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3799A - 송신 전력의 지시 및 결정 방법, 장치, 단말, 기기 및 매체(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sending power,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ending power, and terminal, device and medium) - Google Patents

송신 전력의 지시 및 결정 방법, 장치, 단말, 기기 및 매체(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sending power,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ending power, and terminal, device and mediu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3799A
KR20230023799A KR1020237001950A KR20237001950A KR20230023799A KR 20230023799 A KR20230023799 A KR 20230023799A KR 1020237001950 A KR1020237001950 A KR 1020237001950A KR 20237001950 A KR20237001950 A KR 20237001950A KR 20230023799 A KR20230023799 A KR 20230023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t power
terminal
power
maximum
uplink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1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밍주 리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23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37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5Power headroom repor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2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systems with time, space, frequency or polarisation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신 전력의 지시 및 결정 방법, 장치, 단말, 기기 및 매체에 관한 것이며, 통신 기술 분야에 속한다. 상기 방법은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은 상기 단말의 MPE 제한을 만족하는 최대 송신 전력임 -;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업링크 전송 성능 향상에 유리하다.

Description

송신 전력의 지시 및 결정 방법, 장치, 단말, 기기 및 매체(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SENDING POWER,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ENDING POWER, AND TERMINAL, DEVICE AND MEDIUM)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신 전력의 지시 및 결정 방법, 장치, 단말, 기기 및 매체에 관한 것이다.
5G 뉴 라디오(NR, New Radio) 기술에서 특히 통신 주파수 대역이 주파수 범위 2(Frequency Range 2, FR2)인 경우, 고주파 채널의 감쇠가 비교적 빠르기 때문에, 커버 범위를 확보하기 위해, 빔에 기반한 송신과 수신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관련 기술에서, 단말이 안테나 패널을 통해 빔을 전송할 때, 인체에 피해를 주지 않도록, 최대 허용복사량(Maximum Permissible Exposure, MPE) 제한이 있다. 송신 빔에 사용되는 송신 전력에 의한 복사량이 MPE 제한을 초과하는 경우, 당해 빔의 송신 전력을 제한해야 하며, 예시적으로, 당해 빔의 송신 전력의 백오프를 제어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단말의 업링크 전송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송신 전력의 지시 및 결정 방법, 장치, 단말, 기기 및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 수단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송신 전력 지시 방법을 제공하고,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은 상기 단말의 MPE 제한을 만족하는 최대 송신 전력임 -;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업링크 제어 정보(UCI)를 통해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4단계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 중의 메시지3 또는 2단계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 중의 메시지A를 통해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UCI는 빔 측정 결과 또는 채널 상태 정보의 측정 결과를 더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업링크 전력 헤드룸 리포트를 통해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업링크 전력 제약 리포트를 통해,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업링크 전력 제약 리포트는 MPE 제한에 따른 전력 제약을 지시하는데 사용됨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또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을 통해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제1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업링크 빔은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이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보다 작은 업링크 빔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업링크 빔은 임의의 상기 업링크 빔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업링크 빔은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이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보다 작거나 같은 업링크 빔임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상기 제1 업링크 빔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거나, 또는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은 단말의 능력이 지원 가능한 상기 제1 업링크 빔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업링크 빔 식별자와 업링크 빔의 전력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관련 정보는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 또는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이 속하는 전력 구간 또는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에 대응하는 레벨 또는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과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의 차이 중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상기 업링크 빔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거나, 또는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은 단말의 능력이 지원 가능한 업링크 빔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업링크 빔 식별자는 참조 신호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참조 신호 식별자는 동기 신호 블록 SSB ID,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 CSI-RS ID, 포지셔닝 참조 신호 PRS ID, 추적 참조 신호 TRS ID, 탐측 참조 신호 SRS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는,
단말의 최대 허용복사량(MPE) 값을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MPE 값에 따라, 상기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의 최대 허용복사량(MPE) 값을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저장된 제2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MPE 값에 따라, 상기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는,
제1 송신 전력에 의한 제1 복사량을 결정하는 단계;
제1복사량과 MPE값의 차이에 따라 제1송신 전력과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의 전력 차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차이와 제1 송신 전력에 따라,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송신 전력은 설정 값이거나, 상기 제1 송신 전력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에 따라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MPE 값에 따라, 상기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빔의 송신 전력에 의한 복사량이 상기 MPE 값에 도달할 경우, 상기 송신 전력을 상기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송신 전력 결정 방법을 제공하고,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은 상기 단말의 최대 허용 복사량(MPE) 제한을 만족하는 최대 송신 전력임 -; 및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업링크 제어 정보(UCI)를 통해 송신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4단계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 중의 메시지3 또는 2단계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 중의 메시지A를 통해 송신된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UCI는 빔 측정 결과 또는 채널 상태 정보의 측정 결과를 더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업링크 전력 헤드룸 리포트(PHR)를 통해 송신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업링크 전력 제약 리포트를 통해 송신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전력 제약 리포트는 MPE 제한에 따른 전력 제약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또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을 통해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1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업링크 빔은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이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보다 작은 업링크 빔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업링크 빔은 임의의 상기 업링크 빔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업링크 빔은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이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보다 작거나 같은 업링크 빔이고,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상기 제1 업링크 빔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거나, 또는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은 단말의 능력이 지원 가능한 상기 제1 업링크 빔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업링크 빔 식별자와 업링크 빔의 전력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관련 정보는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 또는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이 속하는 전력 구간 또는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에 대응하는 레벨 또는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과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의 차이 중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상기 업링크 빔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거나, 또는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은 단말의 능력이 지원 가능한 상기 업링크 빔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업링크 빔 식별자는 참조 신호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참조 신호 식별자는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and PBCH Block, SSB) 식별자,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 Reference Signal, CSI-RS) 식별자, 추적 참조 신호(Tracking Reference Signal, TRS) 식별자, 포지셔닝 참조 신호(Positioning Reference Signal, PRS)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송신 전력 지시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결정 모듈 -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은 상기 단말의 최대 허용 복사량(MPE) 제한을 만족하는 최대 송신 전력임 -;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송신 전력 결정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은 상기 단말의 최대 허용 복사량(MPE) 제한을 만족하는 최대 송신 전력임 -; 및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결정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말을 제공하며, 상기 단말은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가 수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행 가능한 명령을 로딩하고 수행하여 상술한 임의의 송신 전력 지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가 수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행 가능한 명령을 로딩하고 수행하여 상술한 임의의 송신 전력 결정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의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상술한 제1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송신 전력 지시 방법, 또는 상술한 제2 측면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송신 전력 결정 방법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은 상기 단말의 최대 허용 복사량(MPE) 제한을 만족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며,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의 최대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함으로써, 네트워크 기기는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의 상응하는 업링크 빔이 도달할 수 있는 최대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당해 최대 송신 전력에 따라, 리소스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어, 단말의 업링크 전송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일반적인 설명 및 후술한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이고 설명적인 것일뿐 본 발명를 제한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명세서에 포함되어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출원에 부합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명세서와 함께 사용되어 본 출원의 실시예의 원리를 해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지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의 지시 및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의 지시 및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의 지시 및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의 지시 및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의 지시 및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의 지시 및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지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결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1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의 블록도이다.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할 것이며, 예시로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다. 하기의 설명에서 도면을 참조할 때,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서로 다른 도면에서의 동일한 번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하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현 형태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일치하는 모든 구현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반대로, 이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부 측면과 일치하는 장치 및 방법의 예일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의 "하나" 및 "당해"는, 문맥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또한 다수 형태를 포함한다. 또한 이해해야 하는 것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또한 하나 또는 다수의 열거된 관련 아이템의 임의 또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한다.
