율성, 접근성과 같은 평가항목을 가중치와 함께 제공하는 단계(S40)와, 화물주 단말기로부터 평가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입력받는 단계(S50)와, 화물주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입력항목에 대한 데이터와, 평가항목에 대한 가중치로부터 창고임대가격, 기준경로, 창고접근성, 보유시설, 공간효율성, 운송코스, 사용빈도, 거점위치, 운송 이동거리, 운영 효율성을 분석하여 결과값을 도출하는 단계(S60)와, 업종에 따른 거점도시 근접성, 편의시설과 연동성, 판매망과의 상호연관성을 통한 적합 물류망을 설계하여 추천하는 단계(S70)와, 최적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3D 입체설계로 저장되어 있는 창고에 대한 정보를 다각적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단계(S80)와, 화물주 단말기가 선택한 물류창고에 대하여 계약을 실행할 수 있는 결제화면을 제공하는 단계(S90)와, 운송업자를 추천하는 단계(S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류중개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물류중개 플랫폼 서버(50)의 입력 인터페이스부(51)는 화물주 단말기(201~20n)로부터 물류중개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10).
화물주 단말기(201~20n)로부터 물류중개 요청이 있는 경우에, 물류중개 플랫폼 서버(50)의 입력 인터페이스부(51)는 사용자 정보, 물류 희망지역, 기활동권역, 예상 거점수, 업종, 1일 물동량, 제품 카테고리, 월 총예산, 소비자층, 납품지역, 배송처와 같은 입력항목을 물류중개 요청을 한 화물주 단말기로 제공한다(S2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중개 플랫폼 시스템의 입력화면의 일부로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로서 고객(회사)명, 명함, 고객코드, 고객등록번호를 입력항목으로서 제공하고, 물류 희망지역으로서 국가/지역, 거점 시작지역, 거점 종료지역을 입력항목으로서 제공하고, 기활동권역으로서 주요 유통지역을 입력항목으로서 제공하고, 그외에도 예상 거점수, 업종, 1일 물동량, 제품 카테고리, 월 총예산 등을 입력항목으로서 제공한다, 그리고 나머지 소비자층, 납품지역, 배송처 등의 입력항목은 화면의 크기상 페이지를 넘겨서 다른 화면(도시되지 않음)에서 제공한다.
물류중개 요청을 한 화물주는 물류중개 플랫폼 서버(50)로부터 화물주 단말기로 제공되는 사용자 정보, 물류 희망지역, 기활동권역, 예상 거점수, 업종, 1일 물동량, 제품 카테고리, 월 총예산, 소비자층, 납품지역, 배송처와 같은 입력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하게 되고, 물류중개 플랫폼 서버(50)의 입력 인터페이스부(51)는 화물주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서 데이터 베이스(58)의 화물주 섹션에 저장한다(S30).
이어서, 물류중개 플랫폼 서버(50)의 입력 인터페이스부(51)는 다음의 표 1과 같이 6개의 예시에 대하여 지역, 보유시설, 사용빈도, 창고임대가격, 공간효율성, 접근성과 같은 평가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제공한다(S40).
평가항목 예시1 예시2 예시3 예시4 예시5 예시6
지역 서울 경기 경기 이천 인천 대전 부산
가중치 1 1 2 2 3 `4
보유시설 물류장비 물류장비 물류장비 창고시설 창고시설 보안시설
가중치 50% 30% 10% 5% 5% -
사용빈도 창고경영상태
(공실율)
유사 업종별 사용 1개 업체거래
연속성
상권형성
수준
가중치 1 1 2 3
창고임대가격 평당가격 보증금 인상율(3년간) 주변시세 비교 통합물류대행가격 배송단가
가중치 1 1 2 3
공간효율성 랙배치효율성 층고/넓이 제품이동
동선효율성
편의시설 사무공간
가중치 1 1 2 3
접근성 절대적 입구/출구 거점접안 상권(최종목적지)
접안
도심 근접성 도로망 근접성
가중치 1 1 2 3 1
화물주는 물류중개 플랫폼 서버(50)로부터 단말기로 제공되는 지역, 보유시설, 사용빈도, 창고임대가격, 공간효율성, 접근성과 같은 평가항목에 대하여 자신이 원하는 가중치를 입력하게 되고, 물류중개 플랫폼 서버(50)의 입력 인터페이스부(51)는 화물주 단말기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서 데이터 베이스(58)의 화물주 섹션에 저장한다(S50).