이해 가능한 바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제3 등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설명할 수 있지만, 상기 정보는 이러한 용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용어는 단지 같은 유형의 정보를 서로 구분하도록 사용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하에서, 제1 정보는 또한 제2 정보로 부를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2 정보는 또한 제1 정보로 부를 수 있다. 언어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어 "만약" 및 "...면"은 "... 할 때" 또는 "... 경우" 또는 "결정에 응답하여"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단계에 번호를 매기는 방식으로 단계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러한 번호는 단계의 수행 순서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며, 또한 순서 번호를 매긴 단계를 함께 수행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도 아니다. 이해해야 하는 바로는, 순서 번호를 매긴 복수의 단계 중 하나 또는 몇개 단계를 개별적으로 수행하여 상응하는 기술 문제를 해결하고, 예정된 기술 수단을 달성할 수 있다. 도면에서 예시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단계를 나타내는 경우에도 이러한 단계가 함께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은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러한 단계를 예시적으로 나열한 것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통신 시스템은 네트워크 측(12)과 단말(13)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측(12)에는 여러 개의 네트워크 기기(120)가 포함된다. 네트워크 기기(120)는 단말에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액세스 네트워크에 구성된 장치인 기지국일 수 있으며, 당해 기지국은 단말(13)의 서빙 셀 기지국일 수 있고, 단말(13)의 서빙 셀의 인접 셀의 기지국일 수도 있다. 기지국에는 다양한 형식의 매크로 기지국, 중계 스테이션, 액세스 포인트,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Reception Point, TRP) 등이 포함된다. 서로 다른 무선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기지국 기능을 갖춘 기기의 명칭이 다를 수 있으며, 5G NR 시스템에서, gNodeB 또는 gNB라고 부른다.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기지국"이라는 명칭은 묘사가 변화할 가능성이 있다. 네트워크 기기(120)는 포지셔닝 관리 기능 엔티티(Location Management Function, LMF)일 수 있다. 차량 네트워크 또는 D2D(device to device, 기기에서 기기로) 통신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차량 탑재 기기 단말 또는 단말(13)일 수 있다.
단말(13)은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진 다양한 휴대용 기기, 차량 탑재 기기, 웨어러블 기기, 컴퓨팅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다른 처리 기기, 및 다양한 형식의 사용자 기기, 이동국(Mobile Station, MS), 단말, 사물 인터넷 기기(Internet of Things, IoT), 산업 사물 인터넷 기기(Industry Internet of Things, IIo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술한 장치는 총칭하여 단말이라고 부른다. 네트워크 기기(120)와 단말(13) 사이는 Uu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을 통해 서로 통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12)는 전송 포인트라고도 불리우는 하나 또는 복수의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Reception Point, TRP)를 구비하며, 각 TRP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안테나 패널(panel)을 가진다. 복수의 TRP는 동시에 하나의 단말(13)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13)은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패널을 가지며, 안테나 패널의 파라미터를 조정함으로써, 당해 안테나 패널의 송신 빔 및/또는 수신 빔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단말(13)이 적어도 2개의 안테나 패널을 가진 경우, 단말은 서로 다른 안테나 패널을 통해 빔을 동시에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 시나리오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수단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술 수단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기술 수단은 통신 시스템의 진화와 새로운 서비스 시나리오의 출현에 따른 동일한 기술적 과제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몇 가지 명사에 대해 설명한다.
MPE: 관리기관(연방 통신 위원회(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FCC)와 국제 비전리 방사선 보호 위원회(International Commission on Non-Ionizing Radiation Protection, ICNIRP) 등)에 의해 규정되며, 무선 기기로부터의 무선 주파수 방사를 제한하는데 사용된다. MPE 제한은 통상 6GHz 이상에서 통신을 하는 무선 기기에 적용되며, 6GHz 이상의 높은 주파수가 인체 피부 표면과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MPE 제한은 면적에 기반한 조사량의 감시 관리 척도이다. 예를 들어 밀리파 시스템의 경우 MPE는 1mW/cm2로 제한되며 인체가 받는 전력 밀도는 1mW/cm2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밀리파 시스템의 경우 MPE는 20mW/cm2로 제한된다.
최대 허용 송신 전력: MPE 제한을 만족하는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은 단말의 안테나 패널과 사용자의 신체 부분(예시적으로, 손) 사이의 거리에 따라,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같은 MPE 제한 하에서, 거리가 가까울수록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은 작아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같은 MPE의 제한 하에서,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은 하나의 고정값이다.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 MPE 제한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에서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최대 송신 전력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은 단말의 능력이 지원 가능한 최대 송신 전력이다.
업링크 빔: 단말이 안테나 패널을 통해 송신한 빔이며, 송신 빔이라고도 부른다. 같은 시각에서 하나의 안테나 패널은 하나의 업링크 빔만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의 하나의 안테나 패널은 하나의 업링크 빔만 송신하고, 즉 송신하는 업링크 빔의 지향은 고정 불변이며, 이 경우, 당해 안테나 패널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즉, 당해 안테나 패널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은 안테나 패널 단위로 결정할 수 있다고 간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단말의 하나의 안테나 패널은 서로 다른 지향의 복수의 업링크 빔을 송신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당해 안테나 패널에 대응하는 복수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은 각각 결정되고, 서로 다른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은 같을 수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지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당해 방법은 단말에 의해 수행되며, 도 2를 참조하면, 당해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01에서,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당해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은 상기 단말의 MPE 제한을 만족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다.