물류중개 플랫폼 서버(50)의 결과값 도출부(52)는 화물주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입력항목에 대한 데이터와, 평가항목에 대한 가중치로부터 창고임대가격, 기준경로, 창고접근성, 보유시설, 공간효율성, 운송코스, 사용빈도, 거점위치, 운송 이동거리, 운영 효율성을 분석하여 결과값을 도출한 뒤에, 출력 인터페이스부(55)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한다(S60).
상기 결과값을 도출하는 단계(S60)에서는 딥러닝 분석으로서 다층 퍼셉트론((Multilayer Perceptron, MLP)이 사용된다.
상기 다층 퍼셉트론(MLP)은 입력층과 출력층 사이에 하나 이상의 중간층이 존재하는 인공지능 신경망으로서,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항목에 대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가중치를 신경망 가중치로서 사용함과 동시에 바이어스를 통해 활성화 함수를 거쳐 결과값을 도출하여 데이터 베이스(58)의 결과값 섹션에 저장함으로써 딥러닝 방식을 통해 지능형 데이터로 전환하고, 빅데이터를 구성하도록 한다.
이 경우에, 상기 결과값으로서, 상기 창고임대가격은 창고임차료, 배송단가, 인력단가, 통합물류비를 고려하여 책정되고, 상기 기준경로는 사업장 거리 및 경로, 지역거점 거리 및 경로, 최종 목적지 경로를 고려하여 설정되고, 상기 창고접근성은 센터입구 위치 및 접안, 거점입구 위치 및 접안, 최종목적지 위치 및 접안을 고려하여 판단되고, 상기 보유시설은 물류기기 사용가능여부, 시스템 사용가능여부, 보안시설 및 제반여건을 고려하여 결정되고, 상기 공간효율은 잭위치 선정 및 구획, 입고 및 출고 동선, 제품 최적화 적재공간을 고려하여 판단되고, 상기 운송코스는 차량종류별 사용코스, 제품별 운송경로, 거점 및 도로망별 접근성을 고려하여 설정되고, 상기 사용빈도는 창고공실율, 입지환경, 상권형성 수준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중개 플랫폼 시스템의 결과값 출력화면으로서, ①창고임대가격, ②창고접근성, ③보유시설, ④공간효율성, ⑤사용빈도, ⑥거점위치 및 기준경로에 대한 분석결과를 그래프로서 보여주고 있으며, 창고임대가격, 운영 효율성(별표로 표시함)도 보여주고 있다. 그외에도, 보유시설, 공간효율성, 운송코스, 운송 이동거리를 화면의 페이지를 넘겨서 다른 화면(도시되지 않음)에서 보여준다.
다음에, 물류중개 플랫폼 서버(50)의 적합물류망 추천부(53)는 업종에 따른 거점도시 근접성, 편의시설과 연동성, 판매망과의 상호연관성을 통한 적합 물류망을 설계하여 추천을 하여 출력 인터페이스부(55)를 통하여 보여준다(S7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중개 플랫폼 시스템의 적합물류망 추천 화면으로서, ①번 창고에서 ④번 창고로 이어지는 물류망을 보여주고 있다.
다음에, 물류중개 플랫폼 서버(50)의 시뮬레이션부(54)는 최적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3D 입체설계로 데이터 베이스(58)에 저장되어 있는 창고에 대한 정보를 출력 인터페이스부(55)를 통해 다각적 시각화하여 제공한다(S8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중개 플랫폼 시스템의 3D 입체설계 창고 화면으로서, 실제 건물을 촬영한 사진이 아니라, 웹크롤링을 통하여 획득된 창고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부(54)가 최적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3D 입체설계를 하여 데이터 베이스(58)의 창고 3D 입체설계 섹센에 저장해 놓은 데이터를 사용하여 구성한 화면이다.
상기 창고 3D 입체설계 화면에서는, 일반적인 3D 모션의 정적 형태만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각 창고와 그 인프라에 대한 평가가 반영된 정제된 데이터를 창고선택 핵심변인으로 분류, 가설과 검증의 과정을 통해 시각화된 3D 이미지가 각 정확한 데이터값을 함축하여 사용자 조건 또는 환경에 맞게 유기적으로 자동 설계하여 제시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뮬류창고의 구석구석마다 커서나 손가락을 대면, 폭, 층고, 출고장까지 거리, 활동반경, 보는 위치 변경 등의 항목을 통해 다각적인 정보를 보여줌과 동시에 그래프를 통해 실시간으로 관점별 결과값을 제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류중개 플랫폼 시스템의 메타버스 창고 화면으로서, 사용자가 가상환경 공간에서 보는 위치를 달리하여 창고를 탐색할 수가 있다.