단계 202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업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에 의해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4단계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 중의 메시지3 또는 2단계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 중의 메시지A를 통해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UCI는 빔 측정 결과 또는 채널 상태 정보의 측정 결과를 더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업링크 전력 헤드룸 리포트(Power Headroom Report, PHR)에 의해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업링크 전력 제약 리포트를 통해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업링크 전력 제약 리포트는 MPE 제한에 따른 전력 제약을 지시하는데 사용됨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또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을 통해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제1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업링크 빔은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이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보다 작은 업링크 빔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업링크 빔은 임의의 상기 업링크 빔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업링크 빔은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이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보다 작거나 같은 업링크 빔임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상기 제1 업링크 빔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거나, 또는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은 단말의 능력이 지원 가능한 상기 제1 업링크 빔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업링크 빔 식별자와 업링크 빔의 전력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관련 정보는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 또는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이 속하는 전력 구간 또는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에 대응하는 레벨 또는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과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의 차이 중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상기 업링크 빔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거나, 또는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은 단말의 능력이 지원 가능한 업링크 빔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업링크 빔 식별자는 참조 신호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참조 신호 식별자는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and PBCH Block, SSB) 식별자,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 Reference Signal, CSI-RS) 식별자, 추적 참조 신호(Tracking Reference Signal, TRS) 식별자, 포지셔닝 참조 신호(Positioning Reference Signal, PRS)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는,
단말의 최대 허용복사량(MPE) 값을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MPE 값에 따라, 상기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의 최대 허용복사량(MPE) 값을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저장된 제2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MPE 값에 따라, 상기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는,
제1 송신 전력에 의한 제1 복사량을 결정하는 단계;
제1복사량과 MPE값의 차이에 따라 제1송신 전력과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의 전력 차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차이와 제1 송신 전력에 따라,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송신 전력은 설정 값이거나, 상기 제1 송신 전력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에 따라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MPE 값에 따라, 상기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빔의 송신 전력에 의한 복사량이 상기 MPE 값에 도달할 경우, 상기 송신 전력을 상기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설명해야하는 바로는, 상술한 단계 201~단계 202는 상술한 선택 가능한 단계와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당해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행되며, 도 3을 참조하면, 당해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301에서,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은 상기 단말의 최대 허용 복사량(MPE) 제한을 만족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다.
단계 302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업링크 제어 정보(UCI)를 통해 송신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4단계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 중의 메시지3 또는 2단계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 중의 메시지A를 통해 송신된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UCI는 빔 측정 결과 또는 채널 상태 정보의 측정 결과를 더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업링크 전력 헤드룸 리포트(PHR)를 통해 송신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업링크 전력 제약 리포트를 통해 송신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업링크 전력 제약 리포트는 MPE 제한에 따른 전력 제약을 지시하는데 사용됨 -;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또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을 통해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1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업링크 빔은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이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보다 작은 업링크 빔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업링크 빔은 임의의 상기 업링크 빔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업링크 빔은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이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보다 작거나 같은 업링크 빔이고,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상기 제1 업링크 빔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거나, 또는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은 단말의 능력이 지원 가능한 상기 제1 업링크 빔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업링크 빔 식별자와 업링크 빔의 전력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관련 정보는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 또는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이 속하는 전력 구간 또는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에 대응하는 레벨 또는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과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의 차이 중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상기 업링크 빔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거나, 또는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은 단말의 능력이 지원 가능한 업링크 빔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업링크 빔 식별자는 참조 신호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참조 신호 식별자는 동기 신호 블록 SSB ID,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 CSI-RS ID, 포지셔닝 참조 신호 PRS ID, 추적 참조 신호 TRS ID, 탐측 참조 신호 SRS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상술한 단계 301~단계 302는 상술한 선택 가능한 단계와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의 지시 및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당해 방법은 네트워크 기기와 단말이 공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단말은 업링크 빔을 통해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송신하고, 그에 따라, 단말은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 중의 PUSCH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당해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401에서, 단말이 랜덤 액세스 리소스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랜덤 액세스 리소스의 구성 정보는 랜덤 액세스 리소스의 위치 정보와 업링크 송신 전력 정보를 포함한다. 랜덤 액세스 리소스는 시간 영역 리소스, 주파수 영역 리소스 및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리소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업링크 송신 전력 정보에는 초기 송신 전력과 전력 증가 입도가 포함된다.
단말은 SSB를 수신하고 수신한 SSB를 기반으로 랜덤 액세스 리소스 구성 정보를 획득한다.
각 SSB는 하나의 최적 수신 빔에 대응할 수 있다.
단계402에서, 단말이 랜덤 액세스 리소스 구성에 따라, 제1 업링크 빔을 사용하여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송신한다.
당해 제1 업링크 빔은 참조신호 수신전력(Reference Signal Receiving Power, RSRP)이 역치보다 높은 수신 빔에 대응하는 업링크 빔일 수 있다. 수신 빔의 RSRP는 SSB에 대한 측정을 통해 획득한다.
단계 403에서, 단말이 피드백 시간 창 내에서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단말은 새로운 송신 전력을 계산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당해 새로운 송신 전력은 지난 번의 송신 전력과 전력 증가 입도의 합과 같다.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처음 송신한 후 시간 창 내에서 랜덤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새로운 송신 전력은 초기 송신 전력과 전력 증가 입도의 합과 같다. 세 번째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송신한 후 시간 창 내에서 랜덤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새로운 송신 전력은 두 번째 송신에 사용되는 송신 전력과 전력 증가 입도의 합, 즉 초기 송신 전력과 2배의 전력 증가 입도의 합과 같다. 이렇게 유추하다.
또한 계산된 새로운 송신 전력이 단말 최대 송신 전력을 초과할 경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을 새로운 송신 전력으로 한다. 당해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상기 제1 업링크 빔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거나,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은 단말 능력이 지원 가능한 상기 제1 업링크 빔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다.
단계 404에서, 단말이 단말의 제1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은 상기 단말의 MPE 제한을 만족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다.
단계 405에서, 새로운 송신 전력이 최대 허용 송신 전력보다 크지 않은 경우, 제1 업링크 빔을 사용하여 새로운 송신 전력으로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재송신한다.