다음에, 물류중개 플랫폼 서버(50)의 결제 처리부(56)는 화물주 단말기가 선택한 물류창고에 대하여 계약을 실행할 수 있는 결제화면을 제공하고, 결제가 이루어지면 해당 창고업자 단말기(301~30k)로 이를 알려주게 된다(S90).
이어서, 물류중개 플랫폼 서버(50)의 운송업자 추천부(57)는 데이터 베이스(58)의 운송업자 섹션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화물주 단말기가 선택한 물류창고에서 이용할 수 있는 운송업자를 추천한 후, 화물주가 운송업자를 선택하면, 해당 운송업자 단말기(401~40j)로 이를 알려주게 된다(S100).
10 : 네트워크 201 ~ 20n : 화물주 단말기
301 ~ 30k : 창고업자 단말기 401 ~ 40j : 운송업자 단말기
50 : 물류중개 플랫폼 서버 51 : 입력 인터페이스부
52 : 결과값 도출부 53 : 적합 물류망 추천부
54 : 시뮬레이션부 55 : 출력 인터페이스부
56 : 결제 처리부 57 : 운송업자 추천부
58 : 데이터 베이스

Claims (6)

  1.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화물주 단말기와,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창고업자 단말기와,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운송업자 단말기와,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물류중개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물류중개 플랫폼 서버는,
    상기 화물주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 물류 희망지역, 기활동권역, 예상 거점수, 업종, 1일 물동량, 제품 카테고리, 월 총예산, 소비자층, 납품지역, 배송처와 같은 입력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하게 되고, 지역, 보유시설, 사용빈도, 창고임대가격, 공간효율성, 접근성과 같은 평가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화물주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입력항목에 대한 데이터와, 평가항목에 대한 가중치로부터 다층 퍼셉트론(Multilayer Perceptron, MLP)을 사용하여 창고임대가격, 기준경로, 창고접근성, 보유시설, 공간효율성, 운송코스, 사용빈도, 거점위치, 운송 이동거리, 운영 효율성을 분석하여 결과값을 도출하는 결과값 도출부와,
    업종에 따른 거점도시 근접성, 편의시설과 연동성, 판매망과의 상호연관성을 통한 적합 물류망을 설계하여 추천하는 적합 물류망 추천부와,
    최적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3D 입체설계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창고에 대한 정보를 다각적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시뮬레이션부와,
    상기 결과값 도출부와 적합 물류망 추천부와 시뮬레이션부의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화물주 단말기가 선택한 물류창고에 대하여 계약을 실행할 수 있는 결제화면을 제공하여 처리하는 결제 처리부와,
    상기 화물주 단말기가 선택한 물류창고에서 이용할 수 있는 운송업자를 추천하는 운송업자 추천부와,
    거점-운송망 섹션, 창고 3D 입체설계 섹션, 화물주 섹션, 결과값 섹션, 운송업자 섹션을 운용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중개 플랫폼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값 도출부는, 상기 화물주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입력항목에 대하여 상기 화물주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가중치를 신경망 가중치로서 사용함과 동시에 바이어스를 통해 활성화 함수를 거쳐 결과값을 도출하여 데이터 베이스의 결과값 섹션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중개 플랫폼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합 물류망 추천부는 주기적인 웹 크롤링을 통하여 지역별, 업종별로 창고 임대가격, 창고규모, 운송업자 등의 정보를 획득하여 데이터 베이스의 거점-운송망 섹션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중개 플랫폼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부는 웹크롤링을 통하여 획득된 창고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최적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3D 입체설계를 하여 데이터 베이스의 창고 3D 입체설계 섹션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중개 플랫폼 시스템.
  5. 화물주 단말기로부터 물류중개 요청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화물주 단말기로부터 물류중개 요청이 있는 경우에, 사용자 정보, 물류 희망지역, 기활동권역, 업종, 1일 물동량, 제품 카테고리, 예상 거점수, 월 총예산, 소비자층, 납품지역, 배송처와 같은 입력항목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화물주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정보 및 입력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와,
    지역, 보유시설, 사용빈도, 창고임대가격, 공간효율성, 접근성과 같은 평가항목을 가중치와 함께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화물주 단말기로부터 평가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화물주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입력항목에 대한 데이터와, 평가항목에 대한 가중치로부터 창고임대가격, 기준경로, 창고접근성, 보유시설, 공간효율성, 운송코스, 사용빈도, 거점위치, 운송 이동거리, 운영 효율성을 분석하여 결과값을 도출하는 단계와,
    업종에 따른 거점도시 근접성, 편의시설과 연동성, 판매망과의 상호연관성을 통한 적합 물류망을 설계하여 추천하는 단계와,
    최적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3D 입체설계로 저장되어 있는 창고에 대한 정보를 다각적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화물주 단말기가 선택한 물류창고에 대하여 계약을 실행할 수 있는 결제화면을 제공하는 단계와,
    운송업자를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중개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과값을 도출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화물주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입력항목에 대하여 상기 화물주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가중치를 신경망 가중치로서 사용함과 동시에 바이어스를 통해 활성화 함수를 거쳐 결과값을 도출하여 데이터 베이스의 결과값 섹션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중개 방법.