단계 406에서, 새로운 송신 전력이 최대 허용 송신 전력보다 클 경우, 제1 업링크 빔을 사용하여 최대 허용 송신 전력으로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재송신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당해 단계 406은 하기로 교체될 수 있다. 제2 업링크 빔을 재선택하여 랜덤 액세스 리소스 구성에 따라,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제1 업링크 빔을 이용한 랜덤 액세스 메시지의 송신은 더 이상 계속되지 않는다.
단계 407에서, 단말이 제1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예시적으로, 당해 제1 지시 정보는 업링크 빔 식별자와 업링크 빔의 전력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관련 정보는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 또는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이 속하는 전력 구간 또는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에 대응하는 레벨 또는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과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의 차이 중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상기 제1 업링크 빔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거나, 또는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은 단말의 능력이 지원 가능한 상기 제1 업링크 빔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업링크 빔 식별자는 참조신호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참조신호 식별자는 SSB ID, CSI-RS ID, PRS ID, TRS ID, SRS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참조 신호 식별자는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TRP 식별자 및/또는 물리 셀 식별자를 더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 단말이 4단계 랜덤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경우 랜덤 액세스 메시지는 4단계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 중의 메시지1(msg. 1)이다. 이 경우, 제1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이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보다 작은 것을, 즉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이 단말의 업링크 빔의 최대 송신 전력을 제한하고 있다고 것을 결정하면, 단말은 랜덤 액세스 응답 메시지인 메시지 2(msg. 2)를 수신한 후, 메시지 3(msg.3)을 통해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다른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 단말이 2단계 랜덤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경우 랜덤 액세스 메시지는 2단계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 중의 메시지A(msg. A)이며, 그리고 단말은 msg. A에서의 PUSCH를 통해 당해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단계 408에서,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409에서,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의 제1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후속 통신 프로세스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제1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에 따라, 리소스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인 큰 빔을 사용하여 업링크 송신하도록 단말에 우선적으로 지시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단말은 결정된 송신 전력이 최대 허용 송신 전력보다 클 경우, 단계 407을 수행하고, 즉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이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보다 작은 업링크 빔에 대응하는 제1 지시 정보만을 송신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단말에 의해 결정된 송신 전력이 최대 허용 송신 전력보다 크든 작든 상관없이 단계 407을 수행하고, 즉, 모든 업링크 빔에 대응하는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은 상기 단말의 최대 허용 복사량(MPE) 제한을 만족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며,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 최대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네트워크 기기에 송신함으로써, 네트워크 기기는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의 상응하는 업링크 빔이 도달할 수 있는 최대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당해 최대 송신 전력에 따라, 리소스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어, 단말의 업링크 전송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의 지시 및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당해 방법은 단말과 네트워크 기기가 공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당해 방법과 도 4에 도시된 방법의 차이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단말의 제 1 업링크 빔의 송신 전력이 대응하는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초과할 것 같은 경우, 랜덤 액세스 메시지에서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송신하고,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단말의 제 1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이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보다 작다고 결정된 경우에, 랜덤 액세스 메시지에서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송신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501에서, 단말이 랜덤 액세스 리소스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관련 내용에 대해서는 단계401을 참조하고,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502에서, 단말이 단말의 제1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은 상기 단말의 MPE 제한을 만족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다.
제1 업링크 빔은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업링크 빔이다. 당해 제1 업링크 빔은 RSRP가 임계치보다 높은 수신 빔에 대응하는 업링크 빔일 수 있다. 수신 빔의 RSRP는 SSB에 대한 측정을 통해 획득한다.
단계 503에서, 단말이 랜덤 액세스 리소스 구성에 따라, 제1 업링크 빔을 사용하여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송신한다.
단말의 제1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이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보다 작을 경우, 랜덤 액세스 메시지에는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된다.
예시적으로, 단말은 2단계 랜덤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고, 당해 랜덤 액세스 메시지는 2단계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에서의 메시지A(msg. A)이며, 단말은 msg. A에서의 PUSCH를 통해 당해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단계 504에서, 네트워크 기기가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수신한다.
네트워크 기기는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수신한 후, 랜덤 액세스 메시지에서의 제1 지시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505에서,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의 제1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단말은 제1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이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보다 작을 경우에만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다른 실시예에서, 단말의 제1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이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보다 작은지 여부에 관계없이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즉, 임의의 업링크 빔에 대해 모두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의 지시 및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당해 방법은 단말과 네트워크 기기가 공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당해 방법과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차이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2단계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인 것을 대상으로 하고,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4단계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인 것을 대상으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601에서, 단말이 랜덤 액세스 리소스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관련 내용에 대해서는 단계401을 참조하고,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602에서, 단말이 랜덤 액세스 리소스 구성에 따라, 제1 업링크 빔을 사용하여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송신한다.
당해 제1 업링크 빔은 RSRP가 역치보다 높은 수신 빔에 대응하는 업링크 빔일 수 있다. 수신 빔의 RSRP는 SSB에 대한 측정을 통해 획득한다.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시지는 4단계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 중의 메시지 1(msg. 1)이다.
단계 603에서, 네트워크 기기가 랜덤 액세스 메시지를 수신한다.
단계 604에서, 네트워크 기기가 랜덤 액세스 응답을 송신한다.
당해 랜덤 액세스 응답은 4단계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 중의 msg. 2이다.
단계 605에서, 단말이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한다.
단계 606에서, 단말이 단말의 제1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은 상기 단말의 MPE 제한을 만족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다.
또한 단계 606은 단계 602내지 단계 605 중 임의의 단계와 동시에 수행할 수 있거나, 또는 단계 602내지 단계 605 중 임의의 인접한 2개의 단계 사이에서 수행할 수 있다.
단계 607에서, 단말이 msg.3을 송신한다.
단말의 제1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이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보다 작을 경우, msg.3은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 608에서, 네트워크 기기가 msg.3을 수신한다.
네트워크 기기는 msg.3을 수신한 후, msg.3에서의 제1 지시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609에서,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의 제1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단말은 제1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이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보다 작을 경우에만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다른 실시예에서, 단말의 제1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이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보다 작은지 여부에 관계없이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즉 임의의 업링크 빔에 대해 모두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빔 측정을 위한 다운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고, 단말은 당해 다운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여 빔 측정을 수행하고, 빔 측정 결과를 송신한다. 이 경우, 단말은 빔 측정 리포트를 통해 제1 지시 정보와 빔 측정 결과를 송신할 수 있다.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의 지시 및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당해 방법은 단말과 네트워크 기기가 공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701에서, 네트워크 기기가 빔 측정을 위한 다운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빔 측정을 위한 다운링크 참조 신호는 SSB, CSI-RS, PRS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702에서, 단말이 빔 측정을 위한 다운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703에서, 단말이 수신한 다운링크 참조 신호에 따라, 빔 측정을 수행한다.