KR1020210105310A 2021-08-10 2021-08-10 물류중개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238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310A KR20230023855A (ko) 2021-08-10 2021-08-10 물류중개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5310A KR20230023855A (ko) 2021-08-10 2021-08-10 물류중개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855A true KR20230023855A (ko) 2023-02-20

Family

ID=85329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5310A KR20230023855A (ko) 2021-08-10 2021-08-10 물류중개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238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57609A (zh) * 2023-08-18 2023-09-15 北京英克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仓库货位分配方法及装置
KR102598030B1 (ko) * 2023-03-06 2023-11-02 주식회사 모벤티스 물류 중개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443A (ko) 2000-04-28 2001-11-26 송병희 물류정보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09843A (ko) 2000-07-27 2002-02-02 이창희 인터넷을 이용한 물류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443A (ko) 2000-04-28 2001-11-26 송병희 물류정보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09843A (ko) 2000-07-27 2002-02-02 이창희 인터넷을 이용한 물류 중개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030B1 (ko) * 2023-03-06 2023-11-02 주식회사 모벤티스 물류 중개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CN116757609A (zh) * 2023-08-18 2023-09-15 北京英克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仓库货位分配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yapinar Kaya et al. An integrated interval type 2 fuzzy AHP and COPRAS-G methodologies for supplier selection in the era of Industry 4.0
Li et al. Internet-based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system for E-commerce application in construction material procurement
Nadizadeh et al. Fuzzy capacitated location-routing problem with simultaneous pickup and delivery demands
Ahmadi et al. A bi-objective location-inventory model with capacitated transportation and lateral transshipments
RU2695051C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формирования мультимодальных сервисов грузоперевозок в режиме реального времени
KR20230023855A (ko) 물류중개 플랫폼 시스템 및 방법
US20220222231A1 (en) Computerized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optimize database parameters
Chen et al. An integrated optimal inventory lot-sizing and vehicle-routing model for a multisupplier single-assembler system with JIT delivery
KR20210158836A (ko) 컴퓨터화된 균형을 맞춘 배송 루트 할당 및 인센티브 구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ang et al. Vehicle routing problem based on a fuzzy customer clustering approach for logistics network optimization
US20170103470A1 (en) Real time digital value nodes and networks
Bae et al. Hybrid modeling of collaborative freight transportation planning using agent-based simulation, auction-based mechanisms, and optimization
Arikan et al. Risk pooling via unidirectional inventory transshipments in a decentralized supply chain
Mahmoodirad et al. A belief degree-based uncertain scheme for a bi-objective two-stage green supply chain network design problem with direct shipment
Hu et al. Alibaba vehicle routing algorithms enable rapid pick and delivery
Lai et al. The position and role on patent citation network of the parking lot guidance system
Janinhoff et al. Multitrip vehicle routing with delivery options: A data-driven application to the parcel industry
Guimarães et al. Variable fixing heuristics for the capacitated multicommodity network flow problem with multiple transport lines, a heterogeneous fleet and time windows
KR102326878B1 (ko) Scm 기반 제3자 물류 서비스 제공 시스템
Kavus et al. A hybrid Bayesian BWM and Pythagorean fuzzy WASPAS-based decision-making framework for parcel locker location selection problem
Lv et al. A fuzzy correlation based heuristic for Dual-mode integrated Location routing problem
Yin et al. RETRACTED ARTICLE: Business service network node optimization and resource integration based on the construction of logistics information systems
Demircan et al. Evaluation of software development suppliers in banking sector using neutrosophic fuzzy EDAS
Yalcin Kavus et al. A hybrid Bayesian BWM and Pythagorean fuzzy WASPAS-based decision-making framework for parcel locker location selection problem
McLeod et al. Collaborative parcels logistics via the carrier’s carrier operating mod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