다운링크 참조 신호에 대해 빔 측정을 수행하여 각 다운링크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측정값을 획득한다. 예시적으로, 측정값은 참조 신호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L1-RSRP) 및 신호 대 간섭 잡음비(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L1-SIN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단계 704에서, 단말이 제1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은 상기 단말의 MPE 제한을 만족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다.
단계 705에서, 단말이 빔 측정 리포트를 송신한다.
당해 빔 측정 리포트는 단계 703에서 획득된 빔 측정 결과와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말이 빔 측정 리포트를 송신하는 방식은 주기적 리포트, semi-static(반정적) 리포트 또는 비주기적 리포트를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빔 측정 리포트는 UCI를 통해 송신될 수 있으며 UCI는 PUCCH 또는 PUSCH를 통해 보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빔 측정 리포트를 송신하는 방식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지시되고,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시그널링,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시그널링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을 통해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지시된다.
제1 지시 정보의 관련 내용에 대해서는 상술한 단계 407을 참조하고,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706에서, 네트워크 기기가 빔 측정 리포트를 수신한다.
단계 707에서,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제1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채널 상태 정보의 측정을 위한 다운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고, 단말은 당해 다운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하여 채널 상태 정보의 측정을 수행하고, 채널 상태 정보의 측정 결과를 송신한다. 이 경우, 단말은 채널 상태 정보 리포트를 통해 제1 지시 정보와 채널 상태 정보의 측정 결과를 송신할 수 있다.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의 지시 및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당해 방법은 단말과 네트워크 기기가 공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801에서, 네트워크 기기가 채널 상태 정보의 측정을 위한 다운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채널 상태 정보의 측정을 위한 다운링크 참조 신호는 SSB, CSI-RS, PRS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802에서, 단말이 채널 상태 정보의 측정을 위한 다운링크 참조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803에서, 단말이 수신한 다운링크 참조 신호에 따라, 채널 상태 정보를 측정한다.
다운링크 참조 신호에 대해 채널 상태 정보의 측정을 수행함으로써, 각 다운링크 참조 신호에 대응하는 측정값을 획득한다. 예를 들어 측정값은 채널 품질 지시자(Channel Quality Indicator, CQI)를 포함한다.
단계 804에서, 단말이 제1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은 상기 단말의 MPE 제한을 만족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다.
단계 805에서, 단말이 채널 상태 정보의 측정 리포트를 송신한다.
당해 채널 상태 정보의 측정 리포트에는 단계 803에서 획득된 채널 상태 정보의 측정 결과와 제1 지시 정보를 포함한다.
제1 지시 정보의 관련 내용에 대해서는 상술한 단계 407을 참조하고,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선택적으로, 당해 채널 상태 정보 측정 리포트는 랭크 지시(rank indication, RI), 프리코딩 행렬 지시(Precoding Matrix Indicator, PMI) 등의 정보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말이 채널 상태 정보 측정 리포트를 송신하는 방식은 주기적 리포트, 반정적(semi-static) 리포트 또는 비주기적 리포트를 포함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채널 상태 정보 측정 리포트는 UCI를 통해 송신할 수 있고, UCI는 PUCCH 또는 PUSCH를 통해 보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채널 상태 정보 측정 리포트를 송신하는 방식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지시되며, 예를 들어 RRC 시그널링, MAC 시그널링, DCI 시그널링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을 통해 지시된다.
단계 806에서, 네트워크 기기가 채널 상태 정보의 측정 리포트를 수신한다.
단계 807에서,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제1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은 제1 업링크 빔을 통해 업링크 참조신호를 송신하고, 네트워크 기기는 업링크 참조신호를 수신하며, 업링크 참조신호에 따라, 빔 측정 및/또는 채널 상태 정보 측정 및/또는 포지셔닝 측정을 수행한다. 이 경우, 단말은 빔 측정 리포트를 통해 제1 지시 정보(즉 빔 측정 결과와 제1 지시 정보를 함께 송신할 수 있음)를 송신할 수 있고, 또는 채널 상태 정보 측정 리포트를 통해 제1 지시 정보(즉, 채널 상태 정보 측정 결과와 제1 지시 정보를 함께 송신할 수 있음)를 송신할 수 있고, 또는 전용 시그널링을 통해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의 지시 및 결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당해 방법은 단말과 네트워크 기기가 공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901에서, 네트워크 기기가 업링크 참조 신호 리소스 구성 정보를 송신한다.
당해 참조 신호 구성 정보는 업링크 참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리소스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예로서 당해 업링크 참조 신호는 SRS이다. 선택적으로, SRS는 업링크 빔 관리를 위한 SRS 또는 채널 상태 정보 측정을 위한 SRS 또는 위치 측정을 위한 SRS이다.
선택적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 리소스 구성 정보는 업링크 리소스의 위치 정보 및 업링크 송신 전력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업링크 리소스의 위치 정보는 시간 영역 리소스의 위치 정보와 주파수 영역 리소스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업링크 송신 전력 정보는 초기 송신 전력과 전력 증가 입도를 포함한다.
단계 902에서, 단말이 업링크 참조 신호 리소스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903에서, 단말이 업링크 참조 신호 리소스 구성 정보에 따라,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단말은 업링크 송신 전력 관련 정보에 따라,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결정 방법은 전술한 단계 403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904에서, 단말이 제1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은 상기 단말의 MPE 제한을 만족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며, 상기 제1 업링크 빔은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업링크 빔이다.
단계 905에서, 결정된 송신 전력이 최대 허용 송신 전력보다 클 경우, 제1 빔에 의해 최대 허용 송신 전력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단계 906에서, 결정된 송신 전력이 최대 허용 송신 전력보다 크지 않은 경우, 제1 빔에 의해 결정된 송신 전력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단계 907에서, 단말이 제1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제1 지시 정보의 관련 내용에 대해서는 상술한 단계 407을 참조하고,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당해 단계 907에서, 단말이 제1 업링크 빔에 대응하는 수신 빔을 결정하고, 수신 빔에 대응하는 다운링크 참조신호 식별자를 결정하며, 결정된 다운링크 참조신호 식별자를 제1 업링크 빔 식별자로 한다. 또는, 단말은 제1 업링크 빔에 대응하는 업링크 참조신호의 식별자를 결정하고, 결정된 업링크 참조신호의 식별자를 업링크 빔 식별자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운링크 참조 신호 식별자는 SSB ID, CSI-RS ID, PRS ID, TRS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 식별자는 SRS ID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당해 제1 지시 정보는 다음 번의 다운링크 빔 측정결과와 함께 송신할 수 있다. 관련 내용에 대해서는 상술한 단계 705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당해 제1 지시 정보는 다음 번의 채널 상태정보의 측정결과와 함께 송신할 수 있다. 관련 내용에 대해서는 상술한 단계 805를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당해 제1 지시 정보는 전문적인 시그널링을 통해 송신될 수 있으며, 당해 전문적인 시그널링은 PUCCH 또는 PUSCH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은 결정된 송신 전력이 최대 허용 송신 전력보다 클 경우 단계 907을 수행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단말에 의해 결정된 송신 전력이 최대 허용 송신 전력보다 크든 작든 상관없이 단계 907이 수행된다.
단계 908에서,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909에서, 네트워크 기기가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단말의 제1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교체적으로, 빔 측정 리포트와 채널 상태 정보 측정 리포트 이외에 업링크 전력 헤드룸 리포트를 통해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할 수도 있다. 즉, 업링크 전력 헤드룸 리포트는 단말이 PUSCH 전송에 사용되는 현재 송신 전력과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 사이의 전력 헤드룸을 지시하는 이외에, 제1 지시 정보도 포함한다. 전력 헤드룸이 양수 값일 경우, 단말은 현재 송신 전력보다 높은 전력으로 보다 많은 정보를 송신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전력 헤드룸이 음수 값일 경우, 단말이 허용 제한을 초과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네트워크 기기는 전력 헤드룸에 따라, 단말을 위한 업링크 리소스를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헤드룸이 클수록 단말에 할당되는 업링크 리소스가 많아지고, 예를 들어 RB의 수가 많아진다. 업링크 전력 헤드룸 리포트는 PUCCH 또는 PUSCH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교체적으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빔 측정 리포트와 채널 상태 정보 측정 리포트 이외에, MPE 제한에 의한 전력 제약을 지시하는 업링크 전력 제약 리포트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당해 업링크 전력 제약 리포트는 새로 정의된 리포트일 수 있으며, MAC 제어요소(MAC Control Element, MAC CE) 또는 UCI를 통해 송신되고, PUCCH 또는 PUSCH를 통해 송신될 수도 있다.
전술한 임의의 실시예에서, 단말은 제1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하기 위해 하기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단말의 최대 허용 복사량(MPE) 값을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MPE 값에 따라, 상기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의 최대 허용 복사량(MPE) 값을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저장된 제2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제2 지시 정보는 제2 지시 정보에 따라, MPE값을 결정할 수 있다면, MPE값 또는 MPE값에 대응하는 인덱스 또는 MPE값이 속하는 구간 등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MPE 값에 따라, 상기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는,
제1 송신 전력에 의한 제1 복사량을 결정하는 제1 단계;
제1복사량과 MPE값의 차이에 따라 제1송신 전력과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의 전력 차이를 결정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전력 차이와 제1 송신 전력에 따라,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송신 전력은 설정 값이거나, 상기 제1 송신 전력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면, 전력 차이와 제1 송신 전력의 합을 최대 허용 송신 전력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MPE 값에 따라, 상기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빔의 송신 전력에 의한 복사량이 상기 MPE 값에 도달할 경우, 상기 송신 전력을 상기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업링크 빔의 송신 전력에 의한 복사량이 상기 MPE값에 도달한다는 것은 업링크 빔의 송신 전력에 의한 복사량과 MPE값의 차이가 충분히 작다는 것이며, 예를 들어 약 0이다.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 제2 지시 정보는 MPE값에 대응하는 송신 전력 역치일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 송신 전력 역치를 직접 최대 허용 송신 전력으로 할 수 있다.
도 10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지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당해 장치는 상술한 방법의 실시예에서의 단말을 구현하는 기능을 가지며, 당해 기능은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고, 하드웨어가 상응하는 소프트웨어를 수행하는 것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장치(10)는 결정 모듈(1001)과, 송신 모듈(1002)을 포함한다.
결정 모듈(1001)은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은 상기 단말의 최대 허용 복사량(MPE) 제한을 만족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다. 송신 모듈(1002)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 송신 모듈(1002)은,
업링크 제어 정보(UCI)를 통해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거나
4단계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 중의 메시지3 또는 2단계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 중의 메시지A를 통해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UCI는 빔 측정 결과 또는 채널 상태 정보의 측정 결과를 더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 송신 모듈(1002)은,
업링크 전력 헤드룸 리포트를 통해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거나
업링크 전력 제약 리포트를 통해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업링크 전력 제약 리포트는 MPE 제한에 따른 전력 제약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송신 모듈(1002)은, PUCCH 또는 PUSCH를 통해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송신 모듈(1002)은 제1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1 업링크 빔은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이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보다 작은 업링크 빔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업링크 빔은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이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보다 작거나 같은 업링크 빔이다.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상기 제1 업링크 빔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거나, 또는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은 단말의 능력이 지원 가능한 상기 제1 업링크 빔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결정 모듈(1001)은 획득 서브 모듈(10011)과 결정 서브 모듈(10012)을 포함하며,
획득 서브 모듈(10011)은 단말의 최대 허용복사량(MPE) 값을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를 획득하고,
결정 서브 모듈(10012)은 상기 MPE 값에 따라, 상기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선택적으로, 획득 서브 모듈(10011)은 상기 단말에 저장된 제2 지시 정보를 획득하거나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결정 서브 모듈(10012)은 제1 송신 전력에 의한 제1 복사량을 결정하고, 제1 복사량과 MPE값의 차이에 따라, 제1 송신 전력과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의 전력 차이를 결정하는 상기 전력 차이와 제1 송신 전력에 따라,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송신 전력은 설정값이거나, 상기 제1 송신 전력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구성정보에 따라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결정 서브 모듈(10012)은 상기 업링크 빔의 송신 전력에 의한 복사량이 상기 MPE값에 도달할 경우, 상기 송신 전력을 상기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으로 한다.
도 1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송신 전력 지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당해 장치는 상술한 방법의 실시예에서의 단말을 구현하는 기능을 가지며, 당해 기능은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고, 하드웨어가 상응하는 소프트웨어를 수행하는 것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장치(1100)는 수신 모듈(1101)과 결정 모듈(1102)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1101)은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은 상기 단말의 최대 허용 복사량(MPE) 제한을 만족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다. 결정 모듈(1102)은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 수신 모듈(1101)은,
업링크 제어 정보(UCI)를 통해 송신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거나,
4단계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 중의 메시지3 또는 2단계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 중의 메시지A를 통해 송신된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UCI는 빔 측정 결과 또는 채널 상태 정보의 측정 결과를 더 포함한다.
가능한 실시 형태에서, 수신 모듈(1101)은,
업링크 전력 헤드룸 리포트(PHR)를 통해 송신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거나,
업링크 전력 제약 리포트를 통해 송신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업링크 전력 제약 리포트는 MPE 제한에 따른 전력 제약을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수신 모듈(1101)은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또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을 통해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수신 모듈(1101)은,
제1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업링크 빔은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이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보다 작은 업링크 빔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업링크 빔은 임의의 상기 업링크 빔이거나, 또는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은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보다 작거나 같은 업링크 빔이다.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상기 제1 업링크 빔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거나, 또는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은 단말의 능력이 지원 가능한 상기 제1 업링크 빔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다.
도 1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단말(1200)의 블록도이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단말(1200)은 프로세서(1201), 수신기(1202), 송신기(1203), 메모리(1204) 및 버스(1205)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201)는 하나 또는 복수의 처리 코어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201)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수행함으로써 다양한 기능 애플리케이션 및 정보 처리를 수행한다.
수신기(1202)와 송신기(1203)는 하나의 통신 컴포넌트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당해 통신 컴포넌트는 통신 칩일 수 있다.
메모리(1204)는 버스(1205)를 통해 프로세서(1201)와 연결된다.
메모리(1204)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는데 사용되고, 프로세서(1201)가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수행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에서의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수행한다.
또한 메모리(1204)는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전기적 소거 가능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 소거 가능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PROM), 정적 수시연결 메모리(S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자기메모리, 플래시메모리,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와 같은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 휘발성 저장 기기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술한 각 방법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송신 전력 지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프로세서에 의해 로딩되어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 세트 또는 명령 세트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더 제공된다.
도 1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기기(13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기기(1300)는 프로세서(1301), 수신기(1302), 송신기(1303) 및 메모리(1304)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1302), 송신기(1303) 및 메모리(1304)는 각각 버스를 통해 프로세서(1301)에 연결된다.
프로세서(1301)는 하나 또는 복수의 처리 코어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301)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수행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제공되는 방법의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수행한다. 메모리(1304)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1304)는 운영체제(13041),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모듈(13042)을 저장할 수 있다. 수신기(1302)는 다른 기기로부터 송신된 통신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사용되고, 송신기(1303)은 다른 기기에 통신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사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술한 각 방법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송신 전력 결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프로세서에 의해 로딩되어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 세트 또는 명령 세트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과 네트워크 기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더 제공한다. 상기 단말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단말이다.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네트워크 기기이다.
본 기술분야의 기술자는 명세서 및 이에 공개된 발명을 고려한 후,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수단을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함하는 바,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모두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를 따르며 본 발명에 공개되지 않은 본 기술분야의 공지된 상식 또는 통상적인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 것으로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및 정신은 청구범위에서 지적한 바와 같다.
이해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설명되고 또한 도면에 도시된 정확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단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25)

  1. 송신 전력의 지시 방법에 있어서,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은 상기 단말의 최대 허용 복사량(MPE) 제한을 만족하는 최대 송신 전력임 -;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전력 지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업링크 제어 정보(UCI)를 통해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4단계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 중의 메시지3 또는 2단계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 중의 메시지A를 통해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전력 지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UCI는 빔 측정 결과 또는 채널 상태 정보의 측정 결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전력 지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업링크 전력 헤드룸 리포트(PHR)를 통해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업링크 전력 제약 리포트를 통해,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업링크 전력 제약 리포트는 MPE 제한에 따른 전력 제약을 지시하는데 사용됨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전력 지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또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을 통해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전력 지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제1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업링크 빔은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이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보다 작은 업링크 빔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업링크 빔은 임의의 상기 업링크 빔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업링크 빔은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이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보다 작거나 같은 업링크 빔이며,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상기 제1 업링크 빔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거나, 또는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은 단말의 능력이 지원 가능한 상기 제1 업링크 빔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전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전력 지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업링크 빔 식별자와 업링크 빔의 전력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관련 정보는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 또는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이 속하는 전력 구간 또는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에 대응하는 레벨 또는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과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의 차이 중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상기 업링크 빔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거나, 또는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은 단말의 능력이 지원 가능한 업링크 빔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전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전력 지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빔 식별자는 참조 신호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참조 신호 식별자는 동기 신호 블록 SSB ID,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 CSI-RS ID, 포지셔닝 참조 신호 PRS ID, 추적 참조 신호 TRS ID, 탐측 참조 신호 SRS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전력 지시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는,
    단말의 최대 허용복사량(MPE) 값을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MPE 값에 따라, 상기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전력 지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최대 허용복사량(MPE) 값을 지시하기 위한 제2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저장된 제2 지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또는,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전력 지시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MPE 값에 따라, 상기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는,
    제1 송신 전력에 의한 제1 복사량을 결정하는 단계;
    제1복사량과 MPE값의 차이에 따라 제1송신 전력과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의 전력 차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차이와 제1 송신 전력에 따라,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송신 전력은 설정 값이거나, 상기 제1 송신 전력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송신된 구성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전력 지시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MPE 값에 따라, 상기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업링크 빔의 송신 전력에 의한 복사량이 상기 MPE 값에 도달할 경우, 상기 송신 전력을 상기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전력 지시 방법.
  13. 송신 전력의 결정 방법에 있어서,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은 상기 단말의 최대 허용 복사량(MPE) 제한을 만족하는 최대 송신 전력임 -; 및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전력 결정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업링크 제어 정보(UCI)를 통해 송신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4단계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 중의 메시지3 또는 2단계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 중의 메시지A를 통해 송신된 상기 제 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전력 결정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UCI는 빔 측정 결과 또는 채널 상태 정보의 측정 결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전력 결정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업링크 전력 헤드룸 리포트(PHR)를 통해 송신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업링크 전력 제약 리포트를 통해 송신된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업링크 전력 제약 리포트는 MPE 제한에 따른 전력 제약을 지시하는 데 사용됨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전력 결정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또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을 통해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전력 결정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1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업링크 빔은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이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보다 작은 업링크 빔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업링크 빔은 임의의 업링크 빔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업링크 빔은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이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보다 작거나 같은 업링크 빔이고,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상기 제1 업링크 빔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거나, 또는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은 단말의 능력이 지원 가능한 상기 제1 업링크 빔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전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전력 결정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업링크 빔 식별자와 업링크 빔의 전력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 관련 정보는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 또는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이 속하는 전력 구간 또는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에 대응하는 레벨 또는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과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의 차이 중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은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 상기 업링크 빔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전력이거나, 또는 상기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은 단말의 능력이 지원 가능한 상기 업링크 빔에 대응하는 최대 송신 전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전력 결정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빔 식별자는 참조 신호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참조 신호 식별자는 동기 신호 블록 SSB ID,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 CSI-RS ID, 포지셔닝 참조 신호 PRS ID, 추적 참조 신호 TRS ID, 탐측 참조 신호 SRS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전력 결정 방법.
  21. 송신 전력 지시 장치에 있어서,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결정 모듈 -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은 상기 단말의 최대 허용 복사량(MPE) 제한을 만족하는 최대 송신 전력임 -; 및
    적어도 하나의 상기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전력 지시 장치.
  22. 송신 전력 결정 장치에 있어서,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지시하기 위한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은 상기 단말의 최대 허용 복사량(MPE) 제한을 만족하는 최대 송신 전력임 -; 및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업링크 빔의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결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전력 결정 장치.
  23. 단말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가 수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행 가능한 명령을 로딩하고 수행하여,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송신 전력 지시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4. 네트워크 기기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가 수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행 가능한 명령을 로딩하고 수행하여, 제13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송신 전력 결정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기.
  25.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의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송신 전력 지시 방법, 또는 제13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송신 전력 결정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237001950A 2020-08-21 2020-08-21 송신 전력의 지시 및 결정 방법, 장치, 단말, 기기 및 매체(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sending power,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ending power, and terminal, device and medium) KR202300237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0/110501 WO2022036685A1 (zh) 2020-08-21 2020-08-21 发送功率的指示和确定方法、装置、终端、设备和介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799A true KR20230023799A (ko) 2023-02-17

Family

ID=73785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1950A KR20230023799A (ko) 2020-08-21 2020-08-21 송신 전력의 지시 및 결정 방법, 장치, 단말, 기기 및 매체(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sending power,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ending power, and terminal, device and medium)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262615A1 (ko)
EP (1) EP4203565A4 (ko)
JP (1) JP2023533698A (ko)
KR (1) KR20230023799A (ko)
CN (1) CN112106411B (ko)
BR (1) BR112022026990A2 (ko)
WO (1) WO20220366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78726A1 (en) * 2021-01-15 2023-11-22 Qualcomm Incorporated Maximum permissible exposure reporting
US20240022940A1 (en) * 2021-01-15 2024-01-18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specific maximum permissible exposure report
CN113207135A (zh) * 2021-03-23 2021-08-03 上海移远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终端与基站连接方法、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7397281A (zh) * 2021-06-02 2024-01-12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最大准许照射值的差分报告
CN115088315A (zh) * 2022-05-11 2022-09-2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功率配置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13345A (zh) * 2016-02-04 2018-10-26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终端、无线基站以及无线通信方法
US11368926B2 (en) * 2016-12-12 2022-06-21 Qualcomm Incorporated Reporting power limit and corresponding constraint
CN106658693A (zh) * 2016-12-29 2017-05-10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和装置
CN108924920B (zh) * 2017-03-24 2021-09-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发送功率的确定方法和配置方法,终端和基站
CN109089322B (zh) * 2017-06-14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上行多波束传输方法、终端及网络设备
US10531397B2 (en) * 2017-10-02 2020-01-0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for uplink signal and a user equipment performing the method
US11184863B2 (en) * 2018-10-08 2021-11-23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beam selection in millimeter wave subject to maximum permissible exposure constraints
CN111436105B (zh) * 2019-01-11 2023-11-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功率控制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62615A1 (en) 2023-08-17
CN112106411A (zh) 2020-12-18
JP2023533698A (ja) 2023-08-04
CN112106411B (zh) 2023-06-13
EP4203565A4 (en) 2023-10-11
EP4203565A1 (en) 2023-06-28
WO2022036685A1 (zh) 2022-02-24
BR112022026990A2 (pt)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89311B (zh) 干扰测量方法及装置和定时偏差测量方法
KR20230023799A (ko) 송신 전력의 지시 및 결정 방법, 장치, 단말, 기기 및 매체(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sending power,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ending power, and terminal, device and medium)
CN111726135B (zh) 通信方法和通信设备
CN109391995B (zh) 一种干扰测量方法、终端设备及网络设备
US8811286B2 (en) Base station, interference control method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CN107431589B (zh) 用于处理和分配上行链路导频的方法和设备
US20170289917A1 (en) Dynamic time division duplex interference mitigation in a wireless network
US97697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power control in a radio communication network
US10631213B2 (en) Cell chang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2055981B (zh) 信号传输方法、装置、终端、设备和介质
US20210368369A1 (en) Wireless node self-interference measurements and uplink beam management for full duplex transmissions
CN113573354B (zh) 波束报告方法和设备
US20240049207A1 (en) Beam Management in Multi-TRP Operation
WO2021093141A1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configuring micro service area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CN116326039A (zh) 用于多trp操作中的波束管理的ue操作
US20230284286A1 (en) Robust radio resource allocation for uplink radar
CN108632876B (zh) 通信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RU2810541C1 (ru) Способ указания мощности передачи,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мощности передачи, терминал, устройство и носитель данных
KR20230096105A (ko) 전송 파라미터 관리 방법, 전송 파라미터 관리 장치 및 전자기기
CN114071534A (zh) 波束测量的方法和装置
CN113545137A (zh) 对终端请求的功率降低的控制
CN113453264B (zh) 检测终端发射行为的方法及网络设备
US20230189177A1 (en) Ssb deter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22077287A1 (zh) 波束测量结果报告的发送、接收方法、装置和介质
CN117998654A (zh) 波束测量方法、装置及系统